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7941A - 휴대단말기의 노트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노트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7941A
KR20140047941A KR1020120114323A KR20120114323A KR20140047941A KR 20140047941 A KR20140047941 A KR 20140047941A KR 1020120114323 A KR1020120114323 A KR 1020120114323A KR 20120114323 A KR20120114323 A KR 20120114323A KR 20140047941 A KR20140047941 A KR 20140047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note
information
content viewer
e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민
이채경
한경훈
신영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4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7941A/ko
Publication of KR20140047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9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휴대단말기의 컨텐츠뷰어 어플리케이션 처리 방법이,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 및 노트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을 표시하는 과정과, 노트 어플리케이션 아이템 선택시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컨텐츠뷰어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된 정보 및/또는 노트 어플리케이션에서 작성된 정보를 해당 컨텐츠뷰어의 노트정보로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노트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NOTE INFORMATION IN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텐츠를 표시하는 엎플리케이션의 노트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때,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종래에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이서 부가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부가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즉,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추가로 필요한 부가기능이 있을 경우, 해당 부가기능을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포함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부가기능의 어플리케이션과 메인 어플리케이션이 연동시켜 처리할 수 없다. 예를들면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contents viewer application)을 수행하는 중에 컨텐츠의 특정 단어를 선택하여 부가 기능의 사전을 선택하는 경우, 휴대단말기는 컨텐츠에서 선택된 단어의 사전검색결과를 보여줄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그러나 상기 검색된 사전의 단어 정보를 컨텐츠와 연동시켜 저장할 수 없으며, 따라서 추후 해당 컨텐츠에서 해당 단어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다시 사전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해당 단어를 검색하여야 했었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메인 컨텐츠는 eBook이라고 가정한다. 이런 경우, 종래의 기술에서는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예를들면 eBook)을 보면서 해당 컨텐츠가 포함하고 있는 Image/Gallery/3D/Video등의 객체를 사용자가 수집하여 정보를 관리한다거나, 또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실제 공책 또는 연습장 같은 역할을 하는 기능이 없었으며, 이로인해 컨텐츠를 보는 목적이 교육이거나 컨텐츠 확보일 경우 사용자만의 정보 수집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거나 극히 제한적이었다. 즉, 사용자가 컨텐츠를 보다가 컨텐츠의 특정 정보(텍스트 및/또는 삽입되어 있던 이미지)를 복사하여 나만의 정보 모음 공간에 저장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에는 컨텐츠의 특정 정보를 복사하여 특정 공간에 저장하고 싶으면, 다시 부가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붙여넣어야만 하는 멀티 타스킹(Multi tasking)을 시도하여야 했으며, 멀티 타스킹을 시도하여 붙여넣기를 하더라도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과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간에 연동 동작을 수행할 수 없었으며, 이로인해 특정 eBook의 페이지에서 노트한 내용이라는 기억을 할 수 없으며 양간 어떠한 상호 작용도 하지 않았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실행중인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부가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연동시켜 서비스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에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연동시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컨텐츠 또는 페이지 정보에 노트 기능을 연동시켜 처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이 eBook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특정 eBook을 열고 eBook에 속한 Note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eBook 내용을 사용자만의 Note에 담거나 text/pen drawing으로 eBook과 연계하여 메모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각 eBook 파일에 매칭되는 한 개의 Note가 제공되어 eBook을 보면서 Toolkit을 통해 쉽게 Note를 호출할 수 있고, 작업된 Note는 S-Note App과 연동되어 수정/추가 반영 사항이 동시에 양방향으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사용자는 S-Note에서 eBook을 통해 생성된 Note를 볼 때 eBook에서 Tagging된 eBook Page를 Tap하면 해당 eBook이 자동으로 열려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컨텐츠뷰어 어플리케이션 처리 방법이,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 및 노트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 아이템 선택시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상기 컨텐츠뷰어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된 정보 및/또는 노트 어플리케이션에서 작성된 정보를 해당 컨텐츠뷰어의 노트정보로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처리 장치는,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을 저장하며,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은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메모리와,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 및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의 아이템들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 아이템 선택 및 노트정보를 발생하는 입력부와, 상기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 아이템 선택시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컨텐츠뷰어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고, 상기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된 정보 및/또는 노트 어플리케이션에서 작성된 정보를 해당 컨텐츠뷰어의 노트정보로 처리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상태에서 부가 기능의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연동시켜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컨텐츠의 노트 정보를 컨텐츠와 함께 처리 및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이 eBook이라고 가정한다.
