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536A -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536A
KR20190079536A KR1020180166846A KR20180166846A KR20190079536A KR 20190079536 A KR20190079536 A KR 20190079536A KR 1020180166846 A KR1020180166846 A KR 1020180166846A KR 20180166846 A KR20180166846 A KR 20180166846A KR 20190079536 A KR20190079536 A KR 20190079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solution
connection
display
gra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츠야 니시구치
에미 콘도
토모아키 타카하시
요스케 타카기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251161A external-priority patent/JP700534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251132A external-priority patent/JP696869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251259A external-priority patent/JP709106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252110A external-priority patent/JP662511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212167A external-priority patent/JP7191649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79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5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5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94Transmission of image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90Dynamic range modification of image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068Modification of image resolution, i.e. determining the values of picture elements at new relative pos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8Adaptive-dynamic-range coding [ADR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1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creasing the dynamic range of the image compared to the dynamic range of the electronic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50Control of the SSIS exposure
    • H04N25/57Control of the dynamic range
    • H04N5/23203
    • H04N5/23216
    • H04N5/23293
    • H04N5/235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7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matrix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172Image enhancement details
    • G06T2207/20208High dynamic range [HDR] image proces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2Handling of images in compressed format, e.g. JPEG, MPE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28Gradation resolution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6Colour space trans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전자기기는, 제1종의 화상을 변환 화상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외부기기와 접속하는 접속부; 접속 모드를 설정하는 설정부; 및 제1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제1종의 화상을 변환부로 변환하지 않고 상기 접속부로부터 출력하고, 제2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제1종의 화상을 변환부로 변환해서 상기 접속부로부터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을 유지한 채, 상기 접속부로부터 출력하는 화상의 소스를, 상기 제2종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제1종의 화상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기기{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HDR표시가 가능한 외부기기에 대하여 HDR영상을 출력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HDR은, 하이 다이내믹 레인지이며, 스탠다드 다이내믹 레인지(SDR)보다도 넓은 다이내믹 레인지다.
일본 특허공개 2005-167809호 공보에는, 8비트의 영상을 10비트의 영상으로 변환해서 표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JPEG화상, 동화상등의 SDR화상의 비트 수는 8비트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SDR화상을 그대로 사용했을 경우에는, SDR화상에 근거하는 HDR화상을 외부기기에 적합하게 표시할 수 없다. 일본 특허공개 2005-167809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8비트의 영상이 10비트의 영상으로 변환되어서 표시되지만, 비트 수의 변환만으로는 이상적인 화상을 표시하는데 불충분하다, 달리 말하면, 일본 특허공개 2005-167809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을 사용해도 이상적인 HDR화상을 외부기기에 표시할 수 없다.
HDR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모드로부터 SDR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모드로 외부기기의 표시 모드를 전환하면, 외부기기에 SDR화상을 적합하게 표시할 수 있다. 그렇지만, 표시 모드의 전환에는 시간을 요하고, 표시 모드의 전환 중에는 외부기기에 화상이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유저는 적합(쾌적)하게 화상을 감상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화상을 적합하게 표시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제1계조분해능을 갖는 제1종의 화상을, 계조분해능을 상기 제1계조분해능보다도 높은 제2계조분해능으로 변환함과 아울러 계조특성을 변환하여서 생성된 변환 화상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외부기기와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외부기기와의 접속 모드를, 상기 제1계조분해능이하의 계조분해능을 갖는 화상을 출력하는 제1접속 모드와, 상기 제1계조분해능보다도 높은 계조분해능을 갖는 화상을 출력하는 제2접속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접속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제1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1종의 화상을 상기 변환부로 변환하지 않고 상기 접속부로부터 출력하고,
상기 제2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1종의 화상을 상기 변환부로 변환해서 상기 접속부로부터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을 유지한 채, 상기 접속부로부터 출력하는 화상의 소스를, 상기 제1계조분해능보다도 높은 계조분해능을 갖는 제2종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제1종의 화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 가지의 화상이 적합하게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1a 및 1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도;
도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와 외부기기와의 접속을 나타내는 도;
도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흐름도;
도5a∼5d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흐름도;
도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흐름도;
도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흐름도;
도8a 및 8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흐름도;
도9a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흐름도이며, 도9b는 본 실시예에 따른 γ커브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외부기기의 화면예;
도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외부기기의 화면예;
도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외부기기의 화면예;
도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외부기기의 화면예;
도14a 및 14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흐름도;
도15a∼15c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외부기기의 화면예;
도16a 및 16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흐름도;
도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흐름도;
도18a 및 18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외부기기의 화면예다.
구성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a 및 1b는, 본 발명을 적용가능한 장치의 일례로서의 디지털 카메라 100의 외관도를 나타낸다. 도1a는 디지털 카메라 100의 전방면 사시도이며, 도1b는 디지털 카메라 100의 배면 사시도다.
표시부 28은, 디지털 카메라 100의 배면에 설치된 표시부이며, 화상과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파인더 외부 표시부 43은, 디지털 카메라 100의 상면에 설치된 표시부이며, 셔터 속도와 조리개를 비롯한 디지털 카메라 100의 여러가지 설정 값을 표시한다. 단자 커버 40은, 디지털 카메라 100을 외부기기에 접속하는 커넥터(예를 들면, 접속 케이블)를 보호하는 커버다. 커넥터에는, USB케이블의 접속 단자(도시되지 않음)와, HDMI(등록상표)출력 단자인 출력I/F 91(후술)이 포함된다. 퀵 리턴 미러 12는, 시스템 제어부 50(후술)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도시되지 않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업/다운 이동될 수 있다. 통신 단자 10은, 디지털 카메라 100이 렌즈 유닛 150(후술; 착탈가능)과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단자다. 접안 파인더 16은, 포커싱 스크린 13(후술)을 관찰함으로써, 렌즈 유닛 150을 통해서 취득한 피사체의 광학상의 초점과 구도의 확인을 행하기 위한 볼 수 있는 타입의 파인더다. 덮개 202는, 기록 매체 200(후술)을 격납하는 슬롯의 덮개다. 그립부 90은, 유저가 디지털 카메라 100을 오른손으로 쥐기 쉬운 형상을 갖는 보유부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 100은, 모드 선택 스위치 60, 셔터 버튼 61, 메인 전자 다이얼 71, 전원 스위치 72, 서브 전자 다이얼 73, 4방향 키 74, SET버튼 75, 및 LV버튼 76을 가진다. 디지털 카메라 100은, 확대 버튼 77, 축소 버튼 78, 재생 버튼 79, 터치패널 70a, 오토포커스(AF)-ON버튼 70b, 퀵 설정 버튼 70c(Q버튼 70c), 및 액티브 프레임 선택 버튼 70d도 가진다. 디지털 카메라 100은, 메뉴 버튼 70e, 펑션 버튼 70f, 및 정보 버튼 70g도 가진다. 디지털 카메라 100은, 다른 조작 부재를 구비하여도 좋다. 상술한 조작 부재 각각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2는, 디지털 카메라 100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렌즈 유닛 150은, 교환가능한 촬영 렌즈를 탑재하는 렌즈 유닛이다. 렌즈 103은 통상, 복수매의 렌즈로 구성되지만, 도2에서는 간략히 1매의 렌즈만을 나타내고 있다. 통신 단자 6은, 렌즈 유닛 150이 디지털 카메라 100과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단자이며, 통신 단자 10은, 디지털 카메라 100이 렌즈 유닛 150과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단자다. 렌즈 유닛 150은, 통신 단자 6,10을 통해 시스템 제어부 50과 통신한다. 렌즈 유닛 150은, 내부의 렌즈 시스템 제어 회로 4에 의해 조리개 구동회로 2를 통해 조리개 1을 제어한다. 또한, 렌즈 유닛 150은, 렌즈 시스템 제어 회로 4에 의해 AF구동부 3을 통해 상기 렌즈 103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으로 초점을 맞춘다.
자동노출(AE)센서 17은, 렌즈 유닛 150을 통해 피사체(피사체 광)의 휘도를 측광한다.
초점검출부 11은, 시스템 제어부 50에 디포커스량 정보를 출력한다. 시스템 제어부 50은, 디포커스량 정보에 근거해서 렌즈 유닛 150을 제어하고, 위상차 자동초점을 행한다.
퀵 리턴 미러 12(미러 12)는, 노광, 라이브 뷰 촬영, 동화상 촬영 등에서 시스템 제어부 50으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도시되지 않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업/다운 이동될 수 있다. 미러 12는, 렌즈 103으로부터 입사한 광속을 파인더 16측과 촬상부 22측간에 전환하기 위한 미러다. 미러 12는, 보통은, 파인더 16에 광속을 인도하도록(반사시키도록) 설정되지만(미러 다운), 촬영이나 라이브 뷰 표시가 행해질 경우에는, 촬상부 22에 광속을 인도하도록 윗쪽으로 움직여 광속으로부터 대피한다(미러 업). 미러 12는, 그 중앙부가 광의 일부를 투과할 수 있게 하프 미러이고, 광속의 일부를, 초점검출을 행하기 위한 초점검출부 11에 입사하도록 투과시킨다.
유저는, 펜타프리즘 14와 파인더 16을 통하여, 포커싱 스크린 13을 관찰함으로써, 렌즈 유닛 150을 통해서 취득된 피사체의 광학상의 초점과 구도를 확인할 수 있다.
셔터 101은, 시스템 제어부 50의 제어로 촬상부 22의 노광 시간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는 포컬 플레인 셔터다.
촬상부 22는,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CCD나 CMOS소자등으로 구성되는 촬상 소자다. A/D변환기 23은, 촬상부 22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화상처리부 24는, A/D변환기 23로부터의 데이터, 또는, 메모리 제어부 15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화소보간, 축소 등의 리사이즈 처리, 색 변환처리 등)를 행한다. 또한, 화상처리부 24에서는,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정의 연산 처리가 행해지고, 얻어진 연산 결과에 근거해서 시스템 제어부 50이 노광 제어나 측거제어를 행한다. 이에 따라, 스루 더 렌즈(TTL)방식의 AF처리, AE처리, EF(사전 플래시 발광) 처리,등이 행해진다. 또한, 화상처리부 24에서는,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정의 연산 처리가 행해지고, 얻어진 연산 결과에 근거해서 TTL방식의 오토화이트 밸런스(AWB) 처리도 행해진다.
A/D변환기 23으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는, 화상처리부 24 및 메모리 제어부 15를 통하여, 혹은, 메모리 제어부 15를 통하여 메모리 32에 기록된다. 메모리 32는, 촬상부 22에 의해 얻어지고 A/D변환기 23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화상 데이터와, 표시부 28 또는 외부 모니터등의 외부기기 300에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메모리 32는, 소정매의 정지 화상과 소정시간의 동화상 및 음성을 기억하는데 충분한 기억 용량을 갖는다.
또한, 메모리 32는 화상표시용의 메모리(video memory)도 겸하고 있다. D/A변환기 19는, 메모리 32에 기억된 화상표시용의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서 표시부 28에 공급한다. 이렇게 해서, 메모리 32에 기록된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는 D/A변환기 19를 통해 표시부 28에 의해 표시된다. 표시부 28은, 상기 표시부(예를 들면, LCD)상에, D/A변환기 19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에 따라 표시를 행한다. A/D변환기 23에 의해 변환되어 메모리 32에 기억되었던 디지털 신호를, D/A변환기 19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표시부 28에 순차로 전송해서 표시함으로써, 전자 뷰 파인더의 기능이 실현될 수 있고, 스루 화상 표시(라이브 뷰 표시)가 행해질 수 있다.
파인더 내부 표시부 41에는, 파인더 내부 표시부 구동회로 42에 의해, 현재 오토포커스가 행해지고 있는 측거점을 나타내는 프레임(AF프레임)이나, 카메라의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등이 표시된다.
파인더 외부 표시부 43에는, 파인더 외부 표시부 구동회로 44에 의해, 셔터 속도와 조리개 등의 디지털 카메라 100의 여러가지 설정 값이 표시된다.
출력I/F 91은, 메모리 32에 기억된 화상표시용의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 상태로 외부기기 300에 공급한다. 이렇게 해서, 메모리 32에 기록된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는 외부기기 300에 표시된다.
불휘발성 메모리 56은, 전기적으로 소거 또는 기록가능한 메모리이며, 예를 들면 EEPROM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 56에는, 시스템 제어부 50의 동작용의 정수, 프로그램 등이 기억된다. 여기에서, 프로그램이란, 본 실시예에 따라 후술하는 각종 흐름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시스템 제어부 50은, 적어도 1개의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제어부이며, 디지털 카메라 100 전체를 제어한다. 시스템 제어부 50은, 전술한 불휘발성 메모리 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후술하는 실시예의 각 처리를 실현한다. 시스템 메모리 52는 예를 들면 RAM이며, 시스템 제어부 50은, 시스템 제어부 50의 동작용의 정수, 변수, 불휘발성 메모리 56으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등을 시스템 메모리 52에 전개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 50은, 메모리 32, D/A변환기 19, 출력I/F 91, 표시부 28등을 제어함에 의해 표시 제어도 행한다.
시스템 타이머 53은, 각종 제어에 사용하는 시간이나, 내장된 시계의 시간을 계측하는 시간 측정부다.
전원제어부 80은, 전지검출 회로, DC/DC컨버터, 통전하는 블록을 전환하는 스위치 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전지의 장착의 유무, 전지의 종류, 전지잔량의 검출을 행한다. 전원제어부 80은, 그 검출 결과 및 시스템 제어부 50로부터의 지시에 근거하여, DC-DC컨버터를 제어하고, 필요한 전압을 필요한 기간 동안에, 기록 매체 200을 포함하는 각 부에 공급한다.
전원부 30은, 일차전지(예를 들면, 알칼리 전지나 리튬 전지), 이차전지(예를 들면, NiCd전지, NiMH전지, Li전지), AC어댑터 등으로 구성된다. 기록 매체I/F 18은, 메모리 카드나 하드 디스크로서 기록 매체 200과의 인터페이스다. 기록 매체 200은, 촬영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 매체이며, 반도체 메모리나 자기 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통신부 54는, 무선 또는 케이블을 통해 접속된 외부기기에/로부터, 영상신호와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통신부 54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LAN)이나 인터넷을 통해 접속가능하다. 통신부 54는 촬상부 22로 촬상한 화상(스루 화상을 포함한다)과, 기록 매체 200에 기록된 화상을 송신가능해서, 외부기기로부터 화상 데이터와 그 밖의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방향검지부 55는, 중력방향에 대한 디지털 카메라 100의 방향을 검지한다. 방향검지부 55로 검지된 방향에 근거하여, 촬상부 22로 촬영된 화상이, 디지털 카메라 100을 수평위치에 보유하여서 촬영된 화상인지, 또는 수직위치에 보유하여서 촬영된 화상인지를 판정가능하다. 시스템 제어부 50은, 방향검지부 55로 검지된 방향에 따른 방향 정보를, 촬상부 22로 촬영된 화상의 화상 파일에 부가하거나, 그 화상을 회전된 위치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방향검지부 55로서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등을 사용할 수 있다.
