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4847A - 신축성 저항 소자를 이용한 자세 모니터링 장치, 이를 이용한 자세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신축성 저항 소자를 이용한 자세 모니터링 장치, 이를 이용한 자세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4847A
KR20190024847A KR1020180103472A KR20180103472A KR20190024847A KR 20190024847 A KR20190024847 A KR 20190024847A KR 1020180103472 A KR1020180103472 A KR 1020180103472A KR 20180103472 A KR20180103472 A KR 20180103472A KR 20190024847 A KR20190024847 A KR 20190024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skin
resistance element
degree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2619B1 (ko
Inventor
주니어데이비드승준 신
Original Assignee
주니어데이비드승준 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니어데이비드승준 신 filed Critical 주니어데이비드승준 신
Priority to PCT/KR2018/01016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045526A1/ko
Priority to US16/641,631 priority patent/US20200297248A1/en
Priority to JP2020511317A priority patent/JP7342334B2/ja
Publication of KR20190024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61Evaluating static posture, e.g. undesirable back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3Trunk, e.g., chest, back, abdomen, h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성이 있고 기계적 변형에 따라 저항이 바뀌는 저항 소자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하고 교정하는 자세 모니터링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자세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는 척추에 의해 분할되는 배부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신축 (stretch) 되는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자세를 모니터링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의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척추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부분의 피부가 신축되는 정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되고,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되 신축성을 가지는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와,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의 각각의 양 단에 형성된 전극을 통해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에 전류 또는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장치와,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에 발생한 기계적 변형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서의 신체의 만곡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도록,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컨트롤러로 송출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신축성 저항 소자를 이용한 자세 모니터링 장치, 이를 이용한 자세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Apparatus for monitoring posture using stretchable and flexible resistor, method and system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자세 모니터링 장치, 이를 이용한 자세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축성이 있고 기계적 변형에 따라 저항이 바뀌는 저항 소자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측정하고 교정하는 자세 모니터링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자세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과학의 발달과 경제의 발전으로 작업 및 학업의 환경이 변화되면서 동적인 신체 활동보다는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에서 올바르지 않은 자세로 오랜 시간 유지하게 되면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며, 특히 요통 및 경추통증이 발생하기 쉽다.
요추부 및 경추부의 통증은 전체 인구의 80% 이상이 여러 가지의 원인으로 경험하게 되는 척추에 관련된 대표적인 질병으로서 척추 손상으로 인한 원인 뿐 아니라 잘못된 자세를 통해서도 발생한다.
척추의 만곡이 심각히 악화되기 전까지는 직접적인 치료를 통한 회복보다는 자세를 교정하고 올바른 습관을 들이는 치료만으로도 충분히 완화되고 호전될 수 있다. 최근에 자세를 측정하고 교정할 수 있는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의자에 압력 센서를 부착하여 신체가 의자에 가하는 압력을 센싱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앉은 자세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선행 특허문헌 제1 참조),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카메라를 부착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기초로 자세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선행 특허문헌 2), 근전도 측정 센서, 관성 센서 등을 구비한 의복을 착용하도록 하고, 각종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여 자세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선행 특허문헌 3) 등이 제안되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시스템은 사용자의 자세를 판단하기 위하여 센서가 부착된 의자, 카메라 등의 촬영 장치, 센서가 구비된 의복과 같은 별도의 센싱 수단이 필요하다. 선행 특허문헌 제1 및 2의 경우,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서 앉은 자세를 취하는 경우에만 자세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상당히 제한된 조건에서만 사용할 수 밖에 없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선행 특허문헌 3의 경우, 각종 센서를 신체에 부착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사용자의 활동에 불편함을 줄 뿐만 아니라, 계측 정보의 획득이나 처리 알고리즘이 복잡하고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사용자의 자세를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1. 한국 특허공개 제 10-2016-0048617 호 (발명의 명칭 : 압력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앉은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 2. 한국 특허공개 제 10-2014-0004320 호 (발명의 명칭 : 주기적 모니터링을 통한 자세교정 시스템) 3. 한국 특허공개 제 10-2017-0000353 호 (발명의 명칭 : 자세교정을 위한 생체신호 측정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 또는 삽입되어 사용자의 자세에 따른 기계적 변형에 따라 저항이 민감하게 바뀌는 신축성 저항 소자를 구비하는 자세 측정 및 교정 장치와, 이를 활용하는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자세 모니터링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 종래의 자세 모니터링 장치에 비해 휴대가 용이하고 일상 생활에서 공간적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세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신체에 구비된 모니터링 장치와 스마트폰 등의 단말이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자세 정보를 확인하고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세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부적절한 자세를 유지하는 경우 알람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자세를 교정하라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자세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는, 척추에 의해 분할되는 배부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신축 (stretch) 되는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자세를 모니터링 하도록 구성된 자세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척추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부분의 피부가 신축되는 정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되고,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되 신축성을 가지는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상기 제2 부분의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척추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기 제2 부분의 피부가 신축되는 정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되고,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되 신축성을 가지는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의 각각의 양 단에 형성된 전극을 통해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에 전류 또는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장치; 및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에 발생한 기계적 변형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서의 신체의 만곡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도록,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컨트롤러로 송출하는 통신 모듈; 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출력되는 데이터는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의 저항, 전류, 전압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는, 도전성 카본 (carbon) 입자를 함유하고, 척추의 길이 방향에 따라 끈 (string) 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는 각각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출력되는 데이터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신축성 