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9292A - Backshee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ackshee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9292A
KR20170009292A KR1020150101099A KR20150101099A KR20170009292A KR 20170009292 A KR20170009292 A KR 20170009292A KR 1020150101099 A KR1020150101099 A KR 1020150101099A KR 20150101099 A KR20150101099 A KR 20150101099A KR 20170009292 A KR20170009292 A KR 20170009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luororesin
backsheet
polyolefin
extrusion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0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효순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01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9292A/en
Publication of KR20170009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29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81Encapsulation of modul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encapsulation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back sheet,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photovoltaic module compri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excellent reliability and adhesion force to heat-resistant and/or humidity-resistant conditions to provide a back sheet with improved weather resistance and durability. The back sheet can be applied to, for example, a photovoltaic module or the like.

Description

이면 시트 및 그 제조방법{Backshee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 sheet,

본 출원은 이면시트, 이면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cksheet and a backsheet, and a photovoltaic module including the same.

지구 환경 문제와 화석 연료의 고갈 등에 따른 신 재생 에너지 및 청정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그 중 태양광 에너지는 환경 오염 문제 및 화석 연료 고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표적인 무공해 에너지원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renewable energy and clean energy due to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and depletion of fossil fuels. Among them, photovoltaic energy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representative pollution-free energy source that can solve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 and fossil fuel depletion problem have.

태양광 발전원리가 적용되는 광전지는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소자로서, 태양광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외부환경에 장기간 노출되어야 하므로 셀을 보호하기 위한 여러 가지 패키징이 수행되어 유닛(unit) 형태로 제조되며, 이러한 유닛을 광전지 모듈(Photovoltaic Modules)이라 한다.Photovoltaic (PV) solar photovoltaic (PV) technology is a device that converts sunlight into electric energy. Since it is required to be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for a long time in order to easily absorb sunlight, various packaging for protecting the cell is performed, ), And these units are referred to as photovoltaic modules.

일반적으로 광전지 모듈은 장기간 외부환경에 노출된 상태에서도 광전지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내후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이면 시트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이면 시트로는 예를 들어, 기재의 일면에 내후성이 우수한 PVF(Polyvinyl fluoride) 등의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층이 적층되어 있고, 기재의 다른 면에 봉지층과 접촉할 기능성층이 형성된 이면 시트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Generally, a photovoltaic module uses a backsheet having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and durability so that photovoltaic cells can be stably protected even when exposed to an external environment for a long period of time. As such a backsheet, for example, a resin layer containing a fluororesin such as PVF (polyvinyl fluoride) excellent in weather resistance is laminated on one surface of a substrate, and a functional layer to be in contact with the sealing layer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It is common to include a backsheet.

(특허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4-0082580(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4-0082580

본 출원은 이면 시트, 이면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cksheet and a backsheet, and a photovoltaic module including the same.

본 출원은 이면 시트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이면 시트는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을 가지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제 1 표면에 직접 접촉하는 기능성층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backsheet. An exemplary backsheet comprises a substrate layer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And a functional layer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상기 이면 시트는 기재층과 기능성층 사이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탁월한 내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면 시트를 2기압, 121℃ 및 100% 상대 습도의 조건에서 100 시간 동안 유지한 후에 ASTM D3002/D3359에 따라서 크로스 컷 테스트를 수행하였을 때에 박리 면적은 총 면적 대비 5% 미만일 수 있다. The backsheet is excellent in adhesion between the base layer and the functional layer, and can exhibit excellent durability. For example, when the cross-cut test is performed according to ASTM D3002 / D3359 after maintaining the backsheet under conditions of 2 atm, 121 ° C and 100% relative humidity for 100 hours, the peel area may be less than 5% have.

상기 크로스 컷 테스트는, 이면 시트가 제조된 후 제품에 적용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조건에서 100 시간 유지한 후에 수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하기의 실시예에서 규정한 방식으로 기능성층 면에 대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박리 면적은 낮을수록 이면 시트의 내구성이 우수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하한은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0% 일 수 있다.The cross-cut test can be carried out after the backsheet is prepared and maintained for 100 hours under the above-described conditions before being applied to the product. For example, the cross-cut test may be per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unctional layer Can be performed. The lower the peeling area, the better the durability of the backsheet. The lower limit is not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0%.

도 1은 예시적인 이면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1과 같이, 이면 시트(10)는 제 1 표면(111)과 제 2 표면(112)를 가지는 기재층(11)과 기재층(11)의 제 1 표면(111)에 직접 접촉하는 기능성층(12)을 포함할 수 있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emplary backsheet. 1, the backsheet 10 includes a base layer 11 having a first surface 111 and a second surface 112, and a functional layer 112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111 of the base layer 11, (12).

본 출원에서 사용된 용어 「A에 직접 접촉하는 B」는 A와 B 사이에 다른 층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사용된 용어 「A 상에 형성되는 B」는 A와 B 사이에 다른 층이 존재할 수도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A상에 형성되는 B는 A와 B가 직접 접촉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A와 B 사이에 C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B in direct contact with A" means that no other layer is present between A and B. On the other hand, the term " B formed in A phase " a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means a state in which another layer may exist between A and B. For example, B formed in A phase may be formed by direct contact between A and B, or C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A and B.

따라서, 예시적 이면 시트에서, 기능성층이 기재층의 표면에 직접 접촉한다는 것은 기능성층과 기재층 사이에 다른 층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이면 시트의 경우 기재층과 기능성층을 접합하는 방법으로 별도의 접착층을 이용하여 드라이 라미네이션 공정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이면 시트는 기능성층과 기재층 사이에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층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별도의 접착층을 이용하는 경우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드라이 라미네이션 공정에서 접착제로 인한 불량이 발생하여 생성 수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비하여 기재층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는 기능성층을 가지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낮고, 생성 수율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우수한 내구성 및 접착력을 보일 수 있다. 이러한 이면 시트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재층과 기능성층을 압출 코팅하여 제조할 수 있다. Thus, in an exemplary backsheet, direct contact of the functional layer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means that no other layer is present between the functional layer and the substrate layer. In the case of a general back sheet, a dry lamination process is used using a separate adhesive layer as a method of bonding the base layer and the functional layer. The backsheet thus formed is provided with an adhesive layer containing an adhesive between the functional layer and the base layer. However, when such a separate adhesive layer is use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and defects due to the adhesive occur in the dry lamination process,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production yield is reduc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unctional layer has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the production cost is low, the production yield is excellent, and excellent durability and adhesion can be exhibited as described above. Such a backsheet can be produced, for example, by extrusion coating a base layer and a functional layer as described later.

기재층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소재를 요구되는 기능 내지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specific kind of the substrat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materials known in this fiel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required functions or applications.

하나의 예시에서, 기재층은 각종 금속 필름 또는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substrate layer may be various metal films or polymer films.

금속 필름으로는 용도에 따라 통상의 금속 성분으로 구성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As the metal film, a film composed of a common metal component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고분자 필름의 예시로는 아크릴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단일 시트, 상기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층된 적층 시트 또는 상기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된 공압출물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polymer film include a single sheet including an acrylic film, a polyolefin film, a polyamide film, a polyurethane film or a polyester film, a laminated sheet obtained by laminating one or more of the above, Pneumatic conveyance, and the like.

통상적으로 기재층으로 고분자 필름,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예로는, PET(poly(ethylene terephtalate)) 필름, PEN(poly(ethylene naphtalate)) 필름 또는 PBT(poly(buthylene terephtalate)) 필름 등이 예시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이면 시트의 내가수분해 특성을 고려하여, 예를 들면, 축합 중합 시 발생하는 올리고머의 함량이 적은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공지의 내가수분해 특성을 향상시키는 열처리를 추가로 가하여, 폴리에스테르의 수분 함량을 줄이고, 수축률을 줄여 내가수분해 특성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Usually, a polymer film such as a polyester film is used as the substrate lay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Examples of the polyester film include PET (poly (ethylene terephthalate)) film, PEN (poly (ethylene naphthalate)) film, PBT (poly (buthylene terephthalate)) film and the like. In the case of using a polyester film, it is possible to select a polyester film having a low content of oligomer in the condensation polymeriz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moisture-decomposing property of the backsheet,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moisture resistance property by reduc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polyester and reducing the shrinkage ratio.

기재층은 제 1 표면 또는 제 2 표면에 예를 들면, 카르복실기, 방향족 티올기 및 페놀성 히드록실기 등과 같은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재층과 접하는 층과의 공유 결합을 증가시켜 계면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The base layer may contain, for example, a functional group such as a carboxyl group, an aromatic thiol group, and a phenolic hydroxyl group on the first surface or the second surface. In this case, the covalent bonding with the layer in contact with the base layer is increased, and the interfacial bonding force can be further improved.

기재층 표면의 관능기는 예를 들면,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와 같은 고주파수의 스파크 방전 처리; 프라이머 처리; 앵커제 처리; 커플링제 처리; 증착 처리; 화염 처리; 기상 루이스산(ex. BF3), 황산 또는 고온 수산화나트륨 등을 사용한 화학적 활성화 처리; 및 열처리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표면 처리를 통해 유도될 수 있다. 표면 처리 방법은 기재층의 표면에 전술한 관능기를 유도할 수 있다면,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모든 공지의 수단에 의할 수 있다.The functional group on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may be subjected to, for example, high-frequency spark discharge treatment such as plasma treatment or corona treatment; Primer treatment; Anchor treatment; Coupling agent treatment; Deposition processing; Flame treatment; Chemical activation treatment using gaseous Lewis acid (ex. BF 3 ), sulfuric acid or hot sodium hydroxide; And heat treatment. ≪ / RTI > The surface treatment method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can induce the above-mentioned functional groups on the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can be carried out by all known means generally used in this field.

