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0006A - 양 베어링 릴 및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 릴 및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0006A
KR20130110006A KR1020130014338A KR20130014338A KR20130110006A KR 20130110006 A KR20130110006 A KR 20130110006A KR 1020130014338 A KR1020130014338 A KR 1020130014338A KR 20130014338 A KR20130014338 A KR 20130014338A KR 20130110006 A KR20130110006 A KR 20130110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member
finger
drag
drag opera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6285B1 (ko
Inventor
쿠니오 타케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30110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를, 중량 및 코스트의 증가를 억제하여 낚싯대를 잡는 손의 손가락끝에 의하여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드래그 조작 부재(3)는, 낚싯대 장착부를 가지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핸들축에 장착된다. 드래그 조작 부재(3)는, 장착부(54)와 복수의 조작부(56)를 구비한다. 장착부(54)는, 핸들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복수의 조작부(56)는, 낚싯대 장착부 측에 있어서, 장착부(54)로부터, 릴 본체보다도 직경 방향 외방(外方)으로 연장되어 있다. 복수의 조작부(56)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복수의 조작부(56)는, 핸들축과 직교하는 면으로 잘랐을 때에, 핸들축의 축심(軸芯, X)과 선단부(先端部, 56b)의 최외경부(最外徑部, 56e)를 연결하는 제1 직선(L1)과의 이루는 각도 α가 예각으로 되도록 형성되는 손가락 댐부(56c)를 선단부(56b)에 가진다.

Description

양 베어링 릴 및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BOTH BEARING FISHING REEL, AND DRAG OPERATION MEMBER FOR BOTH BEARING FISHING REEL}
본 발명은 양 베어링 릴 및 낚싯대 장착부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핸들축에 장착되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에 관한 것이다.
양 베어링 릴에는, 스타 드래그라고 불리는 드래그 기구의 드래그력을 조정 조작하기 위한 드래그 조작 부재가 설치된다. 드래그 조작 부재는, 양 베어링 릴의 핸들축에 나합(螺合, 나사를 끼워 맞추는 것)하여 드래그력을 조정한다. 드래그 조작 부재는, 드래그력이 어느 정도 강해지면 핸들축과 일체로 회전한다.
낚시를 행하고 있으면, 낚싯줄을 약간 감아내는 조작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낚싯줄의 처짐을 없애는 줄 느슨해짐을 회수하는 경우, 캐스팅(casting) 후에 클러치(clutch) 기구를 클러치 오프 상태로부터 클러치 온 상태에 되돌리는 경우, 및 캐스팅 후에 루어(lure)에 액션을 더하는 경우 등에, 스풀을 줄 감기 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키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이 스풀을 약간 줄 감기 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키는 경우, 핸들 조립체를 이용하여 낚싯줄을 감아내면, 그 줄 감기 동작을 순시(瞬時)에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즉, 더블 핸들형의 핸들 조립체에서도, 180도 떨어져 핸들 손잡이가 배치되기 때문에, 핸들 손잡이가 잡기 쉬운 위치에 없으면 핸들 조립체를 순시에 조작하기 어렵다. 그래서, 드래그 조작 부재에, 낚싯대를 잡는 손으로 핸들축을 돌리기 위한 보조 조작부를 설치한 것이 종래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드래그 조작 부재는, 방사상(放射狀)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드래그 조작부의 선단부(先端部)에 보조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다. 보조 조작부는, 릴 본체 측에 접근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낚싯대를 잡는 손의 손가락끝으로 드래그 조작 부재를 줄 감기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제3967661호 명세서
종래의 구성에서는, 드래그 조작 부재에 릴 본체에 접근하는 보조 조작부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드래그 조작 부재의 중량의 증가를 초래한다. 또한, 드래그 조작 부재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드래그 조작 부재의 코스트의 증가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를, 중량 및 코스트의 증가를 억제하여 낚싯대를 잡는 손의 손가락끝에 의하여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는, 낚싯대 장착부를 가지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핸들축에 장착된다. 드래그 조작 부재는, 장착부와 복수의 조작부를 구비한다. 장착부는, 핸들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복수의 조작부는, 낚싯대 장착부 측에 있어서, 장착부로부터, 릴 본체보다도 직경 방향 외방(外方)으로 연장되어 있다. 복수의 조작부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복수의 조작부는, 핸들축과 직교하는 면으로 잘랐을 때에, 핸들축의 축심(軸芯)과 선단부의 최외경부(最外徑部)를 연결하는 제1 직선과의 이루는 각도가 예각으로 되도록 형성되는 손가락 댐부를 선단부에 가진다.
