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1407A - 관부재를 연결대상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관부재를 연결대상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407A
KR20160031407A KR1020150110531A KR20150110531A KR20160031407A KR 20160031407 A KR20160031407 A KR 20160031407A KR 1020150110531 A KR1020150110531 A KR 1020150110531A KR 20150110531 A KR20150110531 A KR 20150110531A KR 20160031407 A KR20160031407 A KR 20160031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member
sleeve
connector body
hous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5561B1 (ko
Inventor
츠요시 오카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60031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16L37/08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with access to the split elastic ring from a radial or tangential opening in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16L37/14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the securing element being U-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과제] 관부재를 연결대상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조에 있어서, 한번 연결을 해제하면 커넥터를 재이용할 수 없어, 사용자 자신에 의한 관부재의 분리 및 장착 작업의 실시를 방지할 수 있는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연결시에 관부재(6,86)의 걸림부(72,94)를 걸어 고정하는 로크부재(12)는 커넥터 본체(10)의 내주면 측에 배치되어 있어, 외부에서는 해제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에는 소정값 이상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 우선적으로 파괴되는 취약부(62,78)가 형성되어 있다. 취약부에서 커넥터 본체가 파괴되면, 로크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어 걸림부의 걸림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관부재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커넥터 본체의 파괴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한번 연결을 해제하면 그 커넥터(4)는 재사용할 수 없다.

Description

관부재를 연결대상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 pipe member to a target}
본 발명은 관부재(管部材)를 연결대상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자동차의 블로바이 가스를 수송하는 관부재를 커넥터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블로바이 가스를 수송하는 관부재를 연결대상에 연결하는 구조로서, 관부재를 금속 밴드로 연결대상에 연결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구조에 대해서,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커넥터를 이용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연결구조는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관부재의 분리 작업이 행해진 후에 재차 연결한 경우, 한번 분리된 이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는 슬리브가 커넥터 본체에 장착되어 있어, 관부재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슬리브를 제거하고서 공구를 커넥터 본체에 삽입할 필요가 있다. 슬리브는 커넥터 본체에 결합되는 부분과 공구의 삽입을 방지하는 슬리브 본체 부분을 구비하고 있으며, 양자의 사이가 가느다란 어깨부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어깨부를 파괴함으로써 커넥터 본체로부터 슬리브 본체 부분이 분리되며, 이때 공구를 삽입할 수 있어 관부재를 분리할 수 있다. 그 후, 다시 이 커넥터에 관부재를 장착하더라도 어깨부가 파괴되어 있음에 의해서 분리 작업이 행해진 것을 알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2007-2866호 공보
연결구조에는 블로바이 가스를 수송하는 관부재의 연결구조와 같이 안전성이나 환경 대응성이 강하게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유체의 누출을 검지하는 검지기를 장착하는 경우도 있지만,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조와 같이 용이하게 관부재가 탈락하지 않는 구조가 채용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조에서는 충분한 정비 지식 및 기능을 갖지 않은 자동차 사용자가 스스로 관부재를 분리하고, 재차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장착이 불충분하게 됨에 의해서 블로바이 가스 등의 유체가 누출될 우려가 있다. 어깨부가 파괴되어 있음으로써 분리 및 장착 작업이 행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지만, 정비사가 이것을 확인할 때까지는 장착의 불비 등이 원인이 되어 블로바이 가스 등의 유체가 계속해서 누출되는 것이 염려된다. 한편, 완전히 봉인된 구조로 하여 사용자가 스스로 분리 및 장착 작업을 할 수 없게 하면, 수리가 필요한 때에 관부재를 포함한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있으므로 그 작업성 및 경제성이 나빠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한번 연결을 해제하면 커넥터를 재이용할 수 없어, 사용자 자신에 의한 관부재의 분리 및 장착 작업의 실시를 방지할 수 있는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관부재를 연결대상(8)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조(2)로서,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부(72,94)를 구비하는 관부재(6,86)와; 상기 연결대상에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관부재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중공부(42)를 획정하는 커넥터 본체(10)와; 상기 커넥터 본체의 내주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걸림부를 외부에서는 해제 불가능하게 걸어 고정하는 로크부재(12);를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 본체는 소정값 이상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 우선적으로 파괴되도록 형성된 취약부(62,78)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가 파괴되었을 때에 상기 