기재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약 50 ㎛ 내지 500 ㎛ 또는 약 100 ㎛ 내지 300 ㎛의 범위일 수 있다. 기재층의 두께를 상기와 같은 범위로 조절하는 경우, 이를 포함하는 이면 시트의 전기 절연성, 수분 차단성, 기계적 특성 및 취급성 등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bas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s needed. For example, it may be in the range of about 50 탆 to 500 탆 or about 100 탆 to 300 탆. When the thickness of the base layer is controlled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it is possible to maintain excellent electrical insulation, moisture barrier properties, mechanical properties and handling properties of the backsheet.

도 2는 다른 예시적인 이면 시트의 단면도이다. 이면 시트(20)는 제 1 표면(211)과 제 2 표면(212)를 가지는 기재층(21)과 상기 기재층(21)의 제 1 표면(211)에 직접 접촉하는 기능성층(22)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21)의 제 2 표면(212) 상에 형성되는 불소 수지층(23)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xemplary backsheet. The backsheet 20 includes a base layer 21 having a first surface 211 and a second surface 212 and a functional layer 22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211 of the base layer 21 And may further include a fluororesin layer 23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212 of the substrate layer 21. [

본 출원에서 사용된 용어 「불소 수지층」은,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의미할 수 있다. 불소 수지로는, 예를 들면, 적절한 결정화도를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의 사용을 통해 후술하는 프라이머층의 가교제 등과의 반응에 의해 우레탄 결합 등과 같은 적절하지 못한 결합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결합이 형성되면, 양호한 초기 접착력을 나타낼 수는 있으나, 고온 고습의 조건 하에서의 내구성이나 접착성에는 불리할 수 있다.The term " fluororesin layer "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may mean a layer containing a fluororesin. As the fluororesin, for example, those having appropriate crystallinity can be used. Through the use of such a resi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improper bonding such as urethane bond by reaction with a crosslinking agent or the like of a primer layer described later. When the urethane bond is formed, a good initial adhesive strength can be exhibited, but it may be disadvantageous to durability and adhesiveness under conditions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불소 수지로는 예를 들면, 결정화도가 55% 미만, 50% 이하, 10% 내지 55%, 20% 내지 55%, 30 내지 55% 또는 40% 내지 50% 정도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용어 「결정화도」는, 불소 수지 내의 결정질 영역의 백분율(중량 기준)을 의미하며, 이는 시차 주사 열량 분석 등과 같은 공지의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불소 수지의 결정화도는, 불소 수지의 제조 시에 공단량체를 공중합시켜, 불소 수지의 규칙적인 원소 배열을 해제시키거나, 불소 수지를 가지형 중합체(branched polymer) 형태로 중합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As the fluororesin, for example, a resin having a crystallinity of less than 55%, 50% or less, 10% to 55%, 20% to 55%, 30% to 55% or 40% to 50% can be used. The term " crystallinity " a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means the percentage (by weight) of the crystalline region in the fluororesin, which can be measured by a known method such as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or the like. In one example, the degree of crystallization of the fluororesin may be determined by copolymerizing the comonomer at the time of production of the fluororesin, releasing the regular element arrangement of the fluororesin, or polymerizing the fluororesin in the form of a branched polymer, Can be adjusted.

하나의 예시에서, 불소 수지는 비관능화된(non-functionalized) 순수 불소 수지일 수 있다. 비관능화된 순수 불소 수지의 경우, 관능화된 불소 수지, 예를 들어 아크릴 변성 불소 수지, 가교성 말단기 함유 불소 수지 등에 비해 우수한 내후성을 가질 수 있다. 비관능화된 순수 불소 수지는 예를 들면, 가교성 관능기를 함유하지 않는 열가소성 불소 수지일 수 있으며, 이러한 불소 수지는, 가교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불소계 비결정성 열경화성 수지에 비하여 보다 우수한 접착 신뢰성을 나타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fluororesin may be a non-functionalized pure fluoropolymer. In the case of the non-functionalized pure fluorine resin, excellent weather resistance can be obtained compared to a functionalized fluorine resin, for example, an acryl-modified fluorine resin, a crosslinkable end group-containing fluorine resin and the like. The non-functionalized pure fluororesin may be, for example, a thermoplastic fluororesin that does not contain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Such a fluororesin may exhibit more excellent adhesion reliability than a fluororesin-free amorphous thermosetting resin contain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Can be provided.

불소 수지는, 50,000 내지 1,000,000 정도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중량평균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로 측정되는 표준 폴리스티렌의 환산 수치일 수 있다. 불소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 과정에서의 상기 불소 수지의 용매로의 용해도나 필름의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fluororesin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50,000 to 1,000,000. The term "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 in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a conversion value of standard polystyrene measured by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fluoro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controlled in consideration of, for example, solubility in the solvent of the fluororesin in the production process, durability of the film, and the like.

불소 수지의 융점(melting point)은 80℃ 내지 175℃ 또는 120℃ 내지 165℃ 정도일 수 있다. 불소 수지의 융점은 이면 시트의 사용 과정에서의 변형 가능성 등이나 제조 과정에서의 용매로의 용해도 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The melting point of the fluororesin may be about 80 캜 to 175 캜 or about 120 캜 to 165 캜. The melting point of the fluororesin can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of deformation in the process of using the backsheet and the solubility in a solven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불소 수지로는, 예를 들면,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DF, PolyVinylidene Fluoride), 비닐 플루오라이드(VF, PolyVinyl Fluorid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 Tetrafluoroethylene)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 Hexafluoropropylene),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CTFE, chlorotrifluoroethylene),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이소부틸렌, 퍼플루오로 부틸에틸렌, 퍼플루오로 메틸 비닐 에테르(PMVE, perfluoro(methylvinylether)), 퍼플루오로 에틸 비닐 에테르(PEVE, perfluoro(ethylvinylether)), 퍼플루오로 프로필 비닐 에테르(PPVE), 퍼플루오로 헥실 비닐 에테르(PHVE), 퍼플루오로-2,2-디메틸-1,3-디옥솔(PDD) 및 퍼플루오로-2-메틸렌-4-메틸-1,3-디옥솔란(PM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단량체로부터 유래된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단독 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fluororesin, for example, vinylidene fluoride (VDF), polyvinyl fluoride (VF), tetrafluoroethylene (TFE), hexafluoropropylene (HFP), hexafluoropropylene Perfluoroethyl vinyl ether (PMVE, perfluoro (methylvinylether), perfluoroethyl vinyl ether (PMVE), perfluoroethyl vinyl ether Perfluoro (ethylvinylether), perfluoropropyl vinyl ether (PPVE), perfluorohexyl vinyl ether (PHVE), perfluoro-2,2-dimethyl-1,3-dioxole (PDD) A homopolymer, a copolymer, or a mixture thereof, containing a polymerization unit derived from one or more than two monom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2-methylene-4-methyl-1,3-dioxolane (PMD)There.

불소 수지는,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DF) 또는 비닐 플루오라이드(VF)로부터 유래된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단독 중합체 또는 상기와 다른 공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또는 상기 중 2종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불소 수지는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DF) 또는 비닐 플루오라이드(VF)로부터 유래된 중합 단위와 함께 플루오르화 올레핀, 플루오르화알킬 비닐 에테르, 퍼플루오로-2,2-디알킬-1,3-디옥솔 및 퍼플루오로-2-알킬렌-4-알킬-1,3-디옥솔란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공단량체로부터 유래된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또는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PVF)일 수 있다. 상기에서 올레핀은 탄소수 2 내지 20, 탄소수 2 내지 16, 탄소수 2 내지 12, 탄소수 2 내지 8 또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파 올레핀일 수 있으며, 알킬 또는 알킬렌은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또는 알킬렌일 수 있다. 플루오르화 올레핀으로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 Tetrafluoroethylene),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HFP,Hexafluoropropylene),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CTFE,chlorotrifluoroethylene),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이소부틸렌 또는 퍼플루오로부틸에틸렌 등이 예시될 수 있고, 플루오르화알킬 비닐 에테르로는, 퍼플루오로메틸 비닐 에테르(PMVE, perfluoro(methylvinylether)), 퍼플루오로에틸 비닐 에테르(PEVE, perfluoro(ethylvinylether)), 퍼플루오로프로필 비닐 에테르(PPVE) 또는 퍼플루오로헥실 비닐 에테르(PHVE)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퍼플루오로-2,2-디알킬-1,3-디옥솔이나 퍼플루오로-2-알킬렌-4-알킬-1,3-디옥솔란으로는, 퍼플루오로-2,2-디메틸-1,3-디옥솔(PDD) 또는 퍼플루오로-2-메틸렌-4-메틸-1,3-디옥솔란(PMD)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fluororesin may be a homopolymer containing a polymerized unit derived from vinylidene fluoride (VDF) or vinyl fluoride (VF), or a copolymer of the above and another comonomer; Or a mixture comprising two or more of the above. For example, the fluororesin may be combined with polymerized units derived from vinylidene fluoride (VDF) or vinyl fluoride (VF), such as fluorinated olefins, fluorinated alkyl vinyl ethers, perfluoro-2,2- 1,3-dioxolane and perfluoro-2-alkylene-4-alkyl-1,3-dioxolane, and the like. Fluoride) (PVDF) or poly (vinyl fluoride) (PVF). The olefin may be an alpha olefin having 2 to 20 carbon atoms, 2 to 16 carbon atoms, 2 to 12 carbon atoms, 2 to 8 carbon atoms or 2 to 4 carbon atoms, and the alkyl or alkylene may have 1 to 20 carbon atoms, Alkyl or alkylene having 1 to 12 carbon atoms, 1 to 8 carbon atoms, or 1 to 4 carbon atoms. Examples of the fluorinated olefin include tetrafluoroethylene (TFE), hexafluoropropylene (HFP), chlorotrifluoroethylene (CTFE), trifluoroethylene, hexafluoroisobutylene or purple Perfluoro (methylvinylether), perfluoro (ethylvinylether), perfluoro (ethylvinylether), and purple (methyl vinyl ether). Examples of the fluorinated alkyl vinyl ether include perfluoro (PPVE), perfluorohexyl vinyl ether (PHVE) and the like can be mentioned, and perfluoro-2,2-dialkyl-1,3-dioxol or perfluoro-2- The Rene-4-alkyl-1,3-dioxolane includes perfluoro-2,2-dimethyl-1,3-dioxole (PDD) or perfluoro-2- -Dioxolane (PMD), and the like can be exemplifi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또는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PVF)에 포함되는 공단량체 또는 그로부터 유래되는 중합 단위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불소 수지의 총 중량 대비 0.5 중량% 내지 50 중량%, 1 중량% 내지 40 중량%, 7 중량% 내지 40 중량%, 10 중량% 내지 30 중량% 또는 10 중량% 내지 20 중량% 정도일 수 있다. 이러한 범위에서 이면 시트의 내구성 및 내후성 등을 확보하면서 효과적인 상호 확산 작용 및 저온 건조를 유도할 수 있고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e ratio of the comonomer contained in the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or the polyvinyl fluoride (PVF) or the proportion of the polymerization unit derived therefro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0.5 to 50% , 1 wt% to 40 wt%, 7 wt% to 40 wt%, 10 wt% to 30 wt%, or 10 wt% to 20 wt%. In such a range, it is possible to induce effective mutual diffusion and low-temperature drying while ensuring the durability and weatherability of the backsheet, and further improve the adhesive force.

