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6994A -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6994A
KR20150006994A KR1020130080726A KR20130080726A KR20150006994A KR 20150006994 A KR20150006994 A KR 20150006994A KR 1020130080726 A KR1020130080726 A KR 1020130080726A KR 20130080726 A KR20130080726 A KR 20130080726A KR 20150006994 A KR20150006994 A KR 20150006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add
control devic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0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우
최승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0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6994A/ko
Priority to US14/310,958 priority patent/US9434269B2/en
Priority to EP14174082.9A priority patent/EP2823990A3/en
Priority to JP2014141415A priority patent/JP5814433B2/ja
Priority to CN201410328505.0A priority patent/CN104283256A/zh
Publication of KR20150006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9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어셈블리는, 전기 자동차와 전력 공급부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에 결합되는 충전 제어 장치; 상기 충전 제어 장치가 착탈 가능한 메인 거치부; 및 상기 메인 거치부에 결합되는 애드 온 통신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 제어 장치는,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애드 온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는, 상기 충전 제어 장치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와, 전기 자동차의 충전 동작 또는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단말기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CHARGING DEVICE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란, 전기를 사용하여 운행되는 자동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크게 순수 전기 자동차(Batttery Powered Electric Vehicle)와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순수 전기 자동차는, 화석 연료를 이용함 없이 전기만을 사용하여 주행하는 자동차로서,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라 명칭된다. 그리고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는 전기 및 화석 연료를 사용하여 주행하는 차량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전기 자동차에는, 주행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된다. 특히, 순수 전기 자동차 및 플러그인(Plug-in) 타입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는,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이용하여 전기 모터를 구동한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가, 가정 등에 구비된 소켓이 제공하는 상용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때,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가 사용된다.
이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는 전기 자동차에 연결되는 커넥터와, 소켓에 연결되는 플러그와, 이 커넥터와 플러그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전력 선)을 포함한다.
또한, 케이블에 연결되는 충전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이 충전 제어 장치는 케이블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도 있으며, 케이블과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도록 케이블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충전 제어 장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 실외에 놓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안정적인 충전을 위해서는, 충전 제어 장치 자체가 외부 온도, 외부 습도, 진동, 충격 등에 강인한 요구 사항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이 충전 제어 장치는, 사용자에게 충전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소정 색상의 LED를 통해 충전에 관한 정보나 고장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외에서 충전이 이루어 지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충전 제어 장치를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위치까지 접근하여, 충전 상태나 이상 여부를 확인해야만 한다.
이는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으며, 비 또는 눈이 오거나, 기온이 지나치게 높거나 낮은 등, 기상 조건이 안 좋은 경우, 더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충전 관련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거치부를 포함하되, 이들 거치부에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를 이루는 다른 구성 요소들을 탈부착 하는 것이 용이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어셈블리는, 전기 자동차와 전력 공급부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에 결합되는 충전 제어 장치; 상기 충전 제어 장치가 착탈 가능한 메인 거치부; 및 상기 메인 거치부에 결합되는 애드 온 통신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 제어 장치는,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애드 온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는, 상기 충전 제어 장치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와, 전기 자동차의 충전 동작 또는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단말기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 제어 장치가 상기 메인 거치부에 결합된 경우, 상기 메인 거치부의 상기 애드 온 통신부와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의 상기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 제어 장치와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는 적외선 통신을 할 수 있다.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는 상기 메인 거치부에 탈착 가능하며, 상기 메인 거치부에는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가 안착되는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 안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전 제어 장치는 슬라이딩 하여 상기 메인 거치부에 착탈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메인 거치부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 안착부는, 상기 측면부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는 좌우로 연장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 제어 장치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부의 하부에는 제1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 거치부에는 상기 제1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접촉하여 가이드되며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
충전을 위해 전기 자동차에 연결되는 전기 자동차 커넥터와; 상기 메인 거치부의 측면부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기 자동차 커넥터의 거치를 위한 보조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거치부는, 상기 전기 자동차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가능한 커넥터 삽입부와, 상기 케이블이 거치 가능하도록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케이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 제어 장치에 의하면,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의 충전 동작 및 상태를 원거리에서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 제어 장치를 이루는 각각의 구성을 거치대에 탈부착시켜, 용이하게 정리 및 수납 가능하며, 이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시 뿐만 아니라,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도 가능하다.
또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 제어 장치를 이루는 각각의 구성을 거치대에 장착하는 경우, 충전 제어 장치 및 애드 온 통신 장치의 통신부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충전 제어 장치와 애드 온 통신 장치를 결합시키기 이한 별도의 작업이 없이도, 양 구성 요소 사이의 근거리 통신이 용이하게 된다. 예커대, 적외선 통신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드-온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0)은 전기 자동차(100),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 단말 장치(300) 및 소켓(30)을 포함한다.
