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0069A -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0069A
KR20140030069A KR1020130104195A KR20130104195A KR20140030069A KR 20140030069 A KR20140030069 A KR 20140030069A KR 1020130104195 A KR1020130104195 A KR 1020130104195A KR 20130104195 A KR20130104195 A KR 20130104195A KR 20140030069 A KR20140030069 A KR 20140030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printing
unit
detec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4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모노리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30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20Platen adjustments for varying the strength of impression, for a varying number of papers, for wear or for alignment, or for print gap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41J25/308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with print gap adjustment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41J25/308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with print gap adjustment mechanisms
    • B41J25/3082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with print gap adjustment mechanisms with print gap adjustment means on the print head carriage, e.g. for rotation around a guide bar or using a rotatable eccentric b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1/00Treatment of selected parts of textile materials, e.g. partial dye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3/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printing process
    • B41J2203/01Inspecting a printed medium or a medium to be printed using a sensing device
    • B41J2203/011Inspecting the shape or condition, e.g. wrinkled or warped, of a medium to be printed before printing on 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nk Jet (AREA)
  • Colo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과제) 기록 매체의 표면을 따르게 하여 방사한 검출광에 의해, 기록 매체의 들뜸을 검출하는 매체 검출부에 있어서, 기록 매체의 두께가 상이해도, 설치 위치나 검출 문턱값의 조정을 불요(不要)로 하는 기록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기록 매체(W)를 이송 경로(3)를 따라 이송하는 매체 이송 기구(12)를 갖는 장치 본체(4)와, 기록 매체(W)에 인쇄를 행하는 잉크젯 헤드(15)를 가짐과 함께, 기록 매체(W)의 두께에 따라서, 이송 경로(3)에 대하여 이접(離接) 방향으로 이동 조정 가능하게 구성된 인쇄부(5)와, 이송되어 가는 기록 매체의 표면을 따르게 하여 방사한 검출광에 의해, 기록 매체(W)의 이송 경로(3)로부터의 들뜸을 검출하는 매체 검출부(140)를 구비하고, 매체 검출부(140)는, 인쇄부(5)측에 부착되어 있다.

Description

기록 장치{RECOR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주로 포백(布帛)에 인쇄(날염)를 행하는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기록 장치로서, 포백에 잉크 토출에 의한 인쇄를 행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 잉크젯 기록 장치는, 포백을 수평이 되도록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플래튼과, 포백을 플래튼을 따라 반송하는 한 쌍의 반송 롤러와, 플래튼의 상방에 있어서 수평으로 연재(延在)하는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부착한 캐리지와, 캐리지에 탑재한 기록 헤드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레일은, 포백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고, 기록 헤드는, 캐리지를 개재하여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주사(走査)되어, 적절하게 잉크의 토출이 행해진다. 또한, 캐리지에는, 기록 헤드에 대하여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포백의 반사광 강도를 검출하는 광센서가 탑재되어 있다.
광센서는, 기록 헤드와 함께 주사되고, 포백의 표면에 검출광을 조사함과 함께 그 반사광 강도를 측정하여, 포백의 이음매나 포백에 시행된 전(前)처리제의 많고 적음을 검출한다. 이에 따라, 나중의 불요(不要) 부분이 되는 포백의 이음매로의 잉크 토출을 행하지 않도록 함과 함께, 전처리제의 많고 적음에 따라서 잉크의 농도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5-349751호
그런데, 포백을 이송하는(반송하는) 경우, 폭 방향의 양단부(兩端部)에 젖혀짐이나 주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포백은, 단부끼리를 서로 겹쳐 연결한 두꺼운 이음매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이, 잉크젯 방식으로 포백에 인쇄(날염)를 행하면, 이 젖혀짐이나 주름 등의 이송 경로로부터 들뜬 부분이나 이음매의 부분에 대한 인쇄가 양호하게 행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들뜬 부분이나 이음매의 부분과 기록 헤드의 노즐면이 간섭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코히어런트한 검출광(레이저광)을 방사 가능한 광센서를 이용하여, 포백의 표면을 따르도록 방사한 검출광에 의해, 포백의 들뜬 부분 등을 검출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한편으로, 포백에는, 비단과 같은 매우 얇은 것에서 카페트와 같은 매우 두꺼운 것까지, 각종 두께가 상이한 것이 있다.
이 때문에, 포백의 표면을 따르도록 검출광을 방사하려고 하면, 포백의 종류마다 광센서의 설치 높이를 미세조정하거나, 스폿 지름이 큰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검출/비(非)검출의 문턱값의 조정(교정)을 매번 행할 필요가 있다. 어떠한 경우도, 조정 작업이 매우 번잡해지는 것이 상정되고, 또한 후자의 경우에는, 조정에 있어서의 종별마다의 변화량이 작아져, 오검출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것이 상정된다.
본 발명은, 기록 매체의 표면을 따르게 하여 출사한 검출광에 의해, 기록 매체의 들뜸 등의 요철을 검출하는 매체 검출부에 있어서, 기록 매체의 두께가 상이해도, 설치 위치나 검출 문턱값의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기록 장치는, 기록 매체가 배치되는 배치면을 갖는 장치 본체와, 기록 매체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 헤드를 갖고, 배치면에 대하여 이접(離接) 방향으로 이동 조정 가능하게 구성된 인쇄부와, 배치면을 따르게 하여 출사한 검출광에 의해, 기록 매체의 표면으로부터의 요철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고, 기록 매체 및 인쇄 헤드 중 적어도 한쪽이 다른 한쪽에 대하여 배치면의 평행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고, 검출부는, 인쇄부와 동기(同期)하여 이접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기록 장치는, 기록 매체가 배치되는 배치면을 갖는 장치 본체와, 기록 매체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 헤드를 갖고, 배치면에 대하여 이접 방향으로 이동 조정 가능하게 구성된 인쇄부와, 배치면을 따르게 하여 출사한 검출광에 의해, 기록 매체의 표면으로부터의 요철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고, 기록 매체 및 인쇄 헤드 중 적어도 한쪽이 다른 한쪽에 대하여 배치면의 평행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고, 검출부는, 레이저 발광부 및 레이저 수광부를 갖는 센서 본체와, 배치면을 사이에 끼고 센서 본체에 대치하는 반사판을 갖고, 센서 본체 및 반사판 중, 적어도 센서 본체가 인쇄부와 동기하여 이접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배치면(기록 매체)의 표면을 따르게 하여 출사한 검출광에 의해, 기록 매체의 배치면으로부터의 요철을 검출하는 매체 검출부가, 배치면에 대하여 이접 방향으로 이동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인쇄부와 동기하여 이접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도입되는 기록 매체의 두께가 바뀌어도, 검출부는, 인쇄부와 함께 이동 조정되게 된다. 따라서, 검출부는, 기록 매체의 두께가 상이해도, 설치 위치나 검출 문턱값의 조정을 행할 필요가 없다. 즉, 검출부는, 초기설정을 행해 두면, 높이나 각도의 조정은 물론, 검출/비검출의 문턱값의 조정(교정)을 매번 행할 필요가 없다.
