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528B1 -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 Google Patents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528B1
KR101573528B1 KR1020130056755A KR20130056755A KR101573528B1 KR 101573528 B1 KR101573528 B1 KR 101573528B1 KR 1020130056755 A KR1020130056755 A KR 1020130056755A KR 20130056755 A KR20130056755 A KR 20130056755A KR 101573528 B1 KR101573528 B1 KR 101573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ck plate
body portion
portable article
constitu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6342A (ko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김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태 filed Critical 김형태
Priority to KR1020130056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528B1/ko
Publication of KR20140136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47F5/12Tiltable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47F5/11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made of cardboard, paper or the like
    • A47F5/112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made of cardboard, paper or the like hand-folded from shee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2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jewellery, dentures, watches, eye-glasses, lens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2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 H04M1/13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pantograph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받침대는 몸체부(10)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10)의 일측에는 제1수납부(2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0)의 타측에는 제2수납부(24)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하나의 시트를 사용하여 접어서 결합한 것이다. 상기 몸체부(10)의 제1수납부(20)는 소정의 수납공간(22)을 가지는데, 그 바닥이 상기 몸체부(10)의 전면판(12)의 상단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의 양측면을 구성하는 측면판(16)은 상기 전면판(12)과 일체이고 배면판(18)에 결합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높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측면판(16)에서 상기 전면판(12)에 인접한 상단에는 제2수납부(24)를 구성하는 가로거치홈(17')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제1수납부(20)에 휴대 물품을 세로 방향으로 세워서 수납하고 제2수납부(24)에 휴대 물품을 가로방향으로 안착시킬 수 있으며, 휴대 물품의 전면에 있는 화면이 가려지지 않으므로 다양하게 휴대 물품을 받침대에 보관하고, 보관된 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Folding type supporter for portable instrument}
본 발명은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시트를 접어서 만들어 휴대물품을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사람들이 휴대하여 사용하는 제품들이 많아 졌다. 즉, 사용자가 휴대하여 가지고 다니면서 사용하는 휴대 물품들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다. 예를 들면, 대표적으로 휴대폰이 있고, 개인용 단말기, 지갑, 수첩, 리모콘 등 다양한 휴대 물품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핸드폰, 특히 스마트폰을 접이식 받침대에 안착시키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휴대 물품은 사용자가 몸이나 가방 등에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휴대 물품은 사무실이나 집에서는 사용자가 몸에 휴대하지 않고 책상 등에 놓아두게 되는데, 그 위치가 일정하지 않게 되면 사용 시마다 휴대 물품을 찾아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고, 특히, 나이가 많아 기억력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휴대 물품의 위치를 자주 잊어버리게 된다.
이와 같은 불편한 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휴대 물품을 놓아 둘 수 있는 접이식 받침대인 핸드폰 홀더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접는 것이 가능하게 만들어진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접이식으로 핸드폰 홀더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핸드폰 홀더는 내부의 공간으로 핸드폰 등 휴대 물품의 절반정도가 들어가서 외부에서 휴대 물품의 전체가 보이지 않고 일부만이 보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의 핸드폰은 음악을 듣거나 특히 동영상을 보는 용도로도 많이 사용하므로, 핸드폰 홀더에 핸드폰을 놓은 상태에서 핸드폰의 일부가 가려지면 동영상을 볼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최근의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놓는 방향을 달리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화면을 가로방향과 세로방향 등 원하는 방향으로 놓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핸드폰 홀더에서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핸드폰을 놓고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한 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핸드폰 홀더는 양측 면을 구성하는 부분이 없어 전체적으로 구조물의 강도가 약한 문제점도 있다. 즉, 양측면을 구성하는 부재가 없으므로 선단과 후단 사이를 연결해서 지지할 수 없어 핸드폰 홀더의 구조적인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806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 물품의 전면 전체를 볼 수 있도록 안착시킬 수 있는 접이식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물품을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사용자가 선택하여 안착시킬 수 있는 접이식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이식 받침대의 구조적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 물품을 안착시키는 각도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접이식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이식 받침대를 하나의 시트로 접어서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나의 시트를 접어 결합하여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세로방향으로 세워서 안착되는 제1수납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가로방향으로 세워서 안착되는 제2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납부는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전면판, 한쌍의 측면판, 배면판, 지지판에 의해 둘러싸인 수납공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수납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단을 구성하는 한쌍의 측면판의 상단에 형성되는 가로거치홈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양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측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2수납부를 구성하는 가로거치홈이 상단에 형성되는 한쌍의 측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수납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서 연장되고 상기 측면판과 결합되어 상기 전면판과 협력하여 상기 제1수납부를 구성하는 배면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나의 시트를 접어 결합하여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세로방향으로 세워서 안착되는 제1수납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가로방향으로 세워서 안착되는 제2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납부는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전면판, 한쌍의 측면판, 배면판, 지지판에 의해 둘러싸인 수납공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수납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단을 구성하는 한쌍의 측면판의 상단에 형성되는 가로거치홈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양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측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2수납부를 구성하는 가로거치홈이 상단에 형성되는 한쌍의 측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수납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지지판과, 상기 전면판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의 바닥을 구성하고 상기 지지판의 걸이편이 걸어져 결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서 연장되고 상기 측면판과 결합되어 상기 전면판과 협력하여 상기 제1수납부를 구성하는 배면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나의 시트를 접어 결합하여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세로방향으로 세워서 안착되는 제1수납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가로방향으로 세워서 안착되는 제2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납부는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전면판, 한쌍의 측면판, 배면판, 지지판에 의해 둘러싸인 수납공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수납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단을 구성하는 한쌍의 측면판의 상단에 형성되는 가로거치홈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의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단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측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2수납부를 구성하는 가로거치홈이 상단에 형성되는 한쌍의 측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수납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서 연장되고 상기 측면판과 결합되어 상기 전면판과 협력하여 상기 제1수납부를 구성하는 배면판을 포함한다.
상기 배면판에는 추가배면판이 연결되어 더 구비된다.
상기 배면판과 추가배면판에는 배면끼움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에는 상기 배면끼움슬롯과 서로 끼워지는 측면끼움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배면판과 추가배면판이 상기 측면판과 결합된다.
