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9450A - 냉동 회로 - Google Patents

냉동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9450A
KR20130059450A KR1020137010694A KR20137010694A KR20130059450A KR 20130059450 A KR20130059450 A KR 20130059450A KR 1020137010694 A KR1020137010694 A KR 1020137010694A KR 20137010694 A KR20137010694 A KR 20137010694A KR 20130059450 A KR20130059450 A KR 20130059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refrigerant
outdoor heat
refrigeration circuit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0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유키 오쿠다
다카유키 세토구치
게이스케 다니모토
다카무네 오쿠이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9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2Heat pumps of the compress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5/00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4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one four-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9Pumping down refrigerant from one part of the cycle to another part of the cycle, e.g. when the cycle is changed from cooling to heating, or before a defrost cycle is star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23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1Geometry problems, e.g. for reducing siz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6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frigerant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실외 열교환기의 용량이 실내 열교환기의 용량보다도 작을 때, 냉방 운전 시에 발생하는 잉여 냉매를 수용할 수 있는 냉동 회로를 제공한다. 냉동 회로(11)는 실내 열교환기(51)가 크로스핀형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25)가 적층형 열교환기다. 또한, 실외 열교환기(25)와 팽창 밸브(29)의 사이에, 냉매 저류 탱크(27)가 설치되어 있다. 실외 열교환기(25)의 용량이 실내 열교환기(51)의 용량보다 작아지므로, 냉방 운전 시에 잉여 냉매가 발생하는데, 이 냉동 회로(11)에서는, 그 잉여 냉매가 냉매 저류 탱크(27)에 수용되므로, 냉매 제어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은 방지된다.

Description

냉동 회로{REFRIGERATION CIRCUIT}
본 발명은 냉동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 조화기에 사용되는 냉동 회로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 장치의 냉동 회로에서는, 냉방 운전 시에 최적인 냉매량과 난방 운전 시에 최적인 냉매량이 상이하기 때문에, 냉방 운전 시에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실외 열교환기의 용량과, 난방 운전 시에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실내 열교환기의 용량이 상이하다. 통상은, 실외 열교환기의 용량이 실내 열교환기의 용량보다도 크고, 난방 운전 시에 실내 열교환기에 전부 수용할 수 없는 냉매는 어큐뮬레이터 등에 일시적으로 저류된다.
일본 특허 공개 평6-143991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일본 특허 공개 평6-14399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소형이고 고성능인 콘덴서가 공기 조화 장치의 냉동 회로의 실외 열교환기에 사용되게 되면, 실외 열교환기의 용량이 실내 열교환기의 용량보다도 작아지고, 이번에는 냉방 운전 시에 실외 열교환기에 전부 수용할 수 없는 냉매(잉여 냉매)가 발생하며, 그 양은 어큐뮬레이터 등에 저류 가능한 양을 초과해버린다.
본 발명의 과제는, 실외 열교환기의 용량이 실내 열교환기의 용량보다도 작을 때, 냉방 운전 시에 발생하는 잉여 냉매를 수용할 수 있는 냉동 회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관한 냉동 회로는, 냉방 운전 시에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팽창 밸브 및 실내 열교환기 순으로 냉매가 흐르고, 난방 운전 시에 압축기, 실내 열교환기, 팽창 밸브 및 실외 열교환기 순으로 냉매가 흐르는 냉동 회로이며, 실내 열교환기가 크로스핀형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가 적층형 열교환기다. 또한,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 밸브와의 사이에 냉매 저류 탱크가 설치되어 있다.
적층형 열교환기의 용적은, 동등한 열교환 성능을 갖는 크로스핀형 열교환기의 용적에 비해서 작다. 예를 들어, 실외 열교환기와 실내 열교환기가 모두 크로스핀형 열교환기인 냉동 회로에 비하여, 실외 열교환기만을 동등한 열교환 성능을 갖는 적층형 열교환기로 대체했을 때, 그 적층형 열교환기의 용량은, 크로스핀형 실외 열교환기의 용적에 비하여 작아질 뿐만 아니라, 거기에 접속되어 있는 크로스핀형 실내 열교환기의 용량보다도 작아진다.
실외 열교환기의 용량이 실내 열교환기의 용량보다 작아지면, 냉방 운전 시에 잉여 냉매가 발생하는데, 이 냉동 회로에서는 그 잉여 냉매가 냉매 저류 탱크에 수용되므로, 냉매 제어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은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관한 냉동 회로는 냉방 운전 시에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팽창 밸브 및 실내 열교환기 순으로 냉매가 흐르고, 난방 운전 시에 압축기, 실내 열교환기, 팽창 밸브 및 실외 열교환기 순으로 냉매가 흐르는 냉동 회로이며, 실외 열교환기의 용적은, 실내 열교환기 용적의 100% 이하다. 또한,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 밸브의 사이에 냉매 저류 탱크가 설치되어 있다.
이 냉동 회로에서는 실외 열교환기의 용량이 실내 열교환기의 용량 이하가 됨으로써, 냉방 운전 시에 잉여 냉매가 발생하는데, 그 잉여 냉매가 냉매 저류 탱크에 수용되므로, 냉매 제어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은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관한 냉동 회로는 제1 관점 또는 제2 관점에 관한 냉동 회로이며, 실외 열교환기가 복수의 편평관과 핀을 갖는 적층형 열교환기다. 복수의 편평관은 간격을 두고 겹쳐지도록 배열되어 있다. 핀은 인접하는 편평관에 끼워져 있다.