이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에서는, 조작부가 낚싯대 장착부 측에 있어서, 릴 본체보다도 직경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낚싯대를 잡는 손으로 조작부를 조작 가능하다. 또한, 조작부의 선단부에 핸들축의 축심과 선단부의 최외경부를 연결하는 직선과 이루는 각도가 예각으로 되는 손가락 댐부를 가진다. 여기에서는, 낚싯대를 잡는 손에 의하여 드래그 조작 부재의 조작부의 선단부를 핸들 장착 측과 반대쪽으로부터 회전 조작할 때, 선단부에 있는 손가락 댐부가 예각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손가락 댐부에 손가락끝의 바닥의 부분을 따르게 되어, 낚싯대를 잡는 손에 의하여 드래그 조작 부재를 조작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조작 보조부를 설치하는 일 없이 낚싯대를 잡는 손에 의하여 드래그 조작 부재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드래그 조작 부재를, 중량 및 코스트의 증가를 억제하여 낚싯대를 잡는 손에 의하여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발명 2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는, 발명 1에 기재된 드래그 조작 부재에 있어서, 선단부는, 조작부의 다른 부분보다 둘레 방향의 두께가 두껍다. 손가락 댐부는, 손가락 댐부와 제2 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둔각으로 되도록 형성된다. 제2 직선은, 손가락 댐부의 기단(基端) 측과 축심을 연결하는 직선이다. 이 경우에는, 선단부가 두껍고 또한 손가락 댐부와 제2 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둔각이기 때문에, 선단부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도 선단부 이외의 조작부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조작부 전체적으로의 중량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드래그 조작 부재에 있어서, 선단부는, 축심을 통과하는 면으로 잘랐을 때에, 최외경부로부터 릴 본체에 가까워지는 것에 따라 외주부(外周部)로부터 축심까지의 거리가 서서히 짧아지는 경사부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경사부에 낚싯대를 잡는 손의 손가락끝이 닿아도 각부(角部)가 없기 때문에, 드래그 조작 부재를 회전 조작하여도 손가락끝이 아프지 않게 된다.
발명 4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은, 릴 본체와, 핸들축과,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작용 효과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싯대를 잡는 손에 의하여 드래그 조작 부재의 조작부의 선단부를 핸들 장착 측과 반대쪽으로부터 회전 조작할 때, 선단부에 있는 손가락 댐부가 예각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손가락 댐부에 손가락끝의 바닥의 부분을 따르게 되어, 낚싯대를 잡는 손에 의하여 드래그 조작 부재를 조작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조작 보조부를 설치하는 일 없이 낚싯대를 잡는 손에 의하여 드래그 조작 부재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드래그 조작 부재를, 중량 및 코스트의 증가를 억제하여 낚싯대를 잡는 손에 의하여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채용된 양 베어링 릴의 평면도.
도 2는 그 핸들 장착 측의 측면도.
도 3은 그 핸들 장착 측과 반대쪽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절단선 IV-IV에 의한 단면도.
도 5는 드래그 조작 부재의 측면 및 그 선단부의 확대도.
