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9207A -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무선 연결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무선 연결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9207A
KR20180059207A KR1020160158496A KR20160158496A KR20180059207A KR 20180059207 A KR20180059207 A KR 20180059207A KR 1020160158496 A KR1020160158496 A KR 1020160158496A KR 20160158496 A KR20160158496 A KR 20160158496A KR 20180059207 A KR20180059207 A KR 20180059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mobile terminal
dir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욱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8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9207A/ko
Priority to PCT/KR2017/007004 priority patent/WO2018097442A1/ko
Priority to EP17874839.8A priority patent/EP3451786A4/en
Priority to CN201780045608.8A priority patent/CN109479237B/zh
Publication of KR20180059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207A/ko
Priority to US16/393,160 priority patent/US1085587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3Manipulation of direct-mod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무선 연결 설정 방법은, 화상 형성 장치가 Wi-Fi Direct 모드로 동작 중 무선 설정 모드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Wi-Fi Direct 모드를 종료하고, 무선 설정 모드로 진입하여 모바일 단말과 연결되는 단계; 모바일 단말로부터 AP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AP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AP와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Wi-Fi Direct 모드를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무선 연결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METHOD FOR SETTING WIRELESS CONNECTION OF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MOBILE TERMINAL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와 AP간의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개시한다.
무선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를 무선 AP (Access Point)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패스워드 등과 같은 정보들이 필요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AP에 연결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입출력부를 통해 AP와의 연결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AP에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런데, 화상 형성 장치에 구비된 입출력부는 조작성 및 편의성이 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에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단말을 연결하고, 연결된 모바일 단말에서 사용자가 AP 연결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면, 모바일 단말은 화상 형성 장치로 이를 전달하고, 화상 형성 장치는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AP와 연결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와 AP간의 연결을 설정함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이 Wi-Fi Direct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의 문제점 및 AP와의 연결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모바일 단말이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무선 연결 설정 방법은, 화상 형성 장치가 Wi-Fi Direct 모드로 동작 중 무선 설정 모드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Wi-Fi Direct 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무선 설정 모드로 진입하여 모바일 단말과 연결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AP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AP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AP와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Wi-Fi Direct 모드를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출력부; 모바일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력부는 통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Wi-Fi Direct 모드로 동작 중 무선 설정 모드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Wi-Fi Direct 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무선 설정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과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AP 연결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AP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AP와 연결을 설정한 후, 상기 Wi-Fi Direct 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가 Wi-Fi Direct 기능을 오프시키고 Soft AP만을 동작시키는 무선 설정 모드를 지원함으로써, Wi-Fi Direct를 지원하지 않는 모바일 단말과도 쉽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는 AP와 연결이 시작된 후에도 일정 시간 동안 다중 채널을 통한 무선 연결을 유지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에 AP와의 연결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가 모바일 단말과 연결되는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를 AP에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AP 연결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AP 연결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를 AP에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AP 연결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일정 시간 동안 다중 채널을 유지하는 방법과, 무선 설정 모드 진입 후 일정 시간 내 모바일 단말로부터 AP 연결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다면 자동으로 Wi-Fi Direct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을 결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Wi-Fi Direct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를 AP에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Wi-Fi Direct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AP 연결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이란 화상의 형성 또는 화상 파일의 생성/저장/전송 등과 같이 화상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e.g. 인쇄, 스캔 또는 팩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작업(job)”이란 화상 형성 작업을 의미할 뿐 아니라,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란 프린터(printer), 스캐너(scanner), 팩스기(fax machine),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장치들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하드 카피(hard copy)”란 종이 등과 같은 인쇄 매체에 화상을 출력하는 동작을 의미하며, “소프트 카피(soft copy)”란 TV 또는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화상을 출력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란 사진, 이미지 또는 문서 파일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의 대상이 되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인쇄 데이터”란 프린터에서 인쇄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스캔 파일”이란 스캐너에서 화상을 스캔하여 생성한 파일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란 화상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또는 화상 형성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작업과 관련된 조작을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란 화상 형성 장치의 모든 기능 및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와 “사용자”는 동일한 사람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를 무선 AP (Access Point)에 연결하는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좀 더 자세하게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에 모바일 단말을 무선으로 연결하고, 모바일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AP에의 연결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면, 모바일 단말은 AP에의 연결에 필요한 정보를 화상 형성 장치에 전송한다. 이어서, 화상 형성 장치는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AP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이때, 화상 형성 장치는 Wi-Fi Direct를 지원함을 전제로 하고, 모바일 단말은 Wi-Fi Direct를 지원할 수도 있고, 지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자세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에 앞서서, 도 1을 참조하여 먼저 화상 형성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도 2를 참조하여 화상 형성 장치가 모바일 단말과 같은 외부 장치 및 서버와 연결되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입출력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메모리(140) 및 화상 형성 작업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화상 형성 장치(100)는 각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입출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한 입력 등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 결과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1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operation panel) 및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예를 들어, 키보드, 물리 버튼, 터치 스크린,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출력부(110)는 다양한 입출력을 지원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입출력부(1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20)는 Wi-Fi Direct 모드 및 무선 설정 모드 사이에서의 전환, Soft AP의 온오프 및 AP와의 연결 설정 등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통신부(13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3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티커/바코드(e.g. NFC tag를 포함하는 스티커)등일 수도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가 Wi-Fi Direct를 지원함을 전제로 한다.
