KR20200014291A - 촬상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4291A
KR20200014291A KR1020197034584A KR20197034584A KR20200014291A KR 20200014291 A KR20200014291 A KR 20200014291A KR 1020197034584 A KR1020197034584 A KR 1020197034584A KR 20197034584 A KR20197034584 A KR 20197034584A KR 20200014291 A KR20200014291 A KR 20200014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nsor
glass substrate
lens
imaging device
infrared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4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츠지 기무라
아츠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4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2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18Contain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H04N5/2253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8Anti-reflection coatings having sub-optical wavelength surface structures designed to provide an enhanced transmittance, e.g. moth-eye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preventing ghost im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5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34Assemblies, i.e. Hybrid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4
    • H04N5/225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Abstract

입사광의 광량에 따라 광전 변환에 의해 화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고체 이미지 센서, 및 상기 고체 이미지 센서를 고정하기 위한 기능과 상기 입사광의 적외광을 제거하기 위한 기능이 일체화되도록 구성된 일체화 구성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전자 기기
[0001]
본 개시는, 촬상 장치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치 구성의 소형화나 높이 감소를 실현함과 함께, 플레어(flare)나 고스트의 발생을 억제하여 촬상할 수 있도록 한 촬상 장치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0002]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5월 2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JP2017-105713호의 우선권 이익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0003]
최근,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체 단말 장치나, 디지털 스틸 카메라 등에서 사용되는 고체 이미지 센서에 있어서, 고화소화 및 소형화 및 높이 감소가 진행되고 있다.
[0004]
카메라의 고화소화 및 소형화에 따라, 렌즈와 고체 이미지 센서가 광축 상에서 가까워지게 되어, 적외광 컷 필터가 렌즈 부근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0005]
예를 들면, 복수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렌즈군 중, 가장 아래층이 되는 렌즈를 고체 이미지 센서 상에 구성함으로써, 고체 이미지 센서의 소형화를 실현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15-061193호 공보
[0007]
그러나, 고체 이미지 센서 상에 최하층의 렌즈를 구성하도록 한 경우, 장치 구성의 소형화나 높이 감소에는 기여하지만, 적외광 컷 필터와 렌즈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됨으로써, 광의 반사에 의한 내부 난반사(internal diffuse reflection)에 기인한 플레어나 고스트가 생겨 버린다.
[0008]
본 개시는,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특히, 고체 이미지 센서에 있어서, 소형화나 높이 감소를 실현함과 함께, 플레어와 고스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0009]
촬상 장치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로서, 상기 촬상 장치는,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과 일체화된 조립체로서 장착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일체화된 조립체로서 상기 이미지 센서와 함께 장착되는 글래스 기판, 상기 이미지 센서를 덮으면서, 상기 일체화된 조립체로서 상기 이미지 센서와 함께 장착되는 적외광 감쇄 광학 소자 및 상기 글래스 기판 또는 상기 적외광 감쇄 광학 소자를, 상기 이미지 센서에 직접 접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0010]
글래스 기판, 상기 글래스 기판과 일체화된 조립체로서 장착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를 덮으면서, 상기 일체화된 조립체로서 상기 이미지 센서와 함께 장착되는 적외광 감쇄 광학 소자 및 상기 글래스 기판 또는 상기 적외광 감쇄 광학 소자를, 상기 이미지 센서에 접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0011]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과 일체화된 조립체로서 장착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일체화된 조립체로서 상기 이미지 센서와 함께 장착되는 글래스 기판, 상기 이미지 센서를 덮으면서, 상기 일체화된 조립체로서 상기 이미지 센서와 함께 장착되는 적외광 감쇄 광학 소자,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치되는 신호 처리 회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배치되는 메모리,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배치되는 모니터 및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신호 전하의 전송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된다.
[0012]
본 개시의 일 측면에 의하면, 특히, 고체 이미지 센서에 있어서, 장치 구성의 소형화나 높이 감소를 실현함과 함께, 플레어나 고스트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13]
[도 1] 본 개시의 촬상 장치의 제1 실시형태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도 1의 촬상 장치에 있어서, 내부 난반사에 기인하는 고스트나 플레어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도 1의 촬상 장치로 촬상된 화상에 내부 난반사에 기인하는 고스트나 플레어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본 개시의 촬상 장치의 제2 실시형태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도 4의 촬상 장치에 있어서, 내부 난반사에 기인하는 고스트나 플레어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본 개시의 촬상 장치의 제3 실시형태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본 개시의 촬상 장치의 제4 실시형태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본 개시의 촬상 장치의 제5 실시형태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본 개시의 촬상 장치의 제6 실시형태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본 개시의 촬상 장치의 제7 실시형태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 본 개시의 촬상 장치의 제8 실시형태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 본 개시의 촬상 장치의 제9 실시형태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 본 개시의 촬상 장치의 제10 실시형태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 본 개시의 촬상 장치의 제11 실시형태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 본 개시의 촬상 장치의 제12 실시형태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 본 개시의 촬상 장치의 제13 실시형태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 본 개시의 촬상 장치의 제14 실시형태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 본 개시의 카메라 모듈을 적용한 전자 기기로서의 촬상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9] 본 개시의 기술을 적용한 카메라 모듈의 사용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 내시경 수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카메라 헤드 및 CCU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2] 차량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3] 차외 정보 검출부 및 촬상부의 설치 위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0014]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교부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0015]
이하,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형태라고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제1 실시형태
2. 제2 실시형태
3. 제3 실시형태
4. 제4 실시형태
5. 제5 실시형태
6. 제6 실시형태
7. 제7 실시형태
8. 제8 실시형태
9. 제9 실시형태
10. 제10 실시형태
11. 제11 실시형태
12. 제12 실시형태
13. 제13 실시형태
14. 제14 실시형태
15. 전자 기기에의 적용
16. 고체 촬상 장치의 사용예
17. 내시경 수술 시스템에의 응용예
18. 이동체에의 응용예
[0016]
<1. 제1 실시형태>
도 1을 참조하여, 장치 구성의 소형화와 높이 감소를 실현하면서, 고스트와 플레어의 발생을 억제하는,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의 촬상 장치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촬상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0017]
도 1의 촬상 장치(1)는, 고체 이미지 센서(11), 글래스 기판(12), IRCF(적외광 컷 필터; Infrared Cut Filter)(14), 렌즈군(16), 회로 기판(17), 액추에이터(18), 커넥터(19), 및 스페이서(20)를 포함한다.
[0018]
고체 이미지 센서(11)는, 이른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나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미지 센서이고, 회로 기판(17) 상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고체 이미지 센서(11)는, 어레이 형상으로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화소로 구성되고, 화소 단위로, 도면의 위쪽으로부터 렌즈군(16)을 거쳐 집광되어 입사되는 입사광의 광량에 따른 화소 신호를 생성하고, 화상 신호로서 회로 기판(17)을 거쳐 커넥터(19)로부터 외부로 출력한다.
[0019]
고체 이미지 센서(11)의 도 1의 상면부에는, 글래스 기판(12)이 설치되어 있고, 글래스 기판(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투명 접착제(glue)(13)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0020]
글래스 기판(12)의 도 1의 상면부에는, 입사광 중 적외광을 컷(cut)하는 IRCF(14)가 설치되어 있고, IRCF(14)는 글래스 기판(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접착제(glue)(15)에 의해 글래스 기판(12)에 접합되어 있다. IRCF(14)는, 예를 들면, 소다 라임 글래스로 구성되어 있고, 적외광을 컷 한다.
[0021]
즉, 고체 이미지 센서(11), 글래스 기판(12) 및 IRCF(14)가 적층되고 투명의 접착제(13, 15)에 의해 접합되어, 일체적 구성을 형성하여, 회로 기판(17)에 접속되어 있다.
[0022]
또한, IRCF(14)는, 고체 이미지 센서(11)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개별 다이(die)로 분할된 후에 글래스 기판(12) 상에 접합되도록 해도 되고, 복수의 고체 이미지 센서(11)로 이루어지는 웨이퍼 형상의 전체 글래스 기판(12) 상에 큰 사이즈의 IRCF(14)를 접합한 후 고체 이미지 센서(11) 단위로 개별 다이로 분할하도록 해도 되고, 어느 방법을 채용해도 된다.
[0023]
고체 이미지 센서(11), 글래스 기판(12) 및 IRCF(14)가 일체로 구성된 전체를 둘러싸도록 스페이서(20)가 회로 기판(17) 상에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20) 상에 액추에이터(18)가 설치되어 있다. 액추에이터(18)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원통 내부에 복수의 렌즈가 적층되어 구성되는 렌즈군(16)을 내장하고, 도 1의 상하 방향으로 렌즈군(16)을 구동시킨다.
[0024]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액추에이터(18)는, 렌즈군(16)을 도 1의 상하 방향(광축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면에서 위쪽에 위치하는 피사체(도시하지 않음)까지의 거리에 따라, 고체 이미지 센서(11)의 촬상면 상에 피사체를 결상시키도록 초점을 조정함으로써 오토 포커스를 실현한다.
[0025]
도 1과 같은 촬상 장치(1)의 구성에 의해, IRCF(14)가 고체 이미지 센서(11) 및 글래스 기판(12) 상에 설치되게 되므로, 광의 내부 난반사에 의한 플레어와 고스트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26]
즉, 도 2의 좌측에 나타낸 것처럼, IRCF(14)가 글래스 기판(Glass)(12)으로부터 이격되어, 렌즈(Lens)(16)와 글래스 기판(12)의 중간 부근에 배치되는 경우, 입사광은 실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집광되어, IRCF(14), 글래스 기판(12) 및 접착제(13)를 거쳐 고체 이미지 센서(CIS)(11)에서 위치(F0)로 입사한 후, 점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위치(F0)에서 반사하여, 반사광이 발생한다.
[0027]
위치(F0)에서 반사한 반사광은, 점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그 일부가, 예를 들면, 접착제(13) 및 글래스 기판(12)을 거쳐, 글래스 기판(1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IRCF(14)의 배면(도 2 중의 하부의 면)(R1)에서 반사하고, 다시, 글래스 기판(12) 및 접착제(13)를 거쳐, 위치(F1)에서 고체 이미지 센서(11)로 입사한다.
[0028]
또한, 초점(F0)에서 반사된 반사광은, 점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다른 일부가, 예를 들면, 접착제(13) 및 글래스 기판(12) 및 글래스 기판(12)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IRCF(14)를 투과하여, IRCF(14)의 상면(도 2에서 위쪽의 면)(R2)에서 반사되고, IRCF(14), 글래스 기판(12) 및 접착제(13)를 거쳐, 위치(F2)에서 다시 고체 이미지 센서(11)로 입사한다.
[0029]
이 위치(F1, F2)에서, 다시 입사하는 광이, 내부 난반사에 기인하는 플레어나 고스트를 발생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의 화상(P1)으로 나타낸 것처럼, 고체 이미지 센서(11)에서 조명(L)을 촬상할 때, 반사광(R21, R22)으로 도시된 것과 같은 플레어나 고스트가 나타나게 된다.
