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259A -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 Google Patents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259A
KR20150094259A KR1020140015321A KR20140015321A KR20150094259A KR 20150094259 A KR20150094259 A KR 20150094259A KR 1020140015321 A KR1020140015321 A KR 1020140015321A KR 20140015321 A KR20140015321 A KR 20140015321A KR 20150094259 A KR20150094259 A KR 20150094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pper plate
intermediate plate
connecting line
portable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김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태 filed Critical 김형태
Priority to KR1020140015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4259A/ko
Publication of KR20150094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2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받침대는 몸체부(10)가 골격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몸체부(10)와 개방수납부(4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상판(22)이 중간판(32)의 일 측과 연결되고 상기 중간판(32)의 다른 일 측은 상기 하판(32)과 연결되어 하나의 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접이선을 따라 상기 상판(22)의 배면은 상기 중간판(32)의 배면 가장자리 일부와 접착되고, 상기 중간판(32)의 전면은 상기 하판(32)의 전면 가장자리와 접착 고정됨으로써 견고한 몸체부(10)가 형성된다. 상기 상판(22)에는 휴대물품의 배면이 지지되는 전면판(12)이 있고 상기 전면판(12)의 후방에는 배면판(22)이 위치되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한다. 상기 전면판(12)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18)는 상기 중간판(32)과 하판(32)에 구비되어 있는 돌기슬릿(26,36)에 대응하게 결합하여 고정된다. 상기 전면판(12)와 상기 하단지지판(34) 사이에는 개방수납부(40)가 형성된다. 상기 개방수납부(40)는 그 상방과 그 양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휴대 물품을 세로 방향이나 가로 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개방수납부(40)에 안착시킬 수 있으며, 휴대 물품의 전면에 있는 화면이 가려지지 않으므로 다양하게 휴대 물품을 받침대에 보관하고, 보관된 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부피가 작고 설치나 해체가 용이하여 항상 휴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Folding type supporter for portable instrument}
본 발명은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부의 구성요소들을 접어서 만들어 휴대물품을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사람들이 휴대하여 사용하는 제품들이 많아 졌다. 즉, 사용자가 휴대하여 가지고 다니면서 사용하는 휴대 물품들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다. 예를 들면, 대표적으로 휴대폰이 있고, 개인용 단말기, 지갑, 수첩, 리모콘 등 다양한 휴대 물품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핸드폰, 특히 스마트폰을 접이식 받침대에 안착시키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휴대 물품은 사용자가 몸이나 가방 등에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휴대 물품은 사무실이나 집에서는 사용자가 몸에 휴대하지 않고 책상 등에 놓아두게 되는데, 그 위치가 일정하지 않게 되면 사용 시마다 휴대 물품을 찾아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고, 특히, 나이가 많아 기억력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휴대 물품의 위치를 자주 잊어버리게 된다.
이와 같은 불편한 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휴대 물품을 놓아 둘 수 있는 접이식 받침대인 핸드폰 홀더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접는 것이 가능하게 만들어진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접이식으로 핸드폰 홀더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핸드폰 홀더는 내부의 공간으로 핸드폰 등 휴대 물품의 절반정도가 들어가서 외부에서 휴대 물품의 전체가 보이지 않고 일부만이 보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의 핸드폰은 음악을 듣거나 특히 동영상을 보는 용도로도 많이 사용하므로, 핸드폰 홀더에 핸드폰을 놓은 상태에서 핸드폰의 일부가 가려지면 동영상을 볼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휴대물품은 항상 휴대하고 이동하므로 받침대 또한 언제든지 휴대할 수 있어야 하나 기존의 받침대는 설치나 해체가 불편하고 부피를 많이 차지함으로써 사무실이나 집에서만 사용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특히, 최근의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놓는 방향을 달리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화면을 가로방향과 세로방향 등 원하는 방향으로 놓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핸드폰 홀더에서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핸드폰을 놓고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한 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핸드폰 홀더는 양측 면을 구성하는 부분이 없어 전체적으로 구조물의 강도가 약한 문제점도 있다. 즉, 양측면을 구성하는 부재가 없으므로 선단과 후단 사이를 연결해서 지지할 수 없어 핸드폰 홀더의 구조적인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806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 물품의 전면 전체를 볼 수 있도록 안착시킬 수 있는 접이식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자가 즉시 설치나 해체가 용이하며 부피가 작아 언제나 휴대할 수 있는 접이식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물품을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사용자가 선택하여 안착시킬 수 있는 접이식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이식 받침대의 구조적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 물품을 안착시키는 각도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접이식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이식 받침대를 하나의 시트로 접어서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 겹으로 접어 형성되므로 이중적인 색상이나 무늬를 표현할 수 있는 장식적인 접이식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휴대 물품의 배면이 지지되는 전면판을 구비하는 몸체부와, 바닥판에 위치하고 돌출되어 상기 전면판의 하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휴대물품의 하단 가장자리가 걸어지는 하단지지판과, 돌출된 상기 전면판과 상기 하단지지판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 물품의 일 측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개방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는 상판과 중간판 그리고 바닥판이 차례로 연결된 하나의 시트로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배면과 상기 중간판의 배면 가장자리 일부가 접착되고, 상기 중간판의 전면과 상기 바닥판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접착되어 다수 겹의 바닥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판과 상기 중간판 그리고 상기 바닥판의 형상과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상판과 상기 중간판 그리고 상기 바닥판 중 형상과 크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상이하게 형성된다.
