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0125A - 측위 시스템 - Google Patents

측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0125A
KR20170060125A KR1020177011184A KR20177011184A KR20170060125A KR 20170060125 A KR20170060125 A KR 20170060125A KR 1020177011184 A KR1020177011184 A KR 1020177011184A KR 20177011184 A KR20177011184 A KR 20177011184A KR 20170060125 A KR20170060125 A KR 20170060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transmitting terminal
data
wireless
receiv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1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7351B1 (ko
Inventor
다카노리 오구라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0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84Relative positioning
    • G01S5/0289Relative positioning of multiple transceivers, e.g. in ad hoc networ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78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involving statistical or probabilistic consid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220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2205/01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2205/02Indo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전파 강도를 사용해서 무선 발신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측위 시스템에 있어서 계산 부하를 경감한다. 측위 시스템(10)은, 복수의 무선 수신기(70)가 생성 가능한 수신 데이터 중 한정된 범위의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 및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사용해서, 복수의 무선 수신기(70)의 배치 위치에 기초하여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의 위치를 각각 추정하는 위치 추정부(66)를 구비하고 있다. 위치 추정부(66) 및 복수의 무선 수신기(70) 중 적어도 한쪽은,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에 대해서 수신 가능한 수신 데이터 중에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에 적합한 제1 설정 영역에 한정해서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취득하고,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에 대해서 수신 가능한 수신 데이터 중에서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에 적합한 제2 설정 영역에 한정해서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취득한다.

Description

측위 시스템{POS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전파의 강도를 사용해서 무선 발신 단말기의 위치를 추측하는 측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람이 있는 위치를 특정해서 행하여지는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사람이 있는 위치를 특정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글로벌·포지셔닝 시스템(GPS)이나 휴대 전화기의 통신망 등의 공공 기관이나 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대규모 시스템을 이용해서 휴대 단말기 자신이 위치를 특정하여 휴대 단말기 내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케이스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케이스 이외에, 예를 들어 상업 시설 등의 비교적 좁은 에어리어에 대해서, 상업 시설 등의 옥내 공간에서의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주체가 입수하여, 시설에 관련된 서비스 제공 주체측의 추정 장치가 사람이 있는 위치를 특정함으로써 서비스가 제공되는 케이스가 있다.
이렇게 휴대 단말기 이외의 곳에서 사람의 위치가 추정되어 서비스가 제공되는 케이스에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일본 특허 공개 제2007-32988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지국에서 받는 무선 발신 단말기의 전파 강도를 사용해서 위치를 추정하는 경우, 무선 발신 단말기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인 전파 강도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기지국으로부터 위치를 추정하는 추정 장치로 전송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329887호 공보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파 강도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추정 장치로 전송되는 시스템에서는, 전파 강도에 대하여 고정의 역치를 마련하고, 역치 이하의 전파 강도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시키지 않음으로써 통신 부하 및 계산 부하를 경감하는 방법이 취해진다. 그러나, 측위 대상의 무선 발신 단말기의 개체차나 보유 상황이 각각이면, 측위에 관계가 있는 데이터까지 제외되어 측위 정밀도가 저하되거나, 불필요한 데이터가 제외되지 않기 때문에, 통신 부하 및 계산 부하가 커지거나 하는 경우가 발생해버린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파 강도를 사용해서 무선 발신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측위 시스템에 있어서 계산 부하를 경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은, 소정의 옥내 공간에서 이동 가능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전파의 전파 강도를 사용해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의 위치를 추측하고, 옥내 공간에서 이동 가능한 제2 무선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전파의 전파 강도를 사용해서 제2 무선 발신 단말기의 위치를 추측하는 측위 시스템이며, 옥내 공간에 대하여 배치되고, 제1 무선 발신 단말기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전파의 전파 강도를 검지하여, 전파 강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를 생성 가능한 복수의 무선 수신기와, 복수의 무선 수신기가 생성 가능한 수신 데이터 중 한정된 범위의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 및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사용해서 복수의 무선 수신기의 배치 위치에 기초하여 제1 무선 발신 단말기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의 위치를 각각 추정하는 위치 추정부를 구비하고, 위치 추정부 및 복수의 무선 수신기 중 적어도 한쪽은, 제1 무선 발신 단말기에 대해서 수신 가능한 수신 데이터 중에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에 적합한 제1 설정 영역에 한정해서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취득하고, 제2 무선 발신 단말기에 대해서 수신 가능한 수신 데이터 중에서 제2 무선 발신 단말기에 적합한 제2 설정 영역에 한정해서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다.
제1 관점의 측위 시스템에서는, 수신 데이터를 취득하는 범위로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에 적합한 제1 설정 영역과, 제2 무선 발신 단말기에 적합한 제2 설정 영역이 구별해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무선 발신 단말기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의 측위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제1 설정 영역과 제2 설정 영역에 의해 제1 무선 발신 단말기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를 위한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 및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각각 적절하게 좁혀 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은, 제1 관점의 측위 시스템이며, 위치 추정부 및 복수의 무선 수신기 중 적어도 한쪽은, 제1 기준 강도 이상의 전파 강도의 수신 데이터를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로서 사용함으로써 제1 설정 영역을 설정하고, 제2 기준 강도 이상의 전파 강도의 수신 데이터를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로서 사용함으로써 제2 설정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다.
제2 관점의 측위 시스템에서는, 제1 무선 발신 단말기와 제2 무선 발신 단말기의 전파 강도가 상이한 경우에, 전파 강도가 높은 쪽에 적합한 기준 강도로 공통으로 설정하면 낮은 쪽의 측위 정밀도가 나빠지고, 낮은 쪽에 적합한 기준 강도로 공통으로 설정하면 높은 쪽의 데이터량의 증가에 의해 계산 부하가 증가하는데, 각각에 적합한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로 제1 설정 영역 및 제2 설정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계산 부하의 감소와 측위 정밀도의 저하 억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은, 제2 관점의 측위 시스템이며, 위치 추정부 및 복수의 무선 수신기 중 적어도 한쪽은,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동적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제3 관점의 측위 시스템에서는,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를 동적으로 변경하므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와 제2 무선 발신 단말기의 전파 강도의 변화에 대하여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은, 제2 관점 또는 제3 관점의 측위 시스템이며, 위치 추정부 및 복수의 무선 수신기 중 적어도 한쪽은, 위치 추정부가 제1 무선 발신 단말기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운용 기간 앞에 판정 기간을 설정하고, 판정 기간에 있어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전파의 전파 강도를 판정해서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를 설정하는 것이다.
제4 관점의 측위 시스템에서는, 운용 기간 앞에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를 설정하기 위한 판정 기간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를 고정밀도로 설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은, 제1 관점 내지 제4 관점 중 어느 하나의 측위 시스템이며, 위치 추정부 및 복수의 무선 수신기 중 적어도 한쪽은, 제1 설정 영역을 복수의 무선 수신기 중 제1 무선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전파의 전파 강도가 가장 강한 것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으로 설정하고, 제2 설정 영역을 복수의 무선 수신기 중 제2 무선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전파의 전파 강도가 가장 강한 것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제5 관점의 측위 시스템에서는, 제1 설정 영역 및 제2 설정 영역을 복수의 무선 수신기 중 제1 무선 발신 단말기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전파의 전파 강도가 가장 강한 것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으로 각각 설정하므로, 이들 지역의 외측 에어리어의 무선 수신기의 데이터를 버리게 되는데, 원거리의 전파 강도가 약한 통신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아도 측정 정밀도의 저하가 적은 한편, 전파 강도가 약한 통신 데이터를 대폭 생략해서 계산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의 전파 강도가 변동했을 때, 제1 무선 발신 단말기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를 측위 시스템이 놓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제6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은, 제1 관점 내지 제5 관점 중 어느 하나의 측위 시스템이며, 위치 추정부 및 복수의 무선 수신기 중 적어도 한쪽은, 제1 무선 발신 단말기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가 검출된 후에 제1 설정 영역 및 제2 설정 영역을 각각 설정하는 것이다.
제6 관점의 측위 시스템에서는, 제1 설정 영역 및 제2 설정 영역이 설정되는 시점이 제1 무선 발신 단말기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가 검출된 후이므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의 검출이 제1 설정 영역 및 제2 설정 영역의 설정 때문에 방해받지 않으므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의 검출의 확실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7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은, 제1 관점 내지 제6 관점 중 어느 하나의 측위 시스템이며, 위치 추정부는, 복수의 무선 수신기로부터 전송되어 온 제1 무선 발신 단말기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에 관한 수신 데이터로부터 제1 설정 영역에 한정해서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취득함과 함께, 제2 설정 영역에 한정해서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다.
제7 관점의 측위 시스템에서는, 위치 추정부 측으로부터한정된 것만을대하여 제1 설정 영역 및 제2 설정 영역의 설정을 행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무선 수신기에 대한 조작을 간소화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8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은, 제1 관점 내지 제7 관점 중 어느 하나의 측위 시스템이며, 복수의 무선 수신기는, 위치 추정부로부터 전송되어 온 제1 설정 영역 및 제2 설정 영역을 사용하여, 제1 무선 발신 단말기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에 관한 수신 데이터로부터 제1 설정 영역에 한정해서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취득함과 함께, 제2 설정 영역에 한정해서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취득하여,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 및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위치 추정부에 전송하는 것이다.
제8 관점의 측위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무선 수신기 중 한정된 것만을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 및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위치 추정부에 전송하므로, 복수의 무선 수신기로부터 위치 추정부에 위치 추정에 불필요한 수신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은, 제1 관점 내지 제8 관점 중 어느 하나의 측위 시스템이며, 복수의 무선 수신기는, 제1 무선 수신기와 제2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고, 위치 추정부는, 적어도 제1 무선 수신기와 제2 무선 수신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복수 시각의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 및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사용해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의 위치를 각각 추정하는 것이다.
제9 관점의 측위 시스템에서는, 제1 무선 수신기와 제2 무선 수신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복수 시각의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 및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사용해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의 위치를 각각 추정하므로, 제1 무선 수신기와 제2 무선 수신기를 연결하는 직선을 따른 움직임의 추정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통로와 같이 직선 상에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적은 계산 부하로 충분한 위치의 추정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0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은, 소정의 옥내 공간에서 이동 가능한 무선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전파의 전파 강도를 사용해서 무선 발신 단말기의 위치를 추측하는 측위 시스템이며, 옥내 공간에 대하여 배치되고, 무선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전파의 전파 강도를 검지하여, 전파 강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를 생성 가능한 복수의 무선 수신기와, 복수의 무선 수신기가 생성 가능한 수신 데이터 중 설정 역치 이상의 전파 강도의 수신 데이터를 위치 추정용 데이터로서 사용해서 복수의 무선 수신기의 배치 위치에 기초하여 무선 발신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위치 추정부를 구비하고, 위치 추정부 및 복수의 무선 수신기 중 적어도 한쪽은, 수신 데이터가 설정 역치에 관한 재판정 조건을 충족할 때는, 무선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전파의 전파 강도를 판정해서 설정 역치를 재설정한다.