조작부 70은, 시스템 제어부 50에 각종의 동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이다. 조작부 70은, 유저가 입력한 조작(유저 조작)을 접수하는 입력부로서 기능하는 각종 조작 부재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 70은, 모드 선택 스위치 60, 셔터 버튼 61, 메인 전자 다이얼 71, 전원 스위치 72, 서브 전자 다이얼 73, 4방향 키 74, SET버튼 75, LV버튼 76, 확대 버튼 77, 및 축소 버튼 78을 포함한다. 조작 부재는, 재생 버튼 79, 터치패널 70a, AF ON버튼 70b, Q버튼 70c, 액티브 프레임 선택 버튼 70d, 메뉴 버튼 70e, 펑션 버튼 70f, 및 정보 버튼70g을 포함한다. 조작부 70의 각 조작 부재는, 표시부 28, 또는, 외부기기 300에 표시되는 여러가지의 기능 아이콘을 선택 및 조작하는 것에 의해, 장면마다 적절한 기능을 할당하는, 특정 기능 버튼으로서 기능한다. 그 기능 버튼은, 예를 들면, 종료 버튼, 복귀 버튼, 화상이송 버튼, 점프 버튼, 조리개 좁힘 버튼, 및 속성변경 버튼이 있다.
모드 선택 스위치 60은, 각종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조작 부재다. 모드 선택 스위치 60은, 시스템 제어부 50의 동작 모드를 정지 화상 기록 모드, 동화상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으로 전환한다. 정지 화상 기록 모드에 포함되는 모드는, 예를 들면, 오토 촬영 모드, 오토 씬 판별 모드, 메뉴얼 모드, 조리개 우선 모드(Av모드), 및 셔터 속도 우선 모드(Tv모드)가 있다. 또한, 정지 화상 기록 모드는, 촬영 씬별의 촬영 설정이 되는 각종 씬 모드, 프로그램AE모드, 및 커스텀 모드도 포함한다. 모드 선택 스위치60을 사용하여, 이것들의 모드 중 하나로 모드를 전환한다. 모드 선택 스위치 60으로 촬영 모드의 일람 화면에 전환한 후에, 이 일람에 표시된 복수의 모드 중 하나에, 다른 조작 부재를 사용해서 전환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동화상 촬영 모드에도 복수의 모드가 포함되어도 좋다.
셔터 버튼 61은, 촬영 지시를 행하기 위한 조작 부재다. 셔터 버튼 61은, 제1셔터 스위치 62와 제2셔터 스위치 64를 구비한다. 제1셔터 스위치62는, 셔터 버튼 61의 조작 도중, 즉 반누름(촬영 준비 지시)으로 ON이 되고, 제1셔터 스위치 신호SW1을 발생한다. 시스템 제어부 50은, 제1셔터 스위치 신호SW1에 의해, AF처리, AE처리, AWB처리, EF처리등의 동작을 시작한다. 제2셔터 스위치 64는, 셔터 버튼 61의 조작 완료, 즉 완전누름(촬영 지시)으로 ON이 되고, 제2셔터 스위치 신호SW2을 발생한다. 시스템 제어부 50은, 제2셔터 스위치 신호SW2에 의해, 촬상부 22로부터의 신호 판독으로부터 기록 매체 200에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일련의 촬영 동작을 시작한다.
메인 전자 다이얼 71은 회전 조작 부재이며, 메인 전자 다이얼 71을 돌리는 것으로, 셔터 속도와 조리개의 설정 값의 변경하는 것 등의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전원 스위치 72는, 디지털 카메라 100의 전원의 ON/OFF를 전환하는 조작 부재다. 서브 전자 다이얼 73은, 회전 조작 부재이며, 서브 전자 다이얼 73을 돌리는 것으로, 선택 프레임의 이동이나 화상이송으로서의 동작을 행할 수 있다. 4방향 키 74는, 각 부(상, 하, 좌, 우)가 눌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4방향 키 74의 누른 부분에 따라 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방향 키 74가 하나의 집적된 조작 부재이지만, 상 버튼, 하 버튼, 좌 버튼, 우 버튼이 각각 독립된 방향으로서 설치되어도 좋다. 이하, 상 또는 하 부분을 "상하 키", 좌 또는 우 부분을 "좌우 키"라고 한다. SET버튼 75는, 푸시 버튼이며, 주로 선택 항목의 결정에 사용된다.
LV버튼 76은, 정지 화상 촬영 모드에 있어서 라이브 뷰(LV)의 ON/OFF를 전환하는 버튼이다. 동화상 촬영 모드에 있어서는, LV버튼 76은, 동화상 촬영(기록)의 시작 또는 정지의 지시에 사용된다. 확대 버튼 77은, 촬영 모드에서 라이브 뷰 표시를 행할 때 확대 모드의 ON/OFF의 전환 및 확대 모드에서의 확대율의 변경을 행하기 위한 조작 버튼이다. 재생 모드에 있어서는, 확대 버튼 77은, 재생 화상을 확대하거나, 그 확대율을 증가시키거나 하기 위한 확대 버튼으로서 기능한다. 축소 버튼 78은, 확대된 재생 화상의 확대율을 감소시켜서, 상기 표시된 화상을 축소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재생 버튼 79은, 촬영 모드와 재생 모드를 전환하는 조작 버튼이다. 촬영 모드에서 재생 버튼 79을 누르면, 재생 모드에 이행하여, 기록 매체 200에 기록된 화상 중 최신의 화상을 표시부 28 또는 외부기기 300에 표시시킬 수 있다.
터치패널 70a는, 터치패널 70a에 대한 접촉을 검지한다. 터치패널 70a와 표시부 28은 일체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터치패널 70a를, 광의 투과율이 표시부 28의 표시를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표시부 28의 표시면의 상층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패널 70a상의 입력 좌표와, 표시부 28상의 표시 좌표를 대응시킨다. 이에 따라, 유저가 표시부 28상에 표시된 화면을 통해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구성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 50은, 터치패널 70a에 접촉할 때 이하의 조작을 검출할 수 있거나, 혹은 터치패널 70a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터치패널 70a에 터치하지 않았던 손가락이나 펜이 처음으로 터치패널70a에 터치한 것, 즉 터치의 시작(이하, "터치다운"(Touch-Down)이라고 칭한다)
·터치패널 70a를 손가락이나 펜이 터치하고 있는 상태(이하, "터치 온"(Touch-On)이라고 칭한다)
·손가락이나 펜이 터치패널 70a를 터치한 채 이동하고 있는 것(이하, "터치 무브"(Touch-Move)라고 칭한다)
·터치패널 70a에 터치중이었던 손가락이나 펜이, 터치패널 70a로부터 릴리스 되는 것, 즉 터치의 종료(이하, "터치업"(Touch-Up)이라고 칭한다)
·터치패널 70a에 아무 것도 터치하지 않고 있는 상태(이하, "터치 오프"(Touch-Off)라고 칭한다)
터치다운이 검출되면, 동시에 터치 온이 검출된다. 터치다운의 뒤, 터치업이 검출되지 않는 한은, 통상은 터치 온이 계속해서 검출된다. 터치 무브가 검출되었을 경우도, 동시에 터치 온이 검출된다. 터치 온이 검출되는 경우에도, 터치 위치가 이동하지 않고 있으면 터치 무브는 검출되지 않는다. 모든 손가락이나 펜의 터치업이 검출되면, 터치 오프가 검출된다.
이것들의 조작, 상태, 및 터치패널 70a상의 손가락이나 펜이 터치하고 있는 위치 좌표는, 내부 버스를 통해서 시스템 제어부 50에 통지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 50은 통지된 정보에 근거해서 터치패널 70a상에 어떤 조작(터치 조작)이 행하여졌는지를 판정한다. 터치 무브에 대해서는, 터치패널 70a상에서 이동하는 손가락이나 펜의 이동 방향도, 위치 좌표의 변화에 근거하여, 터치패널 70a상의 수직성분 및 수평성분마다 판정될 수 있다. 소정거리이상을 터치 무브한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는, 슬라이드 조작이 행하여졌다고 판정한다. 터치패널 70a를 손가락을 터치한 채 어느 정도의 거리동안 재빠르게 움직이고 떼어 놓는 조작을, "플릭"이라고 부른다. 플릭은, 바꿔 말하면 터치패널 70a로부터 손가락을 떼어 놓을 때 재빠르게 이동하는 조작이다. 소정거리이상을, 소정속도이상으로 터치 무브한 것이 검출되고 그 직후 터치업이 검출되면, 플릭 조작이 판정된다(슬라이드 조작 직후에 플릭이 행해졌다고 판정된다). 더욱, 복수개소(예를 들면, 2점)를 동시에 터치하고, 이들의 터치 위치를 가깝게 모아 그리는 터치 조작을 "핀치 인(pinch-in)"이라고 칭하고, 이들의 터치 위치를 벌리는 터치 조작을 "핀치 아웃(pinch-out)"이라고 칭한다. "핀치 아웃"과 "핀치 인"을 총칭해서 "핀치 조작"(혹은 단지 "핀치")이라고 칭한다. 터치패널 70a는, 여러가지 방식(저항막방식, 정전용량방식, 표면탄성파 방식, 적외선방식, 전자 유도방식, 화상 인식 방식, 광 센서 방식)의 터치패널 중 어느쪽 방식의 터치패널도 사용할 수 있다. 터치패널을 접촉하여서 터치를 검출하는 방식이나, 터치패널에 대한 손가락이나 펜의 접근에 의해 터치를 검출하는 방식의 어느 한쪽이 사용되어도 좋다.
메뉴 버튼 70e는 푸시 버튼 스위치이며, 메뉴 버튼 70e를 누르는 것으로, 각종의 설정값을 설정하는 메뉴 화면이 표시부 28 또는 외부기기 300에 표시된다. 유저는, 표시부 28 또는 외부기기 300에 표시된 메뉴 화면, 4방향 키 74 및 SET버튼 75를 사용해서 직관적으로 각종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정보 버튼 70g는, 푸시 버튼 스위치이며, 각종 정보 표시의 전환등에 사용된다.
도3은, 디지털 카메라 100과 외부기기 300과의 접속을 나타내는 도다. 접속 케이블인 HDMI(등록상표)케이블 302를 사용하여, 디지털 카메라 100의 출력I/F 91과 외부기기 300과의 접속이 가능하다. HDMI접속이 행해지면, 디지털 카메라 100의 표시부 28이 소등하고, 디지털 카메라 100에 표시되어 있었던 화상이 외부기기 300의 표시부(외부 표시부) 301에 표시된다.
재생 모드 처리(본체)
도4는, 디지털 카메라 100에서 행해진 재생 모드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 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 52에 전개하고 시스템 제어부 50이 실행할 때 실현된다.
S4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디지털 카메라 100이 외부기기 300에 접속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디지털 카메라 100과 외부기기 300이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403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402의 처리로 진행된다.
S4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재생하는 화상의 파일로부터, 해당 화상의 정보를 취득한다. 취득되는 정보는, 메타데이터(속성정보를 포함한다), 파일명 등이다. 재생하는 화상의 파일은 기록 매체 200에 기록되고, 해당 화상의 정보는 기록 매체 200로부터 기록 매체I/F 18을 사용해서 시스템 메모리 52에 로딩된다.
S4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디지털 카메라 100과 외부기기 300의 접속 처리를 행한다. 접속 처리(외부접속 처리)의 상세한 것은 도5a∼5d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S4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402와 후술의 S424에서 취득한 정보(재생하는 화상의 메타데이터, 파일명등)에 근거하여, 재생하는 화상이 RAW화상(현상 처리전의 화상)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재생하는 화상이 RAW화상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406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405의 처리로 진행된다. RAW화상의 파일, 즉 RAW파일에는, RAW화상, 표시용 JPEG화상, DCF섬네일 화상 등이 포함되어 있다.
S4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402이나 후술의 S424에서 취득한 정보(재생하는 화상의 메타데이터, 파일명등)에 근거하여, 재생하는 화상이 JPEG화상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재생하는 화상이 JPEG화상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407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408의 처리로 진행된다. 여기에서의 JPEG화상은, RAW파일에 포함된 표시용JPEG화상이 아니고, 독립적인 JPEG파일이다.
S40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재생하는 RAW화상에 관련지어 기록된 표시용 JPEG화상(부대 화상)만을 기록 매체 200으로부터 판독하여, 표시부 28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10의 재생 화면 1000이 표시부 28에 표시된다. 재생 화면 1000은, JPEG화상(표시용 JPEG화상)에 근거해서 표시된 재생 화상 1001과, RAW화상을 표시중인 것을 나타내는 아이템(아이콘) 1002를 포함하고 있다. 각종 아이템으로서, 아이콘, 가이던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아이콘 1002는, 압축율과 화소수(해상도, 화상 사이즈)를 나타내는 아이콘이다. 압축률을 표시하므로, 이 화상이 재생 화상 1001을 압축해서 생성된 화상, 즉 이것이 RAW파일이 아니고 JPEG파일등의 압축 부호화된 화상 파일의 화상인 것을 식별할 수 있다.
S4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재생하는 JPEG파일을 기록 매체 200으로부터 판독하여, 표시부 28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10의 재생 화면 1010이 표시부 28에 표시된다. 재생 화면 1010은, JPEG화상에 근거해서 표시된 재생 화상 1001과, JPEG화상을 표시중인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 1012를 포함하고 있다.
S4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재생하는 동화상을 기록 매체 200으로부터 판독하여, 해당 동화상의 선두 프레임을 표시부 28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18b의 동화상 재생 준비 화면 1850이 표시부 28에 표시된다. 동화상 재생 준비 화면 1850은, 동화상의 선두 프레임의 화상 1851과, 해당 동화상의 재생 시작을 지시하기 위한 아이템 1852를 포함하고 있다. 동화상을 현재 표시중인 것을 나타내는 아이템이 동화상 재생 준비 화면에 포함되어도 좋다.
S40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조작 접수처리를 행한다. 디지털 카메라 100이 외부기기 300에 접속되지 않았을 경우의 조작 접수처리의 상세한 것은 도14a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S41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동화상 표시 처리를 행한다. 디지털 카메라 100이 외부기기 300에 접속되지 않았을 경우의 동화상 표시 처리의 상세한 것은 도8a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S4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유저에 의해 메뉴 버튼 70e가 누르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메뉴 버튼 70e가 누르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413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414의 처리로 진행된다. S412에서도, 시스템 제어부 50은, 메뉴 버튼 70e가 누르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메뉴 버튼 70e가 누르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413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415의 처리로 진행된다. S41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메뉴 처리를 행한다. 디지털 카메라 100이 외부기기 300에 접속되지 않았을 경우의 메뉴 처리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S41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유저에 의해 셔터 버튼 61의 반누름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셔터 버튼 61의 반누름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416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417의 처리로 진행된다. S415에서도, 시스템 제어부 50은, 셔터 버튼 61의 반누름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셔터 버튼 61의 반누름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416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418의 처리로 진행된다.
