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7858A - 볼 나사 - Google Patents

볼 나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7858A
KR20190067858A KR1020197013656A KR20197013656A KR20190067858A KR 20190067858 A KR20190067858 A KR 20190067858A KR 1020197013656 A KR1020197013656 A KR 1020197013656A KR 20197013656 A KR20197013656 A KR 20197013656A KR 20190067858 A KR20190067858 A KR 20190067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crew
return passage
ball return
b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3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9699B1 (ko
Inventor
게이타로 오카
Original Assignee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67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16H25/2204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balls
    • F16H25/2214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balls with elements for guiding the circulating balls
    • F16H25/2223Cross over deflectors between adjacent thread turns, e.g. S-form deflectors connecting neighbouring thr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4Elements essential to such mechanisms, e.g. screws,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1/00Bearings for parts which both rotate and move linearly
    • F16C31/04Ball or roller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외주면에 나선상의 제 1 나사 홈 (11) 이 형성된 나사축 (10) 과, 나사축 (10) 의 주위에 배치되고, 내주면에 나선상의 제 2 나사 홈 (21) 이 형성된 너트 (20) 와, 대향하는 양 나사 홈 (11, 21) 에 의해 형성되는 전동로 (23)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볼 (30) 과, 복수의 볼 (30) 을 1 감김 이하의 전동로 (23) 에서 순환시키기 위한 볼 복귀 통로 (42) 를 갖는다. 나사축 (10) 의 제 1 나사 홈 (11) 으로부터 픽업되는 볼 (30) 의 픽업 포인트 (43a, 43b) 사이에 있어서의 볼 복귀 통로 (42) 의 길이 (L) 는, 그 픽업 포인트 (43a, 43b) 사이에 충전되는 볼 수의 정수값에 대해, 볼 (30) 의 직경의 -0.1 ∼ +0.3 배로 한 값으로 설정된다.

Description

볼 나사
본 발명은, 볼 나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사축과 너트 사이에 형성되는 전동로를 순환하는 복수의 볼을 되돌리는 볼 복귀 통로를 너트의 내부에 배치한 내부 순환 방식의 볼 나사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스식의 볼 나사는, 각종 볼 나사 중에서도, 가장 컴팩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갖지만, 저속역에 있어서는, 스파이크상의 토크 파형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어, 저속역에서의 작동 특성이 다른 형식의 볼 나사와 비교하여 낮다. 이와 같은 피스식의 볼 나사 장치를 공작 기계의 이송계에 사용하면, 스파이크상의 토크 파형에서 기인하는 이송 속도의 불균일이 발생하여, 가공면에 줄무늬가 생기거나, 위치 결정 정밀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수평 상태로 배치되어 회전하는 나사축과, 그 나사축에 외측에서 끼우는 너트와, 나사축 및 너트의 볼 전동 홈에 의해 형성되는 궤도 내에 전동 가능하게 충전되는 복수의 볼과, 볼 복귀 홈을 갖고 너트에 내장되는 복수의 순환 피스를 구비하는 볼 나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복수의 순환 피스는, 너트의 축 방향으로 일렬로, 또한, 각 순환 피스의 위상이 거의 위가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볼 복귀 홈 내에 항상 간극을 발생시켜 볼의 클로깅 현상을 방지하고, 볼 통과 주기의 작동 토크의 변동을 억제하여, 작동 토크의 변동에 수반되는 문제의 억제를 도모하고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각 볼 사이에 탄성체를 개재시키고, 순환부 일단의 볼과 타단의 볼 사이에 작용하는 볼 출입 방향의 탄성체의 스프링 정수 (定數) 를 규정함으로써, 순환부 내에서의 볼의 출입 변동을 흡수하도록 한 볼 나사가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4733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08395호
그런데, 홈이나 원통 등에 의해 생긴 곡선로에 구체를 나열하여 이동시키면, 구체열의 전체 길이가 곡선로에 있어서의 구체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도 12 와 같은 곡선로에 구체 B 를 충전한 경우, 도 12 의 (a) 와 (b) 에서 구체 B 의 위치에 차가 있어, 그 전체 길이는 미묘하게 상이하다. 이것은, 구체 B 의 중심을 연결한 선 S1 이 홈의 중심선 S2 로부터 어긋나 쇼트컷되는데, 그 쇼트컷량이 구체 B 의 위치에 따라 변하는 것에서 기인한다. 요컨대, 도 12 와 같은 홈의 안을 구체열이 통과하면, 그 전체 길이 L1, L2 가 신축하게 된다.
