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2873A - 가전 기기,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및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가전 기기,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및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2873A
KR20150092873A KR1020140013455A KR20140013455A KR20150092873A KR 20150092873 A KR20150092873 A KR 20150092873A KR 1020140013455 A KR1020140013455 A KR 1020140013455A KR 20140013455 A KR20140013455 A KR 20140013455A KR 20150092873 A KR20150092873 A KR 20150092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access point
home appliance
authentication ke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8295B1 (ko
Inventor
양희경
김세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40013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295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20155321.1A priority patent/EP3672148B1/en
Priority to CN202010081135.0A priority patent/CN111277474B/zh
Priority to CN201580018500.0A priority patent/CN106165341B/zh
Priority to JP2016550649A priority patent/JP6698027B2/ja
Priority to US15/117,438 priority patent/US10598784B2/en
Priority to PCT/KR2015/000847 priority patent/WO2015119394A1/ko
Priority to EP15746422.3A priority patent/EP3104549B1/en
Publication of KR20150092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873A/ko
Priority to US16/745,497 priority patent/US1113394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295B1/ko
Priority to US17/301,883 priority patent/US1158865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01S17/32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waves, whether amplitude-, frequency-, or phase-modulated, or unmodulated
    • G01S17/3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continuous waves, whether amplitude-, frequency-, or phase-modulated, or unmodulated with phase comparison between the received signal and the contemporaneously transmitted sign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93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7/931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91Details of non-pulse systems
    • G01S7/4912Receivers
    • G01S7/4915Time delay measurement, e.g. operational details for pixel components; Phase measur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99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using polarisation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8Authentication using credential vaults, e.g. password manager applications or one time password [OTP]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및 가전 기기에 대한 것으로 네트워크 연결 방법은 제1 단말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인증키를 입력받고 상기 인증키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가 상기 인증키를 검증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와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연결되고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식별 번호 및 상기 인증키를 전송하는 가전 기기 연결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가 상기 식별 번호 및 상기 인증키를 기초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전 기기,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및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Home appliance, a network-connection system for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connection of home appliance to a network}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및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설정과 관련된 장치에 대한 것이다.
가전 기기(home appliance)란 일반적으로 댁내에서 사용되는 전자 제품을 의미한다. 가전 기기는 냉장고, 세탁기, 텔레비전, 라디오, 오디오, 청소기, 공조 장치, 오븐, 스마트 TV, 디지털 카메라, 가정용 컴퓨터 또는 노트북 외 댁내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근자에 가전 기기는 마이크로 제어 유닛(MCU, micro control unit)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세서를 내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 제어 유닛은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램(RAM, random access memory)이나 롬(ROM, read only memory) 등의 저장 장치 및 각종 포트 등의 각종 모듈을 하나의 칩으로 구현하나 제어 장치를 의미한다. 가전 기기는 이와 같은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수령한 지시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전 기기를 스마트 장치 또는 스마트 기기라고 칭하기도 한다. 스마트 장치 또는 스마트 기기는 기능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당 부분 기능을 변경 및 확장 가능한 장치 및 기기를 의미한다.
사용자가 간편하면서도 오류없이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할 수 있는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및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및 가전 기기가 제공된다.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은, 단말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인증키를 입력받고 상기 단말 장치 또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가 상기 인증키를 검사하여 인증하는 단계, 가전 기기가 상기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는 단계, 상기 가전 기기와 상기 단말 장치가 상호 연결되고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식별 번호 및 상기 인증된 인증키를 상기 가전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식별 번호 및 상기 인증키를 기초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상기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기 위한 조작 방법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된 가전 기기를 탐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와 상기 단말 장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 가능할 수 있다.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와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은,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연결된 후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통하여 서버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은,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서버 장치에 접속하면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가전 기기를 상기 단말 장치와 관련된 사용자 계정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인증키가 상기 단말 장치에 저장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인증키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인증키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인증키가 인증될 때까지 상기 인증키를 반복해서 입력받아 검사할 수 있다.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 또는 상기 가전 기기가 서버 장치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smart phone), 셀룰러폰(cellular phone), 태블릿 피씨(tablet PC), 스마트 TV, 디지털 카메라, 개인용 디지털 보조장치(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ler) 및 휴대용 게임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는 냉장고, 세탁기, 텔레비전, 라디오, 오디오, 청소기, 공조 장치, 가정용 컴퓨터, 오븐, 스마트 TV, 디지털 카메라 및 노트북 컴퓨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액세스 포인트 장치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연결을 시도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연결되면 저장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통해 서버 장치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 장치에 접속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 접속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 접속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식별 번호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인증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서버 장치 접속 정보를 더 수신할 수도 있다.
가전 기기는,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기 위한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은,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인증키를 입력받는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호 연결되고, 상기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식별 번호 및 상기 인증키를 전송받고, 상기 식별 번호 및 상기 인증키를 기초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단말 장치 또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상기 인증키를 검사하여 인증할 수 있다.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은,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상기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기 위한 조작 방법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된 가전 기기를 탐색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와 상기 단말 장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연결된 후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통하여 접속하는 서버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가전 기기가 접속하면 상기 가전 기기를 상기 단말 장치와 관련된 사용자 계정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장치 또는 상기 가전 기기는 상기 서버 장치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인증키가 상기 단말 장치에 저장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인증키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인증키를 검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인증키가 인증될 때까지 상기 인증키를 반복해서 입력받아 검사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장치는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 셀룰러폰, 태블릿 피씨, 스마트 TV, 디지털 카메라, 개인용 디지털 보조장치, 원격 제어 장치 및 및 휴대용 게임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는 냉장고, 세탁기, 텔레비전, 라디오, 오디오, 오븐, 스마트 TV, 디지털 카메라, 청소기, 공조 장치, 가정용 컴퓨터 및 노트북 컴퓨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및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는 간편하게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술한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가전 기기의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하여 가전 기기가 안정적으로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접속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해 가전 기기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검증 및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가전 기기 사용의 안전성이 개선되는 효과도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네트워크 연결이 설정된 가전 기기를 보다 쉽게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할 수 있게 되는 장점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외부 단말 장치에 가전 기기 설정 방법이 표시되는 과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가전 기기 설정 도중 외부 단말 장치에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선택 순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가전 기기 설정 도중 외부 단말 장치에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외부 단말 장치에 가전 기기 설정 방법이 표시되는 과정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9는 가전 기기 설정 도중 단말 장치에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1 단말 장치와 통신을 하게 될 가전 기기를 제1 단말 장치에 등록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가전 기기와 액세스 포인트 장치가 서로 연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가전 기기 설정 도중 단말 장치에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2 단말 장치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제2 단말 장치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외부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복수의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6 내지 도 19는 복수의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에 있어서 외부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단말기(10), 서버 장치(20), 액세스 포인트 장치(30) 및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40, 4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0), 서버 장치(20) 및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장치(20)와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기(10)와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는 서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40, 40a)는 제1 단말기(10) 또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는 서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네트워크는 도선과 같은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유선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매체로는 장하 케이블, 동축 케이블 또는 광섬유 케이블 등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케이블 등과 같은 매체 없이 전파를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다양한 방식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구축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 및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ooth™) 방식,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 무선 하트(WirelessHART) 통신 방식, 근접장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 와이파이(Wi-Fi) 방식,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통신 방식, GSM/3GPP 계열의 통신 방식(GSM, HSDPA, LTE 어드밴스드), 3GPP2 계열의 통신 방식(CDMA 등) 또는 와이맥스 계열의 통신 방식(와이브로 등)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인증키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10)가 입력받는 인증키는 문자, 숫자 및 각종 기호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일련의 번호일 수 있다. 일련의 번호는 비밀번호일 수 있다. 또한 인증키는 공인인증서와 같은 전자 정보일 수도 있다. 제1 단말 장치(10)는 필요에 따라서 입력받은 인증키를 검사하여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 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인증키가 사전에 입력되었던 인증키와 일치하거나 또는 미리 정의된 값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입력받은 인증키가 정확한지 인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제1 단말 장치(10)는 인증키의 인증이 완료될 때까지 인증키를 사용자로부터 반복해서 입력받을 수도 있다.
