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904B1 - 윈도우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윈도우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904B1
KR102190904B1 KR1020130113600A KR20130113600A KR102190904B1 KR 102190904 B1 KR102190904 B1 KR 102190904B1 KR 1020130113600 A KR1020130113600 A KR 1020130113600A KR 20130113600 A KR20130113600 A KR 20130113600A KR 102190904 B1 KR102190904 B1 KR 102190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reference point
edge
detected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3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3844A (ko
Inventor
강두석
최보근
김한집
황민경
전용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3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904B1/ko
Priority to US14/486,280 priority patent/US9690456B2/en
Publication of KR20150033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화면영역에 실행되는 윈도우를 제어하는 방법은 윈도우를 실행하는 동작과, 상기 윈도우의 기준점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설정하는 동작과, 상기 윈도우의 속성변경 요청이 발생한 경우, 상기 기준점에 기초하여 상기 윈도우의 속성을 변경하는 동작 및 상기 속성 변경된 윈도우의 기준점을 재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윈도우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WINDOW}
본 개시는 윈도우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윈도우의 속성이 변경되더라도 윈도우가 화면 영역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들은 전자장치를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이용하고 있다. 전자장치는 이와 같은 다양한 컨텐츠를 동시에 화면 영역에 출력하기 위해서 속성 변경이 가능한 윈도우 출력 기능을 실행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의 화면 영역에 동영상을 재생하는 실행화면이 표시되는 도중 다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화면이 상기 동영상 재생 실행화면의 상위에 출력될 수 있다. 즉, 어떠한 기능이 실행되는 화면상에서 그의 최상층에 다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일명, 팝업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속성 변경이 가능한 윈도우 출력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예를 들어, 동영상을 보면서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한 검색이나 문자 보내기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팝업 기능에 포함되는 팝업 플레이어, 팝업 브라우저(browser), 팝업 사전(dictionary) 등 다양한 형태의 팝업 윈도우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들이 등장하고 있다.
한편, 팝업 윈도우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자장치의 제한된 화면 영역의 사이즈에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팝업 윈도우 외의 다른 실행화면이 가려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팝업 윈도우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크기를 조정하는 등의 팝업 윈도우의 속성을 변경해야 한다. 이때 팝업 윈도우의 속성 변경에 따라 팝업 윈도우가 화면 영역에서 벗어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영역 상에 세로 방향으로 길게 표시된 팝업 윈도우(20)를 사용자가 가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회전시킨다. 그러나 팝업 윈도우가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팝업 윈도우의 우측 일부가 잘려 보이지 않게 된다. 즉, 회전된 팝업 윈도우의 일부분이 화면 영역을 넘어가 화면이 잘리게 되고, 이 때문에 팝업 윈도우가 출력하는 컨텐츠가 다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시 회전된 팝업 윈도우(22)를 화면 영역 범위 내에 배치되도록 이동시켜야 한다.
마찬가지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영역 일부에 표시된 팝업 윈도우(30)를 사용자가 임의로 확대시킨다. 그러나 이때 팝업 윈도우(30)가 확대됨에 따라 팝업 윈도우의 일부가 화면 영역을 넘어가기 때문에 팝업 윈도우의 일부가 잘려서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시 확대된 팝업 윈도우(32)를 화면 영역 범위 내에 배치되도록 이동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의 전자장치는 팝업 윈도우의 속성을 변경할 때, 팝업 윈도우가 화면 영역 범위를 벗어나는 등의 문제로 인하여, 사용자가 다시 팝업 윈도우를 화면 영역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추가적인 동작을 실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개시는 윈도우의 속성을 변경하더라도 자동적으로 윈도우가 화면영역에서 유지되게 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개시는 사용자로 하여금 윈도우의 사이즈를 변경하거나 위치를 변경하더라도 윈도우가 화면영역 내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자동적으로 윈도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화면영역에 실행되는 윈도우를 제어하는 방법은 윈도우를 실행하는 동작과, 상기 윈도우의 기준점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설정하는 동작과, 상기 윈도우의 속성변경 요청이 발생한 경우, 상기 기준점에 기초하여 상기 윈도우의 속성을 변경하는 동작 및 상기 속성 변경된 윈도우의 기준점을 재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화면영역에 실행되는 윈도우를 제어하는 전자장치는, 윈도우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윈도우의 기준점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설정하고, 윈도우의 속성변경요청이 발생한 경우, 상기 기준점에 기초하여 상기 윈도우의 속성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상으로 본 개시에 따른 윈도우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는 윈도우를 표시함에 있어서, 윈도우의 속성이 변경되더라도 화면영역을 벗어나거나 잘리지 않고, 크기나 위치가 자동으로 변경되어 윈도우를 화면영역에서 정상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에 의한 윈도우가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 내지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윈도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본 개시에서 전자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전자책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개시에 따른 윈도우 제어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아래 설명과 첨부된 도면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입력부(130), 오디오처리부(140), 표시부(150), 제어부(160), 스피커(SPK) 및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표시부(15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이미지를 화면(screen on which at least one image is shown)에 표시한다. 즉 제어부(160)가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할 이미지로 처리(예컨대, 디코딩(decoding))하여 버퍼에 저장하면, 표시부(150)는 버퍼에 저장된 이미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표시부(150)에 전원이 공급되면 표시부(150)는 잠금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잠금 이미지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잠금 해제 정보가 검출되면 제어부(160)는 잠금을 해제한다. 즉 표시부(15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잠금 이미지 대신 다른 이미지를 표시한다. 여기서 잠금 해제 정보는 사용자가 표시부(150)의 화면에 표시된 키패드 또는 입력부(130)를 이용해 전자장치(100)에 입력한 텍스트(예, 1234)이거나, 표시부(15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의 궤적, 터치의 방향 또는 터치의 종류이거나, 마이크(MIC)를 통해 전자장치(100)에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이다. 한편 다른 이미지는 홈 이미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이미지(예컨대, 동영상, 웹페이지 등), 키패드 또는 리스트 등이다. 홈 이미지는 배경 이미지와 이 위에 표시되는 다수의 아이콘을 포함한다. 아이콘들은 각각 어플리케이션(이하, 앱(App)) 또는 데이터(예, 사진 파일, 비디오 파일, 녹음 파일, 문서, 메시지 등)를 지시한다. 사용자가 아이콘들 중 하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선택(예, 아이콘을 탭)하면, 제어부(160)는 해당 앱(예, SNS를 제공하는 앱)을 실행하고, 그 실행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50)를 제어한다.
표시부(15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이미지들을 다층(multi-layer) 구조로 화면에 표시한다. 예컨대, 표시부(150)는 제 1 이미지(예컨대, 홈 이미지, 웹페이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제 1 이미지 위에 제 2 이미지(예컨대, 동영상)를 표시한다. 이때 제 1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은 화면 전체이고 제 2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은 화면 일부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이미지의 전체는 아니어도 그 일부를 볼 수 있다. 또한 표시부(15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제 2 이미지를 불투명하게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 1 이미지의 전체를 볼 수도 있다.