만약, 무한하게 계속되는 구체열이 곡선로를 통과하면, 신축이 발생해도 전후에 구체 B 가 있어 신장되지 못하고, 구체 B 자신이 탄성 변형하여 신장을 없애게 된다. 그 결과, 신장되는 타이밍에서 구체 B 가 서로 밀며 부딪히기 때문에, 원활하게 곡선로를 통과할 수 없게 된다. 단, 신축량은 곡선로의 곡률 반경이나 곡선의 길이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신축량이 작아지는 곡선 형상을 알 수 있으면 원활한 구체 B 의 통과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구체열이 신축하면 곡선로의 출입구에 있어서, 구체 B 가 입구에 진입한 양과 출구로부터 나온 양이 동일하게 되지 않고 신축된 만큼 상이하다. 그 때문에, 이 현상을 출입 변동이라고 칭하고, 신축량을 출입 변동량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피스식 볼 나사는 순환 피스의 내부에 복잡한 3 차원 곡선 형상의 순환로를 갖고, 그 안을 강구열이 통과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출입 변동이 발생하여 강구가 순환로 내를 원활하게 순환하지 않는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볼 나사 장치에 의하면, 순환 피스를 끼워 맞추기 위한 구멍 또는 홈을 너트에 형성할 필요가 있어, 너트의 열 처리시에 변형되기 쉽다는 생산상의 과제가 있다. 또, 순환 피스 내에 있는 볼은, 부하를 받을 수 없어, 각 볼의 부하 밸런스가 나빠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볼 나사 장치의 수명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볼 나사는, 볼 사이에 탄성체를 개재시키는 만큼, 볼 수를 줄일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볼 나사의 부하 용량이 저감된다. 또, 조립시의 볼 충전 작업이 번잡해짐과 함께, 유연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되는 탄성체의 강도나 내마모성이 염려되어, 고속 회전 조건에서의 사용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볼이 볼 복귀 통로를 통과할 때의 출입 변동 (작동 토크 변동) 을 저감시켜, 저속시에 있어서의 작동 특성의 향상을 도모한 볼 나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하기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1) 외주면에 나선상의 나사 홈이 형성된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의 주위에 배치되고, 내주면에 나선상의 나사 홈이 형성된 너트와,
대향하는 상기 양 나사 홈에 의해 형성되는 전동로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볼과,
그 복수의 볼을 1 감김 이하의 상기 전동로에서 순환시키기 위한 볼 복귀 통로를 갖는 볼 나사로서,
상기 나사축의 나사 홈으로부터 픽업되는 상기 볼의 픽업 포인트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볼 복귀 통로의 길이는, 그 픽업 포인트 사이에 충전되는 상기 볼 수의 정수값에 대해, 상기 볼의 직경의 -0.1 ∼ +0.3 배로 한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나사.
(2) 상기 양 나사 홈의 리드각이 5°미만에 있어서, 상기 나사축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에 대한 상기 볼 복귀 통로의 최대 경사 각도는 20 ∼ 40°이고,
상기 양 나사 홈의 리드각이 5°이상 7°이하에 있어서, 상기 볼 복귀 통로의 최대 경사 각도는 20 ∼ 60°이고,
상기 양 나사 홈의 리드각이 7°초과에 있어서, 상기 볼 복귀 통로의 최대 경사 각도는 40 ∼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에 기재된 볼 나사.
(3) 상기 볼 복귀 통로는, 순환 피스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 에 기재된 볼 나사.