제1 단말 장치(10)는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smart phone), 셀룰러폰(cellular phone), 태블릿 피씨(tablet PC), 스마트 TV, 디지털 카메라, 개인용 디지털 보조장치(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원격 제어 장치(리모콘, remote controller) 및 휴대용 게임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 단말 장치(10)는 소정의 유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의 다른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단말 장치(10)는 이와 같은 통신을 위하여 통신 모듈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의 경우 안테나 및 무선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유선 통신의 경우 유선 통신용 케이블 및 유선 통신용 케이블이 장착되는 랜카드(LAN car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 장치(10)는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실리콘 칩에 산술 논리 연산기, 레지스터, 프로그램 카운터, 명령 디코더나 제어 회로 등이 설치되어 있는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소정의 프로세서는 제1 단말 장치의 하우징에 내장된 소정의 인쇄 회로 기판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표시부는 액정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을 이용하여 제작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는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서 가전 기기(40, 40a)와 액세스 포인트 장치(10) 사이의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등이 문자,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전 기기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은 제2 단말 장치(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말 장치(11)는 제1 단말 장치(10)와 동종의 단말 장치일 수도 있고, 이종의 단말 장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 장치(10)는 스마트폰이고 제2 단말 장치(11)는 태블릿 피씨일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10)의 사용자와 제2 단말 장치(20)의 사용자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서버 장치(20)는 제1 단말 장치(10) 및 제2 단말 장치(1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고, 수신받은 데이터를 기초로 연산, 판단 및 처리 등을 수행한 후 연산, 판단 또는 처리 등의 기능 수행 결과를 제1 단말 장치(10) 및 제2 단말 장치(11)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 장치(20)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서버 장치(20)는 복수의 컴퓨팅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컴퓨팅 장치는 각각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 장치(30, WAP appartus, wireless access point apparatus)는 다양한 무선 장치들을 유선 장치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가리킨다.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는 유선 통신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는 슬롯을 구비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서버 장치(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와 연결된 라우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는 제1 단말 장치(10) 및 제2 단말 장치(11)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가전 기기(40, 40a)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위해서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의 무선 통신 모듈은 안테나 및 무선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는 IEEE 802.11 표준 등 다양한 통신 표준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는 와이파이(WiFi) 기술, 근거리 장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블루투스TM 등 다양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는 무선 통신의 보안을 위해서 다양한 암호화 방법을 이용하여 패킷을 암호화한 후 암호화된 패킷을 외부로 전송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는 외부의 단말 장치 등으로부터 인증키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인증키가 정확한 경우 외부의 단말 장치 등이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는 가전기기(40, 40a)로부터 인증키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인증키가 미리 저장된 인증키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전달받은 인증키가 미리 저장된 인증키와 일치하는 경우 가전기기(40, 40a)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와 연결되도록 허가할 수 있다. 가전기기(40, 40a)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30)가 연결을 허가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를 통하여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인증키는 문자, 숫자 및 각종 기호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일련의 번호일 수 있다. 일련의 번호는 비밀번호일 수 있다. 또한 인증키는 공인인증서와 같은 전자 정보일 수도 있다.
가전 기기(40, 40a)는 제1 단말기(10), 제2 단말기(11) 및 액세스 포인트 장치(3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 및 가전 기기(40, 40a)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유선 통신 모듈일 수도 있고, 무선 통신 모듈일 수도 있다. 통신 모듈은 유선 통신의 경우 유선 통신용 케이블 및 유선 통신용 케이블이 장착되는 랜카드(LAN card)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의 경우 안테나 및 무선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 기술, 근거리 장 무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TM 등 다양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제1 단말기(10), 제2 단말기(11) 및 액세스 포인트 장치(3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기기(40, 40a)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기술을 이용하여 제1 단말기(10) 또는 제2 단말기(11)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제어 유닛 등의 각종 처리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제1 단말 장치(10)로부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의 식별 번호 및 인증키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 장치(30)에 접속을 시도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가전 기기(40, 40a)는 필요에 따라서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및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지시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부는 액정디스플레이, 발광다이오드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 등을 이용하여 구현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표시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가전 기기(40, 40a)에 직접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가전 기기와 연결된 외부의 장치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가전 기기와 연결된 외부의 장치는 원격제어장치인 리모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가전 기기를 액세스 포인트 연결 모드에 진입시키는 지시를 입력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가전 기기(40, 40a)는 터치스크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부는 화상을 표시하면서 동시에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지시를 입력받을 수 있어 상술한 표시부 및 입력부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가전 기기(40, 40a)는 냉장고, 세탁기, 텔레비전, 라디오, 오디오, 청소기, 에어컨 등의 공조 장치, 오븐,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 TV, 가정용 컴퓨터 또는 노트북 외 다양한 종류의 전자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제1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의 일부인 외부 단말 장치에 가전 기기 설정 방법이 표시되는 과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3 및 도 4는 가전 기기 설정 도중 외부 단말 장치에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는 서버 장치(20)가 세 개의 서버 장치(21 내지 23)를 포함하는 일례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서버 장치(20)는 하나 또는 둘일 수도 있고, 넷 이상일 수도 있다. 이는 시스템 설계자의 임의적 선택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도 2의 제1 서버 장치(21)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도면에서는 앱으로 표현함)이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저장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 연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그래밍된 것일 수 있다. 제1 서버 장치(21)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파일을 저장하고, 제1 단말 장치(10)의 요청에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또는 업데이트 파일을 제1 단말 장치(10) 또는 제2 단말 장치(11)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서버 장치(22)는 사용자의 네트워크 설정 권한을 처리하기 위한 권한 처리 서버일 수 있다. 제3 서버 장치(23)는 가전 기기의 원격 제어 등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는 서버 장치로서, 해당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의 계정을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은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가 등록한 가전 기기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댁 내에 있지 않더라도 댁 외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3 서버 장치(23)에 접속하여 사용자 계정에 등록된 가전 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1 단말 장치(10)는 가전 기기(40)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와 연결되어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도록 먼저 제1 서버 장치(21)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전송받을 수 있다(s100). 만약 제1 단말 장치(10)에 애플리케이션이 이미 설치된 상태인 경우, 이 단계(s10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만약 제1 단말 장치(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갱신이 필요한 경우, 제1 서버 장치(21)로부터 제1 단말 장치(10)로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 파일이 전송될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10)는 제1 서버 장치(21)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전송받아 설치하거나 또는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 파일을 전송받아 설치하고,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s101).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1 단말 장치(10)는 제3 서버 장치(23)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제1 단말 장치(10)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제3 서버 장치(23)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제3 서버 장치(23)에 전송할 수 있다(s102). 만일 제3 서버 장치(23)에 등록된 사용자 계정이 없다면 제3 서버 장치(23)는 사용자 계정 등록을 위해 가입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미 등록된 사용자 계정이 있다는 전제로 설명한다. 사용자 인증 정보는 사용자 식별 번호(ID, identification number) 및 인증용 비밀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식별 번호 및 인증용 비밀 번호는 기호, 문자 및 숫자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사용자 식별 번호는 이메일 주소, 주민등록번호 및 휴대폰 번호 등 개인 식별이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표식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제1 단말 장치(10)는 표시부에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식별 번호 및 인증용 비밀 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창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제1 단말 장치(10)는 사용자 식별 번호 및 인증용 비밀 번호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사용자 인증 정보는 제3 서버 장치(23)로 전송되기 전에 보안을 위하여 암호화될 수 있다.
제3 서버 장치(23)는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인증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서버 장치(23)는 암호화된 인증 정보를 해석하고 해석된 인증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등록된 사용자 계정으로 접속하게 되고, 제3 서버 장치(23)는 가전 기기(40)의 네트워크 설정 권한과 관련된 제1 액세스 토큰을 제1 단말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인증이 실패하면 제3 서버 장치(23)는 사용자 인증 실패 정보를 제1 단말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단말 장치(10)는 사용자 인증 실패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인증 실패 메시지를 표시부 등에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제1 단말 장치(10)는 사용자 인증 실패 메시지를 사운드로 출력할 수도 있다.