통신부(13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부에 위치한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는 통신부(130)를 통해 외부 장치(200)와 연결되어 있다. 통신부(130)는 외부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제어부(120)로 전달하거나, 또는 제어부(120)에서 발생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외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0)가 외부 장치(200)로부터 인쇄 명령 신호 및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어부(120)는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부(15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장치(200)는 입출력부(210), 제어부(220), 통신부(230) 및 메모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결과 발생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통신부(230)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전송함으로써 화상 형성 작업을 제어할 수도 있다. 외부 장치(2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가전기기, 의료기기, 카메라 및 웨어러블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는, 외부 장치(200)가 모바일 단말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외부 장치(200)는 Wi-Fi Direct를 지원할 수도 있고, 지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통신부(130)는 서버(300)와 직접 연결되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서버(300)를 통해 외부 장치(2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즉, 화상 형성 장치(100)의 통신부(130)는 서버(300)를 통해 외부 장치(200)의 통신부(230)와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메모리(140)에는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 및 파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을, 메모리(140)에 설치할 수도 있다.
화상 형성 작업부(150)는 인쇄, 스캔 또는 팩스 등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작업부(150)는 인쇄부(151), 스캔부(152) 및 팩스부(153)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는데, 필요에 따라서 이들 중 일부 구성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다른 종류의 화상 형성 작업 수행을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인쇄부(151)는 전자 사진 방식, 잉크젯 방식, 열전사 방식 및 감열 방식 등 다양한 인쇄 방식에 의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스캔부(152)는 원고에 광을 조사하고,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읽어들일 수 있다.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는 이미지 센서로서, 예를 들어 CCD (Charge Coupled Device), CIS(contact type image sensor)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스캔부(152)는 원고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이미지 센서가 이동되면서 화상을 읽어들이는 플랫베드(flatbed) 구조, 이미지 센서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원고가 이송되는 원고이송(document feed) 구조과, 이들의 복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팩스부(153)의 경우, 화상을 스캔하기 위한 구성은 스캔부(152)와 공유할 수 있고, 수신한 파일을 인쇄하기 위한 구성은 인쇄부(151)와 공유할 수 있으며, 스캔 파일을 목적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소프트웨어 블록(3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31), Wi-Fi 관리자(32), Wi-Fi 구성 관리자(33), 프린트 서버(34), Wi-Fi Direct 모듈(35), DHCP 서버(36), TCP/IP 스택(37) 및 WLAN 디바이스 드라이버(38) 등의 모듈들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1)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모듈로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31)를 통해 Wi-Fi Direct 모드에서 무선 설정 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선택할 수 있다.
Wi-Fi 관리자(32)는 화상 형성 장치의 Wi-Fi 모드를 변경 또는 관리하거나, AP와의 연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Wi-Fi 구성 관리자(33)는 화상 형성 장치의 Wi-Fi 관련 설정 정보를 화상 형성 장치 내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린트 서버(34)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모듈이다.
