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6448A - 카메라 렌즈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렌즈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6448A
KR20140036448A KR1020120102271A KR20120102271A KR20140036448A KR 20140036448 A KR20140036448 A KR 20140036448A KR 1020120102271 A KR1020120102271 A KR 1020120102271A KR 20120102271 A KR20120102271 A KR 20120102271A KR 20140036448 A KR20140036448 A KR 20140036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lens housing
coil
guid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현
Original Assignee
쓰리에이치비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에이치비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쓰리에이치비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2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6448A/ko
Priority to PCT/KR2013/008238 priority patent/WO2014042440A1/ko
Publication of KR20140036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4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하우징; 상기 렌즈 하우징을 내부공간에 수용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렌즈 하우징을 노출시키는 노출공을 갖추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개방된 일측에 조립되는 커버부 ; 상기 렌즈 하우징과 대응하는 이미지센서를 탑재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개방된 타측에 조립되는 모듈기판 ; 상기 렌즈 하우징을 가로지르는 메인 프레임의 제1대각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제1,2모서리부에 안내면을 형성하여 상기 렌즈 하우징을 광축방향으로 안내지지하는 안내지지부 ; 및 상기 렌즈 하우징을 가로지르는 메인 프레임의 제2대각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제3,4모서리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부에 평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평면부에 탑재된 코일의 전기장과 상기 렌즈 하우징에 구비된 자성체의 자기력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상기 렌즈 하우징을 광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 ; 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평면부에 탑재되고,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패턴회로는 상기 평면부와 이에 인접하는 메인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Description

카메라 렌즈 모듈{Camera Lens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렌즈 하우징과 메인 프레임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 공간에 안내지지부와 구동부를 배치하고, 렌즈 하우징에 구비되는 렌즈의 외경을 확장시킬 수 있고, 코일이 탑재되는 측면기판을 메인 프레임에 일체화하여 구성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카메라 렌즈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폰 및 PDA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이하, '단말기' 이라 함)는, 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단순한 전화 기능뿐만 아니라, 음악, 영화, TV, 게임 등으로 멀티 컨버젼스로 사용되고 있으며, 멀티 컨버젼스로의 전개를 이끌어 가는 요소 중의 하나가 카메라 렌즈 모듈(CAMERA MODULE)이다.
단말기에 탑재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은 최근, 사용자 요구에 의한 고화소 및 고기능 중심으로의 변화에 부합하기 위해 자동 초점 기능(AUTO FOCUS : AF), 광학 줌(OPTICAL ZOOM)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을 갖춘 구조로 변화되고 있다.
자동 초점 기술은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광학 렌즈의 초점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촬상 이미지의 해상도를 최적으로 유지시키는 기술이다. 이와 같은 자동 초점 기술의 구현을 위해 단말기에 탑재되는 카메라 모듈은 초점 조절을 위한 자동 초점 조절 엑츄에이터(Auto Fous Actuator, AFA)를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자동 초점 조절 엑츄에이터(AFA)는, 자기장과 전기장의 상호 작용 원리를 이용한 VCM(Voice Coil Motor) 타입과 센서에 의해 자동 위치 조절 기능을 가진 엔코딩 타입 크게 두 가지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VCM과 엔코딩 타입은 구조, 제어의 관점에서 구분되어 질 수 있다.
즉, 엔코딩 타입은 자체에 일체로 장착된 센서와 제어부에 의해 확인된 위치 값을 기반으로 하는 작동 메카니즘을 가짐에 따라 구동 정밀도가 높다는 장점을 가지는 반면, 센서 및 제어부와 같은 고가의 부품이 요구됨에 따라 제작단가가 높다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합리적인 가격을 추구하는 시장 상황을 감안했을 때 원가성 측면에서 VCM 타입에 비해 불리하다.
VCM 타입은 비교적 우수한 구동 정밀도를 가지면서도 상기 엔코딩 타입에 비하여 제작단가가 낮은 관계로 보다 광범위하게 채택되고 있지만 최근 스마트폰이 800만화소 이상의 고화소로 기술이 발전되면서 위치제어 정밀도, 포커싱 조정 수율, 단품의 고 정밀도 취약 등으로 점점 채택율이 저하되고 있다.
