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5890A -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5890A
KR20160025890A KR1020140113347A KR20140113347A KR20160025890A KR 20160025890 A KR20160025890 A KR 20160025890A KR 1020140113347 A KR1020140113347 A KR 1020140113347A KR 20140113347 A KR20140113347 A KR 20140113347A KR 20160025890 A KR20160025890 A KR 20160025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ower
external devic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근
박지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3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5890A/ko
Priority to US14/727,083 priority patent/US9348296B2/en
Priority to PCT/KR2015/007124 priority patent/WO2016032118A1/en
Priority to CN201580055162.8A priority patent/CN106796559B/zh
Publication of KR20160025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8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80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circuits boards, electrical connec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75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를 구동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에 메인 전원(main power)의 공급이 없는 상태에서도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Method for controlling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nnected to external device through external device interfac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에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막기 위해서, 최근 생산되는 화상형성장치의 모델들은 소프트웨어 파워 버튼(S/W Power Button) 기능이 적용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즉, 화상형성장치에 AC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소프트웨어 파워 버튼을 눌러야 화상형성장치에 정상적인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화상형성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APO(Auto Power Off) 기능이 적용되어 있는 화상형성장치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화상형성장치의 메인 전원(main power)이 자동으로 꺼지도록 되어 있다.
화상형성장치의 메인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임을 인지하지 못한 사용자들이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수행을 요청하는 일이 발생되고 있다.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에 메인 전원(main power)의 공급이 없는 상태에서도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제 1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공급 장치, 외부 기기와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연결하는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제 1 전원 또는 상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제어부 전원을 생성하는 구동부, 및 상기 생성된 제어부 전원으로 구동되어, 상기 제 1 전원의 공급 여부 및 상기 제 2 전원의 공급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 상기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요청받고, 상기 생성된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된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1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인쇄 작업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원을 포함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전원들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인쇄 작업을 수행하도록 상기 화상 형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원의 공급을 재개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의 전원이 온(on) 되어 상기 제 2 전원이 상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공급되면, 상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전원을 포함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전원들이 공급된 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웜업(warm-up)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원의 공급 여부 및 상기 제 2 전원의 공급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 공급 상태 정보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전원 공급 상태 검출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요청받는 전원 공급 상태 송수신부,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생성된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전원 공급 상태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 송신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PU는 상기 생성된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는 USB 인터페이스부일 수 있다.
제 2 측면에 따른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제 1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 상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어부 전원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받은 제어부 전원으로 구동되어, 상기 제 1 전원의 공급 여부 및 상기 제 2 전원의 공급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된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1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인쇄 작업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 1 전원을 포함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전원들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인쇄 작업을 수행하도록 화상 형성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 1 전원의 공급을 재개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 전원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외부 기기의 전원이 온(on) 되어 상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 2 전원이 공급되는 단계, 및 상기 공급된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생성된 상기 제어부 전원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전원을 포함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전원들이 공급된 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웜업(warm-up)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된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는 USB 인터페이스부일 수 있다.
제 3 측면에 따라,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에 메인 전원(main power)의 공급이 없는 상태에서도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부를 구동하여, 사용자의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요청에 대한 응답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킨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와 외부 기기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화상형성장치와 외부 기기를 연결하는 USB 인터페이스 케이블의 USB 커넥터 부분과 USB 포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에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포함된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5는 제 1 전원과 제 2 전원의 공급 여부에 따른 구동부 및 전원 공급 상태 검출부의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 및 도 8은 화상형성장치의 제 1 전원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외부 기기에서 인쇄 작업 요청이 발생한 경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화상형성장치와 외부 기기에 전원의 공급이 없는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외부 기기의 전원이 켜진 경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오로지 예시를 위한 실시예에 의해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실시예는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실시예들은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100)와 외부 기기(200)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화상형성장치(100)는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등이 될 수 있다. 외부 기기(200)는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되어 화상형성장치(100)의 작동을 요청하는 장치로서, 데스크톱, 랩톱과 같은 PC 등이 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100)와 외부 기기(200)는 인터페이싱 장치에 의해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싱 장치에 의해 연결된 화상형성장치(100)와 외부 기기(200) 각각의 전원이 온(on)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외부 기기(200)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작동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인쇄할 문서가 있는 경우, PC와 같은 외부 기기(200)에서 문서 편집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인쇄할 문서를 열어 인쇄 메뉴에서 외부 기기(200)와 연결된 화상형성장치(100)에 인쇄 작업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와 외부 기기(200) 각각의 전원이 온(on)되어 있고, 두 기기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싱 장치에 의해 두 기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경우, 사용자가 외부 기기(200)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인쇄 작업 수행을 요청하면, 외부 기기(200)에서는 인쇄 작업을 생성하여 스풀링함과 동시에 화상형성장치(100)로 인쇄 작업을 전송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외부 기기(200)로부터 인쇄 작업이 전송되면, 전송된 인쇄 작업에 대한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00)는 외부 기기(200)에 화상형성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화상형성장치(100)와 외부 기기(200)는 인터페이싱 장치를 이용하여 양 방향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와 외부 기기(200)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싱 장치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을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이하, 인터페이싱 장치가 USB 인터페이스 케이블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 2에서 설명한다.