Wi-Fi Direct 모듈(35)은 Wi-Fi Direct, WPS 및 Soft AP를 포함한다. Wi-Fi Direct는 Wi-Fi Dir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로서, 모바일과의 Wi-Fi Direct 연결을 설정하고, 관리한다. WPS는 Wi-Fi Direct 연결 과정 중 WPS (Wi-Fi Protected Setup)를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Soft AP는 화상 형성 장치가 AP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로서, 화상 형성 장치에서 Wi-Fi Direct가 활성화되고 화상 형성 장치가 GO (Group Owner)가 될 경우, Soft AP는 활성화된다. 또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Wi-Fi Direct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Soft AP만 활성화 될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무선 설정 모드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Wi-Fi Direct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Soft AP만 활성화되도록 한다.
DHCP 서버(36)는 화상 형성 장치에 연결된 모바일 단말에 IP 주소를 생성하여 할당해주기 위한 모듈이다.
TCP/IP 스택(37)은 화상 형성 장치의 OS 내에 있는 TCP/UDP/IP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AP와의 연결에 필요한 정보를 TCP/UDP/IP 통신을 통해 수신한다.
WLAN 디바이스 드라이버(38)는 WLAN 인터페이스 하드웨어와 통신하기 위한 로우 레벨 디바이스 드라이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를 AP에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실시예는 Wi-Fi Direct를 지원하지 않는 모바일 단말(200)도 화상 형성 장치(100)에 무선 연결되어, 화상 형성 장치(100)와 AP간의 연결을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401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가 Wi-Fi Direct 모드로 동작(그룹 오너 역할을 담당)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무선 설정 모드 (wireless setup mode)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한다. 이때, 무선 설정 모드란 Wi-Fi Direct 기능을 오프한 후 Soft AP만을 동작시키는 모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402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Wi-Fi Direct 기능 오프 후 Soft AP 동작을 시작함으로써 무선 설정 모드로 진입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무선 설정 모드에 진입하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우선, 화상 형성 장치(100)는 Wi-Fi Direct의 그룹 오너로서 동작 시에는 Wi-Fi Direct의 표준 규칙에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0)의 SSID (Service Set Identifier)를 생성하는데, 이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00)가 Wi-Fi Direct 모드로 동작 중에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SSID가 “DIRECT-xy-C1860 Series”와 같이 생성되었다면, 화상 형성 장치(100)가 무선 설정 모드로 진입하면 SSID를 “Samsung Printer Setup”과 같이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100)는 WPS와 같이 Wi-Fi Direct 기능에 관련된 동작을 멈추고 Soft AP만 동작하도록 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는 보안 모드를 변경하여, 보안이 적용되지 않는 Soft AP 모드, 또는 미리 고정된 비밀번호를 이용하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가 무선 설정 모드로 진입을 완료하면, 403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Soft AP에 무선으로 연결된다.
모바일 단말(200)과 화상 형성 장치(100)의 무선 연결이 완료되면, 404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가 연결될 AP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200)에서 연결 가능한 AP들을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된 AP들이 모바일 단말(2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검색된 AP들 중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와 연결될 AP를 선택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와 연결될 AP(10)가 선택되면, 40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AP 연결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AP 연결 정보란 AP(10)와의 연결에 필요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패스워드와 같은 크리덴셜(credential)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비해 편리한 입출력부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200)을 통해 AP의 연결 정보를 입력하므로,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직접 AP의 연결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보다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406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AP 연결 정보를 화상 형성 장치(100)로 전송한다.
407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Soft AP를 오프시키고, 따라서 408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와 모바일 단말(200)간의 무선 연결은 해제된다. 화상 형성 장치(100)가 Soft AP를 오프시키는 이유는 AP(10)와의 연결을 시작하기 위함이다. 물론, 화상 형성 장치(100)는 Soft AP가 온인 상태에서 AP(10)와의 연결을 시작할 수도 있다. 하지만, 화상 형성 장치(100)가 AP(10)와 연결될 때 사용되는 채널은 AP(10)가 결정하므로, 화상 형성 장치(100)가 이미 모바일 단말(200)과의 연결에 사용하고 있던 채널과 다른 채널이 AP(10)와의 연결에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무선 연결에 있어서 두 개의 채널을 동시에 사용하게 되어 효율이 현저하게 낮아지므로, 이를 막기 위해 AP(10)와의 연결을 시작하기 전에 Soft AP를 오프시켜 모바일 단말(200)과의 연결을 해제한다.
