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279A -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6279A
KR20160056279A KR1020150153769A KR20150153769A KR20160056279A KR 20160056279 A KR20160056279 A KR 20160056279A KR 1020150153769 A KR1020150153769 A KR 1020150153769A KR 20150153769 A KR20150153769 A KR 20150153769A KR 20160056279 A KR20160056279 A KR 20160056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camera
input signal
adjustmen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로 아사이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56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2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0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2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 B60R1/23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 B60R1/26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to the rear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0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2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 B60R1/28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n adjustable field of vi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8Signal distribution or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3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 B60R2300/304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using merged images, e.g. merging camera image with stored images
    • B60R2300/3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using merged images, e.g. merging camera image with stored images merging camera image with lines or ic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3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 B60R2300/306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using a re-scaling of im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46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replacing a rear-view mirr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66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rearward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카메라로 취득된 화상의 표시 범위와 화질의 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는 차량의 측방에 설치되어, 차량의 후측방을 촬영하는 후측방 카메라와, 상기 후측방 카메라로 촬영된 후측방 화상을 표시하는 후측방 화상 표시부와,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신호 생성 수단과,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서 전환 신호를 생성하는 전환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입력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후측방 화상의 표시 범위를 조정하는 표시 범위 조정 기능과,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서 상기 후측방 화상의 화질을 조정하는 화질 조정 기능을 갖고, 상기 전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 범위 조정 기능 및 상기 화질 조정 기능을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구비하는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

Description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VISION SUPPORT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력부에의 입력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카메라 화상에 대한 희망 범위를 잘라내서 절취 화상으로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27353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입력부에의 입력 조작에 의해 절취 화상 범위의 조정밖에 할 수 없다. 도어 미러 등 대신에 카메라 화상의 절취 화상을 표시 장치에 표시할 경우, 카메라 화상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절취 화상의 범위뿐만 아니라 절취 화상의 화질을 조정 가능하게 하는 것이 유용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메라로 취득된 화상의 표시 범위와 화질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측방에 설치되어, 차량의 후측방을 촬영하는 후측방 카메라와,
상기 후측방 카메라로 촬영된 후측방 화상을 표시하는 후측방 화상 표시부와,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신호 생성 수단과,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서 전환 신호를 생성하는 전환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입력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후측방 화상의 표시 범위를 조정하는 표시 범위 조정 기능과,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서 상기 후측방 화상의 화질을 조정하는 화질 조정 기능을 갖고, 상기 전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 범위 조정 기능 및 상기 화질 조정 기능을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구비하는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로 취득된 화상의 표시 범위와 화질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1)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입력 장치(20)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처리 장치(10)에 의해 실현되는 상태(모드) 천이도이다.
도 4는 표시 범위 조정 전(전회의 조정 후 또는 디폴트)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상측으로의 조정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좌측으로의 조정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화질 조정 전(전회의 조정 후 또는 디폴트)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휘도 조정 중의 표시 장치(4L) 상의 표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콘트라스트 조정 중의 표시 장치(4L) 상의 표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1A)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1은 입력 장치(20A)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처리 장치(10A)에 의해 실현되는 상태(모드) 천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설명을 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1)의 일례(실시예 1)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또한, 도 1에 있어서의 각 요소의 접속 형태는, 임의이다. 예를 들어, 접속 형태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등의 버스를 통한 접속이라도 되고, 다른 ECU 등을 통한 간접적인 접속이라도 되고, 직접적인 접속이라도 되고, 무선 통신 가능한 접속 형태라도 된다.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1)는, 좌우의 도어 미러(또는 펜더 미러, 이하 동일함)를 갖지 않은 차량에 탑재된다.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1)는, 도어 미러 대신에, 표시 장치(4L, 4R)에 의해 운전자의 시계를 지원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설명의 사정상, 도어 미러라고 하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어 미러는 통상적인 차량에 탑재되는 도어 미러를 의미하고,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1)가 탑재되는 차량이 도어 미러를 갖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1)는 카메라(2L) 및 카메라(2R)와, 표시 장치(후측방 화상 표시부의 일례)(4L) 및 표시 장치(후측방 화상 표시부의 다른 일례)(4R)와, 처리 장치(10)와, 입력 장치(20)를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좌우 방향,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1)가 탑재된 차량의 탑승원(예를 들어 운전자)으로부터 본 방향으로 한다. 또한, 좌우 방향은 반드시 차량의 폭 방향에 평행할 필요는 없고, 상하 방향은 반드시 연직 방향에 대응할 필요는 없다. 또한, 전후 방향은 반드시 수평할 필요는 없고, 또한 반드시 차량의 전후 축에 평행할 필요는 없다.
카메라(2L)는 차량의 좌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좌측 후방을 촬영한다. 카메라(2L)는 운전석으로부터 좌측의 도어 미러를 보았을 때에 좌측의 도어 미러가 비추는 풍경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상하도록 설치된다. 카메라(2R)는 차량의 우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우측 후방을 촬영한다. 카메라(2R)는 운전석으로부터 우측의 도어 미러를 보았을 때에 우측의 도어 미러가 비추는 풍경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상하도록 설치된다. 카메라(2L, 2R)는, 바람직하게는 컬러 화상을 취득한다.
표시 장치(4L)는 차내의 좌측에 설치되어, 운전석으로부터 표시 화면이 보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표시 장치(4L)는 좌측의 도어 미러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다. 표시 장치(4R)는 차내의 우측에 설치되어, 운전석으로부터 표시 화면이 보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표시 장치(4R)는 우측의 도어 미러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다. 표시 장치(4L, 4R)는 하나의 표시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이 경우, 표시 장치(4L)는 당해 하나의 표시 장치의 좌측 화면 영역(후측방 화상 표시부의 다른 일례)에 의해 실현되고, 표시 장치(4R)는 당해 하나의 표시 장치의 우측 화면 영역(후측방 화상 표시부의 다른 일례)에 의해 실현된다.
