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560Y1 - 물품 거치대 - Google Patents

물품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560Y1
KR200463560Y1 KR2020120004285U KR20120004285U KR200463560Y1 KR 200463560 Y1 KR200463560 Y1 KR 200463560Y1 KR 2020120004285 U KR2020120004285 U KR 2020120004285U KR 20120004285 U KR20120004285 U KR 20120004285U KR 200463560 Y1 KR200463560 Y1 KR 2004635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old line
front plate
article holder
calend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2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숙
Original Assignee
이윤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숙 filed Critical 이윤숙
Priority to KR2020120004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5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5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5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4Etuis for purpose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5C11/02 - A45C11/22, A45C11/26, A45C11/32 - A45C11/38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36Rigid or semi-rigid luggage collapsible to a minimal configuration, e.g. for stor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2007/0004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convertible into an open planar surface, e.g. a shee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개도 형태의 판재를 접어서 조립함으로써, 물품을 담아두거나 포스트 잇과 같은 메모지를 부착해두거나 또는 달력을 장착하거나 또는 거울을 설치하거나 또는 아이패드(ipad)와 같은 태블릿 단말기를 세워저 지지해둘 수 있는 물품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물품 거치대는, 물건의 배면을 지지하거나 메모지를 붙이거나 또는 달력이 매달리게 되거나 또는 거울이 형성되는 정면판(10)과, 상기 정면판(10)에서 종방향 아래쪽으로 연속되어 있으며 물건 수납공간의 바닥을 이루게 되는 바닥판(11)과, 상기 바닥판(11)에서 종방향 아래쪽으로 연속되어 있으며 물건 수납공간의 정면방향 내측면을 이루는 내측판(12)과, 상기 내측판(12)에서 종방향 아래쪽으로 연속되어 있으며 물건 수납공간의 외면을 이루는 외측판(13)과, 상기 외측판(13)의 횡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정면판(10)과 체결되는 측면판(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물품 거치대{Article Supporter}
본 고안은 전개도 형태의 판재를 접어서 조립함으로써, 물품을 담아두거나 포스트 잇과 같은 메모지를 부착해두거나 또는 달력을 장착하거나 또는 거울을 장착하거나 또는 아이패드(ipad)와 같은 태블릿 단말기를 세워서 지지해둘 수 있는 물품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태블릿 단말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이러한 태블릿 단말기를 책상 위에 세워둘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책상에는 스프링으로 묶여져서 넘기게 되는 소위 "탁상 달력"을 놓아서 사용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106067호에는 종래의 탁상 달력의 일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탁상달력이나 태블릿 단말기뿐만 아니라 책상 위에서는 볼펜이나 기타 작은 여러 가지 사무용품 등을 놓고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와 같이 여러 가지 물품에 대해 개별적으로 보관하거나 정리하였으며, 그에 따라 매우 번잡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106067호(2011. 09. 28. 공개) 참조.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개도 형태의 한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판재를 접어서 조립하여, 휴대전화나 태블릿 단말기를 세워서 지지할 수도 있고, 문방구 등의 작은 물품을 담을 수 있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달력을 장착하여 마치 탁상달력처럼 사용하거나 또는 거울을 장착하여 거울처럼 사용하거나 또는 포스트 잇과 같은 메모지를 부착할 수 있는 달력 겸용의 접철 조립식 물품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물건의 배면을 지지하거나 메모지를 붙이거나 또는 달력이 매달리게 되는 정면판과, 상기 정면판에서 종방향 아래쪽으로 연속되어 있으며 물건 수납공간의 바닥을 이루게 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서 종방향 아래쪽으로 연속되어 있으며 물건 수납공간의 정면방향 내측면을 이루는 내측판과, 상기 내측판에서 종방향 아래쪽으로 연속되어 있으며 물건 수납공간의 외면을 이루는 외측판과, 상기 외측판의 횡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정면판과 체결되는 측면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사무용품 등을 용이하게 정리하여 담아두면서도 거울 또는 달력을 장착하거나 태블릿 단말기를 기대어 설치할 수도 있으며, 메모지 등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광고문구 등도 기재할 수 있어서, 다용도 판촉물로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의 전개도이다.
