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6248A - 일정 구간 임시고정 및 확장 고정 기능을 갖는 탑차용 도어 힌지 - Google Patents

일정 구간 임시고정 및 확장 고정 기능을 갖는 탑차용 도어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6248A
KR20160066248A KR1020140170366A KR20140170366A KR20160066248A KR 20160066248 A KR20160066248 A KR 20160066248A KR 1020140170366 A KR1020140170366 A KR 1020140170366A KR 20140170366 A KR20140170366 A KR 20140170366A KR 20160066248 A KR20160066248 A KR 20160066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hole
piece
doo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숙
Original Assignee
(주)상전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전정공 filed Critical (주)상전정공
Priority to KR1020140170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6248A/ko
Publication of KR20160066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2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6Means for controlling movement of tailboards or side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0Manholes; Inspection openings; Cover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revolv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8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sliding pins o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 기능이 구비된 도어 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편과 회전편 및 힌지축으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도어 힌지에 있어서, 상기 회전편과 힌지축으로 결합되는 고정편에 패스용 홀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편을 관통하여 패스용 홀에 끼워지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의 외주연에 탄성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회전편을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도 일정 각도에서 자동으로 회전편이 고정되는 고정 기능이 구비되어 임의로 도어가 닫히지 않아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상기 회전편에 결합된 도어의 파손을 방지하는 고정 기능이 구비된 도어 힌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편(10)과, 일측은 상기 고정편(10)에 힌지결합되며 타측은 도어에 고정되는 연결편(20)과, 상기 고정편(10)과 연결편(20)을 힌지결합하는 힌지축(30)으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편(10)은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1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1)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제1지지플레이트(121)와 제2지지플레이트(122)로 구성된 한쌍의 지지플레이트(12)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2)의 중앙에는 고정편힌지구멍(13)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힌지구멍(13)의 주위에는 패스용 홀(14)이 형성되며, 상기 패스용 홀(14)의 일단에는 고정홀(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편(20)의 일측에는 연결편(20)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한쌍의 힌지플레이트(21)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플레이트(21)에는 연결편힌지구멍(23)과 고정봉체결구멍(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축(30)은 상기 고정편(10)의 고정편힌지구멍(13)과 상기 연결편(20)의 연결편힌지구멍(23)에 관통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10)의 패스용 홀(14)과 상기 연결편(20)의 고정봉체결구멍(24)에는 고정봉(40)이 관통 체결되되, 상기 고정봉(40)의 일단에는 돌륜(4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봉(40) 타단에는 단턱(42)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42)의 중앙에는 연장돌기(43)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42)의 아래쪽에는 핀홀(44)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봉(40)에는 탄성부재(50)가 끼워지되, 핀(60)이 상기 핀홀(44)에 끼워져 상기 탄성부재(50)가 상기 고정봉(40)을 연장돌기(43)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기능이 구비된 도어 힌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일정 구간 임시고정 및 확장 고정 기능을 갖는 탑차용 도어 힌지{Door hinge for truck having a temporary fixing and extension fixing function for certain section}
본 발명은 일정 구간 임시고정 및 확장 고정 기능을 갖는 탑차용 도어 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편과 회전편 및 힌지축으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도어 힌지에 있어서, 상기 회전편과 힌지축으로 결합되는 고정편에 패스용 홀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편을 관통하여 패스용 홀에 끼워지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의 외주연에 탄성부재를 형성하되, 상기 패스용 홀을 제한구간 자유이송 공간부와, 패스용 공간부와, 임시멈춤을 위한 공간부를 갖도록 3분할함으로서 회전편에 결합된 도어의 제한구간 자유이송과, 임시멈춤 공간 이송이 가능토록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동시에 도어의 파손을 방지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구간 임시고정 및 확장 고정 기능을 갖는 탑차용 도어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비, 먼지 등의 외부환경에 관계없이 식료품, 공산품 등의 물품을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운송하기 위해 금속제 또는 알루미늄제의 컨테이너(container)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는 특수차량에 일체로 장착되는 고정형 컨테이너와 차량 및 선박, 항공기 등에 탑재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분리형 컨테이너로 구분된다.
