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8545A - 거치대 및 이를 위한 고정부 구조 - Google Patents

거치대 및 이를 위한 고정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8545A
KR20160068545A KR1020140174415A KR20140174415A KR20160068545A KR 20160068545 A KR20160068545 A KR 20160068545A KR 1020140174415 A KR1020140174415 A KR 1020140174415A KR 20140174415 A KR20140174415 A KR 20140174415A KR 20160068545 A KR20160068545 A KR 20160068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rive
ring
drive r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5108B1 (ko
Inventor
이충원
안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온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온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온랩
Priority to KR1020140174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108B1/ko
Publication of KR20160068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8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navig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치대 및 이를 위한 고정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 형태의 피거치물을 대상체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의 고정부 구조로서, 적어도 일측 개방면을 구비하며, 내측에 회동식 구동부가 형성된 구동 링; 상기 구동 링의 내측에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를 형성하는 제1 본체부와, 상기 제1 본체부의 중앙부 내측에 형성되며, 곡면형태의 요홈면이 적어도 일부 포함되고, 상기 구동 링의 일측 개방면을 향해 개방된 제1 개방구 및 상기 제1 개방구의 적어도 측면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결 형성된 제2 개방구를 포함하여 이뤄진 수용부와, 상기 제1 개방구의 인접 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상기 구동 링의 일측 개방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부와, 상기 제1 돌기부의 반대측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 링의 타측 개방면의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결합 수단부를 포함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수용부 내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는 제2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제1 개방구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 링의 일측 개방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부와, 상기 제2 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제2 개방구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 링의 회동식 구동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구동 결합되는 회동식 종동부를 포함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거치대용 고정부 구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거치대 및 이를 위한 고정부 구조 {Car holder, and fixing structure for the same}
본 발명은 거치대 및 이를 위한 고정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이나 내비게이션과 같은 피거치물을 차량 대시보드(dashboard)와 같은 대상체에 거치대를 이용하여 거치함에 있어서, 간단한 회동 조작만으로 대상체에 대한 거치대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거치대 및 이를 위한 고정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이나 내비게이션과 같은 피거치물을 차량 대시보드(dashboard)와 같은 대상체에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거치대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거치대는 일반적으로, 피거치물을 거치대에 착탈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착탈부와, 거치대를 대상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며, 이들 요소가 상호 기구적인 결합을 이루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착탈부 구조의 경우, 피거치물인 스마트폰이나 내비게이션의 크기나 구조가 다양하게 제조되는 점을 고려하여 다양한 구조들이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어, 집게 형태로 구성된 거치부가 피거치물을 파지하는 방식, 슬라이딩 방식으로 작동하는 거치부가 피거치물을 파지하는 방식, 자석을 이용한 자력 부착 방식과 같은 다양한 구조들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거치대를 대상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 구조의 경우, 차량 대시보드 측에 착탈이 가능한 대상면(예, 전면 글래스, 대시보드 상부면 등)이나 대상체(예, 차량용 CD 홈, 차량 환풍구 등)가 한정되어 있는 관계로, 비교적 제한된 형태의 고정부 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거치대의 고정부에 평평한 고정면을 형성하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대시보드에 접착하거나, 거치대의 고정부에 음압 방식의 흡판을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대시보드 상부면이나 전면 글래스면에 고정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접착 방식의 경우, 거치대를 장기간 사용 후 탈거 시에 잔류하는 접착체로 인한 미관 상의 손상 요인이 있었고, 흡판 방식의 경우, 전면 글래스 측에 부착되므로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기구적 방식의 거치대 고정부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운전석 측의 CD 홈이나 차량 환풍구와 같은 요홈부가 있는 대상체에 기구적 방식(예, 물림 방식)을 이용하여 거치대를 고정하는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구적 방식의 경우, 구성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공정 및 단가, 내구성 측면에서 불리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9160호 (등록일자 2013년06월20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마트폰이나 내비게이션과 같은 피거치물을 차량 대시보드(dashboard)와 같은 대상체에 거치대를 이용하여 거치함에 있어서, 간단한 회동 조작만으로 대상체에 대한 거치대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거치대 및 이를 위한 고정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 형태의 피거치물을 대상체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의 고정부 구조로서, 적어도 일측 개방면을 구비하며, 내측에 회동식 구동부가 형성된 구동 링; 상기 구동 링의 내측에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를 형성하는 제1 본체부와, 상기 제1 본체부의 중앙부 내측에 형성되며, 곡면형태의 요홈면이 적어도 일부 포함되고, 상기 구동 링의 일측 개방면을 향해 개방된 제1 개방구 및 상기 제1 개방구의 적어도 측면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결 형성된 제2 개방구를 포함하여 이뤄진 수용부와, 상기 제1 개방구의 인접 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상기 구동 링의 일측 개방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부와, 상기 제1 돌기부의 반대측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 링의 타측 개방면의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결합 수단부를 포함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수용부 내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는 제2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제1 개방구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 링의 일측 개방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부와, 상기 제2 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제2 개방구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 링의 회동식 구동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구동 결합되는 회동식 종동부를 포함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거치대용 