소켓(30)은 교류(AC)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이다. 상기 소켓(30)을 통해 공급되는 교류 전원은 60Hz의 주파수를 갖는 상용 전원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50Hz 또는 기타 다른 주파수를 갖는 교류 전원이 공급될 수도 있으며, 직류 전원이 공급될 수도 있다.
전기 자동차(100)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를 통해 소켓(30)과 연결되어, 소켓(30)으로부터 전력을 제공받는다.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는, 소켓(30)으로부터의 전력을 전기 자동차(100)에 전달한다.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는, 전기 자동차 커넥터(21), 전력 선(power cable, 케이블)(23), 및 플러그(25), 충전 제어 장치(200), 애드 온 통신 장치(400)를 포함한다.
전기자동차 커넥터(21)는 전력선(23)의 일단에 결합되며, 전기 자동차 인렛(120)에 삽입되어, 전기 자동차 인렛(120)과 결합된다. 상기 전기 자동차 커넥터(21)는 예컨대, SAE J1772 규격을 따를 수 있다.
전력 선(23, power cable)은 전력을 전달한다. 이하 설명하는 케이블과 전력 선은 동일한 구성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플러그(25)는 전력 선(23)의 단부에 결합되며, 소켓(30)에 삽입되어, 소켓(30)과 결합될 수 있다.
충전 제어 장치(200)는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을 통해 획득한 충전 관련 정보를 애드-온 통신 장치(400)에 제공하며, 전기 자동차(100)의 충전을 제어한다. 충전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서는 전력 선(23)과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도록 전력 선(23)과 일체로서 부착될 수 있으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충전 제어 장치(200)는, 외부 온도, 외부 습도, 진동, 충격 등에 강인한 특성을 갖는다. 충전 제어 장치(200)가 유선 통신을 위한 커넥터를 구비하는 경우, 이 커넥터는 금속 단자를 포함하므로, 외부 환경에 취약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충전 제어 장치(200)는 무선으로 애드-온 통신 장치(400)와 통신할 수 있다.
애드-온 통신 장치(400)는 충전 제어 장치(200)와 인접하여 배치되며, 충전 제어 장치(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300)는 상기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충전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하,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도1에 도시된 전기 자동차용 충전 시스템을 이루는 각각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즉, 전기 자동차(100),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 단말 장치(300) 및 소켓(3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블록도이다.
전기 자동차(100)는 배터리(110), 배터리 충전 장치(115), 전기 자동차 인렛(120), 통신부(130), 및 제어부(140)을 포함한다.
배터리(110)는 전기 자동차(100)의 운행을 위한 전력을 전기 자동차(100)에 제공한다.
전기 자동차 인렛(120)은 외부로부터 배터리(110)의 충전을 위한 전력을 받기 위한 커넥터이다. 전기 자동차 인렛(120)은 SAE J1772 규격을 따를 수 있다.
배터리 충전 장치(115)는 전기 자동차 인렛(120)을 통해 제공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110)를 충전한다.
통신부(130)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 또는 단말 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전기 자동차(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를 상세히 설명한다.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는 전기 자동차 커넥터(21), 전력 선(23), 플러그(25), 충전 제어 장치(200), 및 애드 온 통신 장치(40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의 블록도이다. 도3은 충전 제어 장치(200)를 중심으로 하여 도시한 블록도로서, 애드 온 통신 장치(400)의 세부 구성은 생략되어 있다. 먼저 도3을 참조하여, 충전 제어 장치를 중심으로 한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를 설명한 후, 도4를 참조하여, 애드 온 통신 장치(400)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을 참조하면, 충전 제어 장치(200)는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 릴레이(220), 감지부(230), 전기 자동차 통신부(240), 저장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릴레이(220)는 전력 선(23)을 통한 전력의 이송의 차단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릴레이(220)가 턴오프되면, 릴레이(220)는 전력 선(23)을 통한 전력의 이송을 차단한다. 릴레이(220)가 턴온되면, 릴레이(220)는 전력 선(23)을 통한 전력의 이송을 제공한다.
