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0997A - 차량 부품을 전동 및 수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부품을 전동 및 수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0997A
KR20180010997A KR1020170091393A KR20170091393A KR20180010997A KR 20180010997 A KR20180010997 A KR 20180010997A KR 1020170091393 A KR1020170091393 A KR 1020170091393A KR 20170091393 A KR20170091393 A KR 20170091393A KR 20180010997 A KR20180010997 A KR 20180010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vehicle
vehicle component
us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2485B1 (ko
Inventor
크리스티안 헤르만
볼프강 우에벨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filed Critical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Publication of KR20180010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4Disengaging means
    • E05Y2201/216Clu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05Y2400/3013Electronic control of motors during manual wing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정범위 내에서 제1 차량 부품(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2 차량 부품(11)의 전동식 및 수동식 조정을 위한 장치로서,
― 제2 차량 부품(11)이 적어도 하나의 조정방향(O, S)으로 전동식으로 조정가능하고, 조정범위 내의 조정위치에서 제1 차량 부품(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파지될 수 있게 하면서, 파지 위치와 파지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구동장치(2)로서, 제2 차량 부품(11)은 파지 위치에서 구동장치(2)를 통해 조정위치에서 파지되고 파지해제 위치에서는 수동 방식으로 조정범위 이내에서 조정될 수 있는 것인 상기 구동장치(2), 및
― 제1 차량 부품(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제2 차량 부품(11)의 수동식 조정을 허용하기 위하여, 구동장치(2)가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링된 조작 이벤트에 반응하여, 파지 위치와 파지해제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게 하는 전자 제어장치(4)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전자 제어장치(4)는,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링된 조작 이벤트에 반응하여, 파지해제 위치로 전환되기 전에, 우선 조정위치로부터 수동식 조정이 이루어지는 조정방향(S, O)으로 전동식의 조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구동장치(2)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 부품을 전동 및 수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MOTORICALLY AND MANUALLY ADJUSTING A VEHICLE PART}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라, 조정범위 내에서 제1 차량 부품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2 차량 부품을 전동 및 수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장치와, 제2 차량 부품을 전동 및 수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장치를 포함하며, 이 구동장치에 의해 제2 차량 부품이 적어도 하나의 조정위치로 전동식으로 조정될 수 있고, 조정범위 내의 조정위치에서 제1 차량 부품에 대해 상대적으로 파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차량 부품은 제1 차량 부품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우에 따라 심지어 제1 차량 부품 자체에 조정가능하게 장착되며, 구동장치를 통해, 예컨대, 제2 차량 부품의 전동식 조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구동장치를 통해 제2 차량 부품은 정의된 조정범위 이내의 취해진 조정위치에서 파지된다. 이를 위해, 예컨대 구동장치는 조정위치에서 외부로 조정되지 않도록 제2 차량 부품을 차단한다. 이런 유형의 장치는 예컨대 차량 차체에 관절식으로 배치된 차량 도어의 조정을 위해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차량 도어는 도어 구동부에 의해 전동식으로 개방되고 그리고/또는 폐쇄될 수 있다. 여기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개방된 조정위치에서의 차량 도어의 파지는 통상 구동장치를 통해 연속해서 수행된다.
특히, 차량 도어들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들의 경우, 전동식 조정에 대해 추가로 수동식 조정을 허용하는 필요성이 있다. 이는 차량 도어들의 경우, 예컨대, 종종 차량 도어의 개방이 전동식으로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해결되지만, 그러면 사용자가 차량 도어에 충분히 큰 힘을 가하고, 이것이 조작 이벤트로서 평가되어 차량 도어의 수동식 조정이 허용된다. 이 경우 구동장치는 차량 도어가 취해진 조정 위치에서 파지되는 파지 위치로부터, 조정범위 이내에서 차량 도어의 수동식 조정이 허용되면서 구동장치는 제2 차량 부품이 조정되지 않도록 더 이상 차단하지 않는 파지해제 위치로 전환된다. 이와 관련하여 일반적인 유형의 장치는 예컨대 DE 10 2014 211 138 A1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구동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링된 조작 이벤트에 반응하여 파지 위치와 파지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게 하는 전자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점은 공지되어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전자 제어장치를 통해, 예컨대, 사용자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힘으로, 부분적으로 개방된 차량 도어를 폐쇄 위치의 방향으로 당기거나 민다면, 구동장치가 파지해제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 통상 갑자기 발생하는 차량 도어의 작동 자유도(freedom of movement)는 사용자에게는 만족스럽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파지해제 위치로의 갑작스런 전환은 장치의 유효 수명에 걸쳐 특별한 문제들과 결부되는데, 그 이유는, 이 경우, 특히 온도로 인해, 작동 소음이 발생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파지 위치에서의 구동장치의 차단 효과(barrier effect)와 구동장치의 파지해제 위치에서의 차량 도어의 작동 자유도 사이의 차이는 상대적으로 크고, 사용자에게 표면상 예측할 수 없는 시점에 전환이 수행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구동장치의 파지 위치와 파지해제 위치 사이의 전환 및 조작 동안 편이성과 관련하여 최초에 언급된 유형의 장치를 추가로 개량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특허 청구항 제1항의 장치뿐만 아니라, 특허 청구항 제10항의 방법으로도 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링된 조작 이벤트에 반응하여, 파지해제 위치로 전환하기 전에 우선 조정위치 외부로 수동식 조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조정방향으로 전동식으로 조정을 수행하기 위해 구동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전자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사용자 측에서 수동식 조정이 원하는 것으로 검출된 후에, 구동장치가 파지해제 위치로 전환되기 전에, 우선 구동장치를 통해 원하는 조정방향으로의 조정을 트리거링하는 것에 있다. 그에 따라, 우선 전동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수 초 또는 1초 미만의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제2 차량 부품의 조정이 실행되고, 구동장치는 파지해제 위치로 전환되고, 제 2차량 부품은 자유 이동방식으로 원하는 조정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그 결과, 구동장치의 파지 위치와 파지해제 위치 사이에서의 갑작스런 전환은 방지된다. 그 대신, 구동장치는, 전동식 조정에서 수동식 조정으로의 전위를 좀 더 갑작스럽지 않게 하도록 제어되어, 전위 조정 이동(transition-adjustment movement)을 수행한다. 이런 전위 조정 이동 동안에, 구동장치를 통해 여전히 제2 차량 부품의 조정을 위한 구동력이 생성된다면, 이는 파지해제 위치에서는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구동장치는 수동식 조정을 저지하지 않을뿐더러, 구동력도 수동식 조정이동을 보조하지 않는다.