로크부재가 해제 가능한 상태로 노출되도록 상기 취약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관부재의 연결대상에 대한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커넥터 본체를 파괴해야 하기 때문에, 한번 연결을 해제하면 커넥터를 재이용할 수 없어, 사용자 자신에 의한 관부재의 분리 및 장착 작업의 실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 및 상기 관부재는,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걸림부를 걸어 고정한 걸림 상태에서, 축선방향에 대한 서로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구조(58,80)를 구비하고, 상기 힘은 상기 커넥터 본체 및 상기 관부재를 서로에 대해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회전력이면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는 공구 등을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 큰 회전력을 커넥터 본체에 부여할 수 있어, 용이하게 관부재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구조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단면에 형성된 비원형 오목부(54,84)와, 상기 관부재 측에 형성되어 상기 비원형 오목부에 보완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끼워맞춤부(56,88)를 구비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회전방지구조는 확실하게 회전방지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부는 상기 관부재의 외주에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끼워맞춤부를 비교적 크게 할 수 있고, 끼워맞춤부에 가해지는 반력이 플랜지의 각 부분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끼워맞춤부의 강도를 취약부보다도 강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관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관부재의 교환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원형 오목부 및 상기 끼워맞춤부는 서로 소정의 각도 관계일 때에만 끼워 맞춰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 본체와 관부재의 둘레방향의 위치가 일의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올바른 위치에서 커넥터 본체와 관부재를 연결할 수 있다.
또,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연결대상에 대해서 이반(離反)하는 측이 개구된 개구단부(22)를 구비하는 하우징(18)과; 상기 중공부를 획정하며, 상기 개구단부 내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슬리브(20,74,82);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슬리브에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에 의해서 덮여져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슬리브에 지지된 로크부재가 하우징에 의해서 덮여지기 때문에, 간이한 구성에 의해서 로크부재에 의한 걸림부의 걸림 상태를 외부에서 해제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슬리브의 결합부(62)를 포함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서 커넥터 본체를 파괴하였을 때, 하우징과 슬리브가 분리된다. 따라서, 로크부재가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용이하게 로크부재에 의한 걸림부의 걸림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직경방향으로 관통하여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지지구멍(52)을 구비하고,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지지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부재의 상기 걸림부를 걸어 고정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의 제조가 용이함과 아울러, 커넥터 본체의 파괴시에 용이하게 로크부재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가 서로 평행한 1쌍의 다리부(64)를 구비하는 와이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관부재의 외주에 형성되어 상기 다리부를 수용하기 위한 홈(72) 또는 단차(94)를 구비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 본체의 파괴 후에 외부에 노출된 로크부재를 공구 등을 이용하여 변형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로크부재에 의한 걸림부의 걸림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가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부재의 삽입단 근방에, 상기 관부재의 삽입시에 상기 다리부를 서로 벌리기 위한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관부재를 커넥터에 삽입하는 원터치 조작에 의해서 관부재를 커넥터에 걸어 맞출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박육부(薄肉部:두께가 얇은 부분)(78) 혹은 단속적인 구멍, 또는 상기 박육부와 상기 단속적인 구멍의 조합에 의해서 구성된 파단부를 포함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과 슬리브의 결합부 이외에도 취약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하우징과 슬리브의 결합수단의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부재를 연결대상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조에 있어서, 한번 연결을 해제하면 커넥터를 재이용할 수 없어, 사용자 자신에 의한 관부재의 분리 및 장착 작업의 실시를 방지할 수 있는 연결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연결구조의 사시도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연결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연결구조의 단면도
도 4는 변형 실시형태에 관한 슬리브의 사시도
도 5는 다른 변형 실시형태에 관한 연결구조의 분해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결구조(2)는 커넥터(4)에 의해서 관부재(6)를 연결대상인 호스(8)에 연결하고 있다. 커넥터(4)는 관부재(6) 및 호스(8)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연통시키고 있다. 커넥터(4)는 유로를 획정하는 커넥터 본체(10)와, 관부재(6)를 걸어 고정하는 로크부재(12)와, 호스(8) 및 관부재(6)와 커넥터 본체(10)의 접합면을 밀봉하는 제 1 및 제 2 밀봉부재(14,16)를 구비한다. 커넥터 본체(10)는 호스(8)가 일단측에 장착되는 하우징(18)과, 하우징(18)의 타단측에 수용되며 관부재(6)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슬리브(20)를 구비한다.