저항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평균값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 신축성 저항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평균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부분의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제1 부분의 피부 또는 근육에 자극을 가하도록 구성된 제1 자극 소자; 및 상기 제2 부분의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제2 부분의 피부 또는 근육에 자극을 가하도록 구성된 제2 자극 소자;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척추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과 구별되는 제3 부분의 피부가 신축되는 정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되고,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되 신축성을 가지는 제3 신축성 저항 소자;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3 부분의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제3 부분의 피부 또는 근육에 자극을 가하도록 구성된 제3 자극 소자;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척추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과 구별되는 제4 부분의 피부가 신축되는 정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되고,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되 신축성을 가지는 제4 신축성 저항 소자;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4 부분의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제4 부분의 피부 또는 근육에 자극을 가하도록 구성된 제4 자극 소자;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방법은, 척추에 의해 분할되는 배부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신축 (stretch) 되는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자세를 모니터링 하도록 구성된 자세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삽입되어, 척추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부분의 피부가 신축되는 정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되고,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되 신축성을 가지는 제1 신축성 저항 소자와, 상기 제2 부분의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삽입되어, 척추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기 제2 부분의 피부가 신축되는 정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되고,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되 신축성을 가지는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와,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의 각각의 양 단에 형성된 전극을 통해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에 전류 또는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장치를 포함하는 자세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저항, 전류, 전압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에 발생한 기계적 변형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기계적 변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서의 신체의 만곡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서의 신체의 만곡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의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자세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제1 부분의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제1 부분의 피부 또는 근육에 자극을 가하도록 구성된 제1 자극 소자 및 상기 제2 부분의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제2 부분의 피부 또는 근육에 자극을 가하도록 구성된 제2 자극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신체의 만곡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의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자극 소자 및 제2 자극 소자 중 적어도 하나가 피부 또는 근육에 자극을 가하도록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신체의 만곡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의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외부 단말로 알림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은, 척추에 의해 분할되는 배부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신축 (stretch) 되는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자세를 모니터링 하도록 구성된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척추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부분의 피부가 신축되는 정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되고,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되 신축성을 가지는 제1 신축성 저항 소자와, 상기 제2 부분의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척추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기 제2 부분의 피부가 신축되는 정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되고,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되 신축성을 가지는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와,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의 각각의 양 단에 형성된 전극을 통해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에 전류 또는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장치와,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에 발생한 기계적 변형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서의 신체의 만곡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도록,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송출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자세 모니터링 장치; 및 자세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저항, 전류, 전압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에 발생한 기계적 변형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기계적 변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서의 신체의 만곡 정도를 측정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자세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 또는 삽입되어 기계적 변형에 따라 저항이 민감하게 바뀌는 신축성 저항 소자를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자세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면서도 각종 센서 또는 장비가 필요한 종래의 자세 모니터링 장치에 비해 사용의 편의성이 효과적으로 개선된 자세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자세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휴대가 용이하여 일상 생활에서 공간적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세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외력에 의해 형상이 자유롭게 변화되었다가 외력이 해제되면 원래 상태로 손상 없이 복귀하는 저항 소자를 활용함으로써, 굽힘 (bending) 이나 비틀림 (twisting), 그 밖의 다양한 변형 (strain) 을 유발하는 사용자의 다양한 자세를 측정하기에 적합하고, 반복 사용에도 변형되지 않는 측정 수단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세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에 구비된 모니터링 장치와 스마트폰 등의 단말이 연동되도록 하여 실시간으로 자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세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부적절한 자세를 유지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자세를 교정하라는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부적절한 자세로 인한 척추의 추간판 질환 (디스크 질환) 또는 척추 후만 및 측만 등과 같은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세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척추 병변으로 인해 수술을 받아 특정 기간 이상 바른 자세를 유지해야 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바른 자세를 유지 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수술 후 합병증을 예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자세 모니터링 장치, 이를 이용한 자세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세 모니터링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세 모니터링 장치 (100) 는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된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와,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에 전류 또는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장치 (130) 와,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의 가변되는 저항을 측정하는 저항 측정 장치 (140) 와, 저항 측정 장치 (140) 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외부의 장치로 송출하는 통신 모듈 (150) 을 포함한다.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는 인체의 척추에 의해 분할되는 배부 (背部) 의 제1 부분 (11) 및 제2 부분 (12) 이 신축 (stretch) 되는 정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소자이다.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는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되 신축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자세에 따른 기계적 변형에 따라 저항이 민감하게 바뀌는 특성을 가진다.
