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020B1 -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020B1
KR102210020B1 KR1020180071275A KR20180071275A KR102210020B1 KR 102210020 B1 KR102210020 B1 KR 102210020B1 KR 1020180071275 A KR1020180071275 A KR 1020180071275A KR 20180071275 A KR20180071275 A KR 20180071275A KR 102210020 B1 KR102210020 B1 KR 102210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power
communication device
function
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322A (ko
Inventor
게이 다카라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82464A external-priority patent/JP6494835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2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1Switching on or off, e.g. for saving power when not in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15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radio transmission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장치가 제공되며, 이 통신 장치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1 통신부; 및 통신 장치가 전원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미리 결정된 조건 하에서 통신 장치를 전원 온하는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정기를 포함하고, 제1 통신부는, 제1 결정기가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전원 오프 지시에 응답하여, BLE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확립된 외부 장치와의 접속을 절단하고, BLE 통신 방식에 기초하는 응답이 수신될 수 있게 하는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송신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하는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블루투스(등록 상표)를 사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이 보급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의 정보 처리 장치는 프린터 등의 통신 장치로/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 블루투스를 사용하는 통신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중앙(central)"과 "주변(peripheral)"을 포함하는 역할들이 규정된다. 주변 디바이스는 그 자신의 디바이스 정보를 나타내는 애드버타이즈 패킷(advertising packet)을 주변 장치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발신하는 것이 가능하고, 중앙 디바이스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기다린다. 중앙 디바이스는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검출하고, 주변 디바이스에 대하여 접속 요구 및 스캔 요구를 발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블루투스의 규격 하에서, 주변 디바이스는 동시에 복수의 중앙 디바이스와 접속할 수 없다. 따라서, 하나의 중앙 디바이스에 접속된 주변 디바이스가 블루투스를 통해 다른 중앙 디바이스에 접속되는 경우, 이미 확립된 통신을 절단할 필요가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16-208418호에서는, 무선 LAN, 블루투스 등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을 다양한 조건들 하에서 절단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최근, 프린터와 같은 통신 기능을 갖는 장치(이하, "통신 장치"로서 또한 지칭됨)는 전원 온 또는 오프를 위한 사용자의 전원 버튼 누름 이외에, 미리 결정된 조건을 충족한 경우에 자동으로 장치에 대한 전원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자동 전원 온/오프 기능을 갖는다. 이 기능들은 사용자에 의해 유효 또는 무효가 될 수 있다.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인 전원 오프 상태 하에서는, 무선 LAN 및 블루투스를 통한 통신을 종종 수행할 수 있다. 그러한 무선 통신들 중 하나가 실시된 경우에, 일반적으로 장치에 대한 전원이 자동으로 턴온된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16-208418호에서는 제1 통신(무선 LAN)이 확립된 경우에 제2 통신(블루투스)을 절단하는 기재를 포함한다. 그러나, 통신 장치의 전원 상태에 따라 무선 통신이 접속되거나 절단되는 것은 언급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에서, 단지 1개의 외부 통신 장치만이 동시에 접속될 수 있다. 그로 인해, 프린터에 대한 전원이 턴오프되는 경우에서도, 프린터는 블루투스를 통해 외부 통신 장치와 접속된 채로 유지되고, 이는 다른 단말기가 블루투스를 통해 프린터에 접속하는 것을 억제하는 문제를 초래한다. 블루투스 이외의 통신 방식에 있어서도, 접속 상태를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을 감안해서 이루어지며, 접속 상태를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제공되며, 이 통신 장치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1 통신부; 및 통신 장치가 전원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미리 결정된 조건 하에서 통신 장치를 전원 온하는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정기를 포함하고, 제1 통신부는, 제1 결정기가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전원 오프 지시에 응답하여, BLE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확립된 외부 장치와의 접속을 절단하고, BLE 통신 방식에 기초하는 응답이 수신될 수 있게 하는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통신 장치(151)의 조작/표시부(160)의 화면 표시의 일례로서 홈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상이한 기능들을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c는 전원 설정을 선택했을 때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서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서의 블루투스를 통한 접속 처리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서의 블루투스를 통한 절단 처리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서의 전원 오프 상태가 검출될 때 수행되는 블루투스를 통한 절단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GATT의 데이터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의 전원 온 상태 하에서 블루투스를 통한 절단 처리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9는 애드버타이즈 패킷(애드버타이즈 정보)의 구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의 일반적인 지식에 기초하여 전술된 실시예들에 대해 적절히 이루어진 변경들 및 개량들도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정보 처리 장치 및 통신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실시예에서 스마트폰에 의해 예시된다. 그러나, 제1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 단말기, 랩톱 PC, 태블릿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디지털 카메라 및 다른 다양한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통신 장치는 제1 실시예에서 프린터에 의해 예시된다. 그러나, 제1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정보 처리 장치로/로부터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통신 기능을 갖는 장치인 한, 다양한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프린터들은, 잉크젯 프린터, 풀컬러 레이저 빔 프린터 및 모노크롬 프린터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는 프린터뿐만 아니라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휴대 단말기, 스마트폰, 랩톱 PC, 태블릿 단말기, PDA, 디지털 카메라, 음악 재생 디바이스 및 텔레비전 세트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는 복사 기능, FAX 기능, 인쇄 기능 등의 복수의 기능을 갖는 복합기(MFP)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와, 정보 처리 장치로/로부터 통신가능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또는 통신 시스템에 대해서 도 1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는 이하의 구성을 예로서 취하는 것에 의해 설명된다. 그러나, 제1 실시예는 통신 장치로/로부터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기능들에 특별히 한정을 부과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다.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
제1 실시예의 정보 처리 장치(101)는, 입력 인터페이스(102), CPU(103), ROM(104), RAM(105), 외부 저장 장치(106), 출력 인터페이스(107), 조작/표시부(108), 통신부(109),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 및 촬영 장치(111)를 포함한다. 스마트폰과 같은 디바이스가 정보 처리 장치(101)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가정하지만,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1)는, 퍼스널 컴퓨터, 소위 태블릿 단말기, 또는 통신 기능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일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02)는, 사용자로부터의 데이터 입력 및 동작 지시를 수신하고, 물리 키보드, 버튼, 또는 터치 패널을 포함한다. 출력 인터페이스(107)와 입력 인터페이스(102)는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고, 화면을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동일한 구성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CPU(103)는 시스템 제어기이며, 정보 처리 장치(101) 전체를 제어한다. ROM(104)은, CPU(103)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들, 데이터 테이블들, 및 미리 설치된 오퍼레이팅 시스템(이하, OS로서 지칭됨)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고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ROM(104)에 저장되는 각각의 제어 프로그램들이 ROM(104)에 저장되는 미리 설치된 OS의 관리 하에서, 스케줄링, 태스크 스위칭, 및 인터럽션 처리 등의 소프트웨어 실행을 제어한다.
