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9809A -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 Google Patents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9809A
KR20140089809A KR1020130001691A KR20130001691A KR20140089809A KR 20140089809 A KR20140089809 A KR 20140089809A KR 1020130001691 A KR1020130001691 A KR 1020130001691A KR 20130001691 A KR20130001691 A KR 20130001691A KR 20140089809 A KR20140089809 A KR 20140089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event
image
displaying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2449B1 (ko
Inventor
박태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1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449B1/ko
Priority to US14/141,002 priority patent/US9779475B2/en
Priority to CN201710933683.XA priority patent/CN107657934B/zh
Priority to CN201380069600.7A priority patent/CN104904126B/zh
Priority to JP2015551599A priority patent/JP6367231B2/ja
Priority to PCT/KR2013/012357 priority patent/WO2014107011A1/en
Priority to AU2013371739A priority patent/AU2013371739B2/en
Priority to EP14150209.6A priority patent/EP2752840B1/en
Priority to EP18207373.4A priority patent/EP3495933B1/en
Publication of KR20140089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809A/ko
Priority to US15/720,643 priority patent/US10482573B2/en
Priority to JP2018127439A priority patent/JP6999513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449B1/ko
Priority to US16/687,043 priority patent/US1102400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20Linear translation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Zooming at least part of an image, i.e. enlarging it or shrinking 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9G2340/145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related to small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이미지를 항상 화면의 최상층에 표시하도록 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은 동영상을 화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할 제 2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미리 정해진 특정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 경우 상기 제 2 영역과 겹치지 않는 제 3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을 상기 제 3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METHOD FOR DISPLAYING IMAGE AND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이미지를 항상 화면의 최상층에 표시하도록 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의 하드웨어 사양이 높아지고 멀티미디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휴대 단말은 동영상을 항상 최상층에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게 되었다. 즉 어떠한 이미지보다도 동영상이 맨 위에 위치한다. 이러한 기능은 일명, 팝업 기능이라고 한다. 사용자는 동영상을 보면서 다른 작업들 예컨대, 인터넷이나 문자 보내기 등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팝업 기능에 따르면 동영상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다른 작업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예를 들어 동영상이 화면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키패드의 표시를 요청하는 이벤트가 발생될 수 있다. 이벤트에 응답하여 휴대 단말은 키패드를 표시한다. 이때 키패드는 일반적으로 화면 하단에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영상의 위치를 변경한 후 키패드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이미지를 항상 최상층에 표시하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동영상을 보면서 불편 없이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은 동영상을 화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할 제 2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미리 정해진 특정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 경우 상기 제 2 영역과 겹치지 않는 제 3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을 상기 제 3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은 동영상을 화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할 제 2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미리 정해진 특정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 경우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지 않는 제 3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제 3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은 동영상을 화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제 1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 1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할 제 2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이벤트가 미리 정해진 특정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 경우 상기 이미지를 제 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에서 상기 이미지와 겹치는 부분을 반투명하게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의 위치 변경을 요청하는 제 2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동영상을 상기 제 2 영역과 겹치지 않는 제 3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은 동영상을 화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할 제 2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미리 정해진 특정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 이미지에서 하나의 아이콘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을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되는 제 3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은 제 1 이미지를 화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제 2 이미지를 표시할 제 2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미리 정해진 특정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 경우 상기 제 2 영역과 겹치지 않는 제 3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이미지를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 1 이미지를 상기 제 3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동영상을 화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는 표시부; 이벤트 발생부; 및 상기 이벤트 발생부로부터 수신한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동영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할 제 2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이벤트가 미리 정해진 특정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 경우 상기 제 2 영역과 겹치지 않는 제 3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을 상기 제 3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동영상을 화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는 표시부; 이벤트 발생부; 및 상기 이벤트 발생부로부터 수신한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동영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할 제 2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이벤트가 미리 정해진 특정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 경우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지 않는 제 3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제 3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동영상을 화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는 표시부; 이벤트 발생부; 및 상기 이벤트 발생부로부터 수신한 제 1 이벤트 및 제 2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동영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할 제 2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이벤트가 미리 정해진 특정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 경우 상기 이미지를 제 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에서 상기 이미지와 겹치는 부분을 반투명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동영상을 상기 제 2 영역과 겹치지 않는 제 3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동영상을 화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는 표시부; 이벤트 발생부; 및 상기 이벤트 발생부로부터 수신한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동영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할 제 2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이벤트가 미리 정해진 특정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가이드 이미지에서 하나의 아이콘의 선택을 검출하고,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을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되는 제 3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이벤트 발생부; 및 상기 이벤트 발생부로부터 수신한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이미지를 표시할 화면의 제 1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이미지의 표시 중에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 2 이미지를 표시할 화면의 제 2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이벤트가 미리 정해진 특정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 경우 상기 제 2 영역과 겹치지 않는 제 3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 2 이미지를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 1 이미지를 상기 제 3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은 사용자로 하여금 동영상을 보면서 불편 없이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등과 같은 휴대 가능한 전자기기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의 이미지 표시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아래 설명과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100)은 표시부(110), 키입력부(120), 저장부(130), 무선통신부(140), 오디오처리부(150), 스피커(SPK), 마이크(MIC)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표시부(11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이미지를 화면(screen on which at least one image is shown)에 표시한다. 즉 제어부(160)가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할 이미지로 처리(예컨대, 디코딩(decoding))하여 버퍼에 저장하면, 표시부(110)는 버퍼에 저장된 이미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표시부(110)에 전원이 공급되면 표시부(110)는 잠금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잠금 이미지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잠금 해제 정보가 검출되면 제어부(160)는 잠금을 해제한다. 즉 표시부(11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잠금 이미지 대신 다른 이미지를 표시한다. 여기서 잠금 해제 정보는 사용자가 표시부(110)의 화면에 표시된 키패드 또는 키입력부(120)를 이용해 휴대 단말(100)에 입력한 텍스트(예, 1234)이거나, 표시부(11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의 궤적, 터치의 방향 또는 터치의 종류이거나, 마이크(MIC)를 통해 휴대 단말(100)에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이다. 한편 다른 이미지는 홈 이미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미지(예컨대, 동영상, 웹페이지 등), 키패드 또는 리스트 등이다. 홈 이미지는 배경 이미지와 이 위에 표시되는 다수의 아이콘을 포함한다. 아이콘들은 각각 어플리케이션(이하, 앱(App)) 또는 데이터(예, 사진 파일, 비디오 파일, 녹음 파일, 문서, 메시지 등)를 지시한다. 사용자가 아이콘들 중 하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선택(예, 아이콘을 탭)하면, 제어부(160)는 해당 앱(예, SNS를 제공하는 앱)을 실행하고, 그 실행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표시부(11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이미지들을 다층(multi-layer) 구조로 화면에 표시한다. 예컨대, 표시부(110)는 제 1 이미지(예컨대, 홈 이미지, 웹페이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제 1 이미지 위에 제 2 이미지(예컨대, 동영상)를 표시한다. 이때 제 1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은 화면 전체이고 제 2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은 화면 일부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이미지의 전체는 아니어도 그 일부를 볼 수 있다. 또한 표시부(11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제 2 이미지를 불투명하게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 1 이미지의 전체를 볼 수도 있다.