표시부(15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특정 이미지 특히, 팝업 윈도우의 경우 항상 화면의 최상층에 표시한다.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웹 브라우저가 실행되고, 웹 브라우저의 실행에 따라 웹 페이지가 화면에 표시된다. 이때 제어부(110)는 팝업 윈도우를 웹 페이지보다 상층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50)를 제어한다.
표시부(15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또는 플랙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패널(111)은 표시부(150)에 안착(place on)된다. 구체적으로 터치패널(111)은 표시부(150)의 화면에 위치하는 애드 온 타입(add-on type)이나 표시부(150) 내에 삽입되는 온 셀 타입(on-cell type) 또는 인 셀 타입(in-cell type)으로 구현된다.
터치패널(111)은 터치패널(111)에 대한 사용자 제스처에 응답하여 아날로그 신호(예, 터치이벤트)를 발생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A/D 변환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여기서 터치이벤트는 터치 좌표(x, y)를 포함한다. 제어부(160)는 터치패널(111)로부터 터치 좌표가 수신될 경우 터치 기구(예, 손가락이나 펜)가 터치패널(111)에 터치된 것으로 결정하고 터치패널(111)로부터 터치 좌표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터치 해제된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터치 좌표가 예컨대, (x1,y1)에서 (x2,y2)로 변화된 경우 제어부(160)는 터치 기구가 이동한 것으로 결정한다. 제어부(160)는 터치 기구의 이동에 응답하여 터치 기구의 위치변화량(dx, dy) 및 터치 기구의 이동 속도 등을 산출한다. 제어부(160)는 터치 좌표, 터치 기구의 터치 해제 여부, 터치 기구의 이동 여부, 터치 기구의 위치변화량 및 터치 기구의 이동 속도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 제스처를 터치, 멀티 터치, 탭(Tap), 더블 탭(Double Tap), 롱 탭(Long tap), 탭 앤 터치(Tap & touch), 드래그(Drag), 플릭(Flick), 프레스(Press), 핀치인(pinch in) 및 핀치아웃(pinch out) 등 중에서 어느 하나로 결정한다. 터치는 사용자가 화면의 터치패널(111)의 어느 한 지점에 터치 기구를 접촉하는 제스처이고, 멀티 터치는 여러 지점에 다수의 터치 기구(예, 엄지와 검지)를 접촉하는 제스처이고, 탭은 화면의 어느 한 지점에 터치 기구가 터치된 후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터치 해제(touch-off)되는 제스처이고, 더블 탭은 어느 한 지점을 연속적으로 두 번 탭하는 제스처이고, 롱 탭은 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터치한 후 터치 기구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터치 기구를 터치 해제하는 제스처이고, 탭 앤 터치는 화면의 어느 지점을 탭한 후 해당 지점을 소정 시간(예, 0.5초)이내에 다시 터치하는 제스처이고, 드래그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기구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스처이고, 플릭은 드래그에 비해 터치 기구를 빠르게 이동시킨 후 터치 해제하는 제스처이고, 프레스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해당 지점을 누르는 제스처이고, 핀치 인은 두 개의 터치 기구로 두 지점을 동시에 멀티 터치한 후 터치 기구들의 간격을 좁히는 제스처이고, 핀치 아웃은 터치 기구들의 간격을 넓히는 제스처이다. 즉 터치는 터치패널(111)에 접촉(contact)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그 밖의 제스처들은 터치의 변화를 의미한다.
터치패널(111)은 손 제스처를 감지하는 손 터치패널과 펜 제스처를 감지하는 펜 터치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복합 터치패널일 수 있다. 여기서 손 터치패널은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으로 구성된다. 물론 손 터치패널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손 터치패널은 사용자의 손 제스처에 의해서만 터치이벤트를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물체(예, 정전용량 변화를 가할 수 있는 전도성 재질의 물체)에 의해서도 터치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펜 터치패널은 전자 유도 방식(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펜 터치패널은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특수 제작된 터치용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터치이벤트를 생성한다. 한편, 터치패널(111)은 압력 센서를 구비하여 터치된 지점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압력 정보는 제어부(160)로 전달되고, 제어부(160)는 감지된 압력 정보를 바탕으로 터치와 프레스를 구분한다. 여기서 압력 정보는 다른 방식으로도 감지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키들은 메뉴 불러오기 키, 화면 온/오프 키, 전원 온/오프 키 및 볼륨 조절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 설정 및 전자장치(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이벤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키 이벤트는 전원 온/오프 이벤트, 볼륨 조절 이벤트, 화면 온/오프 이벤트, 셔터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이러한 키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한다. 한편 입력부(130)의 키는 하드 키(hard key)라 하고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가상의(virtual) 키는 소프트 키(soft key)로 지칭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제어부(160)의 보조기억장치(secondary memory unit)로써, 디스크, 램(RAM), 롬(ROM) 및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저장부(120)는 전자장치(100)에서 생성된 데이터(예컨대, 연락처) 그리고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예, 메시지, 동영상 파일)를 저장한다.
저장부(120)는 이미지(예컨대, 키패드, 동영상, 메시지 등)의 크기 정보 및 이미지의 표시 영역 정보를 포함한다. 화면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가 픽셀(pixel)인 것으로 가정한다면, 크기 정보는 예컨대, "x*y"이다. "x"는 X축 방향으로 x 번째 픽셀을 의미하고 "y"는 Y축 방향으로 y번째 픽셀을 의미한다. 표시 영역 정보는 예컨대, 4개의 좌표들 즉, (x1, y1), (x2, y1), (x2, y1) 및 (x2, y2)이다. 또한 표시 영역 정보는 1개의 좌표일 수도 있다.
저장부(120)는 설정 값들(예컨대, 화면의 밝기의 자동 조절 여부를 나타내는 값, 블루투스(bluetooth)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값, 팝업 기능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값, 위치 변경 테이블(131)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값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120)는 부팅 프로그램,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와 어플리케이션 사이 그리고 어플리케이션들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면서, CPU, GPU,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등의 컴퓨터 자원을 관리한다. 또한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의 동작 및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을 제어하고, 작업(task)들의 순서를 정하고, CPU 및 GPU의 연산을 제어하고, 데이터와 파일의 저장을 관리한다. 어플리케이션들은 내재화 어플리케이션(embedded application)과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3rd party application)으로 분류된다. 예컨대 내재화 어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Web browser), 이메일(email) 프로그램,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등이다.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은 앱 마켓 서버에서 전자장치(100)로 수신되어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배터리에서 제어부(160)로 전원이 공급되면 먼저 부팅 프로그램이 제어부(160)의 주기억장치(예, RAM)로 로딩(loading)된다. 이러한 부팅 프로그램은 운영체제를 주기억장치로 로딩시킨다. 운영체제는 어플리케이션 예컨대, 동영상 플레이어(132)를 주기억장치로 로딩한다.
