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662A - 엔진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662A
KR20130037662A KR1020127023237A KR20127023237A KR20130037662A KR 20130037662 A KR20130037662 A KR 20130037662A KR 1020127023237 A KR1020127023237 A KR 1020127023237A KR 20127023237 A KR20127023237 A KR 20127023237A KR 20130037662 A KR20130037662 A KR 20130037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regeneration
exhaust gas
flag tabl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3093B1 (ko
Inventor
야스오 노마
타이치 토가시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7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21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 F02D41/023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2D41/027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to purge or regenerate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2D41/029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to purge or regenerate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being a particulate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computer, e.g. microprocessor
    • F02D41/263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computer, e.g. microprocessor the program execution being modifiable by physical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30/00Influencing exhaust purification, e.g. starting of catalytic reaction, filter regeneration, or the like, by controlling engine operating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9/00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9/002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of filter regeneration, e.g. detection of clog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8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parameters
    • F02D2200/0812Particle filter loa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40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essentially read only memories
    • F02D41/2425Particular ways of programming the data
    • F02D41/2487Methods for rewri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엔진(70)의 구동 제어 및 DPF(50)의 재생 제어를 담당하는 ECU(11)의 범용성을 향상시킨 엔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다. 본원 발명의 엔진 장치는 엔진(70)의 배기 경로에 배치된 배기가스 정화 장치(50)와, 상기 엔진(70)의 구동을 제어하는 ECU(11)와,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50)에 대한 복수의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범용 재생 프로그램(GPM)과, 임의의 재생 모드에 대응하는 플래그 테이블(FT)을 기억하는 재기록 가능한 가변 기억 수단(33)을 구비한다. 상기 ECU(11)가 상기 플래그 테이블(FT)에 의거하여 선택되는 재생 모드에 의해 상기 범용 재생 프로그램(GPM)을 실행한다.

Description

엔진 장치{ENGINE DEVICE}
본원 발명은, 예를 들면 엔진 발전기, 농작업기 및 건설기계와 같은 작업기에 탑재되는 엔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디젤엔진(이하 간단히 엔진이라고 한다)에 관한 고차원의 배기가스 규제가 적용됨에 따라 엔진이 탑재되는 엔진 발전기, 농작업기 및 건설기계 등에 배기가스 중의 대기 오염 물질을 정화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탑재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로서는 디젤 파티큘레이트 필터(이하, DPF라고 한다)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및 2 참조). DPF는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이하, PM이라고 한다) 등을 포집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DPF에서 포집된 PM이 규정량을 초과하면 DPF 내의 유통 저항이 증대하여 엔진 출력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배기가스의 승온에 의해 DPF에 퇴적된 PM을 제거하여 DPF의 PM 포집 능력을 회복시키는(DPF를 재생시키는) 것도 자주 행하여지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0-14543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3-27922호 공보
그런데, 엔진은 예를 들면 엔진 발전기나 컴프레서, 농작업기 및 건설기계와 같은 다종 다양한 작업기에 탑재된다. 이 때문에, DPF가 장착된 엔진에 있어서 DPF의 재생에 요구되는 사양(필요한 엔진 보조 기계 등)은 탑재 대상인 작업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고, ECU에서 실행되는 DPF 재생용 제어 프로그램도 작업기별로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가령 엔진의 형식 및 ECU의 하드웨어로서의 사양이 같아도 ECU에 기억되는 제어 프로그램이 작업기별로 다르기 때문에 ECU의 범용성이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조사는 엔진 제조시에 여러 가지 ECU를 작업기별로 관리해야할 뿐만 아니라 엔진 출하 후에도 고장 대응이나 메인터넌스용으로 작업기별 ECU를 부품 재고로서 보관해야만 한다. 따라서, 관리·보관 비용도 높아졌었다.
그래서, 본원 발명은 이러한 현재의 상태를 검토해서 개선을 실시한 엔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엔진의 배기 경로에 배치된 배기가스 정화 장치와, 상기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ECU를 구비하고 있는 엔진 장치로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대한 복수의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범용 재생 프로그램과, 임의의 재생 모드에 대응하는 플래그 테이블을 기억하는 재기록 가능한 가변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ECU가 상기 플래그 테이블에 의거해 선택되는 재생 모드에 의해 상기 범용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한다고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 테이블을 미리 고정적으로 기억한 고정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고정 기억 수단과 상기 가변 기억 수단의 최초의 액세스시에 상기 고정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플래그 테이블이 상기 가변 기억 수단에 기록된다는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재생 모드로서 적어도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가 재생 가능한 조건 하에서 상기 엔진을 구동시키는 자기 재생 모드와,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막힘 정도가 규정 수준을 넘었을 경우에 자동적으로 배기가스를 승온시키는 자동 보조 재생 모드와, 수동 조작 수단의 온(on) 조작에 의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재생을 허가하는 수동 보조 재생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는 것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범용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재생에 관련된 엔진 보조 기계의 고장 진단의 필요 여부가 상기 플래그 테이블에 대응해서 선택된다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엔진의 배기 경로에 배치된 배기가스 정화 장치와, 상기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ECU를 구비하고 있는 엔진 장치로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대한 