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1272A -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1272A
KR20170111272A KR1020160036318A KR20160036318A KR20170111272A KR 20170111272 A KR20170111272 A KR 20170111272A KR 1020160036318 A KR1020160036318 A KR 1020160036318A KR 20160036318 A KR20160036318 A KR 20160036318A KR 20170111272 A KR20170111272 A KR 20170111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anoderma lucidum
cosmetic composition
strain
gf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5954B1 (ko
Inventor
김혜진
한우리자랑
민진우
주광식
강희철
Original Assignee
(주)지에프씨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에프씨,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지에프씨
Priority to KR1020160036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954B1/ko
Publication of KR20170111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EXTRACT OF GANODERMA LUCIDUM}
본 발명은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및 피하조직(subcutis)의 3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표피층에는 각질층(stratum corneum), 과립층(stratum granulosum), 유극층(stratum spinosum) 및 기저층(basal layer)이 존재한다. 멜라닌은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닌 세포(melanocyte)에서 생성 되는데, 이 멜라닌 세포에는 티로시나제 등의 효소가 존재하며, 이들이 함께 작용하여 생체 내에 항상 존재하는 티로신(tyrosine)이라는 아미노산을 기질로 중합화 하는 산화반응을 통해 흑갈색의 색소인 멜라닌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멜라닌은 멜라닌 세포의 수지상 돌기를 통하여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라는 표피 세포로 이동하여 표피층의 피부색을 나타낸다.
생체 내에는 멜라닌을 분해하는 효소가 없고 다만 각질이 표피에서 떨어져 나갈 때 피부에서 같이 떨어져 나감으로써 제거된다. 하지만 멜라닌이 필요이상으로 많이 생기게 되거나, 피부노화가 진행 되면 기미, 주근깨 또는 점과 같은 과색소 침착증을 유발하여 미용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멜라닌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는데, 자외선에 의하여 일어나는 멜라닌 생산의 항진 그리고 이에 따른 멜라닌 침착이 화장품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 멜라닌 침착의 예방 목적으로 사용되는 화장품에 이용되는 유효성분의 기본적인 메커니즘은 티로시나제 형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형성을 억제하는 방법, 형성된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 멜라닌 생성 매개체(mediator)의 억제, 기존 멜라닌의 환원 및 광산화 억제, 멜라닌 배설의 촉진 및 자외선 차단 등이다.
한국 및 일본, 중국과 같은 동양권에서는 예로부터 희고 고운 피부가 미의 상징인 동시에 미인을 가늠하는 하나의 기준이었다. 최근 기술의 발달과 삶의 질 향상으로 미(美)에 대한 욕구와 관심이 증대되면서 과도한 멜라닌 생성을 막는 미백 제품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미백제 및 미백 화장품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예를 들면 코지산(kojic acid) 및 알부틴(arbutin) 등과 같은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하는 억제제들,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비타민 A, 비타민 C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이 미백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피부에 대한 안전성의 문제, 제형 내에서의 안전성 문제 및 미백 효과의 불충분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한편, 주름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은 피부 세포의 노화이다. 일반적으로 피부 노화의 원인은 고령화에 따라 나타나는 자연 노화와 외부환경에 의해 나타나는 내적인 노화로 분류될 수 있다. 자연 노화는 유전자적 요인 등이 많이 관여되기 때문에 제어가 어렵다. 때문에, 자외선,산화,건조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을 제어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환경적 요인은 주로 진피층에 포함된 콜라겐 단백질, 엘라스틴 단백질 등을 파괴하거나 변성을 일으켜 주름을 유발한다. 특히, 태양의 자외선은 피부를 산화 시키고, 활성 산소를 양산하는 대표적인 환경적 요인이다. 이러한 산화력과 활성 산소는 피부 세포 내의 단백질 파괴, 당의 산화, 유전자 변형 등을 일으켜 피부에 노화 및 주름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의 부작용은 최소화하면서도 피부 미백과 주름 방지 효과를 모두 극대화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피부 자극, 세포 독성 등의 위해 요소가 적어 함량의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은 구멍쟁이 버섯과의 자실체로서, 일반적으로 가노더마 루시덤(Ganoderma lucidum), 가노더마 아플라나텀(Ganoderma applanatum), 가노더마 츄게(Ganoderma tsugae), 가노더마 네오-자포니쿰(Ganoderma neo-japonicum), 및 다공균과 불로초속에 속하는 담자균 모두를 포함한다. 또한, 영지는 적지, 자지, 목지, 흑지, 백지, 황지 및 청지 등으로 알려져 있다. 영지 자실체를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은 쓴 맛(고미(苦味))를 나타내는데, 이 쓴 맛의 성분이 각종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고미성분은 액체 배양한 균사체에서는 거의 생성되지 않지만, 자실체에서는 갓의 표면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러한 영지버섯은 자양강장, 진정, 진통, 항종양 및 혈압강하제로 사용되거나, 동맥경화, 기관지염, 만성관절염 및 급만성 간염 등의 치료 약제로 쓰여왔다.