RAM(105)은, 백업 전원을 필요로 하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으로 형성된다. RAM(105)은, 데이터 백업용의 1차 전지(도시하지 않음) 때문에 데이터를 보유하고, 따라서, 프로그램제어 변수들을 포함하는 중요한 데이터를 휘발시키지 않고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1)에서의 설정 정보 및 정보 처리 장치(101)에서의 관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영역이 RAM(105)에 제공된다. RAM(105)은, CPU(103)의 메인 메모리와 워크 메모리로서 또한 사용된다.
외부 저장 장치(106)는, 인쇄 실행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후, "인쇄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지칭됨)을 실현하기 위한, CPU(103)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외부 저장 장치(106)는, 통신 장치(151)에 의해 해석될 수 있는 인쇄 정보를 생성하는 인쇄 정보 생성 프로그램 및 통신부(109)를 통해 접속되는 통신 장치(151)로/로부터 정보를 송신/수신하는 정보 송신/수신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상이한 종류의 프로그램들을 추가로 저장한다. 외부 저장 장치(106)는 이 프로그램들이 사용하는 상이한 종류의 정보를 또한 저장한다. 또한, 외부 저장 장치(106)는 통신부(109)를 통해 다른 정보 처리 장치 또는 인터넷으로부터 얻은 화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출력 인터페이스(107)는, 데이터를 표시하고 정보 처리 장치(101)의 상태를 통지하도록 조작/표시부(108)를 제어한다.
조작/표시부(108)는, LED(발광 다이오드) 또는 LCD(액정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조작/표시부(108)는 데이터를 표시하고 정보 처리 장치(101)의 상태를 통지한다. 수치 입력 키, 모드 설정 키, OK 키, 취소 키 및 전원 키를 포함하는 키들이 제공된 소프트웨어 키보드가 조작/표시부(108) 상에 제공되어, 이로써 조작/표시부(108)를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조작은 조작/표시부(108)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통신부(109)는, 통신 장치(151) 등의 장치에 접속되는 것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실행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51)는 인쇄 엔진을 포함하는 프린터이다. 예를 들어, 통신부(109)는, 통신 장치(151) 내에 포함되는 액세스 포인트(도시하지 않음)에 접속가능하다. 통신부(109)가 통신 장치(151) 내에 포함되는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는 경우,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는 서로로/서로로부터 통신 가능하게 된다. 통신부(109)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 장치(151)로/로부터 직접 통신할 수 있거나, 정보 처리 장치(101) 또는 통신 장치(151)의 외부에 제공되는 외부 액세스 포인트(액세스 포인트(131))를 통해 통신 장치(151)로/로부터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방식의 예들은, IEEE 802.11 시리즈(IEEE 802.11a, IEEE 802.11b 및 IEEE 802.11g를 포함함)에 준거한 Wi-Fi(Wireless Fidelity)(등록 상표) 및 블루투스를 포함한다. 액세스 포인트(131)의 예들은, 무선 LAN 라우터 등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가 외부 액세스 포인트의 중개 없이 서로 직접 접속하는 방식을 "다이렉트 접속 방식"으로서 지칭한다.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가 외부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접속하는 방식을 "인프라스트럭처 접속 방식"으로서 지칭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는, 통신 장치(151)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장치에 근거리에서 무선 접속되는 것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이며, 통신부(109)의 통신 방식과 상이한 통신 방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는, 통신 장치(151) 내에 포함된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에 접속가능하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미리 결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거리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방식을 나타낸다. 제1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의 통신 방식으로서, BLE가 사용된다.
촬영 장치(111)는 촬영 요소가 취득한 화상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디지털 데이터는, 일시적으로 RAM(105)에 저장된 후, CPU(103)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미리 결정된 화상 포맷으로 변환되고, 화상 데이터로서 외부 저장 장치(106)에 저장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151)는, ROM(152), RAM(153), CPU(154), 인쇄 엔진(155), 통신부(156),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 입력 인터페이스(158), 출력 인터페이스(159) 및 조작/표시부(160)를 포함한다. 통신 장치(151)는 MFP와 같은 디바이스인 것으로 가정하지만, MFP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51)는, 단일-기능 프린터, 스캐너 등의 입력/출력 디바이스뿐만아니라, 스토리지 장치, 또는 특정한 기능을 갖는 전용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제2 통신부의 일례인 통신부(156)는, 통신 장치(151) 내에 포함된 액세스 포인트로서, 정보 처리 장치(101) 등의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액세스 포인트는, 정보 처리 장치(101)의 통신부(109)에 접속가능하다. 통신부(156)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정보 처리 장치(101)로/로부터 직접 통신할 수 있거나, 내장(built-in) 액세스 포인트 대신에 외부 액세스 포인트(131)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101)로/로부터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의 예들은, IEEE 802.11 시리즈(IEEE 802.11a, IEEE 802.11b, 및 IEEE 802.11g)에 준거한 Wi-Fi 및 블루투스를 포함한다. 통신부(156)는 또한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하는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거나, 통신부(156)가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하게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할 수 있다.
RAM(153)은, 백업 전원을 필요로 하는 DRAM으로 형성된다. RAM(153)은, 데이터 백업용의 전원(도시하지 않음)이 공급됨으로써 데이터를 보유한다. 그로 인해, RAM(153)은, 프로그램 제어 변수들을 포함하는 중요한 데이터를 휘발시키지 않고 저장할 수 있다. RAM(153)은, 또한 CPU(154)의 메인 메모리와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되고,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수신한 인쇄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수신 버퍼 및 상이한 종류의 정보를 저장한다.
ROM(152)은, CPU(154)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들, 데이터 테이블들, 및 OS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고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ROM(152)에 저장되는 각각의 제어 프로그램들은, ROM(152)에 저장되는 미리 설치된 OS의 관리 하에서, 스케줄링, 태스크 스위칭 및 인터럽션 처리 등의 소프트웨어 실행을 제어한다. 이 제어 프로그램은, 또한 예를 들어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절차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포함한다. 또한, 통신 장치(151)에서의 설정 정보, 통신 장치(151)에서의 관리 데이터 등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동안 보유할 필요가 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영역이 ROM(152)에 제공된다. CPU(154)는, 시스템 제어기이며, 통신 장치(151) 전체를 제어한다.