제10 관점의 측위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무선 수신기가 생성 가능한 수신 데이터 중 설정 역치 이상의 전파 강도의 수신 데이터를 위치 추정용 데이터로서 위치 추정부가 사용하므로, 설정 역치보다 작은 전파 강도의 수신 데이터가 위치 추정에 사용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위치 추정에 사용되는 수신 데이터가 감소되어 데이터량의 증가가 억제되어 계산 부하가 경감된다. 또한, 재판정 조건을 충족하는 상태로 수신 데이터의 전파 강도가 바뀌었을 때 설정 역치를 재설정함으로써, 설정 역치를 위치 추정에 사용하기에 양호한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 역치가 위치 추정에 사용하기에 양호한 값으로 유지되므로, 전파 강도가 저하되어 무선 발신 단말기를 측위 시스템이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전파 강도가 높아짐으로써 측위 시스템의 부하가 증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은, 제10 관점의 측위 시스템이며, 위치 추정부 및 복수의 무선 수신기 중 적어도 한쪽은, 설정 역치와 위치 추정용 데이터 중 가장 높은 전파 강도와의 차가 판정값 이상이 되는 것을 재판정 조건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제11 관점의 측위 시스템에서는, 설정 역치와 위치 추정용 데이터 중 가장 높은 전파 강도와의 차가 판정값 이상이 되는 것이 재판정 조건으로 되므로, 전파 강도가 바뀌어서 부하 저감과 추정 정밀도의 양립에 관한 적성이 부족할 때 설정 역치의 재설정 판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은, 제10 관점의 측위 시스템이며, 위치 추정부 및 복수의 무선 수신기 중 적어도 한쪽은, 위치 추정용 데이터 중에서 가장 높은 전파 강도가 변화하는 변화율이 판정용 변화율 이상으로 되는 것을 재판정 조건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제12 관점의 측위 시스템에서는, 위치 추정용 데이터 중에서 가장 높은 전파 강도가 변화하는 변화율이 판정용 변화율 이상으로 되는 것이 재판정 조건으로 되므로, 전파 강도가 바뀌어서 부하 저감과 추정 정밀도의 양립에 관한 적성이 부족하게 될 때, 그 징후도 고려하면서 설정 역치의 재설정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3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은, 제10 관점 내지 제12 관점 중 어느 하나의 측위 시스템이며, 위치 추정부 및 복수의 무선 수신기 중 적어도 한쪽은, 설정 역치를 재설정한 후, 소정의 유예 기간 내에는 설정 역치의 재설정을 위한 판정을 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제13 관점의 측위 시스템에서는, 빈번히 재판정이 행하여지는 사태를 피하여, 빈번한 재판정으로 인한 시스템 부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4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은, 제13 관점의 측위 시스템이며, 위치 추정부 및 복수의 무선 수신기 중 적어도 한쪽은, 일정 기간 내에 소정 횟수 이상 설정 역치를 재설정한 경우에 유예 기간을 설정하는 것이다.
제14 관점의 측위 시스템에서는, 일정 기간 내에 소정 횟수 이상 설정 역치를 재설정한 경우에 유예 기간이 설정된다는 것은, 바꾸어 말하면 빈번히 재판정이 행하여지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을 때는 유예 기간이 설치되지 않는다는 것이며, 유예 기간을 설치함으로써 장기간 설치 역치가 재설정되지 않는다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5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은, 제10 관점 내지 제14 관점 중 어느 하나의 측위 시스템이며, 위치 추정부는, 설정 역치를 재설정할 때, 재판정 기간을 설정해서 재판정 기간 전에 무선 발신 단말기가 존재하고 있었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의 무선 수신기에 대해서 설정 역치를 낮추거나 또는 설정 역치의 설정을 해제하는 것이다.
제15 관점의 측위 시스템에서는, 무선 발신 단말기가 단말기 보유자의 이동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것이어도, 재판정 기간에 들어갔을 때 무선 발신 단말기가 존재하는 위치를, 재판정 기간 전의 무선 발신 단말기의 존재 위치로부터 상정되는 소정 범위에 포함할 수 있으므로, 재판정 시에 소정 범위 밖의 무선 수신기로부터의 수신 데이터를 재판정을 위한 데이터로부터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6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은, 제15 관점의 측위 시스템이며, 위치 추정부는, 복수의 무선 수신기의 배치 위치 중 외주부를 제외하고 소정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다.
제16 관점의 측위 시스템에서는, 재판정에 유효 활용될 가능성이 작은 외주부의 수신 데이터를 재판정 시에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에서는, 무선 발신 단말기수의 증가에 수반하는 데이터량의 증가를 억제해서 계산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에서는, 측위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계산 부하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에서는, 측위 정밀도를 안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에서는,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를 고정밀도로 설정함으로써, 데이터량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에서는, 측정 정밀도의 저하가 억제되면서 계산 부하의 경감이 행하여지고, 또한 전파 강도의 변동에 대하여 높은 적응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에서는, 시스템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7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에서는, 간소한 시스템 구성을 실현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8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에서는, 통신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에서는, 제1 무선 수신기와 제2 무선 수신기의 2개의 무선 수신기에 의해, 적은 계산 부하로 충분한 위치의 추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에서는, 설정 역치를 적정한 값으로 유지하고, 데이터량의 증가를 억제해서 계산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에서는, 설정 역치의 재설정의 판정을 확실하게 행하여 설정 역치를 적정한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에서는, 설정 역치의 재설정을 빨리 행해서 설정 역치를 적정한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3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에서는, 재판정을 행하는 것에 수반되는 시스템 부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4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에서는, 유예 기간을 설치함으로써 장기간 재설정이 되지 않게 됨으로 인한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5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에서는, 재판정 시의 계산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6 관점에 관한 측위 시스템에서는, 유효한 재판정을 행하면서 재판정 시의 계산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측위 시스템의 구성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측위 시스템의 구성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수신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옥내 공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레이아웃도이다.
도 6은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를 사용한 운용 기간의 데이터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전파 강도가 돌발적으로 변동된 경우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전파 강도가 돌발적으로 변동된 경우의 대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관리 컴퓨터에서 결정된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의 전송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관리 컴퓨터에서 결정된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의 전송 방법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관리 컴퓨터에서 결정된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의 전송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운용 기간에서의 공통 기준 강도를 사용한 데이터 전송과 관리 컴퓨터에서의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를 사용한 데이터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측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4는 운용 기간에서의 피크 강도를 사용한 데이터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5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측위 시스템의 구성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6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측위 시스템의 구성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7은 제4 실시예에서의 설정 역치의 재설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재설정 조건이 전파 강도차인 경우의 재설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는 재설정 조건이 전파 강도의 변화율인 경우의 재설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0은 재설정 조건이 액세스 포인트 수의 변화인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측위 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측위 시스템의 구성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측위 시스템(10)은, 공기 조화 장치(50)와 겸용하는 부분을 구비함으로써, 저비용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성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하의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공기 조화 장치(50)를 간단하게 설명한 후에, 측위 시스템(10)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전체 구성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측위 시스템(10)은, 예를 들어 쇼핑몰, 아울렛 몰, 고층빌딩 내의 백화점, 또는 지하상가와 같이 다수의 점포가 들어 있는 상업 시설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 장치(50)를 사용해서 구성되어 있다. 복수대의 실외기(40)의 각각에 복수대의 실내기(30)가 접속되어, 상업 시설 내의 공기 조화를 행하기 위한 공기 조화 장치(50)가 구성되어 있다. 도 1의 모든 실내기(30)와 모든 실외기(40)는, 공조 제어 장치(51)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실내기(30)와 실외기(40)는, 데이터 전송 라인(52)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공조 제어 장치(51)와 실외기(40) 및 실내기(30)의 사이는, 데이터 전송 라인(52), 게이트웨이(53) 및 네트워크 전송 라인(54)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실내기(30)를 포함하는 각 공조 실내 유닛(20)은, 공조용 전원선(90)에 접속되어 있다. 공기 조화 장치(50)는, 각 실외기(40)에 복수대의 실내기(30)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멀티 타입의 공기 조화 장치이다.
(2) 측위 시스템의 구성
(2-1)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위 시스템(10)은, 데이터 전송 라인(52)으로 접속되어 있는 관리 컴퓨터(60)와 복수대의 무선 수신기(70)로 구성되어 있다. 관리 컴퓨터(60)와 복수대의 무선 수신기(70)를 접속하는 데이터 전송 라인(52)은, 공기 조화 장치(50)의 데이터 전송 라인(52)과 공통화되어 있다. 각 무선 수신기(70)는, 상업 시설의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각 공조 실내 유닛(20)에 배치되어 있다. 1대의 공조 실내 유닛(20)에는, 1대의 무선 수신기(70)와 함께 1대의 실내기(30)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공조 실내 유닛(20)은, 공조용 전원선(90)에 접속되어 있어, 공조용 전원선(9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또한, 공조용 전원선(90)은, 무선 수신기(70)에의 전력의 공급도 행하고 있어, 측위 시스템(10)과 공기 조화 장치(50)에서 공용되고 있다.
각 무선 수신기(70)는, 예를 들어 Wi-Fi 등의 규격에 준거한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Bluetooth(등록 상표) 등의 규격에 준거한 무선 PAN(Personal Area Network)에 사용되어,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의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를 포함하는 복수의 무선 발신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각 무선 수신기(70)가 대응 가능한 무선 발신 단말기 개수를 2개보다도 많이 설정할 수 있지만, 이하,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복수의 무선 발신 단말기를 대표해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각 무선 수신기(70)는, 수신 데이터를 수신한 수신 시각,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를 식별하기 위한 단말기 ID(HYPERLINK "javascript:void(0);" identification data) 및 당해 수신 데이터에 관한 무선 통신의 전파 강도를 검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무선 수신기(70)는, 데이터 전송 라인(52)을 통해서, 내부에 보유하고 있는 자신의 수신기 ID와 함께, 수신 시각, 단말기 ID, 통신 내용 및 전파 강도를 포함하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수신 데이터의 송신이 가능하다. 또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단말기 ID는 α,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의 단말기 ID는 β이다.
각 무선 수신기(70)는, 기준 강도 기억부(71)를 갖고 있다. 기준 강도 기억부(71)에는, 각 단말기 ID에 대응한 기준 강도가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각 무선 수신기(70)는, 수신 데이터를 송신해 온 전파의 전파 강도가 기준 강도보다도 낮은 경우에는, 수신 데이터의 송신을 중지한다.
(2-2) 관리 컴퓨터(60)
관리 컴퓨터(60)는, 데이터 전송 라인(52)을 통해서, 각 무선 수신기(70)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부(61)와, 예를 들어 키보드의 문자 신호 등의 관리 컴퓨터(60)의 내부에서 처리 가능한 입력 신호를 관리 컴퓨터(60)의 외부로부터 내부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62)와, 관리 컴퓨터(60)의 외부에 대하여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63)와, 관리 컴퓨터(60)에 대하여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라인(52) 및 입력부(62)로부터 부여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64)와,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라인(52) 및 입력부(62)로부터 부여된 데이터 및 기억부(64)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65)를 구비하고 있다.
(2-2-1) 기억부(64)
기억부(64)는, 복수의 무선 수신기(70)가 배치되어 있는 옥내 공간의 맵 데이터를 기억하는 맵 데이터 기억 영역(64a)과, 각 무선 수신기(7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수신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수신 데이터 기억 영역(64b)과, 기준 강도를 기억하는 기준 강도 기억 영역(64c)과, 기준 강도의 결정에 사용되는 기준 강도 결정용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준 강도 결정용 데이터 기억 영역(64d)과, 위치 추정에 사용하는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기억하는 위치 추정용 데이터 기억 영역(64e)과, 위치 데이터 기억 영역(64f)을 갖는다.
(2-2-2) 처리부(65)
처리부(65)는, CPU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처리부(65)의 CPU는, 기억부(64)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 위치 추정부(66)로서 기능한다. 위치 추정부(66)에는, 판정 기간·운용 기간 전환부(66a), 기준 강도 결정부(66b) 및 위치 추정용 데이터 추출부(66c)가 포함되어 있다.
위치 추정부(66)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위치 추정용 데이터 기억 영역(64e)으로부터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 및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판독하고, 맵 데이터 기억 영역(64a)에 기억되어 있는 맵 데이터로부터 각 무선 수신기(70)의 위치를 특정해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와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의 위치를 추정한다. 위치 추정부(66)는, 동일 시각에 복수의 무선 수신기(70)에서 검출된 전파 강도가 각각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로부터의 전파 거리에 따라 감쇠하고 있다는 특성을 사용해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위치의 추정을 행한다. 마찬가지로 해서, 위치 추정부(66)는,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의 위치의 추정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추정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위치와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의 위치에 관한 위치 데이터를, 위치 추정부(66)는, 기억부(64)에 명하여, 위치 데이터 기억 영역(64f)에 기억시킨다.
판정 기간·운용 기간 전환부(66a)는, 판정 기간과 운용 기간의 전환을 행한다.
