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0109A - 통신 시스템과 통신방법, 통신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과 통신방법, 통신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0109A
KR20160040109A KR1020150138289A KR20150138289A KR20160040109A KR 20160040109 A KR20160040109 A KR 20160040109A KR 1020150138289 A KR1020150138289 A KR 1020150138289A KR 20150138289 A KR20150138289 A KR 20150138289A KR 20160040109 A KR20160040109 A KR 20160040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apparatus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9848B1 (ko
Inventor
와타루 타치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40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제1 장치와 제2 장치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장치는 제2 장치에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요구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그후, 제2 장치는, 제1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접수에 응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다른 장치가 제2 장치의 통신가능한 범위에 존재하는지를 판정하고, 다른 장치가 통신가능한 범위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제2 장치는 다른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제1 장치에게 통지한다. 제1 장치는, 제2 장치로부터, 다른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한 정보에 근거해서 다른 장치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과 통신방법, 통신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대한 통신 설정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local area network(LAN))을 사용하는 통신기능이 탑재된 디지털 카메라 등의 제품이 증가되어 왔다. 그 결과,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가, 통신기능을 사용하여, 촬영 화상을 인터넷 상의 서버에 업로드하여, 복수의 유저가 그 촬영 화상을 공유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카메라의 유저는, 무선 LAN을 사용해서 인터넷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카메라를 주변에 배치된 무선 LAN의 액세스 포인트(AP)들 중에서 1개에 카메라를 접속하기 위한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다. 즉, 카메라의 유저는, AP의 식별자, 또는 시큐리티 방식 정보, 패스워드 등을 포함하는 접속 파라미터를 카메라에 입력하고, 카메라가 AP과 통신가능한 장소에서, 카메라에게 AP와의 접속을 개시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통신기기는, 셀룰러 시스템과 무선 LAN, 더구나, near field communication(NFC), Bluetooth(등록상표) low energy(BLE) 등을 사용하는 통신기능을 탑재한 것이 증가하고 있다. 이때, NFC은, 터치 조작을 트리거로 하여, 기기가 터치되고 있는 짧은 시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적합한 통신 규격이다. 또한, BLE은, 예를 들면, 매초마다 1개의 통신 시퀀스가 발생하는 간헐 통신을 긴 시간에 걸쳐 저소비 전력으로 유지하는데 적합한 통신 규격이다.
스마트폰은, 문자 입력에 적합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가져, 일반적으로, 이들 기기에서 접속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것이, 카메라에서 유사한 입력을 행하는 것보다도 용이한 경우가 많다. 더구나, 스마트폰의 대부분은, QR 코드(등록상표)를 판독함으로써 취득한 접속 파라미터나, 과거에 입력된 접속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접속 가능한 AP을 자동적으로 찾아서 접속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카메라에 스마트폰의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탑재하는 것은 코스트, 사이즈 등의 이유에 의해 용이하지 않다.
이에 대해, 무선 LAN의 접속 파라미터를 NFC에 의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 카메라를 사용하면, 유저는 스마트폰에 카메라를 단순히 터치하는 것으로 카메라에 접속 파라미터를 입력하여, 카메라를 무선 LAN에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술로서, 일본국 특개 2010-245748호 공보에는, AP에 접속된 단말장치가 그 AP에 대한 접속 파라미터를 NFC에 의해 카메라에 송신하고, 카메라가 동일한 AP에 접속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때, 이와 같은 기능을 카메라에 탑재하는 것은, 카메라에 추가하는 기능은 NFC 통신기능 만으로 되기 때문에, 카메라의 코스트, 사이즈 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렇지만, 일본국 특개 2010-245748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을 사용할 때, 카메라의 유저는, 주변에 접속 가능한 AP이 존재하고 스마트폰이 그 AP에 대한 접속 파라미터를 갖고 있는 상태에서, NFC에 의한 접속 파라미터의 전송을 개시하는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었다. 즉, 터치 조작을 행할 때에, 주변에 접속 가능한 AP가 존재하고 또한 스마트폰이 그 AP에 대한 접속 파라미터를 갖고 있는 것을 유저가 알고 있을 필요가 있어, 유저의 편리성을 손상시키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복수의 장치 사이에서 다른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된 정보가 교환되는 이 복수의 장치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그 접속에 사용된 정보가 교환될 때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제1 통신장치와 제2 통신장치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통신장치는, 상기 제2 통신장치에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요구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다른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다른 통신장치에 접속하고, 상기 다른 통신장치를 거쳐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통신장치는, 상기 제1 통신장치로부터의 상기 신호를 접수하도록 구성된 접수부와, 상기 신호의 접수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통신장치가 통신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부와, 상기 다른 통신장치가 상기 통신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다른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제1 통신장치에 통지하도록 구성된 통지부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제1의 다른 통신장치로부터 송신되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요구하는 신호를 접수하도록 구성된 접수부와, 상기 신호의 접수에 응답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제2의 다른 통신장치가 통신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부와, 상기 제2의 다른 통신장치가 상기 통신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제2의 다른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제1의 다른 통신장치에 통지하도록 구성된 통지부를 구비한 통신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명세서에 포함되고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다음의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 특징 및 국면을 예시하며,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BLE 통신의 흐름을 나타낸 시퀀스도다.
도 3은, 카메라(100)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다.
도 4는, 카메라(100)의 AP 정보 요구부(303)가 실행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다.
도 5는, 스마트폰(101)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다.
도 6은, 스마트폰(101)의 AP 정보 통지부(504)가 실행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다.
도 7은, 스마트폰(101)으로부터 송신되는 AP 정보의 형식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카메라(100)와 스마트폰(101)이 실행하는 처리의 흐름의 예를 나타낸 시퀀스도다.
도 9는, 카메라(100)의 다른 기능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다.
