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1336A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1336A
KR20160091336A KR1020167013882A KR20167013882A KR20160091336A KR 20160091336 A KR20160091336 A KR 20160091336A KR 1020167013882 A KR1020167013882 A KR 1020167013882A KR 20167013882 A KR20167013882 A KR 20167013882A KR 20160091336 A KR20160091336 A KR 20160091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mask body
longitudinal direction
portions
lat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3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0345B1 (ko
Inventor
아키하루 츠치야
마이 와카바야시
다카히로 야기
게이스케 하마다
야스히로 고가
Original Assignee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산엠패키지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199164&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6009133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산엠패키지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91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15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rizontal pleated pocke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마스크 본체 측부가 안면에 잘 밀착되고, 마스크 본체와 안면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여, 마스크 안으로의 미립자의 침입을 억제하는 마스크를 제공한다. 마스크 본체(10)와, 그 마스크 본체(10)의 가로 방향 양 단부에 형성된 귀걸이부(12)를 구비하고, 복수의 플리트(15)가 형성된 마스크(1)이며, 복수의 플리트(15)는, 가열 시일에 의해 형성된 용착부(22)로 고정되어 있고, 용착부(22)는, 마스크 본체(10)의 가로 방향 양측에서 세로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인접하는 용착부의 간격이 3㎜ 이상으로 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마스크{MASK}
본 발명은, 감기 바이러스, 꽃가루, 먼지, PM2.5 등으로부터의 방호 목적 등으로 사용되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분증 대책용 마스크, 감기 예방용 마스크 등에 더하여, 호흡기계 및 심장이나 혈관 등의 순환기계에 영향을 주는 PM(particulate matter)2.5 등의 미소 입자상 물질 대책용 마스크의 수요가 향상되고 있다. 종래로부터 미소 입자상 물질 대책용 마스크로서, N95 마스크가 알려져 있지만, 값이 비싸고, 디자인성이 나쁘고, 숨이 막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로 인해, 일반적인 마스크이며, PM2.5의 침입을 억제하기 위해서, 마스크 본체의 측부와 안면의 밀착성을 높인 마스크가 요망되고 있다. 또한, N95 마스크란, 미국 노동 안전 위생 연구소(NIOSH)의 N95 규격을 승인받아, 허가받은 마스크를 말한다.
예를 들어, 마스크 본체의 측부와 안면의 밀착성을 높인 마스크로서, 특허문헌 1에는, 가로 방향으로 플리트(pleat) 가공이 실시된 마스크 본체부와,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 양 단부에 각각 선(끈 모양) 또는 띠 모양의 귀걸이 부재를 구비하고, 귀걸이 부재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마스크 장착 시에 이 귀걸이 부재에 의한 인장력이 마스크 본체부의 세로 방향 외측에 작용하는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장착 시에 있어서의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 단부의 휨을 억제해, 마스크 본체의 측부와 안면의 밀착성을 높이도록 한 마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11-182810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마스크에 있어서도, 마스크 본체의 측부와 안면 사이에 간극이 생겨 버릴 우려가 있어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장착했을 때에 마스크 본체의 측부가 안면에 잘 밀착되어, 마스크 본체와 안면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여, 마스크 안으로의 미립자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는, 이하의 수단에 의해 해결할 수 있다.
(1) 마스크 본체와, 그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 양 단부에 형성된 귀걸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부가 겹치는 것으로 복수의 플리트가 형성된 마스크이며,
상기 복수의 플리트는, 가열 시일에 의해 형성된 용착부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용착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 양측에서 세로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인접하는 상기 용착부의 간격이 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상기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 양 단부는, 사이드(side) 테이프에 의해 가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마스크.
(3) 상기 사이드 테이프는, 상기 귀걸이부와 동일한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귀걸이부가, 상기 사이드 테이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에 기재된 마스크.
(4) 상기 용착부는, 상기 사이드 테이프와 상기 마스크 본체를 중첩해서 가열 시일함으로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또는 (3)에 기재된 마스크.
(5) 상기 사이드 테이프로 가려진 상기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 양 단부에는, 상기 복수의 플리트가 가열 시일에 의해 임시 고정된 가용착부가, 상기 용착부보다 상기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에서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가용착부의 수는, 상기 용착부의 수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마스크.
(6) 상기 가용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용착부와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 오버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에 기재된 마스크.
(7)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상기 가용착부의 최소 간격은, 상기 용착부의 간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5) 또는 (6)에 기재된 마스크.
(8)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열 시일에 의해 형성된 가로 방향 용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용착부의 간격은,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가로 방향 용착부의 간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마스크.
(9) 상기 마스크 본체에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는 측의 가로 방향 양 단부에 상기 안면과 상기 마스크 본체의 간극을 가리도록 사이드 블록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마스크.
(10) 상기 마스크 본체에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는 측의 하단부에 상기 착용자의 턱부를 수용하는 턱부 수용 포켓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마스크.