도 6은 핸들축의 축심을 통과하는 드래그 조작 부재의 단면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채용한 양 베어링 릴은,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트 캐스트(bait cast)용의 소형의 로우프로필형의 릴이다. 양 베어링 릴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측방(側方)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 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의 드래그 조작 부재(3)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
릴 본체(1)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5)과, 프레임(5)의 양 측방에 장착된 제1 측 커버(6a) 및 제2 측 커버(6b)를 가지고 있다. 또한, 릴 본체(1)는, 전방(前方)을 덮는 전(前) 커버(7)와, 상부를 덮는 섬 레스트(thumb rest, 8, 도 1 참조)를 가지고 있다. 나아가, 릴 본체(1)는, 제1 측 커버(6a)에 나사 멈춤 고정되는 축 지지부(9)를 가지고 있다. 릴 본체(1)의 내부에는 줄 감기용의 스풀(12)이 회전 가능하고 또한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5)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제1 측판(5a) 및 제2 측판(5b)과, 이러한 제1 측판(5a) 및 제2 측판(5b)을 연결하는 도시하지 않는 복수의 연결부와, 하측(下側)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낚싯대 장착부(5d)를 가지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대 장착부(5d)에 낚싯대(FR)를 장착 가능하다. 제1 측판(5a)에는, 스풀(12)이 통과 가능한 개구부(開口部, 5c)가 형성되어 있다. 축 지지부(9)가 예를 들어 베요넷(bayonet) 기구에 의하여 개구부(5c)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측 커버(6a)는, 제1 측판(5a) 및 제2 측판(5b)의 후부(後部)에 축 방향 이동 가능하고 또한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함)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측 커버(6a)는, 축 지지부(9)를 통하여 개폐 기구(14)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다.
제2 측 커버(6b)는, 제2 측판(5b)에 나사 멈춤 고정되어 있다. 제2 측 커버(6b)는, 핸들(2)이 연결되는 후술하는 핸들축(30)을 지지하는 것과 함께, 스풀축(16)을 지지한다. 전 커버(7) 및 섬 레스트(8)는, 프레임(5)에 나사 멈춤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5) 내에는, 스풀(12)과, 스풀(12) 내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15)와, 서밍(thumbing)을 행하는 경우의 엄지 손가락을 대는 부분으로 되는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 부재(17)는, 클러치 온 위치와 클러치 온 위치로부터 하방(下方)에 배치되는 클러치 오프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클러치 조작 부재(17)는 클러치 기구의 온 오프 조작에 이용된다.
스풀(12)은, 제1 측판(5a)의 개구부(5c)를 통과 가능하다. 또한, 프레임(5)과 제2 측 커버(6b)와의 사이에는, 기어 기구(18)와, 도시하지 않는 클러치 기구와, 드래그 기구(21)와, 캐스팅 컨트롤 기구(22)가 배치되어 있다. 기어 기구(18)는,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2) 및 레벨 와인드 기구(15)로 전하기 위한 기구이다. 드래그 기구(21)는, 스풀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여, 낚싯줄에 설정된 장력 이하의 장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클러치 기구는, 핸들(2)과 스풀(12)을 연결 및 차단하는 기구이다. 클러치 기구는, 클러치 조작 부재(17)에 의하여 클러치 온 상태로부터 클러치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2)는, 스풀(12)의 회전 시의 저항력을 조정하기 위한 기구이다. 나아가, 프레임(5)과 제1 측 커버(6a)와의 사이에는, 스풀 제동 장치(23)가 배치되어 있다. 스풀 제동 장치(23)는, 스풀(12)의 회전에 의하여 생기는 원심력에 따른 제동력을 발생하는 장치이다. 스풀 제동 장치(23)는, 캐스팅 시의 백래시(backlash)를 억제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스풀 및 스풀축>
스풀(12)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통상(筒狀)의 줄 감기 몸통부(12a)를 가지고 있다. 스풀(12)은, 스풀축(16)에 압입(壓入) 등의 적당한 고정 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12)은, 스풀축(16)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풀축(16)은, 제2 측판(5b)을 관통하여 제2 측 커버(6b)의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풀축(16)은, 축 지지부(9)와 제2 측 커버(6b)와 제2 측판(5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기어 기구>
기어 기구(18)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2)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핸들축(30)과, 핸들축(30)에 장착된 구동 기어(31)와, 구동 기어(31)에 나합하는 피니언 기어(32)를 가진다.
핸들축(30)은, 스풀축(16)에 평행으로 배치된다. 축심(X)을 가진다. 핸들축(30)은, 원웨이 클러치(40)에 의하여 줄 감기 방향만 회전 가능하다. 핸들축(30)은, 제2 측 커버(6b)와 제2 측판(5b)에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핸들축(30)은, 제1 모따기부(30a)와 제2 모따기부(30b)와 제3 모따기부(30c)와 제1 수나사부(30d)와 제2 수나사부(30e)와 테두리부(30f)를 가지고 있다. 제1 모따기부(30a)에는, 핸들(2)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핸들(2)은, 제1 수나사부(30d)에 나합하는 고정 너트(42)에 의하여, 핸들축(30)에 고정된다. 제2 모따기부(30b)는, 제1 모따기부(30a)보다도 대경(大徑)이며, 후술하는 드래그판(37)을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제3 모따기부(30c)에는, 테두리부(30f)를 향하여 압압(押壓, 내리 누름)되는 래칫 휠(ratchet wheel, 36)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동 기어(31)는, 래칫 휠(36)에 인접하여 핸들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동 기어(31)에는, 드래그 기구(21)를 통하여 핸들축(30)의 회전이 전달된다. 제2 수나사부(30e)에는, 후술하는 드래그 너트(52)가 나합한다.