[0030]
이에 대해, 도 1의 촬상 장치(1)의 구성에 대응하는, 도 2의 우측에 나타낸 촬상 장치(1)와 같이, IRCF(14)가 글래스 기판(12) 상에 구성되면, 실선으로 나타낸 입사광이 집광되어, IRCF(14), 접착제(15), 글래스 기판(12) 및 접착제(13)를 거쳐, 고체 이미지 센서(11)에서 위치(F0)로 입사한 후, 점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반사된다. 그리고, 이 반사된 광은, 접착제(13), 글래스 기판(12), 접착제(15) 및 IRCF(14)를 거쳐, 렌즈군(16) 상의 가장 아래층의 렌즈의 면(R11)에 의해 반사되지만, 렌즈군(16)이 IRCF(14)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위치이므로, 고체 이미지 센서(11)에서 충분히 수광할 수 없는 범위로 반사된다.
[0031]
즉, 고체 이미지 센서(11), 글래스 기판(12) 및 IRCF(14)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률의 접착제(13, 15)에 의해 접합되어 일체화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도면에서의 일점 쇄선으로 둘러싸인 일체화 구성부(U)는 통일화된 굴절률을 가짐으로써, 다른 굴절률을 갖는 층들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내부 난반사의 발생이 억제되고, 예를 들면, 도 2의 좌측에서 위치(F0)의 근방인 위치(F1, F2)에서 재입사되는 것이 억제된다.
[0032]
이에 의해, 도 1의 촬상 장치(1)는, 조명(L)을 촬상한 경우, 도 3의 화상(P2)에서 나타낸 것처럼, 화상(P1)에서의 반사광(R21, R22)과 같은 내부 난반사에 기인하는 플레어나 고스트의 발생이 억제된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0033]
결과적으로,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형태의 촬상 장치(1)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장치 구성의 소형화 및 높이 감소를 실현함과 함께, 내부 난반사에 기인하는 플레어와 고스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0034]
또한, 도 3의 화상(P1)은, 도 2의 좌측의 구성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1)에 의해 야간에 조명(L)을 촬상한 화상이고, 화상(P2)은, 도 2의 우측의 구성을 포함하는 (도 1의) 촬상 장치(1)에 의해 야간에 조명(L)을 촬상한 화상이다.
[0035]
또한, 이상에 있어서는, 렌즈군(16)을 액추에이터(18)에 의해 도 1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따라 초점 거리를 조정하여 오토 포커스를 실현할 수 있는 구성을 예로 설명했으나, 액추에이터(18)를 설치하지 않고, 또한 렌즈군(16)에 의한 초점 거리를 조정하지 않는, 이른바 단초점 렌즈로서 기능하도록 해도 된다.
[0036]
<2. 제2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IRCF(14)가 고체 이미지 센서(11)의 촬상면 측에 접합시킨 글래스 기판(12) 상에 접합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렌즈군(16)을 구성하는 가장 아래층의 렌즈를 IRCF(14) 상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0037]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1)를 구성하는 복수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렌즈군(16) 가운데 광의 입사 방향에서 가장 아래층이 되는 렌즈를, 렌즈군(16)으로부터 분리하여, IRCF(14) 상에 배치되도록 한 촬상 장치(1)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도 1에서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0038]
즉, 도 4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 도 1의 촬상 장치(1)와 다른 점은, 렌즈군(16)을 구성하는 복수의 렌즈 중 광 입사 방향에서 가장 아래층이 되는 렌즈(31)를 렌즈군(16)으로부터 분리하여 도면에서 IRCF의 상면에 설치한 점이다. 또한, 도 4의 렌즈군(16)은, 도 1의 렌즈군(16)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지만, 광 입사 방향에 대해 가장 아래층이 되는 렌즈(31)가 포함되지 않은 점에서 엄밀하게는 도 1의 렌즈군(16)과는 다르다.
[0039]
도 4와 같은 촬상 장치(1)의 구성에 의해, IRCF(14)가 고체 이미지 센서(11) 상에 설치된 글래스 기판(12) 상에 설치되고, 나아가, IRCF(14) 상에 렌즈군(16)을 구성하는 가장 아래층의 렌즈(31)가 설치되게 되므로, 광의 내부 난반사에 의한 플레어와 고스트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40]
즉, 도 5의 좌측에서 나타낸 것처럼, 글래스 기판(12) 상에 렌즈군(16)의 광 입사 방향에 대해 가장 아래층이 되는 렌즈(31)가 설치되고, IRCF(14)가 렌즈(31)로부터 이격되어 렌즈군(16)과 렌즈(31)의 중간 부근에 배치되는 경우, 실선으로 나타나는 입사광이 집광되어, IRCF(14), 렌즈(31), 글래스 기판(12) 및 접착제(13)를 거쳐 고체 이미지 센서(11)에서 위치(F0)로 입사한 후, 점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위치(F0)로부터 반사되어, 반사광이 발생한다.
[0041]
위치(F0)에서 반사한 반사광은, 점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그 일부가, 예를 들면, 접착제(13), 글래스 기판(12) 및 렌즈(31)를 거쳐, 렌즈(3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IRCF(14)의 배면(도 2에서 아래쪽의 면)(R31)에서 반사되고, 렌즈(31), 글래스 기판(12) 및 접착제(13)를 거쳐, 위치(F11)에서 다시 고체 이미지 센서(11)로 입사한다.
[0042]
또한, 초점(F0)에서 반사한 반사광은, 점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다른 일부가, 예를 들면, 접착제(13), 글래스 기판(12) 및 렌즈(31) 및 렌즈(3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IRCF(14)를 투과하고, IRCF(14)의 상면(도 2에서 위쪽의 면)(R32)에서 반사되어, IRCF(14), 렌즈(31), 글래스 기판(12) 및 접착제(13)를 거쳐 위치(F12)에서 다시 고체 이미지 센서(11)로 입사한다.
[0043]
이 위치(F11, F12)에서 다시 입사하는 광이 고체 이미지 센서(11)에서 플레어나 고스트로서 나타나게 된다. 이 점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화상(P1)에 있어서의 조명(L)의 반사광(R21, R21)이 도 2의 위치(F1, F2)에서 재입사했을 경우에 발생하는 원리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이다.
[0044]
이에 대해, 도 4의 촬상 장치(1)에서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도 5의 우측에서 나타낸 것처럼, 렌즈군(16)의 가장 아래층의 렌즈(31)가 IRCF(14) 상에 구성되면, 실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입사광이 집광되어, 렌즈(31), IRCF(14), 접착제(15), 글래스 기판(12) 및 접착제(13)를 거쳐 고체 이미지 센서(11)에서 위치(F0)로 입사한 후, 반사되고, 그 반사광은 점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접착제(13), 글래스 기판(12), 접착제(15), IRCF(14) 및 렌즈(31)를 거쳐, 충분히 떨어진 위치의 렌즈군(16) 상의 면(R41)에 의해 발생하지만, 고체 이미지 센서(11)가 실제적으로 수광할 수 없는 영역으로 반사되므로, 플레어와 고스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0045]
즉, 고체 이미지 센서(11), 접착제(13), 글래스 기판(12) 및 IRCF(14)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률의 접착제(13, 15)에 의해 접합되어 일체화된 구성으로 되고 있으므로, 도면에서 일점 쇄선으로 둘러싸인 일체화 구성부(U)는 통일화된 굴절률을 갖게 되고, 따라서 다른 굴절률을 갖는 층들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내부 난반사의 발생이 억제되고, 예를 들면, 도 5의 좌측에서 나타낸 것처럼, 위치(F0)의 근방의 위치(F11, F12)에서의 반사광의 입사가 억제된다.
[0046]
결과적으로, 도 5에 도시한 제2 실시형태의 촬상 장치(1)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장치 구성의 소형화 및 높이 감소를 실현함과 함께, 내부 난반사에 기인하는 플레어와 고스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0047]
<3. 제3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장 아래층의 렌즈(31)를 IRCF(14) 상에 설치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가장 아래층의 렌즈(31)와 IRCF(14)는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도록 해도 된다.
[0048]
도 6은, 가장 아래층의 렌즈(31)와 IRCF(14)가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도록 한 촬상 장치(1)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 도 4의 촬상 장치(1)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구비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0049]
즉, 도 6의 촬상 장치(1)에서, 도 4의 촬상 장치(1)와 다른 점은, 가장 아래층의 렌즈(31)와 IRCF(14)를 투명의 접착제, 즉,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접착제(51)에 의해 접합시키고 있는 점이다.
[0050]
도 6의 촬상 장치(1)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도 4의 촬상 장치(1)와 마찬가지로, 플레어와 고스트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51]
또한, 렌즈(31)의 평탄성이 크지 않은 경우, 접착제(51)를 사용하지 않고 IRCF(14)에 고정하려고 하여도 렌즈(31)의 광축에 대해 IRCF(14)가 어긋나 버릴 우려가 있으나, 렌즈(31)와 IRCF(14)가 접착제(51)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렌즈(31)의 평탄성이 크지 않더라도 렌즈(31)의 광축에 대해 어긋남이 없도록 IRCF(14)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광축의 오정렬에 의해 생기는 화상의 왜곡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52]
<4. 제4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광의 입사 방향에 대해 가장 아래층의 렌즈(31)를 IRCF(14) 상에 설치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가장 아래층의 렌즈(31) 뿐만 아니라 렌즈군(16)의 가장 아래층을 구성하는 복수의 렌즈군을 IRCF(14) 상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0053]
도 7은, 렌즈군(16) 가운데, 입사 방향에 대해 가장 아래층을 구성하는 복수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렌즈군을 IRCF(14) 상에 구성하도록 한 촬상 장치(1)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 도 4의 촬상 장치(1)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구비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0054]
즉, 도 7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 도 4의 촬상 장치(1)와 다른 점은, 렌즈(31) 대신에, 렌즈군(16) 중 광의 입사 방향에 대해 가장 아래층을 구성하는 복수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렌즈군(71)을 IRCF(14) 상에 설치하고 있는 점이다. 또한, 도 7에는 2매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렌즈군(71)의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그 이상의 수의 렌즈에 의해 렌즈군(71)을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0055]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도 4의 촬상 장치(1)와 마찬가지로, 플레어와 고스트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56]
또한, 렌즈군(16)을 구성하는 복수의 렌즈 가운데 가장 아래층을 구성하는 복수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렌즈군(71)이 IRCF(14) 상에 구성되기 때문에, 렌즈군(16)을 구성하는 렌즈 수를 줄일 수 있고, 렌즈군(16)을 경량화할 수 있으므로, 오토 포커스에 사용되는 액추에이터(18)의 구동력 양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액추에이터(18)의 소형화와 저전력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57]
또한, 제3 실시형태의 도 6의 촬상 장치(1)에서의 렌즈(31)를, 렌즈군(71) 대신에, 투명의 접착제(51)로 IRCF(14)에 부착하도록 해도 된다.
