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008A -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3008A
KR20110083008A KR1020100002999A KR20100002999A KR20110083008A KR 20110083008 A KR20110083008 A KR 20110083008A KR 1020100002999 A KR1020100002999 A KR 1020100002999A KR 20100002999 A KR20100002999 A KR 20100002999A KR 20110083008 A KR20110083008 A KR 20110083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saving mode
power saving
forming apparatus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2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3008A/ko
Priority to US12/923,348 priority patent/US8539267B2/en
Publication of KR20110083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008A/ko
Priority to US13/972,357 priority patent/US2013033977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84Power saving in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6Control thereof using a low-power mode, e.g. standb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41Point to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49By wire, cabl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5By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72Detecting the status of a connec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74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 H04N2201/0075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by a user operated remote control device, e.g. receiving instructions from a user via a computer terminal or mobile telephone hand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와 통신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UPNP 프로토콜에 대응되는 복수의 레벨을 가지는 절전모드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절전모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레벨 중 제1절전모드 진입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절전모드 진입명령과 상기 저장된 절전모드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1 절전모드 진입명령에 대응되게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UPNP 프로토콜의 저 전력(low power) 규약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를 보다 세분화하여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고 사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MANAGEMEN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UPNP 프로토콜을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에 적용한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기간 상호 운용성 확보를 위한 표준으로서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장치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으며, 화상형성장치도 이러한 UPNP 프로토콜을 이용한 컨트롤 디바이스로 활용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문서와 같은 문서에 인쇄되는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터, 복사기, 팩스,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가지는 복합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전원관리모드(Power Management Mode)로서 기설정된 대기시간 동안 인쇄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일부 부품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절전모드(Power Save Mode)를 가진다.
이와 같이, 절전모드를 갖는 화상형성장치는 통상적으로 절전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인쇄와 같은 작업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작업을 수행하고, 작업이 완료된 후로부터 다시 기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해야만 다시 절전모드로 진입하므로, 대기시간 동안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절전모드에서 팩스 수신과 같이 일시적인 인쇄작업만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수신된 팩스데이터의 인쇄가 완료된 후 대기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UPNP 프로토콜의 저 전력(low power) 규약을 이용하여 UPNP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를 보다 세분화하여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고 사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와 통신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UPNP 프로토콜에 대응되는 복수의 레벨을 가지는 절전모드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절전모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레벨 중 제1절전모드 진입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절전모드 진입명령과 상기 저장된 절전모드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1 절전모드 진입명령에 대응되게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작업 요청이 수신되면 현재 설정된 절전모드의 레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절전모드에서 정상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은 외부로부터의 팩스수신, 인쇄데이터 수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저장부에 저장된 인쇄데이터에 대한 인쇄, 문서에 대한 복사, 팩스송신 및 문서에 대한 스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절전모드의 레벨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절전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절전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는, 상기 절전모드의 레벨에 따라 기설정된 대기시간의 경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절전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절전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절전모드의 레벨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선택적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절전모드 해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전모드 해제 명령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에 대응되게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절전모드 레벨은, 절전모드 진입 시 동작, 작업 요청 시 동작 및 작업 완료 후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와 통신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UPNP 프로토콜에 대응되는 복수의 레벨을 가지는 절전모드 정보를 설정하는 오퍼레이션 패널; 상기 설정된 절전모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UPNP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고, 호스트장치로부터 인쇄데이터를 수신 또는 상기 호스트장치에 스캔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 팩스장치와 팩스를 송수신하는 팩스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레벨 중 제1절전모드 진입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제1 절전모드 진입명령에 대응되게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작업 