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2848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2848A
KR20170132848A KR1020177031436A KR20177031436A KR20170132848A KR 20170132848 A KR20170132848 A KR 20170132848A KR 1020177031436 A KR1020177031436 A KR 1020177031436A KR 20177031436 A KR20177031436 A KR 20177031436A KR 20170132848 A KR20170132848 A KR 20170132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absorbent body
absorbent
folding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1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2664B1 (ko
Inventor
준 구도
마사시 기타가와
겐타 다니구치
사에코 아키야마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2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40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having a folded 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2013/5376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는 생리대(1)로서, 이 생리대(1)는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체(3)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체(3)는, 두께 방향으로 피부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흡수체의 절곡을 유도하는 접힘선(3L)을 포함하며, 상기 접힘선(3L)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흡수체(3)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배치되어 있는 것인 생리대(1).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흡수성 물품은 생리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은,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 이면 시트에 부착된 액체 투과성의 상면 시트 및 이면 시트와 상면 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을 기재한다.
그러한 흡수성 물품의 흡수체는,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는 질구 영역(가랑이 영역)에 성형선(molding line)을 갖고 있다. 상기 성형선은, 흡수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앙 세로선과, 중앙 세로선의 양 끝점으로부터 각각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한쌍의 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흡수성 물품이 사용되어 질구 영역이 폭 방향으로 압축될 경우, 흡수체는 중앙 세로선 상에서 사용자의 피부측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변형된다.
일본 공표특허공보(PCT 출원의 번역문) 제2002-538849호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중앙 세로선이 흡수체의 질구 영역에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을 착탈을 반복하여 사용하는 상황 하에서는 경혈 등의 액체가 흡수체의 질구 영역에 고이기 쉽고, 중앙 세로선을 기점으로 흡수체의 절곡 형상이 붕괴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상기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져 사용자의 질구에 피트하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상기의 상황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흡수성 물품을 착탈을 반복하여 사용한 경우에도, 질구 등의 배설구에 흡수체를 피트시키는 것이 가능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발명은,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이 흡수성 물품은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체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피부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흡수체의 절곡을 유도하는 접힘선을 포함하며, 상기 접힘선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흡수체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배치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탈을 반복하여 사용한 경우에도, 질구 등의 배설구에 흡수체를 피트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대를 두께 방향을 따라 피부측으로부터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생리대를 두께 방향을 따라 비피부측으로부터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흡수체를 두께 방향을 따라 비피부측으로부터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본 흡수체의 모식도이며, 도 5A는 흡수체가 절곡된 상태를 예시하고, 도 5B는 절곡된 흡수체를 펼친 상태를 예시한다.
도 6은 생리대의 사용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길이 방향을 따라 본 흡수체의 일부 확대 모식도이다.
도 8은, 흡수체를 두께 방향을 따라 비피부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흡수체의 접음 유도 영역 주변의 확대 모식도이다.
도 9는, 두께 방향을 따라 비피부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흡수체의 접음 유도 영역 주변의 확대 모식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분명해진다.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체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피부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흡수체의 절곡을 유도하는 접힘선을 포함하며, 상기 접힘선은 상기 흡수체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배치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이 분명해진다. 이에 따라, 상기 흡수성 물품의 착탈을 반복한 경우에도, 상기 접힘선에 의한 절곡 형상이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흡수체가 질구와 같은 배설구에 피트하는 것이 쉬워진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압착된 복수의 점상 압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상 압착부는 각각, 압착됨으로써 형성된 피압착면을 상기 두께 방향의 한쪽에 포함하며, 인접하는 점상 압착부의 상기 피압착면의 중심간 거리는 상기 피압착면의 가장 넓은 폭의 치수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흡수체 내에 흡수된 액체가 통과하여 흐르는 데 필요한 유로가 상기 점상 압착부 사이에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흡수체 내에서 액체가 원활하게 확산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상기 접힘선의 주변부에 액체가 고이는 것이 억제되어 상기 흡수체의 절곡 형상을 안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인접하는 점상 압착부의 상기 피압착면의 중심간 거리는 1 mm 이상 1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액체가 통과하여 흐르기 위한 유로가 상기 점상 압착부 사이에 확보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흡수체 내에서 액체의 원활한 확산이 가능해진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피압착면의 가장 넓은 폭의 치수는 0.4 mm 이상 4.