제1 단말 장치(10)는 제1 액세스 토큰을 수신하면 제1 액세스 토큰을 제2 서버 장치(22)에 전송하여 가전 기기(40)로 접속할 권한을 요청할 수 있다(s104). 제2 서버 장치(22)는 제1 액세스 토큰의 무결성을 위하여 수신한 제1 액세스 토큰을 제3 서버 장치(23)에 전송하고(s105) 제3 서버 장치(23)는 사용자 인증 결과 등 제1 액세스 토큰의 무결성을 위한 정보를 제2 서버 장치(22)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서버 장치(22)는 제1 액세스 토큰의 무결성이 입증되면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설정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결정하고(s107) 결정 결과를 제1 단말 장치(s108)로 전송할 수 있다(s108).
제1 단말 장치(10)는 이와 같은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화면(l)을 표시할 수 있다. 소정의 화면(l)의 일부에는 인증과 관련된 각종 처리를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또는 동영상(l1)이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단말 장치(10)는 사운드 등을 출력하여 이와 같은 인증 과정이 수행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다.
제2 서버 장치(22)로부터 결정 결과를 수신하면, 제1 단말 장치(10)는 가전 기기가 접속될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말 장치(10)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의 결정 및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의 인증키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창(a)을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입력창(a)에는 보안 설정(a1)이나 신호 세기(a4) 등과 같은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를 표시하기 위한 각종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입력창(a)에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a3),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인증키를 입력받는 인증키 입력 구역(a5), 인증키 전송 등 다음 단계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지시를 입력받는 확인 버튼(a6) 및 취소 버튼(a7)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만약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 장치(30)가 존재하는 경우, 제1 단말 장치(10)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 연결 순위를 기초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 장치(30) 중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를 결정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 장치 연결 순위는 다양한 기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장치 연결 순위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와 제1 단말 장치(10) 사이의 접속 기간, 액세스 포인트 장치(30) 및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40, 40a) 사이의 접속 기간, 제1 단말 장치(1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40, 40a)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에 접속한 접속 시각 및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의 전파 강도 및 사용자의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선택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도 5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선택 순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 장치(1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40, 40a)가 현재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 제1 단말 장치(1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40, 40a)가 가장 최근에 접속된 액세스 포인트 장치, 가장 신호 세기가 강한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사용자가 선택한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순으로 선택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단말 장치(10)는 현재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30)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현재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현재 연결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30)가 부재한 경우, 제1 단말 장치(10)는 접속 기록을 열람하여 가장 최근에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 장치(30)가 있는지 확인하고, 최근에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 장치(30)가 존재하는 경우 최근에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로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최근에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 장치(3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단말 장치(10)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 장치(30) 중 가장 신호 세기가 강한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도 액세스 포인트 장치(30)가 결정되지 않는 경우, 제1 단말 장치(10)는 표시부에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의 선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액세스 포인트 장치(30) 선택에 관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선택 순위에 무관하게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를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제1 단말 장치(10)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를 선택하는 목적은 가전기기(40, 40a)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와 통신할 수 있도록 연결하여 해당 가전기기(40, 40a)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를 통하여 제3 서버 장치(23)에 접속하도록 하고, 제 3 서버 장치(23)는 해당 가전기기(40, 40a)를 사용자 계정에 등록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단말 장치(10)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에 연결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증 정보를 가전 기기(40, 40a)에 전송하며 가전 기기(40, 40a)는 수신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전기기(40, 40a)를 직접 조작하여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에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 장치(30)가 결정되면 사용자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에 대한 인증키를 제1 단말 장치(10)의 인증키 입력 구역(a5)를 통해 입력하고(s111), 제1 단말 장치(10)는 입력된 인증키를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에 전송할 수 있다(s112).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는 수신한 인증키를 검증하여 인증키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에 저장된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의 인증키와 일치하는지 검증할 수 있다(s113).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는 인증키를 검증한 후 검증 결과를 제1 단말 장치(s114)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수신한 인증키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의 인증키와 일치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는 수신한 인증키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의 인증키와 일치한다는 정보를 제1 단말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한 인증키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의 인증키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는 수신한 인증키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의 인증키와 불일치한다는 정보를 제1 단말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10)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거나 과거에 연결되었던 적이 있는 경우에는, 제1 단말 장치(10) 내부에 설치된 메모리 장치 등에 해당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의 인증키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입력한 인증키가 정확한 값인지 판단하는 절차를 제1 단말 장치(10)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제1 단말 장치(10)에 선택한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에 연결하기 위한 인증키가 입력되면, 제1 단말 장치(10)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생성하여 메모리 장치 등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네트워크 설정 정보는 추후 가전기기(40, 40a)로 전송되어 해당 가전기기(40, 40a)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설정 정보는 제3 서버 장치(23)에 등록된 사용자 계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가전기기(40, 40a)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를 통해 제3 서버 장치(23)에 접속하고 네트워크 설정 정보의 등록된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계정에 해당 가전기기(40, 40a)가 등록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한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에 관한 인증키가 정확한 값인지 판단하는 과정은 중요하다. 만약 부정확한 인증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생성하여 가전 기기(40, 40a)에 전달한 경우, 가전 기기(40, 40a)가 이와 같은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에 연결을 시도하면 부정확한 인증키로 인해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에 대한 연결이 실패할 수 있다. 가전 기기(40, 40a)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에 대한 연결이 실패한 경우, 사용자가 실패에 관한 정보를 피드백 받기 까지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고 또한 사용자는 또 다시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를 선택하고 인증키를 입력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단말 장치(10)는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에 관한 인증키가 정확한 경우에만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생성하기 때문에 가전 기기(40, 40a)로 전송하게 되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는 오류가 존재하지 않고, 따라서 네트워크 및 액세스 포인트 장치(30) 등에 이상이 없는 한 가전 기기(40, 40a)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에 연결될 때 실패할 염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가전 기기 설정 도중 외부 단말 장치에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단말 장치(10)는 인증키가 일치한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정 관련 화면(b, c)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s200). 예를 들어 제1 단말 장치(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 기기(40, 40a)를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에 연결시키기 위한 방법 등을 설명하기 위한 각종 정보(b1)를 표시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설정 방법과 관련된 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로 표현될 수 있다. 사용자 제1 단말 장치(10)의 화면(b)에 표시되는 바를 참조하여 가전 기기(40, 40a)가 제1 단말 장치(10) 또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가전 기기(40, 40a)에 마련된 버튼, 터치스크린 또는 노브(knob) 등의 설정 수단을 조작하여 제1 단말 장치(10) 또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제1 단말 장치(10)가 터치스크린이 설치된 장치인 경우, 제1 단말 장치(10)는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차기 내용 표시 버튼(b2)을 더 표시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 제1 단말 장치(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 기기(40, 40a)를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에 연결하는 방법에 대한 텍스트 정보(c1)를 표시할 수 있다. 텍스트 정보(c1)는 예를 들어 가전 기기(40, 40a)의 표시부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터치스크린의 특정 구역(c2)을 터치하는 경우 가전 기기(40, 40a)의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10)는 텍스트 정보(c1)뿐만 아니라 가전 기기(40, 40a)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c3)를 함께 표시하여 사용자의 이해의 편의를 도모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단말 장치(10)는 인증키와 불일치한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오류 메시지 및 인증키를 다시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외부 단말 장치에 가전 기기 설정 방법이 표시되는 과정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은 네트워크 연결을 하고자 하는 복수의 가전 기기(40, 40a) 중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40)를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에 접속될 가전 기기로 선택하기 위한 단계(s120, s121)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제1 단말 장치(10)에서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면(s101), 사용자 인증 정보가 제3 서버 장치(23)로 전송되고(s102), 제3 서버 장치(23)는 제1 단말 장치(10)로 제1 액세스 토큰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는 제1 액세스 토큰을 제2 서버 장치(22)로 전송하여 가전 기기(40, 40a)의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s104 내지 s108).