저장부(120)는 음성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STT(speech to text)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음성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인공 지능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공 지능 프로그램은 음성데이터에서 문맥(context)을 인식하는 자연어 처리 엔진(natural language processing engine)과, 인식된 문맥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추론하는 추론 엔진과, 인식된 문맥을 기반으로 사용자와 대화하는 대화 엔진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장치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모듈(예컨대, 3세대(3-Generation) 이동통신모듈, 3.5(3.5-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또는 4(4-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등), 디지털 방송 모듈(예컨대, DMB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예, 와이파이(Wi-Fi)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스피커(SPK) 및 마이크(MIC)와 결합하여 음성 인식, 음성 녹음, 디지털 레코딩(recording) 및 통화를 위한 오디오 신호(예, 음성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제어부(16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로 D/A 변환하고 증폭한 후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마이크(MIC)으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로 A/D 변환한 후 제어부(160)로 제공한다. 스피커(SPK)는 오디오 처리부(140)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음파(sound wave)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마이크(MIC)는 사람이나 기타 소리원(sound source)들로부터 전달된 음파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제어부(160)는 전자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전자장치(100)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배터리에서 상기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GPU(graphic processing unit)를 포함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CPU는 자료의 연산 및 비교와, 명령어의 해석 및 실행 등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적인 제어 유닛이다. GPU는 CPU를 대신하여, 그래픽과 관련한 자료의 연산 및 비교와, 명령어의 해석 및 실행 등을 수행하는 그래픽 제어 유닛이다. CPU와 GPU은 각각, 두 개 이상의 독립 코어(예, 쿼드 코어(quad-core))가 단일 집적 회로로 이루어진 하나의 패키지(package)로 통합될 수 있다. 또한 CPU와 GPU는 하나의 칩으로 통합(SoC; System on Chip)된 것일 수 있다. 또한 CPU와 GPU는 멀티 레이어(multi layer)로 패키징(packaging)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CPU 및 GPU를 포함하는 구성은 AP(Application Processor)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메인메모리(main memory unit) 예컨대, 램(RAM)을 포함한다. 메인메모리는 저장부(120)로부터 로딩된 각종 프로그램 예컨대, 부팅 프로그램, 호스트 운영체제, 게스트 운영체제들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한다. 즉 제어부(160)의 CPU 및 GPU는 이와 같은 프로그램에 액세스하여 프로그램의 명령을 해독하고, 해독 결과에 따른 기능(예, 팝업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저장부(120)에 기록(write)할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저장부(120)로부터 읽어 온(read)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캐시메모리를 포함한다.
제어부(16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크기 정보 및 표시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장치(100)를 운영한다. 예컨대, 키패드의 표시를 요청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160)는 키패드에 해당되는 크기 정보와 표시 영역 정보를 저장부(120)에서 읽어 오고, 읽어 온 정보를 기반으로 키패드를 해당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설정 값들을 이용하여 전자장치(100)를 운영한다. 예컨대, 동영상이 표시되면 제어부(160)는 팝업 윈도우 기능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값을 저장부(120)로부터 읽어 오고, 이 값을 기반으로 팝업 윈도우 기능의 사용 여부를 결정한다. 또는, 팝업 윈도우 기능의 실행 여부는 해당 설정 값과 무관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50)는 동영상과 함께, 팝업 윈도우 기능 버튼을 표시한다. 이러한 버튼은 동영상 위에 반투명하게 표시되거나 별도의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을 선택하면 제어부(160)는 팝업 윈도우 기능을 실행한다. 이때 버튼 위에는 "ON"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시 버튼을 선택하면 제어부(160)는 팝업 윈도우 기능을 종료한다. 이때 버튼 위에는 "OFF"가 표시될 수 있다. 팝업 윈도우의 대상이 되는 이미지는 동영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이미지(예컨대, 사진, 정지 영상, 메모, 지도 정보 등)가 될 수도 있다. 즉 동영상 이외에도 다른 이미지를 표시하는 팝업 윈도우가 화면의 최상층에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팝업 윈도우와 같은 속성 변경이 가능한 윈도우의 기준점을 설정한다. 상기 속성 변경이 가능한 윈도우의 기준점을 설정하는 미리 설정된 기준은 전자장치의 제조시 설계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출시 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속성 변경이 가능한 윈도우의 기준점은 윈도우의 속성을 변경할 때 이용되는 기준점이라 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윈도우의 속성을 변경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면, 설정된 기준점에 기초하여 윈도우의 속성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점에 기초하여 상기 윈도우의 사이즈를 확대 또는 축소하거나, 화면영역 내에서 상기 윈도우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윈도우의 모양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속성 변경된 윈도우의 기준점을 재설정한다. 즉, 상기 기준점에 기초하여 상기 윈도우의 사이즈를 변경하거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면 상기 윈도우의 위치 좌표가 변경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속성 변경된 윈도우의 기준점을 재설정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들은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전자장치(100)는 카메라, GPS 모듈, 진동 모터, 액세서리,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예, 이어 잭),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액세서리는 전자장치(100)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전자장치(100)의 부속품으로써 예컨대, 표시부(150)의 화면에 터치를 위한 펜이 될 수 있다. 또한 전자장치(100)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들에서 특정 구성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10 동작에서 제어부(160)는 윈도우를 실행시킨다. 즉,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윈도우를 실행하거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연계된 윈도우를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윈도우를 전자장치(100)의 화면 영역 내에 디폴트로 미리 설정된 위치에 미리 설정된 사이즈로 배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윈도우는 화면 영역에서 크기, 모양, 위치 등이 변경될 수 있는 속성 변경이 가능한 윈도우를 가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320 동작에서 제어부(160)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윈도우의 기준점을 설정한다. 상기 윈도우의 기준점을 설정하는 미리 설정된 기준은 전자장치의 제조시 설계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출시 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윈도우의 기준점은 윈도우의 속성을 변경할 때 이용되는 기준점이라 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윈도우와 화면영역의 특정 좌표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기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좌표 간의 거리는 상기 윈도우의 각 모서리와 상기 화면영역의 각 모서리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윈도우의 변의 중심과 상기 화면영역의 모서리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또는, 윈도우의 중심점과 상기 화면영역의 모서리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제어부(160)는 먼저 화면영역을 각 면적이 동일한 비율로 나뉘는 분리영역으로 구분하되, 상기 각 분리영역이 화면영역의 모서리를 하나씩 포함하는 분리영역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윈도우의 중심점이 위치하는 분리영역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분리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윈도우의 모서리를 검출하고, 검출된 윈도우의 모서리를 기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는 상기 각 분리영역에서 윈도우가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큰 분리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분리영역에 위치하는 윈도우의 모서리를 기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60)가 기준점을 설정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대해서는 이하 도 4 내지 도 1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330 동작에서 제어부(160)는 윈도우의 속성을 변경하기 위한 요청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화면 영역 내에 출력된 팝업 윈도우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사이즈를 변경하기 위해 입력하는 터치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터치 이벤트는 팝업 윈도우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스윕(sweep), 플릭(flick), 드래그(drag),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탭핑(tapping), 멀티 터치, 더블 탭(double tap), 롱 탭(long tap), 탭 앤 터치(tap and touch), 프레스(press), 핀치인(pinch in) 및 핀치아웃(pinch out) 등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340 동작에서 제어부(160)는 상기 320 동작에서 설정된 기준점에 기초하여 윈도우의 속성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점에 기초하여 상기 윈도우의 사이즈를 확대 또는 축소하거나, 화면영역 내에서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350 동작에서 제어부(160)는 속성 변경된 윈도우의 기준점을 재설정한다. 즉, 상기 기준점에 기초하여 상기 윈도우의 사이즈를 변경하거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면 상기 윈도우의 위치 좌표가 변경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속성 변경된 윈도우의 기준점을 재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320 동작에서 적용된 미리 설정된 기준과 동일한 기준으로 상기 속성 변경된 윈도우의 기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360 동작에서 제어부(160)는 윈도우 종료 요청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윈도우 종료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제어부(160)는 370 동작에서 윈도우를 종료한다. 윈도우 종료 요청을 수신하지 않으면, 제어부(160)는 330 동작으로 회귀하여 윈도우 속성 변경 요청의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도 4 내지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윈도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윈도우와 화면영역의 특정 좌표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에 따라 상기 윈도우의 속성변경 시 이용되는 기준점을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실행화면<401>과 같이 윈도우(400)는 최초에 화면 영역(200) 내에서 디폴트로 설정된 위치에 미리 설정된 사이즈로 출력된다.