요청이 수신되면 현재 설정된 절전모드의 레벨을 확인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절전모드에서 정상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작업을 수행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은 상기 팩스장치로부터의 팩스수신, 상기 호스트장치로부터의 인쇄데이터 수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인쇄데이터에 대한 인쇄, 문서에 대한 복사, 팩스송신 및 문서에 대한 스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절전모드의 레벨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절전모드로 복귀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모드의 레벨에 따라 기설정된 대기시간의 경과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절전모드로 복귀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모드의 레벨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선택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절전모드 해제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제 명령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절전모드에서 정상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오퍼레이션 패널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입력에 대응되게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절전모드 레벨은, 절전모드 진입 시 동작, 작업 요청 시 동작 및 작업 완료 후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은, UPNP 프로토콜의 저 전력(low power) 규약을 이용하여 UPNP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모드를 보다 세분화하여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고 사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전원모드의 전환 및 복귀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전원관리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와 단말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100)와 단말장치(200)는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상호간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단말장치(200)는 UPNP 프로토콜을 이용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 포인트(CP: Control Point)로서, 사용자의 휴대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장치(200)는 UPNP 프로토콜의 저전력(Low Power) 규약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저 전력 컨트롤 포인트(Low Power Control Point)일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컨트롤 포인트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컨트롤 디바이스(CD: Control Device)로서, 프린터, 복사기, 스캐너, 팩스,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가지는 복합기(MFP)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100)는 UPNP 프로토콜의 저전력(Low Power) 규약에 따른 절전모드를 가지는 저 전력 UPNP 디바이스(Low Power UPNP Device)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일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00)는 제1 통신부(110), 제1 사용자 입력부(120), 제1 표시부(130), 제1 저장부(140), 화상형성부(150), 화상독취부(160), 팩스부(170), 전원공급부(180) 및 제1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제1 통신부(110)는 단말장치(200), 호스트장치, 서버를 포함한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1 통신부(110)는 컨트롤 포인트(CP) 즉, 단말장치(200)로부터 UPNP 프로토콜에 따른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수신되는 제어신호는 UPNP 프로토콜의 저전력(Low Power) 제어신호로서, 컨트롤 디바이스(CD) 즉, 화상형성장치(100)에 대한 절전모드 진입 메시지(GoToSleep message), 절전모드를 해제하는 웨이크 업 메시지(WakeUp message)를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00)는 전원관리모드(Power Management Mode)로서 정상모드(Normal Mode)(이하, 레디모드(Ready Mode) 라고도 한다)와, 복수의 레벨에 대응하는 복수의 절전모드(Power Save Mode)(이하, 슬립모드(Sleep Mode) 라고도 한다)를 갖는다.
정상모드는 전력상태(Power State)가 액티브(Active)로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정상모드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성 예컨대, UI 모듈(UI Module), 프린터 모듈(Printer Module) 모두에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온(ON)으로 설정된다. 여기서, UI 모듈은 후술하는 제1 사용자 입력부(120)와 제1 표시부(130)를 포함하거나, 오퍼레이션 패널(OPE)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린터 모듈은 인쇄명령에 따라 엔진을 구동하고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150)를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정상모드에서 제1 통신부(110)를 통해 단말장치(200)로부터 절전모드 진입 메시지를 수신하면, 화상형성장치(100)의 일부 구성 예컨대, UI 모듈, 프린터 모듈에 대해 공급되는 전력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절전모드로 진입한다. 여기서, 절전모드 진입 메시지는 표1의 복수의 레벨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절전모드로의 진입명령을 포함한다.
절전모드는 아래 표 1과 같이 3개의 레벨(Level)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절전모드를 레벨 1(Transparent Sleep), 레벨 2(Deep Sleep Online), 레벨 3(Deep Sleep Offline)의 3단계로 분류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여기서, 표 1의 복수의 절전모드 레벨은 UPNP(Universal Plug and Play)에 정의된 전원관리 규약으로서, UPnP Low Power Architecture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 화상형성장치(100)는 표 1의 전원관리모드 외에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공급을 위한 접속이 물리적으로 차단된 디스커넥트(Disconnect) 모드를 더 가질 수 있다.
PowerState PowerManagementMode 모드진입 시 동작 인쇄작업 요청 시 동작 인쇄작업 완료 후 동작
Active Normal UI Module: ON
Printer Module : ON
UI Module: ON
Printer Module : ON
UI Module: 대기시간 경과 후 Sleep
Printer Module: 대기시간 경과 후 Sleep
Transparent Sleep Level 1 UI Module: Sleep
Printer Module: Sleep
UI Module: ON
Printer Module : ON
UI Module: 대기시간 경과 후 Sleep
Printer Module: 대기시간 경과 후 Sleep
DeepSleep Online Level 2 UI Module: Sleep
Printer Module: Sleep
UI Module: ON
Printer Module : ON
UI Module: 즉시 Sleep
Printer Module: 즉시 Sleep
DeepSleep Offline Level 3 UI Module: Sleep
Printer Module: Sleep
UI Module: Sleep
Printer Module : ON
UI Module: Sleep 상태유지
Printer Module: 즉시 Sleep
표 1과 같이, 본 발명 화상형성장치(100)의 절전모드는 모드진입 시 동작, 인쇄작업 요청 시 동작, 인쇄작업 완료 후 동작 등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구성 예컨대, UI 모듈, 프린터 모듈에 선택적으로 전력을 차단하도록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레벨 1(Transparent Sleep)은 절전모드로 진입 시 UI 모듈 및 프린터 모듈 모두에 전력이 차단되고,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인쇄작업 요청이 수신되면, UI 모듈 및 프린터 모듈에 모두에 전력이 공급된다. 그리고, 수신된 인쇄작업이 완료되면 기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한 후 UI 모듈 및 프린터 모듈에 모두에 전력이 차단되는 레벨 1의 절전모드로 복귀한다.