상기 (1)에 기재된 마스크에 의하면,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 양측에 형성된 용착부에 있어서, 인접하는 용착부의 간격이 3㎜ 이상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 양 단부가 착용자의 안면의 형상을 따르기 쉽고(이하, 이것을 형상 친화성이라고도 칭함), 마스크 본체의 측부와 안면의 간극이 적어져서 밀착성이 증가되어, 마스크 안으로의 미립자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2)에 기재된 마스크에 의하면,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 양 단부가 사이드 테이프로 가려져 있기 때문에, 마스크 본체의 재단면의 보풀을 억제하여, 촉감을 좋게 할 수 있다.
상기 (3)에 기재된 마스크에 의하면, 귀걸이부를 이것과 동일한 소재를 포함하는 사이드 테이프에 설치하도록 했기 때문에, 가열 시일에 의해 동일한 소재가 용합하는 것으로 귀걸이부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4)에 기재된 마스크에 의하면, 용착부와는 별도로 사이드 테이프를 마스크 본체에 용착하면 형상 친화성이 악화되는 바, 용착부에서 사이드 테이프를 용착하는 것으로, 형상 친화성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5)에 기재된 마스크에 의하면, 임시 고정함으로써, 플리트의 제조가 용이하게 되고, 또한 가용착부의 수를 용착부의 수보다 적게 함으로써, 가용착부에 의해 형상 친화성이 저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6)에 기재된 마스크에 의하면, 가용착부의 적어도 일부를 용착부에 오버랩시킴으로써, 가용착부에 의해 형상 친화성이 악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7)에 기재된 마스크에 의하면, 가용착부의 최소 간격을, 용착부의 간격보다 크게 함으로써, 가용착부에 의해 형상 친화성이 악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8)에 기재된 마스크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세로 방향 용착부 및 가로 방향 용착부의 간격을 맞추는 바, 세로 방향 용착부의 간격을 과감히 넓게 함으로써, 형상 친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9)에 기재된 마스크에 의하면, 마스크 본체의 측부와 안면의 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마스크 안으로의 미립자의 침입을 한층 억제할 수 있다.
상기 (10)에 기재된 마스크에 의하면, 마스크 본체의 하단부와 안면의 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마스크 안으로의 미립자의 침입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마스크 내측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마스크를 내측에서 본 가로 방향 단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마스크 내측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의 마스크를 내측에서 본 가로 방향 단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마스크 내측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 형태의 마스크를 내측에서 본 가로 방향 단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의 (a)는 실시예 1의 마스크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의 마스크의 가로 방향 단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의 (a)는 실시예 2의 마스크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의 (b)는 도 8의 (a)의 마스크의 가로 방향 단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9의 (a)는 비교예 1의 마스크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9의 (b)는 도 9의 (a)의 마스크의 가로 방향 단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0의 (a)는 비교예 2의 마스크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0의 (b)는 도 10의 (a)의 마스크의 가로 방향 단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1의 (a)는 비교예 3의 마스크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1의 (b)는 도 11의 (a)의 마스크의 가로 방향 단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2의 (a)는 비교예 4의 마스크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2의 (b)는 도 12의 (a)의 마스크의 가로 방향 단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3의 (a)는 비교예 5의 마스크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3의 (b)는 도 13의 (a)의 마스크의 가로 방향 단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1의 마스크를 착용자가 실제로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비교예 2의 마스크를 착용자가 실제로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마스크 각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마스크를 도 1 및 도 2에 도시한다. 도 1은, 마스크를 실제로 장착하도록, 중앙 부분을 상하로 넓혀서 폭 방향으로 만곡시킨 상태로 하여,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는 측(마스크의 내측)에서 본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마스크 내측의 가로 방향 단부의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마스크(1)는, 장착 시에 착용자의 코와 입을 가리는 마스크 본체(10)와, 마스크 본체(10)의 폭 방향(이하, 가로 방향이라 칭함) 양 단부에 형성된 귀걸이부가 되는 귀끈(12)을 구비하고 있다.
마스크 본체(10)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프로필렌계 섬유, 폴리에틸렌계 섬유, 나일론계 섬유, 코튼계 섬유 등을 원료로 해서 제조된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또한 귀끈(12)은, 고무 소재와 이 고무 소재를 가리는 커버링 소재를 포함하고, 귀끈(12)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고무 소재는, 폴리우레탄계 섬유,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원료로 해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고, 커버링 소재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나일론계 섬유 등을 원료로 해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마스크(1)는, 소위 「플리트 가공형」이라고 불리는 형태를 말하며, 마스크 본체(10)는 부직포를 복수매 겹친 것으로 구성되고, 복수(도면에서는 4개)의 가로 방향의 접음선(14)으로 접는 것에 의해 마스크 본체(10)의 일부가 겹쳐서 복수의 플리트(주름)(15)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 중에서는, 마스크 본체(10)는, 1매의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도록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는 복수매의 부직포가 겹쳐서 구성되어 있다(이하, 도 3 내지 도 6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임).