피니언 기어(32)는, 스풀축(16)이 중심을 관통하는 통상 부재이다. 피니언 기어(32)는,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32)는, 스풀축(16)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스풀 축에 계합(係合, 걸어 맞춤)하는 도시하지 않는 계합부를 가지고, 클러치 기구를 구성한다.
<드래그 기구>
드래그 기구(21)는, 클러치 온 상태일 때, 구동 기어(31)를 통하여 스풀(12)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것이다. 드래그 기구(21)는, 드래그 조작 부재(3)에 의하여 드래그력이 조정된다. 드래그 기구(21)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40)의 내륜(內輪, 40a)을 통하여 핸들(2)의 회전 및 드래그 조작 부재(3)의 압압력이 전달되는 것이다. 드래그 기구(21)는, 내륜(40a)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드래그판(37)과, 래칫 휠(36)을 가진다. 드래그판(37)과 구동 기어(31)와의 사이 및 구동 기어(31)와 래칫 휠(36)과의 사이에는, 드래그 작동 시에 구동 기어(31)가 매끄럽게 미끄러지도록 하기 위하여 펠트(felt)제 또는 그라파이트(graphite)제의 제1 드래그 와셔(38a) 및 제2 드래그 와셔(38b)가 장착되어 있다.
<드래그 조작 부재>
드래그 조작 부재(3)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 본체(50)와, 조작부 본체(50)에 축 방향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드래그 너트(52, 도 4 참조)를 가진다. 조작부 본체(50)는,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래그 너트(52)를 통하여 핸들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54)와, 장착부(54)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고,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예를 들어 6개)의 조작부(56)를 가진다. 장착부(54)는, 대체로 통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드래그 너트(52)를 축 방향 이동 가능하고 또한 일체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는 너트 수납부(54a)를 가진다.
복수의 조작부(56)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대 장착부(5d) 측에 있어서, 장착부(54)로부터, 릴 본체(1)의 제2 측 커버(6b)보다도 직경 방향 외방으로 연장된다. 각 조작부(56)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부(54)로부터 연장되는 기단부(56a)와, 기단부(56a)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단부(56b)를 가진다. 선단부(56b)는, 기단부(56a)보다도 둘레 방향 및 축심(X)을 따른 축 방향의 두께가 두껍다. 도 5의 A부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56b)는, 손가락 댐부(56c)와, 손가락 댐부(56c)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사부(56d)를 가진다. 손가락 댐부(56c)는, 도 5의 A부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축(30)의 축심(X)과 직교하는 면으로 선단부(56b)를 잘랐을 때에, 손가락 댐부(56c)와, 핸들축(30)의 축심(X)과 선단부(56b)의 최외경부(56e)를 연결하는 제1 직선(L1)이 이루는 각도 α가 예각으로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손가락 댐부(56c)는, 손가락 댐부(56c)와, 손가락 댐부(56c)의 기단 측과 축심(X)을 연결하는 제2 직선(L2)이 이루는 각도 β가 둔각으로 되도록 형성된다. 손가락 댐부(56c)는, 낚시꾼이 낚싯대(FR)를 잡는 손의 손가락끝(F)으로 드래그 조작 부재(3)를 회전 조작할 때, 손가락끝(F)의 바닥의 부분(Fa)이 닿는다. 경사부(56d)는, 축심(X)을 포함하는 면으로 선단부(56b)를 잘랐을 때에, 최외경부(56e)로부터 릴 본체(1)에 가까워지는 것에 따라 외주부로부터 축심(X)까지의 거리 D가 서서히 짧아지도록 형성된다. 경사부(56d)는, 이 실시예에서는, 단면(斷面)에 있어서, 약간 만곡(彎曲)하는 곡선에 의하여 구성된다.