인쇄 엔진(155)은, RAM(153)에 저장되는 정보 또는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수신한 인쇄 작업에 기초하여, 잉크 등의 기록제를 사용해서 종이 시트 등의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고, 인쇄 결과를 출력한다. 이때,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송신되는 인쇄 작업은 큰 송신 데이터 양을 갖고, 고속 통신을 필요로 한다. 그로 인해, 인쇄 엔진(155)은,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보다 고속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156)를 통해 인쇄 작업을 수신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입력 인터페이스(158)는, 사용자로부터의 데이터 입력 및 동작 지시를 수신하고, 전원 키 등의 물리 키들, 물리 키보드, 버튼, 또는 터치 패널을 포함한다. 출력 인터페이스(159)와 입력 인터페이스(158)는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고, 화면을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동일한 구성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159)는, 조작/표시부(160)가 데이터를 표시하고 통신 장치(151)의 상태를 통지하도록 제어한다.
조작/표시부(160)는, LED(발광 다이오드) 또는 LCD(액정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조작/표시부(160)는 데이터를 표시하고 통신 장치(151)의 상태를 통지한다. 수치 입력 키, 모드 설정 키, OK 키, 취소 키 및 전원 키를 포함하는 키들이 제공된 소프트웨어 키보드가 조작/표시부(160) 상에 제공되어, 이로써 조작/표시부(16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예]
도 2a 내지 도 2c는, 통신 장치(151)의 조작/표시부(160)의 화면 표시의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2a는, 통신 장치(151)가 전원 온된 후에 인쇄, 스캔 등의 동작이 대기 중인 상태(아이들(idle) 상태)에서의 홈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키 조작 또는 터치 패널 조작을 통해 복사, 스캐닝, 인터넷 통신을 이용한 클라우드 기능에 대한 메뉴 표시, 각종 설정들 및 기능 실행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기능들과 상이한 기능들은, 키 조작 또는 터치 패널 조작을 통해 도 2a의 홈 화면으로부터 천이하도록 야기되는 것에 의해 끊김 없이(seamlessly) 표시될 수 있다. 도 2b는, 상이한 기능들의 예이며, 인쇄 및 LAN 설정이 실행될 수 있게 하고 전원 설정이 변경될 수 있게 하는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c는, 도 2b의 화면에서, 전원 설정을 선택했을 때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c의 화면은 자동 전원 온 기능 및 자동 전원 오프 기능 설정들이 변경될 수 있게 한다. 도 2c에서는, 전원 설정에서, 240분 후에 트리거되는 자동 전원 오프 및 자동 전원 온이 선택된다. 즉, 도 2c의 경우, 자동 전원 오프 기능 및 자동 전원 온 기능은 양쪽 모두 “유효”로 설정된다. 도 2a 내지 도 2c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행되는 설정들은 예를 들어 RAM(153) 또는 ROM(152)에 저장된다.
“자동 전원 오프 기능이 유효인 것”으로 설정 하에서는, 자동으로 통신 장치(151)가 전원 오프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외부로부터 발신된 동작 요구가 없고 인쇄 기능 및 판독 기능을 포함하는 각 기능들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 미리 결정된 조건이 만족될 때, 전원 키가 눌러지지 않아도, 자동으로 전원이 오프 상태가 된다.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인 것”으로 설정 하에서는, 통신 장치(151)가 미리 결정된 조건을 만족할 때, 전원 키가 눌러지지 않아도, 자동으로 통신 장치(151)가 전원 온 상태가 된다. 미리 결정된 조건의 예들은 통신 장치(151)가 인쇄 작업 또는 인쇄를 위한 지시를 수신한 경우 및 통신 장치(151)가 통신 장치(151)에 대한 기동 지시 또는 기동을 위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를 포함한다. 전원 온 상태는, 통상 전력 상태(통상 전력 모드)를 나타내고, 여기서 통신 장치(151)의 각 컴포넌트들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 전원 온 상태 하에서는, 인쇄 기능을 포함하는 모든 통신 장치(151)의 기능이 실행가능하다.
통신 장치(151)의 전원 오프 상태는 엄밀히, 모든 요소(유닛들)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가 아니다. 즉, 인쇄 엔진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지만, 적어도 통신 장치(151)의 메인 CPU(CPU(154))에는 전력이 공급되어, 전원 키의 누름이 검출될 수 있게 한다. 자동 전원 오프 기능에 의해 트리거되는 전원 오프 상태와, 사용자의 전원 키 누름에 의한 전원 오프 상태는,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인지 여부에 따라, 전원 오프 상태에서의 전력 공급 상태가 상이하다는 점을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인 경우의 전원 오프 상태 하에서는, CPU(154)뿐만 아니라, 외부로/로부터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에도 전력이 공급된다(즉,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가 기동하고 있음). 한편, 자동 전원 온 기능이 무효가 되도록 설정되는 경우의 전원 오프 상태 하에서는, 외부로/로부터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통신 장치(151)가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가 되도록 설정된 경우의 전원 오프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CPU(154)는 AC 플러그가 플러그되고 있는 상태 하에서, 전원 키의 누름, 외부로부터의 통신 또는 조작 요구를 기다린다. 따라서, 이 경우의 전원 오프 상태는, “전력 절약 상태(통상 전력 상태에서 보다 작은 전력 소비를 나타냄)”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인 경우의 전원 오프 상태 하에서는, BLE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에도 전력이 공급된다. 무선 LAN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156)에 대해서도, 무선 LAN 기능이 온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인 경우의 전원 오프 상태 하에서 전력 공급된다. 단, 무선 LAN 기능이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통신부(156)에는 전력 공급되지 않는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에 대해서는 통신부(156)와 동일한 방식으로, BLE 통신 기능이 오프로 설정된 경우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의 개요]
제1 통신부의 일례인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의 상세를 도 3에 도시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정보 처리 장치(101) 등의 장치에 근거리에서 무선 접속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제어하고, 따라서 통신 제어기로서 인식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의 통신 방식으로서, BLE가 사용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와 CPU(154)는, I2C 등의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로/서로로부터 통신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CPU(201), 저장 영역 202, ROM(203) 및 RAM(204)을 포함한다. 저장 영역(202)은, 예를 들어, CPU(154)에 액세스가능한 RAM에 제공되는 영역이다. 저장 영역(202)은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101)에 액세스가능하다. RAM(204)은, 백업을 필요로 하는 DRAM으로 형성된다. RAM(204)은, 데이터 백업용의 전원(도시하지 않음)이 공급됨으로써 데이터를 보유하고, 따라서, 프로그램 제어 변수들을 포함하는 중요한 데이터를 휘발시키지 않고 저장할 수 있다. RAM(204)은, 또한 CPU(201)의 메인 메모리와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ROM(203)은, CPU(201)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들, 데이터 테이블들 및 OS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고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통신 장치(151)에는, 외장형 HDD 및 SD 카드 등의 저장 디바이스가 옵션 디바이스로서 장착될 수 있다. 통신 장치(151)에 저장되는 정보는,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예로서 처리 기능들이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에 분담되는 방법을 전술하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분담 패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른 패턴이 이용될 수 있다.
