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8365A - 제습 장치 - Google Patents

제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8365A
KR20170048365A KR1020177005334A KR20177005334A KR20170048365A KR 20170048365 A KR20170048365 A KR 20170048365A KR 1020177005334 A KR1020177005334 A KR 1020177005334A KR 20177005334 A KR20177005334 A KR 20177005334A KR 20170048365 A KR20170048365 A KR 20170048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ssage
heat exchanger
dehumidifi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5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곤도우
야스키 후지이
다카시 후지소노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48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3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5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de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air supply means, e.g. fan casings, internal dampers or ducts
    • F24F1/0284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air supply means, e.g. fan casings, internal dampers or ducts with horizontally arranged fan axis
    • F24F11/0012
    • F24F11/0076
    • F24F11/0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6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means responsive to temperature, e.g. bi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제습 장치는, 제 1 통로와 제 1 통로와는 독립된 제 2 통로를 구비한 동시에, 제 1 통로를 흐르는 공기와 제 2 통로를 흐르는 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11)의 제 2 통로를 흐르는 공기량을, 제 1 통로를 흐르는 공기량보다 줄이는 구성으로 했다. 이 때문에, 열교환기(11)의 제 1 통로를 흐르는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고 있어도, 제 2 통로를 흐르는 공기를 충분히 결로시킬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열교환기(11)의 부분에서도 결로를 시킬 수 있어서, 전체적으로 제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제습 장치{DEHUMIDIFYING DEVICE}
본 발명은 거주 공간 등에 이용되는 제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거주 공간의 습도를 저하시켜, 쾌적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서 제습 장치가 실용화되어 있다.
종래의 제습 장치의 일 예로서, 본체 케이스와, 본체 케이스 내에 마련된 제습부와, 공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본체 케이스 외부의 공기를, 제습부를 통과시킨 후에 공기 취출구로부터 본체 케이스 외부로 취출하는 송풍기를 구비한 것이 있다.
또한, 제습부는 압축기와 방열기와 팽창기와 흡열기를 순차 환상으로 연결한 냉동 사이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송풍기에 의해 공기 흡입구로부터 본체 케이스 내에 흡입된 공기의 일부분은, 흡열기, 열교환기의 제 1 통로, 방열기를 거쳐서 공기 취출구로부터 본체 케이스 외부로 취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송풍기에 의해 공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다른 부분은, 열교환기의 제 2 통로, 방열기를 거쳐서 공기 취출구로부터 본체 케이스 외부로 취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
상기 종래의 제습 장치는, 송풍기에 의해 공기 흡입구로부터 본체 케이스 내에 흡입된 공기의 일부분을, 흡열기로 냉각시켜 결로시키고, 그 후, 열교환기의 제 1 통로, 방열기를 거쳐서 공기 취출구로부터 본체 케이스 외부로 취출한다.
또한, 종래의 제습 장치는, 송풍기에 의해 공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다른 부분을, 열교환기의 제 2 통로를 통과시키고, 방열기를 거쳐서 공기 취출구로부터 본체 케이스 외부로 취출한다.
즉, 열교환기의 제 2 통로를 통과하는 실내 공기를 흡열기로부터 열교환기의 제 1 통로를 흐르는 공기에 의해 냉각하여, 여기에서도 결로시키려고 하고 있다.
그렇지만, 열교환기의 제 2 통로를 통과하는 실내 공기는, 충분히는 결로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 취출구로부터 본체 케이스 외부로 취출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열교환기의 제 1 통로에 유입되는 공기는, 흡열기에서 결로를 시킨 후의 공기이지만, 흡열기에서 냉각은 되어 있어도 흡열기만큼 저온은 아니다. 이 때문에, 제 1 통로에 유입된 공기로 제 2 통로에 유입된 공기를 냉각해도, 제 2 통로에 유입된 공기가 결로될 때까지에는 도달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제 2 통로를 통과하는 공기는 제습이 실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내로 방출되어, 제습 효과가 낮아지게 되어 버렸었다.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56-20628 호의 출원시의 원서에 최초에 첨부된 명세서를 모사한 마이크로 필름
그래서, 본 발명은 제습 효과를 높인 제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제습 장치는, 공기 흡입구와 공기 취출구를 갖는 본체 케이스와, 압축기와 방열기와 팽창기와 흡열기를 순차적으로 연결한 냉동 사이클에 의해 본체 케이스 내의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공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본체 케이스 외부의 공기를 제습부를 통과시킨 후에 공기 취출구로부터 본체 케이스 외부로 취출하는 송풍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1 통로와 그 제 1 통로와는 독립된 제 2 통로를 구비하며, 제 1 통로를 흐르는 공기와 제 2 통로를 흐르는 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송풍기에 의해 공기 흡입구로부터 본체 케이스 내에 흡입된 공기의 일부분을, 흡열기, 열교환기의 제 1 통로, 방열기를 거쳐서 공기 취출구로부터 본체 케이스 외부로 취출하는 제 1 제습 경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송풍기에 의해 공기 흡입구로부터 본체 케이스 내부에 흡입된 공기의 다른 부분을, 열교환기의 제 2 통로, 방열기를 거쳐서 공기 취출구로부터 본체 케이스 외부로 취출되는 제 2 제습 경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열교환기의 제 2 통로를 흐르는 공기량은 열교환기의 제 1 통로를 흐르는 공기량보다 줄이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상에 의해, 열교환기의 제 1 통로를 흐르는 공기는, 제 2 통로를 흐르는 공기를 충분히 결로시킬 수 있다. 즉, 열교환기 부분에서도 결로를 시킬 수 있어서, 전체적으로 제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제습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2-2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제습 장치의 열교환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제습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제습 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제습 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제습 장치의 동작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제습 장치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습 장치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 예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체 도면을 통하여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나아가, 각 도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 직접적으로는 관계되지 않는 각 부(部)의 상세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습 장치(50)는, 상자형의 본체 케이스(1)를 외곽으로 하고 있으며, 본체 케이스(1)에 의해 본체 케이스(1) 외부와 본체 케이스(1) 내부가 구별된다. 본체 케이스(1)의 배면측에는, 상부에 공기 흡입구(2)가, 공기 흡입구(2)의 하부에 공기 흡입구(3)가 배치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에서 배면에 대향하는 전면측에는, 공기 취출구(4)가 배치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의 상부에는, 조작부(25)가 배치된다.