레벨 2(Deep Sleep Online)는 절전모드로 진입 시 UI 모듈 및 프린터 모듈 모두에 전력이 차단되고,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인쇄작업 요청이 수신되면, 프린터 모듈에 모두에만 전력이 공급된다. 그리고, 수신된 인쇄작업이 완료와 함께 즉시 프린터 모듈에 전력이 차단되며, UI 모듈은 전력차단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레벨 3의 절전모드로 복귀한다.
레벨 3(Deep Sleep Offline)는 절전모드로 진입 시 UI 모듈 및 프린터 모듈 모두에 전력이 차단되고,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인쇄작업 요청이 수신되면, UI 모듈 및 프린터 모듈에 모두에 전력이 공급된다. 그리고, 수신된 인쇄작업이 완료되면 기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한 후 UI 모듈 및 프린터 모듈에 모두에 전력이 차단되는 레벨 1의 절전모드로 복귀한다.
여기서, UI 모듈과 프린터 모듈을 제외한 표 1에 설명되지 않은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성(예컨대, 화상독취부(160)를 포함하는 스캔모듈)에는 절전모드의 레벨과 관계없이 전력이 차단되고, 정상모드에서는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단말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110)와, 외부로부터 팩스를 수신하는 팩스부(170)는 절전모드 진입에 진입해서도 계속해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표 1을 참조하면, 정상모드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인쇄동작 없이 기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절전모드 진입하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진입하는 절전모드는 표 1의 레벨 1, 레벨 2 및 레벨 3 중 어느 하나로 미리 설정되어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또한, 절전모드 진입에 대한 대기시간 정보도 미리 설정되어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제1 통신부(11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력상태(Power State) 정보를 컨트롤 포인트 즉, 단말장치(200)로 송신한다. 여기서, 제1 통신부(110)는 전력모드 전환과 같은 이벤트 발생 시 또는 주기적으로 전력상태 신호를 단말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절전모드인 상태에서 단말장치(200)로부터 정상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웨이크 업(Wake UP)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웨이크 업 신호를 수신하면 절전모드에서 정상모드로 전환되고, 제1 통신부(11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정상모드임을 단말장치(200)로 통지한다.
제1 통신부(110)는 호스트장치(서버 포함)와 같은 외부 PC로부터 소정 프린트 언어(예컨대, PCL, PS 등)로 이루어진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1 통신부(110)는 단말장치(200), 호스트장치와 같은 외부장치와 로컬 또는 소정 프로토콜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가능한 유무선 통신모듈이나, USB 메모리와 같은 휴대용 저장매체와 연결 가능한 인터페이스(예컨대, USB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스캔 이미지를 소정 프로토콜에 의해 호스트장치(서버 포함)와 같은 외부로 전송하는 스캔 투 호스트(Scan to Host), 스캔 투 서버(Scan to Server) 기능을 수행하거나, 이메일(Scan to Email) 등을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스캔 투 USB 기능을 통해 연결된 USB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전송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제1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부터 명령을 입력 받는다. 제1 사용자 입력부(12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마련되는 입력버튼(이하, 하드키 라고도 한다)이나,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생성되어 터치 등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가능하도록 제1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이하, UI 라고도 한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사용자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 계정별로 할당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11)를 입력 받는 로그인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로그인은 별도의 없이 접근 제한 없이, 화상형성장치(100)의 모든 환경에 대한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한, 관리자(Administrator) 모드의 로그인을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각 사용자의 로그인 또는 관리자 모드의 로그인이 수행되면, 이에 대한 식별 및 인증(Permission)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관리자를 포함한다.
제1 표시부(13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설정 및 동작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며,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UI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표시부(1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CD를 구동할 수 있는 구동부(도시 안됨) 및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 패널(Touch Panel)(이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또는 터치 패드(Touch Pad) 라고도 한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100)에서는 제1 사용자 입력부(120)가 제1 표시부(130)의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아이콘으로 구현되어, 제1 사용자 입력부(120)와 제1 표시부(130)가 별도의 구성이 아닌 하나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 화상형성장치(100)에서는 제1 사용자 입력부(120)와 제1 표시부(130)를 포함하는 하나의 구성을 조작부(이하, 오퍼레이션 패널(OPE: Operation Panel)이라고도 한다)라고 한다.
제1 표시부(13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마련되는 로컬 표시부와, 화상형성장치와 제1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호스트장치에 마련되는 원격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부(130)가 원격 표시부를 포함하는 경우, 원격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1 사용자 입력부(120)로서의 선택 가능한 UI는 RUI(Remote User Interface)가 되며, 사용자 명령은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 가능한 호스트장치로부터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제1 저장부(140)는 인쇄를 위한 각종 인쇄 데이터, 팩스 송신을 위한 팩스 데이터, 화상독취부(160)를 통해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연결 가능한 외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제1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한 화상형성장치(100)의 각종 설정정보, 사용자 계정 별로 설정된 사용자 등록정보, 사용자 인증정보, 사용권한 정보 등을 저장한다.
