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0427A -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 효과를 지니는 식물복합추출물 - Google Patents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 효과를 지니는 식물복합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0427A
KR20180010427A KR1020160092466A KR20160092466A KR20180010427A KR 20180010427 A KR20180010427 A KR 20180010427A KR 1020160092466 A KR1020160092466 A KR 1020160092466A KR 20160092466 A KR20160092466 A KR 20160092466A KR 20180010427 A KR20180010427 A KR 20180010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reen tea
atopic dermatitis
allergic rhinitis
chronic asth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문
이승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벤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벤스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벤스랩
Priority to KR1020160092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0427A/ko
Priority to PCT/KR2016/011207 priority patent/WO2018016677A1/ko
Publication of KR20180010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4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on effect on allergy and risk of allerg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구아바잎 추출물, 녹차잎 추출물, 장미꽃잎 추출물 및 퀘르세틴을 포함하되, 특히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항알레르기성 비염, 항아토피성 피부염 및 항만성천식 효과에 있어서 시너지 효과를 갖도록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서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 효과를 지니는 식물복합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 효과를 지니는 식물복합추출물{Plant complex extract having improved effect to allergic rhinitis, atopic dermatitis or chronic asthma}
본 발명은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 효과를 지니는 식물복합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효성분으로서 구아바잎 추출물, 녹차잎 추출물, 장미꽃잎 추출물 및 퀘르세틴을 포함하되, 특히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항알레르기성 비염, 항아토피성 피부염 및 항만성천식 효과에 있어서 시너지 효과를 갖도록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서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 효과를 지니는 식물복합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및 만성천식 치료에 흔히 사용되던 종래의 소염진통제는 아라키돈산을 대사하여 기관지 수축, 기관지 과민반응, 기도의 염증을 유발시키는 류코트라이인류(leukotrienes)의 형성을 촉매하는 리폭시게나제(lipoxygenase: 이하 LO)라는 효소와 세포의 사이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이하 COX)라는 효소를 통하여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류 생성 대사를 억제함으로써 소염진통 효과를 나타낸다. COX는 2종류의 아이소폼(isoform)을 가지고 있는데, COX-1은 염증 부위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인체 여러 장기와 조직, 즉 위장관 또는 신장 등에서 프로스타글란딘류 물질을 생성하는 데에도 관여한다. 그러나 COX-2는 염증이 있는 부위에서만 작용하는 효소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비스테로이성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이하 NSAIDs)는 COX-1과 COX-2를 동시에 억제하거나 주로 COX-1을 억제하기 때문에 염증이 있는 조직뿐만 아니라, 장기간 복용 시 간, 위장관 또는 신장 등의 기능유지에 필수적인 프로스타글란딘류의 생성을 동시에 억제하여 많은 부작용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sselbcher et al.,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3th ed), 2, pp1543-1711, 1994). 최근 개발되고 있는 선택적 COX-2 억제제(selective COX-2 inhibitor)들은 기존의 소염진통제 효과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부작용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어 현재 그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LO 저해 활성과 선택적인 COX-2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들은 부작용이 적은 알레르기성 비염, 만성천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생체 내 결합조직에 널리 퍼져있는 비만세포(mast cell)는 자극이 가해질 때 세포내 함유하고 있는 물질을 분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세포는 탈과립 유발 인자들과 억제 인자들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및 만성천식 등 여러 가지 알레르기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적합한 약물을 개발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비만세포 및 기타 다른 세포의 활성화에 의해 유발되는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유발기전은 대략 밝혀져 있으나, 치료는 아직도 일시적으로 증상을 완화시키는 항히스타민제나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하는데 머물고 있다. 특히, 히스타민은 알레르기성 질환들의 증상을 유발하는 주된 매개물질로 사람에서 비만세포와 호염기성세포(basophil)에 많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비만세포를 이용한 연구를 통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및 만성천식 효능 유무와 그 약리기전을 밝힐 수 있다.
또한 실제 동물실험과 동물 독성실험을 통해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및 만성천식 치료제로서의 효능 유무를 밝힐 수 있다.
한편, 천연물 유래, 특히 독성이 없거나 극히 적은 식물, 특히 식물의 잎을 주원료로 하는 식물복합추출물에 대하여는 여전히 개발이 미흡한 형편이고,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으며, 그럼에도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 효과를 지니는 식물복합추출물에 대한 개발요구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11-0061407호는 "플로바탄닌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아토피 조성물"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으며, 여기에서는 찔레나무 뿌리 추출물과 플로바탄닌 화합물은 아토피 피부염 유발 동물모델 NC/Nga 마우스에서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 효능을 보이며, NC/Nga 마우스로부터 채취한 혈액에서 호산성백혈구(eosinophil)의 수 및 IgE의 수준을 감소시키고, 혈액 및 림프구에서의 Th2 면역조절 사이토카인인 IL-4, IL-5 및 IL-13의 수준을 감소시키며, NC/Nga 마우스 피부로부터 채취한 세포의 iNOS와 COX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능을 가지며,아토피성 질환의 치료제, 화장품 및 기능성 식품으로도 개발될 수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11-0105278호는 "옻 발효 추출물 및 자외선으로 처리한 항아토피 활성 섬유 및 직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으며, 여기에서는 섬유를 옻 발효 추출물로 염색한 후 자외선 조사경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 발효 추출물 및 자외선 처리 항아토피 활성 섬유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옻 발효 추출물 및 자외선 처리 항아토피 활성 섬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옻 발효 추출물 및 자외선 처리 항아토피 활성 섬유는 섬유에의 옻 발효 추출물의 고착성 및 세탁견뢰도가 우수하고 옻 발효 추출물에 의한 항아토피 활성 또한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구아바잎, 녹차잎, 장미꽃잎의 추출물 및 퀘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 효과를 지니는 식물복합추출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 효과를 지니는 식물복합추출물은, 구아바잎, 녹차잎 및 장미꽃잎의 추출물 및 퀘르세틴을 포함한다.
