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3992A - 덮개 및 시트체 수용 패키지 - Google Patents

덮개 및 시트체 수용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3992A
KR20170023992A KR1020177001720A KR20177001720A KR20170023992A KR 20170023992 A KR20170023992 A KR 20170023992A KR 1020177001720 A KR1020177001720 A KR 1020177001720A KR 20177001720 A KR20177001720 A KR 20177001720A KR 20170023992 A KR20170023992 A KR 20170023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base
lid
quo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1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시 반도우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23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9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33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 B65D75/5838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combined with separate fixed tearing means, e.g. t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3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lled out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덮개(B100)와 수용부(C400)를 갖는 시트체 수용 패키지로서, 덮개(B100)는 기부 개구(B300)를 갖는 기부(B200)와, 피복부(B400)와, 접착 영역(B500)을 가지며, 기부(B200)는 기부 개구(B300)를 포함하는 영역인 제1 영역(B211)과, 제1 영역(B211)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인 제2 영역(B212)을 가지며, 제2 영역(B212)은 다른 부분보다도 강도가 낮게 구성된 취약부(B600)를 갖는 것인 시트체 수용 패키지에 관한 것이며, 덮개 및 시트체 수용 패키지에 관한 한층 더 합리적인 구축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덮개 및 시트체 수용 패키지{LID AND SHEET HOUSING PACKAGE}
본 발명은, 시트체의 수용 용기에 부착하기 위한 덮개에 관한 것이며, 또한, 덮개와 시트체의 수용 용기를 갖는 시트체 수용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시트체를 수용하기 위한 가요성의 수용 용기에 사용하는 덮개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70056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의 덮개는, 경질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고 점착제를 갖고 있었다. 사용자는, 사용시에는, 우선 덮개를 점착제에 의해 수용 용기에 고정하고, 시트체가 없어진 경우는, 덮개를 수용 용기로부터 박리하고 있었다. 그리고, 다른 수용 용기에, 덮개를 재차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수용 용기는 가요성을 갖기 때문에, 시트체의 매수가 감소함에 따라 형상이 변화하고 있었다. 즉, 덮개가 접착되어 있는 수용 용기의 영역이 변형되기 때문에, 덮개가 박리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70056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시트체의 수용 용기에 사용하는 덮개, 및 덮개와 시트체의 수용 용기를 갖는 시트체 수용 패키지에 관한 한층 더 합리적인 구축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덮개는, 시트체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수용부에 수용된 시트체를 취출하기 위한 용기 개구가 형성되고 가요성을 갖는 용기 본체에 접착되는 덮개이다. 그리고, 덮개는, 제1 면과, 제1 면과는 반대측 면인 제2 면과, 기부 개구를 갖는 기부와, 제1 면으로부터 기부 개구를 피복 가능한 피복부와, 제2 면에 형성된 접착 영역을 갖는다. 기부는, 기부 개구를 포함하는 영역인 제1 영역과, 제1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인 제2 영역을 갖는다. 제2 영역은, 다른 부분보다도 강도가 낮게 구성된 취약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덮개는,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제2 영역이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요성을 갖는 용기 본체의 변형에 추종하여 취약부가 변형되기 때문에, 덮개와 용기 본체의 박리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덮개에 있어서의 해결 수단의 일 양태로서, 취약부는, 제2 영역에 형성된 슬릿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덮개에 있어서의 해결 수단의 일 양태로서, 슬릿은, 복수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해, 취약부는, 보다 복잡한 형상을 갖는 용기 본체의 변형에 대하여, 추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덮개에 있어서의 해결 수단의 일 양태로서, 슬릿은, 상기 슬릿에 대한 접선이 복수 형성되는 형상으로써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덮개에 있어서의 해결 수단의 일 양태로서, 슬릿은, 직선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덮개에 있어서의 해결 수단의 일 양태로서, 접착 영역은, 제2 영역에 배치된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다. 취약부는, 기부에 형성된 제1 취약부와, 접착제에 형성된 제2 취약부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본 양태에 따른 덮개에 의하면, 용기 본체에 접착하는 제2 취약부와, 제2 취약부와 일체화하고 있는 제1 취약부에 의해 취약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취약부는, 용기 본체의 변형에 따라 보다 추종하기 쉬운 구성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덮개에 있어서의 해결 수단의 일 양태로서, 덮개는, 길이 방향과,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길이 교차 방향과, 길이 방향과 길이 교차 방향의 쌍방에 교차하는 방향인 두께 방향을 규정한다. 그리고, 취약부는, 제2 영역에 있어서의 다른 부분보다도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짧은 영역에 의해 형성된다.