본 발명 화상형성장치(100)의 제1 저장부(140)는 표 1의 전원관리모드 정보, 각 전원관리모드에 적용되는 대기시간 정보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제1 저장부(140)는 HDD와 같은 내장용 저장매체나, USB 메모리, 메모리카드(메모리 스틱, CF 카드, MMC), 메모리카드 슬롯(slot) 등과 같은 외장용 또는 휴대용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화상형성부(150)는 인쇄명령에 따라 화상을 형성하여 인쇄를 수행한다. 여기서, 인쇄는 수신된 팩스 데이터의 인쇄, 원고를 스캔한 후의 복사를 위한 인쇄, 서버를 포함하는 호스트장치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화상형성장치(100)의 내부(HDD) 또는 외부(USB 메모리)에 저장된 인쇄데이터의 인쇄를 포함한다. 여기서, USB 메모리에 저장된 인쇄데이터의 인쇄는 다이렉트 인쇄(Direct Print)이며, USB 메모리나 메모리 카드 등에 저장된 데이터는 인쇄뿐 아니라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로 재전송될 수도 있다.
화상독취부(160)는 스캔대상 문서(원고)를 독취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한다. 스캔대상 문서는 문서(document), 사진(Photo), 필름(film) 등을 포함한다. 화상독취부(160)는 CCD, CIS 등으로 구성된 광변환소자와, 광변화소자에서 출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문서를 이미지데이터화하는 이미지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상독취부(160)는 광변환소자와 이미지프로세서를 구동하는 스캔모터와,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상독취부(160)에서 스캔된 스캔 데이터는 팩스 신호로 바뀌어 팩스부(170)에 의해 외부의 팩스장치(201)로 전송될 수도 있다.
팩스부(170)는 화상독취부(160)에서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팩스 신호로 바꾸어 팩스 망(PSTN)을 이용하여 외부의 팩스장치(201)(팩스 기능을 가지는 복합기 포함)로 전송하거나, 외부의 팩스장치(201)로부터 팩스 신호를 수신하는 팩스 통신모듈(예컨대,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팩스부(170)를 통해 수신된 팩스 데이터는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전원공급부(180)는 전력모드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전원공급부(180)는 제1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절전모드의 레벨에 대응하도록 화상형성장치(100)의 일부 구성(예컨대, UI 모듈)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90)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90)는 제1 통신부(110)를 통해 단말장치(200)로부터 전원모드 전환 명령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모드를 전환한다.
제1 제어부(190)는 UPNP 프로토콜 관련 동작을 처리하는 UPNP 스택(stack), 전원관리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전원관리모듈, 전력모드의 전환이나 인쇄명령과 같은 이벤트를 처리하는 이벤트 핸들러(Event Hand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9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모드 상태정보를 단말장치(200)로 통지하도록 제1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1 제어부(190)는 전원모드 전환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면 전원모드 상태정보를 전송하거나,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전원모드 상태정보를 단말장치(200)에 전송하도록 제1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90)는 절전모드 상태에서 인쇄작업 요청이 수신되면, 현재 설정된 절전모드의 레벨을 확인하고, 전원모드를 절전모드에서 정상모드로 전환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성에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제1 제어부(190)는 확인된 절전모드의 레벨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성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표 1을 참조하면, 확인된 절전모드가 레벨 1 또는 레벨 2인 경우 제1 제어부(190)는 UI 모듈(오퍼레이션 패널)과 프린터 모듈(화상형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며, 확인된 절전모드가 레벨 3인 경우 제1 제어부(190)는 UI 모듈(오퍼레이션 패널)에는 전원을 차단하고, 프린터 모듈(화상형성부)에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9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정상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인쇄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도록 화상형성부(15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1 제어부(190)는 작업이 완료되면 절전모드로 복귀한다. 복귀되는 절전모드의 레벨은 작업 요청이 수신되기 전에 설정되었던 절전모드의 레벨이 된다.