표시 장치(4L)는 카메라(2L)로 취득된 화상 중, 일부의 제1 소정 범위(이하, 「절취 범위」라고도 칭함)만을 표시한다. 절취 범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마찬가지로, 표시 장치(4R)는 카메라(2R)로 취득된 화상 중, 일부의 절취 범위만을 표시한다. 이하, 카메라(2L 또는 2R)로 취득된 화상을「카메라 화상」이라고도 칭한다.
처리 장치(10)는, CPU를 포함하는 연산 처리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처리 장치(10)의 각종 기능(이하에서 설명하는 기능을 포함함)은, 임의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처리 장치(10)는, 복수의 처리 장치[예를 들어, 카메라(2L, 2R)나, 표시 장치(4L, 4R) 내에 탑재될 수 있는 처리 장치를 포함함]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처리 장치(10)는, 입력 장치(20)에 의해 생성되는 각종 입력 신호를 처리한다. 처리 장치(10)의 기능은 후술한다.
입력 장치(20)는, 입력 조작이 차량 탑승원에 의해 행하여진다. 입력 장치(20)는, 차실 내에 배치된다. 입력 장치(20)는, 하나의 입력 장치이다. 즉, 입력 장치(20)는 하나의 모듈(유닛)로서 형성되는 것이며, 물리적으로 분리한 복수의 장치에 의해 실현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입력 장치(20)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입력 장치(20)는 도 2가 운전석으로부터 본 정면도인 방향으로 탑재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도 2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은, 탑승원으로부터 본 방향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20)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연직 방향의 면에, 도 2에 도시하는 방향으로 보이도록 배치된다. 단, 입력 장치(20)의 방향은 임의이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20)는 콘솔 박스 등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상측」및「하측」은, 각각 「전방측」및「후방측」으로 대체해 적용해도 된다.
입력 장치(20)는, 제1 조작부(21), 제2 조작부(22), 제3 조작부(23), 제4 조작부(24) 및 제5 조작부(25)를 적어도 갖는다. 도 2에 도시한 예에서는, 입력 장치(20)는, 또한 좌측 조작부(26) 및 우측 조작부(27)를 갖는다.
제1 조작부(21)는 밀어내림 조작되고 있는 동안, 제1 입력 신호를 계속해서 생성한다. 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1 조작부(21)는 입력 장치(20)의 중심(C)에 대하여 좌측에 배치된다.
제2 조작부(22)는 밀어 내림 조작되고 있는 동안, 제2 입력 신호를 계속해서 생성한다. 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2 조작부(22)는 입력 장치(20)의 중심(C)에 대하여 우측에 배치된다.
제3 조작부(23)는 밀어 내림 조작되고 있는 동안, 제3 입력 신호를 계속해서 생성한다. 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3 조작부(23)는 입력 장치(20)의 중심(C)에 대하여 상측에 배치된다.
제4 조작부(24)는 밀어 내림 조작되고 있는 동안, 제4 입력 신호를 계속해서 생성한다. 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4 조작부(24)는 입력 장치(20)의 중심(C)에 대하여 하측에 배치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1 내지 제4 조작부(21 내지 24)는, 4 방향의 시소 스위치의 형태이며, 하나의 원형의 조작 부재를 공통으로 구비하지만, 각각의 조작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제5 조작부(25)는, 밀어 내림 조작될 때마다 제5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제5 조작부(25)는, 입력 장치(20)의 중심(C)에 대하여 우측 상단측에 배치된다. 제5 조작부(25)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화질"이 부여됨과 함께, 인디케이터(30)가 설치된다. 인디케이터(30)[다른 인디케이터(31) 등도 마찬가지임]는, 예를 들어 LED(Light-Emitting Diode)에 의해 형성된다.
좌측 조작부(26)는, 밀어 내림 조작될 때마다 좌측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좌측 조작부(26)는, 입력 장치(20)의 중심(C)에 대하여 좌측 하방측에 배치된다. 좌측 조작부(26)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왼쪽을 나타내는 문자 "L"이 부여됨과 함께, 인디케이터(31)가 설치된다.
우측 조작부(27)는, 밀어 내림 조작될 때마다 우측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우측 조작부(27)는, 입력 장치(20)의 중심(C)에 대하여 우측 하단측에 배치된다. 우측 조작부(27)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을 나타내는 문자 "R"이 부여됨과 함께, 인디케이터(32)가 설치된다.
도 3은, 처리 장치(10)에 의해 실현되는 상태(모드) 천이도이다.
처리 장치(10)는, 좌측 입력 신호 및 우측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좌측 조정 모드와 우측 조정 모드를 전환한다.
처리 장치(10)는, 우측 조정 모드 중, 좌측 입력 신호가 생성되면(조건 4의 일례), 좌측 조정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처리 장치(10)는 좌측 조정 모드 중, 우측 입력 신호가 생성되면(조건 3의 일례), 우측 조정 모드로 이행한다.
좌측 조정 모드 및 우측 조정 모드는, 각각 화질 조정 모드 및 표시 범위 조정 모드를 포함한다.
좌측 조정 모드에서의 화질 조정 모드는, 카메라(2L) 및 표시 장치(4L)에 관한 화질 조정 모드이다. 카메라(2L) 및 표시 장치(4L)에 관한 화질 조정 모드는, 카메라(2L)의 카메라 화상에 대한 화질을 조정하기 위한 모드이다. 또한, 우측 조정 모드에서의 화질 조정 모드는, 카메라(2R) 및 표시 장치(4R)에 관한 화질 조정 모드이다. 카메라(2R) 및 표시 장치(4R)에 관한 화질 조정 모드는, 카메라(2R)의 카메라 화상에 대한 화질을 조정하기 위한 모드이다.
