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879A - 준불연 건축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준불연 건축내장재 - Google Patents

준불연 건축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준불연 건축내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879A
KR20190054879A KR1020180058235A KR20180058235A KR20190054879A KR 20190054879 A KR20190054879 A KR 20190054879A KR 1020180058235 A KR1020180058235 A KR 1020180058235A KR 20180058235 A KR20180058235 A KR 20180058235A KR 20190054879 A KR20190054879 A KR 20190054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cotton fiber
manufacturing
interior material
fibe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2964B1 (ko
Inventor
김문옥
Original Assignee
김문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옥 filed Critical 김문옥
Publication of KR20190054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2001/742Use of special materials; Materials having special structures or sh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90Passive houses; Double facade techn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섬유를 포함한 준불연 건축내장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면섬유를 비팅(beating)연마하여 곤죽상태의 면섬유재를 얻고, 이를 팽창질석 또는 펄라이트의 다공성 광물 그래뉼과 혼합하여 곤죽상태의 판재조성물을 형성한 후 탈수과정을 거쳐 섬유판재를 얻고 이에 난연액을 함침하고 건조한 후 성형단계를 거침으로써 준불연 건축내장재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준불연 건축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준불연 건축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준불연 건축내장재{The manufacturing method of semi-inflammable interior panel and the interior panel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천연광물 그래뉼과 면(cotton)섬유를 포함한 준불연 건축내장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친환경적이며, 화재시 불에 타지 않으며 유독성 가스의 발생이 없는 벽지 또는 합판 대용의 건축마감재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드 표면에 엠보싱처리 및 다양한 무늬와 컬러를 연출할 수 있으며, 또한 보드 두께가 얇고 가벼워 내장재 시공이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건축내장재는 건축물의 공간을 구성하는 구조체의 내부면에 대한 마무리와 장식을 겸한 재료로, 판형재료(板形材料)가 주가 되어 면을 이루게 하는 것이 많은데, 내구성 ·질감(質感) ·촉감 등 각종 요구성능을 충족시켜야 하는데, 대표적으로 벽체내장재, 바닥재 및 천정재가 있다.
최근 화재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져 가는 가운데 불연내장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는 종래의 건축내장재가 대부분 유기화합물로 제조되어 화재 시에 인화성물질로 인하여 유독가스를 많이 배출하게 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준불연(난연2급)에 해당하는 자재로서는 석고보드, 마그네슘보드, CRC보드, 목모보드, 칼슘보드 등이 있으나, 이러한 자재는 표면이 미려하지 못하여 최종 마감재로 사용을 못하고 그 표면에 다시 도배, HPL, 데코필름, PET필름 등 물성이 다른 표면재를 선택하여 접착하여 사용하게 됨에 따라 표면재의 난연성 문제가 생기게 된다.
대부분 표면재는 난연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조하기 어렵고, HPL의 경우는 멜라민 수지에 모양지를 함침하여 제조하므로 가격이 상당이 높게 된다.
일반적으로 준불연 천장재는 제조원료에 따라서 크게 열경화성수지천장재인 smc천정재와 무기질섬유를 포함하는 천장재로 나눌 수 있다. smc 천장재는 방수가 필요한 화장실 등의 천장재로 많이 활용되고, 무기질섬유를 포함하는 천장재는 미네랄울(mineral wool)제품, 글래스울(glass wool)제품으로 무기질 섬유를 포함하는 제품이 있고, 석고와 함께 결합되는 텍스제품이 있다. 미네랄울(mimeral wool)제품은 인조광물을 섬유화한 세라믹섬유로 제조된 것이며, 글라스울(glass wool)제품은 규사, 파(波)유리(cullet) 등 유리 원료를 섬유상으로 하여 제조된 것이다.
그 외 바닥내장재, 벽체 내장재가 있으며, 이들은 대체로 단단한 패널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최근 건축물 화재발생으로 인해서 인명피해가 속출하게 됨에 따라서 건축물의 불연 또는 준불연 내장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준불연 내장재는 통상적으로 무기섬유 또는 광물을 포함함으로써 불연재료라는 점에서 화재발생시에 유리한 점이 있으나, 펠트제조기법에 의해서 제조해야 하므로 디자인을 다양화하는 것이 곤란하고 제조단가가 비싸다. 무엇보다도 내장재에서 발생하는 광물분진으로 인해서 호흡기에 좋지 않아 기피되고 있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제품의 무게가 무거워 시공이 곤란하고 충격에 약한 단점이 있다.