S41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촬영 모드 처리를 행한다. 촬영 모드 처리는, 촬영을 행하기 위한 모드다. 촬영 모드 처리에 의해, 예를 들면, 도13의 촬영 대기 화면 1300이 표시부 28에 표시된다. 촬영 대기 화면 1300은, 촬영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 1301, 디지털 카메라 100에서 설정된 각종 정보를 나타내는 아이콘 1302, 및, 피사체를 실시간으로 나타내는 라이브 뷰 화상 1303을 포함하고 있다. 촬영 모드 처리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촬영 지시에 따라서 촬영을 행하고, 해당 촬영 조작에 의해 얻어진 촬상 화상의 촬영 확인 화면(퀵 리뷰 화면)에, 표시부 28의 표시 화면을 자동적으로 전환한다. 예를 들면, 도13의 촬영 확인 화면 1310이 표시부 28에 표시된다. 촬영 확인 화면 1310은, 직전의 촬영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확인하는 화면이며, 직전의 촬영에 의해 얻어진 촬상 화상의 재생 화상 1311을 포함한다.
S41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디지털 카메라 100이 외부기기 300에 접속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디지털 카메라 100이 외부기기 300에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419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420의 처리로 진행된다. S418에서도, 시스템 제어부 50은, 디지털 카메라 100이 외부기기 300에 접속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디지털 카메라 100이 외부기기 300에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419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421의 처리로 진행된다. S41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도5a∼5d에 따라 후술하는 외부 접속 처리를 행한다.
S42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유저에 의해 전원 스위치 72가 조작되어서 전원 오프가 지시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전원 오프가 지시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재생 모드 처리를 종료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422의 처리로 진행된다. S421에서도, 시스템 제어부 50은, 전원 오프가 지시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전원 오프가 지시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재생 모드 처리를 종료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423의 처리로 진행된다.
S42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조작부 70을 사용한 화상 전환 조작이 유저에 의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화상 전환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424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409의 처리로 진행된다. S423에서도, 시스템 제어부 50은, 화상 전환 조작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화상 전환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424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410의 처리로 진행된다.
S42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다음에 재생하는 화상의 파일로부터, 해당 화상의 정보(메타데이터, 파일명 등)를 취득한다.
외부 접속 처리
도5a는, 외부 접속 처리(도4의 S403과 S419)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 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 52에 전개하여 시스템 제어부 50이 실행할 때 실현된다.
S5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외부기기 300이 HDR영상신호를 지원하는지(외부기기 300이 HDR표시를 행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외부기기 300이 HDR영상신호를 지원한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502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504의 처리로 진행된다. HDR은, 하이 다이내믹 레인지이며, 스탠다드 다이내믹 레인지(SDR)보다도 넓은 다이내믹 레인지다.
S5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디지털 카메라 100에 있어서 HDR출력 설정(HDR영상신호의 출력을 유효로 하는 설정, 즉, 보통의 상태로 HDR접속 모드를 설정하는 설정)이 유효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HDR출력 설정이 유효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503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504의 처리로 진행된다. HDR접속 모드는, HDR화상을 출력하는 접속 모드다.
S5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HDR접속 모드를 설정하고, 재생 모드 처리를 행한다. 디지털 카메라 100이 HDR접속 모드로 외부기기 300에 접속되어 있을 경우의 재생 모드 처리의 상세한 것은 도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S5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DR접속 모드를 설정하고, 재생 모드 처리를 행한다. SDR접속 모드는, SDR화상을 출력하는 접속 모드다. 디지털 카메라 100이 SDR접속 모드로 외부기기 300에 접속되어 있을 경우의 재생 모드 처리의 상세도 후술한다.
도5b는, 디지털 카메라 100과 외부기기 300이 상호접속되었을 경우의, 디지털 카메라 100과 외부기기 300 사이의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카메라 100과 외부기기 300이 HDMI접속에 의해 접속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S5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5V 신호의 송신 시작을 출력I/F 91에 지시하고, 출력I/F 91은 +5V 신호의 송신을 시작한다. 송신된 +5V 신호는, 접속 케이블 302의 +5V 신호선(도시되지 않음)을 통해서, 외부기기 300에 전송된다. 외부기기 300은, 접속 케이블 302을 통해 +5V 신호를 수신한다.
S512에서는, 외부기기 300은, +5V 신호의 수신에 의해, 접속 케이블 302를 통한 디지털 카메라 100의 접속을 검지한다.
S513에서는, 외부기기 300은, 접속 케이블 302의 핫 플러그 검출(HPD)신호선(도시되지 않음)에의 HPD신호의 송신을 시작한다. 디지털 카메라 100의 출력I/F 91은, 송신된 HPD신호를, 접속 케이블 302를 통해 수신한다. 출력I/F 91은, HPD신호를 수신하면, 시스템 제어부 50에 HPD신호의 수신을 통지한다.
S51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HPD신호의 수신 통지에 의해 외부기기 300의 접속을 검지한다. S514의 처리가, 도4의 S401, S417, 및 S418의 처리에 대응한다. 시스템 제어부 50은, HPD신호가 수신중인 기간에, 디지털 카메라 100이 외부기기 300에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하고, 그 이외의 기간에, 디지털 카메라 100이 외부기기 300에 접속되지 않고 있다고 판정한다.
S51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출력I/F 91을 제어하고, 확장된 디스플레이 식별 데이터(EDID) 요구 신호를 접속 케이블 302를 통해 송신한다. 송신된 EDID요구 신호는, 접속 케이블 302의 EDID신호선(도시되지 않음)을 통해서, 외부기기 300에 전송된다. 외부기기 300은, EDID요구 신호를 수신한다.
S516에서는, 외부기기 300은, 접속 케이블 302의 EDID신호선(도시되지 않음)에 EDID를 송신한다. 디지털 카메라 100의 출력I/F 91은, 송신된 EDID를 접속 케이블 302를 통해 수신한다. 출력I/F 91은, EDID를 수신하면, 시스템 제어부 50에 EDID의 수신을 통지한다.
S51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출력I/F 91에 대하여, S516에 있어서 수신한 EDID의 시스템 메모리 52에의 카피를 지시한다. 카피 완료후, 시스템 제어부 50은, 시스템 메모리 52에 전개된 EDID를 해석하고, 외부기기 300이 어떤 영상신호를 접수가능한가를 판단한다. S517의 처리가, 도5a의 S501의 처리에 대응한다.
S51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HDR출력 설정이 유효한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외부기기 300이 HDR영상신호를 접수가능하며, 또한, HDR출력 설정이 유효할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외부기기 300에 HDR영상신호를 출력한다고 판단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외부기기 300에 SDR영상신호를 출력한다고 판단한다. S518의 처리가, 도5a의 S502의 처리에 대응한다.
S51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출력I/F 91에 대하여, S518에서 판단한 영상신호(HDR영상신호 또는 SDR영상신호)의 송신 시작을 지시한다. S519의 처리가, 도5a의 S503과 S504의 처리에 대응한다.
S520에서는, 디지털 카메라 100의 출력I/F 91은, 접속 케이블 302의 변화 최소화 차분 신호(TMDS) 신호선(도시되지 않음)에, S518에서 판단된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외부기기 300은, 접속 케이블 302의 TMDS신호선(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이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S521에서는, 외부기기 300은, S518에 있어서 수신한 영상신호를 해석하고, 외부표시부 301의 구동 설정이 해당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없는 설정일 경우에는, 해당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설정으로 외부표시부 301의 구동설정을 전환한다.
S522에서는, 외부기기 300은, S518에 있어서 수신한 영상신호를 외부표시부 301에 표시한다.
도5c는, 외부기기 300과의 접속 모드를 SDR접속 모드로부터 HDR접속 모드로 전환할 경우의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다. 이 시퀀스에서는, 디지털 카메라 100과 외부기기 300과의 사이의 접속은 도5b에서 설명한 시퀀스에서 완료하고 있어, 여기서는 SDR접속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것이라고 한다.
S53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출력I/F 91에 대하여 SDR영상신호의 송신을 지시한다. S532에서는, 디지털 카메라 100의 출력I/F 91은, 접속 케이블 302의 TMDS신호선(도시되지 않음)에 SDR영상신호를 출력하고, 외부기기 300은, 접속 케이블 302의 TMDS신호선(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SDR영상신호를 수신한다. S533에서는, 외부기기 300은, S532에 있어서 수신한 SDR영상신호를 외부표시부 301에 표시한다.
SDR접속 모드가 설정중일 동안은, S531 내지 S533의 처리를 반복하여서 외부표시부 301에 SDR화상이 표시된다. 설정되어 있는 접속 모드가 SDR접속 모드로부터 HDR접속 모드로 전환되면, S534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S53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출력I/F 91에 대하여 SDR영상신호의 출력 정지를 지시한다. S535에서는, 디지털 카메라 100의 출력I/F 91은, 접속 케이블 302의 TMDS신호선(도시되지 않음)에의 SDR영상신호의 출력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외부기기 300은, 접속 케이블 302의 TMDS신호선(도시되지 않음)을 통한 SDR영상신호의 수신을 정지한다. S536에서는, 외부기기 300은, 디지털 카메라 100으로부터의 영상신호의 수신이 정지했기 때문에, 외부표시부 301에의 영상의 표시를 정지한다.
S53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출력I/F 91에 대하여 HDR영상신호의 송신을 지시한다. S538에서는, 디지털 카메라 100의 출력I/F 91은, 접속 케이블 302의 TMDS신호선(도시되지 않음)에 HDR영상신호를 출력하고, 외부기기 300은, 접속 케이블 302의 TMDS신호선(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HDR영상신호를 수신한다.
S539에서는, 외부기기 300은, S538에 있어서 수신한 영상신호를 해석하고, HDR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설정으로 외부표시부 301의 구동설정을 전환한다. S540에서는, 외부기기 300은, S538에 있어서 수신한 HDR영상신호를 외부표시부 301에 표시한다. 이때, S539와 S540에서의 처리 시간은 외부기기 300의 성능에 따라 다르고, 그 영상이 표시될 때까지 1초 내지 5초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도5d는, 외부기기 300과의 접속 모드를 HDR접속 모드로부터 SDR접속 모드로 전환할 경우의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다. 이 시퀀스에서는, 디지털 카메라 100과 외부기기 300과의 사이의 접속은 도5b에서 설명한 시퀀스에서 완료하고 있어, 여기서는 HDR접속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것이라고 한다.
S55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출력I/F 91에 대하여 HDR영상신호의 송신을 지시한다. S552에서는, 디지털 카메라 100의 출력I/F 91은, 접속 케이블 302의 TMDS신호선(도시되지 않음)에 HDR영상신호를 출력하고, 외부기기 300은, 접속 케이블 302의 TMDS신호선(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HDR영상신호를 수신한다. S553에서는, 외부기기 300은, S552에 있어서 수신한 HDR영상신호를 외부표시부 301에 표시한다.
HDR접속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동안은, S551 내지 S553의 처리를 반복하여서 외부표시부 301에 HDR화상이 표시된다. 현재 설정된 접속 모드가 HDR접속 모드로부터 SDR접속 모드로 전환되면, S554이후의 처리가 실행된다.
S55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출력I/F 91에 대하여 HDR영상신호의 출력 정지를 지시한다. S555에서는, 디지털 카메라 100의 출력I/F 91은, 접속 케이블 302의 TMDS신호선(도시되지 않음)에의 HDR영상신호의 출력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외부기기 300는, 접속 케이블 302의 TMDS신호선(도시되지 않음)을 통한 HDR영상신호의 수신을 정지한다. S556에서는, 외부기기 300은, 디지털 카메라 100으로부터의 영상신호의 수신이 정지했기 때문에, 외부표시부 301에의 영상의 표시를 정지한다.
S55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출력I/F 91에 대하여 SDR영상신호의 송신을 지시한다. S558에서는, 디지털 카메라 100의 출력I/F 91은, 접속 케이블 302의 TMDS신호선(도시되지 않음)에 SDR영상신호를 출력하고, 외부기기 300은, 접속 케이블 302의 TMDS신호선(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SDR영상신호를 수신한다.
S559에서는, 외부기기 300은, S558에 있어서 수신한 영상신호를 해석하고, SDR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설정으로 외부표시부 301의 구동설정을 전환한다. S560에서는, 외부기기 300은, S558에 있어서 수신한 SDR영상신호를 외부표시부 301에 표시한다. 이때, S559와 S560의 처리 시간은 외부기기 300의 성능에 따라 다르고, 그 영상이 표시될 때까지 1초 내지 5초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도5a∼5d의 설명에서는, 외부기기 300과의 접속에 HDMI접속을 사용했지만, Display Port나 그 밖의 디지털 접속부를 사용한 접속이 행해져도 좋다.
재생 모드 처리(HDR접속 모드)
도6은, HDR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이 되어 있을 경우의 재생 모드 처리(도5a의 S503)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 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 52에 전개해서 시스템 제어부 50이 실행할 때 실현된다.
S6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재생하는 화상의 파일로부터, 해당 화상의 정보(메타데이터, 파일명 등)를 취득한다.
S6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601과 후술의 S637에서 취득한 정보(재생하는 화상의 메타데이터와 파일명 등)에 근거하여, 재생하는 화상이 디지털 카메라 100으로 현상가능한 RAW화상(대응(compatible) RAW화상)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재생하는 화상이 대응RAW화상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603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12의 처리로 진행된다. 대응RAW화상은,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 100으로 촬영된 RAW화상이다. RAW화상 파일의 속성정보에 기록된, 해당 RAW화상을 촬영한 카메라 기종 정보 또는 RAW화상의 버전 정보에 근거하여, 디지털 카메라 100과 같은 기종으로 촬영된 RAW화상이었으면, 이 RAW화상이 대응RAW화상이라고 판정된다. 다른 기종으로 촬영된 RAW화상은, 비대응RAW화상으로서 판정될 수도 있다.
S6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재생하는 대응RAW화상에 관련지어 기록된 표시용 JPEG화상을, 기록 매체 200로부터 기록 매체I/F 18을 사용해서 메모리 32에 판독하여, 의사HDR변환 처리로 HDR화상으로 변환하고 나서 메모리 32에 기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의사HDR변환 처리는, 8비트의 계조분해능을 갖는 JPEG화상(특정 종별의 화상)을, 10비트 또는 12비트의 계조분해능을 갖는 HDR화상(의사HDR화상; 변환 화상)으로 변환하는 처리다. 예를 들면, BT.2020에서는, HDR화상의 계조분해능으로서 10비트의 계조분해능이 규정되어 있다. 일부의 경우에, HDR화상의 계조분해능으로서 12비트의 계조분해능이 규정되어 있다. 의사HDR변환 처리의 상세한 것은 도9a 및 9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S6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출력I/F 91을 제어하고, 메모리 32에 기억된 의사HDR화상을 디지털 신호 포맷으로 외부기기 300에 출력(공급)한다. 이에 따라, S603에서 메모리 32에 기록된 의사HDR화상은, 외부기기 300의 외부표시부 301에 표시된다(HDR표시). 예를 들면, 도10의 재생 화면 1020이 외부표시부 301에 표시된다. 재생 화면 1020은, 의사HDR화상 1021, HDR표시가 행해지는 중인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 1022, 및 RAW화상을 표시중인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 1002를 포함하고 있다. 대응RAW화상의 현상에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이 대응RAW화상을 현상하여서 생성된 HDR화상을 표시하기 전에, 해당 대응RAW화상과 관련된 표시용 JPEG화상을 의사HDR화상으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S6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조작부 70을 사용하여 화상 전환 조작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화상 전환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637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06의 처리로 진행된다.