하나의 예시에서 불소 수지층은, 불소 수지 이외에도 안료, 충전제, 자외선 안정제 또는 열 안정제와 같은 다양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될 수 있는 안료 또는 충전제의 예로는, 이산화티탄,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 등과 같은 금속 산화물; 탄산 칼슘, 황산 바륨 또는 카본 블랙 등과 같은 블랙 피그먼트; 또는 다른 색상을 나타내는 피그먼트 성분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안료 또는 충전제는 수지층의 색상이나 불투명도를 제어하는 고유의 효과와 함께 각 성분이 포함하는 고유의 작용기에 의하여 수지층의 접착력을 추가로 개선하는 작용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자외선 안정제, 열 안정제 또는 장벽 입자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료 또는 충전제와 같은 기타 첨가제의 함량은 불소 수지의 고형분을 기준으로 60 중량%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xample, the fluororesin layer may further include various additives such as pigments, fillers, ultraviolet stabilizers or heat stabilizers in addition to the fluororesin. Examples of pigments or fillers that may be used here include metal oxides such as titanium dioxide, silica or alumina; Black pigments such as calcium carbonate, barium sulfate or carbon black; Or a pigment component representing a different color. Such pigments or fillers may have the unique effect of controlling the color or opacity of the resin layer, and may further improve the adhesion of the resin layer by inherent functional groups contained in each component. The ultraviolet stabilizer, heat stabilizer or barrier particle may be a conventional component known in the art. The content of other additives such as the pigment or filler may be 60%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solid content of the fluorores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3 ㎛ 내지 50 ㎛, 또는 10 ㎛ 내지 30 ㎛일 수 있다. 상기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층의 두께를 상기와 같은 범위로 조절하는 경우, 광차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조 단가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resin layer including the fluoro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3 mu m to 50 mu m, or 10 mu m to 30 mu m. When the thickness of the resin layer including the fluororesin is adjusted to the above range, the light diffusing property can be improv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prevented from rising.

상기 불소 수지층은 코팅층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불소 수지층과 관련하여 사용하는 용어인 「코팅층」은, 코팅 방식에 의해 형성된 수지층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팅층」은 주조법(casting method) 또는 압출 방식으로 제조된 시트를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라미네이트되는 방식이 아닌, 용매에 각층을 구성하는 성분을 용해하여 제조된 조성물을 코팅면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형성된 경우를 의미한다.The fluororesin layer may be a coating layer. The term " coating layer "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fluororesin layer means a resin layer formed by a coating method. More specifically, the " coating layer " is formed by applying a composition prepared by dissolvi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each layer in a solvent onto a coating surface, not by a method in which a sheet produced by a casting method or an extrusion method is laminated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And the like.

하나의 예시에서, 불소 수지층이 코팅 방식으로 형성되는 경우, 불소 수지가 하부에 인라인 코팅 방식으로 형성되는 중간층으로 침투하여 상호침투 네트워크(IPN: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s)를 형성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불소 수지의 C-F2 결합 쌍극자와 중간층의 수분산 바인더 및 가교제에 포함된 관능기가 쌍극자 모멘트 간의 반데르발스 결합으로 상호 작용을 향상시켜, 접촉 계면에서의 접착력 및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내구성 및 내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one example, when the fluororesin layer is formed in a coating manner, it may be easier to form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s (IPN) by penetrating into the intermediate layer where the fluororesin is formed in an inline coating manner on the bottom. In addition, the functional groups contained in the CF 2 -bonded dipole of the fluororesin, the water-dispersed binder in the intermediate layer, and the cross-linking agent can improve the interaction with the van der Waals bond between the dipole moments to improve the adhes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at the contact interface, The durability and the weather resistance can be further improved.

다른 예시에서, 불소 수지층은 접착제를 매개로 기재층에 라미네이트 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fluororesin layer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as to be laminated to the base layer via an adhesive.

도 2를 참조하면, 기재층(21)의 제 2 표면(212) 및 불소수지층(23) 사이에 접착력을 부여하는 프라이머층(24)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2, a primer layer 24 that imparts an adhesive force between the second surface 212 of the base layer 21 and the fluororesin layer 23 may be further included.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프라이머 층은 불소 수지층을 형성하기 전에 기재의 표면에 형성할 수 있다. 프라이머 층의 재료로는 불소 수지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관능기를 가진 화합물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층의 재료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아민, 폴리아미드, 비결정질 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이민, 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 말레이트화 폴리올레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에폭시 중합체 및 에폭시아크릴계 올리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은 필요에 따라 계면 활성제, 자외선 안정제, 열 안정제 또는 장벽 입자와 같은 통상적인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primer layer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before forming the fluororesin layer. As the material of the primer layer, compounds having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improving the adhesion with the fluororesin layer can be used. Specific examples of the material of the primer layer include polyamines, polyamides, amorphous acrylamides, polyethyleneimines, ethylene copolymers or terpolymers, maleated polyolefins, acrylates or methacrylate polymers, polyesters, polyurethane epoxy polymers, Epoxy acryl-based oligomers, and the like. The primer layer may further comprise conventional additives such as surfactants, ultraviolet stabilizers, thermal stabilizers or barrier particles if desired.

다른 예시에서, 프라이머층은 불소중합체와 상용성을 가지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불소중합체와 상용성을 가지는 공중합체는 실란 커플링제, 티타늄계 커플링제, 지르코늄계 커플링제 또는 알루미늄계 커플링제와 공중합되어 형성되는 관능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제는 해당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되는 한국공개특허 제2013-0091686호에 개시되어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primer layer includes a copolymer having compatibility with a fluoropolymer, and the copolymer having compatibility with the fluoropolymer may be a silane coupling agent, a titanium coupling agent, a zirconium coupling agent or an aluminum coupling agent And a functional group formed by copolymerization. Such coupling agents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3-0091686,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또 다른 예시에서, 프라이머층은 수분산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수분산 바인더를 사용하여 중간층을 인라인 코팅으로 형성하여, 중간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불소 수지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수분산 바인더의 종류 및 형성 방법은 해당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되는 한국공개특허 제2014-0074232호에 개시되어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primer layer may comprise an aqueous dispersion binder. The intermediate layer may be formed by in-line coating using an aqueous dispersion binder to improve the adhesion with the fluorine resin layer formed on the intermediate layer. The type and formation method of the water-dispersed binder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4-0074232,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 nm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10 nm 내지 1,000 nm, 20 nm 내지 500 nm, 50 nm 내지 300 nm 또는 100 nm 내지 300 nm 정도일 수 있으며, 프라이머층의 두께를 상기의 범위 내로 조절함으로써, 프라이머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면서도 내구성 및 내후성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만,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전술한 범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primer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10 nm or more, for example.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primer layer may be about 10 nm to 1,000 nm, 20 nm to 500 nm, 50 nm to 300 nm, or 100 nm to 300 nm, and by controlling the thickness of the primer layer to fall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maintain excellent durability and weather resistance while improving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layer. However, the thickness of the primer layer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range, and can be suitably adjusted as necessary.

도 2를 계속하여 참조하면, 이면 시트(20)의 기능성층(22)은 제 1 표면(222) 및 제 2 표면(221)을 가지고,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제 1 층(22b); 및 상기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제 1 층(22b)의 제 2 표면(221) 상에 형성되어 상기 기재층(21)의 제 1 표면(211)에 직접 접촉하는 제 2 층(22a)을 포함할 수 있다.2, the functional layer 22 of the backsheet 20 includes a first layer 22b having a first surface 222 and a second surface 221 and including a polyolefin; And a second layer 22a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221 of the first layer 22b comprising the polyolefin and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211 of the substrate layer 21. [ have.