이러한 VCM 타입 엑츄에이터에는 다양한 유형의 제품들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자성체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과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자동 초점 기능을 구현한다는 점에서 그 원리는 대동소이하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9-0026023호(2009.03.11)에는 렌즈 하우징의 이동을 간편하게 하고, 조립시 이물혼입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렌즈 모듈은 렌즈 하우징을 광축 방향으로 배치하면서 수용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과 결합하면서 렌즈 하우징과 결합하는 지지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과 결합하여 렌즈 하우징을 메인 프레임에 수용된 상태로 유지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와 결합하여 지지부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조절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 부재는 지지부와 함께 상기 렌즈 하우징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렌즈 하우징의 일측면에는 영구자석인 자성체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자성체와 대응하는 코일을 갖는 측면기판을 구비함으로써 자성체의 자기장과 코일의 전기장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렌즈 하우징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렌즈 하우징에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는 안내돌기를 상단 좌우양측에 돌출형성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에 돌출형성된 조립돌기와 대응결합되는 조립홈을 좌우양측면에 형성하여 이에 대응조립됨으로써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개방된 일측면을 밀폐함과 동시에 렌즈 하우징의 광축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것이다.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는 이미지센서를 탑재한 모듈기판을 배치하고, 상기 모듈기판의 단부에 형성된 접속단자는 상기 측면기판의 하부단에 형성된 접속단자와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측면기판의 하부단에 형성된 접속단자와 상기 모듈기판의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카메라 렌즈 모듈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개방된 일측면을 밀폐하도록 조립되는 사각판상의 지지부의 내측면에 코일이 탑재된 측면기판을 고정설치하고, 이에 마주하는 렌즈 하우징의 외부면에 자성체를 배치해야만 하기 때문에, 상기 코일이 탑재된 측면기판와 자성체에 의해서 대략 사각단면상의 메인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렌즈 하우징의 외경을 제한된 내부공간에서 확대시키는 것이 곤란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렌즈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렌즈의 외경을 확대하여 카메라 렌즈 모듈의 광학특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직육면체상의 메인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원형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하우징을 배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메인 프레임의 모서리부에는 빈공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빈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지 못하는 구조상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개방된 측면을 밀폐하도록 지지부를 조립하고, 지지부의 일측면에 측면기판이 장착되기 때문에 메인 프레임을 구성하는 부품수가 많아지고, 조립공수가 길어져 작업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상기 렌즈 하우징으로 광축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구조가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개방된 일측면을 밀폐하는 지지부에 편중배치됨으로써 렌즈 하우징와 지지부간의 안내면에서 마찰력을 증대시켜 렌즈구동력의 부하를 가중시는 한편, 미세한 편마모의 발생에 의해서 카메라 렌즈 모듈의 사용수명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렌즈 하우징과 메인 프레임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 공간에 안내 지지부와 구동부를 각각 배치하여 메인 프레임의 제한된 내부공간에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보다 큰 외경을 갖는 렌즈를 수용하여 광학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렌즈 하우징의 외부면을 메인 프레임의 내부면에 최대한 근접시킬 수 있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인 프레임과 렌즈 하우징간의 안내면에서의 편마모를 방지하고, 안내면에서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코일이 탑재되는 측면기판을 메인 프레임에 일체화하여 구성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조립공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하우징; 상기 렌즈 하우징을 내부공간에 수용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렌즈 하우징을 노출시키는 노출공을 갖추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개방된 일측에 조립되는 커버부 ; 상기 렌즈 하우징과 대응하는 이미지센서를 탑재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개방된 타측에 조립되는 모듈기판 ; 상기 렌즈 하우징을 가로지르는 메인 프레임의 제1대각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제1,2모서리부에 안내면을 형성하여 상기 렌즈 하우징을 광축방향으로 안내지지하는 안내지지부 ; 및 상기 렌즈 하우징을 가로지르는 메인 프레임의 제2대각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제3,4모서리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부에 평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평면부에 탑재된 코일의 전기장과 상기 렌즈 하우징에 구비된 자성체의 자기력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상기 렌즈 하우징을 광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 ; 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평면부에 탑재되고,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패턴회로는 상기 평면부와 이에 인접하는 