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7255A - 키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회전식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키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회전식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7255A
KR20130027255A KR1020110090736A KR20110090736A KR20130027255A KR 20130027255 A KR20130027255 A KR 20130027255A KR 1020110090736 A KR1020110090736 A KR 1020110090736A KR 20110090736 A KR20110090736 A KR 20110090736A KR 20130027255 A KR20130027255 A KR 20130027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enter button
button portion
substrat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금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0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7255A/ko
Priority to US13/410,634 priority patent/US8946573B2/en
Priority to CN201210330095.4A priority patent/CN103000435B/zh
Publication of KR20130027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025/048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separate central push, slide or tumbler button which is not integral with the operating part that surrounds 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키 조립체는, 베이스와, 베이스 상에 베이스에 인접한 위치와 베이스에서 멀어진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중앙 버튼부와, 베이스에 결합되고 중앙 버튼부의 일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통공을 구비하고 중앙 버튼부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돌출부와 대응되도록 통공의 내측에 형성되어 중앙 버튼부의 베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구비하는 회전 버튼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키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회전식 입력 장치{Key assembly and rotary input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키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회전식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구성이 향상된 키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회전식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 등의 사용자가 증가되고 전문화되면서, 사용자가 스스로 노출 시간이나 플래쉬의 사용 여부 등의 촬영 조건들을 선택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등의 전자 장치는 전화 걸기, 문자 메시지 주고 받기, 현재 위치를 상기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지역의 지도화면과 함께 표시하고 안내하여 주는 통상적인 기능 이외에, 부가적으로 동영상 재생, 음악 재생 등의 엔터테인먼트 기능이 보강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은 전자 장치가 가지는 다수의 기능들을 입력하기 위해 조작부의 버튼의 개수가 증가됨에 따라 사용자 입력의 복잡성 등이 문제가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여러 가지 기능들의 사용에 있어서, 보다 편리한 인터페이스의 제공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에서는 다수의 키 또는 버튼을 대신할 수 있는 회전형 휠 키를 이용하여 메뉴의 조회 및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회전형 휠은 회전이 가능하여야 한다는 휠의 특성상, 다른 구성 요소와 접착제나,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없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휠과 다른 구성 요소가 분리되는 내구성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공개공보 제2009-0039000호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이 향상된 키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회전식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튼부가 기울어지는 현상이 방지된 키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회전식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하면, 베이스와, 베이스 상에 베이스에 인접한 위치와 베이스에서 멀어진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중앙 버튼부와, 베이스에 결합되고 중앙 버튼부의 일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통공을 구비하고 중앙 버튼부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돌출부와 대응되도록 통공의 내측에 형성되어 중앙 버튼부의 베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구비하는 회전 버튼부를 구비하는 키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돌출부는 중앙 버튼부의 외측의 일 영역으로부터 회전 버튼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한부는 중앙 버튼부가 베이스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돌출부의 일면에 접촉하도록 중앙 버튼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는 돌출부를 향하도록 돌출된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돌출부는 플랜지부에 대응되는 플랜지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는 통공의 내측의 원주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는 통공의 내측의 원주면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앙 버튼부는 베이스를 향하는 면 상에 기울어짐 방지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울어짐 방지 돌기는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앙 버튼부는 탄성적으로 변형하며, 기울어짐 방지 돌기를 지지하는 탄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외부 조작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가 배치된 기판과, 기판 상에 기판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베이스와, 베이스 상에 베이스에 인접한 위치와 베이스에서 멀어진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스위치를 가압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며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중앙 버튼부와, 베이스에 결합되고 중앙 버튼부의 일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통공을 구비하고 버튼부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돌출부와 대응되도록 통공의 내측에 형성되어 중앙 버튼부의 베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구비하는 회전 버튼부를 구비하는 회전식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기판은, 중앙 버튼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중앙 버튼부가 베이스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때 신호를 발생하는 제1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베이스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기판을 향해 돌출된 가압부를 구비하고, 기판은 가압부에 대응되는 영역에 가압부의 가압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복수 개의 제2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판과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고, 기판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베이스를 지지하고 중앙에 개구를 구비하는 회전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앙 버튼부와 기판 사이의, 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중앙 버튼부를 지지하고, 외부 조작에 의한 중앙 버튼부의 가압력을 스위치에 전달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회전부의 회전 각도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회전 센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키 버튼 및 이를 이용한 회전 장치는,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버튼부가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회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회전식 입력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 요소들이 결합된 회전식 입력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회전식 입력 장치에서 III-III을 따라 취한 측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회전식 입력 장치에 구비된 중앙 버튼부의 베이스를 향하는 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 영역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회전식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회전식 입력 장치(1)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요소들이 결합된 회전식 입력 장치(1)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회전식 입력 장치(1)에서 III-III을 따라 취한 측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회전식 입력 장치(1)는 기판(100)과, 일 실시예에 관한 키 조립체(200)를 구비하며, 키 조립체(200)는 베이스(210)와, 베이스(210)에 인접한 위치와 베이스에서 멀어진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중앙 버튼부(220)와, 베이스(210)에 결합되고 중앙 버튼부(220)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 버튼부(230)를 구비한다.