감지부(230)는 후술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감지한다. 특히, 감지부(230)는 전기 자동차(100)에 대한 정보와,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대한 정보 모두를 감지할 수도 있다. 감지부(230)는 전기 자동차(100)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지는 않고,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230)는 릴레이 융착 감지부, 전류 감지부, 내부 온도 감지부, 내부 습도 감지부, 외부 온도 감지부, 외부 습도 감지부, 누전 감지부, 및 단선 감지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융착 감지부는 릴레이(220)의 융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전류 감지부는 전력 선(23)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 내부 온도 감지부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내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내부 습도 감지부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내부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외부 온도 감지부는 충전 제어 장치(200)의 주변의 온도를 감지한다. 외부 습도 감지부는 충전 제어 장치(200)의 주변의 습도를 감지한다. 누전 감지부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누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단선 감지부는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의 단선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통신부(240)는 전기 자동차(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전기 자동차 통신부(240)는 전기 자동차(100)의 통신부(130)와 통신한다. 전기 자동차 통신부(240)와 통신부(130)는 전력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전력 선(23)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 통신부(240)와 통신부(130)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방식, 라디오 주파수 통신(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초광대역통신(UWB, Ultra Wideband), 및 지그비(ZigBee), 디지털 리빙 네트워크 얼라이언스(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저장부(260)는 후술하는 여러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60)는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60)는 충전 제어 장치(210)의 사용 이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260)는 충전 제어 장치(210)의 최종 사용 시각 및 시간 및 누적 사용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후술하는 동작을 포함하여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충전 제어 장치(200)는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를 더 포함한다.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는 애드-온 통신 장치(4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와 애드-온 통신 장치(400)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방식, 라디오 주파수 통신(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초광대역통신(UWB, Ultra Wideband), 및 지그비(ZigBee), 디지털 리빙 네트워크 얼라이언스(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특히,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와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가격을 낮추기 위하여,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와 적외선 수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드-온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애드-온 통신 장치(400)는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 단말 장치 통신부(450), 저장부(460) 및 제어부(470)를 포함한다.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는 충전 제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는 충전 제어 장치(200)의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와 통신한다.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와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방식, 라디오 주파수 통신(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방식, 블루투스(Bluetooth), 초광대역통신(UWB, Ultra Wideband), 및 지그비(ZigBee), 디지털 리빙 네트워크 얼라이언스(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와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가격을 낮추기 위하여,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441)와 적외선 수광 다이오드(442)를 포함할 수 있다.
애드-온 통신 장치(400)가 충전 제어 장치(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인접 배치되는 경우,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441)와 적외선 수광 다이오드(442)의 위치는 충전 제어 장치(200)의 애드온 장치 통신부(210)의 적외선 수광 다이오드와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에 각각 매칭된다.
저장부(460)는 후술하는 여러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460)는 전기 자동차 충전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60)는 충전 제어 장치(210)의 사용 이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460)는 충전 제어 장치(200)의 최종 사용 시각 및 시간 및 누적 사용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470)는 후술하는 동작을 포함하여 애드-온 통신 장치(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애드-온 통신 장치(400)는 충전 제어 장치(200)는 내장된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단말 장치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또는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 단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디지털 TV,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300)는, 애드-온 통신 장치(400)와 비접촉 방식으로 무선 통신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단말 장치(300)는 통신부(310), 입력 장치(320), 제어부(330), 및 디스플레이부(34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단말 장치 통신부(250)와 통신한다.
입력 장치(320)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다. 입력 장치(320)는 터치 스크린, 물리 버튼, 음성 형식의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 단말 장치(300)의 움직임 제스처를 사용자 입력으로 획득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키보드, 마우스, 키패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후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340)는 충전 제어 장치(200)의 충전 동작 및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40)는 충전 제어 장치(200)의 고장 및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조치 사항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340)는 충전 제어 장치(200)의 충전 동작 및 상태에 관한 정보를, 문자나 도형 또는 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각적 표시 방법 또는/및 음향을 포함하는 청각적 표시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7은 도6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40)는, 앞서 설명한,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와, 메인 거치부(500)와, 서브 거치부(600)를 포함한다.
그런데,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가 전기 자동차 커넥터(21), 전력 선(power cable)(23), 및 플러그(25), 충전 제어 장치(200), 애드 온 통신 장치(400)를 포함하므로,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40)는, 전기 자동차 커넥터(21), 전력 선(power cable)(23), 및 플러그(25), 충전 제어 장치(200), 애드 온 통신 장치(400), 메인 거치부(500) 및 서브 거치부(600)를 포함하는 것이 된다.
이 중 전기 자동차 커넥터(21), 전력 선(power cable)(23), 및 플러그(25), 충전 제어 장치(200), 애드 온 통신 장치(400)의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상기 충전 제어 장치(200)와 애드 온 통신 장치(400)의 형상을 간단히 설명한 후, 메인 거치부(500)와 서브 거치부(600)의 구성을 위주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충전 제어 장치(200)는 양 단부에 케이블이 연결되며, 내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애드 온 장치 통신부(210), 릴레이(220), 감지부(230), 전기 자동차 통신부(240), 저장부(260) 등이 구비된다. 이 중 애드 온 장치 통신부(21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표면에 가깝게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애드 온 충전 장치(400)의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에 가깝게 배치된다.