화면 영역(200)은 보통 전자기기(100)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화면 영역(200)의 바운더리(boundary)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나, 본 개시에서는 직사각형 형태의 바운더리를 예로 든다. 사각형 형태의 화면 영역(200)은 제1 모서리(a1), 제2 모서리(a2), 제3 모서리(a3) 및 제4 모서리(a4)를 포함한다. 상기 모서리는 사각형의 꼭지점에 대응할 수 있다.
윈도우(400)의 바운더리는 다양한 도형의 형태일 수 있으나, 본 개시에서는 사각형 형태의 바운더리를 예로 든다. 윈도우(400)의 바운더리는 사각형 이외에 원형, 다각형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의해 자명하다. 사각형 형태의 윈도우(400)는 제11 모서리(b1), 제12 모서리(b2), 제13 모서리(b3) 및 제14 모서리(b4)를 포함한다.
제어부(160)는 윈도우(400)의 각 모서리(b1~b4)와 화면영역(200)의 각 모서리(a1~a4)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된 거리 중 가장 짧은 길이를 검출한다. 제어부(160)는 상기 거리가 가장 짧은 길이에 해당하는 윈도우(400)의 모서리를 검출하고, 검출된 윈도우(400)의 모서리를 기준점으로 설정한다.
실행화면<410>의 경우, 제1 모서리(a1)와 제11 모서리(b1) 간의 거리가 가장 짧게 검출되고, 이에 따라 제11 모서리(b1)가 기준점으로 설정된다.
여기서 화면영역(200)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가 픽셀(pixel)인 것으로 가정한다면, 화면영역(200)의 크기 정보는 예컨대, "x * y"이다. “x"는 x축 방향으로 x번째 픽셀을 의미하고,”y"는 y축 방향으로 y번째 픽셀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기준점은 (x , y)와 같은 좌표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실행화면<410>에서 윈도우(400)의 기준점이 제11 모서리(b1)로 설정된 이후, 윈도우(400)를 소정 각도로 회전하기 위한 요청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실행화면<4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 모서리(b1)를 기준으로 윈도우(400)를 회전시킨다.
본 개시는 이와 같이 윈도우의 기준점을 설정하여, 설정된 기준점에 기초하여 속성을 변경하기 때문에, 속성이 변경된 윈도우가 화면영역을 벗어나거나 변형되지 않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윈도우(400)의 회전에 따라 윈도우(400)의 위치 좌표 속성이 변경된다. 제어부(160)는 위치 좌표 속성이 변경된 윈도우(400)의 기준점을 재설정한다. 이때, 실행화면<400>에서 적용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윈도우(400)의 기준점을 재설정할 수 있다.
즉, 위치 좌표 속성이 변경된 윈도우(400)의 각 모서리(b1~b4)와 화면영역(200)의 각 모서리(a1~a4)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 중 가장 짧은 길이를 검출하며, 이에 해당하는 윈도우(400)의 모서리를 검출하여, 검출된 윈도우(400)의 모서리를 기준점으로 설정한다.
실행화면<420>에서는 위치 좌표 속성이 변경된 윈도우(400)의 각 모서리(b1~b4)와 화면영역(200)의 각 모서리(a1~a4) 간의 거리가 가장 짧은 길이에 해당하는 윈도우(400)의 모서리가 제12 모서리(b2)로 검출된다. 이에 따라 윈도우(400)의 기준점은 제12 모서리(b2)로 재설정된다.
이와 같은 윈도우(400)의 기준점은 윈도우(400)의 속성이 변경될 때마다 상위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윈도우와 화면영역의 특정 좌표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에 따라 상기 윈도우의 속성변경 시 이용되는 기준점을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화면 영역과 윈도우의 기본 형태 및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화면 영역과 윈도우의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실행화면<510>에 표시된 사각형 형태의 윈도우(500)는 제1 변(c1), 제2 변(c2), 제3 변(c3) 및 제4 변(c4)을 포함한다.
제어부(160)는 윈도우(500)의 각 변(c1~c4)의 중심과 화면영역(200)의 각 모서리(a1~a4)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된 거리 중 가장 짧은 길이를 검출한다. 제어부(160)는 상기 거리가 가장 짧은 길이에 해당하는 윈도우(500)의 하나의 변을 검출하고, 검출된 윈도우(500)의 변에 대응하는 모서리들 중 화면영역(200)의 모서리(a1~a4) 간의 길이가 가장 짧은 길이에 해당하는 윈도우(500)의 모서리를 검출한다. 검출된 윈도우(500)의 모서리를 기준점으로 설정한다.
실행화면<510>의 경우, 제3 변(c3)의 중심과 제3 모서리(a3) 간의 거리가 가장 짧게 검출된다. 제3 변(c3)에 대응하는 윈도우(500)의 모서리는 제13 모서리(b3) 및 제14 모서리(b4)로 검출된다. 제13 모서리(b3)와 제14 모서리(b4) 중 인접한 화면영역(200)의 모서리 간의 거리가 더 짧은 길이에 해당하는 모서리는 제13 모서리(b3)로 검출된다. 따라서 제13 모서리(b3)가 기준점으로 설정된다.
