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7178A - 구리 미립자 분산액, 도전막 형성 방법 및 회로 기판 - Google Patents

구리 미립자 분산액, 도전막 형성 방법 및 회로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7178A
KR20140107178A KR1020147009076A KR20147009076A KR20140107178A KR 20140107178 A KR20140107178 A KR 20140107178A KR 1020147009076 A KR1020147009076 A KR 1020147009076A KR 20147009076 A KR20147009076 A KR 20147009076A KR 20140107178 A KR20140107178 A KR 20140107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rsion
copper
dispersion medium
copper fine
fine p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9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3024B1 (ko
Inventor
유이치 카와토
유스케 마에다
토미오 쿠도
Original Assignee
이시하라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어플라이드 나노테크 홀딩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하라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어플라이드 나노테크 홀딩스, 인크. filed Critical 이시하라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7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0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2Electrically conductive in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8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non-macromolecular additives other than solvents, pigments or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00Use of substances as emulsifying, wetting, dispersing, or foam-producing ag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01B1/026Alloys based on copp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66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01L23/49883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the conductive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materials or pastes, e.g. for thick fil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9Use of materials for the conductive, e.g. metallic pattern
    • H05K1/092Dispersed materials, e.g. conductive pastes or in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9Use of materials for the conductive, e.g. metallic pattern
    • H05K1/092Dispersed materials, e.g. conductive pastes or inks
    • H05K1/095Dispersed materials, e.g. conductive pastes or inks for polymer thick films, i.e. having a permanent organic polymeric bind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9Use of materials for the conductive, e.g. metallic pattern
    • H05K1/092Dispersed materials, e.g. conductive pastes or inks
    • H05K1/097Inks comprising nanoparticles and specially adapted for being sintered at low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5Patterning and lithography; Masks; Details of resist
    • H05K2203/0502Patterning and lithography
    • H05K2203/0514Photodevelopable thick film, e.g. conductive or insulating pas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Metal Powder And Suspensions Thereof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Parts Pri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Abstract

액적으로서의 토출에 적합한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제공한다. 구리 미립자 분산액은, 구리 미립자와, 이 구리 미립자를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분산매와, 이 구리 미립자를 상기 분산매 속에서 분산시키는 적어도 1종의 분산제를 갖는다. 구리 미립자는, 중심 입자 지름이 1nm 이상 100nm 미만이다. 분산매는, 150℃ 내지 250℃의 범위 내의 비점을 갖는 극성 분산매이다. 이에 의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은, 액적으로서 토출하는 경우, 분산매의 건조에 의한 토출 부분의 막힘이 방지되고, 비점이 높은 데 비해 점도가 낮고, 액적으로서의 토출에 적합하다.

Description

구리 미립자 분산액, 도전막 형성 방법 및 회로 기판{COPPER PARTICLE DISPERSION, CONDUCTIVE FILM FORMATION METHOD, AND CIRCUIT SUBSTRATE}
본 발명은, 구리 미립자 분산액, 그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전막 형성 방법, 및 그 도전막 형성 방법을 사용하여 생산되는 회로 기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구리박(銅箔)으로 이루어지는 회로를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해 기판 위에 형성한 프린트 기판이 있다. 포토리소그래피는, 구리박을 에칭하는 공정을 갖고, 에칭으로 발생되는 폐액의 처리 등에 비용이 든다.
