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221A - 중량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중량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221A
KR20160002221A KR1020140081250A KR20140081250A KR20160002221A KR 20160002221 A KR20160002221 A KR 20160002221A KR 1020140081250 A KR1020140081250 A KR 1020140081250A KR 20140081250 A KR20140081250 A KR 20140081250A KR 20160002221 A KR20160002221 A KR 20160002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easuring
sorting
opening
no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문
Original Assignee
신바람이노텍(주)
박병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바람이노텍(주), 박병문 filed Critical 신바람이노텍(주)
Priority to KR1020140081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2221A/ko
Publication of KR20160002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2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07C5/18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a single stationary weighing mechanism
    • B07C5/20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a single stationary weighing mechanism for separating articles of less than a predetermined weight from those of more than that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07C5/28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electrical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포장이 이루어지기 전에 1차에서 계량된 중량물을 2차에서 재차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정상 중량물과 비정상 중량물로 선별하여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급수단으로부터 셋팅된 중량으로 공급되는 중량물을 계량한 후 배출하는 계량수단; 및 상기 계량수단의 하부나 평면 이동 후 그 계량수단으로부터 배출된 중량물의 중량을 재차 정확하게 측정하여 정상 중량물 또는 비정상 중량물에 따라 선별하여 배출하는 선별수단; 및 상기 계량수단 및 선별수단과 각각 연결되어 각 배출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중량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비정상 중량물 포장에 따른 포장지를 찢거나 뜯거나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작업을 생략할 수 있음은 물론 그로 인한 높은 경제성도 확보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정상 중량물의 포장 효율성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중량 선별장치{Weight sorting device}
본 발명은 중량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포장이 이루어지기 전에 1차에서 계량(計量)된 중량물을 2차에서 재차 중량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정상 중량물과 비정상 중량물로 선별하여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중량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과일류나 농작물, 야채나 채소 등과 같은 작물은 재배 기간을 거쳐 수확(생한)한 후에 저울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일정 무게단위로 포장을 행하게 되는 데, 이러한 방식은 오랜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효율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한 포장을 위해 저울을 이용하여 계량하는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1078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선별포장작업대의 표면에 저울의 높이만큼 함몰되어진 저울거치대를 구비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한, 이러한 선행기술 역시 전술한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는 단점을 가진다 .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수작업 계량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호퍼 내에 로드셀을 설치하여 연속적으로 중량물을 계량 후 포장을 실시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중량물을 계량하는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6958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수확된 작물의 판매용 포장을 위해 셋팅된 일정 중량 단위로 신속하게 개량하여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5648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계측수단을 포함하는 컨베이어장치에 의한 선별기의 분배기능시 자유 낙하하는 농산물이 배출플레이트와의 충돌을 완화하여 주도록 하여 상품의 표면에 상처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완충수단을 구비한 선별기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695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5648호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2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1번의 계량이 이루진 후 포장이 바로 이루어짐에 따라 개량이 잘못되었을 경우 이미 포장된 포장지를 찢거나 뜯어 내어 재 계량해야 하는 번거로움은 물론 그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이 큰 단점을 가진다.