좌측 조정 모드에서의 표시 범위 조정 모드는, 카메라(2L) 및 표시 장치(4L)에 관한 범위 조정 모드이다. 카메라(2L) 및 표시 장치(4L)에 관한 범위 조정 모드는, 카메라(2L)의 카메라 화상에 대한 절취 범위를 조정하기 위한 모드이다. 우측 조정 모드에서의 표시 범위 조정 모드는, 카메라(2R) 및 표시 장치(4R)에 관한 범위 조정 모드이다. 카메라(2R) 및 표시 장치(4R)에 관한 범위 조정 모드는, 카메라(2R)의 카메라 화상에 대한 절취 범위를 조정하기 위한 모드이다.
처리 장치(10)는, 좌측 조정 모드 중 또는 우측 조정 모드 중, 제5 조작부(25)로부터의 제5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범위 조정 모드와 화질 조정 모드를 전환한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10)는 표시 범위 조정 모드 중에, 제5 입력 신호가 생성되면(조건 1의 예), 화질 조정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처리 장치(10)는 화질 조정 모드 중에, 제5 입력 신호가 생성되면(조건 2의 예), 표시 범위 조정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표시 범위 조정 모드는 차량의 전원 온 시에 초기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화질 조정 모드로부터 표시 범위 조정 모드로 이행할 때에 충족되어야 할 조건 2는, 다른 조건을 OR 조건으로서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어, 조건 2는 화질 조정 모드 중에, 입력 장치(20)에 대한 무조작 상태를 소정 시간 이상 경과한 경우에 만족되어도 된다.
처리 장치(10)는, 좌측 조정 모드 중은 인디케이터(31)를 점등시킨다. 처리 장치(10)는 우측 조정 모드 중은 인디케이터(32)를 점등시킨다. 처리 장치(10)는 화질 조정 모드 중은 제5 조작부(25)의 인디케이터(30)를 점등시킨다. 이에 의해, 탑승원은 인디케이터(30, 31, 32)의 상태를 보아, 현재의 모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원은 인디케이터(31)가 점등하고 또한 인디케이터(30)가 점등하고 있는 경우에, 카메라(2L) 및 표시 장치(4L)에 관한 화질 조정 모드인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탑승원은 인디케이터(32)가 점등하고 또한 인디케이터(30)가 점등하고 있는 경우에, 카메라(2R) 및 표시 장치(4R)에 관한 화질 조정 모드인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탑승원은 인디케이터(31)가 점등하고 또한 인디케이터(30)가 소등하고 있는 경우에, 카메라(2L) 및 표시 장치(4L)에 관한 범위 조정 모드인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탑승원은 인디케이터(32)가 점등하고 또한 인디케이터(30)가 소등하고 있는 경우에, 카메라(2R) 및 표시 장치(4R)에 관한 범위 조정 모드인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표시 범위 조정 모드에서의 처리 장치(10)의 동작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카메라(2R) 및 표시 장치(4R)에 관한 범위 조정 모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카메라(2L) 및 표시 장치(4L)에 관한 범위 조정 모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4는, 표시 범위 조정 전(전회의 조정 후 또는 디폴트)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카메라(2R)의 카메라 화상과 절취 범위의 관계를 나타내고, (B)는 (A)에 나타내는 절취 범위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4R) 상의 표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상측으로의 조정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상측으로의 조정 시의 입력 장치(20)에 대한 입력 조작을 화살표로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며, (B)는 카메라(2R)의 카메라 화상과 조정 후의 절취 범위의 관계를 나타내고, (C)는 (B)에 나타내는 절취 범위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4R) 상의 표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좌측으로의 조정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좌측으로의 조정 시의 입력 장치(20)에 대한 입력 조작을 화살표로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며, (B)는 카메라(2R)의 카메라 화상과 조정 후의 절취 범위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C)는 (B)에 나타내는 절취 범위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4R) 상의 표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절취 범위가 직사각형인 프레임(70)으로 나타내고 있다.
처리 장치(10)는, 도 6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조작부(21)가 조작되는 것으로 제1 입력 신호가 생성되면, 제1 입력 신호가 생성되고 있는 동안, 절취 범위를 단위 시간당 소정의 제1 이동 속도 V1로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단, 처리 장치(10)는 절취 범위가 카메라 화상의 좌측 방향의 이동 한계 위치에 이르면, 절취 범위의 좌측 방향의 이동을 정지한다. 좌측 방향의 이동 한계 위치는, 예를 들어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취 범위의 좌측 변이 카메라 화상의 좌단부에 오는 위치라도 된다. 따라서, 처리 장치(10)는 제1 입력 신호가 생성되고 있는 동안, 절취 범위가 카메라 화상의 좌측 방향의 이동 한계 위치에 이르기까지, 절취 범위를 단위 시간당 소정의 제1 이동 속도 V1로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수반하여,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4R) 상의 표시 상태도 변화된다. 즉, 표시 장치(4R) 상에는 조정 후의 절취 범위 내의 화상 부분이 표시된다. 또한, 절취 범위의 이동과 표시 장치(4R) 상의 표시 변화는 실시간으로 연동(동기)된다. 제1 이동 속도 V1는 고정값이라도 되고, 제1 입력 신호가 생성되고 있는 동안에 가변되어도 된다.
처리 장치(10)는, 도시하지 않지만, 제2 조작부(22)가 조작되는 것으로 제2 입력 신호가 생성되면, 제2 입력 신호가 생성되고 있는 동안, 절취 범위를 단위 시간당 제1 이동 속도 V1로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단, 처리 장치(10)는 절취 범위가 카메라 화상의 우측 방향의 이동 한계 위치에 이르면, 절취 범위의 우측 방향의 이동을 정지한다. 절취 범위의 우측 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표시 장치(4R) 상의 표시 상태도 변화된다.