도 2는 화상형성장치(100)와 외부 기기(200)를 연결하는 USB 인터페이스 케이블의 USB 커넥터 부분과 USB 포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USB 인터페이스는 USB 인터페이스 케이블의 일단에 형성된 USB 커넥터와 디바이스에 형성되어 USB 커넥터를 꽂을 수 있는 USB 포트로 구성될 수 있다. USB 커넥터와 이에 대응되는 USB 포트를 포함하는 USB 인터페이스는 형태, 핀의 개수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A 타입, 표준 B 타입, 미니 A 타입, 미니 B 타입, 마이크로 A 타입, 마이크로 B 타입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표준 A 타입과 표준 B 타입의 USB 인터페이스를 볼 수 있다. 도 2의 상단은 표준 A 타입의 USB 인터페이스이고, 도 2의 하단은 표준 B 타입의 USB 인터페이스이다. 도 2의 각 타입의 USB 인터페이스에서 좌측은 USB 포트이고, 우측은 USB 커넥터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 A 타입과 표준 B 타입의 USB 인터페이스는 4개의 핀이 USB 포트와 USB 커넥터에 형성되어, USB 포트와 USB 커넥터의 결합 시, 대응되는 핀들끼리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1번 핀부터 4번 핀을 살펴보면, 1번 핀은 전원이 공급되는 핀이고, 2번 핀과 3번 핀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핀이며, 4번 핀은 접지에 해당한다.
USB 포트에 USB 커넥터가 결합되어 있고 USB 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외부 기기(200)의 전원이 켜져 있는 경우, USB 포트의 1번 핀으로부터 USB 커넥트의 1번 핀으로 전원이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전달될 수 있는 전원을 기존에는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데 이용하지 않았다.
한편, 도 1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달리, 화상형성장치(100)와 외부 기기(200)가 USB 인터페이스 케이블과 같은 인터페이싱 장치로 연결되어 있으나,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이 오프(off)되어 있는 경우, 외부 기기(200)는 인쇄 작업을 전송하여 인쇄 수행을 요청할 수 없고, 화상형성장치(100)도 외부 기기(200)로 정보를 전달할 수 없다. 사용자가 이와 같은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면, 인쇄 작업의 스풀링이 계속 수행되고, 사용자의 인쇄 대기 시간이 길어지며,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인쇄 작업이 수행되지 않아 인쇄를 완료할 수 없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0)의 AC 스위치만 온(on)시키고 소프트웨어 파워 버튼(S/W Power Button)을 누르지 않아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이 온(on) 되지 않았거나, 저전력 소모를 위한 오토 파워 오프(Auto Power Off) 기능이 적용되어 있어 일정 시간 후에 자동으로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이 오프(off)된 경우, 화상형성장치(100)와 외부 기기(200)가 USB 인터페이스 케이블과 같은 인터페이싱 장치로 연결되어 있어도, 사용자는 외부 기기(200)를 통하여 인쇄 작업을 전송하거나,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 이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이 오프(off)된 경우, 사용자가 이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고, 외부 기기(200)를 통해 인쇄를 시도하여, 인쇄 데이터만 스풀링 되고, 인쇄가 될 때까지 계속 기다림으로써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였다.