도 9는 가전 기기 설정 도중 단말 장치에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제1 단말 장치(10)가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확보하면, 제1 단말 장치(10)는 제1 단말 장치(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 기기를 선택할 수 있는 기기 선택 화면(e)을 표시할 수 있다(s120). 제1 단말 장치(10)의 기기 선택 화면(e)에는 복수의 가전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를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접속될 가전 기기로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수단, 일례로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10)의 표시부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선택 수단은 터치 조작이 가능한 복수의 선택 버튼(e1 내지 e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선택 버튼(e1 내지 e3)은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하고자 하는 가전 기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가전 기기의 외형을 형상화한 이미지로 구현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1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가전 기기에 대응하는 복수의 선택 버튼(e1 내지 e3)를 표시할 수 있다. 미리 저장된 복수의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는 시스템 설계자가 애플리케이션 내에 미리 설정해놓은 것일 수도 있고, 상응하는 가전 기기로부터 전송된 것일 수도 있고, 별도의 서버 장치로부터 전송된 것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것일 수도 있다. 기기 선택 화면(e)은 사용자가 제1 단말 장치(10)에 등록할 가능성이 높은 대표적인 가전 기기, 일례로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청소로봇, 오븐 또는 텔레비전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이들에 상응하는 선택 버튼(e1 내지 e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기기 선택 화면(e)에는 복수의 가전 기기에 대응하는 선택 버튼(e1 내지 e3)이 표시된 일례에 대해 도시되어 있으나, 만약 제1 단말 장치(100)가 오직 하나의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만을 저장하고 있다면 도 9의 선택 화면(e)에는 오직 하나의 가전 기기에 대응하는 선택 버튼만이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복수의 선택 버튼(e1 내지 e3) 중 적어도 하나를 터치 조작하여 복수의 가전 기기 중 선택된 선택 수단(e1 내지 e3)에 대응하는 가전 기기(40, 40a)를 선택할 수 있다(s121). 가전 기기(40, 40a)가 선택되면 가전 기기(40, 40a)가 접속할 액세스 포인트 장치(30)가 선택될 수 있다(s122).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는 제1 단말 장치(10)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 장치(30)가 선택되면 사용자는 제1 단말 장치(10)에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의 인증키를 입력할 수 있다(s123).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의 선택 및 결정 단계(s122) 및 인증키 입력 단계(s123)는 도 2의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의 결정 단계(s110) 및 인증키 입력 단계(s111)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10)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의 인증키를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로 전송하고(s112),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는 인증키를 검증하고(s113) 검증 결과를 제1 단말 장치(s114)로 전송하며, 제1 단말 장치(s114)는 인증키가 올바른 인증키라는 검증 결과를 수신하면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설정 관련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200). 제1 단말 장치에서 인증키를 전송하는 단계 내지 설정 관련 화면 표시 단계(s112 내지 s200)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이하 사용자가 가전 기기 이미지(e1 내지 e3)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1 단말 장치(10)에 해당 가전 기기를 등록하는 경우를 일례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단말 장치(10)의 화면에 표시된 가전 기기 이미지(e1 내지 e3) 중에서 하나의 가전 기기, 일례로 에어컨의 이미지(e2)를 선택하면, 제1 단말 장치(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프로그래밍된 작동 절차에 따라, 에어컨이 제1 단말 장치(10)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에어컨을 조작하는 매뉴얼을 제1 단말 장치(1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에어컨 등의 가전 기기(40)가 제1 단말 장치(10)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블루투스, 근거리 장 무선 통신 등의 무선 통신이 이용될 수 있는데, 가전 기기(40)가 항상 네트워크 통신을 준비하고 있는 것이 아니므로, 가전 기기별로 이러한 네트워크 통신을 준비하도록 하는 조작 방법은 각각 다를 수 있다. 가전 기기가 외부 장치와 네트워크 통신할 수 있도록 준비된 상태를 편의상 AP 모드 상태로 명명한다. 가전 기기와 제1 단말 장치(10)가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기 위해선 가전 기기(40)가 제1 단말 장치(10)와 네트워크 통신을 연결하려는 가전 기기가 AP 모드 상태에 있고, 제1 단말 장치(10)도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의 무선통신 모듈을 가동 상태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가전기기 선택 화면 표시 단계(S130)에서 사용자가 에어컨 이미지(e2)를 선택한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을 AP 모드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자가 에어컨을 어떻게 조작해야 하는지에 대한 매뉴얼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10)에 표시된 매뉴얼대로 사용자가 에어컨을 조작하면, 에어컨은 AP 모드로 변환된다. 아울러 사용자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 기기 등록을 위해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명령 입력부(b2)를 선택하면, 제1 단말 장치(1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 무선통신 모듈을 가동하여 주위에 AP 모드 상태에 있는 가전 기기를 검색하기 시작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제1 단말 장치(10)에서 검색된 에어컨을 선택하면 비로소 제1 단말 장치(10)와 에어컨이 서로 네트워크 통신 가능하도록 페어링(pairing)될 수 있다.(추가부분 종료)
도 10은 제1 단말 장치와 통신을 하게 될 가전 기기를 제1 단말 장치에 등록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은 기기 등록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은 제1 단말 장치(10)에 네트워크 연결이 설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에 접속될 가전 기기로 저장하기 위한 단계(s130, s131)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0의 애플리케이션 동작 개시 단계 내지 결정 결과 전송 단계(s101 내지 단계 s108)는 도 2 및 도 8을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 장치(10)가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설정 권한을 획득한 경우, 제1 단말 장치(1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 기기 선택 화면(e)을 표시할 수 있다(s130). 가전 기기 선택 화면(e)은 가전 기기 추가를 위한 추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10)의 표시부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가전 기기 추가 수단은 터치 조작이 가능한 추가 버튼(e4)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버튼(e4)은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하고자 하는 가전 기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플러스(+) 기호 등의 이미지로 구현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단말 장치(10)의 가전 기기 선택 화면(e)에 표시된 이미지 중에서 등록하고자 하는 가전 기기의 이미지를 선택할 수도 있고, 가전 기기 선택 화면(e)에 표시된 이미지 중에 등록하고자 하는 가전 기기의 이미지가 없다면 추가 버튼(e4)을 조작하여 기기 추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s131).
가전 기기(40)의 통신 모듈은 제1 단말 장치(10)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동되고, 가전 기기(40)와 제1 단말 장치(10)는 각각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s134). 이 경우 가전 기기(40)와 제1 단말 장치(1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방식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가전 기기(40)와 제1 단말 장치(10)가 서로 연결되면 가전 기기(40)는 제1 단말 장치(10)로 기기 등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전 기기(40)는 제1 단말 장치(10)로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34). 가전 기기에 대한 정보는 가전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번호는 가전 기기(40)의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 가전 기기(40)의 인터넷 프로트콜 주소(IP address, internet protocol adderess) 및 가전 기기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10)는 가전 기기(4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정보를 저장하여 가전 기기(40)를 등록할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10)는 등록된 가전 기기(40)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선택 화면(e)에 선택 버튼(e1 내지 e3)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제1 단말 장치(10)는 기기 등록 결정 및 등록에 대한 정보를 가전 기기(40)로 전송할 수 있다. 가전 기기(40)는 등록 결정 및 등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등록 결정 및 등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1 단말 장치(10)가 가전 기기(40)를 외부에서 제어하려고 하는 경우, 가전 기기(40)는 수신한 등록 결정 및 등록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1 단말 장치(10)에 대한 제어의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11은 가전 기기와 액세스 포인트 장치가 서로 연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단말 장치(10)가 설정 관련 화면을 표시(s200)하는 경우, 가전 기기(40)는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설정 화면을 표시하고(s201), 가전 기기(40)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연결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연결 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s202).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전 기기(40)는 물리 버튼이나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부를 통해서 액세스 포인트 연결 모드 시작 지시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전 기기(40)는 근거리 장 무선 통신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는 리모컨을 통해서 사용자로부터 액세스 포인트 연결 모드 시작 지시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전 기기(40)의 물리 버튼이나 터치스크린을 조작하거나 또는 가전 기기(40)의 리모콘을 조작하여 가전 기기(40)가 액세스 포인트 연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 연결 모드가 개시되면 가전 기기(40)는 소정의 설정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전 기기(40)는 제1 단말 장치(1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 연결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가전 기기(40)가 액세스 포인트 연결 모드를 개시하면 가전 기기(40) 및 제1 단말 장치(10)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s204, s203). 여기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방식을 이용한 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다. 가전 기기(40) 및 제1 단말 장치(10)가 유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면(s205), 제1 단말 장치(10)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의 식별 번호 및 인증키를 가전 기기(40)로 전달할 수 있다(s210).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의 식별 번호는 제1 단말 장치(10)에 미리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의 인증키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것을 수 있으며(도 2의 s111) 제1 단말 장치(10)가 자체적으로 검증을 하였으므로(도 2의 s113) 정확한 값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단말 장치(10)는 고유의 식별 번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유의 식별 번호는 가전 기기(40)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에 접속하는 경우 일회성으로 사용되는 임시 식별 번호일 수도 있다. 제1 단말 장치(10)에서 가전 기기(40)로 전달되는 정보는 암호화되어 가전 기기(40)로 전달될 수도 있다. 가전 기기(40)는 전달받은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의 식별 번호 및 인증키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에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s211). 예를 들어 가전 기기(40)는 와이파이나 근거리 장 통신 방식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에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가전 기기(40)는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의 식별 번호 및 인증키를 가전 기기(40)에 내장된 저장 장치에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디스크 저장 장치 및 반도체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전 기기(40)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의 식별 번호 및 검증된 인증키를 액세스 포인트 장치(30) 장치로 전송함에 따라, 가전 기기(40)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와 실패없이 연결에 성공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는 가전 기기(40)로 연결 성공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12). 가전 기기(40)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와의 연결이 성공하면,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를 통하여 제3 서버 장치(23)로 가전 기기(40)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20). 가전 기기(40)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연결에 성공함과 동시에 제3 서버 장치(23)로 접속할 수 있는 이유는, 가전 기기(40)에 내장된 마이크로 제어 유닛(MCU, micro controlling unit) 등에 이미 프로그래밍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가전 기기(40)가 최초로 인터넷 망에 접속을 성공할 때 접속할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가 이미 가전 기기(40)의 마이크로 제어 유닛에 프로그래밍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가전 기기(40)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와 연결되면 가전 기기(40)는 인터넷 망에 접속했음을 판단하고 지정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이용하여 제3 서버 장치(23)로 접속하게 된다.
