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4026A - 저비중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저비중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4026A
KR20150144026A KR1020140072602A KR20140072602A KR20150144026A KR 20150144026 A KR20150144026 A KR 20150144026A KR 1020140072602 A KR1020140072602 A KR 1020140072602A KR 20140072602 A KR20140072602 A KR 20140072602A KR 20150144026 A KR20150144026 A KR 20150144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arbonate
mascara
practice
specific gr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6903B1 (ko
Inventor
홍준기
박세진
유장영
김영호
이상길
표형배
Original Assignee
한불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불화장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불화장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2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903B1/ko
Publication of KR20150144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2Peroxides; Oxygen;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2Gas relea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산염과 산을 이용하여 마스카라 내용물 내부에 이산화탄소 가스를 발생 시켜 기포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마스카라의 비중을 낮추어 동일한 양의 마스카라를 속눈썹에 도포하였을 때 일반 마스카라에 비하여 도포 즉시 또는 시간이 경과해도 쳐지지 아니하여 마스카라 화장 효과를 장기간 유지하며 가벼운 사용감을 나타내는 저비중 경량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비중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A COSMETIC COMPOSITION OF MASCARA HAVING LOW SPECIFIC GRAVITY}
본 발명은 탄산염과 산을 이용하여 마스카라 내용물 내부에 이산화탄소 가스를 발생 시켜 기포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마스카라의 비중을 낮추어 동일한 양의 마스카라를 속눈썹에 도포하였을 때 일반 마스카라에 비하여 도포 즉시 또는 시간이 경과해도 쳐지지 아니하여 마스카라 화장 효과를 장기간 유지하며 가벼운 사용감을 나타내는 저비중 경량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눈은 사람의 얼굴에서 가장 중요한 신체 부위이며 눈이 크고 아름다운 것을 미의 기준으로 보기도 한다. 눈을 크고 아름답게 보이도록 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한 가지는 속눈썹이므로 속눈썹을 진하고 길어 보이도록 하여 매력적인 눈매를 연출하고자 마스카라 화장료를 사용한다.
마스카라는 속눈썹에 도포하는 일반적인 마스카라와 눈썹에 도포하는 아이브로우 마스카라, 머리카락에 도포하는 헤어 마스카라 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공통점은 모발에 도포하는 화장료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모발에 도포되는 모든 마스카라를 포함하고 있다. 모든 화장료가 효능효과가 중요하지만 피부에 도포하는 다른 화장료가 사용자의 촉감을 중요시 하는 것과 달리, 마스카라 화장료는 모발에 도포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촉감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고 시각에 크게 의존하는 화장료라는 큰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마스카라는 볼륨, 컬링, 롱래쉬, 전연성, 건조속도, 롱라스팅 효과 등을 품질시험 항목으로 하고 있다.
화장료에 있어서 발포를 이용하는 화장료에는 폼 클렌저를 들 수 있는데 폼 클렌저에서 발포는 사용감이나 소비자에 대해 세정효과를 과시하려는 목적에서 사용된다(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79303, 대한민국 등록특허:10-1014652). 또 무스나 스프레이 타입에서도 발포를 이용하고 있는데 도포의 편리성을 위해서 발포를 시키는 제품이다(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53144,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2605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79338). 그러나 현재 화장료에서 본 발명과 같이 비중을 낮추어 경량화 할 목적으로 발포 시키는 제품은 찾아볼 수 없다.
마스카라에 있어서 가벼운 사용감을 내려는 시도는 종종 찾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의 대부분은 가벼운 원료를 첨가하는 방법을 쓰고 있으나, 비중은 낮추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 사용된 가벼운 원료가 마스카라 제조 중에 물이나 오일을 흡수하여 비중에 큰 변화를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64777,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0961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20842).
한편, 가스를 발생 시키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화장료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발생되는 가스가 인체에 유해성이 없어야 하고, 폭발의 위험성이 없어야 하기 때문에 화장료에 이용할 수 있는 가스의 종류에는 제한이 따른다. 또한 화장료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되어야 하므로 가스 발생에 참여하는 원료가 미반응 물로 남을 수 있기 때문에 가스 발생에 사용되는 원료나 가스 이외의 반응 생성물도 인체에 해로움을 주어서는 아니 된다.