상기 애드 온 충전 장치(400)는 대략 'ㄷ'자 형상을 갖는다. 즉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부(401)와, 상기 중앙부(401)의 좌우 양단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사이드부(402)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애드 온 충전 장치(400)의 내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착 체크 요청 신호 생성부(410), 부착 체크부(420),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 단말 장치 통신부(450), 저장부(460) 및 제어부(470)가 구비된다. 이 중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는 일측 표면에 가깝게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 제어 장치(200)의 애드 온 장치 통신부(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애드 온 장치 통신부(21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예컨대, 상기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는 애드 온 충전 장치(400)의 중앙부(401)의 중앙 근방에서 후방쪽 외측면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거치부(500)는 저면부(510)와, 측면부(521, 522, 523)와, 애드 온 통신 장치 안착부(531, 532)와, 충전 제어 장치 수용부(540)를 포함한다.
상기 저면부(510)는 대략 판상의 부재로 형성되며,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측면부(521, 522, 523)는 상기 저면부(51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측면부(521, 522, 523)는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측면부(521)와, 좌우 양 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좌우 측면부(522)와,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측면부(5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후방 측면부(521), 좌우 측면부(522) 및 전방 측면부(523)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연장될 수 있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후방 측면부(521)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고, 좌우 측면부(522) 및 전방 측면부(523)의 높이는 상대적으로 낮다.
애드 온 통신 장치 안착부(531, 532)는 제1 애드 온 통신 장치 안착부(531)와, 제2 애드 온 통신 장치 안착부(5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애드 온 통신 장치 안착부(531)는 전단의 좌우 양 단부에 한 쌍이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좌우 측면부(522)가 각각 전방 측면부(523)와 만나는 지점에 구비된다. 상기 제1 애드 온 통신 장치 안착부(531)는 내측을 향해 단차진 형상을 가지며, 이 단차진 부분에 애드 온 통신 장치(400)의 전방 좌우의 모서리 부분이 위치하게 된다.
제2 애드 온 통신 장치 안착부(532)는 상기 후방 측면부(521)의 일부가 오목하게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 애드 온 통신 장치 안착부(532)에는 애드 온 통신 장치(400)의 후방 단부가 삽입된다.
통신 제어 장치 수용부(540)는, 저면부(510)와 측면부(521, 522, 523)에 의해 둘러 싸인 내부 공간이 된다.
한편, 상기 좌우 측면부(522)의 외측에는 서브 거치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 거치부(600)에는, 상기 전기 자동차 커넥터(21)가 삽입 가능한 커넥터 삽입부(610)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 삽입부(610)의 개구부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서브 거치부(600)에는 케이블 거치부(6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거치부(620)는 전방을 향해 돌출되다가 상부를 향해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블 거치부(620)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23)이 말려 거치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의 작용을 설명한다.
전기 자동차의 사용자가 전기 자동차의 구매시, 케이블(23)과, 케이블(23)에 부착되는 전기 자동차 커넥터(25) 및 충전 제어 장치(200)는 필수로 소유하게 되나, 단말기(300), 애드 온 통신 장치(400), 메인 거치부(500), 및 서브 거치부(6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구매하여 소유할 수도 있으며, 구매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차량의 충전 동작 및 상태에 관한 정보를 원거리에서도 단말기(300)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단말기(300), 애드 온 통신 장치(400), 메인 거치부(500) 및 서브 거치부(600)를 별도 구매하여, 이를 상기 충전 제어 장치(200)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나, 이를 원치 않는 사용자는 추가 장비의 구매 없이 직접 충전 제어 장치(200) 가까이에 가서 육안으로 충전 제어 장치(200)에 표시되는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는 충전 제어 장치(200)와 애드 온 통신 장치(400) 사이의 통신은, 비교적 저렴한 장비, 예컨대 적외선 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해 구현 가능하고, 애드 온 통신 장치(400)와 단말기(300) 사이의 통신은 비교적 고비용의 통신 장치를 통해 구현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충전 제어 장치(200)의 제조 판매 시, 애드 온 통신 장치(4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구성 요소를 포함시켜도, 가격 상승이 그다지 이루어 지지 않으므로, 이 기능의 구현을 위한 부품들을 필수적으로 내장시키되, 단말기(300)와의 통신을 위한 상대적으로 고가의 부품들은 내장시키지 않고, 이러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만이 후발적으로 애드 온 통신 장치(400)를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비싼 비용을 지불하고 싶지 않은 소비자는 애드 온 통신 장치(400) 없이 전기 자동차의 충전이 가능하며, 다소 비싼 비용을 지불하더라도 원거리에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상태 및 동작을 확인하기를 원하는 사용자는 애드 온 통신 장치(400) 및 단말기(300)를 구매하여 원하는 기능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가, 단말기(300), 애드 온 통신 장치(400), 메인 거치부(500), 및 서비 거치부(600) 등을 구매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은 메인 거치부(500) 및 서브 거치부(600)는 차량을 주차하는 지점에 가까이 설치 할 수 있다. 예컨대, 차고의 내벽에 부착될 수 있으며, 주차장에 인접한 건물의 외벽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거치부(500) 및 서브 거치부(600)의 장착을 위한 별도의 스탠드 형 구조물을 만들어 넣고, 그 스탠드 형 구조물에 장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상기 메인 거치부(500) 및 서브 거치부(600)는 상용 전원을 공급 가능한 전원 공급부 근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콘센트 일 수 있다.
