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7976A -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7976A
KR20150087976A KR1020140008242A KR20140008242A KR20150087976A KR 20150087976 A KR20150087976 A KR 20150087976A KR 1020140008242 A KR1020140008242 A KR 1020140008242A KR 20140008242 A KR20140008242 A KR 20140008242A KR 20150087976 A KR20150087976 A KR 20150087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storage container
air
volum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4829B1 (ko
Inventor
이익재
Original Assignee
이익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익재 filed Critical 이익재
Priority to KR1020140008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829B1/ko
Publication of KR20150087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2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 carrier person or animal
    • G09F21/026Advertising carried by a person, e.g. carried on the should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12Sig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는: 저장용기 상측에 구비되어 저장용기를 덮는 커버부재와, 커버부재의 하측에 구비되고, 저장용기에 삽입되어 공기의 수용 공간부피를 줄이는 부피부재와, 부피부재와 커버부재에 마련되고, 저장용기 내부의 공기를 공기흡입부의 흡입에 의해 이송하는 이송관과, 공기 흡입에 의해 부착되는 저장용기의 찌그러짐을 방지하도록 커버부재에 구비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부와, 커버부재와 부피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고, 이온을 제공하여 저장용기에 발생된 정전기를 제거하는 정전기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HAVING STACTIC ELECTRICITY}
본 발명은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용기 내부에 부착된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을 이온발생부에서 공급된 이온을 이용하여 중화하거나, 방전침에서 발생하는 이온을 이용하여 중화하므로, 정전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이나 콘과 같이 내용물을 담는 저장용기는 종이 혹은 프라스틱재를 이용하여 내부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를 구비한 상태로 제작하여 사용되었다.
저장용기는 아이스크림, 요거트 또는 기타 내용물을 포장하는 제조회사에서 내용물을 담기 전에 미리 용기제조회사에서 제조된 것을 구입하여 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서 아이스크림 제조회사에서 사용되는 컵이나 콘 형상의 저장용기는 미리 제조된 것을 대량으로 구입하여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하고, 이송된 저장용기에 정량공급장치로 아이스크림을 정량으로 공급하고 컨베이어로 이송하여 후속공정에서 포장하므로 아이스크림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 때, 컵에 내용물을 주입하기 전에 컵의 내부면을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위해 공기를 분사하고 흡입하는 이물질 제거장치가 제안되어 잇다.
하지만, 기존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컵을 이송하면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내부를 세척하고 흡입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저장용기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던 분진이나 이물질은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양이온 또는 음이온의 성질을 갖는 공기의 상태로 존재하게 되고, 용기 내부에 위치하고 있던 이물질도 전하를 띠게 되어 손쉽게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2440호(발명의 명칭: 이물질 제거장치, 2011.12.28: 공개)가 제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저장용기 내부에 부착된 이물질의 정전기를 이온발생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함유된 이온을 이용하여 중화하거나, 방전침에서 발생하는 이온을 이용하여 중화하므로, 정전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용기의 상측에 구비된 커버부재에 수용홈부를 형성하여 커버부재의 하측에 접한 부피부재의 가장자리로 관통된 가이드공을 통하여 저장용기 내부로 공기와 함께 이온을 공급하므로 이온의 안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용기 내측으로 삽입되는 부피부재를 저장용기의 내주면과 간극을 갖는 형태로 형성하므로 저장용기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커버부재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방전침을 에폭시 등의 몰딩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함으로 방전부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고, 방전침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는, 저장용기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용기를 덮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용기에 삽입되어 공기의 수용 공간부피를 줄이는 부피부재; 상기 부피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에 마련되고, 상기 저장용기 내부의 공기를 공기흡입부의 흡입에 의해 이송하는 이송관; 공기 흡입에 의해 부착되는 상기 저장용기의 찌그러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커버부재에 구비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부; 및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부피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고, 이온을 제공하여 상기 저장용기에 발생된 정전기를 제거하는 정전기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관은 상기 커버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부피부재의 상측 일부 구간에 결합되고, 상기 부피부재에는 상기 이송관에 연결되는 확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확장공은 상기 부피부재의 저면에서 상기 이송관의 단부로 갈수록 점차 협소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피부재의 외측면은 상기 저장용기의 내측면에 적어도 상하 일부 