탄산염과 산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방법은 널리 알려진 방법으로 화장료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1869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43960,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0288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90947,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24216,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83907). 그러나 탄산염과 산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이전의 화장료의 목적은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가스를 화장료에 함유시켜 이산화탄소가 피부에 주는 치료 및 개선 효과를 목적으로 하고 있을 뿐, 본 발명과 같이 비중을 낮추어 경량화 할 목적으로 이산화탄소 가스를 발생시켜 발포 시키는 제품은 찾아볼 수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1869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43960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0288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90947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24216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83907
일반적으로 마스카라를 이용하여 속눈썹을 진하고 길어 보이게 하려면 많은 양의 마스카라 내용물을 속눈썹에 도포하여야 한다. 그 결과 일반적인 마스카라의 경우 속눈썹은 볼륨 있고 길어 보일 수 있지만 속눈썹에 도포된 마스카라 내용물 무게 역시 증가 되어 마스카라 내용물 무게에 의해 컬 유지능이 약해져 속눈썹은 도포 즉시 또는 도포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밑으로 쳐지게 되어 마스카라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느끼게 한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마스카라 내용물 내부에 이산화탄소 가스를 발생 시켜 기포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마스카라의 비중을 낮추어 저비중 경량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이산화탄소 가스는 화장품에 사용이 가능한 피부에 무해한 물질이고, 폭발의 가능성이 없으며, 가스 발생에 참여하는 물질과 최종 반응 생성물도 화장품에 사용 가능한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물질이라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마스카라 내용물 내부에 이산화탄소 가스를 발생 시켜 기포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마스카라의 비중을 낮추어 동일한 양의 마스카라를 속눈썹에 도포하였을 때 일반 마스카라에 비하여 도포 즉시 또는 시간이 경과하여도 쳐지지 아니하여 마스카라 화장 효과를 장기간 유지하며 가벼운 사용감을 나타내는 저비중 경량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마스카라 비중을 낮추기 위해 마스카라 내용물 내부에 이산화탄소 가스를 발생 시켰다. 이산화탄소 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가스 발생 물질로서 탄산염과 산을 마스카라 제조 중 각각 첨가하고 서로 반응시켜 이로 인해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가스가 기포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마스카라 내용물의 비중을 낮추었다. 탄산염과 산에 의해 이산화탄소 가스가 발생하는 대표적인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M2CO3 + 2H+ → 2M+ + H2O + CO2
MCO3 + 2H+ → M2 + + H2O + CO2
MHCO3 + H+ → M+ + H2O + CO2
본 발명에서 이산화탄소 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탄산염으로는 리튬카보네이트(탄산리튬, lithium carbonate, Li2CO3), 소듐카보네이트(탄산나트륨, sodium carbonate, Na2CO3), 포타슘카보네이트(탄산칼륨, potassium carbonate, K2CO3), 세슘카보네이트(탄산세슘, cesium carbonate, Cs2CO3), 암모늄카보네이트(탄산암모늄, ammonium carbonate, (NH4)2CO3), 칼슘카보네이트(탄산칼슘, calcium carbonate, CaCO3), 마그네슘카보네이트(탄산마그네슘, magnesium carbonate, MgCO3), 바륨카보네이트(탄산바륨, barium carbonate, BaCO3), 리튬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탄산수소리튬, lithium hydrogen carbonate, lithium bicarbonate, LiHCO3), 소듐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탄산수소나트륨, 중탄산나트륨, sodium hydrogen carbonate, sodium bicarbonate, NaHCO3), 포타슘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탄산수소칼륨, potassium hydrogen carbonate, potassium bicarbonate, KHCO3), 세슘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탄산수소세슘, cesium hydrogen carbonate, cesium bicarbonate, CsHCO3), 암모늄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탄산수소암모늄, ammonium hydrogen carbonate, ammonium bicarbonate, (NH4)HCO3), 소듐세스퀴카보네이트(세스퀴탄산나트륨, sodium sesquicarbonate, Na2CO3·NaHCO3·2H2O) 등에서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탄산염과 반응시켜 이산화탄소 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산으로는 갈릭애씨드(갈산, gallic acid), 글라이콜릭애씨드(글리콜산, glycolic acid), 글루코닉애씨드(글루콘산, gluconic acid), 글루타믹애씨드(글루탐산, glutamic acid), 글리세릭애씨드(글리세르산, glyceric acid), 글라이옥실릭애씨드(글리옥실산, glyoxylic acid), 락틱애씨드(락트산, 젖산, lactic acid), 말레익애씨드(말레산, maleic acid), 말로닉애씨드(말론산, malonic acid), 말릭애씨드(말산, 사과산, malic acid), 