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흡수체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지 않고 상기 점상 압착부를 형성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흡수체 내에서 액체의 원활한 확산이 가능해진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폭 방향으로 중심에 접힘선을 포함하고, 폭 방향 치수가 흡수체의 두께 방향 치수의 2배 이하이며, 길이 방향을 따라 흡수체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배치되는 접음 유도 영역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접음 유도 영역에 중첩되는 제1 점상 압착부와, 상기 제1 점상 압착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접음 유도 영역에 중첩되는 제2 점상 압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액체가 통과하여 흐르기 위한 유로를 상기 접음 유도 영역 내에 형성함으로 인해 상기 접음 유도 영역에 있어서의 배설구와의 접촉 부분에 액체가 고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흡수체의 절곡 형상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의 상기 점상 압착부의 개구의 가장 넓은 폭은, 상기 접음 유도 영역의 폭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액체가 통과하여 흐르기 위한 유로를 상기 접음 유도 영역 내에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접음 유도 영역 내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액체의 흐름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복수의 점상 압착부는, 길이 방향과 폭 방향 둘 다에서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흡수체의 길이 방향으로의 액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흡수체의 폭 방향 강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점상 압착부 사이의 거리는,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점상 압착부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흡수체 내에서 폭 방향보다 길이 방향으로 액체가 흐르기 쉬워짐으로써, 보다 짧은 시간에 액체를 상기 흡수체 내에서 확산시킬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점상 압착부의 길이 방향의 치수는, 상기 점상 압착부의 폭 방향의 치수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점상 압착부 사이의 거리를 더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흡수성 코어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커버 시트를 두께 방향으로 적층하여 구성되어 있고, 복수의 점상 압착부는, 상기 흡수성 코어와 상기 커버 시트를 압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흡수성 코어와 상기 커버 시트가 보다 강고히 서로 접합되기 때문에, 상기 흡수체가 액체를 흡수하여 상기 두께 방향으로 팽창한 경우에도 상기 두께 방향으로의 변형이 억제되어, 상기 흡수체 내에서 액체의 원활한 확산이 가능해진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 피부측으로부터 상기 흡수체를 덮는 톱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톱 시트는 상기 흡수체보다 밀도가 낮은 부직포이고, 상기 톱 시트와 상기 흡수체가 서로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모세관 작용 하에 액체가 상기 톱 시트로부터 상기 흡수체로 흐르는 것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액체가 톱 시트의 표면 상을 흘러버린다는 문제와, 상기 흡수체 내에 흡수된 액체가 상기 톱 시트의 표면 상으로 역류(액 복귀)하여 버린다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톱 시트와 상기 흡수체는, 복수의 점상 접합 압착부에 의해 상기 두께 방향으로 서로 접합되어 있고, 상기 흡수체는, 폭 방향으로 중심에 접힘선을 포함하고, 폭 방향 치수가 흡수체의 두께 방향 치수의 2배 이하이며, 길이 방향을 따라 흡수체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배치되는 접음 유도 영역을 포함하고, 복수의 점상 접합 압착부는,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접음 유도 영역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점상 접합 압착부가 상기 접음 유도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흡수체의 절곡 형상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상기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상기 두께 방향의 치수는 3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흡수체의 두께가 얇음으로 인해, 상기 접힘선을 따라 절곡 형상을 형성하기 쉬워짐으로써, 상기 절곡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보다 쉬워진다.
=== 실시형태 ===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생리대(1)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 상기 흡수성 물품은, 소위 질 분비물 시트(예를 들어, 팬티 라이너)도 포함하며, 생리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생리대(1)의 구성>
생리대(1)의 구성에 관해서, 도 1∼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대(1)를 두께 방향을 따라 피부측으로부터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생리대(1)를 두께 방향을 따라 비피부측으로부터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흡수체(3)를 두께 방향을 따라 비피부측으로부터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흡수체(3)를 길이 방향을 따라 본 경우의 모식도로서, 도 5A는 흡수체(3)가 절곡된 상태를 예시하고, 도 5B는 절곡된 흡수체(3)를 펼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생리대(1)는,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세로로 긴 형상의 시트형 부재로서,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는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길이 방향"이란 생리대(1) 제품의 길이 방향을 나타내고, "폭 방향"이란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짧은쪽 방향을 나타내고, "두께 방향"이란 그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두께 방향에 있어서, "피부측"은 생리대(1)를 사용할 때 생리대(1)의,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쪽이고, "비피부측"은 피부측의 반대쪽이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생리대(1)는 톱 시트(2), 흡수체(3), 및 백 시트(4)를 포함하고, 두께 방향을 따라 피부측으로부터 비피부측으로 톱 시트(2), 흡수체(3), 백 시트(4)의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톱 시트(2)와 흡수체(3), 및 흡수체(3)와 백 시트(4)는, 핫멜트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50)에 의해 각각 서로 접합되어 있다. 접착제(50)의 코팅 패턴의 예로는, Ω 패턴, 스파이럴 패턴, 스트라이프 패턴 등을 들 수 있다.