복수의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범용 재생 프로그램과, 임의의 재생 모드에 대응하는 플래그 테이블을 기억하는 재기록 가능한 가변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ECU가 상기 플래그 테이블에 의거해 선택되는 재생 모드에 의해 상기 범용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때문에 1종류의 상기 범용 재생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 테이블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작업기의 종류마다 다른 재생 모드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다종 다양한 작업기에 대하여 상기 ECU의 공용화(공통 사양화)를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즉, 상기 ECU의 범용성 향상이라고 하는 메리트와, 상기 ECU의 각 재생 모드에 대한 적합성 확보라고 하는 메리트를 양립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여러 가지 작업기의 종류별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재생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지 않아도 되어 비용 억제에 기여한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또한, 프로그래밍에 특별한 지식이 없어도 상기 플래그 테이블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상기 범용 재생 프로그램을 작업기의 종류별로 대응한 것으로 간단하게 스위칭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객(엔진 구입 제조사)의 희망에 따른 엔진 장치의 제공이 용이해진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 테이블을 미리 고정적으로 기억시킨 고정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고정 기억 수단과 상기 가변 기억 수단의 최초의 액세스시에 상기 고정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플래그 테이블이 상기 가변 기억 수단에 기록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가변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플래그 테이블을 후에 재기록함으로써 초기 설정과 다른 재생 모드로 DPF 재생 제어를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재생 모드를 변경하고 싶을 경우에 상기 플래그 테이블을 예를 들면 상기 고정 기억 수단의 교환 등으로 일일이 삭제하거나, 상기 범용 재생 프로그램을 재기록하거나 하지 않아도 되어 여러 가지 작업기의 시스템에 대처하기 쉽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예를 들면 고객에 있어서는 외부로부터 구입한 엔진임에도 불구하고, 자사 사양에 적합한 설정으로 수정하기 쉬운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재생 모드로서 적어도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가 재생 가능한 조건 하에서 상기 엔진을 구동시키는 자기 재생 모드와,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막힘 정도가 규정 수준을 넘었을 경우에 자동적으로 배기가스를 승온시키는 자동 보조 재생 모드와, 수동 조작 수단의 온 조작에 의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재생을 허가하는 수동 보조 재생 모드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타입의 작업기에 적합한 복수의 재생 모드를 1종류의 엔진 장치의 시스템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고객 만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엔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범용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재생에 관련된 엔진 보조 기계의 고장 진단의 필요 여부가 상기 플래그 테이블에 대응해서 선택되기 때문에, 재생 모드의 차이에 의하여 상기 엔진 보조 기계의 유무가 바뀌어도 1종류의 상기 범용 재생 프로그램만으로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엔진 보조 기계의 고장 진단을 실행할 수 있고,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엔진 보조 기계의 고장 진단을 생략할 수 있다. 즉, 세세한 설정 조작 등을 하지 않아도 상기 엔진 보조 기계의 유무에 따라 고장 진단의 실행·생략을 간단하게 스위칭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엔진의 연료 계통 설명도이다.
도 2는 엔진 및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도 3은 출력 특성 맵의 설명도이다.
도 4는 각 재생 모드에 대응한 플래그 테이블의 설명도이고, (a)는 자기 재생용 플래그 테이블, (b)는 자동 보조 재생용 플래그 테이블, (c)는 수동 보조 재생용 플래그 테이블의 도면이다.
도 5는 표시 패널의 설명도이다.
도 6은 DPF 재생 제어에 대한 기본 프로그램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7은 범용 재생 프로그램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8은 자기 재생 모드의 플로 차트이다.
도 9는 자동 보조 재생 모드의 플로 차트이다.
도 10은 수동 보조 재생 모드의 플로 차트이다.
도 11은 고장 진단 처리의 플로 차트이고, (a)는 자기 재생 모드에 대응한 것, (b)는 자동 및 수동 보조 재생 모드에 대응한 것이다.
이하에, 본원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1). 엔진 및 그 주변의 구조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엔진 및 그 주변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70)은 4기통형의 디젤 엔진이고, 상면에 실린더헤드(72)가 체결된 실린더블록(75)을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헤드(72)의 일측면에는 흡기 매니폴드(73)가 접속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배기 매니폴드(71)가 접속되어 있다. 실린더블록(75)의 측면 중 흡기 매니폴드(73)의 하방에는 엔진(70)의 각 기통에 연료를 공급하는 커먼레일 시스템(117)이 설치되어 있다. 흡기 매니폴드(73)의 흡기 상류측에 접속된 흡기관(76)에는 엔진(70)의 흡기압(흡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흡기 스로틀 장치(81)와 에어 클리너(도시생략)가 접속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70)에 있어서의 4기통분의 각 인젝터(115)에 커먼레일 시스템(117) 및 연료 공급 펌프(116)를 통하여 연료 탱크(118)가 접속된다. 각 인젝터(115)는 전자 개폐 제어형 연료 분사 밸브(119)를 구비하고 있다. 커먼레일 시스템(117)은 원통 형상의 커먼레일(120)을 구비하고 있다. 연료 공급 펌프(116)의 흡입측에는 연료 필터(121) 및 저압관(122)을 통하여 연료 탱크(118)가 접속되어 있다. 연료 탱크(118) 내의 연료가 연료 필터(121) 및 저압관(122)을 통하여 연료 공급 펌프(116)에 흡입된다. 실시형태의 연료 공급 펌프(116)는 흡기 매니폴드(73)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연료 공급 펌프(116)의 토출측에는 고압관(123)을 통하여 커먼레일(120)이 접속되어 있다. 커먼레일(120)에는 4개의 연료 분사관(126)을 통하여 4기통분의 인젝터(115)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연료 탱크(118)의 연료는 연료 공급 펌프(116)에 의해 커먼레일(120)로 압송되고, 고압의 연료가 커먼레일(120)에 축적된다. 각 연료 분사 밸브(119)가 각각 개폐 제어됨으로써 커먼레일(120) 내의 고압 연료가 각 인젝터(115)로부터 엔진(70)의 각 기통으로 분사된다. 즉, 각 연료 분사 밸브(119)를 전자제어함으로써 각 인젝터(115)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의 분사 압력, 분사 시기, 분사 기간(분사량)이 고정밀하게 컨트롤된다. 따라서, 엔진(70)으로부터의 질소산화물(NOx)을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엔진(70)의 소음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탱크(118)에는 연료 회송관(129)을 통하여 연료 공급 펌프(116)가 접속되어 있다. 원통 형상의 커먼레일(120)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커먼레일(120) 내의 연료의 압력을 제한하는 회송관 커넥터(130)를 통하여 커먼레일 회송관(131)이 접속되어 있다. 즉, 연료 공급 펌프(116)의 잉여 연료와 커먼레일(120)의 잉여 연료가 연료 회송관(129) 및 커먼레일 회송관(131)을 통하여 연료 탱크(118)로 회수되게 된다.
배기 매니폴드(71)의 배기 하류측에 접속된 배기관(77)에는 엔진(70)의 배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배기 스로틀 장치(82)와,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일례인 디젤 파티큘레이트 필터(50)(이하, DPF라고 한다)가 접속된다. 각 기통으로부터 배기 매니폴드(71)로 배출된 배기가스는 배기관(77), 배기 스로틀 장치(82) 및 DPF(50)를 경유해서 정화 처리된 후에 외부로 방출된다.