이런 경우, 먼저 사용자가 eBook을 보면서 책에 있는 내용을 옮기거나 직접 특정 내용을 입력하는 경우, 휴대단말기는 eBook 내의 Toolkit인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간편하게 노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단말기는 eBook에 객체로 삽입된 컨텐츠를 Note에 바로 추가할 수 있으며, Toolkit Note에 삽입된 내용은 메모 당시 펼쳐져 있던 eBook의 페이지를 기억하여 책과 연관성 있는 Note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Toolkit Note의 내용은 eBook 내 My Page 메뉴 화면에서 Note Page 별로, Chapter 별로 다양하게 펼쳐 볼 수 있으며, S-Note App에 eBook내 Note가 자동 추가되기 때문에 S-Note를 보다가 eBook의 해당 페이지를 추가로 App을 실행하지 않고도 바로 연결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ote Toolkit 외에 제공되는 Calculator, Map, Web, Dictionary Toolkit을 통해 입력된 Note 내용을 S-Note App에 바로 적용되어 S-Note에서 eBook Note를 열었을 때 Calculator, Map, Web, Dictionary App을 실행하지 않고도 수집한 정보를 그대로 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툴 킷 셋)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 -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 간의 연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과 노트 어플리케이션의 연동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 도 5d는 상기 도 4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ebook 어플리케이션과 노트 어플리케이션의 연동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4에서 ebook 어플리케이션과 노트 어플리케이션의 연동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7은 도 6에서 ebook 어플레케이션에서 note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활성화시키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8은 도 6에서 노트 어플리케이션에서 입력모드를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9a - 도 9e는 상기 도 6 - 도 8과 같은 절차를 수행할 때 표시되는 표시부130의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노트 정보를 확인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과 같은 절차에 의해 노트 정보를 확인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ebook 어플리케이션의 노트정보를 확인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3은 도 12와 같은 절차로 확인하는 노트 정보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되는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들을 툴킷 프레임(tool kit frame)화하고, 메인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사용 가능한 서브 어플리케이션들을 아이템으로 표시하며, 사용자가 아이템 선택시 해당하는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오버레이 표시하면서 실행시킨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사용자가 주 타스크를 수행하기 위해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휴대단말기는 전체 화면 영역에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며 해당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는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들을 화면 영역의 특정 위치에 표시한다. 이때 휴대단말기의 사용자는 화면의 특정 위치에 표시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tab 형태의 버튼으로 구성할 수 있음)을 누르거나 드래그(drag)하여 서브 어플리케이션(sub application, sub task)을 호출할 수 있으며, 이 sub application(이하 Toolkit)은 main application 위에 overlay되는 형태로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휴대단말기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인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과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하여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은 eBook, docoument(word, image 등), 영상(동영상 및/또는 정지영상), 인터넷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eBook은 리더스 허브(readers hub), 학습(learning hub) 및 학교(smart school)어플케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이 eBook 어플리케이션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메인 어플리케이션에서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호출 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일부 영역에 호출된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고,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호출된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연동되어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처리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에 연동되어 생성된 정보를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와 함께 내 정보 영역(이하 my page라 칭한다)에 저장하거나 및/또는 노트 정보 영역(이하 S-note라 칭한다)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드로잉 및/또는 메터 정보들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부가정보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또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에 추가되는 정보들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가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은 노트 어플리케이션, 지도 어플리케이션, 사전 어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계산기 어플리케이션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가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이 노트 어플리케이션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부가 기능의 어플리케이션, 서브 어플리케이션 및 툴킷 같은 의미의 용어로 사용될 것이다.
예를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단말기에서 지원되는 eBook 어플리케이션에서 Note Toolkit을 호출하여 eBook 화면의 일부 영역에서 노트 툴킷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eBook에 포함되어 있는 컨텐츠(또는 Object)가 선택(예를들면 Drag & Drop)되거나, Note Toolkit을 통해 text 입력, eBook Pen Drawing, 또는 Note Pen Drawing 등 다양한 Interaction이 발생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eBook과 Note Toolkit 정보를 스마트하게 연동시켜 eBook 특정 페이지와 Note 정보를 자동 연결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휴대단말기는 사용자가 eBook을 오픈하고 eBook에 속한 Note Toolkit을 호출하면, eBook 내용을 사용자만의 공간 영역(예를들면 my page)에 저장하거나, 노트 툴킷을 통해 text/pen drawing으로 생성되는 정보를 eBook과 연계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각 eBook 파일에 매칭되는 한 개의 Note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eBook을 보면서 Toolkit을 통해 쉽게 Note를 호출할 수 있고, 작업된 Note는 S-Note App과 연동되어 수정/추가 반영 사항이 동시에 양방향으로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S-Note에서 eBook을 통해 생성된 Note를 보면서 부가 정보를 선택하면(예를들면 eBook에서 Tagging된 eBook Page를 Tap하면), 상기 휴대단말기는 해당 eBook을 자동으로 오픈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MP3단말기, 타블렛, 컴퓨터 등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통신부120은 기지국 또는 다른 장치와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120은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frequency up converter) 및 전력 증폭하는 송신부와, 수신신호를 저잡음 증폭 및 주파수를 하강변환(frequency down converter)하는 수신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20은 변조부 및 복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변조부는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송신부에 전달하며, 복조부는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한다. 이런 경우, 상기 변복조부는 LTE, WCDMA, GSM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WIFI, WIBRO 등이 될 수 있고, NFC, Bluetooth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부120이 LTE, WIFI, bluetooh 통신부들을 구비한다고 가정한다.