이하,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일 때 사용자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수행에 관한 요청이 있는 경우,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기기(200)로부터 인터페이싱 장치를 통해 전달될 수 있는 전원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 USB 포트에 USB 커넥터가 결합되어 있고 USB 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외부 기기(200)의 전원이 켜져 있는 경우, USB 포트의 1번 핀으로부터 USB 커넥트의 1번 핀으로 전원이 전달될 수 있음을 도 2에서 살펴본 바 있다. 다시 말해서, USB 인터페이스 구조에 따르면, USB 포트에 USB 커넥터가 결합되어 있고 USB 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외부 기기(200)의 전원이 켜져 있는 경우, USB 포트의 1번 핀은 USB 커넥트의 1번 핀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USB 인터페이스 케이블의 다른 한쪽이 연결된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원을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전원 공급 장치(130),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 구동부(170),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13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사용되는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13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사용할 수 있는 크기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화상형성장치(100) 내부의 각 부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130)는 각 부품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크기의 직류 전원을 생성하여 각 부품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 장치(130)는 제어부(190)를 구동하기 위해 제어부(190) 구동에 필요한 전원(이하, 제 1 전원이라 한다)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 장치(130)는 외부로부터 교류 전원이 입력되더라도 소프트웨어 파워 버튼이 눌러지지 않았거나, 절전 모드 진입 후 사용자가 설정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제 1 전원을 포함한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사용되는 복수 개의 전원들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는 외부 기기(200)와 화상형성장치(100)를 연결할 수 있다.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는 외부 기기(200)와의 연결을 보조하는 인터페이싱 장치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싱 장치가 USB 인터페이스 케이블인 경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는 USB 인터페이스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는 USB 인터페이스 케이블의 USB 커넥터에 대응되는 USB 포트일 수 있다.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는 외부 기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고, 외부 기기(200)로 정보들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로부터 소정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외부 기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하, 제 2 전원이라 한다)은 제어부(190)를 구동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0)와 외부 기기(200)가 USB 인터페이스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된 경우, 외부 기기(200)에 형성된 USB 포트의 1번 핀으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의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로 5V/0.5A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구동부(170)는 전원 공급 장치(130)로부터 공급되는 제 1 전원 또는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외부 기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제어부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70)는 외부 기기(200)로부터 제 2 전원의 공급이 없는 경우 전원 공급 장치(130)로부터 공급되는 제 1 전원을 이용하여 제어부를 구동하는 제어부 전원을 생성할 수 있고, 전원 공급 장치(130)로부터 제 1 전원의 공급이 없는 경우 외부 기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제어부를 구동하는 제어부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특히, 구동부(170)는 소프트웨어 파워 버튼이 눌러지지 않았거나, 절전 모드 진입 후 사용자가 설정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어, 전원 공급 장치(130)가 제 1 전원을 포함한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사용되는 복수 개의 전원들의 공급을 차단한 경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외부 기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제어부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구동부(170)가 생성한 제어부 전원은 제어부(190)로 전달되어, 제어부(19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90)는 구동부(170)에서 생성된 제어부 전원으로 구동되어,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전원 공급 장치(130)에서 공급되는 제 1 전원의 공급 여부 및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외부 기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제 2 전원의 공급 여부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90)는 전원 공급 장치(130)로부터 제 1 전원 공급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 제 2 전원 공급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외부 기기(200)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요청받고, 제어부(190)에서 생성한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외부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여 제어부(190)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에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에 포함된 제어부(190)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블록도이다.
제어부(190)는 전원 공급 상태 검출부(191), 전원 공급 상태 송수신부(193), CPU(19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원 공급 상태 검출부(191)는 전원 공급 장치(130)로부터 제 1 전원 공급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 제 2 전원 공급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상태 검출부(191)에서 생성된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95)로 전달될 수 있다.
