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262A -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 Google Patents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262A
KR20150094262A KR1020140015327A KR20140015327A KR20150094262A KR 20150094262 A KR20150094262 A KR 20150094262A KR 1020140015327 A KR1020140015327 A KR 1020140015327A KR 20140015327 A KR20140015327 A KR 20140015327A KR 20150094262 A KR20150094262 A KR 20150094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ck plate
portable article
suppor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김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태 filed Critical 김형태
Priority to KR1020140015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4262A/ko
Publication of KR20150094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휴대 물품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부(10), 전면부(12) 그리고 개방수납부(24)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에는 휴대 물품의 배면이 지지되는 전면판(12)이 있고, 상기 전면판(17)의 상단에 소정의 각도를 두고 연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배면판(14)이 있다. 상기 전면판(12)의 하단에서 연장되어서는 바닥판(16)이 있다. 상기 바닥판(20)은 바닥에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 바닥판(16)에 연장되어 상기 전면판(12)의 중간부에 형성된 관통슬릿(24')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연결판(22)이 있다. 상기 고정연결판(22)에는 결합돌기(24)와 하단지지판(26) 그리고 돌출광고판(28)이 차례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면판(12)과 상기 하단지지판(26)의 사이에는 개방수납부(30)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가 바닥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로 방향이나 세로 방향에 관계없이 휴대물품을 안착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휴대 물품의 전면 전체를 볼 수 있도록 받침대가 만들어지고, 상기 받침대의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결합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Folding type supporter for portable instrument}
본 발명은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부의 구성요소들을 접어서 만들어 휴대물품을 지지하도록 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사람들이 휴대하여 사용하는 물품들이 많아 졌다. 사용자가 휴대하여 가지고 다니면서 사용하는 휴대 물품들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다. 예를 들면, 대표적으로 휴대폰이 있고, 개인용 단말기, 지갑, 수첩, 리모콘 등 다양한 휴대 물품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핸드폰, 특히 스마트폰을 접이식 받침대에 안착시키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휴대 물품은 사용자가 몸이나 가방 등에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휴대 물품은 사무실이나 집에서는 사용자가 몸에 휴대하지 않고 책상 등에 놓아두게 되는데, 놓아두는 위치가 일정하지 않게 되면 사용 시마다 휴대 물품을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특히, 나이가 많아 기억력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휴대 물품을 놓아둔 위치를 자주 잊어버리게 된다.
이와 같은 불편한 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휴대 물품을 놓아 둘 수 있는 받침대인 핸드폰 홀더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접는 것이 가능하게 만들어진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접이식으로 핸드폰 홀더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핸드폰 홀더는 내부의 공간으로 핸드폰 등 휴대 물품의 절반정도가 들어가서 외부에서 휴대 물품의 전체가 보이지 않고 일부만이 보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의 핸드폰은 음악을 듣거나 특히 동영상을 보는 용도로도 많이 사용하므로, 핸드폰 홀더에 핸드폰을 놓은 상태에서 핸드폰의 일부가 가려지면 동영상을 볼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최근의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놓는 방향을 달리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화면을 가로방향과 세로방향 등 원하는 방향으로 놓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핸드폰 홀더에서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핸드폰을 놓고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한 점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806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 물품의 전면 전체를 볼 수 있도록 안착시킬 수 있는 접이식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물품을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사용자가 선택하여 안착시킬 수 있는 접이식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이식 받침대를 하나의 시트로 접어서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조립상태가 견고한 접이식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전면부의 상부로 걸이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휴대 물품이 전면으로 낙하되는 것을 차단하는 접이식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방수납부에 휴대물품이 수납되는 것과 상관 없이 항상 광고를 볼 수 있는 접이식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휴대 물품의 배면이 지지되는 제1배면판을 구비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중 상기 제1배면판의 하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 상면에 형성되고 상방과 그 양측단이 걸리는 구조 없이 개방되어 휴대 물품이 가로변이나 세로변으로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개방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와 전면부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차례로 연결되어 있어 하나의 시트를 접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와 전면부를 구성하는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분리되어 구비된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배면판과 상기 제1배면판의 하단에는 바닥에 안착되는 바닥판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연결되고, 상기 바닥판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배면판과 대각선 방향으로 결합되는 고정연결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부는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과 상기 고정연결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전면부의 상면을 형성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게 삽입되는 돌기슬릿이 상기 몸체부의 제1배면판에 형성된다.