이 경우,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이한 차량 부품들의 전동식 및 수동식의 조정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장치는 도어 개방을 허용하게 하기 위하여, 차량 차체 상에 조정가능하게 장착된 차량 도어의 조정을 위해서도 그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조정가능하게 장착되는 또 다른 차량 부품들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리프트 게이트(lift gate), 트렁크 리드(trunk lid), 슬라이딩 도어(sliding door) 또는 엔진 후드(engine hood)를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구동장치는, 변속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셀프록킹되는 기어장치를 포함하며, 이 기어장치는 구동장치의 파지 위치에서 조정력의 전달을 위해 구동부재와 구동모터를 연결하고 파지해제 위치에서 상기 연결을 차단한다. 그 대안으로 또는 그에 보충하여 클러치는 구동장치의 부분일 수 있으며, 이 클러치는 파지 위치에서, 제2 차량 부품을 조정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체결되고 파지해제 위치에서는, 제2 차량 부품의 수동식 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개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제어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장치와 연결되며, 이 센서장치에 의해서는 사용자가 트리거링하여 사용자가 제2 차량 부품을 어느 조정방향으로 수동 방식으로 조정하고자 하는지를 사용자가 시그널링하는 조작 이벤트가 전자 방식으로 검출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장치는, 수동 방식으로 제2 차량 부품에 인가되어 제2 차량 부품이 사용자에 의해 조정위치로부터 조정방향으로 밀리거나 당겨지게 하는 힘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에 상응하게 수동 방식으로 인가되는 힘은 예컨대 구동장치 내부에서 (간접적으로) 검출될 수 있거나, 또는 압력센서를 통해 차량 부품에서 (직접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각각의 힘이 제어장치에 저장된 임계 값을 초과하면, 이는 조작 이벤트로서 평가되고, 구동장치는 활성화되어 제2 차량 부품을 조정하며, 그럼으로써 제2 차량 부품은 전위 조정 이동을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가 최대한 거의 감지하지 못하게 전동식 전위 조정 이동이 진행되게 하기 위해, 전자제어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링된 조작 이벤트에 반응하여, 구동장치가 파지해제 위치로 전환되고 경우에 따라 비활성화되기 전에, 2초 미만의 기간 동안 우선 전동식 조정을 수행하기 위해 구동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차량 부품을 비교적 단기간 전동식으로 조정하고 그런 후에 수동식 조정이 결과적으로 허용됨으로써, 구동장치의 상이한 전환 상태들 간의 단기간의 원활한 전위가 가능해진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제2 차량 부품을 오직 여전히 수동 방식으로만 조정할 수 있으려면, 그전에 제2 차량 부품은 이미 전동식으로, 이 제2 차량 부품이 구동장치로 인해 휴지 상태에 있었던 조정위치 외부로 조정된다.
본 발명에서 확인된 바에 따르면, 이미 1초 미만, 특히 40㎳ 내지 650㎳의 범위, 예컨대 50㎳ 내지 300㎳ 범위의 전위 조정 이동만으로도 사용자는 파지 위치와 파지해제 위치 간의 전위를 편안하고 원활하게 느끼게 된다. 예컨대, 제어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링된 조작 이벤트에 반응하여, 파지해제 위치로 전환하기 전에, 약 500㎳의 시간 동안 사용자가 원하는 조정방향으로 우선 전동식 조정을 수행하기 위해 구동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 제어장치 내에는 구동장치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설정 특성 곡선이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런 설정 특성 곡선을 통해 파지해제 위치로 전환되기 전에 전동식 조정 동안 제2 차량 부품의 조정속도의 특성 곡선이 사전 설정된다. 그 결과, 조정위치 외부로 제2 차량 부품의 조정을 위해 조작 이벤트가 검출되면, 전자 제어장치는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설정 특성 곡선을 통해, 제2 차량 부품이 단계별로 또는 연속적으로 상승하는 조정속도로 조정되는 방식으로, 제2 차량 부품의 전동식 조정을 제어한다.
원칙상, 설정 특성 곡선이 적어도 하나의 섹션에서 램프(ramp)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설정 특성 곡선이 램프유형의 특성 곡선을 가지며 (예컨대, 2초 미만, 특히 40㎳ 내지 650㎳ 범위, 예컨대, 50㎳ 내지 300㎳ 범위의 사전 설정된 활성화 기간 이내에) 제2 차량 부품을 위한 연속 상승하는 조정속도를 사전 설정한다는 점을 포함한다.
