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845B1 - 섬유재 초지 조성물,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 방법 및 준불연성 섬유판재 - Google Patents

섬유재 초지 조성물,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 방법 및 준불연성 섬유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845B1
KR102425845B1 KR1020170035931A KR20170035931A KR102425845B1 KR 102425845 B1 KR102425845 B1 KR 102425845B1 KR 1020170035931 A KR1020170035931 A KR 1020170035931A KR 20170035931 A KR20170035931 A KR 20170035931A KR 102425845 B1 KR102425845 B1 KR 102425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emi
fiber
paperm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7524A (ko
Inventor
김문옥
Original Assignee
김문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옥 filed Critical 김문옥
Priority to KR1020170035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845B1/ko
Publication of KR20180107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21H11/12Pulp from non-woody plants or crops, e.g. cotton, flax, straw, bagass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34Ignifugea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5/00After-treatment of paper not provided for in groups D21H17/00 - D21H23/00
    • D21H25/04Physical treatment, e.g. heating, irradiating
    • D21H25/06Physical treatment, e.g. heating, irradiating of impregnated or coated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2Multi-ply with materials applied between the sheets
    • D21H27/34Continuous materials, e.g. filaments, sheets, ne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02Flame-resistant papers; (complex) compositions rendering paper fire-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pe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면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재로부터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시 상기 섬유재의 초지 공정을 위한 섬유재 초지 조성물에 있어서, 팽창흑연;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울트라카브(ultracarb)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금속수산화물; 열경화성 수지; 및 물을 포함하는 섬유재 초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 방법, 그리고 준불연성 섬유판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섬유재 초지 조성물,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 방법 및 준불연성 섬유판재{COMPOSITION FOR SHEET FORMING FIBER MATERIAL, METHOD OF PREPARING SEMI-INCOMBUSTIBLE FIBER BOARD, AND SEMI-INCOMBUSTIBLE FIBER BOARD}
섬유재 초지 조성물,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 방법 및 준불연성 섬유판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어오고 있는 건축용 내장재로는 목질계로, 대표적으로 목재를 분쇄하여 만든 중밀도섬유판재(MDF), 그리고 합판이 있다. 이들은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여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합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접착제를 사용하는데, 접착제로 페놀, 멜라민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가 사용되며 이는 내습성 및 안정성은 좋으나 화재에는 매우 취약하다.
이에, 질석보드, 시멘트보드, 목모보드, 마그네슘보드, 황토보드 등의 불연성 판재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불연성 소재들은 방화성이 높을수록 자재가 무겁고 시공성이 좋지 않으며, 또한 규격에 따라 제단하기가 까다로워 선호도가 비교적 낮은 편이다. 더욱이 저가산 수입자재가 대부분이여서 유해성분 검출 등 환경적인 면에서 규제를 받고 있다.
한편, 화재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고 충분한 대피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내장재를 준불연 소재로 사용할 것을 법으로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내장재의 경우 별도의 난연처리가 포함될 경우 자재원가가 상승하고 난연처리 자체도 미미하여 효과가 좋지 못하며, 현실적으로도 제조 판매실적이 크지 않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077548호
일 구현예는 친환경적이고 준불연성을 가진 준불연성 섬유판재를 얻기 위한 섬유재 초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일 구현예는 친환경적이고 준불연성을 가진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 구현예는 친환경적이고 준불연성을 가진 준불연성 섬유판재를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면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재로부터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시 상기 섬유재의 초지 공정을 위한 섬유재 초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섬유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팽창흑연 10 내지 40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울트라카브(ultracarb)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금속수산화물 1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 열경화성 수지 1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 및 물 200 중량부 내지 20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섬유재 초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섬유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규조토, 인산염, 붕사, 아연, 제2주석, 질석, 펄라이트, 황토, 백토, 경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첨가제 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거나, 상기 섬유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규조토 10 내지 30 중량부 및 인산염 10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면섬유는 9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셀룰로오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면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재를 초지 조성물에 투입하여 초지 공정을 통해 초지 섬유판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초지 섬유판재로부터 함침 공정을 통해 난연성 섬유판재를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난연성 섬유판재를 복수 개 준비한 후 서로 적층하여 접착하는 합지 공정을 통해 준불연성 섬유판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초지 조성물은 상기 섬유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팽창흑연 10 내지 40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울트라카브(ultracarb)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금속수산화물 1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 열경화성 수지 1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 및 물 200 중량부 내지 20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초지 공정 이전에, 비팅(beating) 공정을 통해 상기 섬유재를 연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지 공정을 통해 형성된 초지 섬유판재의 두께는 1.5 mm 내지 5 mm 일 수 있다.
