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2497A -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2497A
KR20190132497A KR1020197032728A KR20197032728A KR20190132497A KR 20190132497 A KR20190132497 A KR 20190132497A KR 1020197032728 A KR1020197032728 A KR 1020197032728A KR 20197032728 A KR20197032728 A KR 20197032728A KR 20190132497 A KR20190132497 A KR 20190132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patch
connecting member
vent hole
ai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2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4152B1 (ko
Inventor
유타카 바바
카즈키 모리타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190132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B60R2021/23384Internal tether means having ends which are movable or detachable during deplo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 B60R2021/23538S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 B60R2021/23557M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60R2021/239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comprising means to control the v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벤트홀로부터의 가스 배기량을 적절히 제어 가능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액티브 벤트 기구는, 에어백에 형성된 제1 벤트홀과, 일부가 에어백 외면에 연결되어 에어백의 내압에 따라 벤트홀의 개방과 폐쇄가 가능한 패치와, 일단부가 패치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에어백 내부에 삽입되어 해당 에어백의 내부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와, 제1 벤트홀의 근방에 형성되어 패치의 일부 또는 연결 부재의 일부가 관통하는 개구부와, 에어백의 내부에서 연결 부재가 삽입 통과하는 대략 통 형상의 규제 부재로서, 에어백의 내부에 있어서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해당 에어백 내면에 연결된 제1 단부와, 밀폐 상태로 연결 부재와 연결된 제2 단부를 가지는 해당 규제 부재와, 연결 부재의 텐션을 저하시키는 해방 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에어백이 최대로 전개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연결 부재의 텐션에 의해 패치가 제1 벤트홀을 막도록 동작하고, 해방 수단에 의해 연결 부재의 텐션이 저하하면 패치가 에어백의 외면으로부터 이탈하여 제1 벤트홀에서 배기가 실시되도록 동작한다.

Description

에어백 장치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액티브 벤트 기구를 채용하는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사고 발생 때에 승차인을 보호하기 위해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에어백을 차량에 설치하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예를 들어, 에어백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중심 부근으로부터 팽창하여 운전자를 보호하는 이른바 운전자용 에어백이나, 자동차의 창문 내측에서 아래 방향으로 전개하여 차량 가로 방향의 충돌이나 전도, 전복 사고 때에 승차인을 보호하는 커튼 에어백이나, 차량 가로 방향의 충격 때에 승차인을 보호하기 위해 승차인의 측부(시트의 측부)에서 전개하는 사이드 에어백 등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는, 에어백의 신속한 전개에 의해 승차인을 구속하는 것과 해당 에어백에 충돌해온 승차인의 피해를 저감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래서 에어백으로의 승차인의 충돌에 반응하여 벤트홀을 개폐하는 액티브 벤트 기구가 제안되어 있다.
액티브 벤트 기구를 채용하는 프론트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는, 벤트홀로부터의 가스 배출량을 적절히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승차인의 두부나 경부에의 충돌이 강한 운전석 또는 조수석의 승차인을 보호하는 이른바 프론트 에어백 장치에 대한 요청이 강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벤트홀로부터의 가스 배출량을 적절히 제어 가능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장치는,
팽창 전개함으로써 차량 내의 승차인을 구속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을 팽창 전개시키는 팽창 가스를 발생하는 가스 발생기와,
상기 에어백에 설치되어 해당 에어백 내부의 가스를 배기 가능한 액티브 벤트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액티브 벤트 기구는,
상기 에어백에 형성된 제1 벤트홀과,
일부가 상기 에어백의 외면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백의 내압에 따라 상기 벤트홀의 개방과 폐쇄가 가능한 패치(Patch)와,
일단부가 상기 패치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에어백 내부에 삽입되어 해당 에어백의 내부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제1 벤트홀의 근방에 형성되어 상기 패치의 일부 또는 상기 연결 부재의 일부가 관통하는 개구부와,
상기 에어백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 부재가 삽입 통과하는 대략 통 형상의 규제 부재로서, 상기 에어백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해당 에어백 내면에 연결된 제1 단부와, 밀폐 상태로 상기 연결 부재와 연결된 제2 단부를 가지는 해당 규제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텐션을 저하시키는 해방 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이 최대로 전개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 부재의 텐션에 의해 상기 패치가 상기 제1 벤트홀을 막도록 동작하고, 상기 해방 수단에 의해 상기 연결 부재의 텐션이 저하하면 상기 패치가 상기 에어백의 외면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제1 벤트홀로부터 배기가 실시되도록 동작 가능하게 했다.