표시부(11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특정 이미지 특히, 동영상의 경우 항상 화면의 최상층에 표시한다.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웹 브라우저가 실행되고, 웹 브라우저의 실행에 따라 웹 페이지가 화면에 표시된다. 이때 제어부(110)는 동영상을 웹 페이지보다 상층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또한 표시부(11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제 1 이미지(예컨대, 동영상)를 화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고 제 2 이미지(예컨대, 키패드, 메시지, 알림 창 등)를 제 1 영역과 겹치지 않는 제 2 영역에 표시한다.
표시부(11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또는 플랙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패널(111)은 표시부(110)에 안착(place on)된다. 구체적으로 터치패널(111)은 표시부(110)의 화면에 위치하는 애드 온 타입(add-on type)이나 표시부(110) 내에 삽입되는 온 셀 타입(on-cell type) 또는 인 셀 타입(in-cell type)으로 구현된다.
터치패널(111)은 터치패널(111)에 대한 사용자 제스처에 응답하여 아날로그 신호(예, 터치이벤트)를 발생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A/D 변환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여기서 터치이벤트는 터치 좌표(x, y)를 포함한다. 제어부(160)는 터치패널(111)로부터 터치 좌표가 수신될 경우 터치 기구(예, 손가락이나 펜)가 터치패널(111)에 터치된 것으로 결정하고 터치패널(111)로부터 터치 좌표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터치 해제된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터치 좌표가 예컨대, (x1,y1)에서 (x2,y2)로 변화된 경우 제어부(160)는 터치 기구가 이동한 것으로 결정한다. 제어부(160)는 터치 기구의 이동에 응답하여 터치 기구의 위치변화량(dx, dy) 및 터치 기구의 이동 속도 등을 산출한다. 제어부(160)는 터치 좌표, 터치 기구의 터치 해제 여부, 터치 기구의 이동 여부, 터치 기구의 위치변화량 및 터치 기구의 이동 속도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 제스처를 터치, 멀티 터치, 탭(Tap), 더블 탭(Double Tap), 롱 탭(Long tap), 탭 앤 터치(Tap & touch), 드래그(Drag), 플릭(Flick), 프레스(Press), 핀치인(pinch in) 및 핀치아웃(pinch out) 등 중에서 어느 하나로 결정한다. 터치는 사용자가 화면의 터치패널(111)의 어느 한 지점에 터치 기구를 접촉하는 제스처이고, 멀티 터치는 여러 지점에 다수의 터치 기구(예, 엄지와 검지)를 접촉하는 제스처이고, 탭은 화면의 어느 한 지점에 터치 기구가 터치된 후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터치 해제(touch-off)되는 제스처이고, 더블 탭은 어느 한 지점을 연속적으로 두 번 탭하는 제스처이고, 롱 탭은 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터치한 후 터치 기구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터치 기구를 터치 해제하는 제스처이고, 탭 앤 터치는 화면의 어느 지점을 탭한 후 해당 지점을 소정 시간(예, 0.5초)이내에 다시 터치하는 제스처이고, 드래그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기구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스처이고, 플릭은 드래그에 비해 터치 기구를 빠르게 이동시킨 후 터치 해제하는 제스처이고, 프레스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해당 지점을 누르는 제스처이고, 핀치 인은 두 개의 터치 기구로 두 지점을 동시에 멀티 터치한 후 터치 기구들의 간격을 좁히는 제스처이고, 핀치 아웃은 터치 기구들의 간격을 넓히는 제스처이다. 즉 터치는 터치패널(111)에 접촉(contact)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그 밖의 제스처들은 터치의 변화를 의미한다.
터치패널(111)은 손 제스처를 감지하는 손 터치패널과 펜 제스처를 감지하는 펜 터치패널를 포함하여 구성된 복합 터치패널일 수 있다. 여기서 손 터치패널은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으로 구성된다. 물론 손 터치패널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손 터치패널은 사용자의 손 제스처에 의해서만 터치이벤트를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물체(예, 정전용량 변화를 가할 수 있는 전도성 재질의 물체)에 의해서도 터치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펜 터치패널은 전자 유도 방식(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펜 터치패널은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특수 제작된 터치용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터치이벤트를 생성한다. 한편, 터치패널(111)은 압력 센서를 구비하여 터치된 지점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압력 정보는 제어부(160)로 전달되고, 제어부(160)는 감지된 압력 정보를 바탕으로 터치와 프레스를 구분한다. 여기서 압력 정보는 다른 방식으로도 감지될 수 있다.
키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키들은 메뉴 불러오기 키, 화면 온/오프 키, 전원 온/오프 키 및 볼륨 조절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키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이벤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키 이벤트는 전원 온/오프 이벤트, 볼륨 조절 이벤트, 화면 온/오프 이벤트, 셔터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이러한 키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한다. 한편 키입력부(120)의 키는 하드 키(hard key)라 하고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가상의(virtual) 키는 소프트 키(soft key)로 지칭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60)의 보조기억장치(secondary memory unit)로써, 디스크, 램(RAM), 롬(ROM) 및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저장부(130)는 위치 변경 테이블(131)을 저장한다. 위치 변경 테이블(131)은 이벤트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고 위치 변경 테이블(131)의 일례는 다음 표 1과 같다.
이벤트 정보 위치 정보
키패드 표시 요청 화면의 상단
메시지 수신 화면의 하단
통화 요청 화면의 중앙
저장부(130)는 휴대 단말(100)에서 생성된 데이터(예컨대, 연락처) 그리고 무선통신부(14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예, 메시지, 동영상 파일)를 저장한다.
