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557B1 -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557B1
KR102356557B1 KR1020200114278A KR20200114278A KR102356557B1 KR 102356557 B1 KR102356557 B1 KR 102356557B1 KR 1020200114278 A KR1020200114278 A KR 1020200114278A KR 20200114278 A KR20200114278 A KR 20200114278A KR 102356557 B1 KR102356557 B1 KR 102356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part
pressing
upper body
tuy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순영
Original Assignee
송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순영 filed Critical 송순영
Priority to KR1020200114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8Ventil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풍구에 삽입됨과 동시에 송풍 날개를 감싸도록 잡아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송풍구에서의 이탈 및 송풍구 내에서 이동 또는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적이면서 견고한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 차량의 송풍구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 블록 및 상기 장착 블록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단말기를 안착 고정하는 크래들에 연결되는 연결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장착 블록은, 송풍구에 삽입되는 상부 집게부와, 상기 상부 집게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송풍구 외측에 배치되는 상부 몸체부로 구성되는 상부 블록; 상기 상부 블록과 대향 배치되어 결합되되, 상기 송풍구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집게부와 함께 송풍 날개를 감싸도록 잡아서 고정하는 하부 집게부와, 상기 하부 집게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송풍구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상부 몸체부와 탄성적으로 대향하여 결합되는 하부 몸체부로 구성되는 하부 블록; 상기 상부 몸체부와 하부 몸체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탄성적으로 대향 결합되는 상부 몸체부와 하부 몸체부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여 상기 상부 집게부와 하부 집게부의 가압 간격을 조정하는 가압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Terminal holder mounted in a tuyere}
본 발명은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풍구에 삽입됨과 동시에 송풍 날개를 감싸도록 잡아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송풍구에서의 이탈 및 송풍구 내에서 이동 또는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적이면서 견고한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 내비게이션(navigation),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그 특성상 고정된 장소뿐만 아니라 이동중인 차량 내에서도 사용할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단말기를 차량 내에 탑재하기 위한 거치대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현재 제안되고 있는 기술을 살펴보면, 차량 유리에 부착되는 다용도 거치대가 있는데, 그 기술적 구성은 유리와 같은 편평한 부착면과 흡착판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진공(즉, 저압)상태로 만들어서 거치대를 부착시키는 구조로서, 사용에 따라 흡착력이 저감되어 거치대가 견고하게 부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차량 내 CD투입구를 이용하여 거치대를 장착시키는 구조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거치대는 진공압착 방식 대신에 차량의 CD투입구에 끼움 방식을 통해 거치대가 고정됨으로써, 반복사용에 따른 구성의 재질변경(고무재질의 특성인 경화되는 부분)이 거의 없어 단말기의 거치부분에서는 좋아진 반면, 그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26176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함)는 송풍구에 삽입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차량의 송풍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단지 송풍 날개의 폭의 길이에 대응할 수 있는 거치대를 제안하고 있을 뿐, 이 선행기술문헌 역시 단지 송풍구에 삽입하여 장착하는 구조를 제안할 뿐, 송풍구 내에서 이탈을 방지하고, 이동 또는 흔들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지 못하고 있다. 즉, 상기 선행기술문헌에서 제시하고 있는 거치대는 송풍구 내에서 이동 또는 흔들림이 발생하여 안정적이고 견고한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26176호(공고 일자 : 2017년 04월 21일, 발명의 명칭 : 차량의 송풍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송풍구에 삽입됨과 동시에 송풍 날개를 감싸도록 잡아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송풍구에서의 이탈 및 송풍구 내에서 이동 또는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적이면서 견고한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 블록의 회전 동작을 통해서 송풍 날개의 가압 고정 정도를 조정할 수 있고, 송풍 날개에 대한 고정 장착 및 고정 해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송풍구에 대한 단말기 거치대의 장착 및 해제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몸체부 또는 하부 몸체부에 볼 플랜저를 장착하고 상기 볼 플랜저가 텐션 밀착하는 상기 가압 블록의 슬라이딩부를 요홈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가압 블록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회전 동작에 따라 사용자에게 청각 및 촉각적으로 회전 동작을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 차량의 송풍구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 블록 및 상기 장착 블록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단말기를 안착 고정하는 크래들에 연결되는 