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6238A - 재배 장치 - Google Patents

재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6238A
KR20150016238A KR1020147031840A KR20147031840A KR20150016238A KR 20150016238 A KR20150016238 A KR 20150016238A KR 1020147031840 A KR1020147031840 A KR 1020147031840A KR 20147031840 A KR20147031840 A KR 20147031840A KR 20150016238 A KR20150016238 A KR 20150016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ing
cultivation
vessel
opening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1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키 하시모토
마코토 노마치
Original Assignee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099099A external-priority patent/JP577861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099098A external-priority patent/JP5851324B2/ja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6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재배 장치의 구성 형태를 비교적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는 재배 장치를 제공한다.
재배용수를 저류 가능한 저수부와, 흡수성의 재배 상재 (B) 를 재치 가능한 재배용 공간을 구비하고, 재배 상재 (B) 를 노출시키는 개구부 (5B) 를 적어도 정면측에 형성할 수 있는 1 개 또는 복수의 재배 용기 (A), 및 이 1 개 또는 복수의 재배 용기 (A) 를 둘러싸도록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게 지지 가능한 프레임 부재 (C) 를 갖고, 재배 용기 (A) 의 외주의 일부에 돌출부 (14, 10) 가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 부재 (C) 의 외주에 돌출부와 끼워 맞춰지는 걸림 개구부 (24, 22) 가 형성되어 있는 재배 장치.

Description

재배 장치{PLANTING DEVICE}
본 발명은, 벽면 녹화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대체로 세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면을 생육 중이거나 한 식물로 덮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재배 장치에 관련된 선행기술문헌 정보로서 하기에 나타내는 특허문헌 1 이 있다. 이 특허문헌 1 에서는, 정면에서 보아 사각형의 표판 (表板) 과 동형의 이판 (裏板) 사이에 보수성 (保水性) 의 기반을 사이에 두고 볼트와 너트 등으로 고정시키고, 표판의 복수 지점에는 비스듬한 상향으로 개구된 재배용 선반부를 형성한 재배 용기로 하고, 이것을 와이어 등에 의해 벽면에 장착함으로써 벽면 녹화용 재배 용기로서 사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39878호 (0041 ∼ 0043 단락, 도 1, 도 2)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재배 장치에서는, 표판과 이판 사이에 보수성의 기반을 사이에 두고 볼트와 너트 등으로 고정시킨 대규모의 형태를 갖기 때문에, 사용자 등이 재배 장치의 구성 형태를 변경하는 것 등은 곤란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예시한 종래 기술이 주는 과제를 감안하여, 재배 장치의 구성 형태를 비교적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는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재배 장치의 특징 구성은,
재배용수를 저류 가능한 저수부 (貯水部) 와, 흡수성의 재배 상재 (床材) 를 재치 (載置) 가능한 재배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재배 상재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적어도 정면측에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있는 1 개 또는 복수의 재배 용기, 및
상기 1 개 또는 복수의 재배 용기를 둘러싸도록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게 지지 가능한 프레임 부재를 갖고,
상기 재배 용기의 외주의 일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 부재의 외주에 상기 돌출부와 끼워 맞춰지는 걸림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상기의 특징 구성을 구비한 재배 장치에서는, 임의의 외관색을 갖게 한 프레임 부재에 의해 재배 용기를 둘러싸도록 지지시키는 것만으로, 의장성이 높은 재배 장치가 간단하게 얻어질 뿐만 아니라, 프레임 부재는 재배 용기에 대해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색조가 상이한 다른 프레임 부재로 대체하는 등의 사용 방법이 가능해지거나, 혹은, 필요에 따라 프레임 부재를 재배 용기로부터 분리시켜, 재배 용기와 재배 상재만을 조합한 형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해지는 등, 재배 장치의 구성 형태를 비교적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되었다.
또, 상기의 특징 구성을 구비한 재배 장치에서는, 프레임 부재를 재배 용기에 장착할 때에, 프레임 부재의 외주에 형성된 걸림 개구부를, 재배 용기의 외주의 일부에 형성된 돌출부와 끼워 맞출 수 있으므로, 재배 용기가 프레임 부재로부터 부주의하게 탈락되는 사태가 방지된다.
또한, 만약 프레임 부재를 불투명하고 컬러풀한 소재 등으로 형성한 경우여도, 프레임 부재의 걸림 개구부를 통해 투시되는 재배 용기의 투명한 수위 확인부를 통해, 재배 용기 내의 저수부에 저류된 재배용수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재배 용기에는 소정 높이를 초과하는 재배용수를 배수하는 오버플로우관이 일체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이면, 저수부에 공급된 소정 높이를 초과하는 재배용수를 배수하는 오버플로우관이 일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저수부에 과잉의 재배용수가 저류되는 사태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오버플로우관의 하단인 점에 있다.