상기 고정형 컨테이너는 화물을 적재하도록 만든 특수차량의 배면(背面, 위치상으로 등쪽의 부분)에 박스형태로 특수하게 제작되어 부착,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고정형 컨테이너를 갖춘 차량을 특수목적용 차량의 의미로 특장차, 또는 박스형태를 갖추고 있다하여 박스차, 탑차 등의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상기 탑차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는 컨테이너에는 물건을 하역하기 위해 보통 양문형 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양쪽의 도어가 컨테이너에 힌지구조로 결합되어 있으며, 양쪽 도어의 경계부위에 상기 도어를 잠그기 위한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물건 하역시에는 상기 잠금장치를 해제한 뒤 양문형 도어를 완전히 개방하여 하역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양문형 도어는 닫힌 상태로부터 약 270°만큼 완전히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종래의 탑차는 하역작업을 할 때 열려진 도어가 컨테이너의 양 옆으로 돌출되어 주변을 지나는 행인이나 다른 차량 및 이륜차 등의 운송에 지장을 주게 될 뿐만 아니라 충돌사고의 우려도 있으며, 도어를 고정할 수 없어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바람의 영향으로 열려 있던 도어가 임의로 닫히는 경우도 발생하여 하역작업에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경우도 있어 문제가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2694호로 탑차의 리어도어 닫힘 방지 구조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적재나 하역시 탑차(100)의 냉동탑(110)을 개폐하는 도어(120)의 닫힘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120)의 외측면에 볼트로 결합되며 중앙에 관통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31)의 양측으로 결합홈(132)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3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결합홈(132)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일단부에 결합가이드(18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걸림후크(182)가 형성된 고정고리(180); 상기 고정고리(180)의 탄력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고정고리(180)를 탄력지지하는 스프링(170)으로 구성되어 도어(120) 개방시 고정고리(180)를 냉동탑(110)의 측면에 구비된 걸이구(160)에 걸어 고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화물을 적재하거나 하역하기 위해 도어(120)를 개방하게 되는데, 이때 작업에 방해되지 않도록 도어(120)에 설치된 고정고리(180)를 특장차의 측면에 설치된 걸이구(160)에 걸어 작업시 양쪽의 도어(120)가 닫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도어(120)를 열 때나 닫을 때 작업자가 일일이 고정고리(180)를 걸이구(160)에 걸어주거나 해제시켜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으며, 도어를 열거나 닫는 작동모드만 있기 때문에 조그마한 틈새의 열림을 유지하고 싶을 경우에는 이러한 동작이 아애 불가능하여 특히 택배업과 같이 조그마한 틈만 열어놓은 상태에서 연속적인 작업을 시도할 경우 불편함이 많았다.
즉, 종래의 탑차들은 도어를 닫거나 완전히 열어서 걸이구로 고정시키는 개념만이 존재하였기 때문에 구간별 멈춤 기능을 실현시킬 수 없었고, 아울러 완전 열었을때도 별도로 걸이구를 이용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정편과 회전편 및 힌지축으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도어 힌지에 있어서, 상기 회전편과 힌지축으로 결합되는 고정편에 패스용 홀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편을 관통하여 패스용 홀에 끼워지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의 외주연에 탄성부재를 형성하되, 패스용 홀의 너비를 다양화시켜 회전편의 구간별 제한 이송과 회전편의 완전 이송이 가능토록하여 탑차의 이용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편(10); 일측은 상기 고정편(10)에 힌지결합되며 타측은 도어에 고정되는 연결편(20); 상기 고정편(10)과 연결편(20)을 힌지결합하는 힌지축(30);으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편(10)은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1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11)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제 1 지지플레이트(121)와 제 2 지지플레이트(122)로 구성된 한쌍의 지지플레이트(12)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2)의 중앙에는 고정편 힌지구멍(13)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 힌지구멍(13)의 주위에는 움직임 제한용 홀(19)과, 패스용 홀(14)과, 고정홀(15)이 연속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20)의 일측에는 연결편(20)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한쌍의 힌지 플레이트(21)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 플레이트(21)에는 연결편 힌지구멍(23)과 고정봉 체결구멍(24)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30)은 상기 고정편(10)의 고정편 힌지구멍(13)과 상기 연결편(20)의 연결편 힌지구멍(23)에 관통 체결되며, 상기 고정편(10)의 패스용 홀(14)과 상기 연결편(20)의 고정봉 체결구멍(24)에는 고정봉(40)이 관통 체결되되, 상기 고정봉(40) 몸체(45)의 일단에는 상기 몸체(45)보다 직경이 큰 돌륜(4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45)의 타단에는 단턱(42)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42)의 중앙에는 상기 몸체(45)보다 직경이 