연결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장착 블록은, 송풍구에 삽입되는 상부 집게부와, 상기 상부 집게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송풍구 외측에 배치되는 상부 몸체부로 구성되는 상부 블록; 상기 상부 블록과 대향 배치되어 결합되되, 상기 송풍구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집게부와 함께 송풍 날개를 감싸도록 잡아서 고정하는 하부 집게부와, 상기 하부 집게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송풍구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상부 몸체부와 탄성적으로 대향하여 결합되는 하부 몸체부로 구성되는 하부 블록; 상기 상부 몸체부와 하부 몸체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탄성적으로 대향 결합되는 상부 몸체부와 하부 몸체부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여 상기 상부 집게부와 하부 집게부의 가압 간격을 조정하는 가압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몸체부에는 둘레면을 따라 상부 가압 레일과 상부 슬라이딩 레일이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하부 몸체부에는 둘레면을 따라 하부 가압 레일과 하부 슬라이딩 레일이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가압 블록은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과 하부 슬라이딩 레일을 감싸면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와,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 가압 레일과 하부 가압 레일에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상부 몸체부와 하부 몸체부의 가압 정도를 가변시키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몸체부 또는 하부 몸체부에는 상기 가압 블록에 밀착하여 텐션을 가하는 볼 플랜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 및 해결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에 의하면, 송풍구에 삽입됨과 동시에 송풍 날개를 감싸도록 잡아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송풍구에서의 이탈 및 송풍구 내에서 이동 또는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적이면서 견고한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압 블록의 회전 동작을 통해서 송풍 날개의 가압 고정 정도를 조정할 수 있고, 송풍 날개에 대한 고정 장착 및 고정 해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송풍구에 대한 단말기 거치대의 장착 및 해제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몸체부 또는 하부 몸체부에 볼 플랜저를 장착하고 상기 볼 플랜저가 텐션 밀착하는 상기 가압 블록의 슬라이딩부를 요홈 형상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가압 블록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회전 동작에 따라 사용자에게 청각 및 촉각적으로 회전 동작을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발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의 장착 모듈을 구성하는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의 장착 모듈을 구성하는 가압 블록의 사시도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동작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동작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의 장착 모듈을 구성하는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의 장착 모듈을 구성하는 가압 블록의 사시도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100)는 차량의 송풍구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 블록(50) 및 상기 장착 블록(5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단말기를 안착 고정하는 크래들에 연결되는 연결 블록(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100)는 송풍구에 삽입되어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장착 블록(50)과 상기 장착 블록(50)에 일측이 연결되고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크래들에 타측이 연결되는 연결 블록(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크래들(미도시)은 단말기를 장착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크래들은 상기 연결 블록(70)에 장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되,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 또는 다양한 위치를 향할 수 있도록 결합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 블록(70)은 힌지 볼와 이 힌지 볼을 감싸는 브라켓의 체결 구조를 채택 적용할 수 있고, 부가적으로 회동 링크 구조를 채택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블록(70)은 체결바(71)를 통해 일측이 상기 장착 블록(5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장착 블록(50)은 기본적으로 집게 구조를 통해 송풍구에 삽입된 상태로 송풍 날개를 잡아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집게 구조가 송풍 날개를 가압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장착 블록(50)은 집게 구조를 형성하는 상부 블록(10)과 하부 블록(20) 및 상기 상부 블록(10)과 하부 블록(20)을 가압하여 송풍 날개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할 수 있도록 동작시키는 가압 블록(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 블록(50)은 송풍구에 삽입되는 상부 집게부(11)와, 상기 상부 집게부(11)에 일체로 연결되어 송풍구 외측에 배치되는 상부 몸체부(12)로 구성되는 상부 블록(1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집게부(11)는 차량의 송풍구로 삽입되는 부분에 해당된다, 상기 상부 집게부(11)는 송풍구 내로 삽입되어 송풍 날개를 감싸면서 걸릴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상부 집게부(11)의 내측면(하부면)에는 고무 패드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상부 집게부(11)의 단부는 하방향으로 구부러진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몸체부(12)는 상기 상부 집게부(11)와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상부 집게부(11)가 상기 송풍구 내로 삽입 장착될 때 송풍구 외측에 인접 배치된다. 