마스크 본체(10)의 상단부(10a)는, 가로 방향 전체에 걸쳐서 마스크 본체(10)의 내측으로 접혀져 있다. 이 접혀진 부분은, 가열 시일에 의해 가로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그물코 형상으로 형성된 그물코 시일(17)과, 가열 시일에 의해 가로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2열로 형성된 가로 방향 용착부(16a, 16b)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가로 방향 용착부(16a, 16b)는, 각각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 위치하는 가로 방향 용착부(16a)의 일부가 가열 시일에 의해 그물코 형상으로 형성된 그물코 시일(17)에 겹쳐져 있다. 가열 시일(용착)로서는, 열 용착 외에, 고주파나 초음파에 의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그물코 시일이란, 2열로 나란한 용착점의 각 열이 등피치(간격)로 용착되어 있고, 한쪽 열 옆의 열이 그 피치의 절반 위치에 동일 피치로 용착되어 있고, 그 2열을 1조로 해서 1조 이상 설치되는 것으로 형성된 시일 부분을 의미하고 있다.
마스크 본체(10)의 상단부(10a)에는, 가로 방향 용착부(16a, 16b)에 의해, 마스크 본체(10)의 일단부측 내부에 주머니 형상의 수용 공간(18)이 형성되고, 이 수용 공간(18)에는, 마스크 착용자의 코의 형상에 맞춰서 변형되는 노즈 피트(fit) 부재(20)가 수용된다. 노즈 피트 부재(20)로서는, 코의 형상에 밀착되어,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에스테르 등의 수지제여도 되고, 철, 알루미늄 등의 금속성이어도 된다.
또한, 마스크 본체(10)의 하단부(10b)는, 가로 방향 전체에 걸쳐서 마스크 본체(10)의 내측으로 접혀져, 가로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그물코 시일(2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귀끈(12)의 단부도 그물코 시일(25)에 의해 마스크 본체(10)의 코너부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플리트(15)는, 마스크 본체(10)의 가로 방향 양측에 가열 시일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용착부(2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용착부(22), 마스크 본체(10)의 가로 방향 양측에서 가로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이하, 세로 방향이라 칭함)으로 등간격으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세로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용착부(22)의 간격 d1은, 적어도 3㎜ 이상, 바람직하게는 4㎜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세로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용착부(22)의 간격 d1은, 상기 가로 방향 용착부(16a, 16b)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가로 방향 용착부의 간격 d0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용착부(22)는 1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접하는 용착부(22) 사이의 중심간 거리는 5㎜ 이상이 바람직하고, 6㎜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7㎜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용착부(22)를 형성하는 경우, 그물코 시일(17, 24)과 마찬가지로 그물코 시일로 하거나, 혹은 그물코 시일로 하지 않는 경우에도 인접하는 용착부(22)의 간격 d1을 인접하는 가로 방향 용착부(16a, 16b)의 간격 d0과 동일하게 맞추도록 형성하는 바,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물코 시일을 채용하지 않고, 또한 인접하는 용착부(22)의 간격 d1을 과감히 넓게, 특히 3㎜ 이상이 되도록, 인접하는 용착부(22)의 간격을 확보함으로써, 마스크 가로 방향 단부를 유연하게 하고 있다. 용착부(22) 자체는 한번 녹아서 굳어져 있기 때문에 단단하지만, 그 수를 줄임으로써, 마스크 가로 방향 단부의 유연함을 늘리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마스크 가로 방향 단부를 유연하게 함으로써, 마스크 본체(10)의 착용자의 안면에 대한 형상 친화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용착부(22)의 간격 d1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플리트(15)를 고정시킬 수 있는 범위 내이면 된다.
착용자가 본 마스크(1)를 장착할 때는, 마스크(1)의 2개의 귀끈(12)을 착용자의 귀에 걸려 돌림과 함께, 노즈 피트 부재(20)를 콧마루의 형상에 맞춰서 굴곡시켜서, 마스크 본체(10)의 상단부(10a)가 안면에 밀착되도록 하면서 장착한다. 마스크(1)를 장착하면 마스크 본체(10)의 플리트(15)가 그 중앙부에 있어서 늘어나서, 이에 의해 착용자의 코와 입이 가려진다.