[애드버타이즈 패킷(애드버타이즈 정보)의 개요]
BLE 규격 하에서 사용되는 애드버타이즈 패킷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BLE를 통한 통신의 초기 단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변 디바이스(본 예에서는 통신 장치(151))는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검출하는 중앙 디바이스(본 예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1))가 애드버타이즈 패킷의 내용을 검사한다. 중앙 디바이스는, 접속되기 위해, 접속 요구 패킷을 송출해서 접속 상태로 진입한다.
도 9는, 주변 디바이스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가, 통신 장치(151)의 주변에 브로드캐스트하는 애드버타이즈 패킷(애드버타이즈 정보)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주변 디바이스는, 애드버타이즈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애드버타이즈 구간에서 주기적으로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주변에 브로드캐스트한다. 애드버타이즈 패킷은, 헤더(901)와 페이로드(902)를 포함한다. 중앙 디바이스는,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주변 디바이스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다. 애드버타이즈 패킷의 PDU 헤더(PDU 헤더(901))는 애드버타이즈 패킷의 타입을 지정하는 Adv PDU 정보 및 페이로드(902)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Adv PDU 정보에서는, ADV_IND, ADV_DIRECT_IND, ADV_NONCONN_IND 및 ADV_SCAN_IND를 포함하는 4개 타입 중 어느 하나가 지정된다.
ADV_IND 또는 ADV_SCAN_IND의 PDU 정보가 지정된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송신한 경우, 주변 디바이스는 중앙 디바이스로부터의 접속 요구 또는 스캔 요구를 수신하기 위해서 일정 시간 기간 동안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주변 디바이스는, 대기 상태 하에서 스캔 요구를 수신하는 경우, 스캔 응답 정보를 송신한다. 그 후, 주변 디바이스는, 이 스캔 응답 정보를 수신한 중앙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접속 요구 정보에 응답함으로써, 중앙 디바이스와 접속 상태가 된다. 스캔 응답 정보는, 기본적으로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스캔 응답 정보의 헤더(901)에 포함되는 PDU 타입은 SCAN_RSP이다.
ADV_NONCONN_IND가 지정된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송신한 경우, 주변 디바이스는 중앙 디바이스로부터의 접속 요구 또는 스캔 요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진입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중앙 디바이스로부터 접속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도, 주변 디바이스는 응답을 반환하지 않고, 따라서 중앙 디바이스와 접속 상태로 진입하지 않는다. 나머지 타입, 즉 ADV_DIRECT_IND는 제1 실시예에 관한 것이 아니며, 따라서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페이로드(902)는, 식별 정보로서 역할을 하는 디바이스 명(903) 및 BLE를 통해 통신 장치(151)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정보(904)를 포함하는 로딩 프로파일 정보 및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송신 전력(Tx power)(905)을 저장한다. 통신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906)는 애드버타이즈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통신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906)는, 통신 장치의 MAC 어드레스, 통신 장치에 대한 서비스 정보, 통신 장치에 제공되는 조작 패널(조작 화면)의 유 또는 무, 및 통신 장치 내에 포함되는 액세스 포인트의 SSID 및 패스워드에 대응한다. 스캔 응답 정보의 페이로드(902)에 저장되는 정보는, 필요에 따라서 애드버타이즈 정보와 상이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애드버타이즈 정보(애드버타이즈 패킷)와 스캔 응답 정보(SCAN_RSP)가 개별적으로 전술된다. 그러나, 스캔 응답 정보는, 기본적으로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1 애드버타이즈 정보에 응답하여 송신되는 스캔 요구 정보는 "제2 애드버타이즈 정보"로서 또한 지칭된다. 예를 들어, 제1 애드버타이즈 정보는, 통신 장치(151)의 IP 어드레스, 인쇄에 사용되는 포트, 특정한 인쇄 서비스를 나타내는 정보,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송신 전력에 관한 정보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제2 애드버타이즈 정보는, 통신 장치(151)에 대한 식별 정보(UUID) 및 통신 장치(151)에 제공되는 기능들 및 하드웨어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조작 패널이 제공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조작 패널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한 구성의 경우, 예를 들어 인쇄 애플리케이션은, 제2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핸들링하도록 설계된다. 그로 인해, 이하의 설명에서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핸들링하는 애드버타이즈 정보는, 제2 애드버타이즈 정보이다.
[GATT 통신의 개요]
이어서, BLE 규격 하에서의 GATT(Generic Attribute Profile)를 통한 통신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 BLE 규격 하에서의 “접속"은 GATT 통신을 통한 접속을 의미한다.
GATT는 데이터의 전송원과 전송처에 기초하여 이하의 2개의 역할을 정의한다.
(1)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구를 송신하고, 서버로부터 응답을 수신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1)가 GATT 클라이언트로서 역할을 한다.
(2) 서버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를 수신하면, 서버는 응답을 반환한다. 제1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151)가 GATT 서버로서 역할을 한다.
GATT 서버는, 데이터 또는 상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이다. GATT 클라이언트는, GATT 서버로/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기입할 수 있다.
이어서, GATT의 데이터 포맷에 대해서 설명한다. GATT의 데이터는, "서비스", "캐릭터리스틱" 및 "디스크립터"라고 불리는 3개의 요소를 포함한다. 이들 3개의 요소 사이의 관계를 도 7에 나타내지만, 디스크립터는 생략될 수 있다.
서비스, 캐릭터리스틱 및 디스크립터는, 32자리의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에 의해 각각 식별될 수 있다. 단, 블루투스 SIG 표준에 의해 정의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4자리로 표현된다. UUID는, 소프트웨어 상에서 오브젝트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서 사용된다. UUID는 128비트 수치를 갖지만, 일반적으로 16진법수로서 예를 들어, 550e8400-e29b-41d4-a716-446655440000로서 표현된다.
캐릭터리스틱은, 각각의 캐릭터리스틱마다 단일 값을 갖는다. 디스크립터는, 캐릭터리스틱에 부가 정보가 필요할 때에 사용되는 속성 값을 갖는다. 서비스, 캐릭터리스틱 및 디스크립터는, 각각, GATT 클라이언트에 대해 설정된 판독/기입 속성 및 시큐리티 속성 집합을 가질 수 있다.
GATT 클라이언트는, 서비스 및 캐릭터리스틱 각각의 UUID를 지정함으로써, 각각의 캐릭터리스틱의 값으로부터/값으로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기입할 수 있다. 단, 데이터가 판독되거나 기입될 수 있는지 여부는, 서비스 및 캐릭터리스틱 각각에 설정된 판독/기입 속성 집합에 좌우한다.