DPF(50)는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이하, PM이라고 한다) 등을 포집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형태의 DPF(50)는 내열금속 재료제의 케이싱(51) 내에 있는 대략 통형의 필터 케이스(52)에, 예를 들면 백금 등의 디젤 산화 촉매(53)와 매연 필터(soot filter)(54)를 직렬로 나란히 수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실시형태에서는 필터 케이스(52) 내 중 배기 상류측에 디젤 산화 촉매(53)가 배치되고, 배기 하류측에 매연 필터(54)가 배치되어 있다. 매연 필터(54)는 다공질의(여과 가능한) 격벽으로 구획된 다수의 셀을 갖는 벌집 구조로 되어 있다.
케이싱(51)의 일측부에는 배기관(76) 중 배기 스로틀 장치(82)보다 배기 하류측으로 연통되는 배기 도입구(55)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51)의 일단부는 제 1 저판(56)에 의해 폐쇄되고, 필터 케이스(52) 중 제 1 저판(56)에 면하는 일단부는 제 2 저판(57)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케이싱(51)과 필터 케이스(52) 사이의 환상 간극, 및 양 저판(56, 57) 사이의 간극에는 글라스울과 같은 단열재(58)가 디젤 산화 촉매(53) 및 매연 필터(54)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충전되어 있다. 케이싱(51)의 타측부는 2매의 덮개판(59, 60)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이들 양 덮개판(59, 60)을 대략 통형의 배기 배출구(61)가 관통하고 있다. 또한, 양 덮개판(59, 60) 사이는 필터 케이스(52) 내에 복수의 연통관(62)을 통하여 연통되는 공명실(63)로 되어 있다.
케이싱(51)의 일측부에 형성된 배기 도입구(55)에는 배기가스 도입관(65)이 삽입되어 있다. 배기가스 도입관(65)의 선단은 케이싱(51)을 횡단해서 배기 도입구(55)와 반대측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배기가스 도입관(65)의 외주면에는 필터 케이스(52)를 향해서 개구되는 복수의 연통 구멍(66)이 형성되어 있다. 배기가스 도입관(65) 중 배기 도입구(55)와 반대측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부분은 이것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 뚜껑체(67)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DPF(50)에는 검출 수단의 일례로서 매연 필터(54)의 막힘 상태를 검출하는 차압 센서(68)가 설치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차압 센서(68)는 DPF(50) 내에 있어서의 매연 필터(54)를 사이에 두고 상하류 간의 압력차(차압)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 경우, 배기가스 도입관(65)의 뚜껑체(67)에 차압 센서(68)를 구성하는 상류측 배기압 센서(68a)가 장착되고, 매연 필터(54)와 공명실(63) 사이에 하류측 배기압 센서(68b)가 장착되어 있다. DPF(50) 상하류 간의 압력차와 DPF(50) 내의 PM 퇴적량 간에 일정한 법칙성이 있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차압 센서(68)에서 검출되는 압력차로부터 DPF(50) 내의 PM 퇴적량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 결과에 의거하여 흡기 스로틀 장치(81), 배기 스로틀 장치(82) 및 커먼레일(120)을 작동시킴으로써 매연 필터(54)의 재생 제어(DPF 재생 제어)가 실행된다.
또한, 매연 필터(54)의 막힘 상태를 검출하는 것은 차압 센서(68)에 한정되지 않고, DPF(50) 내에 있어서의 매연 필터(54) 상류측의 압력을 검출하는 배기압 센서라도 된다. 배기압 센서를 채용한 경우에는 매연 필터(54)에 PM이 퇴적되어 있지 않은 신품일 때의 매연 필터(54) 상류측의 압력(기준 압력)과, 배기압 센서에서 검출된 현재의 압력을 비교함으로써 매연 필터(54)의 막힘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엔진(5)으로부터의 배기가스는 배기 도입구(55)를 통하여 배기가스 도입관(65)으로 들어가고, 배기가스 도입관(65)에 형성된 각 연통 구멍(66)으로부터 필터 케이스(52) 내로 분출되고, 필터 케이스(52) 내의 넓은 영역으로 분산된 후에 디젤 산화 촉매(53)로부터 매연 필터(54)의 순서로 통과해서 정화 처리된다. 배기가스 중의 PM은 이 단계에서 매연 필터(54)에 있어서의 각 셀 간의 다공질의 칸막이벽을 빠져나갈 수 없고 포집된다. 그 후, 디젤 산화 촉매(53) 및 매연 필터(54)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배기 배출구(61)로부터 방출된다.
배기가스가 디젤 산화 촉매(53) 및 매연 필터(54)를 통과할 때에 배기가스 온도가 재생 가능 온도(예를 들면 약 300℃)를 초과하고 있으면 디젤 산화 촉매(53)의 작용으로 배기가스 중의 NO(일산화질소)가 불안정한 NO2(이산화질소)로 산화한다. 그리고, NO2가 NO로 돌아갈 때에 방출하는 O(산소)에 의해 매연 필터(54)에 퇴적된 PM을 산화 제거함으로써 매연 필터(54)의 PM 포집 능력이 회복되게{매연 필터(54)[DPF(50)]가 재생되게} 된다.
(2). 엔진의 제어 관련 구성
이어서, 도 1~도 5를 참조하면서 엔진(70)의 제어 관련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70)에 있어서의 각 기통의 연료 분사 밸브(119)를 작동시키는 ECU(11)를 구비하고 있다. ECU(11)는 각종 연산 처리나 제어를 실행하는 CPU(31) 이외에 각종 데이터를 미리 고정적으로 기억한 고정 기억 수단으로서의 ROM(32), 후술하는 복수의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범용 재생 프로그램(GPM) 등을 기억하는 재기록 가능한 가변 기억 수단으로서의 EEPROM(33),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시키는 RAM(34), 시간 계측용 타이머(35),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하고 있고, 엔진(70)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된다.