본 구성이면, 재배 용기를 프레임 부재와 조합하여 사용할 때에, 오버플로우관의 하단과 프레임 부재의 걸림 개구부가 서로 끼워 맞춰지기 때문에, 재배 용기가 프레임 부재로부터 부주의하게 탈락되는 사태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 본 구성이면, 오버플로우관을 사용하는 경우에, 오버플로우관을 유하한 재배용수를 프레임 부재의 걸림 개구부로부터 원활히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오버플로우관은 정면에서 보아 연직선에 대해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만약 2 개 이상의 재배 용기를 상하로 중첩시켜, 상측의 재배 용기에 공급된 여분의 재배용수가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하측의 재배 용기의 상면에 배치된 개구부로부터 하측의 재배 용기에 공급되는 형태로 실시한 경우여도, 본 구성이면, 오버플로우관은 정면에서 보아 연직선에 대해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필연적으로 재배 용기의 상면에 배치된 개구부와 오버플로우관의 상단 부근은 좌우 방향에서 변위된 위치에 배치되게 되어, 재배 용기의 상면에 배치된 개구부로부터 공급된 재배용수가 저수부를 우회하여 오버플로우관으로부터 밖으로 배출되는 등의 사태가 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재배 용기의 적어도 일방의 측면에 투명한 수위 확인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수위 확인부가 상기 돌출부를 구성하는 점에 있다.
본 구성이면, 만약 프레임 부재를 불투명하고 컬러풀한 소재 등으로 형성한 경우여도, 프레임 부재의 걸림 개구부를 통해 투시되는 재배 용기의 투명한 수위 확인부를 통해, 재배 용기 내의 저수부에 저류된 재배용수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본 구성이면, 프레임 부재를 재배 용기에 장착할 때에, 프레임 부재의 외주에 형성된 걸림 개구부를, 재배 용기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수위 확인부와 끼워 맞출 수 있으므로, 재배 용기가 프레임 부재로부터 부주의하게 탈락되는 사태가 더욱 방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재배 용기는 수지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일체 형성되어 점에 있다.
본 구성이면,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되는 구성에 비하면 구조가 간단한 할형 (割型) 을 사용하여 성형할 수 있고, 사용하는 수지의 양도 적어도 되므로 경량화할 수 있어, 제작비의 저감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구성이면,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되는 구성에 비해, 재배 용기를 구성하는 벽면부를 충분히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판매자나 사용자가 커터 나이프 등의 간편한 기구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구성이면, 재배 용기를 구성하는 벽면부를 충분히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수위 확인창을 측면 전체에 대해 탄성적으로 변위 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재배 용기의 프레임 부재에 대한 착탈이 보다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개구부가 상하의 중심보다 상방으로 변위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의 하방에 상기 재배 상재를 전후 방향으로부터 지지하는 1 쌍의 지지부가 내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이면, 재배 용기의 개구부의 하방에 내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1 쌍의 지지부에 의해 재배 상재를 전후 방향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재배 상재가 재배 용기의 내부에서 흔들리거나, 재배용 공간에서 전후 어딘가로 넘어져 재배 상재의 일부가 개구부로부터 밖으로 나오거나 하여, 재배 상재에 심은 식물의 체재가 손상될 우려 등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재배 용기의 양 측면에 상기 재배용 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손잡이부가 일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재배 상재의 가로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겸하고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이면, 재배 용기의 양 측면에 재배용 공간을 향해 돌출된 부위를 일체 형성함으로써, 동 부위에 대해, 재배 용기의 핸들링을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 가능한 손잡이부와, 재배 상재의 가로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의 2 개의 기능을 동시에 완수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재배 용기는 상기 정면측과 대향하는 배면측을 갖고, 상기 배면측에 상기 개구부와 대향한 보조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이면, 개구부 (보조 개구부) 를 형성하는 위치를 정면측과 배면측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게 되므로, 예를 들어 오버플로우관 등이 재배 용기의 좌우 어느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정면측과 배면측 중 어느 쪽에 개구부 (보조 개구부) 를 형성하는지에 따라, 오버플로우관의 위치를 좌우 어느 곳 중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 본 구성이면, 정면측과 배면측의 쌍방에 개구부 (보조 개구부) 를 형성함으로써, 재배 상재나 재배 상재에 심은 식물을 재배 용기의 전후 2 면의 쌍방으로부터 노출시킨다는 사용 형태도 가능해진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재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재배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재배 용기에 개구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재배 용기에 재배 상재를 수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재배 용기 내의 재배 상재에 식물을 심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재배 용기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정면도이다.
도 7 은, 재배 용기에 프레임을 외측으로부터 끼우기 전의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재배 용기에 프레임을 외측으로부터 끼우는 도중의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복수의 재배 용기에 대형의 프레임을 외측으로부터 끼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은, 복수의 재배 용기를 조합하여 벽면에 장착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재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고, 특히, 본 발명에 관련된 사각형이고 투명 수지제인 재배 용기 (A) 를 1 개만 사용하고 있고, 이 재배 용기 (A) 의 내부에 급수성의 재배 상재 (B) 가 수납되며, 재배 용기 (A) 의 외주에 비교적 강성이 높은 자유롭게 착탈 가능한 프레임 (C) 이 외측으로부터 끼워져 고정되고, 재배 상재 (B) 의 재배용 관통공 (H) 에 식물 (P) 이 재배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재배 용기 (A) 는, 폴리스티렌 등의 수지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고, 도 2 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블로우 성형 직후의 재배 용기 (A) 는, 서로 전후 방향으로 이간되면서 평행하게 연장된 정면벽부 (A1) 와 배면벽부 (A2), 정면벽부 (A1) 와 배면벽부 (A2) 가 형성하는 공간을 하방으로부터 닫는 바닥벽부 (A3), 동 공간을 상방으로부터 닫는 천벽부 (A4), 동 공간을 좌측방으로부터 닫는 제 1 측벽부 (A5), 동 공간을 우측방으로부터 닫는 제 2 측벽부 (A6) 를 갖는다.