최근 펄라이트 또는 질석을 이용한 흡음패널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 또한 여러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특허문헌 1에는 규산소다 및 팽창질석을 이용한 패널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발명은 규산소다 및 팽창질석을 이용한 패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팽창 질석에 상기한 팽창 질석과 동일한 중량의 액상 규산 소다를 가압분무기를 사용하여 골고루 분사하는 분사 과정과, 상기한 바와 같이 액상 규산 소다가 분무코팅된 팽창 질석을 몰드에 원하는 두께의 0-40% 초과하는 두께로 투입하여 원하는 두께로 가압성형하는 성형 과정과, 상기한 바와 같이 성형된 패널을 마이크로웨이브 건조기에서 2000-3000MHz, 500-1500W로 조사하여 건조하는 건조 과정으로 구성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패널의 내부부터 외부가 균일한 강도를 갖도록 하며 팽창질석의 다공성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경량성을 갖도록 한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내장재로 사용될 수 있는 불연성 흡음재 제조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발명은 제1무기바인더와 팽창질석을 1:1의 중량부 비율로 혼합하는 제1혼합단계, 상기 제1혼합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제1무기바인더가 코팅된 팽창질석 60 내지 80 중량부와 제2무기바인더 20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하는 제2혼합단계, 상기 제2혼합단계를 거친 혼합물을 압축성형하는 성형단계 및 상기 성형단계를 통해 압축성형된 혼합물의 표면을 가공하는 가공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흡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 2에 개시된 발명의 흡음재 및 패널은 팽창질석들이 무기바인더와 함께 몰드에 넣은 후에 프레스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제조하기 때문에 생산의 자동화에 한계가 있어서 생산단가가 높다. 또한 무기바인더에 의해서 결합되므로 작은 충격도 쉽게 파손될 수 있으며, 따라서 지진이 발생하는 경우 내장재의 낙하로 위험한 사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원석 자체의 불균일한 생상으로 인하여 디자인이나 컬러의 다양한 연출이 곤란하다.
그리고 종래기술의 내장 패널들은 제조단가가 높다보니 공사비가 높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서 건물의 화재의 위험에도 불구하고 건물주들이 건물 내장재의 교체를 망설이게 되어 결과적으로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를 막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1. 국내등록특허 제10-0895213호 2. 국내등록특허 제10-1133931호
본원 발명은 준불연 건축내장재로서 화염에 강하고 독성 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준불연 건축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건축내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불연성 건축내장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제조단가가 현저하게 저렴하고 또한 가벼워 시공이 편리하며 충격에 강한 준불연 건축내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은 면섬유재를 잘게 재단한 후에 비터(beater)가 설치된 수조탱크 내에서 물과 함께 비팅연마함으로써 곤죽상태의 면섬유재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곤죽상태의 면섬유재에 팽창질석, 펄라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비중이 가벼운 천연광물 그래뉼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투입하고 혼합하여 곤죽상태의 혼합조성물을 획득하는 단계;
물을 포함하는 상기 곤죽상태의 혼합조성물을 망(mesh)위에 토출하여 판재화한 후에 탈수하는 판재획득 단계;
상기 탈수된 판재에 난연액을 함침하고, 건조기에 의해서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건축내장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곤죽상태의 면섬유재에 팽창질석 그래뉼만을 투입하여 곤죽상태의 혼합조성물을 만들 수 있지만, 이때 팽창질석은 끈적거리는 성질이 있어서 서로 뭉치게 되고 면섬유재와 골고루 혼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바람직하게는 펄라이트, 일라이트, 규조토 그래뉼 중 적어도 하나를 곁들여서 투입하여 교반성을 좋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조공정에 의해서 제조된 준불연 건축내장재는 최종적으로 적당길이로 재단하고 일정 패턴으로 성형하여 완성한다.