하우징(18)은 수지를 소재로 하는 성형품이며, 개략적으로 원통 형상이 그 중간부에서 굴곡되어 있음과 아울러, 슬리브(20)를 수용하는 개구단부(22) 측에 있어서 내경 및 외경이 확장되도록(이하, 내경 및 외경이 확장되는 것을 간단히 '확경(擴徑)'이라고도 한다) 변형된 형상을 나타낸다.
개구단부(22)의 반대 측의 호스용 단부(24)는 고무 또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호스(8)의 단부에 삽입된다. 호스용 단부(24)의 외주면에는 제 1 밀봉부재(14)를 구성하는 O링을 수용하기 위한 홈(26)이 둘레방향을 따라서 형성된다. 제 1 밀봉부재(14)는 호스(8)가 하우징(18)에 장착되었을 때에 호스(8)의 내주면 및 하우징(18)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을 따라서 밀착되어 유체의 누출을 방지한다. 또, 호스용 단부(24)의 외주면에는, 상기 홈(26)보다도 단면에서부터 이간된 위치에, 호스(8)의 내주면에 파고들어서 호스(8)의 커넥터(4)로부터의 빠짐을 방지하는 돌기(28)가 둘레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호스(8)는 내주측에서 돌기(28)에 의한 마찰력을 받음과 아울러 외주측이 도시하지 않은 금속 밴드에 의해서 체결됨으로써 하우징(18)에 고정되어 있다.
개구단부(22)의 내주측이 단계적으로 확경되도록, 개구단부(22)의 내주측에는 그 단면 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관부재(6)의 선단을 걸어 고정하는 제 1 단차(30)와, 제 2 밀봉부재(16)를 구성하는 O링을 수용하는 제 2 단차(32)와, 슬리브(20)의 삽입단부(34)의 단면을 걸어 고정하는 제 3 단차(36)와, 슬리브(2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는 제 4 단차(38)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단부(22)의 외주측은 내주측의 확경이 가능하게 되도록 확경되어 있다.
슬리브(20)는 수지를 소재로 하는 성형품이며, 개략적으로 원통 형상의 일단측의 외경이 확경된 형상을 나타낸다(보강을 위한 리브 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슬리브(20)의 소경(小徑)측이 하우징(18)에 삽입되는 삽입단부(34)가 되고, 대경(大徑)측이 관부재(6)가 삽입되는 회전방지단부(40)가 된다. 슬리브(20)의 내주면은 관부재(6)의 일단측이 삽입되는 중공부(42)를 획정하고 있다.
삽입단부(34)의 단면은 플랜지에 의해서 형성되며, 원통형의 축선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되어 있다. 이 단면의 외주측이 하우징(18)의 제 3 단차(36)에 맞닿고, 내주측이 제 2 단차(32)와 협동하여 제 2 밀봉부재(16)를 수용하는 홈을 형성하고 있다. 하우징(18)의 제 3 단차(36)에는 슬리브(20)의 둘레방향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1개의 돌편(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편(44)이 삽입단부(34)의 단면측에 형성된 위치결정홈(46)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슬리브(20)의 둘레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하고 있다. 돌편(44)은 슬리브(20)를 하우징(18)에 용착할 때까지의 임시 고정을 위해서 사용되는 구조이며, 하우징(18)을 슬리브(2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용이하게 파괴되도록 얇은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삽입단부(34)에 인접하는 확경부(48)의 내주면은 회전방지단부(40)를 향해서 확경되어 있다. 확경부(48)의 외주면도 내주면에 맞춰서 회전방지단부(40)를 향해서 확경되어 있으나, 하우징(18)의 내주면과는 이간되어 있다.