영지버섯의 유효 활성 성분은, 영지버섯 다당체(ganoderma lucidum polysaccharide)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다당체의 양의 증대 될수록 효과가 증대한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울금(鬱金, Curcumalonga)은 생강과의 한해살이 풀을 말하며, 강황(姜黃/薑黃)이라고도 한다. 근경은 괴상으로 가로로 자른면은 황색을 띠고, 향이 있다. 잎은 크고 길이 30cm~90cm, 폭은 10cm~20cm로 잎 끝은 뾰죽하고 기부는 삼각형, 윗면은 푸른색이다. 잎은 타원형이고 4~5개가 모여 난다. 뿌리줄기는 고깔 모양이거나 또는 가지친 둥근 기둥 모양이고 꺾은 면은 감색이다, 꽃은 수상화서로 늦은 봄부터 여름철에 피며 길이 약 30cm, 포편은 엷은 녹색으로 난형, 길이 4~5cm, 화관은 여두 모양의 황색이며 길이 2.5cm, 근경을 울금 또는 천옥금이라고도 한다. 주로 잎이나 꽃등은 쓰지 않고 뿌리 줄기 및 덩이 줄기만을 사용하는데, 맵고 쓴맛을 내어 카레라이스를 만드는 재료로 쓰인다. 뿌리 줄기의 색깔은 커큐민이 포함되어 연한 주황색을 띠며 톡 쏘는 냄새가 날 때 가장 좋은 것이며, 대부분 요리에 쓰이지만 인도에서는 약으로 쓰이기도 한다.
황백(黃柏, Phellodendron amurense Rupr.)는 황백나무 수피의 건조품을 의미한다. 황백은 예전부터 생약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해열 및 해독기능과 항염증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하수오(何首烏, 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는 마디풀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상기 하수오는 전체에 털이 없고, 뿌리는 땅 속으로 뻗으면서 때때로 둥근 덩이뿌리를 형성하는데 한방에서는 이 덩이뿌리를 약재로 사용한다. 상기 하수오는 강장, 강정, 양혈(養血), 보간, 거풍 및 소종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10192호(2001.02.05. 공개, 발명의 명칭: 영지버섯 세포외 다당체의 생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염, 항산화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 미백효과 및 피부톤 개선효과가 우수한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근깨, 잡티 및 염증성 과색소 침착 개선효과가 우수한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포독성이 없으며, 인체에 무해하고, 피부자극이 적은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은, 영지버섯에 기탁번호 KCTC18333P로 수탁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GFC 1 균주를 접종하고 발효시켜 수득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울금(Curcuma longa) 추출물, 황백(Phellodendron amurense Rupr) 추출물 및 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 울금 추출물, 황백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을 1:0.1~5:0.1~5:0.1~5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 울금 추출물, 황백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치, 분무제, 마스크 시트 또는 세정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 항산화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며, 세포독성이 없고 피부자극이 적고, 인체에 무해하면서, 피부 미백효과 및 피부톤 개선효과가 우수하며, 주근깨, 잡티 및 염증성 과색소 침착 개선효과가 우수하며, 유사한 효과를 갖는 다른 제품과 비교할 때 낮은 생산단가 및 높은 생산성을 가질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의 추출물에 대한 세포 독성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항균 활성 시험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영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
본 발명에서 상기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은 영지버섯에 발효 균주를 접종한 후 발효 및 추출시켜 얻을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은, 상기 영지버섯의 균사체(mycelia) 및 자실체(fruiting body, carpophore) 중 하나 이상의 부위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실체 부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실체 사용하여 발효 추출시, 상기 발효 추출물의 다당체 함량이 현저하게 높을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영지버섯은 영지 1호 및 영지 2호 중 하나 이상의 품종을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영지버섯은 10메시~500메시(mesh) 크기로 분쇄 또는 세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크기”는, “최대길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발효 균주로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균주를 이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영지버섯에 발효 균주로 기탁번호 KCTC18333P로 수탁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GFC 1 균주(이하, GFC 1 균주라 한다)를 접종하고 발효시켜 수득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GFC 1 균주를 35℃~37℃에서 3일~5일 동안 교반하면서 배양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종균 배양은 균주 활성의 유도를 위하여 MRS 배지 100 중량부에 영지버섯 1~2 중량부를 첨가하여 배지를 제조하고, 상기 배지에 균을 접종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배양된 종균은 영지에 직접 접종하여 발효물을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액을 이용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은 균주 배양이 가능한 용액을 추출용매로 사용하며, 상기 추출용매에 영지버섯을 첨가하고 균주를 접종한 후 배양시켜, 영지버섯 원료를 발효 및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은 영지버섯 원료에 균주를 직접 접종한 후 습식 배양 및 발효시키고, 통상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GFC 1 균주는 인삼에 특이적으로 생육하는 신규한 균주를 분리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수득된 균주를 분자 유전학적 측면에서 동정하는 16S rRNA partial sequencing(서열번호 1)을 통해 종, 속명을 확인하였고, 새롭게 분리 동정된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미생물을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GFC 1 균주(수탁번호: KCTC18333P)로 명명하고 이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에 2014년 10월 21일자로 수탁하여, 수탁번호 KCTC18333P를 부여 받았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GFC 1 균주는 배지에 영지버섯 분말을 첨가하여 종균 배양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GFC 1의 균주 배양시, MRS 배지를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종균 배양은, 상기 MRS 배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영지버섯 재료 1~20 중량부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량범위에서 GFC 1 균주의 활성을 용이하게 유도하여 다당체 생성에 더욱 효과적이며, 경제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2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종균 배양은, 상기 MRS 배지 100 중량부에 영지버섯 1~20 중량부를 투입하고, 상기 GFC 1 균주를 접종한 다음, 27℃~37℃에서 3일 내지 7일 동안 배양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GFC 1 균주의 활성이 우수하여 상기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의 다당체 함량을 현저하게 