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667U - 부직포 바닥재 - Google Patents

부직포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667U
KR20140003667U KR2020120009921U KR20120009921U KR20140003667U KR 20140003667 U KR20140003667 U KR 20140003667U KR 2020120009921 U KR2020120009921 U KR 2020120009921U KR 20120009921 U KR20120009921 U KR 20120009921U KR 20140003667 U KR20140003667 U KR 201400036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layer
fabric layer
synthetic resin
flo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9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준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코
Priority to KR20201200099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3667U/ko
Publication of KR201400036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66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condensation resins of aldehydes, e.g. with phenols, ureas or melam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단섬유를 사용하여 니들펀칭으로 만들어진 부직포를 바닥재의 기재로 하여 단열성, 차음성, 바닥 보호성, 내구성 등의 특징을 부여하고, 상기 부직포의 상면에는 합성수지재의 표면마감층을 형성하여 위생성 및 소제성을 개선하고, 상기 부직포의 하면에는 역시 합성수지제의 배면마감층을 형성하여 매끄러운 바닥과의 밀착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바닥으로부터의 습기를 차단하고, 단열효과를 갖는 부직포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카페트, 장판 또는 매트 대용으로 사용되는 바닥재에 있어서, 부직포층과; 상기 부직포층의 상면에 위치되며,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표면마감층과; 상기 부직포층의 하면에 위치되며,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배면마감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직포 바닥재{Non woven fabric flooring}
본 고안은 부직포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단섬유를 사용하여 니들펀칭으로 만들어진 부직포를 바닥재의 기재로 하여 단열성, 차음성, 바닥 보호성, 내구성 등의 특징을 부여하고, 상기 부직포의 상면에는 합성수지재의 표면마감층을 형성하여 위생성 및 소제성을 개선하고, 상기 부직포의 하면에는 역시 합성수지제의 배면마감층을 형성하여 매끄러운 바닥과의 밀착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바닥으로부터의 습기를 차단하고, 단열효과를 갖는 부직포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바닥재로서의 카페트는 실내 또는 실외의 바닥에 깔아 차음, 단열 그리고 장식성을 부가할 목적으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산업기술이 발전하면서 전통 카페트를 모방한 다양한 형태 및 기능의 카페트들이 대량생산되어 실생활에 널리 쓰이고 있다. 또한 통상의 카페트형 소재 외에 합성소재를 이용한 장판 및 매트형태의 것들도 바닥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카페트 또는 유사 형태의 바닥재들은 표면이 펠트 형태이거나 터프팅 또는 직물형태로 제직되어 섬유가 표면에 그대로 노출되어 오염될 수 있는 액체에 취약하며, 이물질이 부착되기 쉽고 그리고 진드기의 서식이 용이하며, 사용에 따른 표면섬유의 탈락으로 호흡기, 피부 등 인체위생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큰 부피 및 무게로 이동, 보관이 쉽지 않으며, 세척하기에도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폼(Polyethylene foam)으로 만들어진 야외용 돗자리 같은 매트형태의 바닥재는 가격이 저렴하고, 가벼운 장점이 있는 반면, 너무 가벼워 바닥에 잘 밀착되지 못하거나, 바람에도 잘 날리고, 재질이 약하여 적은 외부충격으로도 쉽게 찢어지거나 파열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4396호에는 0.9 내지 0.91데니어(denier)의 폴리프로필렌 합성섬유로 이루어지는 상단면을 갖는 쿠션 카페트가 게시되어 있으며, 이는 극세섬유의 특성상 쉽게 먼지가 끼지 않아 청소가 용이하며, 열에도 강하여 뜨거운 물이나 액체에도 안정하다고 기술되어 있으나, 극세섬유라 할지라도 섬유가 표면으로 노출되어 있어 먼지, 이물질, 진드기 등의 부착 및 서식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고, 액체가 카페트에 쏟아졌을 경우 오염을 피할 수 없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한편, 카페트의 무게를 줄이고, 가격을 낮추는 방법으로 부직포를 사용하는 방법이 많이 응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 중의 하나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0970호에는 발수처리된 니들펀칭 부직포에 PVC 졸을 도포 후, 발포하여 충격흡수 및 내연소성을 보완한 니들펀칭 카페트가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 또한 카페트의 표층에 부직포 구성 섬유가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이물질 부착 및 섬유의 탈락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있어 건강 및 위생에 관한 문제 해소에는 부족한 점이 있으며, PVC를 사용하여 환경에 유해한 