이 냉동 회로에서는 제1 관점 또는 제2 관점에 관한 냉동 회로와 마찬가지로, 실외 열교환기의 용량이 실내 열교환기의 용량보다도 작아지므로, 냉동 회로 내의 냉매량이 저감된다. 또한, 냉방 운전 시에 잉여 냉매가 발생하는데, 그 잉여 냉매는 냉매 저류 탱크에 수용되므로, 냉매 제어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은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관한 냉동 회로는, 제1 관점 또는 제2 관점에 관한 냉동 회로이며, 실외 열교환기가 편평관과 핀을 갖는 적층형 열교환기다. 편평관은 사행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핀은 편평관의 서로 인접하는 면 사이에 끼워져 있어 있다.
이 냉동 회로에서는, 제1 관점 또는 제2 관점에 관한 냉동 회로와 마찬가지로, 실외 열교환기의 용량이 실내 열교환기의 용량보다도 작아지므로, 냉동 회로 내의 냉매량이 저감된다. 또한, 냉방 운전 시에 잉여 냉매가 발생하는데, 그 잉여 냉매는 냉매 저류 탱크에 수용되므로, 냉매 제어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은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 관한 냉동 회로는 제2 관점에 관한 냉동 회로이며, 실외 열교환기 및 실내 열교환기가 모두 크로스핀형 열교환기다. 실외 열교환기의 전열관 직경은 실내 열교환기의 전열관 직경보다도 가늘다.
이 냉동 회로에서는 제2 관점에 관한 냉동 회로와 마찬가지로, 실외 열교환기의 용량이 실내 열교환기의 용량보다도 작아지므로, 냉동 회로 내의 냉매량이 저감된다. 또한, 냉방 운전 시에 잉여 냉매가 발생하는데, 그 잉여 냉매는 냉매 저류 탱크에 수용되므로, 냉매 제어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은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6 관점에 관한 냉동 회로는 제1 관점 또는 제2 관점에 관한 냉동 회로이며, 바이패스로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 바이패스로는 냉매 저류 탱크 내에 저류되는 냉매의 가스 성분을 압축기, 혹은 압축기 흡입측의 냉매 배관으로 유도한다.
이 냉동 회로에서는 난방 운전 시, 즉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로서 기능할 때,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 입구 앞의 냉매 저류 탱크에서 액과 가스로 분리되어, 가스 성분은 바이패스로로 향한다. 그 결과, 증발에 기여하지 않는 가스 성분은 실외 열교환기에 들어가지 않게 되고, 그만큼, 실외 열교환기를 흐르는 냉매량이 감소하여, 실외 열교환기에서의 냉매의 압력 손실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제7 관점에 관한 냉동 회로는 제6 관점에 관한 냉동 회로이며, 바이패스로가 유량 조정 기구를 갖고 있다.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가 높을 때에는 냉매 저류 탱크로부터 기액 혼합 냉매가 바이패스로를 거쳐서 압축기의 흡입측으로 복귀되어, 압축기에 흡입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 냉동 회로에서는 바이패스로에 유량 조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액 혼합 냉매의 액 성분이 감압되어서 증발한다. 그 결과, 압축기의 흡입측의 냉매 배관으로 액 성분이 복귀되는 일은 방지된다.
또한, 이 냉동 회로에서는 유량 조정 기구를 통한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에서 증발해서 압축기로 향하는 냉매와 합류하므로, 유량 조정 기구가 전동 팽창 밸브일 경우, 밸브 개방도를 제어함으로써 압축기에 흡입되기 직전의 냉매 상태를, 보다 최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냉동 회로에서는 유량 조정 기구가 전동 팽창 밸브일 경우, 밸브 개방도를 제어함으로써 압축기로 복귀되는 냉매량을 증감시킬 수 있으므로, 실내 열교환기측의 부하에 따라서 냉동 회로의 냉매 순환량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8 관점에 관한 냉동 회로는, 제1 관점 또는 제2 관점에 관한 냉동 회로이며, 냉매 저류 탱크가 기액 분리기다. 이 냉동 회로에서는 기액 분리기가 액냉매를 저류하는 냉매 저류 기능 외에, 액냉매와 가스 냉매를 분리하는 기능을 담당하므로, 냉매 저류 용기와 기액 분리기를 병설할 필요가 없어, 냉동 회로가 간소화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 내지 제5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한 냉동 회로에서는, 그 잉여 냉매가 냉매 저류 탱크에 수용되므로, 냉매 제어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은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6 관점에 관한 냉동 회로에서는, 증발에 기여하지 않는 가스 성분이 실외 열교환기에 들어가지 않게 되고, 그만큼, 실외 열교환기를 흐르는 냉매량이 감소하여, 실외 열교환기에서의 냉매의 압력 손실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제7 관점에 관한 냉동 회로에서는, 압축기 흡입측의 냉매 배관으로 액 성분이 복귀되는 일은 방지된다. 또한, 압축기에 흡입되기 직전의 냉매 상태를 보다 최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내 열교환기측의 부하에 따라서 냉동 회로의 냉매 순환량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8 관점에 관한 냉동 회로에서는 기액 분리기가 액냉매를 저류하는 냉매 저류 기능 외에, 액냉매와 가스 냉매를 분리하는 기능을 담당하므로, 냉매 저류 용기와 기액 분리기를 병설할 필요가 없어, 냉동 회로가 간소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동 회로를 사용한 공기 조화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실내 열교환기의 정면도.