메틸락틱애씨드(메틸락트산, methyl lactic acid), 벤질릭애씨드(벤질산, benzilic acid), 부틸릭애씨드(부티르산, 낙산, butylic acid), 살리실릭애씨드(살리실산, salisylic acid), 석시닉애씨드(석신산, 호박산, succinic acid), 설포닉애씨드(설폰산, sulfonic acid), 설프릭애씨드(황산, sulfuric acid), 소듐디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인산이수소나트륨, sodium dihydrogen phosphate), 소듐설파이트(아황산나트륨, sodium sulfite), 시트릭애씨드(시트르산, 구연산, citric acid), 아디픽애씨드(아디프산, adipic acid), 아세틱애씨드(아세트산, 초산, acetic acid), 아스코빅애씨드(아스코르브산, ascorbic acid), 아스파라기닉애씨드(아스파라긴산, asparaginic acid), 아젤라익애씨드(아젤라산, azelaic acid), 옥살릭애씨드(옥살산, oxalic acid), 이소프탈릭애씨드(이소프탈산, isophthalic acid), 케토글루타릭애씨드(케토글루타르산, ketoglutaric acid), 클로로아세틱애씨드(클로로아세트산, chloroacetic acid), 카보닉애씨드(탄산, carbonic acid), 카보네이티드워터(탄산수, carbonated water), 타타릭애씨드(타르타르산, 주석산, tartaric acid), 테레프탈릭애씨드(테레프탈산, terephthalic acid), 톨루엔설포닉애씨드(톨루엔설폰산, toluene sulfonic acid), 포스포릭애씨드(인산, phosphoric acid), 포타슘디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인산이수소칼륨, potassium dihydrogen phosphate), 포타슘설파이트(아황산칼륨, potassium sulfite), 푸마릭애씨드(푸마르산, fumaric acid), 프로피오닉애씨드(프로피온산, propionic acid), 프탈릭애씨드(프탈산, phthalic acid), 피루빅애씨드(피루브산, pyruvic acid), 하이드로클로릭애씨드(염산, hydrochloric acid) 등에서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1종 이상 선택되어 배합되는 탄산염은 0.01 ~ 20.0 중량%까지 배합될 수 있고, 1종 이상 선택되어 배합되는 산은 0.01 ~ 20.0 중량%까지 배합될 수 있다. 배합량이 너무 적으면 발포력이 너무 약하여 목적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고, 너무 높으면 발포력은 좋아지지만 마스카라로서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
탄산염과 산 성분이 미반응 물질로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당량을 정확히 계산하여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탄산염과 산 성분이 화장료에 사용가능한 성분이라면 화장품 pH 기준이 3 ~ 9라는 점을 감안할 때 pH 기준 안에서 미반응 물질이 남아도 마스카라 화장료로는 문제가 없다.
본 발명에 의한 저비중 경량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은 이산화탄소 가스로 마스카라 내용물 내부에 기포를 발생 시키는 방법으로 마스카라의 비중을 낮추어 동일한 양의 마스카라를 속눈썹에 도포했을 때 일반 마스카라에 비해 도포 즉시 또는 시간이 경과하여도 쳐지지 아니하여 마스카라 화장 효과를 장기간 유지하며 가벼운 사용감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 마스카라인 비교예 1의 마스카라와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 2, 6, 7, 8, 10, 14, 20, 30, 32의 마스카라 현미경 관찰 사진.
도 2는 일반 마스카라인 비교예 1의 마스카라와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 20의 마스카라를 속눈썹에 도포하고 6시간이 경과한 사진.
본 발명은 1종 이상의 탄산염과 1종 이상의 산을 마스카라에 배합하여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가스에 의해 내용물 내부에 기포가 형성되어 내용물의 비중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경량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탄산염으로서는 리튬카보네이트, 소듐카보네이트, 포타슘카보네이트, 세슘카보네이트, 암모늄카보네이트, 칼슘카보네이트, 마그네슘카보네이트, 바륨카보네이트, 리튬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 소듐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 포타슘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 세슘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 암모늄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 소듐세스퀴카보네이트 등에서 1종 이상 선택 배합되고, 산으로서는 갈릭애씨드, 글라이콜릭애씨드, 글루코닉애씨드, 글루타믹애씨드, 글리세릭애씨드, 글라이옥실릭애씨드, 락틱애씨드, 말레익애씨드, 말로닉애씨드, 말릭애씨드, 메틸락틱애씨드, 벤질릭애씨드, 부틸릭애씨드, 살리실릭애씨드, 석시닉애씨드, 설포닉애씨드, 설프릭애씨드, 소듐디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소듐설파이트, 시트릭애씨드, 아디픽애씨드, 아세틱애씨드, 아스코빅애씨드, 아스파라기닉애씨드, 아젤라익애씨드, 옥살릭애씨드, 이소프탈릭애씨드, 케토글루타릭애씨드, 클로로아세틱애씨드, 카보닉애씨드, 카보네이티드워터, 타타릭애씨드, 테레프탈릭애씨드, 톨루엔설포닉애씨드, 포스포릭애씨드, 포타슘디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포타슘설파이트, 푸마릭애씨드, 프로피오닉애씨드, 프탈릭애씨드, 피루빅애씨드, 하이드로클로릭애씨드 등에서 1종 이상 선택 배합되어 제조 중 각각 첨가하고 반응시켜 이로 인해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가스가 마스카라 내용물 내부에서 기포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탄산염과 산은 초기 마스카라 제조를 시작하기 전 원료 칭량에서부터 최종 제조부에서 마스카라 내용물을 꺼낼 때까지의 모든 과정에서 순서에 상관없이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미리 제조 완료된 마스카라 내용물 벌크를 다시 제조부에 넣고 본 발명을 이용하여 발포시키는 것도 당연히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1종 이상 선택 배합되는 탄산염은 0.01 ~ 20.0 중량%로 배합될 수 있고, 1종 이상 선택 배합되는 산은 0.01 ~ 20.0 중량%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또한 가능하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의 기재범위 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배합량은 중량%로 나타낸다.
