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4681A - 배터리 충전기 최적효율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충전기 - Google Patents

배터리 충전기 최적효율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4681A
KR20190084681A KR1020180002718A KR20180002718A KR20190084681A KR 20190084681 A KR20190084681 A KR 20190084681A KR 1020180002718 A KR1020180002718 A KR 1020180002718A KR 20180002718 A KR20180002718 A KR 20180002718A KR 20190084681 A KR20190084681 A KR 20190084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frequency
charger
value
output
g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5045B1 (ko
Inventor
도영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2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045B1/ko
Publication of KR20190084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4Optimising energy costs, e.g. responding to electricity r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완속충전기 등의 스위칭 구동의 최대 효율점을 찾아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채용한 배터리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칭 주파수 f0로 구동되는 공진컨버터가 포함된 배터리 충전기(이하, '충전기)의 스위칭 주파수 제어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충전기의 출력전압과 출력전류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출력전압 센싱값을 기준으로 전압조건게인값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전압조건게인값을 기준으로 스위칭 주파수 후보 f1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출력전류 센싱값을 기준으로 부하조건게인값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부하조건게인값을 기준으로 스위칭 주파수 후보 f2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스위칭 주파수 후보 f1과 스위칭 주파수 후보 f2로 각각 스위칭하여 충전기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스위칭 주파수 후보와 제2 스위칭 주파수 후보 중에서 최적 스위칭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f0일 때의 출력 및 입력 파워값과, f1일 때의 출력 및 입력 파워값 그리고 f2일 때의 출력 및 입력 파워값을 각각 비교하여 파워값의 편차가 작은 주파수를 최적 스위칭 주파수로서 결정하는 단계.

Description

배터리 충전기 최적효율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충전기 {Method of efficiently controlling battery chargers and a battery charger adopt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진형 컨버터가 포함된 배터리 충전기(가령, 완속충전기 등)의 충전 효율을 향상시켜 사용자에게 충전시간 단축, 충전요금 절감의 효과를 주는 충전기 최적효율을 위한 제어 방법 및 이를 채용한 배터리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자동차 배터리 충전기는 AC 유틸리티 라인으로부터의 전력을 400VDC로 승압하는 AC-DC단과, DC를 필요한 전압 레벨로 변환하는 DC-DC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두 개의 단은 분리된 D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DC-DC 컨버터에는 효율 및 제어성 향상을 위하여 LLC 공진 컨버터가 많이 사용된다.
도 1은 이러한 LLC 공진 컨버터 회로(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70820, 공개일자: 2016년 6월 20일)의 한 예이다. 이 LLC 공진 컨버터(800)는 파워 입력 스테이지(502), 공진 탱크(504), 및 파워 출력 스테이지(506)를 포함한다. 감지기(센싱부)(808)는 정류기(커패시터(C1), 커패시터(C2), 다이오드(D1), 및 다이오드(D2)로 구성), 직류 차단 커패시터(C4), 부하 저항기(R1), 및 분배기/필터 회로를 포함한다. 내부의 Q값을 갖는 이러한 LLC 공진 컨버터에 효율점 추적제어 메커니즘이 적용되어 최대 효율점을 자동으로 추적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공진 컨버터에서는, 공진인덕터(예를 들어, 도 1의 Lr)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과 전류를 센싱(감지)하기 위한 별도 회로(예를 들어, 도 1의 감지기 808)가 필요하며 부하 전류의 레벨에 따라 임계값을 설정하여 스위칭 주파수를 조정하는데, 임계값의 범위는 구성된 회로부품의 산포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점 추적제어 메커니즘에 의해서도 최대 효율점에 도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공진 컨버터는 제로전압 스위칭 및 제로전류 스위칭으로 인한 스위칭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완속충전기 등(이하, '충전기')의 스위칭 구동의 최대 효율점을 찾아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채용한 배터리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전기내 회로 부품의 산포(허용오차범위)를 고려하여 스위칭 주파수를 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채용한 배터리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기술은 공진 파형 검출을 통해 파형 형태를 확인하고 제어하는 별도의 회로 구성을 필요로 하지만, 본 발명은 현재 센싱값과 게인 제어를 위한 추종 알고리즘을 통해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여 최대 효율점에서 제어를 하도록 한다.