기판(100)에는 외부 조작, 예를 들면 가압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110)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스위치(110)는 중앙 버튼부(220)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한 개의 제1 스위치(111)와, 제1 스위치(111)를 중심으로 일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4개의 제2 스위치(112)를 구비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스위치(110)의 개수나, 배열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판(100)은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고, 기판(100)에 구비된 스위치(110)는, 기판(100)에 패터닝되어 있는 접점부(미도시)와, 접점부를 감싸도록 금속으로 형성된 돔 시트(110a)로 구성된다. 돔 시트(110a)가 가압되는 경우, 돔 시트(110a)와 접점부와 접속되어 신호가 발생한다.
기판(100) 상에는 베이스(210)를 지지하고, 중심부에 개구를 구비하는 회전부(310)가 배치되고, 상기 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중앙 버튼부(220)를 지지하는 가이드부(320)가 배치된다. 상기 회전부(310)의 외측에는 회전부(310)와 가이드부(320)를 지지하는 지지부(330)가 배치될 수 있다.
회전부(310)는 기판(10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베이스(210)를 지지한다. 즉, 베이스(210)는 끼움 홀(211)을 구비하고, 끼움 홀(211)은 회전부(310)의 개구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끼움 돌기(312)에 끼움 결합되어, 베이스(210)는 회전부(10)와 함께 회전한다.
기판(100)은 회전부(31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회전 센서부(미도시)를 구비한다. 회전 센서부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회전 센서부는 MR 센서(Magneto Resistive Sensor)일 수 있다. 즉, 회전부(310)의 기판(100)의 향하는 면의 일 원주 상에 N극과 S극이 교차로 배치된 자기 스케일이 배치되고, 자기 스케일에 대응되도록 기판(100)에 배치된 센서에 의해 자기 스케일의 이동 거리, 즉, 회전부(310)의 회전 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가이드부(320)는 중앙 버튼부(220)와 베이스(210)의 사이의, 회전부(310)의 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중앙 버튼부(220)가 베이스(210)에 인접한 위치와 베이스(210)에서 멀어진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지지한다. 중앙 버튼부(220)가 외부 조작, 예를 들면 가압에 의해 베이스(21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가이드부(320)가 가압력을 기판(100)에 전달하여, 제1 스위치(111)에 구비된 제1 돔 시트(111a)를 가압하여 접점부와 접속되게 함으로써 신호를 발생시킨다. 가이드부(320)는 중앙 버튼부(220)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회전부(310)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210)는 베이스(21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기판(100)을 향해 돌출된 가압부(212)를 구비하고, 기판(100)은 가압부(212)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압부(212)의 가압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복수 개의 제2 스위치(112)를 구비한다. 제2 스위치(112)는 제1 스위치(111)를 중심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회전부(310)와, 회전부(310)에 결합된 베이스(210)와, 베이스(210)에 결합된 회전 버튼부(230)는, 기판(100)과 중앙 버튼부(220)에 대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같이 회전하며, 외부 조작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기판(100)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때, 기판(100)과 베이스(210)의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부(310)와 가이드부(320)를 지지하는 지지부(330)는, 베이스(210)의 기울어짐에 의한 가압력을 기판(100)에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210)의 기판(100)을 향하는 면에는 가압부(212)가 구비되므로, 외부 조작에 의해 베이스(210)가 제2 스위치(112)가 배치된 영역을 가압하는 경우, 가이드부(320)에 의해 가압력이 기판(100)에 전달되어, 제2 스위치(112)에 구비된 제2 돔 시트(112a)가 가압되고, 제2 돔 시트(112a)가 접점부와 접속함으로써 신호가 발생한다. 베이스(210)의 기판(100)을 향하는 면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베이스(210)가 지나치게 기울어져 기판(100)을 손상시키기 않도록 하기 위한 완충 돌기(2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210) 상에는 중앙 버튼부(220)가 배치되고, 중앙 버튼부(220)의 외측에는 중앙 버튼부(220)의 일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통공(231)을 구비하는 회전 버튼부(23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회전 버튼부(230)는 회전 조작이 용이하도록 회전 버튼부(230)의 외부를 향하는 면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요철(235)을 구비한다.