이어서, BLE에서의 페어링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캐릭터리스틱에 설정된 시큐리티 속성 집합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캐릭터리스틱이 페어링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캐릭터리스틱에 설정된 시큐리티 속성 집합이 페어링을 필요로 하는 경우, 대응하는 캐릭터리스틱이 판독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우에도, 페어링이 실시되지 않는 한, 데이터는 판독될 수 없다. 시큐리티 속성에 대응하는 BLE 통신을 확립시키기 위해서, BLE의 본체와 별체는 서로 등록하고 키를 교환 또는 저장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절차는 “페어링”이라고 불린다.
[처리 시퀀스의 개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통신 장치(151),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 및 정보 처리 장치(101)에 의해 수행되는 애드버타이즈 패킷에 대한 송신 처리, 접속 처리 및 절단 처리의 시퀀스들을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서, 통신 장치(151)는 주변 디바이스에 대응하고, 정보 처리 장치(101)는 중앙의 역할에 대응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통신 장치(151) 내에 포함되지만, 이하의 설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통신 장치(151)와 별개로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도 4 및 도 5에서 통신 장치(151)는, 통신 장치(151) 내에 포함되는 CPU(154)를 나타낸다. 따라서, 도 4 및 도 5는, 통신 장치(151)의 CPU(154)와, 통신 장치(151)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와, 정보 처리 장치(101) 사이의 처리 시퀀스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는 통신 장치(151)와 정보 처리 장치(101) 사이에 수행되는 BLE를 통한 접속 처리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처리는, 예를 들어 통신 장치(151) 내에 포함된 CPU(154), 통신 장치(151)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 내에 포함된 CPU(201), 및 정보 처리 장치(101) 내에 포함된 CPU(103) 각각이, ROM, RAM 등의 저장 영역에 저장되는 상이한 종류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먼저, 통신 장치(151)와 정보 처리 장치(101)는 미접속 상태에 있다.
단계 S401에서, 통신 장치(151)가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에 대하여 ADV_IND 타입을 갖는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송신하라고 요구한다. 송신 요구를 수신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단계 S402에서 ADV_IND 타입을 갖는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송신을 개시(브로드캐스트)하고, 패킷을 송신한 후에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접속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단계 S402의 일련 처리를 주기적으로 실시한다.
단계 S403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단계 S402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송신하고,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접속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정보 처리 장치(101)가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검출한다. 정보 처리 장치(101)는,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송신한 디바이스(통신 장치)가 접속될 디바이스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404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에 대하여 접속 요구 정보를 송신한다. 정보 처리 장치(101)는, 수신한 애드버타이즈 패킷이 이 디바이스가 미리 결정된 통신 장치(151)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송신한 디바이스가 접속될 디바이스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접속 대기 구간 동안 접속 요구 정보를 수신한 경우, 단계 S405에서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정지하고, 단계 S406에서 정보 처리 장치(101)와의 접속을 위한 접속 처리를 실시한다. 단계 S406의 접속 처리가 완료된 경우(GATT 통신을 통한 접속이 확립된 경우), 단계 S407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통신 장치(151)에 대하여 접속 통지를 발행한다.
이 경우, 한 번에 단지 1쌍만이 통신에 서로 접속되도록 허용되고, 따라서,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접속 대기 상태를 수반하지 않는 ADV_NONCONN_IND 타입을 갖는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송신 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단계 S408에서 통신 장치(151)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에 대하여 ADV_NONCONN_IND 타입을 갖는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송신하라고 요구한다. 송신 요구를 수신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단계 S409에서 ADV_NONCONN_IND 타입을 갖는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송신하기를 개시한다. 패킷을 송신한 후,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정보 처리 장치(101)에 대해 접속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피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단계 S409의 일련 처리를 주기적으로 실시한다.
도 5는 통신 장치(151)와 정보 처리 장치(101) 사이에 수행되는 BLE를 통한 절단 처리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통신 장치(151) 내에 포함되지만, 이하의 설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도 4와 동일한 방식으로, 통신 장치(151)와 별개로 나타낸다. 즉, 도 5는, 통신 장치(151)의 CPU(154)와, 통신 장치(151)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와, 정보 처리 장치(101) 사이의 처리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처리는, 예를 들어 통신 장치(151) 내에 포함된 CPU(154), 통신 장치(151)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 내에 포함된 CPU(201), 및 정보 처리 장치(101) 내에 포함된 CPU(103) 각각이, ROM, RAM 등의 저장 영역에 저장되는 상이한 종류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통신 장치(151)와 정보 처리 장치(101)는 접속 상태에 있고, 따라서 단계 S501에서 통신 장치(151)가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에 대하여 ADV_NONCONN_IND 타입을 갖는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송신하라고 요구한다. 송신 요구를 수신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단계 S502에서 ADV_NONCONN_IND 타입을 갖는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송신하기를 개시한다. 패킷을 송신한 후,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접속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것을 피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단계 S502의 일련 처리를 주기적으로 실시한다. 단계 S503에서, 단계 S502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애드버타이즈 패킷에 대한 송신 처리를 실시한다.
이때, 정보 처리 장치(101)가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검출한다. 그것이 절단될 디바이스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단계 S504에서 정보 처리 장치(101)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에 대하여 절단 요구(disconnection request) 정보를 송신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절단 요구 정보를 수신한 경우, 단계 S505에서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정지하고, 단계 S506에서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절단하기 위한 절단 처리를 실시한다.
단계 S506의 절단 처리가 완료된 경우, 단계 S507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통신 장치(151)에 대하여 절단 통지를 발행한다. 절단 후에, 다시 BLE를 통한 접속이 허용되고, 따라서 접속 대기 상태를 수반하는 ADV_IND 타입을 갖는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송신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단계 S508에서 통신 장치(151)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에 대하여 ADV_IND 타입을 갖는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송신하라고 요구한다. 송신 요구를 수신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단계 S509에서 ADV_IND 타입을 갖는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송신하기를 개시한다. 패킷을 송신한 후,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접속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단계 S509의 일련 처리를 주기적으로 실시한다.
이러한 경우, 예로서 정보 처리 장치(101),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 및 통신 장치(151)에 의해 수행되는 애드버타이즈 패킷에 대한 송신 처리, 접속 처리 및 절단 처리를 전술하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분담 패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른 패턴이 이용될 수 있다.
[전원 오프 처리]
도 6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관한 처리가 설명된다. 도 6은, 통신 장치(151)의 전원 오프 검출 처리의 시퀀스를 나타낸다. 전원이 턴오프될 때에는, 도 6의 절차를 실행한 후에 통신 장치(151)가 전원 오프된다. 본 처리는, 예를 들어 통신 장치(151) 내에 포함된 CPU(154)와, 통신 장치(151)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 내에 포함된 CPU(201) 각각이, ROM, RAM 등의 저장 영역에 저장되는 상이한 종류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즉, 이들의 CPU가 전원 제어기로서 기능한다.