구아바잎, 녹차잎 및 장미꽃잎의 추출물은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용적) 농도의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가열 추출한 것일 수 있다.
구아바잎, 녹차잎 및 장미꽃잎의 추출물의 비율은 중량비로 구아바잎 : 녹차잎 : 장미꽃잎 = 1 내지 3 : 1 : 1의 비율일 수 있다.
퀘르세틴은 구아바잎, 녹차잎 및 장미꽃잎의 추출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의 범위 이내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효성분으로서 구아바잎 추출물, 녹차잎 추출물, 장미꽃잎 추출물 및 퀘르세틴을 포함하되, 특히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항알레르기성 비염, 항아토피성 피부염 및 항만성천식 효과에 있어서 시너지 효과를 갖도록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서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 효과를 지니는 식물복합추출물을 제공하며, 또한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복합추출물 및 퀘르세틴이 다양한 농도에서 흰쥐 복강 비만세포에 대한 독성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 효과를 지니는 식물복합추출물은, 구아바잎, 녹차잎 및 장미꽃잎의 추출물 및 퀘르세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구아바잎은 구아바 나무의 잎을 의미하며, 구아바(학명: Psidium guajava)는 쌍떡잎식물 도금양목 도금양과의 관목 또는 교목이다. 원산지는 아메리카 열대지방이고, 분포지역은 아열대지방이다. 열매는 공 모양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길이 5 내지 12㎝, 지름 5 내지 7㎝이다. 연한 붉은빛으로 익고, 향기를 풍기며, 작고 단단한 종자가 여러 개 들어 있다. 과육은 즙이 많고 달콤하며 비타민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날로 먹거나 통조림, 과바젤리, 과바치즈, 잼 등의 원료로 쓴다. 재배하기 쉽고 기온 및 토양 조건에 대한 적응 범위가 비교적 넓으나 열대에서 아열대의 중간 조건이 가장 적당하다. 번식은 눈접 또는 종자로 한다. 아메리카 열대지방 원산의 재배식물로 아열대에까지 널리 분포되어 있다. 구아바 잎의 효능과 관련하여서는, 한마디로 구아바 잎에 많이 들어있는 항산화물질 "구아바 잎 폴리페놀"이 신체의 항산화작용을 막아 주는 기능인데 체질을 개선시켜 면역력을 키워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항당뇨병 및 식후혈당치를 낮추어 주는 작용, 비만예방 및 체지방해소 작용, 알르레기 체질을 개선시켜 비염,아토피 등을 없애는 작용, 치매예방 및 그 진행을 늦추어 주는 작용 및 위장, 대장, 간 기능 등을 향상시켜 주는 작용, 고지혈증 및 콜레스테롤(LDL) 수치를 낮추어 주는 작용, 각종 스트레스 호르몬을 해소하는 작용, 감염성 저지 작용 및 항암 및 제암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아바잎 차는 장기간 먹어도 내성이 생기거나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며, 세계 여러 나라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오래 전부터 먹어 왔고 우리나라에서도 20여년 이상 많은 사람들이 먹으면서 다양한 효능도 입증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의학적으로 독성검사와 여러 가지의 효능 연구를 거친 것을 토대로 대한민국 식약처에서 충분한 심의를 통해 식품공전에도 2002년 6월 26일자로 등록이 되었다. 또한 2013년 1월 01일부터 구아바의 잎을 뜨거운 물에 우려 낸 찻물이 당뇨인의 식후 혈당치를 낮추어주는 건강기능식품으로 허가되었다.