이때, 중앙 버튼부(220)는 베이스(210)와 결합되어, 베이스(210)에 의해 지지된다. 베이스(210)와 회전 버튼부(230)는 베이스(21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있는 결합 홀(214)과 회전 버튼부(230)에 상기 결합 홀(214)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결합 돌기(234)가 끼워짐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베이스(210)와 회전 버튼부(230)는 접착제나 볼트 등에 의해서도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중앙 버튼부(220)는 중앙 버튼부(2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부(221)를 구비하고, 회전 버튼부(230)는 돌출부(221)에 대응되도록 통공(231)의 내측에 형성되어 중앙 버튼부(220)의 베이스(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한부(232)를 구비한다.
중앙 버튼부(220)는 베이스(210)에 대하여 인접한 위치와 멀어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회전 버튼부(230)는 중앙 버튼부(2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므로, 중앙 버튼부(220)는, 베이스(210) 및/또는 회전 버튼부(230)와 접착제나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없다. 따라서, 중앙 버튼부(220)는 충격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기 쉽다.
본 실시예의 중앙 버튼부(220)에 구비된 돌출부(221)는 중앙 버튼부(220)의 일 영역으로부터 회전 버튼부(23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회전 버튼부(230)에 구비된 제한부(232)는 중앙 버튼부(220)가 베이스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돌출부(221)의 일면에 접촉하도록 중앙 버튼부(2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돌출부(221)는 제한부(232)에 의해, 제한부(232)와 접촉되는 위치보다 더 베이스(210, 도3)로부터 멀어지는 위치로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제한부(232)에 의해 중앙 버튼부(220)의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한부(232)는 회전 버튼부(230)의 통공의 내측의 원주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이격되어 복수 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중앙 버튼부(220)의 베이스(210)를 향하는 면 상에는 기울어짐 방지 돌기(223)가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중앙 버튼부(220)가 베이스(210)에 대하여 기울어진 경우, 중앙 버튼부(220)의 외측에 배치되는 회전 버튼부(230)가 회전할 때, 회전이 전 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기판(100)에 대하여 평행한 면을 따라 회전하지 않아, 회전 각도를 정확히 검출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 버튼부(220)에 기울어짐 방지 돌기(223)를 배치함으로써, 중앙 버튼부(220)의 베이스(210)에 대한 기울어짐을 방지하여 회전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중앙 버튼부(220)는 회전 버튼부(230)에 구비된 통공(231)에 의해 일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노출된 면의 일 영역은 외부 조작이 용이하도록 외부를 향하여 돌출된 조작부(224)를 구비한다. 조작부(224)는 가이드부(320) 및 제1 스위치(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통공(231)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된 조작부(224)에 대응되는 영역의 이외의 영역 상에는 커버부(240)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240) 상의 제2 스위치(112)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각각의 제2 스위치(112)에 대응되는 메뉴에 관한 그림 또는 문자가 인쇄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회전식 입력 장치(1)에 구비된 중앙 버튼부(220)의 베이스(210)를 향하는 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중앙 버튼부(220)의 베이스(210)를 향하는 면 상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기울어짐 방지 돌기(223)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는 기울어짐 방지 돌기(223)가 3개인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기울어짐 방지 돌기(223)는 3개 이상일 수 있다.
중앙 버튼부(220)는, 탄성적으로 변형하며 기울어짐 방지 돌기(223)를 지지하는 탄성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중앙 버튼부(220)는 베이스(210)에 대하여 인접한 위치와 멀어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므로, 기울어짐 방지 돌기(223)에 의해 중앙 버튼부(220)의 움직임이 제한되지 않도록, 기울어짐 방지 돌기(223)는 탄성부(222)에 의해 지지된다.
본 실시예의 탄성부(222)는, 일부가 중앙 버튼부(220)의 본체와 연결되고, 본체와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얇은 막대 형태이고, 본체와 연결된 부분과 평행한 위치를 중심으로 상하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탄성부(222)는 중앙 버튼부(220)의 베이스(210)를 향하는 면에 배치된 스프링이나 고무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중앙 버튼부(220)의 베이스(210)를 향하는 면의 중심부에는 가이드부(320, 도 3)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 홈(225)이 배치된다.