처리 장치(10)는, 도 5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조작부(23)가 조작되는 것으로 제3 입력 신호가 생성되면, 제3 입력 신호가 생성되고 있는 동안, 절취 범위를 단위 시간당 소정의 제2 이동 속도 V2로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단, 처리 장치(10)는 절취 범위가 카메라 화상의 상측 방향의 이동 한계 위치에 이르면, 절취 범위의 상측 방향의 이동을 정지한다. 상측 방향의 이동 한계 위치는, 예를 들어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취 범위의 상측 변이 카메라 화상의 상단부에 오는 위치라도 된다. 따라서, 처리 장치(10)는 제3 입력 신호가 생성되고 있는 동안, 절취 범위가 카메라 화상의 상측 방향의 이동 한계 위치에 이르기까지, 절취 범위를 단위 시간당 소정의 제2 이동 속도 V2로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제2 이동 속도 V2는, 전형적으로는 제1 이동 속도 V1과 같지만, 제1 이동 속도 V1과는 상이해도 된다. 또한, 제2 이동 속도 V2는 제1 이동 속도 V1과 마찬가지로, 고정값이라도 되고, 가변되어도 된다.
처리 장치(10)는 도시하지 않지만, 제4 조작부(24)가 조작되는 것으로 제4 입력 신호가 생성되면, 제4 입력 신호가 생성되고 있는 동안, 절취 범위를 단위 시간당 제2 이동 속도 V2로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단, 처리 장치(10)는 절취 범위가 카메라 화상의 하측 방향의 이동 한계 위치에 이르면, 절취 범위의 하측 방향의 이동을 정지한다. 절취 범위의 하측 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표시 장치(4R) 상의 표시 상태도 변화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예에 의하면, 탑승원은 입력 장치(20)의 제1 내지 제4 조작부(21 내지 24)를 조작함으로써, 카메라 화상의 절취 범위를 상하 좌우의 원하는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화질 조정 모드에서의 처리 장치(10)의 동작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카메라(2L) 및 표시 장치(4L)에 관한 화질 조정 모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카메라(2R) 및 표시 장치(4R)에 관한 화질 조정 모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7은, 화질 조정 전(전회의 조정 후 또는 디폴트)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화질 조정 모드로의 이행 전의 표시 장치(4L) 상의 표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화질 조정 모드로의 이행 직후의 표시 장치(4L) 상의 표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휘도 조정 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휘도 조정 중의 입력 장치(20)에 대한 입력 조작을 화살표로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며, (B)는 휘도 조정 중의 표시 장치(4L) 상의 표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콘트라스트 조정 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A)는 콘트라스트 조정 중의 입력 장치(20)에 대한 입력 조작을 화살표로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며, (B)는 콘트라스트 조정 중의 표시 장치(4L) 상의 표시 상태를 나타낸다.
처리 장치(10)는, 화질 조정 모드로 이행하면,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7의 (A)에 나타내는 표시 상태에 휘도 눈금 표시(80) 및 콘트라스트 눈금 표시(90)를 출력(중첩 표시)한다.
휘도 눈금 표시(80)는, 화상 가로 방향으로 눈금이 연장된다. 휘도 눈금 표시(80)의 눈금 수는, 임의이다. 휘도 눈금 표시(80)는 현재의 휘도 조정 위치(설정 위치)를 나타내는 현재 휘도 표시(82)를 포함한다. 현재 휘도 표시(82)는 휘도 눈금 표시(80)가 대응하는 눈금 부분을, 다른 눈금 부분에 대하여 강조하는(예를 들어 색을 변화시킴) 것으로 실현되어도 된다. 휘도 눈금 표시(80)는, 현재 휘도 표시(82)의 위치가 좌측으로 갈수록 휘도가 높은 것을 의미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반대라도 된다. 휘도 눈금 표시(80)는, 또한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휘도 눈금 표시(80)의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Brightness" 등의 문자를 포함한다.
콘트라스트 눈금 표시(90)는, 화상 세로 방향으로 눈금이 연장된다. 콘트라스트 눈금 표시(90)의 눈금 수는, 임의이다. 콘트라스트 눈금 표시(90)는, 현재의 콘트라스트 조정 위치(설정 위치)를 나타내는 현재 콘트라스트 표시(92)를 포함한다. 현재 콘트라스트 표시(92)는, 콘트라스트 눈금 표시(90)가 대응하는 눈금 부분을, 다른 눈금 부분에 대하여 강조하는(예를 들어 색을 변화시킴) 것으로 실현되어도 된다. 콘트라스트 눈금 표시(90)는, 현재 콘트라스트 표시(92)의 위치가 좌측으로 갈수록 콘트라스트가 높은 것을 의미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반대라도 된다. 콘트라스트 눈금 표시(90)는, 또한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트라스트 눈금 표시(90)의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Contrast" 등의 문자를 포함한다.