ECU(11)의 입력측에는 적어도 커먼레일(120) 내의 연료 압력을 검출하는 레일압 센서(12)와, 연료 펌프(116)를 회전 또는 정지시키는 전자 클러치(13)와, 엔진(70)의 회전 속도[크랭크축(74)의 캠축 위치]를 검출하는 엔진 속도 센서(14)와, 인젝터(115)의 연료 분사 횟수(1행정의 연료 분사 기간 중의 횟수)를 검출 및 설정하는 분사 설정기(15)와, 스로틀 레버 또는 액셀 페달과 같은 액셀 조작구(도시생략)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스로틀 위치 센서(16)와, 흡기 경로 중의 흡기 온도를 검출하는 흡기 온도 센서(17)와, 배기 경로 중의 배기가스 온도를 검출하는 배기 온도 센서(18)와, 엔진(70)의 냉각수 온도를 검출하는 냉각수 온도 센서(19)와, 커먼레일(120) 내의 연료 온도를 검출하는 연료 온도 센서(20)와, 후술하는 수동 보조 재생 모드의 실행의 가부를 선택 조작하는 수동 조작 수단으로서의 재생 스위치(21)와, 차압 센서(68)[상류측 배기압 센서(68a) 및 하류측 배기압 센서(68b)]가 접속되어 있다.
ECU(11)의 출력측에는 적어도 4기통분의 각 연료 분사 밸브(119)의 전자 솔레노이드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즉, 커먼레일(120)에 축적한 고압 연료가 연료 분사 압력, 분사 시기 및 분사 기간 등을 제어하면서 1행정 중에 복수회로 나누어서 연료 분사 밸브(119)로부터 분사됨으로써 질소산화물(NOx)의 발생을 억제함과 아울러 매연이나 이산화탄소 등의 발생도 저감한 완전 연소를 실행하여 연비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ECU(11)의 출력측에는 엔진(70)의 흡기압(흡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흡기 스로틀 장치(81), 엔진(70)의 배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배기 스로틀 장치(82), ECU(11)의 고장을 경고 통지하는 ECU 고장 램프(22), 배기가스 온도의 이상 고온을 통지하는 배기 온도 경고 램프(23), 및 후술하는 각 재생 모드의 실행에 따라 점등되는 재생 램프(24)가 접속되어 있다. 각 램프(22~24)의 명멸에 관한 데이터는 미리 ECU(11)의 EEPROM(33)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 스위치(21) 및 각 램프(22~24)는 엔진 탑재 대상의 작업기에 설치된 계기 패널(40)에 설치되어 있다.
ECU(11)의 EEPROM(33)에는 엔진(70)의 회전 속도(N)와 토크(T)(부하)의 관계를 나타내는 출력 특성 맵(M)(도 3 참조)이 미리 기억되어 있다. EEPROM(33)에는 DPF(50) 재생 제어에 대한 메인 프로그램(MPM)(도 6 참조), 및 복수의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범용 재생 프로그램(GPM)(도 7 참조)도 미리 기억되어 있다. 이들 프로그램 MPM, GPM의 흐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출력 특성 맵(M)은 실험 등으로 구해진다. 도 3에 나타내는 출력 특성 맵(M) 에서는 회전 속도(N)를 가로축에, 토크(T)를 세로축에 나타내고 있다. 출력 특성 맵(M)은 상향으로 볼록하게 그려진 실선(Tmx)으로 둘러싸인 영역이다. 실선(Tmx)은 각 회전 속도(N)에 대한 최대 토크를 나타낸 최대 토크선이다. 이 경우, 엔진(70)의 형식이 같으면 ECU(11)에 기억되는 출력 특성 맵(M)은 모두 동일(공통)한 것이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 특성 맵(M)은 배기가스 온도가 재생 경계온도(약 300℃ 정도)인 경우에 있어서의 회전 속도(N)와 토크(T)의 관계를 나타낸 경계 라인(BL)에 의해 상하로 분단된다. 경계 라인(BL)을 사이에 두고 상측의 영역은 매연 필터(54)에 퇴적된 PM을 산화 제거할 수 있는[산화 촉매(53)의 산화 작용이 나타나는] 재생 가능 영역이고, 하측의 영역은 PM이 산화 제거되지 않아 매연 필터(54)에 퇴적되는 재생 불능 영역이다.
ECU(11)는 기본적으로 엔진 속도 센서(14)에서 검출되는 회전 속도(N)와 스로틀 위치 센서(16)에서 검출되는 스로틀 위치로부터 토크(T)를 구하고, 토크(T)와 출력 특성 맵(M)을 이용하여 목표 연료 분사량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 결과에 의거해 커먼레일 시스템(117)을 작동시킨다고 하는 연료 분사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연료 분사량은 각 연료 분사 밸브(119)의 밸브 개방 기간을 조절하여 각 인젝터(115)에의 분사 기간을 변경함으로써 조절된다.
ECU(11)의 ROM(32)에는 DPF(50) 재생 제어에 관한 각 재생 모드에 대응하는 플래그 테이블(FT)이 미리 기억되어 있다. 도 4(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그 테이블(FT)은 재생 모드의 종류별로 존재하는 것이고, 재생 모드의 식별 인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ROM(32)에는 재생 모드의 종류별, 즉 엔진 탑재 대상인 작업기에 대응한 1종류의 플래그 테이블(FT)이 ECU(11)에 통신 단말선을 통하여 접속되는 ROM 라이터 등의 외부 툴(39)을 이용하여 엔진 출하 전(엔진 제조시)에 기록된다.