상기 함침 공정은 상기 초지 섬유판재를 함침 조성물에 함침시키는 것이고, 상기 함침 조성물은 상기 초지 섬유판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용성 규산염 75 중량부 내지 95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울트라카브(ultracarb)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금속수산화물 20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 및 규조토 10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침 조성물은 상기 초지 섬유판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팽창흑연, 인산염, 붕사, 무기안료, 아연, 제2주석, 질석, 펄라이트, 황토, 백토, 경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첨가제 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지 공정 이전에, 상기 함침 공정을 통해 형성된 난연성 섬유판재를 열압착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압착 성형된 난연성 섬유판재의 두께는 1 mm 내지 3 mm 일 수 있다.
상기 합지 공정은 상기 난연성 섬유판재 복수 개의 각 일면에 접착 조성물을 도포한 다음, 상기 복수 개의 난연성 섬유판재가 적층되도록 서로 접착하는 것이며, 상기 접착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팽창흑연 20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 및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울트라카브(ultracarb)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금속수산화물 25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 조성물은 규조토, 분산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첨가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두께는 2 mm 내지 20 mm 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난연성 섬유판재를 접착시, 상기 난연성 섬유판재 사이에 유리섬유 매쉬, 유리종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조 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준불연성 섬유판재를 제공한다.
상기 준불연성 섬유판재는 실내장식물의 불연 및 준불연 재료의 인정기준(KFIS 014)에 따라 시험한 결과 준불연재료 인정을 받은 것, 또는 건축물의 내장 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 방법의 규격(KS F2271)에 따라 시험한 결과 난연2급을 나타낸 것일 수 있다.
폐 면섬유의 활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인체에 무해하여 친환경적이며 난연2급의 준불연성을 가진 준불연성 섬유판재를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준불연성 섬유판재는 각종 건축용 내장재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단면도이다.
이하, 구현예들에 대하여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구현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단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면섬유를 단독으로 사용한 섬유재, 또는 인피섬유, 펄프, 합성섬유 등의 섬유와 면섬유를 혼합 사용한 섬유재로부터 준불연성을 가진 준불연성 섬유판재를 제공하기 위해 연구 발명된 것이다. 제공된 준불연성 섬유판재는 산업현장이나 가정에서 사용하고 버려지는 폐 면섬유를 활용함으로써 생산비용의 부담이 적을뿐 아니라 인체에 무해하여 친환경적이고 합판의 뒤틀림이 없으며 무엇보다도 난연2급의 준불연성을 확보함으로써 건축용 내장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면섬유는 아욱과에 속하는 식물의 종자의 털에서 채취한 것으로, 거의 순수한 셀룰로오스만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면섬유는 9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셀룰로오스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98 중량% 내지 100 중량%의 셀룰로오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면섬유는 약 70 중량%의 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아마, 대마, 모시풀, 황마 등의 인피섬유와는 다른 소재이며, 또한 약 40 내지 50 중량%의 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펄프의 원료인 목재와도 구분되는 다른 소재이다.
이러한 면섬유를 적어도 일부 이용하여 준불연성 섬유판재를 제조하는 공정, 각 공정에서 사용되는 조성물 등에 대해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일 구현예에 따른 섬유재 초지 조성물에 대해 설명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섬유재 초지 조성물은 면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재로부터 준불연성 섬유판재를 제조하는 과정 중에서 섬유재의 초지 공정에 사용된다.
면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재를 이용하여 준불연성 섬유판재를 제조하는 과정은 크게 초지 공정, 함침 공정 및 합지 공정을 거치게 된다. 섬유재를 섬유재 초지 조성물에 투입하여 초지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각 단계를 비롯한 준불연성 섬유판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섬유재 초지 조성물은 팽창흑연, 금속수산화물, 열경화성 수지 및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팽창흑연은 흑연의 층상 구조를 가지므로 그 층상 사이에 원자나 작은 분자를 집어넣고 열을 가할 경우 아코디언처럼 분리되면서 입자가 수 백배 팽창하게 되는 현상을 가진다. 팽창흑연의 이러한 현상으로 인하여 섬유재 초지 조성물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팽창흑연은 무기화합물로서 분말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팽창흑연은 80 mesh 내지 300 mesh의 입도를 가질 수 있다. 팽창흑연이 상기 입도 범위를 가지는 경우 섬유재 초지 조성물 내에서 분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팽창흑연은 상기 섬유재 초지 조성물 내에서 상기 섬유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면, 2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팽창흑연의 함량이 40 중량부를 넘으면 섬유재 초지 조성물의 pH가 높아져 분산성이 저하된다. 팽창흑연이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될 경우 섬유재 초지 조성물의 난연성이 더욱 향상되며, 이에 따라 초지 공정 후 건조된 초지 섬유판재는 난연2급의 준불연에 근접한 난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금속수산화물은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울트라카브(ultracarb)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무기화합물로서 섬유재 초지 조성물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수산화알루미늄은 상기 섬유재의 소수화를 막고 친수화를 유도하여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산화알루미늄은 국내산 대주케이시 kh-8R 나노미립자 분말을 사용함으로써 섬유재로의 침투성을 향상시키고 난연성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금속수산화물은 구체적으로 울트라카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울트라카브는 영국의 LKAB 미네랄즈(Minerals Ltd.)가 생산하고 있는 훈타이트(Huntite; 마그네슘 칼슘 카보네이트)와 하이드로 마그네사이트(수화 마그네슘 카보네이트)가 혼합된 특수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미네랄 브랜드의 이름이다. 상기 울트라카브는 상기 수산화알루미늄과 상기 수산화마그네슘과 비교하여 가격이 저렴할 뿐 아니라 내열성 및 난연성이 더욱 우수한 물질이다.
