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0379A -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0379A
KR20140040379A KR1020120106914A KR20120106914A KR20140040379A KR 20140040379 A KR20140040379 A KR 20140040379A KR 1020120106914 A KR1020120106914 A KR 1020120106914A KR 20120106914 A KR20120106914 A KR 20120106914A KR 20140040379 A KR20140040379 A KR 20140040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sub
main
main appl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훈
김경민
이채경
신영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6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0379A/ko
Priority to EP13186198.1A priority patent/EP2722752B1/en
Priority to US14/037,941 priority patent/US9804898B2/en
Priority to CN201310444738.2A priority patent/CN103677804B/zh
Publication of KR20140040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3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05Configuring for program initiating, e.g. using registry, configuration 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21Dynamic linking or loading; Link editing at or after load time, e.g. Java class loading
    • G06F9/44526Plug-ins; Add-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61Saving or restoring of program or task con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처리 방법이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을 표시하는 과정과,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 선택시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된 정보를 서브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APPLICATIONS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 간의 연동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때,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다. 현재의 기술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main application)에 부가기능을 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사용하고 있다.
그 한가지 방법은 메인 어플리케이션이서 부가기능을 포함하는 방법이다. 즉,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추가로 필요한 부가기능이 있을 경우, 해당 부가기능을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포함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부가기능을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긴밀하게 연동시키기에는 용이하나, 부가기능이 많아질수록 메인 어플리케이션이 비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들면 뷰어(Readers Hub Viewer)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부가 기능의 사전기능이 뷰어 어플리케이션에 탑재되어 있으며, 이로인해 eBook 컨텐츠에서 선택된 단어의 사전검색결과를 보여줄 수 있다. 또한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부가 기능이 여러 어플리케이션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부가기능인 경우에도 각 어플리케이션 별로 독립적으로 부가기능을 중복시켜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로 여러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필요한 부가기능들을 작은 pop-up window 형태로 제공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런 방법은 여러 어플리케이션에서 mini app으로 제공되는 부가기능들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메인 어플리케이션과는 완전히 분리된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main application과 mini app 간 연동에 제약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여러 메인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수 있는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의 구조를 제안하고,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 간의 연동방식에 대해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처리 방법은,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 선택시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된 정보를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처리 방법은,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대응되는 복수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 선택시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된 정보를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종료시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대응되는 복수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들을 표시하는 과정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처리 장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대응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에 설정된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들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을 선택하는 입력부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 선택시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고,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된 정보를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어플리케이션의 기능들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사용해야하는 상황에서 부가적으로 사용이 필요한 기능들을 Toolkit이라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사용자는 메인 어플리케이션(main application, main task)에 집중하면서도 부가기능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연동을 용이하게 하는 툴킷 프레임워크(Toolkit framework)를 제공하고, 상기 툴킷 프레임워크에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툴킷화하여 여러 가지 application에 add-on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와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부가기능을 연동하여 컨텐츠를 복사하고 붙여넣고, 기능을 실행하는 등의 어플리케이션들 간의 데이터 교환 절차를 크게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a -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 간의 연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툴 킷 셋)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메인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연동시켜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선택 후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경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은 도 5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 간의 연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 도 7f는 상기 도 6과 같은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각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 후 정보를 선택하여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또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선택 후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경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10a - 도 10d는 도 9와 같은 절차에 의해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을 설정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 간의 정보(예를들면 지명, 단어, 수식 등)의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되는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들을 툴킷 프레임(tool kit frame)화하고, 메인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사용 가능한 서브 어플리케이션들을 아이템으로 표시하며, 사용자가 아이템 선택시 해당하는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오버레이 표시하면서 실행시킨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사용자가 주 타스크를 수행하기 위해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휴대단말기는 전체 화면 영역에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며 해당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는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들을 화면 영역의 특정 위치에 표시한다. 이때 휴대단말기의 사용자는 화면의 특정 위치에 표시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tab 형태의 버튼으로 구성할 수 있음)을 누르거나 드래그(drag)하여 서브 어플리케이션(sub application, sub task)을 호출할 수 있으며, 이 sub application(이하 Toolkit)은 main application 위에 overlay되는 형태로 표시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메인 타스크는 같은 의미의 용어로 사용될 것이며, 서브 어플리케이션, 보조 타스크 및 툴 킷(tool kit)도 같은 의미의 용어로 사용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MP3단말기, 타블렛, 컴퓨터 등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통신부120은 기지국 또는 다른 장치와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120은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frequency up converter) 및 전력 증폭하는 송신부와, 수신신호를 저잡음 증폭 및 주파수를 하강변환(frequency down converter)하는 수신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20은 변조부 및 복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변조부는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송신부에 전달하며, 복조부는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한다. 이런 경우, 상기 변복조부는 LTE, WCDMA, GSM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WIFI, WIBRO 등이 될 수 있고, NFC, Bluetooth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부120이 LTE, WIFI, bluetooh 통신부들을 구비한다고 가정한다.