본 양태에 따른 덮개에 의해서도,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짧은 영역」에 의해, 제2 영역을 변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제2 영역은, 취약부에 의해, 용기 본체의 변형에 추종하여 변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체 수용 패키지에 있어서의 해결 수단의 일 양태로서, 시트체 수용 패키지는, 시트체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수용부에 수용된 시트체를 취출하기 위한 용기 개구가 형성되고 가요성을 갖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에 접착되는 덮개를 갖는다.
덮개는, 제1 면과, 제1 면과는 반대측 면인 제2 면과, 용기 개구로부터 취출된 시트체를 삽입 통과하기 위한 기부 개구를 갖는 기부와, 제1 면으로부터 기부 개구를 피복 가능한 피복부와, 제2 면에 형성된 접착 영역을 갖는다.
기부는, 기부 개구를 포함하는 영역인 제1 영역과, 제1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인 제2 영역을 갖는다.
제2 영역은, 다른 부분보다도 강도가 낮게 구성된 취약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체 수용 패키지는,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덮개의 제2 영역이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요성을 갖는 용기 본체의 변형에 추종하여 취약부가 변형되기 때문에, 덮개와 용기 본체의 박리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체의 수용 용기에 사용하는 덮개 및 덮개와 시트체의 수용 용기를 갖는 시트체 수용 패키지에 관한 한층 더 합리적인 구축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체 수용 패키지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덮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기부 개구의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I-I 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덮개의 동작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II-II 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취약부의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취약부의 동작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덮개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덮개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덮개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취약부의 설명도이다.
(시트체 수용 패키지의 기본 구성)
도 1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트체 수용 패키지(A100)의 기본 구성을 설명한다. 시트체 수용 패키지(A100)는, 수용 용기(C100)와, 덮개(B100)에 의해 구성된다. 덮개(B100)는, 수용 용기(C100)에 박리 가능하게 접착된다. 즉, 예컨대 수용 용기(C100)에 수용된 시트체(E100)가 없어진 경우, 덮개(B100)를 수용 용기(C100)로부터 박리하여, 새로운 수용 용기(C100)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덮개(B100)는, 제1 실시형태로서 도 2∼도 8에 따른 덮개(B101)가, 제2 실시형태로서 도 9에 따른 덮개(B102)가, 제3 실시형태로서 도 10에 따른 덮개(B103)가, 제4 실시형태로서 도 11 및 도 12에 따른 덮개(B104)가 각각 도시된다.
이 시트체 수용 패키지(A100)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체 수용 패키지」의 일례이고, 덮개(B100, B101, B102, B103 및 B104)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의 일례이며, 수용 용기(C100)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본체」의 일례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용기(C100)는, 시트체(D100)를 수용하는 수용부(C400)를 갖는다. 이 시트체(D100)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체」의 일례이고, 수용부(C400)가 본 발명에 따른 「수용부」의 일례이다. 또한, 수용체(C100)의 표면부(C210)에는, 시트체(D100)를 취출하기 위한 용기 개구(C300)가 형성된다. 이 용기 개구(C300)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개구」의 일례이다.