[0058]
<5. 제5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고체 이미지 센서(11) 상에 글래스 기판(12)을 접착제(13)에 의해 접합하고, 글래스 기판(12) 상에 IRCF(14)를 접착제(15)에 의해 부착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글래스 기판(12), 접착제(15) 및 IRCF(14)를 글래스 기판(12)의 기능과 IRCF(14)의 기능을 겸비한 구성으로 치환하여, 접착제(13)에 의해 고체 이미지 센서(11) 상에 부착하도록 해도 된다.
[0059]
도 8은, 글래스 기판(12), 접착제(15) 및 IRCF(14)를 글래스 기판(12)의 기능과 IRCF(14)의 기능을 겸비한 구성으로 치환하여, 접착제(13)에 의해 고체 이미지 센서(11) 상에 부착하고, 그 위에 가장 아래층의 렌즈(31)를 설치하도록 한 촬상 장치(1)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 도 4의 촬상 장치(1)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구비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0060]
즉, 도 8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 도 4의 촬상 장치(1)와 다른 점은, 글래스 기판(12) 및 IRCF(14)를 글래스 기판(12)의 기능과 IRCF(14)의 기능을 구비한 IRCF 글래스 기판(14')으로 치환하여, 접착제(13)에 의해 고체 이미지 센서(11) 상에 부착하고, 이 IRCF(14') 상에 가장 아래층의 렌즈(31)를 설치하도록 한 점이다.
[0061]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도 4의 촬상 장치(1)와 마찬가지로, 플레어나 고스트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62]
즉, 현재, 고체 이미지 센서(11)는, 소형화를 위해, CSP(Chip Size Package) 구조라고 불리는 글래스 기판(12)과 고체 이미지 센서(11)를 접착하고, 글래스 기판을 베이스 기판으로 하여 고체 이미지 센서(11)를 얇게 가공함으로써, 소형의 고체 이미지 센서의 실현이 가능해지고 있다. 도 8에 있어서는, IRCF 글래스 기판(14’)이 IRCF(14)의 기능과 평탄도가 높은 글래스 기판(12)으로서의 기능을 함께 가짐으로써, 높이 감소를 실현한다.
[0063]
또한, 제1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 및 제4 실시형태인 도 1, 도 6, 도 7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의 글래스 기판(12), 접착제(15) 및 IRCF(14)를 글래스 기판(12)의 기능과 IRCF(14)의 기능을 구비한 IRCF 글래스 기판(14')으로 치환하도록 해도 된다.
[0064]
<6. 제6 실시형태>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CSP 구조의 고체 이미지 센서(11) 상에 접착제(13)에 의해 글래스 기판(12)을 부착하고, 이 글래스 기판(12) 위에 접착제(15)에 의해 IRCF(14)를 부착하고, IRCF(14) 상에 렌즈군(16)을 구성하는 복수의 렌즈 중 가장 아래층의 복수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렌즈군(71)을 설치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CSP 구조의 고체 이미지 센서(11) 대신에, COB(Chip on Board) 구조의 고체 이미지 센서(11)를 이용하여도 된다.
[0065]
도 9는, 도 7의 촬상 장치(1)에서의 글래스 기판(12) 및 IRCF(14)를, 글래스 기판(12)의 기능과 IRCF(14)의 기능을 구비한 IRCF 글래스 기판(14')으로 치환함과 함께, CSP 구조의 고체 이미지 센서(11) 대신에, COB(Chip on Board) 구조의 고체 이미지 센서(11)를 이용하도록 한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 도 7의 촬상 장치(1)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구비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0066]
즉, 도 9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 도 7의 촬상 장치(1)와 다른 점은, 글래스 기판(12) 및 IRCF(14)를, 글래스 기판(12)의 기능과 IRCF(14)의 기능을 구비한 IRCF 글래스 기판(14')으로 치환한 점과, CSP 구조의 고체 이미지 센서(11) 대신에 COB(Chip on Board) 구조의 고체 이미지 센서(91)를 이용하도록 한 점이다.
[0067]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도 7의 촬상 장치(1)와 마찬가지로, 플레어나 고스트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68]
또한, 최근, 촬상 장치(1)의 소형화와 함께 고체 이미지 센서(11)의 소형화를 위해 CSP 구조가 일반화되고 있으나, CSP 구조는 글래스 기판(12) 또는 IRCF 글래스 기판(14')과의 접합이나, 고체 이미지 센서(11)의 단자를 수광면의 이면측에 배선하는 등 가공이 복잡하게 되기 때문에, COB 구조의 고체 이미지 센서(11)에 비해 고가가 된다. 이에, CSP 구조 뿐만 아니라, 와이어 본드(92) 등에 의해 회로 기판(17)과 접속되는 COB 구조의 고체 이미지 센서(91)를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0069]
COB 구조의 고체 이미지 센서(91)를 이용함으로써 회로 기판(17)으로의 접속이 용이하게 될 수 있으므로, 가공을 심플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0070]
또한, 제1 실시형태 내지 제3 실시형태 및 제5 실시형태인 도 1, 도 4, 도 6, 도 8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의 CSP 구조의 고체 이미지 센서(11)를, COB(Chip on Board) 구조의 고체 이미지 센서(11)로 대신하도록 해도 된다.
[0071]
<7. 제7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고체 이미지 센서(11) 상에 글래스 기판(12)을 설치하고, 글래스 기판 상에 IRCF(14)를 설치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고체 이미지 센서(11) 상에 IRCF(14)를 설치하고, IRCF(14) 상에 글래스 기판(12)을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0072]
도 10은, 글래스 기판(12)을 이용하는 경우로서, 고체 이미지 센서(11) 상에 IRCF(14)를 설치하고, IRCF(14) 상에 글래스 기판(12)을 설치하도록 한 촬상 장치(1)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0073]
도 10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 도 4의 촬상 장치(1)와 다른 점은, 글래스 기판(12)과 IRCF(14)의 위치를 바꾸어, 투명 접착제(13)에 의해 고체 이미지 센서(11) 상에 IRCF(14)를 부착하고, 투명 접착제(15)에 의해 IRCF(14) 상에 글래스 기판(12)을 부착하도록 하여, 그 글래스 기판(12) 상에 렌즈(31)를 설치하도록 한 점이다.
[0074]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도 4의 촬상 장치(1)와 마찬가지로, 플레어와 고스트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75]
또한, IRCF(14)는 일반적으로 온도나 외부 교란에 의해 평탄성이 낮은 특성이 있고, 이는 고체 이미지 센서(11) 상의 화상에 왜곡을 일으키게 할 우려가 있다.
[0076]
이에, IRCF(14)의 양면에 코팅 재료 등을 도포하는 등, 평탄성을 유지하기 위해 특수한 재료를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는 비용 상승을 초래한다.
[0077]
이에 대하여, 도 10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는, 평탄성이 낮은 IRCF(14)를 평탄성이 높은 고체 이미지 센서(11)와 글래스 기판(12)의 사이에 끼움으로써, 저비용으로 평탄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화상의 왜곡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0078]
따라서, 도 10의 촬상 장치(1)에 의해, 플레어와 고스트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IRCF(14)의 특성에 기인하는 화상의 왜곡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평탄성을 유지하기 위한 특수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코팅이 불필요해지므로, 비용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0079]
또한, 제1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 및 제4 실시형태인 도 1, 도 6, 도 7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도, 글래스 기판(12)과 IRCF(14)의 위치를 바꾸어 접착제(13, 15)에 의해 부착시켜도 된다.
[0080]
<8. 제8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적외광을 컷하는 구성으로서 IRCF(14)를 이용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으나, 적외광을 컷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면, IRCF(14) 이외의 구성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IRCF(14) 대신에, 적외광 컷 수지를 도포하여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0081]
도 11은, IRCF(14) 대신에, 적외광 컷 수지를 이용한 촬상 장치(1)의 구성예이다. 또한, 도 11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 도 1의 촬상 장치(1)와 동일한 기능을 구비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0082]
즉, 도 11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 도 1의 촬상 장치(1)와 다른 점은, IRCF(14) 대신에, 적외광 컷 수지(111)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적외광 컷 수지(111)는, 예를 들면, 도포됨으로써 설치된다.
[0083]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도 1의 촬상 장치(1)와 마찬가지로, 플레어나 고스트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84]
또한, 최근, 수지가 개량되고, 적외광 컷 효과를 가진 수지가 널리 일반화되고, CSP형의 고체 이미지 센서(11)의 생산 시 적외광 컷 수지(111)가 글래스 기판(12)에 도포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0085]
또한, 제2 실시형태 내지 제4 실시형태 및 제7 실시형태인 도 4, 도 6, 도 7, 도 10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의 IRCF(14)에 대신하여, 적외광 컷 수지(111)를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0086]
<9. 제9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글래스 기판(12)을 이용하는 경우, 평판의 글래스 기판(12)이 공동(空洞; hollow space) 등이 없는 밀착한 상태로 고체 이미지 센서(11)에 설치되는 예에 대해 설명했으나, 글래스 기판(12)과 고체 이미지 센서(11)의 사이에 공동(캐비티)이 제공되도록 하여도 된다.
[0087]
도 12는, 글래스 기판(12)과 고체 이미지 센서(11)의 사이에 공동(캐비티)이 제공되도록 한 촬상 장치(1)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 도 4의 촬상 장치(1)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구비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0088]
즉, 도 12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 도 4의 촬상 장치와 다른 점은, 글래스 기판(12) 대신에, 주위에 볼록부(131a)를 구비한 글래스 기판(131)이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주위의 볼록부(131a)가 고체 이미지 센서(11)와 접촉하고, 투명 접착제(132)에 의해 볼록부(131a)가 접착됨으로써, 고체 이미지 센서(11)의 촬상면과 글래스 기판(131)의 사이에 공기층으로 이루어지는 공동(캐비티)(131b)이 형성된다.
[0089]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도 4의 촬상 장치(1)와 마찬가지로, 플레어나 고스트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90]
또한, 제1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 제4 실시형태 및 제8 실시형태인 도 1, 도 6, 도 7, 도 11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의 글래스 기판(12) 대신에, 글래스 기판(131)을 이용하도록 하고, 접착제(132)에 의해 볼록부(131a)만이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공동(캐비티)(131b)이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0091]
<10. 제10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렌즈군(16)의 가장 아래층의 렌즈(31)를 글래스 기판(12) 상에 설치된 IRCF(14) 상에 배치하는 예로 하였으나, 글래스 기판(12) 상의 IRCF(14)를, 적외광 컷 기능을 갖는 유기 다층막의 도포제로 대체하여도 된다.
[0092]
도 13은, 글래스 기판(12) 상의 IRCF(14) 대신에, 적외광 컷 기능을 갖는 유기 다층막의 도포제에 의해 구성한 촬상 장치(1)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0093]
도 13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 도 4의 촬상 장치(1)와 다른 점은, 글래스 기판(12) 상의 IRCF(14)에 대신하여, 적외광 컷 기능을 갖는 유기 다층막의 도포제(151)에 의해 구성되도록 한 점이다.