1. 비교예 1 및 실시예 1 ~ 42
원료 1 ~ 10을 함께 칭량하여 80℃에서 균질화 시키고, 여기에 별도로 함께 칭량하여 80℃로 가열 용해시킨 원료 11 ~ 14를 투입하여 2,000 rpm으로 유화기를 이용하여 10분 유화시킨 후, 40℃로 냉각하여 15 ~ 22를 투입하고 균일 교반한 후, 30℃로 냉각하여 밀폐 저장한다.
원 료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1. 정제수 64 57 57 57 57 57 57 57
2. 흑색산화철 10 10 10 10 10 10 10 10
3. 폴리비닐알코올 2 2 2 2 2 2 2 2
4. 리튬카보네이트 - 1 - - - - - -
5. 소듐카보네이트 - - 1 - - - - -
6. 포타슘카보네이트 - - - 1 - - - -
7. 세슘카보네이트 - - - - 1 - - -
8. 암모늄카보네이트 - - - - - 1 - -
9. 칼슘카보네이트 - - - - - - 1 -
10. 마그네슘카보네이트 - - - - - - - 1
11. 밀납 15 15 15 15 15 15 15 15
12. 스테아릭애씨드 5 5 5 5 5 5 5 5
13.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3 3 3 3 3 3 3 3
14. 디메치콘(300 CS) 1 1 1 1 1 1 1 1
15. 정제수 - 5 5 5 5 5 5 5
16. 갈릭애씨드 - 1 - - - - - -
17. 글라이콜릭애씨드 - - 1 - - - - -
18. 글루코닉애씨드 - - - 1 - - - -
19. 글루타믹애씨드 - - - - 1 - - -
20. 글리세릭애씨드 - - - - - 1 - -
21. 글리옥실릭애씨드 - - - - - - 1 -
22. 락틱애씨드 - - - - - - - 1
원 료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1. 정제수 57 57 57 57 57 57 57
2. 흑색산화철 10 10 10 10 10 10 10
3. 폴리비닐알코올 2 2 2 2 2 2 2
4. 바륨카보네이트 1 - - - - - -
5. 리튬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 - 1 - - - - -
6. 소듐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 - - 1 - - - -
7. 포타슘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 - - - 1 - - -
8. 세슘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 - - - - 1 - -
9. 암모늄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 - - - - - 1 -
10. 소듐세스퀴카보네이트 - - - - - - 1
11. 밀납 15 15 15 15 15 15 15
12. 스테아릭애씨드 5 5 5 5 5 5 5
13.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3 3 3 3 3 3 3
14. 디메치콘(300 CS) 1 1 1 1 1 1 1
15. 정제수 5 5 5 5 5 5 5
16. 말레익애씨드 1 - - - - - -
17. 말로닉애씨드 - 1 - - - - -
18. 말릭애씨드 - - 1 - - - -
19. 메틸락틱애씨드 - - - 1 - - -
20. 벤질릭애씨드 - - - - 1 - -
21. 부틸릭애씨드 - - - - - 1 -
22. 살리실릭애씨드 - - - - - - 1
원 료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실시예
19
실시예
20
실시예
21
1. 정제수 57 57 57 57 57 57 57
2. 흑색산화철 10 10 10 10 10 10 10
3. 폴리비닐알코올 2 2 2 2 2 2 2
4. 리튬카보네이트 1 - - - - - -
5. 소듐카보네이트 - 1 - - - - -
6. 포타슘카보네이트 - - 1 - - - -
7. 세슘카보네이트 - - - 1 - - -
8. 암모늄카보네이트 - - - - 1 - -
9. 칼슘카보네이트 - - - - - 1 -
10. 마그네슘카보네이트 - - - - - - 1
11. 밀납 15 15 15 15 15 15 15
12. 스테아릭애씨드 5 5 5 5 5 5 5
13.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3 3 3 3 3 3 3
14. 디메치콘(300 CS) 1 1 1 1 1 1 1
15. 정제수 5 5 5 5 5 5 5
16. 석시닉애씨드 1 - - - - - -
17. 설포닉애씨드 - 1 - - - - -
18. 설프릭애씨드 - - 1 - - - -
19. 소듐디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 - - 1 - - -
20. 소듐설파이트 - - - - 1 - -
21. 시트릭애씨드 - - - - - 1 -
22. 아디픽애씨드 - - - - - - 1
원 료 실시예
22
실시예
23
실시예
24
실시예
25
실시예
26
실시예
27
실시예
28
1. 정제수 57 57 57 57 57 57 57
2. 흑색산화철 10 10 10 10 10 10 10
3. 폴리비닐알코올 2 2 2 2 2 2 2
4. 바륨카보네이트 1 - - - - - -
5. 리튬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 - 1 - - - - -