상기 상부 몸체부(12)는 상기 가압 블록(30)이 장착되는 부분에 해당된다. 즉, 상기 가압 블록(30)이 상기 상부 몸체부(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접촉 장착되어 회전에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상부 몸체부(12)를 가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장착 블록(50)은 상기 상부 블록(10)과 대향 배치되어 결합되되, 상기 송풍구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집게부(11)와 함께 송풍 날개를 감싸도록 잡아서 고정하는 하부 집게부(21)와, 상기 하부 집게부(21)에 일체로 연결되어 송풍구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탄성적으로 대향하여 결합되는 하부 몸체부(22)로 구성되는 하부 블록(20)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블록(20)은 상기 상부 블록(10)과 짝을 이뤄서 집게 구조를 완성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상기 상부 블록(10)과 대동소이한 구조를 가지고, 압축 스프링(26)을 개재하여 상기 상부 블록(10)과 탄성적으로 대향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집게부(21)는 차량의 송풍구로 삽입되는 부분에 해당된다, 상기 하부 집게부(21)는 송풍구 내로 삽입되어 송풍 날개를 감싸면서 걸릴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하부 집게부(21)의 내측면(상부면)에는 고무 패드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부 집게부(21)의 단부는 상방향으로 구부러진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집게부(21)는 상기 상부 집게부(11)와 함께 송풍 날개를 감싸면서 고정하여 클램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하부 몸체부(22)는 상기 하부 집게부(21)와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하부 집게부(21)가 상기 송풍구 내로 삽입 장착될 때 송풍구 외측에 인접 배치된다. 상기 하부 몸체부(22)는 상기 가압 블록(30)이 장착되는 부분에 해당된다. 즉, 상기 가압 블록(30)이 상기 하부 몸체부(22)에 회전 가능하도록 접촉 장착되어 회전에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고 더 나아가 하부 몸체부(22)를 가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하부 몸체부(22)는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탄성적으로 대향 배치되어 상기 가압 블록(30)에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가 탄성적으로 대향하여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호 이격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고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력에 의해 상호 이격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가 탄성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26)이 장착 배치된다. 상기 압축 스프링(26)이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 사이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몸체부(12)에는 상부 스프링 안착홈(15)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몸체부(22)에는 하부 스프링 안착홈(25)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를 대향 배치할 때, 상기 상부 스프링 안착홈(15)과 상기 하부 스프링 안착홈(25) 역시 상호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압축 스프링(26)을 상기 상부 스프링 안착홈(15)과 상기 하부 스프링 안착홈(25)에 삽입 장착하면 상기 압축 스프링(26)은 안정적인 상태로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는 상기 압축 스프링(26)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가 상기 압축 스프링(26)에 의해 탄성력을 가지면서 대향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 블록(30)을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의 둘레면을 따라 접촉 결합하면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는 상호 이탈되지 않고 탄성력을 가진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에 상기 가압 블록(30)을 장착하기 전에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가 상기 압축 스프링(26)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이탈되거나 튕겨나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부(19)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걸림부(19)에 걸릴 수 있는 후크(29)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몸체부(12)의 양 측부 하단에는 홀 또는 홈 형태의 걸림부(19)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몸체부(22)의 양 측부 상단에는 상기 걸림부(19)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후크(29)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 사이에 상기 압축 스프링(26)을 개재한 상태로 상기 후크(29)가 상기 걸림부(19)에 걸려서 로킹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를 탄성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는 상호 이탈되지 않고 탄성력을 유지한 상태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호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고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압축 스프링(26)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원복되어 상호 멀어진다.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가 상기 압축 스프링(26)에 의 해 탄성적으로 결합되면,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의 둘레면을 따라 상기 가압 블록(30)을 결합한다. 