도 10은, AP 식별자 설정부(901)가 표시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스마트폰(101)의 AP 정보 통지부(504)가 실행하는 다른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배치, 수식 및 수치는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주목하기 바란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각각은, 필요에 따라, 또는 단일 실시형태에서 개별적인 실시형태들로부터의 구성요소들이나 특징의 조합이 유리한 경우에, 단독으로 또는 복수의 실시형태들이나 이들 실시형태들의 특징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형태 1
무선통신 시스템
도 1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면, 카메라(100)가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무선 LAN의 액세스 포인트(AP)(102)를 경유하여, 네트워크(예를 들면, 인터넷) 상의 서버(103)에 업로드한다. 카메라(100)는, AP(102)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AP 정보를 스마트폰(101)으로부터 Bluetooth Low Energy(BLE) 통신 규격에 근거한 무선통신에 의해 취득한다. AP 정보에는, 예를 들면, 그 AP 정보가 송신되는 타이밍에 있어서 AP(102)이 스마트폰(101)의 주변에 존재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정보와, AP(102)에 접속하는데 사용되는 접속 파라미터들이 포함된다. 접속 파라미터에는, 예를 들면, AP(102)의 AP 식별자와, AP(102)의 시큐리티 방식의 종류를 표시하는 정보와, 그 시큐리티 방식을 사용해서 AP(102)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패스워드 정보가 포함된다. AP 식별자는, 예를 들면, AP을 식별하는 식별자 또는 AP가 형성하는 무선 LAN 네트워크의 식별자이며, AP 식별자로서 service set identifier(SSID) 등을 사용해도 된다. 카메라(100)는, 이 AP 정보에 근거하여, 무선 LAN의 단말로서 기능하여, AP(102)에 접속한다.
이때, 이하에서는, 카메라(100)와 스마트폰(101)이, 카메라(100)와 AP(102) 사이의 무선 LAN에 의한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통신을 행하지만, 이것들은 일례이며, 통신기능을 갖는 다른 기기가 사용되어도 된다. 즉, 일반화하면, 제1 통신장치와 제2 통신장치가 제1 통신장치와 제3의 통신장치 사이의 접속의 확립을 위한 통신을 행하는 임의의 시스템에 있어서 이하의 논의가 적용된다. 더구나, 전술한 "제3 통신장치"는 반드시 특정한 통신장치일 필요는 없고, 네트워크 상의 서버(103)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통신장치일 수 있다. 즉, 제3 통신장치는, 예를 들면,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무선 LAN의 액세스 포인트이어도 되고, 또는 무선에 의해 서버(103)에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장치이어도 된다.
더구나, 이하에서는, 카메라(100)와 스마트폰(101)이 BLE에 의해 통신을 행하고, 카메라(100) 또는 스마트폰(101)과 AP(102) 사이의 통신이 무선 LAN을 거쳐 행해지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것도 본 발명을 조금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즉, 무선 LAN 방식 이외의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거쳐 카메라(100) 또는 스마트폰(101)과 AP(102)가 서로 통신을 행해도 되고, BLE 방식 이외의 방식을 사용하여 카메라(100)와 스마트폰(101)이 서로 통신을 행해도 된다. 또한, 무선 LAN이 사용되는 경우, 그 사용되는 무선 LAN은 예를 들면 IEEE802.11 규격 시리즈에 준거한 무선 LAN이어도 되고, 또는 과거, 현재 또는 장래의 어떤 무선 LAN이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사용되는 다른 통신방식도, 과거, 현재 또는 장래의 어느쪽의 방식이어도 된다.
BLE 통신의 개요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100)와 스마트폰(101) 사이에서 행해지는 BLE 통신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카메라(100)와 스마트폰(101)에서 실행되는 BLE 통신의 흐름을 나타낸 시퀀스도다.
본 예에 있어서는, 카메라(100)가, 우선, 소정의 주기로 반복적으로 그리고 정기적으로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송신한다. 여기에서의 애드버타이징 패킷은, 예를 들면, 카메라(100)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통신장치(예를 들면, AP(102))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AP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BLE 통신을 행하는 다른 상대를 찾기 위해 사용된 패킷이다. 스마트폰(101)은, 카메라(100)로부터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면, 카메라(100)에 대해 접속 요구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100)와 스마트폰(101) 사이에서 BLE 통신의 접속이 확립되고, 이후, 소정의 주기로 정기적으로 데이터 패킷을 교환하는 간헐통신으로 이행이 일어난다. 이때, 서로 동기해서 간헐통신을 행하기 위해서는, 카메라(100)는 간헐통신을 개시하는 타이밍과 간헐통신의 주기에 관한 정보를 스마트폰(101)으로부터 취득할 필요가 있는데, 이들 정보는 접속 요구 패킷 내에 포함된다. 또한, 카메라(100)와 스마트폰(101)은, 다른 상대에게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도, 간헐통신의 주기로 데이터 패킷을 교환한다. 송신측의 통신장치는,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데이터 패킷에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그 데이터 패킷에 포함시켜 송신하고, 수신측의 통신장치는, 이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패킷에 유의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카메라(100)는, AP(102)에의 접속(네트워크에의 접속)이 필요하게 되면, 다음의 간헐통신의 시퀀스에 대한 데이터 패킷을 사용하여, 스마트폰(101)에 대해 AP 정보를 요구한다. 이때, 여기에서 요구되는 AP 정보는 반드시 특정한 AP(102)의 정보일 필요는 없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AP의 정보이면 된다. 따라서, 이 AP 정보의 요구는, 카메라(100)가 네트워크에의 접속을 원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라고 간주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의 데이터 패킷은, 카메라(100)가 스마트폰(101)에 대해 네트워크에의 접속을 원하고 있다는 것을 통지하는 신호로 간주할 수 있다.