도 3은 실외 열교환기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냉동 회로에 있어서의 실외 열교환기 용적/실내 열교환기 용적비를 능력별로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기액 분리기의 간략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구체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공기 조화 장치
(1-1)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냉동 회로를 사용한 공기 조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공기 조화 장치(1)는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이 가능한 공기 조화 장치이며, 실외기(3)와, 실내기(5)와, 실외기(3)와 실내기(5)를 접속하기 위한 액냉매 연락 배관(7) 및 가스 냉매 연락 배관(9)을 구비하고 있다.
(1-2) 실내기
실내기(5)는 실내 열교환기(51)와, 실내 팬(53)을 갖고 있다. 실내 열교환기(51)는 크로스핀형 열교환기이며, 실내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내부를 흐르는 냉매를 증발 또는 응축시켜, 실내의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다.
(1-2-1) 실내 열교환기
도 2는 실내 열교환기의 정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51)는 전열 핀(511)과 전열관(513)을 구비하고 있다. 전열 핀(511)은 얇은 알루미늄제의 평판이고, 1매의 전열 핀(511)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전열관(513)은 전열 핀(511)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직관(513a)과, 인접하는 직관(513a)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제1 U자관(513b) 및 제2 U자관(513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직관(513a)은 전열 핀(511)의 관통 구멍에 삽입된 후, 확관기에 의해 확관 가공되어, 전열 핀(511)과 밀착한다. 직관(513a)과 제1 U자관(513b)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제2 U자관(513c)은 직관(513a)이 전열 핀(511)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어 확관 가공된 후, 용접 등에 의해 직관(513a)의 단부에 연결된다.
(1-2-2) 실내 팬
실내 팬(53)은 회전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도입해서 실내 열교환기(51)에 송풍하고, 실내 열교환기(51)와 실내 공기와의 열교환을 촉진한다.
(1-3) 실외기
도 1에 있어서, 실외기(3)는 주로 압축기(21), 사방 전환 밸브(23), 실외 열교환기(25), 냉매 저류 탱크(27), 팽창 밸브(29), 액측 폐쇄 밸브(37), 가스측 폐쇄 밸브(39), 어큐뮬레이터(31) 및 바이패스로(33)를 갖고 있다. 또한, 실외기(3)는 실외 팬(41)도 갖고 있다.
(1-3-1) 압축기, 사방 전환 밸브 및 어큐뮬레이터
압축기(21)는 가스 냉매를 흡입해서 압축한다. 압축기(21)의 흡입구 앞쪽에는, 어큐뮬레이터(31)가 배치되어 있고, 압축기(21)에 액냉매가 바로 흡입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사방 전환 밸브(23)는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의 전환 시에, 냉매의 흐름 방향을 전환한다. 냉방 운전 시, 사방 전환 밸브(23)는 압축기(21)의 토출측과 실외 열교환기(25)의 가스측을 접속하면서, 또한 압축기(21)의 흡입측과 가스측 폐쇄 밸브(39)를 접속한다. 즉, 도 1의 사방 전환 밸브(23) 내의 실선으로 나타내진 상태다.
또한, 난방 운전 시, 사방 전환 밸브(23)는 압축기(21)의 토출측과 가스측 폐쇄 밸브(39)를 접속하면서, 또한 압축기(21)의 흡입측과 실외 열교환기(25)의 가스측을 접속한다. 즉, 도 1의 사방 전환 밸브(23) 내의 점선으로 나타내진 상태다.
(1-3-2) 실외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25)는 적층형 열교환기이며, 실외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내부를 흐르는 냉매를 응축 또는 증발시킬 수 있다. 또한, 실외 팬(41)이, 이 실외 열교환기(25)에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회전함으로써 실외 공기를 도입해서 실외 열교환기(25)에 송풍하여, 실외 열교환기(25)와 실외 공기와의 열교환을 촉진한다.
도 3은 실외 열교환기의 외관 사시도다. 도 3에 있어서, 실외 열교환기(25)는 편평관(251), 파형 핀(253) 및 헤더(255)를 갖고 있다.
편평관(251)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성형되어 있고, 전열면이 되는 평면부(251a)와, 냉매가 흐르는 복수의 내부 유로(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다. 편평관(251)은 평면부(251a)를 상하로 향한 상태로 복수단 배열되어 있다.
파형 핀(253)은 파형으로 절곡된 알루미늄제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핀이다. 파형 핀(253)은 상하로 인접하는 편평관(251)에 끼워진 통풍 공간에 배치되고, 골부 및 산부가 편평관(251)의 평면부(251a)와 접촉하고 있다. 또한, 골부와 산부와 평면부(251a)는 경납땜 용접되어 있다.