다만, 이와 같이 AP(10)와의 연결을 시도하기도 전에 화상 형성 장치(100)와 모바일 단말(200)간의 연결을 해제할 경우, 모바일 단말(200)은 화상 형성 장치(100)와 AP(10)간의 연결이 성공했는지 여부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아래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가 일정 시간 동안 다중 채널(multi-channel)을 유지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아래의 도 7 내지 도 11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409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406 단계에서 수신한 AP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AP(10)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00)는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패스워드를 AP(10)에 전송하면서 연결을 요청할 수 있고, 이를 수신한 AP(10)는 수신한 패스워드의 인증에 성공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의 연결을 허용할 수 있다.
410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무선 설정 모드에서 다시 Wi-Fi Direct 모드로 전환하는데, 이때 화상 형성 장치(100)는 AP(10)와의 연결에 사용된 채널과 동일한 채널을 사용하여 Wi-Fi Direct 모드를 시작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AP(10)와의 연결시에는 AP(10)가 결정한 채널을 사용해야 하지만, 화상 형성 장치(100)가 Wi-Fi Direct의 그룹 오너로서 동작한다면 화상 형성 장치(100)가 무선 연결에 사용할 채널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409 단계의 연결 설정시 사용된 채널을 사용하여 Wi-Fi Direct 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화상 형성 장치(100)는 AP(10)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동시에 Wi-Fi Direct의 그룹 오너로서도 동작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AP 연결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1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Wi-Fi Direct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무선 설정 모드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한다.
502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Wi-Fi Direct 기능을 오프한 후, Soft AP의 동작을 시작한다.
503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Soft AP를 이용해 모바일 단말과 연결된다.
504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AP 연결 정보를 수신한다.
505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Soft AP를 오프시키고, 수신한 AP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AP와 연결을 설정한다.
506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AP와의 연결에 사용된 채널과 동일한 채널을 사용하여 Wi-Fi Direct 모드를 시작하고, 그룹 오너로서 동작한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100)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기본적으로 Wi-Fi Direct 모드를 유지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왜냐하면, 수시로 외부 장치가 Wi-Fi Direct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연결을 시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만약 화상 형성 장치(100)가 무선 설정 모드로 진입한 후 일정 시간 내 모바일 단말(200)과 연결되지 않는다면, 또는 모바일 단말(200)과 연결은 되었지만 일정 시간 내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AP 연결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다면 자동으로 Wi-Fi Direct 모드로 돌아가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AP 연결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01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Wi-Fi Direct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무선 설정 모드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한다.
602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Wi-Fi Direct 기능을 오프한 후, Soft AP의 동작을 시작한다.
603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Soft AP를 이용해 모바일 단말과 연결된다.
604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AP 연결 정보를 수신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모바일 단말로부터 AP 연결 정보를 수신하지 않았다면 607 단계로 진행하여 Soft AP 동작을 시작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즉, 607 단계에서는 무선 설정 모드의 타임아웃(timeout)이 경과했는지를 판단한다. 무선 설정 모드의 타임아웃이 경과했다면 608 단계로 진행하여 화상 형성 장치는 무선 설정 모드를 종료하고, Wi-Fi Direct 모드로 전환한다. 하지만, 무선 설정 모드의 타임아웃이 아직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된다면, 다시 604 단계로 돌아간다.
한편, 604 단계의 판단 결과, 화상 형성 장치가 모바일 단말로부터 AP 연결 정보를 수신했다면 605 단계로 진행하여 화상 형성 장치는 Soft AP를 오프시키고, 수신한 AP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AP와 연결을 설정한다.
606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AP와의 연결에 사용된 채널과 동일한 채널을 사용하여 Wi-Fi Direct 모드를 시작하고, 그룹 오너로서 동작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가 AP(10)와의 연결을 시도하기 전에 모바일 단말(200)과의 연결을 해제한다면, 모바일 단말(200)은 화상 형성 장치(100)와 AP(10)간의 연결이 성공했는지 여부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정 시간 동안 다중 채널을 유지하는 실시예들을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를 AP에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701 단계 내지 705 단계는, 앞서 설명한 도 4의 401 단계 내지 405 단계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여기서는 도 706 단계부터 설명한다.