일 실시 변형예에서, 제2 차량 부품을 조정위치에서부터 조정하기 위하여 상이한 조정속도들로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장치가 구성되고, 상이한 조정 속도들은 검출된 차량 기울기, 조정방향, 조정범위 이내의 조정위치 및/또는, 조작 이벤트를 트리거링하기 위해 사용자가 제2 차량 부품에 영향을 미치게 하는 작동력(operation force)에 따라서 결정된다. 예컨대, 조정속도는 가변되며, 더 정확하게 말하면, 차량이 경사면에 있는지 여부, 제2 차량 부품이 폐쇄되거나 개방되어야 하는지 여부, 제2 차량 부품이 정의된 조정범위의 단부 영역에 있는지 여부(예컨대, 차량 도어가 이미 거의 완전히 폐쇄되거나 또는 개방되어 있는지 여부) 및/또는 사용자가 예를 들어, 큰 힘으로 제2 차량 부품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그리고 그에 따라 예컨대, 차량 도어를 힘차게 탕 닫고자 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결정된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전자 제어장치 내에 조정속도의 상이한 특성 곡선을 사전 설정하기 위하여 구동장치를 위한 상이한 설정 특성 곡선들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이한 설정 특성 곡선들은 차량 기울기, 조정방향, 조정위치 및/또는 전자 제어장치를 통한 작동력 레벨에 따라 자동으로 선택된다. 해당되는 개별 관련된 파라미터들에 대한 정보들, 예컨대, 차량 기울기, 원하는 조정방향, 제2 차량 부품의 실시간 조정위치 및/또는 작동력 레벨은 개별된 센서들 및/또는 차량 측에 이미 있는 센서들을 통해 전자 제어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장치의 전자 센서장치들로의 전송을 위해 예컨대, CAN 버스(controller Area Network Bus)가 사용될 수 있다.
이미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구동장치는 일 실시 변형예에서 변속 가능한 기어 유닛 및/또는 개폐 가능한 클러치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유닛을 통해
― 파지 위치에서 구동장치의 구동부재와 구동모터가 연결되며, 이 구동부재를 통해서는 제2 차량 부품을 전동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모터의 조정력이 전달될 수 있으며, 그리고
― 파지해제 위치에서 구동모터와 구동부재 사이의 연결이 차단된다.
그에 따라, 기어 유닛 또는 클러치 유닛은 제2 차량 부품의 바람직한 전동식 조정뿐만 아니라, 수동식 조정 역시도 가능하게 한다. 차량 부품들이 서로 상대적으로 모터로 조정되어야 한다면, 기어 유닛 또는 클러치 유닛은 연결 상태로 전환되며, 그럼으로써, 구동모터와 할당된 구동부재 사이의 연결이 발생하고 구동부재를 구동하는 것을 통해 제2 차량 부품은 제1 차량 부품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동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2 차량 부품이 수동 방식으로 이동되어야 한다면, 기어 유닛 또는 클러치 유닛은 프리휠(freewheel) 상태로 전환되고, 그럼으로써 구동부재가 구동모터로부터 분리된다. 그런 다음, 구동부재는 구동모터로부터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는 제2 차량 부품의 수동식 조정을 가능하게 하며, 이와 동시에 구동모터는 함께 이동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라, 파지 위치에서 파지해제 위치로, 그리고 그에 따라 연결 상태에서부터 프리휠 상태로 전환시, 우선 제2 차량 부품이 휴지 상태인 경우, 전동식 전위 조정 이동은 구동모터를 통해 수행되고, 그런 후에 구동모터와 구동부재 사이에서의 연결이 차단되며 (그리고 예컨대 클러치가 개방되고) 구동모터가 중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대상은 정의된 조정범위 내에서 제1 차량 부품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2 차량 부품을 전동식으로 조정하고 수동 방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발명에 따른 장치와 동일한 기본 사상에 기인하며, 그에 상응하여 하기와 같이 제공한다,
― 제2 차량 부품이 전환될 수 있는 구동장치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조정방향으로 전동식으로 조정될 수 있고 조정범위 이내의 조정위치에서는 제1 차량 부품에 대해 상대적으로 파지될 수 있고, 구동장치는 파지 위치와 파지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으며, 제2 차량 부품은 파지 위치에서 구동장치를 통해 조정위치에서 파지되고, 파지해제 위치에서는 조정범위 이내에서 수동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으며, 그리고
― 구동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링된 조작 이벤트에 반응하여, 사용자에 의한 제1 차량 부품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2 차량 부품의 수동식 조정을 허용하기 위하여, 파지 위치에서부터 파지해제 위치로 전환된다.
또한, 구동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링된 조작 이벤트에 반응하여, 제2 차량 부품을 우선 전동식으로 조정위치로부터 수동식의 조정이 이루어지는 조정방향으로 조정하고, 이어서 구동장치가 파지해제 위치로 전환된다는 점이 제공된다. 그에 따라, 여기서도 우선 제2 차량 부품이 휴지 상태인 경우, 구동장치가 파지해제 위치로 전환되고 제2 차량 부품이 자유 이동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기 이전에, 제2 차량 부품의 전위 조정 이동이 이루어진다.
발명에 따른 방법은 자명한 사실로서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그에 상응하게, 상기 및 하기에서 설명되는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 변형예들의 장점들 및 특징들은 발명에 따른 방법의 변형예들에도 적용되고 그 역으로도 가능하다. 그 밖에 여전히 주지할 사항은, 정의된 조정범위 이내의 조정위치가 제1 차량 부품에 대해 상대적인 제 2차량 부품의 위치이면서, 제2 차량 부품이 조정범위의 두 개의 가능한 단부위치 중 하나의 단부위치에 존재하는 것인, 상기 위치도 의미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최대로 개방된 차량 도어 역시도 우선 극미하게, 그리고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폐쇄방향으로 전동식으로 조정될 수 있고, 그런 후에 차량 도어는 차단해제되고 사용자는 최종적으로 순수하게 수동 방식으로 완전하게 닫을 수 있고, 이를 위해 추가로 폐쇄방향으로 밀거나 당길 수 있다.