사용자는 케이블(25)의 일 단부에 구비된 플러그(25)를 전원 공급부인 콘센트(30)에 연결시키고, 전기 자동차 커넥터(21)를 전기 자동차에 연결시켜,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행할 수 있다.
충전이 이루어지는 동안, 충전 제어 장치(200)와, 애드 온 통신 장치(400)는 모두 메인 거치부(500)에 장착시켜 놓을 수 있다.
애드 온 통신 장치(400)는 메인 거치부(500)의 애드 온 통신 장치 안착부(531, 532)에 안착된다. 후방 단부를 제2 애드 온 통신 장치 안착부(532)에 삽입 한 채, 전방 단부 근방의 좌우 양측 모서리를 상기 제1 애드 온 통신 장치 안착부(531)에 안착시킨다. 이 때,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400)는 메인 거치부(5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충전 제어 장치(200)를 메인 거치부(500)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충전 제어 장치(200)는 메이 거치부(500)의 측면부(521, 522, 523) 내부를 슬라이딩 하며 하방으로 이동하여, 충전 제어 장치 수용부(540)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충전 제어 장치(200)는, 대략 'ㄷ'자 형상을 갖는 애드 온 통신 장치(400)에 의해 둘러 싸인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위치한다.
한편, 상기 충전 제어 장치(200)와 애드 온 통신 장치(400)가 거치부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 충전 제어 장치(200)의 애드 온 장치 통신부(210)와,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400)의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인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충전 제어 장치(200) 내부에서 상기 애드 온 장치 통신부(210)는 외측면에 가깝도록, 즉 애드 온 충전 장치(400)에 가깝도록 배치되며, 상기 애드 온 충전 장치(400) 내부에서 상기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는 상기 충전 제어 장치(200)에 가깝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충전 제어 장치(200)를 상기 거치부(500)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충전 제어 장치(200)와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400)를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없이도, 충전 제어 장치(200)와 애드 온 통신 장치(400)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를 만들 수 있게 된다. 즉, 충전 제어 장치(200)와 애드 온 통신 장치(400)적외선 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 커넥터(21)를 전기 자동차에, 플러그(25)를 전원 공급 부(30)에 각각 연결 시킨 다음, 통신 제어 장치(200)를 메인 거치부(500)에 거치 시킨 후, 실내에서 또는 멀리 떨어진 다른 위치에, 단말기(300)를 통해 차량의 충전 동작 및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전기 자동차 커넥터(21)를 보조 거치부(600)의 삽입부(610) 내부에 삽입하여 보관하고, 케이블(23)은 말아서 케이블 거치부(620)에 걸어 놓은 채 보관을 할 수 있게 되어, 장비의 깔끔한 정리 및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블 통과부(521, 531)의 폭은 상기 케이블(23)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거치부(500)의 양 측면부(510) 사이의 폭은, 상기 충전 제어 장치(200)의 좌우 폭과 거의 동일하거나, 그 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50)는, 앞서 설명한,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20)에 더하여, 메인 거치부(700)와, 서브 거치부(600)를 포함한다.
다른 구성은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충전 제어 장치(200)와 애드 온 통신 장치(400)의 형상을 간단히 설명한 후, 메인 거치부(700)와 서브 거치부(600)의 구성을 위주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충전 제어 장치(200)는 양 단부에 케이블이 연결되며, 내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애드 온 장치 통신부(210), 릴레이(220), 감지부(230), 전기 자동차 통신부(240), 저장부(260) 등이 구비된다. 이 중 애드 온 장치 통신부(210)는 외측 표면에 가깝게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애드 온 충전 장치(400)의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에 가깝게 배치된다.