녹차잎은 차나무의 잎을 의미하며, 차(학명: Camellia sinensis)는 쌍떡잎식물 측막태좌목 차나무과의 상록교목 또는 관목이다. 차나무는 강우량이 많고 따뜻한 곳에서 잘 자란다. 원산지는 티베트와 중국 쓰촨성의 경계의 산악 지대이고, 분포지역은 열대, 아열대, 온대 지방이다. 차나무에는 변종이 많으며, 이들 변종은 그 모양이 각기 크게 다르다. 중국이나 일본에서 재배되는 소엽종은 자연 상태에서도 높이가 2 내지 3m이고, 인도 아삼 지방의 대엽종은 높이가 15m에 달하므로 재배할 때에는 가지치기를 하여 높이가 0.5 내지 1m 되도록 한다. 잎의 질은 단단하고 약간 두꺼우며 표면에 광택이 있다. 품종에 따라 잎 빛깔의 진하고 엷음에 차이가 있고 주름에도 변화가 있으며, 빛깔도 녹색, 자주색, 황색, 갈색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어린잎이나 어린 싹의 뒷면에는 부드러운 털이 있다. '그린푸드(green food)'로 지칭되는 녹색 음식을 먹으면 몸과 마음이 편안해진다. 녹색 음식은 시각적인 긴장은 물론이고 신경과 근육의 긴장까지도 완화시켜 준다. 녹차(綠茶, green tea)는 녹색음식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차나무의 잎은 차로, 열매는 착유해서 기름으로, 줄기는 단추감으로 이용된다. 차는 제조법, 잎의 크기와 모양, 채취 시기에 따라 이름도, 품질도 다양하다. 차나무는 심은 지 3년 이상이 되면 잎을 딸 수 있다. 차나무 잎에는 퓨린계 알칼로이드가 들어 있는데, 주로 카페인이다. 봄철 어린잎에 들어 있는 카페인의 양이 가장 많다. 차를 자주 마실 경우 혈전 형성을 막아주고 콜레스테롤과 혈당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치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녹차 추출물은 항산화 작용이 있다. 녹차의 매력인 쌉싸름한 맛은 카테킨(catechin)이라 불리는 탄닌 성분 때문이다. 항산화 작용을 하는 폴리페놀의 한 종류인 카테킨은 녹차 한 잔에 대략 100㎎이 들어 있으며, 그중 가장 강력한 성분인 'EGCG'는 비타민 C보다 항산화 효능이 20배나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카테킨 성분은 항암 효과와 혈관 건강을 지키는 기능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카테킨은 위암, 폐암 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고, 혈압을 낮추어주며 심장으로의 혈류를 늘리는 효과도 있다. 소화기관 내에서의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저해하고 지질의 체내 침착을 억제한다. 이에 혈압을 떨어뜨리고, 심장을 강화하며, 지방간이나 동맥경화를 예방한다. 또 감기 바이러스의 활동을 저지시키고 체내 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을 막는다. 차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성분은 카페인(3%), 탄닌, 테아닌, 세키세놀, 비타민 C (150 내지 500㎎), 비타민 B1, B2, 나이아신, 펜토텐산, 이노시톨, 루틴 등이다. 기름기가 많은 음식을 먹고 차를 마시면 개운하고 강한 알칼리성이므로 위산 과다에도 좋다. 최근 미국 예일 대학교 연구팀은 높은 흡연율에도 한국인, 일본인의 동맥경화, 폐암 유병률이 서구인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녹차 소비량이 많기 때문으로 추정했다. 이들은 이 같은 '아시안 패러독스'의 비결로 녹차의 카테킨을 지목했다. 녹차의 카테킨 등 폴리페놀 성분이 항산화 작용을 하고,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춘다. 아미노산의 일종인 '테아닌'은 심신을 이완시키고 혈압을 낮추며, 학습능력을 높여준다. 차나무에서 첫 번째로 따는 잎으로 만든 '우전'에 테아닌이 풍부하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진한 세작(4월에 나오는 차)보다 중작(5월에 나오는 차)을 마시는 것이 좋다. 차의 탄닌이 철의 체내 흡수를 방해하므로 빈혈이 있는 사람은 차와 잘 맞지 않는다. 따라서 철이 함유된 빈혈약이나 금속 성분이 든 위장약을 복용할 때는 30 내지 60분 간격을 두고 차를 마시는 것이 좋다. 또한 차는 혈소판 응집 억제 작용을 하며 염증 치료에 도움이 된다. 중추신경을 흥분시켜 대뇌피질을 각성시키고 기분을 고조시킨다. 녹차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을 막아 주며 모공을 줄이고 주름을 펴주므로 녹차 우린 물에 세수를 하면 좋다. 마시고 남은 녹차 티백을 5개쯤 넣어 우려낸 물로 반신욕을 하면 피로 회복에도 좋다. 최근에는 녹차 함유 화장품도 제품화되어 판매되므로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녹차는 구취 해소에도 도움이 되며, 충치균에 의한 치아 부식을 방지하고 항균 작용이 있어 식중독 예방에 효과가 있다. 한편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녹차를 차게 해서 마시면 담이 생긴다'고 나와 있다. 녹차는 찬 성질을 가지고 있어 몸의 열을 내리기 때문에 냉녹차보다는 따뜻한 녹차가 좋다. 그러나 공복에 녹차를 너무 많이 마시면 속이 쓰리고 소화를 방해할 수 있다. 또한 식사 직후 진한 녹차를 마시면 녹차의 탄닌산이 섭취한 음식의 단백질, 철 등의 체내 흡수를 방해해서 소화 불량이나 영양 불량을 일으킬 수 있다. 녹차와 약을 함께 먹으면 서로 결합하여 약효를 떨어뜨리며, 녹차는 이뇨 작용이 강해서 약물의 체내 잔류 시간을 짧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약을 복용하는 사람들은 주의하여야 한다. 카페인의 각성 작용이 불면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불면증 환자는 녹차를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카페인 때문에 심계 항진, 두통, 이명, 눈의 침침함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찻잎 가루를 참깨소금(참깨를 같은 양의 천일염과 볶아 깨소금을 만든 것)과 1:2의 비율로 혼합하여 조미료처럼 음식에 넣어 먹으면 노화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장미꽃잎은 장미꽃의 잎을 의미하며, 장미꽃은 장미나무의 꽃이다. 장미(학명: Rosa hybrida)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 장미속에 속하는 식물의 총칭이다. 원산지는 서아시아이고, 분포지역은 북반구의 한대, 아한대, 온대, 아열대이다. 관목성의 화목(花木)이다. 야생종이 북반구의 한대, 아한대, 온대, 아열대에 분포하며 약 100종 이상이 알려져 있다. 오늘날 장미라고 하는 것은 이들 야생종의 자연잡종과 개량종을 말한다. 장미는 갖춘 꽃으로 꽃의 아름다운 형태와 향기때문에 관상용과 향료용으로 재배해왔으며, 개량을 가하여 육성한 원예종(Rosa hybrida Hort .)을 말한다. 지금까지 2만 5000종이 개발되었으나 현존하는 것은 약 7000종이며, 해마다 200종 이상의 새 품종이 개발되고 있다. 장미는 그리스로마 시대에 서아시아에서 유럽지역의 야생종과 이들의 자연교잡에 의한 변종이 재배되고 있었으며, 이때부터 르네상스시대에 걸쳐 주로 유럽 남부에서 많이 재배되었다. 한국에서는 일찍부터 찔레꽃, 돌가시나무, 해당화, 붉은인가목 등과 중국 야생종을 관상용으로 가꾸어왔으며, "양화소록"에서도 가우(佳友)라 하여 화목 9품계 중에서 5등에 넣고 있다. 