706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AP 연결 정보를 화상 형성 장치(100)로 전송하는데, 이때 Soft AP 연결에 사용된 채널인 채널 #1을 통해 AP 연결 정보를 전송한다.
707 단계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는 수신한 AP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AP(10)와의 연결을 설정하는데, 이때 연결에 사용되는 채널은 AP(10)가 결정한다. 도 7에서는 채널 #3을 사용하여 AP(10)와의 연결이 설정되었다.
도 4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화상 형성 장치(100)는 채널 #1을 사용한 모바일 단말(200)과의 Soft AP 연결을 유지한 상태에서, 채널 #3을 사용하여 AP(10)와의 연결을 시작했다는 점이다. 즉, 화상 형성 장치(100)는 동시에 두 개 채널들(채널 #1 및 채널 #3)을 사용한 무선 연결을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가 두 개 채널들을 이용한 연결을 유지하는 구간을 다중 채널 (Multi-Channel) 구간이라고 한다. 다중 채널 구간에서는 비록 통신 효율이 떨어지기는 하지만, 화상 형성 장치(100)는 모바일 단말(200)에 AP와의 연결 결과를 전송하기 위해 일정 시간 동안만 다중 채널 구간을 유지하므로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708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AP와의 연결 결과를 모바일 단말(200)에 전송한다. 이때, 사용되는 채널은 모바일 단말(200)과의 Soft AP 연결에 사용된 채널인 채널 #1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모바일 단말(200)은 수신한 AP와의 연결 결과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200)의 화면을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0)와 AP(10)간의 무선 연결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잘못된 AP 연결 정보(e.g. 패스워드 불일치)로 인해 AP(10)와의 연결에 실패한 경우, 모바일 단말(200)은 연결에 실패했음을 안내하는 화면을 표시하고, 다시 AP 연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화면을 이어서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다시 AP 연결 정보를 입력 받으면, 이를 다시 화상 형성 장치(100)로 전송하고, 화상 형성 장치(100)는 새로운 AP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AP(10)와의 연결을 재시도할 수 있다.
다시 도 7로 돌아와서, 709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Soft AP를 오프하고, 이에 따라 71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과의 연결은 해제된다.
711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AP(10)와의 연결에 사용된 채널 #3을 사용하여 Wi-Fi Direct 모드를 시작하고 그룹 오너로서 동작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AP 연결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801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Wi-Fi Direct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무선 설정 모드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한다.
802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Wi-Fi Direct 기능을 오프한 후, Soft AP의 동작을 시작한다.
803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Soft AP를 이용해 모바일 단말과 연결된다. 이때, 화상 형성 장치와 모바일 단말간의 Soft AP 연결에 사용되는 채널은 채널 #1이라고 가정한다.
804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AP 연결 정보를 수신한다.
805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수신한 AP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AP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이때, 화상 형성 장치와 AP간의 연결에 사용되는 채널은 AP가 결정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채널 #3이 사용된다고 가정한다.
806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채널 #1을 사용하는 Soft AP 연결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이를 통해 모바일 단말에 AP와의 연결 결과를 전송한다.
807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Soft AP를 오프시켜 모바일 단말과의 연결을 해제한다. 즉, 화상 형성 장치는 채널 #1을 통한 연결을 해제한다.
808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AP와의 연결에 사용된 채널 #3을 사용하여 Wi-Fi Direct 모드를 시작하고 그룹 오너로서 동작한다.
도 9는 일정 시간 동안 다중 채널을 유지하는 방법과, 무선 설정 모드 진입 후 일정 시간 내 모바일 단말로부터 AP 연결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다면 자동으로 Wi-Fi Direct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을 결합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의 901 단계 내지 903 단계는 도 8의 801 단계 내지 803 단계와 동일하므로 상기 단계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904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AP 연결 정보를 수신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모바일 단말로부터 AP 연결 정보를 수신하지 않았다면 909 단계로 진행하여 Soft AP 동작을 시작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즉, 909 단계에서는 무선 설정 모드의 타임아웃(timeout)이 경과했는지를 판단한다. 무선 설정 모드의 타임아웃이 경과했다면 910 단계로 진행하여 화상 형성 장치는 무선 설정 모드를 종료하고, Wi-Fi Direct 모드로 전환한다. 하지만, 무선 설정 모드의 타임아웃이 아직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된다면, 다시 904 단계로 돌아간다.