엔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는 재생 모드로서는 적어도 DPF(50)가 재생 가능한 조건 하에서 엔진(70)을 구동시키는 자기 재생 모드와, DPF(50)의 막힘 정도가 규정 수준을 넘었을 경우에 자동적으로 배기가스를 승온시키는 자동 보조 재생 모드와, 재생 스위치(21)의 온 조작에 의해 DPF(50)의 재생을 허가하는 수동 보조 재생 모드가 있다. 자기 재생 모드는 주로 거의 일정한 회전 속도(N) 및 토크(T)로 엔진(70)을 구동시키는 엔진 발전기 등의 작업기에서 사용된다. 자동 보조 재생 모드는 주로 콤바인이나 트랙터 등의 일반적인 작업기에서 사용된다. 수동 보조 재생 모드는 주로 엔진음을 의지하여 정밀 작업을 실행하는 유압셔블 등의 작업기에서 사용된다. 여기에서, 자기 재생 모드에 있어서의 「재생 가능한 조건 하」란 엔진(70)에 있어서의 회전 속도(N)와 토크(T)의 관계가 출력 특성 맵(M)의 재생 가능영역[경계 라인(BL)을 사이에 두고 상측의 영역]에 있고, DPF(50) 내에서의 PM 산화량이 PM 포집량을 상회하는 정도로 엔진(70)의 배기가스 온도가 높은 상태를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엔진 탑재 대상이 예를 들면 엔진 발전기인 경우 ROM(32)에는 자기 재생 모드에 대응한 자기 재생용 플래그 테이블(FT1)[도 4(a) 참조]이 기억된다. 엔진 탑재 대상이 예를 들면 콤바인인 경우 ROM(32)에는 자동 보조 재생 모드에 대응한 자동 보조 재생용 플래그 테이블(FT2)[도 4(b) 참조]이 기억된다. 엔진 탑재 대상이 예를 들면 유압셔블인 경우 ROM(32)에는 수동 보조 재생 모드에 대응한 수동 보조 재생용 플래그 테이블(FT3)[도 4(c) 참조]이 기억된다. 또한, 상기 설명과 같이 플래그 테이블을 종류별로 표현할 경우에는 부호 FT에 숫자를 붙임으로써 각각 대응하는 재생 모드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플래그 테이블을 통틀어서 표현하거나 임의의 플래그 테이블을 표현하거나 할 때는 숫자를 뗀 「FT」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ROM(32)에 기억된 1종류의 플래그 테이블(FT)은 ROM(32)과 EEPROM(33)의 최초의 액세스시, 즉 처음으로 작업기에 전원 투입해서 ROM(32) 및 EEPROM(33)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었을 때에 EEPROM(33)측에 기록된다(카피된다). 상기 기록 프로세스는 ECU(11)가 메인 프로그램(MPM)을 실행할 때에 행하여진다(도 6 참조). ECU(11) 는 EEPROM(33)측에 기록된 플래그 테이블(FT)에 의거해 재생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재생 모드에서 범용 재생 프로그램(GPM)을 실행하게 된다(도 7 참조).
(3). 메인 처리의 형태
이어서, 도 6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면서 ECU(11)에 의한 DPF 재생 제어의 메인 처리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의 플로 차트에서 나타내는 알고리즘은 EEPROM(33)에 메인 프로그램(MPM)으로서 기억되어 있고, RAM(34)에 호출된 후에 CPU(31)에서 실행된다. 이 경우, 작업기의 전원 투입에 의해 메인 프로그램(MPM)이 기동하고, ROM(32)과 EEPROM(33)의 액세스가 처음이면(S1 : YES) ROM(32)에 기억된 1종류의 플래그 테이블(FT)을 EEPROM(33)측에 기록한다(S2). 이어서, 범용 재생 프로그램(GPM)을 호출하고, EEPROM(33)측에 기록된 플래그 테이블(FT)에 의거해 재생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재생 모드로 범용 재생 프로그램(GPM)에 의거한 루프 처리(DPF 재생 제어)를 실행한다(S3). 그 후, ECU(11)에 외부 툴(39)이 접속되어 있으면 외부 툴(39)을 이용하여 EEPROM(33)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플래그 테이블(FT)나 범용 재생 프로그램(GPM) 등]를 재기록하거나 하는 갱신 처리를 실행한다(S4).
상기 제어에 의하면 EEPROM(33)에 기억된 플래그 테이블(FT)을 후에 재기록함으로써 초기 설정과 다른 재생 모드로 DPF 재생 제어를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재생 모드를 변경하고 싶을 경우에 플래그 테이블(FT)을 예를 들면 ROM(32)의 교환 등으로 일일이 삭제하거나, 범용 재생 프로그램(GPM)을 재기록하거나 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여러 가지 작업기의 시스템에 대처하기 쉽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예를 들면 고객(엔진 구입 제조사)에 있어서는 외부로부터 구입한 엔진(70)임에도 불구하고 자사 사양에 적합한 설정으로 수정하기 쉬운 것이다.
(4). 루프 처리의 제 1 실시예
이어서, 도 7, 도 8 및 도 11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면서 ECU(11)에 의한 DPF 재생 제어의 루프 처리의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는 자기 재생 모드를 실행하는 타입의 작업기(예를 들면 엔진 발전기 등)에 엔진(70)을 탑재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작업기에서는 거의 일정한 회전 속도(N) 및 토크(T)로 엔진(70)을 구동시키기 때문에 DPF(50) 내에서의 PM 산화량이 PM 포집량을 상회하는 정도로 엔진(70)의 배기가스 온도가 고온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 1 실시예의 엔진 장치에서는 흡기 스로틀 장치(81), 배기 스로틀 장치(82) 및 재생 스위치(21)가 생략되어 있다.
도 7, 도 8 및 도 11의 플로 차트에서 나타내는 알고리즘은 EEPROM(33)에 범용 재생 프로그램(GPM)으로서 기억되어 있다. 도 8의 자기 재생 모드의 플로 차트, 및 도 11(a)(b)의 고장 진단 처리의 플로 차트는 모두 범용 재생 프로그램(GPM)의 서브루틴이다. 범용 재생 프로그램(GPM)은 EEPROM(33)으로부터 RAM(34)으로 판독되어서 CPU(31)에서 실행된다. 또한, 범용 재생 프로그램(GPM)은 재생 모드의 차이에 의해 서브루틴(도 8~도 11 참조)이 변경되지만 후술하는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도 공통인 것이 사용된다.