도 2은 도 1에 도시된 전개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전개도를 접어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를 조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전개도를 조립하여 제작이 완료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에 스프링부재를 이용하여 달력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에 고리부재를 이용하여 달력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의 정면판에 포스트 잇과 같은 메모지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의 정면판에 거울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의 전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전개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각각 도 11에 도시된 전개도를 접어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1)를 조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전개도를 조립하여 제작이 완료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에 스프링부재를 이용하여 달력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에 고리부재를 이용하여 달력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의 정면판에 포스트 잇과 같은 메모지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의 정면판에 거울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대한 전개도이다.
도 22은 도 21에 도시된 전개도를 접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각각 도 22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사시도로서, 도 21의 단계에 후속하여 전개도를 접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1의 전개도를 접어서 완성한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에 아이패드와 같은 태블릿 단말기를 기대어 설치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1)의 전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전개도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각각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개도를 접어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1)를 조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 및 도 6에는 각각 도 1의 전개도를 조립하여 제작이 완료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1)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의 물품 거치대(1)는, 물건의 배면을 지지하거나 메모지를 붙이거나 또는 달력이 매달리게 되는 정면판(10)과, 상기 정면판(10)에서 종방향 아래쪽으로 연속되어 있으며 물건 수납공간의 바닥을 이루게 되는 바닥판(11)과, 상기 바닥판(11)에서 종방향 아래쪽으로 연속되어 있으며 물건 수납공간의 정면방향 내측면을 이루는 내측판(12)과, 상기 내측판(12)에서 종방향 아래쪽으로 연속되어 있으며 물건 수납공간의 외면을 이루는 외측판(13)과, 상기 외측판(13)의 횡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정면판(10)과 체결되는 측면판(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면을 "정면"이라고 지칭하고, 상기 "정면"의 반대쪽 면 즉, 도 1에서는 보이지 않는 반대쪽 면을 "배면"이라고 지칭한다.
상기 정면판(10)과 상기 바닥판(11) 사이에는, 상기 정면판(10)의 정면과 상기 바닥판(11)의 정면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히도록 하는 가로형태의 제1오목접힘선(101)이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같이 정면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히게 하는 접힘선을 편의상 "오목접힘선"이라고 기재한다.
상기 바닥판(11)과 상기 내측판(12) 사이에도, 상기 바닥판(11)의 정면과 상기 내측판(12)의 정면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접히도록 하는 가로형태의 제2오목접힘선(10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내측판(12)과 상기 외측판(13) 사이에는, 상기 내측판(12)의 정면과 상기 외측판(13)의 정면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접히도록 하는 가로형태의 제3볼록접힘선(103)이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같이 정면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접히게 되는 즉, 배면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접히게 하는 접힘선을 편의상 "볼록접힘선"이라고 기재한다. 상기 외측판(13)과, 그 횡방향 양측의 측면판(14) 사이에는, 상기 외측판(13)의 정면과 상기 측면판(14)의 정면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접히도록 하는 세로형태의 제4볼록접힘선(104)이 각각 형성된다. 특히 제4볼록접힘선(104)은 상기 내측판(12)의 횡방향 가장자리 위치에서 세로로 각각 형성된다. 즉, 2개의 제4볼록접힘선(104) 사이의 횡방향 폭은 상기 내측판(12)의 횡방향 폭과 동일한 것이다.