에칭을 필요로 하지 않는 기술로서, 구리 미립자(구리 나노 입자)를 분산매(分散媒)속(매체속)에 분산시킨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잉크젯 프린터로부터 액적(液滴)으로서 기판 위에 토출하여 회로를 형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방법에서는, 액적의 토출에 의해 기판 위에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피막이 형성되고, 피막이 건조된 후, 노광에 의해 피막 내의 구리 미립자가 용융되어, 피막이 도전성으로 된다. 구리 미립자 분산액은, 액적으로서 토출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점도가 20mPa·s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되어 있다.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피막의 건조는, 기판이 수지제이어도 열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실온 또는 150℃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여 실시된다. 건조 후에 잔류되는 분산매의 저감을 도모하기 위해, 분산매는, 비점이 150℃ 미만의 것이 선택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리 미립자 분산액은, 분산매의 비점이 낮기 때문에 과도하게 건조되기 쉽고, 액적으로서 토출하는 부분이 구리 미립자로 막히기 쉽다. 한편, 분산매의 비점을 높게 하면, 점도가 높아지는 경우가 있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액적으로서 토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특허문헌 1 :미국 특허출원 제US2008/0286488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액적으로서의 토출에 적합한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리 미립자 분산액은, 구리 미립자와, 상기 구리 미립자를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분산매와, 상기 구리 미립자를 상기 분산매 속에서 분산시키는 적어도 1종의 분산제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구리 미립자는, 중심 입자 지름이 1nm 이상 100nm 미만이며, 상기 분산매는, 150℃ 내지 250℃의 범위 내의 비점을 갖는 극성 분산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적어도 1개의 산성 관능기를 갖는 분자량이 200 이상 100000 이하의 화합물 또는 그 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에 있어서, 상기 극성 분산매는, 프로톤성 분산매 및 비유전률(比誘電率)이 30 이상인 비(非)프로톤성 극성 분산매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에 있어서, 상기 프로톤성 분산매는, 1개의 히드록실기를 갖는 탄소수가 5 이상 30 이하의 직쇄 또는 분기쇄 형상의 알킬 화합물 혹은 알케닐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에 있어서, 상기 프로톤성 분산매는, 2개 이상 6개 이하의 히드록실기를 갖는 탄소수가 2 이상 30 이하의 직쇄 또는 분기쇄 형상의 알킬 화합물 혹은 알케닐 화합물이어도 된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에 있어서, 상기 프로톤성 분산매는, 1개 이상 10개 이하의 에테르 결합을 가져도 된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에 있어서, 상기 프로톤성 분산매는, 1개 이상 5개 이하의 카르보닐기를 가져도 된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에 있어서, 상기 비프로톤성 극성 분산매는,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γ-부티롤락톤,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및 프로필렌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의 산성 관능기는, 인산기, 포스폰산기, 술폰산기, 황산기 및 카르복실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전막 형성 방법은, 상기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액적으로서 물체 표면에 토출하여, 그 구리 미립자 분산액으로 이루어지는 피막을 물체 표면에 형성하는 공정과, 형성된 상기 피막을 건조하는 공정과, 건조된 상기 피막에 광(光)을 조사하는 광소성(光燒成)에 의해 도전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회로 기판은, 상기 도전막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된 도전막을 갖는 회로를 기판 위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리 미립자 분산액에 의하면, 구리 미립자의 입경이 작고, 분산제를 가지므로, 구리 미립자는, 분산매 분자로 표면이 덮여 분산매 속에 분산된다. 분산매의 비점을 150℃ 이상으로 하였으므로,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액적으로서 토출하는 경우, 분산매의 건조에 의한 토출 부분의 막힘이 방지된다. 분산매의 비점을 250℃ 이하로 하였으므로,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토출하여 형성한 피막을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다. 또한, 분산매를 극성 분산매로 하였으므로, 비점이 높은 데 비해 점도가 낮고, 구리 미립자 분산액은, 액적으로서의 토출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설명한다. 구리 미립자 분산액은, 구리 미립자와, 이 구리 미립자를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분산매와, 적어도 1종의 분산제를 갖는다. 분산제는, 구리 미립자를 분산매 속에서 분산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리 미립자는, 중심 입자 지름이 1nm 이상 100nm 미만의 구리의 입자이다. 분산매는, 150℃ 내지 250℃의 범위 내의 비점을 갖는 극성 분산매로 하고 있다. 극성 분산매는, 프로톤성을 갖거나, 비프로톤성의 경우는 비유전률이 30 이상이다. 분산제는, 분자량이 200 이상 100000 이하의 화합물 또는 그 염이며, 적어도 1개의 산성 관능기를 갖는다.
이 구리 미립자는, 중심 입자 지름이 1nm 이상 100nm 미만의 구리의 입자이며, 동일 중심 입자 지름의 것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 종류 이상의 중심 입자 지름을 갖는 것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중심 입자 지름이 100nm 이상이면, 입자의중량이 커지기 때문에 분산 안정성이 좋지 않다.
구리 미립자의 농도는, 구리 미립자 분산액에 대하여 1중량% 이상 80중량% 이하이다. 구리 미립자의 농도가 1중량% 미만이면 도전막을 형성하는데 충분한 구리 미립자량을 얻지 못하고, 80중량%를 넘으면 구리 미립자가 너무 많기 때문에 분산 안정성이 좋지 않다.
이 프로톤성 분산매는, 1개의 히드록실기를 갖는 탄소수가 5 이상 30 이하의 직쇄 또는 분기쇄 형상의 알킬 화합물 혹은 알케닐 화합물이다. 이 프로톤성 분산매는, 1개 이상 10개 이하의 에테르 결합을 가져도 되고, 1개 이상 5개 이하의 카르보닐기를 가져도 된다. 탄소수가 4 이하이면, 분산매의 극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구리 미립자의 분산 효과는 얻을 수 있지만, 구리 미립자의 분산매 속으로의 용출(부식)이 발생되어, 분산 안정성이 좋지 않다. 탄소수가 30을 넘으면 분산매의 극성이 저하되어, 분산제를 용해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프로톤성 분산매로서는, 예를 들면, 3-메톡시-3-메틸부탄올,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tert-부틸에테르, 2-옥타놀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톤성 분산매는, 2개 이상 6개 이하의 히드록실기를 갖는 탄소수가 2이상 30 이하의 직쇄 또는 분기쇄 형상의 알킬 화합물 혹은 알케닐 화합물이어도 된다. 이 프로톤성 분산매는, 1개 이상 10개 이하의 에테르 결합을 가져도 되고, 1개 이상 5개 이하의 카르보닐기를 가져도 된다.