공기 흡입구(2) 및 공기 흡입구(3)는 배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직사각형의 평면으로 마련된다.
공기 취출구(4)의 상방에는, 공기 취출구(4)로부터 취출된 공기의 방향을 변경하는 루버(31)가 구비되어 있다.
조작부(25)는, 예컨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받거나, 사용자에게 동작 모드나 현재의 습도 등의 제습 장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습 장치(50)의 본체 케이스(1) 내에는, 공기 통로(34)와 송풍기(6)와 제습부(5)를 구비하고 있다.
공기 통로(34)는 공기 흡입구(2) 및 공기 흡입구(3)와 공기 취출구(4)를 연통한다. 또한, 공기 통로(34)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제습 경로, 즉 제 1 제습 경로와 제 2 제습 경로로 구성되지만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송풍기(6)는 모터(32)와, 모터(32)의 회전축에 접속되며 공기를 흡배기하는 팬(33)을 구비하고 있다. 송풍기(6)는, 공기 흡입구(2) 및 공기 흡입구(3)로부터 흡입된 본체 케이스(1) 외부의 공기를, 제습부(5)를 통과시킨 후에 공기 취출구(4)로부터 본체 케이스(1) 외부로 취출한다. 이 공기의 통로가 공기 통로(34)이다.
제습부(5)는 압축기(7)와 방열기(8)와 팽창기(9)와 흡열기(10)를 이 순서로 환상으로 연결한 냉동 사이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냉동 사이클에는 예컨대 냉매로서 대체 프레온(HFC134a)이 이용된다.
또한, 본체 케이스(1) 내에서는, 공기 통로(34)의, 공기 흡입구(2) 및 공기 흡입구(3) 측(공기의 흐름 방향 상류측)에, 흡열기(10)를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공기 통로(34)의 공기 취출구(4) 측(공기의 흐름 방향 하류측)에, 방열기(8)를 마련하고 있다.
흡열기(10)와 방열기(8) 사이에는 공간을 마련하고, 이 공간에 현열 타입의 열교환기(11)를 배치하고 있다.
즉, 본체 케이스(1) 내에 있어서, 공기 흡입구(2) 및 공기 흡입구(3)로부터 공기 취출구(4)로 연통하는 공기 통로(34)의, 공기 흡입구(2) 및 공기 흡입구(3) 측에, 흡열기(10)를 마련하고, 이어서, 열교환기(11)를 마련하고, 이어서, 방열기(8)를 마련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1) 내에 있어서, 흡열기(10) 및 열교환기(11)의 하방에는, 깔때기 형상의 집수부(12a)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집수부(12a)의 하방에는 집수 탱크(12b)를, 본체 케이스(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다.
즉, 제습 장치(50)는, 흡열기(10) 및 열교환기(11)에서 결로를 발생시키고, 결로에 의해 발생한 결로수를 집수부(12a)에서 모아 집수 탱크(12b)에 유입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계속해서, 도 3을 이용하여 열교환기(11)의 상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열교환기(11)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향 풍로를 만드는 합성수지제의 판체(13)와, 횡향 풍로를 만드는 합성수지제의 판체(14)를 교대로 복수매 중합시켜서 구성된다.
또한, 종향 풍로를 만드는 합성수지제의 판체(13)의 표면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리브(15)가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 판체(1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리브(15)의 일면이, 인접하는 판체(14)의 배면과 밀착함으로써, 판체(13)의 표면과 리브(15)와 판체(14)의 배면으로 종향 풍로(13a), 즉 제 2 통로를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횡향 풍로를 만드는 합성수지제의 판체(14)의 표면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리브(16)가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 판체(1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리브(16)의 일면이, 인접하는 판체(13)의 배면과 밀착함으로써, 판체(14)의 표면과 리브(16)와 판체(13)의 배면으로 횡향 풍로(14a), 즉 제 1 통로를 형성한다.
종향 풍로(13a)와 횡향 풍로(14a)는 서로의 풍로 공간이 독립되어 있으며, 즉 공기의 왕래가 없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된 열교환기(11)는 직방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만, 여기서 말하는 직방체 형상이란, 엄밀하게 모든 면이 장방형일 필요는 없으며, 또한, 모든 인접하는 면이 직각으로 교차할 필요도 없다. 즉, 직방체 형상이란, 한눈에 보아 육면체이면 된다.
열교환기(11)에 있어서, 직방체 형상의 대향하는 장변에는 제 1 통로용의 개구부(17)가 형성된다. 또한, 열교환기(11)에 있어서, 직방체 형상의 대향하는 단변에는 제 2 통로용의 개구부(18)가 형성된다. 즉, 제 2 통로가 제 1 통로보다 풍로가 길게 구성되어 있다.
개구부(17)는, 흡열기(10)측이 상류측 개구부(17a)를 구성하고, 방열기(8)측이 하류측 개구부(17b)를 구성한다.
개구부(18)는, 공기 흡입구(2)측이 상류측 개구부(18a)를 구성하고, 집수부(12a)측(연직 하향 방향)이 하류측 개구부(18b)를 구성한다.