여기서, 제1 제어부(190)는 절전모드로의 복귀에 있어, 확인된 절전모드의 레벨에 따라 대기시간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표 1을 참조하면, 제1 제어부(190)는 확인된 절전모드가 레벨 1인 경우 기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UI 모듈(오퍼레이션 패널)과 프린터 모듈(화상형성부)의 전원을 차단하며, 확인된 절전모드가 레벨 2인 경우 작업 완료되면 대기시간 적용없이 작업 완료 즉시 UI 모듈(오퍼레이션 패널)과 프린터 모듈(화상형성부)의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확인된 절전모드가 레벨 3인 경우 제1 제어부(190)는 인쇄동작이 완료되면 대기시간 적용없이 작업 완료 즉시 프린터 모듈(화상형성부)의 전원을 차단하며, UI 모듈(오퍼레이션 패널)은 전원이 차단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 화상형성장치(100)는 절전모드를 레벨 1 내지 레벨 3으로 세분화하고, 절전모드 상태에서 작업요청이 수신되면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성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작업 완료 후 대기시간 적용없이 즉시 절전모드로 복귀 가능하므로, 대기시간 동안의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장치(200)는 제2 통신부(210), 제2 사용자 입력부(220), 제2 표시부(230), 제2 저장부(240) 및 제2 제어부(290)를 포함한다.
제2 통신부(210)는 화상형성장치(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2 통신부(2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UPNP 프로토콜의 저전력(Low Power) 제어신호로서, 컨트롤 디바이스(CD) 즉, 화상형성장치(100)에 대한 절전모드 진입 메시지(GoToSleep message) 및 절전모드를 해제하는 웨이크 업 메시지(WakeUp message)를 송신하고,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전력상태(Power State)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2 통신부(210)는 전력모드 전환과 같은 이벤트 발생 시 또는 주기적으로 전력상태 신호를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입력부(220)는 사용자부터 명령을 입력 받는다. 여기서, 수신되는 명령은 화상형성장치(100)에 대한 절전모드 진입명령 및 해제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입력부(220)는 단말장치(200)에 마련되는 입력버튼(이하, 하드키 라고도 한다)이나,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생성되어 터치 등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가능하도록 제2 표시부(230)에 표시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이하, UI 라고도 한다)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시부(130)는 화상형성장치(100)를 포함하는 UPNP 컨트롤 디바이스의 설정 및 동작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며, 사용자로부터 UPNP 컨트롤을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UI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표시부(2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CD를 구동할 수 있는 구동부(도시 안됨) 및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 패널(Touch Panel)(이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또는 터치 패드(Touch Pad) 라고도 한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저장부(24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대한 전원관리모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제2 저장부(240)는 내장용 또는 휴대용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제2 제어부(290)는 단말장치(2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290)는 제2 사용자 입력부(220)를 통해 소정 레벨의 절전모드로 진입하거나, 절전모드를 해제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면, 대응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0)를 제어한다. 또한, 제2 제어부(290)는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전력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2 통신부(210)를 제어한다.
제2 제어부(290)는 UPNP 프로토콜 관련 동작을 처리하는 UPNP 스택(stack)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제어부(290)는 화상형성장치(100) 뿐 아니라 UPNP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홈 네트워크 상의 기기에 대하여 UPNP에 따른 다양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전원모드의 전환 및 복귀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0) 즉, 저전력 UPNP 디바이스(Low Power UPNP Device)는 정상모드인 액티브(Active) 상태에서 단말장치(200) 즉, 저전력 컨트롤 포인트(Low Power Control Point)로부터 특정 레벨에 대응하는 절전모드로의 진입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1. Action : GoToSleep).
예컨대, 사용자는 외출하기 전에 UPNP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장치(200)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가 특정 레벨의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00)뿐 아니라, UPN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다른 전자장치들에 대하여도 함께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100)를 비롯한 홈 네트워크 상의 기기를 일일이 조작하지 않고도, 휴대가 가능한 단말장치(200)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전력모드의 전환이 가능하다.
화상형성장치(100)는 단말장치(200)로부터 송신된 절전모드 진입 명령에 대응하여 절전모드에 진입하고, 슬립(Sleep) 상태가 된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0)는 특정 레벨의 절전모드 진입에 따라 슬립상태임을 단말장치(200)에 통지한다(2. Notify:PowerState : sleep).
화상형성장치(100)는 슬립상태에서 인쇄동작을 필요로 하는 작업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2와 같이 외부로부터 팩스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100)는 팩스부(170)를 통해 팩스가 수신되는 것을 감지한다(3. Notice : Fax Start).
팩스 수신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는 슬립상태로부터 웨이크 업(Wake Up)된다(4. Action : WakeUp).
웨이크 업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는 액티브(Active) 상태가 된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슬립상태에서의 레벨에 따라 일부 구성에 선택적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예컨대, 표 1의 레벨 3 상태에서 팩스가 수신된 경우, 프린터 모듈(즉, 화상형성부(150))에는 전원이 공급되지만, UI 모듈(즉, 오퍼레이션 패널)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슬립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0)는 웨이크업에 따라 액티브 상태임을 단말장치(200)에 통지한다(2. Notify:PowerState : active).
화상형성장치(100)는 액티브 상태에서 화상형성부(150)를 이용하여 수신된 팩스 데이터에 대한 인쇄를 수행한다.