증진시킬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발효는 기탁번호 KCTC18333P로 수탁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GFC 1 균주를 준비하고, 영지버섯 원료에 용매를 가한 다음 상기 GFC 1 균주를 접종하고 배양 및 추출시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영지버섯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100~2000 중량부를 첨가하고, 상기 GFC 1 균주를 접종한 후 배양하여 발효하여 발효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발효물을 여과 및 추출하여 발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통상적인 추출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용매로는 물,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헥산 및 탄소수 1~10의 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수 1~10의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펜탄올, 헥사놀 등의 저급 1가 알코올, 1,2-펜탄디올, 1,5-펜탄디올, 헥산디올, 헵탄디올, 옥탄디올, 데칸디올 등의 중급 2가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저급 3가 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용매는 상기 배양용 배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200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배양시 상기 GFC 1 균주의 생장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효소의 활성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락토오스(Lactose)를 더 첨가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락토오스는 상기 영지버섯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상기 GFC 1 균주의 생장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효소의 활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발효는, 영지버섯에 용매를 가하고, GFC 1 균주를 접종하고 27℃~37℃에서 3일 내지 7일 동안 배양하여 발효물을 제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상기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의 다당체 함량을 현저하게 증진시킬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GFC 1 균주를 영지버섯에 접종하고 배양하여 수득된 발효물은, 원심 분리, 살균 및 여과를 거쳐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발효 추출물 제조시 향후 미생물의 번식에 의한 유효성분의 파괴를 방지하고 제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발효 과정을 거쳐 얻어지는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은 발효 과정을 거치지 않은 영지버섯 추출물에 비해 다당체 함량이 월등하게 높으며, 발효과정을 거치지 않은 영지버섯 추출물에 비해 증진된 항산화, 미백, 항염증, 주름개선 조절 효과를 가지게 되어, 피부 미용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영지버섯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03 중량%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활성성분의 함량이 높아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효과 및 항염 효과가 증대되면서도,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울금 추출물
본 발명의 울금 추출물은 주름생성에 관여하는 엘라스타제(elastase) 및 콜라게나제(collagenase)의 저해효과 및 주름 개선을 목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울금 추출물은 울금(Curcumalonga)의 잎, 꽃, 뿌리 및 줄기 부위 중에서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울금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03 중량%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주름 개선, 항산화효과, 미백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황백 추출물
본 발명에서 상기 황백(黃柏, Phellodendron amurense Rupr.) 추출물은 황백나무 수피 부위를 사용하여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황백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03 중량%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주름 개선 효과, 항염 효과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하수오 추출물
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Thunb)는 항염 및 항산화 효과를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하수오 추출물은 하수오의 뿌리 및 줄기 부위 중에서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하수오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03 중량%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항산화 효과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 울금 추출물, 황백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세포 독성 및 인체에 무해하면서, 피부 미백, 항균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 울금 추출물, 황백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을 1:0.1~5:0.1~5:0.1~5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상기 성분들에 포함된 활성 성분 사이의 상승작용이 발생하여, 피부 미백, 항균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주름 개선효과가 우수하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 또한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 울금 추출물, 황백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은 1:0.1~1:0.1~1:0.1~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 울금 추출물, 황백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은 1:0.6:0.2:0.2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사한 효과를 갖는 다른 제품과 비교할 때 낮은 생산단가 및 높은 생산성을 가질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는 기제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용해보조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pH 조정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살균제, 항염증제, 항미생물제, 가용화제 또는 착향제, 염료, 안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는 암모늄라우릴술포석시네이트,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등과 같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등과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이 가능하다. 또한, 3급 지방족 아민염, 알킬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베타인, 아미드베타인형과 같은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등이 될 수 있으며, 점증제는 잔탄검,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라기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등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이 될 수 있다. 또한, pH 조정제는 구체적으로 구연산,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구연산나트륨, 인산, 인산나트륨, 젖산 등이 가능하다.