고정부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 형태의 피거치물을 대상체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의 고정부 구조로서, 적어도 일측 개방면을 구비하며, 내측에 회동식 구동부가 형성된 구동 링; 상기 구동 링의 내측에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를 형성하는 제1 본체부와, 상기 제1 본체부의 중앙부 내측에 형성되며, 곡면형태의 요홈면이 적어도 일부 포함되고, 상기 구동 링의 일측 개방면을 향해 개방된 제1 개방구 및 상기 제1 개방구의 적어도 측면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결 형성된 제2 개방구를 포함하여 이뤄진 수용부와, 상기 제1 개방구의 인접 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상기 구동 링의 일측 개방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부와, 상기 제1 돌기부의 반대측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 링의 타측 개방면의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결합 수단부와, 상기 제1 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 링의 회동식 구동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구동 결합되는 제1 회동식 종동부를 포함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수용부 내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는 제2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제1 개방구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 링의 일측 개방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부와, 상기 제2 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제2 개방구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 링의 회동식 구동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구동 결합되는 제2 회동식 종동부를 포함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거치대용 고정부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 형태의 피거치물을 대상체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의 고정부 구조로서, 적어도 일측 개방면을 구비하며, 내측에 회동식 구동부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 개방면의 타측에 결합 수단부를 구비한 구동 링; 상기 구동 링의 내측에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를 형성하는 제1 본체부와, 상기 제1 본체부의 중앙부 내측에 형성되며, 곡면형태의 요홈면이 적어도 일부 포함되고, 상기 구동 링의 일측 개방면을 향해 개방된 제1 개방구 및 상기 제1 개방구의 적어도 측면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결 형성된 제2 개방구를 포함하여 이뤄진 수용부와, 상기 제1 개방구의 인접 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상기 구동 링의 일측 개방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부를 포함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수용부 내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는 제2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제1 개방구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 링의 일측 개방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부와, 상기 제2 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제2 개방구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 링의 회동식 구동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구동 결합되는 회동식 종동부를 포함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거치대용 고정부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 형태의 피거치물을 대상체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의 고정부 구조로서, 적어도 일측 개방면을 구비하며, 내측에 회동식 구동부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 개방면의 타측에 결합 수단부를 구비한 구동 링; 상기 구동 링의 내측에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를 형성하는 제1 본체부와, 상기 제1 본체부의 중앙부 내측에 형성되며, 곡면형태의 요홈면이 적어도 일부 포함되고, 상기 구동 링의 일측 개방면을 향해 개방된 제1 개방구 및 상기 제1 개방구의 적어도 측면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결 형성된 제2 개방구를 포함하여 이뤄진 수용부와, 상기 제1 개방구의 인접 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상기 구동 링의 일측 개방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부와, 상기 제1 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 링의 회동식 구동부에 회동식 구동 결합되는 제1 회동식 종동부를 포함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수용부 내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는 제2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제1 개방구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 링의 일측 개방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부와, 상기 제2 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제2 개방구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 링의 회동식 구동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구동 결합되는 제2 회동식 종동부를 포함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거치대용 고정부 구조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 수단부는 결합용 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 수단부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동식 구동부는 상기 구동 링의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부이며, 상기 회동식 종동부는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동식 구동부는 상기 구동 링의 내측면에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동식 구동부는 상기 구동 링의 내측에 형성된 캠 유도홈이며, 상기 회동식 종동부는 상기 캠 유도홈에 캠 방식 결합되는 캠 돌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 링은 상기 일측 개방면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타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된 타측 커버면을 더욱 구비하며, 상기 회동식 구동부는 상기 구동 링의 타측 커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부재의 제2 본체부는 상기 제1 부재의 수용부의 요홈면과 면 접촉되는 곡면형태의 외형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본체부의 회동은 상기 요홈면에 의해 상기 외형면이 곡면 가이드 되어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부재의 수용부 내에 제2 본체부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부재의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부재의 제2 본체부를 관통하는 힌지핀이 구비되어, 상기 제2 본체부의 회동은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 링은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2 이상의 개수로 분리된 요소로 구성되어, 이들 요소가 물리적 또는 화학적 공정에 의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 링은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2 이상의 개수로 분리된 요소로 구성되어, 이들 요소가 더 외측에 삽입되는 결합 링에 의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돌기부는, 상기 수용부의 제1 개방구의 좌측 인접 측 및 우측 인접 측으로부터 2개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 링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가 상호 오므려진 제1 상태와, 상기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가 상호 벌려진 제2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1 상태에서 홈 형상의 대상체에 상기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가 삽입되어 상기 제2 상태로 조작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의 외측면이 대상체의 홈의 내측면을 상호 가압하는 형태로 고정이 