제어부100은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인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템을 표시하며, 선택되는 아이템에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오버레이시켜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연동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10은 단말기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테이블들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10은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은 복수의 메인 어플리케이션들에 공통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은 대응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부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설정된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sub application set, toolkit set)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노트 어플리케이션, 지도 어플리케이션, 웹 어플리케이션, 계산기 어플리케이션, 사전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이들 중 일부 어플리케이션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표시부13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30은 LCD 또는 OLED가 될 수 있다. 제1입력부140은 정정용량 방식 또는 저항막 방식으로 구현할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이하 손가락 터치라고 가정한다)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제2입력부 150은 EMR센서 패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펜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30, 터치패널140 및 ERM패널150은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a -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 간의 연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2a - 도 2 c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은 사용자가 직접 컨텐츠를 열람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200과 메인 어플리케이션200에 속한 객체, 텍스트를 가져와 메모, handwriting을 하는 등 정보를 재가공 할 수 있는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어플리케이션200과 부가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220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00은 메인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도 2a와 같이 메인 어플리케이션200의 화면에 210과 같이 사용가능한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210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210은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 2a는 5개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210 들을 구비하며, 여기서 "N"은 노트(note)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이며, "C"는 계산기(calculator)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이고, "M"은 지도(map)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이며, "W"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이고, "D"는 사전(dictionary)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인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이때 도 2b와 같이 특정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도 2c의 220과 같이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한다. 이때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220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200의 화면에 중복(overlay)되어 표시되는데,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투명도가 0인 경우로 가정하며, 이런 경우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220에 오버레이되는 영역의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표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경우, 표시부130에서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가리워지는 영역의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도 2c와 같이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200에 서브 어플리케이션220이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경우, 메인 어플리케이션200의 표시 영역에 드래그(또는 스크롤)이 발생되면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200의 화면을 드래그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드래그 동작은 제1입력부140에서 감지되는 손(가락) 또는 상기 제2입력부150에서 감지되는 펜의 터치 또는 제스츄어(예를들면 hovering 등)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도 2c와 같이 메인 및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상태에서 참조번호 230과 같이 제1입력부140 또는 제2입력부150을 통해 드래그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메인 어플리케이션200의 화면을 드래그 동작이 발생된 방향(도 2c의 경우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수평 방향)으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드래그 동작에 의해 메인 어플리케이션이 설정된 크기(예를들면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 페이지의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페이지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도 2c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200이 ebook 어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220이 사전 어플리케이션이라고 가정하다. 이런 경우 상기 사전 어플리케이션의 아이템("D")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부가기능의 사전 어플리케이션이 open 상태임을 인식하고, 사용자가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스크롤(또는 드래그)하여 페이지 탐색 시 한시적인 페이지 drag를 허용한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부가기능의 사전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에 의해 가려진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페이지(즉, ebook page)를 드래그하여 컨텐츠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한다. 부가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close 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close 상태를 인식하여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스크롤(또는 드래그)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플릭(flick)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Main application area)이 부가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의해 가려진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일시적으로 메인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의 좌우/상하 스크롤을 허용하여 표시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닫지 않고도 가려진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영역을 패닝(panning)으로 탐색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에서 상기 스크롤(또는 드래그)이 일정범위 이상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부100은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닫지 않고도 표시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페이지를 다른 페이지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open된 상태에서 계속 페이지 이동을 하여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의 