구간이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저장용기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는 진공 흡입시 이동공에 삽입된 상기 저장용기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판이 구비되며, 상기 이동공의 내경은 상기 저장용기에 돌출된 테두리부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제한판에 의해 상기 저장용기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전기제거부는, 이온발생부; 상기 이온발생부에서 관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이온이 함유된 공기를 이송하기 위해 상기 커버부재에 형성된 유입공; 상기 유입공에 연결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하측으로 개방되는 수용홈부; 및 상기 수용홈부에 연결되고, 상기 부피부재의 상면에서 측면으로 연결되어 상기 저장용기에 이온을 함유한 공기를 공급하는 가이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공은 상기 커버부재의 측면에서 수평으로 1개 형성되되, 다수 개 형성되는 상기 외기유입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은 상기 커버부재에서 원형으로 설정 간격으로 다수 개 배치되며, 상기 수용홈부는 다수 개의 상기 가이드공에 연결되도록 1개의 원형으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전기제거부는, 고압 전기를 발생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커버부재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설치공; 및 상기 설치공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의 고압 전기를 전선을 통해 공급하여 상기 저장용기 내부에 방전을 발생시켜 이온을 공급하는 방전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공은 상기 방전침이 상기 부피부재의 둘레로 각각 인출되도록 설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설치공의 상측에는 다수 개의 상기 방전침이 에폭시를 포함한 몰딩부재에 의해 고정되도록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홈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부재의 설치공의 하측에는 상기 방전침의 하단부가 수용되어 방전을 유도하고, 상기 방전침을 보호하는 방전홈을 구비하며, 상기 전선은 양극전선과과 음극전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전침은 상기 양극전선과 상기 음극전선에 동수로 연결되도록 짝수 개 형성되며, 상기 양극전선에 연결되는 방전침과 상기 음극전선에 연결되는 방전침은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는, 저장용기 내부에 부착된 이물질의 정전기를 이온발생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함유된 이온을 이용하여 중화하거나, 방전핀에서 발생하는 이온을 이용하여 중화하므로, 정전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용기의 상측에 구비된 커버부재에 수용홈부를 형성하여 커버부재의 하측에 접한 부피부재의 가장자리로 관통된 가이드공을 통하여 저장용기 내부로 공기와 함께 이온을 공급하므로 이온의 안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용기 내측으로 삽입되는 부피부재를 저장용기의 내주면과 설정 간극을 갖는 상태로 대응되는 향상 및 크기로 형성하므로 저장용기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부재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방전침을 에폭시 등의 몰딩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함으로 방전침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고, 방전침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의 전체 구성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의 전체 구성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전침에 양극전선 및 음극전선을 각각 연결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의 전체 구성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의 전체 구성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전침에 양극전선 및 음극전선을 각각 연결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제2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는, 커버부재(10), 부피브재920), 이송관(30), 외기유입부(40) 및 정전기제거부(50,150)를 포함한다.
커버부재(10)는 저장용기(2) 상측에 구비되어 저장용기(2)를 덮는 구성이다.커버부재(10)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죈 바와 같이, 커버부재(10)는 원형판체 형태로 형성될수 있다. 커버부재(10)은 후술하는 유입공(54)과 수용험부(56)를 형성할 정도의 설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부재(10)는 저장용기(2)의 상측 크기에 비해 약간 더 크게 형성된다.
저장용기(2)는 아이스크림 또는 유제품 등의 액상물이 저장되는 용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저장용기(20)는 다양한 다른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는 용기일 수 있다.
저장용기(20)는 합성수지재 또는 종이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피부재(20)는 커버부재(10)의 하측에 구비되고, 저장용기(2)에 삽입되어 공기의 수용 공간부피를 줄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부피부재(20)의 외주면과 저장용기(2)의 내주면 사이에 공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축소하여 공간에 수용되는 공기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게 해준다.
부피부재(2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되, 커버부재(10)와 같은 재질의 합성수지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관(30)은 부피부재(20)와 커버부재(10)에 마련되고, 저장용기(2) 내부의 공기를 공기흡입부(38)의 흡입에 의해 이송하는 구성이다.
이송관(30)은 가로 방향으로 다수 개 배열되고, 이송관(30) 상측에 마련된 메인관(36)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메인관(36)은 가로 방향으로 다수 개 배열된 이송관(30)을 상측에 일체로 연결됨에 따라 내부의 수용공간이 일체로 연결 형성된다.
메인관(36)의 상측 중심부에는 공기흡입부(38)로 공기를 이송하는 연결관(37)이 구비된다. 연결관(37)은 저장용기(20 내주의 공기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S자 형태로 이중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관(30)은 메인관(36)에 설치되는 연결부재(44)에 연결된 승강부재(42)를 통해 상하 작동함에 따라 커버부재(10)와 부피부재(20)를 상하로 동작하여 안치부재(6)에 안치된 저장용기(20)에 부착 또는 분리된다.