본원 발명은 천연광물인 팽창질석 또는 펄라이트의 다공성 천연광물 그래뉼을 이용하여 내장재를 제조하는 것이므로, 불연성을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면섬유의 미세한 섬유질에 의해서 천연광물 그래뉼들이 응집 결합하기 때문에 유연성을 가지게 되므로 마치 부직포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생산하게 되어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액상 규산나트륨에 함침하기 때문에 결합력 및 불연성이 증대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원발명은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제조단가가 현저하게 저렴하므로 저비용으로 석면으로 된 내장재를 사용하는 건물들의 내장재를 교체할 수 있으며, 유연성이 있는 내장재이므로 설치시에 작업자의 설치가 용이하여 안전성이 확보되고, 또한 지진발생시에 낙하하여 파손되거나 인명피해를 야기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면섬유를 포함한 준불연 건축내장재의 상면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면섬유를 포함한 준불연 건축내장재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면섬유를 포함한 준불연 건축내장재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1) 비팅(beating)연마로 곤죽상태의 면섬유재를 획득 단계(S 100)
셀룰로오스를 다량 함유하는 면섬유재를 길이 40mm로 제단한 후, 비터(beater)가 설치된 수조탱크에 물3000kg를 채운 뒤 면섬유재 150kg를 투입하여 1~2시간 동안 비팅(beating)연마함으로써 곤죽상태의 면섬유재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면모(綿毛)는 98%의 셀룰로오스를 함유하고 있고, 아마(亞麻), 대마(***), 모시풀, 황마(黃麻) 등의 인피(靭皮)섬유는 약 70%의 셀룰로오스를 함유한다. 또 펄프의 원료인 목재는 약 40~50%의 셀룰로오스를 함유한다. 따라서 셀룰로오스를 다량 함유하는 면섬유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면섬유는 면제품 제조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폐면섬유를 활용한다.
화학섬유는 셀룰로오스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므로, 비팅연마에 의해서도 물에 풀어지지 않기 때문에 팽창질석 또는 펄라이트 그래뉼과 같은 다공성 천연광물을 응집결합할 수 없다.
물론 면섬유가 아닌 다른 섬유 또는 펄프 등으로부터 셀룰로오스를 얻을 수 있기는 하지만, 제조단가가 맞지 않고 무엇보다도 다량의 질좋은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면섬유가 가장 바람직하다. 면섬유에 포함된 다량의 셀룰로오스는 준불연성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면섬유는 산업현장이나 가정에서 사용하고 버려지는 다량의 폐면섬유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원/부자재 비용의 부담이 적고 또한 지속가능한 자원이며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소재이다.
물론, 약 70%의 셀룰로오스(cellulose)를 함유하는 아마, 대마, 모시풀, 황마 등의 인피섬유나 약 40-50%의 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펄프의 원료인 목재로도 사용할 수는 있으나, 불연성의 효과가 낮은 단점이 있다.
(2) 다공성 광물 그래뉼 투입 혼합 공정 (S 200)
상기 곤죽상태의 면섬유재에 다공성 광물로서 팽창질석을 투입할 수 있다. 이때 면섬유재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50~70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해당 팽창질석이 서술한 범위 내로 포함될 경우 곤죽상태의 면섬유재와 혼합되는 경우 면섬유재와의 밀착성이 우수하며, 면섬유재의 준불연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팽창질석은 무기물로서 불연성이 매우 우수하고, 단열성 좋으며 비중이 가벼워서 수조 탱크 속에 침전되지 않고 물에 뜨게 되고 혼합과정에서 비팅(beating)연마된 면섬유와 자연스럽게 혼합되고 면섬유재와 밀착성이 매우 우수하여 면섬유재의 불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면섬유재는 팽창질석의 기공(氣孔) 구석구석으로 침투하여 팽창질석을 서로 연결함과 동시에 일체된다.
상기 팽창질석은 질석 원석을 입경 1-3mm 내외로 파쇄한 후, 1000-1200℃에서 소성하게 되면 팽창됨으로써 부풀어 올라 밀도가 작아지게 되고 물에 뜨게 된다.
팽창질석이 서로 끈적한 성질로 인해서 서로 뭉치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에 대하여 30~50중량부의 펄라이트를 적절하게 투입하게 되면, 펄라이트가 가교역할을 하여 팽창질석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균일한 혼합을 도와준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90~110kg의 팽창질석, 15~25kg의 펄라이트를 투입하고 혼합하여 면섬유재의 미세섬유와 다공성 광물이 서로 엉키어서 일체로서 결합되게 된다. 즉, 팽창질석과 펄라이트는 다공질이므로 경량으로서 물에 뜨게 되고 물의 상부에 떠있는 면섬유재의 미세섬유가 팽창질석과 펄라이트의 공극내부로 삽입됨과 동시에 엉켜서 강하게 결합되게 된다.