톱 시트(2)는, 경혈 등의 액체를 두께 방향으로 피부측으로부터 비피부측으로 투과시키는 액체 투과성 부재이다. 톱 시트(2)는 생리대(1)의 사용 시에 있어서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한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톱 시트(2)는, 평면에서 보아 흡수체(3)보다 크게 형성되고, 두께 방향으로 피부측으로부터 흡수체(3)를 덮고 있다. 또, 도 1에서는, 흡수체(3)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톱 시트(2)는, 흡수체(3)보다 길이 방향으로 외측으로 더, 그리고 폭 방향으로 외측으로 더 연장되는 외연부(21)를 포함한다. 톱 시트(2)는 또한 그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중앙부에 톱 시트(2)의 폭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한쌍의 돌출부(22)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톱 시트(2)는, 흡수체(3)보다 밀도가 낮은 부직포, 예를 들어 에어쓰루 부직포를 이용한다. 또, 톱 시트(2)는, 에어쓰루 부직포 등의 적절한 부직포에 한정되지 않고, 액체 투과성을 갖는 임의의 유연한 시트 재료가 그것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흡수체(3)보다 밀도가 낮은 부직포를 톱 시트(2)에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모세관 작용을 이용할 수 있어, 톱 시트(2)로부터 흡수체(3)로 액체가 침투하기 더 쉬워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모세관 작용"이란, 액체에 침지된 미세한 관의 내부, 고체 벽 사이의 간극 등에서 액면이 그 외측의 자유 표면에 비해 상승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 작용은, 간극이 좁을수록 강해진다. 따라서, 톱 시트(2) 내부에 형성된 섬유의 간극에서 흐르는 액체와, 흡수체(3) 내부에 형성된 섬유의 간극에서 흐르는 액체는 각 재료를 침투하며, 상기 간극이 좁을수록 액체의 침투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톱 시트(2)측으로부터 톱 시트(2)보다 밀도가 높은(간극이 좁은) 흡수체(3)측으로 침투하기 더 쉬워진다. 따라서, 액체가 톱 시트(2)의 표면(피부측 면) 상을 흘러버린다는 문제와, 흡수체(3)의 내부에 흡수된 액체가 톱 시트(2)의 표면 상으로 역류(액 복귀)하여 버린다는 문제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흡수체(3)는, 경혈 등의 액체를 흡수하여 내부에 유지하는 부재이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흡수체(3)는, 흡수성 코어(31), 피부측 커버 시트(32), 및 비피부측 커버 시트(33)를 포함한다. 피부측 커버 시트(32), 흡수성 코어(31), 및 비피부측 커버 시트(33)가 두께 방향을 따라 피부측(톱 시트(2)측)으로부터 비피부측(백 시트(4)측)을 향하여 상기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흡수성 코어(31)는, 액체 흡수성 섬유인 셀룰로오스계 물 흡수성 섬유와,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고, 이들 섬유가 서로 혼합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용될 수 있는 액체 흡수성 섬유의 예로는 펄프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또, 액체 흡수성 섬유 이외에, 액체 흡수성 입상물의 일례로서 고흡수성 폴리머(소위 SAP)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용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는, 예를 들어 시스(sheath)로서 폴리에틸렌(PE)을 포함하고 코어(core)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는 소위 시스-코어 구조를 갖는 복합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피부측 커버 시트(32)는,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이고, 예를 들어, 에어쓰루 부직포 등의 액체 투과성이 우수한 재료가 피부측 커버 시트(32)에 이용될 수 있다. 비피부측 커버 시트(33)는, 피부측 커버 시트(32)와 마찬가지로 열가소성 수지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이고, 예를 들어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SMS) 부직포 등의 유연성이 우수한 재료가 그것에 이용될 수 있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피부측 커버 시트(32)와 흡수성 코어(31), 및 흡수성 코어(31)와 비피부측 커버 시트(33)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500)에 의해, 두께 방향으로 각각 서로 접합되어 있다.
또, 흡수성 코어(31), 피부측 커버 시트(32), 및 비피부측 커버 시트(33)의 각각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반드시 섬유상의 것일 필요는 없고, 그 형상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또한, 흡수성 코어(31), 피부측 커버 시트(32), 및 비피부측 커버 시트(33)가 반드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해야 할 필요는 없지만, 흡수성 코어(31)와, 피부측 커버 시트(32) 또는 비피부측 커버 시트(33) 중 적어도 한쪽의 커버 시트에 열가소성 수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흡수체(3)는, 두께 방향으로 피부측을 향해 돌출함으로써 절곡되도록 유도하는 접힘선(3L)을 포함한다. 접힘선(3L)은, 제조 단계에서 미리 접음으로써 형성된 선이고, 예를 들어 엠보스 가공이나 슬릿형 홈(힌지) 등에 의해 형성된 선은 포함하지 않는다.
도 1, 도 2,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접힘선(3L)은 흡수체(3)의 폭 방향으로 중앙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흡수체(3)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서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생리대(1)를 속옷의 가랑이부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속옷의 착탈을 반복한 경우에도, 접힘선(3L)을 따른 흡수체(3)의 절곡 형상이 유지된다. 이 점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생리대(1) 사용 양태> 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 접힘선(3L)은, 반드시 항상 흡수체(3)의 폭 방향의 중앙 위치에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상기 중앙 위치로부터 폭 방향으로 약간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러나, 생리대(1)는, 폭 방향으로 중앙 위치를 기준으로 대칭 형상으로 설계됨으로 인해, 접힘선(3L)은 폭 방향으로 중앙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도 2, 및 도 4와, 도 5A 및 도 5B에서는, 접힘선(3L)을 1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흡수체(3)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흡수체(3)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서 배치되고 접힘선(3L)을 폭 방향 중심에 포함하는 접음 유도 영역(3a)을 포함한다.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음 유도 영역(3a)은, 접힘선(3L)을 따라 절곡된 흡수체(3)를 펼친 상태에 있어서, 폭 방향 치수(Wa1+Wa2)가 흡수체(3)의 두께 방향의 치수(T)의 2배 이하인 치수를 갖는다.