상기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제 1 층(22b)의 재질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The material of the first layer 22b including the polyolef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performs a desired function.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제 1 층의 기능은 절연층일 수 있고, 이와 같은 경우 제 1 층(22b)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층(22b)의 두께는 예를 들어 5 내지 40㎛, 또는 10 내지 30㎛이고,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적절한 두께를 선택할 수 있다. 제 1 층(22b)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절연성 또는 내구성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unction of the first layer may be an insulating layer, and in this case, the material of the first layer 22b may comprise polyethylene, for example,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The thickness of the first layer 22b is, for example, 5 to 40 占 퐉, or 10 to 30 占 퐉, and an appropriate thickness can be selected to perform the desired func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layer 22b is within the above range, insulation or durability can be efficiently controlled.

제 1층은, 예를 들면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제 1 층의 백색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써, 백색 안료, 구체적으로 TiO2 등의 백색 안료가 포함될 수 있다. The first layer may further comprise, for example, a pigment. The pigment is for realizing the white color of the first layer, and may include a white pigment, specifically a white pigment such as TiO 2 .

상기 안료의 함량은, 예를 들면 제 1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대비 5% 내지 10%의 중량 비율 범위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ntent of the pigment may range, for example, from 5% to 10% by weight relative to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first lay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제 1 층(22b)의 제 2 표면(221) 상에 형성되는 제 2 층(22a)은 제 1 층(22b)과 기재층을 결합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layer 22a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221 of the first layer 22b containing polyolefin may have the function of bonding the first layer 22b with the base layer.

하나의 구체 예에서, 기재층과 폴리올레핀층의 접착 성능을 고려하여 제 2 층(22a)은 폴리올레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층에 포함될 수 있는 폴리올레핀은, 제 1층에 언급한 것과 동일한 것,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layer 22a is formed from a polyolefi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or a derivative thereof. The polyolefin that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layer may be the same as mentioned in the first layer, for example,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비닐아세테이트(VA)의 함량은 1 내지 30중량%, 5 내지 25중량%, 또는 10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을 상기 범위로 제어하는 경우 기재층과 폴리올레핀층의 접착 성능이 우수하고, 후술하는 공압출 또는 압출 코팅 가공에 유리하다. 또한, 상기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보다 우수한 접착력을 위하여 말레산 무수물로 개질된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제 2 층(22a)의 두께는 예를 들어 1 내지 20㎛, 또는 5 내지 15㎛이고,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적절한 두께를 선택할 수 있다. 제 2 층(22a)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제조 비용과 접착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content of vinyl acetate (VA) in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may be 1 to 30 wt%, 5 to 25 wt%, or 10 to 20 wt%. When the content of vinyl acetate is controlled within the above range, the adhesive property between the base layer and the polyolefin layer is excellent, which is advantageous for coextrusion or extrusion coating processing described later.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may also be a copolymer modified with maleic anhydride for better adhesio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layer 22a is, for example, 1 to 20 占 퐉, or 5 to 15 占 퐉, and an appropriate thickness can be selected to perform the desired func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layer 22a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adhesive force can be efficiently controlled.

상기 제 1 층 및 제 2 층은, 예를 들면 공압출층 또는 압출 코팅층일 수 있다.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may be, for example, coextruded layers or extrusion coating layers.

본 출원에서 용어,「공압출[coextrusion]」은 2대 이상의 압출기(extruder)를 사용하여 각각의 용융수지를 동시에 압출하여 용융상태에서 복수층으로 적층하여 복합필름을 성형하는 방법을 의미한다.The term " coextrusion " in the present application means a method of extruding the respective molten resins simultaneously using two or more extruders and laminating them in a molten state into a plurality of layers to form a composite film.

본 출원에서 용어 「공압출층」은, 상기 공압출 방식에 의해 형성된 층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공압출층은 제 1층 및 제 2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을 각각 투입할 수 있는 호퍼를 구비하고 있는 다층공압출기기로부터 형성된 층을 의미할 수 있다. The term " coextrusion layer " in the present application may mean a layer formed by the coextrusion method. For example, the coextruded layer may refer to a layer formed from a multi-layer co-extruder having a hopper into which each of the compositions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layers may be dispensed.

하나의 예시에서, 제 1층 및 제 2층이 공압출층이라는 것은, 다층공압출기기의 호퍼로, 각각 제 1층 형성용 조성물 및 제 2 층 형성용 조성물을 주입한 후, 공압출하여 적층된 형태의 제 1층 및 제 2층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are co-extruded layers are obtained by injecting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first layer and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second layer into a hopper of a multilayer co-extruder, May mean forming a first layer and a second layer of the desired shape.

본 출원에서 용어, 「압출코팅[extrusion coating]」은 압출성형기에 의해 압출 용융된 열가소성 수지를 종이, 플라스틱필름, 알루미늄박 또는 천 등의 기재 위에 도공 하는 방법을 말한다. The term " extrusion coating " in this application refers to a method of coating a thermoplastic resin extruded and melted by an extrusion molding machine onto a paper, plastic film, aluminum foil or cloth.

본 출원에서 용어 「압출 코팅층」은, 상기 압출 코팅 방식으로 형성된 층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필름 상에 용융 압출물을 코팅하는 공지의 압출 코팅 기기를 이용하여 형성된 층을 의미할 수 있다. The term " extrusion coating layer " in the present application may mean a layer formed by the extrusion coating method. For example, a layer formed using known extrusion coating equipment that coats a melt extrudate on a film.

하나의 예시에서, 제 1 층 및 제 2 층이 압출 코팅층이라는 것은, 필름, 구체적으로 기재층 상에 제 1 층 및 2 층을 형성할 수 있는 용융 압출물을 코팅하여 제 1층 및 제 2 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layers are extrusion coated layers are formed by coating a film, specifically a melt extrudate, which can form a first layer and a second layer on a substrate layer to form a first layer and a second layer May be sequentially formed.

도 2를 계속하여 참조하면, 이면 시트(20)의 기능성층(22)은 제 1 표면(222) 및 제 2 표면(221)을 가지고,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제 1 층(22b); 및 상기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제 1 층(22b)의 제 2 표면(221) 상에 형성되어 상기 기재층(21)의 제 1 표면(211)에 직접 접촉하는 제 2 층(22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제 1 층(22b)의 제 1 표면(222) 상에 형성되는 제3층(22c)을 포함할 수도 있다. 2, the functional layer 22 of the backsheet 20 includes a first layer 22b having a first surface 222 and a second surface 221 and including a polyolefin; And a second layer 22a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221 of the first layer 22b comprising the polyolefin and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211 of the substrate layer 21. [ have. It may also comprise a third layer 22c formed on the first surface 222 of the first layer 22b comprising the polyolefin.

제3층(22c)은,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제 1 층(22b)과 후술하는 봉지층을 결합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구체 예에서, 봉지층과 폴리올레핀층의 접착 성능을 고려하여 제3층(22c)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hird layer 22c may have a function of, for example, bonding the first layer 22b including a polyolefin with a sealing layer described later. In one embodiment, the third layer 22c may comprise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or a derivative thereof,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adhesive performance of the sealing layer and the polyolefin layer.

상기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은 1 내지 30중량%, 5 내지 25중량%, 또는 10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을 상기 범위로 제어하는 경우 봉지층과 폴리올레핀층의 접착 성능이 우수하다. The vinyl acetate content of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may be 1 to 30 wt%, 5 to 25 wt%, or 10 to 20 wt%. When the content of vinyl acetate is controlled within the above range, the adhesive performance between the sealing layer and the polyolefin layer is excellent.

또한, 상기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제3층(22c)의 두께는 예를 들어 1 내지 20㎛, 또는 5 내지 15㎛이고,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적절한 두께를 선택할 수 있다. 제3층(22c)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제조 비용과 접착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Further, in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the thickness of the third layer 22c is, for example, 1 to 20 占 퐉, or 5 to 15 占 퐉, and an appropriate thickness can be selected to perform a desired func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third layer 22c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adhesive force can be efficiently controlled.

상기 기능성층은, 예를 들면 압출 코팅층 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층이 압출 코팅층이라는 것은, 기재층과 상기 기능성층이 다른 층, 예를 들면 접착제층의 매개 없이 직접 접촉하고 있도록 하는 압출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층이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The functional layer may be, for example, an extrusion coating layer. The functional layer may be an extrusion coating layer, which is a layer formed by using an extrusion coating method in which the base layer and the functional layer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without mediation of another layer, for example, an adhesive layer.

구체적으로, 상기 기능성층이 압출코팅층이라는 것은, 기능성층에 포함되는 제 1층 및 제 2층이 순차적으로 압출 코팅 방식으로 기재층 상에 형성 된 경우, 뿐만 아니라, 제 1층 및 제 2층이 공압출 방식으로 형성 된 후, 기재층과 상기 제 1층 및 제 2층이 압출 코팅되어 기능성층을 형성한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unctional layer is an extrusion coating layer whe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included in the functional layer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base layer by the extrusion coating method, as well as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It is understood that it includes a case where the base layer and the first and second layers are extrusion coated to form a functional layer after being formed by the co-extrusion method.

상기와 같이, 기능성층을 압출 코팅층으로 형성하는 경우, 기재층과의 우수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unctional layer is formed of the extrusion coating layer, excellent adhesion with the base layer can be secured.