또한, 검출부가, 센서 본체와 반사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센서 본체만을 인쇄부측에 부착하는 것이라도 좋고, 이러한 경우도, 기록 매체의 두께가 상이해도, 설치 위치나 검출 문턱값의 조정을 행할 필요가 없다. 단, 이 경우의 반사판은, 인쇄부의 이동 조정의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를 필요로 한다. 그리고, 레이저 발광부 및 레이저 수광부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검출부의 부착 조정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인쇄부를 이접 방향으로 이동시켜, 인쇄 헤드의 노즐면과 배치면 상의 기록 매체와의 갭을 조정하는 갭 조정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센서 본체는, 갭 조정부에 있어서의 인쇄부와 함께 이동하는 부품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센서 본체를, 갭 조정부의 인쇄부와 함께 이동하는 부품에 부착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인쇄부측의 부품에, 센서 본체를 부착하고, 혹은 부착하기 위한 가공을 시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인쇄부측에, 센서 본체를 부착한 경우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발광부에 있어서의 레이저광의 스폿 지름이, 1㎜에서 3㎜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센서 본체에 있어서의 문턱값 설정의 변화량이 커지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 요철(들뜸)을 정밀도 좋게 검출할 수 있다.
한편,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대 이동 및 인쇄부의 인쇄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록 매체의 요철이 검출된 경우, 상대 이동 및 인쇄부의 인쇄 동작을 정지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인쇄 불량이나 쓸데없는 잉크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록 매체는, 인쇄 헤드에 의한 인쇄 폭의 피치로, 인쇄 헤드에 대하여 간헐 이송되고, 인쇄 헤드에 대하여 검출부는, 기록 매체의 이송 방향 상류측에 있어서 간헐 이송의 적어도 1피치분의 간극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대 이동 및 인쇄부의 인쇄 동작을 정지한 상태에서, 기록 매체의 요철(들뜸)을 수정할 수 있고, 그 후, 인쇄를 속행할 수 있다. 또한, 기록 매체의 요철이, 기록 매체의 이음매의 근방이나 문양의 종단(終端) 근방에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음매의 직전까지 혹은 문양의 종단까지 인쇄를 완료하고 나서, 인쇄를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기록 매체가, 포백이며, 장치 본체는, 배치면을 갖고, 기록 매체를 점착한 상태에서 이송하는 무단(無端)의 반송 벨트와, 검출광의 광로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반송 벨트를 배치면을 따르도록 가이드하는 이송 가이드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록 매체가, 젖혀짐이나 주름 등의 들뜸(요철)이 발생하기 쉬운 포백이라도, 반송 벨트에 기록 매체를 점착하여 이송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포백의 들뜸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송 가이드에 의해, 반송 벨트에 휨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 기록 매체가 반송 벨트를 따라 휨으로써 발생하는, 오검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잉크젯 기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 구조도이다.
도 2는 갭 조정부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갭 조정부의 좌(左)조정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갭 조정부의 우(右)조정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매체 검출부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6은 매체 검출부의 센서 본체 주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매체 검출부의 센서 본체 주위의 정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기록 장치인 잉크젯 기록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잉크젯 기록 장치는, 소위 릴·투·릴의 형식으로 제급재(除給材)되는 포백(원반)에, 전용으로 염료 잉크를 이용하여 잉크젯 방식으로 문양 등을 인쇄하는(날염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포백인 기록 매체의 정역(正逆) 이송 방향을 X축 방향으로, X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Y축 방향으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Z축 방향으로, 규정한다.
도 1은, 잉크젯 기록 장치의 단면 구조도이다. 동(同)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잉크젯 기록 장치(1)는, 롤 형상으로 권회된 기록 매체(W)를 조출(繰出)하여 이송하는 조출부(2)와, 조출된 기록 매체(W)를 이송 경로(3)를 따라 인쇄를 위해 이송하는 장치 본체(4)와, 장치 본체(4)의 상측에 설치되어, 장치 본체(4)와 협동하여 기록 매체(W)에 잉크젯 방식으로 인쇄를 행하는 인쇄부(5)와, 인쇄부(5)에 의해 인쇄된 기록 매체(W)를, 장치 본체(4)의 이송 방향 하류측에 있어서 권취하여 회수하는 권취부(6)와, 이들 구성 장치를 통괄 제어하는 제어부(7)를 구비하고 있다.
장치 본체(4)는, 강재(鋼材)를 짜맞추어 구성한 본체용 기대(機臺; 11)와, 본체용 기대(11)에 지지되어, 기록 매체(W)를 벨트 반송에 의해 X축 방향으로 간헐 이송하는 매체 이송 기구(12)를 갖고 있다. 인쇄부(5)는, 잉크젯 헤드(15)를 갖는 캐리지 유닛(14)과, 캐리지 유닛(14)을 Y축 방향으로 왕복동시키는 헤드 이동 기구(16)를 갖고 있다. 한편, 조출부(2)는, 기록 매체(W)를 조출하는 조출 유닛(18)과, 조출되어 기록 매체(W)의 느슨함을 없애는 느슨함 제거 유닛(19)을 갖고 있다. 또한, 권취부(6)는, 기록 매체(W)를 권취하는 권취 유닛(21)과, 권취 유닛(21)에 간지(間紙; P)를 공급하는 간지 유닛(22)과, 기록 매체(W)를 권취하기 전에 기록 매체(W)에 스며든 염료 잉크의 용제(수분)를 기화시키는 히터 유닛(23)을 갖고, 이들을 권취부용 기대(24)에 탑재하여 구성되어 있다.
조출 유닛(18)으로부터 조출되어 기록 매체(W)(포백)는, 느슨함 제거 유닛(19)에 의해 팽팽해지도록 하여 느슨함이 없어져, 매체 이송 기구(12)에 송입(送入)된다. 매체 이송 기구(12)에 송입된 기록 매체(W)는, 표면에 점착되도록 하여 벨트 반송된다. 이 벨트 반송에서는, 기록 매체(W)가 X축 방향으로 간헐 이송되는(부주사) 한편, 이에 동기하여 캐리지 유닛(14)이 Y축 방향으로 왕복동하여, 잉크젯 헤드(15)로부터 잉크 토출이 행해진다(주주사).
이와 같이 하여, 인쇄가 행해진 후, 기록 매체(W)의 인쇄 완료 부분(날염 완료 부분)은, 매체 이송 기구(12)로부터 권취부(6)에 송출된다. 권취부(6)에서는, 매체 이송 기구(12)로부터 송출된 기록 매체(W)에, 간지 유닛(22)으로부터 간지(P)가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기록 매체(W)와 간지(P)가 겹쳐 히터 유닛(23)에 이송된다. 히터 유닛(23)에서는, 간지(P)와 함께 기록 매체(W)가 가열되어, 염료 잉크의 용제(수분)가 기화된다. 이와 같이 하여, 건조 처리된 날염이 완료된 기록 매체(W)는, 간지(P)와 함께 권취 유닛(21)에 권취된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출 유닛(18)은, 상기의 본체용 기대(11)에 고정된 좌우(Y축 방향) 한 쌍의 T자 형상 프레임(32) 및, 한 쌍의 T자 형상 프레임(32) 사이에 건넨 복수개의 막대 형상 프레임(33)으로 이루어지는 조출 프레임(31)과, 한 쌍의 T자 형상 프레임(32)에 양팔보로 지지되어, Y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2개의 조출측 로드 베이스(34)와, 2개의 조출측 로드 베이스(34)에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지지된 한 쌍의 조출축(軸) 돌기(35)를 갖고 있다. 각 조출축 돌기(35)의 선단부는 원추대(圓錐臺)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조출축 돌기(35)는, 기록 매체(W)의 폭에 대응시킨 상호의 폭 좁힘에 의해, 각각의 선단부를 롤 형상의 기록 매체(W)의 코어에 감입(嵌入)시켜, 기록 매체(W)를 수평으로 지지하고 있다.