이러한 프로톤성 분산매로서는, 예를 들면, 2-메틸펜탄-2,4-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5-펜탄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소르비톨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유전률이 30 이상인 비프로톤성 극성 분산매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카보네이트,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헥사메틸포스포라미드, N-메틸피롤리돈, N-에틸피롤리돈, 니트로벤젠, N,N-디에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푸르푸랄, γ-부티롤락톤, 에틸렌술파이트, 술포란, 디메틸술폭시드, 석시노니트릴, 에틸렌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극성 분산매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2 종류 이상을 적당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 분산제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산성 관능기를 갖는 분자량 200 이상 100000 이하의 화합물 또는 그 염이다. 분산제의 산성 관능기는, 산성, 즉, 프로톤 공여성을 갖는 관능기이며, 예를 들면, 인산기, 포스폰산기, 술폰산기, 황산기 및 카르복실기이다.
이러한 분산제를 사용하는 경우,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2 종류 이상을 적당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분산제의 농도는, 구리 미립자 분산액에 대하여 0.5중량% 이상 50중량% 이하이다. 분산제의 농도가 0.5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분산 효과를 얻지 못하고, 50중량%를 넘으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인쇄법에 이용한 경우에 인쇄 특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구리 미립자 분산액에는, 용도에 따라 점도 조정제, 레벨링제, 표면 조정제, 소포제, 방식제, 수지 성분, 광소성 조정제 등을 분산 안정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추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합된 구리 미립자 분산액에 의하면, 구리 미립자의 입경이 작고, 분산제를 가지므로, 구리 미립자는, 분산매 분자로 표면이 덮여 분산매 속에 분산된다. 분산매의 비점을 150℃ 이상으로 하였으므로,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액적으로서 잉크젯 프린터 등으로부터 액적으로서 토출하는 경우, 분산매의 건조에 의한 토출 부분의 막힘이 방지된다. 분산매의 비점을 250℃ 이하로 하였으므로,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토출하여 형성한 피막을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다. 또한, 분산매를 극성 분산매로 하였으므로, 비점이 높은 데 비해 점도가 낮고, 구리 미립자 분산액은, 액적으로서의 토출에 적합하다.
분산제가 산성 관능기를 갖고, 분산매가 극성 분산매이므로, 분산제는 분산매와의 상용성(相溶性)을 갖는다. 이 때문에, 분산제 분자로 표면이 덮인 구리 미립자는, 분산매 속에 분산된다.
분산매가 프로톤성 분산매인 경우, 분산매 분자간의 수소결합에 의해 비점이 높아지고, 비점이 높은 데 비해 점도가 낮아, 구리 미립자 분산액은, 액적으로서의 토출에 적합하다.
프로톤성 분산매는, 에테르 결합이나 카르보닐기를 갖는 경우, 극성이 커지므로 비점이 높아지고, 비점이 높은 데 비해 점도가 낮아, 구리 미립자 분산액은, 액적으로서의 토출에 적합하다.
분산매가 비유전률이 30 이상인 비프로톤성 극성 분산매인 경우, 비유전률이 높기 때문에, 정전적 상호작용에 의해 비점이 높아지고, 비점이 높은 데 비해 점도가 낮아, 구리 미립자 분산액은, 액적으로서의 토출에 적합하다.
이러한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배합은, 본원발명의 발명자가 수많은 실험에 의해 찾아낸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사용한 도전막 형성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구리 미립자 분산액이 액적으로서 물체 표면에 토출되고, 그 구리 미립자 분산액으로 이루어지는 피막을 물체 표면에 형성한다. 물체는,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나 유리로 이루어지는 기판이다.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액적으로서의 토출은, 예를 들면, 잉크젯 프린터에 의해 실시된다. 구리 미립자 분산액이 잉크젯 프린터용의 잉크로서 사용되고, 잉크젯 프린터에 의해 물체 위에 소정의 패턴이 인쇄되어, 그 패턴의 피막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구리 미립자 분산액으로 이루어지는 피막이 건조된다. 피막의 건조에 의해, 구리 미립자 분산액 속의 분산매와 분산제가 증발되어, 구리 미립자가 남는다. 피막의 건조 시간은, 분산매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100℃ 공기 분위기 하에서 30분 이내에는 완료된다. 피막의 건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피막에 공기류를 쐬어도 된다.
다음으로, 건조된 피막에 광이 조사된다. 광 조사에 의해, 구리 미립자가 소성된다. 광 조사에 의한 소성(광소성)에 있어서, 구리 미립자의 표면 산화 피막의 환원과, 구리 미립자의 소결이 일어난다. 구리 미립자는, 소결에서 서로 용융되어, 기판에 용착된다. 광소성은, 대기하, 실온으로 행해진다. 광소성에 이용되는 광원은, 예를 들면, 크세논램프이다. 광원으로 레이저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에너지 범위는, 0.1J/cm2 이상, 100J/cm2 이하이다. 조사 시간은, 0.1ms이상, 100ms이하이다. 조사 회수는, 1회이라도 복수 회의 다단(多段) 조사이라도 된다. 광소성된 피막은, 도전성이 된다. 이에 의해, 도전막이 형성된다. 형성된 도전막의 형태는, 연속된 피막이다. 도전막의 저항율은, 2μΩ·cm∼9μΩ·cm이다.