시트체(D100)는, 섬유 재료를 시트형으로 형성한 티슈 페이퍼나 부직포 등에 약제, 화장수나 알코올 등의 액체를 함침시킨 여러 가지 웨트 티슈에 의해 구성된다. 편의상, 도 1에서는 생략하지만, 시트체(D100)는 복수매가 적층된다. 이 때, 시트체(D100)는, 인접하는 시트체(D100)의 단부가 겹치도록 접혀져 있고, 1장의 시트체(D100)를 수용 용기(C100)로부터 취출한 경우에, 다음 시트체(D100)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용기(C100)의 외곽부(C200)는 필름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가요성을 갖는다. 필름은, 가열함으로써 융착 가능한 필름(「열융착 필름」이라고 함)에 의해 형성된다. 열융착 필름으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에 의해 형성된 보호층,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된 습윤 유지층(건조 방지층),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의해 형성된 열융착층(히트 시일층)이 적층된 적층 필름(라미네이트 필름) 등이 이용된다. 이 필름은 방습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시트체(D100)에 함침된 액체가, 외곽부(C200)를 통해 증발되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수용 용기(C100)는, 길이 방향(C100y)과, 상기 길이 방향(C100y)과 교차하는 방향인 길이 교차 방향(C100x)과, 길이 방향(C100y)과 길이 교차 방향(C100x)의 쌍방에 교차하는 방향인 두께 방향(C100z)을 규정한다.
덮개는, 길이 방향(B100y)과, 상기 길이 방향(B100y)와 교차하는 방향인 길이 교차 방향(B100x)과, 길이 방향(B100y)과 길이 교차 방향(B100x)의 쌍방에 교차하는 방향인 두께 방향(B100z)을 규정한다.
또한, 수용 용기(C100) 혹은 덮개(B100)가 정방형이나 원형이었을 경우에는, 각각의 길이 방향(C100y, B100y)은, 임의의 방향이 된다.
덮개(B100)는, 기밀성의 확보라는 의미에서,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이나 진공 성형(vacuum molding)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출 성형의 경우에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진공 성형의 경우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비정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PET)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덮개(B100)에는, 취약부(B600)가 형성되지만, 덮개(B100)의 상세한 구조에 있어서는, 도 2∼도 12에 기재된 제1 실시형태∼제4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후술한다. 이 때, 덮개(B100), 수용 용기(C100) 및 시트체(D100)의 구성에 있어서는, 각 실시형태에 공통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도 2∼도 8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덮개(B101) 및 시트체 수용 패키지(A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덮개(B101)의 평면도이다. 덮개(B101)는, 기부(B200)와, 상기 기부(B200)에 형성되는 기부 개구(B300)와, 상기 기부 개구(B300)를 피복 가능한 피복부(C400)를 갖는다. 또한, 도 2는 기부 개구(B300)를 피복부(C400)가 피복한 상태를 나타낸다. 기부 개구(B300)의 구성은 후술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부(B200)는 접착부(B500)를 갖는다. 이 기부(B200)가 본 발명에 따른 「기부」의 일례이고, 기부 개구(B300)가 본 발명에 따른 「기부 개구」의 일례이며, 피복부(B400)가 본 발명에 따른 「피복부」의 일례이고, 접착부(B500)가 본 발명에 따른 「접착부」의 일례이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부(B200)는, 기부 제1 면(B210)과, 상기 기부 제1 면(B210)과는 반대측 면인 기부 제2 면(B220)을 갖는다. 이 기부 제1 면(B210)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면」의 일례이고, 이 기부 제2 면(B220)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면」의 일례이다. 피복부(B400)는, 기부 제1 면(B210)으로부터 기부 개구(B300)를 피복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피복부(C400)를 생략한 설명도이다. 기부 개구(B300)는, 기부(B200)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용기 개구(C300)로부터 취출된 시트(D100)가 삽입 통과되도록 구성된다. 기부 개구(B300)의 주변 영역으로부터 기부 개구(B300)의 내측 방향을 향해 손톱부(B310)가 형성되어 있다. 손톱부(B310)는, 시트체(D100)가 기부 개구(B300)를 통과할 때에, 시트체(D100)에 대하여 소정의 마찰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기부(B200)는, 기부 개구(B300)를 포함하는 영역인 제1 영역(B211)과, 제1 영역(B211)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인 제2 영역(B212)을 갖는다. 이 제1 영역(B211)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영역」의 일례이고, 이 제2 영역(B212)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영역」의 일례이다. 또한, 제1 영역(B211)과 제2 영역(B212)은, 제1 걸림부(B230)를 경계로 한다.