상기 정면판(10)의 횡방향 양측에는 상기 바닥판(11)의 횡방향 폭보다 더 크게 횡방향으로 확장된 연장부분(10b)이 존재하는데, 상기 바닥판(11)의 횡방향 양측 위치에서 상기 정면판(10)에는 종방향으로 상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파인 제1끼움부(10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정면판(10)의 종방향 위쪽으로 상기 정면판(10)에 연속하여 상기 정면판(10)의 형상과 완전히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배면판(15)이 연속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정면판(10)과 상기 배면판(15) 사이에는, 상기 정면판(10)의 정면과 상기 배면판(15)의 정면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접히도록 하는 가로형태의 제5볼록접힘선(10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배면판(15) 역시 정면판(10)과 마찬가지로 상기 바닥판(11)의 횡방향 폭보다 더 크게 횡방향으로 확장된 연장부분이 존재하는데, 상기 바닥판(11)의 횡방향 양측 위치에서 연직선을 그었을 때의 위치에서 상기 배면판(15)에는 종방향으로 하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파인 제2끼움부(15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정면판(10)과 상기 배면판(15)은 상기 제5볼록접힘선(105)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거울대칭 관계에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제5볼록접힘선(105)을 따라 접었을 때 정면판(10)과 배면판(15)은 서로 완전하게 포개지게 되어 결국 물품 거치대(1)를 정면에서 바라보게 되면 정면판(10)의 형상만이 보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실시예에서 상기 측면판(14)의 상단부는 상기 제3볼록접힘선(103)에 연이어서 상 방향의 사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판(14)의 각각에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종방향으로 절취되어 있는 제3끼움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끼움부(14a)에는 후술하는 것처럼 제1끼움부(10a) 및 제2끼움부(15a)가 끼워져 체결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 처럼, 상기 측면판(14)의 종방향 위쪽으로 측면덮개판(140)이 더 연장되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측면판(14)과 상기 측면덮개판(140) 사이에는, 상기 측면판(14)의 정면과 상기 측면덮개판(140)의 정면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접히도록 하는 제6볼록접힘선(106)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측면덮개판(140)이 더 구비된 경우, 상기 제3끼움부(14a)는 상기 측면덮개판(140)까지 연장되어 있되, 상기 제6볼록접힘선(106)에 대해 거울대칭 형상으로 제3끼움부(14a)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제3끼움부(14a)는 측면판(14)과 측면덮개판(140)에 걸쳐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도 11의 제2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3끼움부(14a)에 의해 측면덮개판(140)이 횡방향으로 2개의 부재로 갈라질 수도 있다.
다음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개도를 접어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1)를 조립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배면판(15)과 상기 측면덮개판(140)은 생략될 수 있는 것이지만, 아래의 설명에서는 상기 배면판(15)과 측면덮개판(140)도 모두 구비된 제1실시예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제1오목접힘선(101), 제2오목접힘선(102), 제3볼록접힘선(103), 제4볼록접힘선(104), 제5볼록접힘선(105) 및 제6볼록접힘선(106)을 따라 각각 접는 작업을 수행한다. 즉, 제5볼록접힘선(105)을 따라 접어서 상기 정면판(10)의 배면과 상기 배면판(15)의 배면이 서로 마주 접하여 포개지게 만든다. 한편, 상기 정면판(10)의 정면과 상기 바닥판(11)은 정면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1오목접힘선(101)을 따라 접되, 상기 정면판(10)의 정면과 상기 바닥판(11)은 정면이 완전히 밀착하여 접촉하도록 접는 것이 아니라 각도를 가지는 상태가 되도록 접게 되는 것이며, 제2오목접힘선(102)의 경우에도 상기 바닥판(11)의 정면과 상기 내측판(12)의 정면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2오목접힘선(102)을 따라 접되, 상기 바닥판(11)의 정면과 상기 내측판(12)의 정면이 완전히 밀착하여 접촉하도록 접는 것이 아니라 각도를 가지는 상태가 되도록 접는 것이다.
한편, 제3볼록접힘선(103)의 경우는, 제3볼록접힘선(103)을 따라 접어서 상기 내측판(12)의 배면과 상기 외측판(13)의 배면이 서로 완전히 밀착하여 접촉하여 포개지게 만들게 된다. 상기 측면판(14)과 상기 측면덮개판(140)은 제6볼록접힘선(106)을 따라 접어서 상기 측면판(14)의 배면과 상기 측면덮개판(140)의 배면이 서로 완전히 밀착하여 접촉하여 포개지게 만들게 된다. 상기 측면판(14)과 상기 외측판(13) 사이는 제4볼록접힘선(104)을 따라 접되 상기 측면판(14)의 배면과 상기 외측판(13)의 배면이 서로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각도(예를 들면, 직각)을 이루도록 접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접으면서, 상기 정면판(10)에 형성된 제1끼움부(10a)를 상기 측면판(14)의 제3끼움부(14a)에 끼움으로써 조립을 완성한다. 그에 따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형상을 가지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1)가 완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판(14)의 상단부는 외측판(13)의 상단부에 연이어서 경사진 모양으로 형성된다.