처리 장치(10)는,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조작부(21)가 조작되는 것으로 제1 입력 신호가 생성되면, 제1 입력 신호가 생성되고 있는 동안, 카메라 화상에 있어서의 절취 범위 내의 휘도를 단위 시간당 소정의 제1 변화 속도 V11로 제1 방향(본 예에서는, 밝아지는 방향)으로 변화시킨다. 또한, 처리 장치(10)는 카메라 화상 전체의 휘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절취 범위 내의 휘도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해도 되고, 절취 범위 내의 휘도만을 변화시켜도 된다. 처리 장치(10)는, 제1 입력 신호가 생성되고 있는 동안, 절취 범위 내의 휘도가 소정의 제1 한계치(본 예에서는, 상한 휘도값)에 이르면, 절취 범위 내의 휘도의 제1 방향의 변화를 정지한다. 따라서, 처리 장치(10)는 제1 입력 신호가 생성되고 있는 동안, 절취 범위 내의 휘도가 제1 한계치에 이르기까지, 절취 범위 내의 휘도를 단위 시간당 소정의 제1 변화 속도 V11로 제1 방향으로 변화시키게 된다. 이에 수반하여, 표시 장치(4L) 상의 표시 상태(표시 화상의 휘도)도 변화된다. 즉, 표시 장치(4L) 상에는, 휘도 조정 후의 절취 범위 내의 화상 부분이 표시된다. 또한, 절취 범위 내의 휘도 변화와 표시 장치(4L) 상의 표시의 변화는 실시간으로 연동(동기)된다. 제1 변화 속도 V11은, 고정값이라도 되고, 제1 입력 신호가 생성되고 있는 동안에 가변되어도 된다. 또한, 처리 장치(10)는,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취 범위 내의 휘도 증가에 연동(동기)시켜, 현재 휘도 표시(82)의 위치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도 8에 도 9와의 대비로 나타낸 바와 같이, 휘도 조정 중은, 휘도 눈금 표시(80)는 콘트라스트 눈금 표시(90)보다도 전방측에 중첩 표시되어도 된다. 또한, 휘도 조정 중은 "Contrast"의 문자 표시가 소거되어도 된다.
처리 장치(10)는, 도시하지 않지만, 제2 조작부(22)가 조작되는 것으로 제2 입력 신호가 생성되면, 제2 입력 신호가 생성되고 있는 동안, 절취 범위 내의 휘도를 단위 시간당 제1 변화 속도 V11로 제2 방향(본 예에서는, 어두워지는 방향)으로 변화시킨다. 단, 처리 장치(10)는 제2 입력 신호가 생성되고 있는 동안, 절취 범위 내의 휘도가 소정의 제2 한계치(본 예에서는, 하한 휘도값)에 이르면, 절취 범위 내의 휘도의 제2 방향의 변화를 정지한다. 절취 범위 내의 휘도의 제2 방향의 변화에 수반하여, 표시 장치(4L) 상의 표시 상태도 변화된다. 또한, 처리 장치(10)는 절취 범위 내의 휘도의 감소에 연동(동기)시켜, 현재 휘도 표시(82)의 위치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처리 장치(10)는 현재 휘도 표시(82)의 위치에 콘트라스트 눈금 표시(90)의 가로 방향의 위치가 대응하도록, 현재 휘도 표시(82)의 위치의 좌우 방향의 이동에 따라, 콘트라스트 눈금 표시(90) 전체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된다.
처리 장치(10)는,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조작부(23)가 조작되는 것으로 제3 입력 신호가 생성되면, 제3 입력 신호가 생성되고 있는 동안, 카메라 화상에 있어서의 절취 범위 내의 콘트라스트를 단위 시간당 소정의 제2 변화 속도 V12로 제3 방향(본 예에서는, 높아지는 방향)으로 변화시킨다. 또한, 처리 장치(10)는 카메라 화상 전체의 콘트라스트를 변화시킴으로써, 절취 범위 내의 콘트라스트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해도 되고, 절취 범위 내의 콘트라스트만을 변화시켜도 된다. 처리 장치(10)는, 제3 입력 신호가 생성되고 있는 동안, 절취 범위 내의 콘트라스트가 소정의 제3 한계치(본 예에서는, 상한 콘트라스트값)에 이르면, 절취 범위 내의 콘트라스트의 제3 방향의 변화를 정지한다. 따라서, 처리 장치(10)는 제3 입력 신호가 생성되고 있는 동안, 절취 범위 내의 콘트라스트가 제3 한계치에 이르기까지, 절취 범위 내의 콘트라스트를 단위 시간당 소정의 제2 변화 속도 V12로 제3 방향으로 변화시키게 된다. 이에 수반하여, 표시 장치(4L) 상의 표시 상태(표시 화상의 콘트라스트)도 변화된다. 즉, 표시 장치(4L) 상에는 콘트라스트 조정 후의 절취 범위 내의 화상 부분이 표시된다. 또한, 절취 범위 내의 콘트라스트 변화와 표시 장치(4L) 상의 표시 변화는 실시간으로 연동(동기)된다. 또한, 제2 변화 속도 V12는, 전형적으로는 제1 변화 속도 V11과 같지만, 제1 변화 속도 V11과는 상이해도 된다. 또한, 제2 변화 속도 V12는 고정값이라도 되고, 제3 입력 신호가 생성되고 있는 동안에 가변되어도 된다. 또한, 처리 장치(10)는,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취 범위 내의 콘트라스트의 증가에 연동(동기)시켜서, 현재 콘트라스트 표시(92)의 위치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도 9에 도 8과의 대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콘트라스트 조정 중은 콘트라스트 눈금 표시(90)는, 휘도 눈금 표시(80)보다도 전방측에 중첩 표시되어도 된다. 또한, 콘트라스트 조정 중은 "Brightness"의 문자 표시가 소거되어도 된다.