[0094]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도 4의 촬상 장치(1)와 마찬가지로, 플레어나 고스트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95]
또한, 제1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 제4 실시형태, 제7 실시형태 및 제9 실시형태인 도 1, 도 6, 도 7, 도 10, 도 12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의 IRCF(14)에 대신하여, 적외광 컷 기능을 구비한 유기 다층막의 도포제(151)를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0096]
<11. 제11 실시형태>
제10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글래스 기판(12) 상의 IRCF(14) 대신에, 적외광 컷 기능을 갖는 유기 다층막의 도포제(151) 상에 렌즈군(16)의 가장 아래층의 렌즈(31)를 구비하도록 한 예에 대해 설명했으나, 렌즈(31) 상에 AR(Anti Reflection) 코팅을 하도록 해도 된다.
[0097]
도 14는, 도 13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의 렌즈(31)에 AR 코팅을 행하도록 한 촬상 장치(1)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0098]
즉, 도 14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 도 13의 촬상 장치(1)와 다른 점은, 렌즈(31) 대신에, AR 코팅(171a)이 된 렌즈군(16)의 가장 아래층의 렌즈(171)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AR 코팅(171a)은, 예를 들면, 진공 증착, 스퍼터링, 또는 습식 코팅 등을 채용할 수 있다.
[0099]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도 4의 촬상 장치(1)와 마찬가지로, 플레어와 고스트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100]
또한, 렌즈(171)의 AR 코팅(171a)에 의해, 고체 이미지 센서(11)로부터의 반사광의 내부 난반사가 억제되므로, 보다 높은 정밀도로 플레어와 고스트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101]
또한, 제2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 제5 실시형태, 제7 실시형태, 제9 실시형태, 및 제10 실시형태인, 도 4, 도 6, 도 8, 도 10, 도 12, 도 13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의 렌즈(31)에 대신하여, AR 코팅(171a)이 된 렌즈(171)를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4 실시형태 및 제6 실시형태인, 도 7, 도 9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의 렌즈군(71)의 표면(도면에서 가장 위쪽의 면)에 AR 코팅(171a)과 마찬가지의 AR 코팅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0102]
<12. 제12 실시형태>
제1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렌즈(31)에 대신하여, AR(Anti Reflection) 코팅(171a)이 된 렌즈(171)를 이용하도록 한 예에 대해 설명했으나, 반사 방지 기능이 실현될 수 있으면, AR 코팅 이외의 구성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반사를 방지하는 미소 요철 구조인 모스아이(moth-eye) 구조로 하여도 된다.
[0103]
도 15는, 도 13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의 렌즈(31) 대신에, 모스아이 구조의 반사 방지 기능이 부가된 렌즈(191)를 설치한 촬상 장치(1)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0104]
즉, 도 15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 도 13의 촬상 장치(1)와 다른 점은, 렌즈(31) 대신에, 모스아이 구조가 형성되도록 처리가 된 반사 방지 처리부(191a)가 제공된 렌즈군(16)의 가장 아래층의 렌즈(191)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0105]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도 13의 촬상 장치(1)와 마찬가지로, 플레어나 고스트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106]
또한, 렌즈(191)에서는, 모스아이 구조를 형성하도록 처리가 된 반사 방지 처리부(191a)에 의해 고체 이미지 센서(11)로부터의 반사광의 내부 난반사가 억제되므로, 보다 높은 정밀도로 플레어와 고스트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반사 방지 처리부(191a)는, 반사 방지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면, 모스아이 구조 이외의 반사 방지 처리가 이루어진 것이어도 된다.
[0107]
또한, 제2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 제5 실시형태, 제7 실시형태, 제9 실시형태, 및 제10 실시형태인, 도 4, 도 6, 도 8, 도 10, 도 12, 도 13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의 렌즈(31)에 대신하여, 반사 방지 처리부(191a)가 부착된 렌즈(191)를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4 실시형태 및 제6 실시형태인, 도 7, 도 9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의 렌즈군(71)의 표면에 반사 방지 처리부(191a)와 마찬가지의 반사 방지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0108]
<13. 제13 실시형태>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IRCF(14)의 위에 렌즈군(16)의 가장 아래층의 렌즈(31)가 설치되는 예에 대해 설명했으나, 적외광 컷의 기능 및 가장 아래층의 렌즈(31)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 치환하도록 해도 된다.
[0109]
도 16은, 도 4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의 IRCF(14)와 렌즈군(16)의 가장 아래층의 렌즈(31)에 대신하여, 적외광 컷 기능과 렌즈군(16)의 가장 아래층의 렌즈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구비한 적외광 컷 렌즈를 설치하도록 한 촬상 장치(1)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0110]
즉, 도 16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 도 4의 촬상 장치(1)와 다른 점은, IRCF(14)와 렌즈군(16)의 가장 아래층의 렌즈(31)에 대신하여, 적외광 컷 기능이 있는 적외광 컷 렌즈(201)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0111]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도 4의 촬상 장치(1)와 마찬가지로, 플레어나 고스트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112]
또한, 적외광 컷 렌즈(201)는, 적외광 컷 기능과 렌즈군(16)의 가장 아래층의 렌즈(31)로서의 기능을 겸비한 구성이기 때문에, IRCF(14)와 렌즈(31)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촬상 장치(1)의 장치 구성을 보다 소형화 및 높이를 낮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4 실시형태인 도 7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의 렌즈군(71)과 IRCF(14)에 대신하여, 적외광 컷 기능과 렌즈군(16)의 가장 아래층의 복수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렌즈군(71)으로서의 기능을 겸비한 적외광 컷 렌즈로 치환하도록 해도 된다.
[0113]
<14. 제14 실시형태>
고체 이미지 센서(11)의 수광면의 주변부로부터 미광(迷光; stray light)이 들어오기 쉽다는 점이 알려져 있다. 이에, 고체 이미지 센서(11)의 수광면의 주변부에 블랙 마스크를 제공하여 미광의 침입을 억제함으로써 플레어와 고스트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해도 된다.
[0114]
도 17의 좌측은, 도 13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의 글래스 기판(12) 대신에, 고체 이미지 센서(11)의 수광면의 주변부를 차광하는 블랙 마스크를 설치한 글래스 기판(221)을 설치하도록 한 촬상 장치(1)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0115]
즉, 도 17의 좌측의 촬상 장치(1)에 있어서, 도 13의 촬상 장치(1)와 다른 점은, 글래스 기판(12)에 대신하여, 도 17의 우측에 나타낸 것처럼, 주변부(Z2)에 차광막으로 이루어지는 블랙 마스크(221a)가 제공된 글래스 기판(221)이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블랙 마스크(221a)는, 포토 리소그래피 등에 의해 글래스 기판(221) 상에 제공된다. 또한, 도 17의 우측에서 글래스 기판(221)의 중심부(Z1)에는 블랙 마스크가 제공되고 있지 않다.
[0116]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도 4의 촬상 장치(1)와 마찬가지로, 플레어와 고스트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117]
또한, 글래스 기판(221)은 주변부(Z2)에 블랙 마스크(221a)가 제공되고 있으므로, 주변부로부터의 미광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고, 미광에 기인하는 플레어와 고스트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118]
또한, 블랙 마스크(221a)는, 글래스 기판(221) 뿐만 아니라, 고체 이미지 센서(11)로 미광이 들어오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면, 그 밖의 구성에 설치하도록 해도 되고, 예를 들면, 적외광 컷 기능을 구비한 유기 다층막의 도포제(151)나 렌즈(31)에 설치되도록 해도 되고, IRCF(14), IRCF 글래스 기판(14'), 글래스 기판(131), 렌즈(71, 171, 191), 적외광 컷 수지(111), 적외광 컷 렌즈(201) 등에 설치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 때, 표면의 평탄성이 낮고, 포토 리소그래피에 의해 블랙 마스크를 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잉크젯에 의해 평탄성이 낮은 표면에 블랙 마스크를 제공하도록 하여도 된다.
[0119]
이상과 같이,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소형화에 수반하는 광의 고체 이미지 센서로부터의 내부 난반사에 기인하는 플레어 및 고스트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촬상 장치의 성능을 떨어뜨리지 않고 고화소화, 고화질화 및 소형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실시예에 나타난 하나 이상의 특징은 해당 특징을 포함하지 않는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개시된 것 이외의 특징의 적절한 조합도 가능하다.
[0120]
<15. 전자 기기에의 적용예>
상술한 도 1, 도 4, 도 6 내지 도 17의 촬상 장치(1)는, 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 촬상 기능을 구비한 휴대 전화기 또는 촬상 기능을 구비한 다른 기기 등의 각종의 전자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0121]
도 18은, 본 기술을 적용한 전자 기기로서의 촬상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0122]
도 18에 도시된 촬상 장치(501)는, 광학계(502), 셔터 장치(503), 고체 이미지 센서(504), 구동 회로(505), 신호 처리 회로(506), 모니터(507) 및 메모리(508)를 포함하고, 정지화상 및 동화상을 촬상 가능하다.
[0123]
광학계(502)는, 1매 또는 복수매의 렌즈를 갖고 구성되어, 피사체로부터의 광(입사광)을 고체 이미지 센서(504)로 가이드하고, 고체 이미지 센서(504)의 수광면에 결상시킨다.
[0124]
셔터 장치(503)는, 광학계(502)와 고체 이미지 센서(504)의 사이에 배치되고, 구동 회로(1005)의 제어에 따라, 고체 이미지 센서(504)로의 광조사 기간 및 차광 기간을 제어한다.
[0125]
고체 이미지 센서(504)는, 상술한 고체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패키지에 의해 구성된다. 고체 이미지 센서(504)는, 광학계(502) 및 셔터 장치(503)를 거쳐 수광면에 결상되는 광에 따라, 일정 기간, 신호 전하를 축적한다. 고체 이미지 센서(504)에 축적된 신호 전하는, 구동 회로(505)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신호(타이밍 신호)에 따라 전송된다.
[0126]
구동 회로(505)는, 고체 이미지 센서(504)의 전송 동작 및 셔터 장치(503)의 셔터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고체 이미지 센서(504) 및 셔터 장치(503)를 구동한다.
[0127]
신호 처리 회로(506)는, 고체 이미지 센서(504)로부터 출력된 신호 전하에 대해 각종의 신호 처리를 행한다. 신호 처리 회로(506)가 신호 처리를 행함으로써 얻어진 화상(화상 데이터)은, 모니터(507)에 공급되어 표시되거나, 메모리(508)에 공급되어 기억(기록)된다.
[0128]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촬상 장치(501)에 있어서도, 상술한 광학계(502) 및 고체 이미지 센서(504)를 대신하여, 도 1, 도 4, 도 6 내지 도 17의 어느 촬상 소자(1)를 적용함으로써, 장치 구성의 소형화 및 높이 감소를 실현하면서, 내부 난반사에 기인하는 고스트와 플레어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129]
<16. 고체 촬상 장치의 사용예>
도 19는, 상술한 고체 촬상 장치(1)가 사용되는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0130]
상술한 촬상 장치(1)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가시광, 적외광, 자외광, X선 등의 광을 센싱하는 다양한 케이스에 사용할 수 있다.