한편, 904 단계의 판단 결과, 화상 형성 장치가 모바일 단말로부터 AP 연결 정보를 수신했다면 905 단계로 진행하여 화상 형성 장치는 수신한 AP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AP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이때, 화상 형성 장치와 AP간의 연결에 사용되는 채널은 AP가 결정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채널 #3이 사용된다고 가정한다.
906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채널 #1을 사용하는 Soft AP 연결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이를 통해 모바일 단말에 AP와의 연결 결과를 전송한다.
907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Soft AP를 오프시켜 모바일 단말과의 연결을 해제한다. 즉, 화상 형성 장치는 채널 #1을 통한 연결을 해제한다.
908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AP와의 연결에 사용된 채널 #3을 사용하여 Wi-Fi Direct 모드를 시작하고 그룹 오너로서 동작한다.
한편, 모바일 단말(200)이 Wi-Fi Direct를 지원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는 Wi-Fi Direct를 통해 모바일 단말(200)과 연결되어 AP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Wi-Fi Direct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200)을 이용하는 실시예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Wi-Fi Direct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를 AP에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1001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Wi-Fi Direct 모드로의 동작을 시작한다. 이때, 화상 형성 장치(100)는 그룹 오너로서 동작하므로 Wi-Fi Direct 연결에 사용할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채널 #2를 선택했다고 가정한다.
1002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모바일 단말(200)과 Wi-Fi Direct 연결을 설정한다. 이때, Wi-Fi Direct 연결에는 채널 #2가 사용된다.
1003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가 연결될 AP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200)에서 연결 가능한 AP들을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된 AP들이 모바일 단말(2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검색된 AP들 중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와 연결될 AP를 선택할 수 있다.
1004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AP 연결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100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채널 #2를 이용하는 Wi-Fi Direct 연결을 통해, 화상 형성 장치(100)에 AP 연결 정보를 전송한다.
1006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수신한 AP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AP(10)와의 연결을 설정하는데, 이때 연결에 사용되는 채널은 AP(10)가 결정한다. 도 10에서는 채널 #3을 사용하여 AP(10)와의 연결이 설정되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채널 #2을 사용한 모바일 단말(200)과의 Wi-Fi Direct 연결을 유지한 상태에서, 채널 #3을 사용하여 AP(10)와의 연결을 시작한다. 즉, 화상 형성 장치(100)는 다중 채널 (Multi-Channel) 구간 동안 동시에 두 개 채널들(채널 #2 및 채널 #3)을 사용한 무선 연결을 유지한다.
1007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AP와의 연결 결과를 모바일 단말(200)에 전송한다. 이때, 사용되는 채널은 모바일 단말(200)과의 Wi-Fi Direct 연결에 사용된 채널인 채널 #2이다.
1008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채널을 변경하여 Wi-Fi Direct 모드를 다시 시작한다. AP(10)의 연결에 사용되는 채널(채널 #3)은 AP(10)에 의해 결정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그룹 오너로서 다시 Wi-Fi Direct 모드를 시작하면 사용할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채널 #2를 사용하는 Wi-Fi Direct 모드를 종료하고, 채널 #3을 사용하도록 다시 Wi-Fi Direct 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가 Wi-Fi Direct 모드를 다시 시작하는 과정에서 모바일 단말(200)과의 연결은 해제된다. (1009 단계)
화상 형성 장치(100)가 새로 Wi-Fi Direct 모드를 시작한 후, 1010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200)은 다시 화상 형성 장치(100)와 Wi-Fi Direct 연결될 수 있다. 이때, Wi-Fi Direct 연결에는 채널 #3이 사용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Wi-Fi Direct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AP 연결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1101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모바일 단말과 Wi-Fi Direct 연결을 설정한다. 이때, Wi-Fi Direct 연결에 사용되는 채널은 채널 #2라고 가정한다.
