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991A -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991A
KR20160134991A KR1020150067426A KR20150067426A KR20160134991A KR 20160134991 A KR20160134991 A KR 20160134991A KR 1020150067426 A KR1020150067426 A KR 1020150067426A KR 20150067426 A KR20150067426 A KR 20150067426A KR 20160134991 A KR20160134991 A KR 20160134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elevator
governor rope
pulley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0837B1 (ko
Inventor
이효용
Original Assignee
(주)디 앤드 디
이효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 앤드 디, 이효용 filed Critical (주)디 앤드 디
Priority to KR1020150067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837B1/ko
Publication of KR20160134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10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equalising rope or cable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6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로프에 매달린 풀리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레버를 유동적으로 움직이게 하여 엘리베이터의 이동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는 조속기 로프에 매달린 풀리와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풀리의 회전축이 연결되고, 내부에 플레이트 슬릿이 형성되는 가이드 플레이트가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조속기 로프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 결합하는 중심추; 및 일단이 상기 플레이트 슬릿에 구속되고, 타단이 상기 풀리의 일 측방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TENSION DEVICE FOR ELEVATOR GOVERNOR ROP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로프에 매달린 풀리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레버를 유동적으로 움직이게 하여 엘리베이터의 이동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건물에 설치되어 승객이 탑승한 승강차를 수직 방향으로 승, 하강시키면서 승객을 건물의 층과 층 사이로 이송하는 장치로, 모터로 견인되는 메인 로프에 연결되어 승강차를 승, 하강시킨다. 조속기 로프는 조속기 및 승강차와 연결되어 승강차의 이동에 따라 함께 회전 구동되며, 승강차의 과속운행에 의해 조속기가 동작할 때 승강차에 연결된 비상 정지장치를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는 조속기 로프에 매달려 조속기 로프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할 수 있는 풀리(Pulley) 및 무게추를 포함한다. 조속기 로프는 풀리에 감겨지고, 무게추는 풀리에 장착된다. 풀리는 일측에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브라켓(Bracket)과 연결된 레버와 고정 결합되고, 조속기 로프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여 승, 하강하게 되면 레버 및 브라켓에 의해 승, 하강시 흔들리지 않고 안정감 있게 움직일 수 있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는 조속기와 연결되는 조속기 로프(10), 상기 조속기 로프(10)에 매달린 풀리(20), 상기 풀리(20)의 하부에 결합된 중심추(30), 상기 풀리(20)와 상기 중심추(30)를 연결하는 플레이트(40), 상기 풀리(20)의 일측면에 상기 플레이트(40)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레버(50) 및 상기 조속기 로프(10)의 쳐짐에 따라 이동되는 풀리(20) 및 상기 레버(50)와 함께 가이드 레일(70)에 고정되는 브라켓(60)을 포함한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는 상기 브라켓(60)과 상기 레버(50)가 핀(구체적으로, 샤프트, 스프링 와샤 및 너트)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레버(50)와 상기 풀리(20)가 핀(구체적으로, 베어링, 스냅 링, 샤프트, 볼트 및 너트)으로 연결되어, 엘리베이터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사용 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상기 조속기 로프(10)가 늘어나 상기 풀리(20)가 하강하고, 상기 풀리(20)의 하강에 따라 상기 풀리(20)와 연결된 상기 레버(50)의 일단이 함께 (a) 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는 상기 레버(50)의 일단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브라켓(60)과 핀으로 연결된 상기 레버(50)의 타단이 일부 회전하여 수평이었던 상기 레버(50)가 기울어지게 되고, 수직하강 이동이 아닌 일정한 각도로 수직 이동함에 따라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구동시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풀리의 이동에 따라 레버가 정확하게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레버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엘리베이터 구동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를 개시하고자 한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86192호(2005.04.21)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4739호(2008.08.21)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로프에 매달린 풀리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레버를 유동적으로 움직이게 하여 엘리베이터의 이동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풀리와 회전 결합할 수 있는 프레임을 별도로 구비하여 프레임에 형성된 장공에 레버를 관통시키고 풀리와 레버를 일체화시켜 레버가 수직이 아닌 일정한 각도로 어긋나게 쳐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풀리의 승, 하강에 따라 레버가 풀리와 연결된 프레임의 장공에서 수직으로 승, 하강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여 엘리베이터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는 조속기 로프에 매달린 풀리와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풀리의 회전축이 연결되고, 내부에 플레이트 슬릿이 형성되는 가이드 플레이트가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조속기 로프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 결합하는 중심추; 및 일단이 상기 플레이트 슬릿에 구속되고, 타단이 상기 풀리의 일 측방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슬릿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특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특정 길이는 상기 레버의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판형 부재로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그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의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풀리의 회전을 강제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플레이트 슬릿의 하단에 걸쳐져서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플레이트 슬릿의 상단에 걸쳐져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일단이 상기 플레이트 슬릿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레버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버 가이드는 상기 레버가 상하 이동함에 따라 상기 레버의 일단 또는 중간부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레버의 일단 및 중간부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로프에 매달린 풀리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레버를 유동적으로 움직이게 하여 엘리베이터의 이동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풀리와 회전 결합할 수 있는 프레임을 별도로 구비하여 프레임에 형성된 장공에 레버를 관통시키고 풀리와 레버를 일체화시켜 레버가 수직이 아닌 일정한 각도로 어긋나게 쳐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풀리의 승, 하강에 따라 레버가 풀리와 연결된 프레임의 장공에서 수직으로 승, 하강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여 엘리베이터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를 엘리베이터에 설치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및 일측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에서 베이스 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레버가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는 일측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를 엘리베이터에 설치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는 승강로(1) 내에 배치되고, 가이드 레일(600) 사이에는 엘리베이터(2)가 위치하며, 엘리베이터(2)는 메인 로프(9)를 통해 균형추(3)와 연결된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기계실(4)이 설치되어 있고, 기계실(4) 내에는 엘리베이터(2) 및 균형추(3)를 승강로(1) 내에서 승강시킬 수 있는 권상기(卷上機)(5) 및 상기 권상기(5)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디플렉션 쉬브(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권상기(5)는 모터 및 브레이크 장치를 포함하는 구동장치 본체(7) 및 상기 구동장치 본체(7)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8)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쉬브(8) 및 디플렉션 쉬브(6)는 메인 로프(9)가 복수 개 걸려 있고, 엘리베이터(2) 및 균형추(3)는 상기 메인 로프(9)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릴 수 있다. 