S60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재생하는 대응RAW화상을 기록 매체 200로부터 기록 매체I/F 18을 사용해서 메모리 32에 판독한다.
S6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조작부 70을 사용하여 화상 전환 조작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화상 전환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637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08의 처리로 진행된다.
S6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606에서 메모리 32에 판독된 대응RAW화상으로부터 HDR화상을 생성하는 HDR생성 처리(HDR현상 처리)를 시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HDR생성 처리는, 소정의 디폴트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RAW화상으로부터 현상HDR화상을 생성하는 현상 처리(색처리를 포함한다)이다. 시스템 제어부 50은, 생성한 현상HDR화상을 메모리 32에 기록한다. HDR현상 처리는, RAW화상을 현상해서 8비트 SDR의 화상을 생성하는 현상 처리(예를 들면, RAW화상으로부터 JPEG화상을 생성하는 처리)와는 달리, 10비트 HDR화상을 생성하는 처리다.
S60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조작부 70을 사용하여 화상 전환 조작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화상 전환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637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10의 처리로 진행된다.
S61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608에서 시작한 HDR현상 처리가 완료하였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현상 처리가 완료하였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611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09의 처리로 진행된다.
S6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메모리 32에 기억된 현상HDR화상을 외부기기 300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S608의 HDR현상 처리에서 생성된 현상HDR화상은, S604에서 표시된 의사HDR화상 대신에, 외부기기 300의 외부표시부 301에 표시된다(HDR표시). 예를 들면, 도10의 재생 화면 1030이 외부표시부 301에 표시된다. 재생 화면 1030은, 현상HDR화상 1031, RAW화상을 표시중인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 1002, 및 HDR표시가 행해지는 중인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 1022를 포함하고 있다.
도10에 있어서, 재생 화면 1020의 의사HDR화상 1021과, 재생 화면 1030의 현상HDR화상 1031을 비교하면, 의사HDR화상 1021에서 과다노출된 하늘의 구름이 과다노출되지 않고, 현상HDR화상 1031에서는 계조가 표현되어 있다. 이것은, RAW화상과 HDR화상의 계조분해능이 JPEG화상등의 SDR화상의 계조분해능보다도 높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JPEG화상의 계조분해능은 낮기 때문에, JPEG화상에서는 노출과다가 쉽게 생성된다. JPEG화상으로부터 변환된 의사HDR화상의 경우에도, 해당 JPEG화상에서의 노출과다가 남아 있으므로, 노출과다가 쉽게 생성된다. 한편, RAW화상과 HDR화상의 계조분해능은 높기 때문에, RAW화상에서는 노출과다가 거의 생성되지 않고, RAW화상을 현상하여서 생성된 현상HDR의 경우에도, 노출과다가 거의 생성되지 않는다.
S61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601과 후술의 S637에서 취득한 정보(재생하는 화상의 메타데이터와 파일명 등)에 근거하여, 재생하는 화상이 디지털 카메라 100의 현상 처리에서 지원하지 않는 RAW화상(비대응RAW화상)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재생하는 화상이 비대응RAW화상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613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14의 처리로 진행된다.
S61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603과 마찬가지로, 재생하는 비대응RAW화상과 관련지어 기록된 표시용 JPEG화상을 의사HDR화상으로 변환한다.
S61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601과 후술의 S637에서 취득한 정보(재생하는 화상의 메타데이터와 파일명 등)에 근거하여, 재생하는 화상이 JPEG화상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재생하는 화상이 JPEG화상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615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17의 처리로 진행된다. 여기에서의 JPEG화상은, RAW파일에 포함된 표시용 JPEG화상이 아니고, 독립적인 JPEG파일의 화상이다.
S61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재생하는 JPEG화상을, 기록 매체 200로부터 기록 매체I/F 18을 사용해서 메모리 32에 판독하고, 도9a 및 9b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의사HDR변환 처리에서 의사HDR화상으로 변환하고 나서, 메모리 32에 기록한다.
S61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604와 마찬가지로, S613 및 S615에서 생성된 의사HDR화상을, 외부기기 300에 출력해서 표시한다(HDR표시). 예를 들면, 재생하는 화상이 비대응RAW화상일 경우에는, 도10의 재생 화면 1020과 같은 재생 화면이 외부표시부 301에 표시되고, 재생하는 화상이 JPEG화상일 경우에는, 도10의 재생 화면 1040이 외부표시부 301에 표시된다. 그 재생 화면 1020과 마찬가지로, 재생 화면 1040은, 의사HDR화상 1021과, HDR표시가 행해지는 중인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 1022를 포함하고 있다. 단, 재생 화면 1040은, RAW화상을 표시중인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 1002 대신에, JPEG화상을 표시중인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 1012를 포함하고 있다. 대응RAW화상의 경우와 달리, 이 단계 후에 의사HDR화상을 대응HDR화상으로 대체하지 않는다.
S61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재생하는 동화상의 선두 프레임의 화상을, 기록 매체 200로부터 기록 매체I/F 18을 사용해서 메모리 32에 판독하여, 후술의 의사HDR변환 처리에서 의사HDR화상으로 변환하고 나서 메모리 32에 기록한다.
S61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604와 마찬가지로, S617에서 생성된 의사HDR화상을, 외부기기 300에 출력해서 표시한다(HDR표시). 예를 들면, 도18b의 동화상 재생 준비 화면 1850과 같은 동화상 재생 준비 화면이 표시된다.
S61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조작 접수처리를 행한다. 디지털 카메라 100이 HDR접속 모드로 외부기기 300에 접속되어 있을 경우의 조작 접수처리의 상세한 것은 도14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S62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동화상 표시 처리를 행한다. 디지털 카메라 100이 HDR접속 모드로 외부기기 300에 접속되어 있을 경우의 동화상 표시 처리의 상세한 것은 도8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S62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메뉴 버튼 70e가 누르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메뉴 버튼 70e가 누르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623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26의 처리로 진행된다. S622에서도, 시스템 제어부 50은, 메뉴 버튼 70e가 누르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메뉴 버튼 70e가 누르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623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27의 처리로 진행된다.
S62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HDR접속 모드 플래그를 1에 설정한다. HDR접속 모드 플래그가 1에 설정되었을 경우에, 이것은, SDR접속 모드가 설정되기 직전에 HDR접속 모드가 설정되어 있었던 것과, 일시적인 SDR접속이 행해지고 있는 중인 것을 의미한다. S62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현재 설정된 접속 모드를 HDR접속 모드로부터 SDR접속 모드로 전환하고, SDR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을 위한 외부 접속처리(도5d에서 설명된 SDR접속 처리)를 행한다. S62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메뉴 처리를 행한다. 디지털 카메라 100이 외부기기 300에 접속되어 있을 경우의 메뉴 처리의 상세한 것은 도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렇게, HDR접속 모드에서의 접속 상태가 재생 화상(촬영된 화상)을 포함하지 않는 메뉴 화면에 천이할 때에, 그 접속 모드는 자동적으로 SDR접속 모드로 전환된다.
S62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셔터 버튼 61의 반누름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셔터 버튼 61의 반누름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628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31의 처리로 진행된다. S627에서도, 시스템 제어부 50은, 셔터 버튼 61의 반누름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셔터 버튼 61의 반누름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628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32의 처리로 진행된다.
S62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HDR접속 모드 플래그를 1에 설정한다. S62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현재 설정된 접속 모드를 HDR접속 모드로부터 SDR접속 모드로 전환하고, 도5d를 참조하여 설명한 SDR접속 처리(재접속 처리)를 행한다. S63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촬영 모드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촬영 모드 처리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도13의 촬영 대기 화면 1300을 외부기기 300에 출력해서 표시한다. 촬영 대기 화면을 표시한 상태(촬영 대기 상태)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촬영 지시에 따라서 촬영을 행한다. 촬영이 행해지면, 도13의 촬영 확인 화면 1310으로, 외부기기 300에의 출력 화면을 자동적으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외부표시부 301의 표시 화면을 촬영 확인 화면 1310으로 자동적으로 전환한다. 이렇게, 재생 모드에 있어서 HDR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의 상태를 촬영 모드로 전환하면, 그 접속 모드는 자동적으로 SDR접속 모드로 전환된다. HDR접속 모드 플래그가 1일 때, 촬영 모드에서 재생 버튼 79가 눌러져 그 모드가 다시 재생 모드로 전환되면, SDR접속 모드는 HDR접속 모드로 역으로 전환되고, 재생 화상을 표시한다.
S63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디지털 카메라 100이 외부기기 300에 접속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디지털 카메라 100이 외부기기 300에 접속되지 않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도4의 S402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33의 처리로 진행된다. S632에서도, 시스템 제어부 50은, 디지털 카메라 100이 외부기기 300에 접속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디지털 카메라 100이 외부기기 300에 접속되지 않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도4의 S402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34의 처리로 진행된다.
S63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전원 오프가 지시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전원 오프가 지시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재생 모드 처리를 종료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35의 처리로 진행된다. S634에서도, 시스템 제어부 50은, 전원 오프가 지시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전원 오프가 지시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재생 모드 처리를 종료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36의 처리로 진행된다.
S63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화상 전환 조작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화상 전환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637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19의 처리로 진행된다. S636에서도, 시스템 제어부 50은, 화상 전환 조작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화상 전환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637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620의 처리로 진행된다.
S63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601과 마찬가지로, 다음에 재생하는 화상의 파일로부터, 해당 화상의 정보(메타데이터, 파일명 등)를 취득한다.
이상이, HDR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의 경우의 재생 모드 처리다. 한편, SDR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의 경우의 재생 모드 처리에서는, 도4와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단, S401과 S403에 대응하는 처리는 행해지지 않고, 도4의 설명에 있어서의 "표시부 28"을 "외부표시부 301"로서 간주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S417에 대응하는 처리에서는, 디지털 카메라 100이 외부기기 300에 접속되지 않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S402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에 S420의 처리로 진행된다. 마찬가지로, S418에 대응하는 처리에서는, 디지털 카메라 100이 외부기기 300에 접속되지 않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S402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에 S421에 대응하는 처리로 진행된다. 다시 말해, SDR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의 경우에, 화면이 메뉴 화면으로 천이하거나, 혹은 모드가 촬영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접속 모드의 변경은 행하지 않는다.
메뉴 처리
도7은, 디지털 카메라 100이 외부기기 300에 접속되어 있을 경우의 메뉴 처리(도6의 S625)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 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 52에 전개해서 시스템 제어부 50이 실행할 때 실현된다.
S7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외부기기 300에 메뉴 화면을 출력해서 표시한다. 메뉴 화면등의 자연 영상이 아닌 화면의 경우에는, 문자, 아이콘, 배경 등의 색으로서 밝은 백색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도11의 메뉴 화면 1100이 외부표시부 301에 표시된다. 메뉴 화면 1100은, 복수의 메뉴 탭 1101과, 복수의 메뉴 항목 1102를 포함한다. 복수의 메뉴 항목 1102는, 메뉴 항목 1103∼1105를 포함한다. 메뉴 항목 1103은, HDR출력 설정의 유효/무효를 전환하기 위한 메뉴 항목이다. 메뉴 항목 1104는, 화상 프로텍트(화상을 삭제 불가로 해서 보호하는 속성)의 유효/무효를 전환하기 위한 메뉴 항목이다. 메뉴 항목 1105는, 복수의 화상을 순차로 표시하는 슬라이드 쇼 처리의 실행을 지시하기 위한 메뉴 항목이다.
S7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HDR출력 설정의 유효/무효를 전환하기 위한 메뉴 항목 1103이 유저에 의해 선택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메뉴 항목 1103이 선택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703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710의 처리로 진행된다. 메뉴 항목 1103이 선택되면, 시스템 제어부 50은, S701에서 출력한 메뉴 화면으로부터, HDR출력 설정의 유효/무효를 전환하기 위한 기본 설정 전환화면으로, 외부기기 300에의 출력 화면을 전환한다. 예를 들면, 외부기기 300에의 출력 화면이 도11의 메뉴 화면 1100으로부터 HDR출력 설정의 설정 화면 1110으로 전환되고, 외부표시부 301의 표시가 전환된다. HDR출력 설정의 설정 화면 1110은, 메뉴 화면 1100과 동종의 화면이지만, HDR출력 설정을 무효로 하기 위한 선택 항목 1111과, HDR출력 설정을 유효로 하기 위한 선택 항목 1112를 포함한다.
S7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HDR출력 설정을 무효("NO")로부터 유효("YES")로 전환하는 유저 조작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HDR출력 설정을 무효로부터 유효로 전환하는 유저 조작은, HDR출력 설정이 무효인 상태에서, HDR출력 설정을 유효하게 하기 위한 선택 항목 1112를 선택중이다. 이 유저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707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704의 처리로 진행된다.
S7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HDR출력 설정을 유효("YES")로부터 무효("NO")로 전환하는 유저 조작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HDR출력 설정을 유효로부터 무효로 전환하는 유저 조작은, HDR출력 설정이 유효한 상태에서, HDR출력 설정을 무효로 하기 위한 선택 항목 1111을 선택중이다. 이 유저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705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709의 처리로 진행된다.
S7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HDR출력 설정을 유효로부터 무효로 전환하고, 이 설정 값을 시스템 메모리 52에 기록한다. S70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HDR접속 모드 플래그를 0에 설정한다.
S7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HDR출력 설정을 무효로부터 유효로 전환하고, 그 설정 값을 시스템 메모리 52에 기록한다. S7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HDR접속 모드 플래그를 1에 설정한다.
S70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702로부터 S703의 처리로 진행될 때에 표시되었던 HDR출력 설정의 설정 화면으로부터 탑 메뉴 화면에 되돌아가는 유저 조작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유저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701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703의 처리로 진행된다.
S71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화상 프로텍트의 유효/무효를 전환하기 위한 메뉴 항목 1104가 유저에 의해 선택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 메뉴 항목 1104가 선택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711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713의 처리로 진행된다.
S7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701에서 출력한 메뉴 화면으로부터, 화상 프로텍트의 유효/무효를 전환하기 위한 프로텍트 설정 전환화면으로, 외부기기 300에의 출력 화면을 전환한다. 예를 들면, 외부기기 300에의 출력 화면이 도11의 메뉴 화면 1100으로부터 프로텍트 설정 전환화면 1120으로 전환되고, 외부표시부 301의 표시가 전환된다. 프로텍트 설정 전환화면 1120은, 화상 프로텍트의 유효/무효를 전환하는 대상의 화상 1121과, 이 화면이 프로텍트 설정 전환화면인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 1122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프로텍트 설정 전환화면 1120은, 화상 프로텍트의 유효/무효를 전환하기 위한 조작 부재가 SET버튼 75인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 1123을 포함하고 있다. 프로텍트 설정 전환화면 1120은, 프로텍트 설정 전환화면 1120으로부터 빠져나가기 위한 조작 부재가 메뉴 버튼 70e인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 1124를 포함하고 있다. SET버튼 75가 누르어질 때마다, 시스템 제어부 50은, 화상 프로텍트의 유효/무효를 전환한다. 화상 프로텍트가 유효할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화상 프로텍트가 유효한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 1125도 표시되도록, 출력 화면을 변경한다.