이 도전막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회로 기판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회로 기판은, 회로를 기판 위에 갖는다. 기판은, 폴리이미드, 유리 등의 절연물을 판상(板狀)으로 성형한 것이며, 예를 들면, 플렉서블(flexible) 기판 또는 리지드(rigid) 기판이다. 기판은, 실리콘 웨이퍼 등,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회로는, 이 도전막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된 도전막을 갖는다. 도전막은, 예를 들면, 회로 소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선을 구성한다. 도전막은, 회로 소자 또는 그 일부, 예를 들면, 코일, 축전기의 전극 등을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의 구리 미립자 분산액, 및 비교를 위한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구리 미립자 분산액은 이하의 방법으로 작성하여, 평가를 실시했다. 소정의 농도로 칭량되어, 상용(相溶)시킨 분산제와 분산매에, 구리 미립자를 서서히 첨가하여 나가, 분산기(分散機)로 일정 온도로 일정시간 혼합 안정시켰다. 이렇게 하여 작성한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분산성은, 침전물이 없다는 것과, 인쇄한 후, 피막 위에 조립(粗粒)이 없는 것으로부터 확인했다. 분산 안정성은,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 보존하여, 침전물이 없다는 것으로부터 확인했다.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점도는 점도계를 이용하여 20℃에서 측정했다.
구리 미립자 분산액으로 형성되는 도전막의 평가는, 이하의 방법으로 실시했다.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폴리이미드 기판 위에 산업용 잉크젯 장치로 약 0.5㎛의 막두께로 인쇄하고, 대기 분위기 하 100℃, 30분간 건조를 실시한 후, 크세논램프를 이용한 플래시 조사장치로 광소성을 실시했다. 광소성은 0.5∼30J/cm2의 에너지 범위에서 0.1ms∼10ms의 시간 실시하고, 1회 혹은 복수 회의 광조사로 최적의 저항율의 도전막을 얻을 수 있을 때까지 실시했다.
실시예 1
중심 입자 지름 20nm의 구리 미립자를 이용하고, 분산매를 3-메톡시-3-메틸부탄올(프로톤성, 비점 174℃)로 하고, 분산제를 인산기를 갖는 분자량 약 1500의 화합물(빅크케미사 제, 상품명 「DISPERBYK(등록상표)-111」)로 한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분산제의 농도는 1.8wt%(중량%), 구리 미립자의 농도는 22.5wt%로 하였다. 분산매의 농도는 그들의 잔부(殘部)이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점도는, 18mPa·s이며,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로서 바람직한 20mPa·s 미만이 되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사용하고, 광소성에 의해 형성된 도전막의 저항율은, 9μΩ·cm이며, 원하는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 보존했던바, 변화가 없어, 분산 안정성이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구리 미립자의 중심 입자 지름을 40nm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점도는, 17mPa·s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사용하고, 광소성에 의해 형성된 도전막의 저항율은, 9μΩ·cm이며, 원하는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 보존했던바, 변화가 없어, 분산 안정성이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구리 미립자의 중심 입자 지름을 70nm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2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점도는, 16mPa·s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사용하고, 광소성에 의해 형성된 도전막의 저항율은, 8μΩ·cm이며, 원하는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 보존했던바, 변화가 없어, 분산 안정성이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
분산제의 농도를 1.8wt%, 구리 미립자의 농도를 10wt%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점도는, 8mPa·s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사용하고, 광소성에 의해 형성된 도전막의 저항율은, 9μΩ·cm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 보존했던바, 변화가 없었다.
실시예 5
분산매를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프로톤성, 비점 230℃)로 하고, 구리 미립자의 농도를 45wt%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4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점도는, 8mPa·s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사용하고, 광소성에 의해 형성된 도전막의 저항율은, 8μΩ·cm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 보존했던바, 변화가 없었다.
실시예 6
분산제를 인산기를 갖는 분자량 수만의 화합물(빅크케미사 제, 상품명 「DISPERBYK(등록상표) - 2001」)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5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점도는, 11mPa·s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사용하고, 광소성에 의해 형성된 도전막의 저항율은, 5μΩ·cm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 보존했던바, 변화가 없었다.
실시예 7
분산매를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프로톤성, 비점 194℃)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5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점도는, 6mPa·s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사용하고, 광소성에 의해 형성된 도전막의 저항율은, 7μΩ·cm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 보존했던바, 변화가 없었다.
실시예 8
분산매를 3-메톡시-3-메틸부탄올(프로톤성, 비점 174℃)과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프로톤성 극성, 비점 249℃)를 1:1로 혼합한 것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점도는, 15mPa·s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사용하고, 광소성에 의해 형성된 도전막의 저항율은, 5μΩ·cm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 보존했던바, 변화가 없었다.
실시예 9
분산매를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프로톤성, 비점 194℃)와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프로톤성, 비점 249℃)를 1:1로 혼합한 것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점도는, 7mPa·s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사용하고, 광소성에 의해 형성된 도전막의 저항율은, 7μΩ·cm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 보존했던바, 변화가 없었다.