제 1 실시예의 루프 처리에서는 우선 EEPROM(33)으로부터 판독된 자기 재생용 플래그 테이블(FT1) 중의 모드 선택 플래그(RGMOD)의 값을 판별한다(S11). 제 1 실시예에서는 모드 선택 플래그(RGMOD)의 값이 「0」이기 때문에 도 8에 나타내는 자기 재생 모드의 서브루틴을 호출하고, 자기 재생 처리를 실행한다(S12). 자기 재생 모드의 서브루틴에서는 DPF(50)가 「재생 가능한 조건 하」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S201), 「재생 가능한 조건 하」에 있으면(S201 : YES) 계기 패널(40) 상의 재생 램프(24)를 점등시켜(S202) DPF(50)의 자기 재생이 순조롭다는 취지를 오퍼레이터에 알린다. 그 후, 루프 처리의 메인 루틴으로 돌아가고, 모드 선택 플래그(RGMOD)의 값을 다시 한번 판별한다(S15). 이 경우에는 RGMOD=「0」이기 때문에 도 11(a)에 나타내는 서브루틴을 호출하고, 제 1 고장 진단 처리를 실행한다(S16).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 재생 모드를 실행하는 타입의 작업기에는 DPF(50)의 재생에 이용되는 엔진 보조 기계, 즉 흡기 및 배기 스로틀 장치(81, 82)가 생략되어 있기 때문에 고장 진단의 대상이 되는 기기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1(a)의 플로 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고장 진단 처리에서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종료하고, 루프 처리의 메인 루틴으로 돌아가서 완료한다.
(5). 루프 처리의 제 2 실시예
이어서, 도 9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면서 ECU(11)에 의한 DPF 재생 제어의 루프 처리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예는 자동 보조 재생 모드를 실행하는 타입의 작업기(예를 들면 콤바인 등)에 엔진(70)을 탑재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자동 보조 재생 모드에서는 DPF(50)의 막힘 정도가 규정 수준을 넘었을 경우에 자동적으로 배기가스를 승온시키기 때문에 제 2 실시예의 엔진 장치에서는 흡기 및 배기 스로틀 장치(81, 82)를 구비하고 있지만 재생 모드를 실행할지의 여부를 오퍼레이터의 의사로 선택하는 재생 스위치(21)가 생략되어 있다.
제 2 실시예의 루프 처리에 있어서는 모드 선택 플래그(RGMOD)의 값이 「1」이기 때문에 도 9에 나타내는 자동 보조 재생 모드의 서브루틴을 호출하고, 자동 보조 재생 처리를 실행한다(S13). 자동 보조 재생 모드의 서브루틴에서는 우선 차압 센서(68)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의거해 DPF(50) 내의 PM 퇴적량을 추정하고(S301), 상기 추정 결과가 한계량(규정 수준)을 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302). 한계량을 넘으면(S302 : YES) 초과된 후의 시간을 타이머(35)로 계측 개시하고(S303), 소정 시간(예를 들면 10초)을 경과할 때까지는(S304 : NO) 재생 램프(24)를 점멸시켜(S305) 오퍼레이터에 DPF(50)의 재생을 예고해 둔다.
소정 시간을 경과하면(S304 : YES) 타이머(35)에 의한 계측을 종료하고 재생 램프(24)를 점등시키고(S306), EEPROM(33)으로부터 판독된 자동 보조 재생용 플래그 테이블(FT2) 중의 흡기 스로틀 플래그(INTSLT)의 값을 판별한다(S307). 제 2 실시예에서는 흡기 스로틀 장치(81)를 구비하고 있고 INTSLT=「1」이기 때문에 흡기 스로틀 장치(81)의 개방도를 소정 개방도까지 밸브를 폐쇄해서 각 기통으로의 흡기량을 제한한다(S308). 그 후, 배기 스로틀 플래그(OUTSLT)의 값을 판별한다(S309). 제 2 실시예에서는 배기 스로틀 장치(82)를 구비하고 있고 OUTSLT=「1」이기 때문에 배기 스로틀 장치(82)의 개방도를 소정 개방도까지 밸브를 폐쇄해서 배기가스의 배출을 억제한다(S310).
이어서, 포스트 분사 플래그(APSTINJ)의 값을 판별한다(S311). 여기에서, 포스트 분사란 배기 경로에 고압 연료를 송출하기 위해서 메인 분사 후에 행하여지는 연료 분사이다. 배기 경로로 송출된 고압 연료는 주로 DPF(50) 내의 PM을 연소시키기 때문에 DPF(50)를 재생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연료 분사 장치로서 커먼레일(120)을 구비하고 있고 APSTINJ=「1」이기 때문에 커먼레일(120)에 의해 포스트 분사를 실행한다(S312). 이렇게 자동 재생 보조 모드에서는 흡기량 및 배기량의 제한에 의해 엔진 부하를 증대시켜서 배기가스를 승온시키거나, 포스트 분사에 의해 DPF(50) 내의 PM을 직접 연소시키거나 한다. 그 결과, DPF(50) 내의 PM이 제거되고, DPF(50)[매연 필터(54)]의 PM 포집 능력이 회복된다.
그 후, 루프 처리의 메인 루틴으로 돌아가고, 모드 선택 플래그(RGMOD)의 값을 한번 더 판별한다(S15). 이 경우에는 RGMOD=「1」이기 때문에 도 11(b)에 나타내는 서브루틴을 호출하고, 제 2 고장 진단 처리를 실행한다(S17). 제 2 실시예에서는 흡기 및 배기 조절 장치(81, 82)의 양쪽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 2 고장 진단 처리에 있어서는 흡기 스로틀 플래그(INTSLT)의 값을 판별한다(S501). 이 경우도 INTSLT=「1」이기 때문에 흡기 스로틀 장치(81)의 고장 진단을 실행한다(S502). 이어서, 배기 스로틀 플래그(OUTSLT)의 값을 판별한다(S503). 이 경우도 OUTSLT =「1」이기 때문에 흡기 스로틀 장치(81)의 고장 진단을 실행한다(S504). 각 스로틀 장치(81, 82)의 고장 진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각 스로틀 장치(81, 82)를 개폐 작동시키고, 그 작동 상태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검출 결과로부터 확인하면 된다. 그 후, 루프 처리의 메인 루틴으로 돌아가서 완료된다.
(6). 루프 처리의 제 3 실시예
이어서, 도 10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면서 ECU(11)에 의한 DPF 재생 제어의 루프 처리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3 실시예는 수동 보조 재생 모드를 실행하는 타입의 작업기(예를 들면 유압셔블 등)에 엔진(70)을 탑재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수동 보조 재생 모드에서는 재생 스위치(21)의 온 조작에 의해 DPF(50)의 재생을 허가하기 때문에 제 3 실시예의 엔진 장치에서는 흡기 및 배기 스로틀 장치(81, 82)뿐만 아니라 재생 스위치(21)도 구비하고 있다.