처리 장치(10)는, 도시하지 않지만, 제4 조작부(24)가 조작되는 것으로 제4 입력 신호가 생성되면, 제4 입력 신호가 생성되고 있는 동안, 절취 범위 내의 콘트라스트를 단위 시간당 제2 변화 속도 V12로 제4 방향(본 예에서는, 낮아지는 방향)으로 변화시킨다. 단, 처리 장치(10)는, 제4 입력 신호가 생성되고 있는 동안, 절취 범위 내의 콘트라스트가 소정의 제4 한계치(본 예에서는, 하한 콘트라스트값)에 이르면, 절취 범위 내의 콘트라스트의 제4 방향의 변화를 정지한다. 절취 범위 내의 콘트라스트의 제2 방향의 변화에 수반하여, 표시 장치(4L) 상의 표시 상태도 변화된다. 또한, 처리 장치(10)는 절취 범위 내의 콘트라스트의 감소에 연동(동기)시켜서, 현재 콘트라스트 표시(92)의 위치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처리 장치(10)는 현재 콘트라스트 표시(92)의 위치에 휘도 눈금 표시(80)의 상하 방향 위치가 대응하도록, 현재 콘트라스트 표시(92)의 위치 상하 방향 이동에 따라, 휘도 눈금 표시(80) 전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된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예에 의하면, 탑승원은 입력 장치(20)의 제1 내지 제4 조작부(21 내지 24)를 조작함으로써, 카메라 화상의 절취 범위 내의 휘도 및 콘트라스트를 원하는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휘도가 가로 방향의 휘도 눈금 표시(80)로 표현되고, 콘트라스트가 상하 방향의 콘트라스트 눈금 표시(90)로 표현되어 있지만, 반대라도 된다. 즉, 콘트라스트가 가로 방향의 눈금 표시로 표현되고, 휘도가 상하 방향의 눈금 표시로 표현되어도 된다. 이 경우, 처리 장치(10)는 화질 조정 모드에서, 제1 및 제2 입력 신호에 따라, 콘트라스트 조정을 행함과 함께 좌우 방향 눈금의 현재 화질 표시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처리 장치(10)는 화질 조정 모드에서, 제3 및 제4 입력 신호에 따라, 휘도 조정을 행함과 함께 상하 방향의 눈금의 현재 화질 표시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화질 조정은 휘도와 콘트라스트이지만, 이 대신에, 다른 종류의 화질(예를 들어 색상이나 선예도)이 조정되어도 된다.
또한,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현재 휘도 표시(82) 및 현재 콘트라스트 표시(92)의 이동은, 휘도 눈금 표시(80) 및 콘트라스트 눈금 표시(90)에 있어서의 강조 부분(예를 들어 색이 다른 눈금 부분)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실현되고 있지만, 다른 형태라도 된다. 예를 들어, 현재 휘도 표시(82) 및 현재 콘트라스트 표시(92)는, 휘도 눈금 표시(80) 및 콘트라스트 눈금 표시(90)와는 다른 마크로 형성되고, 당해 마크를 이동시켜도 된다.
본 실시예 1에 의하면, 탑승원은 입력 장치(20)의 제1 내지 제4 조작부(21 내지 24)를 조작함으로써, 카메라 화상의 절취 범위를 상하 좌우의 원하는 위치로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 화상의 절취 범위 내의 휘도 및 콘트라스트를 원하는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입력 장치(20)의 체격을 대형화하지 않고, 입력 장치(20)의 다기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에 의하면, 표시 범위 조정 모드 또는 화질 조정 모드에 따라, 동일 종류의 입력 신호에 대하여 다른 처리를 행하게 되지만, 이때, 동일 종류의 입력 신호에 대하여 절취 범위의 이동 방향과 현재 휘도 표시(82) 및 현재 콘트라스트 표시(92)의 이동 방향이 동일해지므로, 탑승원은 절취 범위를 이동시키는 것과 동일한 감각으로, 화질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 신호에 대하여 절취 범위의 이동 방향과 현재 휘도 표시(82)의 이동 방향이 동일한 좌측 방향이 되므로, 탑승원은 절취 범위를 이동시키는 것과 동일한 감각으로, 휘도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3 입력 신호에 대하여 절취 범위의 이동 방향과 현재 콘트라스트 표시(92)의 이동 방향이 동일한 상측 방향이 되므로, 탑승원은 절취 범위를 이동시키는 것과 동일한 감각으로, 콘트라스트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1A)의 일례(실시예 2)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1A)는, 도 1에 도시한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1)에 대하여 카메라(2I) 및 표시 장치(후방 화상 표시부의 다른 일례)(4I)가 추가되고, 처리 장치(10)가 처리 장치(10A)로 치환되고, 입력 장치(20)가 입력 장치(20A)로 치환된 점이 상이하다.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해도 되고, 도 1과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1A)는, 좌우의 도어 미러 및 이너 미러(룸 미러)를 갖지 않은 차량에 설치된다.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1A)는, 도어 미러 및 이너 미러 대신에, 표시 장치(4L, 4R, 4I)에 의해 운전자의 시계를 지원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설명의 사정상, 이너 미러라고 하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이너 미러라 함은 통상적인 차량에 탑재되는 이너 미러를 의미하고,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1A)가 탑재되는 차량이 이너 미러를 갖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카메라(2I)는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차량의 후방을 촬영한다. 카메라(2I)는 운전석으로부터 이너 미러를 보았을 때에 이너 미러가 비추는 풍경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상하도록 설치된다.
표시 장치(4I)는 이너 미러 대신에 설치되어, 이너 미러와 마찬가지인 위치(예를 들어 프론트 윈드쉴드의 상단부 부근)에 설치된다. 표시 장치(4I)는 카메라(2I)로 취득된 화상 중, 일부의 제2 소정 범위(절취 범위)만을 표시한다. 또한, 제2 소정 범위의 사이즈는, 표시 장치(4I)의 화면 사이즈에 대응해서 결정된다. 또한, 표시 장치(4I)는 표시 장치(4L, 4R)와 함께, 하나의 표시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이 경우, 표시 장치(4L)는 당해 하나의 표시 장치의 좌측 화면 영역에 의해 실현되고, 표시 장치(4R)는 당해 하나의 표시 장치의 우측 화면 영역에 의해 실현되고, 표시 장치(4I)는 당해 하나의 표시 장치의 중앙 화면 영역(후방 화상 표시부의 다른 일례)에 의해 실현된다.
처리 장치(10A)는, 입력 장치(20A)에 의해 생성되는 각종 입력 신호를 처리한다. 처리 장치(10)의 기능은 후술한다.