확경부(48)와 회전방지단부(40)의 사이에는 로크부재(1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50)에는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1쌍의 지지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1쌍의 지지구멍(52)은 서로 반경방향으로 마주보는 좌우대칭형이며,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회전방지단부(40)의 내주면은, 축선방향에서 보았을 때, 지지부(50)의 내주면을 내포함과 아울러 회전 대칭성을 갖지 않는 6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비원형 오목부(54)를 형성하고 있다. 비원형 오목부(54)는 후술하는 관부재(6)의 끼워맞춤부(56)와 협동하여 슬리브(20)와 관부재(6)의 축방향에 대한 서로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방지구조(58)를 형성하고 있다. 회전방지단부(40)의 외주면에는 그 단면측이 확경되도록 단차(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단차(60)의 축선방향을 향하는 면이 하우징(18)의 개구단부(22)의 단면에 맞닿아 있다. 회전방지단부(40)의 대경측의 외경은 하우징(18)의 개구단부(22)의 외경과 일치하며, 그 외주면 끼리는 매끄럽게 연속되어 있다. 회전방지단부(40)의 소경측의 외주면은 하우징(18)의 개구단부(22)의 내주면에서부터 약간 이간되어 있다.
하우징(18)과 슬리브(20)에 있어서, 서로 맞닿아 있는 개구단부(22)의 단면과 단차(60)가 초음파 용착되어 결합부(62)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결합부(62)는 다른 부분에 비해 우선적으로 파괴되는 취약부로 되어 있다. 결합부(62)의 강도는 결합부(62)의 면적이나 단위 면적당의 용착 강도에 의해서 조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18)과 슬리브(20)가 서로 맞닿아 있는 부분이 적어 결합부(62)에 힘이 집중되므로, 파단하기 쉽게 되어 있다.
로크부재(12)는 탄성 변형 가능한 와이어 부재로 이루어지며, 1쌍의 평행한 다리부(64)와 1쌍의 다리부(64)의 정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66)를 구비한다. 로크부재(12)는 1쌍의 평행한 다리부(64) 및 연결부(66)가 형성하는 평면이 축선방향에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1쌍의 다리부(64)가 슬리브(20)의 1쌍의 지지구멍(52)에 지지되도록, 축선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슬리브(20)에 삽입되어 슬리브(20)에 지지되어 있다. 일측 다리부(64)의 양단 근방이 일측 지지구멍(52)의 양단부 근방에 지지되고, 일측 다리부(64)의 중간부가 슬리브(20)가 획정하는 중공부(42)에 침입하여 있다. 타측 다리부(64) 및 타측 지지구멍(5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슬리브(20)에는 연결부(66)를 수용하는 도시하지 않은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부(66)가 이 홈에 수용됨으로써, 로크부재(12)는 축선방향 및 자신의 바닥부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 로크부재(12)의 1쌍의 다리부(64)의 바닥부측 단부에서는 각각 대략 직각으로 굴곡되어 축선방향의 호스(8) 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굴곡단부(68)가 형성되어 있다. 굴곡단부(68)가 지지구멍(52)의 근방의 벽면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로크부재의 빠짐이 방지된다. 로크부재(12)는 이것을 지지하는 슬리브(20)의 지지부(50)와 함께 하우징(18)에 덮여져 있기 때문에, 커넥터 본체(10)의 외주측으로는 노출되어 있지 않다. 즉, 로크부재(12)는 커넥터 본체(10)의 내주측에 장착되어 있다.