종이 등의 판재가 위와 같은 방법에 따라 접히게 되면, 상기 바닥판(11)과 상기 정면판(10)과 상기 측면판(14)에 의해 정면판(10)의 아래쪽에 물품 등을 담을 수 있는 물품 수납공간(30)이 형성된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상기 배면판(15)과 상기 측면덮개판(140)은 생략될 수 있는 것인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측면덮개판(140)이 더 구비되는 경우, 측면덮개판(140)이 상기 물품 수납공간(30)의 측면 내벽면을 형성하게 된다. 만일 측면덮개판(140)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측면판(14)의 상부 가장자리 즉, 절단된 면이 노출되지만, 위와 같이 제6볼록접힘선(106)과 측면덮개판(140)이 존재하는 경우, 측면판(14)의 절단된 가장자리 면이 노출되지 않고 제6볼록접힘선(106)에 의한 접힘 부분이 가장자리에 존재하게 되어 더 미려한 외관을 가지게 되며 부드러운 가장자리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배면판(15)의 경우에도 정면판(10)과 배면판(15) 사이의 제5볼록접힘선(105)에 의해 정면판(10)의 상부측 가장자리가 절단된 거친면으로 존재하지 않고 제5볼록접힘선(105)에 의한 접힘 부분이 가장자리에 존재하게 되어 더 미려한 외관을 가지게 되며 부드러운 가장자리를 가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전개도의 상태에서 정면과 배면이 서로 다른 색을 가질 수도 있는데, 위와 같이 배면판(15)이 존재하게 되면, 배면판(15)의 정면이 물품 거치대(1)의 후방부분을 해당하게 되어 정면판(10)과 동일한 색이 물품 거치대(1)의 후방부분에도 연장되어 더욱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되어 완성된 본 고안의 물품 거치대(1)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사용예의 하나로서 물품 수납공간에 다양한 사무용품을 놓아서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닥판(11)과 상기 정면판(10)과 상기 외측판(13)과 상기 측면판(14)에 의해 정면판(10)의 아래쪽에는, 상부가 개방되고 5면이 막혀있는 육면체 형태의 물품 수납공간(30)이 형성된다. 만일 측면덮개판(140)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측면판(14) 대신에 측면덮개판(140)이 물품 수납공간(30)의 횡방향 양측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작은 문방구, 명함 등을 상기 물품 수납공간(30)에 담아서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외측판(13)에는 광고문구 등을 기재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물품 거치대(1)는 판촉용 제품으로서 활용도가 매우 높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1)는 탁상 달력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7에는 스프링부재(50)를 이용하여 달력(51)을 상기 정면판(10)의 정면에 설치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정면판(10)의 상단에 스프링부재(50)를 결합하여 달력(51)을 스프링부재(50)에 매달아 정면판(10) 앞에 위치하게 할 수도 있다. 달력(51)은 반드시 스프링부재(50)에 의해 정면판(10)에 설치되지 아니하여도 무방하다. 달력(51)의 배면에 접착제나 접착테이프 등을 설치하여, 달력(51)의 배면이 정면판(10)의 정면에 부착된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달력(51)과 정면판(10)에 구멍을 뚫고, 고리부재를 구멍에 삽입하여 달력(51)을 정면판(10) 상단에 매달 수도 있다. 도 8에는 이와 같이 고리부재(52)를 이용하여 달력(51)을 정면판(10) 상단에 매달은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물론 도 7 및 도 8에서 달력(51) 대신에 메모지를 스프링부재(50)나 고리부재(52)에 의해 매달아 둘 수도 있다.
특히, 메모지의 경우, 스프링부재(50)나 고리부재(52) 없이도 정면판(10)의 정면에 부착할 수 있는데, 도 9에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1)의 정면판에 포스트 잇과 같은 탈착이 용이한 메모지(60)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9와 같이 포스트 잇 등의 메모지(60)를 정면판(10)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1)는 거울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0에는 거울(70)을 상기 정면판(10)의 정면에 설치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정면판(10)의 정면에 거울(70)을 장착하여 정면판(10) 앞에 위치하게 할 수도 있다. 거울(70)의 배면에 접착제나 접착테이프 등을 설치하여, 거울(70)의 배면이 정면판(10)의 정면에 부착된 형태로 장착할 수 있고, 정면판(10)에 미리 구멍을 뚫어 놓고, 정면판(10)의 배면 방향으로부터 거울(70)을 부착함으로써, 정면판(10)에 거울(10)이 존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에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1)의 전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여 표시하고, 이에 대한 반복설명을 생략하며, 차이가 나는 구성에 대해서만 추가로 설명한다.