전원 공급 상태 송수신부(193)는 외부 기기(200)로부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요청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에 의해 전달된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외부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CPU(195)는 제어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며, 전원 공급 상태 검출부(191)와 전원 공급 상태 송수신부(193)에 연결될 수 있다. CPU(195)는 전원 공급 상태 검출부(191)에서 생성된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CPU(195)는 전원 공급 상태 검출부(191)에서 생성한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PU(195)는 외부 기기(200)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수행을 요청받거나,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요청받는 경우, 또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미도시)에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된 경우 등과 같이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가 필요한 경우,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CPU(195)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가 제 1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 CPU(195)는 제 1 전원 또는 제 1 전원을 포함한 화상형성장치(100)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전원들의 공급을 재개하도록 전원 공급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외부 기기(200)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 요청이 전원 공급 상태 송수신부(193)에 수신되면, 이에 대한 응답으로, CPU(195)는 전원 공급 상태 검출부(191)에서 생성된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레지스터(미도시)를 확인하고, 전원 공급 상태 송수신부(193)를 통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외부 기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제 1 전원과 제 2 전원의 공급 여부에 따른 구동부(170) 및 전원 공급 상태 검출부(191)의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원 공급 장치(130)로부터 공급되는 제 1 전원과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외부 기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제 2 전원 각각에 대해,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를 'H'라 하고,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를 'L'이라 할 때, 제어부 전원 및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제어부 전원이 'H'인 것은 구동부로부터 제어부 전원이 출력되는 것을 의미하고, 반대로 제어부 전원이 'L'인 것은 제어부 전원이 출력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제어부 전원은 제 1 전원이나 제 2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공급되면 정상적으로 출력되며, 제 1 전원과 제 2 전원이 모두 공급되지 않으면 출력되지 않는다. 제어부 전원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는 제어부(190)가 구동될 수 없으므로, 제어부(190)가 화상형성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경우는 제 1 전원이나 제 2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공급되어 제어부 전원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경우이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는 제 1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만 'H'가 될 수 있다. 다만, 제어부(190)의 구동을 위해서는 제 1 전원과 제 2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공급되어야 하므로, 제어부(190)가 제 1 전원이 차단된 것을 모니터링하였다는 것은 제 2 전원은 외부 기기(200)로부터 공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 2 전원은 공급되면서 제 1 전원이 차단된 경우, 다시 말해,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일 때 사용자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수행에 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190)는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되며,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대해 화상형성장치(100)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제 1 전원이 차단되고 제 2 전원만 공급되는 경우, 제어부(190)가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에 관해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외부 기기(200)는 화상형성장치(100)와 인터페이싱 장치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전자 기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스크톱, 랩톱 형태의 PC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 기기(200)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인쇄 작업과 같은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다.
외부 기기(200)는 외부 기기(200)(210), 장치 인터페이스부(2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외부 기기(200)의 외부 기기(200)(210)는 외부 기기(2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외부 기기(200)(210)는 장치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하여 외부 기기(200)에 연결된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외부 기기(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고, 사용자에게 외부 기기(200)의 동작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장치 인터페이스부(220)는 외부 기기(200)를 다른 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 인터페이스부(220)는 외부 기기(200)를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할 수 있다. 장치 인터페이스부(220)는 화상형성장치(100)와의 연결을 보조하는 인터페이싱 장치가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싱 장치가 USB 인터페이스 케이블인 경우, 장치 인터페이스부(220)는 USB 인터페이스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장치 인터페이스부(220)는 USB 인터페이스 케이블의 USB 커넥터에 대응되는 USB 포트일 수 있다.