이뤄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 링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가 상호 오므려진 제1 상태와, 상기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가 상호 벌려진 제2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상태에서 판 형상의 대상체를 상기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 사이에 삽입하여 상기 제1 상태로 조작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의 내측면이 대상체의 외측면을 상호 가압하는 형태로 고정이 이뤄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 형태의 피거치물을 대상체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의 고정부 구조로서, 구동 링의 내부에 제1 돌기부를 구비한 제1 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제1 부재의 중앙부 내측에 형성된 수용부에 제2 돌기부를 구비한 제2 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상호 회동 가능하며, 상기 구동 링의 내측에 형성된 회동식 구동부에 상기 제2 부재에 형성된 회동식 종동부가 상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구동 링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부재 내에서의 상기 제2 부재의 회동이 이뤄지고, 상기 회동에 따라 상기 제1 돌기부와 제2 돌기부가 상호 오므려진 제1 상태와 상호 벌려진 제2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 거치대용 고정부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 구조를 갖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며, 모바일 단말 형태의 피거치물을 착탈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착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거치대가 개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나 내비게이션과 같은 피거치물을 차량 대시보드(dashboard)와 같은 대상체에 거치대를 이용하여 거치함에 있어서, 간단한 회동 조작만으로 거치대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대시보드에 접착 방식으로 고정되지 않으므로, 장기간 사용 후 탈거하더라고 잔류하는 접착체로 인한 미관 상의 손상 요인을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량 운전석 측의 CD 홈 내에서 벌림 방식으로도 고정이 가능하고, 차량 환풍구 핀에 물림 방식으로도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대시보드에 구비된 다양한 구성요소를 모두 대상체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용 고정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용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용 고정부의 제1 상태(오므려진 상태)의 일부 파단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용 고정부의 제2 상태(벌려진 상태)의 일부 파단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용 고정부에 착탈부의 일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파단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차량 CD 홈을 통해 거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차량 환풍구 핀을 통해 거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용 고정부의 제1 상태(오므려진 상태)의 일부 파단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용 고정부의 제2 상태(벌려진 상태)의 일부 파단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용 고정부에 착탈부의 일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파단 상태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용 고정부의 일부 파단 상태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용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용 고정부의 일부 파단 상태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구동 링의 내측에 형성된 캠 유도홈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거치대용 고정부 구조는, 스마트폰이나 내비게이션과 같은 피거치물을 차량 대시보드(dashboard)와 같은 대상체에 거치대를 이용하여 거치함에 있어서, 구동 링(300) 또는 그 외부에 결합된 결합 링(400)의 간단한 회동 조작만으로 제1 부재(200)의 제1 돌기부(204)와 제2 부재(100)의 제2 돌기부(104)가 대상체의 홈 내에 삽입되거나 대상체를 맞물림 가능한 위치에서 오므려지거나 벌려지도록 구성되어 대상체에 대한 거치대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거치대용 고정부 구조는, 모바일 단말 형태의 피거치물을 대상체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의 고정부 구조로서, 구동 링의 내부에 제1 돌기부를 구비한 제1 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제1 부재의 중앙부 내측에 형성된 수용부에 제2 돌기부를 구비한 제2 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상호 회동 가능하며, 상기 구동 링의 내측에 형성된 회동식 구동부에 상기 제2 부재에 형성된 회동식 종동부가 상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구동 링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부재 내에서의 상기 제2 부재의 회동이 이뤄지고, 상기 회동에 따라 상기 제1 돌기부와 제2 돌기부가 상호 오므려진 제1 상태와 상호 벌려진 제2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예로, 구동 링의 내측에 형성된 회동식 구동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암나사부 또는 캠 유도홈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부재에 형성된 회동식 종동부는 수나사부 또는 캠 돌기부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형태의 회동식 구동부 또는 회동식 종동부의 변형예는 본 실시예의 자명한 변형예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착탈부'는 모바일 단말 형태의 피거치물을 착탈식으로 파지 또는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거치대 고정부 이외의 부분을 포괄하여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용 고정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용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용 고정부의 제1 상태(오므려진 상태)의 일부 파단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용 고정부의 제2 상태(벌려진 상태)의 일부 파단 상태의 사시도이다.
스마트폰이나 내비게이션과 같은 모바일 단말 형태의 피거치물을 차량 대시보드(dashboard)와 같은 대상체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용 고정부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의 거치대용 고정부는, 구동 링(300), 제1 부재(200) 및 제2 부재(100)를 포함한다. 이를 각 요소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재로 이뤄질 수 있다.
구동 링(300)은, 소정 폭을 갖는 대략 링(ring) 형상으로 이뤄지며, 적어도 일측 개방면을 구비하며, 내측에 회동식 구동부(302)가 형성된다. 상기 회동식 구동부의 일실시예로 상기 구동 링의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부가 가능하며, 이 때 회동식 구동부는 상기 구동 링의 내측면에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 링(300)은 조립 공정을 고려하여,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2 이상의 개수로 분리된 요소(예, 2개의 분할된 링 형태)로 구성되어, 이들 요소가 물리적 또는 화학적 공정에 의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물리적 공정이란, 결합 단면에 요홈과 돌기부를 형성하여 압입을 하는 등의 기구적 결합, 또는 고주파/초음파 융착과 같은 물리적 처리 조작을 통한 공지의 결합 공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화학적 공정이란, 예를 들어,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결합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구동 링(300)은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2 이상의 개수로 분리된 요소로 구성되되, 이들 요소가 더 외측에 삽입되는 결합 링(400)에 의해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결합 링(400)은 예를 들어, 구동 링(300)의 외측에 압입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부재(200)의 제1 본체부(203)는, 상기 구동 링(300)의 내측에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를 형성한다.