측면도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부직포를 기본 소재로 사용하여 코팅기술을 응용하고, 바닥재 상층의 노출섬유를 차단하여 먼지, 진드기, 액체 등 각종 오염물질 등의 바닥재로의 침투를 근원적으로 차단하여 소제의 편리성 및 위생성을 증대하고, 하층은 바닥재를 실내에 사용할 경우, 매끄러운 바닥과 밀착성을 높이며, 실외에 사용할 경우, 바닥재로의 습기 차단 및 단열 효과가 있는 통상의 카페트와 장판 또는 매트의 중간특성을 나타내는 부직포 바닥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통상의 카페트, 장판 또는 안전매트 등 바닥재에 비해 가벼워 이동 및 취급이 쉽고, 저가용 매트 및 장판에 비해 파손에 대한 저항으로 큰 내구성이 겸비되어 사용수명이 긴 부직포 바닥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동시에 통상의 카페트 또는 안전매트 제조공정에 비해 더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가 가능한 부직포 바닥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부직포 바닥재는, 카페트, 장판 또는 매트 대용으로 사용되는 바닥재에 있어서, 부직포층과; 상기 부직포층의 상면에 위치되며,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표면마감층과; 상기 부직포층의 하면에 위치되며,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배면마감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부직포층은 부직포층을 구성하는 구성섬유가 3 내지 10데니어의 범위 이내의 섬도를 갖는 합성섬유 단섬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 단섬유를 니들펀칭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층은 1 내지 5㎜의 범위 이내의 두께를 갖는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표면마감층은 상기 부직포층의 일면에 합성수지,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멜라민 수지를 코팅하거나 폴리우레탄 필름 또는 멜라민 필름을 적층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면마감층은 다른 일면에 합성수지,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수지를 코팅하거나 폴리우레탄 필름을 적층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면마감층은 점착성을 갖는 것이 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오염물질의 바닥재로의 침투 및 부유물 발생을 근본적으로 막아 바닥재의 불결함에서 오는 위생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손쉬운 소제가 가능한 부직포 바닥재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상적인 카페트, 장판 또는 매트 등에 비해 가벼우면서도 부드러워 이동 및 취급이 용이하고 바닥재와 매끄러운 바닥과의 밀착성이 있는 슬립방지 효과 외에, 실외에 사용할 경우 바닥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 및 냉기를 차단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으며 뾰족한 물체로부터 바닥재를 충분히 보호할 만한 내구성 있는 부직포 바닥재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른 부직포 바닥재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직포 바닥재의 층상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부직포 바닥재(10)는, 카페트, 장판 또는 매트 대용으로 사용되는 바닥재에 있어서, 부직포층(11)과; 상기 부직포층(11)의 상면에 위치되며,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표면마감층(12)과; 상기 부직포층(11)의 하면에 위치되며,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배면마감층(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나의 구체예에 따라 실시된 부직포 바닥재(10)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바닥재의 A부분을 확대하여 층상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위 도면들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부직포 바닥재(10)는 바닥재의 근간을 이루는 부직포층(11)이 중간에 위치하고; 그 상면에 합성수지,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또는 멜라민 수지로 이루어지는 표면마감층(12)과; 그 반대 면인 하면에 합성수지,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배면마감층(13)의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부직포 바닥재는 종래의 카페트, 장판 또는 매트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목적하는 바닥에 깔아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부직포 바닥재에서, 상기 부직포층(11)은 바닥재로서의 기본특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합성섬유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부직포층(11)을 구성하는 구성섬유가 3 내지 10데니어의 범위 이내의 섬도를 갖는 합성섬유 단섬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 단섬유를 니들펀칭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터 단섬유는 통상적인 카페트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에 비해 소수성은 약하지만 우세한 열적안정성과 내구성을 나타내며, 본 고안에서 특히 유용하다. 