작은 연장돌기(43)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42)의 아래쪽 몸체(45)에는 핀홀(44)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40)에는 탄성부재(50)가 끼워지되, 핀(60)이 상기 핀홀(44)에 끼워져 상기 탄성부재(50)가 상기 고정봉(40)을 연장돌기(43) 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상기 고정편(10)의 패스용 홀(14)과 상기 연결편(20)의 고정봉 체결구멍(24)에는 고정봉(40)이 관통 체결되되, 상기 고정봉(40) 몸체(45)의 일단에는 상기 몸체(45)보다 직경이 큰 돌륜(4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45)에는 핀홀(44)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40)에는 탄성부재(50)가 끼워지되, 핀(60)이 상기 핀홀(44)에 끼워져 상기 탄성부재(50)가 상기 고정봉(40)을 위쪽 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상기 고정봉은 움직임 제한용 홀(19)과, 패스용 홀(14)과, 고정홀(15)을 순차 유동하면서 연결편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작동되도록 유도하되, 움직임 제한용 홀(19)의 길이만큼 연결편의 움직임을 제한시키고, 패스용 홀(14)을 통해 건너뛴 다음 고정홀에 연결편을 고정시키는 구조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움직임 제한용 홀은 연결편이 90도 내지 120도 범위에서 정지되도록 홀의 길이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고정편(10)의 고정 플레이트(11)에는 고정편 고정구멍(16)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20)에는 연결편 고정구멍(26)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고정봉(40)에 탄성부재(50)가 끼워지되, 상기 탄성부재(50) 위에 왓셔(70)가 더 결합되고, 상기 핀(60)이 상기 핀홀(44)에 끼워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고정편(10)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고정 플레이트(11)와 동일 평면상에 제 1 지지플레이트(121)와 제 2 지지플레이트(122)를 연결하는 제 1 보강플레이트(17)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1)와 수직 평면상에 제 1 지지플레이트(121)와 제 2 지지플레이트(122)를 연결하는 제 2 보강플레이트(18)를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편과 회전편 및 힌지축으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도어 힌지에 있어서, 상기 회전편과 힌지축으로 결합되는 고정편에 패스용 홀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편을 관통하여 패스용 홀에 끼워지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의 외주연에 탄성부재를 형성하되, 패스용 홀의 너비를 다양화시켜 회전편의 구간별 제한 이송과 회전편의 완전 이송이 가능토록하여 탑차의 이용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탑차의 도어 닫힘 방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도어 힌지의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도어 힌지의 결합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평면도.
도 3c는 도 3b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작동도로서 제한 구간에서 연결편이 임시로 멈추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작동도로서 고정봉을 눌러서 연결편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작동도로서 연결편을 움직여 패스용 홀을 통과후 고정홀로 이동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작동도로서 고정홀로 고정봉이 튀어나와 연결편이 완전히 오픈되어 고정된 것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어 힌지의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도어 힌지의 결합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평면도.
도 3c는 도 3b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작동도로서 제한 구간에서 연결편이 임시로 멈추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작동도로서 고정봉을 눌러서 연결편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작동도로서 연결편을 움직여 패스용 홀을 통과후 고정홀로 이동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작동도로서 고정홀로 고정봉이 튀어나와 연결편이 완전히 오픈되어 고정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탑차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는 컨테이너에는 일반적으로 양문형 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도어는 컨테이너의 도어 프레임에 도어 힌지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탑차의 도어를 완전히 개방하였을 때에는 닫힌 상태로부터 약 270°만큼 개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고정 기능이 구비된 도어 힌지는 상기 컨테이너의 도어 프레임과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가 도어 프레임으로 부터 회전 개폐되도록 하되, 도어가 닫힌 상태로부터 90도 내지 120도 까지 개방되는 1차 구간별 도어 개방구간과, 상기 개방구간으로부터 270도 지점까지 통과되는 도어 패스구간과, 패스구간이 끝난 시점에서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는 2차 끝점 도어 개방구간으로 구분되어 동작 가능토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정 기능이 구비된 도어 힌지를 구성하는 고정편(10)은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고, 연결편(20)은 도어에 고정되며, 힌지축(30)은 상기 고정편(10)과 연결편(20)을 힌지 결합한다.