다시 말해서, 계량된 중량물이 규정된 중량 보다 많은 경우에는 그렇지 않지만 소자비가 부족한 량에 대해서는 민감하게 대응함에 따라 규정된 정량대로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관건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포장이 이루어지기 전에 1차에서 계량(計量)된 중량물을 2차에서 재차 정확하게 측정하여 정상 중량물과 비정상 중량물로 선별하여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중량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별수단을 중량물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급수단부터 공급되는 중량물을 정확한 중량으로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포장전 중량을 측정하여 정상 중량물과 비정상 중량물로 선별하여 배출하는 중량 선별장치로서, 상기 중량 선별장치는 공급수단으로부터 셋팅된 중량으로 공급되는 중량물을 계량한 후 배출하는 계량수단; 및 상기 계량수단의 하부나 평면 이동 후 그 계량수단으로부터 배출된 중량물의 중량을 재차 정확하게 측정하여 정상 중량물 또는 비정상 중량물에 따라 선별하여 배출하는 선별수단; 및 상기 계량수단 및 선별수단과 각각 연결되어 각 배출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계량수단은 공급수단으로부터 중량물이 투입되는 투입호퍼, 상기 투입호퍼의 밑면에 투입된 중량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개폐부재, 및 상기 투입호퍼에 장착되어 투입된 중량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중량 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단이 투입호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개폐판, 및 상기 한 쌍의 개폐판을 동시에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선별수단은 계량수단으로부터 배출된 중량물이 포집되는 포집버킷, 상기 포집버킷에 장착되어 포집된 중량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부, 및 상기 중량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중량에 따라 하부에 구비된 정상 중량물 측과 비정상 중량물 측으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포집버킷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재는 포집버킷의 양측에 그 포집버킷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대, 상기 장착대가 결합되어 상기 포집버킷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선별수단은 계량수단으로부터 배출된 중량물이 포집되는 포집호퍼, 상기 포집호퍼에 장착되어 포집된 중량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부, 및 상기 포집호퍼의 밑면에 장착되어 상기 중량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중량에 따라 포집된 중량물을 하부에 구비된 정상 중량물 측과 비정상 중량물 측으로 각각 배출할 수 있도록 각각 개폐되는 선별 개폐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선별 개폐부재는 포집호퍼의 양측에 상단이 상기 포집호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각각의 선별 개폐판, 상기 선별 개폐판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구비되는 각각 개폐부를 포함한다.
상기 선별수단은 계량수단으로부터 배출된 중량물이 놓여지는 컨베이어벨트부재, 상기 컨베이어벨트부재에 장착되어 그 컨베이어벨트부재로 놓여진 중량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부, 및 상기 중량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중량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벨트 부재를 하부에 구비된 정상 중량물 측과 비정상 중량물 측으로 각각 배출할 수 있도록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재는 컨베이어벨트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중량 측정부의 측정 치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는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이다.
상기 정상 중량물이 배출되는 측에는 그 배출되는 정상 중량물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포장이 이루어지기 전에 1차에서 계량된 중량물을 2차에서 재차 정확하게 측정하여 정상 중량물과 비정상 중량물로 선별하여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정상 중량물 포장에 따른 포장지나 포장용기를 찢거나 뜯거나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작업을 생략할 수 있음은 물론 포장지나 포장용기를 절약할 수 있어 그로 인한 높은 경제성도 확보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정상 중량물의 포장 효율성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선별수단을 중량물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량물의 종류에 따라 선택 가능한 조건으로 인해 호환성도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을 선별하고자 하는 중량물에 따라 이송과 세척 등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셋팅된 중량만큼만 공급하는 공지된 공급수단(100)부터 공급되는 중량물을 정확한 중량으로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포장전 중량을 측정하여 정상 중량물과 비정상 중량물로 선별하여 배출하는 중량 선별장치(1)를 개시한다.
여기서, 중량물이라 함은 자동 계량하여 포장하는 여러 종류의 계량물, 즉 과자류나 견과류 등 포장을 위해 계량된 모든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포장이 이루어지기 전에 1차에서 계량(計量)된 중량물을 2차에서 재차 정확하게 측정하여 정상 중량물과 비정상 중량물로 선별하여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중량 선별장치(1)는 공급수단(100)으로부터 셋팅된 중량으로 공급되는 중량물을 계량한 후 배출하는 계량수단(10); 및 상기 계량수단(10)의 하부나 평면 이동 후 그 계량수단(10)으로부터 배출된 중량물의 중량을 재차 정확하게 측정하여 정상 중량물 또는 비정상 중량물에 따라 선별하여 배출하는 선별수단(20); 및 상기 계량수단(10) 및 선별수단(20)과 각각 연결되어 각 배출 여부를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제어하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상기 계량수단으로 공급수단으로부터 셋팅된 중량으로 공급되는 방식은 공급수단에 의해 중량물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계량수단이 이를 지속적으로 계량하고 있는 상태에서 규정된 중량물이 채워지면 공지된 방식에 의해 공급수단으로부터 중량물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공급수단을 정지시켜 셋팅된 중량으로 공급받는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급수단으로부터 셋팅된 중량만큼 공급이 이루어질 때 그 공급되는 중량물이 셋팅된 중량만큼 공급되었는 지를 계량수단에 의해 1차적으로 계량한 후 배출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계량수단에 의해 계량된 중량물은 다시 하부에 구비된 선별수단에서 재차 정확한 중량으로 측정이 이루어지면서 정상 중량물로 측정되면 하부에 구비된 정상 중량물 측으로, 비정상 중량물로 측정되면 비정상 중량물 측으로 선별하여 제어부에 의해 배출된다. 그에 따라 종래와 같이 비정상 중량물을 포장 후 다시 포장지를 찢거나 뜯어야 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까다롭고 번거로운 작업을 생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 또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로써, 본 발명은 공급수단을 통하여 공급되는 중량물을 계량수단에서 계량한 후 다시 선별수단에 의해 정상 중량물과 비정상 정상물로 선별하여 제어부를 통하여 배출함으로써, 비정상 중량물 포장에 따른 번거로운 작업을 생략함은 물론 경제성도 높은 조건을 가진다.