제어부100은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인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템을 표시하며, 선택되는 아이템에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오버레이시켜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연동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10은 단말기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테이블들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10은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은 복수의 메인 어플리케이션들에 공통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은 는 노트 어플리케이션, 지도 어플리케이션, 웹 어플리케이션, 계산기 어플리케이션, 사전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이들 중 일부 어플리케이션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표시부13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30은 LCD 또는 OLED가 될 수 있다. 제1입력부140은 정정용량 방식 또는 저항막 방식으로 구현할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이하 손가락 터치라고 가정한다)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제2입력부 150은 EMR센서 패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펜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30, 터치패널140 및 ERM패널150은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화면은 메인 어플리케이션 및 서브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며, 이때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은 복수의 툴 킷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툴 킷 셋)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어플리케이션(sub application, Toolkit)은 참조번호 200과 같은 툴 킷 프레임워크(Toolkit Framework)를 기본으로 하여 구현되며, 상기 툴 킷 프레임워크 200은 해당하는 서브어플리케이션과 메인 어플리케이션 간의 화면 구성 및 data 교환방식에 대한 공통기능들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은 툴 킷 프레임워크200을 기반으로 구현된 Toolkit들은 set로 묶어 참조번호 210과 같이 제공되며, 이 툴 킷 셋(서브 어플리케이션 셋)는 여러 메인 어플리케이션들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특성에 따라 툴 킷 셋에 포함되는 툴 킷 종류를 다르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툴 킷 종류 구성을 커스토마이징(customizing)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sub application, tool kit)은 상기 한 바와 같이 노트 어플리케이션(note application), 계산기 어플리케이션(calculator application), 지도 어플리케이션(map application),웹 어플리케이션(web browser application), 사전 어플리케이션(dictionary appl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참조번호 220은 메인 어플리케이션이 eBook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eBook 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하나의 화면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하는 표시부130의 화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eBook 어플리케이션은 리더스 허브, 러닝 허브, 스마트 스쿨 어플리케이션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들 각 어플리케이션은 툴킷 셋210의 모든 서브 어플리케이션들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a -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 간의 연동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3a - 도 3 c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은 사용자가 직접 컨텐츠를 열람하는 메인 어플리케이션300과 메인 어플리케이션300에 속한 객체, 텍스트를 가져와 메모, handwriting을 하는 등 정보를 재가공 할 수 있는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300과 부가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320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00은 메인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도 3a와 같이 메인 어플리케이션300의 화면에 310과 같이 사용가능한 부가 기능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310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310은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 3a는 5개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310 들을 구비하며, 여기서 "N"은 노트(note)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이며, "C"는 계산기(calculator)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이고, "M"은 지도(map)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이며, "W"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이고, "D"는 사전(dictionary)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인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이때 도 3b와 같이 특정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도 3c의 320과 같이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한다. 이때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320은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300의 화면에 중복(overlay)되어 표시되는데,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투명도가 0인 경우로 가정하며, 이런 경우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320에 오버레이되는 영역의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표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메인 어플리케이션에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경우, 표시부130에서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가리워지는 영역의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도 3c와 같이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300에 서브 어플리케이션320이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경우, 메인 어플리케이션300의 표시 영역에 드래그(또는 스크롤)가 발생되면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300의 화면을 드래그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드래그 동작은 제1입력부140에서 감지되는 손(가락) 또는 상기 제2입력부150에서 감지되는 펜의 터치 또는 제스츄어(예를들면 hovering 등)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은 도 3c와 같이 메인 및 서브 어플리케이션이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상태에서 참조번호 330과 같이 제1입력부140 또는 제2입력부150을 통해 드래그 동작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메인 어플리케이션300의 화면을 드래그 동작이 발생된 방향(도 3c의 경우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수평 방향)으로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드래그 동작에 의해 메인 어플리케이션이 설정된 크기(예를들면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 페이지의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페이지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300은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이 ebook 어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320이 노트 어플리케이션이라고 가정하다. 