본 발명의 볼 나사에 의하면, 외주면에 나선상의 나사 홈이 형성된 나사축과, 나사축의 주위에 배치되고, 내주면에 나선상의 나사 홈이 형성된 너트와, 대향하는 양 나사 홈에 의해 형성되는 전동로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볼과, 복수의 볼을 1 감김 이하의 전동로에서 순환시키기 위한 볼 복귀 통로를 갖는다. 그리고, 나사축의 나사 홈으로부터 픽업되는 볼의 픽업 포인트 사이에 있어서의 볼 복귀 통로의 길이는, 그 픽업 포인트 사이에 충전되는 볼 수의 정수값에 대해, 볼의 직경의 -0.1 ∼ +0.3 배로 한 값으로 설정되므로, 볼이 볼 복귀 통로를 통과할 때의 출입 변동 (작동 토크 변동) 을 억제할 수 있어, 저속시에 있어서의 작동 특성이 향상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볼 나사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순환로를 통과하는 강구열과 함께, 나사축 및 순환 피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볼 나사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4 의 (a) 는, 나사축의 나사 홈과 순환 피스의 볼 복귀 통로를 나타내는 모식도, (b) 는, 볼의 픽업 포인트 사이에 충전된 볼 복귀 통로의 단면도이다.
도 5 의 (a) 는, 순환 피스의 볼 복귀 통로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 (b) 는, (a) 의 볼 복귀 통로 중심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은 볼 복귀 통로를 통과하는 볼의 거동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 의 (a) 는, 본 발명에 관련된 볼 나사의 출입 변동이 작은 토크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 (b) 는, 종래의 볼 나사의 출입 변동이 큰 토크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 은 볼 복귀 통로의 픽업 포인트 사이에 충전되는 볼 수와, 출입 변동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 는 나사축의 축 직경과, 출입 변동이 최소가 되는 픽업 포인트 사이에 충전되는 볼 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 은 출입 변동이 최소가 되는, 나사 홈의 리드각과, 볼 복귀 통로의 최대 경사 각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 은 볼 복귀 통로/볼의 직경과, 최소 출입 변동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 의 (a) 및 (b) 는, 구체의 위치에 따른 구체열의 전체 길이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볼 나사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볼 나사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순환로를 통과하는 강구열과 함께, 나사축 및 순환 피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볼 나사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내부 순환 방식의 볼 나사 (1) 는, 공작 기계나 산업 기계 등의 반송이나 정밀 위치 결정에 사용되는 것으로, 특히, 금형 가공 등의 고정밀도의 가공에 사용되는 고정밀도 공작 기계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볼 나사 (1) 는, 나사축 (10) 과, 너트 (20) 와, 복수의 볼 (30) 과, 복수의 순환 피스 (40)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나사축 (10) 은, 중심축 (CL) 을 중심으로 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소정의 리드를 갖는 나선상의 제 1 나사 홈 (11) 이 형성되어 있다.
너트 (20) 는 대략 원통상을 이루고, 그 내경은 나사축 (10) 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나사축 (10) 에 소정의 간극을 갖고 외측에서 끼워져 있다. 너트 (20) 의 일단부에는, 안내 대상과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 (25) 가 형성되어 있다. 너트 (20) 의 내주면에는, 나사축 (10) 의 제 1 나사 홈 (11) 과 동등한 리드를 갖고, 제 1 나사 홈 (11) 과 대향하는 제 2 나사 홈 (21)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나사축 (10) 의 제 1 나사 홈 (11) 과 너트 (20) 의 제 2 나사 홈 (21) 에 의해 단면 대략 원형상의 전동로 (2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전동로 (23) 내에 복수의 볼 (30) 이 전동 가능하게 충전 배치되어 있다.