마지막 페이지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라이팅 효과를 주어 마지막 페이지임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c와 같이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에 의해 가려진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페이지를 보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입력부140 또는 제2입력부150에 의해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종료(close) 하는 경우에는 도 2a와 같이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며, 이때 표시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페이지는 50%이상 범위의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페이지로 돌아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화면은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서브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며, 이때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은 복수의 툴 킷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툴 킷 셋)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메인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어플리케이션(sub application, Toolkit)은 참조번호 300과 같은 툴 킷 프레임워크(Toolkit Framework)를 기본으로 하여 구현되며, 상기 툴 킷 프레임워크 300은 해당하는 서브어플리케이션과 메인 어플리케이션 간의 화면 구성 및 data 교환방식에 대한 공통기능들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은 툴 킷 프레임워크300을 기반으로 구현된 Toolkit들은 set로 묶어 참조번호 310과 같이 제공되며, 이 툴 킷 셋(서브 어플리케이션 셋)는 여러 메인 어플리케이션들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특성에 따라 툴 킷 셋에 포함되는 툴 킷 종류를 다르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툴 킷 종류 구성을 커스토마이징(customizing)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sub application, tool kit)은 상기 한 바와 같이 노트 어플리케이션(note application), 계산기 어플리케이션(calculator application), 지도 어플리케이션(map application),웹 어플리케이션(web browser application), 사전 어플리케이션(dictionary appl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b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이 이북 어플리케이션인 경우에 서브 어플리케이션인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 경우의 표시부130의 화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220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200에서 선택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첨삭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연동시켜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이를 감지하고 411단계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메인 어플리케이션으로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411단계에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130에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해당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부가기능인 서브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템을 표시한다. 상기 도 2a와 같은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2b와 같이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4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5단계에서 도 2c와 같이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오버레이시켜 선택된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417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상기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리한다. 예를들어 상기 선택된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노트 어플리케이션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선택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서브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하며 제1입력부140 또는 제2입력부150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함께 표시한다. 또한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선택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계산하며, 웹 어플리케이션이면 상기 선택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웹 서치하며, 사전 어플리케이션이면 상기 선택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의 의미를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선택 후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경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511단계에서 선택된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이때 상기 표시부130에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해당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부가기능인 서브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템을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입력부140 또는 제2입력부150을 통해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5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15단계에서 표시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아이템이 선택되었는가 검사한다. 이때 사용자가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5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17단계에서 선택된 아이템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며, 519단계에서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오버레이시켜 선택된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521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상기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리하며, 523 단계에서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처리된 결과를 표시 및/또는 저장한다.
또한 상기 515단계에서 아이템 선택이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531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정보가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정보인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정보는 선택된 정보가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들어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특정 정보를 선택하고 휴대단말기의 메뉴 기능을 실행하여 특정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예를들면 단어를 선택한 후 메뉴에서 사전을 선택한 경우) 또는 선택된 정보가 특정 기능의 실행정보인 경우(예를들면 하이퍼링크 정보인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53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17단계에서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또는 tool kit)을 자동으로 호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519단계 -523단계를 수행하면서 선택된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해당 정보를 처리한다.
그러나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특정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아이템을 선택하지 않거나 또는 선택된 정보가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정보가 아닌 경우에는 해당 정보를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한다.