첨부된 도면들에는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 변형예들이 예시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a는 차량 차체 상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변형예가 사용되는 차량 도어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일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차량 차체의 일부분 및 구동장치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도 1a의 차량 도어를 위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b의 구동장치의 제어를 위한 전자 제어장치와 상이한 센서 장치들의 상호작용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 작동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 예의 기능원리을 설명하기 위한 속도-시간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a에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차량 도어(11)와 관련하여 차량(자동차)(1)이 차량의 일부분으로 도시되어 있다. 차량 도어(11)는 차량(1)의 차체(차량차체)(10)에 관절식으로 연결되고, 폐쇄 상태에서 도어 개구부(12)를 폐쇄한다. 개방방향(O)을 따라 차량 도어(11)가 회동될 수 있다.
도 1b의 단면도에 도시된 것처럼, 차체(10)와 차량 도어(11) 사이에서는, 캐치 스트랩(catch strap) 형태로 조정부재(21)를 포함하여 차체(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차량 도어(11)를 고정하고 조정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구동장치(2)를 구비한 장치가 작동한다. 캐치 스트랩 형태인 조정부재(21)는 조인트(20)를 중심으로 차체(10) 상에, 예컨대 차량(1) 상에 A-필러(A-pillar)에 관절식으로 배치되고, 차량 도어(11)의 회동시, 차량 도어(1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이를 위해, 조정부재(21)는 일측 단부(211)로 차량 도어(11)의 도어 내부챔버(110) 안쪽으로 돌출되고 차량 도어(11)의 조정시 상기 도어 내부챔버(110) 내로 이동된다.
도어 힌지(111)를 통해 관절방식으로 차체(10) 상에 배치되는 차량 도어(11)는 여기서 도어 구동부(2)의 형태인 구동장치를 포함한 장치를 통해 전동식으로 개방방향(O)으로뿐만 아니라 그 반대방향으로도, 즉 폐쇄방향으로도 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 구동부(2)는, 결과적으로 차량 도어(11)가 차량 도어(11)의 최대로 개방된 위치와 완전하게 폐쇄된 위치 사이에 취해진 조정위치에서 연속해서 고정되고, 그 결과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개방된 차량 도어(11)는 도어 구동부(2)을 통해 조정되지 않게 차단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도어 구동부(2)는 오직 차량 도어(11)의 전동식 조정을 위해서만 형성되지 않는다. 오히려, 도어 구동부(2)는 예컨대, 폐쇄방향(S)으로의 차량 도어(11)의 폐쇄를 위하여, 차량 도어(2)의 수동식 조정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도어 구동부(2)는, 예컨대, 도어 구동부(2)의 구동모터, 예컨대 전기 모터가 캐치 스트랩 형태인 조정부재(21)와 상호작용하면서 차량 도어(11)를 조정하기 위한 모터 조정력이 전달될 수 있게 하는 구동부재와 연결되게 하는 기어 유닛 또는 클러치 유닛을 포함한다. 이 경우 도어 구동부(2)는 구동모터와 구동부재 사이에서의 연결을 중단시키기 위해 전환될 수 있다. 연결된 상태에서 도어 구동부(2)는 파지 위치에 있고, 파지 위치에서 도어 구동부(2)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차량 도어(11)가 취해진 조정위치에서 파지된다. 그에 반해 분리된 상태에서 도어 구동부(2)는 파지해제 위치에 있고, 파지해제 위치에서 차량 도어(2)는 자유 이동방식으로 수동 방식으로 개방방향(O) 또는 폐쇄방향(S)으로 조정될 수 있으며, 도어 구동부(2)는 상기 조정을 하지 않도록 차량 도어(11)를 더 이상 차단하지 않는다. 상기 도어 구동부(2)를 구비한 예시적인 장치는 예컨대 DE 10 2014 211 138 Al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차량 도어(11)의 경우, 전자 제어장치에 의해, 사용자가 수동 방식으로 차량 도어(11)를 이동시키고, 예컨대 재차 폐쇄하려 하는지가 센서방식으로 검출된다. 그런 경우, 수동 방식으로 차량 도어(11)에 인가된 작동력이 저장된 임계 값을 초과할 경우, 차량 도어(11)는 도어 구동부(2)를 통해 릴리스된다. 도어 구동부(2)는 예컨대, 구동모터와 구동부재 사이에서의 연결이 기어 측에서 중단되거나 또는 클러치가 개방되면서, 파지 위치에서부터 파지해제 위치로 전환된다.