기준 강도 결정부(66b)는, 판정 기간·운용 기간 전환부(66a)가 판정 기간으로 전환했을 때,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제1 기준 강도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의 제2 기준 강도를 결정한다. 기준 강도 결정부(66b)는, 판정 기간에 얻어진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전파 강도에 기초하여 제1 기준 강도를 결정하고, 판정 기간에 얻어진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의 전파 강도에 기초하여 제2 기준 강도를 결정한다. 이 판정 기간에 있어서는, 역치로서의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의 적용은 없고, 모든 무선 수신기(70)가 검출하는 전파 강도가 기준 강도 결정을 위해서, 기준 강도 결정부(66b)에 의해 수집된다. 수집된 시각, 수신기 ID, 단말기 ID 및 전파 강도를 포함하는 기준 강도 결정용 데이터를, 기준 강도 결정부(66b)는, 기억부(64)에 명하여, 기준 강도 결정용 데이터 기억 영역(64d)에 기억시킨다. 예를 들어, 판정 기간의 각 시각에 얻어지는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전파 강도의 최댓값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의 전파 강도의 최댓값에 각각 통계적 방법이 적용되어,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가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전파 강도의 최댓값의 평균값이 -40dBm으로 산출되면, 그것보다도 10dBm(소정값의 일례)만큼 작은 -50dBm이 제1 기준 강도로서 결정된다. 통계량으로서는, 평균값 이외의 통계량, 예를 들어 중앙값 및 최빈값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시계열의 전파 강도의 데이터에 대하여 통계적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시각의 전체 무선 수신기(70)의 전파 강도의 데이터에 대하여 통계적 방법을 적용해서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가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등간격으로 직선 상에 배열된 배치 위치(PI, PII, PIII)의 중앙의 배치 위치(PII)에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가 배치되면, 장해물 등에 의한 감쇠나 반사 등이 없으면,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배치 위치(PI, PIII)에서는 동일 정도의 전파의 감쇠가 나타난다. 따라서, 실제로 따로따로 이동하고 있는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의 각 위치에서, 기준 라인(Ln0)과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전파 강도의 라인(Ln1)과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의 전파 강도의 라인(Ln2)을 통계적인 방법에 의해 구하고, 기준 라인(Ln0)으로부터 라인(Ln1, Ln2)의 괴리의 크기를 산출해서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를 결정해도 된다.
기준 강도 결정부(66b)는, 판정 기간 종료 시에, 기억부(64)에 명하여, 결정한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를 기준 강도 기억 영역(64c)에 기억시킨다. 또한, 기준 강도 결정부(66b)는, 통신부(61)에 명하여,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를 모든 무선 수신기(70)의 기준 강도 기억부(71)에 전송한다. 그리고, 모든 무선 수신기(70)는, 관리 컴퓨터(60)의 명령에 따라서 기준 강도 기억부(71)에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를 기억하고,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를 역치로 해서 위치 추정용 데이터의 전송을 행한다.
위치 추정용 데이터 추출부(66c)는, 판정 기간·운용 기간 전환부(66a)가 운용 기간으로 전환했을 때, 수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시각, 수신기 ID, 단말기 ID 및 전파 강도를 위치 추정용 데이터로서 추출한다. 위치 추정용 데이터 추출부(66c)는, 추출한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단말기 ID에 의해 분류하고, 기억부(64)에 명하여,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를 위한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와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를 위한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위치 추정용 데이터 기억 영역(64e)에 기억시킨다.
(3) 맵 데이터
여기에서는, 옥내 공간으로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서점 내의 공간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하나의 점포 내에 관한 예를 설명하지만, 옥내 공간이 쇼핑몰 등의 시설과 같은 것이어도 된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서점(200)에는, 출입구(201, 202)가 2군데 설치되어 있다. 서점(200)의 내부에는, 복수의 책장(203)과 통로(204)가 설치되어 있고, 다양한 장르의 서적이 전시되어 있다. 또한, 서점(200)에는, 정산을 위한 카운터(20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통로(204) 위의 천장에는 배치 위치(P1 내지 P20)에 20대의 무선 수신기(70)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서적이 상품의 예이며, 책장(203)이 상품 선반의 예가 된다.
예를 들어, 출입구(201)를 기점으로 해서, 북쪽으로 X 미터, 동쪽으로 Y 미터와 같이 좌표로, 서점(200)의 복수의 책장(203), 복수의 통로(204), 카운터(205) 및 복수의 무선 수신기(70)의 배치 위치가 맵 데이터로서, 맵 데이터 기억 영역(64a)에 기억되어 있다.
(4) 측위 시스템(10)의 운용 기간의 동작
도 6은,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를 사용한 운용 기간의 데이터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에서, 곡선(Ln3)은,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가 위치(P3)에 있을 때의 거리와 전파 강도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곡선(Ln4)은,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가 위치(P3)에 있을 때의 거리와 전파 강도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직선(SH1)은, 모든 무선 수신기(70)에 설정된 제1 기준 강도를 나타내고 있고, 직선(SH2)은, 모든 무선 수신기(70)에 설정된 제2 기준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원 내의 알파벳은, 수신기 ID이다.
배치 위치(P2, P3, P4)에 배치되어 있는 무선 수신기(70)에서는, 제1 기준 강도 이상의 전파 강도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로부터의 전파가 수신되고 있다. 그러나, 배치 위치(P1)에 배치되어 있는 무선 수신기(70)에서는, 제1 기준 강도보다 작은 전파 강도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로부터의 전파가 수신되고 있다. 그 때문에, 수신기 ID가 B, C, D인 무선 수신기(70)로부터는, 관리 컴퓨터(60)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 라인(52)을 사용해서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가 포함된 수신 데이터가 전송되고, 수신기 ID가 A인 무선 수신기(70)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의 전송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그 결과, 수신기 ID가 A인 무선 수신기(70)로부터의 데이터 전송량이 삭감된다. 도 6에는, 4대밖에 무선 수신기(70)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0대의 무선 수신기(70)가 설치되어 있는 옥내 공간에서는, 예를 들어 17대분의 데이터 전송량의 삭감이 행하여지는 경우도 있다.
마찬가지로, 배치 위치(P2, P3, P4)에 배치되어 있는 무선 수신기(70)에서는, 제2 기준 강도 이상의 전파 강도로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로부터의 전파가 수신되고 있다. 그러나, 배치 위치(P1)에 배치되어 있는 무선 수신기(70)에서는, 제2 기준 강도보다 작은 전파 강도로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로부터의 전파가 수신되고 있다. 그 때문에, 수신기 ID가 B, C, D인 무선 수신기(70)로부터는, 관리 컴퓨터(60)에 대하여 데이터 전송 라인(52)을 사용해서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가 포함된 수신 데이터가 전송되고, 수신기 ID가 A인 무선 수신기(70)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의 전송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만일 역치가 1종류밖에 없고, 제2 기준 강도가 제1 기준 강도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신기 ID가 B, C, D인 무선 수신기(70)로부터도 관리 컴퓨터(60)에는,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가 포함된 수신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게 된다. 반대로, 제1 기준 강도가 제2 기준 강도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신기 ID가 A인 무선 수신기(70)나 다른 다수의 무선 수신기(70)로부터도 수신 데이터의 전송이 행하여져, 데이터 전송량의 증가를 초래해버리게 된다.
(5) 전파 강도의 돌발적인 변동에의 대응
도 7 및 도 8을 사용해서 전파 강도가 돌발적으로 변동된 경우의 대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곡선(Ln5)은, 예를 들어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가 위치(P12)에 있을 때의 시각(T10)의 전파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곡선(Ln5)으로 도시되어 있는 상태일 때는, 수신기 ID가 H, L, P인 무선 수신기(70)로부터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가 전송되어 오고 있다. 이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가, 예를 들어 단말기 보유자의 가방 속에 넣어지는 등에 기인해서 급격하게 전파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곡선(Ln6)은, 동일 위치(P12)에 있으면서 시각(T11)에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전파 강도가 저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곡선(Ln6)으로 도시되어 있는 전파 강도로 저하된 경우, 최초의 판정 기간(스텝 ST1)에 설정된 제1 기준 강도를 나타내는 직선(SH3)보다도 곡선(Ln6) 전체가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운용 기간에 들어 있는 상태(스텝 ST3)임에도 불구하고, 수신기 ID가 D, H, L, P, T의 어느 무선 수신기(70)로부터도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게 되어버린다.
따라서, 미리 정해진 유예 기간이 지나도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로부터 제1 기준 강도 이상의 전파로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관리 컴퓨터(60)의 판정 기간·운용 기간 전환부(66a)는, 단말기 ID가 α인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에 돌발적인 전파 강도의 변동이 발생했다고 판단하고(스텝 ST4),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에 대해서는 운용 기간에서 판정 기간으로 전환한다.
이러한 전환이 행하여지면, 이미 설정되어 있던 제1 기준 강도에 관계없이,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전파의 수신이 행하여지므로, 판정 기간(스텝 ST1)으로 이행한 후에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수신기 ID가 D, H, L, P, T인 무선 수신기(70) 모두로부터 관리 컴퓨터(60)에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로부터 수신한 전파에 관한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가 송신된다. 그 후, 관리 컴퓨터(60)가 처리를 행하고, 스텝 ST1부터 스텝 ST2를 거쳐서 스텝 ST3에 이르렀을 때는, 곡선(Ln6)에 적합한 새로운 제1 기준 강도가 설정되어 있다. 새롭게 설정된 제1 기준 강도는, 직선(SH3)의 값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그 결과, 곡선(Ln6)과 같은 전파 강도의 경우에도, 돌발적인 변동이 발생하기 전과 마찬가지로, 수신기 ID가 H, L, P인 무선 수신기(70)로부터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가 전송되어 오게 된다.
(6) 무선 수신기에의 기준 강도 데이터의 전송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관리 컴퓨터(60)에서 결정된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의 전송 방법에 대해, 도 9 내지 도 11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설명은, 도 9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관리 컴퓨터(60)에서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를 결정한 후에는, 도 8의 운용 기간으로 이행하기 전(스텝 ST2에서 스텝 ST3으로 진행하기 전)에, 관리 컴퓨터(60)로부터 모든 무선 수신기(70)에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가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의 단말기 ID와 함께 전송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기준 강도 데이터의 전송 방법에서는, 도 5에 도시된 서점(200)과 같이 옥내 공간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서점(200) 내의 어느 무선 수신기(70)도,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의 근방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적절한 데이터 전송 방법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쇼핑몰 등과 같이 옥내 공간이 넓고, 무선 발신 단말기 대수가 많아진 경우에는, 일괄해서 모든 무선 수신기(70)에 전송하려고 하면 데이터 전송량이 방대해지고, 또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나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와 관계될 가능성이 작은 무선 수신기(70)에까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가까이에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가 와서 전파를 수신했을 때, 무선 수신기(70)로부터 관리 컴퓨터(60)에 문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관리 컴퓨터(60)는, 문의가 있는 무선 수신기(70)에 대해서만, 또는 그 무선 수신기(70)가 속하는 이웃의 그룹의 복수의 무선 수신기(70)에 대하여, 제1 기준 강도를 전송한다. 이렇게 구성한 경우에는, 문의가 없는 무선 수신기(70) 또는 문의가 없는 그룹의 무선 수신기(70)에 대한 데이터의 전송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전송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문의 횟수를 부주의하게 증가시키지 않기 위해서, 과거의 소정 시간 내에 수신한 적이 없는 단말기 ID를 갖는 것에 대해서 문의한다든가, 전회 문의 후에 소정 시간 경과하고 나서 문의한다든가, 유효 기간을 마련해서 유효 기간이 지난 경우에 문의하는 등의 문의 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모든 무선 발신 단말기에 대하여 기준 강도를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비교적 높은 디폴트 값을 기준 강도로서 설정해 두고,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높은 전파 강도의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에 대해서는, 관리 컴퓨터(60)에 문의하지 않고 디폴트 값을 제1 기준 강도로서 사용하고, 전파 강도가 역치보다 낮은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에 대해서는 관리 컴퓨터(60)에 문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높은 전파 강도를 갖는 것에 대해서는 기준 강도를 무선 수신기(70)에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을 생략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7) 측위 시스템의 개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기 ID가 상이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와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제1 기준 강도와 제2 기준 강도를 복수의 무선 수신기(70)의 기준 강도 기억부(71)가 기억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관리 컴퓨터(60)가 제1 기준 강도와 제2 기준 강도를 기준 강도 기억 영역(64c)에 기억하고, 무선 수신기(70)의 기준 강도 기억부(71)는, 제1 기준 강도와 제2 기준 강도의 사이의 역치를 공통 기준 강도로서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무선 수신기(70)는, 공통 기준 강도보다도 높은 전파 강도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밖에 전송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데이터의 필터링을 행하고, 관리 컴퓨터(60)는,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보다도 각각 높은 전파 강도를 포함하는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 및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밖에 위치 추정의 계산에 사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계산 부하의 경감을 도모하고 있다.