헤더(255)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단 배열된 편평관(251)의 양단에 연결되어 있다. 헤더(255)는 편평관(251)을 지지하는 기능과, 냉매를 편평관(251)의 내부 유로로 유도하는 기능과, 내부 유로로부터 나온 냉매를 집합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3은 정면에서 보아서, 우측의 헤더(255)(이후, 제1 헤더라고 부름)의 입구(255a)로부터 유입한 냉매는, 최상단의 편평관(251)의 각 내부 유로에 거의 균 등하게 분배되어 좌측의 헤더(255)(이후, 제2 헤더라고 부름)를 향해서 흐른다. 제2 헤더에 도달한 냉매는, 2단째의 편평관(251)의 각 내부 유로에 균등하게 분배되어 제1 헤더를 향해서 흐른다. 이후, 홀수단째의 편평관(251) 내의 냉매는 제2 헤더를 향해서 흐르고, 짝수단째의 편평관(251) 내의 냉매는 제1 헤더를 향해서 흐른다. 그리고, 최하단이고 또한 짝수단째의 편평관(251) 내의 냉매는, 제1 헤더를 향해서 흐르고, 제1 헤더에서 집합하여 출구(255b)로부터 유출된다.
실외 열교환기(25)가 증발기로서 기능할 때, 편평관(251) 내를 흐르는 냉매는, 파형 핀(253)을 통해서 통풍 공간을 흐르는 공기류로부터 흡열한다. 실외 열교환기(25)가 응축기로서 기능할 때는, 편평관(251) 내를 흐르는 냉매는 파형 핀(253)을 통해서 통풍 공간을 흐르는 공기류로 방열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외 열교환기(25)를 상기와 같은 적층형 열교환기로 함으로써, 실외 열교환기(25)의 용량이 실내 열교환기(51)의 용량보다도 작아져 있다.
도 4는 냉동 회로에 있어서의 실외 열교환기 용적/실내 열교환기 용적비를 능력별로 도시한 그래프다. 도 4에 있어서, ◇는 패키지에어콘의 통상 타입(크로스핀형 실외 열교환기), ◆는 패키지에어콘의 실외 열교환기 가는 직경 타입(적층형 실외 열교환기), △는 룸에어콘의 통상 타입(크로스핀형 실외 열교환기), ▲는 룸에어콘의 실외 열교환기 가는 직경 타입(적층형 실외 열교환기)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 열교환기와 실내 열교환기가 모두 크로스핀형 열교환기인 조합에 비하여, 실외 열교환기만을 동등한 열교환 성능을 갖는 적층형 열교환기로 바꾸었을 때, 실외 열교환기 용량/실내 열교환기 용적비가 1.0을 하회하고 있다. 이것은 적층형 열교환기의 용량이 크로스핀형 실외 열교환기의 용적에 비하여 작아질 뿐만 아니라, 거기에 접속되어 있는 크로스핀형의 실내 열교환기의 용량보다도 작아지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로 인해, 냉방 운전 시에 잉여 냉매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냉동 회로(11)에서는, 그 잉여 냉매를 냉매 저류 탱크(27)에 수용하고 있다.
또한, 실외 열교환기 용량/실내 열교환기 용적비가 0.3 내지 0.9일 때, 잉여 냉매를 수용하는 냉매 저류 탱크(27)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실외 열교환기 용량/실내 열교환기 용적비가 1.0인 경우에도 냉매 저류 탱크(27)를 사용함으로써, 안정된 냉매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1-3-3) 냉매 저류 탱크
냉매 저류 탱크(27)는 잉여 냉매를 저류하는 것이 가능한 용기다. 예를 들어, 실내 열교환기(51)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난방 운전 시에 실내 열교환기(51)에 수용할 수 있는 액냉매량이 1100cc, 실외 열교환기(25)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냉방 운전 시에 실외 열교환기(25)에 수용할 수 있는 액냉매량이 800cc일 경우, 냉방 운전 시에 실외 열교환기(25)에 전부 수용할 수 없어 남은 액냉매 300cc는 냉매 저류 탱크(27)에 일시적으로 수용된다.
또한, 예를 들어 난방 운전 시, 냉매 저류 탱크(27)에 들어가기 직전의 냉매에는 팽창 밸브(29)를 통과할 때에 발생한 가스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만, 냉매 저류 탱크(27)로 들어간 후, 액냉매와 가스 냉매로 분리되어, 하부측에 액냉매, 상부측에 가스 냉매가 저류된다.
(1-3-4) 팽창 밸브
팽창 밸브(29)는 냉매 압력이나 냉매 유량의 조절을 행하기 위해서, 냉매 저류 탱크(27)와 액측 폐쇄 밸브(37) 사이의 배관에 접속되고, 냉방 운전 시 및 난방 운전 시의 어떤 경우든, 냉매를 팽창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1-3-5) 바이패스로와 유량 조정 밸브
냉매 저류 탱크(27)에서 분리된 가스 냉매는, 바이패스로(33)를 통해서 압축기(21)의 흡입측으로 흐른다. 또한, 냉매 저류 탱크(27)에서 분리된 액냉매는, 실외 열교환기(25)로 흐른다. 또한, 바이패스로(33)의 도중에는, 유량 조정 밸브(35)가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량 조정 밸브(35)는 전동 팽창 밸브다.