스마트폰(101)은, 이 요구의 접수후에, 주변에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AP(예를 들면, AP(102))이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면, 그 검출한 타이밍의 다음의 간헐통신의 시퀀스에 대한 데이터 패킷을 사용하여, 그 AP의 AP 정보를 송신한다. 이때, 여기에서 말하는 "주변"은, 스마트폰(101)이 무선 LAN를 거쳐 통신가능한 범위이다. 이 AP 정보에는, 전술한 것과 같이, 예를 들면, 그 AP 정보가 송신되는 타이밍에 있어서 AP(102)이 스마트폰(101)의 주변에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AP(102)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된 접속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이때, BLE의 통신 가능 범위는 충분히 단거리이기 때문에, AP(102)이 스마트폰(101)의 주변에 존재하면, 스마트폰(101)의 BLE에 의한 통신 상대인 카메라(100)도 AP(102)의 주변에 존재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마트폰(101)이 그 주변에 AP(102)을 검출한 것을 통지받고, 그 AP(102)의 AP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카메라(100)는, AP(102)에 접속하고, AP(102)를 거쳐 예를 들면 서버(103)에 접속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간헐통신의 주기가 길면, 스마트폰(101)이 그 주변에 AP(102)이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고나서 다음의 간헐통신의 시퀀스가 발생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에, 스마트폰(101)을 갖고 있는 유저가, 스마트폰(101)이 AP(102)과 무선 LAN 통신을 행할 수 없는 장소로 이동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간헐통신의 주기는 스마트폰(101)의 이동을 고려해서 설정되어도 되고, 예를 들면, 1초 정도로 설정되어도 된다.
이때, 스마트폰(101)은, 그것의 주변에 있는 AP의 AP 식별자를 취득하기 위해 필요한 표준적인 기능을 갖는다. 즉, 스마트폰(101)은, 예를 들면, 무선 LAN의 표준 규격에 규정되는 패시브 스캔을 실행하고, 그 주변의 각각의 AP로부터 정기적으로 송신되는 비콘을 수신함으로써, AP 식별자를 취득하는 기능을 갖는다. 더구나, 스마트폰(101)은, 패시브 스캔의 실행을 유저가 지시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이때, 스마트폰(101)은, 유저 인터페이스 대신에, 또는 유저 인터페이스 이외에, 자동적으로 스캔을 실행하는 기능을 가져도 된다. 더구나, 스마트폰(101)은,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AP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장소에 있을 때, 자동적으로 스캔을 실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더구나, 스마트폰(101)은, 그 주변의 AP들 중에서 1개의 AP에 대해, AP 식별자 이외의 접속 파라미터도 취득하기 위해 필요한 표준적인 기능을 갖는다. 즉, 스마트폰(101)은, 예를 들면, 패시브 스캔에 의해 발견한 AP 식별자의 일람을 표시하는 기능과, 그 AP 식별자들 중의 1개를 유저에게 선택하게 하여, 그 선택된 AP에 대응하는 시큐리티 방식과 패스워드의 유저 입력을 접수하는 접수기능을 갖는다. 이때, 접수기능은,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의 키보드 기능, 또는 QR 코드 등을 촬영해서 해석하는 기능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101)은, 과거에 접수한 입력 내용을 기억해 두고, 그후 유저에 의한 동일한 내용의 입력을 생략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카메라의 구성 및 동작
이어서, 카메라(100)의 기능 구성예와, 카메라(100)가 실행하는 처리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카메라(100)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다. 카메라(100)는, 예를 들면, 무선 LAN 통신부(301), BLE 통신부(302), AP 정보 요구부(303), 화상 기억부(304) 및 촬상부(305)를 갖는다. 이때, 전화 기능 등, 본 실시형태와 관계되지 않는 기능은 도면에 도시를 하지 않고, 설명을 생략한다.
무선 LAN 통신부(301)는, 무선 LAN 통신에 필요한 표준적인 안테나, 변복조 처리 기능, 프로토콜 처리 기능을 포함하고, 무선 LAN 통신부(301)는 AP(102)에 접속하여, 예를 들면, 화상 기억부(304)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AP(102)에 송신한다. 이때, AP(102)에 송신된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거쳐, 서버(103)에 전송된다. BLE 통신부(302)는, 예를 들어, BLE에 의한 통신에 필요한 표준적인 안테나, 변복조 처리 기능 및 프로토콜 처리 기능을 포함하고, 전술한 것과 같이, BLE 통신부(302)는 스마트폰(101)과 BLE 통신에 의한 접속을 확립하고 스마트폰(101)과 간헐통신을 행한다.
AP 정보 요구부(303)는, BLE 통신부(302)를 사용해서 스마트폰(101)으로부터 AP 정보를 취득하고, 그 AP 정보에 근거하여, 무선 LAN 통신부(301)가 AP(102)에 접속하는 타이밍과 AP(102)에 대한 접속 파라미터를 무선 LAN 통신부(301)에 출력한다. 무선 LAN 통신부(301)는 이들 정보에 따라 AP(102)에 접속한다.
화상 기억부(304)는, 예를 들면, 촬상부(305)가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촬상부(305)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 촬영을 행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화상 기억부(304)에 기억시킨다. 이때, 화상 기억부(304)는 1매의 화상 뿐만 아니라 복수의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100)는, 예를 들면, 도 3에는 미도시된 적어도 1개의 CPU, 적어도 1개의 ROM, 적어도 1개의 RAM 등으로 이루어진 하드웨어 모듈을 가져도 되고, CPU가 이하에서 설명하는 흐름도의 처리를 ROM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처리를 행해도 된다.
도 4에, 카메라(100)에 있어서, 특히 AP 정보 요구부(303)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AP 정보 요구부(303)는, 카메라의 전원 온에 의해 트리거될 때 동작을 개시한다. AP 정보 요구부(303)는, BLE 통신부(302)를 사용해서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소정의 주기로 반복하여 송신하고(스텝 S401), 스마트폰(101)으로부터 접속 요구의 수신에 응답하여 간헐통신을 통한 정기적인 신호의 송수신을 개시한다(스텝 S402).
그후, AP 정보 요구부(303)는, 서버(103)에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403). 여기에서, 서버에 송신해야 할 데이터란, 예를 들면, 화상 기억부(304) 내부의 아직 송신되지 않은 화상 데이터이어도 되고, 또는 유저가 지정하는 화상 데이터이어도 된다. AP 정보 요구부(303)는,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발생하면(스텝 S403에서 YES), BLE 통신부(302)를 제어하여, 다음의 간헐통신의 시퀀스에 대한 데이터 패킷을 사용하여 AP 정보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404). 그후, AP 정보 요구부(303)는, 그후의 간헐통신의 시퀀스를 통해 스마트폰(101)으로부터 AP 정보가 수신되는 것을 대기한다(스텝 S405).