도 12는, 운용 기간에서의 공통 기준 강도를 사용한 데이터 전송과 관리 컴퓨터(60)에서의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를 사용한 데이터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의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 및 그것들이 발신하는 전파의 상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와 마찬가지 것으로 해서 설명을 행한다.
수신기 ID가 A, B인 무선 수신기(70)가 받는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의 전파의 전파 강도는, 공통 기준 강도를 나타내는 직선(SHC)보다도 작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의 상황에 비해, 유익한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수신기(70)의 수가 감소되지만, 도 12에 도시한 제2 실시 형태의 상황에서도, 수신기 ID가 C, D인 무선 수신기(70)로부터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의 전송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에 대해서는, 도 6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의 상황에 비해 도 12에 도시된 제2 실시 형태의 상황이,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 수신기(70)의 대수가 더 증가하고 있다. 증가한 것은 수신기 ID가 A인 무선 수신기(70)이므로, 불필요한 데이터의 통신량의 증가가 있었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측위 시스템(10)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그것에 비해, 유용한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의 전송이 줄어들고, 불필요한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의 전송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제2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제1 기준 용도 및 제2 기준 강도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 컴퓨터(60)와 복수의 무선 수신기(70)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것을 생략함으로써, 데이터 전송량의 삭감 효과가 있다.
그런데, 복수의 무선 수신기(70)로부터 전송되어 온 위치 추정용 데이터에 대하여, 관리 컴퓨터(60)의 위치 추정용 데이터 추출부(66c)는,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에 기초한 필터링을 행한다. 그 결과,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에 대해서, 수신기 ID가 A인 무선 수신기(7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위치 추정에는 사용되지 않고, 관리 컴퓨터(60)에 있어서의 위치 추정을 위한 계산 부하는 경감된다.
또한,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의 산출에 대해서는, 제2 실시 형태에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판정 기간에 동일한 방법을 사용해서 행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
(8) 측위 시스템의 개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로부터 수신한 전파의 전파 강도가 서로 다른 것이라도, 각각의 전파 강도의 크기에 적합한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를 설정함으로써, 위치 추정을 위한 계산 부하의 경감을 도모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제1 실시 형태에서도 제2 실시 형태에서도, 모든 무선 수신기(70)의 수신 데이터에 대하여,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 등 역치로 선별하고,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 및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로서 사용하는 것을 일부의 무선 수신기(70)로부터 얻어지는 수신 데이터만을 선별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에 반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수신 데이터를 위치 추정용으로서 접수하는 대상은, 모든 무선 수신기(70A) 중에서 평면적인 지역의 범위 지정을 함으로써 선별된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서의 범위 설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운용 기간에 있어서의 피크 강도를 사용한 데이터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또한, 도 15는, 제3 실시 형태의 측위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에서, 도 2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심볼(401)은,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로부터 수신된 전파의 전파 강도가 가장 높았던 장소를 나타내고 있고, 심볼(402)은,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로부터 수신된 전파의 전파 강도가 가장 높았던 장소를 나타내고 있다. 그에 반해, 심볼(401)의 주위의 제1 에어리어(Ar1)가,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수집하는 무선 수신기(70)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이며, 심볼(402)의 주위의 제2 에어리어(Ar2)가,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수집하는 무선 수신기(70)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이다. 이 에어리어의 설정은, 예를 들어 도 5를 사용해서 설명한 맵 데이터 상에서, 중심이 되는 무선 수신기(70A)로부터의 거리 또는 좌표로 한정하거나, 중심이 되는 무선 수신기(70)에 인접하는 무선 수신기(70A)와 같은 조건으로 한정하거나 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심볼(401, 402)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판정 기간에,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최대의 전파 강도의 무선 수신기(70A)를 특정하기 위한 역치인 피크 강도(SHP1, SHP2)를 설정한다. 피크 강도(SHP1, SHP2)의 설정은,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를 설정한 것과 마찬가지 방법을 사용해서, 각각의 값을 피크의 특정에 적합하도록 상이하게 하는 것만으로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여기서는, 피크 강도(SHP1, SHP2)의 설정 방법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피크 강도는,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각 무선 수신기(70A)의 기억부(64A)의 피크 강도 기억부(72)에 기억된다.
도 14의 경우에는, 수신기 ID가 C인 무선 수신기(70A)의 근방에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가 존재하고 있는 것은, 피크 강도 기억부(72)를 사용해서 무선 수신기(70A) 자신이 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에어리어(Ar1) 및 제2 에어리어(Ar2)의 설정 조건이 최대의 전파 강도의 무선 수신기(70A)에 인접하는 무선 수신기(70A)까지라면, 제1 에어리어(Ar1) 및 제2 에어리어(Ar2)는, 도 14의 경우에는, 수신기 ID가 B, D인 무선 수신기(70A)까지의 범위가 수신 데이터를 전송해야 할 무선 수신기(70A)가 존재하고 있는 영역이 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무선 수신기(70A)가 데이터 전송 라인(52)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수신기 ID가 C인 무선 수신기(70A)에 의해, 수신기 ID가 B, D인 무선 수신기(70A)에 수신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명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도 14에서는, 인접하는 무선 수신기(70A)는, 수신기 ID가 B, D인 2대뿐이었지만,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무선 수신기(70A)가 배치 위치(P1 내지 P20)까지 평면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쪽 이웃, 서쪽 이웃, 북쪽 이웃 및 남쪽 이웃의 4대를 포함하는 평면적인 범위를 제1 에어리어(Ar1) 및 제2 에어리어(Ar2)로 할 수 있다. 나아가, 북동쪽 이웃, 남동쪽 이웃, 북서쪽 이웃 및 남서쪽 이웃의 4대를 추가한 직사각형의 평면적인 공간을 제1 에어리어(Ar1) 및 제2 에어리어(Ar2)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의 좌표 X3, Y3에 인접하는 X3, Y2가 북쪽 이웃에 대응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제3 실시 형태의 측위 시스템(10A)이 제1 실시 형태의 측위 시스템(10)과 상이한 점은, 무선 수신기(70A)가 기준 강도 기억부(71) 대신에 피크 강도 기억부(72)를 구비하고 있는 점, 및 관리 컴퓨터(60A)가 기준 강도 기억 영역(64c) 대신에 피크 강도 기억 영역(64g)을 구비함과 함께, 기준 강도 결정부(66b) 대신에 피크 강도 결정부(66d)를 구비하고 있는 점이다. 이들 기능은,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의 결정과 기억 대신에,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를 위한 각 피크 강도의 결정과 기억이 될 뿐이다.
제3 실시 형태의 측위 시스템(10A)은, 제1 실시 형태의 측위 시스템(10)에 비해, 전파 강도에 관계없이 제1 에어리어(Ar1) 및 제2 에어리어(Ar2) 내의 무선 수신기(70A)의 대수가 결정되므로, 일정한 통신량의 삭감 효과를 예상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컴퓨터(60)의 측에서도, 위치 추정부(66)가 행하는 위치 추정의 계산 대상으로부터 제1 에어리어(Ar1) 및 제2 에어리어(Ar2)의 외측에 있는 무선 수신기(70A)를 제외할 수 있어, 계산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설명해 두는데, 위치 추정부(66)가 행하는 위치 추정은, 수신기 ID가 C인 무선 수신기(70A)의 근방에 존재한다고 하는 정밀도가 낮은 것이 아니라, 수신기 ID가 C인 무선 수신기(70A)와 그 주변의 무선 수신기(70A)의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사용해서 행하여지는 정밀도가 높은 것이다.
또한, 제1 에어리어(Ar1) 및 제2 에어리어(Ar2)의 설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수신기(70A)가 행해도 되고, 또한 관리 컴퓨터(60A)의 위치 추정부(66A)가 행해도 된다.
(9) 특징
(9-1)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관리 컴퓨터(60, 60A)의 위치 추정부(66)는,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 및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사용해서, 복수의 무선 수신기(70, 70A)의 배치 위치에 기초하여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의 위치를 각각 추정하는데, 제1 기준 강도(직선(SH1)으로 나타낸 값) 또는 제1 에어리어(Ar1)로 부여되는 범위가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제1 설정 영역이며, 제2 기준 강도(직선(SH2)으로 나타낸 값) 또는 제2 에어리어(Ar2)로 부여되는 범위가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제2 설정 영역이다. 이와 같이,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 및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취득하는 범위로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에 적합한 제1 설정 영역과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에 적합한 제2 설정 영역이 구별해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의 측위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측위 시스템(10, 10A)의 관리 컴퓨터(60, 60A) 및 무선 수신기(70, 70A) 중 적어도 한쪽은, 제1 설정 영역과 제2 설정 영역에 의해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를 위한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 및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각각 적절하게 좁혀 갈 수 있다. 그 결과, 무선 발신 단말기수의 증가에 수반하는 데이터량의 증가가 억제되어, 계산 부하가 경감된다.
(9-2) 일반적으로는,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와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의 전파 강도가 상이한 경우에, 전파 강도가 높은 쪽에 적합한 기준 강도로 공통으로 설정하면 낮은 쪽의 측위 정밀도가 나빠지고, 낮은 쪽에 적합한 기준 강도로 공통으로 설정하면 높은 쪽의 데이터량의 증가에 의해 계산 부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그에 반해, 측위 시스템(10)에서는, 제1 설정 영역을 전파 강도가 제1 기준 강도 이상인 범위로 설정하고, 제2 설정 영역을 전파 강도가 제2 기준 강도 이상인 범위로 설정하여,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와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 각각에 적합한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를 설정함으로써, 계산 부하의 감소와 측위 정밀도의 저하 억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9-3) 예를 들어 도 8을 사용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텝 ST4와 같은 돌발적인 변동의 발생을 고려해서,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를 동적으로 변경하므로, 예를 들어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나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를 가방에 넣는 등의 상황의 변화에 따라,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와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의 전파 강도의 변화에 대하여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측위 정밀도가 안정된다.
(9-4) 관리 컴퓨터(60, 60A)는, 판정 기간·운용 기간 전환부(66a)를 구비하고 있고, 도 8을 사용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운용 기간 앞에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를 설정하기 위한 판정 기간이 설정되어 있다. 그 결과,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를 고정밀도로 설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가 고정밀도로 설정됨으로써, 데이터량의 증가가 억제된다.
(9-5) 측위 시스템(10A)은, 제1 설정 영역 및 제2 설정 영역을 복수의 무선 수신기(70A) 중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로부터 수신하는 전파의 전파 강도가 가장 강한 것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 도 13의 예에서는 제1 에어리어(Ar1) 및 제2 에어리어(Ar2)로 각각 설정하므로, 이들 지역의 외측 에어리어의 무선 수신기(70A)의 데이터를 버리게 되는데, 원거리의 전파 강도가 약한 통신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아도 측정 정밀도의 저하가 적은 한편, 전파 강도가 약한 통신 데이터를 대폭 생략해서 계산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의 전파 강도가 변동했을 때,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를 측위 시스템(10A)이 놓치기 어려워져, 측위 시스템(10A)은, 전파 강도의 변동에 대하여 높은 적응성을 가질 수 있다.
(9-6) 측위 시스템(10, 10A)에서는, 제1 설정 영역 및 제2 설정 영역이 설정되는 시점이,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가 검출된 후이므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의 검출이, 제1 설정 영역 및 제2 설정 영역의 설정 때문에 방해받지 않으므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의 검출의 확실성이 향상된다. 예를 들어, 미리 전파 강도에 대하여 역치가 설정된 상태에서는,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 중 적어도 한쪽의 전파 강도가 역치 이하인 경우에는, 그 전파 강도가 역치 이하인 것이 검출되지 않게 되어버리지만, 측위 시스템(10, 10A)의 경우에는, 판정 기간에 있어서 역치를 마련하지 않으므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가 검출되지 않는다는 사태를 피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시스템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9-7)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무선 수신기(70)의 기준 강도 기억부(71)에는 미리 공통 기준 강도가 설정되어 있고, 위치 추정부(66)는, 무선 수신기(70)에 역치인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를 설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무선 수신기(70)에 대한 조작을 간소화하기 쉬워진다.