여기서, 배부란 척추 뒤쪽의 목, 등, 허리 부분을 의미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등 부분에 신축성 저항 소자들 (110, 120) 이 배치된 것을 예시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의 길이 방향에 따라 끈 (string) 의 형태로 배치되고,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의 양단의 전극 (111, 121) 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 1에서 예시한 신축성 저항 소자들 (110, 120) 의 형태는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이러한 저항 소자들 (110, 120) 은 폭이 넓은 띠의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때,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는 제1 부분 (11) 및 제2 부분 (12) 의 각각의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는 신축성을 지닌 탄성 물질과 도전성 나노 입자의 결합을 통해 필름 형태 및 3차원의 다양한 구조로 제작된 저항 소자일 수 있다. 탄성 물질은 탄성과 유연성을 지닌 실리콘고무의 일종인 PDMS (polydimethylsiloxane) 일 수 있고, 도전성 나노 입자는 카본 (carbon) 입자일 수 있다. 그 밖에도 도전성 나노 입자는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금속 나노와이어, 금속 나노파티클와 같은 높은 전도도를 지니고 있는 나노 소재일 수 있다. 이때,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를 형성하는 소재는 외부 영향 (온도, 습도 등) 에 따른 비저항의 변화가 적은 소재로 채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는 도전성 나노 입자를 포함하여 피부에 적용되도록 제조된 전자 잉크 (E-ink) 가 피부에 도포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삽입 (예컨대, 문신) 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전자 잉크는 한국 특허공개 제 10-2011-0133556 호에 개시된 피부에 안전한 전도성 잉크의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전자 잉크가 피부에 도포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를 형성하는 경우, 전자 잉크는 생체 조직과 결합이 가능하고, 부드럽고 탄력적인 재질이며,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와 피부 혹은 피하 조직 사이에는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에 흐르는 전류가 조직에 직접적인 영향 (예컨대, 감전) 을 유발할 수 있을 정도인 경우에는 절연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층은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를 감싸도록 형성된 것일 수도 있고, 피부 혹은 피하 조직에 접한 필름 형태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예시된 형상 이외에도 절연층은 다양한 방식으로 피부 혹은 피하 조직을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절연층은 그 신축도가 신축성 저항소자 (110, 120) 의 신축도와 동일하거나 근사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에도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는 기계적 변형에 따라서 저항이 민감하게 바뀌는 다양한 형태 (예를 들어, 필름 형태 등) 가 적용될 수 있으며, 압력 및 스트레인 (strain) 과 같은 신체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 촉각 소재라면 알려진 기술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원 장치 (130) 는 전극 (111, 121) 을 통해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에 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한다.
전원 장치 (130) 를 통해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에 전압 또는 전류가 인가되면, 저항 측정 장치 (140) 는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에 흐르는 전류 또는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의 저항을 산출한다.
산출된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의 저항 또는 변화된 저항의 변위는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에 발생한 기계적 변형에 관한 정보 및 제1 부분 (11) 및 제2 부분 (12) 에서의 신체의 만곡에 관한 정보를 산출함에 사용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통신 모듈 (150) 은 저항 측정 장치 (140) 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즉, 저항, 전류, 전압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를 외부의 장치로 송출한다.