상기 제1배면판과 상단에서 연결되어 소정의 각도로 상기 제1배면판과 마주보는 제2배면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배면판의 일측 단부에는 배면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중 어느 일 측에는 상기 배면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제1배면판과 상단에서 연결되어 소정의 각도로 상기 제1배면판과 마주보는 제2배면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배면판에는 바닥에 안착되는 바닥판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연결되고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몸체부의 제1배면판에 형성된 결합슬릿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된다.
상기 전면부는 상기 몸체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하단과 상기 제1배면판을 연결하는 하단연결판과 상기 전면판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면부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에는 상기 몸체부의 제1배면판에 형성된 돌기슬릿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된다.
상기 상판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상판지지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2배면판의 양 측단 중 적어도 일 측에는 연장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전면부의 상부로 걸이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개방수납부에 안착된 휴대 물품이 전면으로 낙하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1배면판의 상단 양측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상기 제2배면판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측단안내편이 더 구비되어 휴대 물품의 가장자리를 안내한다.
상기 몸체부의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장식부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휴대 물품을 지지하는 전면판과 개방수납부를 형성하는 하단지지부가 낮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휴대 물품의 전면 전체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물품이 수납되는 개방수납부가 상부 및 양 단쪽으로 개방되어 있어 휴대 물품을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원하는 대로 안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받침대에 휴대 물품을 다양하게 안착시켜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받침대는 한 장의 시트를 접어서 만들 수 있어 제조자는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자는 휴대하기가 편함과 동시에 조립과 해체가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고정연결판이 대각선 방향에서 삽입되도록 구성되었으므로, 조립이 쉽게 되면서도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돌출광고판이 형성되어 있어 개방수납부에 휴대물품이 수납되는 것과 상관없이 광고가 항상 노출되므로 홍보 효과가 높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배면판과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연장하여 다양한 색상과 외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전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휴대 물품이 세로 방향으로 안착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5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휴대 물품이 가로 방향으로 안착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전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접이식 받침대의 몸체부(10)는 구성요소들을 접어서 만들어진다. 상기 몸체부(10)는 측방향에서 보면 삼각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즉, 상기 몸체부(10)는 제1배면판(12), 제2배면판(14) 그리고 바닥판(16)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된다. 상기 제1배면판(12)과 제2배면판(14)은 각각 그 상단에 서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결되고, 상기 제2배면판(14)의 하단과 상기 바닥판(16)의 일단부도 역시 소정의 각도를 형성한다.
상기 제1배면판(12)은 휴대 물품의 배면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1배면판(12)은 상기 제2배면판(14)에 의해 연결되어 지지된다.
상기 제1배면판(12)의 상단에는 제2배면판(14)이 연결된다. 상기 제2배면판(14)은 상기 제1배면판(12)을 소정 각도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배면판(14)의 형상이나 크기가 상기 제1배면판(12)과 유사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상이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배면판(14)의 양 측단 중 적어도 일 측이 연장되어 상기 제1배면판(12) 크기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제2배면판(14)의 배면 색상이나 형상이 전면에 노출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2배면판(14)의 타 단부에는 결합돌기(15)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게 결합하는 결합슬릿(15')은 아래에 설명될 고정연결판(22)의 일 단부 근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배면판(12)의 상단 양측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상기 제2배면판(14)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측단안내편(도시되지 않음)이 있다. 