(9-8) 복수의 무선 수신기(70, 70A) 중 한정된 것만을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 및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위치 추정부(66, 66A)에 전송하므로, 복수의 무선 수신기(70, 70A)로부터 위치 추정부(66, 66A)에, 위치 추정에 불필요한 수신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측위 시스템(10, 10A)의 통신 부하가 저감된다.
(9-9) 위치 추정부(66, 66A)는, 복수의 무선 수신기(70, 70A) 중 적어도 2개의 제1 무선 수신기와 제2 무선 수신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복수 시각의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 및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사용해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의 위치를 각각 추정하므로, 제1 무선 수신기와 제2 무선 수신기를 연결하는 직선을 따른 움직임의 추정을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통로와 같이 직선 상에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 및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적은 계산 부하로 충분한 위치의 추정이 가능해진다.
<제4 실시 형태>
(10) 측위 시스템의 개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측위 시스템에 대해서, 도 16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의 측위 시스템의 구성에는, 상술한 측위 시스템(10) 또는 측위 시스템(10A)의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에서, 복수의 무선 수신기(70, 70A)는, 옥내 공간에 대하여 배치되고, 무선 발신 단말기(101)로부터 수신하는 전파의 전파 강도를 검지하여, 전파 강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를 생성한다. 위치 추정부(66, 66A)는, 복수의 무선 수신기(70, 70A)가 생성 가능한 수신 데이터 중 설정 역치 이상의 전파 강도의 수신 데이터를 위치 추정용 데이터로서 사용해서, 복수의 무선 수신기(70, 70A)의 배치 위치에 기초하여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위치를 추정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측위 시스템(10, 10A)은, 위치 추정부(66, 66A) 및 복수의 무선 수신기(70, 70A) 중 적어도 한쪽은, 수신 데이터가 설정 역치에 관한 재판정 조건을 충족할 때는, 무선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전파의 전파 강도를 판정해서 설정 역치를 재설정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제4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는 설정 역치는,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기준 강도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강도를 설정 역치와 마찬가지로 다루어서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재설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기준 강도를 설정 역치와 마찬가지로 다루어서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설정 역치는, 상기 각 실시 형태의 피크 강도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피크 강도를 설정 역치와 마찬가지로 취급해서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재설정할 수 있다.
(11) 측위 시스템의 설정 역치의 재설정
(11-1) 재설정의 기본적인 동작
이어서, 도 17을 사용하여, 측위 시스템(10, 10A)의 동작 중 역치의 결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측위 시스템(10)을 예로 들어서 설정 역치의 결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을 사용해서 설정 역치의 결정 방법의 제1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위치 추정부(66)는, 역치로서, 디폴트 값을 취득한다(스텝 ST11). 디폴트 값은, 예를 들어 기억부(64)에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화살표 AW1로 나타내고 있는 방향, 즉 관리 컴퓨터(60)로부터 복수의 무선 수신기(70)에, 디폴트 값이 설정 역치로서 송신된다.
관리 컴퓨터(60)에는, 화살표 AW2로 나타내고 있는 방향, 즉 복수의 무선 수신기(70)로부터, 설정 역치 이상의 전파 강도로 수신된 수신 데이터가 송신된다. 관리 컴퓨터(60)에 송신되어 온 수신 데이터는, 수신 데이터 기억 영역(64b)에 기억된다(스텝 ST12). 위치 추정부(66)는, 수신 데이터 기억 영역(64b)의 수신 데이터를 감시하고 있으며, 새롭게 기억된 수신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T13).
위치 추정부(66)는, 새롭게 기억된 수신 데이터가 있으면(스텝 ST13의 「예」의 루트), 수신 데이터 기억 영역(64b)으로부터 판독해서(스텝 ST14), 새롭게 기억된 수신 데이터를 사용하여, 재판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15). 재판정 조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위치 추정부(66)는, 새롭게 기억된 수신 데이터가 없으면(스텝 ST13의 「아니오」의 루트), 새롭게 기억된 수신 데이터가 없는 것을 전제로 해서, 그때까지의 상황으로부터 재판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T15).
재판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는(스텝 ST15의 「예」의 루트), 위치 추정부(66)는, 설정 역치의 후보 값(TMP)으로서, 역치를 재계산한다(스텝 ST16). 역치의 재계산 방법에는, 예를 들어 상술한 제1 기준 강도 및 제2 기준 강도의 산출과 마찬가지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단, 스텝 ST13의 「아니오」의 루트를 지난 경우에는, 설정 역치의 후보 값(TMP)의 값이 0으로 되어, 디폴트 값의 값보다도 후보 값(TMP)의 값이 작아진다.
이어서, 위치 추정부(66)는, 설정 역치의 후보 값(TMP)과 디폴트 값을 비교해서(스텝 ST17), 설정 역치의 후보 값(TMP)이 디폴트 값 이상이라면(스텝 ST17의 「예」의 루트), 설치 역치를 후보 값(TMP)으로 변경한다(스텝 ST18). 그러나, 위치 추정부(66)는, 설정 역치의 후보 값(TMP)과 디폴트 값을 비교해서(스텝 ST17), 설정 역치의 후보 값(TMP)이 디폴트 값보다도 작으면(스텝 ST17의 「아니오」의 루트), 설치 역치를 디폴트 값으로 변경한다(스텝 ST19).
(11-1-1) 역치 조정의 개시
무선 발신 단말기(101)가 옥내에 들어가서,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전파 강도가 강해질 때까지는, 설정 역치가 디폴트 값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스텝 ST12에서의 수신 데이터 기억 영역(64b)에의 수신 데이터의 새로운 기억이 발생하지 않고, 스텝 ST13의 「아니오」의 루트를 지나서, 스텝 ST15의 「예」의 루트를 스텝 ST19까지 진행해서 다시 스텝 ST12로 복귀되거나, 또는 스텝 ST15의 「아니오」의 루트로부터 스텝 ST12로 복귀되는 루프의 동작을 반복해서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전파 강도가 강해질 때까지 대기하고 있다. 이러한 대기 상태에서는,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설치 역치가 디폴트 값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무선 발신 단말기(101)에 대해서, 무선 수신기(70, 70A)로부터 관리 컴퓨터(60, 60A)에의 불필요한 수신 데이터의 송신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발신 단말기(101)가 옥내에 들어가서,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전파 강도가 강해지면, 스텝 ST12에서의 수신 데이터 기억 영역(64b)에의 수신 데이터의 새로운 기억이 발생한다. 그렇게 하면, 스텝 SST12→스텝 ST13→스텝 ST14→스텝 ST15→스텝 ST16→스텝 ST17→스텝 ST18→스텝 SST12의 루프를 반복해서 설정 역치가 적절한 값으로 유지된다.
(11-1-2) 역치 조정의 종료
예를 들어, 무선 발신 단말기(101)를 소지하고 있던 단말기 보유자가 옥외로 나와서 전파 강도가 약해지거나,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전원이 끊어지거나 해서, 무선 발신 단말기(101)를 위치 추정할 필요가 없어지거나, 무선 발신 단말기(101)를 위치 추정할 수 없게 되거나 하는 상황이 되면, 스텝 ST12에서의 수신 데이터 기억 영역(64b)에의 수신 데이터의 새로운 기억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렇게 하면, 스텝 SST12→스텝 ST13→스텝 ST15→스텝 ST16→스텝 ST17→스텝 ST19→스텝 SST12의 루프를 지나서 설정 역치가 디폴트 값으로 변경된다.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설정 역치를 디폴트 값으로 복귀시킴으로써, 무선 발신 단말기(101)에 대해서, 무선 수신기(70, 70A)로부터 관리 컴퓨터(60, 60A)에의 불필요한 수신 데이터의 송신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무선 발신 단말기(101)를 소지하고 있던 단말기 보유자가 옥외로 나왔지만 다시 옥내로 돌아가서 무선 발신 단말기(101)를 위치 추정할 필요가 발생하거나,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전원이 다시 온으로 되어 위치 추정할 수 있는 상황이 되거나 했을 때는, 스텝 ST12부터 스텝 ST18까지의 루트를 반복하여, 다시 무선 발신 단말기(101)에 관한 설정 역치를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11-2) 재판정 조건이 수신 전파 강도차인 경우
이어서, 도 18을 사용하여, 재판정 조건이 전파 강도차(DF)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8에서 도 17과 동일 부호가 첨부되어 있는 스텝은, 도 17에서 설명한 스텝과 마찬가지 조작이 행하여진다. 또한, 도 18의 스텝 ST22가 도 17의 스텝 ST15에 대응하고, 도 18의 스텝 ST24, ST25가 도 17의 스텝 ST16에 대응한다.
먼저, 위치 추정부(66)는, 역치로서, 디폴트 값을 취득하고(스텝 ST11), 전회 샘플링 횟수(P)와 금회 샘플링 횟수(C)와 전파 강도차(DF)(0, 0)를 0으로 설정한다. 각 샘플링 타이밍에서, 관리 컴퓨터(60)에 송신되어 온 수신 데이터는, 수신 데이터 기억 영역(64b)에 기억된다(스텝 ST12). 스타트 시점에서부터, 새로운 수신 데이터의 기억이 있을 때까지는, 스텝 ST13에서 「아니오」의 루트로 진행되어, 전회 P회째와 그 금회 C회째의 수신 데이터의 전파 강도차(DF)가 비교된다(스텝 ST22). 이 경우에는, 스텝 ST21에서 설정된 바와 같이, DF(0, 0)=0이기 때문에, 전파 강도차가 없다. 따라서, 스텝 ST23으로 진행되는데, C=0이므로, 스텝 ST23의 「예」의 루트로 진행된다. 그리고, 스텝 ST25에서 설정 역치로부터 상수 β를 설정 역치의 후보 값(TMP)을 산출한다. 이때, 설정 역치가 디폴트 값이기 때문에, TMP=(디폴트 값-β)가 된다. 그 결과, 스텝 ST17에서 스텝 ST19로 진행되어, 다시 설치 역치가 디폴트 값으로 설정된다. 스텝 ST26에서는 전회 P가 다시 0회째로 되어서 초기 상태가 유지된다.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전파 강도가 강해져서 위치 추정을 할 수 있게 되면, 스텝 ST12에서 수신 데이터 기억 영역(64b)의 수신 데이터가 새롭게 기억된다. 그리고, 스텝 ST13으로부터 스텝 ST14를 거쳐서 행하여지는 다음 스텝 ST22에서는, 전파 강도차(DF)가 양의 값으로 되어서 판정값 이상이 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때의 전파 강도차(DF)는, 수신 데이터 기억 영역(64b)으로부터 판독을 행한 샘플링 회를 금회 C회째로 한다.
예를 들어, 디폴트 값에 판정값을 더한 값을 수신 데이터 중의 가장 큰 전파 강도가 초과했을 때는, 스텝 ST24로 진행되어, 설정 역치의 계산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스텝 ST17로부터 스텝 ST18로 진행되고, 새로운 설정 역치는, 디폴트 값에 α를 더한 값이 된다. 그리고, 이 새로운 설정 역치로 변경된 금회 C회째가 다음 재설정의 판정 시의 전회 P회째가 되도록 데이터가 재기입된다(스텝 ST26). 하나의 구체예를 나타내면, 예를 들어 판정값이 20dbm이며, 전회 P회째에 복수의 무선 수신기(70, 70A)로부터 보내져 온 수신 데이터 중의 최대의 전파 강도가 -45dbm이며, 금회 C회째에 복수의 무선 수신기(70, 70A)로부터 보내져 온 수신 데이터 중의 최대의 전파 강도가 -20dbm이라고 하면, ((-20)-(-45))≥20이 되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 위치 추정부(66, 66A)는, 스텝 ST22로부터 스텝 ST24로 진행되는 동작 수순을 선택한다.
디폴트 값에 비해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전파 강도가 충분히 클 때는, 스텝 ST12→스텝 ST13→스텝 ST14→스텝 ST22→스텝 ST24→스텝 ST17→스텝 ST18→스텝 ST26→스텝 ST12의 루프를 복수회 반복해서 설정 역치가 적절한 크기의 값으로 설정된다.