· 디지털 카메라나, 카메라 기능이 구비된 휴대 기기 등의 감상용으로 제공되는 화상을 촬영하는 장치
· 자동 정지 등 안전 운전이나, 운전자 상태의 인식 등을 위해, 자동차의 전방이나 후방, 주위, 차내 등을 촬영하는 차재용 센서, 주행 차량이나 도로를 감시하는 감시 카메라, 차량 사이 등의 측거를 행하는 측거 센서 등, 교통용으로 제공되는 장치
· 유저의 제스처를 촬영하고, 그 제스처에 따른 기기 조작을 행하기 위해, TV나, 냉장고, 에어컨 등의 가전에 제공되는 장치
· 내시경이나, 적외광의 수광에 의한 혈관 촬영을 행하는 장치 등, 의료나 헬스케어용으로 제공되는 장치
· 방범 용도의 감시 카메라나, 인물 인증 용도의 카메라 등, 시큐리티용으로 제공되는 장치
· 피부를 촬영하는 피부 측정기나, 두피를 촬영하는 현미경 등, 미용용으로 제공되는 장치
· 스포츠 용도 등을 위한 액션 카메라나 웨어러블 카메라 등, 스포츠용으로 제공되는 장치
· 밭이나 작물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카메라 등, 농업용으로 제공되는 장치
[0131]
<17. 내시경 수술 시스템에의 응용예>
본 개시와 관련되는 기술(본 기술)은, 여러가지 제품에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와 관련되는 기술은, 내시경 수술 시스템에 적용되어도 된다.
[0132]
도 20은, 본 개시와 관련되는 기술(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내시경 수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0133]
도 20에서는, 시술자(의사)(11131)가, 내시경 수술 시스템(11000)을 이용하여, 환자 침대(11133) 상의 환자(11132)에게 수술을 행하고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것처럼, 내시경 수술 시스템(11000)은, 내시경(11100)과, 기복 튜브(11111)나 에너지 처치구(11112) 등의, 그 밖의 시술구(11110)와, 내시경(11100)을 지지하는 지지 암 장치(11120)와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을 위한 각종의 장치가 탑재된 카트(11200)로 구성된다.
[0134]
내시경(11100)은, 선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의 영역이 환자(11132)의 체강 내로 삽입되는 경통(11101)과, 경통(11101)의 기단에 접속되는 카메라 헤드(11102)로 구성된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경성의 경통(11101)을 갖는 이른바 경성경으로서 구성되는 내시경(11100)을 도시하고 있지만, 내시경(11100)은, 연성의 경통을 갖는 이른바 연성경으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0135]
경통(11101)의 선단에는, 대물 렌즈가 끼워진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다. 내시경(11100)에는 광원 장치(11203)가 접속되어 있고, 당해 광원 장치(11203)에 의해 생성된 광이, 경통(11101)의 내부로 연장 설치되는 라이트 가이드에 의해 당해 경통의 선단까지 도광되고, 대물 렌즈를 거쳐 환자(11132)의 체강 내의 관찰 대상을 향해 조사된다. 또한, 내시경(11100)은, 직시경이어도 되고, 사시경 또는 측시경이어도 된다.
[0136]
카메라 헤드(11102)의 내부에는 광학계 및 촬상 소자가 설치되어 있으며, 관찰 대상으로부터의 반사광(관찰광)은 당해 광학계에 의해 해당 촬상 소자에 집광된다. 당해 촬상 소자에 의해 관찰광이 광전 변환되어, 관찰광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즉 관찰상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가 생성된다. 당해 화상 신호는, RAW 데이터로서 카메라 컨트롤 유닛(CCU: Camera Control Unit)(11201)에 송신된다.
[0137]
CCU(1120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등에 의해 구성되며, 내시경(11100) 및 표시 장치(11202)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CCU(11201)는, 카메라 헤드(11102)로부터 화상 신호를 수취하고, 그 화상 신호에 대해, 예를 들면 현상 처리(디모자이크 처리) 등의, 당해 화상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각종의 화상 처리를 실시한다.
[0138]
표시 장치(11202)는, CCU(11201)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당해 CCU(11201)에 의해 화상 처리가 실시된 화상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0139]
광원 장치(11203)는, 예를 들면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광원으로 구성되고, 시술부 등을 촬영할 때의 조사광을 내시경(11100)에 공급한다.
[0140]
입력 장치(11204)는, 내시경 수술 시스템(11000)에 대한 입력 인터페이스이다. 유저는, 입력 장치(11204)를 거쳐, 내시경 수술 시스템(11000)에 대해 각종의 정보의 입력이나 지시 입력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는, 내시경(11100)에 의한 촬상 조건(조사광의 종류, 배율 및 초점 거리 등)을 변경하는 취지의 지시 등을 입력한다.
[0141]
처치구 제어 장치(11205)는, 조직의 소작, 절개 또는 혈관의 봉지 등을 위한 에너지 처치구(11112)의 구동을 제어한다. 기복 장치(11206)는, 내시경(11100)에 의한 시야의 확보 및 시술자의 작업 공간의 확보의 목적으로, 환자(11132)의 체강을 부풀어 오르게 하기 위해, 기복 튜브(11111)를 거쳐 당해 체강 내로 가스를 보낸다. 레코더(11207)는, 수술에 관한 각종의 정보를 기록 가능한 장치이다. 프린터(11208)는, 수술에 관한 각종의 정보를, 텍스트, 화상 또는 그래프 등 각종의 형식에서 인쇄 가능한 장치이다.
[0142]
또한, 내시경(11100)에 시술부를 촬영할 때의 조사광을 공급하는 광원 장치(11203)는, 예를 들면 LED, 레이저 광원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백색 광원으로부터 구성할 수 있다. RGB 레이저 광원의 조합에 의해 백색 광원이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 색(각 파장)의 출력 강도 및 출력 타이밍을 고정밀도에 제어할 수가 있기 때문에, 광원 장치(11203)에 있어서 촬상 화상의 화이트 밸런스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RGB 레이저 광원 각각으로부터의 레이저광을 시분할로 관찰 대상에 조사하고, 그 조사 타이밍에 동기하여 카메라 헤드(11102)의 촬상 소자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RGB 각각에 대응한 화상을 시분할로 촬상하는 것도 가능하다. 당해 방법에 따르면, 해당 촬상 소자에 칼라 필터를 설치하지 않아도, 컬라 화상을 얻을 수 있다.
[0143]
또한, 광원 장치(11203)는, 출력하는 광의 강도를 소정의 시간 마다 변경하도록 그 구동이 제어되어도 된다. 그 광의 강도의 변경의 타이밍에 동기하여 카메라 헤드(11102)의 촬상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여 시분할로 화상을 취득하고, 그 화상을 합성함으로써, 이른바 노출 과다나 노출 부족이 없는 고다이나믹 레인지의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0144]
또한, 광원 장치(11203)는, 특수광 관찰에 대응한 소정의 파장 대역의 광을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되어도 된다. 특수광 관찰에서는, 예를 들면, 체조직에 있어서의 광의 흡수의 파장 의존성을 이용하여, 통상의 관찰 시에 있어서의 조사광(즉, 백색광)에 비해 협대역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점막 표층의 혈관 등의 소정의 조직을 높은 콘트라스트로 촬영하는, 이른바 협대역광 관찰(Narrow Band Imaging)이 이루어진다. 또는, 특수광 관찰에서는, 여기광을 조사함으로써 발생하는 형광에 의해 화상을 얻는 형광 관찰이 이루어져도 된다. 형광 관찰에서는, 체조직에 여기광을 조사하고 해당 체조직으로부터의 형광을 관찰하는 것(자가 형광 관찰)하거나, 또는 인도 시아닌 그린(ICG) 등의 시약을 체조직에 국부적으로 주입함과 함께 해당 체조직에 그 시약의 형광 파장에 대응한 여기광을 조사하여 형광상을 얻는 것 등을 행할 수 있다. 광원 장치(11203)는, 이와 같은 특수광 관찰에 대응한 협대역광 및/또는 여기광을 공급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0145]
도 21은, 도 20에 나타내는 카메라 헤드(11102) 및 CCU(11201)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0146]
카메라 헤드(11102)는, 렌즈 유닛(11401)과, 촬상부(11402)와, 구동부(11403)와, 통신부(11404)와, 카메라 헤드 제어부(11405)를 갖는다. CCU(11201)는, 통신부(11411)와, 화상 처리부(11412)와 제어부(11413)를 갖는다. 카메라 헤드(11102)와 CCU(11201)는, 전송 케이블(11400)에 의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0147]
렌즈 유닛(11401)은, 경통(11101)과의 접속부에 설치되는 광학계이다. 경통(11101)의 선단으로부터 받아들여진 관찰광은, 카메라 헤드(11102)까지 도광되어, 해당 렌즈 유닛(11401)에 입사한다. 렌즈 유닛(11401)은, 줌 렌즈 및 포커스 렌즈를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가 조합되어 구성된다.
[0148]
촬상부(11402)는, 촬상 소자로 구성된다. 촬상부(11402)를 구성하는 촬상 소자는, 1개(이른바, 단판식)이어도 되고, 복수(이른바 다판식)이어도 된다. 촬상부(11402)가 다판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각 촬상 소자에 의해 RGB 각각 대응하는 화상 신호가 생성되고, 이들이 합성됨으로써 칼라 화상을 얻을 수 있어도 된다. 또는, 촬상부(11402)는, 3D(Dimensional) 표시에 대응하는 오른쪽 눈용 및 왼쪽 눈용 화상 신호를 각각 취득하기 위한 한 쌍의 촬상 소자를 갖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3D표시가 행해짐으로써, 시술자(11131)는 시술부에 있어서의 생체 조직의 안쪽으로의 깊이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촬상부(11402)가 다판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 촬상 소자에 대응하여, 렌즈 유닛(11401)도 복수 계통 설치될 수 있다.
[0149]
또한, 촬상부(11402)는, 반드시 카메라 헤드(11102)에 설치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촬상부(11402)는, 경통(11101)의 내부에, 대물 렌즈의 바로 뒤에 설치되어도 된다.
[0150]
구동부(11403)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성되며, 카메라 헤드 제어부(11405)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렌즈 유닛(11401)의 줌 렌즈 및 포커스 렌즈를 광축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촬상부(11402)에 의한 촬상 화상의 배율 및 초점이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0151]
통신부(11404)는, CCU(11201)와의 사이에서 각종의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통신부(11404)는, 촬상부(11402)로부터 얻은 화상 신호를 RAW 데이터로서 전송 케이블(11400)을 거쳐 CCU(11201)에 송신한다.