도 5는 도 3의 A 영역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회전 버튼부(230)로부터 중앙 버튼부(2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한부(232)는 가장자리 영역에 플랜지부(233)를 구비하고, 중앙 버튼부(220)로부터 회전 버튼부(23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221)는 플랜지부(233)에 대응되는 플랜지 홈(226)을 구비한다.
플랜지 홈(226)에는 플랜지부(233)가 삽입된다.
따라서, 돌출부(221)는 제한부(232)에 의해, 제한부(232)와 접촉되는 위치보다 베이스(210, 도3)로부터 더 멀어지는 위치로 이동할 수 없다. 또한, 돌출부(221)와 제한부(232)는 플랜지(flange) 결합함으로써, 외부의 강한 충격에도 중앙 버튼부(22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 6은 도 1의 회전식 입력 장치(1)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는 광학계를 구비하는 경통부(10)와, 내부에 촬상 소자(미도시)와,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하는 본체부(20)를 구비하고, 본체부(20)의 경통부(10)가 배치된 면의 반대면에는 표시부(21), 줌 버튼(24) 및 일 실시예에 관한 회전식 입력 장치(1)가 배치된다.
본체부(20)의 상부에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에 빛을 노출시키기 위해 셔터를 열거나 닫도록 하는 셔터 릴리즈 버튼(23)과 전원의 온/오프를 동작시키는 전원 스위치(22)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의 회전식 입력 장치(1)에 구비된 기판(100, 도 1)은 본체부(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촬상 장치에 구비된 구성 요소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이들 구성 요소와 제어 신호를 주고받거나, 데이터를 처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회전식 입력 장치(1)는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중앙 버튼부(220)와 회전 버튼부(230)와, 커버부(240)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회전 버튼부(230)를 회전시켜, 촬상 장치가 구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메뉴들 간의 이동을 지시하거나, 표시부(21)에 표시되는 복수 개의 촬영된 영상들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중앙 버튼부(220)를 가압하여 이동된 메뉴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 사용자는 회전 버튼부(230)의 가장자리 영역을 가압하여, 특정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커버부(240)에는 각 영역에 대응되는 메뉴들을 나타내는 그림 등이 인쇄될 수 있다.
회전식 입력 장치(1)의 상기 조작들에 의해 발생된 신호는 제어부에 전달되어, 제어부에 의해 촬상 장치의 다른 구성 요소에 전달된다.
본 실시예는 회전식 입력 장치(1)가 촬상 장치에 적용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회전식 입력 장치(1)는 휴대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등의 다른 전자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 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상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상기 특정 용어에 의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발명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등의 표현은 기술의 개방형 종결부의 용어로 이해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술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는 발명의 범위와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1: 회전식 입력 장치 10: 경통부
20: 본체부 21: 표시부
22: 전원 스위치 23: 셔터 릴리즈 버튼
100: 기판 110: 스위치
111: 제1 스위치 112: 제2 스위치
110a: 돔 시트 111a: 제1 돔 시트
112a: 제2 돔 시트 200: 키 조립체
210: 베이스 211: 끼움 홀
212: 가압부 213: 완충 돌기
214: 결합 홀 220: 중앙 버튼부
221: 돌출부 222: 탄성부
223: 기울어짐 방지 돌기 224: 조작부
225: 결합 홈 226: 플랜지 홈
230: 회전 버튼부 231: 통공
232: 제한부 233: 플랜지부
234: 결합 돌기 235: 요철
240: 커버부 310: 회전부
312: 끼움 돌기 320: 가이드부
330: 지지부

Claims (14)

  1.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상기 베이스에 인접한 위치와 상기 베이스에서 멀어진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중앙 버튼부;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중앙 버튼부의 일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 버튼부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통공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중앙 버튼부의 상기 베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구비하는 회전 버튼부;를 구비하는 키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중앙 버튼부의 일 영역으로부터 상기 회전 버튼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중앙 버튼부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돌출부의 일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중앙 버튼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키 조립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돌출부를 향하도록 돌출된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플랜지부에 대응되는 플랜지 홈을 구비하는 키 조립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통공의 내측의 원주면을 따라 연장하는 키 조립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통공의 내측의 원주면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 개가 배치된 키 조립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버튼부는 상기 베이스를 향하는 면 상에 기울어짐 방지 돌기를 구비하는 키 조립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어짐 방지 돌기는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배치된 키 조립체.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버튼부는, 탄성적으로 변형하며 상기 기울어짐 방지 돌기를 지지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키 조립체.