그러나, 이 경우 파지 위치와 파지해제 위치 사이의 전환은 실제로는 종종 갑작스럽고, 그에 따라 사용자에게는 예기치 않게 수행된다. 이는 최대한 높은 조작 편이성과 관련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단점이며, 그 이유는 사용자가 파지 위치와 파지해제 위치 사이의 전환이 촉각적으로 불편하고 놀랍게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처리하기 위해, 발명에 따른 해결의 일 실시예는 도 2에 상응하게 도어 구동부(2)와 전자 제어장치(4)가 연결되는 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어장치(4)를 통해 휴지 중이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차량 도어(11)의 경우, 차량 도어(11)가,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링된 조작 이벤트에 반응하여, 도어 구동부(2)을 통해 사용자가 차량 도어(11)를 수동 방식으로 조정하려는 시그널링을 하게 했던 조정 방향(S 또는 O)으로 우선 전동식으로 조정된다. 그런 후에 비로소, 도어 구동부(2)가 파지해제 위치로 전환되고, 그 결과 차량 도어(11)가 자유 이동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차량 도어(11)는, 이어서 도어 구동부(2)가 파지해제 위치로 전환되기 전에, 조작 이벤트들의 전자 검출에 따라 먼저 특정하고 비교적 짧은 바람직한 시간 동안, 사용자가 차량 도어(11)를 당기거나 미는 조정 방향(S 또는 O)으로 전동식으로 조정되고, 이는 예컨대 도어 구동부(2)의 클러치가 개방되고 도어 구동부(2)의 구동모터가 파지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차량 도어(11)를 폐쇄방향(S)으로 당기거나 밀 경우, 차량 도어(11)는 예컨대, 짧은 시간 동안, 다시 말해서 2초 미만 그리고 특히 40㎳ 내지 650㎳ 범위의 시간 동안 전동식으로 폐쇄방향(S)으로 움직인다. 차량 도어(11)가 폐쇄방향(S)으로 이동된 다음에야 비로소, 도어 구동부(2)는 자체의 파지해제 위치로 전환되고, 그 결과 폐쇄방향(S)으로의 추가의 조정이 사용자 측에서 수동 방식으로 인가된 힘에 의해서만 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차량 도어(11)의 조정을 위해 사용자의 요구를 시그널링하는 조작 이벤트에 반응하여, 도어 구동부(2)의 파지 위치와 파지해제 위치 사이에서의 전위를 거의 갑작스럽지 않고 오히려 원활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전동식으로 전위 조정 이동이 요구된 조정방향(S 또는 O)로 실행된다. 따라서, 여기서 파지해제 위치에서의 전환은 차량 도어(11)가 도어 구동부(2)를 통해 움직이기 시작된 후에야 비로소 수행된다.
도어 구동부(2)는 기본적으로 조절되거나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수동식의 조정이 허용되기 전에, 차량 도어(11)가 조작 이벤트를 고려하여 조정된다면, 전자 제어장치(4)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설정 특성 곡선이 저장될 수 있고, 설정 특성 곡선을 통해 차량 도어(11)들의 조정속도(v)의 특성 곡선이 설정된다.
도 2를 따라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장치(4)는 상이한 센서장치(31, 32 및 33)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센서장치(31)는 예컨대, 조작 이벤트를 통해 사용자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차량 도어(11)의 수동식 조정이 요구된다는 것을 시그널링하게 하는 조작 이벤트를 검출하는데 이용된다. 이를 위해, 제1 센서장치(31)는, 예컨대 DE 10 2016 211 777에 기술된 것과 같이, 예를 들어 힘 센서 및/또는 가속센서를 포함한다. 제2 센서장치(32)를 통해서 예컨대, 차량(1)의 기울기가 검출될 수 있고, 반면, 제3 센서장치(33)를 통해서는 얼마나 넓게 차량 도어(1)가 개방되어 있는지, 또한 제3 센서장치가 어느 조정위치를 허용된 조정범위 내에서 취하는지를 포착한다.
이제 전자 제어장치(4)가, 센서장치(31, 32 및 33)들의 다수의 신호들 또는 다수의 측정값들 또는 신호 또는 측정값에 따라서, 전위 조정 이동을 위해 도어 구동부(2)를 상이하게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어장치(4)는 예컨대, 차량 기울기, 사용자 측에서 요구된 조정위치(S 또는 O), 차량 도어(11)의 실시간 조정위치 및/또는 사용자 측에서 제공된 작동력 레벨에 따라 도어 구동부(2)의 제어가 가변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특히, 도어 구동부(2)의 구동모터를 활성화하는 지속시간의 변형 및/또는 구동모터의 회전수의 변형을 포함한다.
따라서, 전자 제어장치(4)를 통해, 차량 도어(11)의 조정시 속도 특성 곡선은 전위 조정 이동 동안에 차량 기울기, 조정방향(S 또는 O), 조정위치 및/또는 작동력 레벨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컨대, 상이한 설정 특성 곡선들도 제어장치(4)의 저장영역(40)에 저장될 수 있고, 예컨대,
― 차량이 수평선과 관련하여 특정 각도 이상만큼 (예컨대, 경사에 주차된 경우), 예컨대 10°또는 25°이상 만큼 기울어졌을 경우,
― 차량 도어(11)가 폐쇄됐거나 또는 재차 개방되는 경우,
― 휴지 중인 차량 도어(11)가 허용된 조정범위의 제1 또는 제2 반부에 놓이고, 그리하여 자체의 폐쇄된 상태에 더 가깝거나 또는 최대로 개방된 상태에 더 가깝게 놓일 경우 (그 결과 예컨대, 폐쇄위치(S)로의 조정시, 상대적으로 더 짧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더 긴 조정트랙이 이동되어야만 할 경우), 그리고/또는
―사용자가 큰 힘으로, 다시 말해서 저장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힘으로 차량 도어(11)에 작용하고, 예컨대 차량 도어(11)를 폐쇄방향(S)으로 힘차게 쾅 닫을 경우를 위해, 상이한 설정 특성 곡선들이 저장된다.
다수의 설정 특성 곡선들 또는 선택될 설정 특성 곡선들의 존재와 상관없이, 일 실시 변형예에서는, 전자 제어장치(4)를 통해 램프형태로 상승하는 속도특성 곡선이 전위 조정 이동 동안에 휴지 상태로부터 조정될 차량 도어(11)를 위해 사전 설정되는 점이 제공된다. 이는 사용자를 위해 추가로 차량 도어(11)의 자유 이동방식으로 조정 가능성에 대한 원활한 전위의 효과를 개선한다.