상기 가압 블록(30)은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상부 집게부(11)와 하부 집게부(21)가 송풍 날개를 가압하는 가압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 블록(50)은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하부 몸체부(22)를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탄성적으로 대향 결합되는 상부 몸체부(12)와 하부 몸체부(22)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여 상기 상부 집게부(11)와 하부 집게부(21)의 가압 간격을 조정하는 가압 블록(30)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 블록(30)은 상기 상호 탄성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상부 몸체부(12)와 하부 몸체부(22)의 둘레면을 접촉하면서 감싸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가압 블록(30)은 링 형상을 가져서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하부 몸체부(22)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압 블록(30)은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하부 몸체부(22)를 가압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상기 상부 집게부(11)와 하부 집게부(21)의 가압 간격이 조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가압 블록(30)은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하부 몸체부(22)에 외력을 가하여 상호 가까워지도록 가압할 수 있고 외력을 풀어서 상기 압축 스프링(26)의 탄성력에 의해 상호 멀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하부 몸체부(22)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상부 집게부(11)와 하부 집게부(21)의 가압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가압 블록(30)은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하부 몸체부(22)의 둘레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하부 몸체부(22)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하부 몸체부(22)의 둘레면에 상기 가압 블록(30)이 회전하면서 슬라이딩할 수 있는 구조가 채택 적용되고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하부 몸체부(22)를 가압할 수 있는 구조가 채택 적용되며, 상기 가압 블록(30)은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하부 몸체부(22)를 따라 회전하면서 가압할 수 있는 구조가 채택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몸체부(12)에는 둘레면을 따라 상부 가압 레일(13)과 상부 슬라이딩 레일(14)이 인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상부 가압 레일(13)은 상기 가압 블록(30)이 상기 상부 몸체부(12)를 가압하기 위하여 형성되고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14)은 상기 가압 블록(30)이 안정적으로 회전되고 정지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 가압 레일(13)은 상기 가압 블록(30)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이고, 이 가압에 따라 최종적으로 상기 상부 집게부(11)가 하측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상부 가압 레일(13)은 상기 상부 집게부(11)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14)은 상기 상부 집게부(11)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어 상기 상부 가압 레일(13)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 몸체부(22)에는 둘레면을 따라 하부 가압 레일(23)과 하부 슬라이딩 레일(24)이 인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하부 가압 레일(23)은 상기 가압 블록(30)이 상기 하부 몸체부(22)를 가압하기 위하여 형성되고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24)은 상기 가압 블록(30)이 안정적으로 회전되고 정지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부 가압 레일(23)은 상기 가압 블록(30)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이고, 이 가압에 따라 최종적으로 상기 하부 집게부(21)가 상측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하부 가압 레일(23)은 상기 하부 집게부(21)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24)은 상기 하부 집게부(21)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어 상기 하부 가압 레일(23)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상부 가압 레일(13)과 상기 하부 가압 레일(23)은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이들은 전체적으로 링 형상의 레일을 형성한다. 역시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14)과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24)은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이들은 전체적으로 링 형상의 레일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가압 블록(30)이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하부 몸체부(22)의 둘레면을 따라 안정적으로 가이딩되면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가압 레일(13)이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14)보다 더 낮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가압 레일(23)이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24)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가압 레일(13)과 상기 하부 가압 레일(23) 및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14)과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24)의 구조에 대응하여 상기 가압 블록(30)은 상기 상부 가압 레일(13)과 상기 하부 가압 레일(23)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가압 정도를 가변시키는 가압부(33)와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14)과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24)을 따라 접촉되면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32)를 형성한다.