통신 모듈 (150) 은 블루투스 (bluetooth) 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신 모듈 (150) 은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 (infrared data association ; IrDA), 지그비 (ZigBee), Wi-Fi 다이렉트 (Wi-Fi Direct) 와 같은 근거리장 통신 (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일 수 있음은 물론이고, 공지된 임의의 통신망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는 각각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의 길이 방향에 따라 끈 (string) 의 형태로 구성된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가 복수 개 병렬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저항 측정 장치 (140) 는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평균 값을 산출하여 통신 모듈 (150) 로 제공할 수도 있고, 별도의 연산 없이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데이터를 통신 모듈 (150) 로 제공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자세 모니터링 장치 (100) 는 상기 제1 부분 (11) 및 제2 부분 (12) 의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삽입된 제1 자극 소자 (160) 및 제2 자극 소자 (17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극 소자 (160) 및 제2 자극 소자 (170) 는 제1 부분 (11) 및 제2 부분 (12) 의 피부 또는 근육에 자극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제1 자극 소자 (160) 및 제2 자극 소자 (170) 는 전기근육자극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혹은 경피전기신경자극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방식으로 사용자의 피부 또는 근육에 자극을 가하도록 구성된 소자일 수 있다. 이때, 제1 자극 소자 (160) 및 제2 자극 소자 (170) 가 가하는 자극은 전기적인 자극 신호일 수도 있고, 그 이외에 진동 자극 신호일 수도 있다.
제1 자극 소자 (160) 및 제2 자극 소자 (170) 는 통신 모듈 (150) 로부터 자극 신호를 제공받으면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자극 소자 (160) 및 제2 자극 소자 (170) 의 동작에 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극 소자 (160) 와 제2 자극 소자 (170) 는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와 같이 끈의 형태로 배치되어 척추의 길이 방향에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자극 소자 (160) 는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와 전극 (111) 을 공유하도록, 제2 자극 소자 (170) 는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와 전극 (121) 을 공유하도록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와 함께 병렬 연결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1 자극 소자 (160) 및 제2 자극 소자 (170) 의 배치 방식은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부분 (11) 및 제2 부분 (12) 에 자극을 가할 수 있다면 설계 방식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2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자세 모니터링 장치 (100') 는 제1 부분 (11) 및 제2 부분 (12) 과 구별되는 제3 부분 (13) 에 제3 신축성 저항 소자 (18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신축성 저항 소자 (180) 는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에 더하여 본 발명의 자세 모니터링 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어깨 부분의 자세를 모니터링 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신축성 저항 소자 (180) 역시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와 같이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제3 부분 (13) 의 피부가 신축되는 정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와 달리 제3 신축성 저항 소자 (180) 는 척추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따른 피부의 신축 정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세 모니터링 장치 (100') 는 제3 부분 (13) 에 제3 신축성 저항 소자 (180) 를 더 포함함으로써, 제1 부분 (11), 제2 부분 (12) 및 제3 부분 (13) 의 피부의 신축을 측정하여 보다 다양한 자세를 정교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도 2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자세 모니터링 장치 (100'') 는 제1 부분 (11) 및 제2 부분 (12) 과 구별되는 제4 부분 (14) 에 제4 신축성 저항 소자 (18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신축성 저항 소자 (180') 는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에 더하여 본 발명의 자세 모니터링 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목 부분의 자세를 모니터링 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신축성 저항 소자 (180') 역시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와 같이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제4 부분 (14) 의 피부가 신축되는 정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3 신축성 저항 소자 (180) 와 달리 제4 신축성 저항 소자 (180') 는 척추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 따른 피부의 신축 정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세 모니터링 장치 (100'') 는 제4 부분 (14) 에 제4 신축성 저항 소자 (180') 를 더 포함함으로써, 제1 부분 (11), 제2 부분 (12) 및 제4 부분 (14) 의 피부의 신축을 측정하여 보다 다양한 자세를 정교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한편, 도 2a 및 도 2b에서는 제1 부분 (11), 제2 부분 (12), 제3 부분 (13) 및 제4 부분 (14) 이 서로 독립적인 부분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제3 부분 (13) 및 제4 부분 (14) 은 제1 부분 (11) 및 제2 부분 (12) 과 일부 중첩되어도 무방하다.