저장부(130)는 이미지(예컨대, 키패드, 동영상, 메시지 등)의 크기 정보 및 이미지의 표시 영역 정보를 포함한다. 화면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가 픽셀(pixel)인 것으로 가정한다면, 크기 정보는 예컨대, "x*y"이다. "x"는 X축 방향으로 x 번째 픽셀을 의미하고 "y"는 Y축 방향으로 y번째 픽셀을 의미한다. 표시 영역 정보는 예컨대, 4개의 좌표들 즉, (x1, y1), (x2, y1), (x2, y1) 및 (x2, y2)이다. 또한 표시 영역 정보는 1개의 좌표일 수도 있다.
저장부(130)는 설정 값들(예컨대, 화면의 밝기의 자동 조절 여부를 나타내는 값, 블루투스(bluetooth)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값, 팝업 기능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값, 위치 변경 테이블(131)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값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130)는 부팅 프로그램,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와 어플리케이션 사이 그리고 어플리케이션들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면서, CPU, GPU,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등의 컴퓨터 자원을 관리한다. 또한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의 동작 및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을 제어하고, 작업(task)들의 순서를 정하고, CPU 및 GPU의 연산을 제어하고, 데이터와 파일의 저장을 관리한다. 어플리케이션들은 내재화 어플리케이션(embedded application)과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3rd party application)으로 분류된다. 예컨대 내재화 어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Web browser), 이메일(email) 프로그램,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등이다.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은 앱 마켓 서버에서 휴대 단말(100)로 수신되어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배터리에서 제어부(160)로 전원이 공급되면 먼저 부팅 프로그램이 제어부(160)의 주기억장치(예, RAM)로 로딩(loading)된다. 이러한 부팅 프로그램은 운영체제를 주기억장치로 로딩시킨다. 운영체제는 어플리케이션 예컨대, 동영상 플레이어(132)를 주기억장치로 로딩한다.
저장부(130)는 음성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STT(speech to text)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인공 지능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공 지능 프로그램은 음성데이터에서 문맥(context)을 인식하는 자연어 처리 엔진(natural language processing engine)과, 인식된 문맥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추론하는 추론 엔진과, 인식된 문맥을 기반으로 사용자와 대화하는 대화 엔진 등을 포함한다.
무선통신부(14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장치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4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 통신부(140)는 이동 통신 모듈(예컨대, 3세대(3-Generation) 이동통신모듈, 3.5(3.5-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또는 4(4-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등), 디지털 방송 모듈(예컨대, DMB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예, 와이파이(Wi-Fi)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스피커(SPK) 및 마이크(MIC)와 결합하여 음성 인식, 음성 녹음, 디지털 레코딩(recording) 및 통화를 위한 오디오 신호(예, 음성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제어부(16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로 D/A 변환하고 증폭한 후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마이크(MIC)으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로 A/D 변환한 후 제어부(160)로 제공한다. 스피커(SPK)는 오디오 처리부(150)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음파(sound wave)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마이크(MIC)는 사람이나 기타 소리원(sound source)들로부터 전달된 음파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100)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배터리에서 상기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GPU(graphic processing unit)를 포함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CPU는 자료의 연산 및 비교와, 명령어의 해석 및 실행 등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적인 제어 유닛이다. GPU는 CPU를 대신하여, 그래픽과 관련한 자료의 연산 및 비교와, 명령어의 해석 및 실행 등을 수행하는 그래픽 제어 유닛이다. CPU와 GPU은 각각, 두 개 이상의 독립 코어(예, 쿼드 코어(quad-core))가 단일 집적 회로로 이루어진 하나의 패키지(package)로 통합될 수 있다. 또한 CPU와 GPU는 하나의 칩으로 통합(SoC; System on Chip)된 것일 수 있다. 또한 CPU와 GPU는 멀티 레이어(multi layer)로 패키징(packaging)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CPU 및 GPU를 포함하는 구성은 AP(Application Processor)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메인메모리(main memory unit) 예컨대, 램(RAM)을 포함한다. 메인메모리는 저장부(130)로부터 로딩된 각종 프로그램 예컨대, 부팅 프로그램, 호스트 운영체제, 게스트 운영체제들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한다. 즉 제어부(161)의 CPU 및 GPU는 이와 같은 프로그램에 액세스하여 프로그램의 명령을 해독하고, 해독 결과에 따른 기능(예, 팝업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저장부(130)에 기록(write)할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저장부(130)로부터 읽어 온(read)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캐시메모리를 포함한다.
제어부(16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크기 정보 및 표시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100)을 운영한다. 예컨대, 키패드의 표시를 요청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160)는 키패드에 해당되는 크기 정보와 표시 영역 정보를 저장부(130)에서 읽어 오고, 읽어 온 정보를 기반으로 키패드를 해당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설정 값들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100)을 운영한다. 예컨대, 동영상이 표시되면 제어부(160)는 "팝업 기능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값"을 저장부(130)로부터 읽어 오고, 이 값을 기반으로 팝업 기능의 사용 여부를 결정한다. 팝업 기능을 사용하기로 결정되면 제어부(160)는 "위치 변경 테이블(131)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값"을 저장부(130)에서 읽어 오고, 이 값을 기반으로 위치 변경 테이블(131)의 사용 여부를 결정한다. 한편, 팝업 기능의 실행 여부는 해당 설정 값과 무관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1)는 동영상과 함께, 팝업 기능 버튼을 표시한다. 이러한 버튼은 동영상 위에 반투명하게 표시되거나 별도의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을 선택하면 제어부(160)는 팝업 기능을 실행한다. 이때 버튼 위에는 "ON"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시 버튼을 선택하면 제어부(160)는 팝업 기능을 종료한다. 이때 버튼 위에는 "OFF"가 표시될 수 있다. 팝업 기능의 대상이 되는 이미지는 동영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이미지(예컨대, 사진, 정지 영상, 메모, 지도 정보 등)가 될 수도 있다. 즉 동영상 이외에도 다른 이미지가 항상 화면의 최상층에 표시될 수 있다.