즉, 상기 가압 블록(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14)과 하부 슬라이딩 레일(24)을 감싸면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32)와,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 가압 레일(13)과 하부 가압 레일(23)에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하부 몸체부(22)의 가압 정도를 가변시키는 가압부(33)를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딩부(32)는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14)과 하부 슬라이딩 레일(24)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14)과 하부 슬라이딩 레일(24)을 감싸면서 슬라이딩된다. 상기 가압 블록(30)은 상기 슬라이딩부(32)가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14)과 하부 슬라이딩 레일(24)을 따라 접촉하면서 슬라이딩되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32)는 상기 가압 블록(30)의 내부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14)과 하부 슬라이딩 레일(24)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14)과 하부 슬라이딩 레일(24)과 인접 배치되는 상기 상부 가압 레일(13)과 하부 가압 레일(23)을 가압하는 상기 가압부(33)는 상기 슬라이딩부(32)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33)는 상기 가압 블록(30)의 내측면에 한 쌍으로 형성되되 상호 대향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가압부(33) 중 하나는 상기 상부 가압 레일(13)을 따라 회전하면서 가압하여 상기 상부 몸체부(12)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하부 가압 레일(23)을 따라 회전하면서 가압하여 상기 하부 몸체부(22)를 상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가압부(33)는 링 형상의 가압 블록(30)의 내측 중심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되 라운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가압부(33)는 중앙 부분이 내측 중심 방향으로 가장 돌출되고 중앙 부분에서 양측으로 멀어지면서 돌출 정도가 작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가압부(33)의 중앙 부분에는 고정홈(34)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가압 레일(13)과 하부 가압 레일(13) 각각에는 고정 돌기(18)가 형성된다. 상기 가압 블록(30)을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에 결합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가압 블록(30)을 회전시키면, 상기 가압부(33)가 상기 상부 가압 레일(13)과 하부 가압 레일(13) 각각을 가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 블록(30)을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 돌기(18)가 상기 가압부(33)에 접촉하게 되고, 이후 사용자가 같은 방향으로 상기 가압 블록(300을 더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 돌기(18)는 상기 가압부(33)와 강하게 접촉하여 슬라이딩되면서 가압부(33)의 중앙 영역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가압부(33)는 상기 고정 돌기(18)를 통해 상기 상부 가압 레일(13)과 하부 가압 레일(23)이 각각 형성되는 상부 몸체부(12)와 하부 몸체부(22)를 가압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상부 집게부(11)와 하부 집게부(21)는 상호 가압 간격이 좁혀지고 이를 통해 송풍 날개를 견고하게 클램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 돌기(18)가 상기 가압부(33)의 중앙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압 블록(30)을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 돌기(18)는 상기 가압부(33)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고정홈(34)에 삽입되어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상부 집게부(11)와 하부 집게부(21)는 송풍 날개를 견고하게 클램핑할 수 있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상기 가압 블록(30)은 회전되지 않고 현재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상부 집게부(11)와 하부 집게부(21)의 가압 간격을 멀리하여 클램핑을 해제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가압 블록(30)을 회전시켜서 상기 고정 돌기(18)가 상기 고정홈(34)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 돌기(18)를 상기 가압부(33)로부터 멀어지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압축 스프링(2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부 블록(10)과 하부 블록(20)은 상호 멀어지게 되고, 이를 통해 송풍 날개에 대한 클램핑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 블록(30)은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하부 몸체부(22)를 감싸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가압 동작을 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부 몸체부(12) 또는 하부 몸체부(22)에는 상기 가압 블록(30)에 밀착하여 텐션을 가하는 볼 플랜저(27)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볼 플랜저(27)는 상기 상부 몸체부(12) 또는 하부 몸체부(22)에 삽입 장착되되, 볼 부분이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가압 블록(30)의 슬라이딩부(32)에 텐션을 유지한 상태로 밀착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볼 플랜저(27)는 상기 상부 몸체부(12)에 삽입 장착되어 상기 가압 블록(30)의 슬라이딩부(32)를 텐션을 가하면서 밀착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상부 몸체부(12)에는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볼 플랜저 장착부(16)가 형성된다. 