마스크 본체(10)의 가로 방향 양 단부는, 귀끈(12)으로부터의 장력을 받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0)의 가로 방향 양측에 형성된 용착부(22)에 있어서, 인접하는 용착부(22)의 간격이 3㎜ 이상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마스크 본체(10)의 가로 방향 양 단부가 착용자의 안면의 형상을 따르기 쉽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마스크(1)에 있어서는, 마스크 본체(10)의 가로 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용착부(22)의 세로 방향의 간격을 넓게, 인접하는 용착부(22)의 간격을 3㎜ 이상이 되도록 세로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했기 때문에, 마스크 본체(10)의 착용자의 안면에 대한 형상 친화성이 좋아, 마스크 본체(10)의 측부와 안면의 간극이 적어져서 밀착성이 증가하여, 마스크 안으로의 미립자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마스크(1)에 있어서는, 마스크 본체(10)에 미립자의 침입을 저지하는 포집 필터를 내장해도 된다. 포집 필터를 내장함으로써, 마스크 안으로의 미립자의 침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마스크를 나타낸다. 도 3은 제2 실시 형태의 마스크 내측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마스크 내측의 가로 방향 단부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제2 실시 형태의 마스크(2)에 있어서, 도 1, 도 2에 나타낸 제1 실시 형태의 마스크(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마스크(2)는, 제1 실시 형태의 마스크(1)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10)의 가로 방향 양측에 각각 가로 방향 양측 단부를 가리도록 설치된 사이드 테이프(30, 30)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마스크(2)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직포의 일부가 겹치도록 해서 형성된 복수의 플리트(15)가, 가로 방향 단부에 있어서 각각 가용착부(36)에 의해 임시 고정되어 있다. 이 가용착부(36)는 플리트(15)를 임시 고정하는 세로 방향의 각 위치에 있어서 가로 방향으로 각각 2개씩 배열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플리트(15)를 임시 고정함으로써, 플리트(15)의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사이드 테이프(30, 30)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프로필렌계 섬유, 폴리에틸렌계 섬유, 나일론계 섬유 등을 원료로 해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고, 마스크 본체(10)의 가로 방향 양 단부에, 마스크 본체(10)의 전방면으로부터 후방면을 향해서 접힌 상태에서, 임시 고정된 플리트(15)의 단부를 가리도록 설치된다. 사이드 테이프(30, 30)는, 세로 방향으로 1열로 형성되는 용착부(22)에 의해 마스크 본체(10)와 중첩해서 용착된다.
특히, 사이드 테이프(30, 30)의 소재를 귀끈(12)과 동일한 소재로 해서 귀끈(12)을 사이드 테이프(30, 30)에 가열 시일로 설치함으로써, 동일한 소재가 용합함으로써 귀끈(12)을 마스크 본체(10)에 대하여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귀끈(12)이 고무 소재와 커버링 소재를 포함하는 경우, 사이드 테이프(30, 30)를 커버링 소재와 동일한 소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용착부(36)는, 용착부(22)보다 가로 방향에서 외측으로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용착부(22)는, 그물코 시일을 채용하지 않고, 또한 인접하는 용착부(22)의 간격 d1을 과감히 넓게, 특히 3㎜ 이상이 되도록, 가로 방향 용착부(16a, 16b)의 간격 d0보다 넓게 형성되는 점은 제1 실시 형태의 마스크(1)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가용착부(36)의 수는, 용착부(22)의 수보다 적게 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가용착부(36)의 수를 용착부(22)의 수보다 적게 함으로써, 가용착부(36)에 의해 형상 친화성이 저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용착부(36)는, 가로 방향으로 각각 2개씩 배열해서 형성될 필요는 없고, 세로 방향으로 1열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가용착부(36)에 의해 형상 친화성이 저해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가용착부(36)와 용착부(22)의,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가능한 한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용착부(36)의 적어도 일부는, 세로 방향에 있어서, 용착부(22)와 오버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가용착부(36)의 간격 d2, d3은, 용착부(22)의 간격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된다. 가용착부(36)의 간격 d2, d3은 어느 하나가 커도 되고, 동일해도 되지만, 인접하는 가용착부(36)의 최소 간격을, 용착부(22)의 간격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가용착부(36)에 의해 형상 친화성이 악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마스크(2)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마스크(1)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사이드 테이프(30, 30)로 마스크 본체(10)의 가로 방향 양 단부를 가림으로써, 마스크 본체(10)의 재단면의 보풀을 억제하여, 촉감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테이프(30, 30)의 소재를 귀끈(12)과 동일한 소재로 함으로써, 귀끈(12)을 마스크 본체(10)에 대하여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가용착부(36)에 의해 플리트(15)의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가용착부(36)의 최소 간격을, 용착부(22)의 간격보다 크게 함으로써, 가용착부(36)에 의해 형상 친화성이 악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마스크를 나타낸다. 도 5는 제3 실시 형태의 마스크 내측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마스크 내측의 가로 방향 단부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제3 실시 형태의 마스크(3)에 있어서, 도 3, 도 4에 나타낸 제2 실시 형태의 마스크(2)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의 마스크(3)는, 제2 실시 형태의 마스크(2)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10)의 가로 방향 양 단부에 착용자의 안면과 마스크 본체(10)의 간극을 가리는 사이드 블록(32, 32) 또는 마스크 본체(10)의 하단부에 착용자의 턱을 수용하는 턱부 수용 포켓(34)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는, 사이드 블록(32, 32)과 턱부 수용 포켓(34)의 양쪽을 구비하고 있지만, 어느 한쪽을 구비한 마스크도 본 실시 형태에 해당한다.