상기 상판 중간에는 상기 중간판과의 연결선에 인접하여 폭 방향으로 상판연결선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연결선의 양단에서부터 상기 상판의 전면 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상판절단선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연결선에 배면판과 상기 전면판 그리고 고정돌기가 차례로 연결되며, 상기 중간판과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하는 돌기슬릿이 구비되고 상기 중간판에는 상기 하단지지판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상판의 단부에 연결된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에 연장되어 상기 배면판과 상기 전면판 그리고 고정돌기가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상판과 상기 중간판 그리고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하게 결합하는 돌기슬릿이 구비되며 상기 상판과 상기 중간판에는 상기 하단지지판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상판에는 상기 중간판과의 연결선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폭 방향으로 상판연결선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연결선의 양단에서부터 상기 상판의 뒷쪽 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상판절단선이 형성되며, 상판연결선에 전면판과 배면판 그리고 고정돌기가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상판의 전면과 중간판에는 상기 하단지지판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판과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하는 돌기슬릿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판의 단부에 연결된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에 연장되어 전면판과 배면판 그리고 고정돌기가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상판과 중간판 그리고 바닥판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하는 돌기슬릿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연결판과 상판 그리고 상기 중간판에는 하단지지판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단에 위치하는 관통공의 전면에 연장하여 밀착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바닥판과 상기 하단지지판 사이에 연장판이 형성된다.
상기 하단지지판이 바닥판에 별도로 부착되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상판과 상기 중간판 및 상기 바닥판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판과 상기 중간판의 가장자리 일부가 접착되고, 상기 중간판과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가 접착되어 다수 겹의 바닥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판과 상기 중간판 그리고 상기 바닥판의 형상과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상판과 상기 중간판 그리고 상기 바닥판 중 형상과 크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상이하게 형성된다.
상기 상판 중간에는 상기 중간판과의 연결선에 인접하여 폭 방향으로 상판연결선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연결선의 양단에서부터 상기 상판의 전면 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상판절단선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연결선에 상기 배면판과 상기 전면판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가 차례로 연결되며, 상기 중간판과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하는 돌기슬릿이 구비되고 상기 중간판에는 상기 하단지지판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상판의 단부에 연결된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에 연장되어 상기 배면판과 상기 전면판 그리고 고정돌기가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상판과 상기 중간판 그리고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하는 돌기슬릿이 구비되며 상기 상판과 상기 중간판에는 상기 하단지지판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상판에는 상기 중간판과의 연결선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폭 방향으로 상판연결선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연결선의 양단에서부터 상기 상판의 배면 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상판절단선이 형성되며, 상판연결선에 전면판과 배면판 그리고 고정돌기가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상판과 중간판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판과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하는 돌기슬릿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상판의 단부에 연결된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에 연장되어 전면판과 배면판 그리고 고정돌기가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상판과 중간판 그리고 바닥판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하는 돌기슬릿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연결판과 상판 그리고 상기 중간판에는 하단지지판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단에 위치하는 관통공의 전면에 연장하여 밀착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바닥판과 상기 하단지지판 사이에 연장판이 형성된다.
상기 하단지지판이 바닥판에 별도로 부착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받침대가 차지하는 공간이 작을 뿐 아니라 보관과 이동이 용이하여 휴대물품과 함께 항상 휴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개방수납부에는 휴대 물품을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에 관계없이 휴대 물품을 안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받침대에 휴대 물품을 다양하게 안착시켜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판과 중간판 및 바닥판이 3겸으로 접착 고정되고 지면에 안착됨으로 몸체부의 전체 구조가 견고하게 되어 받침대가 휴대 물품을 잘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몇 개의 실시례들에서는 배면판의 각도를 조절함에 의해서 개방수납부에 휴대 물품을 안착시킬 때, 그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몸체부는 한 장의 시트를 접어서 만들 수 있어 제조자는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자는 휴대하기가 편함과 동시에 조립과 해체가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몸체부를 구성하는 중간판의 배면이 상판의 일부 면으로 노출되므로 이중적인 색상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몸체부의 상판과 중간판 및 바닥판의 크기를 달리하고 단부를 따라 장식부를 형성하여 받침대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받침대를 사용 전 접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몸체부의 전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사용상태를 보여 주는 상태전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수납부에 휴대 물품이 세로 방향으로 안착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수납부에 휴대 물품이 가로 방향으로 안착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몸체부의 전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전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몸체부의 전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의 바람직한 실시례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례의 받침대는 몸체부(10)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종이나 합성수지 등 접을 수 있는 재질의 시트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특히, 상기 몸체부(10)는 종이나 합성수지 등의 시트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하고 접이선들을 따라 접착 고정하여 만들어 진다.