또한 임계값을 정의하여 부품의 이상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부가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스위칭 주파수 f0로 구동되는 공진컨버터가 포함된 배터리 충전기(이하, '충전기)의 스위칭 주파수 제어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충전기의 출력전압과 출력전류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출력전압 센싱값을 기준으로 전압조건게인값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전압조건게인값을 기준으로 스위칭 주파수 후보 f1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출력전류 센싱값을 기준으로 부하조건게인값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부하조건게인값을 기준으로 스위칭 주파수 후보 f2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스위칭 주파수 후보 f1과 스위칭 주파수 후보 f2로 각각 스위칭하여 충전기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스위칭 주파수 후보와 제2 스위칭 주파수 후보 중에서 최적 스위칭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f0일 때의 출력 및 입력 파워값과, f1일 때의 출력 및 입력 파워값 그리고 f2일 때의 출력 및 입력 파워값을 각각 비교하여 파워값의 편차가 작은 주파수를 최적 스위칭 주파수로서 결정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출력전압 센싱값을 기준으로 충전기의 전압조건게인값을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기에 대해서 출력전압 센싱값 대비 게인값을 정의하는 게인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전압 센싱값을 기준으로 충전기의 전압조건게인값을 취득하는 단계는 y=f(x) (y=게인, x=센싱전압)의 전압추세선으로 표현되는 게인추세선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전류 센싱값을 기준으로 충전기의 부하조건게인값을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기에 대해서 출력전류 센싱값 대비 게인값을 정의하는 게인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전류 센싱값을 기준으로 충전기의 부하조건게인값을 취득하는 단계는 y=f(x) (y=게인, x=센싱전압)의 전류추세선으로 표현되는 게인추세선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 주파수 제어 방법은, 상기 최적 스위칭 주파수가 제한값 이상이면 상기 충전기에 포함된 공진용 부품이 허용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이상부품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상기 공진용 부품의 허용오차 범위에 대하여 게인값을 조정하여 상기 최적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는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배터리 충전기 최적효율 제어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충전기 최적효율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 충전기 최적효율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소개한 본 발명 사상의 구성과 효과는 이하에서 도면과 함께 설명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더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적의 효율을 위한 스위칭 제어 기법으로 충전 효율을 향상시켜 충전기제품의 성능을 높일 수 있고, 충전효율 향상을 통하여 사용자의 충전시간 단축 및 충전비용 절약이 가능해진다.
종래기술은 공진 파형 검출을 통해 파형의 shape를 확인하고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회로 구성이 필요하지만 본 발명은 현재 센싱값과 게인 제어를 위한 추종 알고리즘을 통해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여 최대 효율점에서 제어를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임계값을 정의하여 부품의 이상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부가 기능을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LLC 공진 컨버터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 최적효율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공진컨버터의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블록도를 실제로 회로 구성한 회로도의 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최적효율 제어방법의 흐름도.
도 5는 게인테이블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최적효율 제어방법의 흐름도.
도 7은 인덕터와 커패시터의 최소, 중간, 최대값 및 스위칭 주파수의 변화 테이블의 예시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한 가지 기술분야인 전기자동차 충전에 관해 간략하게 먼저 설명한다. 전기자동차는 배터리가 차량의 주 구동원으로 사용되는 자동차이다. 배터리 충전을 위하여, 차량탑재 충전기 OBC(On Board Charger)가 충전 포트에 연결되고, 가정용 교류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OBC는 차량용 전기공급 장치(EVSE: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를 이용하여 전기를 공급받는데, 전기를 공급받을 때 EVSE는 컨트롤 파일럿(CP: Control Pilot)에 포함된 전압지령값을 체크하여 충전 여부를 결정한다. OBC를 제어하는 배터리관리 시스템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에서는 입력받은 전압지령값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여부를 결정한다. OBC와 BMS는 CAN 방식으로 통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 최적효율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공진컨버터의 블록도이다. 이 공진컨버터는 OBC(차량 배터리 충전기) 내에 구성되어 있다. 도 2의 공진컨버터의 구성요소로는, 기본적으로 공진컨버터이므로 존재하는 공진 인덕터 L과 공진 커패시터 C, 그리고 변압기(5); 변압기(5)의 1차측에 위치하는 1차측회로(10)와 2차측에 위치하는 2차측회로(20)가 있다.
위의 구성 요소 이외에, 2차측회로(20)의 출력전압을 센싱하는 출력전압 센싱부(22)와 출력전류를 센싱하는 출력전류 센싱부(24)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1차측회로(10)의 입력전압을 센싱하는 입력전압 센싱부(12)와 입력전류를 센싱하는 입력전류 센싱부(14)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블록도를 실제로 회로 구성한 회로도의 한 예시도이다.