승강부재(42)는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필요에 따라 모터 또는 액츄에이터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이송관(30)은 커버부재(10)를 관통하여 부피부재(20)의 상측 일부 구간에 결합된다.
부피부재(20)에는 이송관(30)에 연결되는 확장공(22)이 형성된다.
확장공(22)은 부피부재(20)의 저면에서 이송관(30)의 단부로 갈수록 점차 협소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확장공(22)은 저장용기(2) 측으로 갈수록 공기의 이동 속도를 늦추어져 후술하는 정전기제거부(50,150)에서 공급되는 이온이 저장용기(2)의 내주면 또는 부피부재(20)의 외주면에 부딪쳐 소멸되는 것을 줄여주어 정전기 제거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즉, 외기유입부(40)로 유입되는 공기 또는 후술하는 가이드공(58)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저장용기(2)의 내부에서 공기흡입부(38)의 흡입에 의해 획장공(22)의 단부측에서 서서히 이동하다가 확장공(2)의 상측으로 걸수록 이동 속도가 증가하여 공기흡입부(38)로 흡입된다.
부피부재(20)의 외측면은 저장용기(2)의 내측면에 적어도 상하 일부 구간이 대응되게 형성된다. 즉, 부피부재(20)의 외주면 형상은 저장용기(20)의 내주면 형상에 어느 정도 일치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용기(2)와 커버부재(10) 사이에는 진공 흡입시 이동공(14)에 삽입된 저장용기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판(12)이 구비된다.
이동공(14)의 내경은 저장용기2)에 돌출된 테두리부(4)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이동제한판(12)에 의해 저장용기(2)의 상측 이동을 제한한다.
커버부재(10)는 이송관(3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송관(30)의 외주에는 커버부재(10)에 하강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2)을 구비할 수 있다.
스프링(20)은 이송관(3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34)에 걸려지는 거싱 바람직하다.
스프링(20)은 승강부재(42)에 의해 이송관(30)이 하강하면서 커버부재(10)의 저면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커버부재(10)가 이송관(30)의 외주면에서 상측으로 약간 이동하면서 탄성 수축되어 충격을 흡수하게 해준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제거부(50)는, 이온발생부(52)와, 이온발생부(52)에서 관로(53)를 통해 공급되는 이온이 함유된 공기를 저장용기(2)의 내부로 이송하기 위해 커버부재(10)에 형성된 유입공(54)과, 유입공(54)에 연결되고, 커버부재(10)의 하측으로 개방되는 수용홈부(56)와, 수용홈부(56)에 연결되고, 부피부재(20)의 상면에서 측면으로 연결되어 저장용기(2)에 이온을 함유한 공기를 공급하는 가이드공(58)을 포함한다.
이온발생부(52)는 이오나이저(ionizer)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오나이저는 공기를 양이온, 음이온으로 이온화 시킨다. 양이온 및 음이온이 섞인 즉 이온화된 공기가 정전기로 대전된 물체에 접근하면 물체가 띤 전기의 반대부호를 가진 이온을 끌어당겨 중화되어 버리고, 같은 전기를 가진 이온은 밀어버리게 된다. 그렇게 해서 정전기가 없어진다. 즉 이온화된 공기는 자기와 반대 극성의 정전기를 띤 물체와 중화된다.
이온발생부(52)와 연결된 관로(53)는 한 가닥에서 다수개로 분기되어 각각의 유입공(54)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관로(53)는 다양하게 구성되어 이온발생부(52)와 유입공(54)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유입공(54)은 커버부재(10)의 측면에서 수평으로 1개 형성되되, 다수 개 형성되는 외기유입부(4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공(58)은 커버부재(10)에서 원형으로 설정 간격으로 다수 개 배치된다.
이때, 가이드공(58)은 상면에서 측면으로 연결됨에 따라 경사지게 연결된다. 즉, 가이드공(58)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벌려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수용홈부(56)는 다수 개의 가이드공(58)에 연결되도록 고리 형태의 1개의 원형으로 연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제거부(150)는, 고압 전기를 발생하는 전원공급부(152)와, 커버부재(15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설치공(154)과, 설치공(154)에 설치되어 전원공급부(152)의 고압 전기를 전선(156)을 통해 공급하여 저장용기(2) 내부에 방전을 발생시켜 이온을 공급하는 방전침(158);을 포함한다.
전원공급부(152)에 공급되는 전압은 3000 ~ 6000V 정도의 고 잔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방전침(20)의 단부에서는 방전에 의한 스파크가 발생하면서 양이온 또는 음이온이 다량 발생하게 된다. 이때 다량 발생된 양이온 및 음이온은저장용기(2)의 내주면에서 마찰 등에 의해 발생한 정전기를 대폭 중화하여 소멸시키게 된다.