또, 정상 중량물만을 포장함으로써, 포장 효율성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소비자에게는 정확한 중량을 가지는 중량물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계량수단(10)은 공급수단(100)으로부터 중량물이 투입되는 투입호퍼(12)와, 상기 투입호퍼(12)의 밑면에 투입된 중량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개폐부재(14), 및 상기 투입호퍼(12)에 통상적인 브래킷나 프레임 등에 의해 장착되어 투입된 중량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도시되지 않은 프레임 등에 구비되는 중량 측정부(16)를 포함한다. 상기 중량 측정부는 통상적인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로드 셀 또는 중량감지 센서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 기재되는 중량 측정부 역시 상기와 같은 기능과 역할을 함에 따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개폐부재(14)는 상단이 투입호퍼(12)로부터 통상적인 핀 또는 힌지 또는 경첩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개폐판(14a)과, 상기 한 쌍의 개폐판(14a)을 동시에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부재(14b)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부재는 통상의 구동수단인 실린더나 정역모터와, 통상의 동력전달수단인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는 링크 결합방식 또는 기어방식인 랙 피니언 등을 사용하여 상기 한 쌍의 개폐판을 동시에 개방하거나 폐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계량수단은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중량물을 정상적인 중량으로의 계량하는 역할을 함에 따라 비정상 중량물로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선별수단(20)은 계량수단(10)으로부터 배출된 중량물이 포집되는 포집버킷(22), 상기 포집버킷(22)에 통상적인 브래킷나 프레임 등에 의해 장착되어 포집된 중량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부(16)와, 상기 중량 측정부(16)에 의해 측정된 중량에 따라 하부에 구비된 정상 중량물 측과 비정상 중량물 측으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포집버킷(22)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24)를 포함한다.
회전부재(24)는 포집버킷(22)의 양측에 그 포집버킷(22)이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대(24a)와, 상기 장착대(24a)가 결합되어 상기 포집버킷(22)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회전부(24b)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는 통상적인 모터와 기어맞물림 방식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음 물론 실린더와 복수의 링크 연결 등에 의해 회전시키는 것으로, 조건에 따라 공지된 어떠한 방식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에서, 정상 중량물 측은 하우징 내에 후술하는 포장수단을 내장한 것으로, 정상 중량물의 유입과 함께 포장이 즉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비정상 중량물 측은 포장되지 않은 중량물이 배출되어 쌓일 수 있는 통상적인 호퍼 형태이면 족하다.
아울러, 상기 포집버킷은 통상 농작물인 감자나 무, 오이나 당근 또는 브로콜리 등과 같이 비교적 구 형태와 유사한 중량물을 사용 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선별수단은 개량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중량물을 재차 정확하게 중량은 측정한 후 정상 중량물과 비정상 중량물로 선별하여 배출함으로써, 판매용으로 포장 시 정확한 중량으로 포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비정상 중량물은 하부에 구비된 비정상 중량물 측으로 배출함에 따라 포장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선별수단에 의하여 비정상 중량물은 포장이 이루어질 수 없도록 함으로써, 비정상 중량물의 포장으로 인한 번거로운 작업을 생략함은 물론 그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 또한 방지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비정상 중량물로 선별된 중량물의 경우 다시 공급수단을 거쳐 정상 중량물로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급수단으로 재공급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선별수단의 배출방식을 회전 방식이 아닌 통상적인 개폐방식에 의해 중량 측정 후 선별하여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선별수단(20)은 계량수단(10)으로부터 배출된 중량물이 포집되는 포집호퍼(25)와, 상기 포집호퍼(25)에 통상적인 브래킷이나 프레임 등에 의해 장착되어 포집된 중량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부(16), 및 상기 포집호퍼(25)의 밑면에 장착되어 상기 중량 측정부(16)에 의해 측정된 중량에 따라 포집된 중량물을 하부에 구비된 정상 중량물 측과 비정상 중량물 측으로 각각 배출할 수 있도록 각각 개폐되는 선별 개폐부재(26)를 포함한다.