(1-3-6) 폐쇄 밸브 및 냉매 연락 배관
액측 폐쇄 밸브(37) 및 가스측 폐쇄 밸브(39)는 각각 액냉매 연락 배관(7) 및 가스 냉매 연락 배관(9)에 접속되어 있다. 액냉매 연락 배관(7)은 실내기(5)의 실내 열교환기(51)의 액측과 실외기(3)의 액측 폐쇄 밸브(37)의 사이를 접속하고 있다. 가스 냉매 연락 배관(9)은 실내기(5)의 실내 열교환기(51)의 가스측과 실외기(3)의 가스측 폐쇄 밸브(39)의 사이를 접속하고 있다.
그 결과, 냉방 운전 시에 압축기(21), 실외 열교환기(25), 팽창 밸브(29) 및 실내 열교환기(51) 순으로 냉매가 흐르고, 난방 운전 시에 압축기(21), 실내 열교환기(51), 팽창 밸브(29) 및 실외 열교환기(25) 순으로 냉매가 흐르는 냉동 회로(11)가 형성되어 있다.
(2) 난방 운전 시의 냉매의 흐름
도 1에 있어서, 난방 운전 시, 사방 전환 밸브(23)는 압축기(21)의 토출측과 가스측 폐쇄 밸브(39)를 접속하면서, 또한 압축기(21)의 흡입측과 실외 열교환기(25)의 가스측을 접속한다. 또한, 팽창 밸브(29)는 개방도를 좁힌다. 그 결과, 실외 열교환기(25)가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또한 실내 열교환기(51)가 냉매의 응축기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상태의 냉동 회로(11)에 있어서, 저압의 냉매는 압축기(21)에 흡입되고, 고압으로 압축된 후에 토출된다. 압축기(21)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는, 사방 전환 밸브(23), 가스측 폐쇄 밸브(39) 및 가스 냉매 연락 배관(9)을 통하여, 실내 열교환기(51)로 들어간다. 실내 열교환기(51)로 들어간 고압의 냉매는, 거기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행해서 응축된다. 이에 의해, 실내 공기는 가열된다.
또한, 실내 열교환기(51)의 용량은 실외 열교환기(25)의 용량보다 크므로, 난방 운전 시에서는 대부분의 액냉매가 응축기(실내 열교환기(51))에 수용된다. 실내 열교환기(51)에서 응축된 고압의 냉매는, 액냉매 연락 배관(7) 및 액측 폐쇄 밸브(37)를 통하여, 팽창 밸브(29)에 이른다.
냉매는 팽창 밸브(29)에 의해 저압으로 감압되고, 그 후, 냉매 저류 탱크(27)로 들어간다. 냉매 저류 탱크(27)에 들어가기 직전의 냉매에는, 팽창 밸브(29)를 통과할 때 발생한 가스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만, 냉매 저류 탱크(27)로 들어간 후, 액냉매와 가스 냉매로 분리되어, 하부측에 액냉매, 상부측에 가스 냉매가 저류된다.
또한, 유량 조정 밸브(35)는 개방되어 있으므로, 가스 냉매는 바이패스로(33)를 통해서 압축기(21)의 흡입측을 향한다. 액냉매는 실외 열교환기(25)로 보내지고, 따라서, 실외 팬(41)에 의해 공급되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을 행해서 증발한다. 실외 열교환기(25)의 입구로부터는 가스 냉매가 대부분 들어가지 않으므로, 실외 열교환기(25)를 흐르는 냉매량이 줄어들고, 그만큼, 압력 손실이 억제된다.
실외 열교환기(25)에서 증발한 저압의 냉매는, 사방 전환 밸브(23)를 통해서, 다시 압축기(21)에 흡입된다.
(3) 냉방 운전 시의 냉매의 흐름
도 1에 있어서, 냉방 운전 시, 사방 전환 밸브(23)가 압축기(21)의 토출측과 실외 열교환기(25)의 가스측을 접속하면서, 또한 압축기(21)의 흡입측과 가스측 폐쇄 밸브(39)를 접속한다. 또한, 팽창 밸브(29)는 개방도를 좁힌다. 그 결과, 실외 열교환기(25)가 냉매의 응축기로서 기능하고, 또한 실내 열교환기(51)가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상태의 냉매 회로에 있어서, 저압의 냉매는 압축기(21)에 흡입되고, 고압으로 압축된 후에 토출된다. 압축기(21)로부터 토출된 고압의 냉매는, 사방 전환 밸브(23)를 통해서, 실외 열교환기(25)로 보내진다.
실외 열교환기(25)로 보내진 고압의 냉매는, 거기에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을 행해서 응축된다. 실외 열교환기(25)에서 응축된 고압의 냉매는, 냉매 저류 탱크(27)로 보내진다. 또한, 실외 열교환기(25)의 용량은 실내 열교환기(51)의 용량보다 작으므로, 냉방 운전 시에서는 응축기(실외 열교환기(25))가 모든 액냉매를 수용할 수 없다. 그로 인해, 실외 열교환기(25)에 전부 수용할 수 없는 액냉매는 냉매 저류 탱크(27)에 저류되고, 냉매 저류 탱크(27)는 액냉매로 채워진다. 또한, 유량 조정 밸브(35)는 폐쇄되어 있으므로, 액냉매는 바이패스로(33)로 흐르지 않는다.