여기서 ‘대략 통 형상’이란 연결 전 상태에서는 양단부가 해방된 튜브 형상으로서, 실제로 에어백 내면 및 연결 부재에 연결된 상태로는 예를 들어, 편평한 삼각추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밀폐 상태’란 해당 연결부로부터 가스가 대부분 누출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에어백이 최대로 전개한 직후의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 부재 및 상기 규제 부재의 텐션에 의해 상기 패치가 상기 제1 벤트홀을 막기 때문에, 팽창 가스의 바람직하지 않은 누출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가스가 누출하는 부분으로는 주로 제1 벤트홀의 주변과 개구부의 주변이 있는데, 어느 부분에 있어서도 가스 누출은 적절히 억제 또는 방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규제 부재의 크기나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제1 벤트홀로부터 배기되는 가스의 양을 적절히 제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해, 규제 부재를 연결 부재를 따라 길게 했을 경우에는 패치가 부상하는 양(가동 영역)이 넓어지고, 결과적으로 다량의 가스가 제1 벤트홀로부터 배기 가능하게 된다, 반대로 규제 부재를 작게(짧게) 했을 경우에는 패치의 가동 영역이 작아지고 가스의 배기량도 감소한다. 이와 같이 규제 부재의 설계에 따라서 가스의 배기량을 적절히 제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패치 자체의 형상이나 에어백 외면에의 연결(봉제) 범위를 조정함으로써도 가스의 배기량을 제어할 수 있다. 패치의 연결 범위를 적게 하면 패치가 에어백으로부터 이탈했을 때, 해당 패치와 제1 벤트홀의 틈새가 커지게 되고 다량의 가스가 해당 틈새로부터 배기되게 된다. 한편, 동일 크기에 동일 형상인 패치라고 해도 연결 범위(고정 범위)를 넓게 하면 패치가 에어백으로부터 떨어질 때, 해당 패치와 제1 벤트홀 사이의 틈새가 작아지고 가스의 배기량이 억제된다.
상기 해방 수단은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부를 파단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커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의 텐션을 저하시키는(릴리스하는) 타이밍은 임의지만 예를 들어 차량 충돌 상대 속도가 빠를 때, 다시 말해 충돌 시의 G가 높을 때나 승차인의 체격이 클(체중이 무거울) 때 연결 부재의 릴리스를 늦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연결 부재의 릴리스 타이밍은 시트 슬라이드량(시트 위치) 및/또는 시트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의 질량(체중)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결정한다.
상기 에어백의 내부에는 일단부가 승차인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인플레이터측에 연결되어, 해당 에어백의 전개 형상을 규제하는 테더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테더에 연결되어 상기 테더의 텐션 저하에 따라 상기 연결 부재의 텐션이 저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테더의 텐션의 저하 자체가 해방 수단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다른 부재로서의 해방 수단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패치와 일체로 성형하거나 혹은 별체로서 구성할 수 있다. 연결 부재를 패치와 다른 부재로 한 경우에는 패치에 연결된 띠 형상 부재로 할 수 있다.
상기 패치에 제2 벤트홀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 벤트홀은 상기 제1 벤트홀과 대향하는 위치와 겹쳐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벤트홀은 상기 제1 벤트홀보다도 개구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부는 슬릿 형상으로 할 수 있다. 패치의 단부 또는 연결 부재가 슬라이드 가능한 정도의 틈새가 있으면 된다.
상기 패치는 상기 개구부측의 가장자리부를 근연부로 하고, 해당 근연부와 대향하는 반대측을 원연부로 했을 때, 적어도 상기 원연부를 상기 에어백의 외면에 연결할 수 있다. 혹은 상기 근연부와 상기 원연부를 연결하는 측면 가장자리부의 일부를 상기 에어백의 외면에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안에 의해 단위 시간당 가스의 배출량뿐만 아니라 가스의 배기 방향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적어도 단위 시간당 최대 가스 배출량은 비교적 쉽게 파악 가능해진다.