[0152]
또한, 통신부(11404)는, CCU(11201)로부터, 카메라 헤드(1110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카메라 헤드 제어부(11405)에 공급한다. 해당 제어 신호에는, 예를 들면, 촬상 화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지정하는 취지의 정보, 촬상 시의 노출값을 지정하는 취지의 정보, 및/또는 촬상 화상의 배율 및 초점을 지정하는 취지의 정보 등 , 촬상 조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0153]
또한, 상기의 프레임 레이트나 노출값, 배율, 초점 등의 촬상 조건은, 유저에 의해 적절히 지정되어도 되고, 취득된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CCU(11201)의 제어부(11413)에 의해 자동적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에는, 이른바 AE(Auto Exposure) 기능, AF(Auto Focus) 기능 및 AWB(Auto White Balance) 기능이 내시경(11100)에 탑재되어 있게 된다.
[0154]
카메라 헤드 제어부(11405)는, 통신부(11404)를 거쳐 수신한 CCU(1120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카메라 헤드(11102)의 구동을 제어한다.
[0155]
통신부(11411)는, 카메라 헤드(11102)와의 사이에서 각종의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통신부(11411)는, 카메라 헤드(11102)로부터, 전송 케이블(11400)을 거쳐 송신되는 화상 신호를 수신한다.
[0156]
또한, 통신부(11411)는, 카메라 헤드(11102)에 대해서, 카메라 헤드(1110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화상 신호나 제어 신호는, 전기 통신이나 광 통신 등에 의해 송신할 수 있다.
[0157]
화상 처리부(11412)는, 카메라 헤드(11102)로부터 송신된 RAW 데이터인 화상 신호에 대해서 각종의 화상 처리를 실시한다.
[0158]
제어부(11413)는, 내시경(11100)에 의한 시술부 등의 촬상 및 시술부 등의 촬상에 의해 얻어지는 촬상 화상의 표시에 관한 각종의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1413)는, 카메라 헤드(1110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0159]
또한, 제어부(11413)는, 화상 처리부(11412)에 의해 화상 처리가 실시된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시술부 등이 찍힌 촬상 화상을 표시 장치(11202)에 표시시킨다. 이 때, 제어부(11413)는, 각종의 화상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촬상 화상 내에 있어서의 각종의 물체를 인식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11413)는, 촬상 화상에 포함되는 물체의 에지의 형상이나 색 등을 검출함으로써, 겸자 등의 시술구, 특정의 생체 부위, 출혈, 에너지 처치구(11112)의 사용 시의 미스트(mist)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1413)는, 표시 장치(11202)에 촬상 화상을 표시시킬 때에, 그 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각종의 수술 지원 정보를 해당 시술부의 화상에 중첩 표시시켜도 된다. 수술 지원 정보가 중첩 표시되어, 시술자(11131)에 제시됨으로써, 시술자(11131)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나, 시술자(11131)가 확실히 수술을 진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0160]
카메라 헤드(11102) 및 CCU(11201)를 접속하는 전송 케이블(11400)은, 전기 신호의 통신에 대응한 전기 신호 케이블, 광통신에 대응한 광섬유, 또는 이들의 복합 케이블이다.
[0161]
여기서, 도시하는 예에서는, 전송 케이블(11400)을 이용하여 유선으로 통신이 이루어지고 있었지만, 카메라 헤드(11102)와 CCU(11201) 사이의 통신은 무선으로 이루어져도 된다.
[0162]
이상, 본 개시와 관련되는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내시경 수술 시스템의 일례에 대해 설명했다. 본 개시와 관련되는 기술은, 이상 설명한 구성 가운데, 예를 들면, 내시경(11100)이나, 카메라 헤드(11102)(의 촬상부(11402)), CCU(11201)(의 화상 처리부(11412)) 등에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1, 도 4, 도 6 내지 도 17의 촬상 장치(1)는, 렌즈 유닛(11401) 및 촬상부(10402)에 적용할 수 있다. 렌즈 유닛(11401) 및 촬상부(10402)에 본 개시와 관련되는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장치 구성의 소형화 및 높이 감소를 실현함과 함께, 내부 난반사에 기인하는 플레어나 고스트의 발생을 억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0163]
또한,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내시경 수술 시스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개시와 관련되는 기술은, 그 밖에, 예를 들면, 현미경 수술 시스템 등에 적용되어도 된다.
[0164]
<18. 이동체에의 응용예>
본 개시와 관련되는 기술(본 기술)은, 다양한 제품에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와 관련되는 기술은, 자동차,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자동이륜차, 자전거, 퍼스널 모빌리티, 비행기, 드론, 선박, 로봇 등 어느 종류의 이동체에 탑재되는 장치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0165]
도 22는, 본 개시와 관련되는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이동체 제어 시스템의 일례인 차량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0166]
차량 제어 시스템(12000)은, 통신 네트워크(12001)를 거쳐 접속된 복수의 전자 제어 유닛을 구비한다. 도 22에 나타낸 예에서는, 차량 제어 시스템(12000)은, 구동계 제어 유닛(12010), 보디계 제어 유닛(12020), 차외 정보 검출 유닛(12030), 차내 정보 검출 유닛(12040), 및 통합 제어 유닛(12050)을 포함한다. 또한, 통합 제어 유닛(12050)의 기능 구성으로서, 마이크로 컴퓨터(12051), 음성 화상 출력부(12052), 및 차재 네트워크 I/F(interface)(12053)가 도시되어 있다.
[0167]
구동계 제어 유닛(12010)은,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차량의 구동계에 관련하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구동계 제어 유닛(12010)은, 내연기관 또는 구동용 모터 등의 차량의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력 발생 장치, 구동력을 차륜에 전달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 기구, 차량의 타각을 조절하는 스티어링 기구 및 차량의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 장치 등의 제어 장치로서 기능한다.
[0168]
보디계 제어 유닛(12020)은,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차체에 장비된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보디계 제어 유닛(12020)은, 키리스 엔트리(keyless entry) 시스템, 스마트 키 시스템, 파워 윈도우 장치, 또는, 헤드 램프, 백 램프, 브레이크 램프, 깜빡이 또는 안개등 등의 각종 램프의 제어 장치로서 기능한다. 이 경우, 보디계 제어 유닛(12020)에는, 키를 대체하는 휴대기로부터 발신되는 전파 또는 각종 스위치의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보디계 제어 유닛(12020)은, 이들 전파 또는 신호의 입력을 수신하여 차량의 도어록 장치, 파워 윈도우 장치, 램프 등을 제어한다.
[0169]
차외 정보 검출 유닛(12030)은, 차량 제어 시스템(12000)을 탑재한 차량의 외부의 정보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차외 정보 검출 유닛(12030)에는, 촬상부(12031)가 접속된다. 차외 정보 검출 유닛(12030)은, 촬상부(12031)에 차 밖의 화상을 촬상시키고, 촬상된 화상을 수신한다. 차외 정보 검출 유닛(12030)은, 수신한 화상에 기초하여, 사람, 차, 장애물, 표지 또는 노면 상의 문자 등의 물체 검출 처리 또는 거리 검출 처리를 행해도 된다.
[0170]
촬상부(12031)는, 광을 수광하고, 그 광의 수광량에 따른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광 센서이다. 촬상부(12031)는, 전기 신호를 화상으로서 출력할 수도 있고, 측거의 정보로서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촬상부(12031)가 수광되는 광은, 가시광이어도 되고, 적외선 등의 비가시광이어도 된다.
[0171]
차내 정보 검출 유닛(12040)은, 차내의 정보를 검출한다. 차내 정보 검출 유닛(12040)에는, 예를 들면, 운전자 상태를 검출하는 운전자 상태 검출부(12041)가 접속된다. 운전자 상태 검출부(12041)는, 예를 들면 운전자를 촬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차내 정보 검출 유닛(12040)은, 운전자 상태 검출부(12041)로부터 입력되는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피로 정도 또는 집중 정도를 산출해도 되고, 운전자가 졸고 있지 않은지를 판별해도 된다.
[0172]
마이크로 컴퓨터(12051)는, 차외 정보 검출 유닛(12030) 또는 차내 정보 검출 유닛(12040)에서 취득되는 차내외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력 발생 장치, 스티어링 기구 또는 제동 장치의 제어 목표값을 연산하여, 구동계 제어 유닛(12010)에 대해 제어 지령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12051)는, 차량의 충돌 회피 혹은 충격 완화, 차간거리에 근거하는 추종 주행, 차속 유지 주행, 차량의 충돌 경고, 또는 차량의 차선 일탈 경고 등을 포함하는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의 기능 실현을 목적으로 한 협조 제어를 행할 수 있다.
[0173]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12051)는, 차외 정보 검출 유닛(12030) 또는 차내 정보 검출 유닛(12040)에서 취득되는 차량의 주위의 정보에 기초하여 구동력 발생 장치, 스티어링 기구 또는 제동 장치 등을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지 않고 자율적으로 주행하는 자동 운전 등을 목적으로 한 협조 제어를 행할 수 있다.
[0174]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12051)는, 차외 정보 검출 유닛(12030)에서 취득되는 차외의 정보에 기초하여, 보디계 제어 유닛(12020)에 대해 제어 지령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12051)는, 차외 정보 검출 유닛(12030)으로 검지한 선행차 또는 대향차의 위치에 따라 헤드 램프를 제어하여, 하이 빔을 로우 빔으로 절환하는 등의 눈부심 방지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협조 제어를 행할 수 있다.
[0175]
음성 화상 출력부(12052)는, 차량의 탑승자 또는 차외에 대해,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정보를 통지하는 것이 가능한 출력 장치로 음성 및 화상 중 적어도 한편의 출력 신호를 송신한다. 도 22의 예에서는, 출력 장치로서 오디오 스피커(12061), 표시부(12062) 및 인스트루먼트 패널(12063)이 예시되고 있다. 표시부(12062)는, 예를 들면, 온보드 디스플레이 및 헤드 업 디스플레이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0176]
도 23은, 촬상부(12031)의 설치 위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0177]
도 23에서는, 차량(12100)은, 촬상부(12031)로서 촬상부(12101, 12102, 12103, 12104, 12105)를 갖는다.
[0178]
촬상부(12101, 12102, 12103, 12104, 12105)는, 예를 들면, 차량(12100)의 프런트 노즈, 사이드 미러, 리아범퍼, 백 도어 및 차실내의 프런트 글래스의 상부 등의 위치에 설치된다. 프런트 노즈에 구비되는 촬상부(12101) 및 차실내의 프런트 글래스의 상부에 구비되는 촬상부(12105)는, 주로 차량(12100)의 전방의 화상을 취득한다. 사이드 미러에 구비되는 촬상부(12102, 12103)는, 주로 차량(12100)의 측방의 화상을 취득한다. 리어범퍼 또는 백 도어에 구비되는 촬상부(12104)는, 주로 차량(12100)의 후방의 화상을 취득한다. 촬상부(12101 및 12105)로 취득되는 전방의 화상은, 주로 선행 차량 또는, 보행자, 장애물, 신호기, 교통 표지 또는 차선 등의 검출에 이용된다.