또, 너트 (20) 의 내주면에는, 볼 (30) 을 바로 앞의 전동로 (23) 로 되돌리기 위한 복수의 순환 피스 (40) 가 장착되어 있다. 각 순환 피스 (40) 에는, 전동로 (23) 의 일단과 1 감김 바로 앞의 전동로 (23) 의 타단을 연결하는 볼 복귀 통로 (42)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 복귀 통로 (42) 에 의해, 각 순환 피스 (40) 를 향하여 전동로 (23) 를 굴러 오는 볼 (30) 을 나사축 (10) 의 직경 방향으로 픽업하고, 또한 나사축 (10) 의 나사산 (12) 을 타고 넘게 하여, 1 감김 바로 앞 (1 리드 바로 앞) 의 전동로 (23) 로 되돌림으로써 볼 (30) 을 순환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볼 복귀 통로 (42) 및 전동로 (23) 에 의해 나사축 (10) 의 외측에 대략 원환상의 무한 순환로 (24) 가 형성된다. 이로써, 너트 (20) 에 대한 나사축 (10) 의 상대적인 회전에 수반하여, 복수의 볼 (30) 이 무한 순환로 (24) 내를 무한 순환함으로써, 너트 (20) 가 나사축 (10) 에 대해 나사축 (10) 의 축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각 순환 피스 (40) 에 대해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순환 피스 (40) 는, 예를 들어 소결 합금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타원형의 부재이고, 그 내면에는, 대략 S 자형의 볼 복귀 통로 (42) 가 형성되어 있다. 볼 복귀 통로 (42) 는, 순환 피스 (40) 의 일단의 픽업 포인트 (43a) 에서, 나사축 (10) 의 제 1 나사 홈 (11) 으로부터 볼 (30) 을 픽업하고, 중간 통로 (45) 를 통하여 나사산 (12) 을 타고 넘어, 타단에 있는 픽업 포인트 (43b) 에서 볼 (30) 을 1 감김 바로 앞의 제 1 나사 홈 (11) 에 반송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픽업 포인트 (43a, 43b) 란, 나사축 (10) (제 1 나사 홈 (11)) 상에서의 볼 (30) 의 궤적 T1 과, 순환 피스 (40) 내에서의 볼 (30) 의 궤적 T2 의 접점, 즉, 나사축 (10) 상을 이동하는 볼 (30) 이, 궤적 T1 로부터 멀어지는 점이다.
또, 나사축 (10) 의 중심축 (CL) 에 직교하는 면 (S) 과, 볼 복귀 통로 (42) 내에서의 볼 (30) 의 궤적 T2 가 이루는 경사 각도는, 순환 피스 (40) 의 경로 상의 피스 중심 (C) 에서의 각도가 최대 경사 각도 (α) 가 된다. 또, 나사축 (10) 상에서의 볼 (30) 의 궤적 T1 과, 나사축 (10) 의 중심축 (CL) 에 직교하는 면 (S) 이 이루는 각도가, 나사 홈 (11, 21) 의 리드각 (β) 이 된다.
여기서, 발명자는, 예의 연구한 결과, 볼 복귀 통로 (42) 내, 엄밀하게는, 픽업 포인트 (43a, 43b) 사이에 충전되는 볼 수와, 출입 변동 사이에 관계성이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볼 복귀 통로 (42) 의 픽업 포인트 (43a, 43b) 사이의 길이를, 픽업 포인트 (43a, 43b) 사이에 충전되는 볼 수로 나타내지만, 볼 수에 미치지 못하는 길이에 대해서도, 편의상, 볼 (30) 의 직경으로 환산하여, 픽업 포인트 (43a, 43b) 사이에 충전되는 볼 수로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도 4(b) 는, 픽업 포인트 (43a, 43b) 사이에 충전되는 볼 수가 4.1 개 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출입 변동이란, 볼 복귀 통로 (42) 내에서의 볼 이동량의 차이고, 도 6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면 중, 하측의 볼 (30) 이 순환 피스 (40) 내를 향하여 0.917 ㎜ 이동한 것에 반하여, 상측의 볼 (30) 이 0.906 ㎜ 밖에 이동하고 있지 않다. 이 볼 이동량의 차에 의해 볼 (30) 의 순환에 불균일이 발생하여, 토크의 변동이 되어 나타난다.
예를 들어, 도 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입 변동의 차가 작은 (0.04 ㎜) 의 순환 피스 (40) 이면, 토크 파형의 변동이 작아진다. 한편,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입 변동의 차가 큰 (0.11 ㎜) 의 순환 피스 (40) 이면, 토크 파형의 변동도 커진다.