냉매 저류 탱크(27)를 나온 액냉매는, 팽창 밸브(29)로 보내져서 저압으로 감압된다. 팽창 밸브(29)로 감압된 저압의 냉매는, 액측 폐쇄 밸브(37) 및 액냉매 연락 배관(7)을 통하여, 실내 열교환기(51)로 들어간다.
실내 열교환기(51)로 들어간 저압의 냉매는, 거기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행해서 증발한다. 이에 의해, 실내 공기는 냉각된다. 실내 열교환기(51)에서 증발한 저압의 냉매는, 가스 냉매 연락 배관(9), 가스측 폐쇄 밸브(39) 및 사방 전환 밸브(23)를 통해서, 다시 압축기(21)로 흡입된다.
(4) 특징
(4-1)
냉동 회로(11)는 실내 열교환기(51)가 크로스핀형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25)가 적층형 열교환기다. 또한, 실외 열교환기(25)와 팽창 밸브(29)의 사이에, 냉매 저류 탱크(27)가 설치되어 있다. 실외 열교환기(25)의 용량이 실내 열교환기(51)의 용량보다 작아지므로, 냉방 운전 시에 잉여 냉매가 발생하는데, 이 냉동 회로에서는, 그 잉여 냉매가 냉매 저류 탱크(27)에 수용되므로, 냉매 제어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은 방지된다.
(4-2)
냉동 회로(11)는, 실외 열교환기(25)의 용적은 실내 열교환기(51)의 용적의 100% 이하다. 또한, 실외 열교환기(25)와 팽창 밸브(29)의 사이에, 냉매 저류 탱크(27)가 설치되어 있다. 실외 열교환기(25)의 용량이 실내 열교환기(51)의 용량이하가 됨으로써, 냉방 운전 시에 잉여 냉매가 발생하는데, 그 잉여 냉매가 냉매 저류 탱크에 수용되므로, 냉매 제어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은 방지된다.
(4-3)
냉동 회로(11)에서는, 바이패스로(33)가 설치되어 있다. 바이패스로(33)는 냉매 저류 탱크(27) 내에 저류되는 냉매의 가스 성분을 압축기(21), 혹은, 압축기(21)의 흡입측의 냉매 배관으로 유도한다. 난방 운전 시, 즉 실외 열교환기(25)가 증발기로서 기능할 때,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25)의 입구 앞의 냉매 저류 탱크(27)에서 액과 가스로 분리되고, 가스 성분은 바이패스로로 향한다. 그 결과, 증발에 기여하지 않는 가스 성분은 실외 열교환기(25)에 들어가지 않게 되고, 그만큼, 실외 열교환기(25)를 흐르는 냉매량이 감소하여, 실외 열교환기(25)에서의 냉매의 압력 손실이 억제된다.
(4-4)
압축기(21)의 운전 주파수가 높을 때에는, 냉매 저류 탱크(27)로부터 기액 혼합 냉매가 바이패스로(33)를 거쳐서 압축기(21)의 흡입측으로 복귀되고, 압축기(21)로 흡입될 가능성이 있지만, 바이패스로(33)에 유량 조정 밸브(35)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액 혼합 냉매의 액 성분이 감압되어서 증발한다. 그 결과, 압축기(21)의 흡입측의 냉매 배관으로 액 성분이 복귀되는 일은 방지된다.
(4-5)
또한, 유량 조정 밸브(35)를 통한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25)에서 증발해서 압축기(21)로 향하는 냉매와 합류하므로, 유량 조정 밸브(35)가 전동 팽창 밸브일 경우, 밸브 개방도를 제어함으로써 압축기(21)에 흡입되기 직전의 냉매 상태를, 보다 최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4-6)
또한, 유량 조정 밸브(35)가 전동 팽창 밸브일 경우, 밸브 개방도를 제어함으로써 압축기(21)로 복귀되는 냉매량을 증감시킬 수 있으므로, 실내 열교환기(51)측의 부하에 따라서 냉동 회로(11)의 냉매 순환량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5) 변형예
여기에서는, 냉매 저류 탱크(27)가 기액 분리기인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기액 분리기의 간략 단면도다. 도 5에 있어서, 기액 분리기는 사이클론 방식이며, 원통용기(271), 제1 접속관(273), 제2 접속관(275) 및 제3 접속관(277)을 갖고 있다.
제1 접속관(273)은 원통용기(271)의 원주 측벽의 접선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원통용기(271)의 내부와 팽창 밸브(29)를 연락한다. 제2 접속관(275)은 원통용기(271)의 저벽에 연결되어 있고, 원통용기(271)의 내부와 실외 열교환기(25)를 연락한다. 제3 접속관(277)은 원통용기(271)의 천장벽에 연결되어 있고, 원통용기(271)의 내부와 바이패스로(33)를 연락한다.
난방 운전 시, 팽창 밸브(29)로 감압되어 기액 혼합 상태가 된 냉매는, 제1 접속관(273)으로부터 원통용기(271) 내로 유입하여, 그 원주 측벽의 내주면(271b)을 따라 소용돌이 치듯이 흐르고, 그때, 그 내주면(271b)에 액냉매가 부착되어 액냉매와 가스 냉매가 효율적으로 분리된다.