한 쌍의 조출축 돌기(35)에는, 각각 모터 구동의 폭 이동 유닛(36)이 조립되어 있고, 기록 매체(W)에 축 방향의 권취 어긋남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검출)에, 한 쌍의 조출축 돌기(35)를 2개의 조출측 로드 베이스(34) 상에 있어서 미소 이동시켜, 기록 매체(W)의 매체 이송 기구(12)에 대한 폭 방향의 위치 어긋남, 즉 매체 이송 기구(12)에 있어서 기록 매체(W)가 사행(蛇行)(사행(斜行))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한 쌍의 조출축 돌기(35)의 한쪽에는, 모터 구동의 회전 유닛(37)이 조립되어 있고, 이 회전 유닛(37)에 의해, 한 쌍의 조출축 돌기(35)를 조출 회전 시켜 기록 매체(W)를 조출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록 매체(W)에 일정한 텐션을 주면서 조출하는 텐션 모드와, 가능한 한 텐션을 적게 하여 조출하는 느슨함 모드가 있어, 기록 매체(W)별로 모드 전환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텐션 모드는, 신축성이 낮은 통상의 포백(기록 매체(W))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며, 이 경우에 제어부(7)는, 회전 유닛(37)의 제어계에 있어서, 부하(텐션)를 취득하고, 이 부하가 소정의 값이 되도록 회전 유닛(37)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느슨함 모드는, 예를 들면 스타킹지와 같이 신축성이 높은 포백(기록 매체(W))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며, 이 경우에는, 조출한 기록 매체(W)가 일단 하방으로 처지고 나서(도 1에서는 파선으로 나타냄), 느슨함 제거 유닛(19)에 송입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느슨하게 한 기록 매체(W)의 하단 위치를 검출하도록 하고, 하단 위치가 소정의 위치를 초과하여 느슨함이 커졌을 때, 회전 유닛(37)에 의한 기록 매체(W)의 조출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느슨함 제거 유닛(19)은, 후술하는 매체 이송 기구(12)의 사이드 프레임(62)에 고정된 좌우(Y축 방향) 한 쌍의 L자 형상 프레임(42) 및, 한 쌍의 L자 형상 프레임(42) 사이에 건넨 로드 프레임(43)으로 이루어지는 느슨함 제거 프레임(41)과, 한 쌍의 L자 형상 프레임(42)에 양팔보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롤러군(群; 44)을 갖고 있다. 롤러군(44)은, 조출 유닛(18)으로부터 송입된 기록 매체(W)의 이송 경로(3)를 복수 개소에서 굴곡시키기 위해, 이송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제1 롤러(45), 제2 롤러(46), 제3 롤러(47) 및 제4 롤러(48)의 순서로 설치되어 있다.
제1 롤러(45)는, 마찰계수가 높은 롤러로 구성되어 있고, 그 양단부를 각 L자 형상 프레임(42)의 내측에 부착한 한 쌍의 경사 블록(49)에 올려놓여져 있다. 상류측이 느슨해진 상태의 기록 매체(W)는, 이 제1 롤러(45)의 부분에서 제2 롤러(46)를 향하여 비스듬히 바깥쪽으로 경로 변경된다. 매체 이송 기구(12)의 간헐 이송에 의해 기록 매체(W)가 당겨지면(이송), 기록 매체(W)와 제1 롤러(45)와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제1 롤러(45)는, 한 쌍의 경사 블록(49)을 올라가는 바와 같이 이동한다. 또한, 기록 매체(W)의 이송이 정지하면, 제1 롤러(45)는 자중(自重)에 의해 한 쌍의 경사 블록(49)을 내려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에 따라, 이송되어 가는 기록 매체(W)에 적당한 텐션이 부여됨과 함께, 간헐 이송의 쇼크가 흡수된다.
제1 롤러(45)를 통과한 기록 매체(W)는, 제2 롤러(46)로 U턴 하도록 하여 제3 롤러(47) 및 제4 롤러(48)에 도달한다. 제3 롤러(47) 및 제4 롤러(48)는, 상하로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고, 양단부를 일체로 형성한 한 쌍의 베어링부(51)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각 베어링부(51)는, L자 형상 프레임(42)에 회동(回動)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한쪽의 베어링부(51)에는, 제3 롤러(47) 및 제4 롤러(48)의 상하의 배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 유닛(52)이 조립되어 있다.
제3 롤러(47) 및 제4 롤러(48)를 통과하는 기록 매체(W)는, 「S」자 형상으로 경로 변경되지만, 기록 매체(W)의 종별에 따라서 이 「S」자 커브를 변형 조정하여, 기록 매체(W)별로 적당한 텐션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록 매체(W)는, 부분적인 느슨함이나 주름이 해소되어, 매체 이송 기구(12)에 송입된다. 또한, 이들 롤러(45, 46, 47, 48)는, 기록 매체(W)에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분력(分力)이 작용하도록, 중간이 높은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체 이송 기구(12)는, 상기의 본체용 기대(11) 상에 재치(載置) 고정한 좌우(Y축 방향)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62)을 갖는 본체 프레임(61)과,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62)에 지지되어, 무단(無端)의 반송 벨트(64)를 갖는 벨트 반송 유닛(63)과, 벨트 반송 유닛(63)의 하측에 설치한 벨트 세정 유닛(6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매체 이송 기구(12)는, 상류측에 있어서 벨트 반송 유닛(63)에 상측으로부터 임하는 압압 롤러(66)와, 하류측에 있어서 벨트 반송 유닛(63)에 대하여 비스듬히 상방으로 설치된 분리 롤러(67)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프레임(61)은, 두꺼운 판재로 구성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62)과,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62)을 연결하는 전후(X축 방향) 한 쌍의 연결 프레임(71)을 갖고 있고,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62)의 부분에서 본체용 기대(11)에 재치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체 프레임(61)은, 한 쌍의 연결 프레임(71) 간에 위치하여,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62)을 연결함과 함께, 상기의 벨트 세정 유닛(65)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72)을 갖고 있다. 각 사이드 프레임(62)에는, 벨트 반송 유닛(63)을 부착하기 위한 절결부나, 인쇄부(5)를 부착하기 위한 절결부가 적절하게 형성되고, 또한 벨트 세정 유닛(65)을 점검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벨트 반송 유닛(63)은, 이송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구동 풀리(81)와, 이송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종동(從動) 풀리(82)와, 구동 풀리(81) 및 종동 풀리(82) 간에 걸쳐놓은 무단의 반송 벨트(64)를 갖고 있다. 또한, 벨트 반송 유닛(63)은, 종동 풀리(82)의 근방에 위치하여, 반송 벨트(64)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83)와, 인쇄부(5)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반송 벨트(64)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84)와, 상기의 지지 프레임(72)의 바로 위에 위치하여, 이측(裏側)으로 돌아들어간 반송 벨트(64)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제3 가이드 플레이트(85)를 갖고 있다.
제1 가이드 플레이트(83) 및 제2 가이드 플레이트(84)는, 상호의 표면이 면일(동일 수평면)하게 되도록 설치한 상태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62) 간에 걸쳐져 있고, 본체 프레임(61)의 일부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또한, 제1 가이드 플레이트(83)는, 종동 풀리(82)로부터 떨어진 직후의 반송 벨트(64)(의 상측)가 수평으로 주행하도록 가이드하고, 제2 가이드 플레이트(84)는, 인쇄 영역에 위치하는 반송 벨트(64)(의 상측)에, 느슨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가이드하고 있다. 따라서, 제2 가이드 플레이트(84)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반송 벨트(64)는, 플래튼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3 가이드 플레이트(85)는, 벨트 세정 유닛(65)에 의해 밀어올리는 힘을 받는 반송 벨트(64)를, 누르도록 가이드하고 있다(상세한 것은 후술함).