장치 인터페이스부(220)는 화상형성장치(100)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기기(200)는 장치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인쇄 작업의 요청이 있는 경우, 외부 기기(200)에서 생성된 인쇄 작업을 장치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인터페이스부(220)는 외부 기기(200)에서 생성된 소정의 전원을 화상형성장치(100)에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부 기기(200)에서 생성된 소정의 전원은 장치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하여 화상형성장치(100)로 전달되며, 인터페이싱 장치를 거쳐 전달된 전원은 화상형성장치(100)의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공급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외부 기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제 2 전원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외부 기기(200)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로 공급된 전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기기(200)에 형성된 USB 포트는 장치 인터페이스부(220)에 해당할 수 있는데, USB 포트의 1번 핀으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의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로 5V/0.5A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하여 문서 편집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문서의 인쇄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에 관한 정보가 전송되면 이를 표시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가 전송되어, 장치 인터페이스부(220)에 수신되면, 제어부(210)는 수신된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특히,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이 오프(off)되었을 때, 화상형성장치(100)의 제 1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와 함께, 화상형성장치(100)의 제 1 전원의 공급을 재개시켜달라는 취지의 메시지를 함께 표시하거나, 화상형성장치(100)의 제 1 전원의 공급이 자동으로 재개됨을 알리는 취지의 메시지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하, 화상형성장치(100)의 제 1 전원이 차단되고 외부 기기(200)로부터 제 2 전원만 공급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90)가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은 화상형성장치(100)의 제 1 전원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기기(200)에서 인쇄 작업 요청이 발생한 경우,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화상형성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기기(200)로부터 인쇄 작업 수행 요청이 발생한 경우, 외부 기기(200)의 요청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가 외부 기기(200)에 제 1 전원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임을 알리고, 화상형성장치(100)에 제 1 전원의 공급이 재개된 후 외부 기기(200)로부터 인쇄 작업을 전송받아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이다.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생성되는 제 1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 외부 기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제어부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S 705)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90)는 이와 같이 생성된 제어부 전원으로 구동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 710) 다시 말해서,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어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는 제 1 전원과 제 2 전원의 공급 여부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기기(200)를 통해,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인쇄 작업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S 715)
외부 기기(200)는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할 인쇄 작업을 생성할 수 있다.(S 720) 외부 기기(200)는 생성된 인쇄 작업을 스풀링할 수 있다.
외부 기기(200)는 화상형성장치(100)로 인쇄 작업을 전송하기 전에,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 725)
화상형성장치(100)는 외부 기기의 요청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생성된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 730)
화상형성장치(100)는 확인된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외부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S 735)
외부 기기(200)는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전송된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 740) 예를 들어, 외부 기기(20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제 1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었음을 나타내는 취지의 메시지를 외부 기기(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에 표시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제 1 전원 또는 제 1 전원을 포함한 화상형성장치(100)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전원들을 생성하여, 전원의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S 745) 예를 들어, 제 1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었음을 확인한 외부 기기(200)의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전원의 공급이 재개되도록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장치(13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90)가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전원의 공급이 재개되도록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장치(130)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도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다시 생성할 수 있다.(S 750) 다시 말해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가 제 1 전원과 제 2 전원의 공급 여부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 755)
화상형성장치(100)는 확인된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외부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S 760) 이때, 전송된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제 1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외부 기기(20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제 1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음을 확인한 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생성한 인쇄 작업을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 765)
화상형성장치(100)는 외부 기기(200)로부터 전송된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 770)
도 8은 화상형성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기기(200)로부터 인쇄 작업 수행 요청이 발생한 경우, 외부 기기(200)로부터 인쇄 작업이 전송되면, 화상형성장치(100)가 제 1 전원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임을 확인하고, 자동으로 제 1 전원의 공급을 재개한 후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이다.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생성되는 제 1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 외부 기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제어부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S 805)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90)는 이와 같이 생성된 제어부 전원으로 구동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 810) 다시 말해서,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어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는 제 1 전원과 제 2 전원의 공급 여부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기기(200)를 통해,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인쇄 작업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S 815)
외부 기기(200)는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할 인쇄 작업을 생성할 수 있다.(S 820) 외부 기기(200)는 생성된 인쇄 작업을 스풀링할 수 있다.