실행화면<510>에서 기준점이 제13 모서리(b3)로 설정된 이후, 윈도우(500)를 소정 각도로 회전하기 위한 요청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실행화면<5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3 모서리(b3)을 기준으로 윈도우(500)를 회전시킨다.
본 개시는 이와 같이 윈도우의 기준점을 설정하여, 설정된 기준점에 기초하여 속성을 변경하기 때문에 윈도우가 화면영역을 벗어나거나 변형되지 않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윈도우(500)의 회전에 따라 윈도우(500)의 위치 좌표 속성이 변경된다. 제어부(160)는 위치 좌표 속성이 변경된 윈도우(500)의 기준점을 재설정한다.
이때, 실행화면<510>에서 적용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윈도우(500)의 기준점을 재설정할 수 있다. 즉, 위치 좌표 속성이 변경된 윈도우(500)의 각 변(c1~c4)의 중심과 화면영역(200)의 각 모서리(a1~a4)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 중 가장 짧은 길이를 검출하며, 이에 해당하는 하나의 변을 검출한다. 상기 검출된 변에 대응하는 모서리 중 인접하는 화면영역(200)의 모서리 간의 거리가 가장 짧은 길이에 해당하는 하나의 모서리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모서리를 윈도우(500)의 기준점으로 재설정한다.
실행화면<520>에서는 위치 좌표 속성이 변경된 윈도우(500)의 각 변(c1~c4)의 중심과 화면영역(200)의 각 모서리(a1~a4) 간의 거리가 가장 짧은 길이에 해당하는 윈도우(500)의 변이 제4 변(c4)으로 검출된다. 제4 변(c4)에 대응하는 제11 모서리(b1)와 제14 모서리(b4) 중 인접하는 화면영역(200)의 모서리 간의 거리가 더 짧은 길이에 해당하는 모서리는 제14 모서리(b4)로 검출된다. 이에 따라 윈도우(500)의 기준점은 제14 모서리(b4)로 재설정된다.
이와 같은 윈도우(500)의 기준점은 윈도우(500)의 속성이 변경될 때마다 상위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윈도우와 화면영역의 특정 좌표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에 따라 상기 윈도우의 속성변경 시 이용되는 기준점을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각형 형태의 윈도우(600)는 하나의 중심점(Q1)을 포함한다.
제어부(160)는 윈도우(600)의 중심점(Q1)과 화면영역(200)의 각 모서리(a1~a4)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된 거리 중 가장 짧은 길이를 검출한다. 제어부(160)는 상기 거리가 가장 짧은 길이에 해당하는 화면영역(200)의 모서리에 가장 인접한 윈도우(600)의 모서리를 검출하고, 검출된 윈도우(600)의 모서리를 기준점으로 설정한다.
실행화면<610>의 경우, 중심점(Q1)과 제1 모서리(a1) 간의 거리가 가장 짧게 검출된다. 제1 모서리(a1)에 가장 인접한 윈도우(600)의 모서리는 제11 모서리(b1)로 검출된다. 이에 따라 제11 모서리(b1)가 기준점으로 설정된다.
실행화면<610>에서 기준점이 제11 모서리(b1)로 설정된 이후, 윈도우(600)를 소정 각도로 회전하기 위한 요청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실행화면<6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 모서리(b1)을 기준으로 윈도우(600)를 회전시킨다.
본 개시는 이와 같이 윈도우의 기준점을 설정하여, 설정된 기준점에 기초하여 속성을 변경하기 때문에 윈도우가 화면영역을 벗어나거나 변형되지 않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윈도우(600)의 회전에 따라 윈도우(600)의 위치 좌표 속성이 변경된다. 제어부(160)는 위치 좌표 속성이 변경된 윈도우(600)의 기준점을 재설정한다.
이때, 실행화면<610>에서 적용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윈도우(600)의 기준점을 재설정할 수 있다. 즉, 위치 좌표 속성이 변경된 윈도우(600)의 중심점(Q2)과 화면영역(200)의 각 모서리(a1~a4)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 중 가장 짧은 길이를 검출하며, 이에 해당하는 하나의 화면영역(200)의 모서리를 검출한다. 상기 검출된 모서리와 윈도우(600)의 모서리 간의 거리가 가장 짧은 길이에 해당하는 하나의 윈도우(600)의 모서리를 검출하고, 검출된 윈도우(600)의 모서리를 기준점으로 재설정한다.
실행화면<620>에서는 위치 좌표 속성이 변경된 윈도우(600)의 중심점(Q2)과 화면영역(200)의 각 모서리(a1~a4) 간의 거리가 가장 짧은 길이에 해당하는 화면영역(200)의 모서리가 제1 모서리(a1)로 검출된다. 제1 모서리(a1)와 윈도우(600)의 각 모서리(b1~b4) 간의 가장 짧은 거리에 대응하는 윈도우(600)의 모서리는 제12 모서리(b2)로 검출된다. 이에 따라 윈도우(600)의 기준점은 제12 모서리(b2)로 재설정된다.
이와 같은 윈도우(600)의 기준점은 팝업 윈도우(600)의 속성이 변경될 때마다 상위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따라 윈도우의 기준점을 설정한 이후, 상기 기준점에 기초하여 윈도우의 사이즈를 확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160)는 윈도우(700)의 기준점을 설정한 뒤, 상기 설정된 기준점에 따라 윈도우(700)의 속성을 변경하는 도중, 윈도우(700)가 미리 설정된 영역에 접하는 상태를 검출하면, 속성 변경 실행을 중단하고, 윈도우(700)의 기준점을 재설정하고, 재설정된 기준점에 따라 다시 윈도우(700)의 속성 변경을 실행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실행화면<710>의 경우,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따라 윈도우(700)의 기준점이 제11 모서리(b1)로 설정된다.
실행화면<710>에서 윈도우(700)의 기준점이 제11 모서리(b1)로 설정된 이후, 윈도우(700)의 사이즈를 확대하기 위한 요청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실행화면<7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 모서리(b1)를 기준으로 윈도우(700)의 사이즈를 확대시킨다.
제어부(160)는 윈도우(700)의 사이즈 확대 실행에 따라 윈도우(700)의 일면이 미리 설정된 영역에 접하는 상태를 검출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이란, 화면영역(200)의 엣지(edge)이거나, 화면영역(200)의 엣지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의 화면영역(200)의 일부일 수 있다. 도 7에서는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을 화면영역(200)의 엣지, 즉 가장자리 영역으로 설정한 예를 도시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60)는 윈도우(700)가 속성 변경되면서 미리 설정된 영역에 접촉하는 상태를 감지하면, 윈도우(700)의 사이즈 확대 실행을 중단하고, 윈도우(700)의 기준점을 재설정한다. 그리고 재설정된 기준점에 기초하여 윈도우(700)의 속성 변경을 계속 실행한다.