1차측회로(10)는 DC 입력을 교류신호로 만들기 위해 소정의 스위칭 주파수로 구동되는 4개의 FET를 포함하는 초퍼 회로이다. 1차측회로(10)에서 특정 주파수로 초핑되어 출력되는 교류파형은 공진 인덕터 L과 공진 커패시터 C를 통해 변압기(5)에 입력된다. 변압기(5)의 2차측에서는 전자기유도에 의해 승압 또는 강압된 다른 전압의 교류파형이 나타나고 이 교류파형은 2차측회로(20)를 구성하는 다이오드로 구성된 정류회로에 의해서 정류되어 최종적으로 부하저항 RL에 직류전압으로 나타나게 된다.
도 3에서 입력전압 센싱부(12)는 전압계 내지는 전압감지 회로 또는 소자로, 입력전류 센싱부(14)는 전류계 내지는 전류감지 회로 또는 소자로 구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출력전압 센싱부(22)는 전압계 내지는 전압감지회로 또는 소자로, 출력전류 센싱부(24)는 전류계 내지는 전류감지회로 또는 소자로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 최적효율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번호 순으로 설명한다.
102: OBC 제어기와 BMS 제어기 간의 배터리 전압 상태(전압값) 기준으로 충전을 위한 전압 지령값을 CAN 메시지를 통해 전달받는 단계.
OBC와 BMS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고, OBC 제어기와 BMS 제어기 간의 통신방식인 CAN(Controller Area Network)은 차량용 네트워크 시스템 간의 통신규약으로, 마이크로컨트롤러 간의 통신을 위하여 설계된 시리얼 네트웍 통신방식으로 여러개의 CAN 디바이스가 서로 통신할 수 있는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네트웍을 제공한다. 하나의 CAN 인터페이스로 여러 개의 ECU를 제어함으로서 자동차의 전체 비용과 중량을 줄일 수 있고 시스템 속도와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디바이스마다 CAN 컨트롤러칩이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각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지령값은 배터리 충전의 타겟전압을 의미한다. 가령, 3.3kW급 충전기의 경우에 330V가 지령값으로 CAN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104: 수신된 전압 지령값을 기준으로 출력파워값을 계산하는 단계.
이때의 출력파워값은 기본 스위칭 주파수 f0로 스위칭구동되는 배터리 충전기의 파워용량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3.3kW급 충전기의 경우 출력 파워는 3.3kW가 된다. 이 경우, 배터리 전압이 330V라고 하면 출력전류는 10A가 된다. 본 발명은 이 전류를 정격 출력전류로 제어하도록 이하의 계산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106, 108: 도 2에서 설명한 출력전압 센싱부(22)와 출력전류 센싱부(24)에 의해 출력전압과 출력전류를 센싱하는 단계(전압, 전류 실측).
110: 센싱값 기준으로 출력과 입력의 파워값을 계산하는 단계
출력전압과 출력전류의 센싱값으로부터 [파워 = 전압×전류 (P=VI)]의 공식을 이용하여 실제의 출력 파워값을 계산한다. 가령, 센싱전압이 360V, 센싱전류가 9A라 하면, 출력파워는 360V×9A = 3.24kW가 된다.
입력파워는 사전에 설정한 효율테이블을 이용해 역산으로 계산할 수 있다. 효율테이블은 특정 충전기에 대해서 출력전압별로 산정된 효율을 대비해 놓은 테이블이다. 예를 들어, 3.3kW급의 특정 충전기에서 출력전압이 360V로 센싱된 경우에, 아래 표 1의 효율테이블에서, 이 360V에 해당하는 95%의 효율값을 가져와 3.3kW/95%=3.473kW의 입력파워를 계산할 수 있다.
출력전압 330V 340V 350V 360V ...
효율 94% 95% 95% 95% ...
한편, 입력파워도 입력전압과 입력전류의 센싱값으로부터 [파워 = 전압×전류 (P=VI)]의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이상의 단계는 배터리 충전기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선행단계인데, 특히, 차량 외부 시스템, 가령, EVSE(전기차 충전용 전원설비)와의 연계에 사용되는 단계이다. 이하에서부터 본 발명의 충전기 최적효율 제어방법이 진행된다.
112: 출력전압 센싱값을 기준으로 전압조건게인값을 취득하는 단계
전압조건게인값의 취득 방식으로는 두 가지가 가능하다.