<양 베어링 릴의 조작 방법>
통상 상태에서는, 클러치 온 상태로 되어 있고,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은, 핸들축(30), 구동 기어(31), 피니언 기어(32) 및 스풀축(16)을 통하여 스풀(12)로 전달되어, 스풀(12)이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한다.
낚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낚시꾼은, 백래시를 억제하기 위하여 캐스팅 컨트롤 기구(22)로 제동력을 조정한다. 또한, 드래그 기구(21)의 드래그력을 어종, 낚싯줄의 굵기 등에 따라 조정한다. 제동력의 조정을 끝마치면, 낚시꾼은 클러치 조작 부재(17)를 하방으로 누른다. 여기에서는, 클러치 조작 부재(17)는, 하방의 클러치 오프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이동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가 클러치 오프 상태로 된다. 이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는, 핸들축(30)으로부터의 회전은 스풀(12) 및 스풀축(16)에 전달되지 않고, 스풀(12)은 자유 회전 상태가 된다. 클러치 오프 상태로 하여, 낚시꾼은, 제1 측 커버(6a)를 낚싯대(FR)와 함께 잡아 파밍(palming)한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스풀(12)을 서밍하면서 스풀축(16)이 연직면(鉛直面)을 따르도록 양 베어링 릴을 기울여 캐스팅한다. 그러면, 채비의 무게에 의하여, 스풀(12)이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여, 낚싯줄이 스풀(12)로부터 방출된다.
이 때, 예를 들어 채비가 해면에 도달하여 낚싯줄이 처지는 줄 느슨해짐이 생기면, 낚싯줄의 처짐을 없애기 위하여, 드래그 조작 부재(3)를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을 행한다. 이 조작을 행할 때는, 낚시꾼은,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 커버(6a)를 잡아 파밍하여 낚싯대(FR)를 잡는 손의, 예를 들어 중지를 뻗는다. 그리고, 낚시꾼은, 드래그 조작 부재(3)의 조작부(56)에 설치된 손가락 댐부(56c)에 중지의 손가락끝(F)의 바닥의 부분(Fa)을 접촉시키고, 중지에 의하여 화살표 B로 도시하는 줄 감기 방향을 향하여 손가락 댐부(56c)를 압압한다. 이것에 의하여, 핸들축(30)이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풀(12)에 낚싯줄을 감아낼 수 있어, 낚싯줄의 처짐을 해소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핸들(2)을 조작하는 일 없이, 낚싯줄을 스풀(12)에 감아낼 수 있다.
여기에서는, 낚싯대(FR)를 잡는 손에 의하여 드래그 조작 부재(3)의 선단부(56b)를 핸들 장착 측과 반대쪽으로부터 회전 조작할 때, 선단부(56b)에 있는 손가락 댐부(56c)가 예각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손가락 댐부(56c)에 손가락끝의 바닥의 부분(Fa)이 따르게 되어, 낚싯대(FR)를 잡는 손에 의하여 드래그 조작 부재(3)를 조작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조작 보조부를 설치하는 일 없이 낚싯대(FR)를 잡는 손에 의하여 드래그 조작 부재(3)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드래그 조작 부재(3)를, 중량 및 코스트의 증가를 억제하여 낚싯대(FR)를 잡는 손에 의하여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특징>
상기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표현 가능하다.
(A) 드래그 조작 부재(3)는, 낚싯대 장착부(5d)를 가지는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핸들축(30)에 장착된다. 드래그 조작 부재(3)의 조작부 본체(50)는, 장착부(54)와 복수의 조작부(56)를 구비한다. 장착부(54)는, 핸들축(30)에 드래그 너트(52)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복수의 조작부(56)는, 낚싯대 장착부(5d) 측에 있어서, 장착부(54)로부터, 릴 본체(1)보다도 직경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복수의 조작부(56)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복수의 조작부(56)는, 핸들축(30)과 직교하는 면으로 잘랐을 때에, 핸들축(30)의 축심(X)과 선단부(56b)의 최외경부(56e)를 연결하는 제1 직선(L1)과 이루는 각도 α가 예각으로 되도록 형성된 손가락 댐부(56c)를 선단부(56b)에 가진다.