수지 또는 금속을 소재로 하는 관부재(6)에는, 슬리브(20)에 삽입되는 일단측의 외주측에, 그 단면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테이퍼면(70), 걸림부(72) 및 끼워맞춤부(56)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면(70)은 관부재(6)의 일단측의 단면에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확경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면(70)의 축선방향에 대해서 이루는 각도는, 슬리브(20)의 확경부(48)의 내주면의 축선방향에 대해서 이루는 각도와 거의 같다. 관부재(6)의 일단측이 슬리브(20)에 삽입되었을 때, 테이퍼면(70)은 슬리브(20)의 확경부(48)의 내주면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한다.
걸림부(72)는 테이퍼면(70)에 인접하여 있으며,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부(56)는 관부재(6)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플랜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슬리브(20)의 비원형 오목부(54)에 보완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회전대칭성을 갖지 않는 6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은 관부재(6)가 수지를 소재로 하는 사출 성형품인 경우에 매우 적합하다.
이어서, 커넥터(4)와 관부재(6)의 연결 및 분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연결할 때에는, 관부재(6)의 끼워맞춤부(56)와 슬리브(20)의 비원형 오목부(54)가 정합되도록 둘레방향의 위치를 결정하고, 관부재(6)를 회전방지단부(40) 측에서 축선방향을 따라서 슬리브(20)에 삽입한다. 비원형 오목부(54)와 끼워맞춤부(56)가 보완적인 형상을 구비하고 또한 회전 대칭성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커넥터(4)와 관부재(6)의 상대적인 둘레방향의 위치가 일의적으로 결정되며, 굴곡된 커넥터(4)의 호스용 단부(24)를 올바른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관부재(6)가 슬리브(20)에 삽입됨에 따라서 관부재(6)의 테이퍼면(70)이 로크부재(12)의 1쌍의 다리부(64)를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1쌍의 다리부(64) 사이가 벌어지도록 로크부재(12)를 탄성 변형시킨다. 관부재(6)를 슬리브(20)에 더 삽입하면, 로크부재(12)의 1쌍의 다리부(64)는 테이퍼면(70)으로부터 이탈하여 자신의 탄성에 의해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됨으로써, 그 중앙부가 관부재(6)의 홈형상의 걸림부(72)에 수용된다. 로크부재(12)의 1쌍의 다리부(64)가, 그 양단 근방에 있어서 슬리브(20)에 지지되고, 그 중앙부에 있어서 관부재(6)의 걸림부(72)에 걸려 고정되기 때문에, 관부재(6)의 커넥터(4)에 대한 축선방향의 이동{삽입방향 및 발거(拔去)방향}이 규제된다. 또한, 삽입방향에 대해서는, 관부재(6)의 일단측의 단면이 하우징(18)의 제 1 단차(30)에 맞닿는 것, 또는 관부재(6)의 끼워맞춤부(56)가 슬리브(20)의 지지부(50)에 맞닿게 됨에 의해서도 규제되기 때문에, 걸림부(72)는 홈형상 대신에, 외주면이 끼워맞춤부(56) 측을 향한 단차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커넥터(4)를 관부재(6)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커넥터(4)를 파괴할 필요가 있다. 커넥터(4)와 관부재(6)의 사이에 축선방향에 대해서 회전력을 가하면, 관부재(6)와 슬리브(20)의 사이에는 회전방지구조(58)가 있기 때문에, 슬리브(20)는 관부재(6)와 함께 회전하려고 한다. 따라서, 커넥터 본체(10)에 전단력이 발생한다. 이 전단력에 의해서 취약부가 우선적으로 파괴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18)과 슬리브(20)의 결합부(62)가 취약부로 되어 있다. 따라서, 소정값 이상의 회전력이 가해지면, 하우징(18)과 슬리브(20)의 결합부(62)가 파단되어 하우징(18)으로부터 관부재(6), 로크부재(12) 및 슬리브(20)가 분리된다. 또한 이때에 돌편(44)도 파괴된다. 이때, 로크부재(12)는 이것을 덮고 있던 하우징(18)으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외부에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공구 등을 사용하여 로크부재(12)와 걸림부(72)의 걸어맞춤을 해제함으로써, 로크부재(12)를 관부재(6) 및 슬리브(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관부재(6)를 커넥터(4)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블로바이 가스를 수송하는 관부재(6)의 경우, 통상의 사용상태에서 관부재(6)와 커넥터 본체(10)의 사이에 과대한 회전력이 가해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관부재(6)와 호스(8)의 연결이 의도하지 않게 해제되는 일은 없다.