이때 상기 521단계에서와 같이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오버레이되어 연동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제1입력부140 및/또는 제2입력부150을 통해 메인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 내에서 드래그(또는 스크롤) 동작이 감지하면,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스크롤(스크롤 방향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 스크롤)시킨다. 그리고 상기 스크롤되는 페이지의 크기가 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스크롤 방향에 따라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다음 페이지 또는 이전 페이지를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연동시켜 동작하는 중에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명령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54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킨다.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만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하며, 이때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이동은 플릭에 의해 페이지 단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5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 간의 연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a - 도 7f는 상기 도 6과 같은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각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선택된 아이템이 노트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6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13단계에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노트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오버레이시켜 표시하고, 선택된 정보를 노트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 처리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선택된 정보를 복사 및 붙여넣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입력부 140 및/또는 150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이 계산기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6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23단계에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계산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오버레이시켜 표시하고, 선택된 정보를 계산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계산기 어플리케이션 처리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선택된 정보를 복사 및 붙여넣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러면 상기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붙여넣기된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 140 및/또는 150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은 입력되는 데이터를 계산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이 지도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63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33단계에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선택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지도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오버레이시켜 표시하고, 선택된 정보를 지도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선택된 정보(예를들면 지명, 도시, 국가 등)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선택된 정보가 복수개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지도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복수의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네 번째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이 웹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64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43단계에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웹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오버레이시켜 표시하고, 선택된 정보를 웹 서치한다. 이때 웹 브라우저는 사용자가 특정 사이트(portal site)를 설정할 수 있으며(예를들면 naver, *** 등), 상기 웹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643단계에서 설정된 포털 사이트의 웹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선택된 정보를 웹 서치한다.
다섯 번째로 상기 선택된 아이템이 사전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65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53단계에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사전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오버레이시켜 표시하고, 선택된 정보의 사전적 의미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 이외의 다른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661단계에서 선택된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선택된 정보를 처리한다.
상기 도 7a - 도 7f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어플리케이션(sub application 또는 tool kit)들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연동이 가능하다.
먼저 상기 도 6과 같이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연결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들은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선택된 컨텐츠 복사 및 붙여넣기(drag and drop) 시, Toolkit에 적합한 형태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자동 변환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특정 컨텐츠를 복사하여 특정 서브 어플리케이션에 붙여넣을 경우, 해당 서브 어플리케이션은 자신에 맞는 형태로 자동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도 7a의 711과 같이 메인 어플리케이션(여기서 text viewer application이 될 수 있음)의 수식 및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도 7a의 713과 같이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수식이 복사되어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에 붙여넣기가 되며, 이로인해 계산기 어플리케이션은 713과 같이 붙여넣기된 수식을 계산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인 Textbook Viewer에서 수식 object를 복사하고 이를 노트 어플리케이션(Note Toolkit)에 붙여넣기를 하면, 도 7c의 715와 같이 상기 수식은 노트 어플리케이션에서 이미지로 변환 또는 문자 인식을 통해 데이터로 변환되어 수식의 원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도 5의 531단계에서와 같이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된 정보가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해당 기능에 대응되는 서브어플리케이션(즉, 대응되는 Toolkit)을 자동으로 호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Toolkit과 연동되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Toolkit이 닫혀있거나 다른 Toolkit을 사용 중이더라도 연관된 해당 Toolkit을 자동으로 호출한다. 예를 들어 메인 어플리케이션이 eBook Viewer인 경우, 사용자가 도 7b의 721과 같이 eBook viewer에서 사용자가 특정 text를 선택하고 contextual menu 내에 있는 'Dictionary'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어부100은 도 7b의 723과 같이 Dictionary Toolkit을 자동으로 호출하여, 해당 Text에 대한 사전 검색 결과를 보여준다. 이 때 만약 다른 Toolkit을 사용중이었다면, 상기 제어부100은 사용중이던 Toolkit은 닫고(close) Dictionary Toolkit을 연다(open).