6. 소듐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 - - 1 - - - -
7. 포타슘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 - - - 1 - - -
8. 세슘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 - - - - 1 - -
9. 암모늄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 - - - - - 1 -
10. 소듐세스퀴카보네이트 - - - - - - 1
11. 밀납 15 15 15 15 15 15 15
12. 스테아릭애씨드 5 5 5 5 5 5 5
13.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3 3 3 3 3 3 3
14. 디메치콘(300 CS) 1 1 1 1 1 1 1
15. 정제수 5 5 5 5 5 5 5
16. 아세틱애씨드 1 - - - - - -
17. 아스코빅애씨드 - 1 - - - - -
18. 아스파라기닉애씨드 - - 1 - - - -
19. 아젤라익애씨드 - - - 1 - - -
20. 옥살릭애씨드 - - - - 1 - -
21. 이소프탈릭애씨드 - - - - - 1 -
22. 케토글루타릭애씨드 - - - - - - 1
원 료 실시예
29
실시예
30
실시예
31
실시예
32
실시예
33
실시예
34
실시예
35
1. 정제수 57 57 57 57 57 57 57
2. 흑색산화철 10 10 10 10 10 10 10
3. 폴리비닐알코올 2 2 2 2 2 2 2
4. 리튬카보네이트 1 - - - - - -
5. 소듐카보네이트 - 1 - - - - -
6. 포타슘카보네이트 - - 1 - - - -
7. 세슘카보네이트 - - - 1 - - -
8. 암모늄카보네이트 - - - - 1 - -
9. 칼슘카보네이트 - - - - - 1 -
10. 마그네슘카보네이트 - - - - - - 1
11. 밀납 15 15 15 15 15 15 15
12. 스테아릭애씨드 5 5 5 5 5 5 5
13.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3 3 3 3 3 3 3
14. 디메치콘(300 CS) 1 1 1 1 1 1 1
15. 정제수 5 5 5 5 5 5 5
16. 클로로아세틱애씨드 1 - - - - - -
17. 카보닉애씨드 - 1 - - - - -
18. 카보네이티드워터 - - 1 - - - -
19. 타타릭애씨드 - - - 1 - - -
20. 테레프탈릭애씨드 - - - - 1 - -
21. 톨루엔설포닉애씨드 - - - - - 1 -
22. 포스포릭애씨드 - - - - - - 1
원 료 실시예
36
실시예
37
실시예
38
실시예
39
실시예
40
실시예
41
실시예
42
1. 정제수 57 57 57 57 57 57 57
2. 흑색산화철 10 10 10 10 10 10 10
3. 폴리비닐알코올 2 2 2 2 2 2 2
4. 바륨카보네이트 1 - - - - - -
5. 리튬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 - 1 - - - - -
6. 소듐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 - - 1 - - - -
7. 포타슘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 - - - 1 - - -
8. 세슘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 - - - - 1 - -
9. 암모늄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 - - - - - 1 -
10. 소듐세스퀴카보네이트 - - - - - - 1
11. 밀납 15 15 15 15 15 15 15
12. 스테아릭애씨드 5 5 5 5 5 5 5
13.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3 3 3 3 3 3 3
14. 디메치콘(300 CS) 1 1 1 1 1 1 1
15. 정제수 5 5 5 5 5 5 5
16. 포타슘디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1 - - - - - -
17. 포타슘설파이트 - 1 - - - - -
18. 푸마릭애씨드 - - 1 - - - -
19. 프로피오닉애씨드 - - - 1 - - -
20. 프탈릭애씨드 - - - - 1 - -
21. 피루빅애씨드 - - - - - 1 -
22. 하이드로클로릭애씨드 - - - - - - 1
2. 실험예 1 : 현미경 관찰
일반적인 마스카라인 비교예 1과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 2, 6, 7, 8, 10, 14, 20, 30, 32에 대하여 현미경 관찰을 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일반적인 마스카라인 비교예 1은 기포가 거의 없는 것을 볼 수 있지만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들은 내부에 기포가 균일하게 다량 형성되어 일반 마스카라인 비교예 1 대비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들의 무게가 매우 가벼워졌을 것을 예상할 수 있다.