이어서, 도 2를 이용하여 제습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송풍기(6)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공기 흡입구(3)로부터 본체 케이스(1) 내에 공기(X)가 흡입된다. 공기(X)는 흡열기(10), 열교환기(11)의 상류측 개구부(17a), 횡향의 제 1 통로, 하류측 개구부(17b), 방열기(8), 송풍기(6)를 거쳐서 공기 취출구(4)로부터 본체 케이스(1) 외부로 취출된다. 이 공기(X)의 경로가 전술의 제 1 제습 경로이다. 또한, 공기(X)는 공기 흡입구(2) 및 공기 흡입구(3) 중 공기 흡입구(3)로부터 흡입된 공기로서, 즉 흡입된 공기의 일부분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로를 흐르는 공기(X)는, 우선은, 흡열기(10)에서 냉각되어, 결로가 발생한다. 결로의 발생에 의해 생긴 결로수는, 도 2와 같이, 하방으로 적하하고, 깔때기 형상의 집수부(12a)에서 모여, 집수 탱크(12b)에 유입된다.
또한, 결로가 발생한 후의 건조된 공기(X)는 공기 취출구(4)로부터 본체 케이스(1) 외부로 취출되므로, 예컨대, 실내의 습도 저하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송풍기(6)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공기 흡입구(2)로부터 본체 케이스(1) 내에 공기(Y)가 흡입된다. 공기(Y)는 열교환기(11)의 상류측 개구부(18a)로부터 종향의 제 2 통로를 통과하고, 하류측 개구부(18b), 방열기(8), 송풍기(6)를 거쳐서 공기 취출구(4)로부터 본체 케이스(1) 외부로 취출된다. 이 공기(Y)의 경로가 전술의 제 2 제습 경로이다. 또한, 공기(Y)는 공기 흡입구(2) 및 공기 흡입구(3) 중 공기 흡입구(2)로부터 흡입된 공기로서, 즉 흡입된 공기의 다른 부분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기의 일부분과, 공기의 다른 부분의 2개의 공기를 더함으로써 제습 장치(50)에 흡입되는 공기의 전량이 된다.
그리고,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11)의 횡향의 제 1 통로(공기(X)의 통로)와, 종향의 제 2 통로(공기(Y)의 통로)가 교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통로를 흐르는 공기(공기(X))와, 제 2 통로를 흐르는 공기(공기(Y))는 열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열교환기(11)의 횡향의 제 1 통로를 흐르는 공기(X)는 상술과 같이, 흡열기(10)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냉각되고 있다. 이 때문에, 열교환기(11)는, 열교환에 의해 흡열기(10)를 통과하지 않은 제 2 통로를 흐르는 공기(Y)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 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열교환기(11)에 의해 제 2 통로를 흐르는 공기(Y)에 대해서도 결로를 발생시키도록 했다.
결로를 발생시키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교환기(11)의 제 2 통로를 흐르는 공기(Y)의 양은 열교환기(11)의 제 1 통로를 흐르는 공기(X)의 양보다 줄이는 구성으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열교환기(11)는, 그 제 2 통로(공기(Y)의 통로)의 통기 저항을 제 1 통로(공기(X)의 통로)의 통기 저항보다 크게 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의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11)는 직방체 형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대향하는 장변에,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통로용의 개구부(17)를 형성하고, 또한, 대향하는 단변에 제 2 통로용의 개구부(18)를 형성했다. 장변의 개구부(17)의 개구 면적을 단변의 개구부(18)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함으로써, 송풍기(6)로의 공기의 흐름을 시점(視點)으로 하여, 제 2 통로의 공기 저항을 제 1 통로의 공기 저항보다 크게 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열교환기(11)의, 제 2 통로(공기(Y)의 통로)의 통기 저항을 제 1 통로(공기(X)의 통로)의 통기 저항보다 크게 했으므로, 제 2 통로를 흐르는 공기(Y)는 제 1 통로를 흐르는 공기(X)에 비해 적어진다.
이 때문에, 제 1 통로를 흐르는 냉각된 공기(X)는 제 2 통로를 흐르는 공기(X)보다 적은 공기(Y)를 충분히 냉각하여, 결로를 발생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2와 같이, 제 2 통로를 흐르는 공기(Y)로부터도 결로수가 발생한다. 그리고, 결로수는 제 2 통로로부터 하방으로 적하하고, 깔때기 형상의 집수부(12a)에서 모여 집수 탱크(12b)에 유입된다.
또한, 결로수가 발생한 후의 건조된 공기(Y)는 열교환기(11)의 하류측 개구부(18b), 방열기(8), 송풍기(6)를 거치고, 공기 취출구(4)로부터 본체 케이스(1) 외부로 취출된다. 이에 의해, 예컨대, 실내의 습도 저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11)의 하류측 개구부(18b)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열기(8)측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하고 있다.
즉, 하류측 개구부(18b)를, 다음에 진행하는 방열기(8)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함으로써, 공기(Y)가 방열기(8)측을 향하여 부드럽게 흐르도록 하고 있다.
또한, 경사면은, 제 2 통로 내에서 발생하여 적하한 결로수를, 하류측 개구부(18b)에서 더욱 하방을 향하여 뾰족한 선단부(54)로 유도한다. 선단부(54)로 유도된 결로수는 다른 결로수와 합쳐져, 중량이 커진다. 이에 의해, 결로수의 적하를 촉진시켜 물의 배수를 양호하게 해서, 물방울이 체류하여 공기 저항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공기(X) 대 공기(Y)의 유량비를 26 대 18로 하고 있다.
즉, 열교환기(11)의 제 2 통로(공기(Y)의 통로)를 흐르는 공기량을 열교환기(11)의 제 1 통로(공기(X)의 통로)를 흐르는 공기량보다 줄이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열교환기(11)의 제 1 통로(공기(X)의 통로)를 흐르는 공기의 온도가 흡열기(10)에 비해 다소 온도가 높아도, 제 2 통로(공기(B)의 통로)를 흐르는 공기를 충분히 결로시킬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열교환기(11) 부분에서도 결로를 시킬 수 있어서, 전체적으로 제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1 통로용의 개구부(17)를 대향하는 장변에 마련함으로써, 제 1 통로의 통로 길이보다 제 2 통로의 통로 길이를 길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 2 통로를 흐르는 공기(Y)가 공기(X)에 의해 냉각되는 냉각 시간이 길어져, 제습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어서, 도 4,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제습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습 장치(51)의 특징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제습 장치(50)에, 열교환기(11)의 제 2 통로를 흐르는 공기의 양을 증감시키는 공기 유량 조정부를 마련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공기 유량 조정부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11)의 제 2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부(19)와, 이 개폐부(19)를 구동하는 구동부(20)에 의해 구성된다.