프로텍트 설정 전환화면 1120의 화상 1121은, 메뉴 처리의 직전에 재생된 화상, 기록 매체 200에 기록된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다른 유저 조작에 의해 선택된 화상 등이다. 화상 1121은, 대응RAW화상의 화상 파일의 화상인 경우도, 현재 설정된 접속 모드를 SDR접속 모드로부터 HDR접속 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표시된다. 다시 말해, 대응RAW화상이 프로텍트 설정의 대상일 경우에는, RAW화상 파일에 포함된 표시용 JPEG가 SDR접속 모드에서 출력된다. 메뉴 처리에서는, 화상의 선택 삭제, 화상에 대한 레이팅(중요도)등의 다른 속성의 부여, 화상의 속성변경, 트리밍등의 화상편집, 등을 행할 경우에도, 화상 1121과 같은 화상이 표시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현재 설정된 접속 모드를 HDR접속 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화상이 표시된다.
S71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711에서 표시된 프로텍트 설정 전환화면으로부터 메뉴 화면에 되돌아가는 유저 조작(메뉴 버튼 70e의 누름)이 행해졌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유저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701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711의 처리로 진행된다.
S71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슬라이드 쇼 처리의 실행을 지시하기 위한 메뉴 항목 1105가 유저에 의해 선택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 메뉴 항목 1105가 선택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714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715의 처리로 진행된다.
S71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슬라이드 쇼 처리를 행한다. 슬라이드 쇼 처리의 상세한 것은 도16a, 도16b, 도1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S71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메뉴 항목 1103∼1105이외의 메뉴 항목이 유저에 의해 선택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 메뉴 항목이 선택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716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717의 처리로 진행된다.
S71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715에서 선택된 메뉴 항목에 따라 그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화상의 선택 삭제, 화상에 대한 속성부여, 화상의 속성변경, 화상편집, 촬상 화상의 확인 시간의 변경, 전자음 출력의 유효/무효인 전환, 또는, 외부 스트로보스코프의 제어가 행해진다.
S71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유저에 의해 메뉴 처리 종료 조작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 메뉴 처리 종료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718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701의 처리로 진행된다.
S71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HDR접속 모드 플래그가 1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HDR접속 모드 플래그가 1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719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721의 처리로 진행된다.
S71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전술한 S501과 마찬가지로, 외부기기 300이 HDR을 지원하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외부기기 300이 HDR을 지원한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720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721의 처리로 진행된다.
S72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현재 설정된 접속 모드를 SDR접속 모드로부터 HDR접속 모드로 전환하고, HDR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을 위한 외부접속 처리(도5c에서 상술한 HDR접속 처리; 재접속 처리)를 행한다.
S72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DR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의 경우의 재생 모드 처리(도4의 변형)를 행한다.
S72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HDR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의 경우의 재생 모드 처리(도6)를 행한다.
이상이, 디지털 카메라 100이 외부기기 300에 접속되어 있을 경우의 메뉴 처리다. 디지털 카메라 100이 외부기기 300에 접속되지 않고 있을 경우에도, 도7과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단, S718∼S722에 대응하는 처리는 행해지지 않고, 도7의 설명에 있어서의 "외부표시부 301"을 "표시부 28"로서 간주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S717에 대응하는 처리에 있어서 메뉴 처리 종료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도4의 재생 모드 처리를 행한다.
동화상 표시 처리
도8a는, 디지털 카메라 100이 외부기기 300에 접속되지 않고 있을 경우의 동화상 표시 처리(도4의 S410)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 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 52에 전개해서 시스템 제어부 50이 실행할 때 실현된다. 이 처리가 시작될 때, 도18b의 동화상 재생 준비 화면 1850이 표시부 28에 표시되어 있다(도4의 S408).
S8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유저에 의해 동화상 재생의 지시가 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유저에 의해 동화상 재생의 지시가 되었을 경우는 S807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802의 처리로 진행된다.
S8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동화상 재생의 조작 패널의 표시 지시가 유저에 의해 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유저에 의해 조작 패널의 표시 지시가 되었을 경우는 S803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동화상 표시 처리를 종료한다.
S8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조작 패널을 표시부 28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12의 화면 1200이 표시된다. 화면 1200은, 재생 대상의 동화상의 프레임 1201, 동화상 재생에 관한 각종 유저 조작을 위한 조작 패널 1202, 및 동화상 표시 처리를 종료해서 재생 모드 처리에 되돌아가기 위한 유저 조작을 나타내는 아이콘 1203을 포함한다. 동화상의 재생을 시작하지 않은 경우에는, 동화상의 선두 프레임이 프레임 1201로서 표시되고, 동화상의 재생 중에는 프레임 1201로서 표시된 프레임이 시간 경과에 따라 순차로 변화된다. 조작 패널 1202은, 동화상의 재생 시작을 지시하기 위한 재생 버튼 1204를 포함한다. 조작 패널 1202는, 프레임 이송을 지시하기 위한 버튼, 프레임 되돌리기를 지시하기 위한 버튼, 및 슬로우 재생을 지시하기 위한 버튼도 포함한다. 또한, 조작 패널 1202는, 편집 모드에의 천이를 위한 버튼, 현재 표시된 프레임의 시간위치를 표현하는 인디케이터 바, 및 음량조정을 지시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한다. 아이콘 1203은, 동화상 표시 처리를 종료해서 재생 모드 처리에 되돌아가기 위해 행해지는 유저 조작이 메뉴 버튼 70e의 누름인 것을 나타낸다.
S8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유저에 의해 동화상 재생 지시(재생 버튼 1204의 선택 등)가 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유저에 의해 동화상 재생 지시가 되었을 경우는 S807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805의 처리로 진행된다.
S8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유저에 의해 동화상 표시 처리의 종료 지시(메뉴 버튼 70e의 누름 등)가 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유저에 의해 동화상 표시 처리의 종료 지시가 되었을 경우는 동화상 표시 처리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S806의 처리로 진행된다.
S80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다른 유저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 해당 유저 조작에 따라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재생시에 있어서의 동화상의 음량의 조정, 프레임 이송, 프레임 되돌리기, 슬로우 재생, 동화상 편집 등이 행해질 수도 있다.
S8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동화상 재생 처리를 행한다. 이에 따라, 동화상의 진행 영상이 표시부 28에 표시된다.
S8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유저에 의해 동화상 재생의 정지 지시가 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유저에 의해 동화상 재생의 정지 지시가 되었을 경우는 S803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807의 처리로 진행된다. S808로부터 S803의 처리로 되돌아갈 때에, 시스템 제어부 50은, 동화상 재생의 정지 처리를 행한다. 그에 따라, 화면 1200의 프레임 1201이 더 이상 변화되지 않는다.
SDR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이 되어 있을 경우의 동화상 표시 처리에서도, 도8a와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단, 도8a의 설명에 있어서의 "표시부 28"을 "외부표시부 301"로서 간주한다.
도8b는, HDR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이 되어 있을 경우의 동화상 표시 처리(도6의 S620)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 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 52에 전개해서 시스템 제어부 50이 실행할 때 실현된다. 이 처리의 시작 이전에는, 도18b의 동화상 재생 준비 화면 1850과 같은 동화상 재생 준비 화면이 외부표시부 301에 표시되어 있다(도6의 S618).
S8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유저에 의해 동화상 재생의 지시가 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유저에 의해 동화상 재생의 지시가 되었을 경우는 S821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812의 처리로 진행된다.
S82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현재 설정된 접속 모드를 HDR접속 모드로부터 SDR접속 모드로 전환하고, SDR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을 위한 외부접속 처리(도5d에서 상술한 SDR접속 처리; 재접속 처리)를 행한다. 계속해서, S817의 처리로 진행되고, 동화상 재생 처리를 행한다. 이에 따라, 동화상의 진행 영상이 외부기기 300에 출력되어, 외부표시부 301에 표시된다.
S81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동화상 재생의 조작 패널의 표시 지시가 유저에 의해 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유저에 의해 조작 패널의 표시 지시가 되었을 경우는 S822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동화상 표시 처리를 종료한다.
S82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현재 설정된 접속 모드를 HDR접속 모드로부터 SDR접속 모드로 전환하고, SDR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을 위한 외부접속 처리(도5d에서 상술한 SDR접속 처리; 재접속 처리)를 행한다. 계속해서, S813의 처리로 진행되고, 조작 패널을 외부기기 300에 출력하고, 외부표시부 301에 표시시킨다.
S814∼S818의 처리는, 전술의 S804∼S808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단, 영상의 출력처는 표시부 28이 아니고 외부기기 300이다.
동화상 재생의 조작 패널이 출력중인 상태에서, S815에서 동화상 표시 처리의 종료 지시가 행해졌다고 판정하면, S823의 처리로 진행된다.
S82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현재 설정된 접속 모드를 SDR접속 모드로부터 HDR접속 모드로 전환하고, HDR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을 위한 외부접속 처리(도5c에서 상술한 HDR접속 처리; 재접속 처리)를 행한다.
상술한 것처럼, HDR접속 모드에서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는, 화상 전환 조작으로 동화상이 선택되면, 화상 전환 조작후에 최초에 표시되는 동화상의 대표 화상으로서, S618에서 의사HDR화상으로 변환된 화상이 HDR접속 모드를 변경하지 않고, 출력된다. 그리고, 동화상을 재생하지 않고 다음 화상으로 전환할 경우에, 접속 모드의 전환 처리를 발생시키지 않고 다음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유저가 화상 전환 조작을 연속해서 행하는 중인 화상이송(또는 화상 되돌림)의 상태에서 접속 모드가 전환되지 않으므로, 유저는 쾌적한 속도로 화상전환을 연속해서 행할 수 있다. 한편, 의사HDR화상으로 변환된 동화상의 대표 화상이 표시중인 상태에서, 유저에 의해 동화상의 재생 지시나, 조작 패널의 표시 지시가 행해졌을 경우는, 이것은, 유저가 상기 표시된 동화상에 흥미를 갖고 시청중인 경우일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접속 모드를 HDR접속 모드로부터 SDR접속 모드로 전환하고(재접속하고) 나서, 동화상을 표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재접속의 처리 시간은 걸리지만, SDR화질로 기록된 동화상을 변환(의사HDR변환)하지 않고 표시할 수 있으므로, 기록된 대로 정밀하게 정확한 색깔로 동화상을 시청할 수 있다. 동화상의 시청이 종료하면, 접속 모드는 S823에서 자동적으로 원래의 HDR접속 모드로 되돌려진다.
의사HDR변환 처리
도9a는, 의사HDR변환 처리(도6의 S603, S613, S615 및 S617)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 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 52에 전개하여 시스템 제어부 50이 실행할 때 실현된다. 의사HDR변환 처리에서는, 화상의 계조분해능을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화상의 계조특성(계조값과 휘도의 대응 관계)이 변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의사HDR변환 처리에 의해, YCC422(BT.601, BT.601)의 SDR화상(예를 들면, JPEG화상)을 YCC422(ST.2084, BT.2020)의 의사HDR화상으로 변환하는 예를 설명한다. 여기에서, YCC(BT.601, BT.601)은, 색공간(계조특성, 계조분해능)=YCC422(BT.601에서 규정된 계조특성, BT.601에서 규정된 계조분해능)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YCC422(ST.2084, BT.2020)은, YCC422(ST.2084에서 규정된 계조특성, BT.2020에서 규정된 계조분해능)을 의미한다. 이하, 여기에서의 다른 기재에 대해서도, 같은 해석 방법이 적용된다.
S9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메모리 32에 기록된 YCC422(BT.601, BT.601)의 SDR화상의 색공간을, RGB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YCC422(BT.601, BT.601)의 SDR화상이, RGB(BT.601, BT.601)의 화상으로 변환된다.
S9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901에서 취득된 RGB(BT.601, BT.601)의 화상의 계조특성을, 계조값의 증가에 대하여 휘도가 선형으로 증가하는 선형특성으로 변환한다(소정의 γ커브를 사용한 γ변환). 이에 따라, RGB(BT.601, BT.601)의 화상이, RGB(선형특성, BT. 601)의 화상으로 변환된다.
S9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902에서 취득된 RGB(선형특성, BT. 601)의 화상의 계조분해능을, BT.2020에서 규정된 계조분해능으로 변환한다(CG변환). 이에 따라, RGB(선형특성, BT.601)의 화상이, RGB(선형특성, BT. 2020)의 화상으로 변환된다. BT.601에서 규정된 계조분해능으로부터 BT.2020에서 규정된 계조분해능으로 화상의 계조분해능을 높일 수 있으면, 색영역(표현가능한 색의 레인지)이 확장된다.
S9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903에서 취득된 RGB(선형특성, BT.2020)의 화상의 계조특성을, ST.2084에서 규정된 계조특성으로 변환한다(도9b의 γ커브를 사용한 γ변환). 이에 따라, RGB(선형특성, BT.2020)의 화상이, RGB(ST.2084, BT.2020)의 화상으로 변환된다. ST.2084에서 규정된 계조특성은, 인지 양자화(PQ)라고 불린다.
S9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904에서 취득된 RGB(ST.2084, BT.2020)의 화상의 색공간을, YCC422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RGB(ST.2084, BT.2020)의 화상이, YCC422(ST.2084, BT.2020)의 의사HDR화상으로 변환된다.
도4∼도9a,9b의 정리
본 실시예에 의하면, HDR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이 되지 않고 있을 경우에, (표시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현상 처리후의 화상이 표시되지 않지만, (표시에 시간이 덜 걸리는) JPEG화상이 표시된다(도4의 S406, S407, 및 S408). HDR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이 되어 있을 경우에도, (표시에 시간이 덜 걸리는) 의사HDR화상이 표시된다(도6의 S604, S616, 및 S618). (표시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현상HDR화상을 표시할 경우에는, 의사HDR화상이 표시된 후에, 의사HDR화상 대신해서 그 현상HDR화상이 표시된다(도6의 S604와 S611). 현상 처리나 RAW화상의 판독처리 등의 처리가 완료하기 전에, 다음 화상으로의 전환지시가 수신되면, 현재의 처리가 중단되고, 다음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처리가 행해진다(도6의 S605, S607, 및 S609의 Yes). 더욱, 접속 모드의 전환은 표시 시작의 지연을 초래하지만, HDR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을 계속(유지)한 채, JPEG화상이 의사HDR화상으로 변환되어서 표시된다(도6의 S616과 S618). 이에 따라, 여러가지의 화상이 적합하게 표시된다. 예를 들면, 여러가지의 화상을, 신속하게 표시하거나, 접속 모드를 전환하면서 표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저는 적합(쾌적)하게 화상을 감상할 수 있다.