도 8 은, 나사축 (10) 의 축 직경을 50 ㎜ 로 했을 때의 일례에서는, 볼 복귀 통로 (42) 의 픽업 포인트 (43a, 43b) 사이에 충전되는 볼 수와, 출입 변동의 관계를 계산에 의해 구한 결과이고, 픽업 포인트 (43a, 43b) 사이에 충전되는 볼 수에 따라 출입 변동이 크게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이 경우, 볼 수가 4.2 부근에서, 출입 변동이 최소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나사축 (10) 의 축 직경이 20 ∼ 63 ㎜, 나사 홈 (11, 21) 의 리드가 5 ∼ 20 ㎜, 볼 직경이 1/8 ∼ 3/8 in 인 각종 볼 나사 (1) 에 대해, 출입 변동이 최소가 되는 픽업 포인트 (43a, 43b) 사이에 충전되는 볼 수를 계산에 의해 조사하였다.
도 9 는, 나사축의 축 직경과, 출입 변동이 최소가 되는 픽업 포인트 사이에 충전되는 볼 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따라서, 도 8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픽업 포인트 (43a, 43b) 사이에 있어서의 볼 복귀 통로 (42) 의 길이를, 그 픽업 포인트 (43a, 43b) 사이에 충전되는 볼 수의 정수값에 대해, 볼 (30) 의 직경의 -0.1 ∼ +0.3 배로 한 값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출입 변동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로써, 각종 볼 나사 (1) 에 있어서의 출입 변동은, 모두 0.05 ㎜ 이하의 최소의 값이 얻어진다.
또, 도 9 중, 도 7(a), 도 7(b) 는, 각각의 피스 설계값에서의 픽업 포인트 (43a, 43b) 사이에 충전되는 볼 수를 나타내고 있다.
또, 나사축 (10) 의 축 직경, 나사 홈 (11, 21) 의 리드, 볼 직경을, 도 9 의 조건과 동일 조건으로 하여, 출입 변동이 최소가 되는, 나사 홈 (11, 21) 의 리드각 (β) 과, 볼 복귀 통로 (42) 의 순환 피스 (40) 의 경로 상의 피스 중심 (C) 에서의 각도 (α) (최대 경사 각도) 의 관계를 계산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나사 홈 (11, 21) 의 리드각 (β) 이 5°미만에 있어서는 볼 복귀 통로 (42) 의 순환 피스 (40) 의 경로 상의 피스 중심 (C) 에서의 각도 (α) 를 20 ∼ 40°, 바람직하게는, 20 ∼ 30°로 설정하고, 양 나사 홈 (11, 21) 의 리드각 (β) 이 5°이상 7°이하에 있어서는 볼 복귀 통로 (42) 의 순환 피스 (40) 의 경로 상의 피스 중심 (C) 에서의 각도 (α) 를 20 ∼ 60°로 설정하고, 양 나사 홈 (11, 21) 의 리드각 (β) 이 7°초과에 있어서는 볼 복귀 통로 (42) 의 경로 상의 피스 중심 (C) 에서의 각도 (α) 를 40 ∼ 60°로 설정하면, 출입 변동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양 나사 홈 (11, 21) 의 리드각 (β) 에 따라, 경로 상의 피스 중심 (C) 에서의 각도 (α) 를 상기의 범위로 설정하면 된다.