상기 구성섬유가 3데니어 미만인 경우, 부직포의 벌키성(bulkiness)이 저하되어 바람직한 부직포의 두께를 얻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10데니어를 초과하는 경우, 수득되는 부직포의 상면에 문양을 인쇄함에 있어서 인쇄의 세밀도가 저하되어 인쇄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합성섬유 단섬유는 합성수지를 방사하여 얻어지는 섬유의 일종으로서, 단섬유(short staple, 短纖維)는 목화나 양모(羊毛)와 같이 짧은 섬유를 총칭하는 것이며, 보통 스테이플이라고 한다. 목화는 3㎝ 내외, 양모도 10㎝ 정도이고, 화학섬유의 경우는 길이를 자유로이 할 수 있으나, 보통 2.5 내지 7.2㎝의 범위 이내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단섬유라 하고, 일반적으로 단섬유 쪽이 장섬유보다 염색이 용이하나, 그대로는 실로 변환시킬 수 없으며, 따라서 꼬임을 가하기 위해 방적(紡績)할 필요가 있으며, 니들펀칭 등에 의하여 부직포를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섬유를 실로 변환시킨 것을 방적사(spun yarn)라 한다. 상기 니들펀칭은 부직포의 제조방법의 일종으로,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부직포층(11)을 구성하는 단섬유는 신규의 것을 사용해도 무관하나, 비용 절감 및 환경적 측면을 고려하여 일회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의 페트병(PET병) 또는 폐폴리에스터 직편물 등을 활용하여 재생된 재생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지는 단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무색의 것 이외에 단색으로 착색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단섬유는 부직포 제조방법 중의 하나인 니들펀칭에 의해 통상적인 공정을 거쳐 본 고안에 따른 바닥재의 기재를 이루는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불충분한 펀칭밀도가 적용되어 섬유 간 결합이 부족한 부직포를 사용하게 되면 본 고안에 따른 바닥재는 충분한 형태안정성이 확보되지 못하여 사용에 따른 형태변형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상기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부직포 제조 시, 충분한 펀칭밀도가 부가된 형태안정성이 양호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과도한 펀칭밀도로 제조된 부직포를 사용할 경우에는 부직포가 딱딱하며, 두께가 얇아져서 바닥재의 벌키성이 감소하고, 또한, 표면에 요철이 심하여 문양 인쇄 시 요철에 의한 인쇄품질의 저하가 나타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수 회의 실행을 거쳐 본 고안에 따른 부직포 바닥재를 만들 때 사용되어 본 고안에 따른 부직포 바닥재의 부직포층(11)을 구성하는 부직포는 평방 센티미터 당 1,000 내지 1,500회의 펀칭밀도가 적용된, 두께 1 내지 5㎜의 범위 이내의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부직포층(11)의 두께가 1㎜ 미만인 경우, 바닥재가 경량인 장점이 있지만, 단열성, 차음성, 쿠션성 및 내구성 등의 기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5㎜를 초과하는 경우, 부피가 커지고, 무거워지는 관계로 비용이 상승하고, 취급에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부직포층(11)의 두께는 2 내지 3.5㎜의 범위 이내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층(11)은 외관적 심미성을 부여하기 위해 그 상면에 다양한 문양이 인쇄되는 인쇄층(16)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문양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부직포층(11)의 상면에는 오염성 액체의 침투, 먼지 및 이물질 부착, 진드기 서식 등을 차단하고, 소제의 편리성을 부여하기 위해 합성수지,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또는 멜라민 수지로 이루어지는 표면마감층(12)이 위치된다. 상기 표면마감층(12)은 상기 부직포층(11)의 일면에 폴리우레탄수지를 코팅하거나 폴리우레탄 필름을 적층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폴리우레탄 필름을 적층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표면마감층(12)을 상기 부직포층(11)의 일면, 예를 들면, 상면에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핫멜트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부접착층(14)이 더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표면마감층(12)을 구성하는 상기 합성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색소나 안료를 포함하지 않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것으로서, 상기 부직포에 형성되는 문양이 가시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마감층(12)이 폴리우레탄 필름과 같은 합성수지 필름으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표면마감층(12)은 무늬가 있거나 또는 무늬가 없는 이형지에 나이프 코터로 합성수지를 도포하고 건조하여 만들어진 필름을 부직포층(11)에 접합하여 형성되며, 이때의 표면마감층(12)용 필름은 인쇄층(16)의 문양을 그대로 노출하기 위해 안료를 사용하지 않고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표면마감층(12)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합성수지는 통상의 건식코팅용 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수성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통상의 멜라민 수지 중 선택할 수 있으나, 투명도, 내마모성, 내열성 등을 감안한 적절한 수지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마감층(12)이 맨살과의 접촉 시 불쾌감이 느껴지지 않도록 점착성(tackiness ; 끈적임 등과 같이 접착성이 아닌 피부에 달라붙는 느낌을 주는 특성)이 없는 수지를 선택하거나 또는 박리 후에 점착성을 방지할 수 있는 이형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피부에 달라붙는 느낌이 발현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표면마감층(12)의 형성을 위한 합성수지 필름과 부직포층(11)의 접합에 의한 표면마감층(12)의 형성은 합성수지 접착제를 아직 이형지로부터 박리되지 않은 표면마감층(12)의 형성을 위한 합성수지 필름에 나이프 코터로 도포하고, 인쇄층(16)이 형성된 부직포를 합지하여 건조, 숙성한 후, 이형지를 박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되는 합성수지 접착제는 통상의 2액형 폴리우레탄 접착제 또는 1액형 수성 폴리우레탄 접착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환경친화적 측면으로 볼 때, 수성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층(11)의 하면에는 습기가 올라오는 것을 막으며, 바닥과의 밀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합성수지,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수지로 코팅된 배면마감층(13)이 위치된다. 상기 배면마감층(13)은 다른 일면에 폴리우레탄수지를 코팅하거나 폴리우레탄 필름을 적층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폴리우레탄 필름을 적층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배면마감층(13)을 상기 부직포층(11)의 하면에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핫멜트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하부접착층(15)이 더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배면마감층(13)은 점착성을 갖는 것이 될 수 있다. 점착성을 부여하는 방법은 점착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나 박리 후에도 점착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점착성 이형지를 사용하는 것 등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배면마감층(13)은 상기 표면마감층(12)에 준하는 투명의 폴리우레탄 필름 또는 통상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투명필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부직포층(11)에 접합하여 마감되나, 상기 표면마감층(12)과 달리 매끄러운 바닥에 장착할 경우, 슬립방지를 위한 밀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약간의 점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면마감층(13)의 형성은 마감용 필름으로 폴리우레탄을 사용할 경우, 상기 표면마감층(12) 형성에 준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마감용 필름으로 통상의 TPU를 사용할 경우, 부직포층(11) 하면과 TPU필름 중간에 핫멜트 접착필름을 삽입하고 합지한 뒤 가열하여 접착시키거나, TPU 필름이 T-다이로부터 송출되어 나올 때 부직포층(11) 하면에 직접 접착하여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면마감층(12) 및/또는 배면마감층(13)은 10 내지 30㎛의 범위 이내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면마감층(12) 및/또는 배면마감층(13)의 두께가 10㎛ 미만인 경우, 필름의 내마모성이 약하여 상기 표면마감층(12) 및/또는 배면마감층(13)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30㎛를 초과하는 경우, 투명도가 저하되고,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층상구조 단면도를 확대하여 나타낸 세부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닥재는 표면마감층(12)과 부직포층(11)의 사이에 이 두 층을 접합하기 위한 상부접착층(14)이 위치되고, 상기 상부접착층(14) 아래 즉, 부직포층(11)의 상면에 문양이 인쇄된 인쇄층(16)이 위치되며, 상기 배면마감층(13)과 상기 부직포층(11)의 사이에 이 두 층을 접합하기 위한 하부접착층(15)이 위치되는 층상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직포층(11)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인쇄층(16)은 통상의 분산염료를 사용하여 인쇄하는 전사날염 또는 안료와 고착제를 사용하여 인쇄하는 로타리날염 중 선택된 어느 한 방법으로 문양을 인쇄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실사적이며, 세밀하고, 다양한 문양 표현의 가능성 측면에서 로타리날염에 비해 전사날염이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인쇄층(16)에 의해 외관적 심미성을 부여하여 다양한 장소에 적당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따른 부직포 바닥재는 부직포를 기재로 하여 표면 및 배면에 코팅된 투명한 필름상 마감층으로 인해 이물질의 부착 및 섬유분진 발생을 차단하여 위생에 좋으며, 소제가 쉽고, 통상적 형태의 바닥재에 비해 가벼워 취급이 수월하면서도 내구성이 향상된 특징을 나타낸다.
또한, 표면마감층(12)을 형성하는 합성수지에 난연제를 포함하거나 부직포층(11)에 난연제를 패딩(padding)한 후, 코팅 접착하면 부직포 바닥재에 난연성을 부여할 수도 있고, 표면마감층(12) 위에 방오처리 하는 등, 필요에 따라 쉽게 기능성을 확장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부직포 바닥재는 카페트와 장판 및 매트의 중간적 특성을 나타내게 됨에 따라, 실내의 경우 나무 또는 대리석으로 된 거실, 방, 전시장, 공연장 등 다양한 장소에 카페트, 장판 및 매트 등을 대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실외에서는 야외 돗자리, 텐트 깔개 등의 대용으로 사용하면 보다 강화된 내구성으로 수명이 연장되어 경제적일 수 있다.