상기 몸체부의 하단을 따라서는 장식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배면판 또는 상기 배면판과 추가배면판의 적어도 일측단에는 연장부가 형성된다.
상기 배면판과 추가배면판의 사이에는 전시물이 구비되고 상기 배면판에는 전시물윈도우가 형성된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나의 시트를 접어 결합하여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어 휴대 물품의 일측 가장자리가 걸어지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제1배면판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 물품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며 양측 방향으로 걸리는 구조 없이 상방과 그 양측단이 개방되는 개방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 연결되고 바닥에 안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전면부에 상기 바닥판과 반대쪽에서 연결되고 상기 개방수납부의 바닥을 형성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에 상기 전면부와 반대쪽에서 연결되는 제1배면판과, 상기 제1배면판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결되고 상기 바닥판에 결합되는 제2배면판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부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의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판에 결합되는 걸이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하나의 시트를 접어 결합하여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어 휴대 물품의 일측 가장자리가 걸어지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제1배면판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 물품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며 양측 방향으로 걸리는 구조 없이 상방과 그 양측단이 개방되는 개방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 연결되고 바닥에 안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상기 전면부와 반대쪽에서 연결되는 제2배면판과, 상기 제2배면판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결되고 상기 바닥판에 결합되는 제1배면판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부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의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판에 결합되는 걸이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하나의 시트를 접어 결합하여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어 휴대 물품의 일측 가장자리가 걸어지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제1배면판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 물품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며 양측 방향으로 걸리는 구조 없이 상방과 그 양측단이 개방되는 개방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 연결되고 바닥에 안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전면부에 상기 바닥판과 반대쪽에서 연결되고 상기 개방수납부의 바닥을 형성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에 상기 전면부와 반대쪽에서 연결되는 제1배면판과, 상기 바닥판에 상기 전면부와 반대쪽에서 연결되고 상기 제1배면판과 결합되는 제2배면판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부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의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판에 결합되는 걸이판을 포함한다.
삭제
상기 전면판과 상기 걸이판의 사이에는 상면판이 더 구비된다.
상기 제1배면판의 상단 양측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상기 제2배면판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측단안내부가 더 구비되어 휴대 물품의 상단 양측을 안내한다.
상기 몸체부의 결합을 위해 상기 바닥판과 제1배면판이나 제2배면판이 결합되는 부분과 상기 제1배면판과 제2배면판이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는 배면걸이편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도조절슬롯이 형성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1배면판, 상기 제2배면판 및 상기 바닥판의 양측단중 적어도 일측에는 연장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1배면판에는 전시물윈도우가 형성되고 상기 제1배면판과 제2배면판의 사이에는 전시대가 설치되어 전시물을 지지한다.
상기 몸체부의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장식부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제1수납부와 제2수납부의 바닥이 전면판의 상단과 같거나 인접한 높이이거나 또는 더 높은 위치에 있도록 되어 제1 및 제2 수납부에 안착되는 휴대 물품의 전면 전체가 받침대의 전방에서 볼 수 있게 되므로 휴대 물품의 전면에 화면이 형성된 경우 받침대에 휴대 물품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수납부에는 휴대 물품을 세로방향으로 세워서 안착시킬 수 있고, 제2 수납부는 휴대 물품의 가로방향 변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한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휴대 물품을 가로방향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받침대에 휴대 물품을 다양하게 안착시켜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몇 개의 실시례들에서는 측면판을 사용하므로 측면판이 전면판과 배면판 또는 바닥판까지를 서로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하므로 몸체부의 전체 구조가 견고하게 되어 받침대가 휴대 물품을 잘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몇 개의 실시례들에서는 배면판의 각도를 조절함에 의해서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에 휴대 물품을 안착시킬 때, 그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몸체부는 한 장의 시트를 접어서 만들 수 있어 제조자는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자는 휴대하기가 편함과 동시에 조립과 해체가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몸체부의 하단부를 따라 장식부를 형성하여 받침대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전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제1수납부에 휴대 물품이 안착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제2수납부에 휴대 물품이 안착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와 유사한 형상의 받침대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다른 예를 보인 전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와 유사한 형상의 받침대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다른 예를 보인 전개도.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전개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실시례에 휴대 물품이 세로 방향으로 놓여진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실시례에 휴대 물품이 가로 방향으로 놓여진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17은 도 12에 도시된 실시례와 유사한 형상의 받침대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다른 예를 보인 전개도.
도 18은 도 12에 도시된 실시례와 유사한 형상의 받침대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전개도.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전개도에 따른 몸체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전개도에 따른 몸체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의 바람직한 실시례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례의 받침대는 몸체부(10)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종이나 합성수지 시트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특히, 상기 몸체부(10)는 종이나 합성수지 시트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하고 접이선들을 따라 접어 끼움에 의해 만들어 진다.
상기 몸체부(10)의 구성이 도 4에 전개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면판(12)은 몸체부(10)의 전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전면판(12)은 본 실시례에서는 사각형상이다. 하지만, 상기 전면판(12)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12)은 그 넓이가 안착되는 휴대 물품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전면판(12)에는 소정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예를 들면 받침대를 제공하는 자의 광고이다. 상기 정보는 상식, 생활정보 등 다양한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12)의 일측에 연결되어서는 지지판(14)이 있다. 상기 지지판(14)은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전면판(12)의 상단에 연결된다. 상기 지지판(14)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수납부(20)의 바닥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판(14)은 아래에서 설명된 배면판(18)과 연결된다. 상기 지지판(14)은 상기 전면판(12)과 배면판(18)의 사이에서 그 연장 각도가 달리 되도록 접이선(도면부호 부여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12)의 양측에는 각각 측면판(16)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측면판(16)은 상기 전면판(12)의 양단에 연결된 상태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몸체부(10)의 양쪽 측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측면판(16)의 형상은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측면판(16)의 상단 일부가 반원형의 곡선을 가지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측면판(16)은 몸체부(10)의 장식적 효과를 위해 여러가지 형상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측면판(16)의 하단을 따라서는 상기 전면판(12)쪽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잘라내어 기울기홈(16')을 형성한다. 상기 기울기홈(16')을 형성함에 의해 몸체부(10)가 전체적으로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되어 안착된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에서 잘 보이게 된다.