상기 에어백은 팽창 전개 때 승차인측에 위치하는 프론트 패널과 승차인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백 패널의 외연부를 외주 봉제부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성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치의 상기 원연부가 상기 외주 봉제부에 의해 상기 에어백에 연결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용 스페이스의 제한이 크고 승차인의 장애 정도가 악화할 우려가 크며, 스티어링 휠에 수용되는 드라이버 에어백에 있어서 특히 유효하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장치는 간소하고 콤팩트한 구성이면서 적절하게 배기 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드라이버 에어백 장치의 전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드라이버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스티어링 휠측(승차인과 반대측)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A-A방향의 단면도이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드라이버 에어백 장치의 액티브 벤트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고, (A)는 액티브 벤트가 닫힌 상태, (B)는 액티브 벤트가 열리기 시작한 상태, (C)는 액티브 벤트가 최대로 열린 상태를 표현하고 있다.
도 4(A), (B)는 본 발명에 관한 드라이버 에어백 장치의 액티브 벤트 주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드라이버 에어백 장치의 전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A-A방향의 단면도이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드라이버 에어백 장치의 액티브 벤트 주변 구조를 나타내고, (A)는 액티브 벤트가 닫힌 상태, (B)는 액티브 벤트가 열리기 시작한 상태, (C)는 액티브 벤트가 최대로 열린 상태를 표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드라이버 에어백 장치에 대해,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표시하는 ‘전’이란 차량 전방(진행 방향), ‘후’란 차량 후방(진행 방향과 반대측), ‘내’란 차량 폭 방향의 중심측(승차인측), ‘외’란 차량 폭 방향 외측(도어 패널측)을 각각 나타낸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드라이버 에어백 장치(10)의 전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드라이버 에어백 장치(10)의 에어백(12)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스티어링 휠(14)측(승차인(P)과 반대측)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드라이버 에어백 장치(10)의 액티브 벤트(20) 주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A)는 액티브 벤트(20)가 닫힌 상태, (B)는 액티브 벤트(20)가 열리기 시작한 상태, (C)는 액티브 벤트(20)가 최대로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에어백 장치(10)는 팽창 전개함으로써 차량 내의 승차인(P)을 구속하는 에어백(12)과, 에어백(12)을 팽창 전개시키는 팽창 가스가 발생하는 인플레이터(16)와, 에어백(12)에 설치되어 해당 에어백(12) 내부의 가스를 배기 가능한 액티브 벤트 기구(20, 22, 24, 26, 34)를 구비한다. 액티브 벤트 기구를 구비한 에어백(12) 및 인플레이터(16)는 스티어링 휠(14)의 내부에 수용된다.
액티브 벤트 기구(20, 22, 24, 26, 34)는 에어백(12)에 형성된 제1 벤트홀(20)과, 일부가 에어백(12)의 외면에 연결되어 에어백(12)의 내압에 따라 벤트홀(20)의 개방과 폐쇄를 실시하는 패치(22)와, 일단부가 패치(2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에어백(12) 내부에 삽입하여 인플레이터(16) 주변의 구조부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24)와, 제1 벤트홀(20)의 근방에 설치되어 패치(22)의 일부 또는 연결 부재(24)의 일부가 관통하는 슬릿 형상의 개구부(34)와, 에어백(12)의 내부에서 연결 부재(24)가 삽통하는 대략 통 형상의 규제 부재(26)와, 임의의 타이밍에 연결 부재(24)의 텐션을 저하시키는 해방 수단(39)(도 3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규제 부재(26)는 에어백(12)의 내부에 있어서 개구부(34)를 둘러싸도록 해당 에어백(12) 내면에 연결된 상단부와 밀폐 상태로 연결 부재(24)와 연결된 하단부를 가진다. 예를 들어, 규제 부재(26)는 에어백(12)과 동일하게 유연한 직물에 의해 통 형상으로 성형되고, 일단부가 개구부(34)를 덮도록 그 주변에 있어서 봉제(42)(도 3 참조)에 의해 에어백(12)(12B)에 대하여 고정된다. 규제 부재(26)의 하단부는 연결 부재(24)에 대하여 완전히 고정되도록 봉제(44)(도 3 참조)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봉제(44) 부분에 있어서는 규제 부재(26)와 연결 부재(24)가 일체로 동작하게 된다.