실시예 10
분산매를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비프로톤성 극성, 비유전률 38, 비점 165℃)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9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점도는, 4mPa·s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사용하고, 광소성에 의해 형성된 도전막의 저항율은, 7μΩ·cm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 보존했던바, 변화가 없었다.
실시예 11
분산매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비프로톤성 극성, 비유전률 37, 비점 153℃)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점도는, 3mPa·s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사용하고, 광소성에 의해 형성된 도전막의 저항율은, 4μΩ·cm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 보존했던바, 변화가 없었다.
실시예 12
분산매를 N-메틸피롤리돈(비프로톤성 극성, 비유전률 32, 비점 204℃)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점도는, 5mPa·s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사용하고, 광소성에 의해 형성된 도전막의 저항율은, 5μΩ·cm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 보존했던바, 변화가 없었다.
실시예 13
분산매를γ-부티롤락톤(비프로톤성 극성, 비유전률 39, 비점 204℃)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점도는, 9mPa·s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사용하고, 광소성에 의해 형성된 도전막의 저항율은, 6μΩ·cm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 보존했던바, 변화가 없었다.
실시예 14
분산매를γ-부티롤락톤(비프로톤성 극성, 비유전률 39, 비점 204℃)으로 하고, 분산제의 농도를 3.6wt%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점도는, 6mPa·s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사용하고, 광소성에 의해 형성된 도전막의 저항율은, 7μΩ·cm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 보존했던바, 변화가 없었다.
실시예 15
분산매를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비프로톤성 극성, 비유전률 38, 비점 225℃)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점도는, 8mPa·s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사용하고, 광소성에 의해 형성된 도전막의 저항율은, 5μΩ·cm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 보존했던바, 변화가 없었다.
실시예 16
분산제를 상품명 「DISPERBYK(등록상표)-111」과 상품명 「DISPERBYK(등록상표) - 2001」을 1:2로 혼합한 것으로 하고, 그 농도를 3.6wt%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5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점도는, 5mPa·s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사용하고, 광소성에 의해 형성된 도전막의 저항율은, 5μΩ·cm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 보존했던바, 변화가 없었다.
실시예 17
분산제를 인산기를 갖는 분자량 1000 이상 10000 미만의 인산염(빅크케미사 제, 상품명 「DISPERBYK(등록상표)-145」)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5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점도는, 10mPa·s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사용하고, 광소성에 의해 형성된 도전막의 저항율은, 4μΩ·cm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 보존했던바, 변화가 없었다.
실시예 18
분산제를 저분자의 폴리아미노아마이드와 산폴리머염(빅크케미사 제, 상품명 「ANTI-TERRA(등록상표)-U100」)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7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점도는, 14mPa·s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사용하고, 광소성에 의해 형성된 도전막의 저항율은, 2μΩ·cm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 보존했던바, 변화가 없었다.
실시예 19
분산매를 프로필렌카보네이트(비프로톤성 극성, 비유전률 64, 비점 240℃)로 하고, 분산제의 농도를 1.8wt%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4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점도는, 10mPa·s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사용하고, 광소성에 의해 형성된 도전막의 저항율은, 7μΩ·cm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 보존했던바, 변화가 없었다.
실시예 20
분산제를 분자량 1000 이상 2000 이하의 인산기를 갖는 화합물인 알킬암모늄염(빅크케미사 제, 상품명 「DISPERBYK(등록상표)-180」)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8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점도는, 9mPa·s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사용하고, 광소성에 의해 형성된 도전막의 저항율은, 4μΩ·cm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 보존했던바, 변화가 없었다.
(비교예 1)
분산매를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비극성)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5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점도는, 5mPa·s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 보존했던바, 침전이 발생하여, 분산 안정성이 높지 않다는 것을 알았다.
(비교예 2)
분산매를 부톡시에틸아세테이트와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5:1로 혼합한 것(비극성)로 한 것 이외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점도는, 5mPa·s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 보존했던바, 침전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3)
분산매를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비극성)로 한 것 이외는, 비교예 2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점도는, 2mPa·s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간 보존했던바, 침전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4)
분산매를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비극성)로 한 것 이외는, 비교예 3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려고 했지만, 구리 미립자는 분산되지 않았다.
(비교예 5)
분산매를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프로톤성, 페닐기를 포함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외)로 한 것 이외는, 비교예 3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려고 했지만, 구리 미립자는 분산되지 않았다.
(비교예 6)
분산매를 디에틸렌글리콜부틸메틸에테르(비극성)로 한 것 이외는, 비교예 3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 보존했던바, 침전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7)
분산매를 트리에틸렌글리콜부틸메틸에테르(비극성)로 한 것 이외는, 비교예 6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 보존했던바, 침전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8)
분산매를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비극성)로 한 것 이외는, 비교예 7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려고 했지만, 구리 미립자는 분산되지 않았다.