상기 측면판(16)에는 측면끼움슬롯(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끼움슬롯(17)은 상기 측면판(16)의 상단 일측으로 개방되게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된다. 상기 측면끼움슬롯(17)은 아래에서 설명될 배면판(18)과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상기 측면판(16)에는 가로거치홈(17')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가로거치홈(17')은 상기 측면판(16)의 상단 중에서 상기 전면판(12)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가로거치홈(17')은 휴대 물품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휴대 물품이 전면판(12)의 전후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소정의 홈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지지판(14)에 일체로 연결되어서는 배면판(18)이 구비된다. 상기 배면판(18)은 상기 전면판(12)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지지판(14)쪽에 연결된다. 상기 배면판(18)에는 배면끼움슬롯(19)이 형성된다. 상기 배면끼움슬롯(19)은 상기 지지판(14)의 양단과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연장된다. 상기 배면끼움슬롯(19)에는 측면끼움슬롯(17)에서 연장되는 부분의 측면판(16)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판(16)의 측면끼움슬롯(17)에는 상기 배면끼움슬롯(19)에서 연장되는 부분의 배면판(18)이 위치된다.
상기 배면판(18)에 연결되어서 별도의 추가배면판(1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추가배면판(18')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나, 배면판(18)의 두께가 원하는 강도를 만들어 낼 수 없는 경우나 추가배면판(18')이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 좋다. 상기 추가배면판(18')에도 배면끼움슬롯(19')이 형성된다. 상기 추가배면판(18')은 그 형상과 위치가 상기 배면판(18)과 동일하게 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추가배면판(18')을 상기 배면판(18)에 밀착시키면 배면판(18)의 강도를 수치상으로는 2배로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추가배면판(18')을 상기 배면판(18)에 밀착시키지 않고 연결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이 분리되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배면판(18)과 추가배면판(18')은 도 4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4각형 판이 아닌 가장자리가 곡선으로 된 판형상이다. 그 폭은 상기 전면판(12)보다는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배면끼움슬롯(19,19')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배면판(18)과 추가배면판(18')의 가장자리는 곡선 외의 다양한 형태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몸체부(10)를 접어서 결합함에 의해 상기 몸체부(10)에는 제1수납부(20)가 형성된다. 상기 제1수납부(20)는 상기 전면판(12), 지지판(14), 측면판(16) 그리고 배면판(18)에 의해 둘러싸여져 수납공간(22)을 형성함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1수납부(20)의 수납공간(22)은 상기 지지판(14)이 상기 전면판(12)의 상단과 연결되고 반대쪽이 상기 배면판(18)의 하단과 연결됨에 의해 상기 전면판(12)을 기준으로 깊이가 깊지 않게 된다. 이는 도 2에서 잘 알 수 있듯이, 상기 지지판(14)중에서 상기 전면판(12)과 연결된 부분이 가지는 경사가 상대적으로 작은 값으로 됨에 의해 그러하게 된다. 특히 상기 지지판(14)중에서 상기 전면판(12)과 연결된 부분에 인접한 위치에 휴대 물품의 하단부가 안착되는데, 이 부분이 전면판(12)과 연결되어 있음으로 해서 수납공간(22)에 안착된 휴대 물품의 하단부가 외부에서 그대로 보이게 된다.
상기 양측의 측면판(16)에 형성된 상기 가로거치홈(17')에 의해 제2수납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제2수납부(24)는 제1 수납부(20)와 같이 어느 정도 구획된 공간이 아니고 단순히 측면판(16)의 상단 일측에 오목하게 들어간 가로거치홈(17')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휴대 물품의 일측 가장자리가 그 가장자리 방향으로 제한없이 안착될 수 있도록 된다.
다음으로,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구성이 전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전개도의 몸체부(110)로 만들어지는 받침대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거의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것이기는 하나, 전개도로 보여지는 몸체부(110)의 구성이 상이하게 이루어진다.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부분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몸체부(110)를 구성하는 전면판(112)의 양측에 측면판(116)이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즉, 전면판(112)의 양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측면판(116)이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112)과 배면판(118)을 연결하는 바닥판(115)이 더 구비되어 몸체부(110)를 형성한다.
상기 전면판(112)은 좌우 폭에 비해 상하 높이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전면판(112)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게 하는 것은 제1수납부의 깊이를 상대적으로 깊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114)과 바닥판(115)이 나누어져서 수납공간의 바닥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12)의 높이가 낮아짐에 의해 수납공간에 안착되는 휴대 물품의 전면이 모두 보일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실시례의 지지판(114)과 바닥판(115)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지지판(14)에 해당되는 것이다.
상기 전면판(112)의 상단 변에 연결되어서는 지지판(114)이 있다. 상기 지지판(114)은 휴대 물품이 수납공간에 안착되었을 때 휴대 물품의 하단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판(114)에는 걸이편(114')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걸이편(114')은 아래에서 설명될 바닥판(115)의 걸이슬롯(115')에 걸어져 전면판(112)이 세워져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전면판(112)의 하단 변에 연결되어서는 바닥판(115)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115)은 받침대가 놓여지는 지면에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바닥판(115)에는 걸이슬롯(1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슬롯(115')에는 상기 지지판(114)의 걸이편(114')이 삽입되어 걸어진다.