하우징(18)과 슬리브(20)가 서로 분리된 커넥터(4)는 재사용할 수 없다. 재차 관부재(6)를 호스(8)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커넥터(4) 또는 커넥터(4) 및 호스(8)를 교체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자동차 사용자가 스스로 분리 작업을 하면, 재차 관부재(6)를 호스(8)에 연결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 사용자가 스스로 분리 작업을 하는 것이 예방된다. 만일, 분리 작업을 한 경우에는, 곧바로 전문 지식을 가진 정비사에게 관부재(6)와 호스(8)의 연결을 의뢰하는 것이 기대된다. 이와 같이, 자동차 사용자가 스스로 관부재(6)를 호스(8)에 연결하는 것, 및 이것에 의해서 연결에 불비가 발생하여 블로바이 가스 등의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제 1 변형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서, 상기한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이 제 1 변형 실시형태에서는 슬리브(74)의 구성만이 상기한 실시형태와 다르다.
슬리브(74)에는 지지구멍(52)이 형성된 지지부(76) 이외의 부위에 둘레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홈형상의 박육부(薄肉部)(7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박육부(78)와 결합부(62)가 취약부가 된다. 박육부(78) 대신에 둘레방향을 따라서 단속적으로 형성된 구멍을 취약부로서 형성하여도 좋다. 또, 슬리브(74)와 하우징(18)의 용착을 박육부(78)보다도 삽입단 측에서 실시하여 박육부(78)만을 취약부로 하여도 좋다. 관부재(6)를 분리하기 위해서 관부재(6)와 커넥터 본체(10)의 사이에 회전력을 가했을 때에 이들 취약부가 파단되기 때문에 슬리브(74)가 지지부(76)에서 파단되게 되며, 따라서 관부재(6)는 하우징(18) 및 로크부재(12)로부터 분리된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제 2 변형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 제 2 변형 실시형태에서는 주로 회전방지구조(80)가 상기한 실시형태와 다르다.
회전방지구조(80)는 슬리브(82)의 비원형 오목부(84)와 관부재(86)의 끼워맞춤부(88)를 구비한다. 비원형 오목부(84)는 슬리브(82)의 회전방지단부(40)의 내주측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1개의 오목부로 이루어진다. 관부재(86)의 외주면에는 돌편(9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변형 실시형태는, 관부재(86)가 금속을 소재로 하는 경우에 매우 적합하며, 이 경우 돌편(92)은 관부재(86)의 일단측의 외주면에 용접되고, 그 자유단부가 비원형 오목부(84)에 보완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끼워맞춤부(88)가 된다.
걸림부(94)는 테이퍼면(70)과의 경계에 형성된 단차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관부재(86)의 발거방향으로의 이동은 걸림부(94)가 로크부재(12)에 걸려 고정되기 때문에 규제되고, 삽입방향으로의 이동은 관부재(86)의 일단측의 단면이 하우징(18)의 제 1 단차(30)에 맞닿는 것, 또는 관부재(86)의 끼워맞춤부(88)가 비원형 오목부(84)에 맞닿기 때문에 규제된다.