이어서,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설정 역치가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디폴트 값보다도 어느 정도 큰 적절한 값으로 정해진 후의 상황을 생각한다. 예를 들어, 무선 발신 단말기(101)가 포켓 등에 넣어져서 전파 강도가 저하되었다고 하면, 스텝 ST22에서의 전파 강도차(DF)의 비교에서는, 전회 P회째의 전파 강도보다도 금회 C회째의 전파 강도가 더 작아지므로, DF(P, C)가 음의 값이 된다. 그리고, 전파 강도차(DF)(P, C)가 음이고, 그 절댓값이 판정값 이상인 경우(|DF(P, C)|≥판정값), 설정 역치의 후보 값(TMP)은, 현재의 설정 역치에서 β를 뺀 값이 산출된다(스텝 ST25). 이 후보 값(TMP)이 디폴트 값보다도 크면, 이 후보 값(TMP)이 새로운 설정 역치가 된다. 하나의 구체예를 나타내면, 예를 들어 판정값이 20dbm이며, 전회 P회째에 복수의 무선 수신기(70, 70A)로부터 보내져 온 수신 데이터 중의 최대의 전파 강도가 -20dbm이며, 금회 C회째에 복수의 무선 수신기(70, 70A)로부터 보내져 온 수신 데이터 중의 최대의 전파 강도가 -40dbm이라고 하면, |(-40)-(-20)|≥20이 되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 위치 추정부(66, 66A)는, 스텝 ST22로부터 스텝 ST24로 진행되는 동작 수순을 선택한다.
(11-3) 판정값의 설정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수신기(70, 70A)가 이산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무선 발신 단말기(101)가 송신하는 전파의 강도가 일정해도,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무선 발신 단말기(101)와 무선 수신기(70, 70A)와의 거리가 변화해서, 수신 데이터의 전파 강도가 변화한다. 이러한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단말기 보유자의 이동에 따라 변화하는 전파 강도의 변동폭을 고려하여, 판정값이 설정된다. 예를 들어, 위치 추정을 행하는 에어리어 내에서 송신 출력이 일정한 무선 발신 단말기를 이동시켜, 수신 데이터의 전파 강도의 변동폭을 구해 놓고, 그 변동폭보다도 큰 값으로 판정값을 설정한다. 이렇게 설정함으로써, 단말기 보유자가 이동하는 것에 기인해서 빈번히 재설정이 행하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2) 변형예
(12-1) 4A
상기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재판정 조건이 수신 전파 강도차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전파 강도의 변화율, 즉 수신 전파 하락율 및/또는 수신 전파 상승률을 재판정 조건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9에는, 전파 강도의 변화율을 재판정 조건으로 사용한 경우의 설정 역치의 재설정의 동작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변형예 4A가 제4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은, 스텝 ST31과 스텝 ST32의 동작이다. 스텝 ST31에서는, 제4 실시 형태의 스텝 ST21과 마찬가지로, 초기값의 설정을 행한다. 즉, C=P=0으로 설정하고, 초기의 전파 강도의 변화율인 CR(0, 0)을 0으로 설정한다.
스텝 ST31에서 비교하는 전파 강도의 변화율(CR)(P, C)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해서 구해진다. 샘플링 간격을 Δt, 전회 P회째의 전파 강도를 PW(P), 금회 C회째의 전파 강도를 PW(C)라 하면, CR(P, C)=(PW(C)-PW(P))/((C-P)×Δt)가 된다. 이 전파 강도의 변화율(CR)(P, C)이 양이고, 판정값 이상일 때는 스텝 ST24로 진행되고, 이 전파 강도의 변화율(CR)(P, C)이 음이고, 그 절댓값 |CR(P, C)|이 판정값 이상일 때는 스텝 ST25로 진행되고, 이 전파 강도의 변화율의 절댓값 |CR(P, C)|이 판정값보다 작을 때는 스텝 ST23으로 진행된다. 이 경우의 판정값도,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단말기 보유자가 이동함으로써 발생하는 변화율(CR)의 변동폭보다도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2) 4B
상기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전파 강도차(DF)를 직접 전파 강도의 차를 계산함으로써 구했지만, 전파 강도차를 다른 변수로 대체할 수도 있다. 전회 P회째와 금회 C회째의 전파 강도차가 크다는 것은, 예를 들어 전회의 액세스 포인트 수와 금회의 액세스 포인트 수의 차가 크다는 것으로 치환할 수 있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란, 수신 데이터를 송신해 온 무선 수신기(70, 70A)이며, 액세스 포인트 수란 수신 데이터를 송신해 온 무선 수신기(70, 70A)의 대수이다. 도 20에는, 액세스 포인트 수를 재판정 조건으로 사용한 경우의 설정 역치의 재설정의 동작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변형예 4B가 제4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은, 스텝 ST41과 스텝 ST42의 동작이다. 스텝 ST41에서는, 제4 실시 형태의 스텝 ST21과 마찬가지로, 초기값의 설정을 행한다. 즉, C=P=0으로 설정하고, 초기의 액세스 포인트 수인 AP(C), AP(P)를 0으로 설정한다.
스텝 ST41에서 비교하는 액세스 포인트 수의 변화는, AP(C)-AP(P)로 구해진다. 이 액세스 포인트 수의 변화(AP(C)-AP(P))가 양이고, 판정값 이상일 때는 스텝 ST24로 진행되고, 이 액세스 포인트 수의 변화(AP(C)-AP(P))가 음이고, 그 절댓값 |AP(C)-AP(P)|가 판정값 이상일 때는 스텝 ST25로 진행되고, 이 액세스 포인트 수의 변화의 절댓값 |AP(C)-AP(P)|가 판정값보다 작을 때는 스텝 ST23으로 진행된다. 예를 들어, 전회 P회째에는, 10대의 무선 수신기(70, 70A)로부터 관리 컴퓨터(60, 60A)에 수신 데이터가 보내져 오고 있었는데, 금회 C회째에는 6대의 무선 수신기(70, 70A)로부터밖에 관리 컴퓨터(60, 60A)에 수신 데이터가 보내져 오지 않게 되었다고 하자. 예를 들어 판정값이 3대 이상의 차라고 하면, 이 예에서는 (AP(C)-AP(P))=(10-6)≥3으로 되어, 설정 역치가 β만큼 인하된다(스텝 ST25). 이 경우의 판정값도,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단말기 보유자가 이동함으로써 발생하는 액세스 포인트 수(AP)의 변동폭보다도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3) 4C
상기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전파 강도차(DF)를 직접 전파 강도의 차를 계산함으로써 구했지만, 전회 P회째와 금회 C회째의 전파 강도차가 크다는 것은, 예를 들어 전회의 액세스 포인트의 배치 영역의 면적과 금회의 액세스 포인트의 배치 영역의 면적과의 차가 크다는 것으로 치환할 수 있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의 배치 영역의 면적이란, 수신 데이터를 송신해 온 무선 수신기(70, 70A)를 포함하는 영역의 면적이다. 예를 들어, 3300평방미터의 옥내에 200대의 무선 수신기(70, 70A)가 배치되어 있으면, 수신 데이터가 20대의 무선 수신기(70, 70A)로부터 송신되어 왔다고 하면, 약 330평방미터의 범위에 배치되어 있는 무선 수신기(70, 70)로부터 수신 데이터가 보내져 온 셈이 된다. 단, 무선 수신기(70, 70A)가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배치가 밀한 곳의 무선 수신기(70, 70A)에는 작은 면적을 할당하고, 배치가 성긴 곳의 무선 수신기(70, 70A)에는 큰 면적을 할당해 두어, 수신 데이터를 송신해 온 무선 수신기(70, 70A)에 할당되어 있는 면적을 합계하고, 그 합계 면적이 금회 C회째와 전회 P회째에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에 따라 재설정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변형예 4C가 변형예 4B와 상이한 점은, 스텝 ST41과 스텝 ST42의 동작이다. 스텝 ST41에서는, 변형예 4B의 스텝 ST41과 마찬가지로, 초기값의 설정을 행한다. 즉, C=P=0으로 설정하고, 초기의 합계 면적인 PD(C), PD(P)를 0으로 설정한다.
스텝 ST41에서 비교하는 합계 면적의 변화는, PD(C)-PD(P)로 구해진다. 이 합계 면적의 변화(PD(C)-PD(P))가 양이고, 판정값 이상일 때는 스텝 ST24로 진행되고, 이 합계 면적의 변화(PD(C)-PD(P))가 음이고, 그 절댓값 |PD(C)-PD(P)|가 판정값 이상일 때는 스텝 ST25로 진행되고, 이 합계 면적의 변화의 절댓값 |PD(C)-PD(P)|가 판정값보다 작을 때는 스텝 ST23으로 진행된다. 이 경우의 판정값도,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단말기 보유자가 이동함으로써 발생하는 합계 면적(PD)의 변동폭보다도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4) 4D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설정 역치를 재설정한 후 곧바로라도 재설정 조건이 충족되면 재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재설정을 위한 판정을 행하지 않는 유예 기간을, 설정 역치를 재설정한 후에 설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7의 스텝 ST15의 재설정 조건에, 전회 P회째와 금회 C회째의 사이의 샘플링 횟수가 m회 이상이라는 조건을 추가함으로써, 유예 기간을 설치할 수 있다. 또는, 전회 P회째와 금회 C회째의 수신 데이터의 송신 시각을 기억해 두고 수신 데이터의 송신 시각을 비교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렇게 구성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유예 기간을 TB 시간이라 하면, 금회 C회째의 수신 데이터의 송신 시각(TC)에서 전회 P회째의 수신 데이터의 송신 시각(TP)을 차감하여, 그것을 TB와 비교하도록 하면 된다. 이렇게 구성된 경우에는, TC-TP≥TB의 조건이 충족되면 재설정이 행하여지고, TC-TP<TB라면 항상 스텝 ST15의 「아니오」의 루트로 진행되어, 수신 데이터의 샘플링 간격이 균일하지 않은 경우라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예 기간은, 항상 설치해 두어도 되지만, 소정의 조건을 충족했을 때 유예 기간이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정 기간 내에 소정 횟수 이상 설치 역치의 재설정이 행하여졌을 때에만 유예 기간이 설치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하나의 구체예를 나타내면, 예를 들어 10분간(일정 기간의 예)에 설정 역치의 재설정이 3회 이상(소정 횟수의 예) 행하여졌을 때는, 15분간의 유예 기간을 설치한다는 설정이다.
(12-5) 4E
제4 실시 형태의 측위 시스템(10, 10A)에 대해서, 위치 추정부(66, 66A)가, 설정 역치를 재설정할 때, 재판정 기간을 설정해서 재판정 기간 앞에 무선 발신 단말기(101)가 존재하고 있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의 무선 수신기(70, 70A)에 대해서 설정 역치를 낮추거나, 또는 설정 역치의 설정을 해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3과 같은 좌표 X1 내지 X6과 좌표 Y1 내지 Y6으로 표현되는 36군데에 1대씩 무선 수신기(70, 70A)가 배치되어 있고, 전회 P회째의 수신 데이터의 전파 강도의 최댓값이 -30dbm이었던 것이, 금회 C회째의 수신 데이터의 전파 강도의 최댓값이 -50dbm으로 갑자기 떨어진 경우를 생각한다. 그리고, 측위 시스템(10, 10A)은, 예를 들어 금회 C회째의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위치를 좌표 X3, Y3의 위치로 특정하고 있었던 것으로 한다.