상기 애드 온 충전 장치(400a)는 대략 'ㄷ'자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애드 온 충전 장치(400a)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부(401a)와, 상기 중앙부(401a)의 좌우 양단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사이드부(402a)를 포함한다. 또한, 사이드부(402a)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 가이드부(450a)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이드부(450a)는 사이드부(402a)의 하부로 돌출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때, 상기 애드 온 충존 장치(400a)의 내부에는,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a)가 구비된다. 이 중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a)는 일측 표면에 가깝게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 제어 장치(200)의 애드 온 장치 통신부(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애드 온 장치 통신부(21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예컨대, 상기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a)는 애드 온 충전 장치(400a)의 중앙부(401a)의 중앙 근방에서 후방쪽 외측면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메인 거치부(700)는, 저면부(710)와, 상기 저면부(710)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측면부(721, 522, 523)와, 애드 온 통신 장치(400)가 수용되는 애드 온 통신 장치 안착부(730)와, 충전 제어 장치가 수용되는 충전 제어 장치 수용부(740)와, 제2 가이드부(750)를 포함한다.
상기 저면부(710)는 대략 편평한 판 형상을 갖는다. 저면부(710)에는 케이블 통과부(721)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블 통과부(721)는 저면부(710)가 일측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측면부(721, 522, 523)는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측면부(721)와, 좌우 양 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좌우 측면부(722)와,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측면부(7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후방 측면부(721), 좌우 측면부(722) 및 전방 측면부(723)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연장될 수 있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후방 측면부(721)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고, 좌우 측면부(722) 및 전방 측면부(723)의 높이는 상대적으로 낮다.
애드 온 통신 장치 안착부(730)는 저면부(710) 또는 측면부(721, 522, 523) 가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방 측면부(721)의 중간 일부가 후방을 향해 함몰되어 애드 온 통신 장치 안착부(730)를 형성한다.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 안착부(730)에는 애드 온 통신 장치(400)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이동하며 끼워져 결합된다.
통신 제어 장치 수용부(740)는, 저면부(710)와 측면부(721, 522, 523)에 의해 둘러쌓인 내부 공간이 된다.
제2 가이드부(750)는 상기 통신 제어 장치(200)가 메인 거치부(700)에 슬라이딩하여 결합될 때, 통신 제어 장치(200)의 슬라이딩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통신 제어 장치(20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가이드부(750)는 상기 통신 제어 장치(200)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가이드부(750)는 애드 온 통신 장치(400)에 구비되는 제1 가이드부(450)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한다.
상기 제2 가이드부(750)는 상기 좌우 측면부(722)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가이드부(440)는 상기 제2 가이드부(750)의 좌우 방향 외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가이드부(750)의 좌우 방향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부(440) 및 제2 가이드부(750)가 각각 한 쌍이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제1 가이드부(440)는 제2 가이드부(750)의 외측에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제1 가이드부(440)는 제2 가이드부(70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400)의 탈부착시, 상기 제1 가이드부(440)와 상기 제2 가이드부(700)는 서로 접촉하며 슬라이딩 된다.
한편, 상기 좌우 측면부(722)의 외측에는 서브 거치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 거치부(600)에는, 상기 전기 자동차 커넥터(21)가 삽입 가능한 커넥터 삽입부(610)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 삽입부(610)의 개구부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서브 거치부(600)에는 케이블 거치부(6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거치부(620)는 전방을 향해 돌출되다가 상부를 향해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블 거치부(620)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23)이 말려 거치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의 작용을 설명한다.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 기본 작동 원리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메인 거치부(700)와, 충전 제어 장치(200) 및 애드 온 통신 장치(400)의 결합 관계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사용자는 케이블(25)의 일 단부에 구비된 플러그(25)를 전원 공급부인 콘센트(30)에 연결시키고, 전기 자동차 커넥터(21)를 전기 자동차에 연결시켜,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행할 수 있다.
충전이 이루어지는 동안, 충전 제어 장치(200)와, 애드 온 통신 장치(400)는 모두 메인 거치부(700)에 장착시켜 놓을 수 있다.