장미꽃잎차는 토혈, 갈증, 이질, 설사에 효과적이고, 또한 비타민이 많아 항피부노화, 항우울증 및 항암에 대하여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아토피, 기관지 천식 및 알러지에 대한 개선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구아바잎, 녹차잎 및 장미꽃잎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구체적으로는, 구아바잎, 녹차잎 및 장미꽃잎을 세척 후, 그늘에서 충분히 건조시키고 세절하거나 분쇄한 다음, 무게(㎏)의 약 1배 내지 30배의 물, 에탄올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로 25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 ℃ 추출온도에서 약 1시간 내지 2일, 바람직하게는 약 2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1회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2회 내지 5회 반복적으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등의 추출방법,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10 ℃에서 1 내지 6시간 열수 추출 방법을 수행하여 본 발명의 복합생약 추출물을 수득한 후, 이를 여과하여, 감압농축 또는 진공 농축(고형분 수율이 10~50% 되도록 감압농축)하여 추출농축액을 수득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동결 건조시켜 분말형태로 수득 가능하다.
상기 구아바잎, 녹차잎 및 장미꽃잎의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용적) 농도의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가열 추출한 것일 수 있다.
특히, 구아바잎, 녹차잎 및 장미꽃잎의 추출물의 비율은 중량비로 구아바잎 : 녹차잎 : 장미꽃잎 = 1 내지 3 : 1 : 1의 비율일 수 있으며, 퀘르세틴은 구아바잎, 녹차잎 및 장미꽃잎의 추출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의 범위 이내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퀘르세틴(quercetin)은 화학식 C15H10O7(분자량: 302)의 물질로서,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이다. 자연계에 매우 많이 존재하며, 대부분이 배당체로서 존재한다. 당의 종류에 의해 퀘르시트린, 이소퀘르시트린, 퀘르시메리트린, 아비쿨라린, 히페린, 레이노우트린, 퀘르시투론, 루틴 등의 배당체가 있다. 황색 미세 바늘 모양 결정으로, 녹는점 316 내지 317 ℃. 결정수 2분자를 포함하며, 찬 물에 녹지 않는다. 열탕에 약간 녹는다. 뜨거운 알코올, 빙초산에 쉽게 녹는다. 찬 알코올, 에테르에 녹기 어렵다. 알칼리에 황색으로 용해하고, 이어 갈색으로 변한다. 염화철(Ⅲ)에서 암녹갈색을 띠고 열을 가하면 암적색이 된다. 아세트산납에서 벽돌색의 침전이 생긴다. 마그네슘과 염산으로 짙은 적색을 띤다. 식물에 널리 포함되는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으로, 사과 껍질 및 양파 껍질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강력한 항산화제, 항히스타민제, 항염제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 효과를 지니는 식물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들은 오랫동안 식품으로 사용되어 오던 것으로서 이로부터 추출된 본 발명의 추출물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조성물의 염증을 유발하는 리폭시게나제(lipoxygenase) 및 사이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효소의 억제효능, 비만세포 활성 억제 효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동물실험을 실시한 결과,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 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 효과를 갖는 식물복합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식물복합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100 ㎎/㎏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구아바잎 추출물, 녹차잎 추출물, 장미꽃잎 추출물 및 퀘르세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 및 퀘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생약 추출물을 분쇄물, 추출물 또는 분말엑스의 형태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 효과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캔디, 겔,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으며,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단일 식물 추출물 제조
구아바잎, 상엽, 포도씨, 및 쑥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구아바잎, 상엽, 포도씨, 쑥을 세척 후, 충분히 건조시키고 분쇄하였다. 각 분쇄분말에 50% 식용주정을 가하여 25℃에서 6시간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을 수득한 후, 이를 여과하고 고형분 수율이 10%가 되도록 감압농축한 후, 분무건조시켰다. 녹차잎 추출분말은 녹차잎에 80℃ 열수를 가하여 2시간 추출하여 얻었고, 95℃ 열수로 2시간 추출하여 장미꽃잎 추출분말을 얻었으며, 이들을 각각 여과하고 고형분 수율이 20%가 되도록 감압농축한 후, 분무건조시켰다. 퀘르세틴은 상용적으로 획득가능한 식품용 퀘르세틴(Quercetin, HuaKang Bio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China)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단일 추출물의 5-리폭시게나아제(5-lipoxygenase) 효소활성 저해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각각의 식물 추출물 및 식품용 퀘르세틴 분말이 5-리폭시게나아제에 대한 저해효과를 lipoxygenase inhibitor screening assay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10 ㎕에 5-리폭시게나아제 (5-LO; 220 units/mL) 90 ㎕와 1 mM 아라키돈산 10 ㎕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chromogen 100 ㎕를 가하여 ELISA reader로 49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5-LO 억제율(%)은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IC50 값으로 나타내었다.