[0179]
또한, 도 23에는, 촬상부(12101 내지 12104)의 촬영 범위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촬상 범위(12111)는, 프런트 노즈에 설치된 촬상부(12101)의 촬상 범위를 나타내고, 촬상 범위(12112, 12113)는, 각각 사이드 미러에 설치된 촬상부(12102, 12103)의 촬상 범위를 나타내고, 촬상 범위(12114)는, 리어범퍼 또는 백 도어에 설치된 촬상부(12104)의 촬상 범위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촬상부(12101 내지 12104)로 촬상된 화상 데이터가 중첩됨으로써, 차량(12100)을 상방으로부터 본 부감 화상을 얻을 수 있다.
[0180]
촬상부(12101 내지 12104) 중 적어도 하나는, 거리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촬상부(12101 내지 12104)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촬상 소자로 이루어지는 스테레오 카메라여도 되고, 위상차 검출용의 화소를 갖는 촬상 소자여도 된다.
[0181]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12051)는, 촬상부(12101 내지 12104)로부터 얻어지는 거리 정보를 기초로, 촬상 범위(12111 내지 12114) 내에 있어서의 각 입체물까지의 거리와, 이 거리의 시간적 변화(차량(12100)에 대한 상대속도)를 구함으로써, 특히 차량(12100)의 진행로 상에 있는 가장 가까운 입체물로, 차량(12100)과 대략 같은 방향으로 소정의 속도(예를 들면, 0km/h 이상)로 주행하는 입체물을 선행차로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12051)는, 선행차와의 사이에서 미리 확보해야 하는 차간거리를 설정하고, 자동 브레이크 제어(추종 정지 제어도 포함함)나 자동 가속 제어(추종 발진 제어도 포함함) 등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지 않고 자율적으로 주행하는 자동 운전 등을 목적으로 한 협조 제어를 행할 수 있다.
[0182]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12051)는, 촬상부(12101 내지 12104)로부터 얻어진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입체물에 관한 입체물 데이터를, 이륜차, 보통차량, 대형차량, 보행자, 전신주 등 그 밖의 입체물로 분류하여 추출하고, 장애물의 자동 회피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12051)는, 차량(12100) 주변의 장애물을, 차량(12100)의 드라이버가 시인 가능한 장애물과 시인 곤란한 장애물로 식별한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12051)는, 각 장애물과의 충돌의 위험도를 나타내는 충돌 리스크를 판단하여, 충돌 리스크가 설정값 이상으로 충돌 가능성이 있는 상황일 때는, 오디오 스피커(12061)나 표시부(12062)를 통해 드라이버에 경보를 출력하거나, 구동계 제어 유닛(12010)을 통해 강제 감속이나 회피 조타를 행함으로써, 충돌 회피를 위한 운전 지원을 행할 수 있다.
[0183]
촬상부(12101 내지 12104) 중 적어도 하나는, 적외선을 검출하는 적외선 카메라여도 된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12051)는, 촬상부(12101 내지 12104)의 촬상 화상 중에 보행자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함으로써 보행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보행자의 인식은, 예를 들면 적외선 카메라로서의 촬상부(12101 내지 12104)의 촬상 화상에 있어서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절차와 물체의 윤곽을 나타내는 일련의 특징점에 패턴 매칭 처리를 행하여 보행자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절차에 의해 행해진다. 마이크로 컴퓨터(12051)가, 촬상부(12101 내지 12104)의 촬상 화상 중에 보행자가 존재한다고 판정하고, 보행자를 인식하면, 음성 화상 출력부(12052)는, 당해 인식된 보행자에게 강조를 위한 사각형 윤곽선을 중첩 표시하도록, 표시부(12062)를 제어한다. 또한, 음성 화상 출력부(12052)는, 보행자를 나타내는 아이콘 등을 소망하는 위치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2062)를 제어해도 된다.
[0184]
이상, 본 개시와 관련되는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 제어 시스템의 일례에 대해 설명했다. 본 개시와 관련되는 기술은, 이상 설명한 구성 중, 예를 들면, 촬상부(12031)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1, 도 4, 도 6 내지 도 17의 촬상 장치(1)는, 촬상부(12031)에 적용될 수 있다. 촬상부(12031)에 본 개시와 관련되는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장치 구성의 소형화 및 높이 감소를 실현함과 함께, 내부 난반사에 기인하는 플레어나 고스트의 발생을 억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0185]
해당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기술자는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설계 요소 및 다른 요인에 따라 다양한 수정, 조합, 서브조합, 변경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0186]
또한, 본 개시는, 이하와 같은 구성도 취할 수 있다.
<1> 입사광의 광량에 따라 광전 변환에 의해 화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고체 이미지 센서와,
상기 고체 이미지 센서를 고정하는 기능과, 상기 입사광의 적외광을 제거하는 기능을 일체화시키도록 구성된 일체화 구성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일체화 구성부는,
상기 고체 이미지 센서를 고정하는 글래스 기판과, 상기 입사광의 적외광을 컷하는 적외광 컷 필터를 일체화함으로써 구성되는 촬상 장치.
<3>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기판은, 상기 고체 이미지 센서의 상기 입사광의 수광면 측에 투명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고,
상기 적외광 컷 필터는, 상기 글래스 기판의 상기 고체 이미지 센서가 부착된 면과 반대측의 면에 상기 투명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고,
상기 투명 접착제는, 상기 고체 이미지 센서, 상기 글래스 기판 및 적외광 컷 필터에 있어서의 굴절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촬상 장치.
<4> 상기 <3>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기판의 주위에 볼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볼록부가 상기 고체 이미지 센서와 대향하여 상기 접착제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상기 글래스 기판과 상기 고체 이미지 센서의 사이의 공간에 공기층의 공동이 제공되는 촬상 장치.
<5>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적외광 컷 필터는, 상기 고체 이미지 센서의 상기 입사광의 수광면측에 투명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고,
상기 글래스 기판은, 상기 적외광 컷 필터의 상기 고체 이미지 센서가 부착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상기 투명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고,
상기 투명한 접착제는, 상기 고체 이미지 센서, 상기 글래스 기판 및 적외광 컷 필터에 있어서의 굴절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촬상 장치.
<6>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고체 이미지 센서의 수광면에 상기 입사광을 포커싱하는 복수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렌즈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일체화 구성부는, 상기 렌즈군 중 상기 입사광의 입사 방향에서 가장 아래층을 구성하는 렌즈로 이루어지는 최하층 렌즈군을, 상기 입사광을 수광하는 방향에서 가장 전단에 위치시키는 촬상 장치.
<7> 상기 <6>에 있어서,
상기 최하층 렌즈군은, 투명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촬상 장치.
<8> 상기 <6>에 있어서,
상기 최하층 렌즈군은, 적어도 1매의 렌즈에 의해 구성되는 촬상 장치.
<9> 상기 <6>에 있어서,
상기 최하층 렌즈군은, 상기 고체 이미지 센서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처리가 행해지고 있는 촬상 장치.
<10> 상기 <9>에 있어서,
상기 최하층 렌즈군은, 상기 고체 이미지 센서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처리로서, 입사 방향에 대향하는 표면에 AR(Anti Reflection) 코팅이 행해지고 있는 촬상 장치.
<11> 상기 <9>에 있어서,
상기 최하층 렌즈군은, 상기 고체 이미지 센서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처리로서, 입사 방향에 대향하는 표면이 모스아이(moth-eye) 구조로 되어 있는 촬상 장치.
<12> 상기 <6>에 있어서,
상기 고체 이미지 센서의 수광면에 대하여 상기 입사광을 포커싱하는 복수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렌즈군을 광축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초점 위치를 조정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13>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적외광 컷 필터는, 소다 라임 글래스인 촬상 장치.
<14>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적외광 컷 필터는, 적외광 컷 수지인 촬상 장치.
<15>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적외광 컷 필터는, 유기 다층막으로 이루어지는 적외광 컷 도포제인 촬상 장치.
<16>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기판의 주변부에 블랙 마스크가 설치되는 촬상 장치.
<17> 상기 <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일체화 구성부는, 상기 입사광의 적외광을 컷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고체 이미지 센서를 고정하는 글래스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적외광 컷 글래스인 촬상 장치.
<18>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일체화 구성부는,
상기 고체 이미지 센서를 고정하는 글래스 기판과,
상기 고체 이미지 센서의 수광면에 대하여 상기 입사광을 포커싱시키는 기능과 상기 입사광의 적외광을 컷하는 기능을 갖는, 복수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렌즈군 중 상기 입사광의 입사 방향에 대해 가장 아래층을 구성하는 렌즈로 이루어지는 최하층 렌즈군을 포함하고,
상기 최하층 렌즈군은, 상기 입사광을 수광하는 방향에 대하여 가장 전단에 위치하는 촬상 장치.
<19>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고체 이미지 센서는, CSP(Chip Size Package) 구조 또는 COB(Chip on Board) 구조를 갖는 촬상 장치.
<20> 입사광의 광량에 따라 광전 변환에 의해 화소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고체 이미지 센서와, 상기 고체 이미지 센서를 고정하는 기능과 상기 입사광의 적외광을 제거하는 기능을 일체화하도록 구성된 일체화 구성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21>
촬상 장치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로서, 상기 촬상 장치는,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과 일체화된 조립체로서 장착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일체화된 조립체로서 상기 이미지 센서와 함께 장착되는 글래스 기판, 상기 이미지 센서를 덮으면서, 상기 일체화된 조립체로서 상기 이미지 센서와 함께 장착되는 적외광 감쇄 광학 소자 및 상기 글래스 기판 또는 상기 적외광 감쇄 광학 소자를 상기 이미지 센서에 접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2>
<21>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글래스 기판에 접합되고, CSP(Chip Size Package)에 포함되는 카메라 모듈.
<23>
<21> 에 있어서, 복수의 렌즈 중의 제1 렌즈가 상기 일체화된 조립체에 부착되고, 액추에이터에 의해 위치 조정되지 않는 카메라 모듈.
<24>
<2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 중의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적외광 감쇄 광학 소자는 투명 광학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합되는 카메라 모듈.
<25>
<23>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상에 AR(Anti Refletion) 코팅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6>
<23>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상에 모스 아이(moth-eye) 구조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7>
<23>에 있어서, 상기 적외광 감쇄 광학 소자는 상기 제1 렌즈와 일체화되는 카메라 모듈.
<28>
<21>에 있어서, 복수의 렌즈가 상기 일체화된 조립체에 부착되고, 액추에이터에 의해 위치 조정되지 않는 카메라 모듈.
<29>
<21>에 있어서, 상기 적외광 감쇄 광학 소자는 상기 이미지 센서에 접합되는 카메라 모듈.
<30>
<29>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와이어 본드로 상기 회로 기판에 연결되는 CoB(Chip on Board) 구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1>
<21>에 있어서, 상기 적외광 감쇄 광학 소자는 상기 글래스 기판과 상기 이미지 센서의 사이에 위치하는 카메라 모듈.