정면벽부 (A1) 와 배면벽부 (A2) 는 대체로 정방형을 나타내고, 바닥벽부 (A3), 천벽부 (A4), 제 1 측벽부 (A5) 및 제 2 측벽부 (A6) 는, 이들 정방형의 4 변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다.
재배 용기 (A) 전체로서는 대체로 사각형 판상이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벽부 (A1) 와 배면벽부 (A2) 가 대체로 연직상이 되도록 재배 용기 (A) 를 바르게 세운 상태에서는, 바닥벽부 (A3), 천벽부 (A4), 제 1 측벽부 (A5) 및 제 2 측벽부 (A6) 의 각 폭은, 정면벽부 (A1) 와 배면벽부 (A2) 의 1 변의 수 분의 1 (예를 들어 1/5 ∼ 1/3 의 범위) 이 된다.
블로우 성형에서는, 바닥벽부 (A3), 천벽부 (A4), 제 1 측벽부 (A5), 제 2 측벽부 (A6) 를 따라 연장되는 맞댐면을 갖는 2 개의 반할형 (半割型) (도시 생략) 사이에 수지의 패리슨을 삽입하고, 천벽부 (A4) 의 좌우 단부 부근에 상당하는 2 개 지점의 분사구로부터 패리슨 내에 압축 공기를 불어 넣음으로써, 패리슨을 반할형 내의 캐비티 내면에 압착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블로우 성형 직후의 천벽부 (A4) 의 좌우 단부 부근에는,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리슨의 일부가 2 개의 작은 돔상의 여단부 (余端部) (3A, 3B) 로서 잔존하고 있는데, 반할형으로부터의 탈형 후의 임의의 시점에서 여단부 (3A, 3B) 를 기단부에서 잘라냄으로써, 천벽부 (A4) 의 좌우 단부 부근에는 2 개의 상면 개구부 (4A, 4B) 가 형성되어 있다.
상면 개구부 (4A, 4B) 의 적어도 일방은, 재배 용기 (A) 에 수납된 재배 상재 (B) 를 개재하여 식물 (P) 에 재배용수 (W) 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로서 이용된다.
바닥벽부 (A3), 천벽부 (A4), 제 1 측벽부 (A5), 제 2 측벽부 (A6) 를 따라 2 개의 반할형의 경계면에서 유래하는 버 흔적 (E) 이 관찰되고, 재배 용기 (A) 는 전체적으로 대체로 이 버 흔적 (E) 을 따른 평면을 중심으로 하는 면 대칭형으로 되어 있다.
정면벽부 (A1) (전후면의 일례) 의 일부에는 가로로 긴 사각형의 창 (窓) 형성 예정선 (5) 이 형성되어 있다. 창 형성 예정선 (5) 은, 그 사각형의 전체 둘레를 따라, 창 형성 예정선 (5) 의 직경 방향 내측의 부위가 블로우 성형체의 내부를 향해 약 1 ∼ 2 ㎜ 정도의 깊이로 패이는 단상 (段狀) 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블로우 성형체는 적절한 얇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재배 용기 (A) 의 판매자나 사용자 등이, 상기의 단차 등을 이용하여 커터 나이프 등에 의해 창 형성 예정선 (5) 의 전체 둘레를 따라 절입을 넣고,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창 형성 예정선 (5) 의 직경 방향 내측의 제거부 (5A) 를 제거하면, 정면벽부 (A1) 에 사각형의 재배용 창부 (5B) (개구부의 일례) 가 형성된다.
또한, 정면벽부 (A1) 의 반대측의 배면벽부 (A2) (전후면의 일례) 에도 완전히 동일한 창 형성 예정선 (5) 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판매자나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정면벽부 (A1) 가 아닌 배면벽부 (A2) (배면부의 일례) 에 재배용 창부 (5B) (개구부에 대해 보조 개구부의 일례) 를 형성해도 되고, 혹은, 정면벽부 (A1) 와 배면벽부 (A2) 쌍방에 재배용 창부 (5B) 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재배용 창부 (5B) 의 하측 가장자리부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재배 용기 (A) 의 내부 공간은, 상면 개구부 (4A, 4B) 등으로부터 공급된 재배용수 (W) 를 저류 가능한 저수부로서, 또, 흡수성의 재배 상재 (B) 를 재치 가능한 재배용 공간으로서 작용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배 상재 (B) 는 재배용 창부 (5B) 로부터 수납되는데, 도 4 에 나타내는 재배 상재 (B) 는 재배용수에 의해 약 1.3 배로 팽윤된 후의 사이즈로 나타내어져 있고, 따라서, 팽윤 전의 재배 상재 (B) 는 재배용 창부 (5B) 로부터 간단하게 수납할 수 있다.
재배 상재 (B) 는, 예를 들어 우레탄과 분쇄된 톱밥 등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거의 균일하게 수분과 공기를 양호한 밸런스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뿌리의 생육에 필요한 공기가 유지되기 쉽다.