단계 S601에서, 통신 장치(151)의 CPU(154)는 전원 오프 요구를 검출한다. 사용자가 통신 장치(151)의 전원 버튼을 누른 경우의 요구, 및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의 경과 후에 자동 전원 오프 기능이 실시된 경우의 요구를 포함하는 모든 전원 오프 요구가 검출된다. 도 6의 절차는, 전원 오프 요구의 검출의 트리거로 개시될 수 있다.
전원 오프 요구가 검출된 후, 단계 S602에서, 통신 장치(151)의 제1 결정기로서 기능하는 CPU(154)는,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인 것 그리고 "무효"인 것을 판정하기 위해 자동 전원 온 기능의 설정 값을 참조한다. 자동 전원 온 기능이 무효인 경우, CPU(154)는, 도 6의 처리를 종료하고, (메인 CPU에는 전력 공급은 유지한 채) 통신 장치(151)를 전원 오프한다. 즉, 단계 S602에서,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가 아닌 것(즉, 자동 전원 온 기능은 무효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CPU(154)는, 도 6의 단계 S603 내지 단계 S606을 실시하지 않고 도 6의 시퀀스를 종료한다. 그 후, CPU(154)는, 통신 장치(151)의 통상 전원 오프 처리(제1 전원 오프 처리)를 실시한다. 제1 전원 오프 처리의 경우, CPU(154)에는 전력이 공급되지만,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를 사용하는 BLE 통신은 정지되고, 이는 또한 애드버타이즈 정보의 송신 및 GATT 통신을 억제한다. 한편,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인 경우, 절차는 단계 S6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603에서는, 통신 장치(151)의 제2 결정기로서 기능하는 CPU(154)는, 전원이 턴오프되도록 요구하는 방법을 판정한다. 즉, CPU(154)는 단계 S601에서 검출한 전원 오프 지시가 무엇을 트리거하는지 판정할 수도 있다. 전원이 턴오프하도록 요구하는 방법의 예들은, 시간 기간의 경과 후에 자동 전원 오프 기능의 실행과, 사용자가 통신 장치(151)의 전원 버튼을 누르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 S603의 판정이 "아니오"가 되는 경우, 즉 시간 기간의 경과 후에 자동 전원 오프 기능이 실시된 경우에는, CPU(154)는 도 6의 단계 S604 내지 단계 S606을 실시하지 않고 시퀀스를 종료한다. 이는, 사용자가 통신 장치(151)를 사용 예정인데도 사용자의 의도에 반대로 전원이 턴오프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를 사용한 BLE 접속이 활성인 경우 그것이 BLE 접속을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도 6의 처리 후, 전원 제어기로서 기능하는 CPU(154)는, 제2 전원 오프 처리를 실행한다. 제2 전원 오프 처리에 있어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에의 전력 공급은 유지된다. 즉,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인 경우의, 자동 전원 오프 기능에 의한 전원 오프 처리(제2 전원 오프 처리)에서는, CPU(154)뿐만 아니라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에도 전력이 공급된다. 요컨대, 통신 장치와 외부 디바이스 사이에서 BLE 접속은 허용된다. 따라서, 제2 전원 오프 상태는, “전력 절약 모드”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단계 S603에서, CPU(154)가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한 전원 오프 요구가 발행된 것으로 판정한 경우, 절차는 단계 S604로 진행한다. 이는, 사용자가 통신 장치(151)를 사용하기를 정지한다는 명확한 의사를 갖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계 S604에서는, 통신 장치(151)의 CPU(154)는,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가 BLE 접속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GATT 통신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CPU(154)가 단계 S604에서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가 BLE 접속 상태에 있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CPU(154)는, 단계 S605 및 단계 S606을 실행하지 않고 도 6의 처리를 종료한다. 그 후, CPU(154)가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에의 전력 공급을 유지한 채 제2 전원 오프 처리를 실행한다.
CPU(154)가 단계 S604에서,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가 BLE 접속 상태(GATT 통신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절차는 단계 S605로 진행한다.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통신 장치(151)가 전원 오프될 때에도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을 사용한 통신은 활성이다. 그로 인해, 사용자는 통신 장치(151)의 전원 버튼 누름에 의해 통신 장치(151)를 전원 오프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를 사용한 BLE 접속은 유지된다. 그 결과, 접속에 대한 절단 처리를 실시하지 않으면 정보 처리 장치(101)와의 접속 상태가 유지되고, 이는 다른 외부 통신 장치와의 접속 처리가 실시되는 것을 억제한다.
CPU(154)가 단계 S604에서 정보 처리 장치(101)와 통신 장치(151)가 BLE 접속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단계 S605에서, CPU(154)로부터 수신된 절단 요구에 기초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의 CPU(201)는, 정보 처리 장치(101)와의 BLE 접속을 절단한다.
단계 S606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의 CPU(201)는, ADV_IND 타입을 갖는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발신한다. 즉, 접속 요구를 대기하는 것(즉 접속을 대기하는 것)을 나타내는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한다. ADV_IND의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발신함으로써, 통신 장치(151)는 접속 대기 상태로 천이하도록 허용되고, 따라서 BLE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101) 이외의 외부 장치에 접속될 수 있다. 단계 S606 및 후속 단계들에서, 도 4에 도시한 단계 S404 및 후속 단계들의 처리에서, 정보 처리 장치(101) 이외의 외부 장치와의 BLE 접속이 확립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는,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에의 전력 공급이 유지된다. 즉, BLE를 통한 무선 통신의 트리거로 전원이 턴온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을 경우에는, 전원 오프 지시를 수신한 후에도,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에의 전력 공급은 유지된다.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로 설정되어 있고 자동 전원 오프 기능에 기초하는 전원 오프 지시가 수신되는 경우에,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에의 전력 공급 및 BLE 접속 상태가 유지된다.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로 설정되어 있고 전원 버튼의 조작에 기초하는 전원 오프 지시가 수신되는 경우에, 현재, BLE 접속(GATT 통신)이 활성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BLE 접속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에는, BLE 접속은 절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자동 전원 온 설정이 유효인 경우에 예를 들어 조작자가 전원 오프 조작을 수행할 때, 이미 확립되어 있는 BLE 접속은 절단되고, 이는 다른 장치와의 BLE 접속을 위한 여지를 만든다. 즉, 절단된 통신 장치는, BLE 접속(GATT 통신)이 절단된 후, ADV_IND의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고, 따라서 BLE를 통해 다른 장치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오프 상태 하에서, 무선 LAN을 통한 접속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156)는, BLE 접속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의 동작과 달리, 이하의 동작을 수행한다. 즉,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이고 무선 LAN 기능이 유효인 경우에서의 전원 오프 상태 하에서는, 통신부(156)는 일시적으로 재기동하고, 재기동 후에 무선 LAN 기능이 동작되도록 허용된다. 재기동이 완료될 때까지는 통신부(156)가 비컨을 송신하는 것이 억제된다.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이고 무선 LAN 기능이 무효인 경우에서의 전원 오프 상태 하에서는, 통신부(156)가 제1 장소에서 정지 상태에 있고, 따라서 그 정지 상태가 유지된다. 자동 전원 온 기능이 무효이고 무선 LAN 기능이 유효인 경우에서의 전원 오프 상태 하에서는, 통신부(156)에의 전력 공급은 정지되고, 통신부(156)는 통신을 수행하기를 정지한다. 자동 전원 온 기능이 무효이고 무선 LAN 기능도 무효인 경우에서의 전원 오프 상태 하에서는, 통신부(156)가 제1 장소에서 정지 상태에 있고, 따라서 그 정지 상태가 유지된다. 요컨대, 통신부(156)에 전력을 공급할지 여부는,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인지 여부 그리고 무선 LAN 기능이 유효인지 여부에 좌우된다.