제1 벤트홀(20)은 반드시 하나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패치(22)는 개구부(34)측의 가장자리부를 근연부(22a)로 하고 해당 근연부(22a)와 대향하는 반대측을 원연부(22b)로 했을 때, 적어도 원연부(22b)가 에어백(12)(12B)의 외면에 연결된다. 또한 패치(22)에는 제1 벤트홀(20)과 대향하는 위치와 겹쳐지도록 제2 벤트홀(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벤트홀(32)은 제1 벤트홀(20)보다도 개구 면적이 작고 항상 가스가 조금씩 배기되게 된다. 또한 제2 벤트홀(32)은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치(22)는 에어백과 동일한 소재의 유연한 패브릭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패치(22)의 형상은 부채 형상 또는 사다리꼴에 가까운 형상으로 하고 있다. 폭이 좁은 근연부(22a)가 원활하게 개구부(34)의 내측을 미끄럼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폭이 넓은 원연부(22b)가 넓은 범위로 제1 벤트홀(20)을 덮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패치(22)의 형상은 제1 벤트홀(20)의 형성 위치나 크기 나아가 가스의 배기 특성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12)은 팽창 전개 때에 승차인(P)측에 위치하는 프론트 패널(12F)과, 승차인(P)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백 패널(12B)의 외연부를 외주 봉제부(30)에 의해 연결하는 것에 의해 성형된다. 이때,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치(22)의 원연부(22b)가 외주 봉제부(30)에 의해 백 패널(12B)에 연결된다.
연결 부재(24)는 패치(22)와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패치(22)의 근연부(22a)에서 에어백(12)의 내부로 이동함에 따라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성형하거나 혹은 중간부터 일정 폭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는 패치(22)와 연결 부재(24)를 별체로서 구성할 수 있다. 연결 부재(24)를 유연한 띠 형상 부재로 하고, 예를 들어 패치(22)의 근연부(22a)에 봉제에 의해 연결할 수 있다.
해방 수단은 연결 부재(24)의 타단부를 파단시키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커터(39)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동작)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돌 사고 등이 발생하여 에어백(12)이 최대로 전개한 직후의 상태에서는 연결 부재(24)의 텐션에 의해 패치(22)가 에어백(12)에 밀착하여 제1 벤트홀(20)을 막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2 벤트홀(32)로부터 근소하게 가스가 배기될 뿐이 된다.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의의 타이밍에 해방 수단(커터)(39)에 의해 연결 부재(24)의 후단부가 절단된다. 그러면 연결 부재(24)의 텐션이 저하하고 패치(22)가 에어백(12)의 외면으로부터 이탈하여 제1 벤트홀(20)에서 배기가 개시된다. 제1 벤트홀(20)에서 배출된 가스는 패치(22)에 접촉한 후에 패치(22)의 좌우 양측에서 외부로 배기된다.
여기서 해방 수단(39)이 작동하는 임의의 타이밍으로서는 예를 들어, 차량의 충돌 상대 속도가 빠를 때, 다시 말해 충돌 때의 G가 높을 때나 승차인의 체격이 클(체중이 무거울) 때 연결 부재의 릴리스를 늦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연결 부재의 릴리스 타이밍은 시트 슬라이드량(시트 위치) 및/또는 시트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의 질량(체중)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결정한다.
그런 다음,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12)의 내압에 의해 규제 부재(26)는 뒤집힌 상태로 개구부(34)에서 에어백(12)의 외부로 튀어나가고, 규제 부재(26)가 전부 나간 상태에서 그 이상은 바깥으로 나오는 일은 없다. 이때, 패치(22)는 패러글라이더와 같이 부푼 상태가 되고 개방된 양측으로부터 팽창 가스가 배출된다. 이와 같이 패치(22)는 일정한 포지션까지 도달한 시점에서 그 이상은 부상하지 않기 때문에 팽창 가스의 배출량이 용이하게 예측 가능해진다.
에어백(12)으로부터의 가스 배출량은 대략 제1 벤트홀(20)의 개구 면적에 의해 조정할 수 있는데 제1 벤트홀(20)의 개구 면적에 더하여 규제 부재(26)의 크기나 형상에 의해서도 조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규제 부재(26)를 연결 부재(24)를 따라 길게 했을 경우에는 패치(22)가 부상하는 가동 영역이 넓어지고, 결과적으로 다량의 가스가 제1 벤트홀(20)로부터 배기 가능해진다. 반대로 규제 부재(26)를 작게(짧게) 했을 경우에는 패치(22)의 가동 영역이 작아지고 가스의 배기량도 감소한다. 이와 같이 규제 부재(26)의 설계에 따라 가스의 배기량을 적절히 제어 가능해진다.