재배 상재 (B) 는 다소 세로로 긴 사각형을 나타내고, 팽윤 후의 재배 상재 (B) 의 높이가, 재배 용기 (A) 의 바닥벽부 (A3) 의 상면으로부터 천벽부 (A4) 의 하면까지의 거리와 거의 동등하거나, 동 거리보다 약간 작아지도록, 또, 팽윤 후의 재배 상재 (B) 의 두께가, 재배 용기 (A) 의 정면벽부 (A1) 의 내면으로부터 배면벽부 (A2) 의 내면까지의 거리보다 다소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재배 용기 (A) 의 제 1 측벽부 (A5) 와 제 2 측벽부 (A6) 의 상하 중심보다 약간 상방에는, 재배 용기 (A) 의 핸들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조작 오목부 (6) (손잡이부 및 규제 수단의 일례) 가 함몰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측벽부 (A5) 와 제 2 측벽부 (A6) 각각을 보면, 2 개의 조작 오목부 (6) 가 세로로 연장되는 버의 흔적 (E) 을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팽윤 후의 재배 상재 (B) 의 폭은, 제 1 측벽부 (A5) 측에 위치하는 조작 오목부 (6) 의 내면으로부터 제 2 측벽부 (A6) 측에 위치하는 조작 오목부 (6) 의 내면까지의 거리와 거의 동등 또는 동 거리보다 약간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조작 오목부 (6) 는 재배 용기 (A) 내에 수납된 재배 상재 (B) 의 가로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의 기능도 한다.
창 형성 예정선 (5) 을 따라 형성된 재배용 창부 (5B) 는, 정면벽부 (A1) 의 상하 방향의 중심보다 상방으로 변위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대체로 판상의 재배 상재 (B) 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5 개의 재배용 관통공 (H) 도, 마찬가지로 전체로서 상하 방향의 중심보다 상방으로 변위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배 용기 (A) 에 수납된 재배 상재 (B) 가 재배용수에 의해 팽윤된 후의 상태에서는, 재배 상재 (B) 에 배치되어 있는 5 개의 재배용 관통공 (H) 이, 이와 같이 상방으로 변위된 재배용 창부 (5B) 의 내측에 대체로 균등하게 배분된다.
또한, 도 4, 5 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재배용 창부 (5B) 의 하측 가장자리보다 하방에 배치되는 재배 상재 (B) 의 하방의 부위에는 재배용 관통공 (H) 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이 부위의 좌우의 측부는 정면에서 보아 하방을 향해 점차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상으로 됨으로써, 재배용 창부 (5B) 의 하측 가장자리보다 하방에 형성되는 저수부의 체적을 보다 크게 확보하는 작용을 하고 있다.
정면벽부 (A1) 와 배면벽부 (A2) 의 재배용 창부 (5B) 의 하측 가장자리보다 하방의 위치로부터는, 수평으로 좌우로 폭이 좁고 길게 연장된 지지 돌기 (8) (지지부의 일례) 가 블로우 성형체의 내부를 향해 립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전후로 이간되어 배치된 이들 지지 돌기 (8) 는, 내부에 수납된 팽윤 후의 재배 상재 (B) 와 전후로부터 맞닿음으로써, 재배 상재 (B) 의 자세를 대체로 연직상으로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방의 제 1 측벽부 (A5) 와 바닥벽부 (A3) 사이에 상당하는 위치에는, 본래의 기준 수위 (WL) 를 초과하는 재배용수를 자동적으로 오버플로우시키기 위한 오버플로우부 (10) 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오버플로우부 (10) 는, 바닥벽부 (A3) 의 우단 부근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둑부 (10A) 와, 둑부 (10A) 의 상단과 제 1 측벽부 (A5) 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측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매끄럽게 연장된 오버플로우관 (10B) 을 갖는다. 둑부 (10A) 와 오버플로우관 (10B) 사이는 박판 립상의 보강부 (11)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둑부 (10A) 의 상단은, 재배용 창부 (5B) 의 하측 가장자리보다 다소 하방으로 설정된 본래의 기준 수위 (WL) 에 배치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로우 성형 직후의 상태에서는, 오버플로우관 (10B) 의 하단은 맹관상으로 닫혀 있기 때문에, 그 상태에서는 오버플로우부 (10) 로서 기능하지 않고, 판매자나 사용자 등에 의해 오버플로우관 (10B) 의 하단부가 10C 의 위치에서 대체로 수평으로 잘라내졌을 때에 비로소, 둑부 (10A) 를 초과하는 여분의 재배용수가 오버플로우관 (10B) 을 통해 하방으로 오버플로우되는 상태가 된다.
예를 들어, 프레임 (C) 을 사용하지 않고, 2 개의 재배 용기 (A) 를 그대로 상하로 겹쳐 쌓은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들 재배 용기 (A) 가 모두 정면벽부 (A1) 에 재배용 창부 (5B) 를 형성한 동일한 형상이면, 재배 용기 (A) 끼리의 좌우 중심을 일치시켰을 때에, 상방에 배치된 재배 용기 (A) 의 오버플로우관 (10B) 의 하단이, 하방에 배치된 재배 용기 (A) 의 좌측의 상면 개구부 (4A) 에 자연스럽게 삽입 통과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재배용 창부 (5B) (개구부, 보조 개구부) 를 형성하는 위치를 정면벽부 (A1) 와 배면벽부 (A2) 사이에서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재배용 창부 (5B) 를 정면벽부 (A1) 와 배면벽부 (A2) 중 어느 쪽에 형성하는지에 따라, 오버플로우관의 위치를 좌우 어느 곳의 사용자에게 있어서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 상면 개구부 (4A) 로부터 직하향으로 재배 용기 (A) 의 내부에 공급된 재배용수가 재배 용기 (A) 의 저수부에 공급되지 않고 오버플로우관 (10B) 을 통해 재배 용기 (A) 의 외부로 배출되어 버리는 사태는 잘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오버플로우관 (10B) 은, 둑부 (10A) 의 높이와 일치하는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해 점차 정면에서 보아 내측이 되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오버플로우관 (10B) 의 상단과 상면 개구부 (4A) 는 재배 용기 (A) 의 좌우 방향에서 변위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 일반적으로, 상면 개구부 (4A) 로부터 재배 용기 (A) 의 내부에 공급된 재배용수는 재배 상재 (B) 에 흡수되거나, 또는, 재배 상재 (B) 의 표면 부근을 따라 재배 용기 (A) 의 내부의 바닥부를 향해 유하하기 때문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배 용기 (A) 의 우측방의 제 2 측벽부 (A6) (외주의 일례) 에는 세로로 긴 형상의 수위 확인부 (14) 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재배 용기 (A) 는 전체적으로 투명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재배 용기 (A) 와 재배 상재 (B) 만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재배 용기 (A) 의 임의의 방향으로부터 실제 재배용수 (W) 의 레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불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C) 을 재배 용기 (A) 에 외측으로부터 끼워 사용하는 경우에는, 프레임 (C) 의 정면으로부터는 수위 확인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프레임 (C) 의 우측의 측판부 (C4) 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수위 확인창 (24) (걸림 개구부의 일례) 과, 수위 확인창 (24) 과 일치하는 전술한 수위 확인부 (14) 를 통해 재배용수 (W) 의 레벨을 확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 (C) 은, 사각형의 창부 (20) 를 구비한 대체로 정방형 1 장의 표판부 (C1) 와, 표판부 (C1) 의 4 변으로부터 직각으로 연장 형성된 4 개의 측판부 (C2, C3, C4, C5) 를 갖는다.