이상으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폭넓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취약부는 커넥터 본체와 관부재의 상대적인 회전이 아니고, 양자 간의 인장력에 의해서 파단하여도 좋다. 또, 제 1 변형 실시형태에 있어서, 박육부 또는 단속적인 구멍에 의한 취약부의 위치는, 커넥터 본체의 파단 후에 로크부재가 외부에 노출되는 위치라면, 슬리브의 다른 위치 또는 하우징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 하우징과 슬리브의 고착은 초음파 용착 이외에 진동 용착, 열 용착 혹은 레이저 용착 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이어도 좋다. 또, 회전방지구조의 관부재 측과 슬리브 측의 상보적인 구조는 비원형이면 좋다. 또, 회전 대칭성을 구비하여도 좋고, 이 경우 커넥터가 굴곡되지 않고 유로가 직선적으로 연결되는 경우에 매우 적합하다.
2 - 연결구조 4 - 커넥터
6,86 - 관부재 8 - 호스
10 - 커넥터 본체 12 - 로크부재
18 - 하우징 20,74,82 - 슬리브
52 - 지지구멍 54,84 - 비원형 오목부
56,88 - 끼워맞춤부 58,80 - 회전방지구조
62 - 결합부 64 - 1쌍의 다리부
70 - 테이퍼면 72,94 - 걸림부
78 - 박육부(薄肉部) 92 - 돌편

Claims (11)

  1. 관부재를 연결대상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조로서,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부를 구비하는 관부재와; 상기 연결대상에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관부재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획정하는 커넥터 본체와; 상기 커넥터 본체의 내주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걸림부를 외부에서는 해제 불가능하게 걸어 고정하는 로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는 소정값 이상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 우선적으로 파괴되도록 형성된 취약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가 파괴되었을 때에 상기 로크부재가 해제 가능한 상태로 노출되도록 상기 취약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 및 상기 관부재는, 상기 로크부재가 상기 걸림부를 걸어 고정한 걸림 상태에서 축선방향에 대한 서로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힘은 상기 커넥터 본체 및 상기 관부재를 서로에 대해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회전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구조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단면에 형성된 비원형 오목부와, 상기 관부재 측에 형성되어 상기 비원형 오목부에 보완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끼워맞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부는 상기 관부재의 외주에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비원형 오목부 및 상기 끼워맞춤부는 서로 소정의 각도 관계일 때에만 끼워 맞춰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연결대상에 대해서 이반(離反)하는 측이 개구된 개구단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중공부를 획정하며, 상기 개구단부 내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슬리브에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에 의해서 덮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슬리브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직경방향으로 관통하여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지지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로크부재는 상기 지지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부재의 상기 걸림부를 걸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재가 서로 평행한 1쌍의 다리부를 구비하는 와이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관부재의 외주에 형성되어 상기 다리부를 수용하기 위한 홈 또는 단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가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부재의 삽입단 근방에, 상기 관부재의 삽입시에 상기 다리부를 서로 벌리기 위한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박육부(薄肉部) 혹은 단속적인 구멍, 또는 상기 박육부와 상기 단속적인 구멍의 조합에 의해서 구성된 파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
KR1020150110531A 2014-09-12 2015-08-05 관부재를 연결대상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조 KR101695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86183 2014-09-12
JP2014186183A JP6167084B2 (ja) 2014-09-12 2014-09-12 管部材を連結対象に連結するための連結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407A true KR20160031407A (ko) 2016-03-22
KR101695561B1 KR101695561B1 (ko) 2017-01-11

Family

ID=55458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531A KR101695561B1 (ko) 2014-09-12 2015-08-05 관부재를 연결대상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07432B2 (ko)
JP (1) JP6167084B2 (ko)
KR (1) KR101695561B1 (ko)
WO (1) WO20160387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125416A1 (en) * 2022-10-12 2024-04-18 Rain Bird Corporation Tube Coupl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48258A (zh) * 2017-08-25 2017-12-08 北京汽车动力总成有限公司 一种曲轴箱通风***及具有其的车辆
US10612707B2 (en) * 2017-11-28 2020-04-07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Quick connect assembly and method
DE102018107507A1 (de) * 2018-03-28 2019-10-02 Voss Automotive Gmbh "Anschlussvorrichtung für Medienleitungen"
FR3087516B1 (fr) 2018-10-19 2021-12-10 Akwel Dispositif de raccordement instantane.