상기 측단안내편(도시되지 않음)은 상기 제2배면판(14)의 상단 양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배면판(12)에 안착되어 있는 휴대 물품의 상부 양단의 위치를 안내하게 된다. 상기 측단안내편(도시되지 않음)은 상기 제1배면판(12)에 세로로 지지된 휴대 물품이 좌우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배면판(12)에 가로로 지지된 휴대 물품의 상측 가로방향 가장자리를 안내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제1배면판(12)의 하단과 연결되어 바닥판(16)이 있다. 상기 바닥판(16)은 지면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몸체부(10)의 바닥을 형성하며 타 단부에는 고정연결판(28)이 연결된다. 상기 바닥판(16)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장식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배면판(12)과 상기 바닥판(16) 사이에 연결되는 고정연결판(28)이 있다. 상기 고정연결판(28)은 상기 바닥판(16)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배면판(12)의 상기 돌기슬릿(27')을 대각선으로 결합하도록 하여 상기 몸체부(10)를 견고하게 형성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2배면판(14)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배면판(14) 없이 상기 제1배면판(12)과 상기 바닥판(16) 그리고 상기 고정연결판(28)이 서로 소정의 각도로 연결되면서 삼각형상이 형성되고 받침대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연결판(28)의 선단에는 고정돌기(27)가 있다. 상기 고정돌기(27)는 상기 제1배면판(12)에 형성된 돌기슬릿(27')을 관통하여 받침대의 최선단에 돌출되게 되고 전면부(20)의 상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전면부(20)에는 전면판(22)이 있다. 상기 전면판(22)은 상기 몸체부(10)의 선단부, 즉 상기 제1배면판(12)의 전방에 위치한다. 상기 전면판(22)은 상기 고정돌기(27)와 양 측면의 일부만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대략 직각되게 절곡되어 있다. 상기 전면판(22)은 지면에 대해서 상기 제1배면판(12)과 거의 같은 각도를 가진다.
상기 전면판(22)에는 선단에 걸이편(24)이 있다. 상기 걸이편(24)은 상기 전면부(20)의 상부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걸이편(24)에 의해 아래에 설명될 개방수납부(30)에 안착되는 휴대 물품의 대응되는 가장자리가 걸어져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걸이편(24)은 개방수납부(30)를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전면판(22)과 상기 걸이편(24)이 형성하는 공간을 돌출광고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방수납부(30)에 휴대물품의 수납 여부에 상관없이 항상 노출되는 공간이므로 상기 돌출광고판에는 소정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예를 들면 받침대를 제공하는 자의 광고이다. 상기 정보는 상식, 생활정보 등 다양한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돌출광고판의 형상은 원형으로 형성하였으나 다각형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면부(20)는 상기 제1배면판(12)의 일부와 함께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되고, 횡단면이 사각형으로 된다. 이와 같은 전면부(20)의 상면에는 개방수납부(30)가 형성된다.
상기 개방수납부(30)는 휴대 물품이 가로 방향이나 세로 방향에 관계없이 안착되는 공간이다. 상기 개방수납부(30)는 상기 고정돌기(27)와 상기 걸이편(24) 및 상기 제1배면판(12)의 하단부가 협력하여 형성한다. 상기 개방수납부(30)는 좌우 양측으로는 개방되어 가로방향으로 놓여지는 휴대 물품이 그 가로방향의 길이에 상관없이 안착될 수 있다.
한편 도 4와 도 5에는 상기 개방수납부(30)에 휴대 물품 중 스마트폰을 수납한 상태가 도시 되어 있다. 상기 걸이편(24)은 개방수납부(30)의 일측 내면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상기 제1배면판(12)은 상기 걸이편(24)에 의해 하단 일부가 가려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노출된다.
먼저, 도 4에는 상기 개방수납부(30)의 제1배면판(12)에 스마트폰의 배면이 지지되도록 하고 걸이편(24)에 스마트폰의 하측 변이 지지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이 세워진 경우에 스마트폰의 하단 일부만이 상기 걸이편(24)에 걸어지므로 화면 전체를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5에는 스마트폰을 가로로 놓고 사용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개방수납부(30)에서 상기 제1배면판(12)과 걸이편(24)의 양단에 걸리는 구조가 없이 되어 있으므로 스마트폰을 가로로 놓는 것에 제한이 없다. 스마트폰이 가로로 놓인 경우 에 스마트폰의 하단 일부만이 상기 걸이편(24)에 걸어지므로 화면 전체를 전면에서 볼 수 있게 된다.
도 6에서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의 설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와 대응되는 구성에 100단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6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접이식 받침대의 몸체부(110)는 구성요소들을 접어서 만들어진다. 상기 몸체부(110)는 측방향에서 보면 삼각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즉, 상기 몸체부(110)는 제1배면판(112), 제2배면판(114) 그리고 바닥판(116)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된다. 상기 제1배면판(112)과 제2배면판(114)은 각각 그 상단에 서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결되고, 상기 제2배면판(114)의 하단과 상기 바닥판(116)의 일단부도 역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결된다.