또한, 본 출원은 이면 시트 최외각 층에 내후성이 우수한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층의 존재 때문에 내구성 및 내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can improve durability and weather resistance due to the presence of a resin layer containing a fluororesin excellent in weatherability in the outermost layer of the backsheet.

본 출원은 또한 상기 이면 시트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the backsheet.

본 출원에 따른 이면 시트의 제조방법은 기재층과 기능성층을 직접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접착제에 의한 불량률을 최소화하고, 비용적 측면에서 유리한 이면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재층과 기능성층의 접착력의 우수성을 확보할 수 있고, 최외각 층에 내후성이 우수한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층의 존재 때문에 내구성 및 내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면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ck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can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cksheet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by minimizing the defective rate caused by the adhesive by bringing the base layer and the functional layer into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Further,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ducing a backsheet capable of securing excellent adhesion between a base layer and a functional layer, and capable of improving durability and weather resistance due to the presence of a resin layer containing a fluororesin excellent in weatherability in the outermost layer .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에 따른 이면 시트의 제조 방법은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을 가지는 기재층의 상기 제 1 표면과 기능성층이 직접 접촉하도록 압출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method of making a back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may comprise extrusion coating such that the functional layer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having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압출코팅하는 단계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제1층; 및 상기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제1층의 제 1 표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기재층의 제 1 표면에 직접 접촉하는 제2층을 공압출하여 형성된 기능성층을 압출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extrusion coating comprises a first layer comprising a polyolefin; And extrusion coating a functional layer formed by co-extruding a second layer form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layer comprising the polyolefin and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즉, 본 출원에 따른 이면 시트의 제조방법은, 기능성층을 공압출층으로 형성한 후, 상기 공압출층과 기재층을 압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back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step of forming a functional layer as a co-extruded layer, followed by extrusion coating the co-extruded layer and the base layer.

구체적으로, 이면 세트의 제조방법은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을 가지고,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제 1층 및 기재층의 제 1 표면에 직접 접촉하는 제 2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을 다층공압출기기에 주입한 후, 공압출하여 공압출층을 형성한 후, 상기 공압출층과 기 형성된 기재층을 압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공압출층은 기재층 상에 압출 코팅될 수 있는 상태, 예를 들면 공압출층의 기재층과 접촉하는 제 2층이 적절한 용융 상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method of making a backing set comprises injecting a composition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the first layer comprising polyolefin and the second layer directly contacting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into a multilayer coextruder And then co-extruding the coextruded layer to form a coextruded layer, followed by extrusion coating the coextruded layer and the preformed base layer. At this time, the coextruded layer may be such that the second layer in contact with the base layer of the coextruded layer has an appropriate molten state, such that the coextruded layer can be extrusion coated onto the substrate layer.

다른 예시에서, 상기 압출 코팅하는 단계는 기재층의 제 1 표면에 직접 접촉하는 제 2 층을 압출 코팅 한 후,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제 1 층을 압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extrusion coating may comprise extrusion coating a second layer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followed by extrusion coating the first layer comprising the polyolefin.

즉, 본 출원에 따른 이면 시트의 제조방법은 기재층 상에 기능성층에 포함되는 제 1층 및 제 2층을 순차적으로 압출 코팅함으로써, 기재층 및 기능성층을 압출 코팅할 수 있다.That is,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ck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the base layer and the functional layer can be extrusion coated by sequentially extrusion-coating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contained in the functional layer on the base layer.

또 다른 예시에서, 상기 압출 코팅하는 단계는 기재층과 기능성 층의 일층, 예를 들면 제 1층을 준비하고, 공급되는 기재층(또는 제 1층) 상에 압출기를 통하여 기능성층의 제 2층을 형성하는 EVA 수지를 용융 압출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면서, 상기 2층 상에 제 1층(또는 기재층)을 적층하여 제조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step of extrusion coating may comprise the steps of preparing a substrate, such as a first layer of a functional layer, and a second layer of functional layer (or first layer) (Or substrate layer) on the two layers while forming a coating layer by melt-extruding the EVA resin forming the EVA resin.

상기 제 1 층 및 제 2층의 종류 및 두께나 기능성층의 구성은 전술한 이면 시트에서 언급한 모든 내용이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다. The types and thicknesses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and the structure of the functional layer may include all the contents mentioned in the above-mentioned back sheet.

본 출원은 또한,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을 가지는 기재층의 상기 제 1 표면과 기능성층이 직접 접촉하도록 공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may also include pneumatically releasing the functional layer so that i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having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하나의 예시에서, 이면시트가 기재층 및 기능성층을 가지는 2층 구조이나, 상기 기능성층이 제 1 층 및 제 2 층을 포함하는 2층 구조인 경우, 기재층을 형성하는 수지, 예를 들면 PET 수지를 제 1 압출기에서 용융시키고, 제 2 층을 형성하는 수지, 예를 들면 EVA 수지를 제2 압출기에서 용융시키고, 제 1층을 형성하는 수지, 예를 들면 LDPE를 제 3 압출기에서 용융시켜서 3층 복합 다이를 통하여 압출시키면서 적층하여 복합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기능성층의 층 수가 증가함에 따라 추가적인 압출기 및 사용되는 압출기 수에 맞는 복합 다이를 사용하여 다양한 복합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In one example, when the backsheet is a two-layer structure having a base layer and a functional layer, or when the functional layer is a two-layer structure including a first layer and a second layer, the resin forming the base layer, The PET resin is melted in the first extruder and the resin for forming the second layer, for example EVA resin, is melted in the second extruder and the resin for forming the first layer, such as LDPE, is melted in the third extruder And then laminated by extrusion through a three-layer composite die to form a composite film. Also, as the number of layers of the desired functional layer increases, various composite films can be formed using a composite die suitable for an additional extruder and the number of extruders used.

본 출원에 따른 이면 시트의 제조방법은 또한, 기재층의 제 2 표면에 불소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ck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forming a fluororesin layer on a second surface of the base layer.

상기 불소 수지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기재층 상에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코팅 및 경화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을 접착제를 매개로 라미네이트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The fluororesin layer can be formed, for example, by coating and cur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fluororesin on a base layer, and further, a film containing a fluororesin is formed by a method of laminating through a bonding agent You may.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이면 시트를 제조하는 경우 2기압, 121℃ 및 100% 상대 습도의 조건에서 100 시간 동안 유지한 후에 ASTM D3002/D3359에 따라서 크로스 컷 테스트를 수행하였을 때에 박리 면적은 총 면적 대비 5% 미만일 수 있다.When the backsheet was produced by the above-mentioned method, the cross-cut test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ASTM D3002 / D3359 after holding for 100 hours under the conditions of 2 atm, 121 캜 and 100% relative humidity, May be less than 5%.

본 출원은 또한 상기 이면 시트를 포함하는 광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상기 광전지 모듈의 구조는 상기 광전지 모듈용 이면 시트를 포함하고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구조를 제한 없이 채용할 수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also relates to a photovoltaic module comprising the backsheet. The structure of the photovoltaic modul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ncludes the backsheet for the photovoltaic module, and various structures generally known in this field can be employed without limitation.

하나의 예시에서, 광전지 모듈은 투명 전면 기판, 이면 시트 및 상기 전면 기판과 이면 시트의 사이에서 봉지재에 의해 봉지되어 있는 광전지 또는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된 광전지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광전지 모듈의 구조는 이면 시트; 상기 이면 시트 상에 형성된 광전지 또는 광전지 어레이; 상기 광전지 또는 광전지 어레이 상에 형성된 수광 시트; 및 상기 이면 시트 및 수광 시트 사이에서 상기 광전지 또는 광전지 어레이를 봉지하고 있는 봉지재층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photovoltaic module may include a transparent front substrate, a backsheet, and a photovoltaic cell encapsulated by an encapsulant between the front substrate and the backsheet, or a photovoltaic array arranged in series or in parallel. In one example, the structure of the photovoltaic module includes a backsheet; A photovoltaic cell or a photovoltaic array formed on the backsheet; A light-receiving sheet formed on the photovoltaic cell or the photovoltaic array; And an encapsulant layer which encapsulates the photovoltaic cell or photovoltaic array between the backsheet and the light-receiving sheet.

이면 시트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30 ㎛ 내지 2,000 ㎛, 50 ㎛ 내지 1,000 ㎛, 또는 100 ㎛ 내지 600 ㎛일 수 있다. 상기 이면 시트의 두께를 30 ㎛ 내지 2,000 ㎛의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광전지 모듈을 보다 박형으로 구성하면서도, 광전지 모듈의 내후성 등의 물성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backshee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from 30 탆 to 2,000 탆, from 50 탆 to 1,000 탆, or from 100 탆 to 600 탆. By controlling the thickness of the backsheet within the range of 30 탆 to 2,000 탆, properties such as weather resistance of the photovoltaic module can be kept excellent while the photovoltaic module is made thinner.

이면 시트 위에 형성되는 광전지의 구체적인 종류로는, 광기전력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광전지 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결정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등의 결정 실리콘 광전지, 싱글(single) 결합형 또는 탠덤(tandem) 구조형 등의 무정형(amorphous) 실리콘 광전지, 갈륨-비소(GaAs), 인듐-인(InP) 등의 III-V족 화합물 반도체 광전지 및 카드뮴-텔루륨(CdTe), 구리-인듐-셀레나이드(CuInSe2) 등의 II-VI족 화합물 반도체 광전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얇은 막 다결정성 실리콘 광전지, 얇은 막 미결정성 실리콘 광전지 및 얇은 막 결정 실리콘과 무정형(amorphous) 실리콘의 혼합형(hybrid) 광전지 등도 사용할 수 있다.The specific type of photovoltaic cells formed on the backshee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generate photovoltaic power, and photovoltaic devices generally used in this field can be used. (Amorphous silicon photovoltaic cells, such as single crystal silicon carbide, gallium arsenide (GaAs), indium-phosphorus (InP), etc.) III-V compound semiconductor photovoltaic cells such as cadmium-tellurium (CdTe) and copper-indium-selenide (CuInSe 2 ), and the like. In addition, a thin film polycrystalline silicon photovoltaic cell , A thin film purity silicon photovoltaic cell, and a hybrid photocell of thin film crystalline silicon and amorphous silicon.