또한 에어백(12)이 최대로 전개한 직후의 상태(A)에서는 연결 부재(26)의 텐션에 의해 패치(22)가 제1 벤트홀(20)을 막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상정하지 않은) 팽창 가스의 누출이 방지 가능해진다. 가스 누출 부분으로서는 주로 제1 벤트홀(20)의 주변, 개구부(34)의 주변이 되는데 이 모든 부분에 있어서도 가스 누출은 적절히 억제 또는 방지 가능해진다.
(패치의 변형)
도 4(A), (B)는 본 발명에 관한 드라이버 에어백 장치의 액티브 벤트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한 패치(22)를 도 4(A)에 나타낸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치(22)는 원연부(22b)만이 에어백(12)에 대하여 봉제(30)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벤트홀(20)로부터 배출된 가스는 패치(22)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배기되게 된다.
도 4(B)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패치(22)의 원연부(22b)뿐만 아니라 한쪽의 측연부가 봉제(48)에 의해 연결 및 고정되어 있다. 그 결과, 제1 벤트홀(20)로부터 배출된 가스는 패치(22)의 좌측에서만 배기되게 된다. 그 때문에 (A) 도에 나타낸 예에 비해 단위 시간당 가스 배출량은 적어진다.
이와 같이, 패치(22)의 형상이나 에어백(12)의 외면에의 연결(봉제) 범위를 조정함으로써도 가스의 배기량을 억제할 수 있다. 반복하지만, 도 4(A)와 같이 패치(22)의 연결 범위를 적게 하면 패치(22)가 에어백(12)으로부터 이탈했을 때, 해당 패치(22)와 제1 벤트홀(20)의 틈새가 커지고 다량의 가스가 해당 틈새로부터 배기되게 된다. 한편,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치(22)의 에어백(12)에의 연결 범위를 넓게 하면 패치(22)가 에어백(12)으로부터 이탈했을 때, 해당 패치(22)와 제1 벤트홀(20)의 틈새가 작아지고 가스 배기량이 억제된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드라이버 에어백 장치(100)의 전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A-A 방향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드라이버 에어백 장치(100)의 액티브 벤트 주변 구조를 나타내고, (A)는 액티브 벤트가 닫힌 상태, (B)는 액티브 벤트가 열리기 시작한 상태, (C)는 액티브 벤트가 최대로 열린 상태를 표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에어백(12)의 내부에 일단부가 승차인(P)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인플레이터(16) 주변의 구조부에 연결되어 해당 에어백(12)의 전개 형상을 규제하는 테더(150)를 설치하고 있다. 테더(150)의 일부에 연결 부재(124)의 단부가 봉제부(15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테더(150)의 텐션 저하에 따라 연결 부재(124)의 텐션이 저하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테더(150)의 텐션 저하 자체가 해방 수단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다른 구조로서 커터 등의 해방 수단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테더(150)를 절단하는 커터를 별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실시예의 동작)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돌 사고 등이 발생하여 에어백(12)이 최대로 전개한 직후의 상태에서는 연결 부재(124)의 텐션에 의해 패치(22)가 에어백(12)에 밀착하여 제1 벤트홀(20)을 막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2 벤트홀(32)로부터 근소한 가스가 배기될 뿐이 된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차인(P)의 에어백(12)에의 충돌 등에 의해, 테더(150)가 느슨해지면 연결 부재(124)의 텐션이 저하하고 패치(22)가 에어백(12)의 외면으로부터 이탈하여 제1 벤트홀(20)에서 배기가 개시된다. 제1 벤트홀(20)에서 배출된 가스는 패치(22)에 접촉한 후에 패치(22)와 에어백(12) 사이의 틈새로부터 외부로 배기된다.