메인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내지지부는 상기 제1대각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2모서리부에 일정높이 수직하게 구비되는 제1,2안내레일과, 상기 제1,2안내레일과 대응하는 렌즈 하우징의 외부면에 돌출형성되어 안내이동되는 제1,2안내턱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2안내레일과 상기 제1,2안내턱에 함몰형성된 안내홈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저감부재를 배치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일은 마주하는 자성체측으로 향하여 내경크기가 일정한 반면에 외경크기는 외측으로 서서히 확장되는 단면상을 갖는 중공 원통형상의 코일체로 구비되거나 내,외경크기가 일정한 중공 원통형상의 코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일은 인접하는 내측벽까지 연장되는 연장코일을 형성하고, 상기 코일과 대응하는 자성체는 상기 연장코일과 대응하여 마주하는 자성돌출부를 자성체의 좌우양단에 각각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패턴회로는 캐비티내로 주입되는 수지에 의해서 사출성형되는 메인 프레임에 일체로 구비되면서 상기 렌즈 하우징과 대응하는 메인 프레임의 내부면에 외부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전도성 도체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패턴회로는 캐비티내로 주입되는 수지에 의해서 사출성형되는 메인 프레임의 내부면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사전에 설정된 패턴을 1차로 형성한 다음 무전해 도금을 이용하여 2차로 형성되는 전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평면부에 노출되는 패턴회로에는 상기 렌즈 하우징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하는 홀센서와 구동드라이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탑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부는 하부면 일측에는 상기 자성체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메인 프레임의 제4모서리부에 대응삽입되어 상기 제4모서리부의 내측면에 모서리면이 대응밀착되어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끼움턱을 돌출형성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끼움턱과 대응하는 제4모서리부에 상기 끼움턱의 하부단과 접하는 스토퍼를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렌즈 하우징과 메인 프레임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 공간에 렌즈하우징의 광축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지지부를 배치하고, 렌즈 하우징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외력을 발생하는 구동부를 각각 배치함으로써 렌즈하우징이 배치되는 메인 프레임의 제한된 내부공간에서 렌즈 하우징의 외경을 최대한 확보하여 보다 큰 렌즈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렌즈의 광학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메인 프레임의 내부공간 활용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다.
(2) 렌즈 하우징의 광축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지지부를 메인 프레임의 서로 마주하는 모서리부에 배치함으로써 이동대상물인 렌즈 하우징을 편심배치된 안내 지지부에서 안내지지하는 것에 비하여 안내면에서의 마찰저항 및 구동부하를 절감시킬 수 있는 한편 편마모를 최소화하여 사용수명을 연장하고, 안정된 구동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3) 렌즈 하우징이 수용되는 메인 프레임의 일측 모서리부의 평면부에 코일이 탑재되고 모듈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패턴회로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코일이 탑재되는 별도의 기판을 메인 프레임에 조립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모듈의 전체구성 부품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모듈기판과의 전기적인 접속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하여 작업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을 자성체 측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을 코일 측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을 도시한 조립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에 채용되는 메인 프레임과 구동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에 채용되는 코일 및 자성체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모듈(1)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하우징(10), 메인 프레임(20), 커버부(30), 안내지지부(50) 및 구동부(60)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 하우징(10)은 내부공간에 광축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대략 원통형의 경통 구조물이다.
이러한 렌즈 하우징(10)의 상부면에는 렌즈를 노출시키는 렌즈공(12)을 관통형성하고, 외주면에는 자성체 배치부(14)를 외측으로 돌출형성하고, 상기 자성체 배치부(14)에 함몰형성된 배치홈(16)에는 일정세기의 자기력을 발생시키도록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자성체(62)를 대응삽입하여 고정설치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20)은 상기 렌즈 하우징(10)을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내부수용하도록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대략 직육면체상의 박스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메인 프레임(20)의 상,하부는 각각 개방되고, 상기 렌즈 하우징(10)의 외부면과 대응하는 내측면은 밀폐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서로 인접하는 수직한 내측벽이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는 제1,2,3 및 4모서리부(21,22,23,24)를 각각 형성하게 되고, 상기 렌즈 하우징(10)을 가로지르는 제1대각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제1,2모서리부(21,22)에 안내지지부(50)가 배치된다.
상기 커버부(30)는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배치된 렌즈 하우징(10)의 렌즈공(12)을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노출공(32)을 대략 중앙영역에 관통형성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개방된 일측인 도면상 상부를 밀폐하도록 메인 프레임(20)과 조립되는 덮개부재이다.