사이드 블록(32, 32)은 폭이 넓은 띠 형상으로 형성된 측부 배리어(barrier) 테이프(31)의 일단부를 마스크 본체(10)와 사이드 테이프(30) 사이에 끼워 넣고 형성하고, 턱부 수용 포켓(34)은 마스크 본체(10)의 하단부(10b)를 내측으로 크게 접어서 형성된다. 또한, 사이드 블록(32)(측부 배리어 테이프(31))은, 턱부 수용 포켓(34)보다 위, 즉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는 측(마스크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측부 배리어 테이프(31)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등의 통기성이 없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마스크 안으로의 미립자의 침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의 마스크(3)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0)의 하단부(10b)를 접은 부분과, 측부 배리어 테이프(31)의 일단부를 겹쳐서 사이드 테이프(30)에 끼우고, 이들을 모아서 사이드 테이프(30) 위로부터 가열 시일해서 용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측부 배리어 테이프(31)는, 상단부가 그물코 시일(17)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하단부가 그물코 시일(2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귀끈(12)을 설치하는 그물코 시일(25)도, 이들 위에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사이드 블록(32, 32)은, 각각 용착부(22)에 의해 오른쪽(혹은 왼쪽) 끝을 고정하고, 그물코 시일(17, 24)에 의해 상하 단부를 고정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턱부 수용 포켓(34)은 용착부(22)에 의해 좌우 양 끝을 고정하고, 그물코 시일(24)에 의해 하단부를 고정함으로써 포켓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3 실시 형태의 마스크(3)에서는, 마스크 본체(10)의 플리트(15)를 늘이거나, 착용자의 턱을 턱부 수용 포켓(34)에 수용함으로써, 좌우의 사이드 블록(32, 32)이 마스크 본체(10)에 대하여 일어선다. 이에 의해, 마스크 장착 시에는 마스크 본체(10)와 안면의 간극이 완전히 가려져서, 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마스크 안으로의 미립자의 침입을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용착부(22)는, 그물코 시일을 채용하지 않고, 또한 인접하는 용착부(22)의 간격 d1을 과감히 넓게, 특히 3㎜ 이상이 되도록, 가로 방향 용착부(16a, 16b)의 간격 d0보다 넓게 형성되는 점은 제1 실시 형태의 마스크(1)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마스크(3)에 있어서는, 제2 실시 형태의 마스크(2)에 기재된 효과에 더하여, 사이드 블록(32, 32) 및 턱부 수용 포켓(34)을 구비함으로써, 마스크 본체(10)와 안면의 간극이 완전히 가려져서, 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마스크 안으로의 미립자의 침입을 한층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마스크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 도 7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마스크와 비교예의 마스크를 대비해서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3은 모두 (a)는 내측 또는 외측에서 촬영한 마스크의 사진, (b)는 (a)의 마스크의 가로 방향 단부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마스크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한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사이드 테이프를 구비한 도 3, 도 4에 기재된 마스크와 거의 동일 형태의 마스크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마스크를 나타내는 것이며, 상기한 제3 실시 형태와 같이, 사이드 테이프, 사이드 블록 및 턱부 수용 포켓을 구비한 도 5, 도 6에 기재된 마스크와 거의 동일 형태의 마스크이다. 또한, 도 9는 A사 제품(이하 비교예 1이라 함), 도 10은 B사 제품(이하 비교예 2라 함), 도 11은 C사 제품 1(이하 비교예 3이라 함), 도 12는 C사 제품 2(이하 비교예 4라 함), 그리고 도 13은 D사 제품(이하 비교예 5라 함)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며, 모두 시판되고 있는 마스크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마스크 및 도 8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마스크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포집 필터,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순으로 구성된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 양측의 용착부를, 세로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1열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하고, 세로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용착부의 간격 d1을 약 5㎜가 되도록 제작했다. 또한, 비교예의 시판 마스크에 있어서의 간격 d1 등에 대해서는, 실제의 마스크에 자를 대서 계측했다.
도 9에 나타내는 비교예 1의 마스크에 있어서는, 마스크 본체에 복수의 플리트가 형성되고, 또한 노즈 피트 부재에 더하여, 마스크 본체의 내측에 마스크 착용자의 코의 형상에 맞춰서 변형 가능한 스펀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의 하단부가 상단부에 비해 짧아지도록 세로 방향으로 플리트가 2개 형성되어 있고,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 양측의 용착부는, 마스크 본체가 세로 방향의 플리트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내측으로 곡선 형상이 되어 있지만, 세로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1열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세로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용착부의 간격 d1은 약 2㎜였다.
도 10에 도시하는 비교예 2의 마스크에 있어서는, 마스크 본체에 복수의 플리트가 형성되고, 또한 상단부에 노즈 피트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 양측의 용착부는, 등간격으로 일렬로, 또한 상단부 및 하단부에 대하여 중앙부가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열리도록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세로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용착부의 간격 d1은 2㎜였다.