도 11은, 입력 장치(20A)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입력 장치(20A)는, 도 2 등에 나타낸 입력 장치(20)에 대하여, 제7 조작부(28)가 좌우 방향에서 좌측 조작부(26)와 우측 조작부(27)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해도 되고, 도 2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7 조작부(28)는, 밀어 내림 조작될 때마다 제7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제7 조작부(28)는 입력 장치(20)의 중심(C)에 대하여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제7 조작부(28)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너 미러를 나타내는 문자 "I"가 부여됨과 함께, 인디케이터(33)가 설치된다.
도 12는, 처리 장치(10A)에 의해 실현되는 상태(모드) 천이도이다. 도 3과 동일해도 좋은 조건 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처리 장치(10A)의 동작 모드는, 좌우 조정 모드와 이너 조정 모드를 포함한다. 좌우 조정 모드는, 도 2에 도시한 좌측 조정 모드 및 우측 조정 모드를 포함한다. 이너 조정 모드는, 상술한 좌측 조정 모드나 우측 조정 모드와 마찬가지로, 카메라(2I)의 카메라 화상에 대한 절취 범위를 조정하기 위한 표시 범위 조정 모드 및 카메라(2I)의 카메라 화상에 대한 화질을 조정하기 위한 화질 조정 모드를 포함한다.
처리 장치(10A)는, 좌측 조작부(26)에 의해 생성되는 좌측 입력 신호, 우측 조작부(27)에 의해 생성되는 우측 입력 신호 및 제7 조작부(28)에 의해 생성되는 제7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좌측 조정 모드, 우측 조정 모드, 이너 조정 모드 사이를 전환한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10A)는 좌측 조정 모드 중 또는 우측 조정 모드 중, 제7 입력 신호가 생성되면(조건 5의 예), 이너 조정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처리 장치(10A)는 이너 조정 모드 중, 좌측 입력 신호가 생성되면(조건 4의 예), 좌측 조정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처리 장치(10A)는 이너 조정 모드 중, 우측 입력 신호가 생성되면(조건 3의 예), 우측 조정 모드로 이행한다. 좌우 조정 모드(좌측 조정 모드 및 우측 조정 모드)에 있어서의 동작은 상술한 처리 장치(10)와 마찬가지라도 된다. 처리 장치(10A)는 이너 조정 모드 중은 인디케이터(33)를 점등한다.
이너 조정 모드에 관한 표시 범위 조정 모드 및 화질 조정 모드에서의 처리 장치(10A)의 동작예는, 상술한 처리 장치(10)의 동작예와 마찬가지라도 된다. 카메라(2R) 및 표시 장치(4R)에 관한 범위 조정 모드에 관한 설명은, 카메라(2I) 및 표시 장치(4I)에 관한 범위 조정 모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또한, 카메라(2R) 및 표시 장치(4R)에 관한 화질 조정 모드에 관한 설명은, 카메라(2I) 및 표시 장치(4I)에 관한 화질 조정 모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실시예 2에 의하면, 상술한 실시예 1에 의한 효과 외에, 이하의 효과가 발휘된다. 탑승원은, 입력 장치(20)의 제1 내지 제4 조작부(21 내지 24)를 조작함으로써, 카메라(2I)에 관한 카메라 화상의 절취 범위를 상하 좌우의 원하는 위치로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2I)에 관한 카메라 화상의 절취 범위 내의 휘도 및 콘트라스트를 원하는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입력 장치(20)의 체격을 대형화하지 않고, 입력 장치(20)의 다기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2는, 상술한 실시예 1에 대하여, 이너 미러의 대체가 되는 구성을 추가하고 있지만, 같은 사고 방식에 기초하여, 이너 미러의 대체가 되는 구성 대신에 또는 덧붙여서, 다른 미러(예를 들어 사이드 언더 미러)의 대체가 되는 구성을 추가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상술한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 및 치환을 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5 조작부(25)는 하나의 조작부이지만, 2개의 조작부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5 조작부(25)를 형성하는 2개의 조작부 중 한쪽이 조작되었을 때에(도 3 등의 조건 2의 다른 일례), 표시 범위 조정 모드가 형성되고, 다른 쪽이 조작되었을 때에(도 3 등의 조건 1의 다른 일례), 화질 조정 모드가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5 조작부(25)는 다른 조작부[예를 들어, 제1 조작부(21)] 등과는 다른 장소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제5 조작부(25)는, 다른 조작부[예를 들어, 제1 조작부(21)]와 같아도 된다. 예를 들어, 다른 조작부를 길게 눌렀을 경우에 제5 조작부(25)가 유효하게 되는 구성(즉, 다른 조작부가 길게 눌러졌을 경우에 제5 입력 신호가 생성되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입력 장치(20)[입력 장치(20A)도 마찬가지임]는 제1 내지 제4 조작부(21 내지 24)에 의한 직교하는 4 방향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8 방향과 같은 보다 많은 방향의 조작을 가능하게 해도 된다. 예를 들어, 8 방향의 경우, 표시 범위 조정 모드에서 카메라 화상의 절취 범위의 경사 방향의 이동을 가능하게 해도 된다. 또한, 8 방향의 경우, 화질 조정 모드에서 휘도 및 콘트라스트의 동시 조정을 가능하게 해도 되고, 다른 종류의 화질(예를 들어 색상이나 선예도)의 조정을 가능하게 해도 된다.