또한 메인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하이퍼링크(hyperlink) 정보를 선택하는 경우에도 역시 마찬가지로 동작을 한다. 즉, 메인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web hyperlink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Web browser Toolkit을 호출하여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link된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지도의 위치에 대한 map hyperlink를 누를 경우, Map Toolkit을 호출하여 해당 위치를 보여준다. 즉, 도 7c의 731에서 선택된 용어("empire")가 하이퍼링크 용어인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도 7c의 733과 같이 Web browser Toolkit을 호출하여 선택된 용어 empire의 web search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7d의 741과 같이 선택된 용어("Rome")가 지도 하이퍼링크 용어인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도 7d의 743과 같이 map Toolkit을 호출하여 선택된 용어 Rome의 위치를 지도에 표시한다.
세 번째로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된 정보를 서브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는 경우, 서브 어플리케이션은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있는 특정 조건의 컨텐츠들을 인식하여 Toolkit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은 현재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내용을 파악하여 특정 조건에 맞는 컨텐츠만 따로 모아서 Toolkit에서 표시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e 와 같이 맵 어플리케이션(Map Toolkit)을 오픈한 상태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 내의 컨텐츠에 지명정보(Map Hyperlink)가 여러 개(여기서는 Rome, Venezia, Firenze인 경우를 가정하고 있음)있다면, 상기 제어부100은 도 7e의 753과 같이 해당 지명정보들을 Map Toolkit 상에 모아서 보여준다.
네 번째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브 어플리케이션들(즉, Toolkit들) 간에 정보의 교환이 기능하다. 즉, 여러 개의 Toolkit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Toolkit들 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서브 어플리케이션들이 add to note 아이템을 구비하는 경우, 각 서브 어플리케이션들에 처리된 결과를 노트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 및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면 Calculator Toolkit에서 계산을 수행한 후 'Add to Note'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어부100은 현재 계산한 수식과 결과 값을 Note Toolkit으로 보내 Note의 마지막 페이지에 마지막 부분에 붙여 넣을 수 있다. 이 Add to Note 기능은 도 7f의 761과 같이 Map Toolkit 및 Web browser Toolkit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해당 Toolkit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손쉽게 Note 툴킷에 붙여넣을 수 있다. 도 7f는 Web Browser Toolkit의 Add to Note 기능을 수행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f의 경우, 사용자가 도 7f의 761과 같이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면(Add to Note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이를 감지하고 도 7f의 763과 같이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고, 상기 호출된 노트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되는 정보(해당 웹의 URL정보를 포함)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되는 정보는 이미지 정보가 될 수 있으며, 필요시 문자 인식 절차를 통해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00은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해당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복사할 수 있다.
상기 도 5는 사용자가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정보를 선택하고 이후 원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며, 선택된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선택된 정보를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먼저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이후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도 5와 같이 먼저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선택하고 이후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 후 정보를 선택하여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또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선택 후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경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8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811단계에서 선택된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이때 상기 표시부130에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해당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부가기능인 서브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템을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입력부140 또는 제2입력부150을 통해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표시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아이템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8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815단계에서 선택된 아이템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며, 817단계에서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오버레이시켜 선택된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한다.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819단계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가 선택되었는가 검사한다. 이때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831단계에서 이를 감지한다. 이때 상기 서브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된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83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835단계에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선택된 정보를 상기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리하며, 837 단계에서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처리된 결과를 표시 및/또는 저장한다.
두 번째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선택한 후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동작의 절차를 살펴보면,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83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833단계에서 현재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된 상태인가 검사한다. 이때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지 않은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811단계로 되돌아가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아이템 선택을 대기한다. 이때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8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815단계 및 817단계를 수행하면서 선택된 아이템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오버레이 표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819단계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선택된 정보가 있음을 감지하고, 835단계 및 837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선택된 정보를 상기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리하며, 처리된 결과를 표시 및/또는 저장한다.