이러한 커버부(30)와 렌즈 하우징(10)사이 그리고 상기 렌즈 하우징(10)의 하부에는 광축방향으로 상하이동되는 렌즈 하우징(10)을 초기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0)의 하부면 일측에는 상기 제3,4모서리부(23,24) 중 상기 자성체(62)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제4모서리부(24)에 대응삽입되어 상기 제4모서리부(24)의 내측면에 모서리면이 대응밀착되는 끼움턱(34)을 돌출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30)는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구비되는 제1,2,3 및 4모서리부 중 제4모서리부(24)의 내측면에 외측 모서리면이 밀착되어 고정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메인 프레임(20)으로부터 개방된 상부로부터 커버부(30)의 분리이탈없이 이들간의 조립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끼움턱(34)과 대응하는 메인 프레임(20)의 제4모서리부(24)에는 상기 커버부(30)의 조립시 상기 끼움턱(34)의 하부단과 상부면이 접하는 스토퍼(25)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모듈기판(40)은 상기 렌즈 하우징(10)과 대응하는 상부면에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의 상을 검출하여 전기신호를 변환시키는 이미지센서(42)를 탑재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개방된 타측인 하부를 밀폐하도록 메인 프레임(20)과 조립되는 기판부재이다.
상기 안내지지부(50)는 상기 렌즈 하우징(10)의 렌즈공을 가로지르는 메인 프레임(20)의 제1대각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제1,2모서리부(21,22)에서 상기 렌즈 하우징(10)을 광축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렌즈 하우징(10)과 메인 프레임(20)에 각각 구조물이다.
이러한 안내지지부(50)는 상기 제1대각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2모서리부(21,22)에 일정높이 수직하게 구비되는 제1,2안내레일(51,52)과, 상기 제1,2안내레일(51,52)과 대응하는 렌즈 하우징(10)의 외부면에 돌출형성되어 안내이동되는 제1,2안내턱(53,5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2안내레일(51,52)과 상기 제1,2안내턱(53,54)에 함몰형성된 안내홈사이에는 강구와 같은 마찰저감부재(55)를 적어도 하나 배치함으로써 메인 프레임(20)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인 제1,2안내레일(51,52)에 대하여 이동부재인 렌즈 하우징(10)의 광축방향 이동시 상기 제1,2안내레일(51,52)과 제1,2안내턱(53,54)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저항 및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내지지부(50)는 상기 제1,2안내레일과 상기 제1,2안내턱사이에 마찰저감부재(55)를 배치하여 렌즈 하우징(10)을 광축방향으로 안내지지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2안내레일에 구비되는 안내수직축에 상기 제1,2안내턱에 관통형성된 안내공을 결합하는 안내지지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안내지지부(50)가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제1대각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제1,2모서리부(21,22)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제1,2안내레일(51,52)과 상기 제1,2안내턱(53,54)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렌즈 하우징(10)과 메인 프레임(20)간의 안내작용이 이루어지는 위치를 일측에 편중시키지 않고 균형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렌즈 하우징의 광축방향 이동시 안내면에서의 편마모를 방지하고, 안내면에서의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어 구동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동부(60)는 상기 렌즈 하우징(10)을 가로지르는 메인 프레임(20)의 제2대각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제3,4모서리부(23,24)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부에 수직한 평면부(69)를 형성하고, 상기 평면부(69)에 코일(61)을 탑재함으로써 상기 평면부(69)에 탑재된 코일(61)의 전기장과 상기 렌즈 하우징(10)에 구비된 자성체(62)의 자기력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고정부재인 메인 프레임(20)에 대하여 가동부재인 렌즈 하우징(10)을 광축방향으로 상하이동시키는 외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 구동부(60)를 구성하는 코일(61)은 수직한 평면부(69)에 탑재되는바, 상기 코일(6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패턴회로(64)는 상기 평면부(69)의 표면과, 상기 평면부(69)에 인접하는 메인 프레임(20)의 내측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패턴회로(64)는 캐비티내로 주입되는 수지에 의해서 사출성형되는 메인 프레임(20)에 일체로 구비되면서 상기 렌즈 하우징(10)과 대응하는 메인 프레임(20)의 내부면에 외부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전도성 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회로(64)는 캐비티내로 주입되는 수지에 의해서 사출성형되는 메인 프레임(20)의 내부면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사전에 설정된 패턴을 1차로 형성한 다음 무전해 도금을 이용하여 2차로 전도성 패턴을 형성하는 MID(Molded Interconnect Device)공법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면부(69)에 노출되는 패턴회로(64)에는 상기 렌즈 하우징(10)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하는 홀센서와 구동드라이버(6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탑재하며, 이러한 홀센서와 구동드라이버(63)는 코일(61)과 인접하도록 탑재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드라이버(63)는 전원이 인가되는 코일부재의 권선횟수를 증대시켜 전원인가시 코일의 전기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대략 중공 원통형으로 코일부재가 복수회 권선되는 코일(61)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보다는 외측인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면부(69)에 노출된 