구동 풀리(81) 및 종동 풀리(82)는, 전용의 베어링을 개재하여,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62)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구동 풀리(81)의 한쪽의 축단에는, 반송 벨트(64)를 간헐적으로 주행시키는 반송 모터(86)가 연결되어 있다. 반송 벨트(64)는, 외주면(표면)에 점착성을 갖는(점착 처리) 폭이 넓은 특수한 벨트로 구성되고, 기록 매체(W)를 첩착(貼着)하여 이것을 X축 방향으로 이송한다. 이에 따라, 기록 매체(W)는, 인쇄부(5)의 바로 아래에 있어서, 젖혀짐 등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인쇄 이송(간헐적으로 이송)된다.
종동 풀리(82)의 상측에는, 느슨함 제거 유닛(19)으로부터 송입된 기록 매체(W)를, 반송 벨트(64)에 첩착하는 압압 롤러(66)가 설치되어 있다. 압압 롤러(66)는, 사이드 프레임(62)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한 쌍의 지지 아암(87)의 선단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압압 롤러(66)는, 소정의 탄력성과 자중을 갖고 있어, 그 자중에 의해, 종동 풀리(82)의 바로 위에 있어서 기록 매체(W)를 반송 벨트(64)에 가압한다. 즉, 압압 롤러(66)와 종동 풀리(82)는, 반송 벨트(64)를 사이에 끼고 닙 롤러로서 기능하여, 주행하는 반송 벨트(64)에 기록 매체(W)를 연속적으로 첩착한다. 또한, 각 지지 아암(87)의 중간 위치에는, 지지 아암(87)을 회동시키기 위한 에어 실린더(88)가 연결되어 있고, 한 쌍의 에어 실린더(88)를 동기 구동시킴으로써, 압압 롤러(66)가 반송 벨트(64)로부터 떼어놓아진다.
한편, 구동 풀리(81)의 비스듬히 상방에는, 인쇄 후의 기록 매체(W)를 반송 벨트(64)로부터 떼어내어, 권취부(6)에 송입하는 분리 롤러(67)가 설치되어 있다. 분리 롤러(67)는, 사이드 프레임(62)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서브 프레임(89)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분리 롤러(67)는, 구동 풀리(81)를 주회(周回)하여 이측으로 돌아들어가는 반송 벨트(64)로부터 기록 매체(W)를 상대적으로 떼어내는 것이지만, 실제의 동작에서는, 반송 벨트(64)로부터의 떼어내는 힘은, 기록 매체(W)의 종별로 상이한 것이 된다. 이 때문에, 기록 매체(W)의 종별에 의해, 반송 벨트(64)가 주회를 개시하는 위치에서 떼어지기 시작하는 것과, 어느 정도 주회가 진행된 위치에서 떼어지기 시작하는 것이 있다. 단, 떼어냄의 포인트가 이측으로 돌아들어가면, 기록 매체(W)가 반송 벨트(64)에 말려 들어갈 우려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송 벨트(64)로부터 분리 롤러(67)에 이송되어 가는 기록 매체(W)의 각도를 위치 검출하고, 이 위치 검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권취 유닛(21)을 권취 구동하여, 떼어냄의 포인트가 반송 벨트(64)의 이측으로 돌아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 세정 유닛(65)은, 반송 벨트(64)의 하측에 있어서 상기의 지지 프레임(72)에 지지되고, 반송 벨트(64)를 횡단하도록 Y축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벨트 세정 유닛(65)은, 지지 프레임(72)에 올려놓여지는 유닛 베이스(91)와, 유닛 베이스(91)에 입설(立設)하도록 설치한 승강 실린더(92)와, 승강 실린더(92)에 의해 승강되는 세정 유닛 본체(93)와, 세정 유닛 본체(93)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승강 가이드(9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세정 유닛 본체(93)는, Y축 방향으로 연재함과 함께 세정액을 저류(貯留)하는 상자 형상의 세정 용기(96)와, 세정 용기(96)에 수용한 회전 브러시(97)와, 회전 브러시(97)를 회전시키는 세정 모터(98)와, 반송 벨트(64)에 부착한 세정액을 상대적으로 긁어내는 와이퍼(99)를 갖고 있다. 와이퍼(99)는, 세정 용기(96)의 내측에 부착되고, 「V」자 형상으로 설치한 2매의 와이핑 블레이드(99a)로 구성되고, 주행하는 반송 벨트(64)에 접촉하여 세정액을 긁어내도록 하고 있다. 또한, 최종적으로 반송 벨트(64)에 남은 세정액은, 웨이스트로 닦아내도록 하고 있다. 또한, 세정액은, 외부 탱크와의 사이에서 필터링하면서 순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성을 갖는 반송 벨트(64)에는, 경시적으로 실밥이나 먼지가 부착되기 때문에, 벨트 세정 유닛(65)에 의해, 반송 벨트(64)의 정기적인 세정을 실시한다. 이 세정 작업에서는, 회전 브러시(97) 및 와이퍼(99)가 반송 벨트(64)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세정 유닛 본체(93)를 상승시킨 후, 반송 벨트(64)를 주행시킴과 함께 주행에 대하여 역(逆)방향이 되도록 회전 브러시(97)를 회전시킨다. 이때, 반송 벨트(64)는, 상기의 제3 가이드 플레이트(85)에 의해 눌러져, 수평 자세를 유지한 채로 회전 브러시(97)와 접촉한다. 이에 따라, 반송 벨트(64)(의 점착면)는, 연속적으로 브러싱 세정된다. 또한, 세정 후의 반송 벨트(64)에는, 점착력을 회복시키기 위해 점착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부(5)는, 이송 경로(3)(벨트 반송 유닛(63))를 사이에 걸치도록 Y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프린터 프레임(101)과, 프린터 프레임(101)에 지지된 헤드 이동 기구(16)와, 헤드 이동 기구(16)에 탑재되어 Y축 방향으로 왕복동하는 캐리지 유닛(14)과, 이들을 덮는 프린터 커버(10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인쇄부(5)에는, 잉크젯 헤드(15)를 보수하는 캡 유닛이나 클리닝 유닛이 탑재되어 있다. 또한, 인쇄부(5)에 있어서의, 소위 페이퍼 갭(워크 갭)은, 각종의 기록 매체(W)에 있어서 그 두께에 폭이 있기 때문에, 장치 본체(4)(매체 이송 기구(12))에 대하여, 인쇄부(5) 전체를 승강시킴으로써 조정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터 프레임(101)은, Y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판금제의 들보 형상 프레임(104)과, 들보 형상 프레임(104)을 양단부에서 지지하는 판금제의 한 쌍의 입설 프레임(105)을 갖고, 한 쌍의 입설 프레임(105)의 부분에서, 상기의 사이드 프레임(62)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프린터 커버(102)는, 이 프린터 프레임(101)에 부착되어 있다.
캐리지 유닛(14)은, 컬러 프린트용의 복수색의 노즐열을 갖는 잉크젯 헤드(15)와, 노즐면이 하향이 되도록 잉크젯 헤드(15)를 보유지지(保持)하는 캐리지(107)를 갖고 있다. 또한, 각 노즐열에 공급되는 각 색의 염료 잉크는, 소위 오프 캐리지의 잉크 탱크로부터 공급된다.