팩스 데이터에 대한 인쇄가 완료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다시 특정 레벨의 절전모드로 복귀한다(6. Action : GoToSleep). 여기서, 복귀되는 절전모드의 레벨은 팩스 수신에 따른 웨이크 업 이전의 레벨에 대응하며, 레벨에 따라 대기시간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화상형성장치(100)는 표 1의 레벨 1 상태에서 팩스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쇄를 수행한 경우 기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절전모드로 복귀하며, 레벨 2 및 레벨 3 상태의 경우 대기시간 적용 없이 팩스데이터의 인쇄가 완료되면 즉시 절전모드로 복귀한다.
절전모드 복귀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는 슬립상태가 되며, 이를 단말장치(200)로 통지한다(7. Notify:PowerState : sleep).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에 있어서, 그 전원관리과정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PNP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100)는 컨트롤 포인트 즉, 단말장치(200)로부터 제1 통신부(110)를 통해 특정 레벨의 절전모드 진입에 대한 명령(예컨대, 제1 절전모드 진입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10). 여기서, 절전모드의 레벨에 대한 정보는 표 1과 같이 미리 설정되어 화상형성장치(100)의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단계 S10에서 수신된 제1 절전모드 진입명령과 미리 저장된 절전모드 정보를 비교하여, 단계 S10에서 수신된 명령의 레벨에 대응하는 절전모드로 진입한다(S11).
절전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제1 제어부(19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작업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12). 여기서, 작업 요청 신호는 외부로부터의 팩스수신, 호스트장치로부터의 인쇄데이터 수신,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된 인쇄데이터에 대한 인쇄명령, 문서에 대한 복사 명령, 팩스송신명령, 문서에 대한 스캔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2에서 작업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정상모드로 전환된다(S13).
제1 제어부(190)는 정상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단계 S12의 요청된 업을 수행하도록 화상형성부(150)를 제어한다(S14). 여기서, 요청된 작업이 복사, 팩스송신, 스캔인 경우, 제1 제어부(190)는 화상독취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90)는 단계 S14의 작업이 완료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
단계 S15에서 작업이 완료되면, 제1 제어부(190)는 단계 S11에서 설정된 절전모드의 레벨에 따라 대기시간의 적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6). 구체적으로, 표 1을 참조하면 제1 제어부(190)는 단계 S11의 설전모드가 레벨 1인 경우 대기시간이 적용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 S11의 설전모드가 레벨 2 또는 레벨 3인 경우 대기시간이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대기시간 정보를 미리 설정되어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단계 S16에서 대기시간이 적용되는 경우 즉, 레벨 1인 경우, 제1 제어부(190)는 기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7).
단계 S17의 판단 결과 기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제1 제어부(190)는 단계 S10에서 수신되었던 명령의 레벨 즉, 단계 S11의 레벨에 대응하는 절전모드로 진입 즉, 복귀한다(S18).
단계 S16에서 대기시간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 즉, 레벨 2 또는 레벨 3인 경우, 제1 제어부(190)는 단계 S15에서 인쇄작업이 완료되는 즉시, 단계 S10에서 수신되었던 명령의 레벨 즉, 단계 S11의 레벨에 대응하는 절전모드로 진입 즉, 복귀한다(S18).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 화상형성장치(100)는 절전모드의 레벨에 따라 정상모드 전환에 따른 작업 완료 후 대기시간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대기시간 동안 소요되는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PNP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100)는 컨트롤 포인트 즉, 단말장치(200)로부터 제1 통신부(110)를 통해 특정 레벨의 절전모드 진입에 대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20). 여기서, 절전모드의 레벨에 대한 정보는 표 1과 같이 미리 설정되어 화상형성장치(100)의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단계 S20에서 수신된 진입명령과 미리 저장된 절전모드 정보를 비교하여, 단계 S20에서 수신된 명령의 레벨에 대응하는 절전모드로 진입한다(S21).
화상형성장치(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제1 제어부(190)는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컨트롤 포인트 즉, 단말장치(200)로부터 절전모드를 해제하는 명령이 수신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S22).
단계 S22에서 절전모드 해제 명령이 수신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정상모드로 전환된다(S23).
제1 제어부(190)는 정상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작업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S24). 여기서, 작업 요청 신호는 외부로부터의 팩스수신, 호스트장치로부터의 인쇄데이터 수신,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된 인쇄데이터에 대한 인쇄명령, 문서에 대한 복사 명령, 팩스송신명령, 문서에 대한 스캔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4에서 작업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제어부(190)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화상형성부(150)를 제어한다(S25).
제1 제어부(190)는 단계 S25의 작업이 완료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6).
단계 S26에서 작업이 완료되면, 제1 제어부(190)는 기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7).
단계 S24에서 작업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1 제어부(190)는 다른 동작 없이 기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7).