[수학식 1]
5-LO 억제율(%) = [(대조군의 흡광도-실험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
상기 실험 결과, 각각의 추출분말에 의한 5-LO의 IC50 값은 각각 14.1 ppm, 56.4 ppm, 49.1 ppm, 52.1 ppm, 90.2 ppm, 36.5 ppm, 20.4 ppm으로 나타났다(표 1).
시료명 5-리폭시게나아제 IC50(ppm)
구아바잎 추출분말 14.1
상엽 추출분말 56.4
포도씨 추출분말 49.1
쑥 추출분말 52.1
녹차잎 추출분말 90.2
장미꽃잎 추출분말 36.5
퀘르세틴 20.4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아바잎 추출물, 장미꽃잎 추출물 및 퀘르세틴의 5-리폭시게나아제에 대한 저해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녹차잎 추출물의 5-리폭시게나아제에 대한 저해효과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비만세포의 탈과립 억제 효과 측정
2-1. 복강 비만세포 부유액 준비
Sprague-Dawley (SD)계 랫드를 에테르로 마취시켜 희생시킨 후, HEPES-Tyrode 완충제(136 mM NaCl, 5 mM KCl, 2 mM CaCl2, 0.6 mM NaH2PO4, 2.75 mM MgCl2, 5.4 mM HEPES, 1.0 ㎎/㎖ 소혈청알부민(BSA), 1.0㎎/㎖ 글루코스, pH 7.4) 10㎖를 랫드의 복강 내에 주입하고 랫드의 복벽을 가볍게 마사지한 후, 복벽 중앙선을 절개하고 복강 세척액을 채취하여 4℃에서 200g로 10분간 원심분리 시켰다.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버리고 HEPES-Tyrode 완충제로 비만세포수가 1106 cells/㎖이 되도록 현탁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비만세포를 순수분리하기 위하여 등장의 Percoll 용액(10Hank's 용액 1 ㎖ + Percoll 9 ㎖) 3.5 ㎖에 세포 부유액 0.75 ㎖와 HEPES-Tyrode 완충제 0.5 ㎖를 첨가하여 4℃에서 125g로 15분간 원심분리시킨 후 상층액을 버리고 HEPES-Tyrode 완충제로 세척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순수한 비만세포 부유액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2-2: 세포독성 실험
분리한 복강 비만세포에 대한 실시예 1 및 퀘르세틴의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시약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분리한 복강 비만세포 부유액 0.2 ㎖ (2105 cells)에 시료 20 ㎕를 가하여 37℃에서 2시간 배양하였다. MTT 용액(2 ㎎/㎖) 20 ㎕를 첨가하여 2시간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색소를 디메틸설폭사이드로 용해시킨 후 ELISA reader로 57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생존율은 하기 수학식 2에 대입하여 계산하였다.
[수학식 2]
세포 생존율(%) = (실험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
상기 실험 결과,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추출물들 및 퀘르세틴은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3: 비만세포 탈과립 관찰과 탈과립율 산출
비만세포 부유액 0.2 ㎖ (1106 cells)에 각 시료(실시예 1의 추출물들 및 퀘르세틴)를 25 ㎕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처리한 후 compound 48/80 용액(p-메톡시-N-메틸페네틸아민과 포름알데히드와의 축합산물인 저분자 다중체로서, 2합체 내지 44합체의 혼합물) (10 μ㎖) 25 ㎕를 가하여 2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비만세포가 들어있는 부유액 20 ㎕를 슬라이드글래스(slide glass) 위에 올리고 비만세포가 침전될 수 있도록 상온에서 10분간 방치하였다. 광학현미경으로 비만세포를 관찰하여 정상형과 탈과립형을 구분하였고, 실험군 임의로 선택한 10곳의 시야에서 관찰된 비만세포의 수를 세어 하기 수학식 3을 이용하여 IC50 값으로 나타내었다.