액냉매는 중력에 의해 강하하여 하부에 저류되고, 제2 접속관(275)을 통해서 실외 열교환기(25)를 향한다. 한편, 가스 냉매는 선회하면서 상승하고, 제3 접속관(277)을 통해서 바이패스로(33)로 흐른다.
냉방 운전 시, 실외 열교환기(25)에 있어서 응축되어 포화액이 된 고압의 냉매는, 제2 접속관(275)으로부터 원통용기(271) 내로 유입하고, 원통용기(271)는 액냉매로 채워진다. 액냉매는 제1 접속관(273)을 통해서 팽창 밸브(29)로 향한다. 한편, 원통용기(271) 내의 액냉매의 일부는 제3 접속관(277)을 통해서 바이패스로(33)로 흐른다.
이상과 같이, 변형예에 관한 냉동 회로(11)에서는, 냉매 저류 탱크(27)가 사이클론 방식의 기액 분리기이므로, 냉매가 기액 분리기의 내주면(271b)을 따라 선회하는 사이에 그 내주면에 액냉매가 부착되어, 기액 분리가 효율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기액 분리기가 액냉매를 저류하는 냉매 저류 기능 외에, 액냉매와 가스 냉매를 분리하는 기능을 담당하므로, 냉매 저류 용기와 기액 분리기를 병설할 필요가 없어 냉동 회로가 간소화된다.
(6) 기타 실시 형태
(6-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실외 열교환기(25)가 복수의 편평관(251)과 파형 핀(253)을 갖는 적층형 열교환기이며, 복수의 편평관(251)이 간격을 두어서 겹쳐지도록 배열되고, 파형 핀(253)이 인접하는 편평관(251)에 끼워져 있다.
그러나, 실외 열교환기(25)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편평관이 사행 형상으로 성형되어, 핀이 편평관의 서로 인접하는 면 사이에 끼워져 있다는 구성으로도,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6-2)
또한, 냉방 운전 시에 실외 열교환기(25)를 물로 냉각하는 냉동 장치의 경우, 실외 열교환기(25) 및 실내 열교환기(51)가 모두 크로스핀형 열교환기이며, 실외 열교환기(25)의 전열관 직경이 실내 열교환기(51)의 전열관 직경보다도 가늘다는 구성으로도,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소하고 고성능인 냉동 회로가 제공되므로, 공기 조화 장치에 한하지 않고, 히트 펌프식 급탕기에도 유용하다.
11: 냉동 회로
21: 압축기
25: 실외 열교환기
27: 냉매 저류 탱크
29: 팽창 밸브
33: 바이패스로
35: 유량 조정 밸브(유량 조정 기구)
51: 실내 열교환기

Claims (8)

  1. 냉방 운전 시에 압축기(21), 실외 열교환기(25), 팽창 밸브(29) 및 실내 열교환기(51) 순으로 냉매가 흐르고, 난방 운전 시에 상기 압축기(21), 상기 실내 열교환기(51), 상기 팽창 밸브(29) 및 상기 실외 열교환기(25) 순으로 냉매가 흐르는 냉동 회로이며,
    상기 실내 열교환기(51)가 크로스핀형 열교환기, 상기 실외 열교환기(25)가 적층형 열교환기이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25)와 상기 팽창 밸브(29)의 사이에 냉매 저류 탱크(27)가 설치되어 있는, 냉동 회로(11).
  2. 냉방 운전 시에 압축기(21), 실외 열교환기(25), 팽창 밸브(29) 및 실내 열교환기(51) 순으로 냉매가 흐르고, 난방 운전 시에 상기 압축기(21), 상기 실내 열교환기(51), 상기 팽창 밸브(29) 및 상기 실외 열교환기(25) 순으로 냉매가 흐르는 냉동 회로이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25)의 용적은, 상기 실내 열교환기(51)의 용적의 100% 이하이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25)와 상기 팽창 밸브(29)의 사이에 냉매 저류 탱크(27)가 설치되어 있는, 냉동 회로(1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25)가,
    간격을 두고 겹쳐지도록 배열된 복수의 편평관과,
    인접하는 상기 편평관에 끼워진 핀을 갖는 적층형 열교환기인, 냉동 회로(11).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25)가,
    사행 형상으로 성형된 편평관과,
    상기 편평관의 서로 인접하는 면의 사이에 끼워진 핀을 갖는 적층형 열교환기인, 냉동 회로(11).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25) 및 상기 실내 열교환기(51)가 모두 크로스핀형 열교환기이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25)의 전열관 직경이 상기 실내 열교환기(51)의 전열관 직경보다도 가늘게 설정되어 있는, 냉동 회로(11).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저류 탱크(27) 내에 저류되는 냉매의 가스 성분을 상기 압축기(21), 혹은 상기 압축기(21)의 흡입측의 냉매 배관으로 유도하는 바이패스로(33)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냉동 회로(1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로(33)는 유량 조정 기구(35)를 갖는, 냉동 회로(11).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저류 탱크(27)가 기액 분리기인, 냉동 회로(11).