헤드 이동 기구(16)는, 캐리지 유닛(14)을 외팔보로 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지지하는 캐리지 가이드(111)와, 캐리지 가이드(111)를 왕복동시키는 벨트 전도 기구(112)와, 벨트 전도 기구(112)를 구동시키는 캐리지 모터(113)를 갖고 있다. 캐리지 가이드(111)는, 하측의 메인 가이드(114)와 상측의 서브 가이드(115)로 이루어지고, 메인 가이드(114) 및 서브 가이드(115)는, 그 양단부에서 상기 한 쌍의 입설 프레임(105)에 지지되어 있다. 벨트 전도 기구(112)는, 타이밍 벨트(116)를 갖고, 타이밍 벨트(116)의 일부가 캐리지 유닛(14)(캐리지(107))에 고정되어 있다.
캐리지 모터(113)에 의해 타이밍 벨트(116)를 정역(正逆) 주행시키면, 캐리지 유닛(14)이, 캐리지 가이드(111)에 안내되어 Y축 방향으로 왕복동한다. 캐리지 가이드(111)의 이동 위치는, 리니어 인코더에 의해 검출되고, 이 검출 결과와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잉크젯 헤드(15)로부터 각 색의 염료 잉크가 선택적으로 토출된다. 이에 따라, 기록 매체(W)로의 인쇄(날염)가 행해진다. 또한,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기록 매체(W)에 젖혀짐 등의 들뜸 등의 요철이 발생하고 있으면, 양호한 인쇄가 행해지지 않게 된다. 그래서, 인쇄부(5)의 상류측에 있어서, 이 요철(엄밀하게는, 볼록부)을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부(6)는, X축 방향에 있어서 본체용 기대(11)에 착탈이 자유롭게 연결된 권취부용 기대(24)와, 권취부용 기대(24)의 상부에 지지된 히터 유닛(23)과, 권취부용 기대(24)의 하부에 지지된 권취 유닛(21) 및 간지 유닛(22)을 구비하고 있다. 날염된 기록 매체(W)는, 잉크가 뒷면에 배지 않는 두꺼운 기록 매체(W)를 그대로 권취하는 방식과, 잉크가 뒷면에 배기 쉬운 얇은 기록 매체(W)에 간지(P)를 겹쳐 권취하는 방식이 있고, 실시 형태의 권취부(6)는, 어떠한 방식에도 대응 가능한 설계로 되어 있다. 이하, 후자의 방식을 채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권취부용 기대(24)는, 상(上)수평 프레임부(121)와, 하(下)수평 프레임부(122)와, 상수평 프레임부(121) 및 하수평 프레임부(122)를 연결하는 연직 프레임부(123)를 갖고, 알루미늄의 압출 형재를 종횡으로 짜맞추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직 프레임부(123)의 부분에서, 본체용 기대(11)에 착탈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히터 유닛(23)은, 원호 형상의 방열면(125a)을 갖는 방열 플레이트(125)와, 방열 플레이트(125)에 안으로 붙인 히터(126)를 갖고 있다. 또한, 히터 유닛(23)은, 그 상반부를 상수평 프레임부(121)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수평 프레임부(121)에 형성한 좌우의 고정 부재(127)에 의해, 상수평 프레임부(121)에 부착되어 있다. 방열 플레이트(125)의 상단부는, 상기의 분리 롤러(67)에 근접하고 또한 분리 롤러(67)보다 근소하게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방열 플레이트(125)의 상단부는, 이 부분에 하방으로부터 도입되는 간지(P)를 경로 변경하기 위해, 하향의 원호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분리 롤러(67)를 통과한 기록 매체(W)는, 방열 플레이트(125)의 상단부에서 하방으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간지(P)와 겹치고, 방열 플레이트(125)의 원호 형상의 외면(방열면(125a))을 따라 하방으로 이송된다. 방열면(125a)에 접접(摺接)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송되어 가는 기록 매체(W) 및 간지(P)는, 히터(126)에 의해 연속적으로 가열된다. 이 가열에 의해, 기록 매체(W)에 스며든 염료 잉크의 용제(수분)가 기화되어, 포백에 염료가 정착한다.
간지 유닛(22)은, 롤 형상의 간지(P)를 조출하는 간지 롤러(131)와, 조출된 간지(P)를 방열 플레이트(125)의 상단부를 향하여 경로 변경하는 가이드 바(132)를 갖고 있다. 가이드 바(132)는, 하수평 프레임부(122)와 연직 프레임부(123)를 연결하는 경사 부재의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간지 롤러(131)는, 제동 기구를 조립한 한 쌍의 베어링 유닛(133)을 개재하여, 하수평 프레임부(122)의 전부(前部)에 지지되어 있다. 이 한 쌍의 베어링 유닛(133)에 의해, 간지(P)는, 느슨함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조출된다.
권취 유닛(21)은, 상기의 조출 유닛(18)과 동일하게, 하수평 프레임부(122)의 후부에 지지되고, Y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2개의 권취측 로드 베이스(135)와, 2개의 권취측 로드 베이스(135)에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지지된 한 쌍의 권취축 돌기(136)를 갖고 있다. 또한, 권취 유닛(21)은, 방열 플레이트(125)의 하단부와 한 쌍의 권취축 돌기(136)와의 사이의 이송 경로(3)에 위치하여, 기록 매체(W) 및 간지(P)에 팽팽함을 부여하는 텐션 롤러(137)를 갖고 있다.
각 권취축 돌기(136)의 선단부는 원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권취축 돌기(136)는, 기록 매체(W)의 폭에 대응시킨 상호의 폭 좁힘에 의해, 각각의 선단부를, 기록 매체(W)를 권취하는 권취 코어에 감입시켜, 이것을 수평으로 지지하고 있다. 한 쌍의 권취축 돌기(136)의 한쪽에는, 모터 구동의 회전 유닛(138)이 조립되어 있고, 한 쌍의 권취축 돌기(136)를 권취 회전시켜, 기록 매체(W) 및 간지(P)를 동시에 권취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 유닛(138)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 롤러(67)의 근방에 있어서, 분리 롤러(67)에 이송되어 가는 기록 매체(W)의 각도 검출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텐션 롤러(137)는, 하수평 프레임부(122)의 후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한 쌍의 회동 아암(139)의 선단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텐션 롤러(137)는, 권취 코어에 권취되는 기록 매체(W) 및 간지(P)의 간지(P)측에 전접(轉接)하고, 그 자중에 의해 기록 매체(W) 및 간지(P)를 하방으로 회동 탄성지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록 매체(W) 및 간지(P)에 적당한 텐션이 부여되고, 기록 매체(W) 및 간지(P)는, 감아 조이도록 하여 권취 코어에 권취된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기록 매체(W)의 반송 벨트(64)로부터의 들뜸 등의 요철을 검출하는 매체 검출부(140)(검출부)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함과 함께, 이에 관련하는 잉크젯 헤드(15)의 페이퍼 갭을 조정하는 갭 조정부(150)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록 매체(W)는, 압압 롤러(66)의 자중에 의해, 반송 벨트(64)에 첩착되어 이송되지만, 첩착력의 저하나 기록 매체(W)의 성상(性狀)에 의해, 특히 양단부에 있어서, 젖혀짐 등의 들뜸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기록 매체(W)(포백)는, 단부끼리를 서로 겹쳐 연결한 두꺼운 이음매를 갖고 있다. 한편, 인쇄부(5)에 있어서의 페이퍼 갭은, 장치 본체(4)에 대하여 인쇄부(5) 전체를 승강시킴으로써 조정된다.