상기 방부제는 벤조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 페녹시에탄올, 디엠디엠히단토인 등이 될 수 있으며, 산화방지제는 구체적으로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아스코르빈산 등이 가능하다.
상기 금속이온봉쇄제는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테트라나트륨 등이 가능하며, 살균제는 구체적으로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4급 암모늄염, 피록톤올아민, 아연피리치온 현탁액, 요도프로피닐 부틸카바메이트, 살리실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항염증성분으로는 글리시리진산모노암모늄, 글리시리진산디칼륨, 알란토인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가능하며, 항균(항미생물)성분은 구체적으로 페녹시에탄올, 클로르헥시딘,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벤조산 및 그의 염, 벤질알코올, 살리실산, 트리클로카르반, 아연피리치온 현탁액 및 그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로는 구체적으로 피이지 60-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착향제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분야에 사용되는 통상의 기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치, 분무제, 마스크 시트 또는 세정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울금, 황백 및 하수오 를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혼합 추출액을 제조한 다음, 농축하여 농축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농축물과 상기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울금, 황백 및 하수오 각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추출용매 30 중량부 내지 500 중량부를 첨가하여 3 시간 내지 10일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추출물을 수득한 다음, 전술한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여과시, 상기 울금, 황백 및 하수오의 고형물이 용이하게 제거되면서, 포함되는 활성성분의 소실을 최소화 하고, 상기 울금, 황백 및 하수오 추출물의 분획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대량 생산 및 고농축물 제조에 유리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울금, 황백 및 하수오는, 전술한 부위를 사용하여 10메시~500메시(mesh) 크기로 분쇄 또는 세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크기”는, “최대길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용매로는 물,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헥산 및 탄소수 1~10의 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탄소수 1~10의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펜탄올, 헥사놀 등의 저급 1가 알코올, 1,2-펜탄디올, 1,5-펜탄디올, 헥산디올, 헵탄디올, 옥탄디올, 데칸디올 등의 중급 2가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저급 3가 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울금, 황백 및 하수오 추출물은, 상기 발효 영지, 울금, 황백 및 하수오 추출물 각 100 중량부에 대하여 추출용매 30~500 중량부를 첨가하고 50℃~100℃의 온도에서 1 시간 내지 72 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가열시 추출 효율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울금, 황백 및 하수오 추출물은, 상기 추출용매에 침지하여 추출한 다음, 교반추출, 환류 냉각 추출,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및 초임계 추출 중 하나 이상의 추출방법을 적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울금, 황백 및 하수오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각각 제조한 다음, 상기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과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농축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기 울금, 황백 및 하수오를 각각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다음, 상기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과 혼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농축은, 증발농축 또는 감압농축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과, 울금, 황백 및 하수오 추출물을 혼합하여, 회전진공농축장치(rotary vacuum evaporator)(Eyela, 일본)에 투입하여 농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조예
(1) 균주의 분리 및 선별
인삼으로부터 유산균의 분리는 인삼을 오존수에 살균한 후 밀봉하여 3개월 동안 자연 숙성하였으며 이때의 숙성 균주를 분리하였다. 인삼 발효물을 멸균증류수를 이용하여 1~10-5배의 농도로 희석한 후 MRS agar 배지에 100㎕씩 도말하여 30℃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균주는 모양, 색, 투명도, 크기, 외형구조 등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선발하였으며 선발 균주는 MRS agar 배지에 Streaking 하여 4회 계대 배양하여 Single colony를 순수 분리하였다. 순수 분리된 균주는 20% Glycerol stock solution을 만들어 -70℃의 초저온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2) 16S rRNA 유전자 염기 서열 분석에 의한 분리 균주의 동정
상기 선별된 균주로부터 DNA를 추출한 다음, 16S rRNA gene sequencing을 (주)제노텍에 의뢰하였으며, 계통학적 분석을 위하여 NCBI database를 이용하여 Type strain과의 상동성을 확인하였다. Type strain의 16S rRNA 염기서열을 BioEdit program (Hall, 1999)과 Clustal X program(Thompson et al., 1997)을 이용하여 Alignment 하고, 균주들의 진화과정을 추적하는 작업은 Kimura two-parameter model(Kimura, 1983)을 이용하였으며, MEGA 3 Program(Kumar et al., 2004)의 Neighbor-joining(Saitou and Nei, 1987)방법으로 계통분류학적 위치를 결정하였다.
상기 균주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16S rRNA 분석(서열번호 1)을 실시하고 BLAST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균주의 상동성을 분석한 결과, 상기 GFC 1 균주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와의 16S rRNA gene과 99% 상동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GFC 1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에 속하는 새로운 균주로 판명되어,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GFC 1(수탁번호: KCTC18333P)로 명명하고, 이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에 2014년 10월 21일자로 수탁하고, 수탁번호 KCTC18333P을 부여 받았다.