제1 부재(200)의 수용부(207)는, 상기 제1 본체부(203)의 중앙부 내측에 형성되며, 곡면형태의 요홈면(207a)이 적어도 일부 포함되고, 상기 구동 링(300)의 일측 개방면을 향해 개방된 제1 개방구(209a) 및 상기 제1 개방구(209a)의 적어도 측면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결 형성된 제2 개방구(209b)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제1 부재(200)의 제1 돌기부(204)는, 상기 제1 개방구(209a)의 인접 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본체부(203)로부터 상기 구동 링(300)의 일측 개방면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1 돌기부(204)는, 바람직한 일예로, 상기 수용부(207)의 제1 개방구(209a)의 좌측 인접 측 및 우측 인접 측으로부터 2개(204a,204b)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취하는 경우, 제1 부재(200)의 제1 돌기부(204)와 제2 부재(100)의 제2 돌기부(104)가 대상체의 홈 내에 삽입되거나 대상체를 맞물림하여 고정할 때에 견고한 고정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제1 돌기부(204)와 제2 돌기부(104)의 세부 형상은 견고한 고정이 제공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 부재(200)의 결합 수단부(210)는, 상기 제1 돌기부(204)의 반대측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 링(300)의 타측 개방면의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2 부재(100)의 제2 본체부(103)는, 상기 제1 부재(200)의 수용부(207) 내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된다.
제2 부재(100)의 제2 돌기부(104)는, 상기 제2 본체부(103)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207)의 제1 개방구(209a)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 링(300)의 일측 개방면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2 부재(100)의 회동식 종동부(102)는, 상기 제2 본체부(103)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207)의 제2 개방구(209b)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 링(300)의 회동식 구동부(302)에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구동 결합된다. 상기 회동식 종동부(102)의 일 실시예로 수나사부가 가능하고, 이는 전술한 암나사부에 대응되는바, 수나사부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된다.
제1 부재(200)의 제1 돌기부(204)와 제2 부재(100)의 제2 돌기부(104)는 대상체의 홈 내에 삽입되거나 대상체를 맞물림 가능한 위치에서 오므려지거나 벌려지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한 바람직한 일예로, 상기 제2 부재(100)의 제2 본체부(103)는 상기 제1 부재(200)의 수용부(207)의 요홈면(207a)과 면 접촉되는 곡면형태의 외형면(107a)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본체부(103)의 회동은 상기 요홈면(207a)에 의해 상기 외형면(107a)이 곡면 가이드 되어 이뤄진다.
다른 예로서 본 실시예에는, 상기 제1 부재(200)의 수용부(207) 내에 제2 본체부(103)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부재(200)의 제1 본체부(203)와 상기 제2 부재(100)의 제2 본체부(103)를 관통하는 힌지핀(50)이 구비되어, 상기 제2 본체부(103)의 회동은 상기 힌지핀(50)을 중심으로 이뤄질 수도 있다. 상술한 곡면 가이드 방식의 회동 결합과 힌지핀 방식의 회동 결합이 함께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바람직한 일예로, 상기 제1 돌기부(204) 및 제2 돌기부(104)는, 돌기의 단부가 돌기의 뿌리부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단면 형상을 통해 돌기의 단부에서 견고한 물림이나 가압이 가능하므로, 대상체에 대한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용 고정부에 착탈부의 일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파단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차량 CD 홈을 통해 거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차량 환풍구 핀을 통해 거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서는 편의 상 구성요소 500의 일부분만을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의 거치대는 상기와 같은 고정부 구조를 갖는 고정부(100,200,300)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며, 모바일 단말 형태의 피거치물을 착탈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착탈부(500,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 수단부(210)는 결합용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합용 돌출부는 단부에 구형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구형부 이외에 다양한 공지의 기구적 결합수단이 결합 수단부(210)의 결합용 돌출부에 결합 구성되거나, 후술하는 자성체를 이용한 결합수단 등이 결합용 돌출부에 결합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한 일예로, 상기 착탈부(500,600)는, 상기 결합 수단부(210)의 단부에 형성된 구형부(250)를 감싸는 형태로 수용하는 기저부(500a)와, 상기 기저부(500a)에 결합 설치되는 단말 거치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저부(500a)를 포함하는 연결부(500)에는 예를 들어, 자성체(502)와 같은 공지의 결합 수단이 구비되어 단말 거치부(600)의 후면에 구비된 또 다른 자성체(미도시)와 자력에 의한 결합을 할 수 있다. 자성체 외에 다양한 기구적 결합 수단(예, 공지의 힌지 결합 수단 등)이 변형예로서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공지 기술을 통해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이해될 수 있는 내용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단말 거치부(600)는 예를 들어, 제1 파지부(602)와 제2 파지부(604)가 슬라이딩 식으로 내부에 위치한 피거치물을 파지 방식으로 거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말 거치부의 구성도 당업자의 기술적 이해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거치대용 고정부의 고정 상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거치대용 고정부는, 상기 구동 링(300)의 회전 조작(A 또는 B 방향으로 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 링(300)의 회동식 구동부(302)에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구동 결합되는 상기 제2 부재(100)의 회동식 종동부(102)가 상대 이동을 하게 되며, 이러한 상대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돌기부(204) 및 제2 돌기부(104)가 상호 오므려진 제1 상태(A'로 되는 상태)와, 상기 제1 돌기부(204) 및 제2 돌기부(104)가 상호 벌려진 제2 상태(B'로 되는 상태)를 갖는다. 상기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 시의 상기 제1 돌기부(204) 및 제2 돌기부(104)의 상대 위치는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A'로 되는 상태)에서 홈(12) 형상의 대상체(10)에 상기 제1 돌기부(204) 및 제2 돌기부(104)가 삽입되어 상기 제2 상태(B'로 되는 상태)로 조작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돌기부(204) 및 제2 돌기부(104)의 외측면이 대상체(10)의 홈(12)의 내측면을 상호 가압하는 형태로 고정이 이뤄질 수 있다(도 7 참조).