여기서, 대기시간 정보는 예컨대 3600초와 같이 미리 설정되어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단계 S27의 판단 결과 기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제1 제어부(190)는 특정 레벨에 대응하는 절전모드로 진입한다(S28). 여기서, 진입하는 절전모드의 레벨은 디폴트 값으로 미리 설정되어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UPNP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100)는 컨트롤 포인트 즉, 단말장치(200)로부터 제1 통신부(110)를 통해 특정 레벨의 절전모드 진입에 대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30). 여기서, 절전모드의 레벨에 대한 정보는 표 1과 같이 미리 설정되어 화상형성장치(100)의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단계 S30에서 수신된 진입명령과 미리 저장된 절전모드 정보를 비교하여, 단계 S30에서 수신된 명령의 레벨에 대응하는 절전모드로 진입한다(S31).
화상형성장치(100)가 절전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제1 제어부(19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제1 사용자 입력부(120)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입력이 수신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S32).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은 절전모드의 해제 명령 뿐 아니라, 화상형성장치(100)가 지원하는 특정 작업 수행의 명령, 화상성형장치(100)에 대한 로그인 명령, 제1 표시부(130) 상에서 특정 메뉴를 선택하는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2에서 UI 입력이 수신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단계 S32의 입력에 대응되게 정상모드로 전환된다(S33).
제1 제어부(190)는 정상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작업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S34). 여기서, 작업 요청 신호는 외부로부터의 팩스수신, 호스트장치로부터의 인쇄데이터 수신,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된 인쇄데이터에 대한 인쇄명령, 문서에 대한 복사 명령, 팩스송신명령, 문서에 대한 스캔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4에서 작업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제어부(190)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화상형성부(150)를 제어한다(S35).
제1 제어부(190)는 단계 S35의 인쇄작업이 완료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6).
단계 S36에서 작업이 완료되면, 제1 제어부(190)는 기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7).
단계 S34에서 작업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1 제어부(190)는 다른 동작 없이 기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7).
대기시간 정보는 예컨대 3600초와 같이 미리 설정되어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단계 S37의 판단 결과 기설정된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제1 제어부(190)는 특정 레벨에 대응하는 절전모드로 진입한다(S38). 여기서, 진입하는 절전모드의 레벨은 디폴트 값으로 미리 설정되어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 화상형성장치(100)는 절전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장치(200)를 이용하거나, 화상형성장치(100)의 UI 입력과 같은 간단한 조작을 이용하여 정상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0 : 화상형성장치 110 : 제1 통신부
120 : 제1 사용자 입력부 130 : 제1 표시부
140 : 제1 저장부 150 : 화상형성부
160 : 화상독취부 170 : 팩스부
180 : 전원공급부 190 : 제1 제어부
200 : 단말장치 210 : 제2 통신부
220 : 제2 사용자 입력부 230 : 제2 표시부
240 : 제1 저장부 290 : 제2 제어부

Claims (18)

  1.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와 통신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UPNP 프로토콜에 대응되는 복수의 레벨을 가지는 절전모드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절전모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레벨 중 제1절전모드 진입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절전모드 진입명령과 상기 저장된 절전모드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1 절전모드 진입명령에 대응되게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작업 요청이 수신되면 현재 설정된 절전모드의 레벨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절전모드에서 정상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은 외부로부터의 팩스수신, 인쇄데이터 수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저장부에 저장된 인쇄데이터에 대한 인쇄, 문서에 대한 복사, 팩스송신 및 문서에 대한 스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절전모드의 레벨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절전모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는,
    상기 절전모드의 레벨에 따라 기설정된 대기시간의 경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절전모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절전모드의 레벨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선택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절전모드 해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전모드 해제 명령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에 대응되게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전모드 레벨은,
    절전모드 진입 시 동작, 작업 요청 시 동작 및 작업 완료 후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
  10. UPNP(Universal Plug and Play)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와 통신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UPNP 프로토콜에 대응되는 복수의 레벨을 가지는 절전모드 정보를 설정하는 오퍼레이션 패널;
    상기 설정된 절전모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UPNP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고, 호스트장치로부터 인쇄데이터를 수신 또는 상기 호스트장치에 스캔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
    팩스장치와 팩스를 송수신하는 팩스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레벨 중 제1절전모드 진입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제1 절전모드 진입명령에 대응되게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절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작업 요청이 수신되면 현재 설정된 절전모드의 레벨을 확인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절전모드에서 정상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작업을 수행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은 상기 팩스장치로부터의 팩스수신, 상기 호스트장치로부터의 인쇄데이터 수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인쇄데이터에 대한 인쇄, 문서에 대한 복사, 팩스송신 및 문서에 대한 스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절전모드의 레벨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절전모드로 복귀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모드의 레벨에 따라 기설정된 대기시간의 경과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절전모드로 복귀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절전모드의 레벨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선택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절전모드 해제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제 명령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절전모드에서 정상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션 패널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입력에 대응되게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정상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전모드 레벨은,
    절전모드 진입 시 동작, 작업 요청 시 동작 및 작업 완료 후 동작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00002999A 2010-01-13 2010-01-13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 KR2011008300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999A KR20110083008A (ko) 2010-01-13 2010-01-13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