또, 도 5B는, 접힘선(3L)을 따라 절곡된 흡수체(3)를 펼친 상태에 있어서, 접음 유도 영역(3a)의 폭 방향의 치수(Wa1+Wa2)가 흡수체(3)의 두께 방향의 치수(T)의 2배로 되어 있는(Wa1+Wa2 = T×2, 즉 Wa1 = Wa2 = T)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흡수체(3)의 두께 방향의 치수(T)는 3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2 mm 이하가 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흡수체(3)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접힘선(3L)을 따라 흡수체(3)를 절곡하기 쉽게 함과 함께, 접음 유도 영역(3a)의 형상도 유지하기 쉽게 된다. 또, 도 1, 도 2, 및 도 4와, 도 5A 및 도 5B에서는, 접음 유도 영역(3a)의 폭 방향 양끝을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흡수체(3)는, 흡수체(3)가 두께 방향으로 압착되는 복수의 점상 압착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점상"이란, 표면적을 갖지 않는 임의의 점 주위에 형성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소정의 형상 및 표면적을 갖고 있는 형상을 의미한다. 흡수체(3)에 흡수된 액체는, 복수의 점상 압착부(30) 사이에 형성된 유로(간극)를 통과하여 흘러 흡수체(3) 내로 확산된다. 이에 따라, 접힘선(3L)의 주변, 즉 접음 유도 영역(3a)에 액체가 고임으로 인한 흡수체(3)의 절곡 형상의 붕괴를 억제함으로써, 절곡 형상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점상 압착부(30)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피부측 커버 시트(32)와 흡수성 코어(31)와 비피부측 커버 시트(33)를 두께 방향으로 모두 함께 압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피부측 커버 시트(32)와 흡수성 코어(31)와 비피부측 커버 시트(33)의 접합이 강고해져서, 흡수체(3)가 액체를 흡수하여 두께 방향으로 팽창한 경우에도 두께가 보다 변화되기 어렵고, 이로써 흡수체(3)의 내부에서의 액체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복수의 점상 압착부(30) 중 2개의 점상 압착부(30)만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흡수체(3)는, 적어도 접힘선(3L)을 포함하고 있는 한, 반드시 복수의 점상 압착부(30)를 포함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이 점상 압착부(30)에 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도 1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톱 시트(2)와 흡수체(3)는, 복수의 점상 접합 압착부(23) 및 복수의 선상 접합 압착부(24)에 의해 두께 방향으로 서로 접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점상 접합 압착부(23) 및 복수의 선상 접합 압착부(24)는, 톱 시트(2)의 피부측면으로부터 압착되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점상 접합 압착부(23)에 있어서의 "점상"의 의미는 점상 압착부(30)에 있어서의 "점상"과 동일한 정의를 갖는다. 또, 도 3에서는, 복수의 점상 접합 압착부(23) 중 4개의 점상 접합 압착부(23)와, 복수의 선상 접합 압착부(24) 중 2개의 선상 접합 압착부(24)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점상 접합 압착부(23)는, 흡수체(3)의 접음 유도 영역(3a)의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복수의 점상 접합 압착부(23)는, 접음 유도 영역(3a)에 형성되어 있지 않다. 만약, 접음 유도 영역(3a)에 점상 접합 압착부(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 경우에는, 점상 접합 압착부(23)에서 흡수체(3)의 밀도가 국소적으로 높아져 흡수체(3)의 강성이 증가하게 된다. 그 경우, 상기 부분에 의해 접힘선(3L)을 따른 절곡 변형이 방해되기 쉬워지고, 접힘선(3L)을 따른 절곡 형상이 붕괴되기 더 쉬워진다. 그래서, 접음 유도 영역(3a)에 점상 접합 압착부(23)를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흡수체(3)는 접힘선(3L)을 따라 절곡하기 더 쉬워짐으로써, 흡수체(3)의 절곡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복수의 선상 접합 압착부(24)는, 흡수체(3)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 연이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고리형을 이루고 있다. 복수의 점상 접합 압착부(23)는, 복수의 선상 접합 압착부(24)에 의해 구획된 실질적으로 폐쇄된 영역 내에 이산하여 배치되어 있다.
백 시트(4)는, 액체 불투과성 부재이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과 같은 수지 필름이 그것에 이용된다. 생리대(1)가 사용되는 경우, 백 시트(4)는 톱 시트(2)를 투과하여 흡수체(3)에 의해 흡수된 액체가 속옷 등의 착의 위(비피부측 위)로 배어 나오는 것을 억제한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백 시트(4)는, 흡수체(3)의 외주 가장자리보다 길이 방향으로 외측으로 더, 폭 방향으로 외측으로 더 연장되는 외연부(41)를 포함한다. 백 시트(4)는 백 시트(4)의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중앙부에 한쌍의 돌출부(42)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42)는 폭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생리대(1)는, 백 시트(4)의 외연부(41)와 전술한 톱 시트(2)의 외연부(21)(도 1 참조)가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서로 접합됨으로써, 톱 시트(2)와 백 시트(4) 사이에 흡수체(3)가 유지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백 시트(4)의 한쌍의 돌출부(42)와 전술한 톱 시트(2)의 한쌍의 돌출부(22)(도 1 참조)가 서로 접합됨으로써, 생리대(1)를 속옷 등에 고정할 때에 고정부로서 기능하는 윙부가 구성되어 있다.