하나는 도 5에 예시한 사전설정된 게인테이블에서 출력전압 센싱값에 해당하는 게인을 읽어들이는 방식이다. 도 5에서 전압조건 열에 있는 360V에 해당되는 게인은 '1'이므로 이를 취득한다.
다른 방식은 수학식 1과 같은 전압 추세선으로 표현되는 게인추세선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아래 수학식 1에서 y=게인, x=센싱전압이므로 이 식에 x=360을 대입하면 y=1.000778(≒1)의 게인값이 나온다.
Figure pat00001
114: 단계 112에서 취득한 전압조건게인값을 기준으로 스위칭 주파수 후보 f1을 결정하는 단계.
스위칭 주파수 후보 f1은 도 5에 예시한 게인테이블에서 결정할 수 있다. 즉, 전압조건게인값이 1일 때의 스위칭 주파수는 150kHz이다. 도 5에 이산값(discrete value)으로 제시된 게인 대비 스위칭 주파수는 특정의 기설정된 함수로부터 연속적으로 취득할 수 있다. 함수를 정의하는 방정식을 이용하여 게인 대비 스위칭 주파수를 정할 수 있는 것이다.
116: 출력전류 센싱값을 기준으로 부하조건게인값을 취득하는 단계.
위의 단계 112의 전압조건게인값의 취득과 마찬가지로, 도 5에 예시한 사전설정된 게인테이블에서 출력전류 센싱값에 해당하는 게인을 읽어들이는 방식이다. (도 5에는 각 행을 세밀하게 나타내지 않았다.)
또는 다른 방식으로 수학식 2와 같은 전류 추세선으로 표현되는 게인추세선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아래 수학식 2에서 y=게인, x=센싱전류이므로 이 식에 x=9를 대입하면 y=0.9466의 게인값이 나온다. 이 게인추세선 알고리즘은 사전 정의된 추세선 기준으로 스위칭을 진행하고 학습하여 게인값을 변경하는 알고리즘이다.
Figure pat00002
118: 단계 116에서 취득한 부하조건게인값을 기준으로 스위칭 주파수 후보 f2를 결정하는 단계.
여기서, 스위칭 주파수 후보 f2도 위에서 언급한 스위칭 주파수 후보 f1과 마찬가지로, 도 5에 예시한 게인테이블에서 결정하거나, 별도 설정한 함수로부터 연속적으로 취득할 수 있다.
120: f1과 f2를 각각 스위칭하여 충전기를 동작시키는 단계.
위와 같이 결정된 스위칭 주파수 후보 f1과 f2로 충전기의 스위치 소자(예를 들어, 도 3의 1차측 회로 내의 FET)를 구동하여 충전기를 동작시킨다.
122: 입력단과 출력단의 파워값을 재계산하여 이전값과 비교하는 단계.
단계 106, 108, 110에서 기본 스위칭 주파수 f0로 충전기를 작동시에 출력파워값과 입력파워값을 계산한 것처럼, 스위칭 주파수 후보 f1과 f2로 각각 충전기를 작동시에 출력전압/전류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출력파워값과 입력파워값을 계산하고 f0일 때의 값들과 비교한다.
124: f1과 f2 중에서 최적 스위칭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
f0일 때의 출력 및 입력 파워값과, f1일 때의 출력 및 입력 파워값 그리고 f2일 때의 출력 및 입력 파워값을 각각 비교하여 파워값의 편차가 작은 주파수를 스위칭 주파수로서 결정하는 단계이다. 이렇게 결정된 스위칭 주파수는 결과적으로, 해당 충전기의 게인값 기준으로 생성된 스위칭 주파수가 되는 것이다. 이제 이 결정된 주파수로 충전기를 동작시키면 이 충전기는 최대 효율로 전력변환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2와 도 3에서 1차측회로(10)와 변압기(5) 사이에 있는 공진용 부품인 인덕터 L 또는 커패시터 C가 부품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가 추가로 포함되는 실시예이다. 단계 102~124는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그 이후 단계부터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본질은 상기 공진 인덕터 L과 공진 커패시터 C의 허용오차값에 따른 스위칭 주파수 변경 범위 및 게인을 결정하는 알고리즘이다.
126: 스위칭 주파수가 제한값 이상이면 인덕터 또는 커패시터 부품이 허용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이상부품으로 판단하는 단계.
128: 부품이상으로 판단된 부품에 대하여 '폴트플래그(fault flag)'를 발생하는 단계.