[수학식 3]
탈과립율(%) = (탈과립된 비만세포 수/비만세포 총수)*100
상기 실험 결과, 실시예 1 및 퀘르세틴이 비만세포의 탈과립 억제에 대한 IC50 값은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탈과립 억제율 IC50(ppm)
구아바잎 추출분말 50.1
상엽 추출분말 89.8
포도씨 추출분말 >200
쑥 추출분말 >400
녹차잎 추출분말 37.5
장미꽃잎 추출분말 70.2
퀘르세틴 10.5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아바잎 추출물, 녹차잎 추출물 및 퀘르세틴의 탈과립 억제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미꽃잎 추출물은 약간 높았으나, 여전히 다른 식용 추출물들인 상엽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및 쑥 추출물들에 비하여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식물추출혼합물의 추출물 제조
실험예 1과 실험예 2의 결과로부터 구아바잎 추출분말, 녹차잎 추출분말, 장미꽃잎 추출분말 및 퀘르세틴을 선정하여 고형분의 함량을 기준으로 하기 표 3의 조건으로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아바잎 녹차 장미꽃잎 퀘르세틴 총합
실시예 2-1 50 50 100
실시예 2-2 50 50 100
실시예 2-3 50 50 100
실시예 2-4 50 50 100
실시예 2-5 50 50 100
실시예 2-6 50 50 100
실시예 2-7 100/3 100/3 100/3 100
실시예 2-8 100/3 100/3 100/3 100
실시예 2-9 100/3 100/3 100/3 100
실시예 2-10 25 25 25 25 100
실험예 3: 비만세포로부터 유리되는 히스타민 양 측정
표 3에서 나타낸 실시예 2-1 내지 2-10과 각 추출분말(100 ppm)을 상대로 비만세포에서 유리되는 히스타민의 양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비만세포 부유액 0.2 ㎖ (1106 cells)에 각 시료를 25 ㎕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처리한 후 compound 48/80 용액(10 μ㎖) 25 ㎕를 가하여 2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비만세포를 4℃에서 150g로 10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의 히스타민의 양을 측정하였다. 즉 상층액 10 ㎕와 S-아데노실(메틸-14C)메티오닌(S-adenosyl (methyl-14C)methionine)(2μ㎖) 1.5 ㎕, 히스타민 N-메틸트랜스퍼라아제(histamineN-methyltransferase)(3,000units/㎖) 5 ㎕, 300 mM 트리스-글리신(Tris-glycine) 완충제 (pH6.8) 40 ㎕, 3차 증류수 43.5 ㎕를 혼합하여 37℃에서 90분간 반응시킨 후 3 N 과염소산(perchloric acid) 20 ㎕를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키고 10 N NaOH 20 ㎕를 첨가하여 중화시켰다. 톨루엔-이소아밀 알코올(Toluene-isoamyl alcohol) 1 ㎖을 가하여 추출한 후 상층액 700 ㎕에 cocktail 용액(Liquid scintillation cocktail 용액: 미국 캘리포니아주 소재 Beckman 제품) 3 ㎖로 scintillation 시켰다. β-counter를 사용하여 CPM(counts per minute) 값을 측정하였고 히스타민의 양은 총량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히스타민 유리 백분율(%)은 하기 수학식 4에 따라 계산하였다.
[수학식 4]
히스타민 유리 백분율(%) = (실험군 히스타민 유리양/총 히스타민 유리양)*100
상기 실험 결과,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10의 히스타민 유리 백분율이 17.5%로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바탕으로 실시예 2-10의 배합비율을 표 5와 같이 재설정하였다.
시료 히스타민 유리 백분율 (%)
구아바잎 추출분말 23.2
녹차잎 추출분말 27.5
장미꽃잎 추출분말 30.9
퀘르세틴 20.0
실시예 2-1 25.7
실시예 2-2 27.4
실시예 2-3 21.2
실시예 2-4 28.9
실시예 2-5 25.4
실시예 2-6 25.4
실시예 2-7 22.7
실시예 2-8 21.7
실시예 2-9 19.5
실시예 2-10 17.5
실시예 3: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추출물의 고형분의 함량을 기준으로 하기 표 5의 조건으로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아바잎 녹차잎 장미꽃잎 퀘르세틴 총합
실시예 3-1 25 25 25 25 100
실시예 3-2 30 30 20 20 100
실시예 3-3 40 20 20 20 100
실시예 3-4 50 25 15 10 100
실시예 3-5 60 20 5 15 100
실시예 3-6 70 10 10 10 100
실험예 4: COX-1과 COX-2의 억제 효능 측정
상기 표 5에서 나타낸 실시예 3-1 내지 3-6에 대해 COX 억제 효능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효소 20 ㎕ (COX-1: 60 units or COX-2: 30 units), 100 mM Tris-HCl buffer (pH 8.0) 90 ㎕, 30 μEDTA 20 ㎕, 150 μhetamin 20 ㎕와 시료 20 ㎕를 혼합하여 25℃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5 mM TMPD 5 ㎕와 20 mM 아라키돈산 5 ㎕를 첨가하여 25℃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로 603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OX 억제율(%)은 하기 수학식 5를 이용하여 IC50 값으로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으로 인도메타신(Indomethacin, Inteban)을 사용하였다.