상기 선별 개폐부재(26)는 포집호퍼(25)의 양측에 상단이 통상적인 핀 결합 또는 힌지 결합방식이나 경첩 결합방식 등에 의해 상기 포집호퍼(25)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각각의 선별 개폐판(26a), 상기 선별 개폐판(26a)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구비되는 각각의 개폐부(26b)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는 통상적인 실린더와 링크 결합방식나 모터와 기어맞물방식 등과 같은 공지된 적용가능한 방식이면 족하다.
그에 따라 중량 측정부로부터 정상 중량물과 비정상 중량물로 측정되면서 개폐부에 의해 필요로 하는 개폐판을 개방시켜, 즉 정상 중량물 측이나 비정상 중량물 측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정확하게 선별하여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포집호퍼는 전술한 구 형태의 농작물은 물론 야채나 채류 등과 같이 가늘고 긴 형태의 중량물 또한 용이하게 중량을 측정하여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선별수단의 배출방식이 회전이나 개폐방식이 아닌 정확한 중량을 측정 후 선별하여 배출할 때 이송에 의해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선별수단(20)은 계량수단(10)으로부터 배출된 중량물이 놓여지는 통상적인 이송수단인 컨베이어벨트부재(27)와, 상기 컨베이어벨트부재(27)에 장착되어 그 컨베이어벨트부재(27)로 놓여진 중량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부(16), 및 상기 중량 측정부(16)에 의해 측정된 중량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벨트부재(27)를 하부에 구비된 정상 중량물 측과 비정상 중량물 측으로 각각 배출할 수 있도록 회전시키는 회전부재(28)를 포함한다.
회전부재(28)는 컨베이어벨트부재(27)와 연결되어 상기 중량 측정부(16)의 측정 치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는 통상의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모터는 컨베이어벨트부재와 직접 연결되어 구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동력전달수단과 연결되어 컨베이어벨트부재를 구동하여 중량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면 족하다.
그에 따라 중량 측정부로부터 정상 중량물과 비정상 중량물로 측정되면서 구동모터에 의해 컨베이어벨트부재에 놓여진 중량물을 정상 중량부 측이나 비정상 주양부 측으로 이송시켜 배출시킴으로써, 정확하게 선별하여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컨베이어벨트부재는 중량물 중 비교적 작은 입자 형태나 쉽게 굴러다니지 않고 쌓일 수 있는 형태의 중량물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정상 중량물이 배출되는 측에는 그 배출되는 정상 중량물을 포장하기 위한 통상적인 하우징 내에 공지된 포장수단(30)을 더 포함한다.
즉, 선별수단에 의해 정상 중량물이 배출됨과 동시에 이를 즉시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장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1 : 중량 선별장치
10 : 계량수단 12 : 투입호퍼
14 : 개폐부재 14a : 개폐판
14b : 작동부재 16 : 중량 측정부
20 : 선별수단 22 : 포집버킷
24 : 회전부재 24a : 장착대
24b : 회전부 25 : 포집호퍼
26 : 선별 개폐부재 26a : 선별 개폐판
26b : 개폐부 27 : 컨베이어벨트부재
28 : 회전부재 30 : 포장수단

Claims (10)

  1. 공급수단부터 공급되는 중량물을 정확한 중량으로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포장전 중량을 측정하여 정상 중량물과 비정상 중량물로 선별하여 배출하는 중량 선별장치로서,
    상기 중량 선별장치는 공급수단으로부터 셋팅된 중량으로 공급되는 중량물을 계량한 후 배출하는 계량수단; 및
    상기 계량수단의 하부나 평면 이동 후 그 계량수단으로부터 배출된 중량물의 중량을 재차 정확하게 측정하여 정상 중량물 또는 비정상 중량물에 따라 선별하여 배출하는 선별수단; 및 상기 계량수단 및 선별수단과 각각 연결되어 각 배출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수단은 공급수단으로부터 중량물이 투입되는 투입호퍼, 상기 투입호퍼의 밑면에 투입된 중량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개폐부재, 및 상기 투입호퍼에 장착되어 투입된 중량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중량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선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단이 투입호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개폐판, 및 상기 한 쌍의 개폐판을 동시에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선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수단은 계량수단으로부터 배출된 중량물이 포집되는 포집버킷, 상기 포집버킷에 장착되어 포집된 중량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부, 및 상기 중량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중량에 따라 하부에 구비된 정상 중량물 측과 비정상 중량물 측으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포집버킷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선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포집버킷의 양측에 그 