제2 영역(B212)에는, 상기 제2 영역(B212)에 있어서의 다른 영역보다도 강도가 낮게 형성된 취약부(B600)가 형성된다. 취약부(B6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 취약부(B600)가 본 발명에 따른 「취약부」의 일례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I-I 선 단면도이다. 기부(B200)에는 제1 걸림부(B230)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걸림부(B230)는, 제1 영역(B211) 및 제2 영역(B212)에 대하여 돌출하는 영역에서 형성된다. 제1 걸림부(B230)와, 피복부(B400)의 주연부 영역에 형성된 제2 걸림부(B430)는 걸림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제1 걸림부(B230)와 제2 걸림부(B430)가 걸려져 있는 상태는, 피복부(B400)가 기부 개구(B300)를 피복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를, 덮개(B101)가 「폐쇄된」 상태라고 부른다. 한편, 제1 걸림부(B230)와 제2 걸림부(B430)가 걸림을 해제하고 있는 상태는, 피복부(B400)가 기부 개구(B300)를 피복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를, 덮개(B101)가 「개방된」 상태라고 부른다. 도 4는 덮개(B101)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5는 덮개(B101)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덮개(B101)를 「폐쇄된」 상태로 함으로써, 시트체(D100)의 건조를 방지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덮개(B101)를 「개방된」 상태로 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수용부(C400)의 시트체(D100)를, 용기 개구(C300) 및 기부 개구(B300)를 통해 취출할 수 있다.
덮개(B101)가 「폐쇄된」 상태에서, 피복부(B400)에 있어서의 기부 개구(B300)와 마주보는 면을 피복 제1 면(B410)이라고 부른다. 피복부(B400)에 있어서의 피복 제1 면(B410)과는 반대측 면을, 피복 제2 면(B420)으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걸림부(B430)의 일방측에는, 사용자에게 파지되는 손잡이부(B450)가 형성된다. 또한, 제2 걸림부(B430)의 손잡이부(B450)와는 반대측에는, 제2 걸림부(B430)와 기부(B200)를 연속하는 힌지부(B440)가 형성된다.
또한, 기부 제2 면(B220)은, 수용 용기(C100)의 표면부(C210)에 대하여 박리 가능하게 접착되는 접착 영역(B500)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덮개(B101)는 수용 용기(C10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된다. 이 접착 영역(B500)이, 본 발명에 따른 「접착 영역」의 일례이다.
접착 영역(B500)은, 아크릴계나 고무계의 점착제에 의해 형성된다. 한편, 점착제로는, 점착성을 갖는 수지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접착 영역(B500)은, 기부 제2 면(B220)과 수용 용기(C100)의 표면부(C210)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면 되는 것이다. 즉, 기부 제2 면(B220)에 점착제를 배치하지 않고, 용기 개구(C300)의 주변 영역에 점착제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용기 개구(C300)의 점착제에 접착되는 기부 제2 면(B220)의 영역이, 접착 영역(B500)을 형성한다.
(취약부의 구성)
다음에, 도 6 및 도 7에 기초하여, 취약부(B6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2에 있어서의 II-II 선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취약부(B600)를 확대한 설명도이다.
취약부(B600)는, 기부(B200)의 제2 영역(B212)에 형성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취약부(B600)는, 슬릿(B610)에 의해 형성된다. 이 슬릿(B610)이, 본 발명에 따른 「슬릿」의 일례이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슬릿(B610)은 복수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슬릿(B610)을 복수개 형성한 경우, 취약부(B600)는, 한 쌍의 슬릿(B610)과, 상기 한 쌍의 슬릿(B610) 사이에 형성되는 분단 영역(B213)에 의해 형성된다고 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B610)은, 기부(B200)와 접착 영역(B50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 결과, 취약부(B600)는, 기부(B200)에 형성된 제1 취약부(B611)와, 접착 영역(B500)에 형성된 제2 취약부(B612)에 의해 형성된다. 이 제1 취약부(B611)가, 본 발명에 따른 「제1 취약부」의 일례이고, 제2 취약부(B612)가, 본 발명에 따른 「제2 취약부」의 일례이다.