개폐부(19)는, 공기 흡입구(2)와 제 2 통로에 있어서의 상류측 개구부(18a) 사이에 배치되는, 상류측 개구부(18a)를 포함하는 면적을 가지는 평판이다. 개폐부(19)는, 상류측 개구부(18a)의, 공기 흡입구(2)와는 반대측의 단부변에 구비된 구동부(2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회전에 의해, 개폐부(19)는 열교환기(11)의 상류측 개구부(18a), 즉 제 2 통로를 개폐한다.
개폐부(19)는, 폐쇄된 상태에서 상류측 개구부(18a)를 덮으며 위치하여, 즉 열교환기(11)로의 공기의 유입을 제한한다. 또한, 개폐부(19)는, 개방 상태에서 공기 흡입구(2)에 가까운 단변을, 구동부(20)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것에 의해, 상류측 개구부(18a)로의 공기의 유입을 가능하게 한다.
구동부(20)는, 개폐부(19)의 회전축으로서 기능하며, 방열기(8)의 상단부 근방에서 개폐부(19)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구동부(20)는, 예컨대 모터 및 이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기어가 해당된다.
또한, 구동부(2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풍기(6)와, 압축기(7)와 함께, 제어부(2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제어부(21)에는, 도 4에 도시한 공기 흡입구(3) 부분에 들어가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 1 온도 센서(22), 흡열기(10) 부분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 2 온도 센서(23), 메모리(24), 조작부(25)가 접속되어 있다.
조작부(25)는 본체 케이스(1)의 상부 외면에 마련되며, 사용자가 제습 장치(51)에 대하여 예컨대 동작 모드의 변경을 지시하거나, 혹은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예컨대 물리 스위치와 사용자에게 제습 장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구비한다.
제어부(21)는, 동작 프로그램이 격납된 메모리(24)로부터 동작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함으로써, 제습 장치(51)의 동작을 제어하는 예컨대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제어부(21)는, 예컨대 제 1 온도 센서(22)나 제 2 온도 센서(23)로부터의 온도 신호를 받고, 이에 근거하여 송풍기(6)나 압축기(7), 구동부(20) 등의 동작의 온-오프 등을 실행한다. 제어부(21)가 실행하는 각 처리의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이하에 설명한다.
이어서, 각 온도 센서로부터의 온도 신호에 근거한 제어부(21)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습 장치(51)의 기동 시에, 제 1 온도 센서(22)에 의해 검출되는 공기 흡입구(3) 부분에 들어가는 공기의 온도(t1)가 제 1 설정 온도(te; 예컨대 18℃)보다 높을 때에는, 제어부(21)는 도 6의 「상온」으로 나타내는 동작을 실행한다.
즉, 송풍기(6)와, 압축기(7)가 온(ON) 상태, 즉 구동되며, 또한, 개폐부(19)는 도 4와 같이 개방 동작된다. 개방 동작에 의해 개폐부(19)는 상류측 개구부(18a)를 개방하고, 상술의 제습 운전이 실행된다(도 7의 단계(S1), 단계(S2)).
또한, 제 1 온도 센서(22)에 의해 검출되는 공기 흡입구(3) 부분에 들어가는 공기의 온도(t1)가 제 1 설정 온도(te; 예컨대 18℃) 이하일 때에는, 제어부(21)는 도 6의 「저온」으로 나타내는 동작을 실행한다.
즉, 송풍기(6)와 압축기(7)가 구동되고, 또한, 구동부(20)에 의해 개폐부(19)가 폐쇄 동작된다. 폐쇄 동작에 의해 개폐부(19)는 상류측 개구부(18a)를 폐쇄하고, 이 상태에서 제습 동작이 실행된다(도 7의 단계(S2), 단계(S3)).
이 상태에서는, 송풍기(6)에 의해 공기 흡입구(3)로부터 흡입된 공기(X)는, 우선은, 흡열기(10)에서 냉각되므로, 여기서 결로가 발생한다. 결로의 발생에 의해 생긴 결로수는 하방으로 적하하고, 깔때기 형상의 집수부(12a)에서 모여 집수 탱크(12b)에 유입된다.
또한, 결로가 발생한 후의 건조된 공기(X)는 열교환기(11)의 상류측 개구부(17a), 횡향의 제 1 통로, 하류측 개구부(17b), 방열기(8), 송풍기(6)를 거쳐서 공기 취출구(4)로부터 본체 케이스(1) 외부로 취출된다. 이에 의해, 예컨대 실내의 습도 저하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설정 온도 이하, 즉 저온 상태에서는, 흡열기(10)에서 서리가 부착되는 착상 현상이 일어나기 쉬워진다. 이 경우, 흡열기(10)의 통풍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에, 제 1 통로와 제 2 통로에 있어서의 공기 저항의 밸런스가 바뀐다. 즉, 공기(X)의 풍량이 감소하고 공기(Y)의 풍량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흡열기(10)에서의 풍량이 감소하는 것에 의해, 더욱 착상이 촉진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이 저온의 상황에서는, 개폐부(19)를 폐쇄 동작시키고 있다. 즉, 제 2 제습 경로를 폐쇄함으로써, 송풍기(6)가 구동되고 있어도, 열교환기(11)의 제 2 통로에는 공기(Y)를 유입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송풍기(6)의 흡인력을 모두 제 1 경로의 흡인에 이용할 수 있어서, 흡열기(10)를 통과하는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착상이 시작된 경우라도 흡열기(10)에 흐르는 공기를 증가시켜, 즉, 착상의 촉진을 억제하고, 나아가서는, 착상을 배제하기 위한 제습 운전을 계속한다.