설치공(154)은 방전침(158)이 부피부재(20)의 둘레로 각각 인출되도록 설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다.
커버부재(10)의 설치공(154)의 상측에는 다수 개의 방전침(158)이 에폭시를 포함한 몰딩부재(160)에 의해 고정되도록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홈(162)을 구비한다. 몰딩부재(160)는 절연 특성을 갖는 다양한 연성 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부재(10)의 설치공(154)의 하측에는 방전침(158)의 하단부가 수용되어 방전을 유도하고, 방전침(158)을 보호하는 방전홈(164)을 구비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156)은 양극전선(156a)과 음극전선(156b)으로 이루어진다.
방전침(158)은 양극전선(156a)과 음극전선(156b)에 동수로 연결되도록 짝수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극전선(156a)에 연결되는 방전침(158)과 음극전선(156b)에 연결되는 방전침(158)은 교대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는, 저장용기(2) 내부에 부착된 이물질의 정전기를 이온발생부(52)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함유된 이온을 이용하여 중화하거나, 방잔침(158)에서 발생하는 이온을 이용하여 중화하므로, 정전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용기(2)의 상측에 구비된 커버부재(10)에 수용홈부(56)를 형성하여 커버부재(10)의 하측에 접한 부피부재(20)의 가장자리로 관통된 가이드공(58)을 통하여 저장용기(2) 내부로 공기와 함께 이온을 공급하므로 이온의 안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용기(2) 내측으로 삽입되는 부피부재(20)를 저장용기(2)의 내주면과 설정 간극을 갖는 상태로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므로 저장용기(2)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부재(10)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방전침(158)을 에폭시 등의 몰딩부재(160)를 이용하여 고정함으로 방전침(158)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고, 방전침(158)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 저장용기 4 : 테두리부
6 : 안치부재 10 : 커버부재
12 : 이동제한판 20 : 부피부재
22 : 확장공 24 : 경사면부
30 : 이송관 32 : 스프링
34 : 걸림턱 36 : 메인관
37 : 연결관 38 : 공급흡입부
40 : 외기유입부 42 : 승강부재
50,150: 정전기제거부 52 : 이온발생부
54 : 유입공 56 : 수용홈부
58 : 가이드공 152 : 전원공급부
154 : 설치공 156 : 전선
156a : 양극전선 156b : 음극전선
158 : 방전침 160 : 몰딩부재
162 : 고정홈 164 : 방전홈

Claims (6)

  1. 저장용기(2)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용기(2)를 덮는 커버부재(10);
    상기 커버부재(10)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용기(2)에 삽입되어 공기의 수용 공간부피를 줄이는 부피부재(20);
    상기 부피부재(20)와 상기 커버부재(10)에 마련되고, 상기 저장용기(2) 내부의 공기를 공기흡입부(38)의 흡입에 의해 이송하는 이송관(30);
    공기 흡입에 의해 부착되는 상기 저장용기(2)의 찌그러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커버부재(10)에 구비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부(40); 및
    상기 커버부재(10)와 상기 부피부재(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고, 이온을 제공하여 상기 저장용기(2)에 발생된 정전기를 제거하는 정전기제거부(50,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30)은 상기 커버부재(10)를 관통하여 상기 부피부재(20)의 상측 일부 구간에 결합되고,
    상기 부피부재(20)에는 상기 이송관(30)에 연결되는 확장공(22)이 형성되며,
    상기 확장공(22)은 상기 부피부재(20)의 저면에서 상기 이송관(30)의 단부로 갈수록 점차 협소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제거부(50)는,
    이온발생부(52);
    상기 이온발생부(52)에서 관로(53)를 통하여 공급되는 이온이 함유된 공기를 이송하기 위해 상기 커버부재(10)에 형성된 유입공(54);
    상기 유입공(54)에 연결되고, 상기 커버부재(10)의 하측으로 개방되는 수용홈부(56); 및
    상기 수용홈부(56)에 연결되고, 상기 부피부재(20)의 상면에서 측면으로 연결되어 상기 저장용기(2)에 이온을 함유한 공기를 공급하는 가이드공(5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공(54)은 상기 커버부재(10)의 측면에서 수평으로 1개 형성되되, 다수 개 형성되는 상기 외기유입부(40)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공(58)은 상기 커버부재(10)에서 원형으로 설정 간격으로 다수 개 배치되며,
    상기 수용홈부(56)는 다수 개의 상기 가이드공(58)에 연결되도록 1개의 원형으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제거부(150)는,
    고압 전기를 발생하는 전원공급부(152);
    상기 커버부재(15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설치공(154); 및
    상기 설치공(154)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부(152)의 고압 전기를 전선(156)을 통해 공급하여 상기 저장용기(2) 내부에 방전을 발생시켜 이온을 공급하는 방전침(15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154)은 상기 방전침(158)이 상기 부피부재(20)의 둘레로 각각 인출되도록 설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10)의 설치공(154)의 상측에는 다수 개의 상기 방전침(158)이 에폭시를 포함한 몰딩부재(160)에 의해 고정되도록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홈(162)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부재(10)의 설치공(154)의 하측에는 상기 방전침(158)의 하단부가 수용되어 방전을 유도하고, 상기 방전침(158)을 보호하는 방전홈(164)을 구비하며,