두께 방향(B100z)에 있어서, 분단 영역(B213)은, 제1 취약부(B611)와 제2 취약부(B612)에 의해 형성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취약부(B6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교차 방향(B100x)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때, 「길이 교차 방향(B100x)에 걸쳐 형성된다」란, 길이 교차 방향(B100x)과 평행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길이 교차 방향(B100x)의 방향으로 연장되면 되는 것이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취약부(B600)는,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취약부(B600)에 대하여 접선을 형성한 경우, 상기 접선은 복수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취약부(B600)의 중심 영역이, 제1 영역(B211)으로부터 제2 영역(B212)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이 된다.
(취약부의 동작)
다음에, 도 8에 기초하여 취약부(B600)의 동작에 대해 설명을 행한다. 사용자는, 우선, 신품의 용기 본체(C100)에 대하여, 덮개(B101)를 부착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용기 개구(C300)와 기부 개구(B300)의 위치 맞춤을 행함과 더불어, 접착 영역(B500)을 표면부(C210)에 접착한다. 이 때, 표면부(C210)는 대략 평탄한 형상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덮개(B101)를 용이하게 용기 본체(C100)에 접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시트체(D100)를 용기 본체(C100)로부터, 기부 개구(B300)를 통해 취출한다. 시트체(D100)의 잔여 매수가 적어짐에 따라, 용기 본체(C100)의 외곽부(C200)(표면부(C210))는 변형된다. 도 8은 상기 표면부(C210)가 변형을 행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라도, 분단 영역(B213)에 있어서의 제2 취약부(B612)는, 표면부(C210)에 접착되어 있다. 즉, 분단 영역(B213)은, 한 쌍의 슬릿(B610) 사이에 끼워진 영역이기 때문에, 가동할 수 있다. 따라서, 취약부(B600)는, 표면부(C210)의 변형에 추종하여 변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제2 영역(B212)은, 취약부(B600)에 의해, 표면부(C210)의 변형에 추종하여 변형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제1 형태에 있어서는, 덮개(B101)와 용기 본체(C100)가 박리되기 어려운 구조가 된다.
또한, 취약부(B600P)에서는, 미사용 상태의 수용 용기(C100)에 대하여 기부(B200)를 접착한 위치로부터, 제2 영역(B212)의 길이 방향(B100y) 단부가, 두께 방향(100z)에 있어서 2 ㎜ 이상 변화된 경우에 있어서도, 제2 영역(B212)과 표면부(C210)를 박리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접착 영역(B500)의 접착 강도나, 제2 영역(B212)의 강성에 의존하는 것이다. 그리고, 원하는 취약부(B600)를 얻기 위해서, 슬릿(610)의 수, 슬릿(610)의 형상, 또는 인접한 슬릿(610)끼리의 간격이 적절하게 선택된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를, 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덮개(B10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덮개(B101)와 비교하여 슬릿(B610)의 배치 형태가 상이하다. 즉,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덮개(B102)의 슬릿(B610)은, 기부(B200)에 형성된 4개의 각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취약부(B600)는, 기부(B200)에 있어서의 각부의 주변 영역에 대한 변형에, 보다 추종하기 쉬운 구성이 된다.
(제3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형태를,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덮개(B103)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덮개(B101)와 비교하여 슬릿(B610)의 형상이 상이하다. 즉,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덮개(B103)의 슬릿(B610)은, 길이 교차 방향(B100x)과 평행한 형상이다. 즉, 덮개(B103)의 슬릿(B610)은,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취약부(B600)는, 직선형의 슬릿(B610) 사이에 형성된 분단 영역(B213)을 가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실시형태의 취약부 (B600)는, 제1 실시형태의 취약부(B600)와 마찬가지로, 수용 용기(C100)의 표면부(C210)의 변형에 추종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 형태를, 도 11 및 도 1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덮개(B10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덮개(B101)와 비교하여 취약부(B600)의 구성이 상이하다.