제 3 실시예의 루프 처리에 있어서는 모드 선택 플래그(RGMOD)의 값이 「2」이기 때문에 도 10에 나타내는 수동 보조 재생 모드의 서브루틴을 호출하여 수동 보조 재생 처리를 실행한다(S14). 수동 보조 재생 모드의 서브루틴에서는 우선 차압 센서(68)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의거해 DPF(50) 내의 PM 퇴적량을 추정하고(S401), 상기 추정 결과가 한계량(규정 수준)을 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S402). 한계량을 넘고 있으면(S402 : YES) 재생 램프(24)를 점멸시키고(S403), DPF(50)의 막힘 상태가 한계량을 넘은 취지를 오퍼레이터에게 알린다.
이어서, 재생 스위치(24)를 온 조작하면(S404 : YES) 재생 램프(24)를 점등시키고(S405), EEPROM(33)으로부터 판독된 수동 보조 재생용 플래그 테이블(FT3) 중의 흡기 스로틀 플래그(INTSLT)의 값을 판별한다(S406). 스텝 S406~S411의 흐름은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자동 보조 재생 모드의 스텝 S307~S312의 흐름과 같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411의 후에는 루프 처리의 메인 루틴으로 돌아가 모드 선택 플래그(RGMOD)의 값을 다시 한번 판별한다(S15). 이 경우에는RGMOD=「2」이기 때문에 도 11(b)에 나타내는 서브루틴을 호출하여 제 2 고장 진단 처리를 실행한다(S17). 그 후, 루프 처리의 메인 루틴으로 돌아가서 완료한다.
(7). 정리
상기 기재 및 도 1~도 7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70)의 배기 경로에 배치된 배기가스 정화 장치(50)와, 상기 엔진(70)의 구동을 제어하는 ECU(11)를 구비하고 있는 엔진 장치로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50)에 대한 복수의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범용 재생 프로그램(GPM)과, 임의의 재생 모드에 대응하는 플래그 테이블(FT)을 기억하는 재기록 가능한 가변 기억 수단(33)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ECU(11)가 상기 플래그 테이블(FT)에 의거해 선택되는 재생 모드로 상기 범용 재생 프로그램(GPM)을 실행하기 때문에 1종류의 상기 범용 재생 프로그램(GPM)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 테이블(FT)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작업기의 종류마다 다른 재생 모드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다종 다양한 작업기에 대하여 상기 ECU(11)의 공용화(공통 사양화)가 도모된다는 효과를 얻는다. 즉, 상기 ECU(11)의 범용성 향상이라고 하는 메리트와, 상기 ECU(11)의 각 재생 모드에 대한 적합성 확보라고 하는 메리트를 양립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여러 가지 작업기의 종류별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50)의 재생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지 않아도 되어 비용 억제에 기여한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프로그래밍에 특별한 지식이 없어도 상기 플래그 테이블(FT)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상기 범용 재생 프로그램(GPM)을 작업기의 종류별로 대응한 것으로 간단하게 스위칭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객(엔진 구입 제조사)의 희망에 따른 엔진 장치의 제공이 용이해진다.
상기 기재 및 도 1~도 6으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플래그 테이블(FT)을 미리 고정적으로 기억한 고정 기억 수단(32)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고정 기억 수단(32)과 상기 가변 기억 수단(33)의 최초의 액세스시에 상기 고정 기억 수단(32)에 기억된 상기 플래그 테이블(FT)이 상기 가변 기억 수단(33)에 기록되기 때문에 상기 가변 기억 수단(33)에 기억된 상기 플래그 테이블(FT)을 후에 재기록함으로써 초기 설정과 다른 재생 모드로 DPF 재생 제어를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재생 모드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 상기 플래그 테이블(FT)을 예를 들면 상기 고정 기억 수단(32)의 교환 등으로 일일이 삭제하거나, 상기 범용 재생 프로그램(GPM)을 재기록하거나 하지 않아도 되어 여러 가지 작업기의 시스템에 대처하기 쉽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예를 들면 고객에 있어서는 외부로부터 구입한 엔진(70)임에도 불구하고 자사 사양에 적합한 설정으로 수정하기 쉬운 것이다.
상기 기재 및 도 1~도 10으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재생 모드로서 적어도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50)가 재생 가능한 조건 하에서 상기 엔진(70)을 구동시키는 자기 재생 모드와,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50)의 막힘 정도가 규정 수준을 넘었을 경우에 자동적으로 배기가스를 승온시키는 자동 보조 재생 모드와, 수동 조작 수단(24)의 온 조작에 의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50)의 재생을 허가하는 수동 보조 재생 모드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타입의 작업기에 적합한 복수의 재생 모드를 1종류의 엔진 장치의 시스템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고객 만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상기 기재 및 도 1~도 11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범용 재생 프로그램(GPM)을 실행할 때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50)의 재생에 관련된 엔진 보조 기계(81, 82)의 고장 진단의 필요 여부가 상기 플래그 테이블(FT)에 대응해서 선택되기 때문에 재생 모드의 차이에 의해 상기 엔진 보조 기계(81, 82)의 유무가 바뀌어도 1종류의 상기 범용 재생 프로그램(GPM)만으로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엔진 보조 기계(81, 82)의 고장 진단을 실행할 수 있고, 불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엔진 보조 기계(81, 82)의 고장 진단을 생략할 수 있다. 즉, 세세한 설정 조작 등을 하지 않아도 상기 엔진 보조 기계(81, 82)의 유무에 따라 고장 진단의 실행·생략을 간단하게 스위칭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는다.
(8). 기타
본원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하지 않고 여러 가지 형태로 구체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엔진 장치의 연료 분사 장치는 커먼레일식인 것에 한하지 않고, 전자거버너식인 것이어도 좋다. 기타, 각 부의 구성은 도시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이 가능하다.