실시예 1
상기 GFC 1 균주에 의한 발효를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MRS 배지 100g에 영지버섯(영지 1호) 자실체 분말(200 mesh 크기)을 1~2g 첨가하고, 상기 배지에 GFC 1 균주를 접종하고, 37℃에서 3일 동안 교반하면서 배양하여 종균 배양 하였다. 상기 생장된 종균은 영지에 직접 접종하여 발효물을 생산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영지버섯(영지 1호 품종) 자실체 분말(200 mesh 크기) 20g에 물 100ml을 가하고 85℃에서 60분 동안 살균한 다음, 상기 종균 배양된 GFC 1 균주를 접종하였다. 이때 균주의 생장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효소 활성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락토오스 0.5g~10g를 첨가하고, 37℃에서 7일 동안 배양하여 발효시켜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발효물을 8000rpm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제거한 다음, 여과 및 살균하여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울금은 울금의 뿌리, 잎 및 줄기 부위를 50 메시 크기로 세절하여 준비하였고, 황백은 황백의 줄기 및 뿌리 부위를 50 메시 크기로 세절하여 준비하였으며, 하수오는 하수오 줄기 및 뿌리 부위를 50 메시 크기로 세절하여 준비하였다.
상기 울금, 황백 및 하수오 각 1kg에, 50% 에탄올 20kg을 가하고 상온에서 3일 동안 교반 추출 후 여과하는 공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한 다음, 회전진공농축장치에서 농축하여 울금, 황백 및 하수오 추출물을 각각 수득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과, 울금 추출물, 황백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을 1:0.6:0.2:0.2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영지버섯(영지 1호)의 자실체 1g에 에탄올 0.5kg을 가하고, 상온에서 3일 동안 교반 추출 후 여과 공정을 3회 반복한 다음, 회전 진공농축장치에서 농축하여 추출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울금, 황백 및 하수오 추출물을 1:0.3:0.3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다당체 함량 측정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 시료를 각각 80% 이상의 에탄올(ethanol)에 침지하여 4℃에서 24 시간 동안 침전시킨 후, 20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침전물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침전물에 5%의 증류수를 가하여 용해시킨 후 105℃에서 가열하여 에탄올을 증류시키고, 한외여과막으로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동결건조기(Eyela FDU 540, Japan)에서 동결 건조하여 분리한 후, 고형분 무게를 측정하여 수용성 다당체 함량으로 환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다당체 함량(mg/g)
실시예 1 29.9±0.58
실시예 2 36.2±0.28
비교예 1 7.01±0.33
비교예 2 2.1±0.38
상기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2의 추출물은, 발효를 하지 않은 영지추출물이 포함된 비교예 1 및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1 보다 각각 4.2 내지 5.1배 높은 다당체 함량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영지버섯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에 비하여, 월등한 양의 다당체가 생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세포 독성 시험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 대하여, 각각 0, 3.125, 6.25, 12.5, 25, 50, 100(㎍/㎖)의 농도로 희석하여 농도에 따른 세포 독성 정도를 평가하였다.
대식세포의 일종인 RAW 264.7 cell을 1% 페니실린/스크랩토마이신, 10% FBS(fetal bovineserum)가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24 well plate에 1.0 x 104cell/well씩 동일하게 계수하여 분주한 후, 37℃ 및 5%의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24 시간 배양한 cell에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각 농도별로 배지와 혼합 후, 각 well에 1ml씩 첨가하고 37℃및 5% CO2조건의 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반응한 다음, 각 well의 상등액 만을 따로 취한 뒤 각 well에 WST-1 assay solution (ez-cytox)을 첨가하여 배양기에서 2 시간 반응 후 ELISA reader기로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생존율을 확인하여 그 결과를 하기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중 대표적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추출물에 대한 세포 독성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 추출물은 100 ㎍/㎖의 고농도에서도, 세포 독성이 매우 적음을 알 수 있었다.