프레임 (C) 을 재배 용기 (A) 에 외측으로부터 끼워 장착시킬 때에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배용 창부 (5B) 를 형성한 정면벽부 (A1) 에 표판부 (C1) 가 중첩되도록 한다.
프레임 (C) 의 천면측의 측판부 (C3) 에는 재배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1 개의 상부 관통공 (21) 이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 (C) 의 바닥면측의 측판부 (C2) 에는 오버플로우관 (10B) 으로부터 유하한 여분의 재배용수를 재배 장치 밖으로 배수하기 위한 1 개의 하부 관통공 (22) 이 형성되어 있다.
재배 용기 (A) 의 외측 치수의 가로 폭과 높이는 대체로 프레임 (C) 의 내측 치수의 가로 폭과 높이와 동등하게 되어 있다. 또, 재배 용기 (A) 의 수위 확인부 (14) (돌출부의 일례) 는 프레임 (C) 의 수위 확인창 (24) 과 끼워 맞춤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 (C) 의 바닥면측의 하부 관통공 (22) (보조 걸림 개구부의 일례) 은 오버플로우관 (10B) 의 하단부 (돌출부의 일례) 와 끼워 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프레임 (C) 을 재배 용기 (A) 에 외측으로부터 끼워 장착시킬 때에는, 도 8 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재배 용기 (A) 를 그 수위 확인부 (14) 가 프레임 (C) 의 수위 확인창 (24) 과 근접하도록, 프레임 (C) 에 대해 평면에서 보아 경사진 자세로 진입시키고, 다음으로, 수위 확인부 (14) 를 수위 확인창 (24) 에 끼워 맞추도록, 재배 용기 (A) 를 회전시키면서, 재배 용기 (A) 의 재배 용기 (A) 의 제 1 측벽부 (A5) 를 프레임 (C) 우측의 측판부 (C5) 의 내측으로 밀어 넣으면, 최종적으로 오버플로우관 (10B) 의 하단부가 프레임 (C) 의 하부 관통공 (22) 과 끼워 맞춰지고, 장착이 완료된다.
또한, 오버플로우관 (10B) 의 하단부가 절단에 의해 개구되어 있어도, 또, 미절단 상태로 폐쇄되어 있어도, 오버플로우관 (10B) 의 하단부는 프레임 (C) 의 하부 관통공 (22) 과 끼워 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어, 오버플로우관 (10B) 의 하단부가 개구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관통공 (22) 은 오버플로우관 (10B) 으로부터 유출되는 여분의 재배용수 (W) 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로서 기능한다.
프레임 (C) 천면측의 측판부 (C3) 의 배면측의 좌우 중앙에는 매달음용 걸림 구멍 (26) 이 관통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걸림 구멍 (26) 에 통과시킨 끈이나 훅에 의해, 혹은, 벽면으로부터 세워 형성시킨 못 형상의 장착 수단의 헤드부 등을 걸림 구멍 (26) 에 걸리게 함으로써, 도 1 에 나타내는 상태의 재배 장치를 벽면에 매다는 것이 가능하다.
재배 용기 (A) 의 천벽부 (A4) 의 좌우 중앙에는 상기의 끈이나 훅을 통과시키기 위한 전후 1 쌍의 회피 오목부 (16) 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전후 1 쌍의 회피 오목부 (16) 는, 재배 상재 (B) 의 상단 부근을 전후 방향으로부터 지지하는 기능도 한다.
또, 재배 용기 (A) 의 수위 확인부 (14) 에는, 오버플로우부 (10) 의 둑부 (10A) 의 높이와 대응하는 기준 수위를 나타내는 수평인 직선상의 지표 (14A) 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9 는, 대형의 프레임 (CX) 의 내측에 4 개의 재배 용기 (A) 를 상하 좌우로 타일상으로 나열한 상태에서 걸리게 한 사용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마주 보아 우측에서 상하로 겹쳐 쌓은 2 개의 재배 용기 (A) 는 정면벽부 (A1) 에 재배용 창부 (5B) 를 형성하고 있지만, 마주 보아 좌측에서 상하로 겹쳐 쌓은 2 개의 재배 용기 (A) 는 배면벽부 (A2) 에 재배용 창부 (5B) 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4개의 재배 용기 (A) 는, 모두 오버플로우관 (10B) 이 좌우의 중앙 근처에 배치됨으로써, 전체적로서 시머트리 (좌우 대칭) 의 형태로 되어 있다.