상기 울트라카브는 분말 형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00 mesh 내지 300 mesh의 입도를 가질 수 있다. 울트라카브가 상기 입도 범위를 가지는 경우 섬유재 초지 조성물 내에서 분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금속수산화물은 상기 섬유재 초지 조성물 내에서 상기 섬유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면, 10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금속수산화물의 함량이 40 중량부를 넘으면 섬유재 초지 조성물의 pH가 높아져 분산성이 저하된다. 금속수산화물이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될 경우 섬유재 초지 조성물의 난연성이 더욱 향상되며, 이에 따라 초지 공정 후 건조된 초지 섬유판재는 난연2급의 준불연에 근접한 난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섬유재 초지 조성물 내에서 무기화합물인 상기 팽창흑연과 금속수산화물의 응집 및 분산성을 도울 수 있다. 특히, 상기 팽창흑연은 전술한 바와 같은 팽창 현상으로 인해 가루날림이 발생하는데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응집이 가능하여 초지 조성물 내에 함께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멜라민 수지, 페놀 수지, 요소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로 예를 들면, 멜라민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상기 섬유재 초지 조성물 내에서 상기 섬유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면, 10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가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될 경우 섬유재 초지 조성물의 난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초지 공정 후 건조된 초지 섬유판재는 난연2급의 준불연에 근접한 난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물은 상기 섬유재 초지 조성물 내에서 상기 섬유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0 중량부 내지 20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면, 500 중량부 내지 150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물이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될 경우 섬유재 초지 조성물의 난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초지 공정 후 건조된 초지 섬유판재는 난연2급의 준불연에 근접한 난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섬유재 초지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규조토, 인산염, 붕사, 아연, 제2주석, 질석, 펄라이트, 황토, 백토, 경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상기 섬유재 초지 조성물 내에서 원하는 특성에 따라 상기 섬유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면, 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 중에서, 예를 들면, 상기 규조토 및 상기 인산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를 함께 사용할 경우 섬유재 초지 조성물의 난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규조토는 단세포 조류인 규조의 규산질유해가 바다나 호수 바닥에 쌓여서 생성된 퇴적물로서, 주로 무기화합물인 실리카(SiO2)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규조토는 친환경재료로 탈취, 단열, 습도조절 등의 다양한 성능을 가질뿐 아니라 상기 섬유재 초지 조성물에 우수한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규조토는 무기화합물로서 분말 형태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100 mesh 내지 500 mesh의 입도를 가질 수 있다. 규조토가 상기 입도 범위를 가지는 경우 섬유재 초지 조성물 내에서 분산성이 향상되어 상기 초지 섬유판재 함침 조성물의 난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규조토는 상기 섬유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면, 1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규조토가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될 경우 섬유재 초지 조성물의 난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초지 공정 후 건조된 초지 섬유판재는 난연2급의 준불연에 근접한 난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인산염(phosphate)을 첨가할 경우 상기 섬유재 초지 조성물에 난연성을 더욱 부여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인산암모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산염은 상기 섬유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면, 1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인산염이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될 경우 섬유재 초지 조성물의 난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초지 공정 후 건조된 초지 섬유판재는 난연2급의 준불연에 근접한 난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섬유재 초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면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재를 초지시키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우수한 난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준불연성 섬유판재는 면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재를 이용하여 크게 초지 공정 단계, 함침 단계, 그리고 합지 단계의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상기 섬유재로 적어도 일부 사용되는 상기 면섬유는 전술한대로 90 중량% 내지 100 중량%, 예를 들면, 98 중량% 내지 100 중량%의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면섬유이다.