도 11에 도시하는 비교예 3에 있어서는, 마스크 본체에 복수의 플리트가 형성되고, 또한 상단부에 노즈 피트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 양측의 용착부는, 가로 방향 내측에 위치하여 플리트를 고정시키는 제1 용착부와 가로 방향 외측에 위치하여 가로 방향 단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귀걸이부를 마스크 본체에 고정시키는 제2 용착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용착부는 세로 방향으로 1열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용착부의 간격 d11은 약 1.5㎜, d12은 약 6㎜이며, 양쪽 간격이 교대로 설치되어 있다. 제2 용착부는, 세로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1열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세로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용착부의 간격 d13은 약 1㎜였다.
도 12에 나타내는 비교예 4에 있어서는, 마스크 본체에 플리트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 중앙에 세로 방향을 따라 중앙 용착부가 형성되어 있어, 마스크 착용 시에 중앙 용착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의 상단부에는 볼에 밀착되는 피트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 단부에는, 가로 방향 단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귀걸이부를 마스크 본체에 설치하기 위해, 그물코 시일에 의해 용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물코 시일은, 3.5조, 즉 용착부가 7열 설치되어 있고, 각 열의 피치간 거리, 즉 세로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용착부의 간격 d1은 1㎜였다.
도 13에 나타내는 비교예 5에 있어서는, 마스크 본체에 복수의 플리트가 형성되고, 마스크 본체 가로 방향 단부가 사이드 테이프로 가려져 있고, 사이드 테이프에 귀끈이 고정되어 있다. 사이드 테이프로 가려진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 양 단부에는, 가용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용착부의 가로 방향 내측에는, 사이드 테이프와 마스크 본체가 용착부에 의해 중첩해서 용착되어 있다. 용착부는 세로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2열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세로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용착부의 간격 d1은 약 0.5㎜였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5의 7종류의 마스크(모두 보통 사이즈를 사용)에 대하여, JIS 규격(JIS T 8159: 2006 호흡용 보호도구의 누설률 시험 방법, 단 피험자의 수는 각 예에 있어서 성인남성 2명)에 기초해서 마스크 누설률 시험을 행하였다. 본 마스크 누설률 시험은, NaCl이 충만한 챔버(시험실)에 피험자가 마스크를 하고 들어가서, 정지하거나, 얼굴을 좌우로 돌리거나, 상하로 움직이게 하거나, 발성하거나 하는 등의 동작을 행하고, 그 때마다 마스크 안의 NaCl의 농도를 측정하여, NaCl이 마스크 내부에 어느 정도 흡인되는지를 보는 것이다. 마스크 내부에의 NaCl의 흡인을 완전히 차단하고 있으면 마스크 안의 NaCl 농도는 0으로 누설률은 0%, NaCl이 마스크 내부에 완전히 흡인되어 있는 경우에는 마스크 안의 NaCl 농도는 챔버 안의 NaCl 농도와 동일하게 되어 누설률은 100%라고 하는 것으로 된다. 이들 모든 평균을 취한 것이 최종적인 누설률이 된다. 또한, 측정 조건은, NaCl 입자: 0.06 내지 0.1㎛, 평균 농도: 8±4㎎/㎥였다. 이 누설률 시험의 결과를 표 1에 간격 d1 등과 맞춰서 나타냈다. 또한, 표 1 내의 수치는, 피험자 2명의 평균값이다.
Figure pct00001
이와 같이, 본 실시예 1, 2의 누설률은, 비교예 1 내지 5의 누설률에 비해 매우 낮다. 이것은, 본 실시예 1, 2에 있어서 용착부를 등간격으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함과 함께, 인접하는 용착부의 간격을 과감히 넓게 5㎜가 되도록 형성한 것으로, 마스크 가로 방향 단부가 유연하게 되어, 마스크 본체의 착용자의 안면에 대한 형상 친화성이 좋아, 마스크 본체의 측부와 안면의 간극이 적어져서 밀착성이 증가하여, 마스크 안으로의 NaCl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실시예 1의 마스크에 대하여, 실시예 2의 마스크에서 누설률이 개선된 것은, 사이드 블록 및 턱부 수용 포켓에 의해, 또한 마스크 본체와 안면의 간극이 완전히 가려져서, 밀착성이 증가하여, 마스크 안으로의 NaCl의 침입을 한층 억제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실시예 1, 실시예 2의 마스크에 대해서, 8명의 성인 남성을 피험자로 해서 상기와 동일한 마스크 누설률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와 표 1에 기재된 2명의 누설률과 맞춘 계 10명에 의한 실시예 1의 마스크의 누설률의 평균값은 29.7%, 실시예 2의 마스크 누설률의 평균값은 19.2%이며, 피험자의 수를 늘려도 매우 낮은 누설률이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마스크가 갖는 형상 친화성은, 착용자의 안면의 크기나 형상의 차이에도 충분히 대응 가능한 것이 판명되었다.