이 상태에서, 초기 운전 시간(TS)이 예컨대 25분 경과하면(도 7의 단계(S4)), 흡열기(10) 부분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 2 온도 센서(23)(ts)가 제 2 설정 온도(t0; 예컨대 0.5℃) 이하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또한, 초기 운전 시간(TS)이란, 상술의 「저온」으로 나타내는 동작을 개시하고 나서의 시간이다.
제 2 온도 센서(23)(ts)에서 검출한 온도가 제 2 설정 온도(t0; 예컨대 0.5℃) 이하로 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1)에 의해 도 6의 「디아이스(de-ice)」로 나타내는 동작을 한다(도 7의 단계(S5), 단계(S6)).
이 상태는 저온 상태의 운전을 계속한 것에 의해, 흡열기(10) 표면에 착상이 퍼져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제어부(21)는 착상을 해소하기 위한 디아이스 동작을 실행한다.
디아이스 동작에서는, 제어부(21)는 압축기(7)를 정지하고, 또한, 개폐부(19)를 폐쇄 동작한 상태에서 송풍기(6)를 구동한다(도 7의 단계(S6)).
디아이스 동작 시에는, 송풍기(6)에 의해 공기 흡입구(3)로부터만 흡입된 공기(X)를 흡열기(10)에 집중적으로 불어 넣어, 흡열기(10) 표면의 착상을 해소시키는 것이다. 디아이스 동작의 동작 시간으로서는, 예컨대 10분(Td: 디아이스 적산 시간)이다.
그리고, 디아이스 적산 시간(Td) 경과 후에 제어부(21)는, 흡열기(10) 부분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 2 온도 센서(23)(ts)의 온도를 취득한다. 제어부(21)는, 제 2 온도 센서(23)(ts)가 검출한 온도가 제 2 설정 온도(t0; 예컨대 0.5℃) 이상이 되거나(도 7의 단계(S8), 단계(S9)), 혹은 설정 시간(Td)(예컨대 10분)을 경과하면 디아이스 동작을 종료한다(도 7의 단계(S7), 단계(S9)).
이상과 같이, 「저온」 동작으로 나타낸, 공기 유량 조정부에서 공기량을 조정하는 것만으로도, 착상의 촉진을 억제하고, 나아가서는, 착상을 배제하면서 제습 운전이 가능하다. 즉, 착상이 생긴 경우라도 제습 운전을 계속하면서 착상을 배제할 수 있어서, 효율적으로 제습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이어서, 도 8을 참조하면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제습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습 장치(52)의 특징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의 공기(X)가 흐르는 제 1 제습 경로와 공기(Y)가 흐르는 제 2 제습 경로에 부가하여, 공기(Z)가 흐르는 제 3 제습 경로를 구비한 점이다. 또한, 공기(Z)는 공기 흡입구(2 또는 3)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또 하나의 부분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기의 일부분과 공기의 다른 부분과 공기의 또 하나의 부분의 3개의 공기를 더함으로써 제습 장치(52)로 흡입되는 공기의 전량이 된다. 환언하면, 공기의 또 하나의 부분이란, 제습 장치(52)에 흡입되는 공기의 전량 중 공기의 일부분과 공기의 다른 부분을 제외한 부분으로 할 수 있다.
송풍기(6)에 의해 공기 흡입구(2) 또는 공기 흡입구(3)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또 하나의 부분(공기(Z))은, 흡열기(10) 및 열교환기(11)를 거치지 않고, 방열기(8)의 상부(8a)를 거쳐서 공기 취출구(4)로부터 본체 케이스(1) 외부로 취출된다.
이 공기(Z)가 통과하는 경로, 즉 흡열기(10) 및 열교환기(11)을 거치지 않고 방열기(8)만을 거쳐서 공기 취출구(4)로부터 본체 케이스(1) 외부로 취출되는 경로가 제 3 제습 경로이다.
여기서, 방열기(8)는 흡열기(10)의 상단부나 열교환기(11)의 상단부보다 연직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 부분이 상부(8a)에 해당하며, 방열기(8)의 높이 방향 중심보다 위에서의 방열기(8)의 일부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연직 상방이란, 제습 장치(52)를 통상 가동을 할 수 있는 상태로 설치한 경우에서의 상방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기(Z)는 방열기(8)의 상부(8a)를 통과한다. 공기(X) 및 공기(Y)는 공기(Z)가 통과하는 방열기(8)의 상부(8a)보다 하측에 있는 방열기(8)의 다른 부분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경로로 흐르는 공기(Z)는 방열기(8)의 상부(8a)를 냉각한다. 이 때문에, 방열기(8)가 냉각되고, 결과적으로 흡열기(10)가 냉각되게 되어, 제습 장치(52)의 제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압축기(7)에서 고온이 된 냉매는, 최초에, 방열기(8)의 상부(8a)측에 유입된다. 즉, 방열기(8)에 있어서, 상부(8a)는 방열기(8)의 다른 부분에 비해 온도가 높다. 이 온도가 비교적 높은 방열기(8)의 상부(8a)를 공기(Z)가 냉각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방열기(8)를 냉각할 수 있다. 그 결과, 방열기(8)가 냉각되고, 흡열기(10)가 냉각되게 되어, 제습 장치(52)의 제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압축기(7)에 의해 고온이 된 냉매는 가스화되기 때문에, 통상, 방열기(8)의 상부(8a)에 압축기(7)가 접속된다. 그리고, 방열기(8)에서의 냉각에 의해 냉매는 액화하여 연직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기(Z)는 상부(8a)를 통과시킴으로써, 방열기(8)의 냉각 효과를 높이고 있다. 그렇지만 구조상 반드시 상부(8a)가 압축기(7)와 접속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는, 방열기(8)가 구비하는, 압축기(7)측의 접속부와 팽창기(9)측의 접속부 중, 압축기(7)측의 접속부 근방에 공기(Z)를 통과시키면 좋다. 압축기(7)측의 접속부가 팽창기(9)측의 접속부보다 온도가 높기 때문에, 방열기(8)의 압축기(7)측의 접속부를 제 3 제습 경로가 통과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공기(Z)는 효과적으로 방열기(8)를 냉각할 수 있다.