상기 전면판(112)의 양측 단에는 각각 측면판(116)이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전면판(112)에 대해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측면판(116)의 형상은 그 상단이 곡선으로 되어 있고, 상단 일측에 가로거치홈(1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로거치홈(117')은 양측의 측면판(116)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휴대 물품의 가장자리가 직접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바닥판(115)에서 연장되어 배면판(118)이 있다. 상기 배면판(118)이 상기 바닥판(115)과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전면판(112)과 연결된 반대쪽이다. 상기 배면판(118)은 휴대 물품의 배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몸체부(110)의 배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배면판(118)에는 배면끼움슬롯(119)이 형성되는데, 상기 배면끼움슬롯(119)에는 절곡된 상기 측면판(116)의 후단 일측이 끼워지게 된다. 상기 배면판(118)에는 추가배면판(118')이 더 연결된다. 상기 추가배면판(118')은 상기 배면판(118)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추가배면판(118')에는 배면끼움슬롯(119')이 상기 배면판(118)의 배면끼움슬롯(119)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면판(118)이나 추가배면판(118')은 그 폭이 상기 전면판(112)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된다. 상기 배면판(118)과 추가배면판(118')의 양측 가장자리는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배면판(118)이나 추가배면판(118')의 폭은 상기 전면판(112)보다 넓게 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구성이 전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전개도의 몸체부(210)로 만들어지는 받침대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거의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것이기는 하지만, 전개도로 보여지는 몸체부(210)의 구성이 상이하게 이루어진다.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부분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몸체부(210)를 구성하는 바닥판(215)의 양측에 측면판(21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215)에 대해 각각 직각으로 절곡되어 측면판(216)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214)에 배면판(218)이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지지판(214)에 전면판(212)이 연결된 반대쪽에 배면판(218)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면판(212)은 좌우 폭에 비해 상하 높이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전면판(212)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게 하는 것은 제1수납부의 깊이를 상대적으로 깊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214)과 바닥판(215)이 나누어져서 수납공간의 바닥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212)의 높이가 낮아짐에 의해 수납공간에 안착되는 휴대 물품의 전면이 모두 보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면판(212)의 상단에 연결되어서는 지지판(214)이 있다. 상기 지지판(214)이 연결된 반대쪽인 전면판(212)의 하단에 연결되어서는 바닥판(21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바닥판(215)의 양측에 각각 측면판(216)이 연결되는데, 상기 측면판(216)은 상기 바닥판(215)의 양단에 직교하게 세워져서 전체 몸체부(210)의 양쪽 측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측면판(216)에는 제1측면끼움슬롯(217)과 제2측면끼움슬롯(217")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측면끼움슬롯(217,217")은 각각 아래에서 설명될 배면판(218)과 추가배면판(218')과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추가배면판(218')이 없는 경우에는 제2측면끼움슬롯(217")이 없어도 된다.
상기 측면판(216)에는 또한 각각 가로거치홈(217')이 형성된다. 상기 가로거치홈(217')은 몸체부(210)가 조립되었을 때 제2수납부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가로거치홈(217')은 상기 전면판(212)에 인접한 위치의 상기 측면판(216)의 상단에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를 설명한다. 본 실시례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몸체부(10)의 하단을 둘러서 장식부(26)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장식부(26)는 상기 전면판(12)과 측면판(16)의 하단에서 돌출되어 안착판(28)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판(28)은 받침대가 안착되는 지면 상에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안착판(28)은 다양한 형상을 가지고 그 표면에 무늬 등을 가져 받침대를 장식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배면판(18)의 가장자리 모양이 소정의 장식을 가진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배면판(18)의 가장자리에 상기 안착판(28)과 같은 것이 있어 장식 역할을 하는 것이다. 물론, 배면판(18)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할 수 있는 장식은 도시된 것 외에도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를 설명한다. 도 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받침대의 배면판(18)이나 또는 상기 배면판(18)과 추가배면판(18')의 일측단에서 연장되어 연장부(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30)는 본 실시례에서는 달력을 예로 들고 있고, 상기 연장부(30)로는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자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연장부(30)는 상기 배면판(18)의 양측에 각각 있을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를 설명한다. 도 11에는 도 1의 실시례에서 상기 배면판(18)과 추가배면판(18')의 사이에 전시물(18s)을 두고 상기 배면판(18)에는 윈도우(18w)를 형성하여 전시물(18s)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받침대를 장식하는 효과와 별도의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면판(18)과 추가배면판(18')의 사이에는 많은 수의 전시물(18s)을 두었다가 필요한 것을 선택하여 전시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몸체부(310)는 하나의 시트를 사용하여 접어서 만들어진다. 상기 몸체부(310)의 전면을 전면부(312)가 구성한다. 상기 전면부(213)는 몸체부(310)의 선단 전면쪽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전면부(312)의 구성을 전면판(312'), 상면판(313), 걸이판(313')이 형성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전면부(312)가 육면체 형상, 즉 그 횡단면이 사각형으로 만들어진다. 하지만, 상기 전면부(312)의 형상은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부(312)의 횡단면이 3각형으로 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상면판(313)이 없는 경우이다.
상기 전면부(312)를 구성하는 전면판(312')은 상기 전면부(312)의 선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높이에 비해 폭이 매우 넓게 형성된 직사각형이다. 상기 전면판(312')은 받침대가 놓여지는 바닥에 하단부가 위치된다.
상기 전면판(312')의 상단에 연결되어서 상면판(313)이 구비된다. 상기 상면판(313)은 상기 전면부(312)의 상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상면판(313)은 전면부(312)의 형상에 따라 없을 수도 있다.
상기 상면판(313)과 연결되어서 걸이판(313')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판(313')은 상기 상면판(313)에서 연장되거나 상기 상면판(313)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전면판(312')에서 연장된다. 상기 걸이판(313')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편(313")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313")은 아래에서 설명될 바닥판(315)의 걸이슬롯(316)에 걸어져 전면부(312)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판(313')은 본 실시례에서는 바닥판(315)에 직교하게 되도록 설치되는데, 전면부의 횡단면이 삼각형인 경우에는 경사지게 바닥판(315)에 연결될 수 있다.
바닥판(315)은 상기 전면부(312)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바닥판(315)은 몸체부(310)가 놓여지는 바닥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바닥판(315)은 본 실시례에서 사각판 형상이다. 하지만, 상기 바닥판(315)의 형상은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바닥판(315)에는 다수개의 각도조절슬롯(315')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도조절슬롯(315')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배면판(318')의 선단에 형성된 배면걸이편(319')이 걸어지는 부분으로, 어느 각도조절슬롯(315')에 배면걸이편(319')이 걸어지느냐에 따라 제1배면판(318)과 제2배면판(318')의 각도가 달라지게 된다.