광전지는 광전지와 광전지 사이를 연결하는 배선에 의해 광전지 어레이(광전지 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광전지 모듈에 태양광을 비추면, 광전지 내부에서 전자(-)와 정공(+)이 발생되어, 광전지와 광전지를 연결하는 배선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된다.The photovoltaic cell can form a photovoltaic array (photovoltaic assembly) by wiring connecting the photovoltaic cell and the photovoltaic cell. When sunlight is irradiated on a photovoltaic module, electrons (-) and holes (+) are generated inside the photovoltaic cell, and current flows through the wiring connecting the photovoltaic cell and the photovoltaic cell.

광전지 또는 광전지 어레이 상에 형성된 수광 시트는, 광전지 모듈의 내부를 풍우, 외부 충격 또는 화재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광전지 모듈의 옥외 노출시 장기 신뢰성을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수광 시트의 구체적인 종류로는 광 투과성, 전기 절연성, 기계적 또는 물리, 화학적 강도가 우수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유리판, 불소계 수지 시트,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트,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시트, 폴리(메타)아크릴계 수지 시트, 폴리아미드계 수지 시트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구현예에서는, 내열성이 우수한 유리판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light-receiving sheet formed on the photovoltaic cell or photovoltaic array can function to protect the inside of the photovoltaic module from rain, external impact, fire or the like and ensure long-term reliability when the photovoltaic modul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specific type of the light-receiving shee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excellent in optical transparency, electrical insulation, mechanical or physical and chemical strength. Examples of the light-receiving sheet include glass plates, fluororesin sheets, cyclic polyolefin resins, polycarbonate resins, A poly (meth) acrylic resin sheet, a polyamide resin sheet, or a polyester resin shee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glass plate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can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수광 기판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0.5 mm 내지 10 mm, 1 mm 내지 8 mm, 또는 2 mm 내지 5 mm일 수 있다. 상기 수광 기판의 두께를 0.5 mm 내지 10 mm의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광전지 모듈을 보다 박형으로 구성하면서도 광전지 모듈의 장기 신뢰성 등의 물성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light receiving subst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0.5 mm to 10 mm, 1 mm to 8 mm, or 2 mm to 5 mm. By controlling the thickness of the light receiving substrate within the range of 0.5 mm to 10 mm,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long-term reliability of the photovoltaic module can be kept excellent while the photovoltaic module is made thinner.

또한, 광전지 모듈의 내부, 구체적으로 상기 이면 시트 및 수광 시트 사이에서 광전지 또는 광전지 어레이를 봉지하는 봉지재층은 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봉지재를 제한없이 채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n encapsulating material layer for encapsulating the photovoltaic cell or the photovoltaic cell array in the interior of the photovoltaic module, specifically between the backsheet and the light-receiving sheet, can be employed without limitation.

첨부된 도 3 및 4는 본 출원의 다양한 구현예에 따른 광전지 모듈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of photovoltaic modules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첨부된 도 3 는 본 출원의 하나의 예시에 따른 광전지 모듈용 이면 시트를 포함하는 웨이퍼계 광전지 모듈(30)의 단면도이다. 도 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하나의 예시에 따른 광전지 모듈은 통상적으로 강유전체(ex. 유리)로 구성될 수 있는 수광 시트(31); 본 출원의 예시들에 따른 광전지 모듈용 이면 시트(33); 상기 실리콘계 웨이퍼 등의 광전지 소자(34); 및 상기 광전지 소자(34)를 봉지하고 있는 봉지재층(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봉지재층(32)은 광전지 소자(34)를 봉지하면서, 상기 수광 시트(31)에 부착되는 제 1층(32a) 및 광전지 소자(34)를 봉지하면서 상기 이면 시트(33)에 부착되는 제 2층(3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지재층(32)을 구성하는 제 1층 및 제 2층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fer-based photovoltaic module 30 including a backsheet for a photovoltaic module according to one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photovoltaic module according to one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ypically comprises a light-receiving sheet 31, which may be composed of a ferroelectric (e.g., glass); A backsheet 33 for a photovoltaic modul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photovoltaic device 34 such as the silicon wafer; And an encapsulant layer 32 sealing the photovoltaic device 34. At this time, the sealing material layer 32 is attached to the backsheet 33 while sealing the first layer 32a and the photovoltaic device 34 attached to the light-receiving sheet 31 while sealing the photovoltaic device 34 And a second layer 32b.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constituting the encapsulant layer 32 may be composed of materials generally known in this field as described above.

도 4는 본 출원의 다른 하나의 예시에 따른 박막형 광전지 모듈(40)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박막형 광전지 모듈(40)의 경우, 광전지 소자(44)는 통상적으로 강유전체로 구성될 수 있는 수광 시트(41)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박막 광전지 소자(44)는 통상적으로 화학적 증착(CVD) 등의 방법으로 침착될 수 있다. 도 4의 광전지 모듈(40)은 도 4의 광전지 모듈(40)과 유사하게 봉지재층(42) 및 이면 시트(43)를 포함하며, 상기 봉지재층(42)은 단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봉지재층(42) 및 이면 시트(43)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in-film photovoltaic module 40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4, in the case of the thin-film photovoltaic module 40, the photovoltaic device 44 may be formed on the light-receiving sheet 41, which may typically be formed of a ferroelectric material. Such a thin film photovoltaic device 44 may be deposited by a method such as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The photovoltaic module 40 of FIG. 4 includes an encapsulant layer 42 and a backsheet 43 similar to the photovoltaic module 40 of FIG. 4, and the encapsulant layer 42 may be a single layer. The sealing material layer 42 and the backsheet 43 are described in detail above.

상기의 다양한 광전지 모듈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이용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제한 없이 채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bove various photovoltaic modul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known methods that can be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employed without any limitations.

첨부된 도 3 및 4 에 도시된 광전지 모듈은 본 출원의 광전지 모듈의 다양한 구현예들 중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출원에 따른 광전지 모듈용 이면 시트를 포함하는 경우라면, 모듈의 구조, 모듈을 구성하는 소재의 종류 및 크기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것을 제한 없이 채용할 수 있다.The photovoltaic module shown in FIGS. 3 and 4 is merely an example of on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hotovoltaic modu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if it comprises a backsheet for a photovoltaic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ype and size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substrate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ose generally known in this field can be employed without limitation.

본 출원에서는, 내열 및/또는 내습 조건에서의 우수한 신뢰성 및 접착력을 나타내어서 내후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이면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이면 시트는 예를 들면 광전지 모듈 등에 적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acksheet exhibiting excellent reliability and adhesion under heat and / or humidity conditions, thereby improving weather resistance and durability. Such a backsheet can be applied to, for example, a photovoltaic module or the like.

도 1 및 2는 본 출원의 구현예에 따른 이면 시트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4는 본 출원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른 광전지 모듈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and 2 are sectional views of a back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s 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photovoltaic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이하 본 출원에 따르는 실시예 및 본 출원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s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and comparative examples not complying with the present application,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각 물성은 하기의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In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physical properties were measured in the following manner.

1. 180도 박리 강도1. 180 degree peel strength

ASTM D1897의 규격에 준거하여, 시편(이면 시트)을 10 mm의 폭으로 재단하고, 4.2 mm/sec의 박리 속도 및 180도의 박리 각도로 박리하면서 측정하였다.In accordance with ASTM D1897, the specimen (backsheet) was cut to a width of 10 mm and measured while peeling at a peeling rate of 4.2 mm / sec and a peeling angle of 180 degrees.

2. 크로스-해치 접착력2. Cross-hatch adhesion

ASTM D3002/D3359의 규격에 준거하여, 크로스 컷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시편(이면 시트)의 불소 수지층에 1 mm의 간격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각각 11줄씩 칼로 그어서 가로와 세로가 각각 1 mm인 100개의 정사각형의 격자를 형성하였다. 그 후, Nichiban사의 CT-24 접착 테이프를 상기 재단 면에 부착한 후 박리하면서 함께 박리되는 면의 상태를 측정하여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A crosscut test wa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of ASTM D3002 / D3359. A grid of 100 squares with a width of 1 mm and a length of 1 mm was formed on the fluororesin layer of the test piece (backsheet) by cutting each of 11 line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t intervals of 1 mm. Thereafter, a CT-24 adhesive tape of Nichiban Co., Ltd. was attached to the cut surface, and the state of the surface to be peeled off while peeling off was measur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평가 기준><Evaluation Criteria>

5B: 박리 면이 없는 경우5B: When there is no peeling surface

4B: 박리 면의 면적이 총 면적 대비 5% 미만인 경우4B: When the area of the peeled surface is less than 5% of the total area

3B: 박리 면의 면적이 총 면적 대비 5% 내지 15%인 경우3B: When the area of the peeling surface is 5% to 15% of the total area

2B: 박리 면의 면적이 총 면적 대비 15% 초과 35% 미만인 경우2B: When the area of the peeled surface exceeds 15% and less than 35% of the total area

1B: 박리 면의 면적이 총 면적 대비 35% 초과 65% 미만인 경우1B: When the area of the peeled surface exceeds 35% to less than 65% of the total area

0B: 박리 면의 면적이 총 면적 대비 65%를 초과하는 경우0B: When the area of the peeled surface exceeds 65% of the total area

3.3. PCT (pressure cooker test)The pressure cooker test (PCT)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광전지 모듈용 이면 시트를 2 기압, 121℃ 및 100%의 상대 습도(R.H.)의 조건이 유지되는 오븐에 50 시간 및 100 시간 동안 방치한 후, 접착력의 변화를 관찰하였다.The backsheet for photovoltaic module manufactu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left in an oven maintained at 2 atm, 121 캜 and 100% relative humidity (RH) for 50 hours and 100 hours, Respectively.