또, 순환 피스 (40) 내의 볼 (30) 에 대해 볼 복귀 통로 (42) 의 폭이 넓으면, 볼 (30) 이 볼 복귀 통로 (42) 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나 버리기 때문에, 볼 (30) 의 나열이 불안정해져, 순환 피스 (40) 내에서의 볼 (30) 의 궤적 T2 에도 영향을 미친다. 볼 (30) 을 설계와 같이, 볼 복귀 통로 (42) 의 중앙 부근에 나열하기 위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 복귀 통로 (42) 의 폭 W 는, 볼 (30) 의 직경 × 1.07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순환 피스 (40) 내에서의 볼 (30) 의 궤적 T2 의 변동은, 볼 복귀 통로 (42) 의 곡률 반경 r 이 클수록 작아지는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각종 제원(축 직경 32 ∼ 63 ㎜) 의 볼 나사에 있어서, 볼 복귀 통로 (42) 의 곡률 반경 r/볼 (30) 의 직경을 1 ∼ 2.2 의 사이에서 변화시켰을 때에, 최소가 되는 출입 변동량을 계산하였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은 경로 변동을 얻기 위해서는, 볼 복귀 통로 (42) 의 곡률 반경 r/볼 (30) 의 직경을 1.5 이상으로 하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볼 복귀 통로 (42) 의 곡률 반경 r 의 최소값은, 볼 (30) 의 직경 × 1.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볼 (30) 의 직경 × 1.6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볼 (30) 의 직경 × 1.7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볼 나사 (1) 에 의하면, 외주면에 나선상의 제 1 나사 홈 (11) 이 형성된 나사축 (10) 과, 나사축 (10) 의 주위에 배치되고, 내주면에 나선상의 제 2 나사 홈 (21) 이 형성된 너트 (20) 와, 대향하는 양 나사 홈 (11, 21) 에 의해 형성되는 전동로 (23)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볼 (30) 과, 복수의 볼 (30) 을 1 감김 이하의 전동로 (23) 에서 순환시키기 위한 볼 복귀 통로 (42) 를 갖는다. 나사축 (10) 의 제 1 나사 홈 (11) 으로부터 픽업되는 볼 (30) 의 픽업 포인트 (43a, 43b) 사이에 있어서의 볼 복귀 통로 (42) 의 길이 (L) 는, 그 픽업 포인트 (43a, 43b) 사이에 충전되는 볼 수의 정수값에 대해, 볼 (30) 의 직경의 -0.1 ∼ +0.3 배로 한 값으로 설정되므로, 볼 (30) 이 볼 복귀 통로 (42) 를 통과할 때의 출입 변동 (작동 토크 변동) 을 억제할 수 있어, 저속시에 있어서의 작동 특성이 향상된다.
또, 이로써, 그 볼 나사 (1) 를 사용한 이송 장치는, 위치 결정 정밀도나 운동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양 나사 홈 (11, 21) 의 리드각 (β) 이 5°미만에 있어서, 나사축 (10) 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 (S) 에 대한 볼 복귀 통로 (42) 의 경로 상의 피스 중심 (C) 에서의 각도 (α) (최대 경사 각도) 는 20 ∼ 40°, 바람직하게는 20 ∼ 30°이고, 양 나사 홈 (11, 21) 의 리드각 (β) 이 5°이상 7°이하에 있어서, 볼 복귀 통로 (42) 의 경로 상의 피스 중심 (C) 에서의 각도 (α) 는 20 ∼ 60°이고, 양 나사 홈 (11, 21) 의 리드각 (β) 이 7°초과에 있어서, 볼 복귀 통로 (42) 의 경로 상의 피스 중심 (C) 에서의 각도 (α) 는 40 ∼ 60°이므로, 볼 (30) 이 볼 복귀 통로 (42) 를 통과할 때의 출입 변동 (작동 토크 변동) 을 더욱 억제할 수 있어, 저속시에 있어서의 작동 특성이 향상된다.
또, 볼 복귀 통로 (42) 는, 순환 피스 (40) 에 의해 구성되므로, 너트 (20) 의 가공이 복잡해지지 않고, 정밀도가 양호한 볼 복귀 통로 (42) 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절히 변형, 개량 등이 가능하다.