이런 경우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의 아이템("N")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상기 ebook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오버레이 표시하며, 사용자가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스크롤(또는 드래그)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ebook 어플리케이션의 페이지를 드래그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부가기능의 노트 어플리케이션이 ebook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여 노트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가리워진 ebook의 내용을 탐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이 close 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close 상태를 인식하여 상기 ebook 어플리케이션의 스크롤(또는 드래그)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메인 어플리케이션의 플릭(flick)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ebook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Main application area)이 노트 어플리케이션 표시에 의해 가려진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일시적으로 ebook 어플리케이션 표시 영역의 좌우/상하 스크롤을 허용하며, 이로인해 표시되는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클로즈하지 않고 노트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가려진 ebook 어플리케이션의 영역을 탐색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ebook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영역에서 상기 스크롤(또는 드래그)이 일정범위 이상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부100은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닫지 않고도 표시되는 ebook 어플리케이션의 페이지를 다른 페이지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이 open된 상태에서 계속 페이지 이동을 하여 ebook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의 마지막 페이지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라이팅 효과를 주어 마지막 페이지임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3c와 같이 노트 어플리케이션의 표시에 의해 가려진 ebook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페이지를 보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입력부140 또는 제2입력부150에 의해 노트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종료(close) 하는 경우에는 도 3a와 같이 ebook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며, 이때 표시되는 ebook 어플리케이션의 페이지는 50%이상 범위의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페이지로 돌아간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과 노트 어플리케이션의 연동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411단계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상태이며, 이때 상기 표시부130에는 메인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어플리케이션은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ebook 어플리케이션이라고 가정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411단계에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130에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부가기능인 서브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템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의 아이템들은 노트, 지도, 웹, 계산기 및 사전 어플리케이션 아이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3a와 같은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3b와 같이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여기서는 노트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4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5단계에서 도 3c와 같이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ebook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 오버레이시켜 선택된 노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상기 ebook 어플리케이션과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연동시켜 정보를 처리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ebook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된 컨텐츠를 노트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제1입력부140 또는 제2입력부150을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4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23단계에서 상기 ebook 어플리케이션 및 노트 어플리케이션의 연동에 의해 생성된 노트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노트정보의 표시는 ebook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에 내 정보를 모아 저장하는 my page를 활성화시켜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독립적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노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독립적인 어플리케이션은 S-note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 또는 노트정보를 표시하는 중에서 종료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동작을 종료시킨다. 이때 종료 동작은 메인 어플리케이션도 함께 종료시킬 수 있으며, 노트 어플리케이션만 종료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411단계로 되돌아가 메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도 4의 경우에는 메인 어플리케이션과 서브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종료시키는 경우를 가정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5a - 도 5d는 상기 도 4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ebook 어플리케이션과 노트 어플리케이션의 연동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5a는 기본 화면 구성으로 eBook과 Note Toolkit 화면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5b는 응용 화면 구성으로 Note Toolkit화면에 text 입력을 수행하는 예의 도면이고, 도 5c는 응용 화면의 다른 구성예로써 Note Toolkit 화면에 Pen Drawing을 수행하는 예의 도면이며, 도 5d는 응용 화면의 또 다른 구성예로써 S-Note에 eBook Note가 추가된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도 5a - 5c는 상기 도 4의 425단계에서의 동작이 될 수 있으며, 도 5d는 도 4의 423단계의 동작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5a - 도 5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본 화면 구성은 도 5a와 같다. 즉, 사용자는 eBook 어플리케이션300을 오픈하고, 또한 노트 Toolkit을 통해 320과 같은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열 수 열수 있으며, 511과 같이 eBook 내 객체를 Drag & Drop하여 ebook 내의 컨텐츠를 513과 같이 노트 화면에 표시하거나, 또는 pop-up 메뉴를 통해 메모/하이라이트 등 동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320을 오픈한 상태에서 도 5b와 같이 직접 text 입력을 할 수도 있으며, 도 5c와 같이 Pen 동작으로 Drawing을 하여 Note에 원하는 그림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5a - 도 5c와 같이 ebook 어플리케이션과 노트 어플리케이션이 오픈된 상태에서 노트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노트정보에 당시 열려 있는 eBook 페이지를 링크시켜 매핑정보로 Tag할 수 있으며, 이런 정보는 노트 정보로 함께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노트 정보는 my page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작성된 Note는 상기 my page에 저장되는 동시에서 S-Note에 하나의 Note로 자동 추가시킬 수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가 도 5d와 같이 S-Note를 실행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eBook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고도 S-Note를 통해 작성된 eBook Note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표시되는 노트정보에 Tagging된 Page를 통해 eBook의 페이지도 App을 별도로 실행하지 않고도 즉시 열어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현재 오픈된 eBook 컨텐츠가 무엇이고 어느 페이지가 열려 있는지 인식해서 Note 작성 시 eBook 컨텐츠 및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서 ebook 어플리케이션과 노트 어플리케이션의 연동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 아이템 선택시 상기 제어부100은 611단계에서 ebook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노트 어플리켕션 화면을 오버레이시켜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터치 인터렉션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615단계에서 터치 인터렉션에 의해 선택된 ebook의 정보를 노트정보로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 인터렉션은 드래그 앤 드롭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ebook에서 선택된 정보를 드래그 앤 드롭에 의해 노트 정보로 처리한다. 이때 상기 노트정보는 선택된 ebook 정보 이외에 ebook의 페이지 정보를 포함하는 메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은 텍스트 및 펜 입력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입력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63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33단계에서 제1입력부140 또는/ 및 제2입력부150에서 입력되는 텍스트 및/또는 드로잉 입력을 노트정보로 처리한다.