<32>
<21>에 있어서, 상기 적외광 감쇄 광학 소자는 적외광 컷 수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3>
<21>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기판은, 주변부에, 상기 이미지 센서와 접촉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와 상기 글래스 기판의 내부 영역 사이에 공동(cavity)을 형성하는 볼록부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34>
<21>에 있어서, 상기 적외광 감쇄 광학 소자는, 상기 글래스 기판 상에 위치하는 유기 다층막 코팅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5>
<21>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기판의 주변부를 따라 형성된 블랙 마스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6>
글래스 기판, 상기 글래스 기판과 일체화된 조립체로서 장착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를 덮으면서, 상기 일체화된 조립체로서 상기 이미지 센서와 함께 장착되는 적외광 감쇄 광학 소자 및 상기 글래스 기판 또는 상기 적외광 감쇄 광학 소자를, 상기 이미지 센서에 접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
<37>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과 일체화된 조립체로서 장착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일체화된 조립체로서 상기 이미지 센서와 함께 장착되는 글래스 기판, 상기 이미지 센서를 덮으면서, 상기 일체화된 조립체로서 상기 이미지 센서와 함께 장착되는 적외광 감쇄 광학 소자,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치되는 신호 처리 회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배치되는 메모리,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배치되는 모니터 및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신호 전하의 전송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0187]
1: 촬상 장치
11: (CPS 구조의) 고체 이미지 센서
12: 글래스 기판
13: 접착제
14: IRCF(적외광 컷 필터)
14': IRCF 글래스 기판
15: 접착제
16: 렌즈군
17: 회로 기판
18: 액추에이터
19: 커넥터
20: 스페이서
31: 렌즈
51: 접착제
71: 렌즈군
91: (COB 구조의) 고체 이미지 센서
92: 와이어 본드
111: 적외광 컷 수지
131: 글래스 기판
131a: 볼록부
131b: 공동(캐비티)
151: 적외광 컷 기능을 구비한 도포제
171: 렌즈
171a: AR 코팅
191: 렌즈
191a: 반사 방지 처리부
201: 적외광 컷 렌즈
221: 글래스 기판

Claims (17)

  1. 촬상 장치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로서, 상기 촬상 장치는,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과 일체화된 조립체로서 장착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일체화된 조립체로서 상기 이미지 센서와 함께 장착되는 글래스 기판,
    상기 이미지 센서를 덮으면서, 상기 일체화된 조립체로서 상기 이미지 센서와 함께 장착되는 적외광 감쇄 광학 소자 및
    상기 글래스 기판 또는 상기 적외광 감쇄 광학 소자를, 상기 이미지 센서에 직접 접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글래스 기판에 접합되고, CSP(Chip Size Package)에 포함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렌즈 중의 제1 렌즈가 상기 일체화된 조립체에 부착되고, 액추에이터에 의해 위치 조정되지 않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 중의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적외광 감쇄 광학 소자는 투명 광학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합되는 카메라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상에 AR(Anti Refletion) 코팅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상에 모스 아이(moth-eye) 구조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광 감쇄 광학 소자는 상기 제1 렌즈와 일체화되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렌즈가 상기 일체화된 조립체에 부착되고, 액추에이터에 의해 위치 조정되지 않는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광 감쇄 광학 소자는 상기 이미지 센서에 접합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와이어 본드로 상기 회로 기판에 연결되는 CoB(Chip on Board) 구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광 감쇄 광학 소자는 상기 글래스 기판과 상기 이미지 센서의 사이에 위치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광 감쇄 광학 소자는 적외광 컷 수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기판은, 주변부에, 상기 이미지 센서와 접촉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와 상기 글래스 기판의 내부 영역 사이에 공동(cavity)을 형성하는 볼록부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광 감쇄 광학 소자는, 상기 글래스 기판 상에 위치하는 유기 다층막 코팅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기판의 주변부를 따라 형성된 블랙 마스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6. 글래스 기판,
    상기 글래스 기판과 일체화된 조립체로서 장착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를 덮으면서, 상기 일체화된 조립체로서 상기 이미지 센서와 함께 장착되는 적외광 감쇄 광학 소자 및
    상기 글래스 기판 또는 상기 적외광 감쇄 광학 소자를, 상기 이미지 센서에 접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
  17.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과 일체화된 조립체로서 장착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일체화된 조립체로서 상기 이미지 센서와 함께 장착되는 글래스 기판,
    상기 이미지 센서를 덮으면서, 상기 일체화된 조립체로서 상기 이미지 센서와 함께 장착되는 적외광 감쇄 광학 소자,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배치되는 신호 처리 회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배치되는 메모리,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배치되는 모니터 및
    상기 이미지 센서에서 신호 전하의 전송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0197034584A 2017-05-29 2018-05-15 촬상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2000142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05713 2017-05-29
JP2017105713A JP2018200423A (ja) 2017-05-29 2017-05-29 撮像装置、および電子機器
PCT/JP2018/018638 WO2018221191A1 (en) 2017-05-29 2018-05-15 Imag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291A true KR20200014291A (ko) 2020-02-10

Family

ID=62563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584A KR20200014291A (ko) 2017-05-29 2018-05-15 촬상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96133B2 (ko)
EP (1) EP3631539A1 (ko)
JP (1) JP2018200423A (ko)
KR (1) KR20200014291A (ko)
CN (1) CN110431453A (ko)
TW (1) TWI759433B (ko)
WO (1) WO20182211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41327B2 (en) 2021-01-18 2024-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with meta-len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200980A (ja) 2017-05-29 2018-12-20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固体撮像素子、並びに電子機器
US11409078B2 (en) * 2018-09-10 2022-08-09 Apple Inc. Reflection interface for camera module
JP2020115515A (ja) * 2019-01-17 2020-07-30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KR20230157536A (ko) * 2019-03-08 2023-11-16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및 접속 구조체, 그리고 필름 구조체, 및 필름 구조체의 제조 방법
WO2020246293A1 (ja) * 2019-06-06 2020-12-10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撮像装置
CN112179491B (zh) * 2019-07-01 2022-03-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高光谱成像***、摄像头以及终端设备
JP2021012560A (ja) * 2019-07-08 2021-02-04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測距装置および生体認証装置
CN110456545B (zh) * 2019-07-29 2021-04-0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及基板制作方法
CN112135029A (zh) * 2020-09-30 2020-12-25 格科微电子(上海)有限公司 摄像头模组及装配方法
CN113471153B (zh) * 2021-06-30 2022-11-11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封装结构及封装方法、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CN217954827U (zh) * 2021-10-07 2022-12-02 大立光电股份有限公司 成像光学***、相机模块及电子装置
WO2024058541A1 (ko) * 2022-09-13 202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1193A (ja) 2013-09-18 2015-03-30 ソニー株式会社 撮像素子、製造装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73555A3 (en) * 2002-09-17 2012-09-12 Anteryon B.V. Camera device
JP5030360B2 (ja) 2002-12-25 2012-09-1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
WO2006088051A1 (ja) * 2005-02-16 2006-08-24 Konica Minolta Opto, Inc. カメラモジュール
JPWO2008102575A1 (ja) * 2007-02-21 2010-05-27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
US8546739B2 (en) * 2007-03-30 2013-10-01 Min-Chih Hsuan Manufacturing method of wafer level chip scale package of image-sensing module
JP2008270650A (ja) 2007-04-24 2008-1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504496A (zh) * 2009-03-04 2009-08-12 信利半导体有限公司 一种触摸屏和平板显示模块一体化组合模块及其制作方法
TWI425597B (zh) 2009-12-31 2014-02-01 Kingpak Tech Inc 具有黑色膠體之影像感測器封裝結構
CN201662645U (zh) * 2010-02-11 2010-12-01 一品光学工业股份有限公司 单镜片光学取像镜头及其阵列
JP5237331B2 (ja) * 2010-06-30 2013-07-17 マルミ光機株式会社 多機能付偏光フィルター及び多機能付偏光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JP5701742B2 (ja) 2010-12-28 2015-04-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遮光膜形成用チタンブラック分散組成物、それを含有する感放射線性組成物、遮光膜の製造方法、及び固体撮像素子
JP5398759B2 (ja) 2011-02-16 2014-01-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遮光膜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固体撮像素子
JP2012174800A (ja) 2011-02-18 2012-09-10 Sony Corp 半導体装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5930263B2 (ja) 2011-02-18 2016-06-08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KR20150081315A (ko) * 2012-11-30 2015-07-13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것을 사용한 이미지 센서칩의 제조방법 및 이미지 센서칩
US10136107B2 (en) * 2013-11-21 2018-11-20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Imaging systems with visible light sensitive pixels and infrared light sensitive pixels
JP2015128131A (ja) * 2013-11-27 2015-07-09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および電子機器
US10095086B2 (en) * 2013-12-23 2018-10-09 Lg Electronics Inc. Camera module
TW201600574A (zh) * 2014-06-30 2016-01-01 Fujifilm Corp 近紅外線吸收性組成物、近紅外線截止濾波器、近紅外線截止濾波器的製造方法、固體攝像元件、照相機模組
JP6103152B2 (ja) 2015-01-14 2017-03-29 旭硝子株式会社 近赤外線カットフィルタおよび固体撮像装置
WO2016129324A1 (ja) 2015-02-09 2016-08-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遮光膜付き赤外光カットフィルタ、及び、固体撮像装置
WO2016129381A1 (ja) * 2015-02-09 2016-08-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遮光膜、遮光膜付き赤外光カットフィルタ、及び、固体撮像装置
JP2016219488A (ja) * 2015-05-15 2016-12-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取得機器の製造方法
CN105093472B (zh) 2015-08-25 2017-11-28 华为技术有限公司 成像装置和成像方法
JP2018200980A (ja) 2017-05-29 2018-12-20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固体撮像素子、並びに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1193A (ja) 2013-09-18 2015-03-30 ソニー株式会社 撮像素子、製造装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41327B2 (en) 2021-01-18 2024-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with meta-len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76496A1 (en) 2020-06-04
JP2018200423A (ja) 2018-12-20
TW201902206A (zh) 2019-01-01
TWI759433B (zh) 2022-04-01
US11296133B2 (en) 2022-04-05
CN110431453A (zh) 2019-11-08
EP3631539A1 (en) 2020-04-08
WO2018221191A1 (en) 2018-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4291A (ko) 촬상 장치 및 전자 기기
US11810935B2 (en) Imaging device, solid state imag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JP7146376B2 (ja) 撮像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1595551B2 (en) Camera module, method of manufacturing camera module, imagin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230013088A1 (en) Imag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maging device
JP6869717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US11553118B2 (en) Imaging apparatus,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electronic apparatus
US12040338B2 (en) Imaging apparatus
WO2018142834A1 (ja) 電子部品、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WO2019054177A1 (ja) 撮像素子および撮像素子の製造方法、撮像装置、並びに電子機器
US20240145506A1 (en) Semiconductor package and electronic device
US20240153978A1 (en) Semiconductor chip, manufacturing method for semiconductor chip,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