상기 볼 플랜저 장착부(16)는 상기 상부 몸체부(12)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볼 플랜저(27)가 삽입 장착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14)을 관통하는 볼 플랜저 노출홀(17)을 구비하여 상기 볼 플랜저(27)의 볼 부분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볼 플랜저(27)의 볼 부분이 상기 볼 플랜저 노출홀(17)을 통해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14) 상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가압 블록(30)이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하부 몸체부(22)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결합 장착되면, 상기 가압 블록(30)의 슬라이딩부(32)는 상기 볼 플랜저(27)에 밀착되어 텐션을 가지도록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 블록(30)은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하부 몸체부(22)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결합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하부 몸체부(22)를 가압한 상태가 아니더라도 상기 볼 플랜저(27)에 의해 텐션을 유지한 상태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볼 플랜저(27)의 볼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가압 블록(30)의 슬라이딩부(32)는 내부면을 따라 요홈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부(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한 부분과 볼록한 부분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요홈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가압 블록(30)을 회전시키면, 상기 볼 플랜저(27)의 볼 부분이 상기 요홈 형상의 슬라이딩부(32)를 타고 이동하면서 "따닥따닥"의 소리를 발생시키고 사용자의 회전 감각을 배가시키게 된다.
상기 가압 블록(30)은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압 블록(30)은 사용자가 잡거나 밀 수 있는 레버(31)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레버(31)를 잡고 일 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돌리거나 밀면 상기 가압 블록(30)은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하부 몸체부(22)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상부 블록(10)과 하부 블록(20)의 클램핑 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 블록(30)이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에 결합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블록(10)과 하부 블록(20)의 후측을 덮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착 블록(50)은 상기 상부 블록(10)과 하부 블록(20)의 후측을 덮는 커버(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40)는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의 후측을 덮고 동시에 상기 가압 블록(30)의 후측을 덮도록 배치된다. 상기 커버(40)는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41)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돌기(41)에 대응하여 상기 가압 블록(30)의 후측에는 링 형상의 가이드홈(3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 블록(30)을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에 장착한 후, 상기 커버(40)는 상기 가압 블록(30)의 가이드홈(35)에 가이드 돌기(4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의 후측에 결합된다.
상기 커버(40)의 가이드 돌기(41)가 상기 가압 블록(30)의 가이드홈(35)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커버(40)가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의 후측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가압 블록(30)은 사용자에 의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41)에 가이드되면서 회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가압 블록(30)은 상기 커버(40)에 의해 더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장착 블록(50)은 상기 연결 블록(70)의 일측에 연결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블록(70)의 체결바(71)가 상기 장착 블록(50)의 상부 몸체부(12)와 하부 몸체부(22)에 체결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체결바(71)의 전측에는 서로 평행하게 인접 배치되는 한 쌍의 체결 가이드(72)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 가이드(72)에 대응하여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몸체부(22)에는 상기 한 쌍의 체결 가이드(72) 중, 더 앞에 형성되는 제1 체결 가이드(72)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연결홈(28)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몸체부(22)에 형성된 연결홈(28)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몸체부(12)에도 상기 연결홈(28)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몸체부(12)에 형성된 연결홈(28)은 상기 제1 체결 가이드(72)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제1 체결 가이드(72)보다 후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 가이드(72)는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하부 몸체부(22)를 결합한 상태에서 이들의 후측면에 접촉되어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결국,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의 후단은 상기 제1 체결 가이드와 제2 체결 가이드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고, 이때 상기 제1 체결 가이드(72)는 상기 연결홈(28)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체결바(71)는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하부 몸체부(22) 사이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100)의 조립 과정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블록(20)의 하부 몸체부(22)에 형성되는 하부 스프링 안착홈(25)에 압축 스프링(26)을 삽입 안착하고, 체결바(71)의 체결 가이드(72)를 하부 몸체부(22)의 연결홈(28)에 삽입한다.