제3 신축성 저항 소자 (180) 및 제4 신축성 저항 소자 (180') 의 구동 원리는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를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세 모니터링 장치 (100', 100'') 는 제1 부분 (11) 및 제2 부분 (12) 과 구별되는 제3 부분 (13) 또는 제4 부분 (14) 에 피부 또는 근육에 자극을 가하도록 구성된 제3 자극 소자 (190) 또는 제4 자극 소자 (19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자극 소자 (190) 및 제4 자극 소자 (190') 는 제1 자극 소자 (160) 및 제2 자극 소자 (170) 에 더하여 본 발명의 자세 모니터링 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어깨 또는 목 부분의 자세를 교정 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자극 소자 (190) 및 제4 자극 소자 (190') 의 구동 원리는 제1 자극 소자 (160) 및 제2 자극 소자 (170) 를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3 신축성 저항 소자 (180) 및 제4 신축성 저항 소자 (180) 는 도 2a 및 도 2b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중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중첩되어 실시되는 경우, 어깨 및 목 부분의 자세 제어도 가능하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세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은 자세 모니터링 장치 (100), 컨트롤러 (200) 및 사용자 단말 (300) 을 포함한다. 자세 모니터링 장치 (100) 는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컨트롤러 (200) 는 본 발명의 자세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 (200) 는 자세 모니터링 장치 (100) 의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배부의 제1 부분 (11) 및 제2 부분 (12) 이 신축 (stretch) 되는 정도를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신체의 만곡 정도 및 자세를 판단한다. 또한, 컨트롤러 (200) 는 판단된 신체의 만곡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도록 제1 자극 소자 (160) 및 제2 자극 소자 (170) 로 자극 신호를 제공할 수 도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 (200) 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processor) 에 해당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 (200) 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구동될 수도 있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 (예컨대, 사용자 단말 (300)) 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컨트롤러 (200) 가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본 발명의 자세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 (300) 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웹 또는 모바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300) 은 프로세서, 저장부,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또는 단말기일 수 있고, 범용 (general purpose) 컴퓨터, 특수 목적용 컴퓨터,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이거나 이들과 결합하여 사용하는 부속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 (300) 은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300) 은 컨트롤러 (200) 와 통신하며 자세 모니터링 장치 (100) 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자세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 (300) 로 입력된 신호를 컨트롤러 (200) 를 통해 자세 모니터링 장치 (100) 로 전달할 수 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 단말 (300) 을 본 발명의 자세 모니터링 방법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 폰인 것으로 상정하고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 (300) 은 위의 열거한 단말기 중 하나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컨트롤러 (200) 가 본 발명의 자세 모니터링 방법을 수행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도면을 함께 참조할 수 있다.
컨트롤러 (200) 는 자세 모니터링 장치 (100) 의 통신 모듈 (150) 로부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S10).
여기서, 데이터는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의 전류, 전압, 저항에 관한 데이터이다.
컨트롤러 (200) 는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에 발생한 기계적 변형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고 (S20), 산출된 기계적 변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서의 신체의 만곡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를 판단한다 (S30).
컨트롤러 (200) 가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통해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에 발생한 기계적 변형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고, 배부의 제1 부분 (11) 및 제2 부분 (12) 이 신축 (stretch) 되는 정도 및 신체의 만곡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를 판단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배부의 제1 부분 (11) 및 제2 부분 (12) 이 늘어나게 되면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의 길이가 늘어나되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의 두께가 얇아지게 된다. 이때,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의 저항은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배부의 제1 부분 (11) 및 제2 부분 (12) 이 수축하게 되면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의 길이가 줄어들되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된다. 이때,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의 저항은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로 컨트롤러 (200) 는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의 저항 변화를 산출함으로써,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및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가 배치된 배부의 제1 부분 (11) 및 제2 부분 (12) 이 신축 (stretch) 되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 (200) 는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의 저항이 증가하고,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의 저항이 증가한다면, 배부의 제1 부분 (11) 및 제2 부분 (12) 이 모두 늘어나게 되는 것이므로, 사용자의 자세는 등 혹은 허리를 구부리거나 또는 고개를 숙인 자세가 된 것으로 판단한다.
반대로, 컨트롤러 (200) 는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의 저항이 감소하고,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의 저항이 감소한다면, 배부의 제1 부분 (11) 및 제2 부분 (12) 이 모두 수축하게 되는 것이므로, 사용자의 자세는 등 혹은 허리를 젖히거나 또는 고개를 든 자세가 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컨트롤러 (200) 는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의 저항이 감소하고,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의 저항이 증가하거나 또는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의 저항이 증가하고,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의 저항이 감소한다면, 배부의 제1 부분 (11) 및 제2 부분 (12) 이 한쪽은 늘어나고 다른 한쪽은 수축하게 되는 것이므로, 사용자의 자세는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기울어지거나 몸통이 회전한 상태가 된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으로, 컨트롤러 (200) 는 제1 부분 (11) 및 제2 부분 (12) 에서의 신체의 만곡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의 이상인지 판단한다 (S40).
신체의 만곡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측정 시점에 바르지 않은 즉, 부적절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여기서 기설정된 임계치는 본 발명의 자세 모니터링 장치 (100) 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하게 설정되어 컨트롤러 (200) 에 미리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앉거나 선 기준 상태 (standing position) 에서 기준점 (setting point) 를 설정하고, 의도적으로 신체의 각 부분을 굴곡 (flexion), 신전 (extension), 측방회전 (lateral rotation), 측굴 (lateral bending) 하게 하여 신체의 만곡 정도를 측정한다. 이때, 방사선 영상 촬영 등의 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기준 상태와 최대치로 신체를 변형한 상태의 사이에서, 기준 상태로부터 일정 비율 벗어난 정도를 기설정된 임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 (200) 는 신체의 만곡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의 이상으로 지속되는 시간 등을 기록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주기 위한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 (300) 로 송신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자세에 대한 모니터링 내용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컨트롤러 (200) 는 사용자의 신체의 만곡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의 이상인지 판단하는 경우, 제1 자극 소자 (160) 및 제2 자극 소자 (170) 중 적어도 하나가 피부 또는 근육에 자극을 가하도록 신호를 송신한다 (S50).