상기 걸이판(313')과 연결되어서는 안착판(317)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판(317)은 아래에서 설명될 개방수납부(320)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상기 안착판(317)은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폭방향 양단에 아무런 구조가 없이 평면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개방수납부(320)의 양단이 개방되도록 한다. 상기 안착판(317)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배면판(318)과 연결된다. 참고로, 상기 안착판(317)이 없이 상기 전면부(312)와 제1배면판(318)이 서로 분리되어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1배면판(318)이 상기 바닥판(315)에 걸어져 결합된다.
상기 안착판(317)과 연결되어서는 제1배면판(318)이 구비된다. 상기 제1배면판(318)은 휴대 물품의 배면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배면판(318)은 개방수납부(320)의 일측 내면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상기 제1배면판(318)은 상기 전면부(312)에 의해 하단 일부가 가려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노출된다.
상기 제1배면판(318)과 연결되어서는 제2배면판(318')이 구비된다. 상기 제2배면판(318')은 상기 제1배면판(318)과 연결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이 분리되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만나게 된다. 상기 제2배면판(318')에는 측단안내부(319)가 있다. 상기 측단안내부(319)는 상기 제1배면판(318)의 상단 양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배면판(318)에 안착되어 있는 휴대 물품의 상부 양단의 위치를 안내하게 된다. 상기 측단안내부(319)는 상기 제1배면판(318)에 세로로 지지된 휴대 물품이 좌우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배면판(318)에 가로로 지지된 휴대 물품의 상측 가로방향 가장자리를 안내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제2배면판(318')의 선단에는 상기 바닥판(315)에 형성된 각도조절슬롯(315')에 걸어지는 배면걸이편(319')이 있다. 상기 배면걸이편(319')은 상기 각도조절슬롯(315')중 어느 하나에 걸어져서 상기 제1배면판(318)과 제2배면판(318')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310)의 제1배면판(318)과 상기 전면부(312)의 사이에는 개방수납부(320)가 형성된다. 상기 개방수납부(320)는 그 상방과 그 양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 특히 양측방향으로 걸리는 구조없이 개방되어 있어 납작한 사각판형상의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물품의 가로변과 세로변을 모두 수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구성이 전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된 전개도의 몸체부(410)로 만들어지는 받침대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거의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것이기는 하나, 전개도로 보여지는 몸체부(410)의 구성이 상이하게 이루어진다.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부분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몸체부(410)를 구성하는 전면부(412)는 전면판(412'), 상면판(413), 걸이판(413')이 있다. 여기서는 상기 걸이판(413')이 몸체부(410)의 일단부에 있고, 아래에서 설명될 제1배면판(418)이 타단부에 있다. 따라서, 바닥판(415)과 제2배면판(418')이 서로 연결되고 별도의 안착판이 없다.
상기 전면판(412')과 연결되어서는 바닥판(415)이 있다. 상기 바닥판(415)에서 상기 전면판(412')에 인접한 위치에는 걸이슬롯(4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슬롯(416)에는 상기 걸이판(413')에 있는 걸이편(413")이 삽입되어 걸어진다.
상기 바닥판(415)에는 또한 각도조절슬롯(4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도조절슬롯(415')은 상기 걸이슬롯(416)에 인접하여 있다. 상기 각도조절슬롯(415')은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다수개가 나란히 있다. 하지만, 상기 각도조절슬롯(415')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있으면 된다.
상기 바닥판(415)에 일체로 연결되어서 제2배면판(418')이 있다. 상기 제2배면판(418')은 상기 바닥판(415)에 상기 전면부(412)의 반대쪽에서 연결된다. 상기 제2배면판(418')의 일단부 양단에는 측단안내부(419)가 형성된다. 상기 측단안내부(419)는 상기 제1배면판(415)에 세로방향으로 안착된 휴대 물품의 상단 양측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측단안내부(419)는 상기 제1배면판(415)에 가로방향으로 안착된 휴대 물품의 상측 가로방향 가장자리를 안내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제2배면판(418')에 연결되어서는 제1배면판(418)이 있다. 상기 제1배면판(418)의 선단에는 배면걸이편(41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면걸이편(419')은 상기 바닥판(415)에 형성된 상기 각도조절슬롯(415')에 걸어져 상기 제1배면판(418)과 제2배면판(418')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여 상기 바닥판(415) 상에 설치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1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구성이 전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된 전개도의 몸체부(510)로 만들어지는 받침대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거의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것이기는 하나, 전개도로 보여지는 몸체부(510)의 구성이 상이하게 이루어진다.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부분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에 도시된 것은 제1배면판(518)과 제2배면판(518')이 서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제1배면판(518)은 안착판(517)에 연결되고 상기 제2배면판(518')은 바닥판(515)에 연결된다.
전면부(512)는 전면판(512'), 상면판(513), 걸이판(513')으로 구성되고, 상기 걸이판(513')에 연결되어 안착판(517)이 있다. 즉, 상기 전면부(512)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안착판(517)이 있고 타측에는 바닥판(515)이 있다. 상기 바닥판(515)에는 걸이슬롯(516)이 상기 전면판(512')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판(513')에는 걸이편(51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걸이편(513")은 바닥판(515)의 걸이슬롯(516)에 걸어진다.
상기 안착판(517)에 연결되어서 제1배면판(518)이 있는데, 상기 제1배면판(518)에는 다수개의 각도조절슬롯(518s)이 형성된다. 상기 각도조절슬롯(518s)에는 제2배면판(518')의 배면걸이편(519')이 선택적으로 걸어져 제1배면판(518)과 제2배면판(518')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배면판(518')의 일단부 양단에는 측단안내부(519)가 형성된다. 상기 측단안내부(519)는 상기 제1배면판(515)에 세로방향으로 안착된 휴대 물품의 상단 양측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측단안내부(519)는 상기 제1배면판(515)에 가로방향으로 안착된 휴대 물품의 상측 가로방향 가장자리를 안내하는 역할도 한다.
참고로, 도 17과 도 18에 도시된 전개도의 몸체부(410,510)들을 조립하면 각각 도 19과 도 20에 도시된 형상으로 된다.