KR1020137010694A 2010-09-30 2011-09-22 냉동 회로 KR201300594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22719 2010-09-30
JP2010222719A JP2012077983A (ja) 2010-09-30 2010-09-30 冷凍回路
PCT/JP2011/071612 WO2012043377A1 (ja) 2010-09-30 2011-09-22 冷凍回路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450A true KR20130059450A (ko) 2013-06-05

Family

ID=45892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0694A KR20130059450A (ko) 2010-09-30 2011-09-22 냉동 회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174595A1 (ko)
EP (1) EP2623894A4 (ko)
JP (1) JP2012077983A (ko)
KR (1) KR20130059450A (ko)
CN (1) CN103140728A (ko)
AU (1) AU2011309326A1 (ko)
WO (1) WO2012043377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8367A (ko) 2014-08-08 2016-02-17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다층막을 에칭하는 방법
KR20160119709A (ko) 2015-04-06 2016-10-14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에칭 방법
KR20160140469A (ko) 2015-05-29 2016-12-07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에칭 방법
KR20160140467A (ko) 2015-05-29 2016-12-07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에칭 방법
KR20190022351A (ko) 2017-08-23 2019-03-06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에칭 방법 및 에칭 처리 장치
KR20190026589A (ko) 2017-09-04 2019-03-13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에칭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3407A1 (ja) * 2012-12-28 2014-07-0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6036357B2 (ja) * 2013-02-05 2016-11-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2015078792A (ja) * 2013-10-17 2015-04-2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
AU2014385084B2 (en) 2014-03-07 2017-08-0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conditioning apparatus
US9976785B2 (en) * 2014-05-15 2018-05-22 Lennox Industries Inc. Liquid line charge compensator
US10330358B2 (en) 2014-05-15 2019-06-25 Lennox Industries Inc. System for refrigerant pressure relief in HVAC systems
EP3361184B1 (en) * 2015-10-08 2020-05-0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efrigeration cycle device
JP6620389B2 (ja) * 2017-12-21 2019-12-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
JP6570200B2 (ja) * 2017-12-21 2019-09-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
US10663199B2 (en) 2018-04-19 2020-05-26 Lennox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on manifold charge compensator
US10830514B2 (en) 2018-06-21 2020-11-10 Lennox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e compensator reheat valve
JP2021055958A (ja) * 2019-09-30 2021-04-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EP3862660B1 (en) * 2020-02-06 2024-05-22 Carrier Corporation Heat pump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063A (ja) * 1992-07-02 1994-01-25 Hitachi Ltd 空気調和機
JP3199496B2 (ja) 1992-11-13 2001-08-20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コンデンサ
JPH10318630A (ja) * 1997-05-16 1998-1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JPH11201573A (ja) * 1998-01-08 1999-07-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室型空気調和装置
JP4848608B2 (ja) * 2001-09-12 2011-12-28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媒回路
JP2005233551A (ja) * 2004-02-20 2005-09-02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サイクル装置
JP3861891B2 (ja) * 2004-08-04 2006-12-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3982548B2 (ja) * 2005-08-15 2007-09-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JP4734161B2 (ja) * 2006-04-19 2011-07-2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5011957B2 (ja) * 2006-09-07 2012-08-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1518205B1 (ko) * 2006-11-22 2015-05-08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다른 멀티채널 튜브를 갖는 멀티채널 열 교환기
JP5228637B2 (ja) * 2008-06-11 2013-07-0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の冷媒回収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8367A (ko) 2014-08-08 2016-02-17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다층막을 에칭하는 방법
KR20160119709A (ko) 2015-04-06 2016-10-14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에칭 방법
KR20160140469A (ko) 2015-05-29 2016-12-07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에칭 방법
KR20160140467A (ko) 2015-05-29 2016-12-07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에칭 방법
KR20220099942A (ko) 2015-05-29 2022-07-14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플라즈마 처리 장치
KR20190022351A (ko) 2017-08-23 2019-03-06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에칭 방법 및 에칭 처리 장치
KR20190026589A (ko) 2017-09-04 2019-03-13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에칭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43377A1 (ja) 2012-04-05
AU2011309326A1 (en) 2013-04-18
EP2623894A1 (en) 2013-08-07
CN103140728A (zh) 2013-06-05
JP2012077983A (ja) 2012-04-19
EP2623894A4 (en) 2014-04-09
US20130174595A1 (en) 201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9450A (ko) 냉동 회로
US9897351B2 (en) Air conditioner
US10041705B2 (en) Outdoor device for an air conditioner
JP5617860B2 (ja) 冷凍装置
US9746210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3089179A1 (ja) 冷凍装置
KR101452690B1 (ko) 냉동 장치
EP2568232A2 (en) Air conditioner
JP5625699B2 (ja) 冷凍回路
JP5262916B2 (ja) 熱交換器
JP6273838B2 (ja) 熱交換器
KR100883600B1 (ko) 공기조화기
CN102588289A (zh) 密闭式压缩机
KR102039488B1 (ko) 공기조화기
KR20220035172A (ko) 다중 압축기를 구비한 칠러 시스템
KR101418155B1 (ko) 공기조화기
KR101911261B1 (ko) 공기조화기
KR101622225B1 (ko) 공기조화장치
JP2022054729A (ja) 油分離器および空調装置
JPH11337197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