  9. 외부 조작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가 배치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상기 기판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상기 베이스에 인접한 위치와 상기 베이스에서 멀어진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며,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중앙 버튼부;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중앙 버튼부의 일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버튼부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통공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중앙 버튼부의 상기 베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구비하는 회전 버튼부;를 구비하는 회전식 입력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중앙 버튼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중앙 버튼부가 상기 베이스에 인접하도록 이동할 때 신호를 발생하는 제1 스위치를 구비하는 회전식 입력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기판을 향해 돌출된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가압부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가압부의 가압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복수 개의 제2 스위치를 구비하는 회전식 입력 장치.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고 중앙에 개구를 구비하는 회전부를 더 구비하는 회전식 입력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버튼부와 상기 기판 사이의 상기 개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 버튼부를 지지하고, 외부 조작에 의한 상기 중앙 버튼부의 가압력을 상기 스위치에 전달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회전식 입력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회전부의 회전 각도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회전 센서부를 구비하는 회전식 입력 장치.
KR1020110090736A 2011-09-07 2011-09-07 키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회전식 입력 장치 KR2013002725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736A KR20130027255A (ko) 2011-09-07 2011-09-07 키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회전식 입력 장치
US13/410,634 US8946573B2 (en) 2011-09-07 2012-03-02 Key assembly, rotary input device using the key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rotary input device
CN201210330095.4A CN103000435B (zh) 2011-09-07 2012-09-07 键组件、旋转输入装置及电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736A KR20130027255A (ko) 2011-09-07 2011-09-07 키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회전식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255A true KR20130027255A (ko) 2013-03-15

Family

ID=47752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736A KR20130027255A (ko) 2011-09-07 2011-09-07 키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회전식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46573B2 (ko)
KR (1) KR20130027255A (ko)
CN (1) CN1030004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I3628319T1 (sl) 2008-10-02 2024-04-30 Salix Pharmaceuticals, Ltd. Zdravljenje jetrne encefalopatije z rifaksiminom
CN103970429A (zh) * 2014-05-15 2014-08-06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菜单分区选择的控制方法
CN205199822U (zh) * 2015-09-22 2016-05-04 深圳市杰仕博科技有限公司 用于电子雾化器的电池装置
CN111192781B (zh) * 2020-01-09 2021-05-25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操作组件及家用电器
EP3964922B1 (en) 2020-07-09 2024-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key assembly
CN112216546B (zh) * 2020-10-30 2024-03-22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有限公司 一种电子开关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6126Y2 (ja) * 1991-09-13 1997-12-03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の操作部材
CN2426205Y (zh) * 2000-04-27 2001-04-04 新巨企业股份有限公司 改良结构的旋转开关
JP2002343192A (ja) * 2001-05-14 2002-11-29 Alps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2005203297A (ja) * 2004-01-19 2005-07-28 Nissan Motor Co Ltd 表示式多機能スイッチ
US7140551B2 (en) * 2004-03-01 2006-11-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VAC controller
JP2006286458A (ja) * 2005-04-01 2006-10-19 Omron Corp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6323692A (ja) * 2005-05-19 2006-11-30 Smk Corp ジョグスイッチ
KR101078158B1 (ko) 2006-01-13 2011-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그 다이얼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
US7342186B2 (en) * 2006-07-11 2008-03-11 Delphi Technologies, Inc. Knob force transfer module
KR101569701B1 (ko) 2009-03-16 2015-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및 그립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00435A (zh) 2013-03-27
CN103000435B (zh) 2016-03-30
US20130056335A1 (en) 2013-03-07
US8946573B2 (en) 2015-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7255A (ko) 키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회전식 입력 장치
JP2006073311A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1175938A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CN114375434A (zh) 具有多功能隐私开关的交互式显示***
US20200201140A1 (en) Rotational operation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is
JP2006032118A (ja) 回転式入力装置
JP2009059599A (ja) 入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5039582B2 (ja) 電子機器
JP4612841B2 (ja) 電子機器
JP5212123B2 (ja) 電子機器および回転スイッチ機構
JP2011044345A (ja) 操作検出装置
JP7057170B2 (ja) 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197119A (ja) 表示制御装置
JP2017045544A (ja) 電子機器
JP4829560B2 (ja) 操作入力装置、電子機器および撮像装置
JP2015146228A (ja) 電子機器
JP2002107810A (ja) カメラ
JP6173084B2 (ja) 撮像装置
JP6133016B2 (ja) 入力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電子機器
JP6253287B2 (ja) 撮像装置
KR20110100576A (ko) 조작 스위치 및 휴대 단말
JP2009146668A (ja) 電子機器
JP2019149350A (ja) 回転揺動式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2018275A (ja) 電子機器
JP2004185847A (ja) 操作ボタ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