실행화면<720>과 같이 제어부(160)는 사이즈 확대 실행에 따라 윈도우(700)의 일면이 화면영역(200)의 엣지에 접하는 상태를 검출하면, 윈도우(700)의 사이즈 확대 실행을 중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윈도우(700)의 기준점을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따라 재설정한다. 실행화면<720>에서는 윈도우(700)의 재설정된 기준점이 제14 모서리(b4)가 된다. 제어부(160)는 실행화면<730>과 같이 재설정된 기준점인 제14 모서리(b4)에 기초하여 사이즈 확대 실행을 지속한다.
본 개시는 이와 같이 윈도우의 기준점을 설정하여, 설정된 기준점에 기초하여 속성을 변경하기 때문에 윈도우가 화면영역을 벗어나거나 변형되지 않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윈도우(700)의 사이즈 확대에 따라 윈도우(700)의 위치 좌표 속성이 변경된다. 제어부(160)는 위치 좌표 속성이 변경된 윈도우(700)의 기준점을 재설정한다.
이때, 실행화면<720>에서 적용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윈도우(700)의 기준점을 재설정할 수 있다. 즉, 위치 좌표 속성이 변경된 윈도우(700)의 모서리(b1~b4)와 화면영역(200)의 모서리(a1~a4) 간의 가장 짧은 거리에 해당하는 윈도우(700)의 모서리를 검출하고, 검출된 모서리를 윈도우(700)의 기준점으로 재설정한다.
예를 들어, 윈도우(700)의 사이즈가 실행화면<820>과 같이 확대된 경우, 실행화면<830>과 같이 다시 윈도우(700)의 기준점이 제11 모서리(b1)로 변경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윈도우(900)의 기준점이 설정된 이후, 윈도우(900)의 위치가 이동하게 되면 제어부(160)는 윈도우(900)가 위치 이동을 하면서 미리 설정된 영역에 접하는 여부를 검출한다. 제어부(160)는 윈도우(900)가 위치 이동을 하는 도중 미리 설정된 영역에 접하는 상태를 검출하면, 상기 위치 이동 실행을 중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윈도우(900)의 기준점을 재설정하고, 상기 재설정된 기준점에 기초하여 윈도우(900)의 사이즈를 줄이면서 중단되었던 위치 이동 실행을 지속한다.
구체적으로, 실행화면<910>과 같이 윈도우(900)의 기준점이 미리 설정된 기준에 의해 제14 모서리(b4)로 설정된 이후, 실행화면<920>과 같이 터치펜을 이용한 드래그에 의해 윈도우(900)의 위치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제어부(160)는 위치가 이동되고 있는 윈도우(900)의 일면이 미리 설정된 화면영역(200)의 엣지에 접하는 상태를 검출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윈도우(900)의 위치 이동 실행을 중단한다. 위치 이동 실행이 중단된 상태에서 제어부(160)는 윈도우(900)의 기준점을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제11 모서리(b1)로 재설정한다. 이후 실행화면<930>과 같이 제11 모서리(b1)를 기준으로 윈도우(900)의 사이즈를 줄이면서 동시에 윈도우(900)의 위치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윈도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화면영역(200)을 각 면적이 동일한 비율로 분리되는 분리 영역(e1~e4)으로 구분하되, 상기 분리 영역(e1~e4) 각각이 화면영역(200)의 각 모서리(a1~a4)를 하나씩 포함하도록 구분한다. 제어부(160)는 윈도우의 중심점이 위치하는 해당 분리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윈도우의 모서리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상기 윈도우의 모서리를 기준점으로 설정한다. 윈도우의 속성을 변경하기 위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설정된 기준점을 기초로 팝업 윈도우의 속성을 변경한다. 그리고 속성이 변경된 윈도우의 기준점을 다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재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실행화면<1010>의 경우, 화면영역(200)은 제1 화면영역(e1), 제2 화면영역(e2), 제3 화면영역(e3) 및 제4 화면영역(e4)으로 분리된다. 윈도우(1000)의 중심점(Q1)은 제1 화면영역(e1)에서 검출된다. 중심점(Q1)이 위치하는 제1 화면영역(e1)에 위치하는 윈도우(1000)의 모서리는 제11 모서리(b1)로 검출된다. 따라서 윈도우(1000)의 기준점은 제11 모서리(b1)로 설정된다.
이후, 윈도우(1000)를 소정 각도로 회전하기 위한 요청이 발생하면, 실행화면<1020>과 같이 제11 모서리(b1)를 기준으로 윈도우(1000)를 회전한다.
본 개시는 이와 같이 윈도우의 기준점을 설정하여, 설정된 기준점에 기초하여 속성을 변경하기 때문에 윈도우가 화면영역을 벗어나거나 변형되지 않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윈도우(1000)의 회전에 따라 윈도우(1000)의 위치 좌표 속성이 변경된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위치 좌표 속성이 변경된 윈도우(1000)의 기준점을 미리 설정된 기준으로 재설정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실행화면<1010>에서 윈도우(1000)의 기준점이 제11 모서리(b1)로 설정된 이후, 윈도우(1000)의 사이즈를 확대하기 위한 요청이 발생하면, 실행화면<1120>과 같이 윈도우(1000)의 사이즈를 확대한다. 사이즈가 확대된 윈도우(1101)의 중심점(Q1)이 제4 화면영역(e4)으로 이동된 상태를 검출하여, 제4 화면영역(e4)에 위치하는 윈도우(1101)의 제14 모서리(b4)를 기준점으로 재설정한다.
사이즈 확대에 따라 윈도우(1102)의 중심점(Q1)이 실행화면<1130>과 같이 다시 제1 화면영역(e1)으로 이동된 경우, 제1 화면영역(e1)에 위치하는 윈도우(1102)의 제11 모서리(b1)를 기준점으로 재설정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실행화면<1210>에서 윈도우(1200)의 기준점이 제11 모서리(b1)로 설정된 이후, 윈도우(1200)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요청이 발생하면, 실행화면<1220>과 같이 윈도우(1200)의 위치를 변경한다.
제어부(160)는 윈도우(1200)의 위치 변경 실행에 따라 윈도우(1200)의 일면이 미리 설정된 영역에 접하는 상태를 검출한다. 실행화면<1220>에서는 상기 미리 설정된 영역으로서 화면영역(200)의 엣지가 설정되어 있다.