상기 제1배면판(112)은 휴대 물품의 배면이 지지되는 부분이며 상단이 하단에 비해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배면판(114)은 상기 제1배면판(112)을 소정 각도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배면판(112)에는 돌기슬릿(127')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돌기슬릿(127')이 상기 제1배면판(112)의 폭방향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슬릿(127')에는 고정돌기(127)가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110)에 아래에서 설명될 전면부(120)가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제1배면판(112)의 하단에는 하단연결판(118)이 있다. 상기 하단연결판(118)은 아래에서 설명될 전면부(120)와 상기 제1배면판(112)이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결합돌기(117)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해준다.
상기 제1배면판(112)의 상단에는 제2배면판(114)이 연결된다. 상기 제2배면판(114)은 상기 제1배면판(112)을 소정 각도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배면판(114)의 형상이나 크기가 상기 제1배면판(112)과 유사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상이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배면판(114)의 양 측단 중 적어도 일 측에 연장되어 상기 제1배면판(112) 크기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제2배면판(114)의 배면 색상이나 형상이 전면에 노출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배면판(112)의 상단 양측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상기 제2배면판(114)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측단안내편(도시되지 않음)이 있다. 상기 측단안내편(도시되지 않음)은 상기 제2배면판(114)의 상단 양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배면판(112)에 안착되어 있는 휴대 물품의 상부 양단의 위치를 안내하게 된다. 상기 측단안내편(도시되지 않음)은 상기 제1배면판(112)에 세로로 지지된 휴대 물품이 좌우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배면판(112)에 가로로 지지된 휴대 물품의 상측 가로방향 가장자리를 안내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제2배면판(112)의 하단과 연결되어 바닥판(116)이 있다. 상기 바닥판(116)은 지면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몸체부(110)의 바닥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바닥판(116)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장식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116)의 선단에는 결합돌기(117)가 있다. 상기 결합돌기(117)는 상기 제1배면판(112)에 형성된 상기 결합슬릿(117')에 삽입되어 견고한 받침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 선단에는 전면부(120)가 있다. 상기 전면부(220)는 받침대의 최선단에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개방수납부(13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전면부(120)에는 전면판(122)이 있다. 상기 전면판(222)은 상기 하단연결판(118)의 선단부, 즉 상기 제1배면판(112)의 반대쪽에 연결된다. 상기 전면판(122)은 상기 바닥판(116)에서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전면판(122)은 지면에 대해서 상기 제1배면판(112)과 거의 같은 각도를 가진다.
상기 전면판(122)에는 선단에 걸이편(124)이 있다. 상기 걸이편(124)은 상기 전면부(120)의 상부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걸이편(124)에 의해 개방수납부(130)에 안착되는 휴대 물품의 대응되는 가장자리가 걸어져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걸이편(124)은 개방수납부(130)를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전면판(122)과 상기 걸이편(124)이 형성하는 공간을 돌출광고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방수납부(130)에 휴대물품의 수납 여부에 상관없이 항상 노출되는 공간이므로 돌출광고판에는 소정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예를 들면 받침대를 제공하는 자의 광고이다. 상기 정보는 상식, 생활정보 등 다양한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돌출광고판의 형상은 원형으로 형성하였으나 다각형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판(122)의 상단에는 상판(126)이 있다. 상기 상판(126)은 상기 전면부(120)의 상면을 형성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상판(126)은 아래에서 설명될 개방수납부(130)의 바닥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상판(126)에서 연장되어서 고정돌기(127)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27)는 상기 돌기슬릿(127')에 삽입되어 전면부(120)가 형성되면서 제1배면판(112)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돌기(127)와 함께 상기 상판(126)에서 연장되어서는 상판지지부(128)가 있다. 상기 상판지지부(128)는 상기 상판(126)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돌기(127)가 형성되고 남은 부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127)를 상기 상판지지부(128)가 둘러싸고 있는 형상인데, 상기 고정돌기(127)와 상판지지부(128)는 각각 상판(126)과만 연결되고, 고정돌기(127)와 상판지지부(128)사이는 절개되어 분리되어 있다. 상기 상판지지부(128)는 상기 상판(126)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판지지부(128)의 선단은 상기 하단연결판(118)상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면부(120)는 상기 제1배면판(112)의 일부와 함께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되고, 횡단면이 사각형으로 된다. 이와 같은 전면부(120)의 상면에는 개방수납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개방수납부(130)는 휴대 물품이 가로 방향이나 세로 방향에 관계없이 안착되는 공간이다. 상기 개방수납부(130)는 상기 상판(126)과 상기 걸이편(124) 및 상기 제1배면판(112)의 하단부가 협력하여 형성한다. 상기 개방수납부(130)는 좌우 양측으로는 개방되어 가로방향으로 놓여지는 휴대 물품이 그 가로방향의 길이에 상관없이 안착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의 실시례들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경우에 몸체부(10)를 접어서 받침대를 만드는 것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된 한 장의 시트 상태로 사용자에게 받침대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몸체부(10)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서로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접어서 측면에서 볼 때 삼각형상으로 만든다.