엘리베이터(2)는 권상기(5)의 구동력에 의해 가이드 레일(600)에 안내되면서 승강로(1) 내를 승강하고, 균형추(3)는 권상기(5)의 구동력에 의해 균형추 가이드 레일(미도시)에 안내되면서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또한, 기계실(4)은 엘리베이터(2)의 속도를 검출하는 조속기(調速機)(10)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10)는 조속기 본체(11) 및 조속기 본체(11)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조속기 쉬브(12)를 포함한다. 조속기(10) 및 권상기(5)는 기계실(4) 내부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2)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13)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엘리베이터(2)는 엘리베이터(2)의 이동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 멈춤 장치(14)가 탑재되어 있어, 조속기 쉬브(12)에 감겨있는 조속기 로프(100)의 일단 및 타단이 작동 레버(15)를 통해 상기 비상 멈춤 장치(14)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속기 로프(100)는 엘리베이터(2)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조속기 쉬브(12)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조속기 로프(100)는 풀리(200)가 매달려있어 엘리베이터(2)의 이동에 따라 풀리(200)의 회전 및 이동을 유발할 수 있다. 여기에서, 풀리(200)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0) 중 한 쪽에 연결된 레버(500)와 함께 승강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및 일측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에서 베이스 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레버가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는 일측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는 조속기 로프(100)에 매달린 풀리(200)와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풀리(200)의 중심부와 회전 결합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이동과 수직 방향으로 그 측면을 관통하는 플레이트 슬릿(310)을 포함하는 베이스 프레임(300); 상기 조속기 로프(100)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300)의 타단 중심축에 고정 결합하는 중심추(400); 및 상기 플레이트 슬릿(310)에 수용되어 상기 풀리(2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풀리(200)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600)에서 상하 이동하는 레버(500)를 포함한다.
상기 조속기 로프(100)는 조속기와 연결되어 엘리베이터와 함께 움직이고, 상기 풀리(200)에 감겨질 수 있다. 상기 풀리(200)는 U형의 홈이 그 둘레로 형성되어 상기 조속기 로프(100)의 움직임(즉, 감겨지고 풀림)에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움직 도르레와 같이 승, 하강할 수 있다. 상기 풀리(200)는 상기 조속기 로프(100)의 늘어남을 측정하는 안전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풀리(200)는 상기 조속기 로프(100)에 의해 상기 조속기 로프(100)와 연결된 엘리베이터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여 엘리베이터의 이동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풀리(200)는 엘리베이터의 이동 속도를 기초로 엘리베이터의 과속 여부를 알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300)은 상기 풀리(200)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큰 반경을 가지는 대략 판형의 부재이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300)에는 상기 풀리(200)의 회전축이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300)의 중앙부는 상기 풀리(20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풀리(200)가 상기 조속기 로프(100)의 이동에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300)은 샤프트, 베어링 및 너트 등의 부재에 의해 상기 풀리(200)의 회전축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풀리(200)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300)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풀리(200)에 상기 조속기 로프(100)가 감아짐으로써 조속기 로프(1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풀리(200) 및 베이스 프레임(300)이 움직 도르레와 같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300)의 하단부에는 일정 무게를 가지는 중심추(400)가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300)의 하단부는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상기 중심추(400)와 고정 연결되어 상기 중심추(400)와 일체화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30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가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내부에 길게 천공된 플레이트 슬릿(31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300)에 붙어있는 판형 부재에 해당하고, 상기 플레이트 슬릿(310)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이동과 수직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측면을 관통하는 구멍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슬릿(310)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300)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특정 길이를 가지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300)의 좌측단 및 우측단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500)의 일단이 안착된 상태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특정 길이는 상기 레버(500)의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 슬릿(31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300)의 좌측단 및 우측단에 모두 형성되거나, 좌측단 또는 우측단 중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레이트 슬릿(310)은 가로 폭이 상기 레버(500)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레버(5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세로 폭이 상기 레버(500)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레버(500)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플레이트 슬릿(310)의 세로 폭은 상기 풀리(200)의 중심축부터 상기 중심추(400)와 고정 연결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300)은 그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의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풀리(200)의 회전을 강제 정지시키는 스토퍼(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320)는 상기 풀리(200)와 연결된 속도 측정 센서에서 상기 풀리(200)의 회전 속도를 기초로 엘리베이터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여 엘리베이터의 과속 여부를 판단하면, 그에 따라 상기 풀리(200)의 회전을 강제 정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스토퍼(320)는 상기 엘리베이터가 기 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면 상기 풀리(200)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300)은 사각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상기 풀리(200) 및 상기 중심추(400)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 슬릿(310)을 포함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중심추(400)는 일정 무게를 가지고 있어 상기 조속기 로프(100)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300)의 타단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중심추(400)는 25 ~ 35kg의 무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레버(500)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300)에 연결되고 타단이 가이드 레일(600)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프레임(300)과 상기 가이드 레일(600)을 서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버(500)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300)의 가이드 플레이트의 플레이트 슬릿(310)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 레일(600)에 고정된다. 