상기 섬유재는 상기 면섬유 외에도 인피섬유, 펄프,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합성섬유 등을 1종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섬유재는 상기 면섬유와 상기 합성섬유,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을 6:4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7:3 내지 8: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소정 크기의 면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재를 준비한 후, 초지 공정 단계 이전에 비팅(beating) 공정을 통해 먼저 상기 섬유재를 연마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비팅 공정은 준비된 섬유재를 미세한 분말 형태로 분쇄한 후 수조 내에 투입하여 2 시간 내지 3시간 동안 연마하는 작업이다.
이어서, 상기 연마된 섬유재는 초지 공정을 거쳐 초지 섬유판재로 형성된다. 상기 초지 공정은 초지 조성물을 담고 있는 저장조에 상기 연마된 섬유재를 투입하여 교반한 후 토출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저장조 내에서 섬유재와 초지 조성물을 교반기로 반죽한 후, 강압펌프로 흡입하고 초지기(탈수기)로 배출하여 이송 콘베어에 토출시킨다. 이후, 토출물을 마이크로웨이브 건조기로 건조시킴으로써 난연성을 가지는 부직포 형태의 초지 섬유판재를 형성한다.
상기 초지 조성물은 전술한 섬유재 초지 조성물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초지 공정을 거쳐 형성된 초지 섬유판재의 두께는 1.5 mm 내지 5 mm 일 수 있고, 예를 들면, 2 mm 내지 5 mm, 3 mm 내지 5 mm, 4 mm 내지 5 mm 일 수 있다. 초지 섬유판재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로 형성될 경우 다음 함침 공정에서 우수한 함침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초지 섬유판재를 함침 공정을 통해 함침 조성물에 함침시켜 난연성 섬유판재를 형성한다.
상기 함침 조성물은 가용성 규산염, 금속수산화물 및 규조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용성 규산염(soluble silicate)은 무기화합물 중의 하나로, 실리카(SiO2)와 알칼리금속의 수용액을 의미하는 것으로, 물유리(water glass)로도 불린다. 알칼리금속의 종류에 따라 규산나트륨(규산소다), 규산칼륨(규산가리), 리튬실리케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규산나트륨 또는 규산칼륨은 실리카를 Na2CO3 또는 K2CO3와 함께 1100℃ 내지 1200℃에서 용융시킴으로써 형성되며, 이렇게 만들어지는 유리는 고압 스팀과 함께 물에 녹아 물유리로 알려진 투명하고 약간의 점성이 있는 액체가 된다. 이러한 가용성 규산염을 사용할 경우 상기 함침 조성물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용성 규산염은 상기 함침 조성물 내에서 상기 초지 섬유판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75 중량부 내지 9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면, 80 내지 9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가용성 규산염이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될 경우 함침 조성물의 난연성을 확보할 수 있고, 무기화합물인 상기 금속수산화물과 규조토의 분산성이 증대되어 함침 조성물의 난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함침 조성물에 함침 후 건조되어 형성된 난연성 섬유판재는 준불연에 근접한 난연2급의 난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금속수산화물은 전술한 섬유재 초지 조성물에 사용된 금속수산화물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금속수산화물은 상기 함침 조성물 내에서 상기 초지 섬유판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면, 25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금속수산화물의 함량이 35 중량부를 넘으면 함침 조성물의 pH가 높아져 분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금속수산화물이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될 경우 함침 조성물의 난연성이 더욱 향상되며, 이에 따라 함침 공정 후 건조되어 형성된 난연성 섬유판재는 난연2급의 준불연에 근접한 난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규조토는 단세포 조류인 규조의 규산질유해가 바다나 호수 바닥에 쌓여서 생성된 퇴적물로서, 주로 무기화합물인 실리카(SiO2)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규조토는 친환경재료로 탈취, 단열, 습도조절 등의 다양한 성능을 가질뿐 아니라 상기 초지 섬유판재 함침 조성물에 우수한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규조토는 전술한 섬유재 초지 조성물에 첨가제로 선택 사용된 규조토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규조토는 상기 함침 조성물 내에서 상기 초지 섬유판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면, 1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규조토의 함량이 25 중량부를 넘으면 함침 조성물의 pH가 높아져 분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규조토가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될 경우 함침 조성물의 난연성이 더욱 향상되며, 이에 따라 함침 공정 후 건조되어 형성된 난연성 섬유판재는 난연2급의 준불연에 근접한 난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함침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팽창흑연, 인산염, 붕사, 무기안료, 아연, 제2주석, 질석, 펄라이트, 황토, 백토, 경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상기 함침 조성물 내에서 원하는 특성에 따라 상기 초지 섬유판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면, 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팽창흑연을 포함한 첨가제의 성분은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다.