외부 기기(2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생성한 인쇄 작업을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 825)
화상형성장치(100)는 외부 기기(200)로부터 인쇄 작업이 전송되면,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생성된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 830)
화상형성장치(100)는 확인된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가 제 1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 제 1 전원 또는 제 1 전원을 포함한 화상형성장치(100)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전원들을 생성하여, 전원의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S 835)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90)가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장치(130)를 제어하여 전원 공급을 자동으로 재개할 수 있다. 그 후, 화상형성장치(100)는 제 1 전원과 제 2 전원의 공급 여부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제 1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음을 확인한 후, 외부 기기(200)로부터 전송된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 840)
도 9는 화상형성장치(100)와 외부 기기(200)에 전원의 공급이 없는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기기(200)의 전원이 켜진 경우,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100)와 외부 기기(200)가 인터페이싱 장치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나, 두 장치 모두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외부 기기(200)에 전원이 온(on)되는 경우, 외부 기기(200)와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100)와 외부 기기(200)가 인터페이싱 장치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 기기(200)의 전원만 온(on) 상태가 될 수 있다.(S 905)
화상형성장치(100)는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외부 기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제어부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S 910)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90)는 이와 같이 생성된 제어부 전원으로 구동될 수 있는데, 이때, 인쇄를 위해 정착기의 온도를 올리거나 모터를 구동시키는 등의 화상형성장치(100)의 웜업(warm-up)을 배제한 부팅(booting)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 915) 다시 말해서,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어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90)는 제 1 전원과 제 2 전원의 공급 여부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90)는 화상형성장치(100)와 외부 기기(200) 간의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 920)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90)는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외부 기기(20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 기기(20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 925)
화상형성장치(100)는 외부 기기의 요청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생성된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 930)
화상형성장치(100)는 확인된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외부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S 935)
외부 기기(200)는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전송된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 940) 예를 들어, 외부 기기(20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제 1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었음을 나타내는 취지의 메시지를 외부 기기(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30)에 표시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제 1 전원 또는 제 1 전원을 포함한 화상형성장치(100)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전원들을 생성하여, 생성된 전원의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S 945) 예를 들어, 제 1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었음을 확인한 외부 기기(200)의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전원의 공급이 재개되도록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장치(13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90)가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전원의 공급이 재개되도록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장치(130)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도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90)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웜업(warm-up)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90)는 전원 공급 장치(130)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사용되는 복수 개의 전원들이 공급된 후, 인쇄를 위해 정착기의 온도를 올리거나 모터를 구동시키는 등의 화상형성장치(100)의 웜업(warm-up)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0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표시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전원 공급 장치(130), 메모리(140),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 화상 형성부(160), 구동부(170), 통신부(180),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데이터 버스(data bus)(195)를 이용하여, 상호간 각 종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들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표시부(110)는 표시패널(미도시) 및 표시패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20)의 터치 패널(미도시)과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미도시)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미도시)은 표시 패널과 터치 패널이 적층 구조로 결합된 일체형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터치 패널, 펜 인식 패널 및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에 해당하는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이 표시 패널과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을 구성한 경우, 터치 스크린은 정전식이나, 감압식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은 터치 스크린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터치 스크린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야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터치 스크린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터치 스크린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는 주로 사람의 손가락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으나, 정전 용량 변화를 가할 수 있는 전도성 재질의 물체에 의해서도 생성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은 사용자의 터치용 펜(예컨대,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디지타이저 펜(digitizer pen))의 운용에 따른 펜의 근접 입력 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펜 근접 이벤트 또는 펜 터치 이벤트를 출력할 수 있다. 펜 인식 패널은 펜의 근접 또는 터치에 의한 전자기장의 세기 변화에 따라 터치 또는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키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표시부(110) 근처 등의 다양한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키가 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130)는 외부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압을 변압기를 이용하여 전자 제품에 사용되는 적정한 직류 전압으로 출력하는 장치를 말한다. 화상형성장치(100)에서는 구조가 간단하고 작은 크기를 가지면서도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한 전원 공급장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가 사용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150)에서 생성되는 전압은 3.3 볼트[V], 5 볼트[V], 24 볼트[V] 등의 직류 전압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모리(14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에 따라 생성되거나,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시 사용되는 모든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40)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 팩스, 스캔, 및 복사 데이터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터,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에 이용되는 각종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표시부(110)의 화면에 표시될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내장 메모리(Internal Memory)(미도시) 및 외장 메모리(External Memory)(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등),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및 Memory Stic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연결되는 외부 기기(200)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는 PC 또는 스마트 TV 등과 같은 외부 기기(200)와의 연결을 위한, USB 인터페이스부 또는 HDMI 인터페이스부 등이 될 수 있다.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는 외부 기기(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외부 기기(200)로부터 소정의 전원을 인가받을 수도 있다.