그런 다음,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 플랜저(27)를 볼 플랜저 장착부(16)에 장착한 상태로 상기 상부 블록(10)을 상기 하부 블록(20)에 탄성적으로 결합한다. 이 때, 상기 압축 스프링(26)의 상측이 상기 상부 몸체부(12)에 형성되는 상부 스프링 안착홈(15)에 안착되도록 상기 상부 블록(10)을 상기 하부 블록(20)에 탄성적으로 결합한다. 이 결합 과정에서, 상기 하부 몸체부(22)에 형성되는 후크(29)가 상기 상부 몸체부(12)에 형성되는 걸림부(19)에 걸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압축 스프링(2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하부 몸체부(22)가 서로 튕겨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의 둘레면에 상기 가압 블록(30)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볼 플랜저(27)가 상기 가압 블록(30)의 슬라이딩부(32)를 텐션이 유지되도록 밀착하기 때문에, 상기 가압 블록(30)은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40)를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의 후측을 덮는다. 이 과정에서 상기 커버(40)의 가이드 돌기(41)가 상기 가압 블록(30)의 후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홈(35)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40)가 상기 상부 몸체부(12)와 상기 하부 몸체부(22)의 후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도 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힌지 결합구(73)를 상기 체결바(71)에 체결하는 과정을 통하여 상기 커버(40)가 상기 볼 힌지 결합구(73)의 전측에 의해 가압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의 (e)의 일부 단면도에 해당하는 도 6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 힌지 결합구(73)는 상기 체결바(71)에 나사 결합되고, 나사 결합되면서 전단이 상기 커버(4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볼 힌지 결합구(73)의 후측에는 힌지 볼이 구비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브라켓이 상기 힌지 볼을 감싸면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결바(71) 및 볼 힌지 결합구(73)를 포함하는 상기 연결 블록(70)은 타측에 단말기를 장착하는 크래들이 연결되되, 상기 단말기가 장착되는 크래들이 다양한 방향 및 위치 및 높이로 변경될 수 있도록,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구조 및 회동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상부 블록 11 : 상부 집게부
12 : 상부 몸체부 13 : 상부 가압 레일
14 : 상부 슬라이딩 레일 15 : 상부 스프링 안착홈
16 : 볼 플랜저 장착부 17 : 볼 플랜저 노출홀
18 : 고정 돌기 19 : 걸림부
20 : 하부 블록 21 : 하부 집게부
22 : 하부 몸체부 23 : 하부 가압 레일
24 : 하부 슬라이딩 레일 25 : 하부 스프링 안착홈
26 : 압축 스프링 27 : 볼 플랜저
28 : 연결홈 29 : 후크
30 : 가압 블록 31 : 레버
32 : 슬라이딩부 33 : 가압부
34 : 고정홈 35 : 가이드홈
40 : 커버 41 : 가이드 돌기
50 : 장착 블록 70 : 연결 블록
71 : 체결바 72 : 체결 가이드
73 : 볼 힌지 결합구
100 :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

Claims (3)

  1.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
    차량의 송풍구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 블록 및 상기 장착 블록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단말기를 안착 고정하는 크래들에 연결되는 연결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장착 블록은, 송풍구에 삽입되는 상부 집게부와, 상기 상부 집게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송풍구 외측에 배치되는 상부 몸체부로 구성되는 상부 블록; 상기 상부 블록과 대향 배치되어 결합되되, 상기 송풍구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집게부와 함께 송풍 날개를 감싸도록 잡아서 고정하는 하부 집게부와, 상기 하부 집게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송풍구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상부 몸체부와 탄성적으로 대향하여 결합되는 하부 몸체부로 구성되는 하부 블록; 상기 상부 몸체부와 하부 몸체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탄성적으로 대향 결합되는 상부 몸체부와 하부 몸체부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여 상기 상부 집게부와 하부 집게부의 가압 간격을 조정하는 가압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몸체부에는 둘레면을 따라 상부 가압 레일과 상부 슬라이딩 레일이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하부 몸체부에는 둘레면을 따라 하부 가압 레일과 하부 슬라이딩 레일이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가압 블록은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 슬라이딩 레일과 하부 슬라이딩 레일을 감싸면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와,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 가압 레일과 하부 가압 레일에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상부 몸체부와 하부 몸체부의 가압 정도를 가변시키는 가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몸체부 또는 하부 몸체부에는 상기 가압 블록에 밀착하여 텐션을 가하는 볼 플랜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