상기 충전 제어 장치(200)와,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400)는 모두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메인 거치부(700)에 착탈된다. 장착 될 때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며, 분리될 때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400)가, 도9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8에 도시된 상태로 이동할 때, 애드 온 통신 장치(40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며, 애드 온 통신 장치(400)의 후단 일부는 애드 온 통신 장치 안착부(730) 내부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400)를 결합 시킨 후에는, 상기 충전 제어 장치(200)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켜, 메인 거치부(700)에 결합시킨다. 이 과정에서 케이블은 저면부(710)에 형성된 케이블 통과부(711)로 삽입된다. 충전 제어 장치(200)는 메인 거치부(700)와 결합 시, 충전 제어 장치(200) 수용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충전 제어 장치(200)와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400)가 각각 상기 충전 제어 장치 수용부와 애드 온 통신 장치 안착부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충전 제어 장치(200)의 애드 온 장치 통신부(210)와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400)의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440)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인접 배치된다. 따라서, 적외선 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충전 제어 장치를 메인 거치부에 간단히 거치시키는 것 만으로도, 애드 온 통신 장치와 근접 통신 가능한 상태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즉, 애드 온 통신 장치를 상기 충전 제어 장치에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과정이 필요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 커넥터(21)를 전기 자동차에, 플러그(25)를 전원 공급 부(30)에 각각 연결 시킨 다음, 통신 제어 장치(200)를 메인 거치부(700)에 거치 시킨 후, 실내에서 또는 멀리 떨어진 다른 위치에, 단말기(300)를 통해 차량의 충전 동작 및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전기 자동차 커넥터(21)를 보조 거치부(600)의 삽입부(610) 내부에 삽입하여 보관하고, 케이블(23)은 말아서 케이블 거치부(620)에 걸어 놓은 채 보관을 할 수 있게 되어, 장비의 깔끔한 정리 및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도10은 도8과 비교하여, 케이블이 연결되는 측면만을 바꾼 것이다.
케이블(23)은 충전 제어 장치(200)의 양 쪽 단부에 각각 대칭이 되게 결합될 수도 있지만,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측면과, 이에 수직한 다른 한 측면에 각각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저면부(710)에 구비되는 케이블 통과부(711)가 생략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20: 전기 자동차 충전 케이블 어셈블리
21: 전기 자동차 커넥터 23: 케이블(전력 선)
25: 플러그 30: 소켓
40: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어셈블리
100: 전기 자동차 110: 배터리
115: 배터리 충전 장치 120: 전기 자동차 인렛
130: 통신부 200: 충전 제어 장치
210: 애드 온 장치 통신부 220: 릴레이
230: 감지부 240: 전기 자동차 통신부
260: 저장부 270: 제어부
300: 단말 장치 310: 통신부
320: 입력 장치 330: 제어부
340: 디스플레이부 400, 400a: 애드 온 통신 장치
401, 401a: 중앙부 402, 402a: 사이드부
450a: 제1 가이드부 440: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
460: 저장부 470: 제어부
500: 메인 거치부 510: 저면부
521: 후방 측면부 522: 좌우 측면부
523: 전방 측면부 531: 제1 애드 온 통신 장치 안착부
532: 제2 애드 온 통신 장치 안착부
540: 충전 제어 장치 수용부 600: 서브 거치부
610: 커넥터 삽입부 620: 케이블 거치부
700: 메인 거치부 710: 저면부
711: 케이블 통과부 721: 후방 측면부
722: 좌우 측면부 723: 전방 측면부
730: 애드 온 통신 장치 안착부 740: 충전 제어 장치 수용부
750: 제2 가이드부

Claims (9)

  1. 전기 자동차와 전력 공급부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에 결합되는 충전 제어 장치;
    상기 충전 제어 장치가 착탈 가능한 메인 거치부; 및
    상기 메인 거치부에 결합되는 애드 온 통신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 제어 장치는,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애드 온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는,
    상기 충전 제어 장치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와,
    전기 자동차의 충전 동작 또는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단말기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 제어 장치가 상기 메인 거치부에 결합된 경우, 상기 메인 거치부의 상기 애드 온 통신부와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의 상기 충전 제어 장치 통신부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 장치와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는 적외선 통신을 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는 상기 메인 거치부에 탈착 가능하며,
    상기 메인 거치부에는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가 안착되는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 안착부가 구비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 장치는 슬라이딩 하여 상기 메인 거치부에 착탈 가능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거치부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 안착부는, 상기 측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애드 온 통신 장치는
    좌우로 연장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 제어 장치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부 사이에 위치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부의 하부에는 제1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 거치부에는 상기 제1 가이드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접촉하여 가이드되며 슬라이딩 가능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
  8. 제3항에 있어서,
    충전을 위해 전기 자동차에 연결되는 전기 자동차 커넥터와;
    상기 메인 거치부의 측면부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기 자동차 커넥터의 거치를 위한 보조 거치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거치부는,
    상기 전기 자동차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가능한 커넥터 삽입부와,
    상기 케이블이 거치 가능하도록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케이블 거치부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