이어서, 도 14 및 도 15는 실제로 마스크를 장착한 상태에서 마스크 본체의 측부에 어느 정도의 간극이 발생하는지를 비교해 본 사진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도 7)의 마스크를 착용자가 실제로 장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5는 비교예 2(도 10)의 마스크를 착용자가 실제로 장착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마스크에서는, 마스크 본체의 측부 A는, 얼굴 표면을 따라 친화되어 있어, 착용자의 안면에 바싹 밀착되어, 간극은 거의 보이지 않았다. 이에 반해 도 15의 비교예 2의 마스크에서는, 마스크 본체의 측부 B는, B1, B2의 2군데에서 절곡되고, 그 부분에서 간극이 발생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의 착용자의 안면에 대한 형상 친화성이 양호한 것이 명확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스크는, 착용자의 안면에 대해서 잘 밀착되고, 특히 마스크 본체의 측부에 있어서 간극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여, 마스크 안으로 미립자 등의 침입을 고도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마스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상의 예에는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개량이나 변형을 행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출원은, 2013년 11월 29일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3-248014호에 기초하는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1 : 마스크
2 : 마스크
3 : 마스크
10 : 마스크 본체
12 : 귀끈
14 : 접음선
15 : 플리트
16a, 16b : 가로 방향 용착부
18 : 수용 공간
20 : 노즈 피트 부재
22 : 용착부
17, 24, 25 : 그물코 시일
30 : 사이드 테이프
31 : 측부 배리어 테이프
32 : 사이드 블록
34 : 턱부 수용 포켓
36 : 가용착부

Claims (10)

  1. 마스크 본체와, 그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 양 단부에 형성된 귀걸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일부가 겹치는 것으로 복수의 플리트(pleat)가 형성된 마스크이며,
    상기 복수의 플리트는, 가열 시일에 의해 형성된 용착부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용착부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 양측에서 세로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인접하는 상기 용착부의 간격이 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 양 단부는, 사이드(side) 테이프에 의해 가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테이프는, 상기 귀걸이부와 동일한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귀걸이부가, 상기 사이드 테이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착부는, 상기 사이드 테이프와 상기 마스크 본체를 중첩해서 가열 시일함으로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테이프로 가려진 상기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 양 단부에는, 상기 복수의 플리트가 가열 시일에 의해 임시 고정된 가용착부가, 상기 용착부보다 상기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에서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가용착부의 수는, 상기 용착부의 수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용착부와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 오버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상기 가용착부의 최소 간격은, 상기 용착부의 간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열 시일에 의해 형성된 가로 방향 용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용착부의 간격은,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가로 방향 용착부의 간격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에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는 측의 가로 방향 양 단부에 상기 안면과 상기 마스크 본체의 간극을 가리도록 사이드 블록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에는, 상기 마스크 본체의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는 측의 하단부에 상기 착용자의 턱부를 수용하는 턱부 수용 포켓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KR1020167013882A 2013-11-29 2014-11-27 마스크 KR102150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48014 2013-11-29
JP2013248014 2013-11-29
PCT/JP2014/081469 WO2015080228A1 (ja) 2013-11-29 2014-11-27 マス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336A true KR20160091336A (ko) 2016-08-02
KR102150345B1 KR102150345B1 (ko) 2020-09-01

Family

ID=53199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3882A KR102150345B1 (ko) 2013-11-29 2014-11-27 마스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97826B2 (ko)
KR (1) KR102150345B1 (ko)
CN (1) CN105813696B (ko)
TW (1) TWI656898B (ko)
WO (1) WO201508022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257B1 (ko) 2020-07-24 2021-09-03 윤성문 착용감이 향상된 비말 및 악취차단용 투명마스크
KR20220026897A (ko) 2020-08-26 2022-03-07 김주영 위생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02452A (ja) * 2015-06-12 2017-01-05 日進医療器株式会社 フィット性を向上させるプリーツマスク
JP6499032B2 (ja) * 2015-06-30 2019-04-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マスク
JP5837252B1 (ja) * 2015-08-04 2015-1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マスク
JP2019501307A (ja) * 2015-12-23 2019-01-17 オーアンドエム ハリヤード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アンリミテッド カンパニー フェイス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858821B (zh) * 2017-02-04 2018-11-20 3M创新有限公司 折叠式口罩
JP7264579B2 (ja) * 2018-04-13 2023-04-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マスク