볼 복귀 통로 (42) 는, 볼 (30) 이 1 감김 이하의 전동로 (23) 에서 순환하도록 형성되면 되고, 임의의 형식이 채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너트 (20) 의 내면에 배치 형성한 순환 피스 (40) 에 의해 볼 복귀 통로 (42) 를 형성했지만, 순환 피스 (40) 에 한정되지 않고, 볼 복귀 통로를 내주면에 일체 형성한 너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07623호 참조) 여도 된다. 이 경우, 볼 복귀 통로가 너트와 일체화되므로, 볼 복귀 통로와 너트의 나사 홈이 단차 없이 형성되고, 볼 (30) 이 단차에 걸리지 않고, 매끄러운 작동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볼 복귀 통로는, 나사축의 외주면으로부터 볼을 이격시켜, 순환 피스에의해서만 볼 (30) 이 순환하도록 해도 되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1993-10412호 참조), 또, 볼 복귀 통로가, 터널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일본 특허 제4462458호 참조). 또한, 순환 피스는, 나사축의 나사 홈 내에 들어가는 텅 부분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본 출원은, 2016년 11월 1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6-221428호에 기초하는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받아들여진다.
1 : 볼 나사
10 : 나사축
11 : 제 1 나사 홈 (나사 홈)
20 : 너트
21 : 제 2 나사 홈 (나사 홈)
23 : 전동로
30 : 볼
40 : 순환 피스
42 : 볼 복귀 통로
43a, 43b : 볼의 픽업 포인트
L : 볼 복귀 통로의 길이
S : 나사축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
α : 볼 복귀 통로의 경로 상의 피스 중심에서의 각도 (최대 경사 각도)
β : 나사 홈의 리드각

Claims (3)

  1. 외주면에 나선상의 나사 홈이 형성된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의 주위에 배치되고, 내주면에 나선상의 나사 홈이 형성된 너트와,
    대향하는 양 상기 나사 홈에 의해 형성되는 전동로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볼과,
    그 복수의 볼을 1 감김 이하의 상기 전동로에서 순환시키기 위한 볼 복귀 통로를 갖는 볼 나사로서,
    상기 나사축의 나사 홈으로부터 픽업되는 상기 볼의 픽업 포인트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볼 복귀 통로의 길이는, 그 픽업 포인트 사이에 충전되는 상기 볼 수의 정수값에 대해, 상기 볼의 직경의 -0.1 ∼ +0.3 배로 한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나사.
  2. 제 1 항에 있어서,
    양 상기 나사 홈의 리드각이 5°미만에 있어서, 상기 나사축의 축 방향에 대해 수직인 면에 대한 상기 볼 복귀 통로의 최대 경사 각도는 20 ∼ 40°이고,
    양 상기 나사 홈의 리드각이 5°이상 7°이하에 있어서, 상기 볼 복귀 통로의 최대 경사 각도는 20 ∼ 60°이고,
    양 상기 나사 홈의 리드각이 7°초과에 있어서, 상기 볼 복귀 통로의 최대 경사 각도는 40 ∼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나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 복귀 통로는, 순환 피스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나사.
KR1020197013656A 2016-11-14 2017-11-10 볼 나사 KR1022696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21428 2016-11-14
JP2016221428 2016-11-14
PCT/JP2017/040531 WO2018088506A1 (ja) 2016-11-14 2017-11-10 ボールね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858A true KR20190067858A (ko) 2019-06-17
KR102269699B1 KR102269699B1 (ko) 2021-06-25

Family

ID=62110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3656A KR102269699B1 (ko) 2016-11-14 2017-11-10 볼 나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506269B2 (ko)
EP (1) EP3540263B1 (ko)
JP (1) JP7302171B2 (ko)
KR (1) KR102269699B1 (ko)
CN (1) CN109937316B (ko)
TW (1) TWI670429B (ko)
WO (1) WO20180885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19782B1 (en) * 2020-04-02 2022-11-23 NSK Ltd. Ball screw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6789A (ja) * 2002-07-04 2004-02-05 Nsk Ltd 循環コマ式ボールねじ
JP2004108395A (ja) 2002-09-13 2004-04-08 Ntn Corp ボールねじ