3. 실험예 2 : 비중 비교
일반적인 마스카라인 비교예 1과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비중을 측정하고 수식 1에 따라 비중 감소율을 계산하여 표 5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일반적인 마스카라인 비교예 1은 비중이 1.2를 나타낸 반면,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들은 약 0.4 ~ 0.7의 비중을 나타내었고, 수식 1에 따라 비중 감소율을 계산한 결과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들은 일반 마스카라인 비교예 1 대비 비중이 약 40 ~ 60% 감소하여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들의 무게가 일반 마스카라인 비교예 1 대비 가벼워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식 1>
비중 감소율(%) = (비교예 1의 비중 - 실시예의 비중) / 비교예 1의 비중 * 100
구분 비교
예1
실시
예1
실시
예2
실시
예3
실시
예4
실시
예5
실시
예6
실시
예7
실시
예8
실시
예9
실시
예10
비중 1.20 0.41 0.55 0.60 0.64 0.57 0.48 0.45 0.53 0.55 0.67
비중감소율(%) 0.0 65.8 54.2 50.0 46.7 52.5 60.0 62.5 55.8 54.2 44.2
구분 실시
예11
실시
예12
실시
예13
실시
예14
실시
예15
실시
예16
실시
예17
실시
예18
실시
예19
실시
예20
실시
예21
비중 0.65 0.47 0.44 0.55 0.59 0.69 0.47 0.53 0.68 0.54 0.66
비중감소율(%) 45.8 60.8 63.3 54.2 50.8 42.5 60.8 55.8 43.3 55.0 45.0
구분 실시
예22
실시
예23
실시
예24
실시
예25
실시
예26
실시
예27
실시
예28
실시
예29
실시
예30
실시
예31
실시
예32
비중 0.56 0.57 0.43 0.67 0.51 0.59 0.58 0.62 0.57 0.49 0.52
비중감소율(%) 53.3 52.5 64.2 44.2 57.5 50.8 51.7 48.3 52.5 59.2 56.7
구분 실시
예33
실시
예34
실시
예35
실시
예36
실시
예37
실시
예38
실시
예39
실시
예40
실시
예41
실시
예42
비중 0.66 0.45 0.53 0.57 0.55 0.54 0.52 0.52 0.67 0.50
비중감소율(%) 45.0 62.5 55.8 52.5 54.2 55.0 56.7 56.7 44.2 58.3
4. 실험예 3 : 건조 중량 비교
일반적인 마스카라인 비교예 1과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동일한 부피가 건조되었을 때의 중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가로 10 cm, 세로 5 cm, 깊이 0.1 cm인 사각 틀을 제작하고 마스카라 내용물을 가득 채운 후 24시간 자연 건조 시킨 후 무게를 측정하여 수식 2에 따라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들의 비교예 1 대비 중량 감소율을 계산하여 표 6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수식 1에 따라 건조중량 감소율을 계산하면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들은 일반 마스카라인 비교에 1 대비 건조중량이 약 50 ~ 70% 감소하여 속눈썹에 도포 후 건조되었을 때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들의 건조 후 중량이 일반 마스카라인 비교예 1 대비 매우 가벼워 장시간 컬 유지능이 뛰어나며, 건조 전 비중과 비교하면 건조 후에 가벼운 정도가 더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식 2>
건조중량 감소율(%) = (비교예 1의 건조중량 - 실시예의 건조중량) / 비교예 1의 건조중량 * 100
구분 비교
예1
실시
예1
실시
예2
실시
예3
실시
예4
실시
예5
실시
예6
실시
예7
실시
예8
실시
예9
실시
예10
건조중량 감소율(%) 0.0 62.3 60.8 57.3 56.5 60.4 65.7 68.5 65.8 63.9 65.9
구분 실시
예11
실시
예12
실시
예13
실시
예14
실시
예15
실시
예16
실시
예17
실시
예18
실시
예19
실시
예20
실시
예21
건조중량 감소율(%) 57.7 69.1 70.3 63.8 65.9 54.8 61.7 63.2 55.2 65.7 57.2
구분 실시
예22
실시
예23
실시
예24
실시
예25
실시
예26
실시
예27
실시
예28
실시
예29
실시
예30
실시
예31
실시
예32
건조중량 감소율(%) 65.7 68.1 61.3 62.8 65.9 58.8 66.7 67.2 55.2 56.7 58.2
구분 실시
예33
실시
예34
실시
예35
실시
예36
실시
예37
실시
예38
실시
예39
실시
예40
실시
예41
실시
예42
건조중량 감소율(%) 55.7 63.1 71.3 65.8 56.9 66.8 59.7 55.2 63.2 57.7
5. 실험예 4 : 기포 유지능 실험
마스카라 내용물 내부에 기포를 발생시켰을 때 장기간 기포가 사라지지 않고 유지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마스카라 제조 즉시와 6개월 후의 비중을 측정하여 표 7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제조 즉시와 6개월 후의 비중에 큰 변화가 발생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구분 비교
예1
실시
예1
실시
예2
실시
예3
실시
예4
실시
예5
실시
예6
실시
예7
실시
예8
실시
예9
실시
예10
즉시 1.20 0.41 0.55 0.60 0.64 0.57 0.48 0.45 0.53 0.55 0.67
6개월 후 1.19 0.43 0.57 0.60 0.65 0.59 0.47 0.47 0.55 0.56 0.69
구분 실시
예11
실시
예12
실시
예13
실시
예14
실시
예15
실시
예16
실시
예17
실시
예18
실시
예19
실시
예20
실시
예21
즉시 0.65 0.47 0.44 0.55 0.59 0.69 0.47 0.53 0.68 0.54 0.66
6개월 후 0.67 0.47 0.45 0.56 0.62 0.71 0.47 0.55 0.68 0.53 0.67
구분 실시
예22
실시
예23
실시
예24
실시
예25
실시
예26
실시
예27
실시
예28
실시
예29
실시
예30
실시
예31
실시
예32
즉시 0.56 0.57 0.43 0.67 0.51 0.59 0.58 0.62 0.57 0.49 0.52
6개월 후 0.60 0.61 0.45 0.68 0.55 0.62 0.58 0.61 0.65 0.52 0.60
구분 실시
예33
실시
예34
실시
예35
실시
예36
실시
예37
실시
예38
실시
예39
실시
예40
실시
예41
실시
예42
즉시 0.66 0.45 0.53 0.57 0.55 0.54 0.52 0.52 0.67 0.50
6개월 후 0.67 0.47 0.55 0.59 0.58 0.57 0.58 0.51 0.69 0.58
6. 실험예 5 : 컬 유지능 실험
본 발명을 실시한 마스카라의 컬 유지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 마스카라인 비교예 1의 마스카라와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 20의 마스카라를 각각 속눈썹에 직접 7회씩 도포하고 6시간이 경과하였을 때의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도포 후 6시간이 경과하였을 때 일반 마스카라인 비교예 1의 마스카라는 속눈썹 처짐 현상이 심하게 나타났지만,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 20의 마스카라는 속눈썹 쳐짐 현상이 비교적 약한 것을 볼 수 있다.