KR200492610Y1 (ko) * 2019-07-22 2020-11-11 이응선 수전금구 체결유닛
JP7353589B2 (ja) * 2020-01-10 2023-10-02 Toto株式会社 浴槽ユニット及び浴槽ユニットの組み立て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5158A (ja) * 2002-07-31 2004-04-22 Mym Corp 管継手
JP2007002866A (ja) 2005-06-21 2007-01-11 Nitta Moore Co 管継手および配管取り外し方法
WO2011140281A2 (en) * 2010-05-04 2011-11-10 Douglas Milton Fansler Conne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5175A (en) * 1993-09-24 1995-04-11 Siemens Automotive L.P. Clip attachment of fuel tube to fuel rail
JP2002327882A (ja) * 2001-04-27 2002-11-15 Sanoh Industrial Co Ltd 疑似係合を防止するための破断式の確認装置
JP4064898B2 (ja) * 2003-09-03 2008-03-19 ポリエン・プロジェクト有限会社 流体管路用接続装置
FR2883607A1 (fr) * 2005-03-25 2006-09-29 Raymond Et Cie Soc En Commandi Dispositif de raccordement de deux elements
DE502007004913D1 (de) * 2007-02-05 2010-10-14 Oro Clean Chemie Ag Adapter zur Reiningung von medizinaltechnischen Geräten
FR2923888B1 (fr) * 2007-11-15 2014-01-17 Legris Sa Dispositif de raccordement rapide d'un tube avec bague de securi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5158A (ja) * 2002-07-31 2004-04-22 Mym Corp 管継手
JP2007002866A (ja) 2005-06-21 2007-01-11 Nitta Moore Co 管継手および配管取り外し方法
WO2011140281A2 (en) * 2010-05-04 2011-11-10 Douglas Milton Fansler Connector assembly
JP2013534993A (ja) * 2010-05-04 2013-09-09 ノーマ・ユー・エス・ホールディング・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コネクタアセンブリ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125416A1 (en) * 2022-10-12 2024-04-18 Rain Bird Corporation Tube Coup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67084B2 (ja) 2017-07-19
US10107432B2 (en) 2018-10-23
KR101695561B1 (ko) 2017-01-11
WO2016038789A1 (ja) 2016-03-17
JP2016056928A (ja) 2016-04-21
US20170184240A1 (en) 201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561B1 (ko) 관부재를 연결대상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조
CN108131515B (zh) 连结部件、流体设备连接夹具及流体设备连接构造
KR101429557B1 (ko) 파이프 조인트
US20120104749A1 (en) Tube coupling
JP2011106596A (ja) 管継手
US6334634B1 (en) Push-to-connect tubing fitting
KR101955606B1 (ko) 배관용 클램프 장치
KR102035692B1 (ko) 파이프 조인트
US20230349495A1 (en) Device for connecting a tubular element
JP2018515266A5 (ko)
KR101088833B1 (ko) 튜브 피팅용 캡 고정장치
JP2009092100A (ja) 管継手
KR20180088246A (ko) 에어컨용 냉매 배관 이음장치
JP2011089564A (ja) 管継手
JP6695222B2 (ja) 流体機器接続構造
US7841482B2 (en) Fluid flow connector
JP2018115739A (ja) 管継手
US11291823B2 (en) Coupling component and fluid coupling
KR20170082488A (ko) 테스트 커넥션을 가진 이음매
US20110031739A1 (en) Connection-state check tool used for assembling a pipe coupling
JP2007515599A (ja) 迅速管継手
JP2016017771A (ja) 配管密閉性検査用プラグ
KR20190018858A (ko) 신축 가능한 파이프 연결구조체
JP2777884B2 (ja)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JP5581097B2 (ja) 封印具、及び継手連結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