상기 고정편(10)은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11)가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플레이트(11)에는 도어 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편 고정구멍(16)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1)의 고정편 고정구멍(16)에 볼트를 끼워서 도어 프레임에 상기 고정편(10)을 고정한다.
또한, 상기 고정편(10)의 고정플레이트(10)는 용접 접합 방법 또는 리벳에 의해 도어 프레임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1)의 직각방향으로 제 1 지지플레이트(121)와 제 2 지지플레이트(122)로 구성된 한쌍의 지지플레이트(12)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지지플레이트(121)와 제 2 지지플레이트(122) 사이에는 고정편(10)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고정플레이트(11)와 동일 평면상에 제 1 보강플레이트(17)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지지플레이트(121)와 제 2 지지플레이트(122) 사이에는 고정편(10)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고정플레이트(11)와 수직 평면상에 제 2 보강플레이트(18)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보강플레이트(17)와 제 2 보강플레이트(18)는 함께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한쌍의 지지플레이트(12)의 중앙에는 고정편 힌지구멍(13)이 형성되어 힌지축(30)에 의해 연결편(20)과 힌지 연결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2)의 고정편힌지구멍(13) 주위에는 움직임 제한용 홀(19)과, 움직임 제한용 홀(19)의 끝단에 패스용 홀(14)이 형성되며, 상기 패스용 홀(14)의 끝단에는 고정홀(15)이 형성되는데, 상기 움직임 제한용 홀(19)과 고정홀(15)의 폭은 패스용 홀(14)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봉(40)의 몸체(45)가 제 2 지지플레이트(122)의 제 2 움직임 제한용 홀(192)의 폭이 상기 고정봉(40)의 돌륜(41)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고정봉(40)의 돌륜(41)이 제 2 움직임 제한용 홀로 들어가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제 2 움직임 제한용 홀의 끝지점까지 이동하면, 고정봉(40)의 연장돌기(43)를 아래방향으로 누른다. 그러면, 상기 고정봉(40)의 돌륜(41)은 상기 고정편(10)의 제 2 움직임 제한용 홀에서 빠져나가 제 2 움직임 제한용 홀의 아래에 위치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고정봉(40)의 몸체(45)는 상기 고정편(10)의 제 1 움직임 제한용 홀에서 빠져나가 제 1 움직임 제한용 홀(191)의 아래에 위치하게 되어, 이때 연결편(20)을 회전시키면 제 1 패스용 홀(141)과 제 2 패스용 홀(142)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제 2 지지플레이트(122)의 제 2 움직임 제한용 홀(142)의 폭은 고정봉(40)의 돌륜(41)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고정봉의 돌륜(41)이 통과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제 2 패스용 홀(142)의 폭은 고정봉(40)의 몸체(45)가 끼워져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봉(40)의 몸체(45)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40)의 돌륜(41)의 직경은 제 2 패스용 홀(142)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 2 패스용 홀(142)을 통과될 수 없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지지플레이트(122)의 제 2 고정홀(152)의 폭은 상기 고정봉(40)의 돌륜(41)이 통과될 수 있도록 돌륜(4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지지플레이트(122)의 제 2 패스용 홀(142)에는 고정봉(40)의 몸체(45)가 끼워지며 돌륜(41)의 직경은 제 2 패스용 홀(142)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제 2 패스용 홀(142)을 통과할 수 없으므로 상기 제 2 패스용 홀(142)의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봉(40)의 몸체(45)가 제 2 지지플레이트(122)의 제 2 패스용 홀(142)에 위치해 있다가 제 2 고정홀(152)로 이동되면 상기 제 2 고정홀(152)의 폭이 상기 고정봉(40)의 돌륜(41)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고정봉(40)의 돌륜(41)이 제 2 고정홀(152)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제 1 지지플레이트(121)의 제 1 패스용 홀(141)의 폭은 고정봉(40)의 연장돌기(43)가 끼워져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봉(40)의 연장돌기(4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40)의 몸체(45)의 직경은 제 1 패스용 