세 번째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된 정보가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정보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841단계에서 선택된 정보가 특정 기능의 실행정보임을 감지하고, 843단계에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며, 845단계에서 호출된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835단계 및 837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선택된 정보를 상기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리하며, 처리된 결과를 표시 및/또는 저장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연동시켜 동작하는 중에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종료 명령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86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킨다.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만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하며, 이때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이동은 플릭에 의해 페이지 단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는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템들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부가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은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호출될 수 있으며, 호출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은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된 정보를 해당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특정에 따라 처리한다. 이때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도 3a의 320과 같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타입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특성에 따라 그에 맞는 Toolkit들을 골라서 Toolkit set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어플리케이션이 과학교육 어플리케이션인 경우에는 Note / Calculator / Web Toolkit으로 Toolkit set을 설정하고, 어학교육 어플리케이션인 경우에는 Note / Dictionary/ Web Toolkit을 / Web Toolkit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Toolkit set은 사용자가 customizing하여 본인이 원하는 임의의 Toolkit set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또 10a - 도 10d는 도 9와 같은 절차에 의해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을 설정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9 - 도 10d를 참조하면,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9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도 10a와 같은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에는 세팅 아이템1010을 표시하며, 사용자가 세팅 아이템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9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915단계에서 도 10b의 1020과 같은 세팅 메뉴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세팅메뉴1020은 서브 어플리케이션 설정 메뉴(toolkit settings)을 구비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세팅메뉴1020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세팅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915단계에서 도 10c의 1030과 같이 설정 가능한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들을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설정 아이템의 체크박스(check box)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9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919단계에서 도 10c와 같이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의 체크 박스에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서 현재 표시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연동시키기 위한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완료시 사용자는 도 10d와 같이 세팅 메뉴의 OK 버튼을 클릭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0은 921단계에서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종료를 감지하고, 923단계에서 서택된 서브 어플리케이션들을 해당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toolkit set)으로 등록한다.
상기와 같이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을 설정한 후, 해당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9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931단계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설정된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을 도 2a와 같이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933단계에서 상기 도 5 또는 도 8과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선택된 서브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처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0)

  1.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처리 방법에 있어서,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 선택시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된 정보를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은 하나 이상의 서브 어플리케이션로 구성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으로 구성되며,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는 복수의 메인 어플리케이션들에 공통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표시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들은 탭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호출은 상기 탭 형태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아이템을 터치하거나 드래그하여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은 문서를 키패드 및 펜에 의해 작성하는 노트 어플리케이션, 계산기 어플리케이션, 웹 어플리케이션, 사전 어플리케이션, 지도 어플리케이션들 중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된 정보를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정보를 복사하는 과정과,