상기 몸체부(10)의 구성이 도 4에 전개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몸체부(10)는 상판(22)과 중간판(32) 및 바닥판(42)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상판(22)은 상기 중간판(32)의 일 측과 연결되고 상기 중간판(32)의 다른 일 측에는 상기 바닥판(42)이 연결되어 하나의 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선에 따라 상기 상판(22)의 배면은 상기 중간판(32)의 배면 가장자리 일부와 접착되고 상기 중간판(32)의 전면은 상기 바닥판(42)의 전면 가장자리와 접착 고정됨으로써 견고한 몸체부(10)가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상판(22)과 상기 중간판(32) 그리고 상기 바닥판(42)이 하나로 연결되고 모양과 크기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상판(22)과 상기 중간판(32) 그리고 상기 바닥판(4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형상이나 크기 그리고 재질이나 두께 등이 각각 상이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간판(32)은 필요에 따라 다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22)은 상기 몸체부(10)의 상단에 위치하고 휴대물품의 배면이 거치되는 아래에서 설명될 전면판(12)을 형성한다.
상기 상판(22)의 중앙부에는 상기 중간판(32)과의 연결선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폭 방향으로 상판연결선(27)이 있다. 또한 상기 상판연결선(27)의 양단에서부터 상기 상판(22)의 전면 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상판절단선(28)이 형성된다. 상기 상판절단선(28)에 의해 상기 상판(22)의 일부가 배면판(14)과 전면판(12)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상판연결선(27)은 상기 배면판(14)과 상기 전면판(12)이 상기 상판(22)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면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전면판(12)의 양 측은 마름모형상으로, 상기 배면판(14)은 평행하게 절단하였으나 상기 상판절단선(28)의 모양은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상판연결선(27)에는 상기 배면판(14)과 상기 전면판(12) 그리고 고정돌기(16)가 차례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상판연결선(27)과 상판절단선(28)에 의해 상기 상판(22) 일부가 상기 배면판(14)과 상기 전면판(12)을 형성하도록 하였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22)의 단부에 연결된 연결판(18)에 연장되어 상기 배면판(14)과 전면판(12) 그리고 고정돌기(16)가 차례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전면판(12)은 휴대 물품의 배면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전면판(12)은 상기 배면판(14)에 의해 연결되어 지지되며 상기 전면판(12)은 그 넓이가 안착되는 휴대 물품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전면판(12)에는 소정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예를 들면 받침대를 제공하는 자의 광고나 상식, 생활정보 등 다양한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12)의 상단과 연결되어 상기 배면판(14)이 구비된다. 상기 배면판(14)은 상기 전면판(12)을 소정 각도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면판(14)은 상기 전면판(12)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되고, 지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가지게 된다. 상기 전면판(12)과 상기 배면판(14)의 지면에 대한 각도는 동일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배면판(14)의 타 단부는 상기 상판연결선(27)으로 상기 상판(22)과 연결된다. 상기 전면판(12)과 상기 배면판(14)은 접이선에 의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게 되고 본 실시례에서는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판(12)과 배면판(14)의 높이방향의 길이는 휴대 물품의 세로방향의 높이보다는 작다.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될 개방수납부(40)에 휴대 물품이 안착되었을 때, 상기 전면판(12)의 상부로 휴대 물품의 상단이 돌출된다. 이는 휴대물품을 잡기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며 상기 전면판(12)과 상기 배면판(14)의 높이 방향 길이를 길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전면판(12)의 타 단부에는 고정돌기(16)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16)는 아래에 설명될 중간판돌기슬릿(36) 및 바닥판돌기슬릿(46)과 대응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면판(12)과 상기 배면판(14)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간판(32)에는 상기 고정돌기(16)에 대응하게 결합되는 중간판돌기슬릿(36)이 구비되고 인접하여 중간판관통공(34)이 형성된다. 상기 중간판관통공(34)은 아래에서 설명될 하단지지판(44)이 상기 바닥판(42)에서 상기 상판(22) 쪽으로 세워지면서 돌출되는 공간이며 전면이 상기 하단지지판(44)의 전면 하단에 밀착되어 상기 하단지지판(44)이 지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상기 중간판관통공(34)의 전면이 상기 하단지지판(44)의 하단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하단지지판(44)보다 조금 앞에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중간판관통공(34)의 전면에 연장하여 밀착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여 상기 하단지지판(44)의 전면 하단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중간판(32)의 타 단부는 바닥판(42)과 연결된다. 상기 바닥판(42)은 상기 몸체부(10)가 놓여지는 바닥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바닥판(42)은 본 실시례에서 사각판 형상이다. 하지만, 상기 바닥판(42)의 형상은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바닥판(42)에는 상기 고정돌기(16)가 결합되는 바닥판돌기슬릿(46)이 구비되고 인접하여 하단지지판(44)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돌기슬릿(46)은 상기 중간판에 형성된 중간판돌기슬릿(36)보다 조금 앞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16)이 경사지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닥판돌기슬릿(46)의 전면에는 하단지지판(44)이 있다. 상기 하단지지판(44)은 상기 중간판관통공(34)을 통과하고 상기 상판(22) 위까지 돌출하여 휴대물품의 전면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단지지판(44)은 상기 관통공(24,34)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모양으로 크기가 같거나 조금 작게 형성된다. 상기 하단지지판(44)의 전면 하단은 상기 중간판관통공(34) 전면이 밀착되어 지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42)에 연장판(45)이 구비되고 이에 연장하여 하단지지판(44)이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관통공(24,34)의 폭은 좁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단지지부(44)가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면판(12)과 상기 하단지지판(44)의 사이에는 개방수납부(40)가 형성된다. 상기 개방수납부(40)는 그 상방과 그 양측방향으로 걸리는 구조없이 개방되어 있어 납작한 사각판형상의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물품의 가로변과 세로변을 모두 수용할 수 있다.