페이퍼 갭이 적절하게 조정되어도, 기록 매체(W)에 들뜸 등의 요철이 발생하고 있으면, 부분적으로 소정의 페이퍼 갭을 유지하지 못하고, 품질 양호한 날염(인쇄)은 불가능해진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 영역의 상류측에 있어서, 기록 매체(W)에 들뜸을 검출하기 위해 매체 검출부(140)를 형성하는 한편, 기록 매체(W)의 두께에 따라서 매체 검출부(140)의 높이 조정 등을 행하는 수고를 생략하기 위해, 매체 검출부(140)를 갭 조정부(150)의 가동 부품(인쇄부(5)측의 부품)에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갭 조정부(150)는, 인쇄부(5)의 한쪽의 단부(좌부)를 승강시키는 좌조정부(151)와, 인쇄부(5)의 다른 한쪽의 단부(우부)를 승강시키는 우조정부(152)와, 좌조정부(151)와 우조정부(152)를 연동시키는 연결 샤프트(153)와, 갭 조정에 수반하여 갭 치수를 측정하는 다이얼 게이지(15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좌조정부(151) 및 우조정부(152)의 장치 본체(4)측의 부재와, 연결 샤프트(153)는,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62)에 지지되어 있다.
좌조정부(151)는, 인쇄부(5)의 좌부가 착좌하는 좌브래킷부(161)와, 좌브래킷부(161)를 승강시키는 편심(偏心) 캠(163)으로 구성한 좌캠 기구(162)와, 좌캠 기구(162)를 작동시키는 조작 핸들(164)과, 조작 핸들(164)의 회전 동력을 편심 캠(163)에 전달하는 웜·웜 휠(165)을 갖고 있다.
한편, 우조정부(152)는, 인쇄부(5)의 좌부가 착좌하는 우브래킷부(166)와, 우브래킷부(166)를 승강시키는 편심 캠(168)으로 구성한 우캠 기구(167)를 갖고 있다. 또한, 좌캠 기구(162)와 우캠 기구(167)는, 동일한 것으로 구성되고, 좌캠 기구(162)의 편심 캠(163)과 우캠 기구(167)의 편심 캠(168)은, 연결 샤프트(153)로 연결되어 연동하여 회전한다.
조작 핸들(164)을 정역 회전시키면, 웜·웜 휠(165)을 개재하여 좌캠 기구(162)가 작동하고, 추가로 연결 샤프트(153)를 개재하여 우캠 기구(167)가 작동한다. 즉, 조작 핸들(164)의 정역 회전에 수반하여, 좌캠 기구(162) 및 우캠 기구(167)가 동시에 작동하고, 좌브래킷부(161) 및 우브래킷부(166)가 동시에 승강한다. 이에 따라, 인쇄부(5)에 탑재한 잉크젯 헤드(15)의 노즐면과, 매체 이송 기구(12)에 탑재한 반송 벨트(64) 상의 기록 매체(W)와의 사이의 페이퍼 갭이 조정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갭 조정부(150)의 가동 부품인 좌브래킷부(161)에, 매체 검출부(140)의 주요 부분이 부착되어 있다. 즉, 매체 검출부(140)의 주요 부분은, 갭 조정부(150)에 의해, 인쇄부(5)와 함께 승강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체 검출부(140)는, 상기의 좌브래킷부(161)에 부착된 검출부 지지 기구(171)와, 검출부 지지 기구(171)에 부착된 센서 본체(172) 및 앰프부(173)와, 센서 본체(172)에 대면하도록, 이송 경로(3)를 사이에 걸쳐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62)에 부착된 반사판(174)을 구비하고 있다. 센서 본체(172)는, 소위 레이저 센서로 구성되고, 그 레이저광의 광로(175)는, 기록 매체(W)를 따라, 바꾸어 말하면 기록 매체(W)의 배치면인 이송 경로(3)를 따라, 이것을 횡단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앰프부(173)는, 상기의 제어부(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매체 검출부(140)는, 상기의 우브래킷부(166)에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출부 지지 기구(171)는,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재하여, 좌브래킷부(161)에 부착된 부착판(181)과, 부착판(181)으로부터 직각(Z축 방향)으로 연재하는 메인 플레이트(182)와, 메인 플레이트(182)의 상단부에 부착되고, 추가로 상측에 연재하는 서브 플레이트(183)와, 서브 플레이트(183)의 상부에 부착되어 상하 조정 플레이트(184)와, 상하 조정 플레이트(184)에 부착됨과 함께, 센서 본체(172)를 보유지지하는 각도 조정 플레이트(185)와, 서브 플레이트(183)의 중간부에 부착된 조정 기구부(186)를 갖고 있다.
또한, 메인 플레이트(182)의 하부에는, 앰프부(173)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부착판(181)을, 좌브래킷부(161)의 하면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검출부 지지 기구(171)의 전체가 좌브래킷부(161)에 부착되어 있다.
각도 조정 플레이트(185)에는, 하우(下隅)부에 회동 핀(191)이 설치되는 한편, 회동 핀(191)에 대하여 대각 위치에, 회동 핀(19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각도 조정용 장공(長孔; 19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 조정 플레이트(184)에는, 각도 조정용 장공(192)을 관통하여, 도시하지 않는 고정 나사가 나사 결합하고 있다. 고정 나사를 느슨하게 하고, 각도 조정 플레이트(185)를, 회동 핀(191)을 중심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각도 조정 플레이트(185)에 고정되어 있는 센서 본체(172)의 각도, 즉 레이저광의 앙각(仰角)이 조정된다. 그리고, 센서 본체(172)의 앙각을 조정한 후, 고정 나사를 단단히 조임으로써, 조정이 완료된다.
상하 조정 플레이트(184)는, 그 상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재하는 한 쌍의 상하 조정용 장공(194)이 형성되어 있다. 서브 플레이트(183)에는, 각 상하 조정용 장공(194)을 관통하여, 도시하지 않는 한 쌍의 고정 나사가 나사 결합하고 있다. 각 고정 나사를 느슨하게 하고, 상하 조정 플레이트(184)를 상하 움직임으로써, 각도 조정 플레이트(185)를 개재하여 센서 본체(172)의 상하 방향의 위치, 즉 레이저광의 높이 위치가 조정된다. 그리고, 센서 본체(172)의 상하 위치를 조정한 후, 한 쌍의 고정 나사를 단단히 조임으로써, 조정이 완료된다.
조정 기구부(186)는, 서브 플레이트(183)의 중간부에 부착된 「L」자 형상의 지지 브래킷(196)과, 지지 브래킷(196)의 수평 편부(片部; 196a)에 관통하도록 하여 나사 결합한 한 쌍의 어저스트 나사(197)와, 어저스트 나사(197)에 나사 결합한 한 쌍의 고정 너트(198)를 갖고 있다. 한 쌍의 어저스트 나사(197)는, 전후 방향(Y축 방향)에 이간하여 설치되고, 각각의 선단(상단)이, 센서 본체(172)의 하단면에 맞닿아 있다.
각각의 고정 너트(198)를 느슨하게 해두고, 한쪽의 어저스트 나사(197)를 정전(正轉)시킴과 함께 다른 한쪽의 어저스트 나사(197)를 역전시킴으로써, 센서 본체(172)의 앙각이 조정된다. 또한, 센서 본체(172)는, 한 쌍의 어저스트 나사(197)를 정전시킴으로써 위로 움직이는 한편, 역전 시킴으로써 아래로 움직이고, 그 상하 위치가 조정된다. 또한, 조정이 완료된 시점에서, 고정 너트(198)를 단단히 조여 둔다.