또한, 공기(Z)가 추가되는 것에 의해, 전체의 공기량(공기(X)+공기(Y)+공기(Z)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Z)는 방열기(8)의 상부(8a)를 냉각하기 때문에, 공기 흡입구(2 또는 3)로부터 흡입되었을 때보다 공기 취출구(4)로부터 본체 케이스(1) 외부로 취출할 때에 온도가 상승한다.
이러한 결과, 제 1 실시형태의 구성과 비교하여, 보다 온도가 높고, 보다 습도가 낮으며, 보다 전체 공기량이 많은 공기가 공기 취출구(4)로부터 본체 케이스(1) 외부로 취출된다.
이 때문에, 제습 장치를 이용하여 거주 공간 등에서 의류를 건조시키는 경우 등에, 건조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11)의 제 2 통로를 흐르는 공기(Y)의 양은 열교환기(11)의 제 1 통로를 흐르는 공기(X)의 양보다 줄이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공기(Z)의 양은 열교환기(11)의 제 2 통로를 흐르는 공기(Y)의 양보다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공기(Z)의 통기 저항을 공기(Y)의 통기 저항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습에 기여하는 공기(X) 및 공기(Y)의 양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제습 장치의 제습 능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이어서, 도 9를 참조하면서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제습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습 장치(53)의 특징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구성에서의 열교환기(11)에 있어서, 그 제 2 통로의 상류측 개구부(18a)를 공기 흡입구(2)측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55)으로 한 점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 케이스(1) 내의 열교환기(11)의 상방에, 제습 장치(53)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의 회로 기판(61)을 마련하고 있다. 이 회로 기판(61)은 열교환기(11)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송풍기(6)에 의해 공기 흡입구(2)로부터 본체 케이스(1) 내에 흡입된 공기(Y)는, 회로 기판(61)과 열교환기(11)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통과하고, 제 2 통로의 상류측 개구부(18a)로부터 열교환기(11)에 유입된다. 그리고, 방열기(8), 송풍기(6)를 거쳐서 공기 취출구(4)로부터 본체 케이스(1) 외부로 취출된다. 한편, 송풍기(6)에 의해 공기 흡입구(3)로부터 본체 케이스(1) 내부에 흡입된 공기(X)는, 흡열기(10)를 통과하고, 제 1 통로의 상류측 개구부(17a)로부터 열교환기(11)에 유입된다. 그 후, 공기(X)는 하류측 개구부(17b)로부터 유출되고, 방열기(8), 송풍기(6)를 거쳐서 공기 취출구(4)로부터 본체 케이스(1) 외부로 취출된다. 이때, 열교환기(11)에서 공기(X)와 공기(Y) 사이에서 열교환이 실행되어, 제 2 통로에 결로가 생긴다.
여기서, 이 제 2 통로를 통과하는 공기(Y) 중 방열기(8)에 가까운 부분을 통과하는 공기는 열교환기(11)에 의한 냉각의 효과가 적기 때문에, 결로가 생기기 어렵다.
즉, 제 2 통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는 제 1 통로를 통과하는 공기이다. 그리고, 제 1 통로를 흐르는 공기(X)는 흡열기(10)측인 상류측 개구부(17a)로부터 열교환기(11)에 유입되고, 방열기(8)측인 하류측 개구부(17b)로부터 유출된다. 따라서, 우선 제 2 통로의 흡열기(10)에 가까운 부분을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하고, 그 후에, 제 2 통로의 방열기(8)에 가까운 부분을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한다.
그러므로, 제 1 통로를 흐르는 공기(X)는, 우선 제 2 통로의 흡열기(10)에 가까운 부분을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가열되고, 그 가열된 상태에서 제 2 통로의 방열기(8)에 가까운 부분을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하게 된다. 그에 의해, 제 2 통로의 방열기(8)에 가까운 부분을 통과하는 공기와의 온도차가 작아져, 열교환 속도가 느려진다. 열교환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냉각되기 어려워, 제 2 통로에서의 결로가 생기기 어려운 것이다.
또한, 공기 흡입구(2)로부터 도입된 공기(Y)는 열교환기(11)의 제 2 통로에 유입될 때에 흐름의 방향이 급격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제 2 통로에는 풍량의 편차가 생긴다.
즉, 본체 케이스(1)의 배면에 마련된 공기 흡입구(2)로부터 도입된 공기(Y)는 횡방향으로 흐르지만, 제 2 통로의 상류측 개구부(18a)는 종방향(연직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이 급격하게 굽혀진다. 이때, 관성에 의해 공기(Y)의 흐름에 편차가 생겨, 굽힘의 외측이 되는 제 2 통로의 방열기(8)에 가까운 부분에 보다 많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 2 통로의 방열기(8)에 가까운 부분에는 많은 공기가 흐르기 때문에, 이 공기를 이슬점 온도까지 냉각하여 결로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보다 많은 냉각 열량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통로의 방열기(8)에 가까운 부분을 통과하는 공기는 냉각되기 어렵기 때문에, 결로가 생기기 어렵다.