제3 서버 장치(23)는 가전 기기(4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가전 기기(40)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계정에 가전 기기를 등록할 수 있다(s220a). 사용자 계정은 제3 서버 장치(23)에 미리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제3 서버 장치(23)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계정은 제1 단말 장치(10) 또는 제2 단말 장치(11)와 관련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3 서버 장치(23)에 저장된 사용자 계정은 제1 단말 장치(10) 등의 일련번호마다 부여된 것일 수 있다. 사용자 계정은 사용자가 제3 서버 장치(23)에 접속하여 생성한 것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단말 장치(10)가 제3 서버 장치(23)에 접속하여 제1 액세스 토큰을 수신하였고(S103) 제1 단말 장치(10)가 가전 기기(40)에 액세스 포인트 장치(40)의 식별번호 및 인증키를 전송(S210)할 때 상기 제1 액세스 토큰을 가전 기기(40)에 전송해 주었기 때문에, 가전 기기(40)는 수신한 제1 액세스 토큰을 이용해 제3 서버 장치(23)에 등록된 사용자 계정으로 자동 접속하고, 제3 서버 장치(23)는 가전 기기(40)를 제1 단말 장치(10)의 사용자 계정에 등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단말 장치(10)가 제3 서버 장치(23)에 접속하여 사용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저장하였다가 제1 단말 장치(10)가 가전 기기(40)에 액세스 포인트 장치(40)의 식별번호 및 인증키를 전송(S210)할 때,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함께 가전 기기(40)에 전송함으로써, 가전 기기(40)가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이용해 제3 서버 장치(23)에 등록된 사용자 계정으로 자동 접속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는 사용자 식별 번호(ID, identification number) 및 인증용 비밀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서버 장치(23)의 사용자 계정에 가전 기기(40)가 등록되면, 제3 서버 장치(23)는 사용자 계정에 가전 기기(40)가 등록되었다는 정보를 제1 단말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 기기의 등록 완료 표시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3 서버 장치(23)는 가전 기기(40)의 등록 결과를 가전 기기(40)로 전송할 수도 있다(s221). 가전 기기(40)는 등록 결과를 수신하고 등록 결과 수신에 응하여 제2 액세스 토큰을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제3 서버 장치(23)로 전송할 수 있다. 제3 서버 장치(23)는 가전 기기(40)의 요청 신호에 응하여 가전 기기(40)의 네트워크 연결의 접속 권한과 관련된 제2 액세스 토큰을 가전 기기(40)로 전송할 수 있다(s223). 실시예에 따라서 제3 서버 장치(23)가 아닌 다른 서버 장치(21, 22)가 제2 액세스 토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액세스 토큰을 가전 기기(40) 등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제2 액세스 토큰 요청 신호 수신 및 전송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장치에 의해서 수행될 수도 있다. 가전 기기(40)에서 제3 서버 장치(23)로 전송되는 각종 데이터 및 제3 서버 장치(23)에서 가전 기기(40)로 전달되는 각종 데이터는 전송되기 전에 암호화된 후 전송될 수 있다. 제2 액세스 토큰의 수신에 따라서 가전 기기(40)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를 통하여 외부 망에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가전 기기 설정 도중 단말 장치에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전 기기(40)가 외부 망에 연결된 경우 가전 기기(40)는 제1 단말 장치(10)로 외부 망 연결 성공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10)는 외부 망 연결 성공에 대한 정보 수신에 응하여 표시부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완료와 관련된 화면(d)을 표시할 수 있다. 연결 완료와 관련된 화면(d)은 연결 완료 메시지(d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단말 장치(10)는 가전 기기(40)로 테스트 수행 요청을 위한 테스트 수행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230). 가전 기기는 테스트 수행 요청 신호에 응하여 네트워크 연결 여부, 네트워크 연결의 안정성 및 네트워크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s231). 테스트 결정 결과는 제1 단말 장치(10)로 송신될 수 있다(s232).
가전 기기(40)는 이상 상술한 방법과 같인 가전 기기(40)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에 접속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가 종료된 경우, 가전 기기(40)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를 통하여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240). 이 경우 가전 기기(40)는 제2 액세스 토큰에 따라서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제1 단말 장치와 상이한 제2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제2 단말 장치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단말 장치(10)와 상이한 제2 단말 장치(11)를 이용하여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전 기기(40)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s320). 가전 기기(40)는 제1 단말 장치(10) 및 제2 단말 장치(1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인증키 및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의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의 접속 권한을 획득한 후, 획득한 접속 권한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와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2 단말 장치(11)를 이용하여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위하여 제2 단말 장치(11)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s300). 애플리케이션은 제1 서버 장치(21)로부터 수신 및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2 단말 장치(11)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제3 서버 장치(23)로 전송할 수 있다(s301). 사용자 인증 정보는 사용자 식별 번호 및 인증용 비밀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정보는 상술한 단계 s102에서 제1 단말 장치(10)에서 전송된 인증 정보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제2 단말 장치(11)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식별 번호 및 인증용 비밀 번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단말 장치(11)는 표시부에 사용자 식별 번호 및 인증용 비밀 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창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제2 단말 장치(11)는 사용자 식별 번호 및 인증용 비밀 번호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사용자 인증 정보는 제3 서버 장치(23)로 전송되기 전에 보안을 위하여 암호화될 수도 있다. 제3 서버 장치(23)는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인증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가전 기기(40)의 네트워크 설정 권한과 관련된 제1 액세스 토큰을 제2 단말 장치(11)로 전송할 수 있다(s302).
제2 단말 장치(11)는 제1 액세스 토큰을 수신하면 제2 서버 장치(22)에 사용자 정보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s303). 사용자 정보는 가전 기기(40)의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 및 권한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액세스 토큰을 제2 서버 장치(22)에 전송하여 가전 기기(40)로 접속할 권한을 요청할 수 있다. 제2 서버 장치(22)는 사용자 정보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정보 전송 요청 신호에 응하여 사용자 정보를 제2 단말 장치(11)로 전송할 수 있다(s304).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면 제2 단말 장치(11)는 제2 단말 장치(11)의 표시부에 설정 관련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s310).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 장치(11)는 별도로 액세스 포인트 장치(40)에 대한 인증키를 입력받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 회 인증키를 이용하여 인증한 후에는 별도의 인증키 입력 단계없이 간단하게 가전 기기(40)를 네트워크에 연결시킬 수 있다.