홀(141)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단턱(42)은 제 1 패스용 홀(141)을 통과될 수 없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지지플레이트(121)의 제 1 고정홀(151)의 폭은 상기 고정봉(40)의 단턱(42)이 통과될 수 있도록 몸체(45)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지지플레이트(121)의 제 1 패스용 홀(141)에는 고정봉(40)의 연장돌기(43)가 끼워지며 몸체(45)의 직경은 제 1 패스용 홀(141)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단턱(42)이 제 1 패스용 홀(141)을 통과할 수 없으므로 단턱(42)은 상기 제 1 패스용 홀(142)의 아래쪽에 걸려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봉(40)의 연장돌기(43)가 제 1 지지플레이트(121)의 제 1 패스용 홀(141)에 위치해 있다가 제 1 고정홀(151)로 이동되면 상기 제 1 고정홀(151)의 폭이 상기 고정봉(40)의 몸체(45)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단턱(42)이 제 1 고정홀(151)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연결편(20)의 일측에는 도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연결편 고정구멍(26)이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편 고정구멍(26)에 볼트를 끼워서 도어에 상기 연결편(20)을 고정거나 또는 상기 연결편(20)은 용접 접합 방법 또는 리벳에 의해 도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편(20)의 다른 일측에는 연결편(20)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한쌍의 힌지 플레이트(21)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 플레이트(21)에는 연결편 힌지구멍(23)과 고정봉 체결구멍(24)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편(20)의 한쌍의 힌지 플레이트(21)는 상기 고정편(10)의 한쌍의 지지 플레이트(12)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힌지축(30)에 의해 고정편 힌지구멍(13)과 연결편 힌지구멍(23)에 관통 체결되어 상기 연결편(20)이 고정편(10)에 힌지 결합된다.
이때 상기 힌지축(30)은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리벳(revet) 또는 이링(E-ring)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고정편(10)의 패스용 홀(14)과 상기 연결편(20)의 고정봉 체결구멍(24)에는 고정봉(40)이 관통 체결되는데, 이때 상기 연결편(20)의 한쌍의 힌지 플레이트(21)가 고정편(10)의 한쌍의 지지플레이트(12)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편(20)의 한쌍의 힌지플레이트(21) 사이에는 탄성부재(50)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봉(40)이 체결된다.
이때 상기 고정봉(40)의 몸체(45)를 고정편(10)의 제 2 지지플레이트(122)의 제 2 패스용 홀(142)에 관통하고, 연결편(20)의 아래쪽 힌지플레이트(21)의 고정봉체결구멍(24)을 관통하며, 탄성부재(50)의 중앙을 관통한 후, 연결편(20)의 위쪽 힌지플레이트(21)를 관통하며, 마지막으로 고정봉(40)의 연장돌기(43)를 고정편(10)의 제 1 지지플레이트(121)의 제 1 패스용 홀(141)에 관통시킨다.
그러면, 상기 고정봉(40)의 돌륜(41)은 고정편(10)의 제 2 지지플레이트(122)의 아랫면에 걸려서 위치되고, 고정봉(40)의 단턱(42)은 고정편(10)의 제 1 지지플레이트(121)의 아랫면에 걸려서 위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봉(40)을 고정편(10)의 패스용 홀(14)과 연결편(20)의 고정봉 체결구멍(24)에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50)를 아래쪽으로 압축한 후 핀(60)을 고정봉(40)의 핀홀(44)에 체결하고 압축했던 탄성부재(50)의 압축을 해제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기능이 구비된 도어 힌지가 완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봉(40)에 탄성부재(50)를 끼운 후 핀(60)으로 핀홀(44)에 끼워 고정할 때 상기 탄성부재(50) 위에 왓셔(70)를 더 결합한 후 핀(60)으로 핀홀(44)에 체결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도어 힌지의 각 구성 부품들은 일정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금속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제 표면에 도금 또는 코팅을 할 수 있으며,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제작할 수도 있고,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기능이 구비된 도어 힌지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고정 기능이 구비된 도어 힌지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고정편(10)의 고정플레이트(11)는 도어 프레임에 결합하며, 연결편(20)은 도어에 결합하여 고정한다.