(비교예 9)
분산매를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비극성)로 한 것 이외는, 비교예 7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점도는, 4mPa·s이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 보존했던바, 침전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10)
분산매를 에탄올(프로톤성, 탄소수 4 이하, 비점 78℃)로 한 것 이외는, 비교예 9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간 보존했던바, 구리 미립자의 분산매으로의 용출(부식)이 발생하여, 액의 변색, 침전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11)
분산매를 초산에틸(비극성)로 한 것 이외는, 비교예 10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려고 했지만, 구리 미립자는 분산되지 않았다.
(비교예 12)
분산매를 헥산(비극성)으로 한 것 이외는, 비교예 11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려고 했지만, 구리 미립자는 분산되지 않았다.
(비교예 13)
분산매를 톨루엔(비극성)으로 한 것 이외는, 비교예 12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려고 했지만, 구리 미립자는 분산되지 않았다.
(비교예 14)
분산매를 2-프로판올(프로톤성, 탄소수 4 이하, 비점 83℃)로 한 것 이외는, 비교예 13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 보존했던바, 구리 미립자의 분산매으로의 용출(부식)이 발생하여, 액의 변색, 침전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15)
분산매를 아세톤(비프로톤성 극성, 비유전률 21, 비점 56℃)으로 한 것 이외는, 비교예 14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려고 했지만, 구리 미립자는 분산되지 않았다.
(비교예 16)
분산매를 물(프로톤성, 탄소수 4 이하, 비점 100℃)로 하고, 분산제를 분자량 1000 이상 2000 이하의 인산기를 갖는 화합물인 알킬암모늄염((빅크케미사 제, 상품명 「DISPERBYK(등록상표)-180」)으로 한 것 이외는, 비교예 15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 보존하였던바, 구리 미립자의 분산매으로의 용출(부식)이 발생하여, 액의 변색, 침전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17)
분산매를 1-부탄올(프로톤성, 탄소수 4 이하, 비점 117℃)로 한 것 이외는, 비교예 15과 동일하게 하여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이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5℃에서 1개월 보존했던바, 구리 미립자의 분산매으로의 용출(부식)이 발생하여, 액의 변색, 침전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18)
중심 입자 지름 400nm 의 구리 미립자를 이용하고, 분산매를 3-메톡시-3-메틸부탄올(프로톤성)로 하고, 분산제를 인산기를 갖는 분자량 약 1500의 화합물(빅크케미사 제, 상품명 「DISPERBYK(등록상표)-111」)로 한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만들었다. 분산제의 농도는 3.6wt%, 구리 미립자의 농도는 40wt%로 하였다. 분산매의 농도는 그들의 잔부이다. 구리 미립자는 분산되지 않았다.
상기와 같이, 분산매가 150℃ 내지 250℃의 범위 내의 비점을 갖는 극성 분산매인 구리 미립자 분산매는, 구리 미립자 분산액의 점도가, 액적으로서 토출에 적합한 20mPa·s 미만이었다. 또한, 이러한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사용하고, 광소성에 의해 형성된 도전막의 저항율은, 저항율이 9μΩ·cm이하이며, 원하는 낮은 값이었다. 분산매를 비극성으로 한 것이나, 분산매의 비점이 150℃ 미만인 것은, 구리 미립자가 분산되지 않거나, 5℃에서의 1개월간의 보존에 있어서 침전이 발생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1)

  1. 구리 미립자와, 상기 구리 미립자를 함유하는 적어도 1종의 분산매와, 상기 구리 미립자를 상기 분산매 속에서 분산시키는 적어도 1종의 분산제를 갖는 구리 미립자 분산액으로서,
    상기 구리 미립자는, 중심 입자 지름이 1nm 이상 100nm 미만이며, 상기 분산매는, 150℃ 내지 250℃의 범위 내의 비점을 갖는 극성 분산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미립자 분산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적어도 1개의 산성 관능기를 갖는 분자량이 200 이상 100000 이하의 화합물 또는 그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미립자 분산액.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분산매는, 프로톤성 분산매 및 비유전률이 30 이상인 비프로톤성 극성 분산매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미립자 분산액.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톤성 분산매는, 1개의 히드록실기를 갖는 탄소수가 5 이상 30 이하의 직쇄 또는 분기쇄 형상의 알킬 화합물 혹은 알케닐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미립자 분산액.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톤성 분산매는, 2개 이상 6개 이하의 히드록실기를 갖는 탄소수가 2 이상 30 이하의 직쇄 또는 분기쇄 형상의 알킬 화합물 혹은 알케닐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미립자 분산액.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톤성 분산매는, 1개 이상 10개 이하의 에테르 결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미립자 분산액.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톤성 분산매는, 1개 이상 5개 이하의 카르보닐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미립자 분산액.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프로톤성 극성 분산매는,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γ-부티롤락톤,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및 프로필렌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미립자 분산액.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의 산성 관능기는, 인산기, 포스폰산기, 술폰산기, 황산기 및 카르복실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미립자 분산액.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리 미립자 분산액을 액적으로서 물체 표면에 토출하여, 그 구리 미립자 분산액으로 이루어지는 피막을 물체 표면에 형성하는 공정과,
    형성된 상기 피막을 건조하는 공정과,
    건조된 상기 피막에 광을 조사하는 광소성(光燒成)에 의해 도전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막 형성 방법.