1102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Wi-Fi Direct 연결을 통해 AP 연결 정보를 수신한다. (채널 #2 사용)
1103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수신한 AP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AP와의 연결을 설정한다. 이때, 화상 형성 장치와 AP간의 연결에 사용되는 채널은 AP가 결정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채널 #3이 사용된다고 가정한다.
1104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채널 #2를 사용하는 Wi-Fi Direct 연결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이를 통해 모바일 단말에 AP와의 연결 결과를 전송한다.
1105 단계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채널을 #2에서 #3으로 변경하여 Wi-Fi Direct 모드를 다시 시작하고, 그룹 오너로서 동작한다. 즉, 화상 형성 장치는 채널 #2를 사용하는 기존의 Wi-Fi Direct 모드를 종료하고, 채널 #3을 사용하는 Wi-Fi Direct 모드를 새롭게 시작한다.
한편, 상술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란,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매체, CD 및 DVD 등과 같은 광학적 판독매체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를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메모리(140) 및 입출력부(110)의 메모리(114)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도 있으며,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0)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외부 장치(200)에 포함되는 메모리(240)가 될 수도 있다.
100: 화상 형성 장치 200: 모바일 단말
10: AP

Claims (15)

  1.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무선 연결 설정 방법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가 Wi-Fi Direct 모드로 동작 중 무선 설정 모드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Wi-Fi Direct 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무선 설정 모드로 진입하여 모바일 단말과 연결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AP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AP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AP와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Wi-Fi Direct 모드를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설정 모드로 진입하여 모바일 단말과 연결되는 단계는,
    Wi-Fi Direct 기능을 오프시킨 후, Soft AP를 동작시키는 단계; 및
    상기 Soft AP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과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P와의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Soft AP를 종료하고, 상기 AP 연결 정보를 상기 AP에 전송하며 연결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P와의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Soft AP를 이용한 상기 모바일 단말과의 연결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AP 연결 정보를 상기 AP에 전송하며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AP와의 연결 결과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Soft AP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Wi-Fi Direct 모드를 시작하는 단계는,
    상기 AP와의 연결에 사용된 채널과 동일한 채널을 사용하여 Wi-Fi Direct 모드를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P 연결 정보는 상기 AP에 접속하기 위한 크리덴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무선 설정 모드로 진입 후 일정 시간 내에 모바일 단말과 연결되지 않거나, 또는 모바일 단말과 연결되더라도 상기 AP 연결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 설정 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Wi-Fi Direct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출력부;
    모바일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력부는 통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Wi-Fi Direct 모드로 동작 중 무선 설정 모드로의 전환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Wi-Fi Direct 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무선 설정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과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AP 연결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AP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AP와 연결을 설정한 후, 상기 Wi-Fi Direct 모드를 시작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무선 설정 모드로 진입하면, Wi-Fi Direct 기능을 오프시킨 후, Soft AP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P와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Soft AP를 종료하고, 상기 AP 연결 정보를 상기 AP에 전송하며 연결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P와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Soft AP를 이용한 상기 모바일 단말과의 연결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AP 연결 정보를 상기 AP에 전송하며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AP와의 연결 결과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전송한 후, 상기 Soft AP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P와의 연결에 사용된 채널과 동일한 채널을 사용하여 Wi-Fi Direct 모드를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P 연결 정보는 상기 AP에 접속하기 위한 크리덴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설정 모드로 진입 후 일정 시간 내에 모바일 단말과 연결되지 않거나, 또는 모바일 단말과 연결되더라도 상기 AP 연결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 설정 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Wi-Fi Direct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60158496A 2016-11-25 2016-11-25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무선 연결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KR2018005920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496A KR20180059207A (ko) 2016-11-25 2016-11-25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무선 연결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PCT/KR2017/007004 WO2018097442A1 (ko) 2016-11-25 2017-07-03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무선 연결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EP17874839.8A EP3451786A4 (en) 2016-11-25 2017-07-03 METHOD FOR ESTABLISHING A WIRELESS CONNECTION OF AN IMAGE FORMING DEVICE USING A MOBILE TERMINAL, AND IMAGE FORMING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CN201780045608.8A CN109479237B (zh) 2016-11-25 2017-07-03 使用移动终端建立成像设备的无线连接的方法及成像设备
US16/393,160 US10855879B2 (en) 2016-11-25 2019-04-24 Method for establishing wireless connection of image forming device by using mobile terminal, and image forming device for perform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496A KR20180059207A (ko) 2016-11-25 2016-11-25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무선 연결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207A true KR20180059207A (ko) 2018-06-04