그리고, AP 정보 요구부(303)는, AP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AP 정보에 포함되는 접속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AP(102)에 접속하도록, 무선 LAN 통신부(301)를 제어하여, 카메라(100)를 AP(102)에 접속시킨다(스텝 S406). 이어서, AP 정보 요구부(303)는, 스텝 S403에서 판정된 송신해야 할 데이터를 AP(102)를 거쳐 서버(103)에 송신하도록 무선 LAN 통신부(301)를 제어한다(스텝 S407). 그후, AP 정보 요구부(303)는, 송신해야 할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하면, AP(102)과의 접속을 절단하도록 무선 LAN 통신부(301)를 제어하고(스텝 S408),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다시 발생하는 것을 대기한다(스텝 S403).
이때, AP 정보 요구부(303)는, 송신해야 할 데이터를 서버(103)에 송신(스텝 S407)한 직후에 AP과의 접속을 절단(스텝 S408)하는 제어를 반드시 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AP 정보 요구부(303)는, 송신해야 할 데이터를 서버(103)에 송신(스텝 S407)한 후에 소정 시간만큼 기다려, 추가로 서버에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 AP과의 접속을 절단(스텝 S408)해도 된다. AP 정보 요구부(303)는, 이 소정 시간 내에 서버(103)에 송신해야 할 또 다른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그 이 추가적인 데이터도 송신한다(스텝 S407). 이에 따라, 무선 LAN을 거쳐 접속의 절단 및/또는 재접속 처리를 불필요하게 행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때, AP 정보 요구부(303)는, 상기한 스텝들 중에서 어느 것을 실행중이라도, 스마트폰(101)과의 BLE 통신이 절단된 경우에는 스텝 S401로 되돌아간다. 즉, AP 정보의 요구를 송신한 후에 BLE 통신이 유지되어 있는 동안에는, 특별한 이유로 요구가 취소되지 않는 한, 카메라(100)가 네트워크에의 접속을 원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BLE 통신이 절단되면, 이것을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처리가 리셋된다.
이때, 카메라(100)에, BLE 통신에 의해 소정 시간에 걸쳐서 접속을 유지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AP 정보가 통지되지 않은 경우에, 카메라(100)는 당분간 네트워크에의 접속을 시도하지 않도록 결정하고, BLE 통신을 절단하여도 된다. 그후, 카메라(100)는, 그후, 일정 시간이 더 경과한 후에, 다시 BLE 통신을 확립하여, AP 정보를 요구해도 된다. 그 결과, AP과의 접속을 확립할 수 없는 상황에 있어서 카메라(100)가 계속해서 BLE를 통해 정기적인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카메라(100)에 의한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마트폰의 구성 및 동작
이어서, 스마트폰(101)의 기능 구성예와, 스마트폰(101)이 실행하는 처리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스마트폰(101)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다. 스마트폰(101)은, 예를 들면, 무선 LAN 통신부(501), BLE 통신부(502), AP 정보 취득부(503) 및 AP 정보 통지부(504)를 갖는다. 이때, 통화 기능 등, 본 실시형태와 직접 관계되지 않는 기능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으며, 도 5의 설명으로부터 해당 설명을 생략한다.
무선 LAN 통신부 501 및 BLE 통신부 502는, 각각 무선 LAN 통신부 301 및 BLE 통신부 302와 유사하며, 각각, 무선 LAN 통신과 BLE 통신에 필요한 표준적인 안테나, 변복조 처리 기능, 프로토콜 처리 기능을 포함한다. AP 정보 취득부(503)는, 전술한 것과 같이, 스마트폰(101)의 주변의 AP들의 AP 식별자와, 그 주변에 있는 AP들 중 1개의 접속 파라미터를 취득하기 위해 필요한 표준적인 기능을 갖는다. AP 정보 취득부(503)는, 이들 기능을 사용하여, 카메라(100)로부터 AP 정보의 요구를 접수한 후, 그 주변에 존재하는 AP(102)를 검출하고, AP(102)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된 접속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P 정보 통지부(504)는, 카메라(100)로부터 BLE 통신부(502)를 거쳐 수신한 AP 정보의 요구에 근거하여 AP 정보 취득부(503)가 취득한 AP 정보를 카메라(100)에 통지한다. AP 정보는 이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때, 스마트폰(101)은, 예를 들면, 도 5에는 미도시된 적어도 1개의 CPU, 적어도 1개의 ROM, 적어도 1개의 RAM 등으로 구성된 하드웨어 모듈을 갖고, CPU가 이하에서 설명하는 흐름도로 표시된 처리를 ROM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처리해도 된다.
도 6에, 스마트폰(101)에 있어서, 특히 AP 정보 통지부(504)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AP 정보 통지부(504)는, 스마트폰(101)의 전원 온, 또는 스마트폰(101)에 있어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기동에 의해 트리거될 때 동작을 개시한다. AP 정보 통지부(504)는, 우선, BLE 통신부(502)를 사용해서 카메라(100)로부터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는 것을 대기한다(스텝 S601). 그후, AP 정보 통지부(504)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면, 접속 요구를 카메라(100)에 송신하고, BLE에 의한 간헐통신을 통해 정기적인 패킷의 송수신을 개시한다(스텝 S602). 다음에, AP 정보 통지부(504)는, BLE에 의한 간헐통신을 통해 카메라(100)로부터 AP 정보의 요구를 수신하는 것을 기다린다(스텝 S603).