이때 고정편(10)의 고정플레이트(11)와 연결편(20)을 도어 프레임과 도어에 결합할 때에는 볼트,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고, 리벳으로 결합할 수도 있으며, 용접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고정 기능이 구비된 도어 힌지가 닫혀져 있는 상태는 도 3a, 도 3b, 도 3c에서 보는 바와 같다. 상기 고정편(10)의 고정플레이트(11)는 도어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이고 연결편(20)은 도어에 고정된 상태이며, 도어는 닫혀져 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닫혀져 있는 도어 힌지를 열 때에는 먼저 도 4와 시계 반대방향으로 고정편(10)을 중심으로 연결편(20)을 회전시킨다.
이때, 고정봉(40)의 몸체(45)는 고정편(10)의 제 2 움직임 제한용 홀(192) 내에 위치하게 되고 고정봉(40)의 연장돌기(43)는 고정편(10)의 제 1 움직임 제한용 홀(191) 내에 위치한 상태이다.
이 상태로 도어 힌지를 열게 되면 제 1 움직임 제한용 홀(191)의 끝단부와 제 2 움직임 제한용 홀(192)의 끝단부까지 이동하다 멈추게 되며, 결국, 도어 힌지에 연결된 도어는 닫은 상태에서 약 90도 내지 120도 정도 열고 멈춰서 더 이상 열리지 않게 된다.
이 상태로 탑차 운행자는 물건을 탑차 공간부에서 빼낼 수 있고, 만약에 작업자가 탑차에서 멀어지더라도 도어가 완전히 열려져서 측면 공간부까지 이동되어 지나가는 행인이나 차량등에 접촉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의 탑차는 도어를 임시고정하기 위해 반드시 걸이구를 이용해야 하며, 상기 걸이구를 이용하더라도 적당히 열린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는바, 본 발명은 제 1 움직임 제한용 홀(191)과 제 2 움직임 제한용 홀(192)을 이용하여 도어 힌지의 유동에 제한을 두기 때문에 상기 제 1 움직임 제한용 홀(191) 및 제 2 움직임 제한용 홀(192) 위치까지만 도어가 움직일 수 있게 되어, 별도의 동작을 가하지 않는 이상 도어의 열림이 제한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에서 해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도어를 더 열기 위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봉(40)의 연장돌기(43)를 아래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고정봉(40)의 돌륜(41)은 상기 고정편(10)의 제 2 움직임 제한용 홀(192)에서 빠져나가 제 2 움직임 제한용 홀(192)의 아래에 위치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고정봉(40)의 몸체(45)는 상기 고정편(10)의 제 1 움직임 제한용 홀(191)에서 빠져나가 제 1 움직임 제한용 홀(151)의 아래에 위치하게 되며, 이상태에서 연결편(20)을 움직인다.
이때, 고정봉(40)의 몸체(45)가 고정편(10)의 제 2 지지플레이트(122)의 제 2 패스용 홀(142)과 연결편(20)의 한쌍의 힌지 플레이트(21)의 고정봉 체결구멍(24)에 관통되어 위치되고, 고정봉(40)의 연장돌기(43)만 고정편(10)의 제 1 지지플레이트(121)의 제 1 패스용 홀(141)에 관통되어 위치된 상태이며, 고정봉(40)의 돌륜(41)은 고정편(10)의 제 2 지지플레이트(122)의 아랫면에 걸려서 위치되고 단턱(42)은 고정편(10)의 제 1 지지플레이트(121)의 아랫면에 걸려서 위치되고 있는 상태이며, 탄성부재(50)는 일단은 연결편(20)의 아래쪽 힌지 플레이트(21) 내측을 탄성 지지하고 타단은 왓셔(70) 또는 핀(60)을 탄성 지지함으로서 상기 고정봉(40)을 연장돌기(43) 방향으로 즉, 위쪽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게 되어 상기 고정봉(40)은 위쪽으로 올라가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고 있게 된다.
이후,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편(20)을 화살표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면, 고정봉(40)의 몸체(45)는 고정편(10)의 제 2 패스용 홀(142) 내에서 이동하고 고정봉(40)의 연장돌기(43)는 고정편(10)의 제 1 패스용 홀(141) 내에서 이동하며, 연결편(20)은 더욱 회전하여 고정봉(40)의 몸체(45)는 고정편(10)의 제 2 고정홀(152) 내에 위치하게 되고 고정봉(40)의 연장돌기(43)는 고정편(10)의 제 1 고정홀(151) 내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고정봉(40)은 탄성부재(50)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위쪽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봉(40)은 화살표 방향으로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고정봉(40)의 돌륜(41)은 고정편(10)의 제 2 고정홀(152) 내로 삽입되고, 이와 동시에 고정봉(40)의 몸체(41)는 고정편(10)의 제 1 고정홀(151) 내로 삽입되어 상기 연결편(20)은 고정되게 되어 연결편(20)에 결합되어 있는 도어는 닫히지 않고 고정되게 된다.