더욱,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HDR표시의 재생 화면 1030으로부터, 밝은 백색이 자주 사용되어지는 메뉴 화면 1100으로 전환하는 지시가 수신되면, 접속 모드가 SDR접속 모드로 전환된다(도6의 S624). 이에 따라, 밝은 백색이 자주 사용되어지는 화면에 생성된 눈부심을 억제하고, 각 화면을 적합한 접속 모드로 표시할 수 있다.
접속 모드의 전환은 표시 시작의 지연을 초래한다. 그 때문에, 메뉴 항목에서 선택된 1개의 화면인 프로텍트 설정 전환화면 1120의 경우는, 화면에 HD화질로 표시가능한 촬영 화상(대응RAW화상 파일의 화상)이 포함되어 있어도, HDR접속 모드로 전환되지 않고, 해당 화면이 표시된다. 이에 따라, 조작의 흐름에 있어서, 접속 모드의 전환으로 인한 대기 시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촬영시에 HDR표시가 행해지면, 표시 화상과 촬상 화상이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HDR표시의 재생 화면 1030으로부터 촬영 대기 화면 1300으로 전환하는 지시가 수신되면, 접속모드는 SDR접속 모드로 전환된다(도6의 S629). 이에 따라, 표시 화상을 촬상 화상에 일치시킬 수 있어, 사용자 친근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촬영 확인 화면 1310의 표시도 SDR표시이므로, 접속 모드의 전환으로 인한 대기 시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유저는 촬영 결과의 확인이나 다음 촬영을 쾌적하게 행할 수 있다.
HDR표시의 재생 화면 1030과, 화면 1100, 1120, 1300, 1310과의 사이의 전환이 행해질 때마다, 접속 모드의 전환이 행해진다. 현재 설정된 접속 모드의 전환이 행해질 때에, 현재 설정된 접속 모드가 전환될 것을 통지하는 아이템(메시지 등)을 포함하는 화면이, 표시되어도 좋다.
촬상 화상을 출력하거나 표시하거나 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그 대신에 컴퓨터 그래픽을 출력하거나 표시하여도 좋다. 또한, SDR접속 모드 및 HDR접속 모드와는 다른 접속 모드가 설정되어도 좋다. SDR접속 모드로 출력되는 화상은 JPEG화상이 아니어도 좋고, 그 계조분해능은 8비트의 계조분해능이 아니어도 좋다. 예를 들면, 8비트의 계조분해능이하의 계조분해능을 갖는 화상이 SDR접속 모드로 출력되어도 좋다. HDR접속 모드로 출력되는 화상의 계조분해능은 10비트나 12비트가 아니어도 좋다. HDR생성 처리는, 현상 처리이외의 처리를 포함해도 좋거나, 현상 처리를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HDR생성 처리가 실행되는 화상의 종별은 RAW가 아니어도 좋다. 원하는 계조분해능과 원하는 계조특성을 갖는 화상이 취득될 수 있으면, 의사HDR변환 처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의사HDR변환 처리는 색공간의 변환을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하이브리드 로그 감마(HLG)라고 불리는 계조특성을 갖는 의사HDR화상이 취득되어도 좋다. 각종 화면도 상술한 것이 아니어도 좋다.
조작 접수처리
도14a는, 디지털 카메라 100이 외부기기 300에 접속되지 않고 있을 경우의 조작 접수처리(도4의 S409)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 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 52에 전개해서 시스템 제어부 50이 실행할 때 실현된다.
S14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정보 버튼 70g가 누르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정보 버튼 70g가 누르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1402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처리를 종료한다. S14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촬영 정보(촬영 설정 정보)를 표시부 28에 표시하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촬영 정보를 표시한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1403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1404의 처리로 진행된다. S14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휘도 히스토그램(화상의 휘도분포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을 표시부 28에 표시하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휘도 히스토그램을 표시한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1406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1405의 처리로 진행된다. S14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촬영 정보를 표시부 28에 표시한다. S14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휘도 히스토그램을 표시부 28에 표시한다. S140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촬영 정보와 휘도 히스토그램의 표시를 행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도15a는, 정보 버튼 70g의 누름에 의한 표시부 28의 표시의 천이를 나타낸다. 화상(대상화상) 1501만을 포함하는 화면 1500이 표시부 28에 표시되는 상태로 정보 버튼 70g가 누르어지면, 도14a의 S1404의 처리에 의해, 화면 1500로부터 화면 1510으로 표시부 28의 표시가 천이한다. 화면 1510에서는, 화상 1501의 상부와 하부에, 화상 1501의 촬영 정보 1511과 촬영 정보 1512가 각각 포개져 있다. 화면 1510이 표시부 28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정보 버튼 70g가 누르어지면, 도14a의 S1405의 처리에 의해, 화면 1510으로부터 화면 1520으로 표시부 28의 표시가 천이한다. 화면 1520은, 화상 1501을 축소하여 생성된 화상 1521, 화상 1501의 휘도 히스토그램 1522, 및, 화상 1501의 촬영 정보 1523을 포함한다. 화면 1520이 표시부 28에 표시되는 상태로 정보 버튼 70g가 누르어지면, 도14a의 S1406의 처리에 의해, 화면 1520으로부터 화면 1500으로 표시부 28의 표시가 천이한다.
화면 1510의 촬영 정보 1512와 화면 1520의 촬영 정보 1523와의 사이에서, 표시되는 정보표시 아이템(정보표시의 항목)의 종류와 사이즈가 다른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촬영 정보 1523은, 노출 보정의 정보 1524, 화이트 밸런스 설정의 정보 1525, 화이트 밸런스 설정을 보정하는 설정 정보 1526, 및, 화상의 샤프니스나 콘트라스트를 설정하는 픽처 스타일 설정의 정보 1527을 포함하고 있다. 이 정보는, 촬영 정보 1512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다른 설정 항목의 설정 내용, 화상의 RGB값의 분포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 화상의 색공간의 설정 정보 등이 화면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SDR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의 경우의 조작 접수처리에서도, 도14a와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여기서, 단, 도14a의 설명에 있어서의 "표시부 28"을 "외부표시부 301"로서 간주한다.
도14b는, HDR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이 되어 있을 경우의 조작 접수처리(도6의 S619)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 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 52에 전개해서 시스템 제어부 50이 실행할 때 실현된다.
S14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정보 버튼 70g가 누르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정보 버튼 70g가 누르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1412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처리를 종료한다. S141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촬영 정보를 외부기기 300에 출력하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촬영 정보를 출력한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1414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1413의 처리로 진행된다. S141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촬영 정보를 외부기기 300에 출력해서 표시한다. S141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촬영 정보의 출력을 행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도15b는, 정보 버튼 70g의 누름에 의한 외부표시부 301의 표시의 천이를 나타낸다. 화상 1531만을 포함하는 화면 1530이 외부표시부 301에 표시된 상태에서 정보 버튼 70g가 누르어지면, 도14b의 S1413의 처리에 의해, 화면 1530으로부터 화면 1540으로 외부표시부 301의 표시가 천이한다. 화면 1540에서는, 화상 1531의 상부와 하부에 화상 1531의 촬영 정보 1541과 촬영 정보 1542가 각각 포개져 있다. 또한, HDR표시(HDR접속 모드에서의 접속)가 행해지는 중인 것을 나타내는 아이콘 1543이 표시되어 있다. 화면 1540이 외부표시부 301에 표시된 상태에서 정보 버튼 70g가 누르어지면, 도14b의 S1414의 처리에 의해, 화면 1540으로부터 화면 1530으로 외부표시부 301의 표시가 천이한다.
이렇게, HDR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의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화면 1520에 나타낸 것처럼, 휘도 히스토그램을 표시하고, 화상을 축소해서 화상이외가 차지하는 면적의 큰 화면인 소정의 화면으로 천이하지 않도록 화면천이의 제어를 행한다. 이에 따라, HDR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이 되어 있을 경우에, 휘도 히스토그램은 더 이상 표시되지 않는다. 전술한 대로, 디지털 카메라 100의 본체 모니터인 표시부 28에는, 이 화상이 대응RAW화상이여도 RAW화상 파일에 포함된 표시용 JPEG가 SDR화질로 표시된다. 이때 표시된 히스토그램은, 표시부 28에 표시된 SDR화질의 화상에 근거해서 산출된다. 한편, 이 대응RAW화상을 HDR화질을 갖도록 현상해서 HDR화질로 표시할 때에, 본체 모니터의 경우와 같은 히스토그램을 표시해버리면, 유저가 외부표시부 301에서 본 영상과 히스토그램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다. 이것은, 본체 모니터의 히스토그램이, 표시된 HDR화질의 영상에 근거해서 산출된 히스토그램이 아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본체 모니터에서는, 백색부분이 포화되어 있고, 히스토그램이 많은 최대 휘도값을 갖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서도, 외부표시부 301에 HDR화상을 표시했을 경우에는, 백색 부분에 대해서 포화하는 부분이 적고, 본체 모니터보다도 계조가 좋게 화상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많은 최대 휘도값을 갖는 히스토그램은, 외부표시부 301에서의 화상의 외견과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것에 의해, 유저에게 위화감을 준다. 한편, 이러한 대응RAW화상을 현상하여서 생성된 HDR화질의 HDR화상에 근거해서 히스토그램을 산출해서 표시하면, 이들이 같은 화상에 관한 히스토그램인 경우에도, 본체 모니터상의 히스토그램과 외부표시부 301상의 히스토그램이 달라진다. 이 때문에, 역시, 유저에게 위화감을 준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HDR접속 모드로 화상을 출력중일 때 히스토그램을 표시하지 않아, 유저가 HDR화질의 영상을 보면서 히스토그램 정보를 참조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저의 위화감, 노출등에 대한 유저의 오판단, 유저에 의한 촬영 설정 오류 등을 억제할 수 있고, 유저가 의도하지 않는 촬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상을 축소해서 화상이외가 차지하는 면적(예를 들면 단색의 백색등으로 표시될 가능성이 있는 면적)이 큰 화면으로의 천이도 억제되기 때문에, 단색의 백색 표시등에 의한 화면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HDR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의 경우에는, 화면 1520과 같은 상세한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천이해도 좋다. 그러나, SDR표시와 HDR표시간에 화상을 다르게 보이게 하는 정보(휘도, 계조 및 색깔의 적어도 1개에 관한 정보 표시 아이템)는 표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노출 보정의 정보, 화이트 밸런스 설정의 정보, 화이트 밸런스 설정을 보정하는 설정 정보, 및 화상의 샤프니스와 콘트라스트를 설정하는 픽처 스타일 설정의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의 RGB값의 분포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과, 화상의 색공간의 설정 정보도 표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면 1540으로부터 화면 1530으로 천이시에, 시스템 제어부 50은, 휘도 히스토그램을 표시하는 화면에 천이할 수 없는 것을 통지하는 가이던스 1551을 포함하는 화면 1550을 외부기기 300에 일시적으로 출력해서 표시해도 좋다(도15c). 더욱, 시스템 제어부 50은, 가이던스 1551의 화면 1550을 출력한 후에, HDR접속 모드를 해제하고 SDR접속 모드를 설정할 것인가 아닌가의 판정을 재촉하는 가이던스를 포함하는 화면을 외부기기 300에 출력해서 표시해도 좋다. HDR접속 모드를 해제하는 지시가 수신되면, 시스템 제어부 50은, 현재 설정된 접속 모드를 HDR접속 모드로부터 SDR접속 모드로 전환하고, SDR접속 처리를 행한다. SDR접속 모드가 설정될 때, 화면 1520과 같은 화면으로 천이할 수 있게 된다. 소정의 역치이상의 휘도정보를 갖는 화상영역을 점멸 표시등으로 강조하는 처리(하이라이트 경고 표시)를 행할 수 있을 경우는, 화상 1531을 표시할 때 해당 하이라이트 경고 처리를 행하지 않아도 좋다.
슬라이드 쇼 처리
도16a는, 슬라이드 쇼 처리(도7의 S714)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 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 52에 전개해서 시스템 제어부 50이 실행할 때 실현된다.
S16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HDR접속 모드 플래그가 1에 설정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HDR접속 모드 플래그가 1에 설정되는 경우는 S1602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1603의 처리로 진행된다. S16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501과 마찬가지로, 외부기기 300이 HDR을 지원하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HDR을 지원한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1604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1603의 처리로 진행된다. S160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도16b의 슬라이드 쇼 처리를 실행한다. S16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도17의 슬라이드 쇼 처리를 실행한다.
도16b는, 도16a의 S1603에서 행해진 슬라이드 쇼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 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 52에 전개해서 시스템 제어부 50이 실행할 때 실현된다. 또한, 도16b의 슬라이드 쇼 처리에 있어서의 각종 화면은, 디지털 카메라 100이, 외부기기 300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에는 표시부 28에, 또는 SDR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외부표시부 301에 표시된다.
S16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도18a에 나타낸 슬라이드 쇼 시작 준비 화면 1800을 표시한다.
S161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슬라이드 쇼 처리에서 최초에 표시하는 화상의 파일로부터, 해당 화상의 정보(메타데이터, 파일명 등)를 취득한다.
S161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슬라이드 쇼 시작 준비 화면을 비표시로 한다.
S161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표시 대상의 화상을 표시한다. S1614의 처리는, 표시 대상이 정지 화상 파일의 화상일 경우는, 도4의 S404∼S407의 처리와 같다. 표시 대상이 동화상일 경우는 도8의 S807과 같은 처리다. 또한, 도4의 설명에서는 생략했지만, 화상을 표시할 때에, 시스템 제어부 50은, 표시하는 화상(화상 데이터)을 기록 매체 200로부터 판독하여 메모리 32에 전개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 50은, 전개한 화상의 포맷 사이즈를 표시부 28과 외부표시부 301에 표시할 수 있는 포맷 사이즈에 화상처리부 24를 사용하여 디코드 및 리사이즈 한다. 처리된 화상은 메모리 32에 기억된다.
S161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1614에서 화상이 표시된 이후 슬라이드 쇼의 화상마다의 표시 시간으로서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전환간격)이 경과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소정시간이 경과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1616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1617의 처리로 진행된다. 표시 대상이 동화상일 경우에는, S1615의 처리에서는 소정시간이 경과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대신에, 동화상을 종단까지 재생했는지, 또는 화상의 전환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판정이 된다. 동화상을 종단까지 재생했는지, 또는 화상의 전환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S1616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S1617의 처리로 진행된다.
S161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다음에 표시하는 화상의 파일로부터, 해당 화상의 정보(메타데이터, 파일명 등)를 취득한다.
S161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슬라이드 쇼 처리를 종료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 50은, 유저에 의해 슬라이드 쇼 종료의 지시가 되었을 경우, 또는 슬라이드 쇼 처리에서 재생 대상으로 삼아지는 모든 화상의 표시가 완료했을 경우에, 슬라이드 쇼 처리를 종료한다고 판정하고, 또는, 그렇지 않을 경우에 슬라이드 쇼 처리를 종료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슬라이드 쇼 처리를 종료한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슬라이드 쇼 처리를 종료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1615의 처리로 진행된다.