AP 정보 통지부(504)는, AP 정보의 요구를 수신하면, AP 정보 취득부(503)에 대해, 주변(예를 들면, 스마트폰(101)의 통신가능한 범위)에 AP(102)이 존재하고 있는지 아닌지, 및 그것의 접속 파라미터가 취득되었는지 아닌지를 문의한다(스텝 S604). 이때, AP 정보 취득부(503)는, 예를 들면, 카메라(100)로부터의 AP 정보의 요구의 접수후에 탐색을 행함으로써, 스마트폰(101)의 주위에 AP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또한, AP 정보 취득부(503)는, 스마트폰(101)이 접속중인 AP이 존재하는지 아닌지에 따라, 스마트폰(101)의 주위에 AP이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해도 된다. 이때, AP 정보 취득부(503)는, AP을 탐색을 행하는 경우, 탐색에서 발견된 AP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처리를 더 행한다. 한편, 접속중인 AP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접속에서 사용하고 있는 접속 파라미터를 통지하면 목적을 충족할 수 있기 때문에, AP 정보 취득부(503)가 새롭게 접속 파라미터를 취득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AP 정보 통지부(504)는, 주변에 AP(102)이 존재하고 그것의 접속 파라미터가 취득된 경우(스텝 S604에서 YES), 다음의 간헐통신의 시퀀스에 걸쳐 AP 정보를 송신하도록 BLE 통신부(502)를 제어한다(스텝 S605). 그후, AP 정보 통지부(504)는 스텝 S603으로 되돌아가. AP 정보의 요구를 다시 수신하는 것을 대기한다. 이 AP 정보에는, 예를 들면, 그 AP 정보가 송신되는 타이밍에 있어서 AP(102)이 주변에 존재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정보와, AP(102)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파라미터가 포함된다.
한편, AP 정보 통지부(504)는, 주변에 AP(102)이 존재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그것의 접속 파라미터가 취득되지 않은 경우(스텝 S604에서 NO)에는, 주변에 AP(102)가 존재하고 그것의 접속 파라미터가 취득될 때까지 대기한다. 이때, AP 정보 통지부(504)는, 상기한 스텝들 중에서 어느 것을 실행중이라도, 카메라(100)와의 BLE 통신이 절단된 경우에는 스텝 S601로 되돌린다. 즉, AP 정보의 요구를 수신한 후에 BLE 통신이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는, 특별한 이유로 요구가 취소되지 않는 한, 카메라(100)가 네트워크에 접속을 원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BLE 통신이 절단되면, 그것을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처리가 리셋된다.
여기에서, 스마트폰(101)으로부터 송신되는 AP 정보의 형식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데이터 패킷(700)은 AP 정보를 포함하는 BLE의 데이터 패킷이다. 데이터 패킷(700)은, 프리앰블(701), 액세스 어드레스(702), PDU(Protorocl Data Unit)(703) 및 CRC(Cyclic Redundancy Check)(704)을 포함한다. 프리앰블(701)은 패킷의 선두를 판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액세스 어드레스(702)는, 카메라(100)와 스마트폰(101) 사이에서 통신이 행해지는 것을 표시한다. CRC(704)은 오류 검출에 사용되고, PDU(703)의 내용에 근거하여 계산된다.
여기에서, PDU(703)은 헤더(711)와 페이로드(7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헤더(711)는, 이 패킷이 데이터 패킷인 것을 표시하는 정보와, 페이로드(712)의 길이를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간헐통신을 통해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 이 길이의 값은 0이다. 그러나, AP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에 있어서는, 이 길이의 값이 1 이상이다. 페이로드(712)에는, 데이터 종별(721), AP 식별자(722), 시큐리티 방식 종류(723) 및 패스워드(724)가 포함된다. 데이터 종별(721)에는, 이 데이터 패킷이 AP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값이 격납된다. AP 식별자(722), 시큐리티 방식 종류(723), 및 패스워드(724)에는, AP 식별자(722)에 의해 식별되는 AP에 대한 접속 파라미터가 나타내는 정보가 격납된다.
카메라(100)는, 이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데이터 종별(721)의 값을 판독함으로써, 이 데이터 패킷이 AP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AP 정보가 송신된 타이밍을 알 수 있다. 즉, 데이터 종별(721)은, AP 식별자(722)에 의해 특정되는 AP가 이 데이터 패킷의 송신 타이밍에 있어서 스마트폰(101)의 주변(통신가능한 범위)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때, BLE 통신의 규격에 따르면, 헤더(711)에, 그후에 데이터 패킷이 이어질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접속 파라미터의 사이즈가 큰 경우에는, 송신하기 전에, 이 정보를 사용하여 이들 접속 파라미터를 복수의 데이터 패킷으로 분할해도 된다. 또한, AP 정보 요구부(303)는, 상기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PDU 내부의 데이터 종별(721)의 값을 이 데이터 패킷이 AP 정보의 요구인 것을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카메라(100)로부터 스마트폰(101)에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AP 정보의 요구를 송신해도 된다.
이때, 상기한 데이터 패킷의 형식은 일례이며, AP 정보는 다른 형식으로 송신되어도 된다.
무선통신 시스템에 행해지는 처리의 흐름
이어서, 카메라(100)와 스마트폰(101) 사이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에 대해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때, 이하에서는, 예를 들면, 유저가 카메라(100)와 스마트폰(101)을 갖고 외출하여, 카메라(100)로 화상을 촬영하고, 귀가한 후, 스마트폰(101)이 자택의 AP에 접속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시각 801에 있어서 유저가 스마트폰(101)을 전원을 온으로 한 것에 응답하여, 스마트폰(101)은 애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는 것을 기다리는 상태로 진입한다(스텝 S601). 이어서, 시각 802에 있어서 유저가 카메라(100)를 전원을 온으로 한 것에 응답하여, 시각 803에 있어서 카메라(100)로부터 애드버타이징 패킷이 송신된다(스텝 S402). 스마트폰(101)은, 이 애드버타이징 패킷에 응답하여, 시각 804에 있어서 접속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602). 이에 따라, 카메라(100)와 스마트폰(101) 사이에서 BLE를 통한 간헐통신이 개시되고(스텝 S403, 스텝 S602), 스마트폰(101)은 카메라(100)로부터의 AP 정보의 요구를 기다리는 상태로 진입한다(스텝 S603).
그후, 시각 805에 있어서 유저가 카메라(100)를 사용하여 촬영 조작을 행하면, 카메라(100)에 있어서 송신해야 할 화상 데이터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100)는 시각 806에서의 간헐통신의 시퀀스에 의해 AP 정보의 요구를 스마트폰(101)에 송신하고, AP 정보의 수신 대기 상태로 들어간다(스텝 S403 내지 스텝 S405). 스마트폰(101)은, 이 AP 정보의 요구를 수신하면, 스마트폰(101) 자신의 통신가능한 범위에 AP의 존재를 대기하고, 그 AP의 AP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기다리는 상태로 된다(스텝 S604).