(3) 염증유발인자 억제 시험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각각 50(㎍/㎖)의 농도로 희석하여 Nitric Oxide(NO)를 억제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대식세포의 일종인 RAW 264.7 cell을 1% 페니실린/스크랩토마이신, 및 10% FBS(fetal bovineserum)가 포함된 DMEM배지를 이용하여 24well plate에 1.0 x 104 cell/well씩 동일하게 계수하여 분주한 후, 37℃ 및 5%의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한 cell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추출물을 50(㎍/㎖) 농도로 배지와 혼합 후, 각 well에 1ml씩 첨가하고 37℃ 및 5%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반응 시켜주었다. 이때, NO를 발현 시키는 염증유발인자인 LPS(lipo poly saccharide)를 1㎍/㎖의 농도로 같이 처리하고 37℃ 및 5%의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주었다. 그 다음에, 각 well의 상등액 만을 따로 취한 뒤 각 well에 Nitric Oxide detection kit를 이용하여 배양액 중 100㎖를 96 well plate에 취하고 Griess reagent A 50㎕ 및 Griess reagent B 50㎕를 각각 넣어준 뒤 각각 10 분 동안 반응시킨 뒤, ELISA 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Griess Reagent A: N-1-Naphthylethylenediamine (NEDHC)
Griess Reagent B: Sulfanilamide
구분 NO 생성농도(μM)
양성대조군 15±0.15
음성대조군 55±0.21
실시예 1 27±0.24
실시예 2 12±0.36
비교예 1 58±0.71
비교예 2 60±0.32
상기 표 2의 결과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2의 추출물은, 비교예 1~2 보다 Nitric oxide(NO)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4) 자유라디칼 제거 능력 시험
프리라디칼은 활성산소를 말하며, 우리가 호흡한 산소가 에너지를 만들고 물로 환원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산화력이 수 천 배나 높은 물질이다. 동식물의 체내 세포들의 대사과정에서 생성되거나 스트레스, 광자극, 세균 침투에 의해서도 발생되며, 과량의 활성산소가 체내에 존재하면 정상 세포까지 무차별 공격, 각종 질병과 노화의 주범이 된다. 또한, 외부 자극에 민감한 면역 반응을 보이는 병리적 인자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이 항산화능을 나타냄으로써 염증 완화 효과를 가지는지를 DPPH의 자유라디칼 소거능으로 확인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각각 50(㎍/㎖)의 농도로 희석하여 DPPH 억제 정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를 50(㎍/㎖)의 농도로 희석한 다음, 0.1M DPPH 250㎕(1,1-diphenyl-2-picrylhydrazyl)용액을 혼합 후 30 분간 4℃에서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나면 각 sample을 96 well plate에 담아 ELISA reader기를 이용하여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투입하지 않은 경우를 대조군으로 하여 하기 식 1에 의해 시료의 자유라디칼 소거량(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를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식 1]
자유라디칼소거능(%)=[100-(시료를 처리한 군의 흡광도/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군의 흡광도 X 100)]
구분 자유라디칼소거능(%)
양성대조군 66.74±0.98
실시예 1 60.9±0.24
실시예 2 82.1±0.68
비교예 1 55.3±0.13
비교예 2 51.4±0.44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2의 추출물은 비교예 1~2 보다 DPPH 소거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5) 주름방지 효능 검증 시험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각각 50(㎍/㎖)의 농도로 희석하여, 엘라스테이즈(Elastase) 억제 정도를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를 50(㎍/㎖)의 농도로 희석한 다음, 10mM Tris-HCl buffer(pH 8.0)에 녹인 N-succinyl-(Ala)3-p-nitroanilide (S4760, Sigma) 1.6 mM 농도의 기질과 Elastase from porcine pancreas Type Ⅳ(E0258, Sigma) 0.4U/mL를 혼합하여 25℃에서 5분 동안 반응한 후 96 well plate에 담아 4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시료를 넣지 않은 경우를 대조군으로 하여 하기 식 2를 이용하여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 Oleanolic acid를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식 2]
엘라스테이즈 저해활성(%)=100-(시료를 처리한 군의 흡광도/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군의 흡광도 X 100)
구분 엘라스테이즈 저해활성(%)
양성 대조군 88.30±0.50
음성 대조군 6.1±0.50
실시예 1 34.0±0.43
실시예 2 79.3±0.64
비교예 1 28.0±0.55
비교예 2 80.0±0.33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2의 추출물은, 비교예 1~2 보다 엘라스테이즈 저해 효과가 월등히 우수하며,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6) 미백 효능 검증 시험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추출물을 각각 50(㎍/㎖)의 농도로 희석하여, 멜라닌 억제량을 측정하였다.
B16F10 melanoma cell을 헤마사이토미터(Hemacytometer)를 이용하여 60ΦPetri dish에 한 dish당 2.0 x 105cell/well씩 동일하게 계수하여 분주한 후, 37℃ 및 5%의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한 후 얻은 세포 배양액을 제거하고, 멜라닌 생성을 유도하기 위한 α-MSH 50nM과 함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각각 취하여 배지와 혼합하여 분주하고 60시간 반응시켜준 뒤, 배양액(상층액) 수거하였다.