백 시트(4)의 비피부측면에는, 한쌍의 띠 형상의 본체 점착부(51)가 접음 유도 영역(3a)의 폭 방향 외측과 접촉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제공되는 부분이 있다. 백 시트(4)의 비피부측면에는, 또한, 한쌍의 직사각형의 윙 점착부(52)가 한쌍의 돌출부(42)와 접촉하도록 제공되어 있는 부분이 있다. 생리대(1)를 사용할 때는, 한쌍의 본체 점착부(51)를 속옷의 가랑이부의 내측에 부착하고, 한쌍의 윙부(한쌍의 돌출부(22, 42))를 비피부측 쪽으로 절곡하여 한쌍의 윙 점착부(52)를 가랑이부의 외측에 부착하여, 생리대(1)를 속옷에 고정한다.
<생리대(1) 사용 양태>
다음으로, 생리대(1)의 사용 양태에 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생리대(1)의 사용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생리대(1)를 착용하기 위해 사용자(6)는 생리대(1)를 속옷의 가랑이부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속옷을 사용자(6)의 가랑이(60)측으로 끌어올린다. 이것을 행할 때, 상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생리대(1)의 흡수체(3)에는 접힘선(3L)을 따른 절곡 형상(접음 자국)이 미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생리대(1)는 피부측(도 6에 있어서의 상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절곡된 상태에서 끌어올려진다.
사용자(6)의 가랑이(60)에 생리대(1)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태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접힘선(3L)을 따라 피부측을 향해 돌출한 부분이, 질구 등의 배설구(60a)에 존재하는 음순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생리대(1)가 사용자(6)에 양호한 피트성을 느끼게 하고, 경혈 등의 배설액이 외부로 새지 않고 흡수체(3)에 흡수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만약, 접힘선(3L)이 흡수체(3)의 길이 방향의 일부(예를 들어, 배설구(60a)에 접촉하는 영역)에만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면, 접힘선(3L)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의 복원력에 의해 흡수체(3)가 펼쳐진 상태로 복귀되기 더 쉬워져, 접힘선(3L)을 따른 흡수체의 절곡 형상을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접힘선(3L)이 흡수체(3)의 길이 방향으로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복원력이 작용하기 어려워져 접힘선(3L)을 따른 흡수체(3)의 절곡 형상이 붕괴되지 않고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용자(6)가 12시간 이상의 장시간에 걸쳐서 생리대(1)를 반복 사용하는 상황에서도, 흡수체(3)를 배설구(60a)에 여전히 피트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점상 압착부(30)의 구성>
다음으로, 점상 압착부(30)의 상세한 구성에 관해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흡수체(3)를 길이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의 일부 확대 모식도이다. 도 8은, 흡수체(3)를 두께 방향을 따라 비피부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접음 유도 영역(3a) 주변의 확대 모식도이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점상 압착부(30)는, 흡수체(3)의 두께 방향으로 비피부측으로부터 압착되어 형성되어 있다. 점상 압착부(30)의 형성 방법의 일례는, 예를 들어, 흡수체(3)의 피부측면을 평탄한 압반 위에 놓고, 비피부측면으로부터 압반을 향하여 원형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핀을 눌러 흡수체(3)를 압착함으로써 형성하는 방법(소위 엠보스 가공)이다. 이렇게 할 때, 각각 점상 압착부(30)를 따라 정렬된 오목부(303)가 흡수체(3)의 피부측 상에 형성된다. 또, 점상 압착부(30)를 형성하기 위해, 항상 흡수체(3)의 비피부측으로부터 압착할 필요는 없고, 피부측으로부터 압착해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31)에 열가소성 수지가 포함되어 있고, 피부측 커버 시트(32) 또는 비피부측 커버 시트(33) 중 적어도 한쪽의 커버 시트에도 열가소성 수지가 포함되어 있다. 이로 인해, 흡수성 코어(31)는, 점상 압착부(30)를 형성할 때의 엠보스 가공 시에 발생한 열을 이용하여 흡수성 코어(31)의 열가소성 수지와 커버 시트(32, 33)의 열가소성 수지를 열융착함으로써, 흡수성 코어(31)가 커버 시트(32, 33)에 보다 강고히 접합된다. 이에 따라, 흡수체(3)가 액체를 흡수하여 두께 방향으로 팽창한 경우에도 두께가 쉽게 변화하지 않아, 흡수체(3) 내에서의 액체의 흐름이 용이해진다.