예컨대, 한편, 컨트롤러 (200) 는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10) 의 저항이 감소하고,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의 저항이 증가하여 배부의 제2 부분 (12) 이 기설정된 임계치 이상 늘어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컨트롤러 (200) 는 제2 자극 소자 (170) 에 자극을 가하도록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피드백 과정을 통해 자극이 가해진 쪽의 근육이 수축하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자극을 감지함으로써 자세를 바로 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 (200) 가 사용자의 신체의 만곡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의 이상인지 판단하는 경우, 컨트롤러 (200) 는 사용자 단말 (300) 로 알림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 (300) 로 소리, 진동 또는 시각 정보로 알람 신호가 전달되면, 역시 사용자가 자극을 감지함으로써 자세를 바로 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세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부적절한 자세를 유지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자세를 교정하라는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부적절한 자세로 인한 척추의 추간판 질환 (디스크 질환) 또는 척추 후만 및 측만 등과 같은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나아가 척추 병변으로 인해 수술을 받아 특정 기간 이상 바른 자세를 유지 해야 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바른 자세를 유지 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수술 후 합병증을 예방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자세 모니터링 장치
110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120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111, 121 …전극
130 …전원 장치
140 …저항 측정 장치
150 …통신 모듈
160 …제1 자극 소자
170 …제2 자극 소자
180 …제3 신축성 저항 소자
190 …제 3 자극 소자
180' …제4 신축성 저항 소자
190' …제 4 자극 소자
200 …컨트롤러
300 …사용자 단말

Claims (14)

  1. 척추에 의해 분할되는 배부 (背部) 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신축되는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자세를 모니터링 하도록 구성된 자세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척추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부분의 피부가 신축되는 정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되고,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되 신축성을 가지는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상기 제2 부분의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척추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기 제2 부분의 피부가 신축되는 정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되고,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되 신축성을 가지는 제2 신축성 저항 소자;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의 각각의 양 단에 형성된 전극을 통해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에 전류 또는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장치; 및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에 발생한 기계적 변형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서의 신체의 만곡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도록,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컨트롤러로 송출하는 통신 모듈; 을 포함하는, 자세 모니터링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되는 데이터는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의 저항, 전류, 전압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인, 자세 모니터링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는,
    도전성 카본 (carbon) 입자를 함유하고, 척추의 길이 방향에 따라 끈 (string) 의 형태로 배치되는, 자세 모니터링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는 각각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출력되는 데이터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신축성 저항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평균값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 신축성 저항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의 평균값인, 자세 모니터링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제1 부분의 피부 또는 근육에 자극을 가하도록 구성된 제1 자극 소자; 및
    상기 제2 부분의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제2 부분의 피부 또는 근육에 자극을 가하도록 구성된 제2 자극 소자; 를 더 포함하는, 자세 모니터링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척추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과 구별되는 제3 부분의 피부가 신축되는 정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되고,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되 신축성을 가지는 제3 신축성 저항 소자; 를 더 포함하는, 자세 모니터링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의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제3 부분의 피부 또는 근육에 자극을 가하도록 구성된 제3 자극 소자; 를 더 포함하는, 자세 모니터링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척추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과 구별되는 제4 부분의 피부가 신축되는 정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되고,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되 신축성을 가지는 제4 신축성 저항 소자; 를 더 포함하는, 자세 모니터링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부분의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제4 부분의 피부 또는 근육에 자극을 가하도록 구성된 제4 자극 소자; 를 더 포함하는, 자세 모니터링 장치.