불소 수지의 준비Preparation of fluorine resin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불소 수지의 종류는 하기 표 1과 같다. 표 1에서 불소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phy)를 사용한 통상의 방식으로 평가하였다.The types of fluororesin us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shown in Table 1 below. In Table 1,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fluororesin was evaluated by a usual method using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불소 수지Fluorine resin 단량체 비율(단량체)Monomer ratio (monomer) 결정화도(%)Crystallinity (%) 분자량(Mw)Molecular weight (M w ) 융점(℃)Melting point (캜) AA VDF-CTFE 공중합체VDF-CTFE copolymer 85:15(VDF:CTFE)85: 15 (VDF: CTFE) 2323 270,000270,000 166166 BB PVDFPVDF 100 (VDF)100 (VDF) 4444 550,000550,000 160160 단량체 비율 단위: 중량부
VDF: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inylidene Fluoride)
CTFE: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Chlorotrifluoroethylene)
VDF-CTFF: VDF 및 CTFE의 공중합체
PVDF: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Monomer ratio Unit: parts by weight
VDF: Vinylidene Fluoride
CTFE: Chlorotrifluoroethylene &lt; RTI ID = 0.0 &gt;
VDF-CTFF: Copolymer of VDF and CTFE
PVDF: poly (vinylidene fluoride) (polyvinylidene fluoride)

실시예Example 1.  One.

표 1의 불소수지 A와 B를 5:5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백색 안료를 불소 수지 대비 70 중량%가 되도록 혼합하여 압출기에 투입하여 25㎛의 불소 필름을 제조 하였다. 아크릴 프라이머층이 있는 250㎛의 폴리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재층에 제조한 불소 필름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합지한 후 40℃에서 2일간 숙성하여 불소 수지층이 형성된 기재층을 얻었다. 기능성층은 티 다이(T-Die)의 3층 공압출기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1층 및 3층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13% VA 함량)를 포함하는 10㎛ 두께의 층이고, 2층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및 TiO2 백색 안료 8%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제조하였다. 상기 불소 수지층이 형성된 기재층과 티-다이(T-Die)에서 나오는 3층 공압출 필름과 압출 코팅하여 태양전지용 이면 시트를 제조하였다. The fluororesin A and B shown in Table 1 we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5: 5, and the white pigment was mixed with the fluororesin in an amount of 70% by weight, and the resulting mixture was introduced into an extruder. A fluorine film prepared on a 250 mu m 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base layer having an acrylic primer layer was laminated using an adhesive and aged at 40 DEG C for 2 days to obtain a substrate layer having a fluorine resin layer formed thereon. The functional layer was prepared using a three-layer co-extruder of T-die. Specifically, the first and third layers are 10 탆 thick layers containing ethylene vinyl acetate (EVA) (13% VA content) and the second layer is composed of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and 8% TiO 2 white pigment . A base sheet having the fluororesin layer formed thereon and a three-layer co-extruded film coming out of a T-die were extrusion-coated to prepare a back sheet for a solar cell.

실시예Example 2.  2.

불소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재층 대신에 백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면 시트를 제조하였다. A backshee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base layer in which a fluororesin layer was formed was replaced with a whi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실시예Example 3.  3.

기능성층을 구성하는 3층을 저밀도폴리에틸렌(LDPE)과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13% VA 함량)을 1:1로 섞은 혼합물로부터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태양전지용 이면 시트를 제조하였다.Except that the three layers constituting the functional layer were formed from a mixture of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and ethylene vinyl acetate (EVA, 13% VA content) in a ratio of 1: 1, .

실시예Example 4.  4.

기능성층을 구성하는 제 2층(저밀도폴리에틸렌 포함)을 20㎛의 두께가 되도록 불소 수지층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재층 상에 1차 압출 코팅한 후, 다시 제 1층(저밀도폴리에틸렌, 백색 안료 8% 포함)을 20㎛ 두께가 되도록 2차 압출 코팅하여 기능성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태양전지용 이면 시트를 제조하였다. A second layer (including low density polyethylene) constituting the functional layer was first extrusion-coated on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base layer containing a fluororesin layer so as to have a thickness of 20 탆, and then a first layer (low density polyethylene , 8% of a white pigment) was extruded and coated to a thickness of 20 탆 to form a functional layer, thereby preparing a backsheet for a solar cell.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One

불소 수지층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재층을 접착제를 매개로 1차 합지하고, 3층 기능성층을 접착제를 매개로 2차 합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조의 태양전지용 이면 시트를 제조하였다. Except that the fluororesin layer and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base layer were first lapped on each other through an adhesive agent and the three-layer functional layer was secondarily bonded via an adhesive agent, .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 2

백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기재층 상에 접착제를 매개로 3층 기능성층을 합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구조의 태양전지용 이면 시트를 제조하였다. A backsheet for a solar cell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in Example 2 except that a three-layer functional layer was formed on a whi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base layer through an adhesive was prepared.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이면 시트에 대하여, PCT(Pressure cooker test) 수행 후, 180도 박리강도 및 크로스-해치 테스트를 각각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광전지 모듈용 이면 시트를 2 기압, 121℃ 및 100% R.H.의 조건에서 각각 50 시간 및 100 시간 동안 방치한 후, 180도 박리강도 및 크로스-해치 테스트를 수행하여 접착력의 변화를 평가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The 180 ° peel strength and the cross-hatch test were respectively performed on the backsheet according to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after performing the pressure cooker test (PCT). Specifically, the backsheet for each photovoltaic module was allowed to stand for 50 hours and 100 hours under conditions of 2 atm, 121 ° C, and 100% RH, respectively, and subjected to 180 degree peel strength and cross- Are shown in Table 2 below.

180°박리강도(N/cm)180 DEG Peel strength (N / cm) 크로스-해치 테스트Cross-hatch test 초기Early 50 hr50 hr 100 hr100 hr 초기Early 50 hr50 hr 100 hr100 hr 실시예1 Example 1 TearTear TearTear TearTear 5B5B 5B5B 5B5B 실시예2Example 2 TearTear TearTear TearTear 5B5B 5B5B 5B5B 실시예3Example 3 TearTear TearTear TearTear 5B5B 5B5B 5B5B 실시예4Example 4 TearTear TearTear TearTear 5B5B 5B5B 5B5B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0.5kg/cm0.5 kg / cm 0.3 kg/cm0.3 kg / cm 0.1kg/cm0.1 kg / cm 5B5B 3B3B 0B0B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0.5kg/cm0.5 kg / cm 0.2 kg/cm0.2 kg / cm 0.08 kg/cm0.08 kg / cm 5B5B 4B4B 0B0B

10, 20, 30 : 이면 시트
11, 21, 31 : 기재층
12, 22, 32 : 기능성층
111, 211, 311 : 기재층의 제 1 표면
112, 212, 312 : 기재층의 제 2 표면
221, 321 : 제 1층의 제 2 표면
222, 322 : 제 1층의 제 1 표면
23, 33 : 불소 수지층
23, 34 : 프라이머층
22, 32 : 기능성층
22a : 제 2 층
22b : 제 1층
22c : 제 3층
30, 40 : 광전지 모듈
31, 41 : 수광 시트
32, 42 : 봉지재층
32a : 제 1층
32b : 제 2층
33, 43 : 이면 시트
34, 44 : 광전지 소자
10, 20, 30: back sheet
11, 21, 31: substrate layer
12, 22, 32: functional layer
111, 211, 311: a first surface
112, 212, 312: a second surface of the base layer
221, 321: the second surface of the first layer
222, 322: a first surface of the first layer
23, 33: Fluorine resin layer
23, 34: primer layer
22, 32: functional layer
22a: Second layer
22b: First layer
22c: Third layer
30, 40: Photovoltaic module
31, 41: light receiving sheet
32, 42: encapsulant layer
32a: first layer
32b: second layer
33, 43: back sheet
34, 44: photovoltaic device