또한, 점상 압착부(30)는, 두께 방향의 비피부측에 개구(302)를 포함하고, 두께 방향으로 개구(302)와는 반대측(피부측)의 점상 압착부(30)에 피압착면(301)을 포함하고 있다. 피압착면(301)은, 흡수체(3)의 비피부측면이 압착됨으로써 형성된 면이다. 또, 두께 방향으로 피부측으로부터 흡수체(3)를 압착하여 점상 압착부(30)를 형성한 경우에는, 두께 방향의 비피부측에 피압착면(301)을 포함하고, 두께 방향으로 피부측에 개구(302)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형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핀을 사용하여 점상 압착부(30)를 형성하기 때문에, 피압착면(301) 및 개구(302)는 원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항상 원형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핀을 사용하여 점상 압착부(30)를 형성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별 형상, 직사각형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의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핀을 사용하여 점상 압착부(30)를 형성해도 좋다.
도 7 및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피압착면(301)의 크기는 개구(302)의 크기보다 작다. 즉, 피압착면(301)의 직경(Wd)은, 개구(302)의 직경(Wm)보다 작다(Wd < Wm).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점상 압착부(30)는, 두께 방향으로 비피부측으로부터 피부측을 향하여 그 외경 치수가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점상 압착부(30)의 형성 과정에 수반하여 생기는 현상이고, 항상 피압착면(301)의 크기가 개구(302)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또, 피압착면(301)의 직경(Wd)은, 0.4 mm 이상 4.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직경(Wd)이 0.4 mm보다 작은 점상 압착부(30)를 형성하는 경우, 형성될 때 점상 압착부(30)가 흡수체(3)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직경(Wd)이 4.0 mm보다 큰 점상 압착부(30)를 형성하는 경우, 점상 압착부(30) 사이에 형성된 유로의 폭이 커져서, 흡수체(3)의 고밀도 부분이 감소하여 액체를 흡수체(3) 내에 신속히 확산시키기 더 어려워진다. 따라서, 직경(Wd)이 0.4 mm 이상 4.0 mm 이하인 경우에는, 점상 압착부(30)가 흡수체(3)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지 않고 형성될 수 있는 한편, 흡수체(3) 내에서 액체가 원활하게 흐르게 하는 것이 또한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형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핀을 사용하여 점상 압착부(30)를 형성하기 때문에, 피압착면(301) 및 개구(302)의, 평면에서 본 임의의 방향의 폭 치수가 동일한 직경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단면이 직사각 형상인 핀을 사용하여 점상 압착부(30)를 형성한다면, 피압착면(301) 및 개구(302)는 장변 및 단변을 갖는 직사각 형상이 되기 때문에, 평면에서 본 폭 치수가 방향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피압착면(301) 및 개구(302)가, 평면에서 본 폭 치수가 방향에 따라 상이한 것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피압착면(301) 및 개구(302)가 가장 넓은 폭 치수를 갖는 경우를 고려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점상 압착부(30)에 있어서, 피압착면(301)의 중심(301c)간 거리(Wc)는 피압착면(301)의 가장 넓은 폭의 직경(Wd)보다 길다. 이에 따라, 흡수체(3)에 흡수된 액체가 통과하여 흐르는 데 필요한 유로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액체를 흡수체(3) 내에서 원활하게 흐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피압착면(301)의 중심(301c)"이란, 피압착면(301)의 형상의 각각의 꼭짓점과 각각의 변으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점을 말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것은, 피압착면(301)은 원 형상을 갖기 때문에, 원 중심을 나타낸다.
또, 상기 거리(Wc)는, 1 mm 이상 10 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거리(Wc)가 1 mm보다 짧은 경우, 점상 압착부(30) 사이에 형성된 간극이 붕괴되어 액체가 통과하여 흐르는 유로를 더 이상 확보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거리(Wc)가 10 mm보다 긴 경우, 흡수체(3)의 고밀도 부분이 감소하여, 액체를 흡수체(3) 내에 신속히 확산시키기 더 어려워진다. 따라서, 거리(Wc)를 1 mm 이상 10 mm 이하로 하면, 액체가 통과하여 흐르는 데 필요한 유로를 확보할 수 있고, 흡수체(3) 내에서 액체가 원활하게 흐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흡수체(3)는, 적어도 일부가 접음 유도 영역(3a)에 중첩되는 제1 점상 압착부(30a)와, 제1 점상 압착부(30a)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접음 유도 영역(3a)에 중첩되어 있는 제2 점상 압착부(30b)를 포함한다. 도 8은, 제1 점상 압착부(30a)의 전체가 접음 유도 영역(3a)에 중첩되고, 4개의 제2 점상 압착부(30b)가 제1 점상 압착부(30a)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2 점상 압착부(30b)의 일부가 접음 유도 영역(3a)에 중첩되어 있는 예를 예시하고 있다.