포집버킷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대, 상기 장착대가 결합되어 상기 포집버킷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선별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수단은 계량수단으로부터 배출된 중량물이 포집되는 포집호퍼, 상기 포집호퍼에 장착되어 포집된 중량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부, 및 상기 포집호퍼의 밑면에 장착되어 상기 중량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중량에 따라 포집된 중량물을 하부에 구비된 정상 중량물 측과 비정상 중량물 측으로 각각 배출할 수 있도록 각각 개폐되는 선별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선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개폐부재는 포집호퍼의 양측에 상단이 상기 포집호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각각의 선별 개폐판, 상기 선별 개폐판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구비되는 각각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선별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수단은 계량수단으로부터 배출된 중량물이 놓여지는 컨베이어벨트부재, 상기 컨베이어벨트부재에 장착되어 그 컨베이어벨트부재로 놓여진 중량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측정부, 및 상기 중량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중량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벨트 부재를 하부에 구비된 정상 중량물 측과 비정상 중량물 측으로 각각 배출할 수 있도록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선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컨베이어벨트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중량 측정부의 측정 치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는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선별장치.
  10. 제4항, 제6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중량물이 배출되는 측에는 그 배출되는 정상 중량물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선별장치.
KR1020140081250A 2014-06-30 2014-06-30 중량 선별장치 KR201600022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250A KR20160002221A (ko) 2014-06-30 2014-06-30 중량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250A KR20160002221A (ko) 2014-06-30 2014-06-30 중량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221A true KR20160002221A (ko) 2016-01-07

Family

ID=55168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250A KR20160002221A (ko) 2014-06-30 2014-06-30 중량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22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257B1 (ko) * 2017-11-01 2019-08-13 주식회사 화인매카트로닉스 제품의 불량선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958B1 (ko) 2009-12-29 2011-11-29 정희국 농산물 계량장치 및 계량방법
KR101245648B1 (ko) 2010-09-02 2013-03-20 (주)지엠아이 완충수단을 구비한 선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958B1 (ko) 2009-12-29 2011-11-29 정희국 농산물 계량장치 및 계량방법
KR101245648B1 (ko) 2010-09-02 2013-03-20 (주)지엠아이 완충수단을 구비한 선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257B1 (ko) * 2017-11-01 2019-08-13 주식회사 화인매카트로닉스 제품의 불량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670B1 (ko) 조합 저울
KR101431410B1 (ko) 조합 저울
CN204846543U (zh) 一种种子自动定量包装***
KR100974879B1 (ko) 양파 선별 계량포장장치
KR101456223B1 (ko) 자동 계량장치
CN107187649A (zh) 一种多级筛分螺旋输送式脐橙量控包装***
JP4529022B2 (ja) 計量味付けシステム
CN206569298U (zh) 自动组合秤装置
CN108713132A (zh) 组合计量装置
KR20160002221A (ko) 중량 선별장치
JPH0645365B2 (ja) もやし類の定量供給装置
JP4048235B2 (ja) 被秤量物の切り出し機構及び秤量装置
CN205554658U (zh) 一种食品称重封装机
JP5188102B2 (ja) 箱詰め装置
JP5070007B2 (ja) 生産システム
CN110844135A (zh) 一种定量包装秤
JP2021089251A (ja) 改善判断システム
CN211223966U (zh) 一种定量包装秤
JPH0862029A (ja) 高速計量投入装置
JP5641955B2 (ja) 組合せ秤
JP2000198521A (ja) 揚穀計量機
CN210258889U (zh) 一种固体硫酸铝自动化包装设备
JP5669096B2 (ja) 組合せ秤
JP2018096901A (ja) 穀類選別計量機
KR20240069081A (ko) 소포장 팩킹작업을 위한 농산물 정량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