설정 관련 화면이 표시된 후(s310), 제2 단말 장치(11)는 제2 액세스 토큰 전송 요청 신호를 제3 서버 장치(23)에 전송할 수 있다(s311). 실시예에 따라서 제2 단말 장치(11)는 제3 서버 장치(23)가 아닌 다른 서버(21, 22)로 제2 액세스 토큰을 요청할 수도 있다. 제3 서버 장치(23)는 제2 액세스 토큰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액세스 토큰 전송 신호 요청에 응하여 제2 액세스 토큰을 가전 기기(40)로 전송할 수 있다(s312). 이 경우 제2 액세스 토큰은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를 통하여 가전 기기(40)로 전송될 수 있다. 가전 기기(40)는 제2 액세스 토큰을 수신하고, 수신한 제2 액세스 토큰에 따라서 외부의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가전 기기(40)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에 접속하고 접속한 액세스 포인트 장치(30)를 통하여 외부의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4는 제2 단말 장치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외부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 단말 장치(11)가 제2 서버 장치(22)와 통신을 수행(s303 및 s304)하거나 또는 가전 기기(40)의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경우, 제2 단말 장치(11)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증 화면(f)을 표시할 수 있다. 인증 화면(f1)은 제2 단말 장치(11)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설정 관련 화면일 수 있다. 인증 화면(f)은 권한 인증을 위해 사용자가 필요한 행동에 대한 설명을 표시하는 표시창(f1)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창(f1)은 차기 단계의 진행 및 취소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지시를 입력받기 위해서 확인 버튼(f2) 및 취소 버튼(f3)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5 내지 도 19을 참조하여 복수의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복수의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6 내지 도 19는 복수의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에 있어서 외부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에 의하면 먼저 제1 단말 장치(10)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데이터 생성 화면(g)을 표시할 수 있다. 그룹 데이터 생성 화면(g)은 복수의 가전 기기를 그룹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그룹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화면이다. 그룹 데이터 생성 화면(g)은 복수의 가전 기기를 나타내는 선택 수단(g1 내지 g3)을 포함할 수 있다(s400). 아울러 그룹 데이터 생성 화면(g)은 새로운 가전 기기를 추가하기 위한 추가 수단(g4), 가전 기기의 그룹화를 위한 그룹 데이터 생성 수단(g5) 및 생성된 그룹 데이터를 호출하기 위한 집단 호출 수단(g6)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 수단(g1 내지 g3), 추가 수단(g4), 그룹 데이터 생성 수단(g5) 및 집단 호출 수단(g6)은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그 기능을 알 수 있는 소정의 이미지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10)가 터치스크린에 그룹 데이터 생성 화면(g)을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는 그룹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그룹 데이터 생성 수단(g5)을 터치 조작하여 그룹 데이터의 생성을 개시할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10)는 그룹 데이터 생성 수단(g5)의 터치 조작에 응하여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 기기 선택 화면(gg)을 표시할 수 있다. 가전 기기 선택 화면(gg)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가전 기기 선택 화면(gg)에 표시된 복수의 선택 수단(g1 내지 g3) 중 적어도 하나를 터치 조작함으로써 복수의 가전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s410).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전 기기(g2, g3)와 선택되지 않은 다른 가전 기기(g1)를 식별할 수 있도록, 가전 기기(g2, g3)에 특유의 표식(g21, g31)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 기기(g2, g3) 주변에 점선 등의 표식(g21, g31)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전 기기(g2, g3)와 선택되지 않은 다른 가전 기기(g1)를 식별하기 위하여 선택된 가전 기기(g2, g3)의 색상이 변경되거나 또는 가전 기기(g2, g3)가 깜빡이는 것과 같은 애니메이션 효과가 더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g2, g3)가 선택되면, 제1 단말 장치(1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를 그룹화하여(s420),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를 포함하는 그룹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430). 제1 단말 장치(10)는 그룹 데이터가 생성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데이터 생성 화면(g)에 생성된 그룹 데이터에 대응하는 그룹 데이터 선택 수단(g7)을 화면에 더 표시할 수 있다. 그룹 데이터 선택 수단(g7)은 소정의 이미지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그룹 데이터 선택 수단(g7)은 복수의 가전 기기의 그룹이라는 것을 나타낼 수 있도록 폴더 이미지로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가전 기기(40, 40a)의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를 포함하는 그룹 데이터 선택 수단(g7) 또는 집단 호출 수단(g6)을 터치 조작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40, 40a)를 선택한 후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40, 40a)의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그룹 데이터를 선택하고 그룹 데이터 내의 모든 가전 기기 또는 일부의 가전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s400). 사용자가 그룹 데이터 선택 수단(g7) 또는 집단 호출 수단(g6)을 터치 조작하면 제1 단말 장치(1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g8, g9)을 나타내는 화상이 표시될 수 있는 그룹선택창(g8)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그룹선택창(g8)에서 일부의 가전 기기(g9)를 선택하거나 또는 모든 가전 기기(g9, g10)를 선택하여 그룹 데이터 내의 모든 가전 기기 또는 일부의 가전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가전 기기(40, 40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 장치(30)와 연결되고(s450), 외부 망에 접속될 수 있다(s460).
10 : 제1 단말기 11: 제2 단말기
20 : 서버 장치 30 : 액세스 포인트 장치
40, 40a : 가전 기기

Claims (29)

  1. 단말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인증키를 입력받고 상기 단말 장치 또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가 상기 인증키를 검사하여 인증하는 단계;
    가전 기기가 상기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는 단계;
    상기 가전 기기와 상기 단말 장치가 상호 연결되고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식별 번호 및 상기 인증된 인증키를 상기 가전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식별 번호 및 상기 인증키를 기초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상기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기 위한 조작 방법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 네트워크 연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된 가전 기기를 탐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 네트워크 연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와 상기 단말 장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가전 기기 네트워크 연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와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연결된 후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통하여 서버 장치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서버 장치에 접속하면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가전 기기를 상기 단말 장치와 관련된 사용자 계정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 네트워크 연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인증키가 상기 단말 장치에 저장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인증키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인증키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인증키가 인증될 때까지 상기 인증키를 반복해서 입력받아 검사하는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 또는 상기 가전 기기가 서버 장치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smart phone), 셀룰러폰(cellular phone), 태블릿 피씨(tablet PC), 스마트 TV, 디지털 카메라, 개인용 디지털 보조장치(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ler) 및 휴대용 게임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는 냉장고, 세탁기, 텔레비전, 라디오, 오디오, 청소기, 공조 장치, 가정용 컴퓨터, 오븐, 스마트 TV, 디지털 카메라 및 노트북 컴퓨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13.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액세스 포인트 장치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연결을 시도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연결되면 저장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통해 서버 장치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 장치에 접속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가전 기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 접속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 접속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식별 번호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인증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서버 장치 접속 정보를 더 수신하는 가전 기기.