도 3의 그래프를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의 변형의 기능원리가 더 상세히 도시된다. 도 3의 그래프에는 차량 도어(11)의 조정속도(v)가 시간에 걸쳐 표시된다. 여기서 음수의 조정속도(-v)는 개방방향(O)으로의 차량 도어(11)의 조정을 나타내고, 반면 양수의 조정속도(v)는 폐쇄방향(S)으로의 차량 도어(11)의 조정을 나타낸다.
그에 상응하게 도 3에서는 먼저, 어떻게 차량 도어(11)가 속도(-v1)로 개방방향(O)을 따라 조정되는지 기재된다. 시점(t1)에 차량 도어(11)의 조정이동이 감속되고, 그 결과 차량 도어(11)가 시점(t2)에 요구된 조정위치에서 휴지 상태가 된다. 상기 취해진 조정위치에서 도어 구동부(2)는 파지 위치에 있고, 그 결과 차량 도어(11)가 도어 구동부(2)에 의해 취해진 조정위치에서 고정된다.
이제 상대적으로 늦은 시점(t3)에 센서방식으로 예컨대, 도 2의 센서장치(31)를 통해서,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링되고, 그 후 차량 도어가 폐쇄되는 조작 이벤트가 검출되면, 도어 구동부(2)의 구동모터는 일시적으로 활성화되고 전위 조정 이동이 트리거링된다. 이러한 전위 조정 이동 동안에, 차량 도어(11)는 비교적 짧은 기간(△t= t4-t3) 내에 조정속도(v2)까지 가속된다. 여기서, 기간(△t)은 1초 미만이고 예컨대, 500㎳ 미만의 범위에, 특히 50㎳ 내지 300㎳의 범위에 있다.
시점(t4)에 도어 구동부(2)는 파지해제 위치로 전환되고, 이는 예컨대, 도어 구동부(2)의 클러치가 개방되고 그리고 구동모터가 중단되는 것을 포함한다. 그 대안으로, 물론 먼저 구동모터가 중단되고, 그런 다음 도어 구동부(2)의 클러치가 개방되거나 또는 그 밖에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시점(t4)에 이어서 폐쇄방향(S)으로의 조정이 전적으로 여전히 사용자에 의해 수동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 경우, 예컨대 사용자가 차량 도어(11)를 추가로 거의 동일한 조정속도(v2)로 시점(t6)에 차량 도어(11)의 완전한 폐쇄상태까지 조정한다는 점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또 다른 시나리오는, 사용자가 차량 도어(11)를 시점(t4)부터 상대적으로 늦은 시점(t5)까지 계속해서 조정속도(v3)로까지 가속하고, 차량 도어(11)를 거의 상대적으로 높은 조정속도(v3)로 마침내 폐쇄한다는 점을 제공한다.
도 4에 따라서, 예시적으로 도어 구동부(2)를 포함하는 장치의 구동을 위한 가능한 방법진행이 흐름도를 이용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이 경우, 차량 도어(11)는 방법단계(A1)에서 먼저 부동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된 조정위치에 있고, 조정위치에서 도어 개방(1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릴리스된다. 이러한 단계에서 센서방식으로 사용자가 차량 도어(11)를 수동 방식으로 추가로 개방하거나 또는 재차 폐쇄한다는 시그널링을 하게 하는 조작 이벤트가 검출된다면, 후속하는 방법단계(A2)에서는 저장된 설정 특성 곡선에 의해 도어 구동부(2)의 제어가 수행된다. 이를 통해, 차량 도어(11)는 전동식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차량 기울기 및/또는 사용자 측에서 제공된 작동력 레벨에 따라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예컨대 500㎳ 미만, 특히 50㎳ 내지 300㎳의 시간 동안, 전위 조정 이동으로 요구된 조정위치(S 또는 O)로 놓여지게 된다.
전위 조정 이동의 종료 후, 방법단계(A3)에서는 도어 구동부(2)가 자체의 파지해제 위치로 전환되고, 여기서 특히 도어 구동부(2)의 구동모터가 중단되고, 그 결과 차량 도어(11)가 자유 이동방식으로 사용자 측에서 수동 방식으로 인가된 작동력을 통해 조정될 수 있다.