[제2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신 장치(151) 및 정보 처리 장치(101)의 구성들 및 그 사이의 접속의 처리 흐름은 제1 실시예의 것들과 동일하고, 따라서 설명들을 생략한다. 제1 실시예의 것들과 상이한 점들을 주로 후술한다. 제2 실시예는 BLE 접속에 대한 절단 처리의 흐름에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8을 참조하여, 통신 장치(151)에 의해 수행되는 BLE 접속에 대한 절단 처리에 관한 제2 실시예가 설명된다. 제1 실시예에서의 절단 처리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 장치(151)가 전원 오프 요구를 검출할 때 절단 처리를 위한 판정을 수행하는 시퀀스를 갖는다. 그러나, 제2 실시예에서는, 통신 장치(151)가 전원 온 상태에 있을 때 정보 처리 장치(101)와 절단하기 위한 절단 처리를 위한 판정이 수행된다. 도 8에서, 통신 장치(151)와 정보 처리 장치(101)는 BLE를 통해 페어링되고, 페어링을 필요로 하는 시큐리티 속성을 갖는 영역에서 GATT 통신을 수행하도록 허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8의 처리는, 예를 들어 통신 장치(151) 내에 포함된 CPU(154)와, 통신 장치(151)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 내에 포함된 CPU(201) 각각이, ROM, RAM 등의 저장 영역에 저장되는 상이한 종류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단계 S801에서, CPU(154)로부터 수신된 지시에 응답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GATT 통신을 사용해서 정보 처리 장치(101)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정보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사용자의 사용 정보로서, 사용자가 정보 처리 장치(101)를 사용하지 않고 있는 시간 기간에 대한 미사용 시간 기간 정보(사용자가 정보 처리 장치(101)를 조작하지 않는 시간 기간에 대한 정보)를 취득한다. GATT 통신이 사용자가 정보 처리 장치(101)를 조작하고 있지 않는 미사용 시간 기간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통신 장치(151)에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해 사용됨으로써, 통신 장치(151)는 정보 처리 장치(101)에 대한 미사용 시간 기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미사용 시간 기간은, 예를 들어 연속 미사용 시간 기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단 정보 처리 장치(101)가 조작된 경우에는, 그 시점부터 미사용 시간 기간을 다시 계측할 수 있다.
단계 S801에서 미사용 시간 기간 정보를 수집한 후, 단계 S802에서, 통신 장치(151) 내에 포함된 CPU(154)는, 사용자가 정보 처리 장치(101)를 사용하지 않는 미사용 시간 기간이 일정 시간 기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일정 시간 기간이 도달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의 예들은, 정보 처리 장치(101)로부터 송신된 미사용 시간 기간 정보에 기초하여 일정 시간 기간이 도달된 것으로 판정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정보 처리 장치(101)에 의해 GATT 통신을 통해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미사용 시간 기간 정보가 송신되는 것을 정지하는 시간을 측정 또는 취득함으로써, CPU(154)가 일정 시간 기간이 도달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단계 S802에서 사용자가 정보 처리 장치(101)를 사용하고 있지 않는 시간 기간이 일정 시간 기간에 도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CPU(154)는 단계 S801로 복귀하여 시간 정보를 수집한다. CPU(154)가 단계 S802에서 사용자가 정보 처리 장치(101)를 사용하지 않는 미사용 시간 기간이 일정 시간 기간에 도달한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단계 S803에서, CPU(154)로부터 수신된 절단 요구에 기초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정보 처리 장치(101)로의 BLE 접속을 절단한다.
그 후, 단계 S804에서, CPU(154)로부터 수신된 지시에 응답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부(157)는 ADV_IND 타입을 갖는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발신한다. ADV_IND 타입을 갖는 애드버타이즈 패킷을 발신함으로써, 통신 장치(151)는 접속 대기 상태로 천이하도록 허용되고, 따라서, BLE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101) 이외의 외부 통신 장치에 접속될 수 있다.
도 8의 처리 절차는 미사용 시간 기간이 일정 시간 기간에 도달했다는 사실에 의해 트리거되는 페어링의 해제에 대해서 착안한다. 단계 S801 및 단계 S802의 루프가 수행되는 동안에도, 통신 장치(151)는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1)로/로부터의 통신 및 기능들의 제공의 본래의 처리 단계들을 동시에 실행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가 통신 장치(151) 및 정보 처리 장치(101)를 사용하지 않는 상황을 판단하여, BLE를 통한 접속을 절단하고, 이는 다른 외부 통신 장치와의 접속을 허용한다. 절단 후에 다시 정보 처리 장치(101)를 사용하면, BLE를 통해 통신 장치(151)와의 재접속이 허용된다. 그로 인해, 사용자가 접속 또는 절단을 의식하게 하지 않고 BLE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는 유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 내 및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라 칭할수도 있음)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고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 처리 유닛(MPU))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판독 및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컴퓨터들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들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들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예컨대,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 상태를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들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통신 장치로서,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통신 장치가 전원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미리 결정된 조건 하에서 상기 통신 장치를 전원 온하는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정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제1 결정기가 상기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전원 오프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BLE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확립된 상기 외부 장치와의 접속을 절단하고, 상기 BLE 통신 방식에 기초하는 응답이 수신될 수 있게 하는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오프 지시가,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는 지시인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정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제2 결정기가 상기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전원 오프 지시가 상기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는 상기 지시인 것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BLE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확립된 상기 외부 장치와의 상기 접속을 절단하고, 상기 BLE 통신 방식에 기초하는 상기 응답이 수신될 수 있게 하는 상기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제1 결정기가 상기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제2 결정기가 상기 전원 오프 지시가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는 지시가 아닌 것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BLE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확립된 상기 외부 장치와의 상기 접속을 절단하는 것을 피하는,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이 수신될 수 있게 하는 상기 애드버타이즈 정보는, 상기 BLE 통신 방식에 기초하는 접속 요구가 수신될 수 있게 하는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오프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전원 오프 상태가 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전원 제어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제어기는, 상기 제1 결정기가 상기 자동 전원 온 기능이 무효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BLE 통신 방식에 기초하는 통신이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억제하는 상태인 제1 전원 오프 상태가 되게 하고,
    상기 전원 제어기는, 상기 제1 결정기가 상기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BLE 통신 방식에 기초하는 상기 통신이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게 하는 상태인 제2 전원 오프 상태가 되게 하는,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정기가 상기 자동 전원 온 기능이 무효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전원 제어기는,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전원 오프 상태가 되게 하여, 이로써 상기 제1 통신부가 상기 BLE 통신 방식에 기초하는 상기 애드버타이즈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억제하는, 통신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오프 상태는, 상기 통신 장치의 전원 버튼의 누름이 검출될 수 있게 하는 상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 오프 상태는 상기 애드버타이즈 정보가 상기 BLE 통신 방식을 통해 송신될 수 있게 하는 상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미리 결정된 조건으로서, 미리 결정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전원 온되는, 통신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는 상기 지시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전원 버튼의 누름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LE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확립되는 상기 접속은, 일반 속성 프로파일(Generic Attribute Profile)에 기초하는 접속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Wi-Fi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2 통신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로 설정되어 있고, Wi-Fi 통신 기능이 유효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전원 오프 상태인 경우에도 상기 Wi-Fi 통신 방식에 기초하는 상기 통신을 실행할 수 있게 하는, 통신 장치.