상기 초지 섬유판재에 색상을 입히기 위해 다양한 색상의 상기 무기안료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무기안료는 원하는 색상에 따라 공지된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구체적으로, 상기 규조토와 상기 무기안료를 10:1 내지 10:4의 중량비로, 예를 들면, 10:2 내지 10: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함침 조성물을 교반기에서 충분히 교반한 후 함침조로 이송시킨 다음, 상기 초지 섬유판재를 상기 함침조에 투입하여 함침조 내에 설치된 압축가이드롤러를 거쳐 충분히 함침시킨 후 스틸압축롤러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초지 섬유판재의 수분을 줄이면서 함침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초지 섬유판재를 구성하는 셀룰로오스 사이사이에 함침 조성물이 잘 침투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가이드롤러는 음각 및 양각으로 만든 롤러를 사용하여 압력을 가하면서 진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함침 조성물을 이루는 금속수산화물, 규조토 등과 같은 무기재료가 가용성 규산염과 혼합하여 침전이 되지 않도록 상기 함침조 내 자체에 교반펌프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함침 후 건조시킴으로써 난연성 섬유판재를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건조된 난연성 섬유판재는 합지 단계 이전에 열압착 성형을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열압착 성형은 평면 열압착 성형으로서, 열압착기를 이용하여 고온 및 고압 하에서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섬유의 평활도와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50℃ 내지 200℃의 온도, 예를 들면, 170℃ 내지 180℃의 온도, 그리고 100 kg/cm2 내지 400 kg/cm2, 예를 들면, 120 kg/cm2 내지 250 kg/cm2 의 압력 하에서 30초 내지 5분, 예를 들면, 40초 내지 3분 동안 열압착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난연성 섬유판재의 두께가 1 mm 내지 3 mm, 예를 들면, 1 mm 내지 2 mm가 되도록 성형을 진행할 수 있다. 난연성 섬유판재를 상기 두께 범위 내로 성형한 경우 다음 합지 공정에서 준불연성 섬유판재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열압착 성형하는 단계에서, 난연성 섬유판재를 박판으로 열압착 성형함과 동시에 난연성 섬유판재의 표면에 다양한 문양을 가공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압착기의 상단에 요철 형태로 조각된 금형을 부착함으로써 별도의 가공 공정의 필요 없이 압착과 동시에 요철 형태로 가공할 수 있다.
이어서, 열압착 성형된 난연성 섬유판재를 복수 개 준비한 후 서로 합지하여 준불연성 섬유판재를 형성할 수 있다.
합지 공정 이전의 상기 난연성 섬유판재의 단층 판재로는 난연2급의 준불연성을 확보하기 어려우므로, 준불연성을 얻기 위해서는 합지 공정이 필요하다. 이때 준불연성은 실내장식물의 불연 및 준불연 재료의 인정기준(KFIS 014)에 따라 시험한 결과 준불연재료 인정을 받은 것이거나, 건축물의 내장 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 방법의 규격(KS F2271)에 따라 시험한 결과 난연2급을 확보한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합지 공정은 상기 난연성 섬유판재 복수 개의 각 일면에 접착 조성물을 호브기로 도포한 후 이들이 적층되도록 서로의 일면을 접착시켜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접착 조성물이 경화되도록 골드프레스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난연성 섬유판재는 복수 개, 즉, 2개 이상을 준비하여 합지를 진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2개 내지 6개, 2개 내지 5개, 2개 내지 4개, 3개 내지 4개를 준비할 수 있다. 각종 건축용 내장재의 용도에 따라 최종 판재 두께를 고려하여 난연성 섬유판재의 개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접착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팽창흑연 및 금속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접착 조성물의 구성 성분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상기 접착 조성물 내에서 바인더 수지로 사용되며 접착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초산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예를 들면, 초산비닐계 수지 또는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팽창흑연은 전술한 바와 같이 흑연의 층상 구조에 의한 팽창 현상으로 인하여 접착 조성물의 난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팽창흑연은 상기 접착 조성물 내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면, 30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팽창흑연이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될 경우 접착력이 우수하고 난연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합지된 준불연성 섬유판재는 난연2급의 준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금속수산화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울트라카브(ultracarb)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난연성의 향상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울트라카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수산화물은 상기 접착 조성물 내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면, 3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금속수산화물이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될 경우 접착력이 우수하고 난연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합지된 준불연성 섬유판재는 준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접착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규조토, 