위치 변경 테이블(131)을 사용하기로 결정되면 제어부(160)는 표 1과 같은 위치 변경 테이블(131)을 저장부(130)에서 읽어 온다. 제어부(160)는 위치 변경 테이블(131)을 참조하여 이미지의 표시 위치를 변경한다. 예컨대, 동영상이 화면의 하단에 표시되고 있고 이때, 키패드의 표시를 요청하는 이벤트(예컨대, 웹 페이지에서 텍스트 입력란을 사용자가 탭)가 발생된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동영상을 화면의 상단에 표시하고 키패드를 화면의 하단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즉 동영상이 화면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한다. 물론 그 반대일 수도 있다. 즉 동영상은 그대로 화면의 하단에서 표시되고 키패드가 화면의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위치 변경 기능의 실행 여부는 위치 변경 테이블(131)과 무관하게 결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위치 변경 테이블(131)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이미지의 표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들은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휴대 단말(100)는 카메라, GPS 모듈, 진동 모터, 액세서리,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예, 이어 잭),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액세서리는 휴대 단말(100)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휴대 단말(100)의 부속품으로써 예컨대, 표시부(110)의 화면에 터치를 위한 펜이 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들에서 특정 구성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제어부(160)는 동영상의 표시를 요청하는 제 1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결정한다. 이러한 제 1 이벤트는 표시부(110)에 대한 사용자 제스처(예, 해당 동영상을 나타내는 썸네일을 사용자가 탭)이거나, 키입력부(130)에서 발생된 키 이벤트이다. 또한 제 1 이벤트는 음성데이터일 수도 있다. 예컨대, 해당 동영상의 명칭이 표시되고 있고 사용자는 마이크(MIC)를 향하여 해당 동영상의 명칭 예컨대, "타이타닉"을 말한다. 그러면 마이크(MIC)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이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처리부(150)로 전달한다. 제어부(160)는 오디오 처리부(150)로부터 음성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텍스트에 예컨대, "타이타닉"이 포함된 경우 제 1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결정한다. 한편, 사용자는 마이크(MIC)를 향하여 "타이타닉 재생해 줘"라고 말한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인공 지능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가 파악하고, 제 1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결정한다. 이때 해당 동영상 및 인공 지능 프로그램은 휴대 단말(100)이 아닌 외부의 서버에 구비될 수 있다. 그렇다면 제어부(160)는 해당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영상 요청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140)를 제어한다. 이에 응답하여 서버는 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해당 동영상을 휴대 단말(100)로 전송한다. 동영상이 수신되면 제어부(160)는 제 1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결정한다.
제 1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단계 215에서 제어부(160)는 동영상을 표시할 제 1 영역을 결정한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표시 영역 정보를 저장부(130)에서 읽어 오고, 읽어 온 정보를 기반으로 동영상을 표시할 제 1 영역을 결정한다. 예컨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크기는 640*380 이고, 표시 영역 정보는 (0,0), (0, 213), (380, 213) 및 (380, 0)이다. 그러면, 제 1 영역은 도 3a에서 310으로 결정된다. 단계 220에서 제어부(160)는 제 1 영역에 동영상(320)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팝업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표시 영역 정보는 1개의 좌표 예컨대, (107, 190)일 수 있다. 그렇다면, 제 1 영역은 (107, 190)을 중심으로 하는 영역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계 225에서 제어부(160)는 제 2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결정한다. 제 2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230으로 진행된다. 단계 230에서 제어부(160)는 동영상의 표시를 종료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컨대, 표시부(110)에 표시된 종료 버튼이 탭이 된 경우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단계 225로 복귀된다.
제 2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단계 235에서 제어부(160)는 제 2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할 제 2 영역을 결정한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제 2 이벤트에 해당되는 표시 영역 정보를 저장부(130)에서 읽어 오고, 읽어 온 표시 영역 정보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 2 영역으로 결정한다. 예컨대, 키패드는 화면 하단으로 결정된다. 통화를 요청하는 발신자 정보(예, 이름과 전화번호)는 화면 상단으로 결정된다. 발신자의 통화 요청에 대한 수락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미지(예컨대, 통화 수락 아이콘 및 통화 거절 아이콘을 포함)는 화면 하단으로 결정된다.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시지, 이메일 및 뉴스 등과 같은 메시지의 수신을 알리기 위한 알림 이미지는 화면 상단 또는 화면 가운데로 결정된다.
단계 240에서 제어부(160)는 제 2 이벤트가 미리 정해진 특정 이벤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특정 이벤트는 터치패널(111)이나 키입력부(120)로부터 수신한 키패드 표시 요청 이벤트와, 오디오 처리부(150)를 통해 마이크(MIC)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예, "키패드"라는 음성)와, 무선통신부(140)를 통해 네트워크(예, 기지국)로부터 수신한 각종 메시지(예컨대, 통화 요청 메시지,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시지, 이메일, 뉴스 등) 등이 될 수 있다. 특정 이벤트가 통화 요청 메시지(특히, 영상 통화 요청 메시지)인 경우 동영상 재생은 일시 정지될 수 있다. 즉 무선통신부(140)를 통해 네트워크로부터 통화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부(160)는 하나의 프레임을 계속적으로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여기서 프레임은 동영상(moving images)을 구성하는 정지 이미지(still image)이다. 예컨대, 1초의 동영상은 30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한편, 통화 요청 메시지에 따른 기능(예, 통화)이 종료되면 일시 정지가 해제되어 동영상이 표시된다. 또한, 영상 통화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동영상은 정지되지 않고 계속 재생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동영상을 동영상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통화 영상을 통화 영상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여기서, 두 영역은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서로 겹치지 않을 수 있다. 통화 영상은 상대방 단말로부터 수신된 동영상과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즉, 상대방 단말로 보낼 동영상)을 포함한다.
제 2 이벤트가 특정 이벤트가 아닌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245로 진행된다. 단계 245에서 제어부(160)는 제 2 이벤트에 해당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제 2 이벤트가 인터넷 아이콘(330; 도 3b 참조)에 대한 탭인 경우 제어부(160)는 웹 페이지(340; 도 3c 참조)를 제 2 영역(예컨대, 화면 전체)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이때 동영상(320)은 최상층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페이지(340)의 일부는 표시되지 않는다. 제 2 이벤트에 해당되는 기능이 수행된 후 프로세스는 단계 225로 복귀된다.
제 2 이벤트가 특정 이벤트인 경우 단계 250에서 제어부(160)는 제 2 영역이 제 1 영역과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겹침은 제 2 영역의 일부가 제 1 영역과 겹치는 것, 제 2 영역이 제 1 영역에 포함되는 것 또는 제 1 영역이 제 2 영역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두 영역들이 겹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255로 진행된다. 단계 255에서 제어부(160)는 이미지를 제 2 영역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동영상과 이미지가 서로 겹치지 않고 화면의 최상층에 표시된다.