제어부(160)는 윈도우(1200)의 위치가 변경되면서 화면영역(200)의 엣지에 접촉되는 상태를 감지하면, 윈도우(1200)의 위치 이동 실행을 중단하고, 윈도우(1200)의 기준점을 재설정한다. 윈도우(1200)의 중심점(Q1)이 제1 화면영역(e1)에 위치하므로, 제1 화면영역(e1)에 위치하는 윈도우(1200)의 제11 모서리(b1)를 기준점으로 설정한다. 이후 실행화면<1230>과 같이 기준점인 제11 모서리(b1)를 기준으로 팝업 윈도우(1200)를 이동함과 동시에 윈도우(1200)의 사이즈를 제11 모서리(b1)를 기준으로 줄인다.
여기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의 중심점을 먼저 이동시킨 뒤, 상기 이동된 중심점에 맞춰 윈도우의 속성을 조절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이와 같이 윈도우의 기준점을 동적으로 변경하므로, 윈도우의 속성이 변경되더라도 윈도우가 화면영역을 벗어나거나 변형되지 않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화면영역(200)을 각 면적이 동일한 비율로 분리되는 분리 영역(e1~e4)으로 구분하되, 상기 분리 영역(e1~e4) 각각이 화면영역(200)의 각 모서리(a1~a4)를 하나씩 포함하도록 구분한다.
제어부(160)는 윈도우가 각 분리 영역(e1~e4)에서 차지하는 면적 비율을 계산하고, 계산된 면적 비율이 가장 큰 것에 대응하는 분리영역을 검출한다. 검출된 분리영역에 위치하는 윈도우의 하나의 모서리를 검출하고, 검출된 모서리를 윈도우의 기준점으로 설정한다. 이후, 윈도우의 속성을 변경하기 위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기준점을 기초로 윈도우의 속성을 변경한 후, 속성이 변경된 윈도우의 기준점을 다시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으로 재설정한다.
예를 들어, 실행화면<1310>의 경우, 화면영역(200)은 제1 화면영역(e1), 제2 화면영역(e2), 제3 화면영역(e3) 및 제4 화면영역(e4)으로 분리된다. 윈도우(1300)가 차지하는 면적 비율이 가장 큰 영역은 제1 화면영역(e1)으로 검출된다. 따라서 제1 화면영역(e1)에 위치하는 제11 모서리(b1)가 윈도우(1300)의 기준점으로 설정된다.
이후, 윈도우(1300)를 소정 각도로 회전하기 위한 요청이 발생하면, 실행화면<1320>과 같이 제11 모서리(b1)를 기준으로 윈도우(1300)를 회전한다.
본 개시는 이와 같이 윈도우의 기준점을 설정하여, 설정된 기준점에 기초하여 속성을 변경하기 때문에 윈도우가 화면영역을 벗어나거나 변형되지 않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윈도우(1300)의 회전에 따라 윈도우(1300)의 위치 좌표 속성이 변경된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위치 좌표 속성이 변경된 윈도우(1300)의 기준점을 상기에서 언급한 기준으로 재설정함에 따라 제12 모서리(b12)가 윈도우(1300)의 기준점으로 재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에 따른 윈도우 제어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은 본 개시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와,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롬(ROM)과, 램(RAM)과,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윈도우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0: 전자장치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입력부
140: 오디오 처리부 150: 표시부
160: 제어부 200: 화면영역

Claims (20)

  1. 전자장치의 속성 변경이 가능한 윈도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윈도우를 실행하는 동작;
    상기 윈도우의 기준점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설정하는 동작;
    상기 윈도우의 속성변경 요청이 발생한 경우, 상기 기준점에 기초하여 상기 윈도우의 속성을 변경하는 동작; 및
    상기 속성 변경된 윈도우의 기준점을 재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의 기준점을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윈도우와 화면영역의 특정 좌표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기준점을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윈도우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기준점을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윈도우의 모서리와 상기 화면영역의 모서리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동작; 및
    상기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길이에 해당하는 상기 윈도우의 모서리를 검출하는 동작; 및
    상기 검출된 윈도우의 모서리를 상기 기준점으로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윈도우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기준점을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윈도우의 변의 중심과 상기 화면영역의 모서리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동작; 및
    상기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길이에 해당하는 상기 화면영역의 모서리에 인접한 상기 윈도우의 모서리를 검출하는 동작; 및
    상기 검출된 윈도우의 모서리를 상기 기준점으로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윈도우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기준점을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윈도우의 중심점과 상기 화면영역의 모서리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동작;
    상기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길이에 해당하는 상기 화면영역의 모서리에 인접한 상기 윈도우의 모서리를 검출하는 동작; 및
    상기 검출된 윈도우의 모서리를 상기 기준점으로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윈도우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기준점을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화면영역을 소정의 비율로 분리하되, 각 모서리를 포함하는 분리 영역으로 구분하는 동작;
    상기 윈도우의 중심점이 위치하는 상기 분리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윈도우의 모서리를 검출하는 동작; 및
    상기 검출된 윈도우의 모서리를 상기 기준점으로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윈도우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기준점을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화면영역을 소정의 비율로 분리하되, 각 모서리를 포함하는 분리 영역으로 구분하는 동작;
    상기 윈도우가 상기 구분된 분리 영역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하는 동작;
    미리 설정된 비율에 해당하는 상기 분리 영역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검출된 분리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윈도우의 모서리를 검출하는 동작; 및
    상기 검출된 윈도우의 모서리를 상기 기준점으로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윈도우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속성을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윈도우의 속성 변경 도중 상기 윈도우가 미리 설정된 영역에 접하는 상태를 검출하는 동작;
    상기 윈도우의 속성 변경을 중단하는 동작;
    상기 윈도우의 기준점을 재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재설정된 기준점에 기초하여 상기 윈도우의 속성 변경을 재실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윈도우 제어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제어 방법은
    상기 윈도우의 위치 변경 도중 상기 윈도우의 일면이 미리 설정된 영역에 접하는 상태를 검출하는 동작;
    상기 윈도우의 위치 이동을 중단하는 동작;
    상기 윈도우의 기준점을 재설정하는 동작;
    상기 재설정된 기준점에 기초하여 상기 윈도우의 사이즈를 줄이면서 동시에 상기 윈도우의 위치를 이동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윈도우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변경된 윈도우의 기준점을 재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속성 변경된 윈도우의 기준점을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재설정하는, 윈도우 제어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속성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윈도우의 위치, 크기, 모양, 이동 방향,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윈도우 제어 방법.