    상기 복사된 정보를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에 붙여넣기를 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붙여넣기된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된 정보가 서브 어플리케이션 호출 기능을 가지는 정보이면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오버레이하여 표시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 영역에 드래그 또는 스크롤 입력이 감지되면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해당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이동이 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페이지 화면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을 표시과정에서 플릭 입력 발생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페이지 화면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세팅 메뉴 선택시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선택된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설정 종료시 상기 선택된 서브 어플리케이션들을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으로 설정하여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처리 방법에 있어서,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대응되는 복수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 선택시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된 정보를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종료시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대응되는 복수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들을 표시하는 과정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된 정보를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정보를 복사하는 과정과,
    상기 복사된 정보를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에 붙여넣기를 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붙여넣기된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들은 문서를 키패드 및 펜에 의해 작성하는 노트 어플리케이션, 계산기 어플리케이션, 웹 어플리케이션, 사전 어플리케이션, 지도 어플리케이션들 중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된 정보가 서브 어플리케이션 호출 기능을 가지는 정보이면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들은 노트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을 구비하며,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 아이템 선택시 해당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노트 어플리케이션에 복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오버레이하여 표시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 영역에 드래그 또는 스크롤 입력이 감지되면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해당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처리 장치에 있어서,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대응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에 설정된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들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을 선택하는 입력부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 선택시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고,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된 정보를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들은 문서를 키패드 및 펜에 의해 작성하는 노트 어플리케이션, 계산기 어플리케이션, 웹 어플리케이션, 사전 어플리케이션, 지도 어플리케이션들 중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때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 영역에 드래그 또는 스크롤 입력이 감지되면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해당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20106914A 2012-09-26 2012-09-26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4004037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914A KR20140040379A (ko) 2012-09-26 2012-09-26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처리 장치 및 방법
EP13186198.1A EP2722752B1 (en) 2012-09-26 2013-09-2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pplications of mobile terminal
US14/037,941 US9804898B2 (en) 2012-09-26 2013-09-2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pplications of mobile terminal
CN201310444738.2A CN103677804B (zh) 2012-09-26 2013-09-26 用于处理移动终端中的应用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914A KR20140040379A (ko) 2012-09-26 2012-09-26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처리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577A Division KR102156382B1 (ko) 2019-11-27 2019-11-27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379A true KR20140040379A (ko) 2014-04-03

Family

ID=49263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914A KR20140040379A (ko) 2012-09-26 2012-09-26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04898B2 (ko)
EP (1) EP2722752B1 (ko)
KR (1) KR20140040379A (ko)
CN (1) CN103677804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671A (ko) * 2014-08-12 201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KR20190116479A (ko) * 2017-06-30 2019-10-14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처리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CN111344673A (zh) * 2017-09-07 2020-06-26 深圳传音通讯有限公司 基于聊天界面的计算器使用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0180167A1 (ko) * 2019-03-07 2020-09-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1433B2 (ja) 2014-05-15 2019-08-21 ソニー株式会社 複数のハードウェアのエレメントを連係動作させることによって機能を実現させ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サーバ
KR20150142476A (ko) * 2014-06-12 2015-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US10339218B1 (en) * 2015-03-24 2019-07-02 Amazon Technologies, Inc.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related to dictionary entries
KR102307303B1 (ko) * 2015-05-20 2021-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607749A (zh) * 2015-07-23 2016-05-2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快捷操作方法、快捷操作装置和终端
CN111506801B (zh) * 2015-09-07 2023-04-25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App中子应用的排序方法及装置
US10191766B2 (en) * 2015-10-13 2019-01-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horing and running task-based flows within a computing system
CN105354306A (zh) * 2015-11-04 2016-02-24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一种应用推荐方法以及终端
DE102015223001A1 (de) * 2015-11-20 2017-05-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ieb eines Computersystems, Computerprogramm mit einer Implementation des Verfahrens und zur Ausführung des Verfahrens bestimmtes Computersystem
WO2017120638A1 (en) * 2016-01-11 2017-07-20 Wright Phone Pty Ltd Phone application
CN105868010A (zh) * 2016-03-28 2016-08-17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应用调用方法和终端