조정 기구부(186)에 의한 센서 본체(172)의 위치 조정에서는, 미리 반송 벨트(64)의 위에 페이퍼 갭에 상당하는 시트를 부설해 둔다. 그리고, 우선 각도 조정 플레이트(185) 및 상하 조정 플레이트(184)를 가동 가능한 상태로 하고, 제어부(7)의 모니터(201)를 보면서, 센서 본체(172)의 상하 위치 및 앙각을 조정한다. 이 조정에서는, 상하 위치는 러프한 조정으로 하고, 앙각의 조정을 주로 행한다. 앙각의 조정에서는, 레이저가 완전한 코히어런트광이 아니라, 근소하게 퍼지는 것을 고려하여, 반사판(174)을 향하여 근소하게 상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앙각의 조정을 완료하면 각도 조정 플레이트(185)를 고정으로 하고, 상하 방향의 미세조정을 실시한다. 이 미세조정에서는, 반송 벨트(64)의 위에, 들뜸에 상당하는 장해물을 설치한다. 이 경우에는, 모니터(201)를 보면서, 센서 본체(172)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지만(이 경우에는, 아래 움직임 조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함), 아울러 문턱값의 설정도 행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하 조정 플레이트(184)를 고정으로 하고, 조정 작업을 완료한다.
센서 본체(172)는, 레이저 센서로 구성되어 있고, 레이저 발광부와 레이저 수광부를 갖고 있다. 즉, 레이저 발광부로부터 방사된 레이저광(검출광)은, 반사판(174)에서 반사하여, 레이저 수광부에 수광된다. 그리고, 레이저 수광부에 수광된 레이저광의 광량(실제로는, 전류값)이, 상기의 문턱값을 밑도는 경우에, 기록 매체(W)에 들뜸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검출된다.
이 경우, 레이저 발광부로부터 방사되는 레이저광(검출광)의 스폿 지름은, 1㎜∼3㎜의 것(실시 형태의 것은, 스폿 지름 2㎜)을 이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들뜸 부분에 의한 레이저광의 수광량의 변화를 크게 할 수 있어,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실시 형태의 매체 검출부(140)와 같이, 센서 본체(172)와 반사판(174)과의 이간 거리가 1600㎜∼1900㎜이고, 또한 페이퍼 갭의 조정폭이 0㎜∼8㎜인 장치 구성에는, 검출 정밀도의 향상에 유용하다. 또한, 센서 본체(172)에 의해, 기록 매체(W)가 젖혀짐이나 첩착 불량에 의한 들뜸이나 이음매를 검출할 수 있는 것 외, 이물(異物) 등의 부착도 검출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본체(172)의 광로(175)는, 좌측의 사이드 프레임(62)에 형성된 세로로 긴 좌개구부(62a)를 통과하여, 반송 벨트(64)의 표면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고, 또한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62)에 형성된 세로로 긴 우개구부(62b)를 통과하여, 반사판(174)에 도달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반사판(174)은, 우개구부(62b)에 임하도록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62)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 본체(172)는, 갭 조정에 의해 승강하는 가동측의 좌브래킷부(161)에 고정되고, 이에 대하여, 반사판(174)은, 고정측의 사이드 프레임(62)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반사판(174)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갭 조정의 조정 범위를 초과하는 치수를 갖고 있다.
또한, 반사판(174)도, 가동측의 우브래킷부(166)에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즉, 매체 검출부(140)를, 갭 조정부(150)의 가동 부품에 부착하는 구조로 해도 좋다.
한편,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축 방향에 있어서, 매체 검출부(140)는, 인쇄부(5)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인쇄부(5)의 잉크젯 헤드(15)에 대하여, 매체 검출부(140)에 있어서의 레이저광의 광로(175)가, 기록 매체(W)의 이송 방향 상류측에 있어서, 간헐적 이송의 수 피치분의 간극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록 매체(W)에 들뜸이 검출된 경우, 인쇄부(5)나 매체 이송 기구(12) 등의 구성 장치를 정지시켜, 오퍼레이터에 의한 들뜸 부분의 수정 등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레이저광의 광로(175)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와 같이 제1 가이드 플레이트(83)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반송 벨트(64)에 휨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반송 벨트(64)의 휨에 따라 기록 매체(W)가 휨으로써 발생하는, 매체 검출부(140)의 오검출이 방지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이저 수광부에 수광된 레이저광은, 광전 변환되고, 앰프부(173)에 의해 증폭되어 제어부(7)에 입력된다. 제어부(7)에서는, 광전 변환된 레이저광의 수광량이 모니터(201)에 표시됨과 함께, 검출 회로(202)에 의해 이 수광량(전류값)과 상기의 문턱값이 비교된다. 그리고, 수광량(전류값)이 문턱값을 밑돈 경우(들뜸을 검출)에, 제어부(7)는, 인쇄부(5)나 매체 이송 기구(12) 등을 정지시킨다. 여기에서, 오퍼레이터는, 들뜸을 수정하는(혹은, 이음매의 공(空)이송) 등의 작업을 행하고, 매뉴얼 조작으로 인쇄를 재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기록 매체(W)의 들뜸이, 기록 매체(W)의 이음매의 근방이나 문양의 종단 근방에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음매의 직전까지 혹은 문양의 종단까지 인쇄를 완료하고 나서, 인쇄를 정지시키도록 해도 좋다. 즉, 제어부(7)는, 들뜸을 검출했을 때에, 인쇄 영역과 광로(175)와의 이간 거리 내에, 이음매의 직전까지 혹은 문양의 종단까지의 인쇄 데이터가 수납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수납되는 경우에는, 이들의 인쇄를 완료하고 나서 정지 제어하고, 수납되지 않는 경우에는, 검출 직후에 정지 제어하도록 한다. 또한 동시에, 그 뜻을, 모니터(201)에 표시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록 매체(W)의 이송 경로(3)로부터의 들뜸을 검출하는 센서 본체(172)(매체 검출부(140))가, 페이퍼 갭을 조정하는 갭 조정부(150)의 가동 부품(좌브래킷부(161))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갭 조정에 수반하여(연동하여), 센서 본체(172)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센서 본체(172)에 있어서, 그 높이 위치나 앙각을 초기 설정해 두면, 날염(인쇄)에 제공하는 기록 매체(W)의 두께가 변화해도, 높이 위치나 앙각은 물론, 검출 문턱값의 조정을 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매체 검출부(140)의 번잡한 조정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수반하여, 스폿 지름의 작은 센서 본체(172)(레이저 센서)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록 매체(W)의 들뜸을 정밀도 좋게 그리고 오검출 없이 검출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매체 검출부(140)는, 인쇄부(5)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 매체(W)의 들뜸이 검출된 경우, 장치의 정지 등에 의해, 이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위 라인 프린터나, 잉크젯 헤드(15)를 XY방향(주주사 방향 및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타입의 프린터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잉크젯 기록 장치
3 : 이송 경로
4 : 장치 본체
5 : 인쇄부
7 : 제어부
11 : 본체용 기대
12 : 매체 이송 기구
14 : 캐리지 유닛
15 : 잉크젯 헤드
16 : 헤드 이동 기구
61 : 본체 프레임
62 : 사이드 프레임
63 : 벨트 반송 유닛
64 : 반송 벨트
101 : 프린터 프레임
104 : 들보 형상 프레임
105 : 입설 프레임
140 : 매체 검출부
150 : 갭 조정부
151 : 좌조정부
152 : 우조정부
153 : 연결 샤프트
161 : 좌브래킷부
171 : 검출부 지지 기구
172 : 센서 본체
173 : 앰프부
174 : 반사판
175 : 광로
201 : 모니터
202 : 검출 회로
W : 기록 매체

Claims (7)

  1. 기록 매체가 배치되는 배치면을 갖는 장치 본체와,
    상기 기록 매체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 헤드를 갖고,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이접(離接) 방향으로 이동 조정 가능하게 구성된 인쇄부와,
    상기 배치면을 따르게 하여 출사한 검출광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의 표면으로부터의 요철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록 매체 및 상기 인쇄 헤드 중 적어도 한쪽이 다른 한쪽에 대하여 상기 배치면의 평행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인쇄부와 동기(同期)하여 상기 이접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2. 기록 매체가 배치되는 배치면을 갖는 장치 본체와,