다른 예로서, 본 실시예의 거치대용 고정부는, 상기와 같은 제1 상태(A'로 되는 상태)와 제2 상태(B'로 되는 상태)를 갖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링(300)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상태(B'로 되는 상태)에서 판(22) 형상의 대상체(20)를 상기 제1 돌기부(204) 및 제2 돌기부(104) 사이에 삽입하여 상기 제1 상태(A'로 되는 상태)로 조작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돌기부(204) 및 제2 돌기부(104)의 내측면이 대상체(20의 22)의 외측면을 상호 가압하는 형태로 고정이 이뤄질 수도 있다(도 8 참조).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 부재의 제2 본체부에 형성된 회동식 종동부(제2 회동식 종동부)가 상기 수용부의 제2 개방구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 링의 회동식 구동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구동 결합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제1 부재의 제1 본체부에 별도의 회동식 종동부(제1 회동식 종동부)가 더욱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게 되면, 구동 링을 회전 조작 시에 제2 부재에 구비된 제2 회동식 종동부뿐만 아니라, 제1 부재에 구비된 제1 회동식 종동부도 상기 구동 링의 회동식 구동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구동 결합되는 상태로 동시에 각각의 상대 이동을 하게 되므로, 구동 링을 동일한 회전 수로 회전 조작하더라도, 상술한 실시예에 비해 제1 돌기부와 제2 돌기부의 상대적인 오므려짐이나 벌려짐 상태가 더욱 신속하고 견고하게 얻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용 고정부의 제1 상태(오므려진 상태)의 일부 파단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용 고정부의 제2 상태(벌려진 상태)의 일부 파단 상태의 사시도이다.
구동 링(1300)의 내측면에 축 방향을 따라 회동식 구동부(1302)가 형성된다.
제1 부재(1200)는, 제1 본체부(1203)와, 수용부(1207), 제1 돌기부(1204), 결합 수단부(1210), 제1 회동식 종동부(1202)를 포함한다.
제1 본체부(1203)는, 상기 구동 링(1300)의 내측에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를 형성한다.
수용부(1207)는, 상기 제1 본체부(1203)의 중앙부 내측에 형성되며, 곡면형태의 요홈면(1207a)이 적어도 일부 포함되고, 상기 구동 링(1300)의 일측 개방면을 향해 개방된 제1 개방구(1209a) 및 상기 제1 개방구(1209a)의 적어도 측면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결 형성된 제2 개방구(1209b)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제1 돌기부(1204)는, 상기 제1 개방구(1209a)의 인접 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본체부(1203)로부터 상기 구동 링(1300)의 일측 개방면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결합 수단부(1210)는, 상기 제1 돌기부(1204)의 반대측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 링(1300)의 타측 개방면의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제1 회동식 종동부(1202)는, 상기 제1 본체부(1203)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 링(1300)의 회동식 구동부(1302)에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구동 결합된다.
제2 부재(1100)는, 제2 본체부(1103)와, 제2 돌기부(1104), 제2 회동식 종동부(1102) 포함한다.
제2 본체부(1103)는, 상기 제1 부재(1200)의 수용부(1207) 내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된다.
제2 돌기부(1104)는, 상기 제2 본체부(1103)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1207)의 제1 개방구(1209a)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 링(1300)의 일측 개방면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2 회동식 종동부(1102)는, 상기 제2 본체부(1103)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1207)의 제2 개방구(1209b)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 링(1300)의 회동식 구동부(1302)에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구동 결합된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며, 상기 설명 및 도 9, 도 10에서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8의 부호의 앞에 '1'을 부기하여 대응 요소임이 이해될 수 있도록 표기하였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용 고정부에 착탈부의 일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파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의 실시예는 도 5의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 수단부가 제1 부재가 아니라, 구동 링에 구비된 변형예로 이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 링(2300)은, 내측에 축 방향을 따라 회동식 구동부(2302)가 형성되며, 상기 축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일측 커버면(221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 수단부(2210)를 구비한다.