도 4의 단계 124에서 결정된 최적 스위칭 주파수가 소정의 제한범위 이상이면 인덕터 L 또는 커패시터 C가 허용오차범위(산포)를 벗어나는 부품으로 판단하여, 부품 Fault flag를 생성하여 제어로직에서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소자의 제한 범위가 10%인 경우 인덕터 5%, 커패시터 10%로 스위칭 제한범위가 계산된다(제한범위: [―10% 인덕터값 * ―5% 캐패시턴스값] ~ [+10% 인덕터값 * +5% 캐패시턴스값]).
Figure pat00003
(fsw = 스위칭주파수, L = 인덕터 제한범위값, C = 커패시터 제한범위값)이므로, 스위칭 주파수가 해당 제한범위를 벗어나면 인덕터와 커패시터에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여 부품 FAULT를 생성한다. 도 7은 10% 허용오차범위(산포)의 인덕터와 5% 허용오차범위의 커패시터의 각 산포에 따른 부품값의 최소허용값, 정상값, 최대허용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각 값에 따른 스위칭 주파수의 변화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허용오차 범위를 갖는 부품에 대하여 게인값을 조정하여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는 알고리즘이 제어논리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알고리즘에서는, 계산된 게인값이 1인 경우에 150kHz로 스위칭하여 전류값의 편차를 확인한 후에 게인값을 0.97과 1.05로 조정하여 전류값의 편차를 재확인해서, 게인을 확정하고 메모리에 기록하여 충전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와 실시 형태로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다.
L: 공진 인덕터, C: 공진 커패시터, 변압기(5), 1차측회로(10), 입력전압 센싱부(12), 입력전류 센싱부(14), 2차측회로(20), 출력전압 센싱부(22), 출력전류 센싱부(24)

Claims (8)

  1. 스위칭 주파수 f0로 구동되는 공진컨버터가 포함된 배터리 충전기(이하, '충전기)의 스위칭 주파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충전기의 출력전압과 출력전류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출력전압 센싱값을 기준으로 전압조건게인값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전압조건게인값을 기준으로 스위칭 주파수 후보 f1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출력전류 센싱값을 기준으로 부하조건게인값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부하조건게인값을 기준으로 스위칭 주파수 후보 f2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스위칭 주파수 후보 f1과 스위칭 주파수 후보 f2로 각각 스위칭하여 충전기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스위칭 주파수 후보와 제2 스위칭 주파수 후보 중에서 최적 스위칭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f0일 때의 출력 및 입력 파워값과, f1일 때의 출력 및 입력 파워값 그리고 f2일 때의 출력 및 입력 파워값을 각각 비교하여 파워값의 편차가 작은 주파수를 최적 스위칭 주파수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기 최적효율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전압 센싱값을 기준으로 충전기의 전압조건게인값을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기에 대해서 출력전압 센싱값 대비 게인값을 정의하는 게인테이블을 이용하는 배터리 충전기 최적효율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전압 센싱값을 기준으로 충전기의 전압조건게인값을 취득하는 단계는 y=f(x) (y=게인, x=센싱전압)의 전압추세선으로 표현되는 게인추세선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배터리 충전기 최적효율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전류 센싱값을 기준으로 충전기의 부하조건게인값을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충전기에 대해서 출력전류 센싱값 대비 게인값을 정의하는 게인테이블을 이용하는 배터리 충전기 최적효율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전류 센싱값을 기준으로 충전기의 부하조건게인값을 취득하는 단계는 y=f(x) (y=게인, x=센싱전압)의 전류추세선으로 표현되는 게인추세선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배터리 충전기 최적효율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스위칭 주파수가 제한값 이상이면 상기 충전기에 포함된 공진용 부품이 허용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이상부품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되,
    이 단계에서는 상기 공진용 부품의 허용오차 범위에 대하여 게인값을 조정하여 상기 최적 스위칭 주파수를 가변하는 알고리즘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기 최적효율 제어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터리 충전기 최적효율 제어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충전기 최적효율 제어장치.
  8. 제7항에 기재된 배터리 충전기 최적효율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배터리 충전기.