도 12에는 도 11에 도시된 전개도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 및 도 14에는 각각 도 11에 도시된 전개도를 접어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1)를 조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5 및 도 16에는 각각 도 11의 전개도를 조립하여 제작이 완료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1)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1)는, 전개도 상태에서 측면판(14)과 측면덮개판(140)에 걸쳐서 형성되는 제3끼움부(14a)에 의해 측면덮개판(140)이 횡방향으로 2개의 부재로 갈라져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11 내지 도 20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기타 접는 방법, 사용방법 등은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에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대한 전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11의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여 표시하고, 이에 대한 반복설명을 생략하며, 차이가 나는 구성에 대해서만 추가로 설명한다. 도 22에는 도 21에 도시된 전개도를 접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3 및 도 24에는 도 22의 선 A-A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 사시도로서, 도 21의 단계에 후속하여 전개도를 접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5는 도 21의 전개도를 접어서 완성한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1)에 아이패드와 같은 태블릿 단말기를 기대어 설치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1)의 경우, 내측판(12)과 외측판(13) 사이에는 제1포개짐판(17)과, 제2포개짐판(18)이 더 존재한다. 내측판(12)과 제1포개짐판(17) 사이에는 제1외형볼록접힘선(111)이 가로로 형성되어 있고, 제1포개짐판(17)과 제2포개짐판(18) 사이에는 제2외형오목접힘선(112)이 가로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2포개짐판(18)과 외측판(13) 사이에는 제3외형볼록접힘선(11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외형볼록접힘선(111)을 따라 접어서 상기 내측판(12)의 배면과 상기 제1포개짐판(17)의 배면이 서로 완전히 접촉하도록 마주 접하여 포개지게 만들게 되고, 제2외형오목접힘선(112)을 따라 접어서 상기 제1포개짐판(17)의 정면과 제2포개짐판(18)의 정면이 서로 완전히 접촉하도록 마주 접하여 포개지게 만들게 되고, 제3외형볼록접힘선(113)을 따라 접어서 상기 제3포개짐판(18)의 배면과 외측판(13)의 배면이 서로 완전히 접촉하도록 마주 접하여 포개지게 만들게 된다. 그에 따라 외측판(13)의 높이가 줄어들게 되고, 도 25에 도시된 것처럼 태블릿 단말기 등을 정면판(10)에 기대어 거치하였을 때, 태블릿 단말기의 아래쪽까지 모두 보일 수 있게 되어 사용이 더욱 편리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1)는 아이패드, 갤럭시 패드 등과 같은 태블릿 단말기의 하단을 물품 수납공간(30)에 위치시키고 태블릿 단말기의 배면을 정면판(10)에 기대어 놓게 되면, 태블릿 단말기가 세워진 채로 거치될 수 있어 사용자가 화면을 보기가 매우 편리하게 되는데, 도 21에 도시된 제3 실시예의 경우에는, 이에 더하여 태블릿 단말기의 아래쪽까지 모두 보일 수 있게 되어 사용이 더욱 편리하게 되는 추가적인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도 21에 도시된 제3 실시예는 도 11에 도시된 형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1)에 적용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물품 거치대(1)에도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전개도 상태의 본 고안의 물품 거치대(1)는 전체가 골판지 등의 종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의 판부재는 단단한 경성의 재질의 판으로 이루어지되, 외면을 직물이나 종이로 감싸서, 경성 재질 사이의 간격에 의해 접힘선이 형성될 수도 있다.