한편, 도 11의 실시예에서는 제2 부재(2200)에 회동식 종동부(2102)가 형성된 형태가 예시되었는데,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도 9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1 회동식 종동부를 포함하는 제1 부재와 제2 회동식 종동부를 포함하는 제2 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상술한 실시예들의 구성요소가 유사한 형태로 변형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며, 상기 설명 및 도 11에서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10의 대응 요소의 부호의 앞에 '2'가 추가 또는 대체 표기되도록 하여 대응 요소임이 이해될 수 있도록 표기하였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용 고정부의 일부 파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2의 실시예는 도 3의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 수단부로 결합용 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자성체가 구동 링에 직접 구비된 변형예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자성체는 도 5의 실시예의 자성체와 유사한 방식으로 착탈부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 링(3300)은, 적어도 일측 개방면을 구비하며, 내측에 회동식 구동부(3302)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 개방면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타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된 타측 커버면(3312)과 상기 타측 커버면(3312) 외측에 결합용 자성체(3502)를 구비한다. 타측 커버면(3312)은 상기 일측 개방면의 타측을 전부 또는 일부를 커버할 수 있으며, 평면 형상으로 이뤄지거나 필요에 따라 일부 곡면이나 꺾인 면이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2의 실시예에서는 제2 부재(3100)에 회동식 종동부(3102)가 형성된 형태가 예시되었는데,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도 9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1 회동식 종동부를 포함하는 제1 부재와 제2 회동식 종동부를 포함하는 제2 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상술한 실시예들의 구성요소가 유사한 형태로 변형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며, 상기 설명 및 도 12에서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10의 대응 요소의 부호의 앞에 '3'이 추가 또는 대체 표기되도록 하여 대응 요소임이 이해될 수 있도록 표기하였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용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용 고정부의 일부 파단 상태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구동 링의 내측에 형성된 캠 유도홈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모식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동식 구동부는 상기 구동 링의 내측에 형성된 캠 유도홈이며, 상기 회동식 종동부는 상기 캠 유도홈에 캠 방식 결합되는 캠 돌기부로 구비된 변형예로 이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 링(4300)은, 상기 일측 개방면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타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된 타측 커버면(4312)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회동식 구동부는 상기 구동 링의 타측 커버면(4312)에 형성된다. 상기 구동 링(4300)은 축 방향을 따라 측면부(4303)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타측 커버면(4312)은 상기 측면부(4303)와 연결되며 상기 축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부재(4200)는, 상기 구동 링(4300)의 내측에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를 형성하는 제1 본체부(4203)와, 상기 제1 본체부(4203)의 중앙부 내측에 형성되며, 곡면형태의 요홈면이 적어도 일부 포함되고, 상기 구동 링(4300)의 일측 개방면을 향해 개방된 제1 개방구(4209a) 및 상기 제1 개방구(4209a)의 적어도 측면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결 형성된 제2 개방구(4209b)를 포함하여 이뤄진 수용부(4207)와, 상기 제1 개방구(4209a)의 인접 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본체부(4203)로부터 상기 구동 링(4300)의 일측 개방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부(4204)와, 상기 제1 돌기부(4204)의 반대측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 링(4300)의 타측 커버면의 외측으로 관통하여 돌출된 결합 수단부(4210)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 수단부(4210)가 관통하는 관통구(부호 미도시)는 다른 관점에서 상기 일측 개방면의 반대측에 형성된 타측 개방면으로 볼 수도 있다.
또한, 제2 부재(4100)는, 상기 제1 부재(4200)의 수용부(4207) 내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는 제2 본체부(4103)와, 상기 제2 본체부(4103)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4207)의 제1 개방구(4209a)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 링(4300)의 일측 개방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부(4104)와, 상기 제2 본체부(4103)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4207)의 제2 개방구(4209b)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 링(4300)의 내측에 형성된 캠 유도홈(4302)에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구동 결합되는 캠 돌기부(410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거치대용 고정부는, 상기 구동 링(4300)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 링(4300)의 캠 유도홈(4302)에 캠 결합되는 상기 제2 부재(4100)의 캠 돌기부(4102)가 상대 이동을 하게 되며, 이러한 상대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돌기부(4204) 및 제2 돌기부(4104)가 상호 오므려진 제1 상태(캠 돌기부가 C 위치 일 때)와, 상기 제1 돌기부(4204) 및 제2 돌기부(4104)가 상호 벌려진 제2 상태(캠 돌기부가 D 위치 일 때)를 갖는다. 상기 제1 상태 또는 제2 상태 시의 상기 제1 돌기부(4204) 및 제2 돌기부(4104)의 상대 위치는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한변, 구동 링의 내측에 형성되는 캠 유도홈은 상기 실시예에서는 구동 링의 타측 커버면(4312)에 형성된 경우가 예시되었지만, 구동 링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상기 캠 유도홈에 캠 방식 결합되는 캠 돌기부도 대응하는 위치(측면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착탈부와의 결합을 위한 다양한 변형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결합용 자성체가 구동 링에 직접 구비될 수도 있으며, 캠 돌기부와 캠 유도홈이 2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구동 링의 타측 커버면에 결합용 돌출부가 직접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상술한 실시예들의 구성요소가 유사한 형태로 변형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12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며, 상기 설명 및 도 13 내지 도 15에서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12의 대응 요소의 부호의 앞에 '4'가 추가 또는 대체 표기되도록 하여 대응 요소임이 이해될 수 있도록 표기하였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 제2 부재 102: 회동식 종동부
103: 제2 본체부 104: 제2 돌기부
200: 제1 부재 203: 제1 본체부
204: 제1 돌기부 207: 수용부
210: 결합 수단부 300: 구동 링
302: 회동식 구동부

Claims (19)

  1. 모바일 단말 형태의 피거치물을 대상체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의 고정부 구조로서,
    적어도 일측 개방면을 구비하며, 내측에 회동식 구동부가 형성된 구동 링;
    상기 구동 링의 내측에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를 형성하는 제1 본체부와, 상기 제1 본체부의 중앙부 내측에 형성되며, 곡면형태의 요홈면이 적어도 일부 포함되고, 상기 구동 링의 일측 개방면을 향해 개방된 제1 개방구 및 상기 제1 개방구의 적어도 측면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결 형성된 제2 개방구를 포함하여 이뤄진 수용부와, 상기 제1 개방구의 인접 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상기 구동 링의 일측 개방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부와, 상기 제1 돌기부의 반대측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 링의 타측 개방면의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결합 수단부를 포함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수용부 내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는 제2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제1 개방구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 링의 일측 개방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부와, 상기 제2 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제2 개방구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 링의 회동식 구동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구동 결합되는 회동식 종동부를 포함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거치대용 고정부 구조.