  10. 척추에 의해 분할되는 배부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신축 (stretch) 되는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자세를 모니터링 하도록 구성된 자세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삽입되어, 척추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부분의 피부가 신축되는 정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되고,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되 신축성을 가지는 제1 신축성 저항 소자와, 상기 제2 부분의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삽입되어, 척추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기 제2 부분의 피부가 신축되는 정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되고,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되 신축성을 가지는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와,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의 각각의 양 단에 형성된 전극을 통해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에 전류 또는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장치를 포함하는 자세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저항, 전류, 전압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에 발생한 기계적 변형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기계적 변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서의 신체의 만곡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세 모니터링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서의 신체의 만곡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의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세 모니터링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제1 부분의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제1 부분의 피부 또는 근육에 자극을 가하도록 구성된 제1 자극 소자 및 상기 제2 부분의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제2 부분의 피부 또는 근육에 자극을 가하도록 구성된 제2 자극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신체의 만곡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의 이상으로 판단되고 상기 신체의 만곡 정도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 제1 자극 소자 및 제2 자극 소자 중 적어도 하나가 피부 또는 근육에 자극을 가하도록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세 모니터링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신체의 만곡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치의 이상으로 판단되고 상기 신체의 만곡 정도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 외부 단말로 알림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세 모니터링 방법.
  14. 척추에 의해 분할되는 배부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신축 (stretch) 되는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자세를 모니터링 하도록 구성된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척추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부분의 피부가 신축되는 정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되고,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되 신축성을 가지는 제1 신축성 저항 소자와, 상기 제2 부분의 피부 상에 부착되거나 또는 피부의 내측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척추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기 제2 부분의 피부가 신축되는 정도를 측정하도록 배치되고,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되 신축성을 가지는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와,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의 각각의 양 단에 형성된 전극을 통해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에 전류 또는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장치와,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에 발생한 기계적 변형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서의 신체의 만곡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도록,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송출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자세 모니터링 장치; 및
    자세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저항, 전류, 전압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축성 저항 소자 및 상기 제2 신축성 저항 소자에 발생한 기계적 변형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기계적 변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서의 신체의 만곡 정도를 측정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80103472A 2017-08-31 2018-08-31 신축성 저항 소자를 이용한 자세 모니터링 장치, 이를 이용한 자세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2202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0162 WO2019045526A1 (ko) 2017-08-31 2018-08-31 신축성 저항 소자를 이용한 자세 모니터링 장치, 이를 이용한 자세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US16/641,631 US20200297248A1 (en) 2017-08-31 2018-08-31 Posture monitoring device employing elastic resistance element, and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posture by using same
JP2020511317A JP7342334B2 (ja) 2017-08-31 2018-08-31 伸縮性抵抗素子を用いた姿勢モニタリング装置、それを用いた姿勢モニタリング方法及び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700 2017-08-31
KR20170110700 2017-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847A true KR20190024847A (ko) 2019-03-08
KR102202619B1 KR102202619B1 (ko) 2021-01-13

Family

ID=65801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472A KR102202619B1 (ko) 2017-08-31 2018-08-31 신축성 저항 소자를 이용한 자세 모니터링 장치, 이를 이용한 자세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297248A1 (ko)
JP (1) JP7342334B2 (ko)
KR (1) KR102202619B1 (ko)
CN (1) CN11131529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628B1 (ko) * 2019-05-20 2019-11-21 송방호 저주파자극에 의한 허리근육강화 조끼용 척추구부림감지장치
KR102081023B1 (ko) * 2019-05-20 2020-05-04 송방호 저주파자극에 의한 허리근육강화 허리벨트용 근육이완감지장치
EP3860442A4 (en) * 2019-07-12 2021-12-22 Robertson, Hadley All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USE OF A MEDICAL DEVIC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6636A (ja) * 2005-04-19 2008-09-11 コンペックス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背中及び腹部の筋肉に対して電極による刺激を実施する装置
KR20120004579A (ko) * 2010-07-07 2012-01-13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U-wban 기반에서의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22542A (ko) * 2011-08-25 2013-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004320A (ko) 2012-07-02 2014-01-13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주기적 모니터링을 통한 자세교정 시스템