이렇게 수신 데이터의 전파 강도가 약해진 경우, 일시적으로 설정 역치를 내리거나 설정 역치를 해제함으로써, 이러한 조작을 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많은 수신 데이터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재설정을 위한 수신 데이터를 많이 얻음으로써, 설정 역치를 적절한 값으로 설정하기 쉬워진다. 이 경우의 일시적으로 설정 역치를 내리거나 설정 역치를 해제하는 기간이 재판정 기간이다. 그러나, 36대의 무선 수신기(70, 70A)로부터 얻은 36개의 수신 데이터를 해석하면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금회 C회째의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위치인 좌표 X3, Y3의 주위에 한해서 설정 역치를 내리거나 또는 설정 역치를 해제한다. 예를 들어, 좌표 X3, Y3의 주위의 X 좌표가 X2, X3, X4이며, Y 좌표가 Y2, Y3, Y4의 범위에 한해서 설정 역치를 내리거나 또는 설정 역치를 해제한다. 그렇게 하면, X 좌표가 X1, X5, X6 또는 Y 좌표가 Y1, Y5, Y6의 위치에 있는 무선 수신기(70, 70A)로부터는 수신 데이터가 보내져 오지 않으므로, 위치 추정부(66, 66A)의 재설정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측위 시스템(10, 10A)에서 금회 C회째의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위치를 특정하면 계산이 필요하게 되므로, 위치를 특정하지 않고, 건물의 플로어의 외주인 X 좌표가 X1, X6 또는 Y 좌표가 Y1, Y6의 위치에 있는 무선 수신기(70, 70A)로부터는 재판정 기간에 수신 데이터가 보내져 오지 않도록, 재판정 기간에 설정 역치를 내리거나 또는 설정 역치를 해제하는 무선 수신기(70, 70A)로부터, X 좌표가 X1, X6 또는 Y 좌표가 Y1, Y6에 있는 무선 수신기(70, 70A)를 제외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건물의 플로어의 외주는, 예를 들어 건물의 벽을 따른 부분과 같이 정의할 수도 있고, 단말기 보유자가 존재할 확률이 적은 영역이다.
(12-6) 4F
상기 제4 실시 형태에서는, 금회 C회째와 전회 P회째를 비교했지만, 예를 들어 금회의 전파 강도와 설정 역치를 비교해서 재설정을 행할지 여부를 결정해도 된다.
(12-7) 4G
상기 제4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서는, 위치 추정부가 재설정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복수의 무선 수신기(70, 70A)를 서로 접속해서 네트워크화하여, 복수의 무선 수신기(70, 70A)가 서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을 경우에는, 위치 추정부(66, 66A) 대신에 복수의 무선 수신기(70, 70A)가 재설정을 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13) 특징
(13-1) 제4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 4A 내지 4F의 위치 추정부(66, 66A)는, 복수의 무선 수신기(70, 70A)가 생성 가능한 수신 데이터 중 설정 역치 이상의 전파 강도의 수신 데이터를 위치 추정용 데이터로서 사용한다. 그 때문에, 위치 추정부(66, 66A)가 설정 역치보다 작은 전파 강도의 수신 데이터를 위치 추정에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위치 추정에 사용되는 수신 데이터가 감소되어 위치 추정부(66, 66A)가 처리하는 데이터량의 증가가 억제되어, 위치 추정부(66, 66A)의 계산 부하가 경감된다. 재판정 조건을 충족하는 상태로 수신 데이터의 전파 강도가 바뀌었을 때, 위치 추정부(66, 66A)는, 설정 역치를 재설정함으로써, 위치 추정용 데이터의 위치 추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설정 역치로 변경한다. 이렇게 위치 추정부(66, 66A)는, 수신 데이터의 전파 강도가 바뀌어도, 설정 역치를 위치 추정에 있어서 양호한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설정 역치가 위치 추정에 있어서 양호한 값으로 유지되므로, 전파 강도가 저하되어 무선 발신 단말기(101)를 측위 시스템(10, 10A)이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전파 강도가 높아짐으로써 측위 시스템의 부하가 증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설정 역치가 적정한 값으로 유지됨으로써, 데이터량의 증가가 억제되어 계산 부하가 경감된다. 또한, 변형예 4G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 추정부(66, 66A) 대신에 복수의 무선 수신기(70, 70A)가 재설정을 행하도록 구성해도 마찬가지 효과를 발휘한다.
(13-2) 위치 추정을 위해서 무선 수신기(70, 70A)로부터 관리 컴퓨터(60, 60A)에 보내지는 수신 데이터, 즉 위치 추정용 데이터 중 가장 높은 전파 강도와 설정 역치의 차가 판정값 이상으로 되는 것을 재판정 조건으로 하도록 구성하면, 전파 강도가 바뀌어서 부하 저감과 추정 정밀도의 양립에 관한 적성을 설정 역치가 부족할 때는, 설정 역치의 재설정의 판정을 확실하게 행해서 설정 역치를 적정한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전파 강도가 더 커지는 경우와 설정 역치가 더 커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여기에서 말하는 차란, 전파 강도차의 절댓값 |전파 강도차(DF)|라고 생각해도 된다. 또한, 변형예 4G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 추정부(66, 66A) 대신에 복수의 무선 수신기(70, 70A)가 재설정을 행하도록 구성해도 마찬가지 효과를 발휘한다.
(13-3) 위치 추정을 위해서 무선 수신기(70, 70A)로부터 관리 컴퓨터(60, 60A)에 보내지는 수신 데이터, 즉 위치 추정용 데이터 중 가장 높은 전파 강도가 변화하는 변화율이 판정용 변화율 이상으로 되는 것을 재판정 조건으로 하도록 구성하면, 전파 강도가 바뀌어서 부하 저감과 추정 정밀도의 양립에 관한 적성이 부족하게 될 때, 그 징후도 고려하면서 설정 역치의 재설정의 판정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설정 역치의 재설정을 빨리 행해서 설정 역치를 적정한 값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변형예 4G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 추정부(66, 66A) 대신에 복수의 무선 수신기(70, 70A)가 재설정을 행하도록 구성해도 마찬가지 효과를 발휘한다.
(13-4) 위치 추정부(66, 66A) 및 복수의 무선 수신기(70, 70A) 중 적어도 한쪽이, 설정 역치를 재설정한 후, 소정의 유예 기간 내에는 설정 역치의 재설정을 위한 판정을 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 빈번히 재판정이 행하여지는 사태를 피하여, 빈번한 재판정으로 인한 시스템 부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재판정을 행하는 것에 수반되는 시스템 부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13-5) 위치 추정부(66, 66A) 및 복수의 무선 수신기(70, 70A) 중 적어도 한쪽이, 일정 기간 내에 소정 횟수 이상 설정 역치를 재설정한 경우에 유예 기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 일정 기간 내에 소정 횟수 이상 설정 역치를 재설정했을 때 유예 기간이 설정된다는 것은, 바꾸어 말하면 빈번히 재판정이 행하여지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을 때는 유예 기간이 설치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렇게 유예 기간을 설치함으로써, 장기간 설치 역치가 재설정되지 않는다는 사태를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유예 기간을 설치함으로써 장기간 재설정이 되지 않게 됨으로 인한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13-6) 위치 추정부(66, 66A)가, 설정 역치를 재설정할 때, 재판정 기간을 설정해서 재판정 기간 앞에 무선 발신 단말기가 존재하고 있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의 무선 수신기(70, 70A)에 대해서 설정 역치를 낮추거나 또는 설정 역치의 설정을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무선 발신 단말기(101)가 단말기 보유자의 이동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것이어도, 재판정 기간에 들어갔을 때 무선 발신 단말기(101)가 존재하는 위치를, 재판정 기간 앞의 무선 발신 단말기(101)의 존재 위치로부터 상정되는 소정 범위에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재판정 시에 소정 범위 밖의 무선 수신기(70, 70A)로부터의 수신 데이터를 관리 컴퓨터(60, 60A)가 수신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있어, 재판정을 위한 데이터로부터 생략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재판정 시의 계산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13-7) 위치 추정부(66, 66A)가, 복수의 무선 수신기(70, 70A)의 배치 위치 중 외주부를 제외하고 소정 범위를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재판정에 유효 활용될 가능성이 작은 외주부의 수신 데이터가 무선 수신기(70, 70A)로부터 관리 컴퓨터(60, 60A)에 보내져 오지 않게 된다. 즉, 재판정에 유효 활용될 가능성이 작은 외주부의 수신 데이터를 재판정 시에 생략할 수 있으므로, 유효한 재판정을 행하면서 재판정 시의 계산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10, 10A : 측위 시스템 60, 60A : 관리 컴퓨터
66, 66A : 위치 추정부 70, 70A : 무선 수신기
101 : 제1 무선 발신 단말기 102 : 제2 무선 발신 단말기

Claims (16)

  1. 소정의 옥내 공간에서 이동 가능한 제1 무선 발신 단말기(101)로부터 수신하는 전파의 전파 강도를 사용해서 상기 제1 무선 발신 단말기의 위치를 추측하고, 상기 옥내 공간에서 이동 가능한 제2 무선 발신 단말기(102)로부터 수신하는 전파의 전파 강도를 사용해서 상기 제2 무선 발신 단말기의 위치를 추측하는 측위 시스템이며,
    상기 옥내 공간에 대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무선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제2 무선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전파의 전파 강도를 검지하여, 전파 강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를 생성 가능한 복수의 무선 수신기(70, 70A)와,
    복수의 상기 무선 수신기가 생성 가능한 상기 수신 데이터 중 한정된 범위의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 및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사용해서, 복수의 상기 무선 수신기의 배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제2 무선 발신 단말기의 위치를 각각 추정하는 위치 추정부(66, 66A)
    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추정부 및 복수의 상기 무선 수신기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제1 무선 발신 단말기에 대해서 수신 가능한 상기 수신 데이터 중에서 상기 제1 무선 발신 단말기에 적합한 제1 설정 영역에 한정해서 상기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제2 무선 발신 단말기에 대해서 수신 가능한 상기 수신 데이터 중에서 상기 제2 무선 발신 단말기에 적합한 제2 설정 영역에 한정해서 상기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취득하는, 측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정부 및 복수의 상기 무선 수신기 중 적어도 한쪽은, 제1 기준 강도 이상의 전파 강도의 상기 수신 데이터를 상기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로서 사용함으로써 상기 제1 설정 영역을 설정하고, 제2 기준 강도 이상의 전파 강도의 상기 수신 데이터를 상기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로서 사용함으로써 상기 제2 설정 영역을 설정하는, 측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정부 및 복수의 상기 무선 수신기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제1 기준 강도를 동적으로 변경하는, 측위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정부 및 복수의 상기 무선 수신기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위치 추정부가 상기 제1 무선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제2 무선 발신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운용 기간 앞에 판정 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판정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제2 무선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전파의 전파 강도를 판정해서 상기 제1 기준 강도 및 상기 제2 기준 강도를 설정하는, 측위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정부(66A) 및 복수의 상기 무선 수신기(70A)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제1 설정 영역을 복수의 상기 무선 수신기 중 상기 제1 무선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전파의 전파 강도가 가장 강한 것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설정 영역을 복수의 상기 무선 수신기 중 상기 제2 무선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전파의 전파 강도가 가장 강한 것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으로 설정하는, 측위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정부 및 복수의 상기 무선 수신기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제1 무선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제2 무선 발신 단말기가 검출된 후에 상기 제1 설정 영역 및 상기 제2 설정 영역을 각각 설정하는, 측위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정부는, 복수의 상기 무선 수신기로부터 전송되어 온 상기 제1 무선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제2 무선 발신 단말기에 관한 상기 수신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설정 영역에 한정해서 상기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취득함과 함께, 상기 제2 설정 영역에 한정해서 상기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취득하는, 측위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무선 수신기는, 상기 위치 추정부로부터 전송되어 온 상기 제1 설정 영역 및 상기 제2 설정 영역을 사용하여, 상기 제1 무선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제2 무선 발신 단말기에 관한 상기 수신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설정 영역에 한정해서 상기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취득함과 함께, 상기 제2 설정 영역에 한정해서 상기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취득하여, 상기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 및 상기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상기 위치 추정부에 전송하는, 측위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무선 수신기는, 제1 무선 수신기와 제2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추정부는, 적어도 상기 제1 무선 수신기와 상기 제2 무선 수신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복수 시각의 상기 제1 위치 추정용 데이터 및 상기 제2 위치 추정용 데이터를 사용해서, 상기 제1 무선 발신 단말기 및 상기 제2 무선 발신 단말기의 위치를 각각 추정하는, 측위 시스템.