그런 다음,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12)의 내압에 의해 규제 부재(26)는 뒤집힌 상태로 개구부(34)에서 에어백(12)의 외부로 튀어나가고, 규제 부재(26)가 전부 나온 상태로 그 이상은 외부로 나오지 않는다. 이때,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패치(22)는 패러글라이더처럼 부상한(부푼) 상태가 되고, 개방된 양측으로부터 팽창 가스가 배출된다. 이와 같이 패치(22)는 일정 포지션까지 도달한 시점에서 그 이상은 부상하지 않기 때문에 팽창 가스의 배기량을 용이하게 예측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있어서 변경 가능한 것이다.

Claims (14)

  1. 팽창 전개함으로써 차량 내의 승차인을 구속하는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을 팽창 전개시키는 팽창 가스를 발생하는 가스 발생기와,
    상기 에어백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백 내부의 가스를 배기 가능한 액티브 벤트 기구
    를 구비하고,
    상기 엑티브 벤트 기구는,
    상기 에어백에 형성된 제1 벤트홀과,
    일부가 상기 에어백의 외면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백의 내압에 따라 상기 벤트홀의 개방과 폐쇄가 가능한 패치와,
    일단부가 상기 패치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에어백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에어백의 내부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제1 벤트홀의 근방에 형성되어 상기 패치의 일부 또는 상기 연결 부재의 일부가 관통하는 개구부와,
    상기 에어백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 부재가 삽통하는 대략 통 형상의 규제 부재로서, 상기 에어백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에어백 내면에 연결된 제1 단부와 밀폐 상태로 상기 연결 부재와 연결된 제2 단부를 가지는 규제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텐션을 저하시키는 해방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에어백이 최대로 전개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 부재의 텐션에 의해 상기 패치가 상기 제1 벤트홀을 막도록 동작하고, 상기 해방 수단에 의해 상기 연결 부재의 텐션이 저하하면 상기 패치가 상기 에어백의 외면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제1 벤트홀에서 배기가 실시되도록 동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방 수단은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부를 파단시키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내부에는 일단부가 승차인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인플레이터측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백의 전개 형상을 규제하는 테더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테더에 연결되고,
    상기 테더의 텐션 저하에 따라 상기 연결 부재의 텐션이 저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패치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패치와 별체로 구성되고, 상기 패치에 연결된 띠 형상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에 제2 벤트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벤트홀은 상기 제1 벤트홀과 대향하는 위치에 겹쳐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벤트홀은 상기 제1 벤트홀보다도 개구 면적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슬릿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는 상기 개구부측의 가장자리부를 근연부로 하고, 상기 근연부와 대향하는 반대측을 원연부로 했을 때, 적어도 상기 원연부가 상기 에어백의 외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는 상기 원연부에 더하여 상기 근연부와 상기 원연부를 연결하는 측연부의 일부가 상기 에어백의 외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팽창 전개 때에 승차인측에 위치하는 프론트 패널과 승차인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백 패널의 외연부를 외주 봉제부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의 상기 원연부가 상기 외주 봉제부에 의해 상기 에어백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스티어링 휠에 수용되는 드라이버 에어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KR1020197032728A 2017-04-16 2018-02-06 에어백 장치 KR1023241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80998 2017-04-16
JP2017080998 2017-04-16
PCT/JP2018/003917 WO2018193688A1 (ja) 2017-04-16 2018-02-06 エアバッ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497A true KR20190132497A (ko) 2019-11-27
KR102324152B1 KR102324152B1 (ko) 2021-11-09

Family

ID=63856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2728A KR102324152B1 (ko) 2017-04-16 2018-02-06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30468B2 (ko)
EP (1) EP3613641B1 (ko)
JP (1) JP6845922B2 (ko)
KR (1) KR102324152B1 (ko)
CN (1) CN110520333B (ko)
WO (1) WO20181936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4861A1 (en) 2018-12-28 2020-07-01 LG Display Co., Ltd. Touch display device, touch panel, touch sensing circuit, and touch sens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1634A1 (en) * 2018-07-12 2020-01-16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module with a controllable ventilation device
DE202018106208U1 (de) * 2018-10-30 2020-02-03 Dalphi Metal Espana, S.A. Gassack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WO2021002433A1 (ja) * 2019-07-04 2021-01-07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KR20210056683A (ko) * 2019-11-11 2021-05-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장치
JP7393529B2 (ja) * 2020-04-24 2023-12-06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2023082909A (ja) * 2021-12-03 2023-06-15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0260A (ja) * 2007-08-09 2009-02-26 Takata Corp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09113757A (ja) * 2007-11-09 2009-05-28 Takata Corp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20120074677A1 (en) * 2010-09-24 2012-03-29 Teruhiko Hiruta Airbag, airbag device, and method for sewing lid member of airbag