프레임 (CX) 의 천면측의 측판부 (C3) 에는 재배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2 개의 상부 관통공 (21) 이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 (CX) 의 우측의 측판부 (C4) 에는 오버플로우관 (10B) 의 하단과 끼워 맞춰지는 하부 관통공 (22) (도시 생략) 이 형성되어 있다.
또, 프레임 (CX) 의 좌우의 측판부에는, 4 개의 재배 용기 (A) 의 각 수위 확인부 (14) 와 끼워 맞춰지는 전부해서 4 개의 수위 확인창 (24) 이 형성되어 있다.
적어도 상측에 위치하는 2 개의 재배 용기 (A) 의 오버플로우관 (10B) 의 하단을 개방해 두고, 이들 상측의 재배 용기 (A) 에 상면 개구부 (4A) 로부터 재배용수 (W) 를 공급하면, 상측의 재배 용기 (A) 에 있어서 여분의 재배용수 (W) 는 오버플로우관 (10B) 을 통해 하측에 위치하는 2 개의 재배 용기 (A) 에 공급되어, 4 개의 재배 용기 (A) 에 수납되어 있는 모든 재배 상재 (B) 를 보수 (保水)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5 등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 (C) 을 사용하지 않고, 재배 용기 (A) 와 재배 상재 (B) 만을 조합한 재배 장치로서도 이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0 은, 프레임 (C) 을 사용하지 않고, 4 개의 재배 용기 (A) 를 상하 좌우로 나열하여 벽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도, 마주 보아 우측에서 상하로 겹쳐 쌓은 2 개의 재배 용기 (A) 는 정면벽부 (A1) 에 재배용 창부 (5B) 를 형성하고 있지만, 마주 보아 좌측에서 상하로 겹쳐 쌓은 2 개의 재배 용기 (A) 는 배면벽부 (A2) 에 재배용 창부 (5B) 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4 개의 재배 용기 (A) 는, 모두 오버플로우관 (10B) 이 좌우의 중앙 근처에 배치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시머트리 (좌우 대칭) 의 형태로 되어 있다.
재배 용기 (A) 는, 예를 들어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용 장착 수단 (30) 에 의해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장착 수단 (30) 은, 벽면에 앵커상으로 박히는 다리부와, 재배 용기 (A) 의 좌우의 조작 오목부 (6) 에 측방으로부터 걸려 들어가는 헤드부 (30A) 를 구비하고, 이 방법에 의해 임의의 수량의 재배 용기 (A) 를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프레임 (C) 외에, 프레임 (C) 이란 창부 (20) 에 대한 급수용 관통공 (21) 과 배수용 관통공 (22) 의 배치가 좌우 반대로 된 좌우 반전 프레임 부재를 준비해도 된다. 이 경우,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벽부 (A1) 에 재배용 창부 (5B) 를 형성한 재배 용기 (A) 를 내측에서 끼운 프레임 (C) 과, 도 7 과는 달리 배면벽부 (A2) 에 재배용 창부 (5B) 를 형성한 재배 용기 (A) 를 내측에서 끼운 좌우 반전 프레임 부재를, 상하로 쌓아 올린 사용 형태가 가능해진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재배용수를 저류 가능한 저수부와, 흡수성의 재배 상재를 재치 가능한 재배용 공간을 구비하고, 재배 상재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한 재배 용기, 및, 동 재배 용기를 둘러싸도록 지지 가능한 프레임 부재를 갖는 재배 장치에서 종래 보였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이용 가능한 발명이다.
A : 재배 용기
A1 : 정면벽부 (전후면)
A2 : 배면벽부 (전후면)
B : 재배 상재
C : 프레임
H : 재배용 관통공
P : 식물
W : 재배용수
5 : 창 형성 예정선
5A : 제거부
5B : 재배용 창부 (개구부, 보조 개구부)
6 : 조작 오목부 (손잡이부, 규제 수단)
8 : 지지 돌기 (지지부)
10 : 오버플로우부
10B : 오버플로우관 (돌출부)
14 : 수위 확인부 (돌출부)
22 : 하부 관통공 (보조 걸림 개구부)
24 : 수위 확인창 (걸림 개구부)

Claims (9)

  1. 재배용수를 저류 가능한 저수부 (貯水部) 와, 흡수성의 재배 상재 (床材) 를 재치 (載置) 가능한 재배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재배 상재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적어도 정면측에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있는 1 개 또는 복수의 재배 용기, 및
    상기 1 개 또는 복수의 재배 용기를 둘러싸도록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게 지지 가능한 프레임 부재를 갖고,
    상기 재배 용기의 외주의 일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 부재의 외주에 상기 돌출부와 끼워 맞춰지는 걸림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재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 용기에는 소정 높이를 초과하는 재배용수를 배수하는 오버플로우관이 일체 형성되어 있는 재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오버플로우관의 하단인 재배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관은 정면에서 보아 연직선에 대해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재배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 용기의 적어도 일방의 측면에 투명한 수위 확인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수위 확인부가 상기 돌출부를 구성하는 재배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 용기는 수지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일체 형성되어 있는 재배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상하의 중심보다 상방으로 변위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의 하방에 상기 재배 상재를 전후 방향으로부터 지지하는 1 쌍의 지지부가 내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재배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 용기의 양 측면에 상기 재배용 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손잡이부가 일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재배 상재의 가로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겸하고 있는 재배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 용기는 상기 정면측과 대향하는 배면측을 갖고, 상기 배면측에 상기 개구부와 대향한 보조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재배 장치.