다음으로, 도 21에 도시된 실시례를 설명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2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과 같은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여기서는 상기 제1배면판(318)과 상기 제2배면판(318') 그리고 상기 바닥판(315)의 일측이 연장되어 연장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330)는 본 실시례에서는 달력이 사용되고 있고, 상기 달력은 상기 제1배면판(318)과 상기 제2배면판(318') 그리고 상기 바닥판(315)이 연장된 부분에 날짜가 표시된 월 또는 일 표시부가 넘김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연장부(330)으로는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자나 꽃병, 연필꽂이 등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연장부(330)는 상기 제1배면판(318)의 양측에 각각 있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2에 도시된 실시례를 설명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배면판(318)에 전시물윈도우(318w)를 형성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전시물윈도우(318w)가 사각형상으로 된다. 상기 제1배면판(318)과 제2배면판(318')의 사이에 해당되는 공간에는 전시대(340)가 삽입된다. 상기 전시대(340)는 측면도로 볼 때, 삼각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1배면판(318)과 제2배면판(318') 사이의 공간에 들어가서 상기 전시물윈도우(318w)를 통해 전시물이 외부로 보이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의 실시례들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경우에 몸체부(10)를 접어서 받침대를 만드는 것을 설명한다. 도 4에는 몸체부(10)의 전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전면판(12)을 기준으로 양측의 측면판(16)을 각각 직각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전면판(12)의 배면 방향으로 접는다.
지지판(14)을 상기 전면판(12)의 상단을 따라 접고, 지지판(14)의 중간을 따라서도 접이선(도면부호 부여 않음)을 따라 접어준다. 상기 지지판(14)과 배면판(18) 사이의 연결선을 따라 접으면서 상기 측면끼움슬롯(17)과 배면판(18)의 배면끼움슬롯(19)이 서로 끼워지도록 한다.
물론, 상기 추가배면판(18')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추가배면판(18')을 배면판(18)의 배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측면판(16)과의 결합을 진행한다. 이와 같이 하면 몸체부(10)의 결합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받침대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놓아 두고, 제1 수납부(20)나 제2수납부(24)에 휴대 물품을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놓고 사용하게 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물품인 스마트폰을 세로방향으로 놓고 그 하단부를 제1수납부(20)를 구성하는 수납공간(22)의 내부에 넣는다. 이와 같이 되면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마트폰의 배면은 상기 배면판(18)에 안착되고 스마트폰의 하단부는 상기 지지판(14) 상에 안착된다. 상기 지지판(14)은 상기 전면판(12)의 상단과 거의 같은 위치에 있으므로 스마트폰의 하단부는 상기 전면판(12)의 상단에 위치하게 되어 스마트폰의 전면 전체가 가려지는 일이 없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받침대의 제1수납부(20)에 놓은 상태로 동영상을 보는 등 화면 전체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받침대 상에 스마트폰을 가로로 놓고 사용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상기 제2수납부(24)를 형성하는 가로거치홈(17')에 스마트폰의 가로측 변이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폰의 반대쪽 가로 변은 배면판(18)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스마트폰은 경사지게 위치되고, 상기 가로거치홈(17')은 상기 측면판(16)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어 스마트폰의 전면을 가리는 구성이 없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몸체부(110)에서는, 도면에서 상기 배면판(118)과 추가배면판(118')이 서로 밀착되지 않고 소정의 각도로 만나도록 하고, 상기 바닥판(115)에 대해서 배면판(118)을 접는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112)을 바닥판(115)에 대략 직교하게 접고 상기 전면판(112)에 대해 각각의 측면판(116)을 접으면서 상기 측면판(116)과 배면판(118)을 서로 결합한다. 상기 측면판(116)과 상기 배면판(118)의 결합은 상기 측면끼움슬롯(117)과 배면끼움슬롯(119'), 그리고 상기 배면끼움슬롯(119)과 상기 측면판(116)의 배면 일부가 서로 끼워지게 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114)의 걸이편(114')을 상기 바닥판(115)의 걸이슬롯(115')에 끼움에 의해 상기 전면판(112)이 몸체부(110)의 전면에 세워져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몸체부(210)를 조립하는 것을 설명한다.
여기서는, 배면판(218)과 추가배면판(218')이 서로 밀착되지 않고 소정의 각도로 만나도록 된다. 상기 바닥판(215)의 양측에 있는 측면판(216)을 바닥판(215)에 대해 직교하게 접고 이에 배면판(218)과 추가배면판(218')이 각각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배면판(218)과 추가배면판(218')이 상기 측면판(216)에 결합되는 것은 상기 측면판(216)에 각각 형성된 제1 측면끼움슬롯(217)과 제2측면끼움슬롯(217")에 상기 배면판(218)과 추가배면판(218')의 배면끼움슬롯(119)이 서로 결합됨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장식부(26)가 구비되는데, 상기 장식부(26)는 몸체부(10)가 바닥에 지지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장식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바닥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장식부(26)가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일측에 달력인 연장부(30)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받침대의 용도 외에도 달력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 10에서는 하나의 연장부(30)만이 있으나 상기 연장부(30)를 양쪽에 둘 수도 있다. 상기 연장부(30)는 본 실시례에서는 달력을 예로 들고 있으나, 상기 연장부(30)로는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여기서는 액자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전시물윈도우(18w)를 통해서 전시물(18s)을 볼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받침대에 휴대 물품을 수납하지 않은 경우에 일종의 액자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휴대 물품을 수납하는 경우에는 휴대 물품에 대한 받침대로 사용하고 휴대 물품을 수납하지 않은 경우에는 액자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된 실시례에 대한 사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는 바닥판(315)과 제2배면판(318')이 몸체부(310)의 양단에 있는데, 중앙쪽에 있는 전면부(312)의 전면판(312'), 상면판(313), 걸이판(313')을 차례로 대략 직교하게 접어 걸이슬롯(316)에 걸이편(313")을 걸어준다.
그리고, 제2배면판(318')의 배면걸이편(319')을 바닥판(315)의 각도조절슬롯(315')중 하나에 걸어 제1배면판(318)과 제2배면판(318')이 소정의 각도를 두고 서로 만나도록 세워지게 한다.