KR20160048617A (ko) 2014-10-24 2016-05-0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압력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앉은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000353A (ko) 2015-06-22 2017-01-02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자세교정을 위한 생체신호 측정장치
KR20170058828A (ko) * 2015-11-19 2017-05-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 신호 측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17548A1 (en) 1994-12-05 1996-06-13 Kline Daniel S Posture training device
US6168569B1 (en) * 1998-12-22 2001-01-02 Mcewen James All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lating pain and activity of a patient
DE202005015889U1 (de) 2005-10-07 2006-01-05 Debus, Dirk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der Haltung und/oder Bewegungen eines menschlichen Körperteils
DE202007019388U1 (de) 2006-11-02 2012-05-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Befestigen zumindest eines Biegesensorbands auf einem Körperteil, sowie ein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Vorrichtung zum Befestigen von zwei Biegesensorbändern in parallelerAnordnung auf einem Körperteil
DE102008052406A1 (de) 2008-08-08 2010-02-11 Epionics Medical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fassen von Parametern zur Charakterisierung von Bewegungsabläufen am menschlichen oder tierischen Körper
US20100036287A1 (en) * 2008-08-08 2010-02-11 Michael Weber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Parameters for the Characterization of Motion Sequences at the Human or Animal Body
US9799187B2 (en) 2012-02-08 2017-10-24 Farhad M. Limonadi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range of motion of body
US20150374266A1 (en) * 2013-02-18 2015-12-31 Upright Technologies Ltd. Posture detection device
JP6397222B2 (ja) 2013-12-17 2018-09-26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補助具、補助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70103636A1 (en) * 2015-10-07 2017-04-13 Feng Ching Tu Improper spinal curvature warning apparatus
CN105266817B (zh) * 2015-11-04 2017-12-22 东华大学 一种基于织物传感器的上肢功能运动监测***及方法
CN105662682A (zh) * 2016-01-27 2016-06-15 于在运 矫姿衣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6636A (ja) * 2005-04-19 2008-09-11 コンペックス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背中及び腹部の筋肉に対して電極による刺激を実施する装置
KR20120004579A (ko) * 2010-07-07 2012-01-13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U-wban 기반에서의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22542A (ko) * 2011-08-25 2013-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004320A (ko) 2012-07-02 2014-01-13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주기적 모니터링을 통한 자세교정 시스템
KR20160048617A (ko) 2014-10-24 2016-05-0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압력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앉은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000353A (ko) 2015-06-22 2017-01-02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자세교정을 위한 생체신호 측정장치
KR20170058828A (ko) * 2015-11-19 2017-05-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 신호 측정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628B1 (ko) * 2019-05-20 2019-11-21 송방호 저주파자극에 의한 허리근육강화 조끼용 척추구부림감지장치
KR102081023B1 (ko) * 2019-05-20 2020-05-04 송방호 저주파자극에 의한 허리근육강화 허리벨트용 근육이완감지장치
EP3860442A4 (en) * 2019-07-12 2021-12-22 Robertson, Hadley All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USE OF A MEDICAL DEVICE
US11256324B2 (en) 2019-07-12 2022-02-22 Hadley Allen Robertson Medical device usag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11256325B2 (en) 2019-07-12 2022-02-22 Hadley Allen Robertson Medical device usag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15295A (zh) 2020-06-19
US20200297248A1 (en) 2020-09-24
KR102202619B1 (ko) 2021-01-13
JP2020532349A (ja) 2020-11-12
JP7342334B2 (ja) 202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4605B2 (en) Neural sleeve for neuromuscular stimulation, sensing and recording
US20240207605A1 (en) Neural sleeve for neuromuscular stimulation, sensing and recording
CN107693020B (zh) 脊柱生理曲度监测装置及脊柱生理曲度监测方法
US20100324457A1 (en) Skeletal-muscular position monitoring device
JP4911738B2 (ja) 歩行リハビリ支援装置
US20160242646A1 (en) Noninvasive medical monitoring device, system and method
KR20190024847A (ko) 신축성 저항 소자를 이용한 자세 모니터링 장치, 이를 이용한 자세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CN108290037B (zh) 电极定位***及方法
US11957906B2 (en) External stimulus application system, external stimulus condition determination system, and external stimulus condition determination support server
WO2018047842A1 (ja) 生体情報計測用プローブ、及び、生体情報計測装置
US9161703B2 (en) Integrated bioinformatics sensing apparatus
EP3760170B1 (en) Device for real-time monitoring and active postural autocorrection
CN112584800A (zh) 体现最佳的三点压迫功能的脊椎矫正器及利用其的脊椎侧弯症管理***
WO2019045526A1 (ko) 신축성 저항 소자를 이용한 자세 모니터링 장치, 이를 이용한 자세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18265A (ko) 자세 모니터링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63564A (ko) 웨어러블 측정기 및 그를 이용한 척추 진단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CN209885031U (zh) 角度测量绑带及自主镜像控制的差分型功能电刺激装置
CN219250577U (zh) 一种矫形装置
KR20220134931A (ko) 요추 보조를 위한 스마트 상의 및 그 제어 방법
JP2017189306A (ja) リハビリ支援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備えた機器ならびにリハビリ支援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170022378A (ko) 맞춤형 건강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기기용 웨어러블 모듈
Turnbull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lexible Sensing Array for Placement within the Physical Human-Exoskeleton Interface
Nivethitha et al. A Novel Wearable Device to Indicate Sciatic Nerve Pressure
WO2022117652A2 (en) Conformable impedance sensor assembly and sensor systems
CN115804677A (zh) 一种矫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