또한 상기 노트어플리케이션에서 노트 정보를 표시할 때 태깅된 메터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64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43단계에서 선택된 메터정보에 대응되는 ebook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메터정보의 페이지정보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ebook의 해당 페이지로 이동시며 메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으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ebook 어플리케이션 및 노트 어플리케이션의 연동에 의해 노트정보를 처리하는 동작 이외에 ebook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ebook 어플리케이션 화면 영역에서 스크롤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64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51단계에서 ebook 화면을 스크롤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의해 가리워진 ebook 내용을 확인하는 경우, 또는 ebook의 페이지 넘김이 필요한 경우 등에서 발생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65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55단계에서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처리한다. 이때 상기 종료 처리는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종료시키고 ebook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 및 ebook 어플리케이션을 모두 종료할 수도 있다.
상기 도 7은 도 6에서 ebook 어플레케이션에서 note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활성화시키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8은 도 6에서 노트 어플리케이션에서 입력모드를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9a - 도 9e는 상기 도 6 - 도 8과 같은 절차를 수행할 때 표시되는 표시부130의 화면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6 - 도 9e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ebook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고자 하는 경우, 도 2의 서브 어플리케이션 아이템들 중에서 노트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을 선택하거나 또는 메뉴(contextual menu)를 통해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7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도 9b의 930과 같이 713단계에서 ebook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노트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오버레이시켜 표시한다. 그러나 도 9a의 910에서 911과 같이 ebook의 특정 위치를 선택(예를들면 highlight)한 후 메뉴(contextual menu)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7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23단계에서 913과 같이 메뉴 툴 바를 표시한다. 여기서 메뉴 툴 바에서 메모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72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727단계에서 ebook 어플리케이션 화면 300의 일부 영역에 320과 같은 노트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은 729단계에서 도 9a의 920의 917과 같이 상기 하이라이트된 ebook의 정보를 노트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하며, 노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 텍스트모드를 선택하면 915와 같이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Soft Input Panel: SIP)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SIP는 3*4 key 또는 querty 배열을 가지는 키패드 또는 키보드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ebook의 내용을 노트 정보로 옮겨 저장할 수 있다. 즉, 도 6의 613단계에서 터치 인터렉션(drag and drop, touch and hold)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615단계에서 도 9b의 940과 같이 ebook에서 선택된 정보를 노트 정보로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노트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ebook의 내용 및 메터 정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터 정보는 ebook의 페이지(page link), book info., label/caption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한 후, 사용자는 손가락 및/또는 펜을 이용하여 원하는 노트 정보를 작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노트 어플리케이션의 메뉴 툴 바에서 도 9c의 950과 같이 텍스트모드를 선택하거나 또는 도 9d의 970과 같이 드로잉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텍스트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도 8의 8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813단계에서 SIP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SIP는 상기한 바와 같이 3*4 또는 qwerty 키 배열을 가지는 키패드 또는 키보드가 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815단계에서 960과 같이 상기 SIP를 통해 입력되는 키데이터를 텍스트로 처리하여 노트정보로 저장한다. 또한 상기 도 9d의 970과 같이 드로잉 모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8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823단계에서 상기 제2입력부150을 통해 감지되는 펜 드로잉 입력을 도 9d의 980과 같이 처리하여 노트정보로 저장한다. 또한 상기 입력모드에서 상기 텍스트 및 펜입력모드가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825단계에서 해당 입력을 처리한다. 상기 도 8곽 kx은 절차를 수행하면서 텍스트 및 펜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노트정보를 저장하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메터 정보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텍스트 및/또는 드로잉에 노트 정보를 저장할 때, 해당 노트정보가 생성된 ebook의 메터정보(page link, book info., label/caption 등)도 함께 저장하므로써, 노트 정보 확인시 메인 어플리케이션인 ebook의 해당 페이지와 함께 노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book 어플리케이션과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연동시키는 경우, 상기 노트정보는 대응되는 ebook의 메터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메터정보를 선택하면 ebook에서 노트정보를 생성한 대응되는 페이지를 표시하게 된다. 즉, 도 9e의 990과 같이 ebook 및 노트정보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도 6의 641단계에서와 같이 메터정보를 선택하면, 제어부100은 643단계에서 도 9e의 995와 같이 ebook을 메터정보에 대응되는 ebook의 페이지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ebook의 표시 화면에 스크롤을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ebook의 내용을 스크롤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스크롤되는 크기가 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면(예를들면 50% 이상 페이지가 스크롤되면) 페이지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eBook을 보면서 ebook에 대한 노트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트정보는 eBook 및 note Toolkit과 연계되는 My Page 및/또는 S-Note에 저장될 수 있다.