1 차량 10 차체(1. 차량 부품)
11 차량 도어(2. 차량 부품) 110 도어 내부챔버
111 도어 힌지 12 도어 개구부
2 도어 구동부(구동장치) 20 조인트
21 캐치 스트랩 210, 211 일측 단부
31, 32, 33 센서장치 4 제어장치
40 저장영역 O 개방방향
S 폐쇄방향

Claims (11)

  1. 조정범위 내에서 제1 차량 부품(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2 차량 부품(11)을 전동 및 수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 제2 차량 부품(11)이 적어도 하나의 조정방향(O, S)으로 전동식으로 조정가능하고, 조정범위 내의 조정위치에서 제1 차량 부품(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파지될 수 있게 하면서, 파지 위치와 파지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구동장치(2)로서, 제2 차량 부품(11)은 파지 위치에서 구동장치(2)를 통해 조정위치에서 파지되고 파지해제 위치에서는 수동식으로 조정범위 내에서 조정될 수 있는, 구동장치(2), 및
    ― 제1 차량 부품(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제2 차량 부품(11)의 수동식 조정을 허용하기 위하여, 구동장치(2)가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링된 조작 이벤트에 반응하여, 파지 위치에서 파지해제 위치로 전환될 수 있게 하는 전자 제어장치(4)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제어장치(4)는,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링된 조작 이벤트에 반응하여, 파지해제 위치로 전환하기 전에, 우선 조정위치로부터 수동식 조정이 이루어지는 조정방향(S, O)으로 전동식의 조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구동장치(2)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부품의 전동식 및 수동식 조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장치(4)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장치(31)와 연결되고, 상기 센서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링된 조작 이벤트가 전자적으로 검출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한 상기 조작 이벤트를 통해, 사용자가 어느 조정위치(S, O)로 상기 제2 차량 부품(11)을 수동식으로 조정하려고 하는지가 시그널링되는, 차량 부품의 전동식 및 수동식 조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장치(4)는, 수동식으로 상기 제2 차량 부품(11) 상으로 인가되고 상기 제2 차량 부품(11)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정위치로부터 조정방향(S, O)으로 밀려지거나 또는 당겨지게 하는 힘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부품의 전동식 및 수동식 조정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장치(4)는,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링된 조작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파지해제 위치로 전환하기 전에, 2초 미만의, 특히 1초 미만의 그리고 특히, 40㎳ 내지 650㎳ 또는 50㎳ 내지 300㎳ 범위의 기간 동안, 우선 전동식으로의 조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구동장치(2)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부품의 전동식 및 수동식 조정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장치(4) 내에 상기 구동장치(2)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설정 특성 곡선이 저장되고, 상기 설정 특성 곡선을 통해 전동식 조정시, 파지해제 위치로 전환하기 전에 상기 제2 차량 부품(11)의 조정속도(v)의 특성 곡선이 사전 설정되는, 차량 부품의 전동식 및 수동식 조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특성 곡선은 적어도 한 섹션 내에서 램프형태로 진행되는, 차량 부품의 전동식 및 수동식 조정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장치(4)는, 상기 조정위치로부터 상이한 조정속도들에 의해, 더 자세히 말하면, 검출된 차량 기울기, 상기 조정방향(S, O), 상기 조정범위 내의 조정위치 및/또는 조작 이벤트를 트리거링하기 위해 사용자가 상기 제2 차량 부품(11) 상으로 작용하게 하는 작동력에 따라, 상기 제2 차량 부품(11)을 전동식으로 조정하는 상기 구동장치(2)를 제어하기 위해 구성되는, 차량 부품의 전동식 및 수동식 조정 장치.
  8. 제5항 또는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장치(4) 내에는 상기 차량 기울기, 상기 차량방향(S, O), 상기 조정위치 및/또는 상기 작동력 레벨에 따라서 상기 조정속도의 상이한 특성 곡선을 사전 설정하기 위해, 상기 구동장치(2)를 위한 상이한 설정 특성 곡선들이 저장되어 있는, 차량 부품의 전동식 및 수동식 조정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2)는 변속 가능한 기어 유닛 및/또는 개폐 가능한 클러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을 통해
    ― 상기 파지 위치에서 상기 구동장치(2)의 구동모터가 구동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재를 통해 모터의 조정력이 상기 제2 차량 부품(11)의 전동식 조정을 위해 전달가능하며, 그리고
    ― 상기 파지해제 위치에서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부재 사이에서의 연결이 중단되는, 차량 부품의 전동식 및 수동식 조정 장치.
  10. 조정범위 내에서 제1 차량 부품(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2 차량 부품(11)을 전동식 및 수동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제2 차량 부품(11)은 전환 가능한 구동장치(2)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조정방향(O, S)으로 전동식으로 조정될 수 있고, 제1 차량 부품(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조정범위 내의 조정위치에서 파지될 수 있고, 구동장치(2)는 파지 위치와 파지해제 위치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고, 제2 차량 부품(11)은 파지 위치에서 구동장치(2)를 통해 조정위치에서 파지되고, 파지해제 위치에서는 수동식으로 조정범위 내에서 조정될 수 있으며,
    ― 구동장치(2)는,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링된 조작 이벤트에 반응하여, 사용자에 의해 제1 차량 부품(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2 차량 부품(11)의 수동식 조정을 허용하기 위하여, 파지 위치에서부터 파지해제 위치로 전환되고,
    상기 구동장치(2)가,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링된 조작 이벤트에 반응하여, 상기 제2 차량 부품(2)을 우선 전동식으로 상기 조정위치에서부터 상기 수동식 조정이 이루어지는 상기 조정방향(S, O)으로 조정되고, 그런 다음 상기 구동장치(2)가 상기 파지해제 위치로 전환되는, 차량 부품을 전동식 및 수동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정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품을 전동식 및 수동식으로 조정하기 위한 방법.