두 영역들이 겹치는 경우 단계 260에서 제어부(160)는 제 2 영역과 겹치지 않는 제 3 영역을 결정한다. 일례로, 제어부(160)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영역(350; 도 3c 참조)의 4개의 좌표들 (x1, y1), (x1, y2), (x2, y2) 및 (x2, y1)을 확인하고, 확인된 4개의 좌표들을 기반으로 제 3 영역(360)을 결정한다. 즉 4개의 좌표들을 꼭짓점으로 하는 사각형 영역이 제 3 영역(360)으로 결정된다.
다른 예로, 제어부(160)는 위치 변경 테이블(131)을 저장부(130)에서 읽어 온다. 예컨대, 특정 이벤트가 키패드 표시 요청 이벤트(예, 텍스트 입력란(380)에 대한 사용자의 탭)인 경우 제어부(160)는 그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가 "화면의 상단"임을 확인한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확인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 3 영역을 결정한다.
단계 265에서 제어부(160)는 이미지를 제 2 영역에 표시하고 동영상을 제 3 영역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동영상과 이미지가 서로 겹치지 않고 화면의 최상층에 표시된다. 한편, 제 2 영역은 서로 분리된 다수의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4a를 참조하면, 제 1 영역(410)은 화면 하단으로 결정되어 동영상(420)이 제 1 영역(410)에서 표시된다. 이후 통화 요청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발신자 정보(431)를 표시할 제 2-1 영역(421)은 화면 상단으로 결정되고 통화 수락 아이콘(432)과 통화 거절 아이콘(433)을 표시할 제 2-2 영역(422)은 화면 하단으로 결정된다. 이때 제 2-2 영역(422)은 제 1 영역(410)과 겹치게 된다. 따라서 제 3 영역(440)은 화면 중앙으로 결정되고 동영상(420)은 축소되어 제 3 영역(440)에 표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제어부(160)는 화면의 제 1 영역(610; 도 6 참조)에 동영상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팝업 기능을 수행한다.
단계 515에서 제어부(160)는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결정한다.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520으로 진행된다. 단계 520에서 제어부(160)는 동영상의 표시를 종료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동영상의 표시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515로 복귀된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단계 525에서 제어부(160)는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할 제 2 영역을 결정한다.
단계 530에서 제어부(160)는 이벤트가 미리 정해진 특정 이벤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벤트가 특정 이벤트가 아닌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535로 진행된다. 단계 535에서 이벤트에 해당되는 기능이 제어부(160)에 의해 수행된 후 프로세스는 단계 515로 복귀된다.
이벤트가 특정 이벤트인 경우 단계 540에서 제어부(160)는 제 2 영역이 제 1 영역과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두 영역들이 겹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545로 진행된다. 단계 545에서 제어부(160)는 이미지를 제 2 영역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두 영역들이 겹치는 경우(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영역(620)이 제 1 영역(610)에 포함되는 경우), 단계 550에서 제어부(160)는 제 1 영역과 겹치지 않는 제 3 영역을 결정한다. 일례로, 제어부(160)는 위치 변경 테이블(131)을 저장부(130)에서 읽어 온다. 제어부(160)는 발생된 특정 이벤트(예컨대, 메시지 수신)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예컨대, 하면의 하단)를 위치 변경 테이블(131)에서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확인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 3 영역으로 결정한다.
단계 555에서 제어부(160)는 이미지(630)를 제 3 영역(640)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동영상(650)과 이미지(630)가 서로 겹치지 않고 화면의 최상층에 표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10에서 제어부(160)는 화면의 제 1 영역(810)에 동영상(820)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팝업 기능을 수행한다.
단계 715에서 제어부(160)는 제 1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결정한다. 제 1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720으로 진행된다. 단계 720에서 제어부(160)는 동영상의 표시를 종료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동영상의 표시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715로 복귀된다.
제 1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단계 725에서 제어부(160)는 제 1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할 제 2 영역을 결정한다.
단계 730에서 제어부(160)는 이벤트가 미리 정해진 특정 이벤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제 1 이벤트가 특정 이벤트가 아닌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735로 진행된다. 단계 735에서 제 1 이벤트에 해당되는 기능이 제어부(160)에 의해 수행된 후 프로세스는 단계 715로 복귀된다.
제 1 이벤트가 특정 이벤트인 경우 단계 740에서 제어부(160)는 제 2 영역이 제 1 영역(810)과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두 영역들이 겹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745로 진행된다. 단계 745에서 제어부(160)는 이미지를 제 2 영역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두 영역들이 겹치는 경우(예컨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영역(830)의 일부가 제 1 영역(810)에 겹치는 경우), 단계 750에서 제어부(160)는 이미지(840)를 제 2 영역(830)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동영상(820)에서 이미지(840)와 겹치는 부분(821)을 반투명하게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동영상(820) 전체는 물론 이미지(840)의 전체가 식별 가능하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겹치는 부분(821)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될 경우, 이를 동영상(820)이 아닌 이미지(840)와 관련된 이벤트인 것으로 결정한다. 한편, 동영상(820)에서 이미지(840)와 겹치는 부분(821)은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팝업 기능이 수행되고 있지만 이런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이미지(840)가 고층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동영상(820)이 저층에 위치한다.
단계 755에서 제어부(160)는 동영상(820)의 위치 변경을 요청하는 제 2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결정한다. 이러한 제 2 이벤트는 표시부(110)에 대한 사용자 제스처(예, 동영상(820)에 대한 위쪽으로의 플릭(850))이거나, 키입력부(130)에서 발생된 키 이벤트이다. 또한 제 2 이벤트는 음성데이터(예컨대, "동영상 위치 바꿔")일 수도 있다. 동영상(820)이 위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미지(840)와 겹치지 않게 되는 부분이 생기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160)은 이러한 부분을 인식하고, 인식된 부분을 불투명하게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단계 760에서 제어부(160)는 제 2 이벤트에 응답하여 동영상(820)을 제 3 영역(860)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영역(860)은 제 2 영역(830)과 겹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910에서 제어부(160)는 화면의 제 1 영역(1010)에 동영상(1020)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팝업 기능을 수행한다.
단계 915에서 제어부(160)는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결정한다.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920으로 진행된다. 단계 920에서 제어부(160)는 동영상의 표시를 종료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동영상의 표시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915로 복귀된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단계 925에서 제어부(160)는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할 제 2 영역을 결정한다.