분산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규조토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접착 조성물 내에서 원하는 특성에 따라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면, 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규조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친환경재료로 탈취, 단열, 습도조절 등의 다양한 성능을 가질뿐 아니라 상기 접착 조성물에 우수한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규조토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함량 범위 내로 사용되는 경우 난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아크릴계 화합물, 우레탄계 화합물, 아미드계 화합물 등을 사용하여 분말 형태의 수산화알루미늄 등의 금속수산화물의 분산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내지 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함량 범위 내로 사용되는 경우 접착 조성물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합지 공정을 거쳐 형성된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두께는 2 mm 내지 20 mm 일 수 있고, 예를 들면, 2 mm 내지 16 mm, 2 mm 내지 12 mm, 4 mm 내지 10 mm, 4 mm 내지 8 mm 일 수 있다. 상기 두께 범위로 합지 형성된 준불연성 섬유판재는 합판의 뒤틀림이 없으며 준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합지 단계에서 복수 개의 난연성 섬유판재를 접착시, 상기 난연성 섬유판재 사이에 유리섬유 매쉬, 유리종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난연성 섬유판재 사이에 유리섬유 매쉬나 유리종이를 각각 또는 모두 추가하여 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합판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으며 충격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준불연성 섬유판재는 실내장식물의 불연 및 준불연 재료의 인정기준(KFIS 014)에 따라 시험한 결과 준불연재료 인정을 확보할 수 있거나, 건축물의 내장 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 방법의 규격(KS F2271)에 따라 시험한 결과 난연2급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한국산업규격 KS F2271에 따르면, 난연1급은 불연재료, 난연2급은 준불연재료, 난연3급은 난연재료로 구분된다. 이에 따라 일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준불연성 섬유판재는 친환경적이고 난연2급의 준불연성을 가짐으로써, 각종 건축자재의 내장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준불연성 섬유판재(10)는 면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재로부터 초지 공정 및 함침 공정을 거쳐 형성된 난연성 섬유판재(12)가 합지 공정을 거침으로써 서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
실시예 1
(1) 초지 공정
셀룰로오스 98%를 함유하는 면섬유를 길이 40 mm로 준비한 후, 파쇄기에 투입하여 미세한 분말 형태로 분쇄한 다음, 분쇄된 면섬유 200kg을 물 2000kg의 수조 내에 투입하여 2시간 동안 연마(beating)하였다.
이어서, 상기 면섬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팽창흑연 30 중량부, 울트라카브(LKAB 미네랄즈사, UltraCarb) 20 중량부, 멜라민 수지(중량평균분자량 5,000g/mol) 10 중량부, 규조토(EP 미네랄사, celatom) 10 중량부, 인산암모늄 10 중량부, 그리고 물 10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초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연마된 면섬유를 상기 초지 조성물을 담고 있는 저장조에 투입하여 교반기(아지테이터) 교반시켜 반죽한 후, 강압펌프로 흡입하여 탈수기로 배출하고 이송 콘베어로 토출시키고 마이크로웨이브 건조기(태양기업사)로 180℃에서 건조시킴으로써 폭 1300mm, 두께 3mm, 길이 2400 mm의 초지 섬유판재를 형성하였다.
(2) 함침 공정
상기 초지 섬유판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용성 규산염(영일화성사, 액상규산칼륨 4호) 80 중량부, 울트라카브(LKAB 미네랄즈사, UltraCarb) 30 중량부, 그리고 규조토(EP 미네랄사, celatom)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함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함침 조성물을 교반기에서 충분히 교반한 후 함침조로 이송시킨 다음, 상기 초지 섬유판재를 함침시켜 함침조 내에 설치된 가이드롤러를 거쳐 스틸 압축롤러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1차 건조시켰다. 이어서, 마이크로웨이브 건조기(태양기업사)로 2차 건조시킨 다음, 180℃ 온도 및 250 kg/cm2 압력 하에서 3분 동안 열압착기를 이용하여 열압착 성형을 진행함으로써, 2 mm 두께의 성형된 난연성 섬유판재를 형성하였다.
(3) 합지 공정
수성초산비닐수지(영일화학사) 100 중량부, 상기 수성초산비닐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팽창흑연 30 중량부, 울트라카브(LKAB 미네랄즈사, UltraCarb) 30 중량부, 그리고 규조토(EP 미네랄사, celatom)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접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난연성 섬유판재를 4매 준비한 후, 각 일면에 상기 접착 조성물을 호브기로 도포한 다음, 서로 적층되도록 골드프레스(대성기계사)로 압착시킴으로써, 8 mm 두께의 준불연성 섬유판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면섬유 대신 셀룰로오스 98%를 함유하는 면섬유 80 중량%와 폴리프로필렌(중량평균분자량 100,000g/mol) 20 중량%로 구성된 섬유재를 사용하여 연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불연성 섬유판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초지 조성물 대신 아래 초지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판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함침 공정을 통해 두께 2 mm의 난연성 섬유판재를 형성한 다음 합지 공정을 진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판재를 제조하였다.