도 6에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사용상태를 보여 주는 사용 전개도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7과 도 8에는 상기 개방수납부(40)에 휴대 물품 중 스마트폰을 수납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단지지판(44)은 개방수납부(40)의 일측 내면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휴대물품은 상기 하단지지판(44)에 의해 하단 일부가 가려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노출되어 화면전체를 전면에서 볼 수 있게 된다.
먼저, 도 7에는 스마트폰을 세로 방향으로 수납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개방수납부(40)의 전면판(12)에 스마트폰의 배면이 지지되도록 하고 하단지지판(44)에 스마트폰의 하측 변이 지지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이 세워진 경우에 스마트폰의 하단 일부만이 상기 하단지지판(44)에 걸어지므로 화면 전체를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8에는 스마트폰을 가로로 놓고 사용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개방수납부(40)에서 상기 전면판(12)과 하단지지판(44)의 양단에 걸리는 구조가 없이 되어 있으므로 스마트폰을 가로로 놓는 것에 제한이 없다. 스마트폰이 가로로 놓인 경우에 스마트폰의 하단 일부만이 상기 하단지지판(44)에 걸어지므로 화면 전체를 전면에서 볼 수 있게 된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몸체부의 전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상판절단선(28)에 의해 상기 상판(22)의 일부가 배면판(14)과 상기 전면판(12) 그리고 고정돌기(16)를 형성하여 연결되어 있지만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상판(22)의 단부에 연결된 연결판(18)에 연장되어 차례로 상기 배면판(14)과 상기 전면판(12) 그리고 고정돌기(16)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상판(22)에는 상기 고정돌기(16)에 대응하게 결합되는 상판돌기슬릿(26)과 상판관통공(24)이 형성된다. 상기 상판관통공(24)은 상기 하단지지판(44)이 돌출되는 공간이며 상기 하단지지판(44)의 전면 하단에 밀착되어 지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상기 상판관통공(24)의 전면이 상기 하단지지판(44)의 하단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하단지지판(44)보다 조금 앞에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판관통공(24)의 전면에 연장하여 밀착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여 상기 하단지지판(44)의 하단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와 비교할 때, 일부의 구성만이 상이한 것이다. 따라서, 도면부호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것과 대응되는 것에 100단위의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먼저,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례의 받침대는 몸체부(110)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1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종이나 합성수지 등 접을 수 있는 재질의 시트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특히, 상기 몸체부(110)는 종이나 합성수지 시트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하고 접이선들을 따라 접착 고정하여 만들어 진다.
상기 몸체부(110)의 구성이 도 11에 전개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몸체부(110)는 상판(122)과 중간판(132) 및 바닥판(142)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122)은 상기 중간판(132)의 일 측과 연결되고 상기 중간판(132)의 다른 일 측에는 상기 바닥판(142)이 연결되어 하나의 시트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선에 따라 상기 상판(122)의 배면은 상기 중간판(132)의 배면 가장자리 일부와 접착되고 상기 중간판(132)의 전면은 상기 바닥판(142)의 전면 가장자리와 접착 고정됨으로써 견고한 몸체부(110)가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상판(122)과 상기 중간판(132) 그리고 상기 바닥판(142)이 하나로 연결되고 모양과 크기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상판(122)과 상기 중간판(132) 그리고 상기 바닥판(14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형상이나 크기 그리고 재질이나 두께 등이 각각 상이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간판(132)은 필요에 따라 다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122)은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에 위치하고 휴대물품의 배면이 거치되는 아래에서 설명될 전면판(112)을 형성한다.