  10. 소정의 옥내 공간에서 이동 가능한 무선 발신 단말기(101)로부터 수신하는 전파의 전파 강도를 사용해서 상기 무선 발신 단말기의 위치를 추측하는 측위 시스템이며,
    상기 옥내 공간에 대하여 배치되고, 상기 무선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전파의 전파 강도를 검지하여, 전파 강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데이터를 생성 가능한 복수의 무선 수신기(70, 70A)와,
    복수의 상기 무선 수신기가 생성 가능한 상기 수신 데이터 중 설정 역치 이상의 전파 강도의 상기 수신 데이터를 위치 추정용 데이터로서 사용해서, 복수의 상기 무선 수신기의 배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발신 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위치 추정부(66, 66A)
    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추정부 및 복수의 상기 무선 수신기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수신 데이터가 상기 설정 역치에 관한 재판정 조건을 충족할 때는, 상기 무선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전파의 전파 강도를 판정해서 상기 설정 역치를 재설정하는, 측위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정부 및 복수의 상기 무선 수신기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위치 추정용 데이터에 관한 전파 강도차가 판정값 이상으로 되는 것을 상기 재판정 조건으로 하고 있는, 측위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정부 및 복수의 상기 무선 수신기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위치 추정용 데이터 중에서 가장 높은 전파 강도가 변화하는 변화율이 판정용 변화율 이상으로 되는 것을 상기 재판정 조건으로 하고 있는, 측위 시스템.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정부 및 복수의 상기 무선 수신기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설정 역치를 재설정한 후, 소정의 유예 기간 내에는 상기 설정 역치의 재설정을 위한 판정을 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측위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정부 및 복수의 상기 무선 수신기 중 적어도 한쪽은, 일정 기간 내에 소정 횟수 이상 상기 설정 역치를 재설정한 경우에 상기 유예 기간을 설정하는, 측위 시스템.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정부는, 상기 설정 역치를 재설정할 때, 재판정 기간을 설정해서 상기 재판정 기간 앞에 상기 무선 발신 단말기가 존재하고 있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의 상기 무선 수신기에 대해서 상기 설정 역치를 낮추거나 또는 상기 설정 역치의 설정을 해제하는, 측위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정부는, 복수의 상기 무선 수신기의 배치 위치 중 외주부를 제외하고 상기 소정 범위를 설정하는, 측위 시스템.
KR1020177011184A 2014-09-30 2015-05-27 측위 시스템 KR1020373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02336 2014-09-30
JPJP-P-2014-202336 2014-09-30
PCT/JP2015/065274 WO2016051859A1 (ja) 2014-09-30 2015-05-27 測位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125A true KR20170060125A (ko) 2017-05-31
KR102037351B1 KR102037351B1 (ko) 2019-10-29

Family

ID=55629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1184A KR102037351B1 (ko) 2014-09-30 2015-05-27 측위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70691B2 (ko)
EP (1) EP3203258B1 (ko)
JP (1) JP6142898B2 (ko)
KR (1) KR102037351B1 (ko)
CN (1) CN107076827B (ko)
AU (1) AU2015326130B2 (ko)
ES (1) ES2959266T3 (ko)
WO (1) WO20160518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05571A (ja) * 2017-12-13 2019-06-2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載装置、無線端末、位置推定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923002B2 (ja) * 2017-12-15 2021-08-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通信装置、位置検知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位置検知データ通信方法
JP6524401B1 (ja) * 2018-01-26 2019-06-05 株式会社ベイビッグ 領域判定システム及び領域判定方法
CN111886512B (zh) * 2018-03-29 2023-07-07 三菱电机株式会社 通行监视***和rf标签
WO2020066018A1 (ja) * 2018-09-28 2020-04-02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7286572B2 (ja) * 2020-03-09 2023-06-05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システム
CN111813119B (zh) * 2020-07-11 2024-02-27 广东翼景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巡检机器人高精度导航方法
US11445467B2 (en) * 2021-02-04 2022-09-13 Cisco Technology, Inc. Location in a distributed location processing architecture with roaming
KR20230035784A (ko) * 2021-09-06 2023-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0066A (ko) * 1999-06-04 2001-12-12 가나이 쓰토무 셀룰러 통신을 사용한 측위 장치
JP2007329887A (ja) 2006-01-24 2007-12-20 Ntt Docomo Inc エリア推定システム及びエリア推定方法
JP2011145093A (ja) * 2010-01-12 2011-07-28 Ntt Facilities Inc 位置特定システム、位置特定装置、位置特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202747A (ja) * 2011-03-24 2012-10-22 Toshiba Corp 無線システム、中継端末、車両および位置推定機
JP2013152133A (ja) * 2012-01-25 2013-08-08 Hitachi Ltd 測位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5500A (en) * 1989-12-07 1992-03-10 Motorola, Inc. Cellular radiotelephone diagnostic system
US6236335B1 (en) * 1996-09-17 2001-05-22 Nc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tracking short range transmitters
US6011487A (en) * 1996-09-17 2000-01-04 Nc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locating wireless devices
IL132711A (en) * 1999-11-03 2005-05-17 Elpas Electro Optic Systems Lt Dual rf/ir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6574478B1 (en) * 2000-08-11 2003-06-03 Alcatel Usa Sourcing, L.P.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mobile devices
EP1370973A4 (en) * 2001-03-09 2009-11-25 Radianse Inc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OBJECT ASSOCIATION USING LOCATION LOCATION SYSTEM
JP2005525003A (ja) * 2001-09-05 2005-08-18 ニューベリイ ネットワー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位置検出および場所追跡
US6826162B2 (en) * 2001-09-28 2004-11-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cating and mapping wireless network devices via wireless gateways
US20050003828A1 (en) * 2002-04-09 2005-01-06 Sugar Gary L.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wireless devices in an unsynchronized wireless environment
EP1355505B1 (en) * 2002-04-11 2013-07-24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Localization of radio-frequency transceivers
US7072669B1 (en) * 2003-05-23 2006-07-04 Verizon Corporate Services Group Inc. Method for localizing the position of a wireless device
US7751829B2 (en) * 2003-09-22 2010-07-06 Fujitsu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determination using mini-beacons
WO2005041142A2 (en) * 2003-10-20 2005-05-06 Radianse, Inc. A location system for associating a first signal with a second signal
WO2005062066A2 (en) * 2003-10-22 2005-07-07 Awarepoint Corporation Wireless position location and tracking system
JP4129547B2 (ja) * 2004-02-13 2008-08-06 三菱電機株式会社 震動変位計算精度の向上手段
US7116988B2 (en) * 2004-03-16 2006-10-03 Airespace, Inc. Location of wireless nodes using signal strength weighting metric
US7286835B1 (en) * 2004-09-10 2007-10-23 Airespace, Inc. Enhanced wireless node location using differential signal strength metric
US9392406B2 (en) * 2005-02-03 2016-07-12 Trueposit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based monitoring of a mobile device
WO2007081356A2 (en) * 2005-02-22 2007-07-19 Skyhook Wireless, Inc. Continuous data optimization in positioning system
US8346281B2 (en) * 2005-07-14 2013-01-01 Binj Labato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controlling transmission devices
US8238936B2 (en) * 2006-07-14 2012-08-07 Binj Laborator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and determining a location of a wireless transmission
JP4609231B2 (ja) * 2005-08-05 2011-0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位置検出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US7742456B2 (en) * 2005-11-04 2010-06-22 Symbol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ing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8155662B2 (en) * 2007-02-19 2012-04-10 Microsoft Corporation Self-configuring wireless network location system
US8229457B2 (en) * 2007-02-23 2012-07-24 Ntt Docomo, Inc. Positioning system, positioning method, and positioning program
KR100939354B1 (ko) * 2007-11-28 2010-01-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US8249619B2 (en) * 2008-10-07 2012-08-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se in mobile device positioning systems
JP2010139447A (ja) * 2008-12-12 2010-06-24 Brother Ind Ltd 測位基地局選択方法、移動局測位方法
US8768344B2 (en) * 2008-12-22 2014-07-01 Qualcomm Incorporated Post-deployment calibration for wireless position determination
US8938211B2 (en) * 2008-12-22 2015-01-20 Qualcomm Incorporated Providing and utilizing maps in location determination based on RSSI and RTT data
TWI412777B (zh) * 2009-06-19 2013-10-21 Htc Corp 增強定位量測功能的方法及其相關通訊裝置
US8433334B2 (en) * 2010-01-15 2013-04-30 Apple Inc. Managing a location database for network-based positioning system
JP2011203129A (ja) * 2010-03-25 2011-10-13 Toshiba Corp 位置推定システム及び位置推定方法
KR101446032B1 (ko) * 2010-05-06 2014-10-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무선랜 신호를 이용한 위치 측위 방법 및 장치
EP2604079A2 (en) * 2010-08-11 2013-06-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of providing cell grouping for positioning and related networks and devices
US8825078B1 (en) * 2011-08-18 2014-09-02 Google Inc. Probabilistic estimation of location based on wireless signal strength
US9596670B2 (en) * 2013-01-16 2017-03-14 Apple Inc. Location assisted service capability monitoring
US9426770B2 (en) * 2013-09-30 2016-08-23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point selection for network-based positioning
US10386454B2 (en) * 2014-02-07 2019-08-20 Signify Holding B.V. Network centric localization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mobile devices
US9408036B2 (en) * 2014-05-15 2016-08-02 Cisco Technology, Inc. Managing wireless beacon devices
US9439037B2 (en) * 2014-07-30 2016-09-06 Aruba Networks, Inc. Location determination in wireless networks
US10942251B2 (en) * 2014-09-03 2021-03-09 CloudLeaf, Inc. Asset location and management system with distributed processing
EP3171350B1 (en) * 2015-11-23 2019-06-12 Essence Smartcare Ltd Identifying a person detected in a monitored location
US9860692B2 (en) * 2016-03-22 2018-01-02 Cisco Technology, Inc. Determining location via current and previous wireless signal attributes
US10129691B2 (en) * 2016-10-14 2018-11-13 OneMarket Network LLC Systems and methods to determine a location of a mobile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0066A (ko) * 1999-06-04 2001-12-12 가나이 쓰토무 셀룰러 통신을 사용한 측위 장치
JP2007329887A (ja) 2006-01-24 2007-12-20 Ntt Docomo Inc エリア推定システム及びエリア推定方法
JP2011145093A (ja) * 2010-01-12 2011-07-28 Ntt Facilities Inc 位置特定システム、位置特定装置、位置特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202747A (ja) * 2011-03-24 2012-10-22 Toshiba Corp 無線システム、中継端末、車両および位置推定機
JP2013152133A (ja) * 2012-01-25 2013-08-08 Hitachi Ltd 測位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70691B2 (en) 2020-06-02
CN107076827B (zh) 2020-09-18
KR102037351B1 (ko) 2019-10-29
WO2016051859A1 (ja) 2016-04-07
JP2016070917A (ja) 2016-05-09
JP6142898B2 (ja) 2017-06-07
AU2015326130B2 (en) 2018-04-26
CN107076827A (zh) 2017-08-18
US20170219682A1 (en) 2017-08-03
EP3203258B1 (en) 2023-07-12
EP3203258A1 (en) 2017-08-09
EP3203258A4 (en) 2018-06-20
AU2015326130A1 (en) 2017-05-18
ES2959266T3 (es) 202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0125A (ko) 측위 시스템
US202002669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based on distance between transmission device and reception device
US9918297B2 (en) Location measur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access point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ervice and method for estimating location coordinate of access point
CN104010364B (zh) 用于确定基站的估计的地理位置的方法和***
JP415886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構成のための方法と装置
CN100559893C (zh) 一种用于激活基于定位的功能的方法、***和设备
CN105704677B (zh) 一种基于气压计的室内定位方法及装置
CN104956237B (zh) 距离估计方法、发送功率控制方法、用户装置、以及基站
US8983491B2 (en) Adaptive location tracking system
US10051412B2 (en) Loca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locati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2006207949A (ja) 配管伝送装置、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8280313B2 (en) Base station selecting method and wireless terminal device
JP4645939B2 (ja) 移動基地局位置決定システム、端末位置決定システム、移動基地局、無線端末及び基地局位置決定プログラム
KR100779169B1 (ko) 센서망 환경에서의 전력소모 최소화를 위한 위치인식 장치및 방법
JP2016095148A (ja) 位置推定システム
CN107567715B (zh) 用于在通信网络中提供信息的方法和设备
KR101488378B1 (ko) 와이파이 장치의 위치 추적을 위한 효과적인 채널 검색 장치 및 방법
JP2014020887A (ja) 無線端末の測位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50025093A (ko) 무선 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5872926B2 (ja) 電波環境管理システムおよび電波環境管理方法
JP6133455B1 (ja) 距離推定システム、距離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40022222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8018414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n ordered list of neighbouring devices
JP2022130204A (ja) 空間管理システム、空間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70173A (ko) 위치 측정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의 시설 정보 갱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