  12. 윈도우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윈도우의 기준점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설정하고, 윈도우의 속성변경요청이 발생한 경우, 상기 기준점에 기초하여 상기 윈도우의 속성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윈도우와 화면영역의 특정 좌표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기준점을 설정하는, 윈도우 제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성 변경된 윈도우의 기준점을 재설정하는, 윈도우 제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윈도우의 모서리와 상기 표시부의 모서리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길이에 해당하는 상기 윈도우의 모서리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모서리를 상기 기준점으로 설정하는, 윈도우 제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윈도우의 변의 중심과 상기 표시부의 모서리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길이에 해당하는 상기 윈도우의 모서리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모서리를 상기 기준점으로 설정하는, 윈도우 제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윈도우의 중심점과 상기 표시부의 모서리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길이에 해당하는 상기 윈도우의 모서리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모서리를 상기 기준점으로 설정하는, 윈도우 제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를 소정의 비율로 분리하되, 상기 표시부의 각 모서리를 포함하는 분리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윈도우의 중심점이 위치하는 상기 분리영역을 검출하며, 검출된 상기 분리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윈도우의 모서리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윈도우의 모서리를 상기 기준점으로 설정하는, 윈도우 제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를 소정의 비율로 분리하되, 상기 표시부의 각 모서리를 포함하는 분리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윈도우가 상기 구분된 분리 영역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하며, 미리 설정된 비율에 해당하는 상기 분리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분리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윈도우의 모서리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윈도우의 모서리를 상기 기준점으로 설정하는, 윈도우 제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윈도우의 속성 변경 도중 상기 윈도우가 미리 설정된 영역에 접하는 상태를 검출하면, 상기 윈도우의 속성 변경을 중단하고, 상기 윈도우의 기준점을 재설정하며, 상기 재설정된 기준점에 기초하여 상기 윈도우의 속성 변경을 재실행하는, 윈도우 제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윈도우의 위치 변경 도중 상기 윈도우의 일면이 미리 설정된 영역에 접하는 상태를 검출하면, 상기 윈도우의 위치 이동을 중단하고, 상기 윈도우의 기준점을 재설정하며, 상기 재설정된 기준점에 기초하여 상기 윈도우의 사이즈를 줄이면서 동시에 상기 윈도우의 위치를 이동하는, 윈도우 제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KR1020130113600A 2013-09-25 2013-09-25 윈도우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KR102190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600A KR102190904B1 (ko) 2013-09-25 2013-09-25 윈도우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US14/486,280 US9690456B2 (en) 2013-09-25 2014-09-15 Method for controlling window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600A KR102190904B1 (ko) 2013-09-25 2013-09-25 윈도우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844A KR20150033844A (ko) 2015-04-02
KR102190904B1 true KR102190904B1 (ko) 2020-12-14

Family

ID=52692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600A KR102190904B1 (ko) 2013-09-25 2013-09-25 윈도우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90456B2 (ko)
KR (1) KR1021909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904B1 (ko) * 2013-09-25 2020-12-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윈도우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KR20150051637A (ko) * 2013-11-05 2015-05-13 (주)휴맥스 디스플레이 창 크기 또는 위치 조정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D738908S1 (en) * 2014-01-09 2015-09-15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38909S1 (en) * 2014-01-09 2015-09-15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A156714S (en) * 2014-01-28 2019-08-02 Jvl Ventures Llc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D759666S1 (en) 2014-06-23 2016-06-21 Goog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07898S1 (en) 2014-07-15 2018-01-16 Google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3873S1 (en) * 2014-08-22 2016-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3273S1 (en) * 2014-08-22 2016-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70108944A1 (en) * 2015-10-14 2017-04-20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Light conductor device
US10241658B2 (en) * 2016-04-28 2019-03-26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recorded there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6981326B2 (ja) * 2018-03-22 2021-12-15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ウィンドウ配置プログラム
KR102319157B1 (ko) * 2019-01-21 2021-10-29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메신저 내 플랫폼에 추가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대화방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20240083677A (ko) * 2022-12-05 2024-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가전기기 제어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88305A1 (en) * 2005-06-20 2006-12-21 Ming-Te Liu Method for displaying a resized window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8293A1 (en) * 1998-05-11 2003-03-13 Creative Edge Internet Services Pty. Ltd. Internet advertising system
US6577249B1 (en) * 1999-10-19 2003-06-10 Olympus Optical Co., Ltd. Information display member, position detecting method using the same, apparatus and method of presenting related information, and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esenting method
US7278114B2 (en) * 2002-12-30 2007-10-02 Viewspace Technologies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isplay of popup windows
KR100594691B1 (ko) 2003-08-14 2006-07-0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팝업 윈도우를 이용한 타임서비스 제공방법
US20050249435A1 (en) * 2004-05-06 2005-11-10 Rai Barinder 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rotating an image
US20070192734A1 (en) * 2006-02-16 2007-08-16 Viktors Berstis Methods and arrangements to control pop-up windows
KR101722616B1 (ko) 2009-12-24 2017-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터치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운용 방법 및 장치
US20110218825A1 (en) * 2010-03-03 2011-09-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interactive vehicle damage claim interface
US8667487B1 (en) * 2010-05-18 2014-03-04 Google Inc. Web browser extensions
US9053522B2 (en) * 2010-05-26 2015-06-09 Nec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KR20120019020A (ko) * 2010-08-24 2012-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을 독취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독취시스템
US8863271B2 (en) * 2010-12-16 2014-10-14 Blackberry Limited Password entry using 3D image with spatial alignment
US9007323B2 (en) * 2012-02-03 2015-04-1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Haptic feedback device, method for driving haptic feedback device, and drive program
JP5955139B2 (ja) * 2012-07-09 2016-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配置制御装置、画像配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24190A (ko) * 2012-08-20 2014-02-28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영상 관리 방법,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US20140098296A1 (en) * 2012-10-04 2014-04-10 Ati Technologies Ul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a perspective of a video
US9094589B2 (en) * 2013-04-19 2015-07-28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of patch panel
KR20140139647A (ko) * 2013-05-27 2014-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아이콘을 재배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14119A (ko) * 2013-07-29 2015-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전자 장치의 윈도우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2190904B1 (ko) * 2013-09-25 2020-12-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윈도우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88305A1 (en) * 2005-06-20 2006-12-21 Ming-Te Liu Method for displaying a resized wind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90456B2 (en) 2017-06-27
US20150089442A1 (en) 2015-03-26
KR20150033844A (ko) 2015-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9513B2 (ja) イメージ表示方法及び携帯端末
KR102190904B1 (ko) 윈도우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KR102010955B1 (ko) 프리뷰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
KR101999154B1 (ko) 데이터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KR102044826B1 (ko) 마우스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
KR101974852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진 단말에서 오브젝트 이동 방법 및 장치
JP6313028B2 (ja) タッチ入力方法及び携帯端末
EP2770421A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sensitive user interface and related operating method
JP2014164763A (ja) フィードバック提供方法及び端末
US9658865B2 (en) Method of editing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for implementing the same
JP6439266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有する電子装置におけるテキスト入力方法及び装置
US20160349974A1 (en) Linking Multiple Windows in a User Interface Display
US20150128031A1 (en) Contents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KR20140105354A (ko) 터치 감응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140074496A (ko) 로그인 관리 방법 및 휴대 단말
KR101985888B1 (ko) 전자 게시판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91376B1 (ko)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KR102076193B1 (ko)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KR20140029827A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휴대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