그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열교환기(11)의 상류측 개구부(18a)를 공기 흡입구(2)측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55)으로 하고 있으므로, 제 2 통로의 방열기(8)에 가까운 부분을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하기 쉬워지는 것이다. 그 세부사항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제 1 통로의 하류측 개구부(17b)의 장변 방향 길이를 방열기(8)의 상부(8a) 방향으로 연장한다. 연장한 후의 높이는 흡열기(10)의 하류 단부(도 9에 있어서의 흡열기(10)의 상방 단부)보다 높은 위치이면 좋다.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상류측 개구부(18a)는 공기 흡입구(2)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된다. 그러면, 제 2 통로의 방열기에 가까운 부분의 통과 길이가 길어져, 열교환기(11)를 통과하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온도차가 작고 열교환 속도가 느려도, 보다 장시간 열교환시킬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열교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열교환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제 2 통로의 방열기(8)에 가까운 부분을 흐르는 공기에 대한 냉각량이 증가하여, 결로의 생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통로의 하류측 개구부(17b)의 장변 방향 길이를 연장하고, 상류측 개구부(18a)를 공기 흡입구(2)측으로 경사지게 하고 있기 때문에, 제 2 통로의 흡열기(10)에 가까운 부분에도 유입되기 쉬워져, 풍량의 편차가 완화된다. 즉, 제 2 통로에서 흡열기(10)로부터 방열기(8)를 향하여, 제 2 통로의 통과 길이가 커져 통풍 압력 손실이 커지기 때문에, 방열기(8)에 가까운 부분에는 공기(Y)가 유입되기 어려워진다. 반대로, 흡열기(10)에 가까운 부분에 유입되기 쉬워지므로, 제 2 통로를 흐르는 풍량의 편차가 완화되는 것이다. 풍량의 편차의 완화에 의해, 제 2 통로의 방열기(8)에 가까운 부분을 흐르는 공기가 적어져, 이슬점 온도까지 냉각하기 위해서 필요한 냉각 열량이 줄어든다. 따라서, 제 2 통로의 방열기(8)에 가까운 부분을 흐르는 공기에 의한 결로 생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열교환기(11)의 제 2 통로의 방열기(8)에 가까운 부분을 흐르는 공기에 의한 결로 생성을 보다 증가시켜, 제습 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변형예)
또한, 상술한 4개의 실시형태에서는, 공기 흡입구를 2개로 나누어 구성한 예를 나타냈다. 그렇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통로를 통과하는 공기량의 배분은 각 통로의 공기 저항을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반드시 공기 흡입구를 2개로 분할할 필요는 없으며, 1개의 공기 흡입구로 해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공기 저항이 아닌 공기 흡입구의 개구 면적을 이용하여, 각 통로를 통과하는 공기량을 배분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공기량에 따른 복수의 공기 흡입구를 마련해도 좋다.
또한, 제 1 실시형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에 대해 기재를 하지 않지만, 제 2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제어부를 제 1 실시형태, 제 3 실시형태에 구비해도 좋다. 이 경우, 제어부는 압축기나 송풍기에 제어 명령을 송신함으로써, 제습 장치를 동작시킨다. 물론, 제 2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제어부를 제 4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제어부에 조합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4개의 실시형태는, 모순이 없는 범위에서 동시에 실시해도 좋다. 예컨대 공기 유량 조정부와 제 3 제습 경로를 마련한 제습 장치를 제공하는 것 등이 이에 해당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열교환기 부분에서도 결로를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습 효과가 높은 제습 장치로서 매우 유용한 것이다.
1: 본체 케이스 2, 3: 공기 흡입구
4: 공기 취출구 5: 제습부
6: 송풍기 7: 압축기
8: 방열기 8a: 상부
9: 팽창기 10: 흡열기
11: 열교환기 12a: 집수부
12b: 집수 탱크 13, 14: 판체
13a: 종향 풍로(제 2 통로) 14a: 횡향 풍로(제 1 통로)
15, 16: 리브 17, 18: 개구부
17a, 18a: 상류측 개구부 17b, 18b: 하류측 개구부
19: 개폐부 20: 구동부
21: 제어부 22: 제 1 온도 센서
23: 제 2 온도 센서 24: 메모리
25: 조작부 31: 루버
32: 모터 33: 팬
34: 공기 통로 50, 51, 52, 53: 제습 장치

Claims (16)

  1. 공기 흡입구와 공기 취출구를 갖는 본체 케이스와,
    압축기와 방열기와 팽창기와 흡열기를 순차적으로 연결한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상기 본체 케이스 내의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부와,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본체 케이스 외부의 공기를, 상기 제습부를 통과시킨 후에 상기 공기 취출구로부터 본체 케이스 외부로 취출하는 송풍기와,
    제 1 통로와 상기 제 1 통로와는 독립된 제 2 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통로를 흐르는 공기와 제 2 통로를 흐르는 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송풍기에 의해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본체 케이스 내에 흡입된 공기의 일부분을, 상기 흡열기, 상기 열교환기의 제 1 통로, 상기 방열기를 거쳐서 상기 공기 취출구로부터 상기 본체 케이스 외부로 취출하는 제 1 제습 경로와,
    상기 송풍기에 의해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본체 케이스 내에 흡입된 공기의 다른 부분을, 상기 열교환기의 제 2 통로, 상기 방열기를 거쳐서 상기 공기 취출구로부터 상기 본체 케이스 외부로 취출하는 제 2 제습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기의 상기 제 2 통로를 흐르는 공기량은 상기 열교환기의 제 1 통로를 흐르는 공기량보다 줄이는 구성으로 한
    제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제 2 통로의 통기 저항이 상기 제 1 통로의 통기 저항보다 큰 구성으로 한
    제습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제 1 통로와 상기 제 2 통로가 교차하는 구성으로 한
    제습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직방체 형상이며, 대향하는 장변에 제 1 통로용의 개구부를 마련하는 동시에, 대향하는 단변에 제 2 통로용의 개구부를 마련한
    제습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로용의 하류측 개구부는 상기 방열기측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한
    제습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로용의 상류측 개구부는 공기 흡입구측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한
    제습 장치.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공기 취출구로의 공기 통로의 공기 흡입구측에, 상기 흡열기를 마련하고, 이어서, 상기 열교환기를 마련하고, 이어서, 상기 방열기를 마련한
    제습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 내의 상기 흡열기 및 상기 열교환기의 하방에 집수부를 마련한
    제습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로를 흐르는 공기를 증감시키는 공기 유량 조정부를 마련한
    제습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량 조정부는, 상기 제 2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를 구동하는 구동부에 의해 구성한
    제습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제 2 통로 사이에 배치한
    제습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송풍기와, 상기 압축기와, 상기 공기 흡입구에 들어가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 1 온도 센서와,
    상기 제 1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제 1 설정 온도 이하가 되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개폐부를 폐쇄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
    제습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 2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상기 제 1 설정 온도 이하가 되면, 상기 개폐부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의 제 2 통로 형상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송풍기와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고,
    상기 제 2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제 2 설정 온도 이하가 되면, 상기 개폐부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의 제 2 통로 형상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송풍기를 구동하고 상기 압축기를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한
    제습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에 의해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본체 케이스 내에 흡입된 공기의 또 하나의 부분을, 상기 흡열기 및 상기 열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방열기를 거쳐서 상기 공기 취출구로부터 상기 본체 케이스 외부로 취출하는 제 3 제습 경로를 구비한
    제습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제습 경로를, 방열기의 압축기측의 접속부를 통과시키는 구성으로 한
    제습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제습 경로를 흐르는 공기량은 상기 제 2 통로를 흐르는 공기량보다 줄이는 구성으로 한
    제습 장치.