그 후, 도어를 닫으려 할 때에는 고정봉(40)의 연장돌기(43)를 아래 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고정봉(40)의 돌륜(41)은 상기 고정편(10)의 제 2 고정홀(152)에서 빠져나가 제 2 고정홀(152)의 아래에 위치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고정봉(40)의 몸체(45)는 상기 고정편(10)의 제 1 고정홀(151)에서 빠져나가 제 1 고정홀(151)의 아래에 위치하게 되어, 이때 연결편(20)을 회전시키면 다시 연결편(20)을 회전시키면 제 1 패스용 홀(141) 및 제 2 패스용 홀(142)을 통과후 제 1 움직임 제한용 홀(191) 및 제 2 움직임 제한용 홀(192)을 지나 원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게 되며, 이때에는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 있게 된다.
10 : 고정편 11 : 고정플레이트
12 : 지지플레이트 121 : 제1지지플레이트
122 : 제2지지플레이트 13 : 고정편힌지구멍
14 : 패스용 홀 141 : 제 1 패스용 홀
142 : 제 2 패스용 홀 15 : 고정홀
151 : 제 1 고정홀 152 : 제 2 고정홀
16 : 고정편 고정구멍 17 : 제 1 보강플레이트
18 : 제 2 보강플레이트 19: 움직임 제한용 홀
191: 제 1 움직임 제한용 홀 192: 제 2 움직임 제한용 홀
20 : 연결편 21 : 힌지 플레이트
23 : 연결편 힌지구멍 24 : 고정봉 체결구멍
30 : 힌지축 40 : 고정봉
41 : 돌륜 42 : 단턱
43 : 연장돌기 44 : 핀홀
45 : 몸체 50 : 탄성부재
60 : 핀 70 : 왓셔

Claims (5)

  1.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편(10);
    일측은 상기 고정편(10)에 힌지결합되며 타측은 도어에 고정되는 연결편(20);
    상기 고정편(10)과 연결편(20)을 힌지결합하는 힌지축(30);으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편(10)은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1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11)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제 1 지지플레이트(121)와 제 2 지지플레이트(122)로 구성된 한쌍의 지지플레이트(12)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12)의 중앙에는 고정편 힌지구멍(13)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 힌지구멍(13)의 주위에는 움직임 제한용 홀(19)과, 패스용 홀(14)과, 고정홀(15)이 연속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20)의 일측에는 연결편(20)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한쌍의 힌지 플레이트(21)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 플레이트(21)에는 연결편 힌지구멍(23)과 고정봉 체결구멍(24)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30)은 상기 고정편(10)의 고정편 힌지구멍(13)과 상기 연결편(20)의 연결편 힌지구멍(23)에 관통 체결되며,
    상기 고정편(10)의 패스용 홀(14)과 상기 연결편(20)의 고정봉 체결구멍(24)에는 고정봉(40)이 관통 체결되되, 상기 고정봉(40) 몸체(45)의 일단에는 상기 몸체(45)보다 직경이 큰 돌륜(4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45)의 타단에는 단턱(42)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42)의 중앙에는 상기 몸체(45)보다 직경이 작은 연장돌기(43)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42)의 아래쪽 몸체(45)에는 핀홀(44)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40)에는 탄성부재(50)가 끼워지되, 핀(60)이 상기 핀홀(44)에 끼워져 상기 탄성부재(50)가 상기 고정봉(40)을 연장돌기(43) 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상기 고정편(10)의 패스용 홀(14)과 상기 연결편(20)의 고정봉 체결구멍(24)에는 고정봉(40)이 관통 체결되되, 상기 고정봉(40) 몸체(45)의 일단에는 상기 몸체(45)보다 직경이 큰 돌륜(4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45)에는 핀홀(44)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40)에는 탄성부재(50)가 끼워지되, 핀(60)이 상기 핀홀(44)에 끼워져 상기 탄성부재(50)가 상기 고정봉(40)을 위쪽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며;