이 드래그 조작 부재(3)에서는, 조작부(56)가 낚싯대 장착부(5d) 측에 있어서, 릴 본체(1)보다도 직경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낚싯대를 잡는 손으로 조작부(56)를 조작 가능하다. 또한, 조작부(56)의 선단부(56b)에, 핸들축(30)의 축심(X)과 선단부(56b)의 최외경부(56e)를 연결하는 제1 직선(L1)과 이루는 각도 α가 예각으로 되는 손가락 댐부(56c)를 가진다. 여기에서는, 낚싯대(FR)를 잡는 손에 의하여 드래그 조작 부재(3)의 조작부(56)의 선단부(56b)를 핸들 장착 측과 반대쪽으로부터 회전 조작할 때, 선단부(56b)에 있는 손가락 댐부(56c)가 예각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손가락 댐부(56c)에 손가락끝(F)의 바닥의 부분(Fa)이 따르게 되어, 낚싯대(FR)를 잡는 손에 의하여 드래그 조작 부재(3)를 조작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조작 보조부를 설치하는 일 없이 낚싯대(FR)를 잡는 손에 의하여 드래그 조작 부재(3)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드래그 조작 부재(3)를, 중량 및 코스트의 증가를 억제하여 낚싯대(FR)를 잡는 손에 의하여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B) 드래그 조작 부재(3)에 있어서, 선단부(56b)는, 조작부(56)의 다른 부분인 기단부(56a)보다도 둘레 방향의 두께가 두껍다. 손가락 댐부(56c)는, 손가락 댐부(56c)와, 손가락 댐부(56c)의 기단 측과 축심(X)을 연결하는 제2 직선(L2)이 이루는 각도 β가 둔각으로 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에는, 선단부(56b)가 두껍고 또한 손가락 댐부(56c)와 제2 직선(L2)이 이루는 각도 β가 둔각이기 때문에, 선단부(56b)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도 선단부(56b) 이외의 조작부(56)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조작부(56) 전체적으로의 중량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C) 드래그 조작 부재(3)에 있어서, 선단부(56b)는, 축심(X)을 통과하는 면으로 잘랐을 때에, 최외경부(56e)로부터 릴 본체(1)에 가까워지는 것에 따라 외주부로부터 축심(X)까지의 거리 D가 서서히 짧아지는 경사부(56d)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경사부(56d)에 낚싯대(FR)를 잡는 손의 손가락끝(F)이 닿아도 각부가 없기 때문에, 드래그 조작 부재(3)를 회전 조작하여도 손가락끝(F)이 아프지 않게 된다.
(D) 양 베어링 릴은, 릴 본체(1)와, 핸들축(30)과,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드래그 조작 부재(3)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양 베어링 릴을 얻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쓰여진 복수의 실시예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동의 양 베어링 릴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전동의 양 베어링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핸들이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는 양 베어링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오른쪽 핸들의 양 베어링 릴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왼쪽 핸들의 양 베어링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른손으로 낚싯대를 잡기 때문에, 오른손의 손가락끝으로 드래그 조작 부재를 조작하여, 스풀을 약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드래그 조작 부재(3)의 조작부(56)의 선단부(56b)에 경사부(56d)를 설치하였지만, 경사부(56d)를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핸들축으로부터 양 방향으로 연장되는 더블 핸들의 양 베어링 릴을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핸들축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싱글 핸들의 양 베어링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1 : 릴 본체
3 : 드래그 조작 부재
5d : 낚싯대 장착부
21 : 드래그 기구
30 : 핸들축
54 : 장착부
56 : 조작부
56b : 선단부
56c : 손가락 댐부
56d : 경사부
56e : 최외경부

Claims (4)

  1. 낚싯대 장착부를 가지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핸들축에 장착되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이고,
    상기 핸들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낚싯대 장착부 측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로부터, 상기 릴 본체보다도 직경 방향 외방(外方)으로 연장되고, 상기 핸들축과 직교하는 면으로 잘랐을 때에, 상기 핸들축의 축심(軸芯)과 선단부(先端部)의 최외경부(最外徑部)를 연결하는 제1 직선과의 이루는 각도가 예각으로 되도록 형성되는 손가락 댐부를 상기 선단부에 가지고,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조작부
    를 구비하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상기 조작부의 다른 부분보다 둘레 방향의 두께가 두껍고,
    상기 손가락 댐부는, 상기 손가락 댐부와, 상기 손가락 댐부의 기단(基端) 측과 상기 축심을 연결하는 제2 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둔각으로 되도록 형성되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상기 축심을 포함하는 면으로 잘랐을 때에, 상기 최외경부로부터 상기 릴 본체에 가까워지는 것에 따라 외주부(外周部)로부터 상기 축심까지의 거리가 서서히 짧아지는 경사부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
  4. 릴 본체와,
    핸들축과,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를 구비하는, 양 베어링 릴.