7. 실험예 6 : 패널 테스트
본 발명을 실시한 마스카라의 사용감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 마스카라인 비교예 1의 마스카라와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 20의 마스카라를 가지고 20 ~ 40세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각각의 마스카라를 사용하게 한 후 볼륨감, 건조속도, 컬링력, 컬 유지능 등을 평가하게 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제품의 사용방법은 두 제품을 동일한 방법으로 속눈썹에 도포하게 하였다.
그 결과, 일반 마스카라인 비교예 1의 마스카라에 비하여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 20의 마스카라가 건조속도, 컬링력, 컬 유지능 등의 항목에서 매우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평가항목 비교예 1 실시예 20
볼륨감 4.0 4.1
건조속도 3.5 4.9
컬링력 3.1 4.4
컬 유지능 2.5 4.8
평가: 5점(매우 좋음), 4점(좋음), 3점(보통), 2점(나쁨), 1점(매우 나쁨)
위의 실험예 1 ~ 6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탄산염과 산을 마스카라 제조 중 각각 첨가하고 반응시켜 이로 인해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가스가 기포를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마스카라 내용물의 비중을 낮춘 본 발명에 의한 저비중 경량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은 동일한 양의 마스카라를 속눈썹에 도포하였을 때 일반 마스카라에 비하여 도포 즉시 또는 시간이 경과하여도 쳐지지 아니하여 마스카라 화장 효과를 장기간 유지하며 가벼운 사용감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의 가)는 일반 마스카라인 비교예 1의 현미경 사진
도 1의 나)는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 2의 현미경 사진
도 1의 다)는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 6의 현미경 사진
도 1의 라)는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 7의 현미경 사진
도 1의 마)는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 8의 현미경 사진
도 1의 바)는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 10의 현미경 사진
도 1의 사)는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 14의 현미경 사진
도 1의 아)는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 20의 현미경 사진
도 1의 자)는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 30의 현미경 사진
도 1의 차)는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 32의 현미경 사진
도 2의 가)는 일반 마스카라인 비교예 1을 속눈썹에 도포한 후 6시간이 경과한 사진
도 2의 나)는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 20을 속눈썹에 도포한 후 6시간이 경과한 사진

Claims (3)

  1.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탄산염과 산을 배합하여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가스에 의해 내용물 내부에 기포가 형성되어 내용물의 비중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경량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탄산염으로는 리튬카보네이트, 소듐카보네이트, 포타슘카보네이트, 세슘카보네이트, 암모늄카보네이트, 칼슘카보네이트, 마그네슘카보네이트, 바륨카보네이트, 리튬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 소듐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 포타슘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 세슘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 암모늄하이드로겐카보네이트, 소듐세스퀴카보네이트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배합 되고, 산으로는 갈릭애씨드, 글라이콜릭애씨드, 글루코닉애씨드, 글루타믹애씨드, 글리세릭애씨드, 글라이옥실릭애씨드, 락틱애씨드, 말레익애씨드, 말로닉애씨드, 말릭애씨드, 메틸락틱애씨드, 벤질릭애씨드, 부틸릭애씨드, 살리실릭애씨드, 석시닉애씨드, 설포닉애씨드, 설프릭애씨드, 소듐디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소듐설파이트, 시트릭애씨드, 아디픽애씨드, 아세틱애씨드, 아스코빅애씨드, 아스파라기닉애씨드, 아젤라익애씨드, 옥살릭애씨드, 이소프탈릭애씨드, 케토글루타릭애씨드, 클로로아세틱애씨드, 카보닉애씨드, 카보네이티드워터, 타타릭애씨드, 테레프탈릭애씨드, 톨루엔설포닉애씨드, 포스포릭애씨드, 포타슘디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포타슘설파이트, 푸마릭애씨드, 프로피오닉애씨드, 프탈릭애씨드, 피루빅애씨드, 하이드로클로릭애씨드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경량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1종 이상 선택 배합되는 탄산염의 총 합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 20.0 중량%로 배합되고, 1종 이상 선택 배합되는 산의 총 합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 20.0 중량%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비중 경량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072602A 2014-06-16 2014-06-16 저비중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101646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602A KR101646903B1 (ko) 2014-06-16 2014-06-16 저비중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602A KR101646903B1 (ko) 2014-06-16 2014-06-16 저비중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026A true KR20150144026A (ko) 2015-12-24