시각 807에 있어서 유저가 귀가하면, 스마트폰(101)은 유저의 조작에 의해 또는 자동적으로 유저의 자택에 있는 AP에 접속하고, 그 결과 스마트폰(101)은 주변에 AP이 존재하고 AP에 대한 접속 파라미터가 얻어진 상태로 진입한다. 따라서, 스마트폰(101)은, 다음의 간헐통신의 시퀀스가 발생하는 시각 808에 있어서 AP 정보를 카메라(100)에 송신한다(스텝 S605). 카메라(100)는, 이 AP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서, 주변에 접속 가능한 AP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고, 동시에, AP에 대한 접속 파라미터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100)는, 시각 809에 있어서, 스마트폰(101)에 의해 통지된 AP 정보에 대응하는 AP에 접속하고, 그 AP을 경유해서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 촬영한 화상을 송신한다(스텝 S406, 스텝 S407). 그후, 카메라(100)는,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하면, AP와의 접속을 절단한다(스텝 S408).
이상과 같이, 유저가 카메라(100)에 대해 행하는 조작은, 시각 802에서의 전원 온 조작과 시각 805에서의 촬영 조작뿐이지만, 카메라(100)는 유저의 자택에 있는 AP에 자동적으로 접속해서 서버에 화상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시각 807에 있어서의 스마트폰(101)에 의한 유저의 자택에 있는 AP에의 접속은, 카메라(100)의 존재와는 무관하게 수동 또는 자동으로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셀룰러 통신과 비교하면, 무선 LAN 통신은 고속이고 저렴하고, 또한 유저가 통화와 데이터 통신 등의 서비스를 셀룰러 통신과 거의 마찬가지로 이용할 수 있으며, AP이 존재하는 장소에서는, 스마트폰에 의해 무선 LAN을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 따르면, 카메라를 무선 LAN에 접속하기 위한 조작 만을 행하지 않고, 카메라를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유저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는, 일반적인 카메라에 BLE 통신기능 만을 간단히 추가하는 것으로 실현가능하고, 이것은 NFC 통신 기능의 추가와 비교하여, 사이즈나 코스트의 대폭적인 증가를 일으키지 않는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에서는, 카메라(100)가 AP를 특정하지 않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AP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된 AP 정보의 요구를 송신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에 대해, 카메라(100)가 특정한 AP을 지정하고, 그 특정한 AP의 AP 정보의 요구를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100)의 기능 구성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100)는, AP 식별자 설정부(901)가 추가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도 3의 블록도에 나타낸 구성과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실시형태 1과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고, 실시예 1과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AP 식별자 설정부(901)는, AP 정보 요구부(303)가 도 4의 스텝 S406에 있어서 AP 정보를 취득한 것을 검출했을 때, 그 AP 정보에 포함되는 AP 식별자에 근거하여,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은 화면 표시와 조작의 접수를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즉, AP 식별자 설정부(901)는, 접속 가능한 AP을 유저에게 제시하고, 유저로부터 접속할 AP의 지정을 취득하는 기능을 갖는다. 더구나, AP 식별자 설정부(901)는, 도 10에 있어서 유저가 "예"를 선택한 경우, 그 AP 정보에 포함되는 접속 파라미터를 기억한다. 그후, AP 식별자 설정부(901)는, 스텝 S404에서 나중에 AP 정보 요구를 송신할 때, 그 접속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AP 식별자를 AP 정보 요구에 포함시켜, 이 AP 식별자와 함께 AP 정보의 요구를 송신하도록, AP 정보 요구부(303)를 제어한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마트폰(101)의 AP 정보 통지부(504)가 실행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다. 이때, 도 11에서는, 도 6과 유사한 처리를 행하는 스텝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그것들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AP 정보 통지부(504)는, 간헐통신을 통해 AP 정보의 요구를 수신하는 것을 기다린 후에(스텝 S603), 수신한 AP 정보의 요구가 AP 식별자를 포함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1101). 그리고, AP 정보 통지부(504)는, AP 정보 요구가 AP 식별자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S1101에서 NO)에는, 스텝 S604로 처리를 진행하여, 실시형태 1과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 한편, AP 정보 통지부(504)는, AP 식별자가 포함되는 경우(스텝 S1101에서 YES)는, AP 정보 취득부(503)가, 그 AP 식별자를 갖는 AP이 주변에 존재하는 것을 검출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1102). 그후, AP 정보 통지부(504)는, AP 정보 취득부(503)가 그 AP을 검출하면(스텝 S1102에서 YES), 스텝 S605로 처리를 진행하여, 그 AP 정보를 카메라(100)에 송신한다. 이때, 이 경우, 송신할 AP 정보가 카메라(100)로부터의 지정된 AP 정보이기 때문에, 카메라(100)가 그 AP에 대한 접속 파라미터를 유지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즉, 검출된 AP에 대한 접속 파라미터를 카메라(100)가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마트폰(101)이 AP 정보의 송신시에 접속 파라미터를 송신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이와 같이, AP 정보 통지부(504)는, 카메라(100)로부터 지정된 AP 식별자를 갖는 AP의 AP 정보만을 통지한다. 즉, 유저는, 도 10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자택에 있는 AP의 정보를 카메라(100)에 기억시킴으로써, 이후에 카메라(100)를 자택의 AP에만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유저가 카메라(100)로부터 서버로의 업로드를 비교적 접속 상태가 안정된 자택의 AP를 통해 행할 수 있으므로, 유저가 옥외를 이동중에 접속 상태가 불안정한 AP에 접속하는 것으로 인해 업로드에 실패할 확률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PDU에 소정의 값을 갖는 데이터 종별(721)이 포함된 데이터 패킷의 형식으로 AP 정보의 요구를 송신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렇지만, BLE 통신 규격에 따르면,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PDU에 동일한 형식으로 AP 정보의 요구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AP 정보의 요구는 데이터 패킷 대신에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형식으로 송신해도 된다. 더구나, 카메라(100)와 스마트폰(101) 사이의 BLE 통신이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PDU가 데이터 종별(721)을 포함하지 않는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송신을 AP 정보 요구의 송신으로 간주해도 된다. 이들 모든 경우에, 스마트폰(101)은, 애드버타이징 패킷의 수신에 응답하여, 그것이 AP 정보의 요구를 수신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AP 정보 통지부(504)는, AP 정보 취득부(503)가 유저 조작에 따라 또는 자동적으로 도 6의 스텝 S604에 있어서 AP 정보를 취득할 때까지 기다리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AP 정보 통지부(504)는, 이 처리를 행하는 것 대신에, 스텝 S603에 있어서 간헐통신을 통해 AP 정보의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AP 정보 취득부(503)에 대해 패시브 스캔을 실행하도록 요구해도 된다. 이에 따라, 유저가 촬영할 때에 주변에 접속 가능한 AP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유저가 촬영 직후에 카메라를 AP에 접속하여, 서버에 촬영 화상을 업로드할 수 있다.