    상기 전선(156)은 양극전선과(156a)과 음극전선(156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전침(158)은 상기 양극전선(156a)과 상기 음극전선(156b)에 동수로 연결되도록 짝수 개 형성되며,
    상기 양극전선(156a)에 연결되는 방전침(158)과 상기 음극전선(156b)에 연결되는 방전침(156b)은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140008242A 2014-01-23 2014-01-23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 KR101594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242A KR101594829B1 (ko) 2014-01-23 2014-01-23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242A KR101594829B1 (ko) 2014-01-23 2014-01-23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976A true KR20150087976A (ko) 2015-07-31
KR101594829B1 KR101594829B1 (ko) 2016-02-17

Family

ID=53877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242A KR101594829B1 (ko) 2014-01-23 2014-01-23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8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823A (ko) * 2017-06-28 2019-01-07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전기 집진 장치용 공기압 세척 장치
KR102048510B1 (ko) * 2018-06-26 2019-11-26 주식회사 이레테크 포장용기 성형장치
FR3089829A1 (fr) * 2018-12-18 2020-06-19 Elcowa Dispositif de nettoyage de po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7618A (ja) * 1997-04-25 1998-11-10 Snow Brand Milk Prod Co Ltd 異物除去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充填機
JP2009163987A (ja) * 2008-01-07 2009-07-23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イオン発生装置
KR20100013678A (ko) * 2008-07-31 2010-02-10 이익재 이물질 제거장치
KR20110002455U (ko) * 2009-09-03 2011-03-09 홍기영 포장용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7618A (ja) * 1997-04-25 1998-11-10 Snow Brand Milk Prod Co Ltd 異物除去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充填機
JP2009163987A (ja) * 2008-01-07 2009-07-23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イオン発生装置
KR20100013678A (ko) * 2008-07-31 2010-02-10 이익재 이물질 제거장치
KR20110002455U (ko) * 2009-09-03 2011-03-09 홍기영 포장용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823A (ko) * 2017-06-28 2019-01-07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전기 집진 장치용 공기압 세척 장치
KR102048510B1 (ko) * 2018-06-26 2019-11-26 주식회사 이레테크 포장용기 성형장치
FR3089829A1 (fr) * 2018-12-18 2020-06-19 Elcowa Dispositif de nettoyage de po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829B1 (ko)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829B1 (ko) 정전기를 갖는 이물질 제거장치
US20070256258A1 (en) Dust remover
MX2021004575A (es) Sistema y método de retirada de polvo del aire.
CN103658115A (zh) 静电消除和灰尘移除设备
WO2011090395A3 (en) Method of removal of electrostatic charges from trays used for transporting rod shaped elements, tray protected against negative action of electrostatic field and device for unloading trays filled with rod shaped elements with simultaneous removal of electrostatic charges
WO2009051079A1 (ja) 静電型補強装置
MX2011007974A (es) Montaje de extraccion de liquido.
JP6008269B2 (ja) イオナイザー
CN104056719A (zh) 一种净化装置
JP2010113838A (ja) ペレット供給装置
US8961693B2 (en) Component supporting device
US105493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ckside cleaning of substrates
US9027187B2 (en) Cleaning system
JP2016173927A (ja) 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JP6097159B2 (ja) パーツフィーダー用除電器
CN210632570U (zh) 一种吸塑盒清洁装置
CN203884062U (zh) 一种色母粒除静电装置
CN207222156U (zh) 静电毛发分离机
JP5660963B2 (ja) 除電装置
CN201732981U (zh) 防护套和离子发生器
CN104368563A (zh) 一种静电去绒装置
GB0700899D0 (en) Anti-static core for receiving wound sheet material
CN104344515B (zh) 除湿机的水箱和除湿机
JP2020083421A (ja) 包装装置
EP3875012A4 (en) CHARGING BASE AND ELECTRIC VACUUM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