KR1020170091393A 2016-07-22 2017-07-19 차량 부품을 전동 및 수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장치 KR1020524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13525.2 2016-07-22
DE102016213525.2A DE102016213525A1 (de) 2016-07-22 2016-07-22 Vorrichtung zum fremdkraftbetätigten und manuellen Verstellen eines Fahrzeugtei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997A true KR20180010997A (ko) 2018-01-31
KR102052485B1 KR102052485B1 (ko) 2019-12-05

Family

ID=59313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393A KR102052485B1 (ko) 2016-07-22 2017-07-19 차량 부품을 전동 및 수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38951B2 (ko)
EP (1) EP3272987B1 (ko)
KR (1) KR102052485B1 (ko)
CN (1) CN107642295B (ko)
DE (1) DE1020162135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5630A1 (de) 2015-08-17 2017-02-2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Vorrichtung zum manuellen und/oder elektromotorischen Verstellen oder Feststellen eines ersten Fahrzeugteils und eines zweiten Fahrzeugteils relativ zueinander
DE102015215631A1 (de) 2015-08-17 2017-02-2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Vorrichtung zum manuellen und/oder elektromotorischen Verstellen oder Feststellen eines ersten Fahrzeugteils und eines zweiten Fahrzeugteils relativ zueinander
DE102015215627A1 (de) * 2015-08-17 2017-02-2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Vorrichtung zum manuellen und/oder elektromotorischen Verstellen oder Feststellen eines ersten Fahrzeugteils und eines zweiten Fahrzeugteils relativ zueinander
DE102016211777A1 (de) * 2016-06-29 2018-01-0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Fahrzeugtüranordnung mit einem Türantrieb
US20220098916A1 (en) * 2019-02-01 2022-03-31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Door drive device controllable for detecting a user action on a vehicle door
DE102019204170A1 (de) * 2019-03-26 2020-10-01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Fahrzeugtüranordnung mit einer Sensoreinrichtung zum Erkennen eines Verstellwunsches
DE102019212945A1 (de) * 2019-08-28 2021-03-04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Elektroniksystem und Verfahren zur elektronischen Bereitstellung von Schadensdaten
DE102019219763A1 (de) * 2019-12-16 2021-06-17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Antriebsvorrichtung zum Verstellen einer Fahrzeugbaugruppe
DE102020114138A1 (de) * 2020-04-08 2021-10-14 Kiekert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Ermittlung eines Bedienerwunsches
CN112412236A (zh) * 2020-10-28 2021-02-26 宁波拓普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侧门控制器及其控制方法
DE102022102779A1 (de) 2022-02-07 2023-08-10 Kiekert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Beaufschlagung eines Kraftfahrzeug-Stellelementes wie beispielsweise einer Kraftfahrzeug-Tür und zugehöriges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Vorrichtung
DE102022120868A1 (de) 2022-08-18 2024-02-29 U-Shin Deutschland Zugangssysteme Gmbh Antrieb für eine Tür sowie Fahrzeugtüreinhei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6015A (ko) * 1995-09-05 1997-04-28 전성원 차량용 도어 레귤레이터
JPH09317323A (ja) * 1996-03-26 1997-12-09 Asmo Co Ltd 車両ドア開閉装置
JP2004238893A (ja) * 2003-02-05 2004-08-26 Asmo Co Ltd 車両用ドア開扉装置および車両用ドア開扉制御方法
KR20090007640A (ko) * 2006-05-10 2009-01-19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차량 도어용 구동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차량 도어용 모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6069A (ja) 1999-06-16 2000-12-26 Asmo Co Ltd ドア開閉装置
CN1512282A (zh) 2002-12-30 2004-07-14 上海裕佳自动化机械有限公司 电脑控制轿车自动开门***
US8474886B2 (en) * 2003-07-09 2013-07-02 Kiekert Aktiengesellschaft Vehicle door latch
JP5161127B2 (ja) 2008-06-06 2013-03-13 株式会社ニフコ 開閉体の開閉装置
US8701353B2 (en) 2012-06-29 2014-04-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ployable door handle for vehicles
CN105358785B (zh) 2013-07-04 2017-09-08 爱信精机株式会社 车门驱动装置
DE102014211138A1 (de) 2014-06-11 2015-12-1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Vorrichtung zum manuellen oder elektromotorischen Verstellen und/oder Feststellen eines ersten Fahrzeugteils und eines zweiten Fahrzeugteils relativ zueinander
DE102016211777A1 (de) 2016-06-29 2018-01-0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Fahrzeugtüranordnung mit einem Türantrieb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6015A (ko) * 1995-09-05 1997-04-28 전성원 차량용 도어 레귤레이터
JPH09317323A (ja) * 1996-03-26 1997-12-09 Asmo Co Ltd 車両ドア開閉装置
JP2004238893A (ja) * 2003-02-05 2004-08-26 Asmo Co Ltd 車両用ドア開扉装置および車両用ドア開扉制御方法
KR20090007640A (ko) * 2006-05-10 2009-01-19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차량 도어용 구동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차량 도어용 모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72987A1 (de) 2018-01-24
US20180023330A1 (en) 2018-01-25
CN107642295B (zh) 2020-11-24
CN107642295A (zh) 2018-01-30
KR102052485B1 (ko) 2019-12-05
EP3272987B1 (de) 2020-01-15
DE102016213525A1 (de) 2018-02-08
US10538951B2 (en) 202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0997A (ko) 차량 부품을 전동 및 수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장치
US6799669B2 (en) Dynamic clutch control
JP5788937B2 (ja)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及び車両用開閉システム
RU2673586C1 (ru) Дверная система с модулем электропривод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576700B1 (ko) 자동차의 해치 장치 작동 방법
JP4834384B2 (ja) 車両ドア制御方法および車両ドア制御システム
US7183733B2 (en) Opening and closing member control apparatus
JP3754285B2 (ja) ドアの自動開閉装置
US10190356B2 (en) Powe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11230873B2 (en) Trunk door opening/closing assistance apparatus and method
JP2009108605A (ja)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JP3934022B2 (ja) 車両用開閉体の速度制御装置
US8360505B2 (en) Vehicle door opening device
WO2015030044A1 (ja)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及び車両用開閉システム
US10253548B2 (en) Opening and closing body control device for vehicle
CN114144561B (zh) 用于机动车门元件的开启设备
JP4205046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制御装置
JP2007315069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2012107387A (ja) パワーアシストドア
JP2007040005A (ja) スライドドア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13087511A (ja) 開閉体の開閉制御装置
JP3659051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制御装置
JP6825351B2 (ja)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JP3602390B2 (ja) オートスライドドア装置
JPH06227252A (ja) 車両用ドアの開閉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