KR1020177005334A 2014-08-29 2015-07-29 제습 장치 KR201700483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75258 2014-08-29
JPJP-P-2014-175258 2014-08-29
JPJP-P-2014-196571 2014-09-26
JP2014196571 2014-09-26
JPJP-P-2014-241072 2014-11-28
JP2014241072 2014-11-28
PCT/JP2015/003808 WO2016031139A1 (ja) 2014-08-29 2015-07-29 除湿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365A true KR20170048365A (ko) 2017-05-08

Family

ID=55399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5334A KR20170048365A (ko) 2014-08-29 2015-07-29 제습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6754948B2 (ko)
KR (1) KR20170048365A (ko)
CN (1) CN106605106B (ko)
TW (1) TWI674382B (ko)
WO (1) WO20160311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6519A (ko) * 2021-03-09 2022-09-16 주식회사 아이콘 제습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51498B (zh) * 2017-02-23 2019-02-21 日商三菱電機股份有限公司 除濕機
CN110290851A (zh) * 2017-02-23 2019-09-27 三菱电机株式会社 除湿机
WO2019077744A1 (ja) * 2017-10-20 2019-04-2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6653431B1 (ja) * 2019-06-27 2020-02-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JP7285410B2 (ja) * 2019-01-25 2023-06-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JP7429835B2 (ja) * 2019-03-26 2024-02-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調湿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JP7285409B2 (ja) * 2019-01-17 2023-06-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CN113167490B (zh) * 2018-12-14 2023-04-1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带除湿功能的热交换型换气装置
JP6653428B1 (ja) * 2018-12-14 2020-02-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JP2020121247A (ja) * 2019-01-29 2020-08-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装置
JP7308385B2 (ja) * 2019-03-15 2023-07-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装置
JP7308386B2 (ja) * 2019-03-15 2023-07-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装置
JP2021036178A (ja) * 2019-08-30 2021-03-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JP7352773B2 (ja) * 2019-09-17 2023-09-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JP7291876B2 (ja) * 2019-12-23 2023-06-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装置
JP7194882B2 (ja) * 2019-12-23 2022-12-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JP7129603B2 (ja) * 2019-12-23 2022-09-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0628U (ko) * 1979-07-24 1981-02-24
JPS5746734U (ko) * 1980-08-29 1982-03-15
JPH09296952A (ja) * 1996-05-07 1997-1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装置
US6711907B2 (en) * 2001-02-28 2004-03-30 Munters Corporation Desiccant refrigerant dehumidifier systems
JP2002286269A (ja) * 2001-03-23 2002-10-03 Misawa Homes Co Ltd 換気ユニットおよび換気システム
JP4391116B2 (ja) * 2003-04-10 2009-12-24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換気装置
JP5655310B2 (ja) * 2010-01-19 2015-01-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装置
EP2781846A4 (en) * 2011-11-16 2015-07-29 Panasonic Ip Man Co Ltd AIR AND EXHAUST
CN103968475B (zh) * 2013-01-24 2020-10-02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除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6519A (ko) * 2021-03-09 2022-09-16 주식회사 아이콘 제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6031139A1 (ja) 2017-06-15
CN106605106A (zh) 2017-04-26
CN106605106B (zh) 2020-01-17
JP6754948B2 (ja) 2020-09-16
TW201616061A (zh) 2016-05-01
TWI674382B (zh) 2019-10-11
JP2020116580A (ja) 2020-08-06
WO2016031139A1 (ja)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8365A (ko) 제습 장치
JP6317030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3376229B (zh) 环境试验装置
US20140230475A1 (en) Humidity control apparatus
KR20150067918A (ko) 제습기
WO2004029519A1 (ja) 空気調和機
KR101476437B1 (ko) 공조장치, 공조장치의 베인제어장치, 및 공조장치의베인제어방법
CN108474581B (zh) 空调***
JP6307701B2 (ja) 除湿装置
JP2017155953A (ja) 空気調和装置
JP5180688B2 (ja) 恒温恒湿装置
JP6222165B2 (ja) 調湿装置
JP6848956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7308385B2 (ja) 除湿装置
JP6846591B2 (ja) 除湿装置
JP6561313B2 (ja) 熱交換素子を用いた熱交換形換気装置
JP5104230B2 (ja) 空気調和機
KR102436120B1 (ko) 토출공기의 온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제습기
JP4742601B2 (ja) 空気調和機
JP6490274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8474582B (zh) 空调***
JP5195135B2 (ja) 空気調和機
JP659288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CN107543251A (zh) 室内机
CN116857776A (zh) 控制方法和空调室内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