60시간 반응시킨 배양액(상층액)은 세포 외 멜라닌 생성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1ml을 덜어 ELISA 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하기 식 3의 계산식을 이용하여 세포 외 멜라닌 생성량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 알부틴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식 3]
멜라닌 생성량(%)=(각 시험물질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X100
구분 Melanin contents (% of control)
양성 대조군 26.25±0.88
음성 대조군 95.20±1.05
실시예 1 50.40±0.94
실시예 2 68.26±0.29
비교예 1 41.08±0.37
비교예 2 19.19±0.90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실시예 1~2의 추출물은, 비교예 1~2 보다 멜라닌의 생성량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6) 항균 활성 검증 시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 중에서, 대표적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항균 활성 정도를 알아보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평가 배지의 준비>
평가 방법으로 원형여과지법(paper disc method)을 이용하였으며, 항균활성 평가에는 표준시험균주(식약처 및 MIC test guide line)인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8739),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ATCC 9027), 흑색국균(Aspergillus niger, ATCC 8642) 및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ATCC 10231)를 한국미생물자원센터(KCTC, Korea)와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 Korea)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상기 표준시험균주 중 대장균, 황색 포도상구균 및 녹농균의 배양에는 TSA 배지(Tryptic Soy Agar) 배지를 사용하였다. 상기 표준시험균주 중 칸디다 알비칸스의 배양에는 YM 배지(Yeast extract Media) 배지를 사용하였다.
<최소 성장 억제농도 시험(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MIC test)>
121℃에서 15분간 멸균한 독립적인 영양배지(Nutrient Broth)를 준비한 후, 상기에서 준비한 각 표준 시험균주를 3 × 105 cfu/㎖의 양으로 접종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대표적으로 시험 농도 1%, 0.5%, 0.25%, 0.125%, 0.0625%, 0.03125%, 0.015625%, 0.0078125% 농도로 맞추고 시험균주의 single colony 이용하여 접종하여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흡광도(600nm)를 측정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는 최저 농도로 항균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단위: %) 대장균 황색 포도상구균 녹농균 칸디다 알비칸스 흑색국균
실시예 1 0.125 0.03 0.25 0.125 0.5
비교예 1 0.25 0.1 X X X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 1의 항균 활성 시험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 표 6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는 비교예 1 보다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칸디다 아비칸스, 녹농균 및 흑색국균에 대한 항균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7) 제형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추출물에 대하여, 하기 표 6에 기재된 성분을 각각 적용하여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로션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함량(단위:중량%)
정제수 88.97
1,3-부틸렌글라이콜 2.0
글리세린 1.0
카보머 15.0
트리에탄올아민 0.2
스테아릭애씨드 3.0
비즈왁스 0.5
스쿠알렌 5.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세틸알코올 1.0
방부제 0.01
추출물 5.0
합계 100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의 분리 및 변색 정도에 대한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45℃, 25℃ 및 4℃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 또한 일광 조건으로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를 각 5개씩 용기에 담아 4주 동안 보관 후 분리 및 변색 정도를 비교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이때 제품의 분리 및 변색 정도는 하기의 6 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 분리 및 변색 평가 기준
0: 변화 없음, 1: 극히 조금 분리(변색), 2: 조금 분리(변색), 3: 조금 심하게 분리(변색), 4: 심하게 분리(변색), 5: 극히 심하게 분리(변색)
Figure pat00001
상기 표 8의 결과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2의 화장료 조성물은 변색 및 분리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제형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8333P 20141021
<110> GFC company limited Amicosmetic company limited <120>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EXTRACT OF GANODERMA LUCIDUM <130> AJP16173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497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6s rRNA sequence for isolation of Lactobacillus casei GFC 1 <400> 1 ttttgggtnn tnnnnacccg tcaggatgaa cgctggcggc gtgcctaata catgcaagtc 60 gaacgagttc tcgttgatga tcggtgcttg caccgagatt caacatggaa cgagtggcgg 120 acgggtgagt aacacgtggg taacctgccc ttaagtgggg gataacattt ggaaacagat 180 gctaataccg catagatcca agaaccgcat ggttcttggc tgaaagatgg cgtaagctat 240 cgcttttgga tggacccgcg gcgtattagc tagttggtga ggtaatggct caccaaggcg 300 atgatacgta gccgaactga gaggttgatc ggccacattg ggactgagac acggcccaaa 360 ctcctacggg aggcagcagt agggaatctt ccacaatgga cgcaagtctg atggagcaac 420 gccgcgtgag tgaagaaggc tttcgggtcg taaaactctg ttgttggaga agaatggtcg 480 gcagagtaac tgttgtcggc gtgacggtat ccaaccagaa agccacggct aactacgtgc 540 cagcagccgc ggtaatacgt aggtggcaag cgttatccgg atttattggg cgtaaagcga 600 gcgcaggcgg ttttttaagt ctgatgtgaa agccctcggc ttaaccgagg aagcgcatcg 660 gaaactggga aacttgagtg cagaagagga cagtggaact ccatgtgtag cggtgaaatg 720 cgtagatata tggaagaaca ccagtggcga aggcggctgt ctggtctgta actgacgctg 780 aggctcgaaa gcatgggtag cgaacaggat tagataccct ggtagtccat gccgtaaacg 840 atgaatgcta ggtgttggag ggtttccgcc cttcagtgcc gcagctaacg cattaagcat 900 tccgcctggg gagtacgacc gcaaggttga aactcaaagg aattgacggg ggcccgcaca 960 agcggtggag catgtggttt aattcgaagc aacgcgaaga accttaccag gtcttgacat 1020 cttttgatca cctgagagat caggtttccc cttcgggggc aaaatgacag gtggtgcatg 1080 gttgtcgtca gctcgtgtcg tgagatgttg ggttaagtcc cgcaacgagc gcaaccctta 1140 tgactagttg ccagcattta gttgggcact ctagtaagac tgccggtgac aaaccggagg 1200 aaggtgggga tgacgtcaaa tcatcatgcc ccttatgacc tgggctacac acgtgctaca 1260 atggatggta caacgagttg cgagaccgcg aggtcaagct aatctcttaa agccattctc 1320 agttcggact gtaggctgca actcgcctac acgaagtcgg aatcgctagt aatcgcggat 1380 cagcacgccg cggtgaatac gttcccgggc cttgtacaca ccgcccgtca caccatgaga 1440 gtttgtaaca cccgaagccg gtggcgtaac cctttaggag cagccttaag gacatgg 1497