즉,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취약부(B600)는, 기부(B200)의 제2 영역(B2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취약부(B600)는, 제2 영역(B212)에 있어서의 다른 부분보다도 두께 방향(B100z)에 있어서의 길이가 짧은 영역에 의해 형성된다. 환언하면, 취약부(B600)는, 제2 영역(B212)에 있어서의 다른 부분보다도 「두께가 얇은」 영역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취약부(B600)는, 제2 영역(B212)에 형성된 테이퍼부(B620)에 의해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특히 테이퍼부(B620)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B100z)에 있어서의 길이가, 다른 영역보다도 짧은 영역」이 변형 가능해진다. 따라서, 제4 실시형태의 취약부(B600)는, 제1 실시형태의 취약부(B600)와 마찬가지로, 수용 용기(C100)의 표면부(C210)의 변형에 추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덮개 및 시트체 수용 패키지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기재한 구성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또 다른 구성의 변형예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실시형태를 조합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형태 내지 실시예 본 발명의 각 구성 요소의 대응에 대해서)
시트체 수용 패키지(A100)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체 수용 패키지」의 일례이다. 덮개(B100, B101, B102, B103 및 B104)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의 일례이다. 수용 용기(C100)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본체」의 일례이다. 시트체(D100)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체」의 일례이다. 수용부(C400)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부」의 일례이다. 용기 개구(C300)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개구」의 일례이다. 기부(B200)는, 본 발명에 따른 「기부」의 일례이다. 기부 개구(B300)는, 본 발명에 따른 「기부 개구」의 일례이다. 피복부(B400)는, 본 발명에 따른 「피복부」의 일례이다. 접착부(B500)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부」의 일례이다. 기부 제1 면(B2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면」의 일례이다. 기부 제2 면(B22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면」의 일례이다. 제1 영역(B2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영역」의 일례이다. 제2 영역(B212)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영역」의 일례이다. 취약부(B600)는, 본 발명에 따른 「취약부」의 일례이다. 접착 영역(B50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 영역」의 일례이다. 슬릿(B610)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릿」의 일례이다. 제1 취약부(B611)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취약부」의 일례이다. 제2 취약부(B6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취약부」의 일례이다.
A100 : 시트체 수용 패키지
B100, B101, B102, B103, B104 : 덮개
B100x : 길이 교차 방향
B100y : 길이 방향
B100z : 두께 방향
B200 : 기부
B210 : 기부 제1 면(제1 면)
B211 : 제1 영역
B212 : 제2 영역
B213 : 분단 영역
B220 : 기부 제2 면(제2 면)
B230 : 제1 걸림부
B300 : 기부 개구
B310 : 손톱부
B400 : 피복부
B410 : 피복 제1 면
B420 : 피복 제2 면
B430 : 제2 걸림부
B440 : 힌지부
B450 : 손잡이부
B500 : 접착 영역
B600 : 취약부
B610 : 절입
B611 : 제1 취약부
B612 : 제2 취약부
B620 : 테이퍼부
C100 : 수용 용기(용기 본체)
C100x : 길이 교차 방향
C100y : 길이 방향
C100z : 두께 방향
C200 : 외곽부
C210 : 표면부
C300 : 용기 개구
C400 : 수용부
D100 : 시트체

Claims (8)

  1. 시트체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시트체를 취출하기 위한 용기 개구가 형성되고 가요성을 갖는 용기 본체에 접착되는 덮개로서,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는 반대측 면인 제2 면과, 기부 개구를 갖는 기부와,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기부 개구를 피복 가능한 피복부와,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접착 영역을 가지며,
    상기 기부는 상기 기부 개구를 포함하는 영역인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인 제2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2 영역은 다른 부분보다도 강도가 낮게 구성된 취약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된 슬릿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슬릿에 대한 접선이 복수 형성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직선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된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취약부는 상기 기부에 형성된 제1 취약부와, 상기 접착제에 형성된 제2 취약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길이 방향과,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길이 교차 방향과, 상기 길이 방향과 상기 길이 교차 방향의 쌍방에 교차하는 방향인 두께 방향을 규정하고,
    상기 취약부는 상기 제2 영역에 있어서의 다른 부분보다도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짧은 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
  8. 시트체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시트체를 취출하기 위한 용기 개구가 형성되고 가요성을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에 접착되는 덮개를 갖는 시트체 수용 패키지로서,
    상기 덮개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는 반대측 면인 제2 면과, 상기 용기 개구로부터 취출된 상기 시트체를 삽입 통과하기 위한 기부 개구를 갖는 기부와,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기부 개구를 피복 가능한 피복부와,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접착 영역을 가지며,
    상기 기부는 상기 기부 개구를 포함하는 영역인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인 제2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2 영역은 다른 부분보다도 강도가 낮게 구성된 취약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체 수용 패키지.