  11. 제10항에 기재된 도전막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된 도전막을 갖는 회로를 기판 위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
KR1020147009076A 2011-11-14 2012-01-04 구리 미립자 분산액, 도전막 형성 방법 및 회로 기판 KR1016030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48127 2011-11-14
JP2011248127A JP5088761B1 (ja) 2011-11-14 2011-11-14 銅微粒子分散液、導電膜形成方法及び回路基板
PCT/JP2012/050010 WO2013073200A1 (ja) 2011-11-14 2012-01-04 銅微粒子分散液、導電膜形成方法及び回路基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178A true KR20140107178A (ko) 2014-09-04
KR101603024B1 KR101603024B1 (ko) 2016-03-11

Family

ID=47469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9076A KR101603024B1 (ko) 2011-11-14 2012-01-04 구리 미립자 분산액, 도전막 형성 방법 및 회로 기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20944B2 (ko)
EP (1) EP2738773B1 (ko)
JP (1) JP5088761B1 (ko)
KR (1) KR101603024B1 (ko)
CN (1) CN103918037B (ko)
TW (1) TWI476786B (ko)
WO (1) WO20130732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8271A2 (en) 2010-10-27 2012-05-03 Pixelligent Technologies, Llc Synthesis, capping and dispersion of nanocrystals
EP3696139A1 (en) 2010-04-23 2020-08-19 Pixelligent Technologies, LLC Synthesis, capping and dispersion of nanocrystals
US9359689B2 (en) 2011-10-26 2016-06-07 Pixelligent Technologies, Llc Synthesis, capping and dispersion of nanocrystals
JP5088760B1 (ja) 2011-11-14 2012-12-05 石原薬品株式会社 銅微粒子分散液、導電膜形成方法及び回路基板
JP5275498B1 (ja) * 2012-07-03 2013-08-28 石原薬品株式会社 導電膜形成方法及び焼結進行剤
JP5615401B1 (ja) * 2013-05-14 2014-10-29 石原ケミカル株式会社 銅微粒子分散液、導電膜形成方法及び回路基板
JP5700864B2 (ja) 2013-05-15 2015-04-15 石原ケミカル株式会社 銅微粒子分散液、導電膜形成方法及び回路基板
US10424648B2 (en) 2013-07-23 2019-09-24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Copper and/or copper oxide dispersion, and electroconductive film formed using dispersion
ES2538042B1 (es) * 2013-12-16 2016-04-18 Fundación Cetena Procedimiento de obtención de una tinta en atmósfera inerte, tinta obtenida y película conductora a constituir
JP5941588B2 (ja) * 2014-09-01 2016-06-29 Dowa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接合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接合方法
DE102014116275A1 (de) * 2014-11-07 2016-05-12 Webasto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ontaktbereichs für eine Schicht eines elektrischen Heizgeräts sowie Vorrichtung für ein elektrisches Heizgerät für ein Kraftfahrzeug
CN104972109A (zh) * 2015-06-27 2015-10-14 铜陵铜基粉体科技有限公司 一种高吸附性球形铜粉及其制作方法
CN104972111A (zh) * 2015-06-27 2015-10-14 铜陵铜基粉体科技有限公司 一种高导电率球型铜粉及其制作方法
JP6704322B2 (ja) 2015-09-30 2020-06-03 日東電工株式会社 シートおよび複合シート
JP2017066485A (ja) * 2015-09-30 2017-04-06 日東電工株式会社 シートおよび複合シート
CN110294971A (zh) * 2018-03-22 2019-10-01 深圳Tcl工业研究院有限公司 一种油墨
JP7158819B1 (ja) * 2022-06-22 2022-10-24 石原ケミカル株式会社 銅インク、導電膜形成方法、及びrfタ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3776A (ja) * 2002-05-21 2004-02-12 Canon Inc 水不溶性色材を含む粒子、その分散体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れらの粒子または分散体を含むインク
JP2004185952A (ja) * 2002-12-03 2004-07-02 Ricoh Co Ltd 導電性材料の製造方法、及び導電性材料を含むインク組成物
US20080286488A1 (en) 2007-05-18 2008-11-20 Nano-Proprietary, Inc. Metallic ink
JP2009135480A (ja) * 2007-11-06 2009-06-1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磁波遮蔽用配線回路の形成方法及び電磁波遮蔽用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08104B (zh) * 2005-03-18 2013-09-11 Sumitomo Chemical Co 微細α-氧化鋁粒子之製造方法
EP2048205A4 (en) * 2006-07-28 2010-07-21 Asahi Glass Co Ltd DISPERSION CONTAINING FINE METALLIC PARTICLES, METHOD FOR PRODUCING THE DISPERSION AND ARTICLES HAVING METALLIC FILMS
JP4961587B2 (ja) * 2006-10-03 2012-06-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銅微粒子、銅微粒子製造方法、絶縁材料、配線構造、配線回路板の製造方法、及び電子・電気機器
US20080187651A1 (en) * 2006-10-24 2008-08-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ductive ink formulations
JP5159634B2 (ja) * 2006-12-07 2013-03-06 独立行政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ウォームスプレーコーティング方法とその粒子