또, 흡수체(3)는, 제1 점상 압착부(30a) 및 제2 점상 압착부(30b)에 해당하는 점상 압착부(30)를 항상 포함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제1 점상 압착부(30a) 및 제2 점상 압착부(30b)를 포함함으로써, 흡수체(3)에 흡수된 액체가 통과하여 흐르기 위한 유로를 접음 유도 영역(3a) 내에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접음 유도 영역(3a)에 있어서의 배설구(60a)(도 6 참조)와의 접촉 부분에 액체가 고이지 않는다. 이것은 접음 유도 영역(3a) 전체에 액체가 확산하기 쉽게 하고, 흡수체(3)의 절곡 형상의 붕괴를 억제하여, 상기 절곡 형상을 안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점상 압착부(30)의 개구(302)의 가장 넓은 폭인 직경(Wm)은, 접음 유도 영역(3a)의 폭 방향의 치수(Wa)(도 5에 있어서의 Wa1+Wa2)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액체가 통과하여 흐르기 위한 유로를 접음 유도 영역(3a) 내에 확보할 수 있고, 도 8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액체를 흐르게 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흡수체(3)의 절곡 형상을 보다 안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점상 압착부(30)는, 길이 방향과 폭 방향 둘 다에서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엇갈린 격자 패턴 배치로 배치되어 있다(도 4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가장 가까운 점상 압착부(30) 사이의 거리(Wi)와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가장 가까운 점상 압착부(30) 사이의 거리(Ws)가 서로 동일해지도록 복수의 점상 압착부(30)가 배치되어 있다. 또, 복수의 점상 압착부(30)를, 반드시 균일하게 형성할 필요는 없지만, 이와 같이 점상 압착부(30)를 형성함으로써, 흡수체(3) 내에서의 길이 방향으로 액체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게 하고, 흡수체(3)의 폭 방향으로의 강성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 변형예 ===
다음으로,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생리대에 관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흡수체(3A)를, 두께 방향을 따라 비피부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접음 유도 영역(3a) 주변의 확대 모식도이다. 도 9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체(3)와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변형예에 따르면, 점상 압착부(300)는, 흡수체(3A)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주축을 갖는 타원 형상으로 흡수체(3A) 내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점상 압착부(300) 각각의 길이 방향의 치수(Wm1)는, 그 폭 방향의 치수(Wm2)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변형예에서는, 점상 압착부(3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그 주축을 갖는 타원 형상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점상 압착부(300)는 그 길이 방향의 치수(Wm1)가 그 폭 방향의 치수(Wm2)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한, 점상 압착부(3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그 장변을 갖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반드시 점상 압착부(300)의 길이 방향의 치수(Wm1)가 폭 방향의 치수(Wm2)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가장 가까운 점상 압착부(300) 사이의 거리(Wj)가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가장 가까운 점상 압착부(300) 사이의 거리(Wb)보다 짧아지도록 복수의 점상 압착부(300)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흡수체(3) 내에서 폭 방향보다 길이 방향을 따라 액체가 흐르기 쉬워지고, 보다 짧은 시간에 흡수체(3) 내에 액체를 확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점상 압착부(300)를 타원 형상, 직사각 형상 등으로 함으로써, 인접하는 점상 압착부(300)의 중심간 거리를 변경하지 않고 길이 방향의 점상 압착부(300) 사이의 거리(Wj)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 기타 ===
상기한 실시형태는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해석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도록, 변경 및 개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그러한 변경 및 개량의 등가물을 포함한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1: 생리대(흡수성 물품),
2: 톱 시트,
3: 흡수체,
3a: 접음 유도 영역,
3L: 접힘선,
23: 점상 접합 압착부,
30, 300: 점상 압착부,
30a: 제1 점상 압착부,
30b: 제2 점상 압착부,
31: 흡수성 코어,
32: 피부측 커버 시트(커버 시트),
33: 비피부측 커버 시트(커버 시트),
301: 피압착면,
302: 개구.

Claims (13)

  1.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체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피부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흡수체의 절곡을 유도하는 접힘선을 포함하며, 상기 접힘선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흡수체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배치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압착된 복수의 점상 압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상 압착부는 각각, 압착됨으로써 형성된 피압착면을 상기 두께 방향의 한쪽에 포함하며,
    인접하는 점상 압착부의 피압착면의 중심간 거리는 피압착면의 가장 넓은 폭의 치수보다 긴 것인 흡수성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점상 압착부의 피압착면의 중심간 거리가 1 mm 이상 10 mm 이하인 흡수성 물품.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압착면의 가장 넓은 폭의 치수가 0.4 mm 이상 4.0 mm 이하인 흡수성 물품.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폭 방향으로 중심에 접힘선을 포함하고, 폭 방향 치수가 상기 흡수체의 두께 방향 치수의 2배 이하이며,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흡수체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배치되는 접음 유도 영역과,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접음 유도 영역에 중첩되는 제1 점상 압착부와,
    상기 제1 점상 압착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접음 유도 영역에 중첩되는 제2 점상 압착부
    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성 물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점상 압착부의 상기 두께 방향으로의 개구의 가장 넓은 폭이 상기 접음 유도 영역의 폭보다 좁은 것인 흡수성 물품.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점상 압착부는, 상기 길이 방향과 상기 폭 방향 둘 다에서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점상 압착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점상 압착부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것인 흡수성 물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점상 압착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치수는, 상기 점상 압착부의 상기 폭 방향의 치수보다 긴 것인 흡수성 물품.