KR1020177001720A 2014-06-23 2015-06-17 덮개 및 시트체 수용 패키지 KR201700239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28540 2014-06-23
JP2014128540A JP6506920B2 (ja) 2014-06-23 2014-06-23 蓋体およびシート体収容パッケージ
PCT/JP2015/067527 WO2015198951A1 (ja) 2014-06-23 2015-06-17 蓋体およびシート体収容パッケー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992A true KR20170023992A (ko) 2017-03-06

Family

ID=54938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1720A KR20170023992A (ko) 2014-06-23 2015-06-17 덮개 및 시트체 수용 패키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506920B2 (ko)
KR (1) KR20170023992A (ko)
CN (1) CN106660687B (ko)
MY (1) MY180610A (ko)
WO (1) WO201519895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0056A (ja) 1997-08-29 1999-03-16 Kureshia:Kk 着脱自在蓋付ウェットティシュー包装袋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9752U (ja) * 1998-12-10 1999-07-13 憲司 中村 シート状開閉蓋を有する包装体
JP4456943B2 (ja) * 2004-06-23 2010-04-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易開封性包装体
CN201313705Y (zh) * 2008-12-17 2009-09-23 蔡世军 一种湿巾盒
JP2010173649A (ja) * 2009-01-27 2010-08-12 Kenji Fujimaki 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JP6157826B2 (ja) * 2012-09-28 2017-07-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包装体
JP6178061B2 (ja) * 2012-09-28 2017-08-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包装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0056A (ja) 1997-08-29 1999-03-16 Kureshia:Kk 着脱自在蓋付ウェットティシュー包装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80610A (en) 2020-12-03
CN106660687A (zh) 2017-05-10
WO2015198951A1 (ja) 2015-12-30
JP2016008057A (ja) 2016-01-18
JP6506920B2 (ja) 2019-04-24
CN106660687B (zh) 201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48857A1 (en) Package
WO2010001904A1 (ja) 包装体
DK2486820T3 (en) Artificial nail or tip device and method of making it
EP2832659B1 (en) Container, container package
WO2012137965A1 (ja) 密閉ラベルおよび包装容器
JP6600181B2 (ja) 薬液付き塗布具
WO2015050128A1 (ja) 密閉ラベルおよび包装容器
EP2832660B1 (en) Container, container package
KR20170023992A (ko) 덮개 및 시트체 수용 패키지
JP2014061948A (ja) 包装体
KR200492944Y1 (ko) 분리가 용이한 밴드 구조체
KR102484823B1 (ko) 시트체 수용 용기 및 시트체 수용 패키지
JP2008120450A (ja) 塗布器具包装体
JP6429365B2 (ja) 蓋体およびシート体収容パッケージ
JP6650321B2 (ja) 薬剤容器
JP6297881B2 (ja) 包装体用蓋体及び包装体
JP5878503B2 (ja) 包装体、および包装体パッケージ
JP2016199281A (ja) 塗布具
JP6311916B2 (ja) 包装体
JP2007244599A (ja) あぶらとり紙収納用ケース
CN104334470B (zh) 包装体
JPH081620U (ja) 包装容器
JP2008220394A (ja) 救急絆創膏包装体
JP2007153432A (ja) 液浸材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