KR1020147031840A 2012-04-24 2013-04-19 재배 장치 KR201500162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99099A JP5778618B2 (ja) 2012-04-24 2012-04-24 植栽具
JP2012099098A JP5851324B2 (ja) 2012-04-24 2012-04-24 植栽容器
JPJP-P-2012-099098 2012-04-24
JPJP-P-2012-099099 2012-04-24
PCT/JP2013/061590 WO2013161691A1 (ja) 2012-04-24 2013-04-19 植栽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238A true KR20150016238A (ko) 2015-02-11

Family

ID=49457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1840A KR20150016238A (ko) 2012-04-24 2013-04-19 재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059244A1 (ko)
EP (1) EP2842414A4 (ko)
KR (1) KR20150016238A (ko)
CN (2) CN203289950U (ko)
SG (1) SG11201406880XA (ko)
TW (1) TWI520679B (ko)
WO (1) WO20131616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247B1 (ko) * 2020-05-11 2020-11-12 (주)해양생태기술연구소 녹화블록 삽입식 녹화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42414A4 (en) * 2012-04-24 2015-12-16 Suntory Holdings Ltd PLANTING DEVICE
JP5968197B2 (ja) * 2012-11-08 2016-08-10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植栽容器
US9414548B1 (en) * 2013-06-10 2016-08-16 John C. McCreary Stackable sheet formed container, and use, for plant growth, and shipment
JP2015130848A (ja) * 2014-01-15 2015-07-23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植栽ユニット及び植栽具
CA2942416A1 (en) * 2014-03-18 2015-09-24 Heath William BAX Downpipe assembly
EP2929778A1 (en) * 2014-04-07 2015-10-14 Total Packaging Srl An assemblable green wall
US20150313094A1 (en) * 2014-04-30 2015-11-05 Ivan Stojakovic Modular microenvironment tile
GB2525650B (en) * 2014-05-01 2016-09-14 Katani Kourosh A planter device
US9332695B2 (en) * 2014-10-09 2016-05-10 Kee Y. Hwang Modular plant container
PL226238B1 (pl) * 2014-12-22 2017-06-30 Wojciech Gackowski Sposob i system wertykalnej uprawy roslin w doniczkach, urzadzenie do wertykalnej uprawy roslin w doniczkach oraz specjalna doniczka
FR3037771B1 (fr) * 2015-06-26 2018-05-11 Vivien Lafond Dispositif modulaire pour la realisation d'un ensemble de vegetation.
US10182537B1 (en) * 2016-01-14 2019-01-22 Just Greens, Llc Rotomolded vertical farming apparatus and system
CN108718782A (zh) * 2016-03-09 2018-11-02 长乐市丽智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保湿花盆
FR3055182A1 (fr) * 2016-08-24 2018-03-02 Virginie Inizan Dispositif de support de vegetaux et structure d'encadrement pour un tel dispositif
SE542219C2 (en) * 2016-10-13 2020-03-17 Nordgroena Ab Decorative element and aggregate with a vegetative filling
EP3421683A1 (en) * 2017-06-30 2019-01-02 Architectural Supplements LLC Wall covering system
JP6799309B1 (ja) * 2020-08-05 2020-12-16 川田工業株式会社 植栽用容器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緑化工法
CN113079862A (zh) * 2021-04-17 2021-07-09 广州市新茵园林绿化管理有限公司 一种环保立体绿化植物墙
DE102022133264A1 (de) 2022-12-14 2024-06-20 Legat N. Holding GmbH Pflanzmodul für einen hängenden Garten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8781A (en) * 1939-08-03 1941-04-15 Henry T Ritter Ceramic pot
US3867789A (en) * 1973-03-05 1975-02-25 Benjamin D Jacobson Self-locking florist planter
DE8026097U1 (de) * 1980-09-30 1981-01-15 V. L. Smithers Gmbh & Co Kg, 6718 Gruenstadt Steckkoerper fuer blumen, zweige u.dgl.