TWI499466B (zh) * 2007-03-22 2015-09-11 Hitachi Chemical Co Ltd 金屬微粒子與其製造方法以及金屬微粒子分散液與其製造方法
US8404160B2 (en) * 2007-05-18 2013-03-26 Applied Nanotech Holdings, Inc. Metallic ink
JP4805321B2 (ja) * 2007-10-02 2011-11-0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導電材の形成方法、該形成方法により形成された導電材及び該導電材を有するデバイス
US20090151998A1 (en) 2007-11-06 2009-06-18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wiring circuit forming method and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sheet
US8506849B2 (en) * 2008-03-05 2013-08-13 Applied Nanotech Holdings, Inc. Additives and modifiers for solvent- and water-based metallic conductive inks
JP2009245704A (ja) * 2008-03-31 2009-10-22 Toray Ind Inc 感光性導電性ペースト組成物、電極回路、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20100000762A1 (en) * 2008-07-02 2010-01-07 Applied Nanotech Holdings, Inc. Metallic pastes and inks
EP2319643B1 (en) * 2008-08-29 2019-03-27 Ishihara Sangyo Kaisha, Ltd. Metallic copper dispersion, process for producing the metallic copper dispersion, electrode, wiring pattern, and coating film formed using the metallic copper dispersion, decorative article and antimicrobial article with the coating film formed thereon,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 decorative article and the antimicrobial article
KR101651915B1 (ko) * 2009-09-14 2016-08-29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금속 나노입자 수계 분산액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3776A (ja) * 2002-05-21 2004-02-12 Canon Inc 水不溶性色材を含む粒子、その分散体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れらの粒子または分散体を含むインク
JP2004185952A (ja) * 2002-12-03 2004-07-02 Ricoh Co Ltd 導電性材料の製造方法、及び導電性材料を含むインク組成物
US20080286488A1 (en) 2007-05-18 2008-11-20 Nano-Proprietary, Inc. Metallic ink
JP2009135480A (ja) * 2007-11-06 2009-06-1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磁波遮蔽用配線回路の形成方法及び電磁波遮蔽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18037A (zh) 2014-07-09
JP5088761B1 (ja) 2012-12-05
JP2013105605A (ja) 2013-05-30
WO2013073200A1 (ja) 2013-05-23
US20140216798A1 (en) 2014-08-07
TWI476786B (zh) 2015-03-11
EP2738773B1 (en) 2020-03-11
TW201333972A (zh) 2013-08-16
KR101603024B1 (ko) 2016-03-11
EP2738773A4 (en) 2015-04-08
US9120944B2 (en) 2015-09-01
EP2738773A1 (en) 2014-06-04
CN103918037B (zh)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024B1 (ko) 구리 미립자 분산액, 도전막 형성 방법 및 회로 기판
KR101603023B1 (ko) 구리 미립자 분산액, 도전막 형성 방법 및 회로 기판
JP4867905B2 (ja) 導体パターン形成用インク、導体パターン、および配線基板
WO2012018091A1 (ja) 液状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抵抗体膜、抵抗体素子及び配線板
KR101036203B1 (ko) 도체 패턴 형성용 잉크, 도체 패턴 및 배선 기판
EP2684918B1 (en) Electrically conductive aqueous ink for inkjet recording
JP5326317B2 (ja) 金属膜形成用の複合材料液及びそれを用いた金属化合物膜、金属/金属化合物膜、並びに複合材料
JP4416032B2 (ja) 充填液
JP2009158273A (ja) 導電性金属ペースト及びその製造方法、導電性パターンの形成方法並びに導電性金属ペースト用添加剤及びその製造方法
TWI401314B (zh) 導體圖案形成用墨水、導體圖案及布線基板
KR102218363B1 (ko) Ehd 잉크젯 프린팅용 실버계 잉크 조성물
JP2009140879A (ja) 導体パターン形成用インク、導体パターンおよび配線基板
KR20180120296A (ko) 고점도 및 고전도 특성을 가지는 금속 나노입자 잉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2175083A (ja) セラミックス成形体、配線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配線基板
KR20090092913A (ko) 잉크젯 프린터를 이용한 패턴 막의 형성 방법
JP2011103325A (ja) 絶縁層と配線層の複合層及びそれを用いた回路基板、半導体パッケージ
JP2009298914A (ja) 導体パターン形成用インク、導体パターンおよび配線基板
JP2011165983A (ja) 配線基板の製造方法、導体パターン形成用インクセットおよび配線基板
JP2011190353A (ja) 導体パターン形成用インク、導体パターンおよび配線基板
JP2011184562A (ja) 導体パターン形成用インク、導体パターンおよび配線基板
JP2009298913A (ja) 導体パターン形成用インク、導体パターンおよび配線基板
JP2012130821A (ja) インクジェット描画方法
JP2011155028A (ja) 配線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配線基板
JP2012156159A (ja) 配線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配線基板
JP2012151302A (ja) 配線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配線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