더구나, 카메라(100)에 있어서 BLE 통신부(302)가 독립된 통신 모듈로서 구현되는 경우에는, AP 정보 요구부(303)는 도 4의 스텝 S404에서 AP 정보의 요구를 송신한 후에 슬립 상태로 이행해도 된다. 이때, 카메라(100)는, AP 정보의 요구의 송신후에, AP 정보 요구부(303) 뿐만 아니라, BLE 통신부(302)의 기능을 제외한 일부의 카메라(100)의 기능을 슬립 상태로 이행시켜도 된다. 즉, 일부의 독립된 통신 모듈은, 비어 있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한다. 이 인터럽트 신호를 웨이크업 신호로서 이용함으로써, AP 정보의 요구를 송신하는 도 8의 시각 806으로부터 AP 정보를 수신하는 시각 808까지의 기간중에, 카메라(100)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유저가 카메라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빈도를 저감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장치 사이에서 다른 장치에의 접속에 사용하는 정보가 교환되는 이들 복수의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그 접속에 사용하는 정보가 교환될 때의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더 상세히 언급해도 된다)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예를 들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거나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행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13)

  1. 제1 통신장치와 제2 통신장치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통신장치는,
    상기 제2 통신장치에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요구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다른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다른 통신장치에 접속하고, 상기 다른 통신장치를 거쳐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통신장치는,
    상기 제1 통신장치로부터의 상기 신호를 접수하도록 구성된 접수부와,
    상기 신호의 접수에 응답하여, 상기 다른 통신장치가 통신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부와,
    상기 다른 통신장치가 상기 통신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다른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제1 통신장치에 통지하도록 구성된 통지부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
  2. 제1의 다른 통신장치로부터 송신되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요구하는 신호를 접수하도록 구성된 접수부와,
    상기 신호의 접수에 응답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제2의 다른 통신장치가 통신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판정부와,
    상기 제2의 다른 통신장치가 상기 통신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제2의 다른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제1의 다른 통신장치에 통지하도록 구성된 통지부를 구비한 통신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정기적인 신호의 송수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제2의 다른 통신장치가 상기 통신가능한 범위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제1의 다른 통신장치에 송신하는 통신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다른 통신장치가 상기 통신가능한 범위에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상기 정기적인 신호의 송수신에 의해 상기 제1의 다른 통신장치에 송신될 때, 상기 통지부는 상기 제2의 다른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이 신호에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제1의 다른 통신장치에 이 정보를 통지하는 통신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부는, 상기 제1의 다른 통신장치로부터 송신되고 상기 제1의 다른 통신장치와 상기 통신장치 사이의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신호를 접수하고, 이 신호는, 상기 제1의 다른 통신장치로부터 송신되고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요구하는 상기 신호로서의 역할을 하는 통신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제2의 다른 통신장치에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제2의 다른 통신장치가 상기 통신가능한 범위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통신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제1의 다른 통신장치로부터 송신되고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요구하는 상기 신호가 접수된 후에 탐색을 행함으로써, 상기 제2의 다른 통신장치가 상기 통신가능한 범위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통신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다른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상기 정보는, 상기 제2의 다른 통신장치를 식별하는 정보 또는 해당 제2의 다른 통신장치에 의해 형성된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정보와, 상기 제2의 다른 통신장치에 의해 사용된 시큐리티 방식 종류와, 상기 시큐리티 방식을 사용해서 상기 제2의 다른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패스워드 중에서 적어도 한개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다른 통신장치는 무선 LAN의 액세스 포인트이고, 상기 제1의 다른 통신장치 및 상기 통신장치는 무선 LAN 단말인 통신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Bluetooth Low Energy를 사용해서 통신을 행하고, 상기 제1의 다른 통신장치는 IEEE802.11 규격에 준거한 무선 LAN을 사용해서 상기 제2의 다른 통신장치에 접속하는 통신장치.
  11. 제1 통신장치와 제2 통신장치를 구비한 통신 시스템의 통신방법으로서,
    상기 제1 통신장치에 의해, 상기 제2 통신장치에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요구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통신장치에 의해, 상기 제1 통신장치로부터의 상기 신호를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통신장치에 의해, 상기 신호의 접수에 응답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다른 통신장치가 상기 제2 통신장치의 통신가능한 범위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통신장치에 의해, 상기 다른 통신장치가 상기 통신가능한 범위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다른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제1 통신장치에게 통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통신장치에 의해, 상기 제2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통신장치에 의해, 상기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다른 통신장치에 접속하고, 상기 다른 통신장치를 거쳐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통신방법.
  12. 통신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제1의 다른 통신장치로부터 송신되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요구하는 신호를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의 접수에 응답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제2의 다른 통신장치가 통신가능한 범위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의 다른 통신장치가 상기 통신가능한 범위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제2의 다른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제1의 다른 통신장치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13. 통신장치에 구비된 컴퓨터에, 통신장치의 제어방법의 단계들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통신장치의 제어방법은,
    제1의 다른 통신장치로부터 송신되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요구하는 신호를 접수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의 접수에 응답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제2의 다른 통신장치가 통신가능한 범위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의 다른 통신장치가 상기 통신가능한 범위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제2의 다른 통신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제1의 다른 통신장치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매체.