US5031359A (en) * 1983-11-09 1991-07-16 Moffett Jr F Wesley Garden structur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H0455484Y2 (ko) * 1987-07-13 1992-12-25
JPH03254610A (ja) * 1990-03-05 1991-11-13 Dokoo:Kk 簡易植裁方法及びプランター
US5309846A (en) * 1992-12-31 1994-05-10 3-Dimensional Services Temporary grass playing field
US6526693B2 (en) * 1996-10-16 2003-03-04 Insta-Bed Floral Systems, Inc. Renewable in ground planting apparatu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5953859A (en) * 1996-10-16 1999-09-21 Insta-Bed Floral Systems Rechargeable live planter assembly and method of use thereof
JPH10215687A (ja) * 1997-02-04 1998-08-18 C I Kasei Co Ltd プランターと植物栽培装置
FR2851419B1 (fr) * 2003-02-25 2005-04-01 Prm Dispositif a reserve d'eau pour la culture de surface engazonnee
US6837179B2 (en) * 2003-05-22 2005-01-04 Martti Johannes Sannikka Partitioned cat litter box
JP2005065654A (ja) * 2003-08-28 2005-03-17 Hyper Lab Co Ltd 壁面プランター
JP2005080609A (ja) * 2003-09-10 2005-03-31 Nittetsu Steel Sheet Corp 緑化屋根
JP2006280285A (ja) * 2005-03-31 2006-10-19 Daiwa House Ind Co Ltd 垂直面等の立ち上がり面用の緑化構造及び給水マット
WO2007063815A1 (ja) * 2005-11-30 2007-06-07 Suntory Limited 植物栽培ユニット及び植物栽培容器
JP4940089B2 (ja) * 2006-10-17 2012-05-30 株式会社杉孝 緑化ユニット
JP2008113577A (ja) * 2006-11-01 2008-05-22 Toho Leo Co 壁面緑化パネルと、その緑化パネルを用いた壁面の緑化工法
US7946078B1 (en) * 2007-03-19 2011-05-24 Vanwingerden Alan Starter tray and planting and method using a tray
JP5474285B2 (ja) * 2007-08-21 2014-04-16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植栽容器
CN101945572A (zh) * 2007-12-18 2011-01-12 Pmm霍夫控股有限公司 用于回收大气中水分的设备和方法
PL2323473T3 (pl) * 2008-08-25 2013-09-30 Helix Pflanzen Gmbh Moduł do zazielenienia, moduł wyposażenia jak tez moduł kasetowy dla budowy modularnej do zazielenienia pionowych lub ukośnych ścian
AU2008100918B4 (en) * 2008-09-16 2010-08-05 Gerald Junkeer Container gardening system
WO2010031181A1 (en) * 2008-09-18 2010-03-25 Eco Innovations Inc. Plant propagation and display panel and assembly
TWM367678U (en) * 2008-12-16 2009-11-01 Ke-Dan Ma Structure of flower wall
WO2010082717A1 (en) * 2009-01-15 2010-07-22 Heung-Yeul Cho Fabricated cultivation box and fabricated landscape architecture system
JP2010239878A (ja) 2009-04-02 2010-10-28 Takenaka Komuten Co Ltd 壁面緑化装置
USD623983S1 (en) * 2009-05-22 2010-09-21 Suntory Holdings Limited Indoor and outdoor ornament
CA135324S (en) * 2009-11-10 2011-06-03 Suntory Holdings Ltd Wall-mounting case for holding natural or artificial plants
USD644559S1 (en) * 2009-11-20 2011-09-06 Suntory Holdings Limited Plant cultivating container
JP5679254B2 (ja) * 2009-11-30 2015-03-04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植栽装置、および給水制御方法
JP5368363B2 (ja) * 2010-01-29 2013-12-18 株式会社 アポア 植栽容器
US20130205664A1 (en) * 2010-05-19 2013-08-15 Suntory Holdings Limited Plant cultivation container
US8893431B2 (en) * 2011-05-24 2014-11-25 Ecotech Farm In a Box, LLC Farm in a box
US20130031833A1 (en) * 2011-08-03 2013-02-07 Mackinnon Janet L Modular, pre-vegetated recycled cardboard box system for green roof applications
US8621781B2 (en) * 2011-09-27 2014-01-07 Vijay Singh Hydroponic irrigation system
EP2842414A4 (en) * 2012-04-24 2015-12-16 Suntory Holdings Ltd PLANTING DEVICE
US9572306B2 (en) * 2014-01-17 2017-02-21 Yi-Cheng Chiang Planting box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247B1 (ko) * 2020-05-11 2020-11-12 (주)해양생태기술연구소 녹화블록 삽입식 녹화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406880XA (en) 2014-11-27
WO2013161691A1 (ja) 2013-10-31
EP2842414A1 (en) 2015-03-04
CN203289950U (zh) 2013-11-20
CN103371071B (zh) 2017-03-01
TW201404294A (zh) 2014-02-01
CN103371071A (zh) 2013-10-30
EP2842414A4 (en) 2015-12-16
US20150059244A1 (en) 2015-03-05
TWI520679B (zh)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6238A (ko) 재배 장치
US20080250712A1 (en) Growing container and apparatus
US20080141587A1 (en) Planter container inserts
US20170079217A1 (en) Terrarium
JP6830675B2 (ja) 観賞植物用の鉢集合システム
JP4247498B2 (ja) 壁面用植栽基盤とその製造方法
JP5788366B2 (ja) 給水式プランター装置
JP2001327222A (ja) 花壇システム
JP2007236270A (ja) 茸類の栽培コンテナ
WO2007144117A1 (en) Modular container for bedder germination and/or storage
JP2000201538A (ja) 植物栽培ユニット及び植物栽培ユニット群
CN104871866A (zh) 能够应用于绿化墙上的一体化花箱
JP2000201544A (ja) 育苗用栽培容器
CN209949982U (zh) 一种育苗盘结构
JP2001016990A (ja) 鉢花展示具
KR200480826Y1 (ko) 제단용 꽃 장식대
KR200363010Y1 (ko) 관상용 식물 재배용기
JP3224630U (ja) 植木鉢
KR20110101545A (ko) 시설양묘용 용기받침대
JPH11313555A (ja) 無底の植栽用トレー
CN212936941U (zh) 一种组合育苗装置
JP2011155900A (ja) 水耕栽培用具
JP2000262151A (ja) 植木鉢・プランター
JP2005328786A (ja) きのこ栽培方法とそれに用いるカバー及び差込ブロック
JP3173902U (ja) 植栽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