화상 형성부(160)는 화상을 형성하여, 복사 및 인쇄 데이터를 인쇄용지와 같은 인쇄매체에 출력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화상 형성부(160)는 복사 및 인쇄 데이터를 인쇄매체에 출력하기 위한 대전, 노광, 현상, 전사 및 정착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유닛들 및 이들을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70)는 전원 공급 장치(130)로부터 공급되는 제 1 전원 또는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외부 기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제어부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70)는 제 2 전원의 공급이 없는 경우 제 1 전원을 이용하여 제어부를 구동하는 제어부 전원을 생성할 수 있고, 제 1 전원의 공급이 없는 경우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제어부를 구동하는 제어부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구동부(170)가 생성한 제어부 전원은 제어부(190)로 전달되어, 제어부(190)를 구동시킬 수 있다.
통신부(18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어플리케이션 및 기능에 따라 네트워크 망과의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 모듈, 팩스 송수신 등에 사용되는 모뎀,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와이파이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 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제어부(19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0)는 각 기능에 따라 분리된 복수의 프로세서 모듈과 이들을 통합 관리하는 메인 프로세서 모듈로 나눌 수도 있다. 제어부(190)는 표시부(110) 및 사용자 입력부(120)를 제어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화면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하고, 입력받은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이에 대응되는 화면이 표시되도록 화면을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에 각 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게 하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로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메모리(14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화상 형성부(160)에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통신부(180)를 통하여 외부 기기(200)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그 종류에 따라 팩스부(미도시) 및/또는 스캔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팩스부(미도시)는 모뎀을 이용하여 팩스를 송신하거나 수신한다. 문서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모뎀을 이용한 송신에 적합하도록 팩스 데이터로 만들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팩스 데이터를 화상 형성부(160)에 전달하여 인쇄용지와 같은 인쇄매체에 출력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스캔부(미도시)는 문서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네트워크 망과 접속을 위해 통신부(180)나 저장을 위하여 메모리(140), 팩스 전송을 위해 팩스부(미도시), 인쇄를 위해 화상 형성부(160) 등에 전달한다. 즉, SCAN TO SMB(Sever Message Block), SCAN TO FTP(File Transfer Protocol), SCAN TO WebDAV(Web Distributed Authoring and Versioning), SCAN TO E-mail, SCAN TO PC, SCAN TO BOX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의 명칭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외부 기기(200)와 연결되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외부 기기(200)와 연결되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제어하는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9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사용되는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공급 장치(130)로부터 공급되는 제 1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외부 기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어부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다.(S 1110) 이때,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는 USB 인터페이스부일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90)는 입력받은 제어부 전원으로 구동되어, 제 1 전원의 공급 여부 및 제 2 전원의 공급 여부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 1120) 생성된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는 제어부(190)에 포함된 레지스터에 저장될 수 있다.
그 후,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90)는 외부 기기(200)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요청받고, 생성된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외부 기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는 제 1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90)는 외부 기기(200)로부터 인쇄 작업을 수신한 경우, 제 1 전원을 포함한 화상형성장치(100)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전원들을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 장치(130)를 제어하고, 수신된 인쇄 작업을 수행하도록 화상 형성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하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된 경우, 제 1 전원의 공급을 재개하도록 전원 공급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00)와 화상형성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기기(200) 모두 전원이 오프(off) 상태이다가 외부 기기(200)의 전원이 온(on)되어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외부 기기(200)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에 제 2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공급된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어부 전원을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90)가 입력받고, 화상형성장치(100)의 웜업(warm-up)을 제외한 부팅(booting)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부(190)는 전원 공급 장치(130)로부터 제 1 전원을 포함한 화상형성장치(100)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전원들이 공급된 후, 화상형성장치(100)의 웜업(warm-up)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외부 기기(200)와 연결되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제어하는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개시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개시된 실시예들이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화상형성장치 ... 100
전원 공급 장치 ... 130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 ... 150
구동부 ... 170
제어부 ... 190
전원 공급 상태 검출부 ... 191
전원 공급 상태 송수신부 ... 193
CPU ... 195

Claims (20)

  1.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공급 장치;
    외부 기기와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연결하는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제 1 전원 또는 상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제어부 전원을 생성하는 구동부; 및
    상기 생성된 제어부 전원으로 구동되어, 상기 제 1 전원의 공급 여부 및 상기 제 2 전원의 공급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 상기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 전원을 생성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요청받고, 상기 생성된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1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었음을 나타내는, 화상형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인쇄 작업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원을 포함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전원들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인쇄 작업을 수행하도록 상기 화상 형성부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원의 공급을 재개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 장치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의 전원이 온(on) 되어 상기 제 2 전원이 상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공급되면, 상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전원을 포함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전원들이 공급된 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웜업(warm-up)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전원의 공급 여부 및 상기 제 2 전원의 공급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 공급 상태 정보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전원 공급 상태 검출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요청받는 전원 공급 상태 송수신부;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생성된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전원 공급 상태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 송신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PU는 상기 생성된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는 USB 인터페이스부인, 화상형성장치.