상기 상판(122)과 상기 중간판(132)의 연결선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상기 상판(122)의 중앙부에는 폭 방향으로 상판연결선(127)이 있다. 또한 상기 상판연결선(127)의 양단에서부터 상기 상판(122)의 뒤쪽 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상판절단선(128)이 구비된다. 상기 상판절단선(128)에 의해 상기 상판(122)의 일부가 전면판(112)과 배면판(114)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상판연결선(127)은 상기 전면판(112)과 상기 배면판(114)이 상기 상판(122)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면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전면판(112)과 상기 배면판(114)의 양 측을 절구통 형상으로 절단하였으나 상기 상판절단선(128)의 모양은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상판연결선(127)에는 상기 전면판(112))과 상기 배면판(114) 그리고 고정돌기(116) 차례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22)의 단부에 연결된 연결판(118)에 상기 전면판(112)과 배면판(114) 그리고 고정돌기(116)가 차례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전면판(112)은 휴대 물품의 배면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전면판(112)은 상기 배면판(114)에 의해 연결되어 지지되며 상기 전면판(112)은 그 넓이가 안착되는 휴대 물품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전면판(112)에는 소정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예를 들면 받침대를 제공하는 자의 광고나 상식, 생활정보 등 다양한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112)의 상단과 연결되어 배면판(114)이 구비된다. 상기 배면판(114)은 상기 전면판(112)을 소정 각도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면판(114)은 상기 전면판(112)과는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되고, 지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가지게 된다. 상기 전면판(112)과 상기 배면판(114)의 지면에 대한 각도는 동일한 것이 좋다. 상기 전면판(112)과 상기 배면판(114)은 접이선에 의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게 되고 본 실시례에서는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판(112)과 상기 배면판(114)의 높이방향의 길이는 휴대 물품의 세로방향의 높이보다는 작다.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될 개방수납부(140)에 휴대 물품이 안착되었을 때, 상기 전면판(112)의 상부로 휴대 물품의 상단이 돌출된다. 이는 휴대물품을 잡기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며 상기 전면판(112)과 상기 배면판(114)의 높이 방향 길이를 길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배면판(114)의 다른 일 측면에는 고정돌기(11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돌기(116)는 아래에 설명될 중간판돌기슬릿(136)과 바닥판돌기슬릿(146)에 대응하게 결합하여 상기 전면판(112)과 상기 배면판(114)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간판(132)에는 상기 고정돌기(116)에 대응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중간판돌기슬릿(136)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중간판돌기슬릿(136)이 다수 개 인접하여 구비되고 상기 고정돌기(116)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전면판(112)과 상기 배면판(114)이 형성하는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전면판(112)과 상기 배면판(114)이 세워지는 각도는 상기 고정돌기(116)가 다수 개의 상기 중간판돌기슬릿(136)중 어느 것에 끼워지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중간판돌기슬릿(136)의 반대 쪽에는 중간판관통공(134)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판관통공(134)은 아래에서 설명될 하단지지판(144)이 상기 바닥판(142)에서 상기 상판(122) 쪽으로 세워지면서 통과하는 공간이며 상기 하단지지판(144)의 전면 하단에 밀착되어 상기 하단지지판(144)이 지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상기 중간판관통공(134)의 전면이 상기 하단지지판(144)의 하단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하단지지판(144)보다 조금 앞에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중간판관통공(134)의 전면에 연장하여 밀착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여 상기 하단지지판(144)의 하단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중간판(132)의 타 단부는 상기 바닥판(142)과 연결된다.
상기 바닥판(142)은 몸체부(110)가 놓여지는 바닥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바닥판(142)은 본 실시례에서 사각판 형상이다. 하지만, 상기 바닥판(142)의 형상은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바닥판(142)은 상기 고정돌기(116)에 대응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바닥판고정슬릿(14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고정슬릿(146)이 다수 개 인접하여 구비되고 상기 고정돌기(116)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전면판(112)과 상기 배면판(114)이 형성하는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바닥판돌기슬릿(146)은 상기 중간판에 형성된 중간판돌기슬릿(136)보다 조금 뒤쪽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16)이 경사지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닥판돌기슬릿(46)의 타 측에는 하단지지판(144)이 형성된다. 상기 하단지지판(144)은 상기 중간판관통공(134)을 통과하고 상기 상판(122) 위까지 돌출하여 휴대물품의 전면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단지지판(144)은 상기 관통공(124,134)과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모양으로 크기가 같거나 조금 작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단지지판(144)의 모양은 상기 관통공(124,134)과 반드시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바닥판(142)에 연장판(145)이 구비되고 상기 연장판(145)에 연결하여 하판지지판(144)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관통공(124,134)의 폭은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단지지부(44)가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면판(112)이 상기 상판(122)에서 돌출되고 상기 하단지지판(144)이 상기 상판(122) 위로 세워지면 상기 전면판(112)과 상기 하단지지판(144)의 사이에는 개방수납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개방수납부(140)는 그 상방과 그 양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 특히 양측방향으로 걸리는 구조없이 개방되어 있어 납작한 사각판형상의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물품의 가로변과 세로변을 모두 수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의 하단은 상판(122) 위에 안착되게 된다.