    상기 고정봉은 움직임 제한용 홀(19)과, 패스용 홀(14)과, 고정홀(15)을 순차 유동하면서 연결편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작동되도록 유도하되, 움직임 제한용 홀(19)의 길이만큼 연결편의 움직임을 제한시키고, 패스용 홀(14)을 통해 건너뛴 다음 고정홀에 연결편을 고정시키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구간 임시고정 및 확장 고정 기능을 갖는 탑차용 도어 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제한용 홀은 연결편이 90도 내지 120도 범위에서 정지되도록 홀의 길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구간 임시고정 및 확장 고정 기능을 갖는 탑차용 도어 힌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10)의 고정 플레이트(11)에는 고정편 고정구멍(16)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20)에는 연결편 고정구멍(2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구간 임시고정 및 확장 고정 기능을 갖는 탑차용 도어 힌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40)에 탄성부재(50)가 끼워지되, 상기 탄성부재(50) 위에 왓셔(70)가 더 결합되고, 상기 핀(60)이 상기 핀홀(44)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구간 임시고정 및 확장 고정 기능을 갖는 탑차용 도어 힌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10)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고정 플레이트(11)와 동일 평면상에 제 1 지지플레이트(121)와 제 2 지지플레이트(122)를 연결하는 제 1 보강플레이트(17)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11)와 수직 평면상에 제 1 지지플레이트(121)와 제 2 지지플레이트(122)를 연결하는 제 2 보강플레이트(18)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구간 임시고정 및 확장 고정 기능을 갖는 탑차용 도어 힌지.
KR1020140170366A 2014-12-02 2014-12-02 일정 구간 임시고정 및 확장 고정 기능을 갖는 탑차용 도어 힌지 KR201600662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366A KR20160066248A (ko) 2014-12-02 2014-12-02 일정 구간 임시고정 및 확장 고정 기능을 갖는 탑차용 도어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366A KR20160066248A (ko) 2014-12-02 2014-12-02 일정 구간 임시고정 및 확장 고정 기능을 갖는 탑차용 도어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248A true KR20160066248A (ko) 2016-06-10

Family

ID=5619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366A KR20160066248A (ko) 2014-12-02 2014-12-02 일정 구간 임시고정 및 확장 고정 기능을 갖는 탑차용 도어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62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066Y1 (ko) 2022-04-08 2023-07-18 주식회사 승진 탑차의 리어 게이트용 힌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066Y1 (ko) 2022-04-08 2023-07-18 주식회사 승진 탑차의 리어 게이트용 힌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0273B1 (en) Vehicle body hinge
US10029742B2 (en) Hinged load panel for package delivery vehicles
US9376048B2 (en) Stowable floor assembly for package delivery vehicles
JP2019527165A (ja) 折り畳み板を備える側壁
KR101720005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탑차용 도어 개폐장치
JP7162808B2 (ja) 貨物自動車の荷箱の上扉、荷室形成用構造体および貨物自動車
US20170328095A1 (en) Inner lock of container door
KR101133529B1 (ko)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도어 개폐장치
KR101101327B1 (ko) 윙바디용 윙 잠금 장치
KR20190025479A (ko) 화물차량 적재함의 자동덮개장치
KR101512029B1 (ko) 고정 기능이 구비된 도어 힌지
JP2016217049A (ja) 貨物車両用自動開閉ドア
KR20160066248A (ko) 일정 구간 임시고정 및 확장 고정 기능을 갖는 탑차용 도어 힌지
KR100983025B1 (ko) 윙바디 잠금장치
KR101556766B1 (ko) 탑차 적재함 도어용 힌지 장치
CA3032791C (en) Foldable railcar handhold
KR102046639B1 (ko) 탑차의 리어도어 개방유지장치
RU183701U1 (ru) Зачистной люк кузова полувагона
US20180244189A1 (en) Vehicle load box rail trim brackets
KR20150022096A (ko) 차량의 적재함 도어 잠금장치
CN104875748A (zh) 一种带联锁控制的站台门摆复式瞭望灯带
US20190077294A1 (en) Box link vertical track
US4635979A (en) Latch device for railcar hatch covers
KR20180092079A (ko) 윙바디 차량의 윙도어 잠금장치
CN110494325B (zh) 用于车辆的货厢的后箱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