  2. 삭제
  3. 삭제
KR1020200114278A 2020-09-08 2020-09-08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 KR102356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278A KR102356557B1 (ko) 2020-09-08 2020-09-08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278A KR102356557B1 (ko) 2020-09-08 2020-09-08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557B1 true KR102356557B1 (ko) 2022-02-07

Family

ID=80253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278A KR102356557B1 (ko) 2020-09-08 2020-09-08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5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127B1 (ko) * 2022-08-08 2023-02-06 유알아이 주식회사 휴대폰 거치대의 거치대 착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5818A (ko) * 2008-06-06 2011-03-11 월멕 에스피에이 자성 지지체를 구비하는 정착 장치를 갖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지지체용 장치
KR20160068545A (ko) * 2014-12-05 2016-06-15 주식회사 가온랩 거치대 및 이를 위한 고정부 구조
KR20160119603A (ko) * 2015-04-06 2016-10-14 주식회사 가온랩 단말 거치용 고정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거치대
KR101726176B1 (ko) 2016-11-18 2017-04-12 (주)신형아이엔티 차량의 송풍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KR101732315B1 (ko) * 2016-07-01 2017-05-02 남동훈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5818A (ko) * 2008-06-06 2011-03-11 월멕 에스피에이 자성 지지체를 구비하는 정착 장치를 갖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지지체용 장치
KR20160068545A (ko) * 2014-12-05 2016-06-15 주식회사 가온랩 거치대 및 이를 위한 고정부 구조
KR20160119603A (ko) * 2015-04-06 2016-10-14 주식회사 가온랩 단말 거치용 고정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거치대
KR101732315B1 (ko) * 2016-07-01 2017-05-02 남동훈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 및 방법
KR101726176B1 (ko) 2016-11-18 2017-04-12 (주)신형아이엔티 차량의 송풍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127B1 (ko) * 2022-08-08 2023-02-06 유알아이 주식회사 휴대폰 거치대의 거치대 착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90757A1 (en) Cradle for automobile
JP3049274B2 (ja) 自動車用携帯電話ホルダー
US5825874A (en) Mobile telephone holder
KR100894209B1 (ko) 해제위치 고정구조를 가지는 진공흡입 유지대
US6360083B1 (en) Clamping/holding device
US20080234013A1 (en) Mobile phone holder, especially for mechanical vehicle
KR101875432B1 (ko) 차량 씨디 투입구 장착용 휴대기기 거치대
KR102356557B1 (ko) 송풍구 장착형 단말기 거치대
KR200488939Y1 (ko) 스마트 장치 거치대
US7835146B2 (en) Coupling mechanism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6092776A (en) Multi-purpose holder, having a recess with an open circular upper end, a rectangular middle portion and a funnel shaped cavity lower end
KR101650766B1 (ko) 마운팅 부재
US20090090821A1 (en) Cradle for automobile
JP3813844B2 (ja) 携帯電話機保持装置
KR20160068545A (ko) 거치대 및 이를 위한 고정부 구조
US6712325B2 (en) Cup holder for automobile
KR101696635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20140076080A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US20140097325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system
KR101756172B1 (ko) 마운팅 부재
KR100535965B1 (ko) 토글스프링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KR102536053B1 (ko) 휴대용 거치대
KR100785193B1 (ko) 차량용 통신 단말기 거치대
KR101468643B1 (ko)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장치
KR101825743B1 (ko) 모바일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