위 실시예에서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바람직하게는 5~10kg의 일라이트, 3kg의 규조토를 순차적으로 부가하면서 면섬유재 사이사이로 광물이 침투하여 면섬유재와 일체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규조토는 단세포 조류인 규조의 유산질 유해가 바다나 호수 바닥에 쌓여서 생성된 퇴적물로 주로 무기화합물인 실리카(SiO2)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탈취, 단열, 습도조절 등의 다양한 성능을 가질 뿐 아니라 우수한 난연성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팽창흑연은 흑연의 층상 구조를 가지므로 그 층상 사이에 원자나 작은 분자를 집어넣고 열을 가할 경우 아코디언처럼 분리되면서 입자가 수백배 팽창하게 되는 현상을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으로 면섬유재와 혼합하여 비팅(beating)할 경우 1~2kg의 팽창흑연 분말을 미량 투입하면 면섬유의 기공 사이에 밀착하여 일체를 이루므로 화재시 팽창하여 산소를 차단하고 자기 소화기능을 가질 수 있어서 더 이상 불길이 확산하지 못하도록 하여 면섬유의 준불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만 과다한 양을 투입하게 되면 바탕색이 검정색으로 표출되기 때문에 도장시 문제가 될 수 있다.
(3) 판재 획득 공정 (S 300)
상기 다공성 광물이 혼합된 상기 곤죽상태의 면섬유재는 물을 포함한 상태에서 망(mesh)위에 토출하고 탈수과정을 거쳐 면섬유판재로 만들어지는 단계이다.
탈수는 자연탈수, 압축롤러에 의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강압롤러 공정을 거치면서 탈수되도록 하여 20~30%의 함수율이 되도록 한다.
(4) 난연액 함침공정과 건조공정 (S 400)
상기 탈수된 면섬유판재에 난연액을 함침하고, 열풍건조기에 의해서 건조한 후에 면섬유판재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난연액을 면섬유판재에 함침함으로써 면섬유재와 다공성 광물을 결속하고 불연성을 향상시킨다.
탈수된 면섬유판재는 난연액의 함침에 이어서 열풍건조기에 의해서 바람직하게 180℃로 건조되며, 폭 1200mm, 두께 4.5mm, 길이 2500mm의 크기로 재단된다.
난연액은 가용성 규산염을 사용한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액상 규산나트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난연액을 규산나트륨만을 사용하는 경우 면섬유판재가 수분을 흡수하게 되어 눅눅하게 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액상 규산나트륨에 더하여 콜로리달실리카, 수분산실리카, 또는 변성실리케이트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평면 1차 성형공정 (S 500)
상기 건조공정 이후에 추가로 실행하는 성형공정은 부직포 형태의 면섬유 판재를 프레스에 투입하고 압력을 가하여 압축함으로써 판재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작업이다. 이때 열과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잔여 수분과 난연액을 건조하게 된다.
상기 1차로 성형이 이루어진 판재의 표면에 수성페이트로 다양한 컬러로 코팅하여 건조한다.
(6) 2차 성형공정
상기 S 500 공정으로 하여 제조공정을 마칠 수 있지만, 이 보다는 상기 1차 성형공정 및 도장공정 후 건조된 판재는 코팅된 면이 상부로 향하도록 하여 금형틀에 올려놓고 블리스터(blister)압공 성형을 실행하면 더욱 화려하고 입체감이 있는 건축내장재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건조된 컬러코팅 판재를 금형틀에서 가압하여 성형함으로써 그 눌림에 의해 판재에 모양이 형성되게 되는데, 그 눌림현상에 의해서 투톤의 색상으로 보이게 되어 입체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건축내장재는 2~3 mm 정도이다.
<시험예>
1) 준불연시험
아래 시험결과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제품을 공인시험기관인 방재시험연구원의 시험결과에 따른 것이다.