JP2013035473A (ja) * 2011-08-10 2013-02-21 Takata Corp ストラップ保持装置及び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8371B2 (en) * 2001-07-12 2003-11-18 Delphi Technologies, Inc. Variable venting air bag assembly
US6832778B2 (en) * 2002-07-19 2004-12-21 Delphi Technologies, Inc. Air bag restraint including selectively operable venting elements
JP4407336B2 (ja) * 2004-03-24 2010-02-03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7328915B2 (en) * 2004-10-06 2008-02-12 Autoliv Asp, Inc. Airbag cushion with tether deactivated venting for reduced out-of-position effects
US7419184B2 (en) * 2005-06-16 2008-09-02 Autoliv Asp, Inc. Airbag tether release mechanism
JP2008179337A (ja) * 2006-08-04 2008-08-07 Takata Corp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5286673B2 (ja) * 2007-02-19 2013-09-11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09067079A (ja) * 2007-09-10 2009-04-02 Takata Corp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5286825B2 (ja) * 2008-02-25 2013-09-11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4992853B2 (ja) * 2008-08-06 2012-08-0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4666059B2 (ja) * 2008-11-12 2011-04-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US8590927B2 (en) * 2010-04-19 2013-11-26 Tk Holdings Inc. Airbag module
US8491004B2 (en) * 2010-04-19 2013-07-23 Tk Holdings Inc. Airbag module
DE102010026933B4 (de) * 2010-07-12 2013-02-28 Autoliv Development Ab Seitengassack
JP2013049322A (ja) 2011-08-30 2013-03-14 Toyota Motor Corp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5941803B2 (ja) * 2012-09-21 2016-06-29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KR20140124231A (ko) * 2013-04-16 2014-10-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모듈의 승객 목 상해 방지장치
JP6224915B2 (ja) * 2013-05-20 2017-11-01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6445797B2 (ja) * 2014-06-30 2018-12-26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0260A (ja) * 2007-08-09 2009-02-26 Takata Corp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09113757A (ja) * 2007-11-09 2009-05-28 Takata Corp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20120074677A1 (en) * 2010-09-24 2012-03-29 Teruhiko Hiruta Airbag, airbag device, and method for sewing lid member of airbag
JP2012066746A (ja) * 2010-09-24 2012-04-05 Takata Corp エアバッグ、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の蓋部材の縫合方法
JP2013035473A (ja) * 2011-08-10 2013-02-21 Takata Corp ストラップ保持装置及びエアバッグ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4861A1 (en) 2018-12-28 2020-07-01 LG Display Co., Ltd. Touch display device, touch panel, touch sensing circuit, and touch sens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13641A4 (en) 2020-11-11
KR102324152B1 (ko) 2021-11-09
EP3613641A1 (en) 2020-02-26
US11130468B2 (en) 2021-09-28
EP3613641B1 (en) 2021-11-24
CN110520333B (zh) 2022-06-28
WO2018193688A1 (ja) 2018-10-25
CN110520333A (zh) 2019-11-29
JP6845922B2 (ja) 2021-03-24
JPWO2018193688A1 (ja) 2020-01-16
US20200130633A1 (en) 202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2497A (ko) 에어백 장치
US8573642B2 (en) Airbag device
US20120074677A1 (en) Airbag, airbag device, and method for sewing lid member of airbag
KR101491276B1 (ko) 에어백 장치
US10093270B2 (en) Multi-flap vents for inflatable chambers
US9120455B2 (en) Airbag and airbag device
KR20090064182A (ko) 가변 인너벤트홀을 구비한 에어백쿠션 구조
JP5616144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7100163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WO2018123427A1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20120095845A (ko) 에어백 장치
JP6247251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7094912A (ja) 車両の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02321586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6762909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7094913A (ja) 車両の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1867061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US11673527B2 (en) Airbag for vehicle
JP7053888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8012995A (ja) カーテン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7088130A (ja) 車両の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15120039A1 (en) Driver side airbag module with improved vent
KR20200134482A (ko) 에어백 장치
KR20100082228A (ko) 에어백장치
JP2016210299A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