KR1020180002718A 2018-01-09 2018-01-09 배터리 충전기 최적효율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충전기 KR102575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718A KR102575045B1 (ko) 2018-01-09 2018-01-09 배터리 충전기 최적효율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718A KR102575045B1 (ko) 2018-01-09 2018-01-09 배터리 충전기 최적효율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681A true KR20190084681A (ko) 2019-07-17
KR102575045B1 KR102575045B1 (ko) 2023-09-05

Family

ID=67512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718A KR102575045B1 (ko) 2018-01-09 2018-01-09 배터리 충전기 최적효율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04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9085A (zh) * 2019-11-29 2020-04-10 深圳供电局有限公司 电动汽车充电调控的方法、装置及设备
CN110979041A (zh) * 2020-03-04 2020-04-10 恒大智慧充电科技有限公司 充电***、充电方法、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1311337A (zh) * 2020-03-20 2020-06-19 陕西天天出行科技有限公司 基于充电桩的服务费用处理方法及装置
CN116853072A (zh) * 2023-06-15 2023-10-10 浙江华宇钠电新能源科技有限公司 钠离子电池的电压随动控制方法及控制***
US11955606B2 (en) 2020-09-21 2024-04-09 Lg Energy Solution, Lt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battery pack and master BMS providing the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2375A (ja) * 2003-02-03 2004-08-26 Toyota Motor Corp 電圧変換装置および電圧変換装置の故障判定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5137172A (ja) * 2003-10-31 2005-05-26 Ricoh Co Ltd 電源回路
JP2014143914A (ja) * 2010-02-22 2014-08-07 Mitsumi Electric Co Ltd 保護監視回路、及び電池パッ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2375A (ja) * 2003-02-03 2004-08-26 Toyota Motor Corp 電圧変換装置および電圧変換装置の故障判定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5137172A (ja) * 2003-10-31 2005-05-26 Ricoh Co Ltd 電源回路
JP2014143914A (ja) * 2010-02-22 2014-08-07 Mitsumi Electric Co Ltd 保護監視回路、及び電池パック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9085A (zh) * 2019-11-29 2020-04-10 深圳供电局有限公司 电动汽车充电调控的方法、装置及设备
CN110979085B (zh) * 2019-11-29 2021-12-14 深圳供电局有限公司 电动汽车充电调控的方法、装置及设备
CN110979041A (zh) * 2020-03-04 2020-04-10 恒大智慧充电科技有限公司 充电***、充电方法、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0979041B (zh) * 2020-03-04 2020-06-19 恒大智慧充电科技有限公司 充电***、充电方法、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1311337A (zh) * 2020-03-20 2020-06-19 陕西天天出行科技有限公司 基于充电桩的服务费用处理方法及装置
CN111311337B (zh) * 2020-03-20 2023-11-21 陕西天天出行科技有限公司 基于充电桩的服务费用处理方法及装置
US11955606B2 (en) 2020-09-21 2024-04-09 Lg Energy Solution, Lt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battery pack and master BMS providing the method
CN116853072A (zh) * 2023-06-15 2023-10-10 浙江华宇钠电新能源科技有限公司 钠离子电池的电压随动控制方法及控制***
CN116853072B (zh) * 2023-06-15 2023-12-15 浙江华宇钠电新能源科技有限公司 钠离子电池的电压随动控制方法及控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045B1 (ko) 202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5045B1 (ko) 배터리 충전기 최적효율 제어방법 및 이를 채용한 충전기
US9287790B2 (en) Electric power converter
RU2526324C2 (ru) Быстродействующее заря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омобиля
Wang et al. Investigating an LCL load resonant inverter for inductive power transfer applications
US10848068B2 (en) Power conversion system control device and control system
US10541549B2 (en) Power supply apparatus
US10277082B2 (en) Power-transmitting device and wireless power-supplying system
US9065327B2 (en) Efficiency optimized power converter with dual voltage power factor correction
KR101936462B1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충전 장치
CN110936827B (zh) 无线充电***、无线充电控制方法及汽车无线充电装置
US10759285B2 (en) Power supply system
AU2008339681A2 (en) Inductive power transfer
CN108155828B (zh) 双向低电压dc到ac逆变器
KR101558794B1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충전 장치
WO2020049801A1 (ja) 電力変換装置
US202201616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single-stage on-board charger power factor correction reactive control
Meher et al. A standard two stage on-board charger with single controlled PWM and minimum switch count
CN109314405B (zh) 用于无接触地传输能量的传输***
Tiwari et al. Misalignment tolerant primary controller for series-series compensated static wireless charging of battery
CN110661426A (zh) 电力***和用于检测过载的方法
KR20200083871A (ko) 전기 자동차용 통합 전원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JP2019213267A (ja) 非接触送電装置
JP2019213265A (ja) 非接触受電装置
Navaiyan-Kalat et al. Model Predictive Control of a Single Stage Power Factor Correction for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s
JP2021040395A (ja) 電気車用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