FT : 플래그 테이블 GPM : 범용 재생 프로그램
11 : ECU 21 : 재생 스위치(수동 조작 수단)
24 : 재생 램프 31 : CPU
32 : ROM(고정 기억 수단) 33 : EEPROM(가변 기억 수단)
50 : DPF(배기가스 정화 장치) 70 : 엔진
120 : 커먼레일

Claims (4)

  1. 엔진의 배기 경로에 배치된 배기가스 정화 장치와, 상기 엔진의 구동을 제어하는 ECU를 구비하고 있는 엔진 장치로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대한 복수의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범용 재생 프로그램과, 임의의 재생 모드에 대응하는 플래그 테이블을 기억하는 재기록 가능한 가변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ECU는 상기 플래그 테이블에 의거해 선택되는 재생 모드에 의해 상기 범용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 테이블을 미리 고정적으로 기억한 고정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고정 기억 수단과 상기 가변 기억 수단의 최초의 액세스시에 상기 고정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플래그 테이블이 상기 가변 기억 수단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재생 모드로서 적어도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가 재생 가능한 조건 하에서 상기 엔진을 구동시키는 자기 재생 모드와,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막힘 정도가 규정 수준을 넘었을 경우에 자동적으로 배기가스를 승온시키는 자동 보조 재생 모드와, 수동 조작 수단의 온 조작에 의해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재생을 허가하는 수동 보조 재생 모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재생에 관련된 엔진 보조 기계의 고장 진단의 필요 여부가 상기 플래그 테이블에 대응해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장치.
KR1020127023237A 2010-03-05 2011-02-17 엔진 장치 KR1017430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48792 2010-03-05
JP2010048792A JP5307056B2 (ja) 2010-03-05 2010-03-05 エンジン装置
PCT/JP2011/053389 WO2011108366A1 (ja) 2010-03-05 2011-02-17 エンジ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662A true KR20130037662A (ko) 2013-04-16
KR101743093B1 KR101743093B1 (ko) 2017-06-02

Family

ID=44542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237A KR101743093B1 (ko) 2010-03-05 2011-02-17 엔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22428B2 (ko)
EP (1) EP2543858B1 (ko)
JP (1) JP5307056B2 (ko)
KR (1) KR101743093B1 (ko)
CN (1) CN102859163B (ko)
WO (1) WO20111083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2487B2 (ja) * 2011-12-14 2016-04-2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5643389B2 (ja) * 2013-06-26 2014-12-17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US9478072B2 (en) * 2014-02-28 2016-10-25 Komatsu Ltd. Control device of aftertreatment device, working vehicl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ftertreatment device
US20220279718A1 (en) * 2021-03-04 2022-09-08 Deere & Company State-based mechanism for performing engine regeneration procedur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80606D1 (de) * 1984-03-31 1991-01-03 Mitsubishi Motors Corp Regenerationssystem fuer eine diesel-partikel-oxydierungseinrichtung.
DE3802241A1 (de) * 1988-01-27 1989-08-10 Opel Adam Ag Elektronisches steuergeraet fuer kraftfahrzeuge
JP3442806B2 (ja) * 1993-01-08 2003-09-02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ジョブの優先処理方法
JP2000145430A (ja) 1998-11-13 2000-05-26 Ibiden Co Ltd 排気ガス浄化装置
JP2003027922A (ja) 2001-07-13 2003-01-29 Ibiden Co Ltd 排気ガス浄化装置
JP3864910B2 (ja) * 2003-01-10 2007-01-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4386265B2 (ja) * 2004-03-19 2009-12-16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操作パターン切換装置及び建設機械の操作パターン切換システム
JP4161932B2 (ja) * 2004-04-09 2008-10-08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JP4447510B2 (ja) * 2005-05-13 2010-04-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ガス浄化装置
US7587892B2 (en) * 2005-12-13 2009-09-15 Cummins Ip,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dapting a filter regeneration profile
JP4694402B2 (ja) * 2006-04-07 2011-06-0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US7793492B2 (en) * 2007-02-27 2010-09-14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Diesel engine exhaust after-treatment operator interface algorithm
JP4100451B1 (ja) * 2007-03-02 2008-06-11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排気ガス浄化方法及び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JP2008297969A (ja) 2007-05-31 2008-12-11 Denso Corp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5244443B2 (ja) * 2008-04-17 2013-07-24 ヤンマー株式会社 ディーゼルエンジン用排気浄化装置
JP2009257264A (ja) * 2008-04-18 2009-11-05 Yanmar Co Ltd 排気浄化装置
JP2009287456A (ja) * 2008-05-29 2009-12-10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排気絞り弁の故障診断装置
EP2324216B1 (en) * 2008-08-08 2012-12-12 Pirelli & C. Eco Technology S.p.A.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regeneration of a particulate filter
US8474247B2 (en) * 2009-03-18 2013-07-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articulate filter regeneration post-injection fuel rate control
JP5281488B2 (ja) * 2009-06-08 2013-09-04 ヤンマー株式会社 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5155979B2 (ja) * 2009-10-21 2013-03-06 ヤンマー株式会社 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5562697B2 (ja) * 2010-03-25 2014-07-3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Dpfの再生制御装置、再生制御方法、および再生支援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43858A4 (en) 2016-06-08
KR101743093B1 (ko) 2017-06-02
CN102859163A (zh) 2013-01-02
US20120330531A1 (en) 2012-12-27
CN102859163B (zh) 2015-06-17
EP2543858A1 (en) 2013-01-09
US9222428B2 (en) 2015-12-29
JP5307056B2 (ja) 2013-10-02
JP2011185109A (ja) 2011-09-22
EP2543858B1 (en) 2020-04-01
WO2011108366A1 (ja) 201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9784B2 (ja)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JP5828579B2 (ja) 作業機の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KR20110002871A (ko) 내연 기관의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 및 수트 필터 재생 방법
KR20130037662A (ko) 엔진 장치
JP2011256767A (ja) 作業機の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KR20130092956A (ko) 배기가스 정화 시스템
JP5667781B2 (ja) 作業機の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KR20150143449A (ko) 배기가스 정화 시스템
JP5643389B2 (ja) エンジン装置
JP2013241936A (ja) エンジン装置
JP5788148B2 (ja) 作業機の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JP5731047B2 (ja) エンジン装置
JP5828577B2 (ja)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JP5710891B2 (ja)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JP5667784B2 (ja)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JP2014238091A (ja)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JP2011127518A (ja) エンジン装置
JP2016026281A (ja) 作業機
WO2011136184A1 (ja) 作業機の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JP5667782B2 (ja) 作業機の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KR20090011514A (ko) 매연 여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