단계 930에서 제어부(160)는 이벤트가 미리 정해진 특정 이벤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벤트가 특정 이벤트가 아닌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935로 진행된다. 단계 935에서 이벤트에 해당되는 기능이 제어부(160)에 의해 수행된 후 프로세스는 단계 915로 복귀된다.
이벤트가 특정 이벤트인 경우 단계 940에서 제어부(160)는 제 2 영역이 제 1 영역(1010)과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두 영역들이 겹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945로 진행된다. 단계 945에서 제어부(160)는 이미지를 제 2 영역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두 영역들이 겹치는 경우(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영역(1030)의 일부가 제 1 영역(1010)에 겹치는 경우), 단계 950에서 제어부(160)는 방향 아이콘들(1041 내지 1043)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즉 방향 아이콘들(1041 내지 1043)은 동영상(1020)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가이드 이미지이다. 이러한 가이드 이미지는 방향 아이콘들 대신,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시지(1040)일 수도 있다. 메시지(1040)는 미리 정해진 시간(예, 2초) 정도 표시된 후 사라진다. 제어부(160)는 메시지(1040)를 사라지게 한 후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지정 아이콘들(1051 내지 1053)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단계 955에서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방향 아이콘(또는 위치 지정 아이콘)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방향 아이콘(또는 위치 지정 아이콘)의 선택이 검출된 경우 단계 960에서 제어부(160)는 이미지를 제 2 영역(1030)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동영상(1020)을 상기 선택된 방향 아이콘(또는 위치 지정 아이콘)에 해당되는 제 3 영역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1110에서 제어부(160)는 이벤트 리스트(1210)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일례로, 표시부(110)는 환경 설정 아이콘을 포함하는 홈 이미지를 표시한다. 환경 설정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어부(160)는 위치 변경 메뉴를 포함하는 환경 설정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위치 변경 메뉴가 선택되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벤트 리스트(1210)가 표시된다.
단계 1120에서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이벤트 리스트(1210)에서 하나의 이벤트 아이콘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벤트 아이콘의 선택이 검출된 경우 단계 1130에서 제어부(160)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 지정 아이콘들(1221 내지 1229)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즉 위치 지정 아이콘들(1221 내지 1229)은 이벤트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가이드 이미지이다. 이러한 가이드 이미지는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아이콘들(1231 내지 1238)일 수도 있다.
단계 1140에서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위치 지정 아이콘(또는 방향 아이콘)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위치 지정 아이콘(또는 방향 아이콘)의 선택이 검출된 경우 단계 1150에서 제어부(160)는 선택된 이벤트 아이콘에 해당되는 이벤트 정보와 선택된 위치 지정 아이콘(또는 방향 아이콘)에 해당되는 위치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한편 상술한 예시들은 편의상 표시 모드가 포트레이트 모드(portrait mode) 즉, 세로 모드로 가정해서 설명한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은 랜드스케이프 모드(landscape mode) 즉, 가로 모드에서도 구현된다. 휴대 단말(100)은 휴대 단말의 자세 감지가 가능한 센서 예컨대, 가속도 센서를 더 구비한다. 가속도 센서는 휴대 단말(100)의 가속도(예컨대, X축 가속도, Y축 가속도 및 Z축 가속도) 및 그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제어부(160)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전달된 감지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100)의 자세 예컨대, 기울기 정보(예컨대, X, Y 및 Z축 각각을 중심으로 한 회전 각도들)를 산출한다. 흔히, X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각도를 롤각이라 하고, Y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각도를 피치각이라 하고, Z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각도를 요각이라 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산출된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100)의 표시 모드를 결정한다. 물론, 표시 모드는 휴대 단말(100)의 자세와 상관없이, 사용자 임의대로 고정될 수도 있다. 그러나 고정되어 있지 않다면(예컨대, 화면 자동 회전 기능이 설정되어 있다면), 제어부(160)는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 모드를 결정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이미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팝업 기능을 수행한다. 즉 표시부(11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화면 좌측에 동영상(1310)을 표시한다. 이때 특정 이벤트(예컨대, 텍스트 입력란(1320)에 대한 사용자의 탭)가 발생된다. 그러면 표시부(11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동영상(1310)을 화면 중앙에 표시하고, 분리 키패드(split keypad)의 좌측 키패드(1331)를 화면 좌측에 표시하고, 우측 키패드(1332)를 화면 우측에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와,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롬(ROM)과, 램(RAM)과,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0: 휴대 단말
110: 표시부 111: 터치패널
120: 키입력부 130: 저장부
131: 위치 변경 테이블 132: 동영상 플레이어
140: 무선통신부 150: 오디오처리부
160: 제어부

Claims (21)

  1. 동영상을 화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할 제 2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미리 정해진 특정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 경우 상기 제 2 영역과 겹치지 않는 제 3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을 상기 제 3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이미지 표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이벤트는 키패드 표시 요청 이벤트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이고,
    상기 이벤트가 상기 특정 이벤트가 아니고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 경우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지 않은 부분에 상기 이미지의 일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이미지 표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외부로부터 수신한 통화 요청 메시지인 경우 상기 동영상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이미지 표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을 상기 제 3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을 축소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이미지 표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저장된 위치 변경 테이블에서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3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이미지 표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이벤트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리스트에서 하나의 이벤트 아이콘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위치 정보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이벤트 아이콘에 해당되는 이벤트와 상기 선택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변경 테이블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변경 테이블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이미지 표시 방법.
  7. 동영상을 화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할 제 2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미리 정해진 특정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 경우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지 않는 제 3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제 3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이미지 표시 방법.
  8. 동영상을 화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제 1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 1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할 제 2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이벤트가 미리 정해진 특정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 경우 상기 이미지를 제 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에서 상기 이미지와 겹치는 부분을 반투명하게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의 위치 변경을 요청하는 제 2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동영상을 상기 제 2 영역과 겹치지 않는 제 3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이미지 표시 방법.
  9. 동영상을 화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할 제 2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미리 정해진 특정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 이미지에서 하나의 아이콘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을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되는 제 3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이미지 표시 방법.
  10. 제 1 이미지를 화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제 2 이미지를 표시할 제 2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미리 정해진 특정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 경우 상기 제 2 영역과 겹치지 않는 제 3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이미지를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 1 이미지를 상기 제 3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이미지 표시 방법.