먼저 eBook 어플리케이션 및 노트 Toolkit은 상호 연관되어 동작 한다. 상기 eBook에서 특정 컨텐츠를 Note에 붙여넣기를 수행하면, ebook의 해당 컨텐츠 및 해당 컨텐츠가 있던 page link, book info, label/caption등 metadata가 함께 노트정보로 저장된다. 이때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의 호출은 상기한 바와 같이 ebook 어플리케이션 표시시 표시되는 노트 어플리케이션 아이템 또는 메뉴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도 9a의 9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Contextual Menu를 통해 Memo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ebook 화면에 노트 화면을 오버레이시켜 표시하며, 또한 920과 같이 하이라이트된 내용이 자동으로 Note Toolkit에 추가되고 SIP가 호출되어 텍스트를 입력 할 수 있다. 또한 ebook 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노트 아이템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ebook 화면에 노트 화면을 오버레이시켜 노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상태를 활성화시킨다.
상기와 같이 ebook 화면에 노트 화면이 오버레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터치 인터렉션, 텍스트 또는 드로잉 입력 정보에 따라 노트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즉, 도 9b와 같이 ebook 내의 이미지, 3D, 비디오 등 삽입된 객체를 Drag&Drop 또는 Touch&Long 동작을 통해 Note에 붙여넣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ebook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Note Toolkit을 호출하여 도 9c와 같이 Text 입력 또는 9d와 같이 Pen Drawing을 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etbook 해당 페이지와 연관되어 Note에 원하는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트정보는 노트정보와 연관되는 ebook의 메터정보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노트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도 9e와 같이 Tag된 각 객체당 붙어있는 Page 아이콘을 Tap 하면 Textbook의 해당 페이지를 표시한다. 즉, eBook과 note Toolkit이 연계되어 노트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노트정보는 각 페이지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메모가 몇 페이지에서 된 것인지를 저장하며, 이런 노트정보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다시 특정 eBook 페이지를 펼쳐 볼 수 있다. 또한 메모된 아이콘 표시 및 밑 줄을 Tap해도 마찬가지로 해당 메모가 있는 Note Toolkit 페이지로 이동하여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노트정보는 my page 및/또는 S-note에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my page는 메모 정보를 총괄하여 저장하는 영역이 될 수 있으며, S-note는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되는 메시지를 저장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my page를 선택하거나 또는 S-note를 선택하여 노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노트 정보를 확인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과 같은 절차에 의해 노트 정보를 확인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0 -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1011단계에서 메인 어플리케이션인 ebook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ebook 어플리케이션은 도 11a의 11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트 정보 확인 버튼(여기서는 my page button이 될 수 있음)1113을 누르면, 상기 제어부100은 1015단계에서 도 11a의 1120과 같이 my page에 저장된 노트정보의 목록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노트정보의 목록은 도 11a의 1130과 같이 노트 페이지별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도 11a의 1140과 같이 ebook의 챕터별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되는 노트정보의 목록에서 특정 노트정보 목록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1017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노트정보의 목록에 대응되는 ebook의 노트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노트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메터정보를 함께 표시하며, 사용자가 도 11b의 1150과 같이 태깅된 메터정보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1013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1021단계에서 도 11b의 1160과 같이 대응되는 ebook의 페이지 및 노트 정보를 오버레이시켜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노트정보를 편집할 수 있다. 이때 편집 명령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102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1025단계에서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노트정보를 편집한다. 상기 1021단계 또는 1025단계 수행 후, 상기 제어부100은 1027단계에서 노트정보를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노트정보 처리 동작은 변경된 노트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의 명령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ebook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도 11a를 참조하면, 1110과 같이 ebook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my page button113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1120과 같은 my page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my page 화면 구성은 노트 toolkit에서 작업한 노트정보들을 선택하기 위한 notebook 버튼1121, 노트 toolkit에서 작업한 드로잉 정보들을 선택하기 위한 drowing button 1123 및 ebook의 북마크 버튼1125를 구비하며, 화면의 우측에는 작성된 순서대로 노트정보 목록1127이 표시되며, 메인 화면에는 선택된 노트정보 1129가 표시된다. 이때 상기 노트정보는 페이지 또는 챕터(chapter)별로 표시할 수 있다. 즉 notebook page1126을 탭하면 도 11a의 1130과 같이 노트정보의 목록을 페이지별로 표시하며 노트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1130의 textbook chapter 버튼1133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도 11a의 1140과 같이 노트정보의 목록을 ebook의 챕터별로 표시하며 노트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b의 1150에서와 같이 My Page에서 Page Tagging된 아이콘을 Tap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1150과 같이 Viewer로 이동하여 ebook의 해당 페이지 및 노트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도 11 및 도 11a -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eBook Note Toolkit에 추가된 내용은 My Page에서 동일하게 볼 수 있다. My Page에서는 객체 단위로 삭제 할 수 있으며, Notebook Page별 또는 Chapter별로 노트한 내용을 볼 수 있다. 