[수학식 5]
COX 억제율(%) = [(대조군의 흡광도-실험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
COX IC50(ppm) COX-2 IC50/COX-1IC50
COX-1 COX-2
실시예 3-1 9.61 6.44 0.67
실시예 3-2 13.5 7.42 0.55
실시예 3-3 14.6 5.60 0.38
실시예 3-4 13.9 5.80 0.42
실시예 3-5 8.06 8.22 1.02
실시예 3-6 8.93 7.77 0.87
인도메타신 0.02 2.84 142
상기 실험예 4의 결과(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3-3이 COX-2 IC50/COX-1IC50의 비가 0.38로 가장 작은 수치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수동피부 아나필락시스 억제 효능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항알레르기 기능성 조성물에 대하여 수동피부 아나필락시스 반응 억제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수컷 ICR 마우스 양쪽 귀에 anti-DNF IgE (1.2 μ㎖)를 10 ㎕씩 주사하고 47시간 뒤에 시료를 마우스에게 경구투여 하였다. 경구투여 1시간 뒤에 DNP-albumin 0.25 ㎎과 Evans blue 1.25 ㎎을 용해한 생리식염수(0.25 ㎖)를 꼬리정맥에 주사하였다. 30분 후 마우스를 경추탈골하여 희생시킨 후 양쪽 귀 혈관으로부터 누출된 Evans blue 색소량을 측정하였고, 프로메타진 염산염(promethazine hydrochloride, Phenergan®H1 histamine receptor antagonist)를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 기능성 조성물을 10 ㎎/㎏체중의 농도로 경구투여 하였을 때 수동피부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64.1% 억제하여 양성대조군인 인도메타신(70.6%)과 비슷하였다.
그룹(n=10/그룹) 투여량
(㎎/㎏체중)
색소량
(㎍/양쪽 귀)
억제율(%)
대조군 18.4 -
기능성조성물 2 12.3 33.1
5 10.5 42.9
10 6.6 64.1
프로메타진 염산염 2 7.8 57.6
10 5.4 70.6
실험예 6: Th1/Th2 사이토카인 균형조절 측정
6주령의 암컷 BALB/C 마우스에 1주일 간격으로 알레르겐을 2차례 주입하여 복강면역으로 알레르기를 유발하였다. 이때 사용된 알레르겐은 OVA (20 μ와 백반 (2 ㎎)의 혼합액으로, 30분간 혼합하여 100 ㎕씩 주입하였다. 1주일 후 마우스를 경추 탈골하여 희생시키고 비장을 적출하여 mesh를 이용하여 단세포화한 후 배지로 세척하고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적혈구 용해버퍼를 첨가하여 현탁시킨 후 얼음위에서 3분간 반응시켰다. 배지를 첨가한 후 현탁 시키고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한 후 배지를 첨가하여 재 현탁시키고 그 중 10 ㎕와 saline 190 ㎕, 및 trypan blue 190 ㎕를 혼합하여 5분간 방치한 후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항원을 48 well plate에 처리한 후 기능성 조성물을 농도별로 첨가하고, 비장세포를 각 well에 분주하여 37℃, 5% CO2배양기에서 72시간 배양하였다. 상층액을 수거하여 상층액 중 IL-4 및 IFN-γ 농도를 ELISA kit (R&D systems, Minneapolis, MN, USA)를 사용하여 제조회사가 제시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기능성 조성물을 200 ppm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알레르기를 유발한 대조군에 비해 Th2 사이토카인인 IL-4의 생성을 52.5%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Th1 사이토카인인 IFN-γ의 생성을 대조군에 비해 193.7%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8)
OVA 시료명 IL-4 (pg/㎖) IFN-γ (pg/㎖) IFN-γ/IL-4 비율
- 정상군 10.6 2504.6 4.03
+ 대조군 85.4 5001.6 1.00
+ 기능성조성물
(50 ppm)
49.1 3561.5 1.16
+ 기능성조성물
(100 ppm)
48.7 3645.5 1.28
+ 기능성조성물
(200 ppm)
40.6 9689.5 4.07
실험예 7: 동물실험을 통한 독성 실험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독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샘타코(오산, 경기, 한국)에서 공급받은 8주령의 SD 랫드(수컷 250 g, 6마리; 암컷 210 g, 6마리) 12마리를 대조군 1그룹, 실험군(1 g/㎏, 3 g/㎏) 2그룹으로 나누어 건강상태를 확인하였다. 2주간 생존 여부, 체중 변화, 털의 윤기, 배변 상태, 전체적인 움직임 등 종합적으로 관찰하였고 결과 12마리 모두 생존하였고 특이사항이 발견되지 않았다.
그룹
성별
체중 건강상태
초기 1주후 2주후
대조군 236 286 316 양호
222 270 300 양호
180 200 224 양호
185 210 231 양호
실험군
(1g/㎏체중)
235 280 314 양호
234 281 317 양호
188 210 240 양호
189 211 245 양호
실험군
(3g/㎏체중)
220 270 310 양호
218 268 298 양호
184 209 229 양호
188 218 237 양호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면 부호 없음)

Claims (7)

  1. 구아바잎, 녹차잎 및 장미꽃잎의 추출물 및 퀘르세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 효과를 지니는 식물복합추출물.