  1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흡수성 코어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커버 시트를 상기 두께 방향으로 적층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점상 압착부는, 상기 흡수성 코어와 상기 커버 시트를 압착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두께 방향으로 피부측으로부터 상기 흡수체를 덮는 톱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톱 시트는 상기 흡수체보다 밀도가 낮은 부직포이며,
    상기 톱 시트와 상기 흡수체가 서로 접합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톱 시트와 상기 흡수체는, 복수의 점상 접합 압착부에 의해 상기 두께 방향으로 서로 접합되어 있고,
    상기 흡수체는, 폭 방향으로 중심에 접힘선을 포함하고, 폭 방향 치수가 상기 흡수체의 두께 방향 치수의 2배 이하이며,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흡수체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배치되어 있는 접음 유도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점상 접합 압착부는, 상기 폭 방향으로 상기 접음 유도 영역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상기 두께 방향의 치수가 3 mm 이하인 흡수성 물품.
KR1020177031436A 2015-03-31 2015-12-11 흡수성 물품 KR1025126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70647A JP5978341B1 (ja) 2015-03-31 2015-03-31 吸収性物品
JPJP-P-2015-070647 2015-03-31
PCT/JP2015/084775 WO2016157637A1 (ja) 2015-03-31 2015-12-11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848A true KR20170132848A (ko) 2017-12-04
KR102512664B1 KR102512664B1 (ko) 2023-03-21

Family

ID=56760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1436A KR102512664B1 (ko) 2015-03-31 2015-12-11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978341B1 (ko)
KR (1) KR102512664B1 (ko)
CN (1) CN107427392A (ko)
MY (1) MY182997A (ko)
WO (1) WO20161576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0805B2 (ja) * 2015-03-31 2017-10-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6111304B1 (ja) * 2015-09-29 2017-04-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171118B1 (ja) * 2016-11-04 2017-07-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に係る吸収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6346261B1 (ja) * 2016-12-28 2018-06-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1150555B (zh) * 2018-11-08 2023-05-09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8849A (ja) 1998-10-02 2002-11-19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動作中の身体フィット性に優れる吸収性物品
JP2003291234A (ja) * 2002-03-29 2003-10-14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177078A (ja) * 2003-12-18 2005-07-07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06116036A (ja) * 2004-10-21 2006-05-11 Kao Corp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2918U (ja) * 1983-08-12 1985-03-06 鎌田 昇 生理用品
US20030093054A1 (en) * 2000-07-05 2003-05-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side features for improved comfort
US20020169428A1 (en) * 2001-05-11 2002-11-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multilayer blended core and a method of forming
WO2002094162A1 (fr) * 2001-05-22 2002-11-28 Uni-Charm Corporation Serviette interlabiale
JP4540898B2 (ja) * 2001-05-22 2010-09-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補助パッド取り付け用吸収性物品
JP4311920B2 (ja) * 2002-09-12 2009-08-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間パッド
JP4953611B2 (ja) * 2005-10-04 2012-06-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間パッド
US8231591B2 (en) * 2006-04-21 2012-07-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lengthwise, compact-fold
JP5649361B2 (ja) * 2010-08-02 2015-01-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3252331A (ja) * 2012-06-08 2013-12-19 Unicharm Corp 吸収体及び該吸収体を備える吸収性物品
JP5936560B2 (ja) * 2013-01-18 2016-06-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8849A (ja) 1998-10-02 2002-11-19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動作中の身体フィット性に優れる吸収性物品
JP2003291234A (ja) * 2002-03-29 2003-10-14 Uni Charm Corp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177078A (ja) * 2003-12-18 2005-07-07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06116036A (ja) * 2004-10-21 2006-05-11 Kao Corp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27392A (zh) 2017-12-01
KR102512664B1 (ko) 2023-03-21
MY182997A (en) 2021-02-05
JP2016189853A (ja) 2016-11-10
JP5978341B1 (ja) 2016-08-24
WO2016157637A1 (ja)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8379B2 (ja) 吸収性物品
JP5258380B2 (ja) 吸収性物品
JP5161491B2 (ja) 吸収性物品
EP2409673B1 (en) Absorbent article
KR101782772B1 (ko) 흡수성 물품
JP5103100B2 (ja) 表面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70132848A (ko) 흡수성 물품
CN106659610B (zh) 具吸收功能物品的顶片
JP2018000523A (ja) 吸収性物品
KR20160065125A (ko) 흡수성 물품
KR102346040B1 (ko) 흡수성 물품
JP6028054B2 (ja) 吸収性物品
JP4535934B2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6459906B2 (ja) 吸収性物品
JP6320827B2 (ja) 吸収性物品
JP2016137102A (ja) 吸収性物品のトップシート
JP6098592B2 (ja) 吸収性物品のトップシート
JP6111304B1 (ja) 吸収性物品
JP4804309B2 (ja) 吸収性物品
TWI655937B (zh) Absorbent article
JP6089078B1 (ja) 吸収性物品
JP6827493B2 (ja)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93430B2 (ja) 下層吸収パッド
KR20190001738U (ko) 흡수성 물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