1, 1A :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
2L, 2R, 2I : 카메라
4L, 4R, 4I : 표시 장치
10, 10A : 처리 장치
20, 20A : 입력 장치
21 : 제1 조작부
22 : 제2 조작부
23 : 제3 조작부
24 : 제4 조작부
25 : 제5 조작부
26 : 좌측 조작부
27 : 우측 조작부
28 : 제7 조작부

Claims (4)

  1. 차량의 측방에 설치되어, 차량의 후측방을 촬영하는 후측방 카메라와,
    상기 후측방 카메라로 촬영된 후측방 화상을 표시하는 후측방 화상 표시부와,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신호 생성 수단과,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서 전환 신호를 생성하는 전환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입력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후측방 화상의 표시 범위를 조정하는 표시 범위 조정 기능과,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서 상기 후측방 화상의 화질을 조정하는 화질 조정 기능을 갖고, 상기 전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 범위 조정 기능 및 상기 화질 조정 기능을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구비하는,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 생성 수단 및 상기 전환 신호 생성 수단은, 하나의 모듈로서 형성되는 입력 장치에 설치되는,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질은 휘도 및 콘트라스트 중 어느 하나인,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는 후방 카메라와,
    선택 신호를 생성하는 선택 조작부와,
    상기 후방 카메라로 촬영된 후방 화상을 표시하는 후방 화상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후측방 카메라의 조정 기능 및 상기 후방 카메라의 조정 기능 사이를 전환하고,
    상기 후측방 카메라의 조정 기능이 선택되고 있는 경우,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후측방 화상의 표시 범위, 또는 상기 후측방 화상의 화질을 조정하고, 상기 후방 카메라의 조정 기능이 선택되고 있는 경우,
    상기 전환 수단은, 상기 후방 화상의 표시 범위, 또는 상기 후방 화상의 화질을 조정하는,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
KR1020150153769A 2014-11-11 2015-11-03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 KR201600562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29135 2014-11-11
JP2014229135A JP2016092782A (ja) 2014-11-11 2014-11-11 車両用視界支援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279A true KR20160056279A (ko) 2016-05-19

Family

ID=55802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769A KR20160056279A (ko) 2014-11-11 2015-11-03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134845A1 (ko)
JP (1) JP2016092782A (ko)
KR (1) KR20160056279A (ko)
CN (1) CN105584417A (ko)
DE (1) DE1020151191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9456B1 (en) * 2016-02-10 2019-03-26 Ambarella, Inc. Apparatus to adjust a field of view displayed on an electronic mirror using an automobile state or a driver action
GB201708572D0 (en) 2017-05-30 2017-07-12 Expodo Ltd Image capture
JP6848779B2 (ja) * 2017-09-19 2021-03-24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ミラーシステム
US20190098226A1 (en) * 2017-09-26 2019-03-28 Panasonic Automotive Systems Company Of America, Division Of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Smart field of view (fov) adjustment for a rearview display system in a motor vehicle
JP7147255B2 (ja) * 2018-05-11 2022-10-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CN109278644A (zh) * 2018-07-27 2019-01-29 惠州市德赛西威汽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高清摄像头的智能电子后视镜及其图像采集方法
KR102170921B1 (ko) * 2018-11-13 2020-10-28 에이치엔티 일렉트로닉스(주) 촬영 시스템 및 촬영 시스템 제어방법
US12027135B2 (en) * 2021-09-07 2024-07-02 Honda Motor Co., Ltd.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8697A (ja) * 1999-03-05 2000-09-22 Olympus Optical Co Ltd 立体内視鏡システム
JP3659110B2 (ja) * 2000-01-21 2005-06-1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載用画像処理装置
JP2006304216A (ja) * 2005-04-25 2006-11-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撮像制御システム
JP2008018760A (ja) * 2006-07-11 2008-01-31 Honda Motor Co Ltd 運転支援装置
JP5070809B2 (ja) * 2006-11-10 2012-11-1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47257B2 (ja) * 2007-09-26 2013-11-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周辺監視装置および映像表示方法
JP2009117978A (ja) * 2007-11-02 2009-05-28 Denso Corp 車両周辺表示装置
JP5310017B2 (ja) * 2009-01-16 2013-10-0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周辺視野表示システム
JP5410327B2 (ja) * 2010-02-18 2014-02-0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後方視界表示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40285666A1 (en) * 2011-11-01 2014-09-25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Vision system with door mounted exterior mirror and display
JP6011104B2 (ja) 2012-07-24 2016-10-1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視界支援装置
JP5483784B1 (ja) 2013-05-23 2014-05-0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制御装置、計算資源管理方法及び計算資源管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34845A1 (en) 2016-05-12
CN105584417A (zh) 2016-05-18
JP2016092782A (ja) 2016-05-23
DE102015119116A1 (de)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6279A (ko) 차량용 시계 지원 장치
US11052823B2 (en) Vehicle rear monitoring system
CN108020923B (zh) 车用显示装置
JP5310017B2 (ja) 車両用表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周辺視野表示システム
EP2441635B1 (en) Vehicle User Interface System
JP6409337B2 (ja) 表示装置
JP5983693B2 (ja) 表示機能付きミラー装置および表示切替方法
JP6865006B2 (ja) 車両用表示装置
WO2018047400A1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車両用表示システム、車両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055782A5 (ko)
JP2011217318A (ja) 車両用後方視認システム
WO2019123975A1 (ja) 表示制御ユニット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US10222613B2 (en) Display apparatus for a vehicle
JP2018121287A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車両用表示システム、車両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819917B2 (en) Vehicle image processing system
JP6229769B2 (ja) 表示機能付きミラー装置および表示切替方法
JP6504086B2 (ja) 車両
JP2006264574A (ja) 車載カメラ及び車載カメラシステム
JP2006273002A (ja) 車両用監視装置
WO2018100870A1 (ja) 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
JP6249891B2 (ja) 表示装置
JP2018002152A (ja) 表示機能付きミラー装置および表示切替方法
JP2012237725A (ja) 車両用表示装置
JP5893384B2 (ja) パラメータ取得装置、パラメータ取得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285229B2 (ja) 車両用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