본 고안은 바닥재를 제조하는 산업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업 등에서 이용될 수 있다.
10 : 부직포 바닥재 11 : 부직포층
12 : 표면마감층 13 : 배면마감층
14 : 상부접착층 15 : 하부접착층
16 : 인쇄층

Claims (6)

  1. 카페트, 장판 또는 매트 대용으로 사용되는 바닥재에 있어서,
    부직포층과;
    상기 부직포층의 상면에 위치되며,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표면마감층과;
    상기 부직포층의 하면에 위치되며,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배면마감층;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바닥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층이 부직포층을 구성하는 구성섬유가 3 내지 10데니어의 범위 이내의 섬도를 갖는 합성섬유 단섬유를 니들펀칭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부직포 바닥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층이 1 내지 5㎜의 범위 이내의 두께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부직포 바닥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마감층이 상기 부직포층의 일면에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멜라민 수지를 코팅하거나 폴리우레탄 필름 또는 멜라민 필름을 적층하는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부직포 바닥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마감층이 상기 부직포층의 다른 일면에 폴리우레탄수지를 코팅하거나 폴리우레탄 필름을 적층하는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부직포 바닥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마감층이 점착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부직포 바닥재.
KR2020120009921U 2012-10-31 2012-10-31 부직포 바닥재 KR2014000366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921U KR20140003667U (ko) 2012-10-31 2012-10-31 부직포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921U KR20140003667U (ko) 2012-10-31 2012-10-31 부직포 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667U true KR20140003667U (ko) 2014-06-17

Family

ID=52445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921U KR20140003667U (ko) 2012-10-31 2012-10-31 부직포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366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587B1 (ko) * 2021-02-01 2021-11-10 주식회사 아이에프엘 섬유형 복합소재를 이용한 자동차용 1열 시트백 커버와 그 제조방법
KR102375577B1 (ko) * 2021-02-01 2022-03-17 (주)마니디피텍스 산업, 건축용 미끄럼방지 인테리어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
KR102466632B1 (ko) * 2022-08-04 2022-11-14 주식회사 제이포트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펠트 소재 충진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587B1 (ko) * 2021-02-01 2021-11-10 주식회사 아이에프엘 섬유형 복합소재를 이용한 자동차용 1열 시트백 커버와 그 제조방법
KR102375577B1 (ko) * 2021-02-01 2022-03-17 (주)마니디피텍스 산업, 건축용 미끄럼방지 인테리어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
KR102466632B1 (ko) * 2022-08-04 2022-11-14 주식회사 제이포트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펠트 소재 충진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5232A (en) Decorative composite floor coverings
EP1453666B1 (en) Tufted covering for floors and/or walls
EP0946814B1 (en) Decorative composite floor coverings
US20020107580A1 (en) Software, devices and methods facilitating execution of server-side applications at mobile devices
KR20140003667U (ko) 부직포 바닥재
TW415983B (en) Modified secondary backing fabric,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and carpet containing the same
KR101549650B1 (ko) 플록킹 카페트와 그의 제조방법
WO1997001665A1 (en) Decorative composite floor coverings
JP4993931B2 (ja) 床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KR200463802Y1 (ko) 코팅사 직물 벽지
JP3553913B2 (ja) タフテッドカーペット
JP4074946B2 (ja) 防滑性樹脂塗膜を備えている基布と塗膜形成法
JP4606297B2 (ja) 易リサイクル性のタフテッドカーペット
KR20190035221A (ko) 온열매트용 부직포 합지 장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S61119780A (ja) タイルカ−ペツト
KR102405975B1 (ko)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한 실내생활용 합성수지 매트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실내생활용 합성수지 매트
JP6369846B2 (ja) ラグ用クッション材
JP2005023690A (ja) 人工イ草原糸およびそれを用いた織物
KR200381782Y1 (ko) 무늬가 선명한 날염 매트
JP3209247U (ja) 化粧材
JP2004268301A (ja) 敷物用クッションシート
ITTO980070U1 (it) Tappeto a pelo tagliato e/o imboccolato avente caratteristiche antisci volo, particolarmente tappeto da bagno.
JP3130217U (ja) 藺草を使用した敷物
JP2004081702A (ja) カーテン用基材及びアコーディオンカーテン
JP2501698B2 (ja) 葉状立毛を有するブロック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102

Effective date: 2014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