  11. 동영상을 화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는 표시부;
    이벤트 발생부; 및
    상기 이벤트 발생부로부터 수신한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동영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할 제 2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이벤트가 미리 정해진 특정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 경우 상기 제 2 영역과 겹치지 않는 제 3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을 상기 제 3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발생부는,
    터치 패널, 키입력부, 마이크 및 무선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이벤트는 상기 터치 패널, 상기 키입력부 또는 상기 마이크로부터 수신한 키패드 표시 요청 이벤트이거나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가 상기 특정 이벤트가 아니고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 경우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지 않은 부분에 상기 이미지의 일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가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한 통화 요청 메시지인 경우 상기 동영상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동영상을 축소해서 상기 제 3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6. 제 11 항에 있어서,
    위치 변경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변경 테이블에서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3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벤트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벤트 리스트에서 하나의 이벤트 아이콘의 선택을 검출하고, 위치 정보의 선택을 검출하고, 상기 선택된 이벤트 아이콘에 해당되는 이벤트를 상기 선택된 위치 정보를 매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8. 동영상을 화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는 표시부;
    이벤트 발생부; 및
    상기 이벤트 발생부로부터 수신한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동영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할 제 2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이벤트가 미리 정해진 특정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 경우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지 않는 제 3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제 3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9. 동영상을 화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는 표시부;
    이벤트 발생부; 및
    상기 이벤트 발생부로부터 수신한 제 1 이벤트 및 제 2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동영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할 제 2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이벤트가 미리 정해진 특정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 경우 상기 이미지를 제 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에서 상기 이미지와 겹치는 부분을 반투명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동영상을 상기 제 2 영역과 겹치지 않는 제 3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0. 동영상을 화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는 표시부;
    이벤트 발생부; 및
    상기 이벤트 발생부로부터 수신한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동영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이미지를 표시할 제 2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이벤트가 미리 정해진 특정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 경우 상기 동영상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가이드 이미지에서 하나의 아이콘의 선택을 검출하고, 상기 이미지를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을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되는 제 3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1.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이벤트 발생부; 및
    상기 이벤트 발생부로부터 수신한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이미지를 표시할 화면의 제 1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영역에 상기 제 1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이미지의 표시 중에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 2 이미지를 표시할 화면의 제 2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이벤트가 미리 정해진 특정 이벤트인 경우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영역과 겹치는 경우 상기 제 2 영역과 겹치지 않는 제 3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제 2 이미지를 상기 제 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 1 이미지를 상기 제 3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KR1020130001691A 2013-01-07 2013-01-07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KR102032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691A KR102032449B1 (ko) 2013-01-07 2013-01-07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US14/141,002 US9779475B2 (en) 2013-01-07 2013-12-26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displaying image
CN201380069600.7A CN104904126B (zh) 2013-01-07 2013-12-30 用于显示图像的方法和移动设备
JP2015551599A JP6367231B2 (ja) 2013-01-07 2013-12-30 イメージ表示方法及び携帯端末
PCT/KR2013/012357 WO2014107011A1 (en) 2013-01-07 2013-12-30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displaying image
AU2013371739A AU2013371739B2 (en) 2013-01-07 2013-12-30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displaying image
CN201710933683.XA CN107657934B (zh) 2013-01-07 2013-12-30 用于显示图像的方法和移动设备
EP14150209.6A EP2752840B1 (en) 2013-01-07 2014-01-06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displaying moving images
EP18207373.4A EP3495933B1 (en) 2013-01-07 2014-01-06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displaying image
US15/720,643 US10482573B2 (en) 2013-01-07 2017-09-29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displaying image
JP2018127439A JP6999513B2 (ja) 2013-01-07 2018-07-04 イメージ表示方法及び携帯端末
US16/687,043 US11024003B2 (en) 2013-01-07 2019-11-18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displaying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691A KR102032449B1 (ko) 2013-01-07 2013-01-07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652A Division KR102076193B1 (ko) 2019-10-08 2019-10-08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809A true KR20140089809A (ko) 2014-07-16
KR102032449B1 KR102032449B1 (ko) 2019-10-15

Family

ID=49999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691A KR102032449B1 (ko) 2013-01-07 2013-01-07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9779475B2 (ko)
EP (2) EP3495933B1 (ko)
JP (2) JP6367231B2 (ko)
KR (1) KR102032449B1 (ko)
CN (2) CN107657934B (ko)
AU (1) AU2013371739B2 (ko)
WO (1) WO201410701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027A (ko) * 2015-04-30 2016-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KR102263412B1 (ko) * 2019-12-30 2021-06-1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영상 오버랩 출력 제어 방법
JP2023038197A (ja) * 2018-07-23 2023-03-16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の表示制御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3125A (ko) * 2012-11-16 2014-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역에 따라 다른 계수를 적용하여 화질을 개선하는 영상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032449B1 (ko) * 2013-01-07 2019-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USD746849S1 (en) * 2013-11-22 2016-01-05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WO2015130875A1 (en) * 2014-02-27 2015-09-03 Keyless Systems Ltd. Improved data entry systems
JP6306965B2 (ja) * 2014-07-25 2018-04-04 株式会社Nttドコモ 携帯端末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起動方法
USD794650S1 (en) * 2014-11-28 2017-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0475S1 (en) * 2014-11-28 2016-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5824590B (zh) * 2015-08-31 2019-11-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在移动设备中的分屏处理方法和装置
KR102423447B1 (ko) * 2015-10-22 2022-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517680B2 (ja) * 2015-12-16 2019-05-22 田中 佳子 心理形成プログラム
JP7091601B2 (ja) * 2016-11-07 2022-06-2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0955985B2 (en) * 2017-10-11 2021-03-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mizing an arrangement of content on a display of a user device based on user focus
CN110520830A (zh) * 2018-02-26 2019-11-29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显示方法
CN108491127B (zh) * 2018-03-12 2020-02-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输入法界面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3485627A (zh) 2018-03-23 2021-10-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窗口的显示方法及终端
TWI669703B (zh) * 2018-08-28 2019-08-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適於多人觀看的資訊顯示方法及資訊顯示裝置