따라서, 풀리(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풀리(200)와 고정된 베이스 프레임(300)이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300)의 플레이트 슬릿(310)에 일단이 삽입된 레버(500)도 같이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풀리(200)가 흔들리지 않고 가이드 레일(600)에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레버(500)는 상기 풀리(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 슬릿(310) 내에서 상하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레버(5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300)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플레이트 슬릿(310)의 하단에 걸쳐져서 상방으로 이동하고(a), 상기 베이스 프레임(300)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플레이트 슬릿(310)의 상단에 걸쳐져서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b).
또한, 상기 레버(500)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연결된 레버 가이드(700)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 슬릿(3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상기 플레이트 슬릿(310)에서 상하 이동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레버 가이드(700)는 상기 레버(500)의 일단이 상기 플레이트 슬릿(3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버 가이드(700)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500)가 상기 플레이트 슬릿(3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레버(500)가 균형(즉,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기 가이드 레일(60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100: 조속기 로프 20, 200: 풀리
300: 베이스 프레임 310: 플레이트 슬릿
320: 스토퍼 30, 400: 중심추
50, 500: 레버 70, 600: 가이드 레일
700: 레버 가이드
40: 플레이트 60: 브라켓
1: 승강로 2: 엘리베이터
3: 균형추 4: 기계실
5: 권상기 6: 디플렉션 쉬브
7: 구동장치 본체 8: 구동 쉬브
9: 메인 로프 10: 조속기
11: 조속기 본체 12: 조속기 쉬브
13: 제어 장치 14: 비상 멈춤 장치
15: 작동 레버

Claims (7)

  1. 엘리베이터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는 조속기 로프에 매달린 풀리와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풀리의 회전축이 연결되고, 내부에 플레이트 슬릿이 형성되는 가이드 플레이트가 적어도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조속기 로프에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 결합하는 중심추; 및
    일단이 상기 플레이트 슬릿에 구속되고, 타단이 상기 풀리의 일 측방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슬릿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특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특정 길이는 상기 레버의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판형 부재로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그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의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풀리의 회전을 강제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플레이트 슬릿의 하단에 걸쳐져서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플레이트 슬릿의 상단에 걸쳐져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의 일단이 상기 플레이트 슬릿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레버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가이드는
    상기 레버가 상하 이동함에 따라 상기 레버의 일단 또는 중간부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레버의 일단 및 중간부의 균형을 유지하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
KR1020150067426A 2015-05-14 2015-05-14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 KR101830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426A KR101830837B1 (ko) 2015-05-14 2015-05-14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426A KR101830837B1 (ko) 2015-05-14 2015-05-14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991A true KR20160134991A (ko) 2016-11-24
KR101830837B1 KR101830837B1 (ko) 2018-02-23

Family

ID=57705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426A KR101830837B1 (ko) 2015-05-14 2015-05-14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8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022A (ko) 2021-11-22 2023-05-31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3533A (ja) * 2002-12-24 2004-07-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エレベータかごの非常停止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022A (ko) 2021-11-22 2023-05-31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0837B1 (ko) 2018-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6374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97476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0255933A5 (ko)
KR20130093650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WO2007004293A1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ロープの張り車装置
KR101036020B1 (ko) 산업용 리프트의 추락방지장치
JP4992281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7069311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86297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1454867B1 (en) Elevator speed governor
JP2011006218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客救出装置
JP2004083231A (ja) エレベータ装置
JP6751373B2 (ja) 非常停止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EP1431231B1 (en) Elevator without machineroom
KR101830837B1 (ko)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
JP2007176624A (ja) エレベータ
CN108349693B (zh) 电梯及电梯的运转方法
JP4658063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JPWO2004074157A1 (ja) エレベータ
JP2009263015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336225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30079996A (ko) 하중검출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엘리베이터장치
JP507652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の非常止め装置の試験方法
JP465806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2096982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