패턴회로(6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탑재되는 코일(61)은 마주하는 자성체(62)측으로 향하여 내경크기가 일정한 반면에 외경크기는 외측으로 서서히 확장되는 단면상을 갖는 중공 원통형상의 코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외경크기가 일정한 중공 원통형상의 코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외부면에는 하부단으로 노출되는 제1접속단자(64a)를 형성하고, 상기 제1접속단자(64a)는 상기 메인 프레임(20)과 모듈기판(40)의 상호결합시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하부에 조립되는 모듈기판(40)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2접속단자(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대응접속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외부면에 노출되는 제1접속단자(64a)는 상기 패턴회로(64)로부터 연장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도체 또는 전도성 패턴의 단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일측 모서리부(23)에 형성된 평면부(69)의 패턴회로(64)에 코일(61)을 탑재하고, 상기 코일(61)의 상측에 홀센서를 포함하는 구동드라이버(63)가 탑재되는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하부단에외측면에 형성된 제1접속단자(64a)와 모듈기판(40)의 제2접속단자(43)를 상호 접속시킴으로써 메인 프레임의 개구된 일측에 별도의 측면기판을 조립하는 작업의 필요없이 카메라 렌즈 모듈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조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일측 모서리부(23)에 형성된 평면부(69)의 패턴회로(64)에 탑재되는 코일(61)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부재의 권취횟수를 증대시켜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인접하는 내측벽까지 연장되는 연장코일(61a)을 형성하고, 상기 코일(61)과 대응하는 자성체(62)는 상기 연장코일(61a)과 대응하여 마주하는 자성돌출부(62a)를 자성체(62)의 좌우양단에 각각 형성하여 상기 자성체(62)가 자성체 배치부(14)의 좌우양단으로 연장된 연장배치홈(14a)에 삽입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코일(61) 및 이로부터 연장된 연장코일(61)의 전기장과 상기 자성체(62) 및 이로부터 연장된 자성돌출부(14a)의 자기장간의 상호 작용력을 증대시켜 상기 렌즈 하우징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외력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렌즈 하우징 20 : 메인 프레임
21,22,23,24 : 제1,2,3 및 4모서리부
25 : 스토퍼 30 : 커버부
40 : 모듈기판 42 : 이미지센서
43 : 제2접속단자 50 : 안내지지부
51,52 : 제1,2안내레일 53,54 : 제1,2안내턱
55 : 마찰저감부재 60 : 구동부
61 : 코일 62 : 자성체
63 : 구동드라이버 64 : 패턴회로
64a : 제1접속단자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하우징;
    상기 렌즈 하우징을 내부공간에 수용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렌즈 하우징을 노출시키는 노출공을 갖추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개방된 일측에 조립되는 커버부 ;
    상기 렌즈 하우징과 대응하는 이미지센서를 탑재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개방된 타측에 조립되는 모듈기판 ;
    상기 렌즈 하우징을 가로지르는 메인 프레임의 제1대각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제1,2모서리부에 안내면을 형성하여 상기 렌즈 하우징을 광축방향으로 안내지지하는 안내지지부 ; 및
    상기 렌즈 하우징을 가로지르는 메인 프레임의 제2대각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제3,4모서리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부에 평면부를 형성하고, 상기 평면부에 탑재된 코일의 전기장과 상기 렌즈 하우징에 구비된 자성체의 자기력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상기 렌즈 하우징을 광축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 ; 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평면부에 탑재되고,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패턴회로는 상기 평면부와 이에 인접하는 메인 프레임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지지부는 상기 제1대각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2모서리부에 일정높이 수직하게 구비되는 제1,2안내레일과, 상기 제1,2안내레일과 대응하는 렌즈 하우징의 외부면에 돌출형성되어 안내이동되는 제1,2안내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안내레일과 상기 제1,2안내턱에 함몰형성된 안내홈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마찰저감부재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마주하는 자성체측으로 향하여 내경크기가 일정한 반면에 외경크기는 외측으로 서서히 확장되는 단면상을 갖는 중공 원통형상의 코일체로 구비되거나 내,외경크기가 일정한 중공 원통형상의 코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인접하는 내측벽까지 연장되는 연장코일을 형성하고, 상기 코일과 대응하는 자성체는 상기 연장코일과 대응하여 마주하는 자성돌출부를 자성체의 좌우양단에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회로는 캐비티내로 주입되는 수지에 의해서 사출성형되는 메인 프레임에 일체로 구비되면서 상기 렌즈 하우징과 대응하는 메인 프레임의 내부면에 외부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전도성 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회로는 캐비티내로 주입되는 수지에 의해서 사출성형되는 메인 프레임의 내부면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사전에 설정된 패턴을 1차로 형성한 다음 무전해 도금을 이용하여 2차로 형성되는 전도성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에 노출되는 패턴회로에는 상기 렌즈 하우징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하는 홀센서와 구동드라이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하부면 일측에는 상기 자성체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메인 프레임의 제4모서리부에 대응삽입되어 상기 제4모서리부의 내측면에 모서리면이 대응밀착되어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끼움턱을 돌출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끼움턱과 대응하는 제4모서리부에 상기 끼움턱의 하부단과 접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KR1020120102271A 2012-09-14 2012-09-14 카메라 렌즈 모듈 KR2014003644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271A KR20140036448A (ko) 2012-09-14 2012-09-14 카메라 렌즈 모듈