도17은, 도16a의 S1604에서 행해지는 슬라이드 쇼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처리는, 불휘발성 메모리 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시스템 메모리 52에 전개해서 시스템 제어부 50이 실행할 때 실현된다.
S170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DR접속 모드 플래그를 1에 설정한다. SDR접속 모드 플래그는, SDR접속 모드의 설정이 일시적인 것인가 아닌가를 나타낸다.
S170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슬라이드 쇼 시작 준비 화면을, 출력I/F 91을 통해 외부기기 300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도1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쇼 시작 준비 화면 1800이 외부표시부 301에 표시된다.
S17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슬라이드 쇼 처리에서 최초에 출력하는 화상의 파일로부터, 해당 화상의 정보(메타데이터, 파일명 등)를 취득한다.
S17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1704와 후술의 S1728에서 취득한 정보(출력하는 화상의 메타데이터, 파일명 등)로부터, 출력하는 화상이 동화상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출력하는 화상이 동화상일 경우는 S1706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1715의 처리로 진행된다.
S170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DR접속 모드 플래그가 0에 설정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SDR접속 모드 플래그가 0에 설정되는 경우는 S1707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1711의 처리로 진행된다.
S170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현재 설정된 접속 모드를 HDR접속 모드로부터 SDR접속 모드로 전환한다, 즉 도5d에서 설명된 SDR접속 처리를 행한다. S170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DR접속 모드 플래그를 1에 설정한다.
S170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출력하는 동화상을 기록 매체 200로부터 판독하여, 해당 동화상의 선두 프레임(정지 영상)을 외부기기 300에 출력해서 표시한다.
S171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선두 프레임을 출력하고나서 소정시간(SDR접속 처리에 필요로 한다고 추정된 시간보다도 긴 시간; 5초이상)이 경과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의 소정시간은, 전술의 전환간격(슬라이드 쇼의 화상마다의 표시 시간으로서 미리 설정된 시간)과는 무관계의 시간이며, 전술의 전환 시간과는 독립적으로 설정된 시간이다. 또한, 여기에서의 소정시간은, 적어도 동화상의 진행 영상을 출력할 경우의 프레임 레이트의 1프레임분의 시간(그 프레임 레이트가 30fps이면 1/30초)보다도 길다. 그 소정시간은, 적어도 0.3초다. 소정시간이 경과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1711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1710의 처리로 진행된다. 복수의 동화상의 출력이 연속할 경우에는, 두번째 이후의 동화상에 대해서는 S1706에서 판정 결과가 No가 되기 때문에, S1709의 처리(정지 영상의 출력)와 S1710의 처리(소정시간의 대기)는 생략된다.
S17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선두 프레임으로부터의 동화상 재생 처리를 행한다. 이에 따라, 동화상의 진행 영상이 외부기기 300에 출력되어 표시된다.
S171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유저에 의해 화상 전환 조작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화상 전환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1713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1714의 처리로 진행된다.
S171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동화상 재생의 정지 처리를 행한다.
S171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동화상이 종단까지(최종 프레임까지) 재생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동화상이 종단까지 재생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1728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1712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출력하는 화상이 정지 화상일 경우에는, S1715에서, 시스템 제어부 50은, SDR접속 모드 플래그가 1에 설정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SDR접속 모드 플래그가 1에 설정되어 있을 경우는 S1716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1718의 처리로 진행된다.
S171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현재 설정된 접속 모드를 SDR접속 모드로부터 HDR접속 모드로 전환하는, 도5C에서 설명된 HDR접속 처리를 행한다. S171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DR접속 모드 플래그를 0에 설정한다.
S171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1704와 후술의 S1728에서 취득한 정보(출력하는 화상의 메타데이터, 파일명 등)로부터, 출력하는 화상이 대응RAW화상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출력하는 화상이 대응RAW화상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1719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1722의 처리로 진행된다.
S171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출력하는 대응RAW화상을, 기록 매체 200로부터 판독하여, 시스템 메모리 32에 전개한다. S172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1719에서 그 시스템 메모리 32에 전개된 대응RAW화상으로부터 현상HDR화상을 생성하는 HDR현상 처리를 행한다. S172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1720에서 생성된 상기 현상HDR화상을 외부기기 300에 출력해서 표시한다.
S1722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1704와 후술의 S1728에서 취득한 정보(출력하는 화상의 메타데이터, 파일명 등)로부터, 출력하는 화상이 비대응RAW화상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출력하는 화상이 비대응RAW화상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1723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1724의 처리로 진행된다.
S172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출력하는 비대응RAW화상에 관련지어 기록된 표시용 JPEG화상을 의사HDR화상으로 변환한다. S172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출력하는 JPEG화상을 의사HDR화상으로 변환한다(도9a에서 전술한 처리). S1724의 JPEG화상은, RAW파일에 포함된 표시용 JPEG화상이 아니고, 독립적 JPEG파일의 화상이다. S172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1723 또는 S1724에서 생성된 의사HDR화상을 외부기기 300에 출력해서 표시한다.
S1726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S1721 또는 S1725에서 화상을 출력하고나서 소정시간(슬라이드 쇼에서 화상마다 표시 시간으로서 미리 설정된 전환간격)이 경과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소정시간이 경과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1728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1727의 처리로 진행된다. S1726의 소정시간과 S1710의 소정시간이 같거나 다른지에 상관없다.
S1727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유저에 의해 화상 전환 조작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화상 전환 조작이 행해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S1728의 처리로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1729의 처리로 진행된다.
S1728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다음에 출력하는 화상의 파일로부터, 해당 화상의 정보(메타데이터, 파일명 등)를 취득한다.
S1729에서는, 시스템 제어부 50은, 슬라이드 쇼 처리를 종료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슬라이드 쇼 처리를 종료한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는 슬라이드 쇼 처리를 종료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는 S1726의 처리로 진행된다.
도18a는, 도17의 슬라이드 쇼 처리에 있어서의 화면의 천이 예를 나타낸다.
우선, 도17의 S1702의 처리에 의해, 슬라이드 쇼 시작 준비 화면 1800이 외부표시부 301에 표시된다. 슬라이드 쇼 시작 준비 화면 1800이 표시되는 동안에, S1704의 정보취득이 행해진다.
최초의 출력 화상이, 대응RAW화상, 비대응RAW화상, 및 JPEG화상 중 어느 하나일 경우에는, HDR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S1721 또는 S1725의 처리에 의해, 이 화상들 중 하나의 화면 1810이 HDR접속 모드에서 외부표시부 301에 표시된다(HDR표시). 이 경우에, SDR접속 모드 플래그는 0이다. 이 상태에서, 화상 전환 조작에 의해 또는 소정시간이 경과할 때 다음 화상으로 전환되고, 다음 화상이 동화상인 경우는, S1707에서 SDR접속 처리가 행해진다.
S1707의 SDR접속 처리를 행하는 동안에는, 접속 모드의 전환 도중의 표시가 보이지 않도록, 화상의 출력이 정지되고, 외부표시부 301의 표시 화면이 화면 1810으로부터 화면 1820으로 천이한다.
여기에서, S1711의 동화상 재생 처리(진행 영상의 출력)가 즉시 행해진다고 생각한다. 이 경우에는, 외부표시부 301이 표시를 행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하기 전에, 진행 영상이 디지털 카메라 100으로부터 출력될 수도 있다. 준비가 완료하기 전에 그 진행 영상이 출력되면, 동화상의 초기부분이 외부표시부 301에 표시되지 않고, 동화상이 화면 18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화상의 도중으로부터 외부표시부 301에 표시되기 때문에, 유저가 초기부분을 볼 수 없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카메라 100은, SDR접속 처리후에, 동화상의 선두 프레임(정지 영상)을 출력하고,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동화상 재생 처리를 시작한다. 이에 따라, 화면 18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는 동화상을 처음부터 시청할 수 있다. 화면 1840은, 정지 영상의 화면이다. 화면 1840에는, 소정시간 경과후에 자동적으로 동화상 재생 처리가 행해지는 것을 나타내는 아이템 1841이 포함되어 있다.
동화상의 재생 시작을 지시하기 위한 아이템(도18b의 아이템 1852)을 정지 영상의 화면에 포함시키면, 유저는, 일부의 조작을 행하지 않으면 진행 영상이 표시되지 않을 것이라고 오해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그러한 아이템은 정지 영상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단, 외부표시부 301이 표시를 행하기 위한 준비가, 동화상 재생 처리가 자동적으로 행해지기 전에 표시가 완료할 수도 있다. 그 때문에, 시스템 제어부 50은, 정지 영상의 출력 후 소정기간에 수신된 소정의 유저 조작(동화상 재생 지시 등)에 따라, 진행 영상의 출력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유저는, 정지 영상의 출력 후 소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진행 영상을 볼 수 있어, 사용자 친근성이 향상한다.
도16a, 도16b, 도17의 정리
본 실시예에 의하면, 현재 설정된 접속 모드를 HDR접속 모드로부터 SDR접속 모드로 전환하여 동화상을 재생할 때의 경우에, 해당 전환 동안에 동화상의 정지 영상이 출력된다. 그리고, 정지 영상의 출력 시작 후 소정시간 경과할 때 자동적으로 동화상의 진행 영상이 출력된다. 이에 따라, 현재 설정된 접속 모드를 HDR접속 모드로부터 SDR접속 모드로 전환하여 동화상을 재생할 때에, 외부표시부 301이 표시를 행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하기 전에 그 진행 영상의 출력이 시작되어 동화상의 초기 부분이 표시되지 않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동화상을 초기 부분으로부터 유저에게 감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동화상의 재생 방법은, 도8b의 동화상표시 처리에도 적용가능하다. 다시 말해, 도8b의 S821 후에, 도17의 S1709, S1710의 처리를 행하고나서 S817의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SDR접속 모드와 HDR접속 모드의 전환뿐만 아니라, 다른 요인을 위해 요구된 접속 모드의 전환에도 상술한 처리를 행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동화상의 재생을 시작할 때에, 화상 사이즈(해상도)가 다른 접속 모드, 또는 프레임 레이트가 다른 접속 모드로 접속을 변경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 도17의 S1709, S1710의 처리를 행하고나서 동화상의 진행 영상을 출력해도 좋다. 예를 들면, 그 접속 모드가 2K 풀HD화질의 화상을 출력하는 상태에서, 4K 화질(4K 해상도, 즉, 횡4,000×종2,000정도의 해상도)의 동화상의 재생이 지시되었을 경우에, 4K 화질용의 접속 모드로 접속을 변경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이 예상된다. 이 경우에, 도17의 S1709, S1710의 처리를 행하고나서 동화상의 진행 영상의 출력을 시작하면, 유저가 4K 화질의 동화상의 초기 부분을 보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레임 레이트가 24p의 영상을 출력하는 접속 모드로 접속하고 있었을 경우에, 60p 프레임 레이트로 기록된 동화상의 재생이 지시되었을 경우에, 60p용의 접속 모드로 접속을 변경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이 예상된다. 이 경우에, 도17의 S1709, S1710의 처리를 행하고나서 동화상의 진행 영상의 출력을 시작하면, 유저가 60p에서의 동화상의 초기 부분을 보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 50이 행하는 것으로 하여 상술한 각종 제어는, 1개의 하드웨어 유닛으로 행해져도 좋거나, 각각의 역할을 하는 복수의 하드웨어(예를 들면, 복수의 프로세서들과 회로들)에 분담하여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해도 좋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의 여러가지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더욱, 상술한 각 실시예는 일례에 지나지 않고, 각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조합되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디지털 카메라(촬상 장치)에 적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기기에 화상을 출력가능한 어떠한 전자기기에도 적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PDA, 휴대전화단말, 휴대형 화상 뷰어, 프린터 장치, 디지털 포토 프레임, 음악 플레이어, 게임기, 전자 북 리더, 영상 플레이어, 표시장치(투영 장치를 포함한다), 타블렛 단말, 스마트 폰, 가전장치 및 차재장치에 적용가능하다.
촬상 장치본체뿐만 아니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촬상 장치(네트워크 카메라를 포함한다)와 통신하고, 촬상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가능하다. 촬상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장치의 예들로서는, 스마트 폰, 타블렛PC, 데스크 톱PC가 있다. 제어장치측에서 행해진 조작과 처리에 근거하여, 제어장치측에서 촬상 장치에 각종 동작과 설정을 행하게 하는 커맨드를 통지함에 의해, 촬상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촬상 장치에서 촬영한 라이브 뷰 화상을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해서 제어장치측에 표시해도 좋다.
상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출력I/F 91이 HDR접속 모드로 외부기기 300에 접속되었을 경우의 처리와, 출력I/F 91이 SDR접속 모드로 외부기기 300에 접속되었을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을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디지털 카메라 100으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는 여러가지의 표시 기기에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의 처리에 본 발명을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외부기기 300으로서 간주하는 외장형 EVF(전자 뷰 파인더) 유닛에 대하여 영상을 출력할 경우의 처리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 화상이 출력되는 디바이스는 외부기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디지털 카메라 100(촬상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 여러 가지의 전자기기)의 배면 모니터(표시부 28)나, 상기 표시부 28이나 내장형 EVF가 HDR영상신호를 지원하는(표시부 28이나 내장형 EVF가 HDR표시를 행할 수 있다) 경우의 내장형 EVF에의 영상출력 처리에, 본 발명을 적용가능하다. 일례로서, 표시부 28이 HDR표시를 행할 수 있고, 표시부 28의 표시 모드로서 HDR표시 모드 또는 SDR표시 모드를 선택해서 설정할 수 있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HDR표시 모드에서의 처리로서, 상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의 HDR접속 모드와 같은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SDR표시 모드에서의 처리로서, 상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의 SDR접속 모드와 같은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들의 처리에 의하면, 예를 들면, 이하의 전자기기가 개시된다.
전자기기로서,
제1계조분해능을 갖는 제1종의 화상을, 계조분해능을 상기 제1계조분해능보다도 높은 제2계조분해능으로 변환함과 아울러 계조특성을 변환하여서 생성된 변환 화상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표시부에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표시부를 위한 표시 모드를, 상기 제1계조분해능이하의 계조분해능을 갖는 화상을 표시하는 제1표시 모드와, 상기 제1계조분해능보다도 높은 계조분해능을 갖는 화상을 표시하는 제2표시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표시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제1표시 모드에서의 표시가 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1종의 화상을 상기 변환부로 변환하지 않고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고,
상기 제2표시 모드에서의 표시가 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1종의 화상을 상기 변환부로 변환해서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그리고, 상기 제2표시 모드(HDR표시 모드)의 설정을 유지한 채,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하는 화상의 소스를, 제2종의 화상(예를 들면, RAW화상)으로부터 상기 제1종의 화상(예를 들면, JPEG화상)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전자기기가 개시된다.