Claims (6)

  1.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은, 영지버섯에 기탁번호 KCTC18333P로 수탁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GFC 1 균주를 접종하고 발효시켜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울금(Curcuma longa) 추출물, 황백(Phellodendron amurense Rupr) 추출물 및 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 울금 추출물, 황백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을 1:0.1~5:0.1~5:0.1~5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 울금 추출물, 황백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에센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로션, 크림, 팩, 젤, 연고, 패치, 분무제, 마스크 시트 또는 세정제로 제형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36318A 2016-03-25 2016-03-25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85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318A KR101785954B1 (ko) 2016-03-25 2016-03-25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318A KR101785954B1 (ko) 2016-03-25 2016-03-25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272A true KR20170111272A (ko) 2017-10-12
KR101785954B1 KR101785954B1 (ko) 2017-10-18

Family

ID=60140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318A KR101785954B1 (ko) 2016-03-25 2016-03-25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9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38697A (zh) * 2019-11-01 2020-01-03 上海浅娇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赤芝乳酸菌发酵提取物的制备及应用
KR20200073414A (ko) * 2018-12-14 2020-06-2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옷솔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17104A (ko) * 2020-08-04 2022-02-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균주 배양액이 적용되고, 즉각적인 피부 미백 효과를 달성하는 기능성 패치 조성물
CN114209617A (zh) * 2021-12-24 2022-03-22 广州恒雅生物化工有限公司 一种酵母发酵的灵芝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5554220A (zh) * 2022-10-24 2023-01-03 广州瑞隽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护肤作用的微生物发酵原液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414A (ko) * 2018-12-14 2020-06-2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옷솔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0638697A (zh) * 2019-11-01 2020-01-03 上海浅娇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赤芝乳酸菌发酵提取物的制备及应用
CN110638697B (zh) * 2019-11-01 2022-08-16 上海浅娇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赤芝乳酸菌发酵提取物的制备及应用
KR20220017104A (ko) * 2020-08-04 2022-02-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균주 배양액이 적용되고, 즉각적인 피부 미백 효과를 달성하는 기능성 패치 조성물
CN114209617A (zh) * 2021-12-24 2022-03-22 广州恒雅生物化工有限公司 一种酵母发酵的灵芝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5554220A (zh) * 2022-10-24 2023-01-03 广州瑞隽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护肤作用的微生物发酵原液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5554220B (zh) * 2022-10-24 2024-05-10 广州瑞隽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护肤作用的微生物发酵原液及其制备方法与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5954B1 (ko) 201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954B1 (ko) 영지버섯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32005B1 (ko)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119825B1 (ko) 현미, 녹차 및 포공영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내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061733A (ko)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70140B1 (ko) 락토바실러스 퍼멘튬 hk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라케케 발효 추출물
KR102227539B1 (ko) 천연발효 추출물 혼합 조성물
KR101860312B1 (ko) 스네어 단백질 활성 저해 효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1 균주를 이용한 발효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65696B1 (ko) 항균 및 방충 조성물
KR101918673B1 (ko) 해양 유래 신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KR102226187B1 (ko) 락토바실러스 이너스 ahc2030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물
KR101769755B1 (ko) 엘라스테이즈 저해 효능이 향상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gfc 160704 균주,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11411B1 (ko) 딱지꽃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013357A (ko) 녹두 발효-효소 추출액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5557B1 (ko) 수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3969B1 (ko) 유동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85955B1 (ko)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5713B1 (ko) 아레카야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1654B1 (ko)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누에고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55716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mi-1103 균주를 이용한 당근 발효물 제조방법
KR101694500B1 (ko) 벼뿌리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05243A (ko) 녹두 발효-효소 추출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41351A (ko) 수염틸란드시아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7952A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101957435B1 (ko)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누에고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7276A (ko) 황칠나무 발효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