KR1020150138289A 2014-10-02 2015-10-01 통신 시스템과 통신방법, 통신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KR1018898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04214A JP6472202B2 (ja) 2014-10-02 2014-10-02 通信システム並びに通信方法、通信装置並びに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4-204214 2014-10-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109A true KR20160040109A (ko) 2016-04-12
KR101889848B1 KR101889848B1 (ko) 2018-08-20

Family

ID=54146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289A KR101889848B1 (ko) 2014-10-02 2015-10-01 통신 시스템과 통신방법, 통신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949270B2 (ko)
EP (1) EP3002974B1 (ko)
JP (1) JP6472202B2 (ko)
KR (1) KR101889848B1 (ko)
CN (1) CN105491681B (ko)
RU (1) RU2645275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72202B2 (ja) * 2014-10-02 2019-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並びに通信方法、通信装置並びに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12687B2 (ja) * 2016-07-14 2021-01-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通信装置、電子時計、時刻補正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33397B2 (ja) 2016-08-12 2021-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855723B2 (ja) * 2016-09-21 2021-04-0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通信装置、電子時計、時刻変更方法、接続要求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74381B2 (ja) * 2017-01-16 2021-05-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6862872B2 (ja) 2017-02-02 2021-04-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6541715B2 (ja) 2017-05-12 2019-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10020B1 (ko) * 2017-06-29 2021-02-0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7049086B2 (ja) 2017-08-29 2022-04-0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292089B2 (en) * 2017-09-18 2019-05-14 Sonos, Inc. Re-establishing connectivity on lost players
JP2019193069A (ja) * 2018-04-24 2019-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7095504B2 (ja) * 2018-09-05 2022-07-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端末装置、無線接続制御方法および無線接続制御プログラム
JP7271128B2 (ja) * 2018-10-22 2023-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端末
US11609734B2 (en) * 2018-10-25 2023-03-21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wireless communication
JP7438676B2 (ja) * 2019-06-27 2024-0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22053356A (ja) * 2020-09-24 2022-04-0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57536A1 (en) * 2011-04-08 2012-10-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nfiguring Mobile Station According to Type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Deployment
US20130237148A1 (en) * 2012-03-12 2013-09-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hotspot registra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WO2013184110A1 (en) * 2012-06-06 2013-12-12 Nokia Corporation Optimized wifi network discovery using bluetooth low-energy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1416A1 (en) 2000-12-13 2002-06-13 Greg Carlson Ad hoc wide area network access method and system
RU2276461C2 (ru) 2001-11-16 2006-05-10 Свисском Фикснет Аг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лассификации сетевых соединений
JP4689339B2 (ja) * 2005-04-27 2011-05-2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通信用パラメータの設定方法
US8463238B2 (en) * 2007-06-28 2013-06-11 Apple Inc. Mobile device base station
JP2009033632A (ja) 2007-07-30 2009-02-12 Nec Corp WiMAXシステム、無線端末及び無線基地局
RU2467479C2 (ru) 2007-11-19 2012-11-20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е точки доступа фемтосоты
JP4941496B2 (ja) * 2009-04-03 2012-05-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554338B2 (en) * 2011-02-18 2017-01-24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uplink control channel reception in a heterogeneou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2013085116A (ja) 2011-10-07 2013-05-09 Canon Inc 通信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3162538A1 (en) * 2012-04-25 2013-10-31 Nokia Corporation Context aware networking for multimode devices
JP5979960B2 (ja) 2012-05-01 2016-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19881B2 (ja) * 2012-07-25 2016-11-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携帯端末
US9025014B2 (en) * 2012-07-25 2015-05-05 Gopro, Inc. Device detection camera system
US9258712B2 (en) * 2012-09-04 2016-02-0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haring wireless network configurations
US9439232B2 (en) * 2014-01-17 2016-09-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anaging traditional Wi-Fi and Wi-Fi direct connections using a wireless device
JP6472202B2 (ja) * 2014-10-02 2019-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並びに通信方法、通信装置並びに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57536A1 (en) * 2011-04-08 2012-10-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nfiguring Mobile Station According to Type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Deployment
US20130237148A1 (en) * 2012-03-12 2013-09-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hotspot registra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WO2013184110A1 (en) * 2012-06-06 2013-12-12 Nokia Corporation Optimized wifi network discovery using bluetooth low-ener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72202B2 (ja) 2019-02-20
US20160100394A1 (en) 2016-04-07
US20180242303A1 (en) 2018-08-23
RU2015141796A (ru) 2017-04-06
EP3002974A1 (en) 2016-04-06
KR101889848B1 (ko) 2018-08-20
CN105491681B (zh) 2019-12-31
US10356794B2 (en) 2019-07-16
CN105491681A (zh) 2016-04-13
US9949270B2 (en) 2018-04-17
JP2016076744A (ja) 2016-05-12
RU2645275C2 (ru) 2018-02-19
EP3002974B1 (en) 2018-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848B1 (ko) 통신 시스템과 통신방법, 통신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EP34841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wireless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060373B1 (ko)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연결방법 및 장치
KR101820392B1 (ko) 데이터 접속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974289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6080561B2 (ja) 生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98542B1 (ko) 반송파 집성을 위한 반송파 조합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197851B1 (ko) 단말간 직접 통신에서 대상 발견 방법 및 장치
US20180110083A1 (en) Communications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03668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GB2524646A (en) Communication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328431B1 (ko) 듀얼 심카드 휴대폰의 페이징 충돌 처리 방법, 장치 및 매체
KR20210133009A (ko) 복수 심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635150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JP2014060503A5 (ko)
US973003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based on communication network
US9521199B2 (en) Reliable transfer of data from an image capturing device to a remote data storage
US998614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202401963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paging capability of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WO2024141607A1 (en) Method to authenticate an electronic device
JP6417177B2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US9264901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stablishing data 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