  11.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제 1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 상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생성된 제어부 전원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받은 제어부 전원으로 구동되어, 상기 제 1 전원의 공급 여부 및 상기 제 2 전원의 공급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 1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었음을 나타내는,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인쇄 작업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 1 전원을 포함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전원들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인쇄 작업을 수행하도록 화상 형성부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 1 전원의 공급을 재개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전원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외부 기기의 전원이 온(on) 되어 상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제 2 전원이 공급되는 단계; 및
    상기 공급된 제 2 전원을 이용하여 생성된 상기 제어부 전원을 입력받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전원을 포함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복수 개의 전원들이 공급된 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웜업(warm-up)을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전원 공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는 USB 인터페이스부인,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20. 제 11 항 내지 제 19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40113347A 2014-08-28 2014-08-28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 KR2016002589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347A KR20160025890A (ko) 2014-08-28 2014-08-28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
US14/727,083 US9348296B2 (en) 2014-08-28 2015-06-01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connected to external device via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PCT/KR2015/007124 WO2016032118A1 (en) 2014-08-28 2015-07-09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connected to external device via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201580055162.8A CN106796559B (zh) 2014-08-28 2015-07-09 控制通过外部设备接口单元连接到外部设备的图像形成装置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图像形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347A KR20160025890A (ko) 2014-08-28 2014-08-28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890A true KR20160025890A (ko) 2016-03-09

Family

ID=55399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347A KR20160025890A (ko) 2014-08-28 2014-08-28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48296B2 (ko)
KR (1) KR20160025890A (ko)
CN (1) CN106796559B (ko)
WO (1) WO20160321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05564B2 (ja) * 2016-06-15 2020-12-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4834A (ja) 2001-02-15 2002-08-30 Fuji Xerox Co Ltd 印刷装置
JP2004202692A (ja) * 2002-12-20 2004-07-22 Canon Finetech Inc 画像形成装置
KR100696103B1 (ko) * 2005-08-16 2007-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정착장치
JP4967592B2 (ja) * 2006-10-20 2012-07-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管理システム、端末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7917781B2 (en) 2008-09-10 2011-03-29 Cyber Power Systems Inc. Universal USB power supply
JP4660597B2 (ja) * 2009-03-03 2011-03-3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110083008A (ko) 2010-01-13 2011-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
JP5446943B2 (ja) * 2010-01-29 2014-03-19 ソニー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及びプリンタ装置の制御方法
JP2013152440A (ja) * 2011-12-29 2013-08-08 Ricoh Co Ltd 電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906866B2 (ja) 2012-03-22 2016-04-2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5978835B2 (ja) 2012-07-30 2016-08-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2014081554A (ja) 2012-10-18 2014-05-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082714A (ja) * 2012-10-18 2014-05-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796559B (zh) 2020-01-07
CN106796559A (zh) 2017-05-31
US9348296B2 (en) 2016-05-24
WO2016032118A1 (en) 2016-03-03
US20160062302A1 (en)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819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by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874338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for a display por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CN104935771A (zh) 图像形成设备和用于控制图像形成设备的方法
JP2015174375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711530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03407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2015035849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40164805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US2014017331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operable in power saving m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57554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722585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54331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10157375A1 (en) Display device and program for display device
KR20150139338A (ko) 화상형성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조작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
US2016006576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20160025890A (ko)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
US2015018734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9905141B2 (en) Image output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16224765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516180B2 (en) Storage medium, device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and device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US9924059B2 (en) Apparatus having power-saving function,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7404818B2 (ja) 機器、モード切替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2125869A (ja) 通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19028138A (ja) 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6168682A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