상기 도 11a는 Viewer 화면에서 Mypage로 접근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11b는 Page Index 아이콘을 통해서 해당 객체가 속한 Page를 바로 열 수 있다. 이는 Note Toolkit 내 있던 동일한 Page Index 아이콘으로 Note시 자동으로 붙여지는 Page Tagging을 통해 메모된 객체와 관련된 페이지를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ebook 어플리케이션을 오픈 상태에서 사용자는 my page를 오픈하여 ebook에서 작성된 노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ebook 어플리케이션에서 작성되는 노트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my page 및 S-note에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트정보는 S-note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my page는 ebook에 대응되는 노트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따라서 ebook 어플리케이션에서 오픈할 수 있다. 그러나 S-note는 독립적인 어플리케이션으로써, S-note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노트정보 목록들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표시되는 목록들 중에서 원하는 목록의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ebook 어플리케이션의 노트정보를 확인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13은 도 12와 같은 절차로 확인하는 노트 정보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S-note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12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도 13의 1310과 같이 S-note의 정보 목록을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목록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12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1217단계에서 도 13의 1320과 같이 해당 목록의 노트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노트정보는 관련되는 ebook의 메터정보도 함께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태깅된 메터정보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12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1221단계에서 1330과 같이 ebook의 해당 페이지와 노트정보를 함께 표시한다. 또한 편집 명령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122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1225단계에서 사용자의 편집 명령에 따라 노트정보를 편집한다. 상기 1221단계 또는 1225단계 수행 후, 상기 제어부100은 1227단계에서 노트정보를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노트정보 처리 동작은 변경된 노트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의 명령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하거나 ebook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S-Note에서 eBook 및 Note Toolkit을 오픈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eBook에서 작성된 Note 정보는 S-Note와 연동되어 Note 정보로 추가된다. 그리고 S-Note에서 상기 노트정보를 편집 할 수 있고 업데이트된 내용은 eBook Note Toolkit에도 동일하게 반영된다. S-Note Library에서 eBook 내 생성된 Note 정보를 오픈할 수 있으며, eBook Page Tagging된 아이콘을 Tap 하면 eBook Viewer의 해당 Textbook 관련 Page가 펼쳐지고 Note Toolkit 또한 Tap 했던 객체가 포함된 Note Page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콘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에서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노트정보를 작성 및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된 노트정보를 해당 ebook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eBook을 보면서 책에 있는 내용을 옮기거나 직접 특정 내용을 입력하고 싶은 경우, eBook 내 Toolkit 모듈을 통해 쉽게 Note를 호출하여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으며, 또한 eBook에 객체로 삽입된 컨텐츠를 Note에 바로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 수행시 노트정보는 메모 당시 펼쳐져 있던 eBook의 페이지를 기억하여 책과 연관성 있는 메터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작성되는 노트정보는 해당 ebook의 마이페이지 및 S-note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작성되는 저장되는 노트정보는 eBook 내 My Page 메뉴 화면에서 Note Page 별로, Chapter 별로 다양하게 분류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S-Note App에 eBook내 Note가 자동 추가되기 때문에 S-Note를 보다가 eBook의 해당 페이지를 추가로 App을 실행하지 않고도 바로 연결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 상기 Note Toolkit 외에 제공되는 Calculator, Map, Web, Dictionary Toolkit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선택된 toolkit을 통해 생성되는 노트정보를 S-Note App에 바로 적용하고, 상기 S-Note에서 eBook Note를 열었을 때 Calculator, Map, Web, Dictionary App을 실행하지 않고도 수집한 정보를 그대로 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0)

  1. 휴대단말기의 컨텐츠뷰어 어플리케이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 및 노트 어플리케이션 아이템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 아이템 선택시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상기 컨텐츠뷰어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된 정보 및/또는 노트 어플리케이션에서 작성된 정보를 해당 컨텐츠뷰어의 노트정보로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과정에서 메모 메뉴 선택시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상기 컨텐츠뷰어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뷰어의 노트 정보로 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컨텐츠뷰어에서 선택된 정보를 터치 인터렉션에 의해 노트 어플리케이션에 붙여넣기하여 노트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인터렉션은 드래그 앤 드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뷰어의 노트정보로 처리하는 과정은,