KR1020130080726A 2013-07-10 2013-07-10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 KR2015000699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726A KR20150006994A (ko) 2013-07-10 2013-07-10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
US14/310,958 US9434269B2 (en) 2013-07-10 2014-06-20 Charging device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EP14174082.9A EP2823990A3 (en) 2013-07-10 2014-06-26 Charging device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JP2014141415A JP5814433B2 (ja) 2013-07-10 2014-07-09 電気自動車用充電装置アセンブリ
CN201410328505.0A CN104283256A (zh) 2013-07-10 2014-07-10 用于电动车辆的充电设备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726A KR20150006994A (ko) 2013-07-10 2013-07-10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994A true KR20150006994A (ko) 2015-01-20

Family

ID=50981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726A KR20150006994A (ko) 2013-07-10 2013-07-10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34269B2 (ko)
EP (1) EP2823990A3 (ko)
JP (1) JP5814433B2 (ko)
KR (1) KR20150006994A (ko)
CN (1) CN10428325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43502B2 (en) * 2015-04-15 2017-05-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to monitor an on-vehicle battery charger
CN105564580B (zh) * 2016-02-05 2019-09-24 永安行科技股份有限公司 电动助力自行车及其多功能联接器
US10525907B2 (en) * 2017-01-04 2020-01-07 Chargepoint, Inc. Cable clamp for a charging cable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KR102621228B1 (ko) * 2018-11-07 2024-01-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무선충전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DE102020104736A1 (de) * 2020-02-24 2021-08-26 Audi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umfassend eine Ladeeinrichtung
CN113119782B (zh) * 2021-05-25 2022-08-02 新疆农业大学 一种可移动式新能源汽车充电桩
US20230018577A1 (en) * 2021-07-19 2023-01-19 Christopher Naychuk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cabinet
CN117301920B (zh) * 2023-11-16 2024-04-05 深圳市鸿嘉利新能源有限公司 一种光储充检***的主动式防撞充电桩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1555A (ja) 1996-12-10 1998-06-26 Yazaki Corp 携帯端末充電ユニットの充電用端子部構造
JP4190307B2 (ja) 2003-02-21 2008-12-03 株式会社エネゲート 通信端局付き電力量計
JP5177664B2 (ja) 2008-09-05 2013-04-0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の充電システム
US8729857B2 (en) 2008-10-15 2014-05-2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data transfer to a vehicle and for charging said vehicle
US8054039B2 (en) 2008-12-19 2011-11-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a plug-in electric vehicle
US10189359B2 (en) 2009-02-17 2019-01-29 Chargepoint, Inc. Transmitting notification messages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network
JP2012105375A (ja) 2010-11-05 2012-05-31 Panasonic Corp 電気自動車用充電装置のモジュール
JP5756901B2 (ja) 2011-04-21 2015-07-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充電制御システム
JP5891433B2 (ja) 2011-05-18 2016-03-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車両用充電スタンド
US9610851B2 (en) 2011-07-19 2017-04-04 Siemens Industry, Inc. System for flexible electrical and mechanical installa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23990A2 (en) 2015-01-14
US20150015201A1 (en) 2015-01-15
CN104283256A (zh) 2015-01-14
JP2015019572A (ja) 2015-01-29
JP5814433B2 (ja) 2015-11-17
US9434269B2 (en) 2016-09-06
EP2823990A3 (en) 2015-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6994A (ko)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
JP5785221B2 (ja) ケーブル一体型充電制御装置に取り付けられるアドオン通信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JP5969646B2 (ja) ケーブル設置型充電制御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US10391923B2 (en) Automotive exterior lamp assembly with charge port
KR101820994B1 (ko)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204441927U (zh) 车载多功能充电器
KR20160031809A (ko)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JP2016063738A (ja) ケーブル設置型充電制御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KR101821008B1 (ko)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KR101779637B1 (ko)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6158874B2 (ja) ケーブル設置型充電制御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KR101769648B1 (ko) 케이블 일체형 충전 제어 장치에 부착되는 애드-온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TW201446564A (zh) 汽車、應用於汽車上之車載輔助系統及車載輔助裝置
KR101769647B1 (ko)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어셈블리
CN105717400A (zh) 便携式充电桩检测装置
KR101501873B1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08278A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08276A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120008A (ko) 전기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및 구동방법
KR20150108139A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20166714A (ja) 提示システム、提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108279A (ko) 케이블 설치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2044342A (ja) 携帯型車両用充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