KR101646903B1 KR101646903B1 (ko) 2016-08-09

Family

ID=55084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602A KR101646903B1 (ko) 2014-06-16 2014-06-16 저비중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9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52956B2 (en) 2016-06-27 2021-03-23 Amorepacific Corporation Antioxidant composition for skin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6010A (ja) * 1983-03-03 1984-04-28 Yoshiaki Koike 化粧品
JP2000297008A (ja) * 1999-04-12 2000-10-24 Pola Chem Ind Inc 発泡性化粧料
KR100518698B1 (ko) 1997-11-07 2005-10-05 가부시끼가이샤 메디온 리서치 라보라토리즈 이산화탄소 함유 점성 화장용 조성물
KR100743960B1 (ko) 2006-10-18 2007-07-30 네비온 주식회사 기포가 발생하는 2액형 화장료 제제
KR100802888B1 (ko) 2001-04-06 2008-02-13 마사야 다나카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KR100990947B1 (ko) 2010-04-22 2010-10-29 박곤상 산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함유 화장료 조성물 키트
JP2013162421A (ja) * 2012-02-07 2013-08-19 Nikon Corp 固体撮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デジタルカメラ
KR101324216B1 (ko) 2013-04-10 2013-11-06 이태후생명과학 주식회사 화장수용 발포정
KR20130122071A (ko) * 2012-04-30 2013-11-07 (주)아모레퍼시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383907B1 (ko) 2012-08-01 2014-04-10 씨앤텍 주식회사 이산화탄소를 피부에 공급하는 팩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6010A (ja) * 1983-03-03 1984-04-28 Yoshiaki Koike 化粧品
KR100518698B1 (ko) 1997-11-07 2005-10-05 가부시끼가이샤 메디온 리서치 라보라토리즈 이산화탄소 함유 점성 화장용 조성물
JP2000297008A (ja) * 1999-04-12 2000-10-24 Pola Chem Ind Inc 発泡性化粧料
KR100802888B1 (ko) 2001-04-06 2008-02-13 마사야 다나카 이산화탄소 외용제 조제용 조성물
KR100743960B1 (ko) 2006-10-18 2007-07-30 네비온 주식회사 기포가 발생하는 2액형 화장료 제제
KR100990947B1 (ko) 2010-04-22 2010-10-29 박곤상 산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함유 화장료 조성물 키트
JP2013162421A (ja) * 2012-02-07 2013-08-19 Nikon Corp 固体撮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デジタルカメラ
KR20130122071A (ko) * 2012-04-30 2013-11-07 (주)아모레퍼시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383907B1 (ko) 2012-08-01 2014-04-10 씨앤텍 주식회사 이산화탄소를 피부에 공급하는 팩
KR101324216B1 (ko) 2013-04-10 2013-11-06 이태후생명과학 주식회사 화장수용 발포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52956B2 (en) 2016-06-27 2021-03-23 Amorepacific Corporation Antioxidant composition for sk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6903B1 (ko) 201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7121B2 (ja) ノンガスフォーマー容器入り液体洗浄剤
JP2009040697A (ja) 化粧料組成物
KR102274597B1 (ko) 분말타입 계면활성제 및 천연분말을 함유하는 온열 인체 세정용 조성물
KR101825512B1 (ko) 화장품용 발포정 조성물
JP2018145163A (ja) 歯磨剤組成物
KR101646903B1 (ko) 저비중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101268068B1 (ko) 자가로 거품이 발생하는 폼클렌징 조성물
JP5380758B1 (ja) 二剤式二酸化炭素発生組成物
KR20170035429A (ko) 저비중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JP4738749B2 (ja) 化粧品用組成物
JP2001302448A5 (ko)
KR101686566B1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101845513B1 (ko) 머드스톤 함유 마사지 기능, 피부관리기능 및 온천 세정용의 다기능성 클렌징 폼 조성물
JP2022095943A (ja) 発泡性皮膚外用剤用キット
TW201526943A (zh) 化妝料用套件、毛髮處理劑用套件以及毛髮處理方法
CN105816361A (zh) 一种温泉浴盐
JP2000248297A (ja) 洗浄剤
JP5996936B2 (ja) 発泡性エアゾール製品
KR20160021797A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9248A (ko) 저비중 마스카라 화장료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20090126030A (ko) 고점도 투명젤상 클렌징폼 화장료 조성물
KR20070077017A (ko) 탄산 캔디 함유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15074A (ko) 탄산수가 포접된 폴리머 매트릭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클렌저 화장료 조성물
JP6288823B2 (ja) 泡沫状毛髪化粧料
WO2019063804A1 (en) DRY PELLETS FOR CLEANING AND / OR EXFOLI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