JP4651167B2 (ja) * 2000-08-22 2011-03-16 Ntn株式会社 リターンチューブ式ボールねじ
JP2012047333A (ja) 2009-12-25 2012-03-08 Nsk Ltd ボールね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412A (ja) 1991-07-05 1993-01-19 Mitsubishi Heavy Ind Ltd ボールねじ
JP4462458B2 (ja) 1999-12-14 2010-05-12 Thk株式会社 ボールねじ装置
JP2002227955A (ja) * 2001-02-06 2002-08-14 Nsk Ltd ボールねじ
JP2002295625A (ja) * 2001-03-30 2002-10-09 Ntn Corp ボールねじ
CN100344898C (zh) * 2001-09-12 2007-10-24 株式会社捷太格特 滚珠丝杠装置
JP2003184985A (ja) * 2001-12-17 2003-07-03 Nsk Ltd ボールねじ
JP4170015B2 (ja) 2002-04-18 2008-10-22 株式会社クラレ 偏光板
JP2004108454A (ja) * 2002-09-17 2004-04-08 Nsk Ltd ボールねじ用チューブガイド及びボールねじ並びにボールねじの製造方法
JP2004353835A (ja) * 2003-05-30 2004-12-16 Koyo Seiko Co Ltd ボールねじおよびこれを用いる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DE102004025683A1 (de) * 2004-05-26 2005-12-15 Ina-Schaeffler Kg Spindelmutter für einen Kugelgewindetrieb
JP2007263192A (ja) * 2006-03-28 2007-10-11 Ntn Corp 駒式ボールねじ
US9062748B1 (en) * 2009-09-30 2015-06-23 David B. Guglietti Ball screw nut
US20130220047A1 (en) * 2010-11-15 2013-08-29 Nsk Ltd Ball Screw
EP2650563B1 (en) * 2010-12-08 2020-03-25 NSK Ltd. Ball screw device
CN203146735U (zh) * 2012-09-27 2013-08-21 王勇卫 整体圆型内循环返向器
CN203948591U (zh) * 2014-07-01 2014-11-19 日本精工株式会社 内循环式滚珠丝杠装置
US10208843B2 (en) * 2015-03-16 2019-02-19 Linear Motion, Llc Recirculation crossover insert and linear motion assembly therewith
JP2016221428A (ja) 2015-05-28 2016-12-28 宇部興産株式会社 ガスの処理装置及びガスの処理カートリッ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1167B2 (ja) * 2000-08-22 2011-03-16 Ntn株式会社 リターンチューブ式ボールねじ
JP2004036789A (ja) * 2002-07-04 2004-02-05 Nsk Ltd 循環コマ式ボールねじ
JP2004108395A (ja) 2002-09-13 2004-04-08 Ntn Corp ボールねじ
JP2012047333A (ja) 2009-12-25 2012-03-08 Nsk Ltd ボールね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8088506A1 (ja) 2019-10-03
TWI670429B (zh) 2019-09-01
JP7302171B2 (ja) 2023-07-04
US11506269B2 (en) 2022-11-22
EP3540263B1 (en) 2023-11-22
CN109937316A (zh) 2019-06-25
EP3540263A1 (en) 2019-09-18
TW201823611A (zh) 2018-07-01
KR102269699B1 (ko) 2021-06-25
WO2018088506A1 (ja) 2018-05-17
CN109937316B (zh) 2022-09-13
EP3540263A4 (en) 2019-11-20
US20200191247A1 (en)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0282B2 (en) Ball screw assembly with enhanced radial load capacity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6675669B2 (en) Ball screw apparatus
US20100242651A1 (en) Rolling-element screw device
KR20100023763A (ko) 볼나사기구
KR20040054678A (ko) 볼 스크루 장치
KR20190067858A (ko) 볼 나사
JP2001182745A (ja) 直動案内軸受
JP5178889B2 (ja) ボールねじ
US6450055B1 (en) Ball screw apparatus
WO2017010407A1 (ja) ボールねじ、工作機械、及び搬送装置
JP5182145B2 (ja) ボールねじ
EP1347187B1 (en) Linear motion device
KR102411226B1 (ko) 볼 나사
JPWO2006068201A1 (ja) ボールねじ
JP2007002976A (ja) ボールねじ
JP2003329099A (ja) ボールねじ装置
JP2024013042A (ja) スプライン付きボールねじ
JP2004316660A (ja) ボールねじ装置
JP2003222220A (ja) 循環方式のボールねじ
JP2006189128A (ja) 直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