  2. 모바일 단말 형태의 피거치물을 대상체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의 고정부 구조로서,
    적어도 일측 개방면을 구비하며, 내측에 회동식 구동부가 형성된 구동 링;
    상기 구동 링의 내측에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를 형성하는 제1 본체부와, 상기 제1 본체부의 중앙부 내측에 형성되며, 곡면형태의 요홈면이 적어도 일부 포함되고, 상기 구동 링의 일측 개방면을 향해 개방된 제1 개방구 및 상기 제1 개방구의 적어도 측면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결 형성된 제2 개방구를 포함하여 이뤄진 수용부와, 상기 제1 개방구의 인접 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상기 구동 링의 일측 개방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부와, 상기 제1 돌기부의 반대측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 링의 타측 개방면의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결합 수단부와, 상기 제1 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 링의 회동식 구동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구동 결합되는 제1 회동식 종동부를 포함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수용부 내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는 제2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제1 개방구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 링의 일측 개방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부와, 상기 제2 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제2 개방구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 링의 회동식 구동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구동 결합되는 제2 회동식 종동부를 포함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거치대용 고정부 구조.
  3. 모바일 단말 형태의 피거치물을 대상체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의 고정부 구조로서,
    적어도 일측 개방면을 구비하며, 내측에 회동식 구동부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 개방면의 타측에 결합 수단부를 구비한 구동 링;
    상기 구동 링의 내측에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를 형성하는 제1 본체부와, 상기 제1 본체부의 중앙부 내측에 형성되며, 곡면형태의 요홈면이 적어도 일부 포함되고, 상기 구동 링의 일측 개방면을 향해 개방된 제1 개방구 및 상기 제1 개방구의 적어도 측면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결 형성된 제2 개방구를 포함하여 이뤄진 수용부와, 상기 제1 개방구의 인접 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상기 구동 링의 일측 개방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부를 포함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수용부 내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는 제2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제1 개방구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 링의 일측 개방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부와, 상기 제2 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제2 개방구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 링의 회동식 구동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구동 결합되는 회동식 종동부를 포함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거치대용 고정부 구조.
  4. 모바일 단말 형태의 피거치물을 대상체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의 고정부 구조로서,
    적어도 일측 개방면을 구비하며, 내측에 회동식 구동부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 개방면의 타측에 결합 수단부를 구비한 구동 링;
    상기 구동 링의 내측에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를 형성하는 제1 본체부와, 상기 제1 본체부의 중앙부 내측에 형성되며, 곡면형태의 요홈면이 적어도 일부 포함되고, 상기 구동 링의 일측 개방면을 향해 개방된 제1 개방구 및 상기 제1 개방구의 적어도 측면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결 형성된 제2 개방구를 포함하여 이뤄진 수용부와, 상기 제1 개방구의 인접 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본체부로부터 상기 구동 링의 일측 개방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부와, 상기 제1 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 링의 회동식 구동부에 회동식 구동 결합되는 제1 회동식 종동부를 포함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수용부 내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는 제2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제1 개방구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 링의 일측 개방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부와, 상기 제2 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제2 개방구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 링의 회동식 구동부에 슬라이딩 가능한 형태로 구동 결합되는 제2 회동식 종동부를 포함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거치대용 고정부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부는 결합용 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용 고정부 구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부는 결합용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용 고정부 구조.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식 구동부는 상기 구동 링의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부이며,
    상기 회동식 종동부는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용 고정부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식 구동부는 상기 구동 링의 내측면에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용 고정부 구조.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식 구동부는 상기 구동 링의 내측에 형성된 캠 유도홈이며,
    상기 회동식 종동부는 상기 캠 유도홈에 캠 방식 결합되는 캠 돌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용 고정부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링은 상기 일측 개방면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타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된 타측 커버면을 더욱 구비하며,
    상기 회동식 구동부는 상기 구동 링의 타측 커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용 고정부 구조.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제2 본체부는 상기 제1 부재의 수용부의 요홈면과 면 접촉되는 곡면형태의 외형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본체부의 회동은 상기 요홈면에 의해 상기 외형면이 곡면 가이드 되어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용 고정부 구조.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수용부 내에 제2 본체부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부재의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부재의 제2 본체부를 관통하는 힌지핀이 구비되어,
    상기 제2 본체부의 회동은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용 고정부 구조.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링은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2 이상의 개수로 분리된 요소로 구성되어, 이들 요소가 물리적 또는 화학적 공정에 의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용 고정부 구조.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링은 원주 방향을 따라 적어도 2 이상의 개수로 분리된 요소로 구성되어, 이들 요소가 더 외측에 삽입되는 결합 링에 의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용 고정부 구조.
  1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는,
    상기 수용부의 제1 개방구의 좌측 인접 측 및 우측 인접 측으로부터 2개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용 고정부 구조.
  1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링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가 상호 오므려진 제1 상태와, 상기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가 상호 벌려진 제2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1 상태에서 홈 형상의 대상체에 상기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가 삽입되어 상기 제2 상태로 조작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의 외측면이 대상체의 홈의 내측면을 상호 가압하는 형태로 고정이 이뤄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용 고정부 구조.