  17. 제13항에 있어서,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기 위한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
  18.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인증키를 입력받는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호 연결되고, 상기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식별 번호 및 상기 인증키를 전송받고, 상기 식별 번호 및 상기 인증키를 기초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전 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 장치 또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상기 인증키를 검사하여 인증하는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상기 단말 장치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기 위한 조작 방법을 표시하는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통신 가능한 상태로 설정된 가전 기기를 탐색하는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와 상기 단말 장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와 연결되는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연결된 후 상기 가전 기기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통하여 접속하는 서버 장치;를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가전 기기가 접속하면 상기 가전 기기를 상기 단말 장치와 관련된 사용자 계정에 등록하는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 또는 상기 가전 기기는 상기 서버 장치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인증키가 상기 단말 장치에 저장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의 인증키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인증키를 검사하는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인증키가 인증될 때까지 상기 인증키를 반복해서 입력받아 검사하는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2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 셀룰러폰, 태블릿 피씨, 스마트 TV, 디지털 카메라, 개인용 디지털 보조장치, 원격 제어 장치 및 및 휴대용 게임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2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 기기는 냉장고, 세탁기, 텔레비전, 라디오, 오디오, 오븐, 스마트 TV, 디지털 카메라, 청소기, 공조 장치, 가정용 컴퓨터 및 노트북 컴퓨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KR1020140013455A 2014-02-06 2014-02-06 가전 기기,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및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KR102218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455A KR102218295B1 (ko) 2014-02-06 2014-02-06 가전 기기,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및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CN202010081135.0A CN111277474B (zh) 2014-02-06 2015-01-27 家用电器、家用电器的网络连接***和家用电器的网络连接方法
CN201580018500.0A CN106165341B (zh) 2014-02-06 2015-01-27 家用电器、家用电器的网络连接***和家用电器的网络连接方法
JP2016550649A JP6698027B2 (ja) 2014-02-06 2015-01-27 家電機器、家電機器のネットワーク連結システム及び家電機器のネットワーク連結方法
EP20155321.1A EP3672148B1 (en) 2014-02-06 2015-01-27 Home appliance,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home appliance and network connection method of home appliance
US15/117,438 US10598784B2 (en) 2014-02-06 2015-01-27 Home appliance,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home appliance and network connection method of home appliance
PCT/KR2015/000847 WO2015119394A1 (ko) 2014-02-06 2015-01-27 가전 기기,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및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EP15746422.3A EP3104549B1 (en) 2014-02-06 2015-01-27 Home appliance,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home appliance and network connection method of home appliance
US16/745,497 US11133944B2 (en) 2014-02-06 2020-01-17 Home appliance,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home appliance and network connection method of home appliance
US17/301,883 US11588655B2 (en) 2014-02-06 2021-04-16 Home appliance,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home appliance and network connection method of home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455A KR102218295B1 (ko) 2014-02-06 2014-02-06 가전 기기,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및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873A true KR20150092873A (ko) 2015-08-17
KR102218295B1 KR102218295B1 (ko) 2021-02-22

Family

ID=53778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455A KR102218295B1 (ko) 2014-02-06 2014-02-06 가전 기기,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및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0598784B2 (ko)
EP (2) EP3104549B1 (ko)
JP (1) JP6698027B2 (ko)
KR (1) KR102218295B1 (ko)
CN (2) CN106165341B (ko)
WO (1) WO2015119394A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870B1 (ko) * 2015-08-26 2016-08-0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와이-파이 기능을 가진 전자기기와 댁내 무선 공유기 사이의 연결 안내방법
WO2017126809A1 (ko) * 2016-01-22 2017-07-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70091397A (ko) * 2016-02-01 2017-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KR20180004801A (ko) * 2015-08-28 2018-01-12 시아오미 아이엔씨. 사용자 기기 제어 권한 확정 방법, 장치 및 단말 기기
WO2018151518A1 (ko) * 2017-02-20 2018-08-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통신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36926A (ko) * 2017-09-28 2019-04-05 주식회사 경동원 홈 네트워크 장치 및 홈 네트워크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WO2019151661A1 (ko) * 2018-02-02 2019-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WO2019182309A1 (ko) * 2018-03-20 2019-09-26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및 서버
US10477599B2 (en) 2017-02-27 2019-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wireless router and device connected thereto
WO2020138686A1 (ko) * 2018-12-26 2020-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 단말 장치 및 이의 무선 연결 방법
CN112333060A (zh) * 2020-10-21 2021-02-05 金羚电器有限公司 一种混合配网方法及***
US11032619B2 (en) 2017-01-17 2021-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3154623A (zh) * 2021-04-15 2021-07-23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智能空调的设备操作方法、装置及空调器
US11096112B2 (en) 2017-12-05 2021-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setting up network of external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11201863B2 (en) 2016-10-14 2021-12-14 Samsun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anaging compan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WO2023018075A1 (ko) * 2021-08-13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전 기기 및 가전 기기의 정보 출력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2111B2 (ja) 2014-06-24 2019-03-27 グーグル エルエルシー コンテンツアイテムの記憶
US9843929B2 (en) * 2015-08-21 2017-12-12 Afer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WiFi security data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
US9503969B1 (en) * 2015-08-25 2016-11-22 Afer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 dynamic scan interval for a wireless device
US10091242B2 (en) 2015-12-14 2018-10-02 Afero, Inc.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secondary communication channel to control an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US10447784B2 (en) 2015-12-14 2019-10-15 Afer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odifying packet interval timing to identify a data transfer condition
US10805344B2 (en) 2015-12-14 2020-10-13 Afer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obscuring wireless communication patterns
US9742581B2 (en) 2015-12-18 2017-08-22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network with messaging
KR102405646B1 (ko) * 2015-12-28 2022-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통신 방법 및 이동 단말기의 통신 방법
US10051142B1 (en) * 2016-05-20 2018-08-14 Google Llc Adaptive display of image capacity for a camera
US10523635B2 (en) * 2016-06-17 2019-12-31 Assured Information Security, Inc. Filtering outbound network traffic
JP6657025B2 (ja) * 2016-06-17 2020-03-04 シャープ株式会社 操作者推定システム
KR20180059207A (ko) 2016-11-25 2018-06-04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무선 연결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CN106686754B (zh) * 2016-12-06 2020-03-20 厦门中控智慧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交互方法及数据交互***
US10891342B2 (en) 2017-01-12 2021-01-12 Google Llc Content data determination, transmission and storage for local devices
JP6290469B1 (ja) * 2017-02-10 2018-03-07 株式会社リクルートホールディングス 作動制御システム及び作動制御方法
CN107018049A (zh) * 2017-03-09 2017-08-0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家电设备配网方法、装置和***
CN106990894B (zh) * 2017-03-21 2020-08-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智能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US10361858B2 (en) * 2017-04-07 2019-07-23 Hushmesh Inc. Residence-based digital identity and strong authentication system
CN106993303A (zh) * 2017-04-11 2017-07-28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配置以及维保智能wifi设备的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BR112019021659A2 (pt) * 2017-04-21 2020-05-12 Danfoss A/S Sistema de controle para controlar um sistema de resfriamento
CN107071863A (zh) * 2017-05-02 2017-08-18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家电配网方法、家电和用户端
JP6556187B2 (ja) * 2017-05-19 2019-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記憶媒体、携帯端末の制御方法、及び携帯端末
US10602046B2 (en) * 2017-07-11 2020-03-24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DE102017119589A1 (de) * 2017-08-25 2019-02-28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Haushaltsgerätes mit einem drahtlosen Heimnetzwerk
US10182329B1 (en) * 2017-08-30 2019-01-15 Amazon Technologies, Inc. Quarantine network for wireless devices
CN111094859A (zh) * 2017-09-20 2020-05-01 夏普株式会社 空气清净机以及网络***
CN107726547A (zh) * 2017-10-24 2018-02-23 杭州古北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wifi通信的空调遥控装置及其控制方法和电子设备
CN109765790A (zh) * 2017-11-09 2019-05-17 北京君正集成电路股份有限公司 设备的控制显示方法和装置
CN110945877B (zh) 2018-03-02 2022-10-25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设备管理***以及设备管理方法
JP6694461B2 (ja) * 2018-03-14 2020-05-13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接続ルータ判定方法、および、機器制御システム
KR101980039B1 (ko) * 2018-03-26 2019-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자동 등록 시스템 및 방법
DE102018107773A1 (de) * 2018-04-03 2019-10-10 Miele & Cie. Kg Selektion von Meldungsempfängern bei vernetzten Haushaltsgeräten
US11233647B1 (en) 2018-04-13 2022-01-25 Hushmesh Inc. Digital identity authentication system