전자기기로서,
제1계조분해능을 갖는 제1종의 화상을, 계조분해능을 상기 제1계조분해능보다도 높은 제2계조분해능으로 변환함과 아울러 계조특성을 변환하여서 생성된 변환 화상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제1계조분해능보다도 높은 계조분해능을 갖는 제2종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제2계조분해능을 갖는 화상을 생성하는 생성부;
표시부에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제2종의 화상을 출력하는 경우에, 상기 제2종의 화상에 관련지어 기록된 상기 제1계조분해능을 갖는 화상인 부대(accompanying) 화상을 상기 변환부로 변환하여서 생성되며 상기 제2계조분해능을 갖는 변환 화상을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하고, 그 후, 상기 변환 화상 대신에, 상기 제2종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제2계조분해능을 갖는 화상을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전자기기로서,
표시부에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표시부를 위한 표시 모드를, 제1계조분해능이하의 계조분해능을 갖는 화상을 표시하는 제1표시 모드와, 상기 제1계조분해능보다도 높은 계조분해능을 갖는 화상을 표시하는 제2표시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표시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제2표시 모드에서의 표시가 되어 있는 경우와, 촬상부로 촬상된 촬상 화상을 포함하는 제1화면을 촬상 화상을 포함하지 않는 제2화면으로 전환하는 지시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설정된 표시 모드를 상기 제2표시 모드로부터 상기 제1표시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2화면을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 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 가능하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와,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17)

  1. 제1계조분해능을 갖는 제1종의 화상을, 계조분해능을 상기 제1계조분해능보다도 높은 제2계조분해능으로 변환함과 아울러 계조특성을 변환하여서 생성된 변환 화상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외부기기와 접속하는 접속부;
    상기 외부기기와의 접속 모드를, 상기 제1계조분해능이하의 계조분해능을 갖는 화상을 출력하는 제1접속 모드와, 상기 제1계조분해능보다도 높은 계조분해능을 갖는 화상을 출력하는 제2접속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접속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제1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1종의 화상을 상기 변환부로 변환하지 않고 상기 접속부로부터 출력하고,
    상기 제2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1종의 화상을 상기 변환부로 변환해서 상기 접속부로부터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을 유지한 채, 상기 접속부로부터 출력하는 화상의 소스를, 상기 제1계조분해능보다도 높은 계조분해능을 갖는 제2종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제1종의 화상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종의 화상에 대해서, 상기 제2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이 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제2종의 화상을 상기 변환부로 변환하지 않고, 상기 제2종의 화상에 근거하는 화상을 상기 접속부로부터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자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종의 화상에 대해서,
    상기 제1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2종의 화상에 관련지어 기록된 상기 제1계조분해능을 갖는 화상을 상기 접속부로부터 출력하고,
    상기 제2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2계조분해능을 갖는 화상을 상기 제2종의 화상으로부터 생성해서 상기 접속부로부터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자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종의 화상은 현상 처리를 행하기 전의 화상인, 전자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의 화상은 JPEG화상인, 전자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접속 모드가 상기 제2접속 모드로부터 상기 제1접속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상기 외부기기와의 재접속 처리가 행해지는, 전자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재접속 처리는 HDMI(등록상표)접속을 위한 처리인, 전자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에 의한 처리는, 화상의 색공간을 변환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화상의 색공간을 제1색 공간으로 변환하는 처리;
    상기 화상의 계조특성을 제1계조특성으로 변환하는 처리;
    상기 화상의 계조분해능을 상기 제1계조분해능으로부터 상기 제2계조분해능으로 변환하는 처리;
    상기 화상의 상기 계조특성을 제2계조특성으로 변환하는 처리; 및
    상기 화상의 상기 색공간을 제2색 공간으로 변환하는 처리를,
    순차로 행하는, 전자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색공간(계조특성, 계조분해능)=YCC(BT.601에서 규정된 계조특성, BT.601에서 규정된 계조분해능)의 화상을, YCC(ST.2084에서 규정된 계조특성, BT.2020에서 규정된 계조분해능)의 화상으로 변환하는, 전자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색공간(계조특성, 계조분해능)=YCC(BT.601에서 규정된 계조특성, BT.601에서 규정된 계조분해능)의 화상을, RGB(BT.601에서 규정된 계조특성, BT.601에서 규정된 계조분해능)의 화상으로 변환하는 처리;
    RGB(BT.601에서 규정된 계조특성, BT.601에서 규정된 계조분해능)의 화상을, RGB(선형특성, BT.601에서 규정된 계조분해능)의 화상으로 변환하는 처리;
    RGB(선형특성, BT.601에서 규정된 계조분해능)의 화상을, RGB(선형특성, BT.2020에서 규정된 계조특성)의 화상으로 변환하는 처리;
    RGB(선형특성, BT.2020에서 규정된 계조분해능)의 화상을, RGB(ST.2084에서 규정된 계조특성, BT.2020에서 규정된 계조분해능)의 화상으로 변환하는 처리; 및
    RGB(ST.2084에서 규정된 계조특성, BT.2020에서 규정된 계조분해능)의 화상을, YCC(ST.2084에서 규정된 계조특성, BT.2020에서 규정된 계조분해능)의 화상으로 변환하는 처리를,
    순차로 행하는, 전자기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계조분해능은 8비트의 계조분해능인, 전자기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계조분해능은, 10비트 또는 12비트의 계조분해능인, 전자기기.
  14. 외부기기와 접속하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제1계조분해능을 갖는 제1종의 화상을, 계조분해능을 상기 제1계조분해능보다도 높은 제2계조분해능으로 변환함과 아울러 계조특성을 변환하여서 생성된 변환 화상으로 변환하는 변환단계;
    상기 외부기기와의 접속 모드를, 상기 제1계조분해능이하의 계조분해능을 갖는 화상을 출력하는 제1접속 모드와, 상기 제1계조분해능보다도 높은 계조분해능을 갖는 화상을 출력하는 제2접속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접속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설정단계; 및
    상기 제1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1종의 화상을 상기 변환단계에서 변환하지 않고 상기 외부기기에 출력하고,
    상기 제2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1종의 화상을 상기 변환단계에서 변환해서 상기 외부기기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속 모드에서의 접속을 유지한 채, 상기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화상의 소스를, 상기 제1계조분해능보다도 높은 계조분해능을 갖는 제2종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제1종의 화상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15. 제1계조분해능을 갖는 제1종의 화상을, 계조분해능을 상기 제1계조분해능보다도 높은 제2계조분해능으로 변환함과 아울러 계조특성을 변환하여서 생성된 변환 화상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표시부에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표시부를 위한 표시 모드를, 상기 제1계조분해능이하의 계조분해능을 갖는 화상을 표시하는 제1표시 모드와, 상기 제1계조분해능보다도 높은 계조분해능을 갖는 화상을 표시하는 제2표시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표시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설정부; 및
    상기 제1표시 모드에서의 표시가 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1종의 화상을 상기 변환부로 변환하지 않고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고,
    상기 제2표시 모드에서의 표시가 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1종의 화상을 상기 변환부로 변환해서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표시 모드의 설정을 유지한 채, 상기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화상의 소스를, 상기 제1계조분해능보다도 높은 계조분해능을 갖는 제2종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제1종의 화상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기기.
  17. 제1계조분해능을 갖는 제1종의 화상을, 계조분해능을 상기 제1계조분해능보다도 높은 제2계조분해능으로 변환함과 아울러 계조특성을 변환하여서 생성된 변환 화상으로 변환하는 변환단계;
    표시부에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계;
    상기 표시부를 위한 표시 모드를, 상기 제1계조분해능이하의 계조분해능을 갖는 화상을 표시하는 제1표시 모드와, 상기 제1계조분해능보다도 높은 계조분해능을 갖는 화상을 표시하는 제2표시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표시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설정단계; 및
    상기 제1표시 모드에서의 표시가 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1종의 화상을 상기 변환단계에서 변환하지 않고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고,
    상기 제2표시 모드에서의 표시가 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제1종의 화상을 상기 변환단계에서 변환해서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KR1020180166846A 2017-12-27 2018-12-21 전자기기 KR201900795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51161A JP7005340B2 (ja) 2017-12-27 2017-12-27 電子機器
JPJP-P-2017-251161 2017-12-27
JP2017251132A JP6968690B2 (ja) 2017-12-27 2017-12-27 電子機器
JP2017251259A JP7091068B2 (ja) 2017-12-27 2017-12-27 電子機器
JPJP-P-2017-251115 2017-12-27
JPJP-P-2017-252110 2017-12-27
JP2017252110A JP6625113B2 (ja) 2017-12-27 2017-12-27 電子機器
JP2017251115 2017-12-27
JPJP-P-2017-251132 2017-12-27
JPJP-P-2017-251259 2017-12-27
JP2018212167A JP7191649B2 (ja) 2017-12-27 2018-11-12 電子機器
JPJP-P-2018-212167 2018-1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536A true KR20190079536A (ko) 2019-07-05

Family

ID=647553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846A KR20190079536A (ko) 2017-12-27 2018-12-21 전자기기
KR1020180166847A KR20190079537A (ko) 2017-12-27 2018-12-21 전자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847A KR20190079537A (ko) 2017-12-27 2018-12-21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0972674B2 (ko)
EP (2) EP3522000B1 (ko)
KR (2) KR20190079536A (ko)
CN (2) CN110049231B (ko)
BR (1) BR10201807687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2536A1 (ko) 2019-07-02 2021-01-07 근로복지공단 하이브리드형 의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44611A4 (en) * 2019-03-22 2022-03-09 FUJIFILM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PHOTOGRAPHING DEVICE AND PROGRAM
CN110730295B (zh) * 2019-11-29 2021-05-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摄像模组、电子设备、拍摄控制方法及装置
KR20210123927A (ko) * 2020-04-06 2021-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디바이스
CN114323594A (zh) * 2022-01-04 2022-04-12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器件的测试方法、处理设备和测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8565A (en) * 1994-02-15 1995-05-23 Eastman Kodak Company CFA compatible resolution reduction in a single sensor electronic camera
JPH09130824A (ja) * 1995-11-02 1997-05-16 Funai Electric Co Ltd 映像装置の文字表示時における映像処理方法
US5774126A (en) * 1995-11-27 1998-06-3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changing the color depth of objects displayed in a computer system
EP0781034B1 (en) * 1995-12-21 2004-03-2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3365413B2 (ja) 1997-04-16 2003-01-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における高速画像表示
JP3719180B2 (ja) 2001-09-27 2005-11-24 ソニー株式会社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出力機器
US20030201990A1 (en) * 2002-04-16 2003-10-30 Aldrich Bradley C. Color adaptation for multimedia devices
JP3987788B2 (ja) * 2002-11-26 2007-10-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JP4474153B2 (ja) 2003-12-04 2010-06-02 奇美電子股▲ふん▼有限公司 データ圧縮装置、圧縮データ復号装置、データ圧縮方法、データ圧縮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US20050206948A1 (en) * 2004-03-16 2005-09-22 Fuji Xerox Co., Ltd. Image formation assistance device, image formation assistance method and image formation assistance system
JP4401882B2 (ja) 2004-07-12 2010-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868211B2 (ja) * 2004-12-27 2012-02-0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
JP4448039B2 (ja) * 2005-01-26 2010-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P1852738A4 (en) * 2005-02-03 2012-03-21 Nikon Corp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CAMERA
JP3780294B2 (ja) * 2005-04-04 2006-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モニタ一体型撮像装置
KR100699265B1 (ko) * 2005-07-25 2007-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90086089A1 (en) * 2007-09-27 2009-04-02 Takayuki Matsui Video/audio output apparatus
KR20100039743A (ko) * 2008-10-08 2010-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JP5317825B2 (ja) 2009-05-18 2013-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CN102859995B (zh) * 2010-04-20 2015-11-25 富士胶片株式会社 成像装置和驱动固态成像器件的方法
US8793408B2 (en) * 2010-12-21 2014-07-29 Nikon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JP2012186769A (ja) * 2011-03-08 2012-09-27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3001784A1 (ja) * 2011-06-30 2013-01-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および映像再生装置
EP2745507A1 (en) 2011-09-27 2014-06-25 Koninklijke Philips N.V.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 range transforming of images
JP6190103B2 (ja) * 2012-10-29 2017-08-30 キヤノン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708439A (zh) 2014-06-26 2020-01-17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显示装置及数据输出方法
JP6134076B2 (ja) * 2014-09-08 2017-05-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記録媒体、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17033811A1 (ja) 2015-08-24 2017-03-02 シャープ株式会社 受信装置、放送システム、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68207A (ja) * 2015-10-02 2017-04-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72098B2 (ja) * 2015-11-12 2021-05-19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記録媒体、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8701471A (zh) 2016-02-26 2018-10-23 索尼公司 信息处理装置、显示装置、信息记录介质、信息处理方法、以及程序
JP6757157B2 (ja) 2016-03-29 2020-09-16 キヤノン株式会社 投影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10354579B2 (en) * 2016-06-21 2019-07-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emporarily increased refresh rate for a display panel in low power mode
KR102594201B1 (ko) * 2016-09-22 2023-10-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CN107087220A (zh) 2017-04-12 2017-08-22 深圳市瑞致达科技有限公司 智能播放设备及其控制方法、遥控终端和交互***
US10403214B2 (en) * 2017-05-12 2019-09-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tone mapping to accommodate simultaneous display of standard dynamic range and high dynamic range content
CN107277399B (zh) * 2017-06-09 2020-10-20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电视终端及hdr图像转为sdr的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154059B (zh) * 2017-06-26 2020-08-04 杭州当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动态范围视频处理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2536A1 (ko) 2019-07-02 2021-01-07 근로복지공단 하이브리드형 의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44860A1 (en) 2020-07-30
US10986280B2 (en) 2021-04-20
CN110049258A (zh) 2019-07-23
KR20190079537A (ko) 2019-07-05
US11050943B2 (en) 2021-06-29
CN110049231B (zh) 2021-08-10
EP3522000A1 (en) 2019-08-07
EP3522000B1 (en) 2024-03-13
CN110049258B (zh) 2022-03-25
BR102018076873A2 (pt) 2019-07-16
EP3506078A1 (en) 2019-07-03
US20190199901A1 (en) 2019-06-27
CN110049231A (zh) 2019-07-23
US10972674B2 (en) 2021-04-06
EP3506078B1 (en) 2024-04-24
US20190199904A1 (en)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06078B1 (en) Electronic apparatus
US11336836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691187B (zh) 电子装置、电子装置的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CN111385470B (zh) 电子设备、电子设备的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JP2007081732A (ja) 撮像装置
JP6968690B2 (ja) 電子機器
JP7091068B2 (ja) 電子機器
JP2018023046A (ja)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6312423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1116597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7005340B2 (ja) 電子機器
JP7191649B2 (ja) 電子機器
JP6625113B2 (ja) 電子機器
JP5261092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7493984B2 (ja) 電子機器
JP2024085697A (ja) 電子機器
JP6460785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JP2021034827A (ja) 撮像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016745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6634121A (zh) 电子装置、电子装置的控制方法和存储介质
JP2020167623A (ja) 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