1 : 물품 거치대
10: 정면판
11; 바닥판
12; 내측판
13; 외측판
14; 측면판

Claims (5)

  1. 물건의 배면을 지지하거나 메모지를 붙이거나 또는 달력이 매달리게 되거나 거울이 설치되는 정면판(10)과, 상기 정면판(10)에서 종방향 아래쪽으로 연속되어 있으며 물건 수납공간의 바닥을 이루게 되는 바닥판(11)과, 상기 바닥판(11)에서 종방향 아래쪽으로 연속되어 있으며 물건 수납공간의 정면방향 내측면을 이루는 내측판(12)과, 상기 내측판(12)에서 종방향 아래쪽으로 연속되어 있으며 물건 수납공간의 외면을 이루는 외측판(13)과, 상기 외측판(13)의 횡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정면판(10)과 체결되는 측면판(14)을 포함하며;
    상기 정면판(10)과 상기 바닥판(11) 사이에는 가로형태의 제1오목접힘선(101)이 존재하고, 상기 바닥판(11)과 상기 내측판(12) 사이에는 가로형태의 제2오목접힘선(102)이 존재하며, 상기 내측판(12)과 상기 외측판(13) 사이에는 가로형태의 제3볼록접힘선(103)이 존재하고, 상기 외측판(13)과 상기 측면판(14) 사이에는 세로형태의 제4볼록접힘선(104)이 각각 존재하고;
    상기 정면판(10)의 횡방향 양측에는 연장부분(10b)이 존재하고, 상기 바닥판(11)의 횡방향 양측 위치에서 상기 정면판(10)에는 종방향으로 상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파인 제1끼움부(10a)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판(14)의 각각에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세로 방향으로 절취되어 있는 제3끼움부(14a)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1오목접힘선(101)과 상기 제2오목접힘선(102)과 상기 제3볼록접힘선(103)과 상기 제4볼록접힘선(104)을 따라 접고, 상기 제3끼움부(14a)와 상기 제1끼움부(10a)가 서로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바닥판(11)과 상기 정면판(10)과 상기 외측판(13)과 상기 측면판(14)에 의해 정면판(10)의 아래쪽에 상부가 개방되고 5면이 막혀있는 육면체 형태의 물품 수납공간(30)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정면판(10)의 정면에는 한장씩 넘길 수 있는 달력(51)이 설치되어 있어서, 탁상달력으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달력(51)은 정면판의 상단에서 고리부재(52)에 의해 매달려 설치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판(10)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지(60)가 부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판(10)에는 거울(70)이 설치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거치대.
KR2020120004285U 2012-04-23 2012-05-22 물품 거치대 KR2004635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285U KR200463560Y1 (ko) 2012-04-23 2012-05-22 물품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310 2012-04-23
KR2020120004285U KR200463560Y1 (ko) 2012-04-23 2012-05-22 물품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560Y1 true KR200463560Y1 (ko) 2012-11-13

Family

ID=47565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285U KR200463560Y1 (ko) 2012-04-23 2012-05-22 물품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5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528B1 (ko) * 2013-05-20 2015-12-01 김형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20180083133A (ko) 2017-01-12 2018-07-20 고문당인쇄(주)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2492A (ja) 2001-10-03 2003-04-15 Maps:Kk カードホル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2492A (ja) 2001-10-03 2003-04-15 Maps:Kk カードホル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528B1 (ko) * 2013-05-20 2015-12-01 김형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20180083133A (ko) 2017-01-12 2018-07-20 고문당인쇄(주)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3560Y1 (ko) 물품 거치대
KR101573528B1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US20130104434A1 (en) Display, storage and transport arrangement for art
JP3237783U (ja) 収納機能付きステッカー
CN201633311U (zh) 带储物座的台历
JP4312614B2 (ja) 宣伝用品
JP3136375U (ja) スタンドホルダ
KR20120121142A (ko) 탁상용으로 사용가능하면서 휴대가능한 수첩
KR20130001044U (ko) 탁상용 캘린더
KR101550840B1 (ko) 탁상 달력 및 그 제조방법
TWM576565U (zh) Adjustable storage structure
KR102317801B1 (ko) 앨범테이블
KR101243700B1 (ko) 탁상용 입체 달력
KR20090028016A (ko) 종이를 접어서 만든 엽서 액자 제작 방법
KR20120001530U (ko) 다기능 캘린더
JP3127627U (ja) 壁掛卓上ディスプレイ装置
CN211704139U (zh) 一种装饰币盒及装饰币展示装置
KR102010657B1 (ko) 수납공간을 구비하면서도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보드판
KR200436966Y1 (ko) 지지구가 설치된 물품 거치대
JP4746721B1 (ja) 壁掛具および壁掛展示具
KR20110003338U (ko) 탁상용 달력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탁상용 딜력
JP3183088U (ja) 筆立て付き付箋
TWI565439B (zh) Folding object placement device
KR200462792Y1 (ko) 다용도 탁상달력
KR200435309Y1 (ko) 액자 겸용 탁상용 캘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