JP2019203217A (ja) * 2018-05-23 2019-11-28 株式会社重松製作所 使い捨てマスク
KR102056797B1 (ko) * 2018-10-26 2019-12-17 김인종 5면 수평 적첩식 마스크
CN209202201U (zh) * 2018-11-20 2019-08-06 华新医材股份有限公司 一种新气密防护口罩
JP7100611B2 (ja) * 2019-08-22 2022-07-13 伊藤忠リーテイルリンク株式会社 衛生マスク
JPWO2021187302A1 (ko) * 2020-03-19 2021-09-23
CN111407021A (zh) * 2020-03-30 2020-07-14 中鸿纳米纤维技术丹阳有限公司 一种应用活性纳米级熔喷布构成的卫生口罩及其生产设备
CN111296957B (zh) * 2020-04-17 2022-01-14 福建恒安集团有限公司 一种防坠口罩
IT202000008881A1 (it) * 2020-04-24 2021-10-24 Fameccanica Data Spa Procedimento e apparecchiatura per la produzione di mascherine di protezione facciale, mascherina di protezione facciale e confezione di mascherine di protezione facciale
KR20220036301A (ko) 2020-09-15 2022-03-22 류욱현 마스크 끈 연결시스템
CN112515259A (zh) * 2020-12-01 2021-03-19 金绿源(中国)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防护口罩及制备该防护口罩的口罩机
JP7350710B2 (ja) * 2020-12-28 2023-09-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マスク
KR102402996B1 (ko) 2021-09-15 2022-05-30 주식회사 영창에스엔티 일회용 마스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0339U (ja) * 2009-02-25 2009-05-07 玉川衛材株式会社 マスク用液剤含浸シート及びマスク
KR20110006182U (ko) * 2009-12-14 2011-06-22 주식회사 뉴맨코포레이션 마스크
JP2011182810A (ja) 2010-03-04 2011-09-22 Japan Vilene Co Ltd マスク
JP2012161370A (ja) * 2011-02-03 2012-08-30 San-M Package Co Ltd マスク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56747A1 (en) * 1974-01-08 1975-08-01 Johnson & Johnson Surgical facial masks prodn. - from thermoplastic filaments aligned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air flow
CA2080247A1 (en) * 1990-04-26 1991-10-27 Stephen N. Mcewen Pump mounting apparatus for filtration system
JPH10258065A (ja) * 1997-03-17 1998-09-29 Sanemu Package Kk 顔面マスク
JP2007260110A (ja) * 2006-03-28 2007-10-11 Hakujuji Co Ltd マスク
JP2008212432A (ja) * 2007-03-05 2008-09-18 Katsuhiro Yoshie マスク
BRPI0815954A2 (pt) * 2007-09-20 2018-03-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 respirador do tipo peça facial filtrante e método para a produção de um respirador do tipo peça facial filtrante
JP2009118960A (ja) * 2007-11-13 2009-06-04 Kowa Co 女性用マスク
KR100891701B1 (ko) * 2008-09-01 2009-04-03 장정산업 주식회사 4면 방진마스크
JP5280943B2 (ja) * 2009-06-05 2013-09-04 優 今泉 衛生マスク
JP4528881B1 (ja) * 2009-12-21 2010-08-25 株式会社杉山 マスク用耳掛け部
TWM433873U (en) * 2011-11-25 2012-07-21 Nanox Technology Co Ltd Multilayered mask
TWM461443U (zh) * 2013-04-16 2013-09-11 Ct Healthcare Technology Co Ltd 具有阻擋件的口罩結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0339U (ja) * 2009-02-25 2009-05-07 玉川衛材株式会社 マスク用液剤含浸シート及びマスク
KR20110006182U (ko) * 2009-12-14 2011-06-22 주식회사 뉴맨코포레이션 마스크
JP2011182810A (ja) 2010-03-04 2011-09-22 Japan Vilene Co Ltd マスク
JP2012161370A (ja) * 2011-02-03 2012-08-30 San-M Package Co Ltd マス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257B1 (ko) 2020-07-24 2021-09-03 윤성문 착용감이 향상된 비말 및 악취차단용 투명마스크
KR20220026897A (ko) 2020-08-26 2022-03-07 김주영 위생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97826B2 (ja) 2018-09-26
WO2015080228A1 (ja) 2015-06-04
TW201526945A (zh) 2015-07-16
TWI656898B (zh) 2019-04-21
CN105813696B (zh) 2019-10-25
JPWO2015080228A1 (ja) 2017-03-16
KR102150345B1 (ko) 2020-09-01
CN105813696A (zh) 201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1336A (ko) 마스크
US10576314B2 (en) Respirator including contrast layer
CA2969700C (en) Medical face mask with clear portion
RU2702244C1 (ru) Сохраняющий форму респиратор, складываемый до плоского состояния
EP2566584B1 (en) Mask
CN101668445B (zh) 在面罩顶部段反向侧上具有凹型部分的免维护呼吸器
US20140326255A1 (en) Medical Face Mask with Sealing Strip
JP2011062521A (ja) 左右対称のしるしを有する水平平坦折り畳み式フィルタ式顔面装着呼吸マスク
KR20170071548A (ko) 편평 절첩식 호흡기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060283454A1 (en) Face mask
US20140326245A1 (en) Medical Face Mask with Sealing Strip
JP7343238B2 (ja) 防塵マスク
US20210345705A1 (en) Protective Device with a Combined Mask and Face Shield
KR20200125592A (ko) 방호용 후드
US20220032096A1 (en) Facemask filter assembly
KR200433854Y1 (ko) 일회용 방진 마스크
KR102624660B1 (ko) 마스크
US20220117331A1 (en) Augmented face mask
JP2016073444A (ja) マスク
EP3884804A1 (en) Protective clothing
KR102586599B1 (ko) 입체 구조로 된 4각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EP3909450A1 (en) Protective filtering half mask
CN215013791U (zh) 一种平面口罩
EP3991589A1 (en) Face protection mask
EP4190406A1 (en) Face mask and method of producing a face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