KR20200014029A (ko) * 2018-07-31 2020-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가전제품의 페어링을 설정하는 온라인 시스템
JP6680318B2 (ja) * 2018-08-09 2020-04-1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機通信システム、空調機通信システムの接続確認方法、無線lanアダプタ、及び、空調機通信システムの接続確認プログラム
JP7136632B2 (ja) * 2018-08-31 2022-09-13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遠隔操作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9640326B (zh) * 2018-11-16 2022-01-14 深圳绿米联创科技有限公司 权限管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9600252B (zh) * 2018-11-21 2021-11-1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设备配网方法、装置和家电设备
WO2020202439A1 (ja) * 2019-04-01 2020-10-08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端末装置、空調機操作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空気調和機
JP7281370B2 (ja) * 2019-08-30 2023-05-2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家電システム及び家電機器
CN112543447A (zh) 2019-09-19 2021-03-23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通讯录的设备发现方法、音视频通信方法及电子设备
WO2021110263A1 (en) * 2019-12-04 2021-06-10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Method of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and control system
CN113783759A (zh) 2020-06-09 2021-12-1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家电设备及其配网方法、控制终端、计算机存储介质
US11438745B2 (en) * 2020-06-25 2022-09-0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Household appliance provisioning
CN112039740B (zh) * 2020-09-01 2021-12-10 宁波向往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家用设备连接控制***及方法
CN114268931A (zh) * 2020-09-14 2022-04-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IoT设备的管理方法及终端
CN114915511B (zh) * 2021-02-08 2023-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分体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CN113365271A (zh) * 2021-04-22 2021-09-07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智能空调的安全连接配网绑定方法、装置及空调器
CN115540231A (zh) * 2021-06-29 2022-12-30 佛山市顺德区美的电子科技有限公司 空调器安全防护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CN113595824B (zh) * 2021-07-27 2022-12-02 深圳信息通信研究院 Wi-Fi物联网设备配网可靠性的测试方法与可读存储介质
CN116600414A (zh) * 2023-04-24 2023-08-15 深圳云视智景科技有限公司 一种网络连接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46837A1 (en) * 2002-11-29 2006-07-06 Freebit Co., Ltd. Server for routing connection to client device
JP2008004975A (ja) * 2006-06-20 2008-01-10 Mitsubishi Electric Corp 情報端末及び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WO2013015656A2 (en) * 2011-07-27 2013-01-31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and online system including the same
EP2611079A1 (en) * 2011-12-28 2013-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Network system of home appliance and network setup method of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93093C (zh) 2000-12-25 2008-06-04 广东科龙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无线应用协议通讯的智能家居控制方法
JP3888130B2 (ja) 2001-11-01 2007-02-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無線ネットワークのステーション
CZ2005209A3 (cs) * 2002-09-10 2005-12-14 Ivi Smart Technologies, Inc. Bezpečné biometrické ověření identity
CN1685689B (zh) * 2002-09-30 2012-12-2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控制家庭终端的装置、通信方法和通信***
JP4480346B2 (ja) 2003-05-29 2010-06-16 エヌ・ティ・ティ・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機器用セキュリティ確保方法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情報機器用セキュリティ確保プログラム
KR100610317B1 (ko) * 2004-01-06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들에 대한 인증 장치 및 방법
KR100680177B1 (ko) 2004-12-30 200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외부에서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
CN1838591B (zh) 2005-03-21 2010-05-0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用于无线网络的自动安全认证***及方法
US8532304B2 (en) * 2005-04-04 2013-09-10 Nokia Corporation Administration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CN2891500Y (zh) 2006-03-12 2007-04-18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网络家电***
CN101282253B (zh) * 2007-04-06 2011-12-28 幸琳 一种电视机的网络连接方法及装置
JP5278017B2 (ja) 2009-02-10 2013-09-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接続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1004424A (ja) 2010-09-06 2011-01-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制御装置用プログラム
CN103190130A (zh) * 2010-11-05 2013-07-0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向设备提供秘密值的注册服务器、网关装置和方法
KR101835640B1 (ko) * 2011-03-10 2018-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연결 인증 방법, 그에 따른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에 따른 통신 시스템
US9130935B2 (en) * 2011-05-05 2015-09-08 Good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credentials
JP2013085050A (ja) 2011-10-07 2013-05-09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無線接続方法ならびに装置および端末
CN202334585U (zh) 2011-11-22 2012-07-11 国网信息通信有限公司 一种智能家庭网关
CN103532946B (zh) * 2013-10-09 2016-11-23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基于无密码或任意密码的网络授权的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46837A1 (en) * 2002-11-29 2006-07-06 Freebit Co., Ltd. Server for routing connection to client device
JP2008004975A (ja) * 2006-06-20 2008-01-10 Mitsubishi Electric Corp 情報端末及び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WO2013015656A2 (en) * 2011-07-27 2013-01-31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and online system including the same
EP2611079A1 (en) * 2011-12-28 2013-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Network system of home appliance and network setup method of the same
KR20130080487A (ko) * 2011-12-28 2013-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크 설정 방법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870B1 (ko) * 2015-08-26 2016-08-0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와이-파이 기능을 가진 전자기기와 댁내 무선 공유기 사이의 연결 안내방법
KR20180004801A (ko) * 2015-08-28 2018-01-12 시아오미 아이엔씨. 사용자 기기 제어 권한 확정 방법, 장치 및 단말 기기
WO2017126809A1 (ko) * 2016-01-22 2017-07-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219081B2 (en) 2016-01-22 2022-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network connection
KR20170091397A (ko) * 2016-02-01 2017-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US11201863B2 (en) 2016-10-14 2021-12-14 Samsun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anaging compan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11032619B2 (en) 2017-01-17 2021-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8151518A1 (ko) * 2017-02-20 2018-08-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통신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US10477599B2 (en) 2017-02-27 2019-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wireless router and device connected thereto
KR20190036926A (ko) * 2017-09-28 2019-04-05 주식회사 경동원 홈 네트워크 장치 및 홈 네트워크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US11096112B2 (en) 2017-12-05 2021-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setting up network of external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190093997A (ko) * 2018-02-02 2019-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WO2019151661A1 (ko) * 2018-02-02 2019-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WO2019182309A1 (ko) * 2018-03-20 2019-09-26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및 서버
WO2020138686A1 (ko) * 2018-12-26 2020-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 단말 장치 및 이의 무선 연결 방법
US11689385B2 (en) 2018-12-26 2023-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me appliance, terminal device, and wireless connection method thereof
CN112333060A (zh) * 2020-10-21 2021-02-05 金羚电器有限公司 一种混合配网方法及***
CN113154623A (zh) * 2021-04-15 2021-07-23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智能空调的设备操作方法、装置及空调器
WO2023018075A1 (ko) * 2021-08-13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전 기기 및 가전 기기의 정보 출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04549B1 (en) 2020-03-25
EP3104549A1 (en) 2016-12-14
JP2017512396A (ja) 2017-05-18
KR102218295B1 (ko) 2021-02-22
CN111277474A (zh) 2020-06-12
US20160373270A1 (en) 2016-12-22
WO2015119394A1 (ko) 2015-08-13
EP3672148A1 (en) 2020-06-24
CN106165341B (zh) 2020-03-03
CN111277474B (zh) 2022-08-16
JP6698027B2 (ja) 2020-05-27
US11588655B2 (en) 2023-02-21
US11133944B2 (en) 2021-09-28
US20210234712A1 (en) 2021-07-29
EP3104549A4 (en) 2017-07-05
US10598784B2 (en) 2020-03-24
EP3672148B1 (en) 2023-05-24
CN106165341A (zh) 2016-11-23
US20200153650A1 (en)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8655B2 (en) Home appliance, network connection system for home appliance and network connection method of home appliance
US11888644B2 (en) Network configuration method for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10516774B2 (en) Method for configuring a wireless device
US10154526B2 (en) Network setup for limited user interface devices
US9998891B2 (en) Network system, server,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1540245B2 (en) Home applian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application for registering the home appliance to server
US20160234035A1 (en) Method For Connecting A Domestic Appliance To A Wireless Home Network, Computer Program Product,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Domestic Appliance
CN110505616A (zh) 在无线通信***中注册无线设备的方法和装置
GB2494062A (en) Establishing pairing between two devices using probes
US10152861B2 (en) Wireless security camera system
KR101395289B1 (ko) 인터넷을 통한 원격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기기의 서버 인증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인증장치
KR10221494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 등록 방법 및 장치
US2015001997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1567076B (zh) 用户终端设备、电子设备、包括它们的***及控制方法
KR102386456B1 (ko) 전자장치,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및 시스템
JP6270491B2 (ja) 認証方法及び認証システム
KR10239088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 등록 방법 및 장치
CN113556723B (zh) 智能设备的激活方法、智能设备、智能设备的激活***
CN109819445A (zh) 给无屏设备配置WiFi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