US12/923,348 US8539267B2 (en) 2010-01-13 2010-09-15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management method thereof
US13/972,357 US20130339774A1 (en) 2010-01-13 2013-08-21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management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999A KR20110083008A (ko) 2010-01-13 2010-01-13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008A true KR20110083008A (ko) 2011-07-20

Family

ID=44259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999A KR20110083008A (ko) 2010-01-13 2010-01-13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539267B2 (ko)
KR (1) KR2011008300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6924B2 (ja) * 2009-11-24 2014-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2244606A (ja) * 2011-05-24 2012-12-10 Oki Dat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14522146A (ja) * 2011-06-09 2014-08-28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低消費スタンバイモードの終了および関連する機器のための方法
JP2013161381A (ja) * 2012-02-08 2013-08-19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84766B2 (ja) * 2012-09-19 2015-03-18 株式会社東芝 複合機およびシステム
US9436268B2 (en) * 2012-09-27 2016-09-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power control using a power supply to provide voltage to subsystems in which a subsystem determines its operating state based on the voltage received by the subsystem
CN103176840A (zh) * 2013-02-20 2013-06-2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管理应用程序启动的方法及其移动终端
JP6119443B2 (ja) * 2013-06-11 2017-04-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子機器、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25890A (ko) * 2014-08-28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기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
JP2016115273A (ja) * 2014-12-17 2016-06-23 株式会社リコー 電力制御システム、電力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電力制御プログラム
CN105786534B (zh) * 2014-12-18 2019-03-12 联芯科技有限公司 信息获取方法和装置
ES2574930B1 (es) * 2014-12-22 2017-04-19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Aparato doméstico
JP2018019328A (ja) * 2016-07-29 2018-02-01 株式会社リコー 電子機器、無線通信装置、及び電力状態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79B1 (ko) 2001-01-11 2007-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절전방법
JP2003337510A (ja) * 2002-05-21 2003-11-28 Brother Ind Ltd 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システムの画像形成装置
JP4217445B2 (ja) * 2002-09-06 2009-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電力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334793A (ja) * 2003-05-12 2004-11-25 Canon Inc 周辺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およびクライアントデバイスおよび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デバイス検索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4336636B2 (ja) * 2004-09-21 2009-09-3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WO2006038094A1 (en) * 2004-10-06 2006-04-13 Nokia Corporation Distributed link-layer wake-up agent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universal plug and play function with lower power proxy
KR100657326B1 (ko) * 2005-07-07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장치의 전력관리 모드에 따라 네트워크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키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07295080A (ja) * 2006-04-21 2007-11-08 Ricoh Co Ltd 通信装置と通信方法とプログラムと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5180613B2 (ja) * 2008-02-19 2013-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558270B1 (ko) * 2009-01-06 2015-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소비 전력 제어 방법
JP2010186402A (ja) * 2009-02-13 2010-08-26 Seiko Epson Corp 電子回路、印刷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0194811A (ja) * 2009-02-24 2010-09-09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用コントローラーおよび印刷装置
US8339626B2 (en) * 2009-09-08 2012-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1109252A (ja) * 2009-11-13 2011-06-02 Canon Inc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39774A1 (en) 2013-12-19
US8539267B2 (en) 2013-09-17
US20110173473A1 (en) 201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3008A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관리방법
US887307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start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961899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2293147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Low Power Thereof
US20070058190A1 (en) Multi-function printer
KR100613608B1 (ko) 절전모드 기능을 가지는 장치 및 그의 절전모드 제어방법
US965867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EP2390759A2 (en) Power save mode for an electronic apparatus and system
US97429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ifting electric power modes in an image forming system
KR20100039138A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워밍업 방법
JP2016015694A (ja) 処理装置、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06330843A (ja) 情報機器
US2012008458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remote power control, power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2011041129A (ja) 画像入出力システム
JP3962696B2 (ja)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703445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74221B2 (ja)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882559B2 (ja) 入出力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60230419A1 (en) Image form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with mode controllable communication interface
JP6050803B2 (ja) 画像処理装置
US2018024902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JP719189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4056258A (ja) 遠隔制御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遠隔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US11695882B2 (en) Image process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processor for obtaining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sending image data to image forming apparatus
JPH11161381A (ja) 電力モード通知装置および電力モード報知装置並びに該報知装置が利用す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