시험항목 시료번호 1 2 3 기준
준불연
재료
열방출률 총방출열량 2.4 3.1 6.5 8MJ/m2이하
200kw/m2를 초과하는 시간(s) 0 0 0 10s 이상
시험체를 관통하는 균열, 구멍 및 용융 등 없음 없음 없음 없을 것
가스
유해성
쥐의 평균행동정지시간 13분
54초
14분
10초
13분
58초
9분 이상
2) 석면함유여부
최근 석면의 유해성과 관련하여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제품의 석면검출시험결과 석면이 전혀 검출되지 아니하였다. 공인시험기관인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의 시험결과에 따른 것이다.
3) 곰팡이 저항성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제품에 대한 곰팡이 저항성을 시험하기 위한 실험에서 곰팡이 혼합균주인 Aspergillus brasiliensis ATCC9642, Penicillium funiculosum ATCC 11797, Chaetomium globosum ATCC 6205, Trichoderma virens ATCC 9545, Aureobasidium pullulans ATCC 15233 를 4주동안 배양하였으나, 시험편 접종부주위에 균사의 발육이 인지되지 않았다. 이 또한 공인시험기관인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의 시험결과에 따른 것이다.
4) 항균시험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제품에 대한 항균시험에서 24시간 이후 대장균과 녹농균의 99.9% 세균 감소율을 보였다. 이 또한 공인시험기관인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의 시험결과에 따른 것이다.
이와 같은 제조공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광물을 포함하는 면섬유판재는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소재를 제공되되, 가볍고 유연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시공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양호한 준불연성, 단열성, 디자인성, 경제성을 가지고 있어서 건축내장재의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건축내장재
S 100 : 면소재를 수조에서 비팅연마하여 곤중상태로 만드는 공정
S 200 : 다공성 천연광물 그래뉼을 혼합하는 공정
S 300 : 혼합된 원료로 면섬유 판재를 획득하는 공정
S 400 : 난연액 함침 및 건조공정
S 500 : 성형 및 도장공정

Claims (4)

  1. 면섬유재를 비터(beater)가 설치된 수조탱크 내에서 비팅(beating)연마하여 면섬유재를 곤죽상태로 형성하는 단계(a);
    상기 곤죽상태의 면섬유재에 다공성 광물 그래뉼로서 팽창질석, 펄라이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투입하고 면섬유재와 일체가 되도록 혼합하여 곤죽상태의 혼합조성물로 형성하는 단계(b);
    상기 혼합조성물을 망(mesh) 위에 토출하고 물을 탈수하여 판재를 획득하는 단계(c);
    상기 획득된 판재에 난연액을 함침하여 건조하는 단계(d);
    소정의 무늬로 패턴을 성형 및 도장하는 단계(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건축내장재의 제조방법
  2.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연액은 규산나트륨에 콜로이달실리카, 수분산실리카, 변성실리케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건축내장재의 제조방법
  3. 상기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곤죽상태의 면섬유재에 다공성 광물을 투입하는 단계(b)에 있어서, 흑연을 부가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건축내장재의 제조방법
  4. 상기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준불연 건축내장재
KR1020180058235A 2017-11-14 2018-05-23 준불연 건축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준불연 건축내장재 KR102222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713 2017-11-14
KR20170151713 2017-11-14
KR1020180020073 2018-02-20
KR20180020073 2018-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879A true KR20190054879A (ko) 2019-05-22
KR102222964B1 KR102222964B1 (ko) 2021-03-04

Family

ID=666796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235A KR102222964B1 (ko) 2017-11-14 2018-05-23 준불연 건축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준불연 건축내장재
KR1020180080762A KR102048286B1 (ko) 2017-11-14 2018-07-11 준불연 시트의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한 준불연시트, 이 시트를 이용한 건축용 복합 패널 및 준불연 도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762A KR102048286B1 (ko) 2017-11-14 2018-07-11 준불연 시트의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한 준불연시트, 이 시트를 이용한 건축용 복합 패널 및 준불연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229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628A (ko) 2020-01-14 2021-07-2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Smc 천장재를 대체하는 다기능 친환경 복합재료 천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728B1 (ko) 2019-08-09 2021-09-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천장 구조물의 화재 확산 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324838B1 (ko) * 2020-01-03 2021-11-11 주식회사 씨엠코리아 방화문 제조방법