  1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링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가 상호 오므려진 제1 상태와, 상기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가 상호 벌려진 제2 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상태에서 판 형상의 대상체를 상기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 사이에 삽입하여 상기 제1 상태로 조작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돌기부 및 제2 돌기부의 내측면이 대상체의 외측면을 상호 가압하는 형태로 고정이 이뤄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용 고정부 구조.
  18. 모바일 단말 형태의 피거치물을 대상체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의 고정부 구조로서,
    구동 링의 내부에 제1 돌기부를 구비한 제1 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제1 부재의 중앙부 내측에 형성된 수용부에 제2 돌기부를 구비한 제2 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상호 회동 가능하며,
    상기 구동 링의 내측에 형성된 회동식 구동부에 상기 제2 부재에 형성된 회동식 종동부가 상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구동 링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부재 내에서의 상기 제2 부재의 회동이 이뤄지고, 상기 회동에 따라 상기 제1 돌기부와 제2 돌기부가 상호 오므려진 제1 상태와 상호 벌려진 제2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된 거치대용 고정부 구조.
  19. 제1항 내지 제4항,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고정부 구조를 갖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며, 모바일 단말 형태의 피거치물을 착탈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착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거치대.
KR1020140174415A 2014-12-05 2014-12-05 거치대 및 이를 위한 고정부 구조 KR101705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415A KR101705108B1 (ko) 2014-12-05 2014-12-05 거치대 및 이를 위한 고정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415A KR101705108B1 (ko) 2014-12-05 2014-12-05 거치대 및 이를 위한 고정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545A true KR20160068545A (ko) 2016-06-15
KR101705108B1 KR101705108B1 (ko) 2017-02-10

Family

ID=56135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415A KR101705108B1 (ko) 2014-12-05 2014-12-05 거치대 및 이를 위한 고정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10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40531A (zh) * 2016-12-15 2017-05-31 苏州纽东精密制造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用多功能支架
CN106790849A (zh) * 2016-12-15 2017-05-31 苏州纽东精密制造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用具有调节功能的手机支架
CN106985763A (zh) * 2016-08-15 2017-07-28 陈雯 多功能车载手机支架
WO2018130950A1 (en) * 2017-01-11 2018-07-19 Vent Claw Llc Car gadget holder
KR102356557B1 (ko) * 2020-09-08 2022-02-07 송순영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6257A (ja) * 1995-09-28 1997-03-31 Car Mate Mfg Co Ltd エアコン吹き出し口のルーバーに対する物品取付具
KR20000020464A (ko) * 1998-09-21 2000-04-15 윤종용 반도체소자 제조설비의 세정장치
KR20110025818A (ko) * 2008-06-06 2011-03-11 월멕 에스피에이 자성 지지체를 구비하는 정착 장치를 갖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지지체용 장치
KR101279160B1 (ko) 2012-09-06 2013-06-26 이동엽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6257A (ja) * 1995-09-28 1997-03-31 Car Mate Mfg Co Ltd エアコン吹き出し口のルーバーに対する物品取付具
KR20000020464A (ko) * 1998-09-21 2000-04-15 윤종용 반도체소자 제조설비의 세정장치
KR20110025818A (ko) * 2008-06-06 2011-03-11 월멕 에스피에이 자성 지지체를 구비하는 정착 장치를 갖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지지체용 장치
KR101279160B1 (ko) 2012-09-06 2013-06-26 이동엽 장착이 용이한 차량용 휴대기기 거치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85763A (zh) * 2016-08-15 2017-07-28 陈雯 多功能车载手机支架
CN106740531A (zh) * 2016-12-15 2017-05-31 苏州纽东精密制造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用多功能支架
CN106790849A (zh) * 2016-12-15 2017-05-31 苏州纽东精密制造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用具有调节功能的手机支架
WO2018130950A1 (en) * 2017-01-11 2018-07-19 Vent Claw Llc Car gadget holder
KR102356557B1 (ko) * 2020-09-08 2022-02-07 송순영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108B1 (ko) 2017-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108B1 (ko) 거치대 및 이를 위한 고정부 구조
US20200297103A1 (en)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CN103457099B (zh) 芯片卡固持结构
US8814444B2 (en) Optical connector
JP4818490B2 (ja) 超音波センサモジュールの取り付け装置および取り付け方法
EP2927556A1 (en) Holder mechanism
WO2017186152A1 (zh) 夹持装置以及夹持机构
TW201618982A (zh) 固定裝置應用及該固定裝置的汽車座椅
CN212943680U (zh) 一种连接结构及相应的花洒装置
WO2012029463A1 (ja) 鉛筆削り
KR101705107B1 (ko) 단말 거치용 고정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거치대
US9855898B2 (en) Plug-in system for holding at least one object in the interior of a motor vehicle
WO2017018430A1 (ja) ワイパー組み立て体
CN111495653A (zh) 一种连接结构及相应的花洒装置
WO2017018429A1 (ja) ワイパー組み立て体及びワイパー組み立て体用結合部材
US20140124556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Holder
KR20150004611U (ko) Nfc 스마트폰 거치대
KR102356557B1 (ko)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
KR20160119723A (ko) 단말 거치용 고정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거치대
KR101733385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20060110040A (ko) 차량의 후방감지센서유닛 조립구조
US7414586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JP2015006865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KR200489241Y1 (ko) 차량용 거치대
USD528469S1 (en) Automobile and toy replica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