상기 하단지지판(144)은 상기 개방수납부(140)의 일측 내면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상기 전면판(112)은 상기 하단지지판(144)에 의해 하단 일부가 가려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노출되어 화면전체를 전면에서 볼 수 있게 된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몸체부의 전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는 실질적으로 도 10에서 볼 수 있는 실시례와 유사한 것으로, 단지 몸체부의 구조가 다르게 된다.
도 10에서는 상기 전면판(112)과 상기 배면판(114) 그리고 고정돌기(116)가 상기 상판연결선(127)에 연장되어 차례로 연결되어 있으나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상판(122)의 단부에 연결된 연결판(118)에 연장되어 상기 전면판(112)과 상기 배면판(114) 그리고 고정돌기(116)가 차례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상판(122)에는 상기 고정돌기(116)에 대응하게 결합되는 상판돌기슬릿(126)과 상판관통공(124)이 형성된다. 상기 상판관통공(124)은 상기 하단지지판(144)이 돌출되는 공간이며 상기 하단지지판(144)의 전면 하단에 밀착되어 지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상기 상판관통공(124)의 전면이 상기 하단지지판(144)의 하단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하단지지판(144)보다 조금 앞에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판관통공(124)의 전면에 연장하여 밀착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하여 상기 하단지지판(144)의 하단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의 실시례들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경우에 몸체부(10)를 접어서 받침대를 만드는 것을 설명한다. 도 4에는 몸체부(10)의 전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판(22)과 중간판(32)을 접이선을 따라 접어서 상기 상판(22)의 배면과 상기 중간판(32)의 배면 가장자리를 접착하고 바닥판(42)을 상기 중간판(32) 방향으로 접어 상기 중간판(32)의 전면과 상기 바닥판(42)의 전면 가장자리를 접착하면 견고한 몸체부(10)가 형성된다. 받침대는 공장에서 상기 상판(22)과 중간판(32) 및 바닥판(42)는 접착되고 평평하게 접어져 출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는 납작하게 접어진 상태로 사용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들은 상판(22) 위로 휴대물품을 안착시킬 수 있는 전면판(12)이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상판(22)의 전면 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16)을 잡고 상기 전면판(12)을 들어 올려 상기 배면판(14)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접은 다음, 상기 고정돌기(16)를 중간판돌기슬릿(36)과 바닥판돌기슬릿(36)에 경사지게 걸어준다.
다음으로 바닥판(42)에 형성된 하단지지판(44)를 상기 중간판(32)의 중간판관통공(34)을 통과하여 상기 상판(22) 위까지 돌출 되도록 세워서 조립을 완성한다. 이와 같이 완성된 받침대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받침대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물품인 스마트폰을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먼저, 도 7에는 상기 개방수납부(40)의 전면판(12)에 스마트폰의 배면이 지지되도록 하고 하단지지판(44)에 스마트폰의 하측 변이 지지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이 세워진 경우에 스마트폰의 하단 일부만이 상기 전면부(12)에 걸어지므로 화면 전체를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8에는 스마트폰을 가로로 놓고 사용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개방수납부(40)에서 상기 전면판(12)과 하단지지판(44)의 양단에 걸리는 구조가 없이 되어 있으므로 스마트폰을 가로로 놓는 것에 제한이 없다. 스마트폰이 가로로 놓인 경우에 스마트폰의 하단 일부만이 상기 하단지지판(44)에 걸어지므로 화면 전체를 전면에서 볼 수 있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례의 경우에 도 1에서는 상판절단선(28)에 의해 상판(22) 일부가 배면판(14)과 상기 전면판(12)을 형성하여 상기 상판연결선(27)에 연결되어 있으나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상판(22)의 단부에 연결된 연결판(18)에 연장되어 차례로 연결되는 점이 다르다.
먼저 상기 상판(22)과 중간판(32)을 접이선을 따라 접어서 상기 상판(22)의 배면과 중간판(32)의 배면 가장자리를 접착하고 바닥판(42)을 상기 중간판(32) 방향으로 접어 상기 중간판(32)의 전면과 상기 바닥판(42)의 전면 가장자리를 접착한다. 그리고 연결판(18)을 접어 전면을 상기 상판(22)에 접착하면 견고한 몸체부(10)가 형성된다. 한편, 사용자들은 상판(22) 위로 휴대물품을 안착시킬 수 있는 전면판(12)이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돌기(16)을 잡고 상기 전면판(12)을 들어 올려 상기 배면판(14)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접은 다음, 상기 고정돌기(16)를 상판돌기슬릿(26)과 중간판돌기슬릿(36) 및 바닥판돌기슬릿(46)에 경사지게 걸어준다.
다음으로 바닥판(42)에 형성된 하단지지판(44)를 상기 중간판관통공(34)과 상판관통공(24)을 통과하여 상기 상판(22) 위까지 돌출 되도록 세워서 조립을 완성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받침대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물품인 스마트폰을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실시례의 경우에 몸체부(110)를 접어서 받침대를 만드는 것을 설명한다.