PCT/KR2013/008238 WO2014042440A1 (ko) 2012-09-14 2013-09-12 카메라 렌즈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271A KR20140036448A (ko) 2012-09-14 2012-09-14 카메라 렌즈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448A true KR20140036448A (ko) 2014-03-26

Family

ID=50278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271A KR20140036448A (ko) 2012-09-14 2012-09-14 카메라 렌즈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36448A (ko)
WO (1) WO201404244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034A (ko) * 2014-05-30 2015-12-0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60086580A (ko) * 2015-01-12 2016-07-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60090481A (ko) * 2015-01-22 2016-08-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JP2017191303A (ja) * 2016-04-15 2017-10-1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る移動端末機
US11579402B2 (en) 2014-12-19 2023-02-14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805B1 (ko) * 2015-09-18 2022-01-2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491569B1 (ko) 2018-01-17 2023-01-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527790B1 (ko) * 2018-01-30 2023-04-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585027B1 (ko) * 2018-08-16 2023-10-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609149B1 (ko) * 2018-10-15 2023-12-0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4217A (ja) * 2001-04-12 2002-10-25 Hitachi Cable Ltd プラスチック成形回路部品の製造方法
KR100843403B1 (ko) * 2006-12-19 2008-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이송장치
KR101504350B1 (ko) * 2007-09-07 2015-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모듈
JP2011039481A (ja) * 2009-03-26 2011-02-24 Sanyo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
US8320756B2 (en) * 2010-08-10 2012-11-27 Digital Imaging Systems Gmbh Single actuator configuration for a camera modul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034A (ko) * 2014-05-30 2015-12-0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1579402B2 (en) 2014-12-19 2023-02-14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apparatus
KR20160086580A (ko) * 2015-01-12 2016-07-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36092A (ko) * 2015-01-12 2023-03-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60090481A (ko) * 2015-01-22 2016-08-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US11934033B2 (en) 2015-01-22 2024-03-19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JP2017191303A (ja) * 2016-04-15 2017-10-1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る移動端末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42440A1 (ko) 201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178B1 (ko) 카메라 렌즈 모듈
KR20140036448A (ko) 카메라 렌즈 모듈
US10116849B2 (en) Lens driving actuator
KR102338925B1 (ko) 카메라 모듈
US7986478B2 (en) Lens drive device
CN112198739B (zh) 透镜移动装置
KR101170714B1 (ko) 자동 초점 엑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160018624A1 (en) Lens Actuator
KR101221316B1 (ko)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KR20240013884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50113675A (ko) 듀얼 카메라 모듈
KR102586187B1 (ko)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KR101705522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US20140092298A1 (en) Camera module
KR20100071566A (ko) 카메라모듈
KR101072404B1 (ko) 요크를 사용하지 않는 카메라 자동초점 조절장치
KR20110100549A (ko) 렌즈 초점거리 조절용 엑츄에이터
KR102381995B1 (ko) 카메라 모듈
KR20230056649A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CN114731361B (zh) 相机模块
US8285132B2 (en) Voice coil motor,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US8433188B2 (en) Actuator and camera module having same
KR20150101676A (ko) 렌즈구동모터
US8754553B2 (en) Voice coil motor having sloped surfaces
JP2022541785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