상기 바닥판(16)을 상기 제1배면판(12)의 후방으로 소정 각도로 절곡하고, 다시 상기 고정연결판(28)을 절곡하여 상기 고정연결판(28)의 선단에 있는 고정돌기(27)와 전면판(22)이 상기 제1배면판(12)의 돌기슬릿(27')에 삽입되도록 하여 결합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1배면판(12)과 상기 바닥판(16) 그리고 상기 고정연결판(28)이 삼각형상을 이루면서 몸체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돌기슬릿(27')을 관통한 고정돌기(27)는 상기 개방수납부(30)의 하단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판(22)은 받침대의 최선단으로 돌출되면서 바닥을 향해 접어지게 되고 상단에 돌기편(24)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2배면판(14)을 상기 제1배면판(12)의 반대 방향으로 접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면서 단부에 구비된 배면결합돌기(15)를 상기 고정연결판(28)에 형성된 결합슬릿(15')에 결합하면 조립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받침대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물품인 스마트폰을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먼저, 도 5에는 상기 개방수납부(30)의 전면판(12)에 스마트폰의 배면이 지지되도록 하고 걸이편(24)에 스마트폰의 하측 변이 지지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이 세워진 경우에 스마트폰의 하단 일부만이 상기 걸이편(24)에 걸어지므로 화면 전체를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5에는 스마트폰을 가로로 놓고 사용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개방수납부(30)에서 상기 제1배면판(12)과 걸이편(24)의 양단에 걸리는 구조가 없이 되어 있으므로 스마트폰을 가로로 놓는 것에 제한이 없다. 스마트폰이 가로로 놓인 경우 에 스마트폰의 하단 일부만이 상기 걸이편(24)에 걸어지므로 화면 전체를 전면에서 볼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실시례의 경우에 몸체부(110)를 접어서 받침대를 만드는 것을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된 한 장의 시트 상태로 사용자에게 받침대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몸체부(110)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서로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접어서 측면에서 볼 때 삼각형상으로 만든다. 상기 제1배면판(112)의 하단에서 하단연결판(118)과 상기 전면판(122)을 상기 제1배면판(112)의 전방으로 직각되게 절곡하고, 다시 상판(126)을 상기 제1배면판(112) 쪽으로 절곡하여 상기 상판(126)의 선단에 있는 고정돌기(127)가 상기 제1배면판(112)의 돌기슬릿(127')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전면판(122)은 받침대의 최선단으로 돌출되면서 상단에 걸이편(124)을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2배면판(114)과 바닥판(116)을 상기 제1배면판(112)의 반대 방향으로 삼각형상으로 절곡하고 상기 바닥판(116)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17)를 상기 제1배면판(122)에 형성된 결합슬릿(117')에 결합하면 조립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받침대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물품인 스마트폰을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바닥판(16)의 크기가 상기 전면판(12)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바닥판(16)의 가장자리를 따라 장식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장식부는 다양한 형상을 가지고 그 표면에 무늬 등을 가져 받침대를 장식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실시례에서 돌출광고판의 형상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다각형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몇 개의 실시례들을 보여주고 있는데, 비록 도면으로 도시되지 않고 설명이 없을지라도 특정한 실시례를 구성하는 일부 구성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실시례로 만들 수도 있다.