평가 1: 난연도 측정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준불연성 섬유판재와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섬유판재를 가로 세로 각 220 mm 크기로 제단 후, 건축물의 내장 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 방법의 규격(KS F2271)에 따라 난연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실시예 1 및 2의 경우 준불연성에 해당하는 난연2등급으로 확인되었고,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경우 난연3등급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준불연성 섬유판재와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섬유판재를 가로 세로 각 220 mm 크기로 제단 후, 실내장식물의 불연 및 준불연 재료의 인정기준(KFIS 014)에 따라 난연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실시예 1 및 2의 경우 준불연성에 해당하는 난연2등급으로 확인되었고,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경우 난연3등급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일 구현예에 따라 면섬유를 이용한 섬유재로부터 초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초지 공정을 거쳐, 함침 공정 및 합지 공정을 진행하여 제조된 준불연성 섬유판재는 난연2급의 준불연성을 확보함을 알 수 있다. 반면, 일 구현예에 따른 초지 조성물을 이용하지 않고 제조하거나 합지 공정을 거치지 않고 제조한 경우 준불연성을 확보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준불연성 섬유판재
12: 난연성 섬유판재

Claims (19)

  1. 면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재로부터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시 상기 섬유재의 초지 공정을 위한 섬유재 초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섬유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팽창흑연 10 내지 40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울트라카브(ultracarb)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금속수산화물 1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
    열경화성 수지 1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 및
    물 200 중량부 내지 200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면섬유는 9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섬유재 초지 조성물.
  2. 제1항에서,
    상기 섬유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규조토, 인산염, 붕사, 아연, 제2주석, 질석, 펄라이트, 황토, 백토, 경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첨가제 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섬유재 초지 조성물.
  3. 제1항에서,
    상기 섬유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규조토 10 내지 30 중량부 및
    인산염 10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를 더 포함하는 섬유재 초지 조성물.
  4. 삭제
  5. 면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재를 초지 조성물에 투입하여 초지 공정을 통해 초지 섬유판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초지 섬유판재로부터 함침 공정을 통해 난연성 섬유판재를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난연성 섬유판재를 복수 개 준비한 후 서로 적층하여 접착하는 합지 공정을 통해 준불연성 섬유판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초지 조성물은 상기 섬유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팽창흑연 10 내지 40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울트라카브(ultracarb)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금속수산화물 1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 열경화성 수지 1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 및 물 200 중량부 내지 200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면섬유는 9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섬유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규조토, 인산염, 붕사, 아연, 제2주석, 질석, 펄라이트, 황토, 백토, 경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첨가제 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 방법.
  7. 삭제
  8. 제5항에서,
    상기 초지 공정 이전에,
    비팅(beating) 공정을 통해 상기 섬유재를 연마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 방법.
  9. 제5항에서,
    상기 초지 공정을 통해 형성된 초지 섬유판재의 두께는 1.5 mm 내지 5 mm 인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 방법.
  10. 제5항에서,
    상기 함침 공정은 상기 초지 섬유판재를 함침 조성물에 함침시키는 것이고,
    상기 함침 조성물은
    상기 초지 섬유판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용성 규산염 75 중량부 내지 95 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울트라카브(ultracarb)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금속수산화물 20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 및
    규조토 10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를 포함하는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서,
    상기 함침 조성물은
    상기 초지 섬유판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팽창흑연, 인산염, 붕사, 무기안료, 아연, 제2주석, 질석, 펄라이트, 황토, 백토, 경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첨가제 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 방법.
  12. 제5항에서,
    상기 합지 공정 이전에,
    상기 함침 공정을 통해 형성된 난연성 섬유판재를 열압착 성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서,
    상기 열압착 성형된 난연성 섬유판재의 두께는 1 mm 내지 3 mm 인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 방법.
  14. 제5항에서,
    상기 합지 공정은 상기 난연성 섬유판재 복수 개의 각 일면에 접착 조성물을 도포한 다음, 상기 복수 개의 난연성 섬유판재가 적층되도록 서로 접착하는 것이며,
    상기 접착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팽창흑연 20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 및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울트라카브(ultracarb)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금속수산화물 25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
    를 포함하는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서,
    상기 접착 조성물은 규조토, 분산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 방법.
  16. 제5항에서,
    상기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두께는 2 mm 내지 20 mm 인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 방법.
  17. 제5항에서,
    상기 복수 개의 난연성 섬유판재를 접착시, 상기 난연성 섬유판재 사이에 유리섬유 매쉬, 유리종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 방법.
  18. 제5항, 제6항 및 제8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준불연성 섬유판재.
  19. 제18항에서,
    상기 준불연성 섬유판재는 실내장식물의 불연 및 준불연 재료의 인정기준(KFIS 014)에 따라 시험한 결과 준불연재료 인정을 받은 것, 또는 건축물의 내장 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 방법의 규격(KS F2271)에 따라 시험한 결과 난연2급을 나타낸 것인 준불연성 섬유판재.