CN106294615A (zh) * 2016-07-31 2017-01-04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从网页跳转到本地应用模块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18081859A1 (en) * 2016-11-02 2018-05-11 Wright Phone Pty Ltd Phone application (contact id)
CN108108205B (zh) 2016-11-25 2019-07-0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应用程序页面处理方法和装置
US11263399B2 (en) * 2017-07-31 2022-03-01 Apple Inc. Correcting input based on user context
CN107992342B (zh) * 2017-11-29 2020-10-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配置更改方法及移动终端
CN110383244B (zh) * 2017-12-29 2021-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计算器的运行方法以及终端
CN108196930B (zh) * 2018-01-18 2020-04-0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应用程序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US20190286282A1 (en) * 2018-03-14 2019-09-19 Honda Motor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adjusting a layout of applications displayed on a screen
US11138551B2 (en) 2018-05-30 2021-10-05 Walmart Apollo, Llc Bundled application for load management system
US11010143B2 (en) * 2018-09-28 2021-05-18 Salesforce.Com, Inc. Executing formulas written using formula language
CN110058779B (zh) * 2019-04-18 2021-02-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753187B (zh) * 2019-10-31 2021-06-01 芋头科技(杭州)有限公司 一种摄像头的控制方法及设备
CN111198739B (zh) * 2019-12-30 2023-08-15 广州市百果园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视图的渲染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1880701B (zh) * 2020-06-19 2022-04-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页面切换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6795446A (zh) * 2022-03-25 2023-09-22 西安即刻易用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子应用打开方法、配置方法及多应用管理平台
CN116107657B (zh) * 2023-01-03 2023-09-26 广州市玄武无线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qiankun的应用存储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8188B2 (ja) * 2004-06-07 2008-02-13 株式会社インパルスジャパン Webページ翻訳装置及びwebページ翻訳方法
CN100363931C (zh) * 2004-09-08 2008-01-23 英业达股份有限公司 字词翻译查询***以及方法
CN100568224C (zh) * 2006-06-05 2009-12-09 北京金山软件有限公司 一种翻译网页的方法和***
KR101308403B1 (ko) 2008-11-14 2013-09-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응용 프로그램간 연동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연동방법
KR101640460B1 (ko) * 2009-03-25 2016-07-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N101576878A (zh) * 2009-06-17 2009-11-11 董名垂 用户勾圈网页即时翻译***及方法
CN102063425A (zh) * 2009-11-17 2011-05-1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翻译方法和装置
CN102063455A (zh) * 2010-09-07 2011-05-18 无敌科技(西安)有限公司 一种在嵌入式***网络浏览器上添加辞典的装置及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671A (ko) * 2014-08-12 201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KR20190116479A (ko) * 2017-06-30 2019-10-14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처리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US11132222B2 (en) 2017-06-30 2021-09-28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Applic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jumping between child applications and storage medium
US11681548B2 (en) 2017-06-30 2023-06-20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Applic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jumping between child applications and storage medium
CN111344673A (zh) * 2017-09-07 2020-06-26 深圳传音通讯有限公司 基于聊天界面的计算器使用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0180167A1 (ko) * 2019-03-07 2020-09-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77804A (zh) 2014-03-26
US9804898B2 (en) 2017-10-31
EP2722752A2 (en) 2014-04-23
EP2722752B1 (en) 2022-03-16
US20140089947A1 (en) 2014-03-27
EP2722752A3 (en) 2014-07-02
CN103677804B (zh) 2019-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0379A (ko)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처리 장치 및 방법
US11054988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9690474B2 (e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mproved text input
EP2706740B1 (en) Method for connecting mobile terminal and external display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KR102099646B1 (ko) 휴대단말의 분할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1810884B1 (ko) 디바이스에서 제스처를 이용한 웹브라우저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44829B1 (ko)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US8448086B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program
EP2735960A2 (en) Electronic device and page navigation method
EP270105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home screen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EP2372516A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rranging a plurality of icons on a touch sensitive display
KR20150013991A (ko)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장치
CN102859483A (zh) 信息处理终端及其控制方法
CN102272707A (zh) 手势映射的滚动
KR101251761B1 (ko)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CN103377026B (zh) 快捷面板显示方法及装置
JP2014149819A (ja) 電子装置のスクロール装置及びその方法
US2016000440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a screen in the electronic device
KR20150044540A (ko) 단말장치의 정보 리스트 처리장치 및 방법
KR102156382B1 (ko)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처리 장치 및 방법
TWI749272B (zh) 於電子裝置上操作介面工具集的方法
KR102157078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전자문서 작성 방법 및 장치
KR20140047941A (ko) 휴대단말기의 노트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EP2204728A2 (en) Information product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user
KR102383786B1 (ko)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