10: 몸체부 12: 제1배면판
14: 제2배면판 16: 바닥판
17: 결합돌기 17': 결합슬릿
20: 전면부 22: 전면판
24: 걸이편 27: 고정돌기
27': 돌기슬릿 28: 고정연결판
30: 개방수납부 110: 몸체부
112: 제1배면판 114: 제2배면판
115: 결합돌기 115': 결합슬릿
116: 바닥판 120: 전면부
122: 전면판 124: 걸이편
127: 고정돌기 127': 돌기슬릿
128: 고정연결판 130: 개방수납부

Claims (13)

  1. 휴대 물품의 배면이 지지되는 제1배면판을 구비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중 상기 제1배면판의 하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 상면에 형성되고 상방과 그 양측단이 걸리는 구조 없이 개방되어 휴대 물품이 가로변이나 세로변으로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개방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전면부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차례로 연결되어 있어 하나의 시트를 접어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전면부를 구성하는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분리되어 구비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4. 제 2 항과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1배면판과 상기 제1배면판의 하단에는 바닥에 안착되는 바닥판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연결되고, 상기 바닥판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배면판과 대각선 방향으로 결합되는 고정연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과 상기 고정연결판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전면부의 상면을 형성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게 삽입되는 돌기슬릿이 상기 몸체부의 제1배면판에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면판과 상단에서 연결되어 소정의 각도로 상기 제1배면판과 마주보는 제2배면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배면판의 일측 단부에는 배면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중 어느 일 측에는 상기 배면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슬릿이 형성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7. 제 2 항과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제1배면판과 상단에서 연결되어 소정의 각도로 상기 제1배면판과 마주보는 제2배면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배면판에는 바닥에 안착되는 바닥판이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연결되고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몸체부의 제1배면판에 형성된 결합슬릿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상기 몸체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의 하단과 상기 제1배면판을 연결하는 하단연결판과 상기 전면판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면부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에는 상기 몸체부의 제1배면판에 형성된 돌기슬릿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구비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상판지지부가 더 구비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0. 제 1 항에서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면판의 양 측단 중 적어도 일 측에는 연장부가 더 구비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의 상부로 걸이편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개방수납부에 안착된 휴대 물품이 전면으로 낙하되는 것을 차단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면판의 상단 양측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상기 제2배면판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측단안내편이 더 구비되어 휴대 물품의 가장자리를 안내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바닥판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장식부가 더 구비되는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1020140015327A 2014-02-11 2014-02-11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20150094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327A KR20150094262A (ko) 2014-02-11 2014-02-11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327A KR20150094262A (ko) 2014-02-11 2014-02-11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262A true KR20150094262A (ko) 2015-08-19

Family

ID=54057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327A KR20150094262A (ko) 2014-02-11 2014-02-11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42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26329A1 (en) Collapsible stand for suppor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757375B2 (en) Support for a tablet computer with a function of receiving bag
CN107588307B (zh) 可折叠多位模块化支架
US20130075280A1 (en) Combination cover and stand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130320173A1 (en) Robot Mobile Phone Jacket Support Frame
KR101573528B1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200474403Y1 (ko) 거치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용 카드지갑
US20110026749A1 (en) Fram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70742Y1 (ko) 카드식 스마트폰 거치대
JP3208734U (ja) 収納機能を有する装飾板
KR20150094258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20150094262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KR20140142078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US20150098185A1 (en) Foldable Structure for Portable Devices
KR200479083Y1 (ko) 카드형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20130001044U (ko) 탁상용 캘린더
KR101059432B1 (ko) 접이식 거울
KR20150019222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JP6201169B1 (ja) 折り畳み式スタンドミラー
JP3103884U (ja) アルバム兼用写真立て
JP3231276U (ja) イーゼル付き缶バッジ
KR101190666B1 (ko)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및 거치 방법
JP4746721B1 (ja) 壁掛具および壁掛展示具
KR20160071981A (ko) 모바일 장치 종이 거치대 만드는 도면
KR20150094252A (ko) 휴대 물품용 접이식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