Claims (27)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을 가지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제 1 표면에 직접 접촉하는 기능성층을 포함하고,
2기압, 121℃ 및 100% 상대 습도의 조건에서 100 시간 동안 유지한 후에 ASTM D3002/D3359에 따라서 측정한 크로스 컷 테스트에 따른 상기 기재층 및 상기 기능성층의 박리 면적이 총 면적 대비 5% 미만인 이면 시트.
A substrate layer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And
A functional layer directly contacting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2 hours, 121 ° C, and 100% relative humidity for 100 hours, and then peeled off the base layer and the functional layer according to the crosscut test measured according to ASTM D3002 / D3359 is less than 5% Sheet.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층은 고분자 필름인 이면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layer is a polymer film.
제 2 항에 있어서,
고분자 필름은 아크릴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이면 시트.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olymer film is an acrylic film, a polyolefin film, a polyamide film, a polyurethane film, or a polyester film.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층의 두께는 50 내지 500㎛인 이면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layer has a thickness of 50 to 500 占 퐉.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층의 제 2 표면 상에 형성되는 불소 수지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이면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luororesin layer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layer.
제 5 항에 있어서,
불소 수지층은 결정화도가 55% 미만인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이면 시트.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luororesin layer comprises a fluororesin having a crystallinity of less than 55%.
제 6 항에 있어서,
불소 수지는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비닐 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헥사플루오로이소부틸렌, 퍼플루오로 부틸에틸렌, 퍼플루오로 메틸 비닐 에테르, 퍼플루오로 에틸 비닐 에테르, 퍼플루오로 프로필 비닐 에테르, 퍼플루오로 헥실 비닐 에테르, 퍼플루오로-2,2-디메틸-1,3-디옥솔 및 퍼플루오로-2-메틸렌-4-메틸-1,3-디옥솔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이면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luororesin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nylidene fluoride, vinyl fluoride, tetrafluoroethylene, hexafluoropropylene, chlorotrifluoroethylene, trifluoroethylene, hexafluoroisobutylene, perfluorobutylethylene, perfluoromethyl Vinyl ether, perfluoroethyl vinyl ether, perfluoropropyl vinyl ether, perfluorohexyl vinyl ether, perfluoro-2,2-dimethyl-1,3-dioxole and perfluoro-2- -Methyl-1,3-dioxolane. &Lt; / RTI &gt;
제 6 항에 있어서,
불소 수지는 플루오르화 올레핀, 플루오르화알킬 비닐 에테르, 퍼플루오로-2,2-디알킬-1,3-디옥솔 및 퍼플루오로-2-알킬렌-4-알킬-1,3-디옥솔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로부터 유래된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또는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인 이면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luororesi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luorinated olefins, fluorinated alkyl vinyl ethers, perfluoro-2,2-dialkyl-1,3-dioxol and perfluoro-2-alkylene- (Vinylidene fluoride) or poly (vinyl fluoride) comprising polymerized units derived from at least one co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 (vinylidene fluoride) or poly (vinyl fluoride).
제 8 항에 있어서,
공단량체로부터 유래된 중합 단위의 비율은 전체 불소 수지 내에서 0.5 중량% 내지 50 중량%인 이면 시트.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ratio of the polymerized units derived from the comonomer is 0.5 wt% to 50 wt% in the whole fluororesin.
제 5 항에 있어서,
기재층의 제 2 표면 및 불소 수지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이면 시트.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primer layer between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layer and the fluororesin layer.
제 1 항에 있어서,
기능성층은 압출 코팅층인 이면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unctional layer is a backsheet that is an extrusion coating layer.
제 1항에 있어서,
기능성층은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을 가지고,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제 1 층; 및
상기 제 1 층의 제 2 표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기재층의 제 1 표면과 직접 접촉하고 있는 제 2 층을 포함하는 이면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unctional layer hav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the first layer comprising a polyolefin; And
And a second layer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first layer and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제 12 항에 있어서,
제 1 층 및 제 2층은 공압출층 또는 압출 코팅층인 이면 시트.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are coextruded layers or extrusion coated layers.
제 13 항에 있어서,
제 1 층은 안료를 더 포함하는 이면 시트.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layer further comprises a pigment.
제 13 항에 있어서,
제 1 층의 두께는 5 내지 40㎛인 이면 시트.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first layer is 5 to 40 占 퐉.
제 13 항에 있어서,
제 2 층은 폴리올레핀;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1 내지 30 중량%인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이면 시트.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econd layer comprises a polyolefin; Or an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having a vinyl acetate content of 1 to 30% by weight or a derivative thereof.
제 16 항에 있어서,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유도체는 말레산 무수물로 개질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인 이면 시트.
17. The method of claim 16,
A derivative of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is an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modified with maleic anhydride.
제 13 항에 있어서,
제 2 층의 두께는 1 내지 20㎛인 이면 시트.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layer is 1 to 20 占 퐉.
제 13 항에 있어서,
제 1 층의 제 1 표면 상에 형성되는 제 3 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이면 시트.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 third layer form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first layer.
제 19 항에 있어서,
제 3 층은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1 내지 30 중량%인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그 유도체인 이면 시트.
20. The method of claim 19,
And the third layer is an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or a derivative thereof having a vinyl acetate content of 1 to 30% by weight.
제 19 항에 있어서,
제 3 층의 두께는 1 내지 20㎛인 이면 시트.
20. The method of claim 19,
And the thickness of the third layer is 1 to 20 占 퐉.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을 가지는 기재층의 상기 제 1 표면과 기능성층이 직접 접촉하도록 압출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항의 이면 시트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comprising extrusion coating the first layer of the substrate layer having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such that the functional layer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을 가지는 기재층의 상기 제 1 표면과 기능성층이 직접 접촉하도록 공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항의 이면 시트의 제조방법.A method of making a back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comprising pneumatic delivery such that the functional layer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having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제 22항 또는 제 23항에 있어서,
기재층의 제 2 표면에 불소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면 시트의 제조방법.
2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2 or 23,
And forming a fluororesin layer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layer.
제 22항에 있어서,
압출코팅하는 단계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제 1 층; 및 상기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제 1 층의 제 2 표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기재층의 제 1 표면에 직접 접촉하는 제 2 층을 공압출하여 형성된 기능성층을 압출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면 시트의 제조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Extrusion coating comprises: a first layer comprising a polyolefin; And extrusion coating a functional layer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first layer comprising the polyolefin and formed by co-extruding a second layer directly contacting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Way.
제 22항에 있어서,
압출 코팅하는 단계는, 기재층의 제 1 표면에 직접 접촉하는 제 2 층을 압출 코팅 한 후,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제 1 층을 압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면 시트의 제조방법.
23. The method of claim 22,
Extrusion coating comprises extrusion coating a second layer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layer and then extrusion coating the first layer comprising polyolefin.
제 1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면 시트를 포함하는 광전지 모듈.22. A photovoltaic module comprising a back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1.
KR1020150101099A 2015-07-16 2015-07-16 Backshee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1700092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099A KR20170009292A (en) 2015-07-16 2015-07-16 Backshee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099A KR20170009292A (en) 2015-07-16 2015-07-16 Backshee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292A true KR20170009292A (en) 2017-01-25

Family

ID=57991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099A KR20170009292A (en) 2015-07-16 2015-07-16 Backshee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929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98196A (en) * 2018-04-19 2018-09-28 山东冬瑞高新技术开发有限公司 A kind of high-weatherability solar cell backboar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455B1 (en) * 2009-12-16 2012-02-24 율촌화학 주식회사 Back sheet for solar cell modu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solar cell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20130047696A (en) * 2010-06-03 2013-05-08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Solar-cell backsheet and solar-cell module
KR20140074232A (en) * 2012-12-06 2014-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Backsheet
KR20140074376A (en) * 2011-10-05 2014-06-17 도레이 필름 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Back-protective sheet for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using same
KR20140082580A (en) 2012-12-24 2014-07-02 주식회사 엘지화학 Back sheet for optoelectronic device, opto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455B1 (en) * 2009-12-16 2012-02-24 율촌화학 주식회사 Back sheet for solar cell modul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solar cell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20130047696A (en) * 2010-06-03 2013-05-08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Solar-cell backsheet and solar-cell module
KR20140074376A (en) * 2011-10-05 2014-06-17 도레이 필름 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Back-protective sheet for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using same
KR20140074232A (en) * 2012-12-06 2014-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Backsheet
KR20140082580A (en) 2012-12-24 2014-07-02 주식회사 엘지화학 Back sheet for optoelectronic device, opto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98196A (en) * 2018-04-19 2018-09-28 山东冬瑞高新技术开发有限公司 A kind of high-weatherability solar cell backboar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8598196B (en) * 2018-04-19 2020-03-27 山东冬瑞高新技术开发有限公司 High-weather-resistance solar cell back pla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974B1 (en) Photovoltaic modules having a polyvinylidene fluoride backsheet
KR101271497B1 (en) Protective sheet for solar cell modules,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solar cell module
KR101552772B1 (en) Backsheet
KR101536381B1 (en) Multi-layered film and Photovoltaic Modules comprising the same
CN108198884B (en) Damp-heat resistant solar cell back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413377A1 (en) Protective sheet for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101536382B1 (en) Multi-layered film and Photovoltaic Modules comprising the same
KR20110010386A (en) Backsheet for solar batter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12105512A1 (en) Surface protective material for solar cell, and solar cell module produced using same
EP3013578A1 (en) Backsheets/frontsheets having improved adhesion to encapsulants and photovoltaic modules made therefrom
JP2010232513A (en) Back protective sheet for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KR20170009292A (en) Backshee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510499B1 (en) Highly reliable multi-layered film comprising fluoro-based polymer coating lay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409116B1 (en) Multi-layered Film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593741B1 (en) Multi-layered film and Photovoltaic Modules comprising the same
JP5474171B1 (en) Protective material for solar cells
TWI466776B (en) Multilayered film and photovoltaic modules having the same
KR101554382B1 (en) Preparing Method of Multi-layered film
TWI429091B (en) Backsheet structure for solar plate module and its fabrication method
KR20130134482A (en) Multi-layered film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140147935A (en) Multi-layered film
JP2012176608A (en) Surface protective material for solar cell, and solar cell module produced using same
JP2017112245A (en) Method for laminate temperature decision in solar battery module production, and method for solar battery module production by using the same
JP2017017261A (en) Sealing material-integrated back face protective sheet for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using the same
JP2017017260A (en) Sealing material-integrated back face protective sheet for solar cell module and solar cell modul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