    노트 어플리케이션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상기 컨텐츠뷰어의 노트정보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에서 입력되는 정보는 텍스트 및/또는 드로잉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트정보는 컨텐츠뷰어의 페이지 정보를 포함하는 메터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뷰어는 eboo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ebook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과정에서 상기 ebook 화면 영역에 드래그 또는 스크롤 입력이 감지되면 ebook의 내용을 스크롤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ebook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이동이 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면 상기 ebook의 페이지 화면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뷰어의 노트 정보로 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노트정보를 해당 컨텐츠뷰어의 마이페이지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뷰어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과정에서 마이페이지 선택시 컨텐츠뷰어에 저장된 노트정보 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노트정보 목록에서 선택되는 노트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노트 정보 목록은 컨텐츠뷰어의 페이지별 또는 챕터별로 분류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되는 노트정보는 링크된 컨텐츠 뷰어의 페이지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페이지 정보 선택시 대응되는 컨텐츠뷰어 어플리케이션의 해당 페이지 및 메모정보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을 저장하며, 상기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은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메모리와,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 및 대응되는 서브 어플리케이션 셋의 아이템들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 아이템 선택 및 노트정보를 발생하는 입력부와,
    상기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 아이템 선택시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컨텐츠뷰어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고, 상기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된 정보 및/또는 노트 어플리케이션에서 작성된 정보를 해당 컨텐츠뷰어의 노트정보로 처리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컨텐츠 뷰어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메모 메뉴 선택시 상기 노트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상기 컨텐츠뷰어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뷰어에서 선택된 정보를 터치 인터렉션에 의해 노트 어플리케이션에 붙여넣기하여 노트정보로 저장하며, 노트 어플리케이션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상기 컨텐츠뷰어의 노트정보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노트정보는 컨텐츠뷰어의 페이지 정보를 포함하는 메터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트정보를 해당 컨텐츠뷰어의 마이페이지에 저장하며,
    상기 마이페이지 선택시 컨텐츠뷰어에 저장된 노트정보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노트정보 목록에서 선택되는 노트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뷰어는 eboo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20114323A 2012-10-15 2012-10-15 휴대단말기의 노트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400479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323A KR20140047941A (ko) 2012-10-15 2012-10-15 휴대단말기의 노트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323A KR20140047941A (ko) 2012-10-15 2012-10-15 휴대단말기의 노트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941A true KR20140047941A (ko) 2014-04-23

Family

ID=50654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323A KR20140047941A (ko) 2012-10-15 2012-10-15 휴대단말기의 노트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79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5954B2 (en) 2018-07-10 2023-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operation on basis of bend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5954B2 (en) 2018-07-10 2023-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operation on basis of b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227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pplications of mobile terminal
US9690474B2 (e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mproved text input
US9256747B2 (en) Terminal and method for hiding and restoring message
KR101557358B1 (ko) 문자열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US2013005010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an icon in a portable terminal
US20140372932A1 (en) Filtering Data with Slicer-Style Filtering User Interface
US20130019175A1 (en) Submenus for context based menu system
US20100138782A1 (en) Item and view specific options
US10185481B2 (en) Electronic device, computer readable memory, and process execution method
KR20140089245A (ko) 더블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그 단말기
KR102280474B1 (ko)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 및 장치
US20150082211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editing user interface
US10228847B2 (en) Electronic device and automatically hiding keypad method and digital data storage media
CN105122176A (zh) 用于管理在电子设备上显示的内容的***和方法
EP2706456A1 (en) Widget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20150033188A1 (en) Scrollable smart menu
EP28018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notating application GUIs
US2016000440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a screen in the electronic device
CN112214138A (zh) 基于手势显示图形用户界面的方法及电子设备
KR20150044540A (ko) 단말장치의 정보 리스트 처리장치 및 방법
US20220236967A1 (en) Virtual keyboard for writing programming codes in electronic device
JP6100013B2 (ja) 電子機器および手書き文書処理方法
KR102156382B1 (ko)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150149894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40089855A1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 specific operation based on wri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