도 11에는 몸체부(110)의 전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판(122)과 중간판(132)을 접이선을 따라 접어서 상기 상판(122)의 배면과 상기 중간판(132)의 배면가장자리를 접착하고 바닥판(142)을 상기 중간판(132) 방향으로 접어 상기 중간판(132)의 전면과 상기 바닥판(142)의 전면 가장자리를 접착하면 견고한 몸체부(110)가 형성된다.
받침대는 위의 설명과 같이 납작하게 접어진 상태로 사용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들은 상판(122) 위로 휴대물품을 안착시킬 수 있는 전면판(112)이 돌출되도록 하여 받침대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전면판(12)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16)를 들어 받침대의 전면에 형성된 돌기슬릿(36.46)에 결합한 반면 본 실시례에서는 배면판(114)에 구비된 고정돌기(116)을 들어 받침대 뒤쪽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슬릿(136,146)에 경사지게 결합하는 것이 차이점이다.
또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고정돌기(116)에 대응되게 결합하는 중간판돌기슬릿(136)이나 바닥판돌기슬릿(146)을 다수 개 인접하여 형성되게 함으로써 고정돌기(116)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전면판(112)과 배면판(114)이 형성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면판(112)과 상기 배면판(114)이 세워지는 각도는 상기 고정돌기(116)가 다수 개의 상기 돌기슬롯(136, 146)중 어느 것에 끼워지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다음으로 바닥판(142)에 형성된 하단지지판(144)를 상기 상판관통공(124)와 중간판관통공(134))을 통과하여 상기 상판(122) 위까지 돌출 되도록 세워서 조립을 완성한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례의 경우에 먼저 상판(122)과 중간판(132)을 접이선을 따라 접어서 상기 상판(122)의 배면과 상기 중간판(132)의 배면가장자리를 접착하고 바닥판(142)을 상기 중간판(132) 방향으로 접어 상기 중간판(132)의 전면과 상기 바닥판(142)의 전면 가장자리를 접착한다. 그리고 연결판(118)을 접어 전면을 상기 상판(122)에 접착하면 견고한 몸체부(110)가 형성된다. 한편, 사용자들은 상판(122) 위로 휴대물품을 안착시킬 수 있는 전면판(112)이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돌기(116)을 잡고 상기 배면판(114)을 들어 올려 상기 전면판(112)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접은 다음 상기 고정돌기(16)를 받침대 뒤쪽에 형성되어 있는 상판돌기슬릿(126)과 중간판돌기슬릿(136) 및 바닥판돌기슬릿(146)에 경사지게 걸어준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고정돌기(116)에 대응되게 결합하는 돌기슬릿(126,136,146)이 다수 개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돌기(116)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전면판(112)과 배면판(114)이 형성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면판(112)과 상기 배면판(114)이 세워지는 각도는 상기 고정돌기(116)가 다수 개의 상기 돌기슬롯(126,136,146)중 어느 것에 끼워지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다음으로 바닥판(142)에 형성된 하단지지판(144)를 상기 중간판관통공(134)과 상판관통공(124)을 통과하여 상기 상판(122) 위까지 돌출 되도록 세워서 조립을 완성한다.
이하 조립된 받침대를 사용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 1과 도 10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상판(22,122)과 상기 중간판(32,132) 그리고 상기 바닥판(42,142)이 하나로 연결되고 모양과 크기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상판(22,122)과 상기 중간판(32,132) 그리고 상기 바닥판(42,14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서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형상이나 크기 그리고 재질이나 두께 등이 각각 상이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중간판(32,132)은 필요에 따라 다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단지지판(44,144)의 모양은 관통공(24,34,119,124,134)과 반드시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다양한 실시례들을 보여주고 있는데, 비록 도면으로 도시되지 않고 설명이 없을지라도 특정한 실시례를 구성하는 일부 구성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실시례로 만들 수도 있다.