KR102625284B1 (ko) * 2023-06-19 2024-01-16 강준기 폐섬유를 이용한 난연성 가구 및 실내가구용 패널
KR102659001B1 (ko) * 2023-06-20 2024-04-22 강준기 폐섬유를 이용한 건축 내장재용 난연성 가구패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2570A (ja) * 1998-12-28 2000-07-11 Sk Kaken Co Ltd 発泡耐火シ―ト用組成物及び発泡耐火シ―ト
JP2001026406A (ja) * 1998-12-11 2001-01-30 Ibiden Co Ltd 非晶質粉体
KR100895213B1 (ko) 2007-04-20 2009-05-04 박영한 규산소다 및 팽창질석을 이용한 패널 제조방법
KR101133931B1 (ko) 2011-12-09 2012-04-13 성현산업 주식회사 불연성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40548A (ko) * 2013-10-07 2015-04-15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탄화보드를 사용한 목재 방화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761B1 (ko) 2006-07-28 2008-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목질계 방화도어
KR101903122B1 (ko) 2016-11-11 2018-10-0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준불연 열경화성수지 복합판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6406A (ja) * 1998-12-11 2001-01-30 Ibiden Co Ltd 非晶質粉体
JP2000192570A (ja) * 1998-12-28 2000-07-11 Sk Kaken Co Ltd 発泡耐火シ―ト用組成物及び発泡耐火シ―ト
KR100895213B1 (ko) 2007-04-20 2009-05-04 박영한 규산소다 및 팽창질석을 이용한 패널 제조방법
KR101133931B1 (ko) 2011-12-09 2012-04-13 성현산업 주식회사 불연성 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40548A (ko) * 2013-10-07 2015-04-15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탄화보드를 사용한 목재 방화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628A (ko) 2020-01-14 2021-07-2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Smc 천장재를 대체하는 다기능 친환경 복합재료 천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286B1 (ko) 2019-11-25
KR102222964B1 (ko) 2021-03-04
KR20190054891A (ko)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4879A (ko) 준불연 건축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준불연 건축내장재
DK2614184T3 (en) Method of forming a fireproof cellulose product and associated device
US3963849A (en) Fireproof product using magnesium oxychloride cement
KR101468780B1 (ko) 친환경 건축 불연과 단열과 흡음과 보온과 방수성과 미네랄 바이오 기능성 내장 마감 보드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건축 불연과 단열과 흡음과 보온과 방수성과 미네랄 바이오 기능성 내장 마감 보드
JP2002307410A (ja) 装飾シートおよび/または成形品、その使用、およびその製造法
KR102425845B1 (ko) 섬유재 초지 조성물,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 방법 및 준불연성 섬유판재
KR101213988B1 (ko) 가구용 친환경 기능성 패널과 그 제조방법
KR20150063663A (ko) 건축용 불연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798124B1 (ko) 불연건축용 패널
KR101084373B1 (ko) 황토 강압 무늬보드 및 그 제조방법
CN103270229A (zh) 天花板底垫
KR101160658B1 (ko) 불연성 보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불연성 보드
KR20180131229A (ko) 준불연성 섬유복합 내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68928B1 (ko) 난연재로 표면처리된 내연성 실내장식재
KR100799497B1 (ko) 난연과 흡음 방음 기능을 갖는 내장재의 제조방법 및내장재의 구조
KR20200040778A (ko) 고흡음 계수, 저밀도 음향 타일
KR20180075268A (ko) 케나프 부직포를 이용한 준불연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34278B1 (ko) 폐기물을 이용한 불연성 건축패널 제조방법
KR100814740B1 (ko) 차음 효과를 갖는 단열재의 제조방법
KR101876205B1 (ko) 솔잎분말이 함유된 불연성 스프레이 몰탈 보온재, 이를 이용한 건축용 보드 및 샌드위치 패널
KR101985408B1 (ko) 불연성 및 경량성이 우수한 건축용 베이스 패널
KR101768513B1 (ko) 천연 탄화 왕겨 단열보드의 제조방법
KR20110015773A (ko) 천연솜을 이용한 실내마감용 습건식 자재와 판넬 자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습건식 자재와 판넬 자재
KR101367981B1 (ko)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 및 이 제조 방법
KR20090101402A (ko) 불연판상재(또는 불연형상재)와 불연화장판상재(또는불연화장형상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