상기 제1배면판(318)과 제2배면판(318')이 세워지는 각도는 상기 배면걸이편(319')이 상기 각도조절슬롯(315')중 어느 것에 끼워지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이와 같이 조립된 받침대에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물품인 스마트폰을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먼저, 도 15에는 상기 전면부(312)의 걸이판(313')과 안착판(317)에 스마트폰의 하측 변이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제1배면판(318)에 스마트폰의 배면이 지지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이 세워진 경우에 스마트폰의 하단 일부만이 상기 전면부(312)에 걸어지므로 화면 전체를 볼 수 있게 된다. 이 경우는 세로로 세워서 스마트폰의 전면에 있는 화면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6에는 스마트폰을 가로로 놓고 사용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개방수납부(320)에서 상기 걸이판(313')과 안착판(317)의 양단에 걸리는 구조가 없이 되어 있으므로 스마트폰을 가로로 놓는 것에 제한이 없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을 가로로 놓은 상태에서 화면 전체를 외부에서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7에 도시된 몸체부(41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412)를 구성하는 부분들을 접어서 걸이판(413')에 있는 걸이편(413")이 바닥판(415)에 있는 걸이슬롯(416)에 걸어지게 하고, 제1배면판(418)의 배면걸이편(419')이 바닥판(415)에 있는 각도조절슬롯(416')에 걸어지게 하면 조립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받침대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도 18에 도시된 몸체부(51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전면부(512)를 접어서 걸이편(513")이 걸이슬롯(516)에 걸어지게 하여 전면부(512)의 형상을 만든다. 다음으로, 제2배면판(518')의 배면걸이편(519')을 제1배면판(518)에 있는 각도조절슬롯(518s)에 걸어서 조립을 완성한다.
한편, 도 2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예를 들면, 달력인 연장부(330)를 두었으므로 사용자는 받침대의 사용시에 달력을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도 22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전시대(340)가 제1배면판(318)과 제2배면판(318')의 사이에 위치되어 제1배면판(318)에 형성된 전시물윈도우(318w)를 통해 전시물을 볼 수 있도록 되므로, 받침대에 휴대 물품이 안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일종의 액자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실시례와 이에 유사한 실시례에서는 전면부(312)의 형상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횡단면이 4각형으로 도시된 실시례가 형성되어 있으나, 삼각형으로 될 수도 있고, 횡단면이 사각형이면서 상면판(313)에 휴대 물품의 하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관통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312)를 바닥판(315)측에 결합하기 위한 걸이편(313")과 걸이슬롯(316)의 구성이 본 실시례들에서는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나, 이들이 2개씩 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배면판(318)과 제2배면판(318')이 반드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만나게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배면판(318)과 제2배면판(318')의 사이를 별도로 연결하는 판이 있을 수도 있다. 즉, 제1배면판(318)이나 제2배면판(318')중 적어도 하나를 접어서 제1배면판(318)과 제2배면판(318')이 서로 만나는 부분에 평면을 두는 것이다.
그리고, 도 12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례들에서도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장식부를 둘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다양한 실시례들을 보여주고 있는데, 비록 도면으로 도시되지 않고 설명이 없을지라도 특정한 실시례를 구성하는 일부 구성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실시례로 만들 수도 있다.
10: 몸체부 12: 전면판
14: 지지판 16: 측면판
17: 측면끼움슬롯 17': 가로거치홈
18: 배면판 18': 추가배면판
19, 19': 배면끼움슬롯 20: 제1수납부
22: 수납공간 24: 제2수납부
26: 장식부 30: 연장부
110: 몸체부 112: 전면판
114: 지지판 114': 걸이편
115: 바닥판 115': 걸이슬롯
116: 측면판 117: 측면끼움슬롯
117': 가로거치홈 118: 배면판
119: 배면끼움슬롯 210: 몸체부
212: 전면판 214: 지지판
215: 바닥판 216: 측면판
217: 제1측면끼움슬롯 217': 가로거치홈
217": 제2측면끼움슬롯 218: 배면판
218': 추가배면판 219,219': 배면끼움슬롯
310: 몸체부 312: 전면부
312': 전면판 313: 상면판
315: 바닥판 315': 각도조절슬롯
316: 걸이슬롯 317: 안착판
318: 제1배면판 318': 제2배면판
319: 측단안내부 410: 몸체부
412: 전면부 412': 전면판
413: 상면판 413': 걸이판
415: 바닥판 415': 각도조절슬롯
416: 걸이슬롯 418: 제1배면판
418': 제2배면판 419: 측단안내부
419': 배면걸이편 510: 몸체부
512: 전면부 512': 전면판
513: 상면판 513': 걸이판
513": 걸이편 515: 바닥판
516: 걸이슬롯 517: 안착판
518: 제1배면판 518s: 각도조절슬롯
518': 제2배면판 519: 측단안내부
519': 배면걸이편 610: 몸체부
612: 전면부 612': 전면판
613: 상면판 613': 걸이판
615: 바닥판 616: 걸이슬롯
617: 안착판 618: 제1배면판
619: 측단안내부

Claims (2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하나의 시트를 접어 결합하여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세로방향으로 세워서 안착되는 제1수납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가로방향으로 세워서 안착되는 제2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납부는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전면판, 한쌍의 측면판, 배면판, 지지판에 의해 둘러싸인 수납공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수납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단을 구성하는 한쌍의 측면판의 상단에 형성되는 가로거치홈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양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측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2수납부를 구성하는 가로거치홈이 상단에 형성되는 한쌍의 측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수납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서 연장되고 상기 측면판과 결합되어 상기 전면판과 협력하여 상기 제1수납부를 구성하는 배면판을 포함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5. 하나의 시트를 접어 결합하여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세로방향으로 세워서 안착되는 제1수납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가로방향으로 세워서 안착되는 제2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납부는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전면판, 한쌍의 측면판, 배면판, 지지판에 의해 둘러싸인 수납공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수납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단을 구성하는 한쌍의 측면판의 상단에 형성되는 가로거치홈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양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측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2수납부를 구성하는 가로거치홈이 상단에 형성되는 한쌍의 측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수납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지지판과,
    상기 전면판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의 바닥을 구성하고 상기 지지판의 걸이편이 걸어져 결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서 연장되고 상기 측면판과 결합되어 상기 전면판과 협력하여 상기 제1수납부를 구성하는 배면판을 포함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6. 하나의 시트를 접어 결합하여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세로방향으로 세워서 안착되는 제1수납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휴대 물품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가로방향으로 세워서 안착되는 제2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납부는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전면판, 한쌍의 측면판, 배면판, 지지판에 의해 둘러싸인 수납공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수납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단을 구성하는 한쌍의 측면판의 상단에 형성되는 가로거치홈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의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양단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측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2수납부를 구성하는 가로거치홈이 상단에 형성되는 한쌍의 측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수납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서 연장되고 상기 측면판과 결합되어 상기 전면판과 협력하여 상기 제1수납부를 구성하는 배면판을 포함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판에는 추가배면판이 연결되어 더 구비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판과 추가배면판에는 배면끼움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에는 상기 배면끼움슬롯과 서로 끼워지는 측면끼움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배면판과 추가배면판이 상기 측면판과 결합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단을 따라서는 장식부가 더 구비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판 또는 상기 배면판과 추가배면판의 적어도 일측단에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판과 추가배면판의 사이에는 전시물이 구비되고 상기 배면판에는 전시물윈도우가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2. 삭제