10: 몸체부 12: 전면판
14: 배면판 16: 고정돌기
18: 연결판 22: 상판
24: 상판관통공 26: 상판돌기슬릿
27: 상판연결선 28: 상판절단선
32: 중간판 34: 중간판관통공
36: 중간판돌기슬릿 40: 개방수납부
42: 바닥판 44: 하단지지판
45: 연장판 46: 바닥판돌기슬릿
110: 몸체부 112: 전면판
114: 배면판 116: 고정돌기
118: 연결판 119: 연결판관통공
122: 상판 124: 상판관통공
126: 상판돌기슬릿 127: 상판연결선
128: 상판절단선 132: 중간판
134: 중간판관통공 136: 중간판돌기슬릿
140: 개방수납부 142: 바닥판
144: 하단지지판 145: 연장판
146: 바닥판돌기슬릿

Claims (21)

  1. 휴대 물품의 배면이 지지되는 전면판을 구비하는 몸체부와,
    바닥판에 위치하고 돌출되어 상기 전면판의 하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휴대물품의 하단 가장자리가 걸어지는 하단지지판과,
    돌출된 상기 전면판과 상기 하단지지판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 물품의 일 측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개방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판과 중간판 그리고 바닥판이 차례로 연결된 하나의 시트로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배면과 상기 중간판의 배면 가장자리 일부가 접착되고, 상기 중간판의 전면과 상기 바닥판의 전면의 가장자리가 접착되어 다수 겹의 바닥으로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상기 중간판 그리고 상기 바닥판의 형상과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상기 중간판 그리고 상기 바닥판 중 형상과 크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상이하게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중간에는 상기 중간판과의 연결선에 인접하여 폭 방향으로 상판연결선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연결선의 양단에서부터 상기 상판의 전면 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상판절단선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연결선에 배면판과 상기 전면판 그리고 고정돌기가 차례로 연결되며, 상기 중간판과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하는 돌기슬릿이 구비되고 상기 중간판에는 상기 하단지지판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단부에 연결된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에 연장되어 상기 배면판과 상기 전면판 그리고 고정돌기가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상판과 상기 중간판 그리고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하게 결합하는 돌기슬릿이 구비되며 상기 상판과 상기 중간판에는 상기 하단지지판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상기 중간판과의 연결선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폭 방향으로 상판연결선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연결선의 양단에서부터 상기 상판의 뒷쪽 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상판절단선이 형성되며, 상판연결선에 전면판과 배면판 그리고 고정돌기가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상판의 전면과 중간판에는 상기 하단지지판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판과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하는 돌기슬릿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8. 제 2 항에 있어서, 상판의 단부에 연결된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에 연장되어 전면판과 배면판 그리고 고정돌기가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상판과 중간판 그리고 바닥판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하는 돌기슬릿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연결판과 상판 그리고 상기 중간판에는 하단지지판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9. 제 5 항에서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단에 위치하는 관통공의 전면에 연장하여 밀착부가 더 구비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상기 하단지지판 사이에 연장판이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지지판이 바닥판에 별도로 부착되어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상판과 상기 중간판 및 상기 바닥판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판과 상기 중간판의 가장자리 일부가 접착되고, 상기 중간판과 상기 바닥판의 가장자리가 접착되어 다수 겹의 바닥으로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상기 중간판 그리고 상기 바닥판의 형상과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상기 중간판 그리고 상기 바닥판 중 형상과 크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상이하게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중간에는 상기 중간판과의 연결선에 인접하여 폭 방향으로 상판연결선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연결선의 양단에서부터 상기 상판의 전면 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상판절단선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연결선에 상기 배면판과 상기 전면판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가 차례로 연결되며, 상기 중간판과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하는 돌기슬릿이 구비되고 상기 중간판에는 상기 하단지지판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단부에 연결된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에 연장되어 상기 배면판과 상기 전면판 그리고 고정돌기가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상판과 상기 중간판 그리고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하는 돌기슬릿이 구비되며 상기 상판과 상기 중간판에는 상기 하단지지판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상기 중간판과의 연결선에서 소정의 거리를 두고 폭 방향으로 상판연결선이 형성되고 상기 상판연결선의 양단에서부터 상기 상판의 배면 단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상판절단선이 형성되며, 상판연결선에 전면판과 배면판 그리고 고정돌기가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상판과 중간판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판과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하는 돌기슬릿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판의 단부에 연결된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에 연장되어 전면판과 배면판 그리고 고정돌기가 차례로 연결되고, 상기 상판과 중간판 그리고 바닥판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하는 돌기슬릿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연결판과 상판 그리고 상기 중간판에는 하단지지판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9. 제 15 항에서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단에 위치하는 관통공의 전면에 연장하여 밀착부가 더 구비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과 상기 하단지지판 사이에 연장판이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지지판이 바닥판에 별도로 부착되어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1020140015321A 2014-02-11 2014-02-11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201500942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321A KR20150094259A (ko) 2014-02-11 2014-02-11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321A KR20150094259A (ko) 2014-02-11 2014-02-11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259A true KR20150094259A (ko) 2015-08-19

Family

ID=54057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321A KR20150094259A (ko) 2014-02-11 2014-02-11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42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88307B (zh) 可折叠多位模块化支架
KR101573528B1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US20200121073A1 (en) Portable tabletop lectern suitable for mass-manufacture
KR200470742Y1 (ko) 카드식 스마트폰 거치대
KR20150094258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102008051B1 (ko) 전시대 겸용 샘플북
CN201005370Y (zh) 可伸缩折叠支架
KR20150094259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20140142078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200479083Y1 (ko) 카드형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20130001044U (ko) 탁상용 캘린더
KR200463560Y1 (ko) 물품 거치대
CN204528004U (zh) 一种包装袋结构
KR20160071981A (ko) 모바일 장치 종이 거치대 만드는 도면
CN202463221U (zh) 一种带支架的书本
KR20150094252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CN206134120U (zh) 一种便携式样品册
CN204970526U (zh) 一种展箱
CN209720422U (zh) 可调式置物结构体
KR20200067429A (ko) 접이식 독서대
JP3136375U (ja) スタンドホルダ
KR20150094262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20150019222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CN204071297U (zh) 一种画板凳
KR101190666B1 (ko)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