TWI686742B (zh) 2018-10-29 2020-03-0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控制方法、電子裝置及非暫態電腦可讀記錄媒體裝置
CN109542328B (zh) * 2018-11-30 2021-04-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用户界面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7305976B2 (ja) * 2019-02-13 2023-07-1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CN110582027B (zh) * 2019-08-22 2022-04-12 聚好看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电视上显示消息的方法及相关装置
CN111580729B (zh) * 2020-04-22 2021-07-13 江西博微新技术有限公司 一种重叠图元选中的处理方法、***、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1552532A (zh) * 2020-04-23 2020-08-18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弹窗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051432B (zh) * 2021-04-25 2022-07-19 聚好看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及媒资播放方法
WO2022078154A1 (zh) * 2020-10-15 2022-04-21 聚好看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及媒资播放方法
US20220397985A1 (en) * 2021-06-14 2022-12-15 Citrix Systems, Inc. Transparent Application Window
CN115345331A (zh) * 2022-08-18 2022-11-15 浙江安易信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工单全过程分配跟踪管理***
WO2024042708A1 (ja) * 2022-08-26 2024-02-29 楽天モバイル株式会社 画面に表示される特定の要素の隠蔽を防ぐ動画表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9308A (ja) * 2002-01-23 2003-07-31 Sony Corp 画面表示制御方法および画面表示制御装置
KR20080076390A (ko) * 2007-02-15 200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터치 이벤트에 따른 정보 표시 장치 및방법
KR20090096149A (ko) * 2008-03-07 2009-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07377A (ko) * 2009-03-25 201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9122B2 (en) 2004-07-30 2013-07-02 Apple Inc.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KR100754579B1 (ko) 1998-12-30 200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동영상표시방법
JP2003108283A (ja) * 2001-09-18 2003-04-11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コンピュータ装置、表示デバイス、表示制御装置、イメージの処理方法、表示解像度の変更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4260632A (ja) * 2003-02-26 2004-09-16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端末装置及び動画付加情報の編集方法
US20070008338A1 (en) 2005-05-28 2007-01-11 Young-Chan Kim Display system,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video source and display apparatus
KR20060123033A (ko) 2005-05-28 2006-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장치와, 영상소스와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JP4596156B2 (ja) 2005-08-11 2010-12-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040622A (ja) 2006-08-02 2008-02-21 Sharp Corp 広告提供システム、広告提供装置、広告表示装置、広告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A2690163C (en) * 2006-10-02 2011-08-02 Optosecurity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use in assessing the threat status of an article at a security check point
KR101144423B1 (ko) * 2006-11-16 201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JPWO2008078471A1 (ja) * 2006-12-25 2010-04-15 シャープ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549429B2 (en) * 2007-01-25 2013-10-01 Sharp Kabushiki Kaisha Multi-window management apparatus and program,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5219407B2 (ja) 2007-05-31 2013-06-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956869B1 (en) 2007-07-13 2011-06-07 Adobe Systems Incorporated Proximity based transparency of windows aiding in obscured window selection
JP4342578B2 (ja) 2007-07-24 2009-10-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109223A (ja) * 2007-10-26 2009-05-21 Mitsubishi Electric Corp 目的地設定履歴検索支援装置
KR20090077603A (ko) 2008-01-11 2009-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482121B1 (ko) 2008-08-04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05688B1 (ko) 2008-10-23 2015-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 처리 방법
JP2010134625A (ja) 2008-12-03 2010-06-17 Sharp Corp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21932B1 (ko) 2009-01-19 2015-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00277414A1 (en) * 2009-04-30 2010-11-04 Qualcomm Incorporated Keyboard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KR101613838B1 (ko) 2009-05-19 201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홈 스크린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092591B1 (ko) 2009-11-05 2011-12-13 주식회사 팬택 관통입력을 제공하는 단말 및 그 방법
KR20110121926A (ko) 2010-05-03 2011-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에서 선택된 정보에 대응하는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투명 팝업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US9483175B2 (en) * 2010-07-26 2016-11-0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through a hierarchy
US8587547B2 (en) * 2010-11-05 2013-11-1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soft keyboards
KR101199618B1 (ko) 2011-05-11 2012-11-08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화면 분할 표시 장치 및 방법
US20160034178A1 (en) * 2012-01-05 2016-02-04 Lg Cns Co., Ltd. Virtual keyboard
KR102032449B1 (ko) * 2013-01-07 2019-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9308A (ja) * 2002-01-23 2003-07-31 Sony Corp 画面表示制御方法および画面表示制御装置
KR20080076390A (ko) * 2007-02-15 200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터치 이벤트에 따른 정보 표시 장치 및방법
KR20090096149A (ko) * 2008-03-07 2009-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07377A (ko) * 2009-03-25 201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0027A (ko) * 2015-04-30 2016-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US11568774B2 (en) 2015-04-30 2023-01-31 Samsung Display Co., Ltd. Image correction uni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of the display device
JP2023038197A (ja) * 2018-07-23 2023-03-16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の表示制御方法
KR102263412B1 (ko) * 2019-12-30 2021-06-1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영상 오버랩 출력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657934B (zh) 2021-03-12
KR102032449B1 (ko) 2019-10-15
US10482573B2 (en) 2019-11-19
AU2013371739A1 (en) 2015-05-21
JP2016507822A (ja) 2016-03-10
JP6367231B2 (ja) 2018-08-01
EP2752840A3 (en) 2014-11-05
CN107657934A (zh) 2018-02-02
US9779475B2 (en) 2017-10-03
EP2752840B1 (en) 2018-11-21
AU2013371739B2 (en) 2017-06-15
US20140192090A1 (en) 2014-07-10
US20200082500A1 (en) 2020-03-12
CN104904126B (zh) 2017-10-31
JP2018185845A (ja) 2018-11-22
US20180025469A1 (en) 2018-01-25
CN104904126A (zh) 2015-09-09
JP6999513B2 (ja) 2022-01-18
US11024003B2 (en) 2021-06-01
EP3495933A1 (en) 2019-06-12
EP2752840A2 (en) 2014-07-09
EP3495933B1 (en) 2021-08-18
WO2014107011A1 (en) 2014-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9513B2 (ja) イメージ表示方法及び携帯端末
KR102010955B1 (ko) 프리뷰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
KR101999154B1 (ko) 데이터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US10379809B2 (en) Method for providing a voice-speech service and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2190904B1 (ko) 윈도우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KR102044826B1 (ko) 마우스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
KR20140101169A (ko) 사진 촬영 가이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
JP6313028B2 (ja) タッチ入力方法及び携帯端末
KR20140105689A (ko)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
US9658865B2 (en) Method of edit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for implementing the same
KR20140089816A (ko) 콘텐츠 주밍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
US20150128031A1 (en) Contents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AU201323117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and mobile device
KR102030669B1 (ko) 로그인 관리 방법 및 휴대 단말
KR20140105354A (ko) 터치 감응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191376B1 (ko)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KR102076193B1 (ko)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KR20140029827A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휴대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