  13. 하나의 시트를 접어 결합하여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어 휴대 물품의 일측 가장자리가 걸어지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제1배면판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 물품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며 양측 방향으로 걸리는 구조 없이 상방과 그 양측단이 개방되는 개방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 연결되고 바닥에 안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전면부에 상기 바닥판과 반대쪽에서 연결되고 상기 개방수납부의 바닥을 형성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에 상기 전면부와 반대쪽에서 연결되는 제1배면판과, 상기 제1배면판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결되고 상기 바닥판에 결합되는 제2배면판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부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의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판에 결합되는 걸이판을 포함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4. 하나의 시트를 접어 결합하여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어 휴대 물품의 일측 가장자리가 걸어지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제1배면판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 물품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며 양측 방향으로 걸리는 구조 없이 상방과 그 양측단이 개방되는 개방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 연결되고 바닥에 안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상기 전면부와 반대쪽에서 연결되는 제2배면판과, 상기 제2배면판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결되고 상기 바닥판에 결합되는 제1배면판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부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의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판에 결합되는 걸이판을 포함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5. 하나의 시트를 접어 결합하여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어 휴대 물품의 일측 가장자리가 걸어지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제1배면판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 물품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며 양측 방향으로 걸리는 구조 없이 상방과 그 양측단이 개방되는 개방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 연결되고 바닥에 안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전면부에 상기 바닥판과 반대쪽에서 연결되고 상기 개방수납부의 바닥을 형성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에 상기 전면부와 반대쪽에서 연결되는 제1배면판과, 상기 바닥판에 상기 전면부와 반대쪽에서 연결되고 상기 제1배면판과 결합되는 제2배면판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부는 전면판, 상기 전면판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의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판에 결합되는 걸이판을 포함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6. 삭제
  17. 제 13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과 상기 걸이판의 사이에는 상면판이 더 구비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8. 제 13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면판의 상단 양측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상기 제2배면판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측단안내부가 더 구비되어 휴대 물품의 상단 양측을 안내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결합을 위해 상기 바닥판과 제1배면판이나 제2배면판이 결합되는 부분과 상기 제1배면판과 제2배면판이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는 배면걸이편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도조절슬롯이 형성되어 결합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면판, 상기 제2배면판 및 상기 바닥판의 양측단중 적어도 일측에는 연장부가 더 구비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면판에는 전시물윈도우가 형성되고 상기 제1배면판과 제2배면판의 사이에는 전시대가 설치되어 전시물을 지지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장식부가 더 구비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1020130056755A 2013-05-20 2013-05-20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101573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755A KR101573528B1 (ko) 2013-05-20 2013-05-20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755A KR101573528B1 (ko) 2013-05-20 2013-05-20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342A KR20140136342A (ko) 2014-11-28
KR101573528B1 true KR101573528B1 (ko) 2015-12-01

Family

ID=52456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755A KR101573528B1 (ko) 2013-05-20 2013-05-20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5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630Y1 (ko) * 2016-05-23 2016-11-09 권영관 상품 지지부를 구비한 접이식 상품 진열대
KR101668836B1 (ko) * 2016-05-23 2016-11-09 권영관 상품 지지부를 구비한 접이식 상품 진열대
KR101901276B1 (ko) * 2017-01-12 2018-09-28 고문당인쇄(주)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2255370B1 (ko) * 2020-05-22 2021-05-24 김지현 스마트기기용 스탠드
KR20240028140A (ko) * 2022-08-24 202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액세서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9860A (ja) * 2005-05-04 2008-11-20 ロバート パチョウスキー モデルメイキング アンド スペシャル エフェクツ 支持体、平坦な型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63560Y1 (ko) * 2012-04-23 2012-11-13 이윤숙 물품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9860A (ja) * 2005-05-04 2008-11-20 ロバート パチョウスキー モデルメイキング アンド スペシャル エフェクツ 支持体、平坦な型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63560Y1 (ko) * 2012-04-23 2012-11-13 이윤숙 물품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342A (ko) 2014-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3528B1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US10092105B2 (en) Collapsible multi-position modular easel stand
KR101615329B1 (ko) 보조 독서판이 구비된 독서대
US20110026749A1 (en) Fram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70742Y1 (ko) 카드식 스마트폰 거치대
JP3208734U (ja) 収納機能を有する装飾板
KR20140142078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20150019222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200463560Y1 (ko) 물품 거치대
KR102020604B1 (ko) 슬림구조의 접이식 휴대용 독서대
CN202463221U (zh) 一种带支架的书本
KR20150094262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CN211704139U (zh) 一种装饰币盒及装饰币展示装置
KR102174071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TWM490799U (zh) 兼具收納功能的閱讀架
JP3231276U (ja) イーゼル付き缶バッジ
CN203555458U (zh) 一种拼接式搁置架
KR200319633Y1 (ko) 다용도 달력
KR20200109865A (ko) 수납형 받침판 구조를 가지는 독서대
KR20150094252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CN211748411U (zh) 一种展示架
TWM576565U (zh) Adjustable storage structure
KR20190002969U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장치
CN204273671U (zh) 一种多用途置物架
KR20200067429A (ko) 접이식 독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