Family

ID=62196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496A KR20180059207A (ko) 2016-11-25 2016-11-25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의 무선 연결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55879B2 (ko)
EP (1) EP3451786A4 (ko)
KR (1) KR20180059207A (ko)
CN (1) CN109479237B (ko)
WO (1) WO20180974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069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복수의 단말들간의 무선 연결 자동 전환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62335B2 (ja) * 2019-07-29 2023-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867171B (zh) * 2021-03-17 2022-08-0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Wifi连接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7049A (ja) * 2011-03-31 2012-11-08 Fujitsu Ltd プログラム、情報通信機器およびシステム
KR101276861B1 (ko) * 2011-07-27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EP3716599A1 (en) * 2011-12-12 2020-09-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wi-fi direct and method of activating wi-fi direct
KR101844211B1 (ko) * 2011-12-28 2018-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의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네트워크 설정 방법
JP5887969B2 (ja) * 2012-02-07 2016-03-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無線通信機器
KR101997577B1 (ko) * 2012-03-23 2019-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리더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를 구비한 디바이스 및 그 ap 연결 방법
US9826381B2 (en) * 2012-09-18 2017-11-21 Blackberry Limited Device handshake/discovery for inter-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1975992B1 (ko) * 2012-09-26 2019-05-08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Wi­Fi Direct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것의 인터넷 접속 제어 방법
WO2014088659A1 (en) * 2012-12-06 2014-06-12 Intel Corporation New carrier type (nct) information embedded in synchronization signal
KR102022330B1 (ko) * 2013-03-22 2019-09-19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Wi-Fi 다이렉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Wi-Fi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
JP6242241B2 (ja) * 2013-04-26 2017-12-06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368989B2 (ja) * 2013-06-11 2018-08-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6264815B2 (ja) * 2013-09-30 2018-01-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CN110971496B (zh) * 2013-12-20 2022-05-27 三星电子株式会社 智能家居设备的连接方法及其装置
KR102218295B1 (ko) * 2014-02-06 202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 기기,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및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CN104883719A (zh) * 2014-02-28 2015-09-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输入设备接入无线局域网的方法、装置和***
US9998535B2 (en) * 2014-05-02 2018-06-12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multiple peer-to-peer networks
KR101658630B1 (ko) * 2014-10-31 2016-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6516491B2 (ja) * 2015-01-30 2019-05-2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933790B2 (en) * 2015-06-15 2018-04-03 Lunatech, Llc Peer-to-peer air analysis and treatment
CN105072665B (zh) * 2015-07-01 2019-03-05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联网控制、接入方法及相应的终端与设备
JP6731173B2 (ja) * 2015-09-29 2020-07-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069A (ko) *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복수의 단말들간의 무선 연결 자동 전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97442A1 (ko) 2018-05-31
US20190253582A1 (en) 2019-08-15
CN109479237B (zh) 2021-11-05
EP3451786A1 (en) 2019-03-06
US10855879B2 (en) 2020-12-01
EP3451786A4 (en) 2020-01-08
CN109479237A (zh) 201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375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connecting at least two types of wireless communication units according to an operative state of an access point
US1194982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determines whether a format of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data is appropriate for searching printer,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US1170660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produc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9924355B2 (e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5994313B2 (ja) 情報提供装置、伝送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1047703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that transmits setting data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storage medium
CN107404770B (zh) 通信装置、控制方法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855879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wireless connection of image forming device by using mobile terminal, and image forming device for performing same
US2021032609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15121885A (ja)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85408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evice control method, and medium
JP628039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151762A (ja) 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
US20200153791A1 (en) Setting up network
JP2023014832A (ja)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3071730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20072470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01294A (ko) 모바일 프린팅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