  2. 제 1 항에 있어서,
    구아바잎, 녹차잎 및 장미꽃잎의 추출물이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용적) 농도의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가열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 효과를 지니는 식물복합추출물.
  3. 제 1 항에 있어서,
    구아바잎, 녹차잎 및 장미꽃잎의 추출물의 비율이 중량비로 구아바잎 : 녹차잎 : 장미꽃잎 = 1 내지 3 : 1 : 1임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 효과를 지니는 식물복합추출물.
  4. 제 3 항에 있어서,
    구아바잎 추출물 10~80 중량%, 녹차잎 추출물 5~50 중량%, 장미꽃잎 추출물 5~50 중량%, 및 퀘르세틴 5~30 중량%의 조성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 효과를 지니는 식물복합추출물.
  5. 제 1 항에 있어서,
    퀘르세틴은 구아바잎, 녹차잎 및 장미꽃잎의 추출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30중량%의 범위 이내의 양으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 효과를 지니는 식물복합추출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식물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7. 제 6 항에 있어서, 건강기능 식품의 제형이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중의 어느 하나의 제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0160092466A 2016-07-21 2016-07-21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 효과를 지니는 식물복합추출물 KR2018001042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466A KR20180010427A (ko) 2016-07-21 2016-07-21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 효과를 지니는 식물복합추출물
PCT/KR2016/011207 WO2018016677A1 (ko) 2016-07-21 2016-10-06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 효과를 지니는 식물복합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466A KR20180010427A (ko) 2016-07-21 2016-07-21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 효과를 지니는 식물복합추출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427A true KR20180010427A (ko) 2018-01-31

Family

ID=60993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466A KR20180010427A (ko) 2016-07-21 2016-07-21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 효과를 지니는 식물복합추출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10427A (ko)
WO (1) WO201801667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451A (ko) * 2018-09-04 2020-03-12 한국식품연구원 차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210125776A (ko) * 2020-04-09 2021-10-19 인핸스비 주식회사 피부 보호 성분이 포함된 마스크
WO2023182540A1 (ko) * 2022-03-22 2023-09-28 주식회사 벤스랩 바이러스성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676584B1 (ko) * 2023-10-25 2024-06-24 일성 유한책임회사 구아바 및 녹차잎 추출복합물(Epiverin noseteacher) 유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알레르기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3584A (zh) * 2018-05-22 2018-11-16 曾卫嫦 一种多功能保健品及其制备方法
WO2022250356A1 (ko) * 2021-05-25 2022-12-01 주식회사 디자인셀 장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850B1 (ko) * 2006-09-25 2008-06-03 주식회사 벤스랩 항알레르기성 비염, 항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항만성천식 효과를 지니는 복합생약 조성물
KR20100109697A (ko) * 2009-04-01 2010-10-11 주식회사 벤스랩 체중감량 및 고지혈증 개선 효과가 있는 기능성 조성물
KR20100124452A (ko) * 2009-05-19 2010-11-2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케르세틴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천식의 증상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17181B1 (ko) * 2009-12-01 2012-12-31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탄닌산 및 퀘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451A (ko) * 2018-09-04 2020-03-12 한국식품연구원 차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210125776A (ko) * 2020-04-09 2021-10-19 인핸스비 주식회사 피부 보호 성분이 포함된 마스크
WO2023182540A1 (ko) * 2022-03-22 2023-09-28 주식회사 벤스랩 바이러스성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676584B1 (ko) * 2023-10-25 2024-06-24 일성 유한책임회사 구아바 및 녹차잎 추출복합물(Epiverin noseteacher) 유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알레르기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16677A1 (ko)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0427A (ko)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 효과를 지니는 식물복합추출물
KR101817055B1 (ko) 항산화 및 면역기능 증진 활성을 갖는 덖음차 조성물
KR101874462B1 (ko)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0897147A (zh) 铁皮石斛解酒保肝组合物和制法
Onaolapo et al. Herbal beverages and brain function in health and disease
KR101717431B1 (ko) 항비만 활성을 갖는 건강식품조성물
CN108813501B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Bhat Bioactive compounds of rambutan (Nephelium lappaceum L.)
CN110169524A (zh) 一种适用于糖尿病患者的嘉宝果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CA2637349C (en)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treating allergy, natural tea using the sam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CN108925807A (zh) 一种降糖降压的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CN108208267A (zh) 一种降血压、降血脂、降血糖和减肥塑形作用的袋泡酵素养生茶
KR20160052824A (ko) 뇌신경세포 보호 기능이 있는 천연물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건강 음료
KR20200142768A (ko)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1827874B1 (ko) 백하수오 당귀 혼합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KR20140076258A (ko) 대추를 포함하는 건강음료
CN108522739A (zh) 一种保健茶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496864B1 (ko) 갯대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446962B1 (ko) 블랙베리 신품종 ''아모르'' 및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1060307B1 (ko) 천일염 및 자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예방용 조성물
KR102158661B1 (ko) 밀양 반시의 미성숙 생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12696A (ko) 포도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완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식품조성물
Gore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POLYHERBAL TEA CONTAINING OF CLITORIA TERNATEA, YERBA MATE, ASHWAGANDHA FOR DIABETES, HEART DISEASE.
Deb et al. Prospects of Citrus as a Nutraceutical Fo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