KR1020170035931A 2017-03-22 2017-03-22 섬유재 초지 조성물,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 방법 및 준불연성 섬유판재 KR102425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931A KR102425845B1 (ko) 2017-03-22 2017-03-22 섬유재 초지 조성물,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 방법 및 준불연성 섬유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931A KR102425845B1 (ko) 2017-03-22 2017-03-22 섬유재 초지 조성물,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 방법 및 준불연성 섬유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524A KR20180107524A (ko) 2018-10-02
KR102425845B1 true KR102425845B1 (ko) 2022-07-28

Family

ID=63863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931A KR102425845B1 (ko) 2017-03-22 2017-03-22 섬유재 초지 조성물,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 방법 및 준불연성 섬유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8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831B1 (ko) * 2019-12-31 2021-01-12 한국세라믹기술원 준불연 특성이 우수한 준불연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549271B1 (ko) 2022-06-09 2023-06-28 강준기 폐섬유를 포함하는 난연성 초지 패널의 제조방법.
KR102549309B1 (ko) 2022-07-13 2023-06-30 강준기 폐섬유를 포함하는 건축 및 가구용 초지 패널.
KR102614958B1 (ko) * 2023-06-19 2023-12-27 강준기 폐섬유를 이용한 준불연성 및 방염성을 갖는 사무가구용 패널
KR102614964B1 (ko) * 2023-06-19 2023-12-27 강준기 폐섬유를 이용한 난연성 가구 및 주방가구용 패널
KR102657217B1 (ko) 2023-06-20 2024-04-19 강준기 난연성능이 강화된 재활용 섬유를 이용한 건축 내장재 패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1394B2 (ja) * 2001-12-07 2006-08-16 特種製紙株式会社 額装用マットボード原紙とそれを用いた額装用マットボ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59717B1 (ko) * 2014-06-17 2014-11-12 주식회사 티에프티 불연성 및 단열성이 우수한 섬유강화플라스틱의 제조방법
JP2015223782A (ja) 2014-05-29 2015-12-14 株式会社ワイケーテック 繊維ボ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2265B2 (ja) * 1993-03-09 2002-02-04 新富士製紙株式会社 難燃壁紙、襖紙の製造方法
KR100941180B1 (ko) * 2007-12-27 2010-02-10 김기종 천연섬유질을 이용한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02185A (ko) * 2011-03-08 2012-09-18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준불연성을 갖는 패널 자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367981B1 (ko) 2011-12-29 2014-03-03 서보산업 주식회사 친환경 건축 내장 보드 및 이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1394B2 (ja) * 2001-12-07 2006-08-16 特種製紙株式会社 額装用マットボード原紙とそれを用いた額装用マットボ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223782A (ja) 2014-05-29 2015-12-14 株式会社ワイケーテック 繊維ボ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59717B1 (ko) * 2014-06-17 2014-11-12 주식회사 티에프티 불연성 및 단열성이 우수한 섬유강화플라스틱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524A (ko) 201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5845B1 (ko) 섬유재 초지 조성물, 준불연성 섬유판재의 제조 방법 및 준불연성 섬유판재
US9005396B2 (en) Method for forming a fire resistant cellulose product, and associated apparatus
US3308013A (en) Compressible mat of whole wood fibers and uncured resin as overlay for wood product and process of making same
RU2524105C2 (ru)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низкой плотности, применимый с продуктами акустической потолочной плитки
KR102222964B1 (ko) 준불연 건축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준불연 건축내장재
CN103649406A (zh) 形成耐火纤维素产品的方法及其相关设备
EP2203399B1 (en) Highly acoustical, wet-formed substrate
KR20130117642A (ko) 섬유질 교화성 석고 조성물
WO2014109203A1 (ja) 抄紙用原料の製造方法、得られた抄紙用原料、及び該原料を使用した耐熱性電気絶縁シート材料
KR20180131229A (ko) 준불연성 섬유복합 내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2206957A (zh) 木质水泥板及其制造方法
EP3802034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wood-based panel
WO2013118531A1 (ja) パーティクルボード
JP4602698B2 (ja) 建材用シート状不燃成形体
JPS63162230A (ja) 複合断熱材
CA2637828A1 (en) Industrial hemp low-density fiberboard
CN112384667B (zh) 具有填充剂的矿物棉板
US20180127921A1 (en) System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engineered molded cellulose panels
JP4310715B2 (ja) シート状不燃成形体
CN109641799A (zh) 用于制造室内用地板部件的组合物
JP5934908B2 (ja) パーティクルボードの製造方法
RU2421482C2 (ru) Полимер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отходы материала, пропитанного полимерной смолой
CN112384666B (zh) 生产矿物棉板的方法
JP4362405B2 (ja) 硬質繊維板の製造方法
US2537101A (en) Process for manufacture of wallboard from lignocellulosic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