  13. 통신 장치로서,
    미리 결정된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
    상기 통신 장치가 전원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미리 결정된 조건 하에서 상기 통신 장치를 전원 온하는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정기; 및
    전원 오프 지시가,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는 지시인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정기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2 결정기가 상기 전원 오프 지시가 상기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는 상기 지시인 것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미리 결정된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확립된 상기 외부 장치와의 접속을 절단하는, 통신 장치.
  14. 통신 장치에 대한 제어 방법으로서,
    BLE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장치가 전원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미리 결정된 조건 하에서 상기 통신 장치를 전원 온하는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 전원 온 기능이 유효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전원 오프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BLE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확립된 상기 외부 장치와의 접속이 절단되고, 상기 BLE 통신 방식에 기초하는 응답이 수신될 수 있게 하는 애드버타이즈 정보가 송신되는, 제어 방법.
KR1020180071275A 2017-06-29 2018-06-21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100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27834 2017-06-29
JPJP-P-2017-127834 2017-06-29
JP2018082464A JP6494835B2 (ja) 2017-06-29 2018-04-23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JP-P-2018-082464 2018-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322A KR20190002322A (ko) 2019-01-08
KR102210020B1 true KR102210020B1 (ko) 2021-02-01

Family

ID=62814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275A KR102210020B1 (ko) 2017-06-29 2018-06-21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771648B2 (ko)
EP (1) EP3422777B1 (ko)
KR (1) KR102210020B1 (ko)
CN (1) CN1092185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0654B2 (en) * 2017-09-20 2020-02-11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JP7215055B2 (ja) * 2018-10-04 2023-01-3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170279B (zh) * 2018-12-26 2022-11-11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低功耗蓝牙的通信方法及相关装置
US10887051B2 (en) * 2019-01-03 2021-01-05 Qualcomm Incorporated Real time MIC recovery
EP3911100A4 (en) 2019-01-10 2022-01-19 Sony Group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PROGRAM
JP7210300B2 (ja) * 2019-01-23 2023-01-23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遠隔操作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416191B2 (en) 2019-02-13 2022-08-1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Function executing device for executing communication of function execution information with terminal device
US11539545B2 (en) 2019-08-19 2022-12-27 Sonos, Inc. Multi-network playback devices
US11375356B2 (en) 2019-10-02 2022-06-28 Bitstrata Systems Inc. Wireless communications protocol with disconnection tolerance
JP2021193512A (ja) * 2020-06-08 2021-12-23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40049025A (ko) * 2022-10-07 2024-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49257A1 (en) 2015-02-12 2018-02-15 Wuxi Shiling Technology Co., Ltd. Control method for rapid connection and data transmission between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6157A (ja) 2005-06-24 2007-01-11 Fuji Xerox Co Ltd 無線通信システム
CN103002159B (zh) 2012-12-25 2015-09-02 潘伟 一种手机蓝牙控制开关及控制方法
FR3022428A1 (fr) 2014-06-16 2015-12-18 Orange Technique de gestion d'un etat d'activation d'un module d'acces radio
JP6327075B2 (ja) 2014-09-08 2018-05-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機能実行機器
JP6472202B2 (ja) * 2014-10-02 2019-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並びに通信方法、通信装置並びに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89852B2 (ja) * 2015-02-02 2019-03-2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217731B2 (ja) * 2015-02-04 2017-10-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データ処理方法
JP6477133B2 (ja) * 2015-03-27 2019-03-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機器
JP6217686B2 (ja) * 2015-04-06 2017-10-2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携帯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16208418A (ja) 2015-04-27 2016-12-08 株式会社リコー 通信装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7010499A (ja) 2015-06-26 2017-0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JP6439231B2 (ja) * 2016-03-28 2018-12-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操作端末
JP2018019328A (ja) * 2016-07-29 2018-02-01 株式会社リコー 電子機器、無線通信装置、及び電力状態の制御方法
JP6914697B2 (ja) * 2017-03-31 2021-08-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49257A1 (en) 2015-02-12 2018-02-15 Wuxi Shiling Technology Co., Ltd. Control method for rapid connection and data transmission between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218552A (zh) 2019-01-15
EP3422777B1 (en) 2020-10-28
KR20190002322A (ko) 2019-01-08
EP3422777A1 (en) 2019-01-02
US11212410B2 (en) 2021-12-28
US20190007574A1 (en) 2019-01-03
CN109218552B (zh) 2020-12-01
US20210099600A1 (en) 2021-04-01
US10771648B2 (en) 202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0020B1 (ko)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39796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125892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7230124B2 (ja) プログラム、通信装置、制御方法
CN105848191B (zh) 通信装置及控制方法
CN108694027B (zh) 信息处理装置的控制方法及信息处理装置
US1095847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JP6776055B2 (ja) 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494835B2 (ja)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866209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7277743B (zh) 通信***、通信装置和控制方法
CN110784855A (zh) 通信装置和控制方法
KR20140044236A (ko)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
CN111506274B (zh) 信息处理装置和控制方法
JP6674413B2 (ja)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