KR1020130014338A 2012-03-28 2013-02-08 양 베어링 릴 및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 KR101946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73225A JP5956799B2 (ja) 2012-03-28 2012-03-28 両軸受リ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操作部材
JPJP-P-2012-073225 2012-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006A true KR20130110006A (ko) 2013-10-08
KR101946285B1 KR101946285B1 (ko) 2019-02-11

Family

ID=49358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338A KR101946285B1 (ko) 2012-03-28 2013-02-08 양 베어링 릴 및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56799B2 (ko)
KR (1) KR101946285B1 (ko)
CN (1) CN103355270B (ko)
TW (1) TWI6003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1650201A1 (en) * 2016-02-16 2017-06-13 Brillianze Sweden Ab Rotational friction brake regulated by angular acceleration
JP6879844B2 (ja) * 2017-06-30 2021-06-02 帝人株式会社 釣り具用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釣り用リールのドラグ装置
JP2020110076A (ja) * 2019-01-10 2020-07-2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CN113021367B (zh) * 2021-03-11 2021-09-14 中国科学院自动化研究所 自动夹持卸力机构、自动配液***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7910B2 (ja) * 1994-10-05 1999-10-2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糸張力計測装置を備えた魚釣用リール
CN1230069C (zh) * 1997-04-11 2005-12-07 大和精工株式会社 垂钓用卷线机
JP3967661B2 (ja) * 2002-03-05 2007-08-2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TW200603726A (en) * 2004-07-23 2006-02-01 Shimano Kk Clutch recovery device for fishing reel
JP4471294B2 (ja) * 2005-06-27 2010-06-0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4963279B2 (ja) * 2007-08-06 2012-06-2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操作部材
JP5324819B2 (ja) * 2008-05-12 2013-10-23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レバードラグリールの逆転防止機構
JP4866883B2 (ja) * 2008-07-31 2012-02-0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2010276633A (ja) * 2009-05-26 2010-12-09 Kyocera Mita Corp 原稿サイズ検知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55270B (zh) 2017-03-01
TW201402006A (zh) 2014-01-16
JP5956799B2 (ja) 2016-07-27
KR101946285B1 (ko) 2019-02-11
CN103355270A (zh) 2013-10-23
TWI600373B (zh) 2017-10-01
JP2013201946A (ja) 2013-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1969B2 (en) Fishing reel
JP4965410B2 (ja) 魚釣用リール
JP7142133B2 (ja) 両軸受リールの操作レバー
KR102294432B1 (ko) 양 베어링 릴 및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기구
JP6202796B2 (ja) 駆動ギア
US9807990B2 (en) Double bearing reel
KR20150032787A (ko) 양 베어링 릴
KR20130110006A (ko) 양 베어링 릴 및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
KR102225614B1 (ko) 낚시용 릴의 구동 기어 및 낚시용 릴의 피니언 기어
KR102442023B1 (ko) 양 베어링 릴의 스풀, 및 양 베어링 릴
JP2002142626A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2014212739A (ja) 両軸受リール
JP2005000103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支持構造
KR102638045B1 (ko) 낚시용 릴의 베어링 보지 구조 및 낚시용 릴
US10588303B2 (en) Dual-bearing reel
JP2011024527A (ja) 魚釣用リール
JP2009247262A (ja) 魚釣用リール
KR100987115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지지구조
JP2019088197A5 (ko)
JP2019122326A (ja) 両軸受型リール
JP6267874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398121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駆動装置
JP3103070U (ja) 両軸受けリール
JP3997542B2 (ja) 魚釣用リール
JP6693921B2 (ja) 駆動ギ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