    상기 기록 매체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 헤드를 갖고, 상기 배치면에 대하여 이접 방향으로 이동 조정 가능하게 구성된 인쇄부와,
    상기 배치면을 따르게 하여 출사한 검출광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의 표면으로부터의 요철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록 매체 및 상기 인쇄 헤드 중 적어도 한쪽이 다른 한쪽에 대하여 상기 배치면의 평행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고,
    상기 검출부는,
    레이저 발광부 및 레이저 수광부를 갖는 센서 본체와, 상기 배치면을 사이에
    끼고 상기 센서 본체에 대치하는 반사판을 갖고,
    상기 센서 본체 및 상기 반사판 중, 적어도 상기 센서 본체가 상기 인쇄부와 동기하여 상기 이접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상기 인쇄부를 이접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인쇄 헤드의 노즐면과 상기 배치면 상의 상기 기록 매체와의 갭을 조정하는 갭 조정부를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센서 본체는, 상기 갭 조정부에 있어서의 상기 인쇄부와 함께 이동하는 부품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발광부에 있어서의 레이저광의 스폿 지름이, 1㎜에서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 이동 및 상기 인쇄부의 인쇄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상기 인쇄 헤드에 의한 인쇄 폭의 피치로, 상기 인쇄 헤드에 대하여 간헐 이송되고,
    상기 인쇄 헤드에 대하여 상기 검출부는, 상기 기록 매체의 이송 방향 상류측에 있어서 상기 간헐 이송의 적어도 1피치분의 간극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가, 포백(布帛)이고,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배치면을 갖고, 상기 기록 매체를 점착한 상태에서 이송하는 무단(無端)의 반송 벨트와,
    상기 검출광의 광로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반송 벨트를 상기 배치면을 따르도록 가이드하는 이송 가이드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KR1020130104195A 2012-08-31 2013-08-30 기록 장치 KR201400300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91458 2012-08-31
JP2012191458A JP6064446B2 (ja) 2012-08-31 2012-08-31 記録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069A true KR20140030069A (ko) 2014-03-11

Family

ID=49084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195A KR20140030069A (ko) 2012-08-31 2013-08-30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27409B2 (ko)
EP (1) EP2703175B1 (ko)
JP (1) JP6064446B2 (ko)
KR (1) KR20140030069A (ko)
CN (1) CN103660617A (ko)
TW (1) TWI6059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5061B2 (en) * 2014-02-11 2016-06-14 Electronics For Imaging, Inc. External table height adjustment for printer systems
JP6347129B2 (ja) * 2014-03-26 2018-06-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US10073416B2 (en) 2015-04-24 2018-09-11 Lg Display Co., Ltd. Method for producing a holographic optical element
JP6705203B2 (ja) 2016-02-19 2020-06-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6711019B2 (ja) 2016-02-29 2020-06-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搬送装置及び印刷装置
CN109016812B (zh) * 2018-07-11 2020-02-07 桐乡市京都印染股份有限公司 一种根据布料材质和厚度进行印染的装置
CN110936735B (zh) * 2018-09-21 2021-12-14 海德堡印刷机械股份公司 距基底间隔可变的喷墨印刷头
CN109440434A (zh) * 2018-11-28 2019-03-08 连云港如年实业有限公司 一种织物缝头感应识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7389A (en) 1991-09-25 1998-05-26 Horst Schwede Printing device for objects, which are continously moved forward, in particular for parcels, wrapped magazine piles or the like
US5541626A (en) * 1992-02-26 1996-07-30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corded product thereby
JP3088578B2 (ja) * 1992-02-26 2000-09-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物の製造方法
AU1113599A (en) 1997-10-24 1999-05-17 Industrial Dynamics Co., Ltd. Laser marking system with beam deflector verification and automatic beam intensity control
JP3755391B2 (ja) 2000-09-20 2006-03-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CN1239330C (zh) * 2002-12-03 2006-02-01 铼宝科技股份有限公司 喷墨印刷设备及喷墨头的定位方法
JP4479363B2 (ja) 2004-06-11 2010-06-09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4336070A (ja) * 2004-07-08 2004-11-25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処理液塗布装置
KR100657341B1 (ko) * 2005-10-13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JP2008107217A (ja) * 2006-10-26 2008-05-08 Seiko Epson Corp 異物検出方法、異物検出装置、および液滴吐出装置
JP4640471B2 (ja) * 2008-08-18 2011-03-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及び算出方法
JP2010076872A (ja) * 2008-09-25 2010-04-08 Fujifilm Corp 画像形成装置及び記録媒体の浮き上がり検出方法
CN101830117A (zh) * 2009-03-13 2010-09-15 李解平 为根据打印记录载体厚度而确定打印头位置的设备
JP2011177731A (ja) * 2010-02-26 2011-09-15 Amada Co Ltd 加工装置及び加工方法
JP2011257337A (ja) * 2010-06-11 2011-12-22 Seiko Epson Corp 光学式位置検出装置および位置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JP5306498B2 (ja) 2011-02-25 2013-10-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64446B2 (ja) 2017-01-25
TWI605955B (zh) 2017-11-21
EP2703175A1 (en) 2014-03-05
EP2703175B1 (en) 2018-01-10
TW201422448A (zh) 2014-06-16
JP2014047442A (ja) 2014-03-17
CN103660617A (zh) 2014-03-26
US8827409B2 (en) 2014-09-09
US20140063109A1 (en)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0069A (ko) 기록 장치
JP6094414B2 (ja) 媒体送り装置、媒体送り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記録装置
JP6111651B2 (ja) 画像記録装置、および画像記録方法
JP6260390B2 (ja) 印刷装置および皺の除去方法
TWI604960B (zh) 皮帶洗淨裝置、媒體饋送裝置及噴墨記錄裝置
TWI583564B (zh) 噴墨記錄裝置
KR102076005B1 (ko) 잉크젯 기록 장치
JP2017128130A (ja) 画像記録装置、および画像記録方法
JP2015202629A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KR20110061270A (ko)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과 인쇄대상물의 간격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 방법
JP6394026B2 (ja) 印刷装置および蛇行解消方法
US20200247159A1 (en) Method for determining working gap, and recording device
JP6090513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6083155B2 (ja) 媒体送り装置および記録装置
JP6443468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5202630A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TW201538346A (zh) 顏色調整方法、顏色調整用之印刷圖案
JP2014046562A (ja) 記録装置および巻取部用機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